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산군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산군은 중국 역사에서 여러 왕조에 걸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허베이성 스자좡시 일대에 위치했다. 진나라 때 항산군으로 시작하여 전한 시대에 상산군으로 개칭되었고, 이후 왕망의 신나라, 후한, 위, 서진, 북위, 북주, 수나라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명칭과 관할 지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특히 전한 시대에는 기주에 속했으며 18개의 현을 관할했고, 후한 시대에는 상산국으로 개칭되어 중산군 등과 경계를 조정했다. 이후에도 군의 치소와 관할 현의 변화를 겪었으며, 북위 시대에는 7개의 현을, 수나라 시대에는 8개의 현을 관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베이성의 군 - 탁군
탁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바오딩 시, 창저우 시, 헝수이 시 일대에 해당한다. - 허베이성의 군 - 중산군
중산군은 전한부터 수나라까지 존속하며 현재 허베이성 중남부에 위치했던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과 소속 현에 변화가 있었고, 후한 말 흑산적의 주요 거점, 조위와 서진 시대 제후국, 오호십육국 시대 여러 나라의 영역으로 편입, 북위 시대 정주 소속 등의 변화를 겪다가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 서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서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조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조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상산군 (행정 구역) | |
---|---|
지리 | |
위치 | 현재의 허베이성 남부 지역 |
역사 | |
설치 시기 | 진나라 시대 |
폐지 시기 | 당나라 시대 |
이전 행정 구역 (진나라) | 항산군 |
이후 행정 구역 (당나라) | 항주 / 진주 |
행정 구역 변천사 | |
진나라 | 항산군 |
전한 | 상산군 / 진정국 |
신 | 정관군 |
후한 | 상산국 |
삼국 시대 | 상산군 |
서진 | 상산군 |
동진 | 상산군 |
남북조 시대 | 상산군 |
수나라 | 항산군 |
당나라 | 항주 / 상산군 / 진주 |
2. 역사적 배경
상산군은 전국책에 처음 등장하는 지명으로, 전국 시대에는 조나라의 영토였다. 정확한 경계는 알 수 없으나, 현재 산시성혼원현에 있는 항산을 포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나라가 조나라를 멸망시킨 후 '''항산군'''을 설치하고, 군의 중심지(치소)를 동원현(현재의 스자좡 시 동부)에 두었다. 그러나 이때 항산군은 항산을 포함하지 않는 작은 규모였다.
전한 시대에는 문제의 이름(휘)을 피하기 위해 항산군을 상산군으로 바꾸고, 항산에서 봉산장곡 일대를 관할하게 되었다. 기원전 113년 (원정 4년)에는 군의 중심지를 진정현에서 원씨현으로 옮겼다. 전한의 상산군은 기주에 속했으며, 18개 현을 다스렸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 상산군에는 14만 1741가구, 67만 7956명이 살았다고 한다.[7]
왕망은 상산군을 정관군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후한이 건국되면서 다시 상산군으로 돌아왔다.[8]
37년 (건무 13년), 후한은 진정국을 상산군에 통합하고 '''상산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주변 군현들과 관할 구역을 조정하여 13개 현을 다스리게 되었다.[9]
북위 초기에는 정주에 속했으며, 7개 현을 관할했다.[11] 북주 시대에는 항주에 속했다.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상산군은 항주에 통합되었다. 607년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항주는 항산군으로 바뀌었다. 항산군은 8개 현을 관할했다.[12]
621년 (무덕 4년), 당나라가 두건덕을 평정하면서 항산군은 항주로 바뀌었다. 742년 (천보 원년) 항주가 다시 상산군으로 바뀌었으나, 758년 (건원 원년)에 항주로 다시 바뀌면서 상산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지게 되었다.[13]
2. 1. 진 (중국)
진이 조를 멸망시키고 그 판도로 삼으면서 '''항산군'''을 설치하고 군 치소를 동원현(현재의 스자좡 시 동부)에 설치했다. 항산을 포함하지 않는 소규모의 군이었다.[7]삼국의 위에 의해, 상산군 남서부에 낙평군이 설치되었다. 원씨현은 조국으로 이관되었고, 군 치소는 다시 진정현으로 이전했다.
진 시대에, 상산군은 진정·석읍·정형·상곡양·포오·남행당·영수·구문의 8현을 관할했다.[10]
2. 2. 전한
전한 고제 때 설치되었으며, 당시에는 헝산 산을 포함하고 있었다.[15] 여태후 원년(기원전 187년) 유불의를 항산왕에 봉하면서 항산국이 설치되었으나, 여태후 8년(기원전 180년) 여씨 일족이 멸망하면서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었다.[16] 이후 새 황제 문제의 휘를 피하여 상산으로 개칭되었다. 조나라에 속했다가 경제 치세의 제후국 약화 정책에 따라 조왕 유수의 허물을 이유로 삭감되어 한 조정의 직할지가 되었으며, 이는 조왕 유수가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하는 원인이 되었다.[17]경제 중5년(기원전 145년) 상산국으로 고치고 경제의 아들 유순을 왕으로 봉했다. 무제 때 13주 설치와 함께 기주에 속하였고, 기원전 114년 상산왕 유발이 폐위되면서 상산군이 되었다. 1년 후 상산군의 일부를 분할하여 진정국을 설치하고, 유순의 아들 유평에게 봉했다.[18][19]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4만 1741호, 67만 7956명이었다. 다음은 《한서》 지리지에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지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이며, 총 18현(13현 8후국)이었다.[1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원씨현 | 元氏縣 | 스자좡시 위안스현 북서 | 저수(沮水)[20]가 중구서산궁천곡(中丘西山窮泉谷)에서 갈려 나와 동으로 당양(當陽)에 이르러 황하(黃河)[21]로 들어간다. 안사고는 감인(闞駰)의 말을 인용해 조나라 공자 원의 봉읍이었기 때문에 원씨현이라 했다. |
석읍현 | 石邑縣 | 스자좡시 루취안구 남동 | 정형산(井陘山)이 서쪽에 있고, 효수(洨水)가 나와서 남동으로 영도에 이르러 지수(泜水)로 들어간다. |
상중후국 | 桑中侯國 | 스자좡시 핑산현 남 | 조나라 경왕의 아들 유광한이 지절 2년(기원전 68년) 4월에 봉해져 조나라에서 편입되었다. |
영수현 | 靈壽縣 | 스자좡시 링수현 북서 | 중산환공이 이곳에 살았다. 《우공》의 위수(衛水)가 북동에서 나와 동으로 호지(虖池)로 들어간다. |
포오현 | 蒲吾縣 | 스자좡시 핑산현 남동 | 철산(鐵山)이 있다. 대백거수(大白渠水)가 면만수(綿曼水)에서 갈려나와 남동으로 하곡양에 이르러 효수로 들어간다. |
상곡양현 | 上曲陽縣 | 바오딩시 취양현 서 | 항산 북곡이 북서에 있으며 병주산(幷州山)이다. 《우공》의 항수(恒水)가 나와서 동으로 구수(滱水)로 들어간다. |
구문현 | 九門縣 | 스자좡시 가오청구 북서 | |
정형현 | 井陘縣 | 스자좡시 징싱현 북서 | 응소에 따르면 정형산이 남쪽에 있다. |
방자현 | 房子縣 | 스자좡시 가오이현 남서 | 제수(濟水)가 나와서 동으로 영도에 이르러 저수로 들어간다. |
중구현 | 中丘縣 | 싱타이시 네이추현 서 | 봉산장곡(逢山長谷)에서 저수(渚水)가 나와서 동으로 장읍에 이르러 탁수(濁水)로 들어간다. |
봉사후국 | 封斯侯國 | 스자좡시 자오현 북서 | 조나라 경숙왕의 아들 유호양이 원삭 2년(기원전 127년) 6월에 봉해져 조나라에서 편입되었다. |
관현 | 關縣 | 스자좡시 롼청구 북서 | |
평극현 | 平棘縣 | 스자좡시 자오현 남동 | |
호현 | 鄗縣 | 싱타이시 바이샹현 북 | 광무제가 즉위한 곳으로, 즉위하면서 고읍(高邑)으로 개칭했다. |
악양후국 | 樂陽侯國 | 스자좡시 루취안구 북동 | 조나라 경왕의 아들 유열이 지절 2년(기원전 68년) 4월에 봉해져 조나라에서 편입되었다. |
평대후국 | 平臺侯國 | ? | 사현의 후국이다. |
도향후국 | 都鄕侯國 | ? | 철관이 있다. 조나라 경왕의 아들 유경이 감로 2년(기원전 52년) 7월에 봉해져 조나라에서 편입되었다. |
남행당현 | 南行唐縣 | 스자좡시 싱탕현 북 | 도위의 치소가 있다. 우흠산(牛欽山) 백륙곡(白陸谷)에서 자수(滋水)가 나와 동으로 신시(新市)에 이르러 호지로 들어간다. |
[15][22]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고 정관(井關)이라 칭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원씨(元氏) | 정관정(井關亭) |
상곡양(上曲陽) | 상산정(常山亭) |
구문(九門) | 구문(久門) |
방자(房子) | 다자(多子) |
호(鄗) | 화성정(禾成亭) |
악양(樂陽) | 창묘(暢苗) |
평대(平臺) | 순대(順臺) |
도향(都鄕) | 분향(分鄕) |
남행당(南行唐) | 연억(延億) |
2. 3. 후한
후한은 조국, 중산국, 거록군, 태원군과 경계를 조정하고, 건무 13년(37년)에 폐지된 진정국을 병합하여[23] 13현을 두었고, 9만 7500호, 63만 1184명을 다스렸다. 후한의 상산군은 관할 구역에 헝산 산이 있는 상곡양현이 중산국으로 넘어가 헝산 산을 경내에 두지 않았다.[24] 건무 17년(41년) 광무제의 아들 유보가 중산왕에 봉해질 때 중산나라의 지군으로 흡수되었다.[25]영평 15년(69년)에 명제의 아들 유병을 상산왕으로 봉해 왕국이 되었고, 건안 11년(206년)에 왕국이 폐지되었다.[26]
이름 | 종류 | 비고 |
---|---|---|
원씨 | 현 | 조군으로 이관되었다. |
고읍 | 현 | 광무제가 즉위한 곳. 원래 이름은 호(鄗)로 광무제가 개명. 기주자사의 치소. |
도향 | 후국 | |
남행당 | 현 | |
방자 | 현 | 조국이 조군으로 개편되면서 상산군의 일부 현들이 조군으로 이관되었는데, 조군으로 이관된 이후 조군의 치소가 되었다. |
평극 | 현 | 조군으로 이관되었다. |
난성 | 현 | |
구문 | 현 | |
영수 | 현 | |
포오 | 현 | |
정형 | 현 | |
진정 | 현 | 합병된 진정국에서 편입되었다. 촉한 유비의 심복이었던 조운이 태어난 곳이다. |
상애 | 현 | 원래는 태원군의 속현이었다. 216년(건안 21년)경에 낙평군으로 이관되었다. |
2. 4. 삼국 시대 (중국)
삼국 시대 위에 의해 상산군 남서부에 낙평군이 설치되었다. 원씨현은 조국으로 이관되었고, 군 치소는 다시 진정현으로 이전했다.2. 5. 서진
265년(서진) 상산국으로 격상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8현 24,000호를 거느렸다.[2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정현 | 眞定縣 | 스자좡 시 정딩 현 서고성촌 북 | |
정형현 | 井陘縣 | 스자좡 시 징싱현 북서 | |
남행당현 | 南行唐縣 | 스자좡 시 싱탕현 북 | |
영수현 | 靈壽縣 | 스자좡 시 링수현 북서 | |
구문현 | 九門縣 | 스자좡 시 가오청구 북서 | |
상곡양현 | 上曲陽縣 | 바오딩 시 취양현 서 | 현서북쪽에 산이 있다. |
석읍 | 石邑 | 스자좡 시 루취안구 상채향(上寨乡) 남동 | |
포오현 | 蒲吾縣 | 스자좡 시 핑산현 남동 | 후한 말기에 폐지되었다가 265년~280년 사이에 복구되었다. |
2. 6. 북위, 북주, 수
북위는 상산군을 정주(定州)에 소속시켰다. 당시 상산군은 7개 현을 관할했으며, 56,890호 248,622명의 주민이 살았다.[28]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구문현 | 九門縣 | 스자좡 시 가오청구 북서 | |
진정현 | 眞定縣 | 스자좡 시 정딩 현 서고성촌 북 | |
행당현 | 行唐縣 | 스자좡시 싱탕현 북 | 남행당현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490년(태화 14년)부터 497년(태화 21년)까지 존재했던 당군(唐郡)의 속현이었다. 희평 연간에 치소를 당성(唐城)에서 독건성(犢乾城)으로 옮겼다. |
포오현 | 蒲吾縣 | 스자좡시 핑산현 남동 | 가양성(嘉陽城)이 있다. |
영수현 | 靈壽縣 | 스자좡시 링수현 북서 | 소산(所山), 서왕모의 사당, 자수(慈水)가 있다. |
정형현 | 井陘縣 | 스자좡시 징싱현 북서 | 회성성(回星城)이 있다. |
석읍 | 石邑 | 스자좡시 루취안구 상채향(上寨乡) 남동 | 석읍성(石邑城)이 있다. |
북주 시대에 상산군은 항주(恒州)에 속했다.
수나라는 개황 초에 상산군(常山郡)을 폐지했다가 대업 초에 첫 글자를 '항(恆)'으로 바꿔 항산군(恒山郡)으로 복구했다. 당시 항산군은 8개 현을 관할했으며, 177,571호의 주민이 살았다.[29]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정현 | 眞定縣 | 스자좡 시 정딩 현 서고성촌 북 | 상산군이 폐지되면서 동시에 폐지되었다. 596년(개황 16년)에 상산현(常山縣)이 설치되었고 군을 복구하면서 상산현을 통폐합하면서 복치되었다. |
자양현 | 滋陽縣 | 스자좡 시 싱탕 현 북서 | 586년(개황 6년) 신설되었다. 596년 왕정현(王亭縣)을 신설했는데, 대업 초에 이 현을 통폐합했다. 대무산(大茂山), 세산(歲山)이 있다. |
행당현 | 行唐縣 | 스자좡시 싱탕현 북 | |
석읍현 | 石邑縣 | 스좌장 시 서남 | 북제에서 정형현이라고 칭했다가 586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596년 녹천현(鹿泉縣)을 신설했으나 대업 초에 통폐합했다. 봉룡산(封龍山), 포독산(抱犢山)이 있다. |
구문현 | 九門縣 | 스자좡시 가오청구 북서 | 북제 때 폐지되었던 것을 586년 복구했다. 대업 초에 신시현(新市縣)을 통폐합했다. 허춘루(許春壘)가 있다. |
정형현 | 井陘縣 | 스자좡시 징싱현 북서 | 북제에서 석읍을 폐하고 정형현을 복치했다. 586년 석읍현을 복구하였다. 596년 정형현에 정주(井州)를 설치하고 위택현(葦澤縣)을 설치했다. 하지만 대업 초에 정주는 폐지되었고 위택현과 포오현은 정형현에 통폐합되었다. |
방산현 | 房山縣 | 스자좡 시 핑산 현 | 596년 설치되었다. |
영수현 | 靈壽縣 | 스자좡 시 링수 현 | 북주에서 포오현을 복치했다가 개황대에 포오현을 통폐합했다. |
2. 7. 당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두건덕을 평정하자 항산군은 항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항주는 상산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상산군은 다시 항주로 개칭되었고, 이후 상산군의 호칭은 사용되지 않았다.[13]3. 주요 특징
상산군은 전국 시대 조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었으며, 현재의 산시성 혼원현에 있는 항산을 포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나라가 조나라를 멸망시킨 후 '''항산군'''을 설치하고 군 치소를 동원현(현재의 스자좡 시 동부)에 두었다.
전한 시대에는 문제의 휘를 피하여 상산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기주자사부에 속했다. 왕망 때는 정관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후한이 건국되면서 상산군으로 되돌아갔다.
37년(건무 13년), 진정국이 상산군에 통합되었고, 상산군은 '''상산국'''으로 개칭되었다. 주변의 중산국, 조군, 거록군과의 관할 지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삼국 시대에는 위나라에 의해 상산군 남서부에 낙평군이 설치되었고, 원씨현은 조국으로 이관되었으며, 군 치소는 다시 진정현으로 이전했다.
진 시대에는 8현을 관할했다. 북위 초년에는 정주에 전속되었고, 북주 시대에는 항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상산군은 폐지되어 항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항주는 항산군으로 개칭되었다.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두건덕을 평정하면서 항산군은 항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항주는 상산군으로 개칭되었으나, 758년(건원 원년) 다시 항주로 바뀌면서 상산군의 호칭은 사라졌다.
3. 1. 지리적 측면
전국책에 따르면 상산은 전국 시대 조나라의 영토였다. 정확한 관할 범위는 알 수 없으나, 현재의 산시성 혼원현에 있는 항산을 포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7]진나라가 조나라를 멸망시킨 후, '''항산군'''을 설치하고 군 치소를 동원현(현재의 스자좡시 동부)에 두었다. 그러나 이때 항산군은 항산을 포함하지 않는 작은 규모였다.[7]
3. 2. 행정 구역 변천
조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었으며, 원래 이름은 헝산 산에서 유래한 항산(恒山)이었다. 진나라가 항우에게 멸망한 후, 항우는 항산국을 설치하고 장이를 봉했다.[14]전한 고제 때 설치되었으며, 당시에는 헝산 산을 포함하고 있었다.[15] 여태후 원년(기원전 187년)에 유불의를 항산왕으로 봉하면서 항산국이 설치되었으나, 여태후 8년(기원전 180년) 여씨 일족이 멸망하면서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었다.[16] 이후 문제를 피휘(이름을 피함)하기 위해 상산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조나라에 속했으나, 경제 치세에 제후국 약화 정책으로 인해 조왕 유수의 영지가 삭감되어 한나라 조정의 직할지가 되었다. 이는 조왕 유수가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하는 원인이 되었다.[17]
경제 중5년(기원전 145년)에 다시 상산국으로 고치고 경제의 아들 유순을 왕으로 봉했다. 무제 때 13주를 설치하면서 기주에 속하였고, 기원전 114년에 상산왕 유발이 폐위되면서 상산국은 상산군이 되었다. 1년 후 상산군의 일부를 분할하여 진정국을 세우고, 유순의 아들 유평에게 봉했다.[18][19]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14만 1741호, 인구 67만 7956명이었다. 다음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지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8현(13현 8후국)이었다.[1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원씨현 | 元氏縣 | 스자좡시 위안스현 북서 | 저수(沮水)[20]가 중구서산궁천곡(中丘西山窮泉谷)에서 갈려 나와 동으로 당양(當陽)에 이르러 황하(黃河)[21]로 들어간다. 안사고는 감인(闞駰)의 말을 인용해 조나라 공자 원의 봉읍이었기 때문에 원씨현이라 한다 했다. |
석읍현 | 石邑縣 | 스자좡시 루취안구 남동 | 정형산(井陘山)이 서쪽에 있고, 효수(洨水)가 나와서 남동으로 영도에 이르러 지수(泜水)로 들어간다. |
상중후국 | 桑中侯國 | 스자좡시 핑산현 남 | 조나라 경왕의 아들 유광한이 지절 2년(기원전 68년) 4월에 봉해짐으로 조나라에서 편입. |
영수현 | 靈壽縣 | 스자좡시 링수현 북서 | 중산환공이 여기 살았다. 《우공》의 위수(衛水)가 북동에서 나와 동으로 호지(虖池)로 들어간다. |
포오현 | 蒲吾縣 | 스자좡시 핑산현 남동 | 철산(鐵山)이 있다. 대백거수(大白渠水)가 면만수(綿曼水)에서 갈려나와 남동으로 하곡양에 이르러 효수로 들어간다. |
상곡양현 | 上曲陽縣 | 바오딩시 취양현 서 | 항산 북곡이 북서에 있으니 병주산(幷州山)이다. 《우공》의 항수(恒水)가 나와서 동으로 구수(滱水)로 들어간다. |
구문현 | 九門縣 | 스자좡시 가오청구 북서 | |
정형현 | 井陘縣 | 스자좡시 징싱현 북서 | 응소에 따르면 정형산이 남쪽에 있다. |
방자현 | 房子縣 | 스자좡시 가오이현 남서 | 제수(濟水)가 나와서 동으로 영도에 이르러 저수로 들어간다. |
중구현 | 中丘縣 | 싱타이시 네이추현 서 | 봉산장곡(逢山長谷)에서 저수(渚水)가 나와서 동으로 장읍에 이르러 탁수(濁水)로 들어간다. |
봉사후국 | 封斯侯國 | 스자좡시 자오현 북서 | 조나라 경숙왕의 아들 유호양이 원삭 2년(기원전 127년) 6월에 봉해짐으로 조나라에서 편입. |
관현 | 關縣 | 스자좡시 롼청구 북서 | |
평극현 | 平棘縣 | 스자좡시 자오현 남동 | |
호현 | 鄗縣 | 싱타이시 바이샹현 북 | 광무제가 즉위한 곳으로 즉위하면서 이름을 고읍(高邑)으로 고쳤다. |
악양후국 | 樂陽侯國 | 스자좡시 루취안구 북동 | 조나라 경왕의 아들 유열이 지절 2년(기원전 68년) 4월에 봉해짐으로 조나라에서 편입. |
평대후국 | 平臺侯國 | ? | 사현의 후국이다. |
도향후국 | 都鄕侯國 | ? | 철관이 있다. 조나라 경왕의 아들 유경이 감로 2년(기원전 52년) 7월에 봉해짐으로 조나라에서 편입. |
남행당현 | 南行唐縣 | 스자좡시 싱탕현 북 | 도위의 치소가 있다. 우흠산(牛欽山) 백륙곡(白陸谷)에서 자수(滋水)가 나와 동으로 신시(新市)에 이르러 호지로 들어간다.[15][22] |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고서는 정관(井關)이라고 하였으며,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원씨(元氏) | 정관정(井關亭) |
상곡양(上曲陽) | 상산정(常山亭) |
구문(九門) | 구문(久門) |
방자(房子) | 다자(多子) |
호(鄗) | 화성정(禾成亭) |
악양(樂陽) | 창묘(暢苗) |
평대(平臺) | 순대(順臺) |
도향(都鄕) | 분향(分鄕) |
남행당(南行唐) | 연억(延億) |
후한에서는 조국·중산국·거록군·태원군과 경계를 조정하고, 건무 13년(37년)에 폐지된 진정국을 병합하여[23] 13현을 두었고, 9만 7500호, 63만 1184명을 다스렸다. 후한의 상산군은 관할 구역에 헝산 산이 있는 상곡양현이 중산국으로 넘어가 헝산 산을 경내에 두지 않았다.[24] 건무 17년(41년) 광무제의 아들 유보가 중산왕에 봉해질 때 중산나라의 지군으로 흡수되었다.[25]
영평 15년(69년)에 명제의 아들 유병을 상산왕으로 봉해 왕국이 되었고, 건안 11년(206년)에 왕국을 폐지했다.[26]
이름 | 종류 | 비고 |
---|---|---|
원씨(元氏) | 현 | 조군으로 이관되었다. |
고읍(高邑) | 현 | 광무제가 즉위한 곳. 원래 이름은 호(鄗)로 광무제가 개명. 기주자사의 치소. |
도향(都鄕) | 후국 | |
남행당(南行唐) | 현 | |
방자(房子) | 현 | 조국이 조군으로 개편되면서 상산군의 일부 현들이 조군으로 이관되었는데, 조군으로 이관된 이후 조군의 치소가 되었다. |
평극(平棘) | 현 | 조군으로 이관되었다. |
난성(欒城) | 현 | |
구문(九門) | 현 | |
영수(靈壽) | 현 | |
포오(蒲吾) | 현 | |
정형(井陘) | 현 | |
진정(眞定) | 현 | 합병된 진정국에서 편입되었다. 촉한 유비의 심복이었던 조운이 태어난 곳이다. |
상애(上艾) | 현 | 원래는 태원군의 속현이었다. 216년(건안 21년)경에 낙평군으로 이관되었다.[24] |
265년(태시 원년) 상산국으로 격상되었다. 서진대에 8현 24,000호를 거느렸다.[2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정현 | 眞定縣 | 스자좡 시 정딩 현 서고성촌 북 | |
정형현 | 井陘縣 | 스자좡시 징싱현 북서 | |
남행당현 | 南行唐縣 | 스자좡시 싱탕현 북 | |
영수현 | 靈壽縣 | 스자좡시 링수현 북서 | |
구문현 | 九門縣 | 스자좡시 가오청구 북서 | |
상곡양현 | 上曲陽縣 | 바오딩시 취양현 서 | 현서북쪽에 산이 있다. |
석읍 | 石邑 | 스자좡시 루취안구 상채향(上寨乡) 남동 | |
포오현 | 蒲吾縣 | 스자좡시 핑산현 남동 | 후한말기 폐지되었다가 265년~280년사이에 복구되었다. |
북위에선 정주에 소속시켰다. 7현 56,890호 248,622명을 거느렸다.[28]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구문현 | 九門縣 | 스자좡시 가오청구 북서 | |
진정현 | 眞定縣 | 스자좡 시 정딩 현 서고성촌 북 | |
행당현 | 行唐縣 | 스자좡시 싱탕현 북 | 남행당현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490년(태화 14년)부터 497년(태화 21년)동안 존재했던 당군의 속현이었다. 희평 연간에 치소를 당성(唐城)에서 독건성(犢乾城)으로 이관했다. |
포오현 | 蒲吾縣 | 스자좡시 핑산현 남동 | 가양성(嘉陽城)이 있다. |
영수현 | 靈壽縣 | 스자좡시 링수현 북서 | 소산(所山), 서왕모의 사당, 자수(慈水)가 있다. |
정형현 | 井陘縣 | 스자좡시 징싱현 북서 | 회성성(回星城)이 있다. |
석읍 | 石邑 | 스자좡시 루취안구 상채향(上寨乡) 남동 | 석읍성(石邑城)이 있다. |
수나라에서는 개황초에 '''상산군(常山郡)'''을 폐했다가 대업초에 첫글자를 '''항(恆)'''으로 바꿔 복구했다. 8현 177,571호를 거느렸다.[29]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정현 | 眞定縣 | 스자좡 시 정딩 현 서고성촌 북 | 상산군이 폐지되면서 동시에 폐지되었다. 596년(개황 16년)에 상산현(常山縣)이 설치되었고 군을 복구하면서 상산현을 통폐합하면서 복치되었다. |
자양현 | 滋陽縣 | 스자좡 시 싱탕 현 북서 | 586년(개황 6년)신설되었다. 596년 왕정현(王亭縣)을 신설했는데, 대업초에 이 현을 통폐합했다. 대무산(大茂山), 세산(歲山)이 있다. |
행당현 | 行唐縣 | 스자좡시 싱탕현 북 | |
석읍현 | 石邑縣 | 스좌장 시 서남 | 북제에서 정형현이라고 칭했다가 586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596년 녹천현(鹿泉縣)을 신설했으나 대업초에 통폐합했다. 봉룡산(封龍山), 포독산(抱犢山)이 있다. |
구문현 | 九門縣 | 스자좡시 가오청구 북서 | 북제때 폐지되었던 것을 586년 복구했다. 대업초에 신시현(新市縣)을 통폐합했다. 허춘루(許春壘)가 있다. |
정형현 | 井陘縣 | 스자좡시 징싱현 북서 | 북제에서 석읍을 폐하고 정형현을 복치했다. 586년 석읍현을 복구하였다. 596년 정형현에 정주(井州)를 설치하고 위택현(葦澤縣)을 설치했다. 하지만 대업초에 정주는 폐지되었고 위택현과 포오현은 정형현에 통폐합되었다. |
방산현 | 房山縣 | 스자좡 시 핑산 현 | 596년 설치되었다. |
영수현 | 靈壽縣 | 스자좡 시 링수 현 | 북주에서 포오현을 복치했다가 개황대에 포오현을 통폐합했다. |
전국 시대 조에 속했으며, 관할 범위는 불분명하지만, 현재의 산시성혼원현에 위치한 항산을 포함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진이 조를 멸망시키고 그 판도로 삼자, '''항산군'''을 설치하고 군 치소를 동원현 (현재의 스자좡시 동부)에 설치했다.
전한 시대가 되자 문제의 휘를 피하여 항산군은 상산군으로 개칭되었고, 기원전 113년 (원정 4년), 군 치소인 진정현과 부근의 고성현·비루현·면만현을 새롭게 진정국으로 하고, 상산군의 군 치소는 남서쪽의 원씨현으로 이전했다. 전한의 상산군은 기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씨현·석읍현·상중현·영수현·포오현·상곡양현·구문현·정형현·방자현·중구현·봉사현·관현·평극현·호현·낙양현·평대현·도향현·남행당현의 18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정관군으로 개칭되었다. 후한이 건국되자, 상산군의 명칭으로 되돌아갔다.[8]
37년 (건무 13년), 후한에 의해 진정국이 상산군에 통합되었다. 상산군은 '''상산국'''으로 개칭되었으며, 주변의 중산국·조국·거록군과의 사이에 관할 지역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삼국의 위에 의해, 상산군 남서부에 낙평군이 설치되었다. 원씨현은 조국으로 이관되었고, 군 치소는 다시 진정현으로 이전했다.
진 시대에, 상산군은 진정·석읍·정형·상곡양·포오·남행당·영수·구문의 8현을 관할했다.[10]
북위 초년에 정주가 설치되자, 상산군은 정주에 전속되었다.
북주 시대에, 상산군은 항주에 속했다.
583년 (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자, 상산군은 폐지되어, 항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어 군이 설치되자, 항주는 항산군으로 개칭되었다.
621년 (무덕 4년), 당이 두건덕을 평정하자, 항산군은 항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항주는 상산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상산군은 항주로 개칭되었고, 상산군의 호칭은 자취를 감추었다.[13]
참조
[1]
서적
Xihan Zhengqu Dili
People's Press
1987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Donghan Zhengqu Dili
Shandong Education Press
1999
[4]
서적
Book of Later Han
[5]
서적
Book of Sui
[6]
서적
New Book of Tang
[7]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8]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9]
서적
後漢書
[10]
서적
晋書
[11]
서적
魏書
[12]
서적
隋書
[13]
서적
旧唐書
[14]
문헌
사기
[15]
문헌
한서
[16]
문헌
사기
[17]
문헌
한서
[18]
문헌
한서
[19]
문헌
한서
[20]
문서
지수(泜水)라고도 한다.
[21]
문서
조일청에 따르면 횡하(橫河), 곧 횡장(橫漳)이다.
[22]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3]
문헌
후한서
[24]
문헌
속한서
[25]
문헌
후한서
[26]
문헌
후한서
[27]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8]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29]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