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속사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사도는 17세기부터 열두 사도와 개인적인 접촉을 가졌던 세대를 대표한다고 여겨진 기독교 작가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들은 로마의 클레멘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서머나의 폴리카르포스,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등이며, 주요 저작으로는 클레멘스 1서, 이그나티우스의 서신, 폴리캅 서신, 디다케, 바나바 서신, 헤르마스의 목자 등이 있다. 속사도들은 다양한 신학적 경향을 보였으며, 그리스도와의 연합, 윤리와 도덕성 강조, 구약 성서의 비유적 해석 등을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부 -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는 347년경에 태어나 불가타를 완성하고 서방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친 기독교 신학자이며, 번역가, 사서, 백과사전 편찬자의 수호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 교부 - 오리게네스
    3세기 중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는 헬라어 문학과 철학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에서 교리학자로 활동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일부 논란적인 주장으로 사후 이단으로 정죄받았음에도 그의 성경 해석학과 신학적 업적은 후대 교회와 성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속사도
개요
로마의 클레멘스
클레멘스 로마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이그나티우스 안티오키아
스미르나의 폴리카르푸스
폴리카르푸스 스미르나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파피아스 히에라폴리스
아테네의 콰드라투스
콰드라투스 아테네
정의
설명신약성경에 포함되지 않은 초기 기독교 신학자
다른 이름사도 교부
속사도
주요 인물
로마의 클레멘스클레멘스의 제1서 저술
클레멘스의 제2서 저술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7통의 편지 저술
폴리카르푸스빌립보인들에게 보낸 편지 저술
파피아스주님의 말씀 해설 저술
기타폴리캅의 순교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낸 편지
바나바 편지
디다케
헤르마스의 목자
콰드라투스

2. 속사도 명칭의 기원과 역사

"속사도"(Apostolic Fathers)라는 명칭은 17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속사도들이 열두 사도와 개인적인 접촉을 가졌던 세대를 대표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1]

J. B. 라이트풋은 1890년에 속사도 작품을 번역하면서 명칭의 역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속사도"라는 표현은 비교적 최근까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 기원은 사도 시대 직후에 번성했던 사람들의 문학적 유물을 모으려는 아이디어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아이디어는 17세기 후반 장-밥티스트 코텔리에의 판에서 처음 구체화되었는데, 이전에는 자료가 부족하여 이러한 수집이 불가능했다. 코텔리에는 실제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유사한 표현을 사용했고, 이후 편집자인 토마스 이티그가 ''Patres Apostolici''라는 제목을 채택하면서 "속사도"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다.[4]

2. 1. 명칭의 초기 사용

"속사도"라는 명칭은 17세기부터 이들에게 적용되었으며, 이는 그들이 열두 사도와 개인적인 접촉을 가졌던 세대를 대표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1] 이 용어는 1693년 윌리엄 3세메리 2세의 왕실 사제였던 윌리엄 웨이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2] 가톨릭 백과사전에 따르면, "속사도"라는 용어는 장-밥티스트 코텔리에의 1672년 저서 ''SS. Patrum qui temporibus apostolicis floruerunt opera'' ("사도 시대에 번성했던 성부들의 작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책은 L. J. 이티그에 의해 1699년 같은 판에서 ''Bibliotheca Patrum Apostolicorum'' (''속사도 도서관'')으로 축약되었다.[1] "속사도"라는 용어는 7세기의 아나스타시우스 시나이타의 호게도스에 처음 등장했지만, 나중에야 문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3]

2. 2. 명칭의 정착

"속사도"라는 명칭은 17세기부터 이들에게 적용되었는데, 이는 그들이 열두 사도와 개인적인 접촉을 가졌던 세대를 대표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1] "속사도"라는 용어의 가장 초기의 사용은 1693년, 윌리엄 3세메리 2세의 왕실 사제였던 윌리엄 웨이크에 의해서였다.[2] ''가톨릭 백과사전''에 따르면, "속사도"라는 용어의 사용은 장-밥티스트 코텔리에의 1672년 저서인 ''SS. Patrum qui temporibus apostolicis floruerunt opera'' ("사도 시대에 번성했던 성부들의 작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책은 L. J. 이티그에 의해 1699년 같은 판에서 ''Bibliotheca Patrum Apostolicorum'' (''속사도 도서관'')으로 축약되었다.[1] "속사도"라는 용어는 7세기의 아나스타시우스 시나이타의 호게도스에 처음 등장하지만, 나중에야 문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한다.[3]

J. B. 라이트풋이 1890년에 속사도의 작품을 번역하면서 이 작가들에 대한 명칭의 역사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4]

> ...[속사도]라는 표현 자체는 내가 관찰한 바로는 비교적 최근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그 기원, 또는 적어도 일반적인 통용은 아마도 사도 시대 직후에 번성하여 직접적인 제자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문학적 유물을 모으려는 아이디어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이 아이디어는 17세기 후반(1672년) 코텔리에의 판에서 처음 구체화되었다. 사실 그러한 수집은 몇 년 전만 해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17세기 전반에는 클레멘트 서신(1633년)과 바나바 서신(1645년)이 처음으로 인쇄되었으며, 폴리카르포스 서신의 원본 그리스어(1633년)와 진본 형태의 이그나티우스 서신(1644년, 1646년)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이전 시대에는 그러한 프로젝트를 위한 자료가 너무 부족했을 것이다. 그러나 코텔리에는 자신의 제목 페이지에서 실제 표현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SS. Patrum qui temporibus Apostolicis floruerunt opera''와 같이 유사하게 사용했다. 그러나 다음 편집자 [토마스] 이티그(1699년)는 자신의 제목으로 ''Patres Apostolici''를 채택했고, 그 이후로 이 용어가 일반화되었다.

3. 주요 속사도들과 저작

일반적으로 다음의 저작들이 사도 교부들이 저술한 것으로 묶인다. 이탤릭체로 표시된 것은 저자가 알려지지 않은 저작이다.[5]


  • 로마의 클레멘스가 저술한 서신
  • * 클레멘스 1서
  • * ''클레멘스 2서'' (저자 논쟁, § 로마의 클레멘스 참조)
  •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의 일곱 서신
  • ''이그나티우스의 순교''
  • 폴리캅 서신
  • ''폴리캅의 순교''
  • 후기 저술가들의 인용으로 전해지는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의 저작 파편
  • 아테네의 콰드라투스의 변증의 짧은 단편
  • ''디다케''
  • ''바나바 서신''
  • ''디오그네토스에게 보낸 편지''[6]
  • ''헤르마스의 목자''


일부에서는 솔로몬의 시가 1세기 중엽경 사도 요한의 제자에 의해 쓰여졌다고 주장하기도 한다.[7]

이들 저작은 모두 또는 대부분 그리스어로 쓰였다. 기독교 고전 영문 도서관 웹사이트의 ''니케아 이전 교부'' 시리즈에서 이들 저작의 구판 영어 번역을 찾을 수 있다.[8] 조셉 라이트풋, 키르소프 레이크, 바트 D. 에르먼, 마이클 W. 홈스와 같은 초기 기독교 학자들에 의해서도 영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9] 1693년, 당시 웨스트민스터 세인트 제임스의 교구 사제였고, 후에 캔터베리 대주교가 된 윌리엄 웨이크가 사도 교부들의 저작 첫 영어 번역본을 출판했다.[10] 이 책은 19세기 중반까지 사실상 유일하게 이용 가능한 영어 번역본이었으나, 이후 더 나은 필사본이 많이 발견되었다.[11]

다음은 여러 그리스어 텍스트 판본이다.

판본 정보저자/번역가비고
The Apostolic Fathers. Vol. 1. I Clement. II Clement. Ignatius. Polycarp. Didache. Barnabas. Loeb 고전 총서. Cambridge: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12키르소프 레이크
The Apostolic Fathers. Vol. 2. Shepherd of Hermas. Martyrdom of Polycarp. Epistle to Diognetus. Loeb 고전 총서. Cambridge: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13키르소프 레이크
The Apostolic Fathers. Vol. 1. I Clement. II Clement. Ignatius. Polycarp. Didache. Loeb 고전 총서. Cambridge: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2003바트 에르먼레이크 대체
The Apostolic Fathers. Vol. 2. Epistle of Barnabas. Papias and Quadratus. Epistle to Diognetus. The Shepherd of Hermas. Loeb 고전 총서. Cambridge: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2005바트 에르먼레이크 대체
The Apostolic Fathers: Greek Texts and English Translations. 3rd Edition. Grand Rapids: Baker, 2007마이클 W. 홈스
Die Apostolischen Väter. Tübingen: Mohr Siebeck, 1992Andreas Lindemann and Henning Paulsen독일어


3. 1. 로마의 클레멘스 (Clement of Rome)

이레네오테르툴리아누스에 의하면 클레멘스는 베드로, 리노, 아나클레토의 뒤를 이어 네 번째로 로마 주교가 되었다고 한다.(88년 ~ 99년 재임)[58] 그는 사도 베드로에 의해 성성되었다고 하며, 1세기 말 로마 교회에서 지도적인 인물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4]

클레멘스의 첫째 편지는 필사되어 널리 읽혔으며, 일반적으로 신약 성경 외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독교 서신으로 여겨진다. 히브리서보다 두 배나 긴 매우 방대한 분량이며,[16] 저자가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 모두의 많은 책에 정통했음을 보여준다. 이 서신은 구약 성경을 성경으로 거듭 언급하며[17] 유딧기에 대한 수많은 언급을 포함하고 있어, 그의 시대에 유딧기가 사용되었거나 적어도 익숙했음을 보여준다. 서신 안에서 클레멘스는 고린도의 기독교인들에게 조화와 질서를 유지할 것을 촉구한다.[15] 전통은 저자를 로마의 주교 클레멘스로 여기며, 학자들의 일반적인 합의는 이 서신의 진정성을 압도적으로 지지한다.[18]

클레멘스의 둘째 편지는 전통적으로 일부 고대 저자에 의해 클레멘스에게 귀속되었지만, 현재는 140년에서 160년경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99년에 사망한 클레멘스의 작품일 수 없다.[13] 이 서신의 저작권에 대한 의문은 이미 고대 시대에 유세비우스와 제롬에 의해 제기되었다.[19][20] 클레멘스 1서가 서신인 반면, 클레멘스 2서는 구두 설교 또는 강론의 기록으로 보이며,[13] 신약 성경 외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독교 설교가 된다.

3. 2.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Ignatius of Antioch)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는 안티오키아 주교이자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였다.[60][21][22] '신을 짊어진 자'라는 뜻인 테오포로스(Θεοφόρος|테오포로스el)라고도 불렸다. 사상의 유사성 등으로 인해 사도 요한과 밀접한 관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61][23]

이냐시오는 로마에서 순교하러 가는 길에 초기 기독교 신학의 한 예로 보존된 일련의 서신을 썼다. 이 서신에서 다룬 중요한 주제에는 교회론, 성사, 주교의 역할[24] 및 성경적 안식일의 본질이 포함된다.[25] 그는 주교, 장로, 집사로 구성된 지역 교회 계층 구조를 명확하게 식별하고 성령의 영감을 통해 일부 교회에서 말한 적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클레멘트 다음으로 바울 서신을 언급한 두 번째 인물이다.[15]

3. 3. 서머나의 폴리카르포스 (Polycarp of Smyrna)

서머나의 주교였던 폴리카르포스(grc, – )는 사도 요한의 제자로 알려져 있다.[26] 그의 제자 이레네우스는 폴리카르포스를 "사도들에게서 직접 가르침을 받았을 뿐 아니라 주님을 뵌 많은 사람들과 교류했으며, 아시아와 스미르나 교회의 사도들에 의해 주교로 임명되었다"고 기록했다.[27] 또한 이레네우스는 어린 시절에 "폴리캅이 요한과 주님을 뵌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에 대해 설명하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28] 여기서 요한은 제베대오의 아들 요한 또는 요한 사제일 가능성이 있다.[29]

저술을 상징하는 책을 든 성 폴리캅


폴리카르포스는 로마 주교 아니케투스를 설득하여 서방 교회가 부활절을 14 니산에, 즉 동방 기독교에서처럼 지키도록 설득하려 했지만 실패했다.[30] 그는 동방 교회가 서방의 날짜를 따르라는 주교의 제안을 거부했다. 155년에 스미르나인들은 폴리카르포스를 기독교인으로 처형할 것을 요구했고, 그는 순교자로 죽었다. 그의 이야기에 따르면 그를 죽이기 위해 지어진 불길이 그를 태우는 것을 거부했고, 그가 칼에 찔려 죽었을 때 그의 몸에서 너무 많은 피가 흘러나와 그 주변의 불길을 껐다고 한다.[15] 폴리카르포스는 로마 가톨릭교회동방 정교회 모두에서 성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3. 4.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Papias of Hierapolis)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Παπίας|파피아스el)는 히에라폴리스(현재 터키 파묵칼레)의 주교였다. 이레네우스는 그를 "요한의 설교를 듣고 폴리캅과 동행했던 고대인"으로 묘사했다.[31] 유세비우스는 파피아스가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시대에 히에라폴리스의 주교였다고 덧붙였다.[32] '파피아스'(Παπίας)라는 이름은 그 지역에서 매우 흔했으므로, 그는 아마도 그 지역 출신이었을 것이다.[33]

파피아스의 주요 저작은 다섯 권으로 된 ''주님의 말씀 해설'' (Λογίων Κυριακῶν Ἐξήγησις|로기온 퀴리아콘 엑세게시스el)이었으나, 현재는 분실되었고 이레네우스와 유세비우스의 발췌본으로만 남아 있다. 필립 오브 사이드와 조지 하마르톨로스의 저작에서도 다른 단편들이 나오지만, 그 진위 여부는 불확실하다.[34]

3. 5. 아테네의 콰드라투스 (Quadratus of Athens)

아테네의 콰드라투스는 아테네의 주교였다. 유세비우스는 콰드라투스가 사도들의 제자(auditor apostolorum)였으며, 전임자 푸블리우스의 순교 이후 주교로 임명되었다고 전한다.[35][36] 콰드라투스의 주요 저작은 황제 하드리아누스에게 기독교인에 대한 제국 정책을 개선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읽혀진 것으로 보이는 ''변증서''이다. 이 저작은 유실되었으며 유세비우스의 발췌문에서만 전해진다.[37]

4. 기타 속사도 저작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도 교부들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작품들이다.[5]


  • 로마의 클레멘스가 저술한 서신
  • * 클레멘스 1서
  • * ''클레멘스 2서'' (저자 논쟁, § 로마의 클레멘스 참조)
  •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의 일곱 서신
  • ''이그나티우스의 순교''
  • 폴리캅 서신
  • ''폴리캅의 순교''
  • 후기 저술가들의 인용으로 전해지는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의 저작 파편
  • 아테네의 콰드라투스의 변증의 짧은 단편
  • ''바나바 서신''
  • 솔로몬의 시 (일부에서는 1세기 중엽경 사도 요한의 제자에 의해 쓰여졌다고 주장한다.)[7]


이 저작들은 모두 또는 대부분 그리스어로 쓰였으며, 구판 영어 번역은 기독교 고전 영문 도서관 웹사이트의 ''니케아 이전 교부'' 시리즈에서 찾을 수 있다.[8] 조셉 라이트풋, 키르소프 레이크, 바트 D. 에르먼, 마이클 W. 홈스와 같은 초기 기독교 학자들에 의해서 영어 번역본이 출판되기도 했다.[9] 1693년, 윌리엄 웨이크에 의해 사도 교부들의 저작 첫 영어 번역이 출판되었으며, 19세기 중반까지 사실상 유일하게 이용 가능한 영어 번역본이었다.[10] 이후 더 나은 필사본이 많이 발견되었다.[11]

여러 그리스어 텍스트 판본은 다음과 같다.

  • The Apostolic Fathers. Vol. 1. I Clement. II Clement. Ignatius. Polycarp. Didache. Barnabas. Loeb 고전 총서. Cambridge: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12 키르소프 레이크
  • The Apostolic Fathers. Vol. 2. Shepherd of Hermas. Martyrdom of Polycarp. Epistle to Diognetus. Loeb 고전 총서. Cambridge: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13 키르소프 레이크
  • The Apostolic Fathers. Vol. 1. I Clement. II Clement. Ignatius. Polycarp. Didache. Loeb 고전 총서. Cambridge: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2003 바트 에르먼 (레이크 대체)
  • The Apostolic Fathers. Vol. 2. Epistle of Barnabas. Papias and Quadratus. Epistle to Diognetus. The Shepherd of Hermas. Loeb 고전 총서. Cambridge: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2005 바트 에르먼 (레이크 대체)
  • The Apostolic Fathers: Greek Texts and English Translations. 3rd Edition. Grand Rapids: Baker, 2007 마이클 홈스
  • Die Apostolischen Väter. Tübingen: Mohr Siebeck, 1992 Andreas Lindemann and Henning Paulsen (German)

4. 1. 디다케 (Didache)

디다케(Didakhé)는 초기 기독교의 짧은 논문으로, 서기 50년에서 1세기 말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39] Διδαχή,|Didakhé|가르침grc[38]라고도 불리는 이 문서는 기독교 공동체를 위한 지침을 담고 있다. 이 텍스트는 최초로 기록된 교리문답서의 일부를 구성했을 수 있으며, 기독교적 교훈, 세례 및 성찬례와 같은 의식, 그리고 교회 조직에 관한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교부들은 이 텍스트를 신약성경의 일부로 간주했지만[40], 다른 이들은 이를 위경(정경에 속하지 않음)으로 거부했다.[41] 학자들은 다른 텍스트에서 ''디다케''에 대한 언급을 통해 그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텍스트 자체는 소실된 상태였다. 그러다 1873년, 니코메디아의 필로테오스 브리엔니오스 대주교가 예루살렘 필사본에서 이 텍스트를 재발견했다.

4. 2. 헤르마스의 목자 (Shepherd of Hermas)

헤르마스의 목자는 2세기에 코이네 그리스어로 로마에서 쓰여진 기독교 문헌이다.[43] 2세기와 3세기에 큰 권위를 지녔으며, 이레나이우스[42]테르툴리아누스 같은 교부들은 이 문헌을 성경으로 간주하기도 했다.[43]

헤르마스의 목자는 다섯 개의 환상, 12개의 권고, 10개의 비유로 구성되어 있다.[43] 알레고리를 사용하여 교회를 특별히 주목하고, 신자들에게 교회를 해롭게 한 죄를 회개하라고 촉구한다.[43]

4. 3. 디오그네토스에게 보낸 편지 (Epistle to Diognetus)

디오그네토스에게 보낸 편지는 현존하는 최초의 기독교 변증서이다. 이 편지에서 익명의 저자는 새로운 종교에 대해 더 알고 싶어하는 이교도 친구에게 기독교 신앙을 설명한다. 주로 로고스(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이교주의와 유대교의 오류에 대해 이야기하며,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을 설명한다.[44] 이 작품은 서기 130년경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45]

5. 속사도들의 신학 사상

속사도들의 저작은 아시아, 시리아, 로마, 알렉산드리아 등 다양한 지역의 신학적 경향을 보여준다.

5. 1. 주요 신학 사상

요한 문헌, 이그나티우스, 폴리캅, 파피아스가 대표하는 아시아 소아시아 학파는 영생을 얻기 위한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강조했다.[46] 이그나티우스는 성찬례를 신자를 그리스도의 수난에 결합시키며, "불멸의 약, 죽음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영원히 살게 하는 해독제"라고 썼다.[47] 파피아스는 역사적 전천년설—재림이 예수의 천년 통치(천년 동안)를 시작한다는 믿음—을 가르쳤다.

클레멘트와 헤르마스가 대표하는 로마 기독교는 스토아 철학의 영향을 받아 윤리와 도덕성을 강조했다. 헤르마스는 세례 후 지은 죄에 대해 한 번 용서받을 수 있다고 가르쳤으며, 초과 공로(하나님의 계명이 요구하는 것 이상으로 행하는 것) 개념을 도입했다. 이는 공로 보고와 서방 교회의 참회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다.

바나바 서신이 대표하는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중기 플라톤주의와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아 필로의 전통에 따라 윤리에 대한 초점과 구약성서의 비유적 해석을 결합했다. ''바나바 서신''은 기독교의 가르침과 조화를 위해 구약성서의 비유적 해석을 사용했고, 구약성서의 이야기는 예수의 구원 사역을 가리키는 유형으로 이해되었다.

속사도들은 모두 이방인으로, 구약의 권위와 유대교, 기독교의 관계에 대해 고심했다. ''바나바 서신'' 14.3-4는 계명판이 시나이산에서 파괴되었고 이스라엘은 하나님과 언약을 맺지 않았다고 주장했다.[48]

속사도들은 삼위일체론적 언어를 사용했는데, 클레멘트는 "우리에게는 한 분의 하나님, 한 분의 그리스도, 한 분의 은혜의 성령, 우리에게 부어진 성령이 있지 않습니까?"라고 썼다.[49] 기독론은 아직 발달하지 않았지만, 속사도들은 그리스도의 선재뿐만 아니라 그의 신성과 인성에 대해서도 동의했다. 이그나티우스는 예수를 "우리 하나님"이라고 언급하고, "한 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나타나셨는데, 그는 침묵에서 나온 그의 말씀이다"라고 썼다.[50] 가현설에 반대하면서 이그나티우스는 "의사는 한 분입니다. 육체와 영, 낳아짐과 낳아지지 않음, 사람, 하나님, 죽음 안에서 참된 생명, 마리아와 하나님으로부터 옴, 먼저 수난을 받고 그 다음 불멸하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라고 썼다.[51] ''헤르마스의 목자''에서 성령은 하나님의 아들과 동일시된다. "거룩하고 선재하는 영은 온 창조를 창조했는데, 하나님은 그가 원하시는 육체에 거하게 하셨다. 그러므로 성령이 거하는 이 육체는 성령에게 복종했다... 그는 이 육체를 성령의 동반자로 선택했다."[52]

속사도들은 교회 정치 또는 조직에 대한 단일한 개념을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디다케''에서 예언자는 교회의 가장 뛰어난 지도자이며, 감독집사는 부차적인 역할을 한다. 이는 "원시적인 은사적 권위 시스템과 교내에서 서서히 발전하고 있는 계층적 조직 사이의 과도기"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작가들은 감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사도 계승의 초기 설명에서 클레멘트는 사도들이 교회를 이끌 감독(또는 장로)과 집사를 임명했다고 가르친다. 이그나티우스는 단독 감독에 대한 가장 초기의 설명을 제공하며, "모든 사람은 집사들을 예수 그리스도로, 감독을 아버지의 모상으로, 장로들을 하나님의 회의와 사도들의 밴드로 존경해야 한다. 이들이 없이는 어떤 단체도 교회가 될 수 없다"라고 썼다.[53]

속사도들은 세례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신학자 제프리 휴고 램프에 따르면, 교부들은 세례를 "신자들이 하나님의 백성으로 표시되는 인장, 죄와 악마에게 죽고 부활 생명으로 다시 태어나는 길, 더럽혀지지 않도록 보존해야 하는 새하얀 옷, 그리스도 군인의 방패, 성령을 받는 성사"로 여겼다. 속사도들은 또한 성찬례가 기독교 예배의 중심이라고 분명히 생각했다. 이그나티우스는 성찬례를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과 밀접하게 동일시했다. "그것은 우리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살인데, 그 살은 우리의 죄를 위해 고난을 받았고 아버지가 일으키셨다"라고 했다.[54]

6. 속사도들과 한국 교회

한국 교회는 속사도들의 가르침을 통해 신앙의 기초를 다지고, 신학적 논쟁에 대응하며, 교회 제도를 확립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 특히, 속사도들의 교회론, 성례론, 윤리적 가르침은 한국 교회의 신학과 실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Catholic Encyclopedia
[2] 논문 On the origin of the term "Apostolic Fathers" https://openaccess.l[...]
[3] 서적 The Apostolic Fathers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4] 서적 The Apostolic Fathers Macmillan & Co.
[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6] 문서 Some editors place the Epistle to Diognetus among the apologetic writings, rather than among the Apostolic Fathers (Stevenson, J. A New Eusebius SPCK (1965) p. 400).
[7] 간행물 The Disciples of John and the Odes of Solomon https://zenodo.org/r[...]
[8] 웹사이트 The Apostolic Fathers with Justin Martyr and Irenaeus http://www.ccel.org/[...] Harry Plantinga 2016-06-30
[9] 뉴스 Bryn Mawr Classical Review: Review of The Apostolic Fathers: Greek Texts and English Translations http://bmcr.brynmawr[...] 2023-05-21
[10] 문서 The translation was entitled The Genuine Epistles of the Apostolical Fathers, St. Barnabas, St. Clement, St. Ignatius, St. Polycarp, the Shepherd of Hermas, and the Martyrdoms of St. Ignatius and St. Polycarp written by Those who were Present at Their Sufferings.
[11] 문서 Wake's 1693 translation is still available to this day, reprinted in a volume (first published in 1820) now being sold under the title [[The Lost Books of the Bible and the Forgotten Books of Eden]], which is described at length in chapter 15 of [[Edgar J. Goodspeed]], Modern Apocrypha (Boston: [[Beacon Press]], 1956).
[1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3] Catholic Encyclopedia
[14]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II: Ante-Nicene Christianity. A.D. 100–325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1-09-04
[15] 서적 Caesar and Christ Simon & Schuster 1972
[16] 문서 The Lightfoot translation of the [[First Epistle of Clement]] is 13,316 words; the [[Epistle to the Hebrews]] is only 7,300–7,400 words (depending on the translation).
[17] 서적 Canon of the New Testa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18] 문서 Louth 1987:20; preface to both epistles in William Jurgens The Faith of the Early Fathers, vol 1", pp 6 and 42 respectively.
[19] 서적 Church History
[20] 서적 De Viris Illustribus
[21] 서적 Ignatius in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urch History
[2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3] Encyclopedia Saint Ignatius of Antioch https://www.britanni[...]
[24] 문서 Eph 6:1, Mag 2:1,6:1,7:1,13:2, Tr 3:1, Smy 8:1,9:1
[25] 웹사이트 Ignatius's Letter to the Magnesians 9 http://www.ccel.org/[...]
[26] 간행물 Polycarp, Saint http://dx.doi.org/10[...] 2022-10-26
[27] 웹사이트 Adversus haereses, 3:3:4 http://www.newadvent[...]
[28] 서적 Church History
[29] 문서 Lake (1912).
[30] Encyclopedia
[31] 서적 Against Heresies
[32] 서적 Church History
[33] 서적 Early Christianity in the Lycus Valley https://books.google[...] BRILL 2013-11-29
[34] 서적 Jesus and the Eyewitnesses, 2d ed.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7
[35] 서적 Chronicon
[36] 서적 Church History
[37] 서적 Church History
[38]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39]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3-08
[40] 문서 Apostolic Constitutions
[41] 간행물 Festal Letter 39 http://www.ccel.org/[...]
[42] 서적 Biblical Criticism
[43] 웹사이트 Hermas https://www.catholic[...]
[44] 웹사이트 Mathetes https://www.newadven[...]
[45] Citation Early Christian Fathers
[46]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https://books.google[...] Abingdon Press
[47] 인용 Ign. Eph. chapter 20
[48] 서적 The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 서적 1 Clement 46 https://books.google[...] T & T Clark
[50] 인용 Ign. Eph. preface and Ign. Mag. chapter 8
[51] 인용 Ign. Eph. chapter 7
[52] 인용 The Shepherd sim. 5.6
[53] 인용 Trallians 3
[54] 인용 Smyrnaeans 6
[55]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改訂新版』 教文館
[56] 웹사이트 APOSTOLIC FATHERS http://encyclopedia.[...] 1911 Encyclopedia Britannica
[57] 웹사이트 The Apostolic Fathers https://www.newadven[...] 2016-06-30
[58] 서적인용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9] 문서 Louth 1987:20; preface to both epistles in William Jurgens ''The Faith of the Early Fathers'', vol 1", pp 6 and 42 respectively.
[60] 서적 Ignatius, St. Oxford University Press
[61] 웹사이트 Saint Ignatius of Antioch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62] 웹사이트 Adversus haereses, 3:3:4 http://www.newadvent[...]
[63] 서적 Against Heres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