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섭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섭한은 중국의 신데렐라형 설화로, 계모에게 구박받던 섭한이 물고기 뼈의 도움으로 왕과 결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섭한은 수동적인 면과 능동적인 면을 모두 지닌 인물로 묘사되며, 작은 발을 미인의 조건으로 여기는 중국 문화적 배경이 나타난다. 이 설화는 섭한, 오동, 친모, 계모, 물고기, 타한의 왕 등 다양한 등장인물을 통해 전개되며, 섭한은 물고기 뼈의 도움으로 비단옷과 금 신발을 얻어 왕비가 된다. 섭한 설화는 둥족이나 좡족의 설화로 추정되며, 동남아시아 지역의 신데렐라형 설화와 유사성을 보인다. 이 이야기는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소설, 그림책, 영화 등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데렐라 - 신데렐라 콤플렉스
    신데렐라 콤플렉스는 여성이 남성에게 의존하려는 무의식적 심리 상태로, 콜레트 다울링이 제시한 개념이며 여성의 자립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섭한
기본 정보
중국어 간체叶限
중국어 정체葉限
한어 병음Yè Xiàn
한국어 (음독)엽한
작품 정보
유형신데렐라 이야기
언어중국어
저자단성식
발표860년경
출판유양잡조

2. 등장인물


  • '''섭한''':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계모에게 구박받았으나 신비한 물고기 뼈의 도움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타한의 왕과 결혼한다.
  • '''오동''': 섭한의 아버지이다. 마을의 권력자였으나 일찍 세상을 떠난다.
  • '''섭한의 친모''': 섭한을 낳고 일찍 죽은 오동의 첫째 부인이다.
  • '''계모''': 오동의 둘째 부인이다. 섭한을 구박하다가 결국 벌을 받는다.
  • '''물고기''': 섭한이 기르던 신비한 물고기이다. 죽은 뒤 남은 뼈가 섭한의 소원을 들어주는 조력자 역할을 한다.
  • '''타한의 왕''': 섭한이 잃어버린 금신발을 발견하고 신발의 주인을 찾아 섭한과 결혼하는 인물이다.

2. 1. 섭한 (葉限)

섭한(葉限)은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한나라 시대보다 훨씬 이전, 남쪽 지역 동굴에 살던 오(吳) 족장의 딸로 태어났다.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아버지마저 전염병으로 사망하자, 잔인한 계모와 이복 여동생 준리(Jun-Li) 밑에서 하녀처럼 살며 온갖 구박과 학대를 받았다. 그럼에도 섭한은 아름답고 마음씨가 고왔으며, 도자기 등 여러 방면에 재능이 있었다고 묘사된다.

계모가 시키는 힘든 일을 묵묵히 따르는 모습에서는 수동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자신을 위로해주던 특별한 물고기를 정성껏 돌보고, 물고기가 죽은 뒤 남은 뼈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의 의지로 마을 축제에 참여하며, 위기 상황에서 기지를 발휘하는 등 능동적인 면모 또한 보여준다. 집 근처 호수(또는 연못)에서 금빛 눈과 붉은 지느러미를 가진 특별한 물고기를 만나 친구처럼 지내며 위안을 얻었다. 이 물고기는 일찍 세상을 떠난 친어머니의 수호령과 같은 존재, 혹은 토테미즘적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하지만 계모가 이 사실을 알고 물고기를 잡아먹어 버린다.

이후 나타난 노인(혹은 하늘에서 내려온 인물)의 도움으로 물고기 뼈를 수습하고, 이 뼈에 소원을 빌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설날 축제 날, 계모가 자신과 친딸만 데리고 가고 섭한은 집에 남겨두지만, 섭한은 물고기 뼈에 빌어 화려한 비단옷과 금신발을 얻어 축제에 간다. 축제에서 이복 여동생에게 정체가 발각될 위기에 처하자 급히 도망치다가 금신발 한 짝을 잃어버린다. 이 신발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이웃 섬나라인 타한(陀汗)의 왕에게 전해진다.

왕은 신발의 아름다움과 작은 크기에 매료되어 신발 주인을 찾아 왕비로 삼겠다고 선포한다. 결국 섭한이 주인임이 밝혀지고, 왕은 섭한의 사정을 듣고 그녀의 선량함과 아름다움에 감탄하여 왕비로 맞이한다. 왕은 섭한과 물고기 뼈를 자신의 나라로 데려간다.

섭한의 금신발은 매우 작게 묘사되는데, 이는 중국에서 작은 발을 미인의 조건으로 여겼던 전족 풍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아동심리학자 브루노 베텔하임은 이 신발이 오직 섭한에게만 맞았다는 점에서 여성성기를 상징한다고 해석하기도 했다. 아버지는 성씨가 있었지만 섭한은 이름으로만 불리는 점에서,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이 아버지로부터 사회적 지위를 직접 물려받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준다는 해석도 있다.

2. 2. 오동 (吳洞)

오동(吳洞)은 섭한의 아버지로, 마을의 권력자였다. 아내가 둘이었는데 섭한의 친모가 먼저 죽은 뒤 자신도 죽었다. 딸을 사랑하는 아버지의 존재는 서사 안에서 맨 처음에만 등장한 뒤 나타나지 않아 은폐된다. 아동심리학자 Bruno Bettelheim에 따르면 많은 공주 이야기에서 아버지는 딸을 사랑하지만, 딸을 구하려 하지는 않는 존재이다.

2. 3. 섭한의 친모

오동의 첫째 부인으로, 섭한을 낳고 일찍 세상을 떠났다. 이야기 속에서 섭한을 돕는 물고기는 죽은 친모를 암시하는 존재로 해석되기도 한다. 물이 전통적으로 죽음이나 망자를 상징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물고기는 산 자와 죽은 자의 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셈이다. 이처럼 죽은 친모가 동물의 모습으로 나타나 주인공을 돕는 설정은 토테미즘적인 성격으로도 볼 수 있다.

2. 4. 계모

오동(吳洞)의 둘째 부인으로, 섭한의 친모와 오동이 죽은 뒤 섭한을 맡아 길렀다. 그러나 섭한을 구박하며 험한 산에서 장작을 구해오거나 깊은 계곡의 물을 길어오는 등 힘든 가사노동을 시켰다. 계모가 섭한에게 여러 가사노동을 부과하는 것은 섭한을 전통 사회에서 검증된 존재로 만들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는 해석도 있다. 섭한이 아끼던 물고기의 존재를 알게 되자, 섭한을 속여 멀리 보낸 뒤 물고기를 잡아먹고 그 뼈를 숨기는 등 악행을 저질렀다. 명절 축제에는 자신의 딸만 데려가고 섭한은 집에 남겨 일을 시켰으며, 축제에서 아름답게 차려입은 섭한을 보고 질투심을 느끼기도 했다. 결국 섭한이 왕비가 된 후 벌을 받았는데, 이야기에 따라 친딸과 함께 날아온 돌에 맞아 죽어 오녀총(懊女塚)에 묻혔다고도 하고, 다른 이야기에서는 동굴이 무너져 딸과 함께 매장되었다고도 전해진다.

2. 5. 물고기

섭한이 계곡에서 우연히 잡은 어류로, 지느러미가 붉고 눈이 금색이며 크기는 약 약 3.05m에 달했다.[15][16][17][18] 섭한은 이 물고기를 항아리에 넣어 기르다 나중에는 집 뒤 연못에 풀어주고 먹이를 나눠주며 친구처럼 지냈다. 이 물고기는 섭한의 죽은 친모가 딸을 잊지 못하고 보낸 수호령과 같은 존재로 여겨지며, 섭한에게만 모습을 드러냈다.[15][16][17][18]

그러나 섭한의 계모가 이 사실을 알고 섭한을 속여 멀리 보낸 뒤, 섭한의 옷을 입고 물고기를 유인하여 잡아먹었다.[15][16][17][18] 물고기의 죽음을 알고 슬픔에 빠진 섭한에게 하늘에서 내려온 인물(혹은 흰 옷을 입은 노인의 영혼)이 나타나, 물고기 뼈를 찾아 잘 보관하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주었다.[15][16][17][18]

물고기 뼈는 섭한의 소원을 들어주는 조력자 역할을 하여, 섭한이 명절 축제에 가고 싶어 하자 예복과 금신발을 마련해주었다. 이 신발은 훗날 섭한이 과 결혼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15][16][17][18] 물이 죽음이나 망자를 상징한다는 점에서, 물고기는 산 자의 세계와 망자의 세계를 잇는 존재이자 죽은 섭한의 친모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5][16][17][18] 죽은 친모가 동물로 나타나는 것은 토테미즘적 성격으로도 볼 수 있다.[15][16][17][18] 또한, 물고기 뼈를 소중하게 다루는 모습은 뼈를 함부로 다루면 더 이상 보상을 받을 수 없다는 수렵 시대의 보편적 윤리 의식을 반영한다.[15][16][17][18]

이야기 후반부, 타한(陀汗)의 왕은 섭한과 결혼하며 물고기 뼈도 함께 가져간다. 왕은 첫 해 동안 뼈에 기도하여 많은 보물을 얻었으나, 이듬해부터는 뼈가 아무것도 내놓지 않았다. 왕은 뼈를 진주로 채우고 으로 장식했지만, 훗날 반란이 일어나 군대의 도움을 얻기 위해 뼈를 파내려 하자 큰 파도에 휩쓸려 사라졌다고 전해진다.[15][16][17][18]

2. 6. 타한 (陀汗)의 왕

타한(陀汗)의 은 섭한이 사는 동굴 근처 섬나라의 통치자로, 섭한을 왕비로 맞이한 인물이다. 그는 잔혹하고 탐욕스러운 성격으로 묘사된다.

어떤 이가 주운 섭한의 금 신발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타한 왕에게 전달되었다. 왕은 신발의 작은 크기에 매료되어, 이 신발이 발에 맞는 여인을 찾아 왕비로 삼겠다고 선언했다. 나라 안의 모든 여자에게 신발을 신겨 보았지만 아무도 맞지 않았고, 신발은 깃털처럼 가벼워 돌을 밟아도 소리가 나지 않았다. 왕은 신발 주인을 찾기 위해 길가에 신발을 두고 주인이 나타나기를 기다렸고, 마침내 신발을 찾으러 온 섭한을 발견하게 된다.

왕은 섭한의 신발이 딱 맞는 것을 확인하고, 그녀의 사연을 들은 뒤 섭한과 물고기 뼈를 함께 자신의 나라로 데려갔다. 왕이 섭한과 결혼한 것은 그녀를 사랑해서라기보다는, 털처럼 가볍고 소리가 나지 않는 신성한 신발의 주인이자 보물을 가져다주는 물고기 뼈가 탐났기 때문으로 해석되며, 이들의 결합에는 로맨스가 부재한다.

결혼 후, 왕은 섭한을 첫 번째 비로 삼았다. 첫 해 동안 왕은 물고기 뼈에 소원을 빌어 한계가 없을 정도의 많은 보석을 얻었다. 그러나 다음 해가 되자 물고기 뼈는 더 이상 아무것도 내놓지 않았다. 왕은 뼈를 많은 진주로 채우고 으로 장식해 보관했다. 훗날 나라에 반란이 일어나자 군대의 도움을 얻기 위해 뼈를 파내려 했으나, 큰 파도에 휩쓸려 하룻밤 사이에 바다 밑으로 가라앉았다고 전해진다.

이야기 속에서 타한 왕은 은폐된 아버지의 대체물 역할을 하며, 섭한과 왕의 결혼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모티프를 은폐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신발이 여성의 성기를 상징하고 죽은 친모를 암시하는 물고기의 유산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결혼은 섭한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남편의 세계로 편입되는 통과 의례로 해석될 수도 있다.

3. 줄거리

진나라한나라보다 더 이전 시대에, 오동(吳洞)이라 불리는 동주(洞主)가 살았다. 그에게는 아내가 둘 있었는데, 한 아내가 섭한(葉限)이라는 딸을 남기고 먼저 세상을 떠났다. 오동은 지혜로운 딸 섭한을 아꼈으나, 그 역시 얼마 지나지 않아 죽고 말았다. 이후 섭한은 계모 밑에서 자라며 온갖 구박을 받았다. 계모는 섭한에게 힘든 일만 시켰는데, 주로 험한 곳에 가서 장작을 해 오거나 멀리 떨어진 곳에서 물을 길어 오는 일이었다.[24]

어느 날, 섭한은 지느러미가 붉고 눈이 금색인 진기한 물고기 한 마리를 잡아 항아리에 넣고 남몰래 길렀다. 물고기는 날마다 자라 항아리에 담을 수 없을 정도가 되자, 섭한은 집 근처 연못에 물고기를 풀어놓고 자신이 먹다 남긴 음식을 주며 길렀다. 이 물고기는 섭한이 먹이를 주러 올 때만 연못 수면 위로 머리를 내밀었고, 다른 사람이 오면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이 사실을 알게 된 계모는 섭한에게 새 옷을 입히고는 수백 리나 떨어진 샘에서 물을 길어 오라고 시켰다. 섭한이 집을 비운 사이, 계모는 섭한의 낡은 옷을 입고 연못으로 가 물고기를 유인해 잡아먹었다. 그리고 그 뼈는 두엄더미 아래에 몰래 묻어버렸다.[24]

섭한이 돌아와 연못에 가 보았지만 물고기는 보이지 않았다. 슬픔에 잠겨 목놓아 울고 있는데, 갑자기 하늘에서 머리를 풀어헤치고 거친 옷을 입은 사람이 내려왔다. 그는 계모가 물고기를 죽여 그 뼈를 두엄더미에 묻었으며, 그 뼈를 파내어 방 안에 두고 소원을 빌면 무엇이든 이루어질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섭한이 그의 말대로 하자, 금은보화와 좋은 옷, 맛있는 음식 등이 바라는 대로 생겨났다.[24]

마을 축제가 열리던 날, 계모는 자신의 친딸만 데리고 축제에 가면서 섭한에게는 집 마당의 과일나무나 지키라고 명령했다. 섭한은 계모와 의붓언니가 멀리 간 것을 확인하고 물고기 뼈에 소원을 빌었다. 그러자 아름다운 비취색 비단과 반짝이는 금신발이 나타났다. 섭한은 이 차림으로 축제에 갔다. 그러나 축제에서 의붓언니가 섭한을 알아보고 계모에게 알렸고, 계모도 섭한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이를 눈치챈 섭한은 서둘러 집으로 돌아오다가 너무 급한 나머지 금신발 한 짝을 길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계모가 집에 돌아와 보니 섭한이 마당 나무를 끌어안고 자고 있었기에 더 이상 의심하지 않았다.[24]

한편, 마을 근처 바다에는 타한(陀汗)이라는 강력한 섬나라가 있었다. 타한의 은 수많은 섬과 넓은 바다를 다스렸다. 어느 날, 마을 사람이 섭한이 잃어버린 금신발을 주워 타한에 팔았고, 신발은 왕의 손에 들어갔다. 왕은 신발의 아름다움과 작음에 감탄하여 신발의 주인을 찾으려 했다. 그는 궁궐의 모든 여인과 나라 안의 여자들에게 신발을 신어보게 했지만, 아무에게도 맞지 않았다. 신발은 깃털처럼 가볍고 걸어도 소리가 나지 않았다. 왕은 신발을 주워 판 사람을 의심하여 고문했지만, 신발의 출처를 알아내지 못했다. 결국 왕은 부하들을 시켜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신발의 주인을 찾게 했다.[24]

마침내 신하들은 섭한의 집을 찾아냈고, 섭한에게 신발을 신겨보니 꼭 맞았다. 섭한은 비취색 비단옷을 입고 나머지 금신발 한 짝을 마저 신어 보였다. 그 모습이 마치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 같았다. 섭한은 왕에게 그간 있었던 모든 일을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왕은 섭한의 이야기와 물고기 뼈의 신비한 힘에 감탄하여, 섭한과 물고기 뼈를 함께 타한으로 데려갔다. 계모와 의붓딸은 이 소식을 듣고 분노했지만, 갑자기 날아온 돌에 맞아 죽었다. 마을 사람들은 그들을 불쌍히 여겨 돌무덤을 만들어 주었고, 이 무덤을 '오녀총(懊女冢)'이라 불렀다.[24]

타한의 왕은 섭한을 첫 번째 왕비로 맞이했다. 처음 1년 동안 왕은 물고기 뼈에 소원을 빌어 원하는 보물을 마음껏 얻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물고기 뼈는 더 이상 소원을 들어주지 않았다. 왕은 물고기 뼈를 수많은 진주와 함께 바닷가에 묻고 으로 봉했다. 훗날 반란이 일어나 병사들이 군자금으로 쓰기 위해 무덤을 파헤치려 했으나, 거센 파도가 몰아쳐 하룻밤 사이에 뼈는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고 전해진다.[24]

4. 전승

유양잡조》에는 옹주(邕州, 지금의 광시 좡족 자치구) 사람 이사원(李士元)에게 들었다고 기록된 섭한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24] 이는 문자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신데렐라 유형 설화로 알려져 있다. 이야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섭한 아버지의 칭호 ‘동’(洞)이나 당시 당나라 기미주(羈縻州) 행정조직 명칭을 근거로 둥족 또는 좡족의 이야기로 보는 견해가 있다. 물고기가 조력자로 등장하는 점은 이야기 채록지인 옹주가 바다와 가까운 지역적 특성이나, 유사하게 물고기가 등장하는 베트남 설화와의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시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줄거리의 설화는 중국 각지에서 구전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특히 남부나 동북부의 소수민족 사이에서 많이 발견되고 한족 우세 지역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구전 설화 중에는 물고기 대신 가 주인공을 돕는 이본도 다수 존재하며, 이들 설화는 세부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된 줄거리 구조를 공유하는 경향이 있다.

4. 1. 기원과 전파

유양잡조》의 저자 단성식은 이 이야기를 옹주(邕州, 지금의 광시 좡족 자치구) 사람 이사원(李士元)에게 들었다고 기록했는데,[24] 이는 문자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신데렐라형 이야기로 알려져 있다. 섭한 아버지의 칭호 ‘동’(洞)을 근거로 이야기가 둥족(侗族)에서 유래했다고 보거나, ‘동’이 당나라 기미주(羈縻州)의 행정조직 명칭이었던 점에서 좡족에서 유래했다고 보기도 한다. 옹주가 바다와 가까운 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조력자로 물고기가 등장하는 것은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베트남의 신데렐라형 설화에서도 물고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두 이야기 사이에 상호텍스트적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섭한과 유사한 줄거리의 설화는 중국 각지에서 구전으로 전승되고 있다. 2013년 조사에 따르면 광시 좡족 자치구, 광둥성, 간쑤성, 쓰촨성, 구이저우성, 윈난성, 후베이성, 하이난성, 지린성, 랴오닝성, 헤이룽장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내몽골 자치구 등 14개 행정구역에서 유사 설화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설화는 주로 좡족, 이족, 조선족 등 중국 남부나 동북부의 소수민족 사이에서 발견되며, 한족이 우세한 지역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구전 설화 중에는 물고기 대신 가 주인공을 돕는 이본도 다수 존재한다.

이야기가 채록된 난닝 지역의 특성 등을 고려할 때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또한 이마무라 요시오는 주인공 '섭한'(葉限, Yè Xiàn)의 이름이 유럽 신데렐라 이야기의 '재'(Ash)와 발음상 유사하다는 양셴이(Yang Xianyi)의 지적을 소개하기도 했다.[20] 이야기에서 물고기가 조력자로 등장하는 점이 특징적인데,[21] 미나카타 쿠마구스는 이를 포르투갈 설화와의 연관성 및 중국 남부의 물고기 토템 신앙의 흔적으로 보았다.[22] 반면 R. D. 제임슨(R. D. Jameson)은 물고기 토템설의 가능성은 낮다고 보면서, 유럽 신데렐라 설화(그림 형제, 펜타메로네)에 등장하는 나무 조력자와 《유양잡조》 속 '정원의 나무' 사이의 연관성을 지적하기도 했다.[23]

4. 2. 중국 내 구전 설화

《유양잡조》에 실린 이야기와 유사한 줄거리의 설화가 중국 각지에서 구술로 전승되고 있다. 2013년 조사에 따르면 광시 좡족 자치구, 광둥성, 간쑤성, 쓰촨성, 구이저우성, 윈난성, 후베이성, 하이난성, 지린성, 랴오닝성, 헤이룽장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내몽골 자치구 등 열네 곳의 행정구역에서 발견되었다. 민족별 구성을 보면, 좡족(壯族), 이족(彝族), 조선족 등 중국 남부나 동북부의 소수민족에게서 많이 발견되었으며, 한족이 우세한 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물고기 대신 소가 주인공을 돕는 이본이 많다.

가장 많은 이본에서 안정적으로 나타나는 줄거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친모가 친딸을 두고 죽고, 친부는 재혼해서 딸을 낳는다.

# 계모가 주인공에게 소 돌보기, 길쌈하기 등 노동을 부과한다.

# 친모가 소로 변신하여 길쌈하기를 대신 수행한다.

# 계모가 소를 죽이고, 주인공은 소를 묻고 장사 지낸다.

# 계모가 자신의 딸과 축제에 가고, 주인공에게 물 긷기, 곡식 고르기 등 노동을 부과한다.

# 새가 노동을 해결하는 법을 알려준다.

# 주인공이 죽은 소에서 축제에서 입을 옷, 신발, 장신구를 얻는다.

# 주인공이 축제에서 신발을 잃고, 남편 될 자가 신발을 얻는다.

# 주인공이 신발 시험을 통과하고 혼인한다.

# 주인공이 친정에 갔다가 계모가 우물에 빠뜨려 죽인다.

# 계모의 딸이 주인공을 행세하며 부부로 산다.

# 주인공이 새, 나무, 목제품 등으로 환생한 뒤 사람으로 환생한다.

# 주인공이 남편과 재회하고, 계모와 그의 딸은 죽는다.

4. 3. 공통 줄거리

중국 각지에서 구술로 전승되는 섭한 이야기들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나타나는 공통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친어머니가 친딸을 두고 죽고, 아버지는 재혼하여 다른 딸을 낳는다.

# 계모가 주인공에게 소 돌보기, 길쌈하기 등 힘든 노동을 시킨다.

# 친어머니가 소로 변신하여 주인공 대신 길쌈을 해준다.

# 계모가 소를 죽이고, 주인공은 소를 묻어 장사를 지낸다.

# 계모가 자신의 딸만 데리고 축제에 가고, 주인공에게는 물 긷기, 곡식 고르기 같은 일을 시킨다.

# 새가 나타나 주인공에게 일을 해결할 방법을 알려준다.

# 주인공이 죽은 소에게서 축제에서 입을 옷, 신발, 장신구를 얻는다.

# 주인공이 축제에서 신발 한 짝을 잃어버리고, 미래의 남편이 될 사람이 그 신발을 줍는다.

# 주인공이 신발 시험을 통과하여 혼인한다.

# 주인공이 친정에 갔다가 계모에 의해 우물에 빠져 죽는다.

# 계모의 딸이 주인공 행세를 하며 남편과 함께 산다.

# 주인공이 새로 변하거나 나무, 목제품 등으로 환생한 뒤, 다시 사람으로 환생한다.

# 주인공이 남편과 다시 만나고, 계모와 그 딸은 죽음을 맞이한다.

5. 분석

섭한 이야기는 그 기원과 특징, 다른 문화권 설화와의 비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이야기의 유형적 특징과 결말 이후의 전개 양상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야기의 기원과 관련해서는 중국 남부 난닝 지역에서 유래했거나 동남아시아에서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서양의 신데렐라 이야기와의 연관성도 주목받는다. 또한 주인공을 돕는 조력자로 물고기가 등장하는 점은 다른 문화권의 유사 설화와 비교되는 독특한 특징으로, 이에 대한 해석은 분분하다.

한편, 섭한 이야기는 단순한 행복한 결말로 끝나지 않고 계모와 의붓자매에 대한 복수나 주인공의 변신 등 후속 이야기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아시아 지역 설화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로, 다양한 결말 버전과 변신 모티프를 통해 이야기의 복잡성과 다층적인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5. 1. 유형 분석

이 이야기는 지명 등을 고려할 때 현재의 난닝 지역 출신 인물로부터 채록된 것으로 보이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이마무라 요시오는 주인공 '예셴(葉限)'의 이름이 유럽어 등에서 를 의미하는 '애쉬(Ash)'와 매우 유사하다는 양셴이의 지적을 인용하며 서양의 신데렐라 이야기와의 연관성을 시사했다.[20]

섭한 이야기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주인공을 돕는 조력자로 물고기가 등장한다는 점이다.[21] 이는 널리 알려진 신데렐라 이야기의 변형들과 비교했을 때 두드러지는 부분이다. 민속학자 미나카타 쿠마구스는 포르투갈의 신데렐라 유형담에서도 물고기가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을 근거로, 이것이 중국 남부 지역에 남아있는 물고기 토템 신앙의 흔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22]

반면, R.D. 제임슨은 그림 형제 동화나 펜타메로네의 신데렐라 이야기에 등장하는 대추나무나 개암나무와 같이 식물이 조력자로 나타나는 점과 섭한 이야기에서 예셴이 돌보는 '정원의 나무' 사이의 관련성은 인정하면서도, 물고기 토템 신앙과의 직접적인 연결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23] 이처럼 조력자의 형태에 대한 다양한 해석은 섭한 이야기가 가진 독특한 문화적 배경을 보여준다.

5. 2. 이야기의 연속성

중국학자 보리스 L. 리프틴에 따르면, 공주가 왕자와 결혼하며 이야기가 마무리되는 유럽판 신데렐라와 달리, 중국동남아시아를 포함한 아시아판 신데렐라 이야기는 종종 계모와 의붓자매에 대한 복수나 원래 여주인공이 의붓자매로 대체되는 등의 후속 이야기로 이어진다.[15] 이는 단순한 행복한 결말을 넘어 복잡한 전개를 보여주는 아시아 설화의 특징 중 하나이다.

실제로 '섭한' 이야기에도 여러 다른 결말 버전이 존재한다. 한 버전에서는 예셴의 새 남편이 그녀의 의붓 가족을 궁궐로 데려와 함께 살게 하지만, 그들은 왕족의 생활 방식에 맞춰야만 하는, 사실상 노예와 같은 처지에 놓이게 된다. 이는 일종의 시적인 정의가 실현된 결말로 해석될 수 있다. 또 다른 버전에서는 계모와 의붓자매가 죽어 "후회의 여인들의 무덤"이라는 사당에 묻히고, 나중에는 여신이 되어 사람들의 소원을 들어주는 존재가 된다고 전해진다. 이 버전에서 예셴은 왕과 결혼한 후, 남편이 물고기 뼈의 힘을 남용하다 마법의 효력이 사라지고, 결국 왕국에 반란이 일어나 왕과 예셴의 운명이 불확실해지는 결말을 맞기도 한다.

또한 에버하르트와 팅의 연구 목록에 따르면, 중국판 신데렐라 이야기 유형에서는 여주인공이 계모나 의붓자매에 의해 물에 빠져 죽임을 당한 뒤, 새로 변신하거나 대나무로 다시 태어나는 등의 변신 모티프가 나타나기도 한다.[16][17][18] 이는 죽음과 재생을 통해 이야기가 계속 확장되고 변주되는 아시아 설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6. 각색


  • 소설 도나 조 나폴리의 ''Bound''는 섭한 이야기를 재해석한 작품이다.
  • 아이링 루이가 글을 쓰고 에드 영이 그림을 그린 그림책 ''중국 신데렐라 이야기''는 잘 알려진 각색 작품이다. 이 작품은 이후 애니메이션 시리즈 ''CBS 스토리브레이크''의 한 에피소드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 PBS의 어린이 프로그램 ''퍼즐 플레이스''의 "Going by the Book" 에피소드 역시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 영화 ''이어 오브 더 피쉬''는 섭한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참조

[1] 웹사이트 "Yeh-Shen'' (review)" http://bluerectangle[...] 2010-06-17
[2] 학술지 Asian Origins of Cinderella: The Zhuang Storyteller of Guangxi http://journal.oralt[...]
[3] 웹사이트 Cinderella: Ashes, Blood, and the Slipper of Glass https://web.archive.[...]
[4]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Folktales and Fairy Tales Greenwood Press 2008
[5] 서적 Footbinding: A Jungian Engagement with Chinese Culture and Psych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Ltd 2009-12-04
[6] 학술지 Rediscovering the Brothers Grimm of China: Lin Lan 2020-07
[7] 문서 Very small women's feet were highly valued in China, see [[Foot binding]].
[8] 서적 Mapping Fairy-Tale Space: Pastiche and Metafiction in Borderless Tale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21
[9] 서적 The Dragon Daughter and Other Lin Lan Fairy Ta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
[10] 학술지 Some Folktales in Graeco-Roman and Far Eastern Sources 1977
[11] 서적 "Дунганские народные сказки и предания" [Dungan Folktales and Legends] Главная редакция вост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издательства «Наука» 1977
[12] 서적 Typen Chinesischer Volksmärchen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37
[13] 서적 Typen Chinesischer Volksmärchen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37
[14] 서적 A Type Index of Chinese Folktales in the Oral Tradition and Major Works of Non-religious Classical Literature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78
[15] 서적 "Дунганские народные сказки и предания" [Dungan Folktales and Legends] Главная редакция вост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издательства «Наука» 1977
[16] 서적 Typen Chinesischer Volksmärchen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37
[17] 서적 A Type Index of Chinese Folktales in the Oral Tradition and Major Works of Non-religious Classical Literature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78
[18]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Folktales and Fairy Tales Greenwood Press 2008
[19] 서적 酉陽雑俎 平凡社 1980–1981
[20] 서적 酉陽雑俎 平凡社 1980–1981
[21] 서적 シンデレラの謎――なぜ時代を超えて世界中に拡がったのか 河出書房新社 2017
[22] 서적 南方熊楠全集 第2巻 平凡社 1979
[23] 서적 シンデレラ―9世紀の中国から現代のディズニーまで 紀伊国屋書店 1991-02
[24] 서적 酉陽雜俎 續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