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키타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키타이어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부 이란어의 일부로 간주하는 고대 언어이다. 북흑해 연안의 그리스 비문에 등장하는 사르마티아인의 이름과 오세트어의 연관성이 그 근거이다. 스키타이어는 소그드어, 호라즘어, 오세트어, 야그노비어와 특징을 공유하며, 폰토스 스키타이어는 고유한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스키타이어는 중앙아시아에서 동유럽으로 이동한 스키타이인들이 사용했으며, 훈족의 침략 이후 사라졌다. 현존하는 자료로는 비문, 인명, 부족명, 지명 등이 있으며, 헤로도토스는 스키타이어의 어원을 설명했다. 알라니아어는 스키타이어에서 파생된 언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북이란어군 - 박트리아어
    박트리아어는 쿠샨 제국 시대에 사용되었으며,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고, 7세기 아랍 침입 이후 소멸되었으며 라바타크 비문은 쿠샨 왕조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동북이란어군 - 오세트어
    오세트어는 코카서스 중앙부 오세트인의 언어로,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스키타이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여겨지고, 러시아의 북오세티야-알라니야와 남오세티야에서 주로 사용되며, 이론어와 디고르어 두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캅카스 언어의 영향을 받은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 스키타이 - 스키타이족
    스키타이족은 기원전 7세기부터 3세기까지 흑해 북쪽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이란계 유목민족으로, 뛰어난 기마 궁술과 유격전 전술, 흑해 지역 무역 장악 등으로 번성했으나 사르마티아인의 침입으로 쇠퇴했으며, 그 문화적 영향은 유라시아 대초원과 그리스-로마, 동아시아 지역까지 미쳤다.
  • 스키타이 - 박트리아
    박트리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타지키스탄 서부 일대에 해당하는 중앙아시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 동서양 문물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양한 종교가 융성했던 곳이다.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스키타이어
개요
이름스키타이어
다른 이름스키트어
ISO 639-3xsc (스키타이어)
Glottologsogd1247 (소그드-오세트어)
saka1303 (사카-와키)
언어학적 분류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어군이란어군
하위 어군동부 이란어군
사용 지역 및 시기
주요 사용 지역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동유럽
관련 민족스키타이인, 사르마티아인, 알란족
사용 시기고전 고대, 후기 고대
방언 및 후손 언어
서부 방언키메르어
폰토스 스키타이어
알란어
동부 방언스키타이-코탄어
언어 정보
사용 국가사르마티아
스키티아
시스탄
스키티아 미노르
스키티아 미노르
알라니아
지도 정보
기원전 100년경 동부 이란어군 언어와 민족의 대략적인 분포
기원전 100년경 동부 이란어군 언어와 민족의 대략적인 분포 (녹색으로 표시)

2. 분류

대부분의 스키타이학 학자들은 스키타이어가 동부 이란어군에 속한다는 데 동의한다. 이는 주로 북흑해 연안의 그리스 비문에 등장하는 수백 개의 사르마티아인 이름들이 오세트어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인다는 사실에 근거한다.[2][3]

일부 학자들은 스키타이어를 서부의 더 보수적인 방언과 동부의 더 혁신적인 방언으로 구분하기도 한다.[4] 스키타이어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다.


  • '''알라니아어''' 또는 '''스키토-사르마티아어'''는 서부에서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8세기와 7세기부터 우크라이나, 남부 러시아, 카자흐스탄 지역에 거주하던 이란계 민족이 사용했다. 현대 오세트어는 스키토-사르마티아 비문으로 대표되는 언어의 연속으로 살아남았지만, 스키토-사르마티아어가 과거 시점의 오세트어와 "단순히 동일한 언어"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 '''사카어''' 또는 '''스키토-코탄어'''는 동부에서 사용되었으며, 코탄 왕국(현재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1세기에 사용되었고, 코탄의 '''코탄어'''와 툼슈크의 '''툼슈크어'''를 포함한다.[5]


오래된 이란 시대에도 소그드어야그노비어의 조상 언어를 낳은 동부 스키타이 방언이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이 가설을 검증하는 데 필요한 자료는 현재 부족하다.

스키타이어는 복수형을 나타내는 접미사 -ta|xsc의 사용과 같이, 소그드어, 호라즘어, 오세트어, 야그노비어와 같은 다른 동부 이란어와 몇 가지 특징을 공유했다.

3. 음운론

폰토스 스키타이어에는 다음과 같은 음소가 있었다.

모음
전설 모음후설 모음
좁은 모음iu
중간 모음style=border-left-width:0|style=border-left-width:0|
열린 모음style=border-width:0|astyle=border-width:0|



자음
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순음화 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pbtd (초기)colspan=2|colspan=2|colspan=2|kɡcolspan=2|colspan=2|
파찰음colspan=2|colspan=2|t͡sstyle=border-left-width:0|t͡ʃd͡ʒcolspan=2|colspan=2|colspan=2|
마찰음fstyle=border-left-width:0|θð (초기)szʃʒcolspan=2|xstyle=border-left-width:0|style=border-left-width:0|hstyle=border-left-width:0|
공명음mstyle=border-left-width:0|l (후기)style=border-left-width:0|nrcolspan=2|jstyle=border-left-width:0|ŋ|응mulstyle=border-left-width:0|wcolspan=2|



스키타이어의 무성 치 마찰음(IPA /θ/)을 나타내기 위해 필기체 세타 ϑ|grc를 사용하고, 그리스어의 유기음, 무성 치 파열음(IPA /tʰ/)을 나타내기 위해 일반 세타 θ|grc를 사용한다.

스키타이어어의 서부 방언은 원시 이란어의 /d/가 원시 스키타이어의 /ð/로 변화하는 진화를 겪었는데, 이는 스키타이어의 킴메르와 폰토스 방언에서 /l/ 음이 되었다. 스키타이어어는 원시 이란어의 /d/가 /ð/로 변화하는 진화를 오세트어, 야그노비어, 이슈카쉬미어를 제외한 모든 동이란어에서 공유하며, 이후 /ð/가 /l/로 변화하는 현상은 박트리아어, 파슈토어, 문지어, 이드가어와 같은 여러 동이란어에서도 나타난다.[1][2]

4. 역사

대부분의 스키타이학 학자들은 스키타이어를 동부 이란어의 일부로 간주하는 데 동의한다. 이는 주로 북흑해 연안의 그리스 비문에 수백 개의 사르마티아인 이름이 등장하며, 이 이름들이 오세트어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사실에 근거한다.[2][3]

일부 학자들은 스키타이어를 서부의 더 보수적인 방언과 동부의 더 혁신적인 방언, 이렇게 두 개의 방언으로 구분하기도 한다.[4] 스키타이어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다.


  • '''알라니아어''' 또는 '''스키토-사르마티아어'''는 서부에서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8세기와 7세기부터 우크라이나, 남부 러시아, 카자흐스탄 지역에 거주하던 이란계 민족이 사용했다. 현대 오세트어는 스키토-사르마티아 비문으로 대표되는 언어의 연속으로 살아남았지만, 스키토-사르마티아어가 과거 시점의 오세트어와 "단순히 동일한 언어"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 '''사카어''' 또는 '''스키토-코탄어'''는 동부에서 사용되었으며, 코탄 왕국(현재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1세기에 사용되었고, 코탄의 '''코탄어'''와 툼슈크의 '''툼슈크어'''를 포함한다.[5]


사카어의 일종인 코탄어로 작성된 코탄의 문서로, 인도유럽어족의 동부 이란어에 속하며, 그 해에 태어난 사람들의 예측 주기에 따른 중국 조디악의 동물을 나열한 것; 9세기 초 잉크로 작성됨


오래된 이란 시대에도 소그드어야그노비어의 조상 언어를 낳은 동부 스키타이 방언이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이 가설을 검증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는 현재 부족하다.

초기 동부 이란계 민족은 중앙아시아의 야즈 문화(기원전 1500년~1100년경)에서 기원했다.[6] 스키타이인들은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 중앙아시아에서 동유럽으로 이동하여 오늘날의 러시아 남부와 우크라이나, 카르파티아 분지, 몰도바도브루자 일부 지역을 점령했다. 그들은 서기 5세기에 훈족의 유럽 침략 이후 역사에서 사라졌으며, 투르크족과 슬라브족은 아마도 스키타이어를 사용하던 대부분의 사람들을 동화시켰을 것이다. 그러나 코카서스에서는 스키타이어의 언어적 연속성에 속하는 오세트어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중앙아시아에서는 파슈토어, 파미르어, 야그노비어를 포함한 동부 이란어 계열의 언어들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5. 현존하는 자료

스키타이어에 대한 자료는 매우 부족하며, 남아있는 자료는 주로 비문, 인명, 부족명, 지명, 헤로도토스의 기록 등에 의존한다.

5. 1. 비문

일부 학자들은 카르파티아 분지와 중앙아시아에서 발견된 특정 비문이 새겨진 물건들을 스키타이인과 관련짓지만, 이 비문의 해석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아무도 확실하게 문자를 식별하거나 내용을 번역하지 못했기 때문이다).[1]

이식 비문은 아직 확실하게 해독되지 않았으며, 스키타이어 방언으로 추정되며, 이 언어의 몇 안 되는 토착 언어 비문 중 하나이다.[1] 야노스 하르마타는 카로슈티 문자를 사용하여 이 언어를 쿠샨족이 사용한 호탄 사카 방언으로 확인했으며, 다음과 같이 잠정적으로 번역했다.[1]

이식 비문
음역한국어 번역
1za(ṃ)-ri ko-la(ṃ) mi(ṃ)-vaṃ vaṃ-va pa-zaṃ pa-na de-ka mi(ṃ)-ri-to|그릇은 포도주를 담아야 한다, 익힌 음식을 덧붙여, 이만큼, 인간에게,xsc
2ña-ka mi pa-zaṃ vaṃ-va va-za(ṃ)-na vaṃ.|그 다음 익힌 신선한 버터를 덧붙였다.xsc


5. 2. 인명

스키타이 인명은 주로 고대 그리스 문헌이나 흑해 북부 연안의 그리스 식민지에서 발견된 비문 등에 기록되어 있다. 이 이름들은 사르마티아어가 현대 오세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7]

기록된 스키타이 인명은 다음과 같다.

이름기록된 형태비고
* (아리아인, 이란) + * (아베스타어 𐬞𐬀𐬉𐬯𐬀|paēsaae)
"동맹을 번영시키는 자": * 아베스타어 𐬵𐬌𐬚𐬄𐬨|hiϑąmae) + * 아베스타어 𐬚𐬭𐬀𐬊𐬱|ϑraošae)
* ("좋은") + * ("보호")
"다리가 긴": * ("발", 초기 형태 ) + * (애칭 접미사)
|translit=Bartatua}} 또는 [8], "전투에서 강한 자": * (아베스타어 𐬞𐬆𐬱𐬀𐬥𐬀|pəšanaae), 베다 산스크리트어 पृत्|pṛtsa) + * (아베스타어 𐬙𐬀𐬎𐬎𐬀𐬵|tauuahae)
* (아베스타어 𐬞𐬆𐬭𐬆𐬚𐬎|pərᵊϑuae) + * (아베스타어 𐬙𐬀𐬎𐬎𐬀𐬵|tauuahae)[9]
또는 "밝은 을 가진": * ("빛나는") + * (khvarenah)
* ("권력") + * (애칭 접미사). 오세트어 Æхсæртæг|Æxsærtægos 및 Æхсæртæггатӕ|Æxsærtæggatæos와 동족어.
"우유를 소비하는 자": * ("우유") + * (애칭 접미사)
"날카로운", "승리한"
스키타이 내부 명칭 에서 유래 (의 방언적 형태)
|translit=Išpakāya}}[10]("개")에서 파생된 애칭
* (아베스타어 𐬯𐬞𐬀𐬭𐬆𐬖𐬀|sparᵊγaae) + * (아베스타어 𐬞𐬀𐬉𐬯𐬀|paēsaae). 와 는 동일 이름의 변형.
* (아베스타어 𐬯𐬞𐬀𐬭𐬆𐬖𐬀|sparᵊγaae) + * (아베스타어 𐬞𐬀𐬉𐬯𐬀|paēsaae). 와 는 동일 이름의 변형.
"화살의 힘을 가진": * (아베스타어 𐬙𐬌𐬖𐬭𐬌|tiγriae) + * (아베스타어 𐬙𐬀𐬎𐬎𐬀𐬵|tauuahae)[11]
아베스타어 𐬙𐬀𐬊𐬑𐬨𐬀𐬥|taoxmanae), 고대 페르시아어 𐎫𐎢𐎶𐎠|taumāpeo)와 동족어에서 파생
"그의 말로 위대함을 소유한": * (아베스타어 𐬎𐬑𐬙𐬀|uxtaae), 𐬎𐬑𐬜𐬀|uxδaae) + * ("위대한")
(아베스타어 𐬬𐬀𐬌𐬭𐬌|vaⁱriae), 𐬎𐬎𐬀𐬭𐬌|uuariae)에서 파생된 애칭


5. 3. 부족명

이름증명된 형태비고
[3][4]𒅖𒆪𒍝𒀀𒀀|Iškuzaya|이쉬쿠자야akk*Skuδa|스쿠다xsc 스키타이 고유어[3][4]
*Skula|스쿨라xscΣκωλοτοι|Skōlotoi|스콜로토이grc[6][7]원시-스키타이어 /δ/가 스키타이어 /l/로 진화한 결과인 *Skuδa|스쿠다xsc의 후기 형태이다.[3]
*Paralāta|파랄라타xscΠαραλαται|Paralatai|파랄라타이grc[6][7]젊은 아베스타어 (Paraδāta)의 동족어로, "앞에 배치된"을 의미한다.[8]


5. 4. 지명

일부 학자들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스텝의 많은 지명과 수문지명이 스키타이와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바스머는 돈 강의 이름이 스키타이어로 추정되는 미증명 단어 *''dānu'' "물, 강"과 관련이 있으며, 아베스타어 ''dānu-'', 파슈토어 ''dand'', 오세트어 ''don''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12]

돈, 도네츠 강, 드네프르 강, 다뉴브 강, 드네스트르 강의 강 이름과 크림반도에서 가장 깊은 호수인 도누즐라프 호수도 같은 어군에 속할 수 있다.[13]

기록된 스키타이 지명은 다음과 같다.

이름증명된 형태비고
"비버의 장소"를 의미한다. "비버"에 해당하는 부분은 아베스타어의 𐬠𐬀𐬡𐬭𐬀|baβraae 및 𐬠𐬀𐬡𐬭𐬌|baβriae, 산스크리트어의 बभ्रु|babhrúsa 및 बभ्रुक​|bábhrukasa와 동족어이다.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은 *stāna이다.
*Dānuxsc"강"을 의미한다.
*Pantikapaxsc"물고기 길"을 의미한다.[14] "길"에 해당하는 부분은 아베스타어의 𐬞𐬀𐬧𐬙𐬃|paṇtā̊ae와 비교된다. "물고기"에 해당하는 부분은 호탄 사카어, 오세트어의 Кӕф|kæfos, 파슈토어의 کب (Kab)와 비교된다.
"젖음"을 의미한다. 아베스타어의 𐬭𐬀𐬢𐬵𐬁|raŋhāae베다 산스크리트어의 रसा|rasā́sa와 비교된다.[15]
"넓은"을 의미한다.


5. 5. 헤로도토스의 어원 설명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스키타이인들이 아마존을 '오이오르파타'라고 불렀다고 전하며, 이 이름은 "남자"를 의미하는 '오이오르'와 "죽이다"를 의미하는 '파타'의 합성어라고 설명한다(''역사''. 4,110).[16]

대부분의 학자들은 "남자"를 뜻하는 '오이오르'를 아베스타어 ''vīra-'' "남자, 영웅", 산스크리트어 ''vīra-'', 라틴어 ''vir''(속격 ''virī'') "남자, 영웅, 남편"과 연관시킨다. "죽이다"를 의미하는 '파타'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명이 있다.

설명
페르시아어 pat- "(to) 죽이다", patxuste "죽임을 당한"[17]
소그드어 pt- "(to) 죽이다", ptgawsty "죽임을 당한"[18]
오세트어 fædyn "쪼개다", 산스크리트어 pātayati "쓰러뜨리다"[19]
아베스타어 paiti- "영주", 산스크리트어 páti, 라틴어 potestate (즉, "남자-지배자")와 유사[20]
오세트어 maryn "죽이다", 파슈토어 mrəl, 산스크리트어 mārayati (그리스어 Μ와 Π의 혼동)[21]
한 학자는 이란어 aiwa- "하나" + warah- "가슴"을 제시한다.[22]



다른 곳에서 헤로도토스는 신화 속 외눈 부족 아리마스포이의 이름을 스키타이어 단어 ''arima'', "하나"를 의미하는 단어와 ''spu'', "눈"을 의미하는 단어의 합성어라고 설명한다 (''역사''. 4,27).


  • 일부 학자들은 ''arima'' "하나"를 오세트어 ''ærmæst'' "오직", 아베스타어 ''airime'' "조용한", 그리스어 ''erēmos'' "빈"과 연관시키고, ''spu'' "눈"을 아베스타어 ''spas-'' "예언하다", 산스크리트어 ''spaś-''와 연관시킨다.[23]
  • 그러나 이란어는 일반적으로 "하나"와 "눈"을 ''aiwa-''와 ''čašman-''과 같은 단어로 표현한다 (오세트어 ''īw''와 ''cæst'').
  • 다른 학자들은 헤로도토스의 어원을 거부하고 대신 민족명 아리마스포이를 이란어 ''aspa-'' "말"에서 파생한다.[24]
  • 또는 이름의 첫 번째 부분은 이란어 ''raiwant-'' "부유한", 오세트어 ''riwæ'' "부유한"과 유사한 것을 반영할 수 있다.[25]

5. 6. 스키타이 신명

이름증명된 형태비고
{{langΤαβιτι|Tabiti|타비티grc"타는 자" 또는 "불타는 자"를 의미한다.[26][27]
*Api|아피xscΑπι|Api|아피grc 및 Απια|Apia|아피아grc아베스타어 𐬀𐬞𐬌|api|아피ae, "물"과 관련이 있다.
{{langΤαργιταος|Targitaos|타르기타오스grc여신 타르카(Tarkā)의 힘을 소유한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구성된다:
Αρτιμπασα|Artimpasa|아르팀파사grc다음으로 구성된다:
*Apatura|아파투라xscΑπατουρος|Apatouros|아파투로스grc"빠른 물"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구성된다:
*Gaiϑāsūra|가이타수라xscΓοιτοσυρος|Goitosuros|고이토수로스grc다음으로 구성된다:
Θαγιμασαδας|Thagimasadas|타기마사다스grc 및 Θαμιμασαδας|Thamimasadas|타미마사다스grc다음으로 구성된다:
*Lipoxšaya|리폭샤야xscΛιποξαις|Lipoxais|리폭사이스grc초기 형태 *Δipoxšaya|디폭샤야xsc에서 원시 이란어 /d/가 원시 스키타이어 /δ/를 거쳐 스키타이어 /l/로 진화한 후.
*R̥buxšaya|르북샤야xscἈρποξαις|Arpoxais|아르폭사이스grc"공간의 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구성된다:
*Kolaxšaya|콜락샤야xscΚολαξαις|Kolaxais|콜락사이스grc
초기 형태 *Koδaxšaya|코닥샤야xsc에서 원시 이란어 /d/가 원시 스키타이어 /δ/를 거쳐 스키타이어 /l/로 진화한 후. "도끼를 휘두르는 왕"을 의미하며, 도끼는 "홀"뿐만 아니라 "대장장이 왕" 즉 "저승을 다스리는 왕"의 의미를 갖는다. 다음으로 구성된다:


6. 알라니아어

'''알라니아어'''는 서기 5세기부터 11세기까지 알란족이 사용한 언어로, 초기 스키토-사르마티아어에서 직접 파생된 방언이었으며, 오세트어의 조상이 되었다. 비잔틴 그리스어 저술가들은 이 언어에 대한 몇 가지 단편적인 기록을 남겼다.[31] 민족 대이동의 일부였던 알란족은 서기 409년 서고트족의 침략으로 쫓겨나기 전에 이베리아로 그들의 언어를 가져갔다.[32]

참조

[1] harvnb
[2] 서적 Die griechischen Personennamen griechischer Städte der nördlichen Schwarzmeerküste
[3] 논문 Autochthonous Aryans? The Evidence from Old Indian and Iranian Texts
[4] 문서
[5] 서적 Compendium Linguarum Iranicarum Reichert
[6]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Dearborn
[7] 논문 Once again 'the Scythian' myth of origins (Herodotus 4.5–10) 2014
[8] harvnb
[9] 웹사이트 PROTOTHYES https://iranicaonlin[...] 2021-11-12
[10] 웹사이트 Išpakaia [CHIEFTAIN OF THE SCYTHIANS] (RN) http://oracc.museum.[...]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23-04-30
[11]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2] 서적 Untersuchungen über die ältesten Wohnsitze der Slaven. Die Iranier in Südrußland Leipzig
[13] 논문 Zum Balkan-Skythischen 1935
[1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15] 웹사이트 ARANG https://www.iranicao[...] 2022-08-13
[16] 웹사이트 Vir – the Latin Dictionary http://latindictiona[...]
[17] 서적 Sogdian Dictionary, Sogdian-Persian-English Farhangan Publications 1995
[18] 서적 Sogdian Dictionary, Sogdian-Persian-English Farhangan Publications 1995
[19] 간행물 Skythisch {{lang|grc|οἰόρπατα «ἀνδροκτόνοι»}}
[20] 서적 Die Iranier in Südrußland
[21] 서적 Osetinskij jazyk i fol’klor Moscow / Leningrad
[22] harvnb
[23] 서적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von Eran Göttingen
[24] 간행물 Kritik der ältesten Nachrichten über den skythischen Norden
[25] harvnb
[26]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7]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Macmillan Reference USA 2005
[28]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Iranian Verb Brill Publishers 2007
[29] 서적 Zoroaster and His World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7
[30] 서적 Varronianus: A Critical and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Philological Study of the Latin Language https://archive.org/[...] J. and J. J. Deighton 1844
[31] 서적 The old Ossetian Inscription from the River Zelenčuk 1987
[32] 웹사이트 Alanic http://multitree.org[...] LINGUIST List 2024-12-09
[33]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34] 문서 역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