메타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타철학은 철학의 본질, 방법, 목적, 그리고 철학적 진보 가능성 등에 대한 탐구를 다루는 분야이다. 철학의 한 분야인지, 아니면 철학을 초월하는 별개의 학문인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며, '철학의 철학'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메타철학은 철학의 범위, 방법론, 분류법을 제시하며, 메타미학, 메타인식론, 메타윤리학 등 다양한 하위 분야를 아우른다. 철학의 진보 여부에 대한 질문과 플라톤, 칸트, 비트겐슈타인 등 철학자들의 메타철학적 저술도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타철학 | |
|---|---|
| 정의 | |
| 분야 | 철학 |
| 주요 질문 | 철학이란 무엇인가? |
| 개요 | |
| 설명 | 철학의 본질, 범위, 방법론, 그리고 철학 자체의 가치와 관련된 질문들을 탐구하는 철학의 한 분야이다. |
| 관련 분야 | 인식론, 존재론, 가치론, 논리학, 철학사 |
| 주요 탐구 주제 | |
| 철학의 본질 | 철학의 고유한 특징과 다른 학문과의 차이점을 탐구한다. |
| 철학의 범위 | 철학적 탐구의 대상과 한계를 규정한다. |
| 철학의 방법론 | 철학적 주장을 정당화하고 진리를 탐구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들을 분석한다. |
| 철학의 가치 | 철학적 탐구가 개인과 사회에 기여하는 바를 평가한다. |
| 역사적 관점 | |
| 고대 철학 | 철학의 기원과 초기 형태에 대한 연구 |
| 중세 철학 | 기독교 철학의 발전과 특징 |
| 근대 철학 | 합리주의와 경험주의의 등장 |
| 현대 철학 | 다양한 철학적 사조의 발전과 상호 작용 |
| 주요 논쟁점 | |
| 철학의 유용성 | 철학이 현실 세계에 기여하는 바에 대한 논쟁 |
| 철학의 객관성 | 철학적 진리의 객관적인 기준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 |
| 철학의 방법론적 다양성 | 다양한 철학적 방법론의 타당성과 한계에 대한 논쟁 |
| 참고 문헌 | |
| 인터넷 철학 백과사전 | 현대 메타철학 |
| 미국 철학 백과사전 | 메타철학 |
| 플라톤 저작/플라톤 해석 | 플라톤 저작/플라톤 해석 |
| 마르틴 하이데거 | 철학이란 무엇인가? |
| 티모시 윌리엄슨 | 철학의 철학 |
| 공식 가치론과 그 비판자 | 가치론과 과학 |
2. 철학과의 관계
메타철학이 철학의 한 분야인지, 아니면 철학을 넘어서는 별개의 학문인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76] 티모시 윌리엄슨은 철학에 대한 철학이 철학의 모든 것을 다루므로 "자동적으로 철학의 한 분야"가 된다고 주장하였다.[79][5]
"메타철학"과 "철학의 철학"이라는 용어는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때로는 같은 의미로, 때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모리스 라저로위츠는 1940년경 '메타철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었고, 1942년에 출판물에서 사용했다.[12] 그는 메타철학을 '철학의 본질에 대한 탐구'라고 정의했다.[12] 폴 모저는 찰스 그리즈월드가 제시한 것처럼 '메타철학'이라는 용어를 철학 자체보다 '2차적'이거나 더 근본적인 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3]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수수께끼와 철학적 이해의 본질에 대해 글을 썼다. 그는 철학적 오류가 철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혼란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12]
철학의 많은 하위 분야는 메타미학, 메타인식론, 메타윤리학, 메타존재론 등 자체적인 메타철학 분과를 가지고 있다.[7] 그러나 메타철학에 속한 몇몇 주제는 철학의 다양한 세부 분야를 가로질러 모든 하위 분야에 중요한 기본 사항을 고려한다.
반면, 니콜라스 버닌과 유 지유안은 철학과 메타철학을 분리하고 메타철학이 철학보다 우선한다고 주장했지만,[80] 큰 지지를 받지 못했다.[9] 철학의 본질에 대한 평가 자체가 '제2차 철학'인지 아니면 '평범한 철학'인지에 대한 논쟁의 대상이 된다.[9]
길버트 라일을 포함한 다수의 철학자들은 메타철학의 가치에 의문을 제기한다.[81][10] 라일은 "방법론에 대한 질문에 집착하면 우리는 방법론 자체가 야기하는 산만함에 빠지기 쉽게 된다"고 주장하며, "말로 하려 하지 말고 그냥 행하자"고 하였다.[81][11]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메타 언어에서 메타철학을 유추하는 것을 부정했다.[11] 그는 "철학"이라는 단어의 용법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2차 철학이 아니며, 철자법이 "철자법"이라는 어구를 다루는 것과 같다고 보았다.[11]
최근 티모시 윌리엄스는 메타철학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을 그만두고, 그것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11]
반면 니콜라스 레셔나 리처드 더블[50]과 같은 철학자들은 메타철학이라는 용어를 채택하여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레셔는 메타철학을 철학 실천 자체에 대한 철학적 고찰로 정의하며, 그 목적을 철학의 방법 연구라고 보았다.
3. 용어
몇몇 철학자들은 접두사 'meta'를 메타이론적인 '2차적' 형태의 철학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
4. 역사
C. D. 브로드는 1923년 저서 《과학적 사상의 입문》(Introduction to Scientific Thought)에서 비판 철학과 사변 철학을 구분했다. 커트 듀카스는 《과학으로서의 철학》(Philosophy as a Science)에서 철학의 본질에 대한 여러 견해를 검토하고, 철학은 뚜렷한 주제, 즉 평가를 갖는다고 결론 내렸다. 듀카스의 견해는 '메타철학'으로 처음 묘사된 것 중 하나였다.[20]
앙리 르페브르는 《메타철학》(Métaphilosophie, 1965)에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 사회 이론을 위한 필요한 방법론적 접근으로서의 "존재론적 단절"을 옹호하는 한편, 루이 알튀세르의 주관적 마르크스주의와의 "인식론적 단절"을 비판했는데, 이는 마르크스주의 구조주의 학파의 근본적인 이론적 도구였다.
폴 모저는 전형적인 메타철학적 논의가 주장이 철학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조건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썼다. 그는 윤리학 연구인 메타 윤리학을 인식론 연구인 메타 인식론과 마찬가지로 메타철학의 한 형태로 간주한다.[14]
5. 주제
메타철학의 과제 중 하나는 철학의 하위 분야를 분류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장 보편적인 학문인 "제1철학"과 자연을 다루는 "제2철학"(즉, "자연학")을 구분했다. 고대 후기에 "제1철학"은 자연학 다음에 오는 것으로 여겨졌고, "제1철학"에 관한 작품은 physics(자연학의) meta-(후에) 오는 것, 즉 metaphysics(형이상학)라고 불렸다.[7]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전통적으로 존재론, 자연신학, 보편학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고 여겨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기독교가 지배적이 되면서 철학은 보조적인 학문으로 여겨졌다("''philosophia ancilla theologiae''"). 르네상스 시대 말, 존재에 대해 생각하는 이론은 존재론으로 명명되었고, 지식에 관한 이론은 인식론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
18세기에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은 감각적 지식의 특별한 경우를 'gnoseologia inferior'(열등한 인식론)이라고 불렀고, 이는 칸트에 의해 미학이 되었다.
그리스인은 윤리에 강한 관심을 가졌고, 로마 제국 시대에도 윤리는 주요 관심사였다. 후대에 윤리학은 독립된 학문으로 확립되었다.
따라서 철학의 학문적 구조는 일반적으로 존재론, 인식론, 윤리학, 미학으로 구분된다.
응용철학은 종교와 같은 사회적 활동이나, 과학과 사회학과 같은 지적 추구에 대한 철학적 비판이다. 모티머 J. 애들러는 다양한 연구 분야의 이차적인 문제를 다루었는데, 이는 종종 "…의 철학"이라는 구절로 불리는 철학의 다양한 분파에서 발견되는 것이었다.[65] 애들러는 이러한 이차 철학적 문제를 존재, 원인, 변화, 영원, 운명, 사랑과 같은 사고의 대상과, 종교철학, 역사철학, 언어철학, 과학철학과 같은 사고의 주제로 나누었다.
5. 1. 목적
실존주의자나 실용주의자와 같은 일부 철학자들은 철학이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 주변 세계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의미 있는 삶을 살도록 돕는 실용적인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분석 철학자와 같은 다른 철학자들은 철학을 "그 자체의 이익을 위한 지식의 객관적 추구"와 같은 목적을 가진 기술적이며, 형식적이고, 완전히 이론적인 분야라고 생각한다.[82] 또 다른 철학자들은 철학의 목적이 탐구하는 모든 것의 완전히 기초적인 원인을 찾는 것이라고 제안하며, 평범하고 과학적인 믿음의 본성과 중요성을 명확하게 하고,[83] 과학과 철학에 의해 주어진 관점을 통합하고 초월하는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84][85]
5. 2. 범위
철학의 정의와 그 범위를 정하는 것은 그 자체로 어려운 문제이다. 나이젤 워버튼은 이를 "악명높은 난제"라고 표현했다.[86] 철학에는 명확한 정의나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다.[87] 버트런드 러셀은 철학을 정의하고자 하면 그 말 자체에 이미 철학적 관점이 들어있기 때문에, 철학이 무엇인지 알려면 철학을 직접 해 보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88]
철학이 일반적이거나 근본적인 주제를 다룬다는 데에는 어느 정도 동의가 있지만,[21][29] 다음 경계 획정 문제에 대해서는 명확한 합의가 없다.
"철학(Philosophy)"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philosophía)에서 유래되었으며, "지혜를 사랑하는 것"을 의미한다.[51][52][53] 그러나 이 단어의 의미는 역사적으로 변화해 왔다.
5. 3. 방법론
철학적 방법(또는 철학적 방법론)은 철학을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철학자들 사이의 일반적인 견해는 철학이 철학자들이 철학적 질문에 답하기 위해 따르는 방법에 의해 구별된다는 것이다. 철학자들이 철학적 질문에 답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한 가지가 아니다.[89]
C.D. 브로드는 철학을 비판 철학과 사변 철학으로 분류했다. 비판 철학은 일상생활과 과학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을 분석하고, 가능한 모든 반론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반면 사변 철학은 인간 경험의 모든 측면을 고려하여, 전체로서의 현실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려고 노력한다.[34]
최근 일부 철학자들은 소크라테스부터 현대 언어 철학자에 이르기까지 철학적 탐구의 기본 도구로 사용된 직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직관 다시 생각하기'에서는 직관을 지식의 유효한 원천으로 보지 않고, '선험적' 철학에 의문을 제기한다.[35] 실험 철학은 경험적 연구, 특히 여론 조사를 활용하여 철학적 질문에 답하는 철학적 탐구의 한 형태이다. 이는 분석 철학에서 철학자가 자신의 직관에 호소하여 논증을 형성하는 방식과 대조적이다.[90] 그러나 실험 철학에 대한 비판도 널리 퍼져 있으며, 몇몇 철학자들은 실험 철학을 비판한다. 실험 철학자들이 수집한 경험적 데이터는 철학적 직관을 야기하는 심리적 과정을 더 잘 이해하게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91]
5. 4. 분류법
메타철학의 고유한 과제는 철학의 (하위) 분야를 분류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장 보편적인 학문인 "제1철학"과 자연을 다루는 "제2철학"(즉, "자연학")을 구분했다. 고대 후기에 "제1철학"은 자연학 다음에 오는 것으로 여겨졌고, "제1철학"에 관해 쓰여진 작품은 physics(자연학의) meta-(후에) 오는 것, 즉 metaphysics(형이상학)라고 불렸다.[7]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전통적으로 존재론, 자연신학, 보편학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고 여겨졌다.
시간이 흘러 기독교가 지배적이 되면서, 철학은 보조적인 학문으로 여겨졌다. ("''philosophia ancilla theologiae''") 르네상스 시대 말, 존재에 대해 생각하는 이론은 존재론으로 명명되었고, 지식에 관한 이론은 인식론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
18세기에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은 감각적 지식의 특별한 경우에 대해 생각하고 이를 'gnoseologia inferior'(열등한 인식론)이라고 불렀다. 이것이 칸트에 의해 미학이 된다.
그리스인은 윤리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로마 제국 시대에도 윤리는 주요 관심사 중 하나였다. 후대에 윤리학은 독립된 학문으로 확립되었다.
따라서, 철학의 학문적 구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응용철학은 사회적 활동(종교 등)이나 지적 추구(과학, 사회학 등)에 대한 철학적 비판이다. 모티머 J. 애들러는 다양한 연구 분야의 이차적인 문제를 다루었는데, 종종 그 문제들은 "…의 철학"이라는 구절로 불리는 철학의 다양한 분파에서 발견되는 것이었다.[65] 애들러는 이러한 이차 철학적 문제를 존재, 원인, 변화, 영원, 운명, 사랑과 같은 사고의 대상과, 종교철학, 역사철학, 언어철학, 과학철학 등 사고의 주제, 즉 절차상의 영역으로 나누었다. 메타철학 또한 종교의 형이상학, 종교의 인식론, 종교의 가치론과 같이 다른 주요 분파에 의해 이차적인 문제를 이해하려 시도했다.
6. 철학의 발전
철학의 진보가 발생하는지, 더 나아가 철학에서 그러한 진보가 가능한지에 대한 문제는 메타철학에서 중요한 질문 중 하나이다.[39]
데이비드 차머스는 메타철학에서의 철학적 진보에 대한 탐구를 세 가지 질문으로 나눈다.
# 존재 질문: 철학에 진보가 있는가?
# 비교 질문: 철학에 과학만큼의 진보가 있는가?
# 설명 질문: 왜 철학에는 더 많은 진보가 없는가?[40]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문화와 가치에서 "철학은 아무런 진보도 이루지 못했는가? - 누군가 가려운 곳을 긁는다면, 우리는 어떤 진보를 보아야 하는가?... 그리고 가려움증 치료법이 발견되기 전에도 이런 자극에 대한 반응이 오랫동안 똑같이 지속될 수 있지 않은가?"라고 언급했다.[41]
힐러리 퍼트넘에 따르면 철학은 특정한 아이디어나 주장이 옳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보다, 특정한 아이디어나 주장이 틀렸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더 능숙하다.[42]
7. 메타철학적 저술
플라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했다.[71]
- 철학의 본성과 철학의 방법 (『메논』에서 명확히 제시됨)
- 가치와 철학에 적합한 목적 (『소크라테스의 변명』, 『고르기아스』, 『프로타고라스』 등)
- 철학적 비판과 일상생활의 적절한 관계 (『국가』에 의해 가장 유명해짐)
이마누엘 칸트는 그의 "비판철학"에서 철학에 대한 접근 방식은 철저하게 자기 의식적이고 반성적이라고 하였다. 그는 『프로레고메나』를 저술하여, 오늘날 명백히 메타철학적이라고 여겨지는 저작의 예를 만들었다.[71]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의 난제와 철학적 이해에 대해 썼으며, 철학의 오류는 철학적 연구의 본성에 대한 혼란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철학 탐구』에는 메타철학 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적고 있다.[71]
찰리 던바 브로드는 그의 저서 『Introduction to Scientific Thought(1923)』의 "The Subject-matter of Philosophy, and its Relations to the special Sciences,"에서 비판철학과 사변철학을 구분하고 있다. 커트 존 듀카세는 "Philosophy as a Science"에서 철학의 본성에 대한 몇 가지 관점을 고찰하여, 철학은 각각 별개의 문제, 즉 평가를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듀카세의 생각은 첫째로 "메타철학"으로 표현되어 왔다.[72]
앙리 르페브르는 『Metaphilosophie』(1965)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입장에서, 비판적 사회 이론의 필수적인 방법론적 접근으로서 "존재론적 단절"을 지지하고 있다 (한편, 루이 알튀세르의,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학파의 도구를 나타내는 주관적 마르크스주의에 의한 인식론적 단절에 대해서는 르페브르는 비판하고 있다).[71]
참조
[1]
encyclopedia
Contemporary Metaphilosophy
https://www.iep.utm.[...]
2010-11-18
[2]
book
American Philosophy: An Encyclopedia
[3]
book
Platonic Writings/Platonic Readings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4]
book
Was Ist Das – die Philosophi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
book
The Philosophy of Philosophy
John Wiley & Sons
[6]
간행물
describes its scope
http://onlinelibrary[...]
[7]
book
Formal Axiology and Its Critics
Rodopi
[8]
웹사이트
Metaphilosophy
https://www.iep.utm.[...]
[9]
book
The Blackwell Dictionary of Western Philosophy
Wiley-Blackwell
[10]
book
An introduction to metaphilosoph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book
Collected Essays 1929-1968: Collected Papers Volume 2
Routledge
[12]
journal
A note on "metaphilosophy"
[13]
서적
In the evening of my thought
Houghton Mifflin company
[14]
book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Paw Prints 2008-06-26
[15]
book
Philosophical Dialectics, an Essay on Metaphilosoph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6]
book
Metaphilosophy and Free Wil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book
The Philosophy of Philosophy
Wiley-Blackwell
[18]
journal
Contemporary Metaphysics: Defining metaphilosophy
https://www.iep.utm.[...]
2010-11-18
[19]
문서
PhilPapers
[20]
간행물
A Critical Examination of C. J. Ducasse's Metaphilosophy
[21]
문서
Penguin Dictionary of Philosophy
[22]
문서
Collins English Dictionary
[23]
문서
Mastering Philosophy
[24]
문서
The Four Dimensions of Philosophy: Metaphysical-Moral-Objective-Categorical
[25]
journal
Metaphilosophical Criteria for Worldview Comparison
http://homepages.vub[...]
[26]
book
Philosophy: The Basic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7]
book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8]
book
The Wisdom of the West: A Historical Survey of Western Philosophy in Its Social and Political Setting
https://archive.org/[...]
Doubleday
[29]
book
Oxford Dictionary of Philosophy
[30]
book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New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1]
book
The Philosophy of Simone De Beauvoir: Critical Essays
Indiana University Press
[32]
book
Continental Philosophy of Science
John Wiley & Sons
[33]
문서
A Companion to Philosophy in the Middle Ages
London: Blackwell
[34]
book
Contemporary British Philosophy Personal Statements · Volume 20
https://archive.org/[...]
London, Allen & Unwin
1953
[35]
문서
Rethinking Intuition: The Psychology of Intuition and its Role in Philosophical Inqui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36]
OCLC
Experimental Philosophy
[37]
Citation
A Companion to Experimental Philosophy
John Wiley & Sons, Ltd
2016-04-29
[38]
Citation
Intuition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01-18
[39]
간행물
There Is No Progress in Philosophy
https://commons.paci[...]
2011
[40]
논문
Why Isn't There More Progress in Philosophy?
http://consc.net/pap[...]
2017-12-18
[41]
서적
Wittgenstein and the End of Philosophy Neither Theory Nor Therapy
Palgrave Macmillan
2003
[42]
서적
Renewing Philosoph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43]
웹사이트
Google Ngram of "metaphilosophy" in the English corpus.
https://books.google[...]
[44]
문서
PhilPapers
[45]
간행물
'A Note on “Metaphilosophy”'
http://www.iep.utm.e[...]
1970
[46]
서적
In the evening of my thought
Houghton Mifflin company
1927
[47]
서적
Richard Rorty, the making of an American Philsospher
U. of Chicago Press
2008
[48]
서적
Studies in Metaphilosphy
Routledge
1964
[49]
웹사이트
Metaphilosophy, Journal published by Blackwell
http://www.blackwell[...]
[50]
서적
Metaphilosophy and Free Will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6
[51]
웹사이트
Philosophia,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at Perseus
http://www.perseus.t[...]
[5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53]
서적
Webster's New World Dictionary
[54]
서적
Philosophy: The Basics
[55]
서적
Mastering Philosophy
[56]
서적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57]
서적
Penguin Encyclopedia
[58]
간행물
An Editor Recalls Some Hopeless Papers
1998-03
[59]
서적
Oxford Dictionary of Philosophy
[60]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61]
서적
Introducing Philosophy
[62]
서적
Modern Thomistic Philosophy
[63]
서적
Philosophy Made Simple
[64]
서적
Teach Yourself Philosophy
[65]
서적
The Four Dimensions of Philosophy
MacMillan
1994
[66]
서적
Penguin Dictionary of Philosophy
[67]
서적
Knowing and Acting
1976
[68]
서적
Rethinking Intuition: The Psychology of Intuition and its Role in Philosophical Inqui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98
[69]
문서
Knobe
forthcoming
[70]
서적
Experimental Philosophy
http://www.worldcat.[...]
2008
[71]
서적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lackwell Oxford
1963
[72]
논문
A Critical Examination of C. J. Ducasse's Metaphilosophy
1961-06
[73]
논문
"A note on metaphilosophy"
1970
[74]
웹인용
Contemporary Metaphilosophy
http://www.iep.utm.e[...]
2010-11-18
[75]
서적
Metaphilosophy
https://books.google[...]
[76]
서적
Platonic Writings/Platonic Readings
http://www.bu.edu/ph[...]
Penn State Press
2010
[77]
서적
Was Ist Das--die Philosophie?
https://en.wikipedia[...]
Rowman & Littlefield
1956
[78]
간행물
자신들의 분야
http://onlinelibrary[...]
[79]
서적
The Philosophy of Philosophy
John Wiley & Sons
2008
[80]
서적
Metaphilosophy
Wiley-Blackwell
2009
[81]
서적
Chapter 23: Ordinary langu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
[82]
서적
Penguin Dictionary of Philosophy
[83]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84]
서적
Mastering Philosophy
[85]
서적
Modern Thomistic Philosophy
[86]
서적
Philosophy: The Basics (3rd ed.)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3
[87]
서적
Mastering Philosophy
[88]
서적
The Wisdom of the West: A Historical Survey of Western Philosophy in Its Social and Political Setting
Doubleday
1959
[89]
서적
Rethinking Intuition: The Psychology of Intuition and its Role in Philosophical Inqui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98
[90]
문서
forthcoming
[91]
서적
Experimental Philosophy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