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데냐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르데냐어는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이다. 사르데냐는 지리적 고립으로 인해 독자적인 로망스어가 발달했으며, 구사르데냐어, 바스크어, 에트루리아어 등의 영향을 받았다.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의 외래적 영향도 존재한다. 사르데냐어는 이탈리아 파시즘 시기 억압을 겪었지만, 오늘날 유네스코에 의해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로그도레세어와 캄피다네세어가 주요 방언이다. 표준화 시도가 있었지만, 통일된 표기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현재 이탈리아어 사용이 증가하면서 사르데냐어 사용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망스어군 - 라딘어
라딘어는 이탈리아 북부 라디니아 지역에서 쓰이는 레토로망스어군 언어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만, 소수 언어로서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 로망스어군 - 프리울리어
프리울리어는 이탈리아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로마 시대 이전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및 발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분류에 대한 학계 논쟁과 표준화 과정에서의 방언 보존 문제가 있다. - 이탈리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이탈리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사르데냐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사르데냐어 |
고유 이름 | 사르두 림바 사르다 / 링구아 사르다 |
발음 | |
사용 민족 | 사르데냐인 |
사용 국가 | 이탈리아 |
사용 지역 | 사르데냐 |
화자 수 | 100만 명 (2010년, 2016년)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이탈리아어파 |
어군 | 라틴-팔리스크어군 |
조상 언어 | 라틴어 |
조상 언어 | 고대 라틴어 |
조상 언어 | 통속 라틴어 |
조상 언어 | 원시 로망스어 |
하위 분류 | 로망스어군 |
하위 분류 | 남부 로망스어군? |
문자 | 라틴 문자 |
공인 기관 | 로그도레세 사르데냐어 정서법 캄피다네세 사르데냐어 정서법 림바 사르다 코무나 (통합 정서법) |
공용 상태 | 이탈리아 (1999년) 사르데냐 (1997년, 2018년) |
ISO 639-1 | sc |
ISO 639-2 | srd |
ISO 639-3 | srd |
ISO 639-3 설명 | 사르데냐어 |
Glottolog | sard1257 |
Glottolog 이름 | 사르데냐어 |
LINGUASCODE | 51-AAA-s |
지도 | https://en.wal.unesco.org/languages/sardinian}} |
표준 언어 | 림바 사르다 코무나 로그도레세 사르데냐어 (sardu logudoresu) 캄피다네세 사르데냐어 (sardu campidanesu) |
방언 | 캄피다네세 사르데냐어 로그도레세 사르데냐어 갈루라 사르데냐어 사사리 사르데냐어 |
언어 상태 | |
위험도 | 위험 |
UNESCO 분류 | 확실히 위험한 언어 |
기타 정보 | |
관련 링크 | http://www.minoranze-linguistiche-scuola.it/sardo/ http://portal-lem.com/images/fr/sarde/ISTAT_Langues_en_Italie.pdf https://www.worldatlas.com/articles/what-languages-are-spoken-in-italy.html |
참고 문헌 | http://cblle.tufs.ac.jp/assets/files/publications/working_papers_08/section/001-017.pdf |
지도 | |
![]() |
2. 역사
사르데냐는 유럽 본토로부터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었기에, 토착어인 로마 이전 언어의 흔적을 간직한 로망스어가 발전하게 되었다. 이 언어는 일부 학자들이 바스크어[64][65] 및 에트루리아어[66]와 관련짓는 구사르데냐어의 기층적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67] 또한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어와의 비교를 통해 사르데냐가 로마화되기 전에 사용되었던 언어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후 외접적 영향으로는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그리고 이탈리아어가 있다. 정치적으로 우세한 언어에 대한 사르데냐어의 상황은 파시즘[68]과, 가장 두드러지게는 1950년대[69][70]까지 변하지 않았다.
2. 1. 기원
사르데냐어의 기원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71] 고대 사르데냐어를 연구하면서 많은 학자들은 모호하고 토착적인 로망스어 이전의 어근을 발견하려 노력해왔다. 많은 지명과 섬 주민을 나타내는 어근 "s(a)rd"는 해양 민족 중 하나인 셰르덴과 관련이 있거나 그 기원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1] 다른 자료들은 어근 "s(a)rd"를 아나톨리아의 리디아 왕국의 전설적인 여성인 사르도/Σαρδώgrc[72][73] 또는 리비아 신화 속 인물인 사르두스 파테르 '바바이'("사르데냐의 아버지" 또는 "사르데냐인의 아버지")[74][75][76][77][78][79][80]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적한다.마시모 피타우는 1984년에 에트루리아어와 누라기어(들)을 비교한 결과, 많은 라틴어 단어의 어원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66] 이전에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었던 에트루리아 요소는 고대 사르데냐 문화와 에트루리아인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피타우에 따르면, 에트루리아어와 누라기어(들)은 헤로도토스가 설명한 바와 같이 사르디스 출신의 에트루리아인과 다른 티레니아인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리디아어(따라서 인도유럽어족)에서 유래했다.[66] 피타우는 티레니아인이 사르데냐에 상륙하고 에트루리아인이 현대 토스카나에 상륙했다고 제안하지만, 그의 견해는 대부분의 에트루리아 학자들에 의해 공유되지 않는다.
베르톨디와 테라치니에 따르면, 선사 시대 사르데냐어는 이베리아어족과 시쿨리어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치피첨어에서 접미사 "-ara"는 복수를 나타낸다. 테라치니는 접미사 "-", "-", "-", "-"+ "" + 첨가모음(예: 지명 "Bunnànnaru")에 대해서도 같은 주장을 했다. 로흘프스, 버틀러, 크래독은 접미사 "-"(예: 지명 "Barùmini")를 선사 시대 사르데냐어의 독특한 요소로 추가한다. "/a", "e", "o", "u/" + "-rr-"의 접미사는 북아프리카(테라치니), 이베리아(블라스코 페레르), 이탈리아 남부 및 가스코뉴(로흘프스)에서 대응 관계를 찾았으며, 바스크어(바그너와 후브슈미트)와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의 바스크어의 선조와의 연관성은 일부 바스크어 언어학자들에 의해 의문을 제기받았다.[81] 테라치니에 따르면, "-", "-", "-", "-"의 접미사는 선사 시대 사르데냐어와 북아프리카 언어에 공통적이다. 피타우는 이것이 원래 강세 모음으로 끝나고 첨가 모음이 붙은 용어와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 접미사는 일부 지명에서 라틴어화에 저항했는데, 이 지명들은 라틴어 어근과 누라기어 접미사를 보여준다. 베르톨디에 따르면, "-"과 "-"으로 끝나는 일부 지명은 아나톨리아의 영향을 나타낸다. 이베리아에서 널리 사용되고 켈트어 기원일 가능성이 있는 접미사 "-"과 "-" 및 "-"의 민족 접미사(예: 사르데냐어 )도 선사 시대 사르데냐어 요소로 언급되었다(테라치니, 리베조, 바그너, 후브슈미트, 파우스트).
유전자 데이터는 바스크인이 사르데냐인과 가깝다는 것을 발견했다.[84][85][86] 맥스 레오폴드 바그너(1931년), 블라스코 페레르(2009년, 2010년), 아레기(2017년[82])와 같은 일부 언어학자들은 사르데냐어 습지/idilesc와 바스크어 웅덩이/itileu[83], 사르데냐어 소의 신선한 목초지/ospilesc와 바스크어 시원하고 신선한/hozpileu, 사르데냐어 방랑자/arrotzerisc와 바스크어 낯선 사람/arrotzeu, 사르데냐어 golostiusc와 바스크어 호랑가시나무/gorostieu, 갈루레세(코르시카-사르데냐어) 돼지/zerrusdn(를 나타내는 "z")와 바스크어 [s]/zerri}}({{IPAeu를 나타내는 "z")와 같은 단어를 연결하여 바스크어와의 이론적 연관성을 되살리려고 시도했다.


신석기 시대 이후로 섬 지역 전반에 걸쳐 어느 정도의 변이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아르자케나 문화는 사르데냐 북쪽 지역(갈루라)와 코르시카 남부 사이의 연관성을 시사하는데, 이는 플리니우스 장로의 자연사에서 추가로 확인된다. 또한 사르데냐 북부와 남부 누라기 문화 사이에는 몇 가지 스타일상의 차이가 있는데, 이는 같은 로마 저자가 언급한 다른 두 부족 집단(발라레스와 일리엔세스)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 고고학자 조반니 우가스에 따르면,[89] 이 부족들은 사실 섬의 현재 지역 언어적 차이를 형성하는 데 역할을 했을 수 있다.
기원전 10세기와 9세기경, 페니키아 상인들은 사르데냐에 그들의 존재를 알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이베리아와 이탈리아 반도 사이의 지리적 중개자 역할을 했다. 8세기와 7세기에 페니키아인들은 레바논 해안 지역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치적으로 폴리스로 배열된 영구 정착지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카르타고의 영향권 주변으로 몰려들기 시작했고, 그 번영 수준은 카르타고가 섬으로 일련의 원정대를 파견하게 했다. 비록 처음에는 원주민에 의해 격퇴되었지만, 북아프리카 도시는 적극적인 제국주의 정책을 강력하게 추구했고, 6세기까지는 남서 사르데냐에 대한 정치적 패권과 군사적 통제를 확립하는 데 성공했다. 푸니어가 그 지역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많은 단어들이 고대 사르데냐어에도 들어왔다.[90] 고원/giarasc(비교: 히브리어 숲, 관목/yaʿarhe-latn), 금잔화/g(r)uspinusc(푸니어 cusminxpu-latn에서 유래), 참깨풀/curmasc(아랍어 시리아 참깨풀/ḥarmalar-latn 비교), 샘/mítzasc(히브리어 mitsahe-latn, 샘, 원천/metzahe-latn 비교), 개구리밥/síntzirisc(푸니어 쇠비름/zunzurxpu-latn에서 유래), 싹/tzeúrrasc(푸니어 씨앗/zeraʿxpu-latn의 축소형 *zerulamis에서 유래), 딜/tzichirìasc(푸니어 sikkíriaxpu-latn; 히브리어 잎/šēkārhe-latn 비교) 및 로즈메리/tzípirisc(푸니어 zibbirxpu-latn에서 유래)와 같은 단어는 특히 캄피다네스 평원의 현대 사르데냐 방언에서 흔히 사용되며, 북쪽으로 갈수록 영향은 누오로의 마고마다스 마을, Macumadassc 또는 제시코와 누레치의 Magumadassc와 같이 지명에 제한된다. 이 모든 것은 푸니어 새로운 도시/maqom hadashxpu-latn에서 유래했다.[91][92]
로마 지배는 기원전 238년에 시작되었지만, 그때까지 높은 수준의 정치 조직을 갖춘 현지 사르데냐 부족들에 의해 종종 논쟁의 대상이 되었고,[93] 푸니어를 포함한 라틴어 이전 사르데냐어를 부분적으로만 대체하는 데 성공했다. 엄격하게 이탈리아계통의 식민지 개척자와 "negotiatores"(상인)들이 나중에 라틴어를 사르데냐에 소개하고 확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로마화는 사르데냐 원주민들 사이에서 천천히 자리 잡았고,[94] 그들의 카르타고 문화적 영향과의 근접성은 로마 저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다.[95] 푸니어는 서원 비문에 증명된 바와 같이 기원후 3~4세기까지도 계속 사용되었고,[96][97] 부족장 호스피토가 이끄는 가장 내륙 지역의 원주민들은 기원후 7세기경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라틴어로 전환했다고 생각된다.[98][99] 사르데냐인들의 이상한 언어, 카르타고와의 친족 관계, 로마와의 관계 거부와 같은 여러 요인을 이유로 사르데냐인들을 혐오했던 키케로는 사르데냐 반군을 거친 모직 겉옷을 입은 도둑/latrones mastrucatila 또는 아프리카인/Afrila라고 불러 로마의 우월성을 카르타고의 쓰레기로 조롱하는 인구에 대해 강조했다.[101]
많은 모호한 누라기 어근들은 변하지 않았고, 많은 경우 라틴어는 현지 어근을 받아들였다("nur", 아마도 "노락스"와 동족어로 추정되며, 누라게, "누라", "누리" 및 기타 많은 지명에 나타난다). 섬의 중앙 산악 지역인 바르바지아는 라틴어 야만인의 땅/Barbaria}}(의미: {{Glossla, 현재는 구식 단어인 "바바리"와 유사한 어원)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그 이유는 그 주민들이 오랫동안 문화적 및 언어적 동화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특히 올자이 지역의 사르데냐 중앙 지역의 지명 중 50%는 실제로 알려진 어떤 언어와도 관련이 없다.[102] 테라치니에 따르면, 라틴어에서 언어를 끌어온 유럽 지역 중에서 사르데냐는 전반적으로 라틴어 이전 지명의 비율을 가장 높게 유지했다.[103] 지명 외에도 섬에는 고대 누라기 시대로 직접 추적할 수 있는 식물, 동물 및 지질 형성의 이름이 몇 개 남아 있다.[104]
로마 지배가 끝날 무렵, 라틴어는 점차 섬 주민 대부분의 언어가 되었다.[105] 이처럼 오래 지속된 로마화 과정의 결과로, 현대 사르데냐어는 오늘날 고대 라틴어와 유사한 일부 음운적 특징을 가진 로망스어 또는 신라틴어로 분류된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현대 사르데냐어가 섬 로망스어 그룹의 일부이기 때문에,[106] 라틴어에서 분리된 최초의 언어라고 주장한다.[107] 다른 모든 언어는 대륙 로망스어로서 라틴어에서 발전했다. 사실, 로마와의 접촉은 기원전 1세기 초부터 중단되었을 수 있다.[108] 어휘 측면에서 사르데냐어는 나머지 로망스어권에서는 생소하거나 완전히 사라진 독특한 라틴어 기반 형태를 많이 유지하고 있다.[109][110]
섬에 있는 라틴어 비문의 수는 비교적 적고 단편적이다. 로마 제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두 언어인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새겨진 몇 편의 시가 사르데냐어로 "독사의 동굴"(그루타 에 사 피베라/Gruta 'e sa Piberasc, 이탈리아어 그로타 델라 비페라/Grotta della Viperait, 라틴어 크립타 세르펜툼/Cripta Serpentumla)이라고 불리는 카랄리스(칼리아리)에 루키우스 카시우스 필리푸스(사르데냐로 유배된 로마인)가 죽은 아내 아틸리아 폼필라를 기념하여 건설한 매장 기념물에서 발견된다.[111][112] 또한 에우세비우스와 성 루키페르의 종교 작품이 있는데, 두 사람 모두 카랄리스 출신이며 그들의 글쓰기 스타일에서 사르데냐어 특유의 어휘와 주변적인 형태(예: 나르라레/narrarela 대신 디케레/dicerela; 사르데냐어 나르레레/nàrreresc 또는 나르(리)/nàrri(ri)sc 와 비교)를 알 수 있다.[113]
반달족 지배하에 80년간의 기간 후, 사르데냐는 아프리카 총독령하의 비잔티움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114] 거의 5세기 동안 더 지속되었다. 루이지 피넬리는 반달족의 존재가 "사르데냐를 유럽에서 멀어지게 하고, 아프리카의 영토 범위에 자신의 운명을 연결시켰다"고 믿으며, 이러한 유대는 "비잔티움 통치하에 더욱 강해졌다. 로마 제국이 섬을 아프리카 총독령에 포함시켰을 뿐만 아니라, 비록 간접적이지만 그곳에서 민족 공동체가 발전했고, 민족학자와 역사가들이 선사 시대 사르데냐인들의 가정된 아프리카 기원[115]에 대한 이론(현재 반증됨)을 설명할 수 있게 해주는 많은 아프리카 특징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카술라는 반달족의 지배로 인해 "로마-라틴어 서면 전통과의 명확한 단절 또는 적어도 상당한 병목 현상"이 발생하여 이후 비잔티움 정부가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사용하는 세계 사이에서 분쟁이 있는 영토"에서 "자체 운영 기관"을 설립할 수 있었다고 확신한다.[116]
거의 5세기 동안 그리스어는 그리스 구조와 때로는 그리스 알파벳을 사용하는 몇 가지 의식적이고 형식적인 표현만 사르데냐어에 빌려주었다.[117][118] 이에 대한 증거는 사르데냐어로 된 최초의 문서인 "콘다게"에서 발견된다. 긴 비잔티움 시대에는 항목이 몇 개밖에 없지만, 이미 공동체의 일상적인 신라틴어 외에도 지배 계급이 그리스어를 사용했던 섬의 사회언어학적 상황을 보여준다.[119] "예르주"('경작되지 않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케르소스/khérsosgrc-latn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됨)와 같은 일부 지명과 "Mikhaleis", "Konstantine", "Basilis"와 같은 고유 명사는 그리스의 영향을 보여준다.[119]
2. 2. 중세 시대
무슬림들이 북아프리카로 진출하면서, 아프리카 총독령의 비잔티움 영토는 발레아레스 제도와 사르데냐만 남게 되었다. 피넬리는 이 사건이 사르데냐 역사의 근본적인 분수령을 이루어, 사르데냐와 지중해 남부 해안 사이의 이전에 긴밀했던 문화적 유대 관계가 완전히 단절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믿는다. 사르데냐와 아프리카 사이에 이전에 공유되었던 모든 공통점은 "북아프리카가 이슬람 세력에 정복됨에 따라 태양 속의 안개처럼 사라졌"으며, "이는 후자(이슬람 세력)가 사르데냐인들의 강력한 저항으로 인해 아프리카에서처럼 섬으로 확산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115] 피넬리가 인용한 미켈레 아마리는 "아프리카 무슬림들이 사르데냐와 코르시카를 정복하려는 시도는 이 섬들의 가난하지만 용감한 주민들의 정복되지 않은 용기로 인해 좌절되었고, 그들은 2세기 동안 아랍인들의 지배에서 스스로를 구했습니다."라고 적었다.[120]
비잔티움 제국은 그 사이에 무슬림들에게 함락된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를 탈환하는 데 온전히 집중했기 때문에, 사르데냐에 대한 관심은 소홀히 되었고 콘스탄티노플과의 연락이 끊겼다. 이로 인해 사르데냐의 이전 비잔티움 속주는 비잔티움 에쿠메네로부터 점차 자치권을 얻게 되었고, 결국 독립을 얻게 되었다.[121] 피넬리는 "아랍의 북아프리카 정복은 사르데냐를 그 대륙으로부터 분리시켰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르데냐를 유럽에 다시 합류하게 하지는 않았다"라고 주장하며, 이 사건은 "사르데냐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을 가져왔고, 사실상 독립적인 국가 정부를 탄생시켰습니다."라고 주장한다.[115] 역사가 마르크 블로크는 사르데냐가 대륙의 나머지 지역으로부터 "거의 고립된" 상태에 있었던 나라였기 때문에, 사르데냐어로 쓰여진 가장 초기의 문서적 증거는 이탈리아에서 처음 발행된 것보다 훨씬 오래되었다고 믿었다.[122]
사르데냐어는 모든 로망스어 중에서 공식적인 지위를 얻은 최초의 언어였으며, 네 개의 유디카테[123][124][125][126][127]에서 사용되었다. 이 유디카테는 아랍의 팽창이 지중해에서 섬과 비잔티움 사이에 남아있던 모든 유대를 끊은 후 독립적인 정치적 실체가 된 이전 비잔티움 지역이었다. 라틴어를 사용하는 유럽 전역에서 독특한 사례를 구성하는 사르데냐 상황의 예외성은, 처음부터 모든 공식 문서가 사르데냐어로만 작성되었고 라틴어는 완전히 배제되었다는 사실에 있다. 이는 동시대의 프랑스, 이탈리아, 이베리아에서 일어났고,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던 일과는 달랐다. 라틴어는 공용어였지만, 사르데냐 왕들 (, )이 참여한 대외 관계에 관한 문서에서만 사용되었다.[128] 리비오 페트루치의 말처럼, 신라틴어가 "이탈리아 반도에서는 유사한 것을 관찰할 수 없는 시대"에 "법률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서면 분야에서도" 사용되게 되었다.[129]
가장 초기의 사르데냐 문서에 대한 외교 문서학적 분석은 유디카테가 공문서 작성을 위해 고유한 외교 모델을 사용하는 문서국을 스스로 마련했음을 보여준다.[130] 그중 하나는 1102년에 작성된 것으로, 유럽 대륙에서는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반소문자체로 쓰여진 텍스트를 보여준다. F. 카술라는 이것이 주로 이탈리아의 공증인들이 도착하기 전인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라틴 문화의 사르데냐인들이 자신의 "국가 문자"로 채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다.[131]
구 사르데냐어는 현재의 언어보다 더 많은 고어와 라틴어 유래어를 가지고 있었으며, 게르만어는 대부분 라틴어 자체에서 유래한 소수의 단어만 있었고, 아랍어는 이베리아의 서기관들에 의해 수입된 소수의 단어만 있었다.[133] 섬에 대한 수많은 원정을 감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상당한 전리품과 많은 사르데냐 노예들을 얻었지만, 아랍 공격자들은 실제로 매번 강력하게 격퇴되었고 결코 섬을 정복하고 정착하지 못했다.[134]
살아남은 텍스트가 섬의 북쪽과 남쪽처럼 서로 다른 지역에서 나왔지만, 사르데냐어는 그 당시 상당히 균질한 형태로 나타났다.[135] 로구도레세 사르데냐어와 캄피다네세 사르데냐어 사이의 철자법상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바그너는 이 시대에 "사르데냐어의 원래 통일성"을 발견했다.[136] 바그너와 같은 견해를 가진 파올로 메르치는 이 시기에 "폭넓은 균일성"을 발견했으며, 안토니오 산나와 이냐시오 델로그도 마찬가지로 사르데냐어가 지역주의를 벗어나도록 한 것은 섬 주민들의 공동체 생활이라고 생각했다.[135] 카를로 타글리아비니에 따르면, 이러한 초기 문서는 로구도레세를 기반으로 하는 모델을 가리키는 사르데냐 코이네의 존재를 보여준다.[137][138]

에두아르도 블라스코 페레르에 따르면, 13세기 후반 칼리아리와 갈루라 유디카테가 멸망한 후, 사르데냐어는 현대 방언으로 분열되기 시작했고, 피사 공화국의 통치하에 토스카나화되었다.[139] 제노바도 곧 사사리의 혼합 사르데냐-제노바 귀족과 도리아 가문의 구성원들을 통해 사르데냐 북부에 자신의 영향권을 확장하기 시작했다.[140] 그 후 어느 정도의 방언적 변이가 나타났다.[70][2]
외세의 지배를 받은 마지막 사르데냐 왕국인 아르보레아 유디카테는 중간 사르데냐어가 사용된 특별한 위치를 차지했다. 역사상 최초의 헌법 중 하나인 아르보레아 왕국의 카르타 데 로구는 1355년~1376년에 마리아누스 4세와 여왕이자 (사르데냐어로는 judikessasc, 카탈루냐어로는 jutgessaca, 이탈리아어로는 giudicessait)인 엘레오노라에 의해 이 중간 사르데냐어 변종으로 작성되었으며, 1827년까지 효력을 유지했다.[141][142] 아르보레아 판사들이 사르데냐 방언을 통일하려고 노력한 것은 단일 국가 (republica sardiscasc )하에 섬 전체의 합법적인 통치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 때문이었다.[143] 이러한 정치적 목표는 1164년 아르보레아 판사 바리손이 Baresonus Dei Gratia Rei Sardinieela ()과 Est vis Sardorum pariter regnum Populorumla ()라는 글귀가 새겨진 인장을 만들도록 명령했을 때 이미 명백했다.[144]
단테 알리기에리는 그의 1302~1305년 에세이 ''속어에 관하여''에서 사르데냐인들이 표면적으로는 비슷해 보이지만 엄밀히 말해 이탈리아인 (Latiila)이 아니며, 그들 스스로 신라틴어 (lingua vulgarisla)에 가까운 것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단순한 라틴어를 모방했다고 썼다.[145][146][147][148][149][150][151] 그러나 단테의 사르데냐인들에 대한 견해는 그들의 언어가 섬 밖의 사람들에게 이미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독자적인 과정을 따라왔고, 바그너의 말처럼 그들의 판단에 불가해한 "스핑크스"가 되었다는 것을 증명한다.[133] 흔히 언급되는 것은 트루바두르 라임보 드 바케이라스의 이전 12세기 시, ("숙녀여, 당신을 얼마나 사랑했나요")이다. 사르데냐어는 그 시에서 독일어와 베르베르어와 같은 비로망스어와 함께 이상한 말투를 구체화하고 있으며, 트루바두르는 숙녀가 "No t'entend plui d'un Todesco / Sardesco o Barbarìoc" ("나는 당신을 독일인이나 사르데냐인이나 베르베르인보다 더 이해하지 못합니다")라고 말하게 한다.[152][153][154][149][155][156][157] 토스카나 시인 파치오 델리 우베르티는 그의 시 Dittamondoit에서 사르데냐인들을 "una gente che niuno non-la intende / né essi sanno quel ch'altri pispigliait" ("아무도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 / 그들도 다른 사람들이 그들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하는지 알지 못합니다")라고 언급한다.[158][151][149]
무슬림 지리학자 무함마드 알-이드리시는 시칠리아 팔레르모에서 로제르 2세 왕의 궁정에서 살았으며, 그의 작품 Kitab Nuzhat al-mushtāq fi'khtirāq al-āfāqar ( 또는 간단히 '로제르의 책')에서 "사르데냐인들은 민족적으로 Rūm Afāriqahar이며, 베르베르인과 같습니다. 그들은 다른 모든 Rūmar 국가와의 접촉을 피하고, 목적이 있고 용감하며 결코 무기를 버리지 않는 사람들입니다."라고 썼다.[159][160][161][162][163] 바그너에 따르면, 북아프리카와 사르데냐 사이의 속어 라틴어 발전의 밀접한 관계는 두 인구 사이의 고대 민족적 친화력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아프리카 총독령 내에서의 공통된 정치적 과거에서도 비롯되었을 수 있다.[164]

이 시대에 남아 있는 문학은 앞서 언급한 Cartassc와 condaghessc 외에도 주로 법적 및 행정 문서로 구성되어 있다. 사르데냐 요소가 포함된 최초의 문서는 토레스의 바리소네 1세가 서명한 1063년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대한 기증이다.[165] 또 다른 문서(소위 '카르타 볼가레')는 칼리아리 유디카테에서 유래했으며, 약 1070년에 토르키토리오 1세 드 라콘-구날레가 발행했으며, 사르데냐어로 쓰여졌지만 여전히 그리스 알파벳을 사용했다.[166] 다른 문서로는 1080년 "로구도레세 특권", 1089년 토르키토리우스의 기증(마르세이유 기록 보관소), 1190~1206년 마르세이유 차트(캄피다네세 사르데냐어), 그리고 1173년 치비타의 주교 베르나르도와 피사의 두오모 오페라를 감독한 베네데토 사이의 의사소통이 있다. 사사리(1316년)와 카스텔제노베세()의 법령은 로구도레세 사르데냐어로 작성되었다.[167]로 쓰여진 최초의 연대기는 Condagues de Sardinasc로 불리며, 13세기에 익명으로 출판되었으며, 토레스 유디카테의 사건을 다루고 있다.
2. 3. 이베리아 시대
1297년 보니파시오 8세 교황이 사르데냐를 봉토 수여함으로써 사르데냐 왕국이 탄생했다.[168] 이는 아라곤 왕관이라는 복합 국가의 동군 연합 일원으로 편입된 것을 의미한다. 이후 사르데냐 왕국과 아르보레아 판결구 사이에 오랜 전쟁이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사르데냐어는 민족적 표식으로 기능했다.[168]아르보레아 판결구는 "완전히 토착적인 위대한 섬 국가" 건설을 목표로 했고,[169] 외국의 봉건 제도 도입에 대한 불만이 팽배했다.[170] 1355년 피터 4세에 의해 사르데냐 왕국이 행정적으로 분할되었다. 1409년 산루리 전투에서 아라곤 왕관이 승리하고, 1420년 나르본의 윌리엄 2세가 계승권을 포기하면서 전쟁은 종식되었고, 사르데냐의 독립은 막을 내렸다.[171] 프란체스코 C. 카술라는 이를 "아즈텍 멕시코의 종말"에 비유하며, "승리도 패배도 아닌 오늘날 사르데냐의 고통스러운 탄생"이라고 평가했다.[171]
1353년 알게로 반란, 1470년 우라스 반란, 1478년 마코메르 반란 등 아라곤에 대한 반란은 모두 진압되었다.[172][173] 카술라는 아라곤인들이 사르데냐 판결구의 문서들을 파괴했을 것이라고 추정하며, 현재 남아있는 문서는 극소수라고 언급했다.[174][175] 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문서들이 여전히 보존되어 있거나 섬 외부 기록 보관소에 존재한다. 특히 1478년 반란 진압 후 오리스타노에서 아르보레아 문서와 궁전이 불탔다.[176]
이후 사르데냐 지배 계급은 카탈루냐어를 주요 언어로 채택했다. 칼리아리에서는 카탈루냐어가 사르데냐어를 대체하여, no scit su catalanusc ()라는 관용구가 생겨났다.[177][178][179] 알게로는 현재까지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으로 남아있다.[179][180] 그러나 도시의 카탈루냐 법적 전통은 알폰소 5세 통치 기간 동안 아르보레아 Carta de Logusc가 1421년 의회에서 봉건 지역으로 확대됨으로써 표시된 사르데냐인들의 전통과 공존했다.[181] 조반니 프란체스코 파라는 사르데냐인들 사이의 활발한 다국어 사용을 보고했다.[177]
흑사병과 전쟁으로 섬 인구가 감소했다. 이웃 코르시카 사람들이 사르데냐 북부에 정착하면서 사사레세어와 갈루레세어라는 이탈리아-달마티아어파 방언이 생겨났다.[182][183]
카탈루냐어가 널리 사용되었지만, 사르데냐어는 17세기 후반까지 행정 및 교회 문서에서 계속 사용되었다.[185][186] 1586년 알게로 신학교 규정은 사르데냐어로 작성되었다.[187] 알게로 교구와 연합회를 위한 조항은 사르데냐어와 카탈루냐어로 작성되었다.[188] 1695년 칼리아리 대교구 공의회 헌장 하단에 {{Lang|la|lingua sardiscasc로 된 교리서가 기록되었다.[189]
당시 사회언어학적 상황은 도시에서는 이베리아 언어 능력이, 섬의 다른 지역에서는 사르데냐어 능력이 특징이었다. 1561년 프란시스코 안토니오는 사르데냐어를 "사르데냐의 일반적인 언어"로, 칼리아리와 알게로에서는 카탈루냐어가 일반적이지만 사르데냐어 사용자도 많다고 했다.[190][179] 크리스토포르 데스푸이는 1557년 카탈루냐어가 llengua cortesanaca로 자리 잡았지만, 섬의 많은 지역에서 "왕국의 고대 언어" ()가 보존되었다고 주장했다.[191] 1611년 마르틴 카릴로는 주요 도시에서는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를 사용하지만, 도시 밖에서는 사르데냐어만 이해되며, 왕국 전체에서 이해된다고 언급했다.[191] 17세기 중반 후안 가스파르 로이그 이 잘피는 사르데냐에서 "parlen la llengua catalana molt polidament, axì com fos a Catalunyaca" ()고 보고했다.[191] 안셀름 아돌노는 원주민들이 여전히 자신의 언어(linguam propriam sardiniscam loquentesla)를 사용한다고 언급했다.[193] 발다사레 피녜스는 사르데냐어가 마을에서만 사용된다고 썼다.[194]
16세기에는 사르데냐어 문학이 부흥했다. 1557년 출판된 안토니 카누의 Sa Vitta et sa Morte, et Passione de sanctu Gavinu, Brothu et Ianuariusc가 대표적이다.[184] 제로라모 아라올라의 Rimas Spiritualessc는 "우리 사르데냐어, 우리 언어를 찬미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해"(magnificare et arrichire sa limba nostra sardasc)를 목표로 했다.[195] 아라올라는 사르데냐어를 사르데냐 국가와 연결한 최초의 작가 중 한 명이다.[196][197][198] 알게로[199] 출신 시인 안토니오 로 프라소는 바르셀로나에서 사르데냐어로 서정시를 썼다.[201]
세바스찬 뮌스터의 코스모그라피아 유니베르살리스에서 Sardiniae brevis historia et descriptiola의 저자인 시지스몬도 아르퀘르는 사르데냐어가 왕국 대부분에서 우세했고,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는 주로 도시에서 사용되었다고 말했다.[179] 아르퀘르는 사르데냐어가 외국 지배로 인해 단편화되었지만, 사르데냐인들은 "서로 완벽하게 이해한다"고 보고했다.[203]
올리바레스 백작 공작의 군주제 재편으로 사르데냐는 스페인 문화권에 편입되었다. 스페인어는 엘리트 언어로 여겨져 사르데냐 지배 계급 사이에서 확고한 지위를 얻었고, 사르데냐어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204][195] 대부분의 사르데냐 작가들은 19세기까지 스페인어와 사르데냐어로 글을 썼다. 비센테 바칼라르 이 산나는 에스파냐 왕립 아카데미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205] 칼리아리에서 인쇄된 책의 약 87%가 스페인어였다.[192] 페드로 델리탈라는 이탈리아어로 글을 썼다.[199][206] 사르데냐어는 농촌 지역에서 중요성을 유지했고, 스페인인들의 존경을 받았다.[207] 또한 종교극과 내륙 지역 공증서 작성에서 유지되었다.[208] 고소스sc, 아닌니아sc, 아티투sc, 바토리나스sc, 베르보스sc, 파라울라스sc, 무투sc, 무테투sc와 같은 대중시 장르가 확립되었다.
사르데냐어는 스페인 ''테르시오스'' 장교가 되기 위한 공식 언어 중 하나였다.[209] 사르데냐인들은 ''스파뇰스''로 간주되었다.[210]
오르고솔로 출신 사제 이오안 마테우 가리파는 사르데냐어가 고전 라틴어의 가장 가까운 친척이라고 주장했다.[211] 아라올라와 마찬가지로,[196] 사르데냐어를 특정 민족-국가 공동체의 언어로 중시했다.[212] 파올로 마닌케다는 이들이 사르데냐를 유럽 국가들과 동등한 문화적 존엄성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주장한다.[213]
2. 4. 사보이아 시대와 이탈리아 통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사르데냐는 오스트리아에 넘어갔고, 1713년 유트레흐트 조약과 1714년 라슈타트 조약을 통해 그 주권이 확인되었다.[215] 1717년 스페인 함대가 칼리아리를 점령하여 사르데냐를 재점령했고,[215] 이듬해 사르데냐는 시칠리아와 교환되어 사보이아의 빅토르 아마데우스 2세에게 양도되었다. 사보이아 대표 루체르나 디 캄필리오네 백작은 오스트리아 대표 돈 주세페 데이 메디치로부터 양도에 대한 최종 문서를 받았는데, 이 문서에는 외교 협상의 주제였던 "국가의 권리, 법령, 특권"이 보존된다는 조건이 명시되어 있었다.[215] 이베리아 반도의 영향에서 벗어나 이탈리아의 영향권에 들어갔지만,[216] 초기에는 사회, 문화, 언어적 변화가 없었다. 사르데냐는 오랫동안 이베리아적인 성격을 유지했고, 1767년에야 아라곤과 스페인의 왕조 상징이 사보이아 십자형으로 대체되었다.[217] 1848년까지 사르데냐 왕국은 복합 국가였고, 사르데냐 섬은 자체 전통과 제도를 가진 별개의 국가로 남아 있었지만, 최고 권력(''summa potestas'') 없이 사보이아 왕가의 해외 영토로서 인적 동군 연합을 이루었다.[215]사르데냐어는 이중언어 사용 상태였지만 모든 계층에서 계속 사용되었고, 그 언어적 특수성과 독립성은 보편적으로 인식되었다.[218] 반면 스페인어는 교육받은 사르데냐 사회 계층이 알고 사용하는 위상 언어였고, 매우 널리 사용되었다.[219][220][221] 호아킨 아르세는 역설적이게도 카스티야어가 섬 주민들의 공통어가 된 시점이 공식적으로 스페인 사람이 아니게 되고 사보이아 왕가에 합병되어 피에몬테를 통해 이탈리아인이 된 시점까지라고 언급했다.[219] 이러한 상황에서 섬의 통치권을 쥐고 있던 피에몬테 지배 계급은 초기 단계에서 정치적, 사회적 제도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그 기능을 약화시켰다.[222] "[사르데냐] 어느 파벌의 추종자들을 똑같이 대우하지만, 그들이 단결하지 못하도록 분열시켜 기회가 생기면 그러한 경쟁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처리했다.[223]
아모스 카르디아에 따르면 이러한 실용적인 입장은 세 가지 정치적 이유에 뿌리를 두고 있다. 첫째, 사보이아 사람들은 국제적인 의심을 불러일으키고 싶지 않았고, 1718년 8월 2일에 체결된 런던 조약의 규칙을 충실히 따랐다. 이 조약에서 그들은 새로 획득한 왕국의 기본 법을 존중하기로 약속했다. 둘째, 특히 엘리트 계층을 중심으로 친스페인파 주민들과 대립하고 싶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언젠가 시칠리아를 되찾아 왕의 칭호를 유지하면서 사르데냐를 처분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224] 이탈리아어를 강요하는 것은 왕국의 기본 법 중 하나를 위반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빅토르 아마데우스 2세는 1721년 초부터 눈에 띄지 않게 작은 단계를 통해 점진적으로 (insensibilmenteit) 이 작업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225] 1726년과 1728년 두 차례에 걸쳐 왕이 사르데냐어나 스페인어를 금지할 의도가 없다고 주장했을 때 이러한 신중함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226]
사르데냐의 새로운 지배자들이 이탈리아어가 오랫동안 위상 언어이자 공식 언어였던 본토와는 다른 문화적, 언어적 환경을 어떻게 더 잘 다루어야 할지 몰랐다는 사실은, 1726년 피에몬테 행정부가 의뢰한 Memoria dei mezzi che si propongono per introdurre l'uso della lingua italiana in questo Regnoit("이 왕국에 이탈리아어 사용을 도입하기 위한 제안된 방법에 대한 보고서") 연구에서 알 수 있다. 바롤로 출신 예수회 안토니오 팔레티는 이탈리아화를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ignotam linguam per notam expōnĕrela("알려지지 않은 언어[이탈리아어]를 알려진 언어[스페인어]를 통해 소개하는 것") 방법을 제안했다.[228] 같은 해 빅토르 아마데우스 2세는 본토에서 파견된 공무원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그러한 무능력을 고려하여 섬 주민들이 이탈리아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것을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229] 지금까지 법으로 금지되어 왔던 사르데냐 여성과 섬으로 파견된 피에몬테 장교 간의 혼인에 대한 제한이 해제되었고, 지역 주민들에게 언어를 더 잘 소개하기 위해 장려되기도 했다.[231][232]
에두아르도 블라스코 페레르는 이탈리아어와 여러 로망스 방언 사이에 본토에서 오랫동안 확립되어 온 문화적 역학과는 달리, 사르데냐에서는 사보이아가 최근에 도입한 이탈리아어와 토착어 사이의 관계가 교육을 받은 사람과 받지 못한 사람 모두에게 처음부터 두 개의 매우 다른 언어(정치적 권력과 위상 측면에서는 불평등하지만) 사이의 관계로 인식되었다고 주장한다. 즉, 언어와 그 방언 중 하나 사이의 관계로 인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233] 수세기 동안 이어진 이베리아 시대는 사르데냐 사람들이 이탈리아어와 그 문화권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분리된 느낌을 갖도록 기여했다. 스페인 지배 계급이 오랫동안 사르데냐어를 자신들의 언어와 이탈리아어와 관련하여 별개의 언어로 간주했기 때문에 지역의 언어에 대한 감정이 더욱 악화되었다.[234] 사르데냐어의 특수성에 대한 인식은 섬을 방문하고 지역 주민들과의 경험을 이야기한 이탈리아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공유되었다.[235] 그들은 종종 사르데냐 사람들을 스페인 사람들과 고대 동방 사람들에 비유했는데, 이는 프란체스코 4세 공작과 안토니오 브레시아니의 의견에 잘 나타나 있다.[236][237] 사르데냐 산적에 대한 군사 작전에 참여했던 장교 줄리오 베키는 섬 주민들이 "사라센만큼 복잡하고 스페인어처럼 들리는 끔찍한 언어"를 사용한다고 주장했다.[238]
사보이아 정부는 스페인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사르데냐를 이탈리아 반도의 영향권으로 문화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1760년 7월 25일 이탈리아어를 사르데냐에 직접 도입하기로 결정했다.[239][240][241][242] 사보이아 관리들은 피에몬테에 비해 "외국"이고 "열등하다"고 여긴 섬의 문화 모델을 철저히 동화시키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244][245][246][247] 이 조치는 "40년간의 이탈리아 통치 후에도 사르데냐 교사들의 마음속에 깊이 뿌리내린 카스티야어의 무제한 사용을 금지했다".[248] 1764년 이탈리아어의 독점적 강요는 교육을 포함한 모든 공공 생활 부문으로 확대되었다.[249][250][251] 이탈리아 본토 인력이 도착한 칼리아리 대학교와 사사리 대학교의 재편성과 이탈리아어를 구사하는 사르데냐 교사가 부족한 것을 메우기 위해 피에몬테에서 교사를 파견하기로 결정한 저등 교육의 재편성과 병행했다.[254] 1763년 이미 "사르데냐 교사들의 잘못을 없애고 올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 "숙련된 이탈리아 교수들을 사르데냐로 파견할 계획이 세워졌습니다".[248] 그 목적은 사르데냐 지배 계급의 관심을 피하지 못했고, 그들은 "피에몬테 주교들이 이탈리아어로 설교를 도입했다"는 사실을 개탄했으며, 보수적인 사르데냐 의회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Lamento del Regnoit("왕국의 불만")이라는 제목의 익명의 문서에서 "아라곤의 무기, 특권, 법률, 언어, 대학교 및 통화가 스페인의 불명예와 모든 개인의 손해를 위해 이제 없어졌다"고 비난했다.[191][255]
스페인어는 공식 언어로 대체되었지만 이탈리아어는 오랫동안 뿌리를 내리지 못했다. 밀라 이 폰타날스는 1863년 사르데냐에서 1780년대까지 공증 문서에 카탈루냐어가 사르데냐어와 함께 사용되었고, 교구 등록부와 공식 문서는 1828년까지 스페인어로 작성되었다고 썼다.[191] 이 명령의 가장 즉각적인 효과는 사르데냐 원주민의 언어가 더욱 소외되고 섬의 철저한 이탈리아화가 이루어진 것이다.[257][258][250][2] 시골 사르데냐의 부유하고 가장 강력한 가문인 printzipalessc조차 처음으로 사르데냐어를 장애로 인식하기 시작했다.[249] 지롤라모 소트지우는 이 문제에 대해 "사르데냐 지배 계급은 히스패닉화되었던 것처럼 이탈리아화되었지만, 사르데냐인이 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즉, 그들이 온 사람들의 경험과 문화에서 구체성의 요소를 끌어내지 못했습니다. 문화와 지배 계급은 항상 고국에서도 외국인처럼 보입니다. 이것은 사보이아 정부가 스스로 설정한 목표였고, 상당 부분 달성했습니다."라고 주장합니다.[248]
프란체스코 게멜리는 1776년 Il Rifiorimento della Sardegna proposto nel miglioramento di sua agricolturait에서 섬의 언어적 다원주의를 묘사하고, "사르데냐 언어의 특징("indole della lingua sardait")과 사사레세와 토스카나어의 주요 차이점"에 대한 더욱 정밀한 분석을 위해 프란체스코 체티의 I quadrupedi della Sardegnait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르데냐에서는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사르데냐어, 알게로어, 사사레세어의 다섯 가지 언어가 사용됩니다. 과거와 현재의 지배 때문에 전자 두 가지 언어는 도시뿐 아니라 마을에 거주하는 모든 교육받은 사람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이해하고 말합니다. 사르데냐어는 왕국 전체에 공통적이며, 캄피다네세 사르데냐어와 상부 사르데냐어("capo di soprait")의 두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뉩니다. 알게로어는 카탈루냐 식민지인 알게로의 카탈루냐 방언입니다. 마지막으로 사사리, 템피오 및 카스텔 사르도(''sic'')에서 사용되는 사사레세어는 피사 지배자의 유물인 토스카나 방언입니다. 스페인어는 교육 및 사법 분야에서 이전 언어를 대체한 이탈리아어에 밀리고 있습니다." [259]
사르데냐어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연구는 1782년 언어학자 마테오 마다우가 Il ripulimento della lingua sarda lavorato sopra la sua antologia colle due matrici lingue, la greca e la latinait라는 제목으로 저술했다.[260] 마다우를 자극한 의도는 사르데냐어를 섬의 적절한 국어로 끌어올릴 수 있는 이상적인 경로를 추적하는 것이었다.[261][262][263] 그러나 사보이아의 탄압적인 분위기는 마테오 마다우가 그의 급진적인 제안을 문학적 장치로 가리고, 결국 현실로 옮기지 못하게 했다.[264] 사르데냐 방언학의 첫 번째 비교 연구는 1786년 마푸체어 문법 책을 처음 출판한 리마에서 돌아온 이탈리아와 사르데냐에서 보니파시오 도르미it라는 가명으로 알려진 카탈루냐 예수회 안드레스 페브레스가 제작했다.[265] 그는 칼리아리로 이주한 후 사르데냐어에 매료되어 세 가지 특정 방언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Prima grammatica de' tre dialetti sardiit라는 제목의 그의 작품의 목표는 "사르데냐어의 규칙을 적어내고" 사르데냐 사람들에게 "이탈리아어뿐만 아니라 고국의 언어를 소중히 여기도록" 촉구하는 것이었다. 페브레스의 활동을 감시해 온 토리노 정부는 그의 작품을 출판할 수 없도록 결정했다. 빅토르 아마데우스 3세는 이 책이 이탈리아어와 사르데냐어로 그에게 이중 언어로 헌정되었다는 사실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의 후계자들은 "사르데냐 조상의 고국"이라는 일반적인 개념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그 후로 이탈리아어를 독점적으로 사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제작했다.[264]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사르데냐 중산층의 일부가 사보이아 지배로부터 벗어나 프랑스의 보호 아래 독립적인 사르데냐 공화국을 설립할 계획을 세웠다. 섬 전역에서 사르데냐어로 인쇄된 많은 정치 팸플릿이 불법적으로 배포되어 "피에몬테" 지배와 귀족들의 학대에 대한 대규모 반란을 촉구했다. 이러한 정치적 불안에서 태어난 가장 유명한 문학 작품은 프랑스에서 영감을 받은 민주적이고 애국적인 가치와 봉건주의하의 사르데냐의 상황을 증명하는 시인 Su patriottu sardu a sos feudatariossc이다.[267][268] 이탈리아화 과정에 있던 섬의 지배 계급이 3년간의 사르데냐 혁명기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에 대해 소트지우는 "그 실패는 완전했습니다. 숨막히는 지방 자치주의와 왕관에 대한 막다른 골목과 같은 애착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며 시골에서 일어난 혁명의 물결을 이끌 용기가 없었습니다."라고 말했다.[248] "사르데냐 국민의 적이었던" 내각을 비난하고 "국왕과 국민 간의 사회 계약"이 파기되었다고 선언하는 팸플릿이 유통되었지만, 정부 형태에는 근본적인 변화가 없었다. 소트지우에 따르면, "사르데냐 국민, 그 전통과 정체성에 대한 요구가 강해져서 '사르데냐 국민만으로 구성된' 안정적인 군대 창설을 요구했지만", 군주제와 봉건 제도를 폐지한다는 구체적인 가설은 "많은 사람들의 의식 속에 자리 잡지 못했습니다."라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269] 그 결과는 "봉건 사회의 중심에서 출현한 농민 계급의 패배, 농민 대중에 의해 촉구되고 사르데냐 부르주아지의 가장 발전된 세력이 이끌었던 패배"[269]였고, 반대로 봉건 영주와 "봉건 질서의 틀 내에서 발전했고 봉건주의 폐지와 공화국 선포가 동시에 자신의 부와 위신의 기반을 파괴할까 봐 우려했던 도시 부르주아지의 광범위한 계층"의 승리였다.[270]
조반니 마리아 안지오이의 반란 실패는 사르데냐의 미래에 있어 역사적 분수령을 의미한다.[270] 사보이아 왕가에 대한 충성심을 보여주는 섬에 대한 일반적인 헌신 태도를 특징으로 하는 다른 사르데냐 지식인들은 사르데냐어의 문제를 제기했지만,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 이탈리아어만을 사용하는 데 충분히 주의했다. 특히 19세기에는 사르데냐 지식인과 지배 계급이 사르데냐의 국민적 가치에 대한 고수와 새로운 이탈리아 국적에 대한 충성 사이에서 분열되었다.[271] 그들은 결국 실패한 사르데냐 혁명 이후 새로운 이탈리아 국민으로 기울었다.[272] 사르데냐 지배 계급의 정체성 위기와 새로운 이탈리아 정체성의 시민으로 받아들여지려는 노력은 1863년 합병주의자 피에트로 마르티니가 발표한 이른바 Falsi d'Arboreait로 나타났다.[273]
1811년, 사제 빈첸초 라이몬도 포루는 사르데냐어 문법에 대한 소극적인 에세이를 발표했다. 그러나 그것은 남부 방언을 명시적으로 언급했고 (Saggio di grammatica del dialetto sardo meridionaleit라는 제목)[274] 국왕에 대한 신중함으로 인해 사르데냐어를 보호하는 대신 동료 사르데냐 사람들 사이에서 이탈리아어 습득을 용이하게 한다는 명백한 의도로 만들어졌다.[275] 교수이자 상원의원이었던 조반니 스파노의 ''Ortographia sarda nazionale''("사르데냐 국립 정자법")은[276] 포루의 작품과 같은 목적으로 공식적으로 만들어졌지만,[277] 실제로는 피렌체 방언이 이탈리아어의 기초가 된 것처럼 로구도레세를 기반으로 통일된 사르데냐 정자법을 확립하려고 시도했다.[278][279]

법률가 카를로 바우디 디 베스메는 사르데냐어의 억압과 이탈리아어의 강요가 섬 주민들을 "문명화된 이탈리아인"으로 만드는 데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280][281] 베스메의 말에 따르면 사르데냐는 "스페인이 아니고 이탈리아도 아닙니다. 그것은 수세기 동안 사르데냐였습니다."[282] "야망, 욕망, 모든 이탈리아적인 것에 대한 사랑으로 가득 차게 만든"[282] 상황의 전환기에 이러한 경향을 더욱 증진시켜 "공동의 이익을 위해 이를 활용하는 것"[282]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현재 "내륙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은"[282] 사르데냐에서 이탈리아어를 널리 보급하는 것이 완전한 융합을 더 잘 가능하게 하는 데 "거의 필요했습니다".[283] "사르데냐는 피에몬테가 될 것이고, 이탈리아가 될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광채, 부와 힘을 줄 것입니다!".[284][285]
초등 및 고등 교육은 이탈리아어로만 제공되었고, 피에몬테 지도 제작자들은 많은 사르데냐 지명을 이탈리아어 지명으로 대체했다.[250] 사르데냐 사람들이 익숙하지 않은 언어로 이루어지는 이탈리아어 교육은 역사상 처음으로 사르데냐 마을로 이탈리아어를 전파하여 새로운 지배 언어로의 어려운 전환을 나타냈다. 이탈리아어를 유일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하는 학교 환경은 당시 일어 언어 사용 마을 주변의 소우주가 되었다.[287] 1811년, 사제 살바토레 카르보니는 볼로냐에서 논쟁적인 책 Sos discursos sacros in limba sardasc("사르데냐어로 된 성스러운 담론")를 출판했다. 저자는 사르데냐가 "hoe provinzia italiana non podet tenner sas lezzes e sos attos pubblicos in sa propia limbasc"("오늘날 이탈리아 주이기 때문에 [사르데냐]는 자체 언어로 법률과 공공 문서를 만들 수 없습니다")라고 한탄하며 "sa limba sarda, totu chi non uffiziale, durat in su Populu Sardu cantu durat sa Sardignasc"("비공식적이지만 사르데냐어는 사르데냐 사람들 사이에서 사르데냐만큼 오래 지속될 것입니다")라고 주장하면서 "Proite mai nos hamus a dispreziare cun d'unu totale abbandonu sa limba sarda, antiga et nobile cantu s'italiana, sa franzesa et s'ispagnola?sc"("왜 우리는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만큼 고대하고 고귀한 언어인 사르데냐어를 무시하고 경멸해야 합니까?")라고 자문했다.[288]
1827년 이베리아 통치 시대에 ''consuetud de la nació sardesca''로 기능했던 역사적 법전인 ''카르타 데 로구''가 폐지되고 이탈리아어로 작성된 샤를 펠릭스의 더 발전된 사보이아 법전인 "''Leggi civili e criminali del Regno di Sardegna''"로 대체되었다.[289][290] "사르데냐에 대한 이탈리아 본토의 문화와 문명의 예비 없고 장애 없는 이식"[291]의 후원하에 제정된 본토 국가와의 완전한 융합은 섬의 잔여 자치권을 상실하게 되었고,[292][289] "사르데냐 국민의 언어는 특정 민족과 그 문화를 식별하는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대신 국가 언어에 종속된 많은 지역 방언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라는 순간을 의미했다.[293]
장기간에 걸친 동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사보이아 사르데냐 왕국의 국가는 1861년 이탈리아의 ''마르차 레알레''로 ''사실상'' 대체되기 전에 ''S'hymnu sardu nationale''("사르데냐 국가") 또는 ''Cunservet Deus su Re''("하나님께서 왕을 구원하시옵소서")였다.[294] 1861년 빅토르 에마누엘레 2세 치하에서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을 때, 통일된 본토와의 사르데냐의 독특한 문화는 새로 선포된 단일 국가 내에서 전반적으로 소외된 주가 되었다.[295] 1848년부터 1861년 사이에 이 섬은 전후 시대까지 지속될 사회적, 경제적 위기에 휩싸였다.[296] 결국 사르데냐어는 sa limba de su faminesc / sa lingua de su faminisc로 인식되었는데, 이는 "굶주림의 언어"(즉, 가난한 사람들의 언어)로 번역되며, 사르데냐 부모들은 가난하고 시골적이며 고립되고 혜택받지 못한 삶에서 벗어날 수 있는 통로로 여겼기 때문에 자녀들에게 이탈리아어 교육을 강력히 지지했다.
2. 5. 현대
20세기 초, 사르데냐어는 섬의 학자들 사이에서만 연구되었고, 이탈리아 학계의 소외로 어려움을 겪었다.[297] 이전에는 아우구스트 푹스(August Fuchs)와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디츠의 저서에 언급되었다.[297] 독일 학자들의 연구는 그라지아디오 이사이아 아스콜리 등 이탈리아 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는 사르데냐어를 로망스어 계열의 별개 구성원으로 분류했다.[298] 빌헬름 마이어-뤼브케는 로구도레세(Logudorese) 사르데냐어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고, 이는 막스 레오폴드 바그너의 사르데냐어 연구에 영향을 주었다.[298]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 육군은 사르데냐인들을 사사리 보병 여단에 징집했다. 이 부대는 사르데냐인들로만 구성되었고, 이탈리아에서 유일하게 이탈리아어가 아닌 언어로 된 국가를 가졌다. 징병제는 언어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르데냐인들은 코드 토커로 활동하여 사르데냐어로 전술 정보를 전달했다.[302] 안토니오 그람시는 사르데냐어 언어 문제에 대해 언급하며, 언어 변화의 장기적인 영향을 인식하고 사르데냐어 습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306][307][308]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같은 시기에 사르데냐 자치 운동이 사르데냐 행동당(PsdAz)으로 다시 나타났다. 이 당은 처음에는 민족적 주장이 없었지만, 사르데냐어와 문화는 저개발의 상징으로 인식되었다.[296]
파시스트 정권은 동화 정책을 통해 사르데냐의 문화 표현을 억압하고,[309] 사르데냐 성을 이탈리아식으로 변경했다. 사르데냐 시인 안티코 카술라(Antioco Casula)와 파시스트 언론인 지노 안키시(Gino Anchisi) 사이에 논쟁이 벌어졌고, 안키시는 사르데냐어를 인쇄 매체에서 금지시켰다.[318][319] 사르데냐어는 학교에서 금지되었고,[324] 이는 사르데냐어의 사회언어학적 퇴보를 심화시켰다.[326] 내륙은 저항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정권이 지역 문화를 대체하고 섬의 유산과의 단절을 초래했다.[327]
1945년 정치적 자유 회복 후, 사르데냐 행동당은 자치를 요구하며 언어적, 문화적 특수성에 기반한 정책을 추진했다.[296]

3. 방언
역사적으로 사르데냐인들은 고립된 칸톤에 흩어져 사는 소수 민족이었으며, 이웃 코르시카와 유사한 인구 분포 패턴을 공유했다.[529][530][531][532] 그 결과 사르데냐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광범위한 방언들을 발달시켰다. 18세기 프란체스코 체티의 기술을 시작으로,[529][530][531][532] 사르데냐어는 다중 중심어로 제시되어 왔으며, 전통적으로 전체 공동체의 약 절반이 사용하는 두 가지 표준화된 변종으로 나뉘어져 있다. 북중부 사르데냐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로그도레세(`su sardu logudoresu`)로 알려진 표기법을 중심으로 하고, 남중부 사르데냐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캄피다네세(`su sardu campidanesu`)라고 하는 또 다른 표기법을 중심으로 한다.[533]
모든 사르데냐 방언은 주로 음성학에서 차이가 있지만, 이는 상호 이해력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다.[534][535][536][537] 고사르데냐어의 두 가지 변종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방언 경계가 있다는 견해는 사실 최근 연구에 따라 수정되었는데, 이 연구는 섬의 북쪽 끝에서 남쪽 끝까지 유동적인 방언 연속체를 보여준다.[538][539][540][541] 사르데냐 방언에 대한 이원론적 인식은 실제 등어선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르데냐가 스페인에 의해 ''카푸트 로그도리''(''Cabu de Susu'')와 ''카푸트 칼라리스''(''Cabu de Jossu'')로 행정적으로 세분된 방식에 대한 심리적 고착의 결과이다.[542]
"로그도레세 사르데냐어 모델"을 중심으로 하는 방언들은 일반적으로 더 보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사르데냐어의 누오레세 방언(''su sardu nugoresu'')이 가장 보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모두 마찰음(예: ''chena'' vs ''cena'', "저녁 식사"),[543] 전면 중모음(캄피다네세 요타시즘과 비교, 아마 비잔틴 그리스어에서 유래)[544] 및 중고모음 동화(예: ''cane'' vs ''cani'', "개"와 ''gatos'' vs ''gatus'', "고양이들")를 유지했다. 순음(예: ''limba'' vs ''lìngua'', "언어"와 ''abba'' vs ''acua'', "물")이 입술-구개음이 된다.[545] ''s''로 시작하는 자음 군 앞에 ''i''가 추가된다(예: ''iscala'' vs 캄피다네세 사르데냐어 ''scala'', "계단"과 ''iscola'' vs ''scola'', "학교"). 주로 오리스타노 주 중앙부와 누오로 주 중앙부에 있는 사르데냐 중앙부의 동서쪽 마을들은 전이적인 방언 그룹(''su sardu de mesania'')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is limbas''(언어들)과 ''is abbas''(물들)이 있다. 칼리아리(한때 로마 속주의 중심지)에서 퍼져나가는 캄피다네세 모델을 중심으로 하는 방언들은 카르타고, 로마, 콘스탄티노플, 그리고 후기 라틴어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았다. 예를 들어 ''is frùminis''(강들)과 ''is domus''(집들)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연속체의 극단적인 끝에서 나온 사르데냐어의 일부 방언들은 또 다른 연구에서 110개 항목의 단어 목록에서 88%의 일치율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프로방스 오크어와 일부 카탈루냐어 방언 간의 85~88% 일치율과 유사하다.[546] 이는 어떤 기준으로는 일반적으로(비록 임의적으로이지만) 서로 다르지만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두 가지 언어의 특징으로 간주된다.[547] ISO 639는 각각 고유한 언어 코드를 가진 네 가지 사르데냐어(캄피다네세어, 갈루레세어, 로그도레세어, 사사레세어)를 구분한다.
;사르데냐에서 사용되는 사르데냐어가 아닌 언어 변종
사르데냐어는 대부분의 사르데냐 공동체의 토착어이자 역사적인 언어이다. 그러나 사르데냐어는 사르데냐 인구의 약 20%에 해당하는 상당수의 다른 공동체에서 모국어이자 주요 언어로 사용되지 않는다.[70][536] 사르데냐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섬 북쪽 절반의 주요 중심지인 사사리가 그 중 하나이다. 앞서 언급한 갈루레세어와 사사레세어는 종종 구어적으로 사르데냐어의 일부로 간주되지만, 두 가지 코르시카-사르데냐어 전이 언어이다. 이들은 사르데냐 최북단에서 사용된다.[548][549] 하지만 그곳에 사는 대다수의 사람들(갈루라에서는 73.6%, 사사레세어를 사용하는 하위 지역에서는 67.8%)도 사르데냐어를 이해한다.
초기 논문에서 사르데냐어의 방언 분할을 담당했던 프란체스코 체티는 섬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코르시카-사르데냐어 변종을 "외국어"(즉, 사르데냐에 토착하지 않음)이자 따라서 "국가적이지 않은"(즉, 사르데냐어가 아님) 것으로 간주하여, 이것이 "이탈리아 방언이며, 사실상 이탈리아의 대다수 방언보다 토스카나 방언에 더 가깝다"고 주장했다.[550]
언어섬도 두 곳 있는데, 알게로(사르데냐 북서부) 내부 도시의 카탈루냐어 알게로 방언 사용 공동체와 산 피에트로 섬의 칼로포르테, 그리고 산탄티오코 섬의 칼라세타의 리구리아어 사용 마을이다.[548][551]
3. 1. 로그도레세 방언 (Logudorese)
로그도레세 방언(''su sardu logudoresu'')은 사르데냐 섬 북부와 중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르데냐어 방언으로, 캄피다네세(''su sardu campidanesu'')와 함께 사르데냐어의 주요 방언을 이룬다.[533] 이 방언은 사르데냐어의 누오레세 방언(''su sardu nugoresu'')과 함께 가장 보수적인 특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43]로그도레세 방언은 마찰음(예: ''chena'' vs ''cena'', "저녁 식사")을 보존하고,[543] 전면 중모음(캄피다네세 요타시즘과 비교)을 유지하며,[544] 중고모음 동화(예: ''cane'' vs ''cani'', "개"와 ''gatos'' vs ''gatus'', "고양이들")를 보인다.[545] 또한, 순음(예: ''limba'' vs ''lìngua'', "언어"와 ''abba'' vs ''acua'', "물")이 입술-구개음으로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545] ''s''로 시작하는 자음 군 앞에 ''i''가 추가되는 현상(예: ''iscala'' vs 캄피다네세 사르데냐어 ''scala'', "계단"과 ''iscola'' vs ''scola'', "학교")도 나타난다.
오리스타노 주 중앙부와 누오로 주 중앙부에 위치한 사르데냐 중앙부의 동서쪽 마을들에서는 전이적인 방언 그룹(''su sardu de mesania'')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is limbas''(언어들)와 ''is abbas''(물들)와 같은 형태가 나타난다.
3. 2. 캄피다네세 방언 (Campidanese)
캄피다네세 방언(사르데냐어: ''su sardu campidanesu'')은 사르데냐 섬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르데냐어의 방언으로, 카르타고, 로마, 콘스탄티노플, 그리고 후기 라틴어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았다.[545] 칼리아리(한때 로마 속주의 중심지)를 중심으로 퍼져나갔으며, ''is frùminis''(강들)과 ''is domus''(집들)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3. 3. 코르시카-사르데냐어
역사적으로 사르데냐인들은 고립된 칸톤에 흩어져 사는 소수 민족이었으며, 이웃 코르시카와 유사한 인구 분포 패턴을 공유했다.[529][530][531][532] 그 결과 사르데냐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광범위한 방언들을 발달시켰다. 사르데냐어는 다중 중심어로 제시되어 왔으며, 전통적으로 전체 공동체의 약 절반이 사용하는 두 가지 표준화된 변종으로 나뉘어져 있다. 북중부 사르데냐에서 사용되는 로그도레세(`su sardu logudoresu`)와 남중부 사르데냐에서 사용되는 캄피다네세(`su sardu campidanesu`)이다.[533]모든 사르데냐 방언은 주로 음성학에서 차이가 있지만, 이는 상호 이해력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다.[534][535][536][537] 고사르데냐어의 두 가지 변종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방언 경계가 있다는 견해는 사실 최근 연구에 따라 수정되었는데, 이 연구는 섬의 북쪽 끝에서 남쪽 끝까지 유동적인 방언 연속체를 보여준다.[538][539][540][541] 사르데냐 방언에 대한 이원론적 인식은 실제 등어선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르데냐가 스페인에 의해 ''카푸트 로그도리''(''Cabu de Susu'')와 ''카푸트 칼라리스''(''Cabu de Jossu'')로 행정적으로 세분된 방식에 대한 심리적 고착의 결과이다.[542]
사르데냐 섬 북부 끝 지역에서는 코르시카어의 영향을 받은 갈루레세어(Gallurese)와 사사레세어(Sassarese)가 사용되는데,[548][549] 이들은 종종 사르데냐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코르시카어와 더 가까운 언어이다.
하지만 그곳에 사는 대다수의 사람들(갈루라에서는 73.6%, 사사레세어를 사용하는 하위 지역에서는 67.8%)도 사르데냐어를 이해한다. 사르데냐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섬 북쪽 절반의 주요 중심지인 사사리에서는 사르데냐어가 모국어이자 주요 언어로 사용되지 않는다.[70][536]
4. 음운
colspan="2" | | 순음 | 치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 | 무성음 | p | t | t͡s | t͡ʃ† | k | |
유성음 | b | d | d͡z | ɖ | d͡ʒ† | ɡ | |
마찰음 | 무성음 | f | θ‡ | s | ʃ† | ||
유성음 | v† | ʒ† | |||||
비음 | m | n | ɲ† | ||||
전동음 | r | ||||||
유사음 | w† | l | j |
† 방언에 따라 존재 여부가 다름.
‡ 주로 누오레세 방언에서.
전설모음 | 중설모음 | 후설모음 | |
---|---|---|---|
고모음 | i | u | |
고중모음 | e | o | |
중모음 | ɛ | ɔ | |
저모음 | a |
5. 문법
사르데냐어의 특징적인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6. 어휘
영어 | 고대 라틴어 | 사르데냐어sc | 코르시카어 | 시칠리아어 | 이탈리아어 | 스페인어 | 카탈루냐어 | 프랑스어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루마니아어 |
열쇠 | clāvem | crae/-i | chjave/chjavi | chiavi | chiave | llave | clau | clé | chave | cheie |
밤 | noctem | note/-i | notte/notti | notti | notte | noche | nit | nuit | noite | noapte |
노래하다 | cantāre | cantare/-ai | cantà | cantari | cantare | cantar | cantar | chanter | cantar | cânta |
염소 | capram | cabra/craba | capra | crapa | capra | cabra | cabra | chèvre | cabra | capră |
언어 | linguam | limba/lìngua | lingua/linga | liṅgua | lingua | lengua | llengua | langue | língua | limbă |
광장 | plateam | pratza | piazza | chiazza | piazza | plaza | plaça | place | praça | piață |
다리 | pontem | ponte/-i | ponte/ponti | punti | ponte | puente | pont | pont | ponte | pod, punte |
교회 | ecclēsiam | crèsia/ecresia | ghjesgia | cresia/chiesa | chiesa | iglesia | església | église | igreja | biserică |
병원 | hospitālem | ispidale/spidali | spedale/uspidali | spitali | ospedale | hospital | hospital | hôpital | hospital | spital |
치즈 | cāseum (fōrmāticum) | casu | casgiu | tumazzu | formaggio, cacio | queso | formatge | fromage | queijo | brânză, caș |
7. 표준화
중세 이후 사르데냐어 표기의 통일성은 어느 정도 관찰되었지만, "일러스트리어스 사르데냐어"라 불리는 단일 표준을 만들려는 시도는 Hieronimu Araolla, Ioan Mattheu Garipa, Matteo Madau와 같은 작가들에 의해서만 이루어졌다. 이들은 중세 사르데냐어 모델을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했다.[552][553] 그러나 이러한 표기법 공식화 및 확산 시도는 이베리아 당국과 이후 사보이아 당국에 의해 방해받았다.[554]
2001년까지 사르데냐어 방언 전체에 적용 가능한 통일된 표기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사르데냐어의 방언적 단편화는 사르데냐어가 둘 이상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일련의 전통적인 표기법을 스스로 마련했다는 주장이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믿음은 언어학적 고려 사항이 아닌 정치적 및 사회적 이유에 의해 촉진된 것이다.[531][534][538][539][540][541][532]
일반적으로 "로구도레세"와 "캄피다네세"로 알려진 표기법 외에도 누오레세 표기법, 아르보렌세 표기법, 심지어 개별 도시에 국한된 표기법도 개발되었다. 오지에리 상(Ozieri Award)에서 요구하는 것과 같은 일부 일반적인 규칙과 공통점을 찾는 경우도 있다.[555] 그러나 사르데냐어 교육을 받지 않고 이탈리아어만 읽고 쓸 줄 아는 화자들은 이중 언어 교육의 부재로 인해 이전의 규칙보다는 이탈리아어의 규칙에 따라 지역 철자를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556]
최근 수십 년 동안 행정 목적을 위해 단일 표기 형태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는 주로 철자에 관심을 두고 있다.[557]
사르데냐 자치주는 지역 법률 제26/1997호와 국가 법률 제482/1999호에 따른 언어 조항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하여 표준을 만들었다. 2001년 발표된 첫 번째 제안(LSU: ''Limba Sarda Unificada'')은 참조 언어 모델을 식별하여 확실성, 일관성, 단일성 및 지역 상위 확산의 특성을 보장하려 했다. 이 연구는 에두아르도 블라스코 페레르, Roberto Bolognesi, Diego Salvatore Corraine, Ignazio Delogu, Antonietta Dettori, Giulio Paulis, Massimo Pittau, Tonino Rubattu, Leonardo Sole, Heinz Jürgen Wolf, 그리고 위원회 서기인 Matteo Porru가 담당했다. 이 연구는 과학적으로 타당했지만 제도적 수준에서는 채택되지 않았고, 비평가들은 "강요된" "인공적인" 시스템이라고 주장했다.[558]
LSU는 후속 초안 제안을 위한 발판 역할을 했으며, 줄리오 안조니, Roberto Bolognesi, Manlio Brigaglia, 미셸 콘티니, Diego Corraine, Giovanni Lupinu, Anna Oppo, Giulio Paulis, Maria Teresa Pinna Catte, Mario Puddu로 구성된 새로운 위원회가 LSC(''사르데냐 공통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2006년 발표된 새로운 실험 표준 제안은 ''mesania''(과도기적) 변종을 참조로 하여,[559] 구어 요소를 수용하고, 지역 변종의 음성적 특징을 통합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상태에서 방언 초월적이고 지자체 초월적인 특성을 갖추도록 했다.[560] 그러나 이 표준에 대해서도 개정안을 제안하여 개선하려는 사람들과[561][562] 사르데냐어를 별도 표기법을 가진 두 개의 거대 변종으로 나누는 아이디어를 고집하는 사람들 모두에게서 비판이 있었다.[563]
사르데냐 지역 정부는 2006년 4월 18일 지역 의회 결의 제16/14호를 통해 LSC를 실험적으로 채택했다. 시민들에게 자신의 변종으로 공공 행정에 서면으로 의사를 전달할 권리를 부여하고 지역 언어 데스크 ''Ufitziu de sa Limba Sarda''를 설립했다. 이 결의는 가이드를 강요하려는 것이 아니며, "통합에 열려 있다"는 점과 "모든 해결책은 언어적 가치가 동등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 후 몇 년 동안 지역은 많은 문서와 결의안 및 기타 여러 분야에서 LSC 표준을 준수했다. LSC 표준은 지역 철자에 더 가까운 표기법과 함께 보완적인 방식으로 많은 다른 기관, 학교 및 미디어에서 자발적으로 채택되었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지방 자치 단체 및 지자체 상위 언어 사무소, 학교 교육 및 미디어에서 사르데냐어 보급을 위해 지역이 자금을 지원하거나 공동 자금을 지원한 프로젝트를 고려하여 백분율 추정치가 계산되었다.[564]
공공 교육부의 사르데냐어 및 문화 서비스의 모니터링은 2014년 4월 사르데냐 자치주 웹사이트에 게시되었다. 2013년에 자금을 지원받은 학교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학교에서는 LSC 표기법을 지역 철자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51%)이 나타났으며, LSC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11%) 또는 지역 철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33%)와 비교했을 때 더 높았다.[564]
2012년 지역에서 자금을 지원받은 지역 미디어의 사르데냐어 편집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LSC가 더 많이 나타났다(35%). 이는 자금 조달 순위 형성에서 2점의 보상을 받았기 때문일 수 있다. 미디어 프로젝트의 텍스트 생성 중 35%가 LSC로, 35%가 LSC와 지역 철자로, 25%가 지역 철자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564]
지역 정부가 공동 자금을 지원한 지역 언어 사무소는 2012년 서면 자료의 50%에 LSC를, 9%에 LSC와 지역 철자를, 41%에 지역 철자를 사용했다.[564]
오로세이 시에서 실시된 학교에서의 LSC 표기법 사용에 대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역 중학교 학생들은 그 표준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 어떤 학생도 그것을 거부하거나 "인공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이는 교육 도구로서의 유효성을 증명한다. 결과는 2016년에 처음 발표되었고 2021년에 논문에 게재되었다.[565][566]
8. 현재 상황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르데냐어는 섬의 저개발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여겨져 중산층에게 무시되었고, 사르데냐 엘리트들에게는 사르데냐어가 사라질 위험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326][292][328] 사르데냐 지배 계급은 근대화를 따르며 사르데냐인들이 "전통적인 관행" 때문에 발전이 저해되었다고 믿었고, 이를 버려야만 사회적, 문화적 진보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다.[329][330] 언어는 바람직하지 않은 정체성 표지로 인식되어, 사르데냐인들은 언어적, 문화적 동화를 통해 사르데냐어를 버리도록 장려받았다.[331]
1948년 법령 초안 당시, 로마의 국가 입법부는 지역 사회경제적 문제를 근거로 사르데냐의 "특수성"을 정치적 자치의 기준으로 명시하기로 결정했지만, 독특한 문화, 역사, 지리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추가적인 고려 사항은 폐기되었다.[332][333][334][335][336][337] 이는 더욱 자치적인 주장이나 분리주의적 주장의 전조로 여겨졌기 때문이다.[338] 결국 1948년 특별법은 섬의 중공업 발전을 위한 국가 자금 지원 계획 (piani di rinascitait) 마련에 집중했다.[340] 아오스타 계곡이나 남티롤과 달리, 사르데냐에서는 문화적 정체성 인정보다는 사회적 후진성과 경제적 빈곤으로 정의되는 "특수성", 즉 경제적 고려 사항에만 근거한 결과가 나왔다.[341] 에밀리오 루수(Emilio Lussu)는 사르데냐어의 의무 교육을 헛되이 요구하며 "보존되어야 할 수천 년의 유산"이라고 주장했다.[342]
이탈리아 교육부는 사르데냐어를 가르치려는 교사들을 감시하도록 요청했고,[344][345][346] 토착어와 문화의 거부, 엄격한 이탈리아어 교육 모델은 사르데냐인들의 열악한 교육으로 이어졌다.[347][348][349][350][351][352]
1960년대에 사르데냐어에 이탈리아어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고,[358] 1971년 칼리아리 대학교는 사르데냐인들을 민족 및 언어적 소수 민족으로 인정하고 사르데냐어를 섬 주민들의 공용어로 인정할 것을 국가 및 지역 당국에 촉구했다.[363][364][365][366] 1975년 사르데냐 행동당(Sardinian Action Party)은 사르데냐어를 이탈리아어와 동등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에 관한 최초의 법안 초안을 개발했다.[369][370] 1977년에는 라임몬도(Remundu) 피라스(Raimondo Piras)가 쓴 애국시 "No sias isciau"("노예가 되지 마라")[371]가 호평을 받았는데, 이 시는 진행 중인 문화적 탈사르데냐화를 되돌리기 위해 이중 언어 교육을 촉구했다.[315]
1980년대에 이르러 이 언어는 민족적 자부심의 대상이 되었고,[377] 중앙 정부가 더 나은 경제적, 사회적 조건을 제공하지 못한 것에 대한 오랜 불만을 표출하는 수단이 되었다.[378] 1999년, 이탈리아는 12개의 소수 언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는데, 여기에는 사르데냐어도 포함된다.[10] 이 법은 이탈리아어가 공화국의 공식 언어임을 명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언어의 사용을 정상화하고 국가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여러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400]
그러나, 사르데냐어는 여전히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사르데냐어는 유네스코에 의해 "명백히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되며,[417] 섬 주민의 약 68%가 사르데냐어를 구사할 수 있었지만, 어린이들의 언어 능력은 13% 미만으로 급락했다.[36][32][33][419] 2017년 ISTAT 데이터는 이탈리아어가 사르데냐 가정 내 사회화 수단으로 크게 자리 잡았음(52.1%)을 확인해 주고 있다.[421] 오늘날 일상생활에서 사르데냐어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르바지아와 같은 시골의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422][423]
1990년대에는 사르데냐어를 사용하는 음악이 부활했으며,[391][392][393][394][395] 몇몇 영화도 사르데냐어로 더빙되거나 자막이 제공되었다.[396][397] 페이스북, 텔레그램, 파이어폭스[454][455] 등 많은 프로그램에서 사르데냐어를 지원한다. 2016년 이탈리아어에서 사르데냐어로 자동 번역하는 최초의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다.[456] 2021년 오리스타노 검찰은 시민을 지원하고 판사와 경찰에게 조언과 번역을 제공하기 위해 사르데냐어 언어 데스크를 개설했다.[468][469]
9.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 관점
참조
[1]
서적
Romance languages: a Historical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Italian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3]
서적
Calendario Atlante De Agostini 2017
Istituto Geografico De Agostini
[4]
서적
Grammatica del sardo illustre
Carlo Delfino Editore
[5]
서적
Grammatica moderna del sardo logudorese: con una proposta ortografica, elementi di metrica e un glossario
Edizioni della Torre
[6]
서적
Prontuario di grammatica sarda: variante campidanese
Litografia C.U.E.C.
[7]
웹사이트
Arrègulas po ortografia, fonètica, morfologia e fueddàriu de sa norma campidanesa de sa lìngua sarda
https://academiadesu[...]
Alfa Editrice
[8]
서적
Grammàtica de sa limba sarda comuna
LogoSardigna
[9]
웹사이트
Limba Sarda Comuna. Normas linguìsticas de referèntzia a caràtere isperimentale pro sa limba sarda iscrita de s'Amministratzione regionale
https://www.sardegna[...]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2019-11-01
[10]
웹사이트
Norme in materia di tutel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storiche
http://www.parlament[...]
Italian Parliament
[11]
웹사이트
Legge Regionale 15 ottobre 1997, n. 26
http://www.regione.s[...]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 Regione Autònoma de Sardigna
2018-06-15
[12]
웹사이트
Legge Regionale 3 Luglio 2018, n. 22
http://www.regione.s[...]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 Regione Autònoma de Sardigna
[13]
웹사이트
Sardinian
https://en.wal.unesc[...]
2024-10-02
[14]
서적
Le origini delle lingue neolatine
Patron
[15]
서적
L'Aventure des langues en Occident
Robert Laffont
[16]
백과사전
Romance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3-12-04
[17]
서적
Termini prelatini della lingua sarda tuttora vivi nell'uso
Ilienses
[18]
논문
Cagliari Sardinian
[19]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Un po' di sardo" in Archeografo triestino, vol. I, serie III
[21]
백과사전
Sardegna in Enciclopedia Italiana
Treccani
[22]
서적
Le origini delle lingue neolatine
Patron
[23]
논문
Language Planning and Language Policy in Sardinia
[24]
웹사이트
L'UNESCO e la diversità linguistica. Il caso dell'Italia
https://www.unesco.i[...]
[25]
서적
Aspects of multilingualism in European language history
University of Hambur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6]
서적
Gli altri d'Italia: minoranze linguistiche allo specchio
Comune
[27]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Italian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28]
웹사이트
Lingue di Minoranza e Scuola, Sardo
http://www.minoranze[...]
2016-07-16
[29]
웹사이트
Inchiesta ISTAT 2000, pp. 105–107
http://portal-lem.co[...]
[30]
웹사이트
What Languages are Spoken in Italy?
https://www.worldatl[...]
2019-07-29
[31]
서적
Minority Languages in the Linguistic Landscape
Palgrave Macmillan
[32]
뉴스
Per salvare i segni dell'identità – di Paolo Coretti
La Nuova Sardegna
2010-11-04
[33]
서적
La politica linguistica per la lingua sarda, in Maccani, Lucia; Viola, Marco. Il valore delle minoranze. La leva ordinamentale per la promozione delle comunità di lingua minoritaria
Provincia Autonoma di Trento
[34]
웹사이트
Un programma sperimentale di educazione linguistica in Sardegna
https://web.archive.[...]
2022-06-20
[35]
웹사이트
Un programma sperimentale di educazione linguistica in Sardegna
https://web.archive.[...]
2022-06-20
[36]
웹사이트
Sardinian language use survey, 1995
http://www.uoc.edu/e[...]
Euromosaic
[37]
웹사이트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38]
논문
Language Planning and Language Policy in Sardinia
2018
[39]
서적
The Romance languages
Routledge
[40]
서적
The Romance languages
Routledge
[41]
서적
La lingua sarda oggi: bilinguismo, problemi di identità culturale e realtà scolastica
Convegno dalla lingua materna al plurilinguismo
[42]
서적
Prospettive identitarie in Sardegna, in Contarini, Silvia. Marras, Margherita. Pias, Giuliana. L'identità sarda del XXI secolo tra globale, locale e postcoloniale
Il Maestrale
[43]
서적
La lingua sarda
Ilisso
[44]
서적
Language and Philology in Romance
Mouton Publishers
[45]
서적
Sardegna: geografie di un'isola
Franco Angeli
[46]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47]
논문
A New Methodology for Romance Classification
1949
[48]
서적
Story of Language
[49]
서적
Pastori e contadini in Sardegna
Edizioni della Torre
[50]
서적
La Letteratura in Lingua sarda. Testi, autori, vicende
CUEC
[51]
서적
Atti del VI [i.e. Sesto] Congresso internazionale di studi sardi
[52]
서적
La civiltà dei Sardi. Dal Paleolitico all'età dei nuraghi
Nuova ERI
[53]
서적
Romance Philology
[54]
논문
Il Nome Sardo del Mese di Giugno (Lámpadas) e i Rapporti del Latino d'Africa con quello della Sardegna
1952
[55]
서적
Vowel Length from Latin to Romance
Ox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The Regional Diversification of Latin 200 BC – AD 6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
서적
La lingua sarda
Ilisso
[58]
백과사전
Sardinian language
https://www.britanni[...]
[59]
서적
L'Italia delle Italie
Nuova Guaraldi Editrice
[60]
웹사이트
minoranze linguistiche in "Enciclopedia dell'Italiano"
https://www.treccani[...]
[61]
웹사이트
(Toso, Fiorenzo). Lingue sotto il tetto d'Italia. Le minoranze alloglotte da Bolzano a Carloforte – 8. Il sardo
http://www.treccani.[...]
[6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Romance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64]
서적
Paleosardo: Le radici linguistiche della Sardegna neolitica
De Gruyter Mouton
[65]
서적
Euskararen aztarnak Sardinian?
Pamiela Argitaletxea
[66]
웹사이트
La lingua dei Sardi Nuragici e degli Etruschi
http://www.pittau.it[...]
2015-11-28
[67]
서적
La lingua sarda
[68]
서적
Gli altri d'Italia: minoranze linguistiche allo specchio
Pergine Valsugana : Comune
[69]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70]
웹사이트
Minoranze linguistiche, Sardo. Ministero della Pubblica Istruzione
http://www.minoranze[...]
2016-07-16
[71]
서적
Shardana e Sardegna : i popoli del mare, gli alleati del Nordafrica e la fine dei grandi regni (15.-12. secolo a.C.)
Edizioni della Torre
[72]
서적
Platonis dialogi, scholia in Timaeum
[73]
서적
La Lingua dei Sardi Nuragici e degli Etruschi
[74]
서적
Historiae
[75]
서적
Ελλάδοσ περιήγησισ
[76]
서적
Punica
[77]
서적
Collectanea rerum memorabilium
[78]
서적
Etymologiae
[79]
웹사이트
Personaggi – Sardo
http://www.aristeo.o[...]
2019-01-17
[80]
서적
Enciclopedia della Sardegna : con un saggio introduttivo intitolato Alla scoperta dell'isola
Giardini editori e stampatori
[81]
서적
The History of Basque
Routledge
[82]
뉴스
"Quel filo che lega i sardi con i baschi"
https://www.lanuovas[...]
2017-12-22
[83]
서적
Über die vorrömischen Bestandteile des Sardischen
[84]
논문
HLA antigens in a sample of the Spanish population: common features among Spaniards, Basques, and Sardinians
[85]
뉴스
Il genetista conferma le origini comuni tra i sardi e i baschi
https://www.lanuovas[...]
2017-12-22
[86]
논문
Genomic history of the Sardinian population
2018-10-14
[87]
서적
Storia della Sardegna antica
Edizioni Il Maestrale
[88]
서적
Erdély történetének atlasza
Méry Ratio
[89]
서적
L'alba dei Nuraghi
[90]
서적
La lingua sarda
Ilisso
[91]
서적
Sopravvivenze della lingua punica in Sardegna
Gallizzi
[92]
서적
L'influsso linguistico fenicio-punico in Sardegna. Nuove acquisizioni e prospettive di ricerca
Corda
[93]
서적
Sopravvivenze nuragiche in età romana
Gallizzi
[94]
서적
Bilingualism and the Latin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1-09
[95]
서적
Storia della Sardegna antica
Il Maestrale
[96]
서적
La posizione linguistica del sardo nel contesto mediterraneo
Universitätsverlag Dr. N. Brockmeyer
[97]
서적
La civiltà fenicio-punica in Sardegna
Carlo Delfino Editore
[98]
간행물
Proceedings, VII Congress, Boulder-Denver, Colorado, 14 August – 19 September 1965,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Quaternary Research
Indiana University Press
[99]
서적
(Information from Wagner 1951: 73)
[100]
서적
Storia della Sardegna antica
Il Maestrale
[101]
웹사이트
Cicero: Pro Scauro
http://www.thelatinl[...]
2015-11-28
[102]
서적
Toponomastica barbaricina
Papiros
[103]
간행물
Archivio glottologico italiano
[104]
서적
D.E.S. – Dizionario etimologico sardo
[105]
서적
La Storia di Sardegna
Carlo Delfino Editore
[106]
서적
Atlas of Romance languages
[107]
학술지
From Latin to the Romance languages: A normal evolution to what extent?
http://oec.xmu.edu.c[...]
2019-02-01
[108]
서적
The Romance languages
Routledge
[109]
서적
Profilo linguistico dei dialetti italiani
Editori Laterza
[110]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111]
고전
[112]
서적
La lingua sarda
Ilisso
[113]
서적
La lingua sarda
Ilisso
[114]
서적
La lingua sarda
Ilisso
[115]
서적
Gli Arabi e la Sardegna: le invasioni arabe in Sardegna dal 704 al 1016
Edizioni della Torre
[116]
서적
Breve storia della scrittura in Sardegna. La "documentaria" nell'epoca aragonese
Editrice Democratica Sarda
[117]
간행물
Charte sarde de l'abbaye de Saint-Victor de Marseille écrite en caractères grecs
[118]
웹사이트
Un'inedita carta sardo-greca del XII secolo nell'Archivio Capitolare di Pisa
http://www.filologia[...]
[119]
서적
Lingua e cultura nella Sardegna Bizantina
[120]
서적
Gli Arabi e la Sardegna: le invasioni arabe in Sardegna dal 704 al 1016
Edizioni della Torre
[121]
서적
La lingua sarda
Ilisso
[122]
서적
Feudal Society. The Growth of Ties of Dependence
Christiebooks
[123]
서적
Manoscritti e lingua sarda
[124]
서적
Istoria de sa limba sarda
Ed. Domus de Janas
[125]
서적
La Sardegna dei Giudici
Il Maestrale
[126]
간행물
Le prime manifestazioni della scrittura nel cagliaritano
Cuec
[127]
서적
Antiquitates Italicae Moedii Evi
[128]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e filologia romanza
Il Mulino
[129]
서적
Il problema delle Origini e i più antichi testi italiani, in Storia della lingua italiana
Einaudi
[130]
서적
Sulle origini delle cancellerie giudicali sarde, in "Studi di paleografia e diplomatica"
CEDAM
[131]
서적
Sulle origini delle cancellerie giudicali sarde, in "Studi di paleografia e diplomatica"
CEDAM
[132]
서적
Condaghe di S. Maria di Bonarcado
Edizioni della Fondazione Il nuraghe
[133]
서적
La Letteratura in Lingua sarda. Testi, autori, vicende
CUEC
[134]
서적
La lingua sarda
Ilisso
[135]
서적
La Letteratura in Lingua sarda. Testi, autori, vicende
CUEC
[136]
서적
La lingua sarda
Ilisso
[137]
서적
Le origini delle lingue neolatine
Patron
[138]
서적
Le lingue tagliate: stori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in Italia
Rizzoli
[139]
서적
Storia linguistica della Sardegna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40]
서적
Storia della lingua italiana, Dall'Umbria alle Isole
Utet
[141]
웹사이트
La Carta de Logu
http://www.sandalyon[...]
[142]
웹사이트
Carta de Logu (original text)
http://www.nuraghe.e[...]
2015-11-28
[143]
논문
L'incoronazione di Barisone "Re di Sardegna" in due fonti contemporanee: gli Annales genovesi e gli Annales pisani
Rivista dell'Istituto di storia dell'Europa mediterranea, Consiglio Nazionale delle Ricerche
[144]
서적
La scrittura in Sardegna dal nuragico ad oggi
Carlo Delfino Editore
[145]
웹사이트
Dantis Alagherii De Vulgari Eloquentia
http://www.thelatinl[...]
[146]
웹사이트
Dante Online – Le Opere
http://www.danteonli[...]
[147]
백과사전
Sardinian language
https://www.britanni[...]
[148]
서적
De Vulgari Eloquentia
UTET
[149]
서적
Le lingue tagliate: stori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in Italia
Rizzoli
[150]
서적
The Romance Languages
Faber & Faber
[151]
웹사이트
La casa del signore. La lingua sarda nel De vulgari eloquentia
http://people.unica.[...]
[152]
웹사이트
Domna, tant vos ai preiada
http://www.trobar.or[...]
[153]
웹사이트
Raimbaut de Vaqueiras (392.7)
http://www.rialto.un[...]
[154]
서적
La lingua sarda
http://ir.nmu.org.ua[...]
Ilisso
2016-01-09
[155]
서적
Language and Philology in Romance
Mouton Publishers
[156]
서적
Identità linguistiche e letterarie nell'Europa romanza
Salerno Editrice
[157]
웹사이트
Le sarde, une langue normale
http://taban.canalbl[...]
2015-11-28
[158]
간행물
Dittamondo III XII 56 ss.
[159]
웹사이트
Sardinia in Arabic sources
http://eprints.uniss[...]
2016-06-24
[160]
서적
Storia della Sardegna antica
Edizioni Il Maestrale
[161]
서적
Arabi e sardi nel Medioevo
Editrice democratica sarda
[162]
서적
Il Libro di Ruggero. Il diletto di chi è appassionato per le peregrinazioni attraverso il mondo
Flaccovio Editore
[163]
서적
Gli Arabi e la Sardegna: le invasioni arabe in Sardegna dal 704 al 1016
Edizioni della Torre
[164]
논문
Il Nome Sardo del Mese di Giugno (Lámpadas) e i Rapporti del Latino d'Africa con quello della Sardegna
Italica
[165]
간행물
Archivio Cassinense Perg. Caps. XI, n. 11 " e "TOLA P., Codice Diplomatico della Sardegna, I, Sassari
[166]
서적
Storia Linguistica Della Sardegna
De Gruyter
[167]
서적
Cronaca medioevale sarda: i sovrani di Torres
Astra
[168]
서적
Breve storia della scrittura in Sardegna. La "documentaria" nell'epoca aragonese
Editrice Democratica Sarda
[169]
서적
Il Regno di Sardegna
Logus
2012-11-24
[170]
서적
Il Regno di Sardegna
Logus
2012-11-24
[171]
서적
Profilo storico della Sardegna catalano-aragonese
Edizioni della Torre
[172]
서적
Proto Arca Sardo: De bello et interitu marchionis Oristanei
CUEC
[173]
서적
La lingua sarda. Storia, spirito e forma
Ilisso
[174]
서적
Breve storia della scrittura in Sardegna. La "documentaria" nell'epoca aragonese
Editrice Democratica Sarda
[175]
서적
Breve storia della scrittura in Sardegna. La "documentaria" nell'epoca aragonese
Editrice Democratica Sarda
[176]
서적
Il Regno di Sardegna
Logus
2012-11-24
[177]
서적
De Chorographia Sardiniæ Libri duo. De Rebus Sardois Libri quatuor
https://books.google[...]
Typographia regia
1835
[178]
서적
La lingua sarda. Storia, spirito e forma
Ilisso
[179]
서적
La Sardegna al tempo degli Asburgo (secoli XVI-XVII)
Il Maestrale
[180]
웹사이트
Why is Catalan spoken in L'Alguer? – Corpus Oral de l'Alguerès
http://prosodia.upf.[...]
[181]
서적
Capitula sive acta curiarum Regni Sardiniae
[182]
간행물
Studi Sardo-Corsi, Dialettologia e storia della lingua fra le due isole
[183]
웹사이트
Ciurrata di la linga gadduresa, Atti del II Convegno Internazionale di Studi
http://maxia-mail.do[...]
[184]
서적
Sa Vitta et sa Morte, et Passione de sanctu Gavinu, Prothu et Januariu
http://www.filologia[...]
CUEC
[185]
서적
La lingua sarda: storia, spirito e forma
Francke
[186]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187]
서적
Alghero. Chiesa e società nel XVI secolo
Edizioni del Sole
[188]
서적
Alghero. Chiesa e società nel XVI secolo
Edizioni del Sole
[189]
간행물
Il più antico catechismo in sardo
https://ojs.unica.it[...]
[190]
간행물
La questione linguistica nei collegi gesuitici in Sardegna nella seconda metà del Cinquecento
[191]
서적
Elements d'història de la llengua catalana
Publicacions de la Universitat de València
[192]
서적
Storia della lingua sarda: dal paleosardo alla musica rap, evoluzione storico-culturale, letteraria, linguistica. Scelta di brani esemplari commentati e tradotti
Cuec
[193]
서적
A Companion to Sardinian History, 500–1500
Brill
[194]
서적
Studiare, istruire, governare. La formazione dei letrados nella Sardegna spagnola
EDES
[195]
웹사이트
Sardegna Cultura – Lingua sarda – Letteratura – Dalle origini al '700
http://www.sardegnac[...]
2018-01-24
[196]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De Gruyter Mouton
[197]
서적
Lingue, letterature, nazioni. Centri e periferie tra Europa e Mediterraneo
Franco Angeli Edizioni
[198]
서적
La Sardegna e la Corsica
UTET
[199]
간행물
La literatura hispánica de Cerdeña
https://dialnet.unir[...]
[200]
서적
España en Cerdeña
[201]
서적
Los Cinco Ultimos Libros de Fortuna de Amor
https://books.google[...]
Henrique Chapel
[202]
서적
De differentiis linguarum tum veterum tum quae hodie apud diversas nationes in toto orbe terraru in usu sunt, Sardorum lingua
http://gallica.bnf.f[...]
[203]
서적
Sardiniae brevis historia et descriptio
CUEC
[204]
서적
El Forastero
[205]
웹사이트
Vicenç Bacallar, el sard botifler als orígens de la Real Academia Española
http://www.vilaweb.c[...]
[206]
서적
Rime diverse
[207]
서적
Storia della lingua sarda: dal paleosardo alla musica rap, evoluzione storico-culturale, letteraria, linguistica. Scelta di brani esemplari commentati e tradotti
Cuec
[208]
서적
Storia della Sardegna spagnola
Chiarella
[209]
뉴스
La segunda vida de los tercios
https://elpais.com/c[...]
2019-06-04
[210]
서적
La Sardegna al tempo degli Asburgo (secoli XVI-XVII)
Il Maestrale
[211]
서적
Legendariu de santas virgines, et martires de Iesu Crhistu
https://archive.org/[...]
Per Lodouicu Grignanu
[212]
간행물
Sa chistione de sa limba in Montanaru e oe
https://dialnet.unir[...]
[213]
논문
Nazionalismo, cosmopolitismo e provincialismo nella tradizione letteraria della Sardegna (secc. XV–XVIII)
[214]
웹사이트
Cimitero antico
https://www.comune.p[...]
[215]
서적
La Sardegna
Edizioni Della Torre
[216]
서적
Breve storia della lingua italiana
Sansoni
[217]
서적
Dalla Spagna ai Savoia. Ceti e corona della Sardegna del Settecento
[218]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De Gruyter Mouton
[219]
서적
España en Cerdeña. Aportación cultural y testimonios de su influjo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Instituto Jerónimo Zurita
[220]
서적
La literatura hispánica de Cerdeña
https://dialnet.unir[...]
[221]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222]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De Gruyter Mouton
[223]
서적
La Sardegna
Edizioni Della Torre
[224]
서적
S'italianu in Sardìnnia candu, cumenti e poita d'ant impostu: 1720–1848; poderi e lìngua in Sardìnnia in edadi spanniola
Iskra
[225]
서적
Sardegna sabauda. Il regime di Vittorio Amedeo II
Tip. Mercantile G. Doglio
[226]
서적
Sardegna sabauda
Tip. Mercantile G. Doglio
[227]
서적
S'italianu in Sardìnnia candu, cumenti e poita d'ant impostu: 1720–1848; poderi e lìngua in Sardìnnia in edadi spanniola
Iskra
[228]
서적
Storia della lingua sarda: dal paleosardo alla musica rap, evoluzione storico-culturale, letteraria, linguistica. Scelta di brani esemplari commentati e tradotti
Cuec
[229]
서적
Biografia dei viceré sabaudi del Regno di Sardegna (1720–1848)
Della Torre
[230]
서적
La cessione del Regno di Sardegna alla Casa Sabauda. Gli atti diplomatici e di possesso con documenti inediti, in "Miscellanea di Storia Italiana. Terza Serie", v.10
Fratelli Bocca
[231]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232]
서적
L'italiano regionale di Sardegna
Zanichelli
[232]
서적
L'italiano nelle regioni. Lingua nazionale e identità regionali
UTET
[233]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234]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235]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236]
서적
Descrizione della Sardegna (1812)
Della Torre
[237]
서적
Dei costumi dell'isola di Sardegna comparati cogli antichissimi popoli orientali
http://www.sardegnad[...]
Giannini Francesco
2021-03-08
[238]
서적
Caccia grossa. Scene e figure del banditismo sardo
Ilisso
1997
[239]
서적
Grammatica moderna del sardo logudorese: con una proposta ortografica, elementi di metrica e un glossario
Edizioni della Torre
[240]
서적
The Phonology of Campidanian Sardinian: A Unitary Account of a Self-Organizing Structure
Holland Academic Graphics
[241]
서적
S'italianu in Sardìnnia candu, cumenti e poita d'ant impostu: 1720–1848; poderi e lìngua in Sardìnnia in edadi spanniola
Iskra
[242]
서적
Topologie postcoloniali. Innovazione e modernizzazione in Sardegna
[243]
백과사전
Sardegna
http://www.treccani.[...]
Treccani
[244]
서적
S'italianu in Sardìnnia candu, cumenti e poita d'ant impostu: 1720–1848; poderi e lìngua in Sardìnnia in edadi spanniola
Iskra
[245]
서적
L'Europa del Settecento: permanenze e mutamenti
UTET
[246]
서적
Represa i exercici de la consciència lingüística a l'Alguer (ss.XVIII-XX)
Arxiu de Tradicions de l'Alguer
[247]
기타
King Charles Emmanuel III of Sardinia, Royal Note
1760-07-23
[248]
서적
La Sardegna
Edizioni Della Torre
[249]
서적
Sardegna fra tante lingue
Condaghes
[250]
서적
Le lingue tagliate. Stori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in Italia
Rizzoli
[25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Romance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2]
서적
La Rassegna della letteratura italiana
Le Lettere
[253]
서적
Profilo linguistico dei dialetti italiani
Editori Laterza
[254]
서적
S'italianu in Sardìnnia candu, cumenti e poita d'ant impostu: 1720–1848; poderi e lìngua in Sardìnnia in edadi spanniola
Iskra
[255]
서적
Rivista storica italiana
Edizioni scientifiche italiane
[256]
서적
Canto sacro-popolare in Sardegna
S'Alvure
[257]
웹사이트
Sardegna Cultura – Lingua sarda – Letteratura – Dalle origini al '700
http://www.sardegnac[...]
2018-01-24
[258]
웹사이트
sardi, dialetti in "Enciclopedia dell'Italiano"
https://www.treccani[...]
[259]
서적
Rifiorimento della Sardegna proposto nel miglioramento di sua agricoltura
https://books.google[...]
Giammichele Briolo
[260]
서적
Saggio d'un opera intitolata Il ripulimento della lingua sarda lavorato sopra la sua analogia colle due matrici lingue, la greca e la latina
Bernardo Titard
[261]
웹사이트
MADAO, Matteo in "Dizionario Biografico"
https://www.treccani[...]
[262]
웹사이트
Ichnussa – la biblioteca digitale della poesia sarda
http://www.poesias.i[...]
[263]
기타
Un arxipèlag invisible: la relació impossible de Sardenya i Còrsega sota nacionalismes, segles XVIII-XX
http://www.tdx.cat/b[...]
Universitat Pompeu Fabra. Institut Universitari d'Història Jaume Vicens i Vives
[264]
서적
S'italianu in Sardìnnia candu, cumenti e poita d'ant impostu: 1720–1848; poderi e lìngua in Sardìnnia in edadi spanniola
Iskra
[265]
웹사이트
Febrés, la prima grammatica sul sardo. A lezione di limba dal gesuita catalano
https://www.sardinia[...]
Sardiniapost.it
2019-06-08
[266]
서적
Prima grammatica de' tre dialetti sardi
[267]
서적
Storia della lingua sarda: dal paleosardo alla musica rap, evoluzione storico-culturale, letteraria, linguistica. Scelta di brani esemplari commentati e tradotti
Cuec
[268]
서적
Le lingue tagliate. Stori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in Italia
Rizzoli
[269]
서적
La Sardegna
Edizioni Della Torre
[270]
서적
La Sardegna
Edizioni Della Torre
[271]
학회
Geostorica sarda. Produzione letteraria nella e nelle lingue di Sardegna
https://www.academia[...]
Rhesis UniCa
[272]
서적
Topologie postcoloniali. Innovazione e modernizzazione in Sardegna
Condaghes
[273]
서적
Prospettive identitarie in Sardegna, in Contarini, Silvia. Marras, Margherita. Pias, Giuliana. L'identità sarda del XXI secolo tra globale, locale e postcoloniale
Il Maestrale
[274]
서적
Saggio di grammatica sul dialetto sardo meridionale dedicato a sua altezza reale Maria Cristina di Bourbon infanta delle Sicilie duchessa del genevese
Reale stamperia
[275]
서적
S'italianu in Sardìnnia candu, cumenti e poita d'ant impostu: 1720–1848; poderi e lìngua in Sardìnnia in edadi spanniola
Iskra
[276]
웹사이트
Ortographia Sarda Nationale o siat Grammatica de sa limba logudoresa cumparada cum s'italiana
http://www.sardegnad[...]
Reale Stamperia
2019-06-27
[277]
서적
(Title unknown, context suggests a work praising Savoyard cultural policies in Sardinia)
[278]
서적
Ortographia sarda nationale o siat grammatica de sa limba logudoresa cumparada cum s'italiana
[279]
서적
Grammatica del sardo illustre: con la messa cristiana in lingua sarda
http://www.pittau.it[...]
C. Delfino
[280]
서적
Considerazioni politiche ed economiche sulla Sardegna
https://books.google[...]
Dalla Stamperia Reale
[281]
서적
Storia dell'idea di "nazione sarda"
Edizioni Della Torre
[282]
서적
Considerazioni politiche ed economiche sulla Sardegna
https://books.google[...]
Dalla Stamperia Reale
[283]
서적
Considerazioni politiche ed economiche sulla Sardegna
https://books.google[...]
Dalla Stamperia Reale
1848
[284]
서적
Considerazioni politiche ed economiche sulla Sardegna
https://books.google[...]
Dalla Stamperia Reale
[285]
서적
Filosofia de logu
Meltemi
[286]
서적
Ricordi di Santu Lussurgiu di Francesco Maria Porcu in Santu Lussurgiu dalle Origini alla "Grande Guerra"
Grafiche editoriali Solinas
[287]
서적
Sa limba est s'istoria de su mundu; Condaghe de Biddafraigada
[288]
서적
Sos discursos sacros in limba sarda
Imprenta Pontificia Mareggiani
[289]
서적
Le lingue tagliate. Stori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in Italia
Rizzoli
[290]
서적
Represa i exercici de la consciència lingüística a l'Alguer (ss.XVIII-XX)
Arxiu de Tradicions de l'Alguer
[291]
서적
Sull'unione civile della Sardegna colla Liguria, col Piemonte e colla Savoia
https://books.google[...]
Timon
[292]
웹사이트
Lingue sotto il tetto d'Italia. Le minoranze alloglotte da Bolzano a Carloforte – 8. Il sardo | Treccani, il portale del sapere
https://www.treccani[...]
[293]
서적
Sardo e italiano: tappe fondamentali di un complesso rapporto
CUEC
[294]
웹사이트
Il primo inno d'Italia è sardo
http://www.ilisso.co[...]
2016-07-05
[295]
웹사이트
Sardinia, History, People and Points of Interest. Sardinia in a united Italy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96]
서적
Le minoranze linguistiche in Italia
Società editrice Il Mulino
[297]
서적
La Sardegna. La cultura popolare, l'economia, l'autonomia
Edizioni Della Torre
[298]
서적
La Sardegna. La cultura popolare, l'economia, l'autonomia
Edizioni Della Torre
[299]
서적
La Sardegna
Edizioni Della Torre
[300]
서적
Storia della Sardegna
Edizioni della Torre
[301]
서적
Competenza comunicativa: insegnare e valutare
Sapienza Università Editrice
[302]
웹사이트
Moschetto e dialetto
https://www.treccani[...]
[303]
서적
Fanterie sarde all'ombra del Tricolore
La Nuova Sardegna
[304]
서적
Storia della Brigata Sassari
Gallizzi
[305]
서적
L'amarezza leggiadra della lingua. Atti del Convegno "Tonino Ledda e il movimento felibristico del Premio di letteratura 'Città di Ozieri'. Percorsi e prospettive della lingua materna nella poesia contemporanea di Sardegna": giornate di studio, Ozieri, 4–5–6 maggio 1995, Centro di documentazione e studio della letteratura regionale
[306]
웹사이트
lettera n° 23: 26 marzo 1927: a Teresina
https://leletteredal[...]
2009-11-13
[307]
서적
Gramsci and Languages. Unification, Diversity, Hegemony
Brill
[308]
웹사이트
Gramsci, la Sardegna, la lingua sarda, le tradizioni popolari
http://www.labarbagi[...]
LaBarbagia.net
2013-06-04
[309]
서적
La Sardegna contemporanea
Edizioni Della Torre
[310]
서적
Folk festivals in Sardinia
Janus
[311]
서적
Le lingue tagliate. Stori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in Italia
Rizzoli
[312]
서적
Grammatica del sardo illustre: con la messa cristiana in lingua sarda
http://www.pittau.it[...]
C. Delfino
[313]
서적
The invisible motherland? The Catalan-speaking minority in Sardinia and Catalan nationalism
[314]
웹사이트
Quando a scuola si insegnava la lingua sarda
http://www.manifesto[...]
2016-01-02
[315]
웹사이트
Remundu Piras
http://www.sardegnac[...]
2018-02-17
[316]
웹사이트
Sa chistione de sa limba in Montanaru e oe
https://dialnet.unir[...]
[317]
서적
Mediterranea (1927–1935): politica e cultura in una rivista fascista
AM & D
[318]
웹사이트
Sa chistione de sa limba in Montanaru e oe
https://dialnet.unir[...]
[319]
웹사이트
Est torradu Montanaru
https://web.archive.[...]
2019-06-19
[320]
웹사이트
Montanaru e la lingua sarda
https://www.manifest[...]
[321]
서적
Poesie scelte
Edizioni 3T
[322]
웹사이트
Sa Mundana Cummedia
http://www.lophius.n[...]
[323]
서적
Sa Mundana Cummédia
Domus de Janas
[324]
서적
The Phonology of Campidanian Sardinian: A Unitary Account of a Self-organizing Structure
[325]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Italian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326]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De Gruyter Mouton
[327]
서적
La Sardegna contemporanea
Edizioni Della Torre
[328]
서적
Idee di Sardegna
Carocci Editore
[329]
서적
La mano destra della storia. La demolizione della memoria e il problema storiografico in Sardegna
Carlo Delfino Editore
[330]
서적
Topologie postcoloniali. Innovazione e modernizzazione in Sardegna
Condaghes
[331]
서적
Topologie postcoloniali. Innovazione e modernizzazione in Sardegna
Condaghes
[332]
서적
Le radici dell'autonomia. Civiltà locali e istituzioni giuridiche dal Medioevo allo Statuto speciale
Edizioni Della Torre
[333]
서적
La sovrana e la cameriera: La Sardegna tra sovranità e dipendenza
Insula
[334]
웹사이트
Relazione di accompagnamento al disegno di legge "Norme per la tutela, valorizzazione e promozione della lingua sarda e delle altre varietà linguistiche della Sardegna"
http://www.condaghes[...]
[335]
서적
Le lingue tagliate
Rizzoli
[336]
웹사이트
Storia dell'autonomia in Sardegna, dall'Ottocento allo Statuto Sardo
https://web.archive.[...]
Stampa Grafica del Parteolla
2019-08-25
[337]
웹사이트
Strumenti giuridici per la promozione della lingua sarda
https://web.archive.[...]
Sardegna Cultura
2019-04-30
[338]
서적
Idee di Sardegna
Carocci Editore
[339]
서적
La lingua sarda nelle istituzioni. Quarant'anni di dibattiti in Consiglio Regionale
http://www.fondazion[...]
Edizioni Fondazione Sardinia
[340]
웹사이트
Storia dell'autonomia in Sardegna, dall'Ottocento allo Statuto Sardo
https://web.archive.[...]
Stampa Grafica del Parteolla
2019-08-25
[341]
서적
La conquista dell'autonomia (1943–49)
Einaudi
[342]
서적
La Sardegna. La cultura popolare, l'economia, l'autonomia
Edizioni Della Torre
[343]
웹사이트
Sardinia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Document to be presented to the European left University of Berlin – Enrico Lobina
http://www.enricolob[...]
[344]
뉴스
Schedati tutti gli insegnanti che vogliono portare la lingua sarda nelle scuole
1981-01-20
[345]
웹사이트
Lingua sarda: dall'interramento alla resurrezione?
http://www.manifesto[...]
2014-08-31
[346]
웹사이트
Cando ischedaiant sos maistros de sardu
https://salimbasarda[...]
[347]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De Gruyter Mouton
[348]
서적
Surrounded by Water: Landscapes, Seascapes and Cityscapes of Sardinia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349]
서적
Fueddariu sardu campidanesu-italianu
https://www.limbasar[...]
Domus de Janas
[350]
서적
Le identità linguistiche dei Sardi
Condaghes
[351]
서적
Introduction to Corongiu, Giuseppe, Il sardo: una lingua normale
Condaghes
[352]
서적
Topologie postcoloniali. Innovazione e modernizzazione in Sardegna
Condaghes
[353]
서적
The Phonology of Campidanian Sardinian. A Unitary Account of a Self-organizing Structure
Holland Academic Graphics
[354]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355]
서적
Le lingue tagliate
Rizzoli
[356]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357]
웹사이트
Regional Identity in Contemporary Sardinian Writing
https://www.europeno[...]
[358]
웹사이트
New research shows strong support for Sardinian – Eurolang
http://www.sotziulim[...]
[359]
서적
Il neo-sardismo
Edizioni Della Torre
[360]
서적
La lingua sarda nelle istituzioni. Quarant'anni di dibattiti in Consiglio Regionale
http://www.fondazion[...]
Edizioni Fondazione Sardinia
[361]
서적
La lingua sarda nelle istituzioni. Quarant'anni di dibattiti in Consiglio Regionale
http://www.fondazion[...]
Edizioni Fondazione Sardinia
[362]
서적
Minority Language Planning and Micronationalism in Italy: An Analysis of the Situation of Friulian, Cimbrian and Western Lombard with Reference to Spanish Minority Languages
Peter Lang
[363]
간행물
Linguistic Minorities in Countries Belonging to the European Community, Sardinian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I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
[364]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De Gruyter Mouton
[365]
서적
La lingua sarda nelle istituzioni. Quarant'anni di dibattiti in Consiglio Regionale
http://www.fondazion[...]
Edizioni Fondazione Sardinia
[366]
서적
Problemas e aficàntzias de sa pianificatzioni linguistica in Sardigna. Limba, Istòria, Sotziedadi / Problemi e prospettive della pianificazione linguistica in Sardegna. Lingua, Storia, Società
Youcanprint
[367]
서적
Idee di Sardegna
Carocci Editore
[368]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De Gruyter Mouton
[369]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De Gruyter Mouton
[370]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371]
웹사이트
No sias isciau
http://www.poesias.i[...]
[372]
서적
World Minorities
Quartermaine House
[373]
서적
Aspects of multilingualism in European language history
University of Hambur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374]
서적
Sardegna: geografie di un'isola
Franco Angeli
[375]
뉴스
Una lingua defunta da studiare a scuola
La Nuova Sardegna
1978-04-18
[376]
서적
Fuéddus e chistiònis in sárdu e italiánu
Istituto Superiore Regionale Etnografico
[377]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De Gruyter Mouton
[378]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De Gruyter Mouton
[379]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De Gruyter Mouton
[380]
서적
Regioni a statuto speciale e tutela della lingua
G. Giappichelli
[381]
서적
La lingua sarda nelle istituzioni. Quarant'anni di dibattiti in Consiglio Regionale
http://www.fondazion[...]
Edizioni Fondazione Sardinia
[382]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De Gruyter Mouton
[383]
서적
La lingua sarda nelle istituzioni. Quarant'anni di dibattiti in Consiglio Regionale
http://www.fondazion[...]
Edizioni Fondazione Sardinia
[384]
서적
Aspects of multilingualism in European language history
University of Hambur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385]
웹사이트
Corte costituzionale -
https://www.cortecos[...]
[386]
서적
Etnia e folklore: storia, prospettive, strumenti operativi
Artigianarte
[387]
서적
Educazione bilingue in Sardegna: problematiche generali ed esperienze di altri paesi
Edizioni di Iniziative culturali
[388]
서적
Regioni a statuto speciale e tutela della lingua
G. Giappichelli
[389]
웹사이트
Le lingue dei sardi
http://www.sardegnac[...]
2016-06-23
[390]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391]
논문
Transcultural flows and marginality: Reggae and hip hop in Sardinia
[392]
서적
Storia della lingua sarda
CUEC
[393]
뉴스
Stranos Elementos, musica per dare voce al disagio sociale
https://www.lanuovas[...]
2011-10-07
[394]
뉴스
Il passato che avanza a ritmo di rap
https://www.lanuovas[...]
2012-04-28
[395]
뉴스
Cori e rappers in limba alla Biennale
https://www.lanuovas[...]
2012-12-16
[396]
웹사이트
La lingua sarda al cinema. Un'introduzione.
http://people.unica.[...]
2016-05-29
[397]
서적
Storia della lingua sarda
CUEC
[398]
서적
Sa chistione mundiali de s'energhia : inue semus andende chin-d una tecnologia et una economia chi non-giughent respettu pro sa natura?
CUEC
[399]
법률
Italian Constitution
https://www.senato.i[...]
[400]
웹사이트
Sprechen in Sardinien
https://www.salto.bz[...]
2017-01-28
[401]
간행물
Regional and minority languages in the European Union, Briefing September 2016
http://www.europarl.[...]
European Parliamentary Research Service
[402]
뉴스
L'Ue richiama l'Italia: non ha ancora firmato la Carta di tutela
http://messaggeroven[...]
2013-06-06
[403]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Greenwood Publishing Group
[404]
웹사이트
Lingue di minoranza e scuola. A dieci anni dalla Legge 482/99. Il plurilinguismo scolastico nelle comunità di minoranza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s://jemi.myblog.[...]
2024-11 (dead link)
[405]
뉴스
Il sardo è un dialetto. Campagna di boicottaggio contro l'editore Giunti
http://www.sardiniap[...]
2013-11-02
[406]
웹사이트
La situazione sociolinguistica della Sardegna settentrionale
http://www.luigiladu[...]
[407]
웹사이트
Sa limba sarda
https://www.midesa.i[...]
[408]
웹사이트
La lingua sarda oggi: bilinguismo, problemi di identità culturale e realtà scolastica
http://www.francopig[...]
[409]
서적
La lingua sarda oggi: bilinguismo, problemi di identità culturale e realtà scolastica
[410]
뉴스
The Sardinian professor fighting to save Gaelic – and all Europe's minority tongues
http://www.theguardi[...]
2016-03-13
[411]
서적
Topologie postcoloniali. Innovazione e modernizzazione in Sardegna
Condaghes
[412]
서적
Surrounded by Water: Landscapes, Seascapes and Cityscapes of Sardinia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413]
웹사이트
Un programma sperimentale di educazione linguistica in Sardegna
https://web.archive.[...]
2022-06-20
[414]
서적
Language, society and identity
Oxford
[415]
웹사이트
Institut für Linguistik/Romanistik
http://www.uni-stutt[...]
[416]
웹사이트
Una breve introduzione alla "Questione della lingua sarda"
http://www.rivistaet[...]
2014-07-30
[417]
간행물
Language Vitality and Endangerment
[418]
서적
Assessing Endangerment: Expanding Fishman's GIDS
[419]
웹사이트
Ai docenti di sardo lezioni in italiano
http://www.sardegna2[...]
[420]
뉴스
In famiglia si riparla il sardo, i figli lo insegnano ai genitori
https://www.lanuovas[...]
[421]
웹사이트
L'uso della lingua italiana, dei dialetti e delle lingue straniere
https://www.istat.it[...]
Istat
[422]
웹사이트
Sardinien: Ferienparadies oder stiller Tod eines Volkes?
http://www.gfbv.it/3[...]
2006-12-21
[423]
서적
Sardinia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Publications
[424]
웹사이트
L'aménagement linguistique dans le monde: page d'accueil
http://www.axl.cefan[...]
[425]
웹사이트
Scuola e minoranze linguistiche, vertice a Roma
https://www.lanuovas[...]
2018-12-31
[426]
웹사이트
Consulta OnLine – Sentenza n. 215 del 2013
https://www.giurcost[...]
[427]
웹사이트
Università contro spending review "Viene discriminato il sardo"
http://www.sassarino[...]
[428]
웹사이트
Il consiglio regionale si sveglia sulla tutela della lingua sarda
http://www.buongiorn[...]
[429]
웹사이트
Salviamo sardo e algherese in Parlamento
http://notizie.algue[...]
[430]
웹사이트
Il sardo è un dialetto?
http://www.rossomori[...]
[431]
웹사이트
Do you speak... su Sardu?
http://www.focusarde[...]
[432]
웹사이트
Cagliari, promosso a pieni voti il tredicenne che ha dato l'esame in sardo – Sardiniapost.it
http://www.sardiniap[...]
2013-06-27
[433]
웹사이트
Eleonora d'Arborea in sardo? La prof. "continentale" dice no – Sardiniapost.it
http://www.sardiniap[...]
2013-07-09
[434]
웹사이트
Esame di maturità per la limba
http://lanuovasardeg[...]
[435]
웹사이트
Quartu, esame di terza media in campidanese:studenti premiati in Comune
http://www.castedduo[...]
[436]
웹사이트
Studentessa dialoga in sardo con il presidente dei docenti
http://lanuovasardeg[...]
[437]
웹사이트
In sardo all'esame di maturità. La scelta di Lia Obinu al liceo scientifico di Bosa
http://www.bentos.it[...]
[438]
웹사이트
Studente sostiene l'esame di terza media su Grazia Deledda interamente in sardo
https://www.unionesa[...]
2016-06-24
[439]
뉴스
La maturità ad Orgosolo: studente-poeta in costume sardo, tesina in limba
http://www.sardiniap[...]
2017-07-04
[440]
웹사이트
Col costume sardo all'esame di maturità discute la tesina in "limba", Casteddu Online
http://www.castedduo[...]
[441]
웹사이트
All'esame di terza media con una tesina in sardo
https://www.lanuovas[...]
2018-07-11
[442]
웹사이트
Sardinian 'rebels' redraw island map
http://www.thelocal.[...]
[443]
웹사이트
La limba sulle mappe di Google
http://lanuovasardeg[...]
2013-09-15
[444]
웹사이트
Su Google Maps spariscono i nomi delle città in sardo
http://lanuovasardeg[...]
2013-10-15
[445]
웹사이트
Facebook in sardo: è possibile ottenerlo se noi tutti compiliamo la richiesta
https://www.labarbag[...]
2014-12-19
[446]
웹사이트
Come si mette la lingua sarda su Facebook
http://www.giornalet[...]
2016-01-08
[447]
웹사이트
Via alle traduzioni, Facebook in sardo sarà presto una realtà
http://www.sardegnal[...]
[448]
웹사이트
Ora Facebook parla sardo, successo per la App in limba
https://www.sardinia[...]
2016-07-03
[449]
웹사이트
È arrivato Facebook in lingua sarda
https://www.wired.it[...]
2016-07-22
[450]
웹사이트
Telegram in sardu: oe si podet, ''Sa Gazeta''
http://www.sagazeta.[...]
[451]
웹사이트
Tecnologies de la sobirania
https://www.vilaweb.[...]
[452]
웹사이트
La limba nel cielo: le costellazioni ribattezzate in sardo
https://www.lanuovas[...]
2017-03-24
[453]
웹사이트
SkypeInYourLanguage
https://sourceforge.[...]
2018-04-16
[454]
웹사이트
Firefox, como su navigadore web faeddat sardu
https://www.istorias[...]
2023-03-17
[455]
웹사이트
Firefox parla in sardo: la missione di Sardware per diffondere la limba sul web
https://www.lanuovas[...]
2023-03-15
[456]
웹사이트
'Finanziato da Google nasce il primo traduttore automatico per la lingua sarda', Unione Sarda
http://www.unionesar[...]
2017-08-16
[457]
웹사이트
Sardinia's parties strike deal to introduce Sardinian language teaching in schools
http://www.nationali[...]
2015-11-28
[458]
웹사이트
Proposta di legge n. 167 – XV Legislatura
http://consiglio.reg[...]
2015-11-28
[459]
웹사이트
Lingua sarda, dalla Regione 3 milioni di euro per insegnarla nelle scuole
http://www.sardegnao[...]
2015-11-28
[460]
웹사이트
Sardegna, sì alla legge per la tutela della lingua: sarà insegnata nelle scuole
https://www.repubbli[...]
2018-06-27
[461]
웹사이트
Sardegna, approvata la legge che dà lo status ufficiale di lingua al sardo
https://www.lanuovas[...]
2018-06-27
[462]
웹사이트
Lingua sarda: quest'anno niente corsi nelle scuole
https://www.unionesa[...]
[463]
웹사이트
Manca, 5Stelle, denuncia: 100 docenti di lingua sarda rischiano il lavoro
https://www.lanuovas[...]
[464]
웹사이트
Niente lingua sarda a scuola, la legge regionale è inattuata
https://www.lanuovas[...]
[465]
웹사이트
Proposta de lege pro su sardu, non bi semus. Ite nde pensat su CSU
https://salimbasarda[...]
2017-06-09
[466]
웹사이트
Nono, gasi no andat bene. Su CSU e sa proposta de lege pro sa limba sarda – Limba Sarda 2.0
https://salimbasarda[...]
2017-06-20
[467]
웹사이트
Nono a sa lege chi cheret truncare su sardu – Limba Sarda 2.0
https://salimbasarda[...]
2018-04-06
[468]
뉴스
Nella Procura di Oristano si parla sardo: primo sportello giudiziario in Italia per una lingua minoritaria
https://www.lanuovas[...]
2020-01-20
[469]
뉴스
Su tribunale de Aristanis immoe faeddat in limba sarda
https://www.istorias[...]
2021-01-22
[470]
웹사이트
30 e lode in lingua sarda per gli studenti tedeschi, La Donna Sarda
http://www.ladonnasa[...]
[471]
웹사이트
I tedeschi studiano il sardo nell'isola
http://lanuovasardeg[...]
2015-05-18
[472]
웹사이트
DA MOGORO ALL'ISLANDA PER INSEGNARE IL SARDO: "COSÌ PROMUOVO L'ISOLA"
http://www.videolina[...]
2018-02-15
[473]
웹사이트
Studenti cechi imparano il sardo – Cronaca – la Nuova Sardegna
http://lanuovasardeg[...]
2014-08-24
[474]
웹사이트
Ecco come insegno il sardo nella Repubblica Ceca
http://www.sardiniap[...]
2015-11-08
[475]
웹사이트
In città il professore giapponese che insegna la lingua sarda a Tokio
http://ricerca.geloc[...]
[476]
웹사이트
Limba made in Japan
http://ricerca.geloc[...]
[477]
웹사이트
Il professore giapponese che insegna il sardo ai sardi
http://ricerca.geloc[...]
[478]
서적
Su bocabulariu sinotticu nugoresu-giapponesu-italianu
Della Torre
[479]
웹사이트
Un docente giapponese in pensione ha scritto il vocabolario sardo-italiano-giapponese | Vistanet
https://www.vistanet[...]
2016-11-10
[480]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Italian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481]
웹사이트
Lingue di minoranza e scuola, Carta Generale. Ministero della Pubblica Istruzione
http://www.minoranze[...]
[482]
서적
Multilinguismo nello Stato-Nazione, in Contarini, Silvia. Marras, Margherita. Pias, Giuliana. L'identità sarda del XXI secolo tra globale, locale e postcoloniale
Il Maestrale
[483]
웹사이트
The internet as a Rescue Tool of Endangered Languages: Sardinian – Free University of Berlin
http://www.gaia.es/m[...]
[484]
웹사이트
IL VIDEO/ Elisa, la studentessa cui è stata negata la tesina in sardo: "Semus in custa terra e no ischimus nudda"
https://www.sardinia[...]
2013-07-14
[485]
웹사이트
Team | Institut für Linguistik | Universität Stuttgart
https://www.ling.uni[...]
[486]
웹사이트
Caro Mastino, non negare l'evidenza: per te il sardo è una lingua morta. Che l'Università di Sassari vorrebbe insegnare come se fosse il latino
http://www.vitobiolc[...]
2011-07-20
[487]
웹사이트
Lingua Sarda: La figuraccia di Mastino, rettore dell'Università di Sassari
http://www.sanatzion[...]
[488]
서적
Language and nationalism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489]
서적
Multilinguismo nello Stato-Nazione, in Contarini, Silvia. Marras, Margherita. Pias, Giuliana. L'identità sarda del XXI secolo tra globale, locale e postcoloniale
Il Maestrale
[490]
서적
Idee di Sardegna
Carocci Editore
[491]
웹사이트
- Institut für Linguistik/Romanistik – Universität Stuttgart
http://www.uni-stutt[...]
2015-11-28
[492]
뉴스
No al sardo in Rai, Pigliaru: "Discriminazione inaccettabile"
http://lanuovasardeg[...]
2015-11-28
[493]
웹사이트
Bill excluding Sardinian, Friulian from RAI broadcasts sparks protest
http://www.nationali[...]
2015-11-28
[494]
웹사이트
On Why I Translated Zakaria Tamer's Stories from Arabic into Sardinian
http://arablit.org/2[...]
2015-11-28
[495]
웹사이트
Niente messa in limba, lettera al vescovo: "Perché non parlare in sardo?"
http://www.sardiniap[...]
2016-01-09
[496]
웹사이트
Messa vietata in sardo: lettera aperta all'arcivescovo Miglio
http://www.castedduo[...]
2016-01-08
[497]
서적
Topologie postcoloniali. Innovazione e modernizzazione in Sardegna
Condaghes
[498]
웹사이트
Question for written answer E-005984-17 to the Commission, Rule 130, Renato Soru (S&D)
https://www.europarl[...]
2017-09-26
[499]
웹사이트
'Sardinian, a digital language?', DLDP Sardinian Report, the Digital Language Diversity Project
http://www.dldp.eu/s[...]
2017-07-24
[500]
웹사이트
''Lingua sarda: "trinta prenu" per i primi due studenti'', Unica.it
http://www.unica.it/[...]
2023-12 (Dead Link)
[501]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Italian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502]
뉴스
''Se i ragazzi non-parlano la lingua degli anziani'', Piera Serusi
2017-12-08
[503]
웹사이트
The Council of Europe Advisory Committee on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Fourth Opinion on Italy, 2015
http://rm.coe.int/Co[...]
[504]
웹사이트
Lingua Sarda: il Consiglio d'Europa indaga lo Stato Italiano. Ne parliamo con Giuseppe Corongiu
http://www.sanatzion[...]
[505]
뉴스
Il Consiglio d'Europa: "Lingua sarda discriminata, norme non rispettate"
https://www.unionesa[...]
2016-06-24
[506]
웹사이트
Resolution CM/ResCMN(2017)4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by Italy, Council of Europe
https://rm.coe.int/1[...]
[507]
웹사이트
Sulla lingua sarda uno stato fuorilegge e inadempiente, Francesco Casula
https://www.manifest[...]
2016-06-30
[508]
서적
Sustaining Language Diversity in Europe. Evidence from the Euromosaic Project
Palgrave Macmillan UK
[509]
서적
Valori, opinioni e atteggiamenti verso le lingue locali, in Oppo, Anna (2007)
[510]
서적
Il sardo unificato e la teoria della panificazione linguistica
CUEC
[511]
서적
La lingua sarda oggi: bilinguismo, problemi di identità culturale e realtà scolastica
[512]
웹사이트
Difendere l'italiano per resuscitare il sardo
https://www.indiscre[...]
2016-09-02
[513]
서적
Le identità linguistiche dei sardi
Condaghes
[514]
서적
Sardegna: geografie di un'isola
Franco Angeli
[515]
웹사이트
Sardinian in Italy, 1995
https://www.uoc.edu/[...]
Euromosaic
2019-06-13
[516]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517]
웹사이트
Un programma sperimentale di educazione linguistica in Sardegna
https://www.comune.l[...]
2022-06-20
[518]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519]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520]
서적
Aspects of multilingualism in European language history
University of Hambur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521]
서적
Regioni a statuto speciale e tutela della lingua
G. Giappichelli Editore
[522]
뉴스
Il bilinguismo perfetto è ancora solo un miraggio
2021-03-23
[523]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524]
서적
Aspects of multilingualism in European language history
University of Hambur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525]
기타
[526]
서적
Manuale di linguistica sarda. Manuals of Romance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527]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2013: Selected papers from th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istorical Linguistics, Oslo, 5–9 August 2013.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5
[528]
웹사이트
Verb-initial orders in Old Romance: A comparative Account
https://www.academia[...]
2015
[529]
서적
Storia naturale della Sardegna. I quadrupedi
https://books.google[...]
[530]
웹사이트
Confini e confini. Il valore delle isoglosse (a proposito del sardo)
http://people.unica.[...]
[531]
서적
Le identità linguistiche dei sardi
Condaghes
[532]
서적
Il sardo: una lingua normale: manuale per chi non ne sa nulla, non conosce la linguistica e vuole saperne di più o cambiare idea
Condaghes
[533]
웹사이트
Sardo, Grafia
http://www.pittau.it[...]
[534]
서적
Bilingualism and Linguistic Conflict in Romance
De Gruyter Mouton
[535]
서적
Le identità linguistiche dei sardi
Condaghes
[536]
서적
Intonation in Rom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537]
웹사이트
Sardegna Cultura – Lingua sarda – Il sardo
http://www.sardegnac[...]
2015-11-28
[538]
서적
Ètude de géographie phonétique et de phonétique instrumentale du sarde
Edizioni dell'Orso
[539]
서적
Sardegna fra tante lingue. Il contatto linguistico in Sardegna dal Medioevo a oggi
Condaghes
[540]
서적
Le identità linguistiche dei sardi
Condaghes
[541]
웹사이트
Una lingua unitaria che non ha bisogno di standardizzazioni
https://bolognesu.wo[...]
2018-01-09
[542]
서적
Le identità linguistiche dei sardi
Condaghes
[543]
웹사이트
Le occlusive velari davanti a vocale palatale
http://www.filologia[...]
[544]
간행물
Caralis Panegyricus
[545]
웹사이트
Le labiovelari
http://www.filologia[...]
[546]
웹사이트
Journal of Language Relationship
https://jolr.ru/inde[...]
[547]
저널
https://www.academia[...]
2017-01
[548]
웹사이트
Le minoranze linguistiche in Italia
http://www.comune.ou[...]
2016-08-01
[549]
간행물
Studi sardo-corsi – Dialettologia e storia della lingua tra le due isole
http://www.sardegnad[...]
Taphros
[550]
서적
Storia naturale della Sardegna. I quadrupedi
https://books.google[...]
[551]
서적
Gli altri d'Italia : minoranze linguistiche allo specchio
Comune
[552]
웹사이트
Grammatica del Sardo Illustre
http://www.pittau.it[...]
2021-04-18
[553]
서적
Grammatica del sardo illustre: con la messa cristiana in lingua sarda
Carlo Delfino editore
[554]
서적
Regioni a statuto speciale e tutela della lingua
G. Giappichelli
[555]
웹사이트
Regole Ortografiche – Premio Ozieri di Letteratura Sarda
https://premiozieri.[...]
2021-04-18
[556]
서적
Il sardo: una lingua normale: manuale per chi non ne sa nulla, non conosce la linguistica e vuole saperne di più o cambiare idea
Condaghes
[557]
서적
Le identità linguistiche dei Sardi
Condaghes
[558]
서적
Surrounded by Water: Landscapes, Seascapes and Cityscapes of Sardinia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559]
웹사이트
Finché la barca va…
https://bolognesu.wo[...]
2011-06-13
[560]
웹사이트
Deliberazione n. 20/15 del 9.5.2005: Promozione e valorizzazione della cultura e della lingua della Sardegna. Indagine socio-linguistica sulla lingua sarda.
https://www.regione.[...]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561]
논문
Proposte di Miglioramento dello Standard Sardo L.S.C.
https://www.academia[...]
[562]
웹사이트
Sì alla lingua sarda standard, ma con questi emendamenti
https://www.vitobiol[...]
2020-11-14
[563]
웹사이트
Arrègulas po ortografia, fonètica, morfologia e fueddàriu de sa Norma Campidanesa de sa Lìngua Sarda
http://www.provincia[...]
2017-12-17
[564]
웹사이트
Monitoraggio sull'utilizzo sperimentale della Limba Sarda Comuna 2007–2013
http://www.sardegnac[...]
2020-11-14
[565]
논문
Which Sardinian for education?
https://books.google[...]
[566]
웹사이트
Which Sardinian for education?
https://www.slidesha[...]
2016-05-12
[567]
웹사이트
Quali erano anticamente i nomi più diffusi in Sardegna?
https://www.vistanet[...]
[568]
웹사이트
I toponimi sardi, un tesoro da riscoprire come i luoghi che raccontano
https://www.sardegna[...]
[569]
논문
Unveiling the Enigmatic Origins of Sardinian Toponyms
https://www.mdpi.com[...]
[570]
간행물
サルデーニャ語の名詞における2格体系の痕跡―sorre「姉妹」の成立過程を中心に―
http://cblle.tufs.ac[...]
東京外国語大学大学院総合国際学研究院
2012-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