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종교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종교주의는 종교에 대한 비판, 반대 또는 거부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프랑스 혁명 시기에 처음 표현되었으며, 이후 국가 무신론주의를 표방한 국가에서 종교 탄압으로 이어졌다. 특히, 소련, 알바니아 등에서 종교기관, 지도자, 신도들에 대한 부정과 숙청이 이루어졌다. 현대에는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면서 국가 주도의 탄압은 줄어들고, 비판과 반종교 운동이 주로 나타난다. 마르크스주의는 종교를 "인민의 아편"으로 비판하며, 과학의 발전과 함께 종교적 세계관이 과학적 사실과 충돌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반종교적 입장을 가진 주요 인물로는 칼 마르크스, 리처드 도킨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종교주의 - 신정론
신정론은 전지전능하고 선한 신의 존재 하에 세상의 악과 고통의 존재 이유를 설명하고 신의 선함과 전능함을 정당화하려는 이론으로, 다양한 해석과 비판적 시각, 그리고 대안적 접근 방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 반종교주의 - 반신론
반신론은 신의 존재에 대한 불신을 넘어 신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종교의 해로운 영향력을 지적하고 신의 개념 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투쟁을 포함하는 사상이다. - 세속주의 - 세속화
세속화는 종교의 영향력 감소와 비종교적 가치 증가를 의미하며, 사회, 문화, 종교적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합리성과 과학 발달, 사회 분화 등이 영향을 미치며, 서구 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지만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다양한 비판도 존재한다. - 세속주의 - 자유주의 신학
자유주의 신학은 19세기 기독교 신앙을 당시 지성적 흐름에 맞게 재해석하려던 신학 운동으로, 과학적 발견과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성경 무오류설을 거부하고 역사비평을 통해 성경을 해석하며, 인간 이성과 경험을 중시하고 예수의 윤리적 가르침에 초점을 맞추며 사회정의와 평등을 강조했으나 보수적 신학으로부터 비판받았고 대한민국에서는 주류 신학으로 자리잡지 못했다.
반종교주의 | |
---|---|
반종교 | |
![]() | |
개요 | |
유형 | 무신론 반신론 불가지론 인본주의 세속주의 자유사상 무교 과학주의 |
특징 | |
목적 | 종교의 영향력 감소, 종교적 특권 철폐, 종교에 대한 비판적 시각 장려, 비종교적 윤리 및 가치관 확산 |
동기 | 종교의 비합리성, 사회적 폐해, 개인의 자유 침해, 과학적 사고방식, 윤리적 상대주의 |
주장 | 종교는 미신이며 비과학적, 사회적 갈등과 불평등을 조장, 개인의 자유로운 사고와 선택을 억압 |
활동 | 종교 비판, 종교 자유 옹호, 정교분리 주장, 무신론 및 인본주의 교육, 비종교적 공동체 형성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무신론 반신론 불가지론 세속주의 정교분리 종교 자유 과학 이성 인본주의 자유주의 진보주의 |
역사 | |
역사적 인물 |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니체 지그문트 프로이트 버트런드 러셀 리처드 도킨스 크리스토퍼 히친스 샘 해리스 다니엘 데닛 |
역사적 사건 | 프랑스 혁명 계몽주의 세속화 과학 혁명 |
기타 | |
관련 단체 | 국제 무신론 연맹(https://atheist-alliance.org/) 미국 무신론자 협회(https://atheists.org/) 자유 사고 재단(https://ffrf.org/) 국제 인본주의 윤리 연맹(https://humanists.org/) |
관련 문서 | 신의 망상 종교의 종말 기독교 국가에 보내는 편지 |
2. 역사
반종교는 종교 단체의 존재 및 행동에 대한 반발에서부터, 넓게는 종교와 연관된 미신과 초자연적인 현상을 거부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며, 무신론 또는 반신론과는 구별된다.
마이클 벌리에 따르면, 프랑스 혁명 당시 대중들이 조직된 레지스탕스에 '무교, 무주교, 비종교적 상태'라고 반응한 것이 반종교에 대한 최초의 표현이다.[47] 일부 가톨릭 신자들은 종교 개혁의 마르틴 루터가 반종교성을 고취했다고 비난했다.[4] 초기 반종교적 경향은 크리스토퍼 말로와 같은 회의론자들에 의해 표현되었다.[5] 17세기 초부터 계몽주의 시대에 반종교가 발전했다. 바론 달바흐의 1766년 저서 ''기독교의 베일 벗기기''는 기독교뿐만 아니라 인류의 도덕적 발전을 저해하는 것으로서의 종교 전반을 공격했다.
2. 1. 국가 무신론과 종교 탄압
마이클 벌리는 프랑스 혁명 당시 대중들이 조직된 레지스탕스에 '무교, 무주교, 비종교적 상태'라고 반응한 것이 반종교에 대한 최초의 표현이라고 하였다.[47] 그 후 국가 무신론주의 상태의 국가가 광범위한 반종교 운동을 벌여 종교, 종교기관, 지도자, 신도와 관습에 대한 부정과 숙청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라 수치는 다르지만, 러시아 정교회인들만 최소 약 50만 명이 소련 정부로부터 탄압받았다는 자료가 있고[48], 고문과 종교 분쟁으로 인한 죽음을 제외하고도 약 2100여만 명의 러시아 정교회 신도들이 사망했다는 주장도 있다.[49]소련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정치 이념과 그 연장선상에서 국가 무신론 정책을 채택했다.[7] 소련은 소련 국가에 가하는 위협의 정도와 정치 권위에 복종하려는 의지에 따라 다양한 종교에 대해 정도가 다른 반종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1930년대 요제프 스탈린 시대에 정부는 교회 건물을 파괴하거나 세속적인 용도로 사용했고(종교와 무신론 박물관, 클럽 또는 창고 시설), 성직자를 처형하고, 대부분의 종교 자료 출판을 금지하고, 종교 단체의 일부 구성원을 박해했다.[8] 소련 역사에서 사회에서 종교의 영향력을 줄이거나 제거하려는 덜 폭력적인 시도도 다른 시기에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중요한 정치적 지위나 권위 있는 과학 직책을 얻기 위해서는 무신론자가 되는 것이 보통 필요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경력을 쌓기 위해 무신론자가 되었다. 어떤 이들은 소련에서 1,200만~1,500만 명의 기독교인이 살해된 것으로 추산한다.[9][10][11] 최대 50만 명의 러시아 정교회 기독교인이 다른 종교 단체를 포함하지 않고도 소련 정부에 의해 박해를 받았다.[12] 최소 106,300명의 러시아 성직자가 1937년에서 1941년 사이에 처형되었다.[13]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국가의 적으로 간주하여 수많은 성직자를 체포하고 심문했으며,[14] 많은 교회, 모스크, 유대교 회당이 세속적인 용도로 전환되었다.[15]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에서는 국가 무신론주의를 국시로 삼으면서 모든 종교활동과 종교물을 불법으로 규정, 종교단체와 종교문학까지 금지되어 많은 종교 신자들이 구속되어 고문을 당하고 살해당했고, 외국인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들은 1946년 일괄적으로 추방되었다.[50]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은 무신론 국가를 건설한다는 목표로 알바니아 내 모든 종교를 결국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1967년에 이를 달성했다고 선언했다. 1976년 알바니아는 종교 활동을 헌법으로 금지하고 무신론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다.[16][17] 정부는 종교 기관의 대부분의 재산을 국유화하여 젊은이들을 위한 문화 센터와 같은 비종교적 목적으로 사용했다. 종교 서적은 금지되었다. 많은 성직자와 유신론자들이 재판을 받고, 고문을 당하고, 처형되었다.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당국은 종교를 부르주아의 이념으로 간주하는 무신론 사회로 나아가고, 노동 대중에게 과학, 정치, 문화 분야에서 미신과 신비주의에 맞서 싸우도록 돕고 사회에서 종교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반종교 캠페인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8] 1948년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선 후, 일부 교회 관계자는 정치범으로 투옥되었다.[19]
크메르 루주는 특히 상좌부 불교를 포함하여 캄보디아의 문화 유산을 제거하려 했다.[20] 크메르 루주 통치 4년 동안 최소 150만 명의 캄보디아인이 사망했다. 이전에 6만 명의 불교 승려가 있었지만, 캄보디아 집단학살에서 3천 명만이 살아남았다.[21][22]
일부 마르크스주의자는 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이나 알바니아, 중화인민공화국 등의 공산주의 국가에서 정책으로서 종교가 탄압당하고, 성직자가 살해되거나 교회가 파괴되었다.
2. 2. 현대의 반종교 운동
현대에는 반종교가 종교에 대한 탄압보다는 비판과 반종교 운동이 되고 있고, 대다수의 국가에서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면서 국가가 시행하던 포괄적인 종교 탄압은 거의 사라졌다.종교적 세계관은 과학적 사실과 종종 충돌해 왔다. 근현대에도 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창조론·지적 설계론이 공교육의 장에서 가르쳐져야 한다고 미국에서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에 반대하는 사람들과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동물행동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이러한 주장에 정면으로 반대하며, 종교 그 자체가 해로울 뿐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6]
다만, 모든 과학자가 반종교적인 것은 아니며, 스티븐 제이 굴드를 비롯한 과학자들은 과학의 영역을 종교가 침범하지 않는 한 문제 삼지 않는 입장(비중복 교도권의 원리)을 취하고 있다.
3. 마르크스주의와 반종교
소련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정치 이념에 따라 국가 무신론 정책을 채택했다.[7] 소련은 국가에 대한 위협 정도와 정치 권위에 대한 복종 의지에 따라 다양한 종교에 대해 강도가 다른 반종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1930년대 요제프 스탈린 시대에 정부는 교회 건물을 파괴하거나 세속적인 용도로 사용했고, 성직자를 처형하고, 대부분의 종교 자료 출판을 금지하고, 종교 단체의 일부 구성원을 박해했다.[8] 소련 역사에서 사회에서 종교의 영향력을 줄이거나 제거하려는 덜 폭력적인 시도도 있었다. 예를 들어, 중요한 정치적 지위나 권위 있는 과학 직책을 얻기 위해서는 무신론자가 되는 것이 보통 필요했다. 소련에서는 1,200만~1,500만 명의 기독교인이 살해된 것으로 추산된다.[9][10][11] 최대 50만 명의 러시아 정교회 기독교인이 소련 정부에 의해 박해를 받았다.[12] 1937년에서 1941년 사이에 최소 106,300명의 러시아 성직자가 처형되었다.[13]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국가의 적으로 간주하여 수많은 성직자를 체포하고 심문했으며,[14] 많은 교회, 모스크, 유대교 회당이 세속적인 용도로 전환되었다.[15]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은 무신론 국가를 건설한다는 목표로 알바니아 내 모든 종교를 결국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1967년에 이를 달성했다고 선언했다. 1976년 알바니아는 종교 활동을 헌법으로 금지하고 무신론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다.[16][17] 정부는 종교 기관의 대부분의 재산을 국유화하여 비종교적 목적으로 사용했다. 종교 서적은 금지되었다. 많은 성직자와 유신론자들이 재판을 받고, 고문을 당하고, 처형되었다. 모든 외국 로마 가톨릭 성직자는 1946년에 추방되었고, 알바니아는 공식적으로 종교를 근절하려 했다.[17]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당국은 종교를 부르주아의 이념으로 간주하는 무신론 사회로 나아가고, 반종교 캠페인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8] 1948년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선 후, 일부 교회 관계자는 정치범으로 투옥되었다.[19]
크메르 루주는 상좌부 불교를 포함하여 캄보디아의 문화 유산을 제거하려 했다.[20] 크메르 루주 통치 4년 동안 최소 150만 명의 캄보디아인이 사망했다. 이전에 6만 명의 불교 승려가 있었지만, 캄보디아 집단학살에서 3천 명만이 살아남았다.[21][22]
일부 마르크스주의자는 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 알바니아, 중화인민공화국 등의 공산주의 국가에서 정책으로서 종교가 탄압받고, 성직자가 살해되거나 교회가 파괴되었다.
카를 마르크스는 종교를 아편에 비유했다. 마르크스의 『헤겔 법철학 비판 서설』(1843년)에 "종교는 고뇌하는 자들의 한숨, 마음 없는 세상의 정서이며, 또한 그것은 영혼 없는 장소의 영혼이다.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39]라고 기술되어 있다. 이 문구는 하인리히 하이네의 1840년 저서 『루트비히 뵈르네 회상록』, 노발리스의 단편 모음집 『꽃가루』(1798년)에 나오는 문구보다 뒤에 나온다.[40][41][42][43]
마르크스가 종교를 아편에 비유한 1840년대 당시 아편을 불법 약물로 보는 시각은 일반적이지 않았다. 마르크스는 종교를 비판하기도 했지만, 그것은 지배층의 지배 유지를 위해 종교가 이용되고 있다는 지적이었으며, 종교가 "진통제"로서 민중의 정신에 미치는 효용은 부분적으로 긍정하고 있다.
마르크스의 종교 비판과 유물론의 핵심 부분은 『헤겔 법철학 비판 서설』에서 포이어바흐의 종교 비판을 염두에 두고, "독일의 이론이 급진주의라는 명백한 증명, 따라서 그 이론의 실천적 에너지의 명백한 증명은, 그 이론이 종교의 결정적인, 적극적인 지양에서 출발한 데에 있다. 종교의 비판은, 인간이 인간에게 최고의 존재라는 가르침으로 끝난다."라는 부분에 있다.
4. 과학과 반종교
종교적 세계관은 과학적 사실과 종종 충돌해 왔다. 근현대에도 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창조론·지적 설계론이 공교육의 장에서 가르쳐져야 한다고 미국에서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에 반대하는 사람들과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동물행동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이러한 주장에 정면으로 반대하며, 종교 그 자체가 해로울 뿐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다만, 모든 과학자가 반종교적인 것은 아니며, 스티븐 제이 굴드를 비롯한 과학자들은 과학의 영역을 종교가 침범하지 않는 한 문제 삼지 않는 입장(NOMA, Non-Overlapping Magisteria, 비중복 교도권의 원리)을 취하고 있다.
5. 주요 반종교 인물
- 알마아리 (973–1057): 아랍 철학자, 시인, 작가.[23]
- 토머스 페인 (1737–1809): 영국의 미국 작가이자 이신론자. "이성의 시대"(1793–4)에서 종교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썼다.
- 칼 마르크스 (1818–1883): 독일 철학자, 사회 과학자, 사회주의자. "종교는 억압받는 피조물의 신음소리이며, 마음 없는 세상의 심장이며, 영혼 없는 조건의 영혼이다. 그것은 인민의 아편이다."라고 하였다.[24]
- 존 듀이 (1859–1952): 미국의 실용주의 철학자. 종교와 형이상학은 정당한 도덕적 또는 사회적 가치를 제공할 수 없다고 믿었다.[25]
- 버트런드 러셀 (1872–1970): 영국의 논리학자이자 철학자.[26]
- 아인 랜드 (1905–1982): 러시아계 미국 소설가이자 철학자, 객관주의의 창시자.[27]
- 라즈니쉬 (1931년 12월 11일 – 1990년 1월 19일): 인도의 구루, 철학자, 신비주의자이자 라즈니쉬 운동의 창시자. 제도적 종교를 거부했다.
- 리처드 도킨스 (1941년 출생): 영국의 생물학자이자 새로운 무신론의 "4인의 기수" 중 한 명. 2006년에 신성함에 대한 믿음을 비판하는 "만들어진 신"을 저술했다.[28]
- 크리스토퍼 히친스 (1949–2011): 영국의 미국 작가이자 언론인, 새로운 무신론의 "4인의 기수" 중 한 명. 2007년에 "신은 위대하지 않다: 종교가 모든 것을 어떻게 망치는가"를 저술했다.[29]
- 로렌스 M. 크라우스 (1954년 출생): 이론 물리학자, "아무것도 없는 우주"의 저자.
- 스티븐 핑커 (1954년 출생): 종교가 폭력을 조장한다고 믿는 캐나다계 미국인 인지 과학자.[30]
- 샘 해리스 (1967년 출생): "믿음의 종말"의 저자.
- 블라디미르 레닌 (1870–1924): 1917년부터 1924년까지 소련의 지도자. 모든 종교를 "부르주아 반동의 기관이며, 노동 계급의 착취와 둔화에 사용된다"고 믿었다.[32]
- 니키타 흐루쇼프 (1894–1971): 1953년부터 1964년까지 소련 지도자. 1958–1964년 소련 반종교 캠페인을 시작했다.[33][34]
-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 (1877–1945): 1924년부터 1928년까지 멕시코 대통령.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크리스테로 전쟁이 시작되었다.[35]
- 이오시프 스탈린 (1878년 12월 18일 – 1953년 3월 5일): 소련 지도자였을 때 국내 종교를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했다.[36]
- 엔베르 호자 (1908–1985): "극단적 무신론자"로 칭하며, 종교적 이름을 금지할 정도로 자국 내 종교를 근절하려 했던 알바니아의 지도자.
- 무라카미 하루키: 일본 소설가.
- 리키 저베이스: 영국 코미디언이자 배우.
- H. P. 러브크래프트: 미국의 공포 작가이자 크툴루 신화의 창조자.[37]
- 빌 마허: 미국의 코미디언.
- 마커스 브릭스톡: 영국의 코미디언.
- 조지 칼린: 미국의 코미디언.
- 제임스 랜디: 전직 마술사, 초능력자 전문 "폭로자", 무신론자이자 제임스 랜디 교육 재단의 설립자.
- 필립 로스: 반종교적이라고 묘사한 유대계 미국 소설가.[38]
- 매트 딜라헌티: The Atheist Experience의 진행자이자 오스틴 무신론자 커뮤니티의 전 회장.
참조
[1]
웹사이트
Anti-religion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Online
2017-09-26
[2]
웹사이트
Antireligion
https://www.collinsd[...]
Collins Dictionary Online
2017-09-26
[3]
서적
A Dictionary of Athe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4]
서적
John Charles McQuaid: Ruler of Catholic Ireland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2023-06-24
[5]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Unbelief
https://books.google[...]
Prometheus
2023-01-19
[6]
서적
Earthly Powers
[7]
간행물
[8]
웹사이트
Revelations from the Russian Archives: ANTI-RELIGIOUS CAMPAIGNS
https://www.loc.gov/[...]
US Government
2016-05-02
[9]
서적
World Christian trends, AD 30-AD 2200: interpreting the annual Christian megacensus
William Carey Library
2001
[10]
서적
Psychology, Religion, and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02-27
[11]
웹사이트
Martyrdom (Country-by-country statistics)
https://brill.com/vi[...]
Brill Academic Publishers
[12]
웹사이트
Сколько репрессированных в России пострадали за Христа?
https://www.pravmir.[...]
[13]
서적
A Century of Violence in Soviet Rus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2
[14]
문서
Martiri pentru Hristos, din România, în perioada regimului comunist, Editura Institutului Biblic și de Misiune al Bisericii Ortodoxe Române, București, 2007, pp.34–35
[15]
서적
The A to Z of Moldova
Scarecrow Press
2010-05-26
[16]
웹사이트
The Albanian Constitution of 1976
http://bjoerna.dk/do[...]
2021-09-19
[17]
서적
State-Religion Relationships and Human Rights Law : Towards a Right to Religiously Neutral Governance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Martinus Nijhoff Publishers
[18]
서적
Orthodoxy and the Cold War: Religion and Political Power in Romania, 1947-65
la University of Michigan
2009
[19]
뉴스
January 23, 1999, issue of the London Tablet by Jonathen Luxmoore
Chesterton Review
1999-02/1999-05
[20]
뉴스
Phnom Penh Journal; Lord Buddha Returns, With Artists His Soldiers
https://www.nytimes.[...]
2023-01-02
[21]
웹사이트
Khmer Rouge: Christian baptism after massacres
http://www.christian[...]
[22]
웹사이트
CRIMES OF WAR
http://www.crimesofw[...]
2015-07-09
[23]
웹사이트
Museum of Lost Objects: The unacceptable poet
https://www.bbc.com/[...]
2022-08-21
[24]
간행물
Introduction to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
https://www.marxists[...]
[25]
문서
[26]
문서
[27]
서적
The Return of the Primitive: The Anti-Industri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1999-01
[28]
문서
The Guardian
2001-10-11
[29]
웹사이트
Christopher Hitchens, Polemicist Who Slashed All, Freely, Dies at 62
https://www.nytimes.[...]
2015-02-15
[30]
문서
[31]
웹사이트
The Sun Magazine {{!}} The Temple Of Reason {{!}} Bethany Saltman {{!}} Issue 369
https://www.thesunma[...]
2021-03-20
[32]
웹사이트
About the attitude of the working party toward the religion
http://www.psylib.uk[...]
2006-09-09
[33]
웹사이트
Anti-Religious Campaigns
http://www.ibiblio.o[...]
[34]
간행물
Khrushchev's Anti-Religious Policy and the Campaign of 1954
[35]
서적
Nationalism, Liberalism, and Progress: The dismal fate of new nation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36]
웹사이트
Religion in the Soviet Union
http://www.marxist.c[...]
2023-01-22
[37]
웹사이트
S.T. Joshi Interview
http://www.acidlogic[...]
2002-06-16
[38]
웹사이트
Philip Roth: 'It no longer feels a great injustice that I have to die'
https://www.theguard[...]
2005-12-14
[39]
인용문
"Die Religion ist der Seufzer der bedrängten Kreatur, das Gemüth einer herzlosen Welt, wie sie der Geist geistloser Zustände ist. Sie ist das Opium des Volks." - ''Einleitung zu Zur Kritik der Hegelschen Rechtsphilosophie''
[40]
인용문
"Heil einer Religion, die dem leidenden Menschengeschlecht in den bittern Kelch einige süße, einschläfernde Tropfen goß, geistiges Opium, einige Tropfen Liebe, Hoffnung und Glauben!" - ''Über Ludwig Börne, Viertes Buch''
[41]
웹사이트
第59号 Religion and Opium 1997.11.03
http://www1.rsp.fuku[...]
1997-11-03
[42]
인용문
"Ihre sogenannte Religion wirkt blos, wie ein Opiat: reizend, betäubend, Schmerzen aus Schwäche stillend." - ''Blüthenstaub'' § 77
[43]
학술지
ノヴァーリス論(五) ロマン主義的思考について
https://hdl.handle.n[...]
明治大学文芸研究会
[44]
웹사이트
https://www.jcp.or.j[...]
[45]
웹사이트
https://www.jcp.or.j[...]
[46]
웹사이트
https://www.jcp.or.j[...]
[47]
서적
Earthly Powers
[48]
웹사이트
Емельянов Н.Е. Сколько репрессированных в России пострадали за Христа?
http://www.pravmir.r[...]
[49]
서적
World Christian trends, AD 30-AD 2200
[50]
웹사이트
Albania - Hoxha's Antireligious Campaign
http://countrystudi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