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싸이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싸이올은 IUPAC 명명법에 따라 알케인의 이름 뒤에 '-티올' 접미사를 붙여 명명되는 유기 화합물로, 알킬기에 설프히드릴기(-SH)가 결합된 형태이다. 티올은 강한 냄새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저분자량 티올은 불쾌한 냄새를 낸다. 화학적으로는 알코올과 유사한 반응성을 보이며, 산성도가 알코올보다 높고 금속 이온과 착물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생물학적으로는 아미노산 시스테인의 작용기로서 단백질 구조 형성, 효소 활성 부위, 조효소의 구성 성분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의약품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기 황 화합물 - 황화알릴
    황화알릴은 양파의 매운맛 성분으로 혈액 응고 억제, 항균, 항산화 작용 등 생리 활성 효과가 있지만 인체 연구는 부족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말초혈행 개선, 소화 촉진, 해독 작용 보조 효과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고 눈물 유발 및 방귀 냄새 유발 등의 부작용이 있다.
  • 유기 황 화합물 - S-아데노실메티오닌아민
    S-아데노실메티오닌아민은 폴리아민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반응의 주요 기질이다.
  • 유기 반응 - 열분해
    열분해는 고온에서 물질을 분해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산업과 에너지 분야에 활용되지만 안전 및 환경 문제도 고려해야 하며, 관련 분석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유기 반응 - 메틸화
    메틸화는 메틸기를 분자에 첨가하는 과정으로, 생물학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 등 생명현상에 관여하고 유기화학에서 유기 합성에 활용되며, 다양한 생물종에 존재하는 중요한 생리적 과정이다.
  • 작용기 - 황화물
    황화물은 황이 다른 원소와 결합한 화합물로, 금속 황화물, 황화광물, 유기 황화물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반도체 특성, 안료, 촉매 등으로 활용되지만 부식성과 유해성을 지니기도 한다.
  • 작용기 - 에스터
    에스터는 옥소산의 수산화기에서 수소 원자가 유기 원자단으로 치환된 화합물로, 카복실산 에스터가 대표적이며,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향료 및 향수 산업에 사용되며 폴리에스터와 같은 중합체에서도 발견된다.
싸이올
개요
화학식R-SH
분자량가변적
IUPAC 명명법싸이올
다른 이름머캅탄
싸이오알코올
구조 및 성질
작용기술파닐기 (-SH)
관련 작용기알코올 (-OH)
싸이오에터 (R-S-R)
다이싸이올파이드 (R-S-S-R)
산도 (pKa)8-10 (물에서)
냄새강하고 불쾌함 (일부 저분자량 싸이올)
명명법
IUPAC 명명법해당 알케인의 이름에 "-thiol" 접미사 추가 (예: 메탄싸이올)
일반적인 명명법머캅탄 (예: 에틸 머캅탄)
반응
반응성싸이올레이트 음이온 (RS-) 형성을 통한 산-염기 반응, 산화 반응 (다이싸이올파이드 형성), 금속과의 반응 (싸이올레이트 복합체 형성)
용도유기 합성 중간체, 고무 산업, 의약품, 농약
예시
대표적인 싸이올메탄싸이올
에탄싸이올
싸이스테인
글루타싸이온
안전성
주의사항일부 싸이올은 독성이 있거나 악취가 강하므로 주의하여 취급해야 함.

2. 명명법

유기 황 화합물인 티올은 CoA, 시스테인 등 물질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킬티올의 명명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 IUPAC 명명법에 따라 알케인 이름 뒤에 '-티올' 접미사를 붙인다. 예를 들어 CH3SH는 메탄티올이다.
  • '설프하이드릴-' 또는 '메르캅토-'를 접두사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르캅토퓨린이 있다.
  • 과거에는 '메르캅탄'이라는 용어가 알코올 명명법에 대응하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권장되지 않는다.[42] 예를 들어 CH3SH는 메틸 메르캅탄이라고 불렀지만, 현재는 메탄티올이라고 부른다.


싸이올의 명명은 SH기가 결합된 탄소를 위치 번호로 표시하고 골격의 탄화수소 이름에 '-티올' 접미사를 붙인다.

  • (예) CH3-SH : 메탄티올
  • (예) HO-CH2CH2-SH : 2-설파닐에탄올

3. 구조 및 결합

R-SH 구조를 갖는 싸이올은 알킬기(R)가 설프하이드릴(-SH)기에 결합된 구조로, '알칸싸이올' 또는 '알킬 싸이올'이라고도 불린다.[9] 싸이올과 알코올은 유사한 결합 구조를 갖는다. 원자가 산소 원자보다 크기 때문에 C-S 결합 길이는 일반적으로 약 180 피코미터로, 일반적인 C-O 결합보다 약 40 피코미터 더 길다. C-S-H 각도는 90°에 접근하는 반면, C-O-H기의 각도는 더 둔각이다. S-H 결합은 각각의 결합 해리 에너지 (BDE)에 반영되듯이 O-H 결합보다 훨씬 약하다. CH3S-H의 BDE는 366kJ/mol인 반면, CH3O-H의 BDE는 440kJ/mol이다.[10]

S-H 결합은 황과 수소전기 음성도 차이가 작기 때문에 적당히 화학적 극성을 띤다. 반대로, 하이드록실기의 O-H 결합은 더 극성이 크다. 싸이올은 해당 알코올에 비해 낮은 결합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다. 싸이올의 S-H 결합은 알코올의 O-H 결합에 비해 약하다.[21]

4. 물리적 성질

싸이올은 수소(H) 원자가 황(S) 원자에 결합된 형태(S-H)를 가지고 있어 몇 가지 독특한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다.


  • 산성도: 싸이올의 수소는 알코올의 수소보다 더 강한 산성을 띤다.[43] 이는 수소가 떨어져 나간 후 생성되는 음이온의 안정성 차이 때문이다. 싸이올레이트 음이온은 황(S)의 3p 궤도에 전자가 위치하는 반면, 알콕시드 음이온은 산소(O)의 2p 궤도에 전자가 위치한다. 3p 궤도가 더 크고 전자 밀도가 낮아 음이온이 더 안정하다.
  • 염기: 공유 결합성이 높아 부드러운 염기로 작용하며, 특히 수은과 같은 후기 금속 화합물과 강하게 결합한다.
  • 산화: 산소, 과산화 수소 등의 산화제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알킬 사슬이 대칭적인 이황화물을 형성한다.


분자수소 결합의 세기는 끓는점, 용해도와 관련이 있다. 싸이올은 수소 결합을 거의 하지 않으며, 물 분자와도 서로 간에도 결합력이 약하다. 따라서 비슷한 분자량의 알코올보다 끓는점이 낮고, 물과 다른 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성질싸이올알코올
끓는점낮음높음
수용성낮음높음


4. 1. 냄새

많은 티올은 마늘과 비슷한 강하고 불쾌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특히 저분자량 티올의 냄새는 종종 강하고 불쾌하다. 스컹크의 분사물은 주로 저분자량 티올과 그 유도체로 구성되어 있다.[11][12][13][14][15] 이러한 화합물들은 10억 분의 1 농도에서도 사람의 코로 감지할 수 있다.[16] 인간의 에는 10억 분의 2 농도에서 감지 가능한 과일 냄새와 양파 냄새가 나는 (''R'')/(''S'')-3-메틸-3-메르캅토-1-올(MSH)이 함유되어 있다. 수컷 의 소변에서 발견되는 (메틸티오)메탄티올(MeSCH2SH; MTMT)은 강한 냄새를 내는 휘발성 티올로, 10억 분의 1 수준에서도 감지 가능하다.[17] 구리는 MTMT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티올 및 관련 화합물에 매우 민감한 특정 쥐 후각 수용체 MOR244-3에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18] 구리가 존재할 때, 인간 후각 수용체 OR2T11이 가스 냄새(에탄티올과 ''t''-부틸 메르캅탄) 및 기타 저분자량 티올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9]

에탄티올은 기네스 세계 기록에 '세계에서 가장 악취가 심한 화합물'로 등재되어 있다.

모든 티올이 불쾌한 냄새를 내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푸란-2-일메탄티올은 구운 커피의 향에 기여하며, 자몽 메르캅탄은 자몽 특유의 향을 담당한다.

악취를 풍기는 싸이올은 시스테인과 같은 함유황 아미노산이 분해되어 생성된다. 생물의 진화 과정에서 싸이올을 후각으로 감지하는 유전 형질이 선택됨으로써, 생물(단백질)의 부패를 감지하는 능력이 획득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악취는 저농도에서도 인간을 비롯한 생물이 감지하기 때문에, 가스 시설 등의 가스 누출 검지제나, 도시가스의 부취제로 사용된다.[43] 2016년, 미국과 중국의 화학자 팀은 불쾌한 냄새 분자를 감지하는 수용체가 코 점액 중에 존재하는 구리 입자와 결합함으로써, 싸이올의 감지 강도를 약 1000배 증폭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47][48]

4. 2. 끓는점 및 용해도

싸이올은 수소 결합을 거의 하지 않으며, 물 분자와도 서로 간에도 결합력이 약하다. 따라서 비슷한 분자량의 알코올보다 끓는점이 낮고, 물과 다른 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이 때문에 싸이올과 이에 상응하는 설파이드 작용기 구조 이성질체는 비슷한 용해도 특성과 끓는점을 갖는 반면, 알코올과 이에 상응하는 이성질체인 에테르는 그렇지 않다.[43]

S-H 간의 분극이 약하고 알코올보다 분자 간의 수소 결합이 약하기 때문에 알코올과 해당하는 싸이올의 끓는점을 비교했을 때 알코올이 끓는점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43] 마찬가지로 수소 결합이 약하기 때문에 알코올보다 수용성이 낮은 경향이 있다.[49]

5. 화학적 성질

티올(thiol)은 유기 황 화합물로, CoA, 시스테인 등 생체 물질대사에서 해독 작용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R-SH 구조를 갖는 티올은 알킬기가 설프히드릴기(SH)에 결합된 구조로, '알칸티올' 또는 '알킬 티올'이라고도 불린다.[9]

티올과 알코올은 유사한 결합 구조를 갖지만, 황 원자가 산소 원자보다 크기 때문에 C-S 결합 길이는 약 180 피코미터로 C-O 결합보다 약 40 피코미터 더 길다. C-S-H 각도는 90°에 가까운 반면, C-O-H 각도는 더 둔각이다. 티올기 사이의 수소 결합은 약하며, 주요 응집력은 반 데르 발스 힘이다.

S-H 결합은 O-H 결합보다 약하다. CH3S-H의 결합 해리 에너지(BDE)는 366kJ/mol인 반면, CH3O-H의 BDE는 440kJ/mol이다.[10] 황과 수소의 전기 음성도 차이가 작아 S-H 결합은 약한 화학적 극성을 띠며, 티올은 해당 알코올에 비해 낮은 결합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다.

알코올과 유사하게 싸이올은 황화물, 싸이오아세탈, 싸이오에스터를 형성한다. 그러나 싸이올은 알코올보다 쉽게 산화되며, 싸이올레이트는 알콕사이드보다 더 강력한 친핵체이다.

5. 1. 산성도

싸이올은 알코올보다 산성도가 높다. 싸이올의 수소는 해당하는 알코올의 수소에 비해 높은 산성도(작은 pKa 값)를 나타낸다.[43] 수소가 해리된 후 생성되는 음이온을 비교하면, 싸이올레이트 음이온의 경우 황(S)의 3p 궤도에 최외각 전자가 있는 반면, 알콕사이드 음이온의 경우는 산소(O)의 2p 궤도에 최외각 전자가 있다. 더 바깥쪽인 3p 궤도가 크고 전자 밀도가 낮기 때문에 음이온의 안정성 차이가 발생한다.

싸이올은 쉽게 탈 양성자화된다.[32] 싸이올의 짝염기는 '''싸이올레이트'''라고 한다. 부탄싸이올은 pKa가 10.5인 반면 부탄올은 15이다. 티오페놀은 pKa가 6인 반면 페놀은 10이다. pKa가 2.68인 펜타플루오로티오페놀(C6F5SH)은 산성이 매우 강한 싸이올이다. 따라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로 처리하여 싸이올로부터 싸이올레이트를 얻을 수 있다.

티오페놀로부터 티오페놀레이트의 합성

5. 2. 알킬화 반응 (S-알킬화)

티올 또는 티올레이트는 쉽게 알킬화되어 황화물을 생성한다.[4]

: RSH + R′Br + B → RSR′ + [HB]Br (B = 염기)[4]

5. 3. 산화-환원 반응

싸이올은 브로민, 아이오딘과 같은 시약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유기 이황화물(R-S-S-R)을 생성한다.[33]

: 2 R−SH + Br2 → R−S−S−R + 2 HBr

차아염소산 나트륨 또는 과산화 수소와 같은 더욱 강력한 시약에 의한 산화는 설폰산(RSO3H)도 생성할 수 있다.[33]

: R−SH + 3 H2O2 → RSO3H + 3 H2O

산화는 촉매 존재 하에서 산소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33]

: 2 R–SH +  O2 → RS−SR + H2O

싸이올은 싸이올-이황화물 교환 반응에 참여한다.

: RS−SR + 2 R′SH → 2 RSH + R′S−SR′

이 반응은 자연계에서 중요하다.[33] 산소, 과산화 수소 등의 산화제에 의해서도 쉽게 산화되어 알킬 사슬이 대칭적인 이황화물을 형성한다.[43]

5. 4. 금속 이온과의 착물 형성

싸이올레이트는 금속 이온과 함께 전이 금속 싸이올레이트 착물을 형성하기 위해 리간드 역할을 한다. "머캅탄"이라는 용어는 싸이올레이트기가 수은 화합물과 매우 강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라틴어 ''mercurium captans'' (수은 포획)에서 유래되었다.[7] 경질/연질 산/염기 (HSAB) 이론에 따르면, 황은 비교적 연질(분극화 가능) 원자이다. 이는 싸이올이 수은, 납 또는 카드뮴과 같은 연질 원소 및 이온에 결합하려는 경향을 설명한다. 금속 싸이올레이트의 안정성은 해당 황화물 광물의 안정성과 유사하다.

싸이올기 및 다이설파이드기는 , , 구리, 백금, 팔라듐, 수은 등 다양한 금속 표면에서 자기조립 단분자막 (SAM)을 형성한다. 특히 금 기판은 널리 사용된다.[50]

5. 5. 티오산테이트 생성

싸이올레이트는 이황화 탄소와 반응하여 싸이오산테이트(RSCS2-)를 생성한다.

6. 티일 라디칼

머캅탄에서 유래된 자유 라디칼로, 싸이올 라디칼이라고 불리며, 유기 화학 및 생화학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RS의 공식을 가지며, 여기서 R은 알킬 또는 아릴과 같은 유기 치환기이다.[6] 싸이올 라디칼은 여러 경로를 통해 생성되거나 발생할 수 있지만, 주요 방법은 티올에서 H 원자를 제거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유기 이황화물의 균일 분해를 포함한다.[34] 생물학에서 싸이올 라디칼은 DNA의 구성 요소인 탈옥시리보핵산의 형성에 책임이 있다. 이 변환은 리보뉴클레오타이드 환원효소에 의해 촉매된다.[35] 싸이올 중간체는 생물학적 항산화제인 글루타티온의 산화에 의해서도 생성된다. 싸이올 라디칼(황 중심)은 수소 원자 교환 평형을 통해 탄소 중심 라디칼로 변환될 수 있다. 탄소 중심 라디칼의 형성은 C−C 결합의 형성 또는 골격 파편화를 통해 단백질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36]

S−H 결합의 약점 때문에 티올은 소거제로 작용할 수 있다.[37]

7. 생물학적 중요성

아미노산의 일종인 시스테인은 싸이올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생물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38] 단백질 내 두 개의 시스테인 잔기가 가까워지면 산화 반응을 통해 이황화 결합(-S-S-)을 형성하여 시스틴을 만들 수 있다. 이 결합은 단백질의 3차 구조 및 4차 구조 형성에 기여한다. 헤어 스트레이트 기술은 시스테인-시스틴 평형을 이용한 것이다.

효소 활성 부위설프히드릴기는 기질과 비공유 결합을 형성하거나, 촉매 삼요소에서 공유 촉매 작용에 관여한다. 시스테인 프로테아제의 기능적 단위는 활성 부위 시스테인 잔기이다. 시스테인 잔기는 중금속 이온(Zn2+, Cd2+, Pb2+, Hg2+, Ag+)과 반응하여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데, 이는 중금속 중독의 한 메커니즘이다.

조효소 A, 조효소 M 등 많은 조효소가 티올기를 포함한다. 조효소 A는 싸이올기(SH)와 아실기가 결합한 싸이오에스터를 통해 아실기를 쉽게 전달한다. 메테인 생합성조효소 M에 의해 매개된다. 티올레이트는 많은 금속 이온과 강한 복합체를 형성하며, 이는 금속 티올레이트의 안정성을 황화물 광물의 안정성과 유사하게 만든다.

스컹크의 방어 분사액은 주로 저분자량 싸이올과 그 유도체로 구성되어 불쾌한 냄새를 통해 포식자로부터 스컹크를 보호한다.[40]

7. 1. 티올기를 포함하는 약물


  • 6-메르캅토퓨린 (항암제)
  • 캡토프릴 (항고혈압제)
  • D-페니실라민 (항관절염제)
  • 금티오황산나트륨 (항관절염제)[39]

8. 제조법

싸이올은 할로알케인과 싸이오유리아(thiourea)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자세한 제조법은 아래 그림과 같다.

(예시) 할로알케인과 싸이오유리아(thiourea)로부터의 싸이올 제조법(preparation) 스케치

8. 1. 산업적 제조법

산업에서 메탄티올은 황화 수소메탄올의 반응으로 제조된다.[23]

:CH3OH + H2S → CH3SH + H2O

이 반응은 산성 촉매 존재 하에 수행된다. 알켄에 황화 수소를 첨가하는 방법도 사용되는데,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산 촉매 또는 자외선(UV)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적절한 유기 할로겐화물과 수소 황화 나트륨을 사용한 할로겐 치환도 사용되었다.[23]

수소 황화 나트륨의 알킬화도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 RX + NaSH → RSH + NaX (X = Cl, Br, I)

이 방법은 클로로아세트산으로부터 티오글리콜산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할로젠화 알킬을 알칼리 존재 하에 황화 수소와 반응시키면 티올이 생성된다. 이 반응에서는 수소황화나트륨 NaSH이 발생하고, 이것이 할로젠 원자와 친핵성 치환하여 알킬기에 황 원자가 도입된다. 미리 단리한 수소황화나트륨을 사용해도 좋다.[51]

: {H2S} + NaOH -> {NaSH} + H2O

: {R-Br} + NaSH -> {R-SH} + NaBr

위 반응에서는 조건에 따라 생성된 티올이 추가로 할로젠화 알킬과 반응하여 설파이드 RSR이 부산물로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할로젠화 알킬과 티오요소를 반응시키고, 얻어진 이소티오요소 염을 알칼리 가수분해하면 선택적으로 티올만을 얻을 수 있다.[51]

: {R-Br} + S=C(NH2)2 -> R-S-C(=NH)NH2 \cdot HBr

: {R-S-C(=NH)NH2} \cdot {HBr} + {NaOH} + {H2O} -> {R-SH} + \frac{1}{2}NCNHC(=NH)NH2 + {NaBr} + H2O

할로젠화 알킬과 티오아세트산 칼륨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티오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는 방법도 자주 사용된다. 이 가수분해 반응은 산, 염기 양쪽 조건 하에서 진행된다.[51]

: {R-Br} + KSC(=O)CH3 -> R-S-C(=O)CH3

: {R-S-C(=O)CH3} + H2O -> {R-SH} + HO-C(=O)CH3

그 외에, 이황화물수소화 붕소 나트륨이나 포스핀류를 사용하여 환원시키거나, 그리냐르 시약을 황 분자로 처리하는 방법도 사용된다.[51]

8. 2. 실험실적 제조법

할로알케인과 수소황화나트륨의 직접 반응은 황화물 생성으로 인해 실험실 규모에서는 비효율적이다. 대신, 할로알케인을 티오요소와 반응시킨 후 가수분해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24][25] 이 방법은 아이소티오우로늄 염 중간체를 거쳐 진행된다.

: CH3CH2Br + SC(NH2)2 → [CH3CH2SC(NH2)2]Br

: [CH3CH2SC(NH2)2]Br + NaOH → CH3CH2SH + OC(NH2)2 + NaBr

티오요소 경로는 1차 할라이드에 효과적이지만, 2차 및 3차 티올은 덜 쉽게 제조된다. 2차 티올은 해당 디티오케탈을 통해 케톤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26]

티오황산염을 알킬화하여 티오설포네이트 (분테 염)를 생성한 후 가수분해하는 방법도 사용된다.[27]

:ClCH2CO2H + Na2S2O3 → Na[O3S2CH2CO2H] + NaCl

:Na[O3S2CH2CO2H] + H2O → HSCH2CO2H + NaHSO4

유기 리튬 화합물 및 그리냐르 시약은 황과 반응하여 티올레이트를 생성하며, 이는 가수분해되어 티올이 된다.

:RLi + S → RSLi

:RSLi + HCl → RSH + LiCl

페놀은 ''O''-아릴 다이알킬티오카바메이트의 재배열을 통해 티오페놀로 전환될 수 있다.[28] 설파이드, 특히 벤질 유도체 및 티오아세탈의 환원적 탈알킬화를 통해서도 티올을 제조할 수 있다.[29]

할로젠화 알킬을 알칼리의 존재 하에 황화 수소와 반응시키면 티올이 생성된다. 이 반응에서는 수소황화나트륨 (NaSH)이 발생하고, 이것이 할로젠 원자와 친핵성 치환하여 알킬기에 황 원자가 도입된다.

:{H2S} + NaOH -> {NaSH} + H2O

:{R-Br} + NaSH -> {R-SH} + NaBr

이때, 조건에 따라 생성된 티올이 추가로 할로젠화 알킬과 반응하여 설파이드 (RSR)가 부산물로 생성될 수 있다. 할로젠화 알킬과 티오요소를 반응시키고, 얻어진 이소티오요소 염을 알칼리 가수분해하면 선택적으로 티올만을 얻을 수 있다.[51]

:{R-Br} + S=C(NH2)2 -> R-S-C(=NH)NH2 \cdot HBr

:{R-S-C(=NH)NH2} \cdot {HBr} + {NaOH} + {H2O} -> {R-SH} + \frac{1}{2}NCNHC(=NH)NH2 + {NaBr} + H2O

할로젠화 알킬과 티오아세트산 칼륨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티오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는 방법도 자주 사용된다. 이 가수분해 반응은 산, 염기 양쪽 조건 하에서 진행된다.

:{R-Br} + KSC(=O)CH3 -> R-S-C(=O)CH3

:{R-S-C(=O)CH3} + H2O -> {R-SH} + HO-C(=O)CH3

이황화물수소화 붕소 나트륨이나 포스핀류를 사용하여 환원시키거나, 그리냐르 시약을 황 분자로 처리하는 방법도 사용된다.

9. 주요 티올 화합물

화합물명화학식비고
메탄티올CH3SH메틸 메르캅탄
에탄티올C2H5SH에틸 메르캅탄
1-프로판티올C3H7SHn-프로필 메르캅탄
2-프로판티올CH3CH(SH)CH32C3 메르캅탄
알릴 메르캅탄CH2=CHCH2SH2-프로펜티올
부탄티올C4H9SHn-부틸 메르캅탄
tert-부틸 메르캅탄(CH3)3CSHt-부틸 메르캅탄
펜탄티올C5H11SH펜틸 메르캅탄
티오페놀C6H5SH
디메르캅토숙신산
티오아세트산
조효소 A
글루타티온
메탈로티오네인
시스테인
2-메르캅토에탄올
디티오트레이톨/디티오에리트리톨에피머
2-메르캅토인돌
자몽 메르캅탄
푸란-2-일메탄티올
3-메르캅토프로판-1,2-디올
3-메르캅토-1-프로판설폰산
1-헥사데칸티올
펜타클로로벤젠티올
4-머캅토벤조산


10. 사고

2013년 1월 21일, 프랑스 루앙의 한 공장에서 싸이올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52] 이 사고로 인한 악취는 파리를 포함한 프랑스 북부 일대뿐만 아니라 잉글랜드까지 퍼져나갔으며, 이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신체 이상을 호소하는 소동이 벌어졌다.[52]

참조

[1] 웹사이트 Dictionary Reference http://dictionary.re[...] 2013-04-11
[2] 웹사이트 θεῖον https://www.perseus.[...] 2017-05-10
[3] 웹사이트 mercaptan http://dictionary.re[...] 2012-11-13
[4] 서적 The Chemistry of the Thiol Group. Part 1 Wiley 1974
[5] 서적 The Chemistry of the Thiol Group. Part 2 Wiley 1974
[6] 서적 An Introduction to Organosulfur 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1996
[7] 문서 Oxford American Dictionaries Mac OS X Leopard
[8] 논문 Mercaptanet, med bemaerkninger over nogle andre nye producter af svovelvinsyresaltene, som og af den tunge vinolie, ved sulfureter https://babel.hathit[...] 1834
[9] 웹사이트 Alkanethiols https://www.rsc.org/[...]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9-09-04
[10]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6
[11] 논문 Som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Scent of the Striped Skunk (''Mephitis mephitis'')
[12] 논문 1-Butanethiol and the Striped Skunk
[13] 논문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Defensive Secretion of the Striped Skunk (''Mephitis mephitis'')
[14] 논문 Volatile Components in Defensive Spray of the Hooded Skunk, ''Mephitis macroura''
[15] 웹사이트 Chemistry of Skunk Spray http://users.humbold[...] Dept. of Chemistry, Humboldt State University 2008-01-02
[16] 논문 A Chemical Study of the Secretion of the Anal Glands of ''Mephitis mephitiga'' (Common Skunk), with Remarks on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This Secretion
[17] 논문 Encoding social signals in the mouse main olfactory bulb
[18] 논문 Crucial role of copper in detection of metal-coordinating odorants
[19] 웹사이트 Copper key to our sensitivity to rotten eggs' foul smell https://www.chemistr[...] 2018-05-03
[20]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Wiley-VCH 1997
[21]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2] 웹사이트 Sulfur-33 NMR references http://www.pascal-ma[...] 2018-05-03
[23] 간행물 Thiols Wiley-VCH, Weinheim 1997
[24] 간행물 Ethanedithiol
[25] 논문 n-Dodecyl Mercaptan
[26] 간행물 Mecaptans from Thioketals: Cyclododecyl Mercaptan
[27] 간행물 2-Thiophenethiol
[28] 간행물 Thiophenols from Phenols: 2-Naphthalenethiol
[29] 간행물 Chiral 1,3-oxathiane from (+)-Pulegone: Hexahydro-4,4,7-trimethyl-4''H''-1,3-benzoxathiin
[30] 논문 Novel One-Pot Synthesis of Thiophenols from Related Triazenes under Mild Conditions 2012
[31] 논문 Eine neue Methode zur Darstellung aromatischer Mercaptane https://books.google[...] 1890
[32] 논문 Sulfide Synthesis in Preparation of Unsymmetrical Dialkyl Disulfides: Sec-butyl Isopropyl Disulfide
[33] 논문 Heterogeneous catalytic demercaptization of light hydrocarbon feedstock http://en.ahmadullin[...] 1993
[34] 간행물 Thiols and Organic Sulphides
[35] 논문 Radical Initiation in the Class I Ribonucleotide Reductase: Long-Range Proton-Coupled Electron Transfer? 2003
[36] 논문 Hydrogen Exchange Equilibria in Glutathione Radicals: Rate Constants
[37] 서적 Leibel and Phillips Textbook of Radiation Oncology Elsevier
[38] 서적 Campbell Biology https://archive.org/[...] Pearson Benjamin Cummings 2011
[39] 논문 Myeloperoxidase: a target for new drug development?
[40] 웹사이트 Understanding Owls – The Owls Trust https://theowlstrust[...] 2018-05-03
[41] 웹사이트 IUPAC Gold Book - thiols http://goldbook.iupa[...]
[42] 문서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43] 논문 メルカプタン類の反応 有機合成化学協会 1968
[44] 논문 Copper (I): a possible olfactory binding site.
[45] 뉴스 Metals’ Role In Odor Sensing http://cen.acs.org/a[...] Chemicals & Engineering News 2012-02-13
[46] 논문 Crucial role of copper in detection of metal-coordinating odorants. http://www.pnas.org/[...]
[47] 논문 銅が悪臭の感度を増幅 http://www.natureasi[...]
[48] 논문 Copper (II) Activation of Nitrite: Nitrosation of Nucleophiles and Generation of NO by Thiols.
[49] 서적 基礎有機化学 化学同人
[50] 웹사이트 チオールQ&A http://www.ksv.jp/pr[...]
[51] 간행물 Ethanedithiol http://www.orgsynth.[...]
[52] 뉴스 フランス北部の工場で悪臭ガス漏れ出す、英国まで到達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3-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