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돌프 아이히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돌프 아이히만은 나치 독일의 친위대(SS)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 대량 학살, 즉 홀로코스트의 주요 책임자 중 한 명이다. 1906년 독일에서 태어나 여러 직업을 거치며 나치당에 가입한 아이히만은 유대인 이주 및 수송 업무를 담당했다. 그는 1942년 반제 회의에 참석하여 '유대인 문제의 최종 해결'에 대한 계획을 논의했으며, 이후 절멸 수용소로 유대인들을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전쟁 후 아르헨티나로 도피한 아이히만은 모사드에 의해 체포되어 이스라엘로 압송되었고, 1961년 재판에서 반인륜 범죄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당했다. 그의 재판은 홀로코스트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였으며,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개념을 통해 아이히만을 단순한 명령 수행자로 묘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국에서 사형된 독일 사람 - 쿠르트 달루에게
    쿠르트 달루에게는 독일 군인이자 경찰, 나치 친위대 고위 간부로서, 나치당 입당 후 친위대에서 하인리히 힘러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세력을 확장하고 질서경찰 총책임자,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 총독 대행을 역임하며 홀로코스트에 깊이 관여한 전범이다.
  • 외국에서 사형된 독일 사람 - 조지 애체롯
    독일 태생 미국인 조지 애체롯은 에이브러햄 링컨 암살 사건의 공모자로, 존 윌크스 부스의 지시를 받아 앤드루 존슨 부통령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교수형에 처해졌다.
  • 한나 아렌트 - 악의 평범성
    악의 평범성은 한나 아렌트가 아돌프 아이히만 재판 참관 후 제시한 개념으로, 평범한 개인이 비판적 사고 없이 시스템 내 역할을 수행할 때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홀로코스트 이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한나 아렌트 - 전체주의의 기원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은 반유대주의, 제국주의, 전체주의의 발생 과정을 분석하며, 특히 외로움이 사회적 고립을 야기하여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에 빠지기 쉽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아돌프 아이히만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1942년의 아돌프 아이히만
1942년의 아이히만
기본 정보
본명오토 아돌프 아이히만
출생일1906년 3월 19일
출생지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라인주 졸링겐
사망일1962년 6월 1일
사망지이스라엘 람라 아얄론 교도소
사망 원인교수형
국적독일
오스트리아
다른 이름리카르도 클레멘트
오토 에크만
경력
소속(SS)
(게슈타포)
자녀4명 (클라우스, 호르스트 아돌프, 디터 헬무트, 리카르도 프란시스코 포함)
부모아돌프 카를 아이히만
마리아 (née 셰펠링)
아돌프 아이히만 서명
체포1960년 5월 1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재판아이히만 재판
군사 경력
소속 국가나치 독일
충성나치 독일
최종 계급SS-오버슈투름반퓌러
주요 참가 전쟁홀로코스트
수훈철십자 훈장 2급
전공 십자 훈장 1급 (검 수훈)
전공 십자 훈장 2급 (검 수훈)
범죄 정보
유죄 판결전쟁 범죄
인도에 반하는 죄
유대인에 대한 범죄
범죄 조직 가입
형벌사형

2. 어린 시절과 교육

오토 아돌프 아이히만은 1906년 독일 졸링겐에서 칼뱅주의 개신교 집안의 5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아돌프 칼 아이히만은 회계 담당자였고, 어머니 마리아 아이히만은 가정주부였다. 1913년 아버지가 오스트리아 린츠의 전기 회사에 취직하면서 가족이 이주했고, 1916년 어머니가 사망한 후 아버지는 재혼했다.

아이히만은 아돌프 히틀러가 다녔던 고등학교인 린츠의 레알슐레에 다녔으나, 성적 부진으로 중퇴하고 중등학교에 다녔다. 졸업 후 아버지 회사에서 일하다가 라디오 회사 영업 사원으로 근무했으며, 이후 석유 회사 직원으로 일했다. 회사 생활 중 우익 청년부인 "융프론트켐페르페라이니궁"(Jungfrontkämpfervereinigung)에 합류하여 나치당 신문을 접하며 반유대주의, 반볼셰비키주의 등 나치 이념에 영향을 받았다.[9][8]

3. 나치당에서의 초기 경력

아이히만은 1932년 4월 1일, 에른스트 칼텐브루너의 제안으로 오스트리아 나치당(회원 번호 889,895)에 가입했고,[11] 7개월 후 친위대(SS) 정식 회원(회원 번호 45,326)이 되었다.[11][12] 그의 부대는 린츠의 당 본부를 경비하고, 집회에서 당 연설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SS-Standarte'' 37이었다. 아이히만은 잘츠부르크의 바큠 오일(Vacuum Oil)에서 계속 직무를 수행하면서 주말에 린츠에서 당 활동을 했다.[9][10]

1933년 1월 독일에서 나치의 권력 장악 후 몇 달 지나지 않아 아이히만은 바큠 오일의 인력 감축으로 인해 직장을 잃었다. 같은 시기에 나치당은 오스트리아에서 금지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아이히만이 독일로 돌아가기로 결정하는 요인이 되었다.[9]

1933년 초, 아이히만은 파사우로 가서 안드레아스 볼렉의 본부에 합류했다.[13] 8월에 클로스터레히펠트의 SS 훈련 프로그램에 참석한 후, 9월에 파사우 국경으로 돌아와 8명의 SS 연락팀을 이끌어 오스트리아 국가 사회주의자를 독일로 안내하고 선전물을 오스트리아로 밀수하는 임무를 맡았다.[13] 12월 말, 이 부대가 해체되었을 때 아이히만은 SS-''Scharführer''(분대장, 하사관에 해당)로 진급했다.[13] 아이히만의 도이칠란트 연대 대대는 다하우 강제 수용소 옆에 있는 병영에 주둔했다.[13]

1934년, 아이히만은 다하우에서의 군사 훈련과 복무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SS의 ''Sicherheitsdienst''(SD, 보안대)로 전출을 요청했다. 아이히만은 SD에 합격하여 프리메이슨에 관한 하위 부서에 배치되어 제안된 박물관을 위해 압수된 의식 물품을 정리하고 독일 프리메이슨 및 메이슨 조직의 카드 색인을 만들었다. 그는 반(反)메이슨 전시회를 준비했는데, 이는 매우 인기가 있었다. 방문자 중에는 헤르만 괴링, 하인리히 힘러, 칼텐브루너, 그리고 남작 레오폴트 폰 밀덴슈타인이 있었다.[14] 밀덴슈타인은 아이히만에게 SD의 유대인 부서, 섹션 II/112의 베를린 본부에 합류하도록 초청했다.[15][16] 아이히만의 전출은 1934년 11월에 승인되었다. 그는 나중에 이것을 자신의 큰 기회라고 생각하게 되었다.[16] 그는 시온주의 운동과 다양한 유대인 조직에 대한 보고서를 연구하고 준비하는 임무를 받았다. 그는 심지어 약간의 히브리어이디시어를 배우면서 시온주의와 유대인 문제 전문가로서 명성을 얻었다.[15] 1935년 3월 21일 아이히만은 베로니카(베라) 리블과 결혼했다.[61] 부부는 네 아들을 두었다. 클라우스(1936년 베를린 출생), 호르스트 아돌프(1940년 출생), 디터 헬무트(1942년 프라하 출생), 그리고 리카르도 프란시스코(1955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생).[61] 아이히만은 1936년 SS-''Hauptscharführer''(수석 분대장)로 진급했으며 이듬해 SS-''Untersturmführer''(소위)로 임관되었다.[61] 아이히만은 1937년에 교회를 떠났다.[61]

초기에 나치 독일은 유대인에게 폭력과 경제적 압력을 가하여 독일을 떠나도록 강요했으며,[16] 1933년과 1939년 사이에 이 나라의 유대인 437,000명 중 약 250,000명이 이민했다.[16] 아이히만은 상사 헤르베르트 하겐과 함께 1937년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을 방문하여 독일 유대인의 자발적인 이민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이파에서 위조된 언론 자격증을 가지고 하선한 후 이집트의 카이로로 여행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하가나의 요원인 파이발 폴케스를 만나 거래를 성사시키지 못했다.[16] 폴케스는 더 많은 유대인이 하아바라 협정에 따라 떠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는데, 각 유대인은 덜 제한적인 형태의 이민 하에 팔레스타인 입국 자격을 얻기 위해 1000파운드를 가져갈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 했다. 이 제안은 거부되었고, 하겐은 그의 보고서에서 두 가지 이유를 제시했다.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이 강력하게 존재하면 그들이 제국 정책에 반하는 독립 국가를 설립할 수 있다는 점과 "유대인 자본"의 자유로운 이전을 허용하는 것은 제국 정책에 위배된다는 점이었다.[16] 아이히만과 하겐은 며칠 후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려고 시도했지만, 영국 당국이 필요한 비자를 거부하여 입국이 거부되었다.[16] 그들의 방문에 대한 보고서는 1982년에 출판되었다.

1938년 아이히만은 안슐루스를 통해 제국에 통합된 오스트리아에서 유대인 이민을 조직하는 것을 돕기 위해 빈으로 배치되었다.[17] 유대인 공동체 조직은 SD의 감독을 받고 유대인 이민을 장려하고 촉진하는 임무를 받았다.[17] 자금은 다른 유대인과 조직에서 압수된 돈뿐만 아니라 해외 기부금에서 나왔으며, 이는 SD 통제하에 있었다.[17] 아이히만은 1938년 7월 SS-''Obersturmführer''(대위)로 진급했으며, 8월에 빈 유대인 이민 중앙 기구에 임명되었다.[17] 1939년 5월 을 떠날 때까지 거의 10만 명의 유대인이 합법적으로 오스트리아를 떠났고,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팔레스타인 등지로 밀수출되었다.[17]

4.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9월 1일, 나치 독일이 폴란드 침공을 개시하며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나치는 유대인 정책을 강제 추방으로 전환했다.[30]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는 유대인을 폴란드 내 철도 연결이 잘 된 도시로 모으고, 총독부에 유대인 보호 구역을 만들 계획을 발표했다.[30] 1939년 9월 27일, 국가보안본부가 창설되면서 아이히만은 프라하에서 유대인 이주 중앙국 설립을 돕고, 베를린으로 이동하여 유대인 이주 중앙국을 지휘하게 되었다.[30]

아이히만은 오스트라바, 모라바, 카토비체의 유대인 7만~8만 명을 추방하는 임무를 맡았고, 니스코 계획에 따라 유대인 임시 수용소를 설치했다.[30] 그러나 아돌프 히틀러가 군사적 목적으로 기차를 사용하는 것이 낫다고 결정하면서 니스코 계획은 취소되었다.[30]

1939년 12월 19일, 아이히만은 유대인 문제와 철수를 감독하는 RSHA 하위 부서 IV-D4 책임자로 임명되었고,[30] 하이드리히는 아이히만을 독일 점령지 폴란드로의 모든 유대인 수송을 담당하는 "특별 전문가"로 임명했다.[30] 아이히만은 유대인 수송, 재산 몰수, 자금 조달 등을 관리했다.[30]

아이히만은 60만 명의 유대인을 총독부로 추방하는 계획을 세웠으나, 한스 프랑크의 방해로 계획은 지연되었다.[30] 1940년 3월 24일, 헤르만 괴링은 자신이나 한스 프랑크의 승인 없이는 폴란드로 유대인을 수송하는 것을 금지했다.[30] 그럼에도 아이히만은 유대인 수송을 계속 추진했지만, 계획보다 느린 속도로 진행되었다.

1940년 8월 15일, 아이히만은 마다가스카르 계획을 발표했으나,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독일이 영국 공군에 패하면서 계획은 지연되었다.[39]

4. 1. 반제 회담

1941년 6월, 나치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특수작전집단(기동부대)은 군대를 따라 정복된 지역에서 유대인, 코민테른 관리와 공산당 고위 인사들을 잡아 살해했다.[35] 아이히만은 특수작전집단의 보고를 받은 관리 중 한 명이었다.[35] 1941년 7월 31일, 헤르만 괴링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에게 "유대인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책"을 위한 계획을 준비하고 제출하게 했으며, 조직의 참여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40]

나치 독일 패망 후 재판에서 아이히만은 1941년 9월 중순 아돌프 히틀러가 자신에게 독일 통제 영토 내 모든 유대인 학살을 명령했다고 증언했다.[33]

1942년 1월 20일, 하이드리히는 제안된 유대인 학살을 조정하기 위해 반제 회담을 개최했고, 아이히만도 초대했다.[40] 아이히만은 회의 준비를 위해 유럽 각국의 유대인 수와 유대인 이주 수를 통계로 작성했고,[41] 회의에 참석하여 속기사들을 감독하고 회의 내용을 공식 기록으로 남겼다.[41] 하이드리히는 회의에서 아이히만이 다른 부서와의 연락을 담당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1] 회의 직후, 아이히만의 감독 아래 유대인들은 트레블링카, 베웽(Bełżec), 소비보르(Sobibor) 등 절멸 수용소로 옮겨져 학살당했다.[40] 1942년 6월 초, 하이드리히가 부상으로 사망하자 에른스트 칼텐브루너국가보안본부 본부장 직위를 이어받았고,[46] 유대인 학살 작전은 하이드리히를 기리기 위해 "라인하르트 작전"으로 명명되었다.[40]

아이히만은 정책 수립보다는 작전 실행을 담당했으며,[41] 유대인 추방 명령은 하인리히 힘러 대신 아이히만의 상관인 하인리히 뮐러가 내렸다.[37] 아이히만은 베를린 사무소에서 각 지역 유대인 정보 수집, 재산 압수, 열차 운행 일정 조정 등의 업무를 맡았다.[41] 또한 외무부와 협력하여 점령지 유대인들의 재산을 빼앗고 학살을 위한 추방을 추진했다.[41]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고 게토를 방문했으며, 가족과는 떨어져 지냈다.[41]

4. 2. 헝가리 점령

1944년 3월 19일, 독일군은 헝가리를 침공했다. 아이히만은 같은 날 헝가리에 도착했고, 곧 그의 참모들과 SD, SS와 SiPo의 500~600명이 합류했다.[48] 히틀러가 독일에 우호적인 헝가리 정부를 세우면서, 이전까지 큰 피해를 입지 않았던 헝가리 유대인들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어 강제 노역을 하거나 학살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했다.[48] 아이히만은 4월 마지막 주에 헝가리 북동부를 순회했고, 5월에는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 방문하여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48]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서 루돌프 회스하인리히 힘러가 자신에게 "유대인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책"의 실행에 대한 모든 작전 지침을 아이히만에게 받으라고 말했다고 증언했다.[48]

헝가리 내 유대인 수송은 4월 16일에 시작되었고, 5월 14일부터 매일 4대의 열차가 3000명의 유대인들을 아우슈비츠 II-비르케나우로 수송하였다.[48] 아우슈비츠에 도착한 사람들의 10~25%는 강제 노역장으로 끌려갔으며, 나머지는 대부분 몇 시간 안에 학살당했다.[48] 국제적 압력으로 헝가리 정부는 1944년 7월 6일 추방을 중단했으나, 그 때까지 헝가리의 72만 5천 명의 유대인 중 43만 7천 명이 사망했다.[48] 정부의 중단 명령에도, 아이히만은 7월 17일과 7월 19일에 아우슈비츠로 향하는 추가 열차를 개인적으로 준비했다.[48]

헝가리 여성과 아이들이 1944년 5월 또는 6월에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에 도착함 (아우슈비츠 앨범에서 가져옴).


4월 25일에 아이히만은 원조 및 구조 위원회의 헝가리계 유대인 조엘 브랜드(Joel Brand)를 만났다.[48] 이후 재판에서 아이히만은 동부 전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10000대의 트럭을 제공받고 100만 명의 유대인 이주를 승인했다고 말했다.[48] 그러나 서방 연합군이 이 제안을 거부했기 때문에 제안은 결렬되었다.[48] 1944년 6월, 아이히만은 레죄 카스트너(Kasztner Rezső)와의 협상에 응하여 다이아몬드, 금과 현금으로 가득 찬 여행 가방 3개를 받고, 1684명을 안전한 스위스로 보내 주었다.[48]

아이히만은 쿠르트 베처가 유대인 문제에 연루된 것에 분노하였고, 하인리히 힘러가 강제 수용소로 이송을 중단한 것에 반발하여 7월에 재요청을 하였다.[48] 8월 말, 아이히만은 소련군의 진격으로 인해 루마니아와 헝가리의 국경에 갇힌 10000명의 독일인을 돕기 위한 특공대를 지휘하게 되었지만, 특공대에 배치된 사람들이 돕기 위해 헝가리와 루마니아에 가는 것을 거부했고, 대신 병사들이 있는 병원에서 대원들을 대피시키는 것을 도왔다. 이 임무로 아이히만은 2급 1939년형 철십자장을 수여받았다.[48] 10월과 11월에는 유대인들이 부다페스트에서 까지 약 210km를 강제 행진하도록 하는 계획을 세웠다.[48]

1944년 12월 24일, 아이히만은 소련군이 부다페스트를 포위하기 직전에 부다페스트를 탈출하여 베를린으로 향했고, 베를린에서 그는 자신의 부서 IV-B4의 기록을 불태우는 것을 주도했다.[48]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아이히만은 미군에게 체포되어 '오토 에크만'이라는 위조 신분증을 사용하며 SS 장교들을 위한 여러 수용소에 있었다. 그러나 자신의 신원이 발각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독일 에서 탈출했다.[49] 그는 오토 헤닝거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신분증을 얻었고, 이후 몇 달 동안 자주 이사를 다니다가 결국 뤼네부르크 황무지로 이주했다. 그는 처음에는 임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찾았고, 나중에는 알텐잘츠코트에 작은 토지를 임대하여 1950년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한편,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의 소장 루돌프 회스 등은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서 아이히만의 행각들에 대한 증거를 제시했다.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리카르도 클레멘트" 여권, 아이히만이 1950년 아르헨티나 입국에 사용함


1948년, 아이히만은 알로이스 후달 주교가 운영하는 조직을 통해 리카르도 클레멘트라는 이름으로 아르헨티나 입국 허가와 허위 신분증을 얻었다.[51][50] 이 문서를 통해 그는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인도주의 여권과 1950년에 아르헨티나 이민을 허용하는 나머지 입국 허가를 얻을 수 있었다.[52] 그는 유럽을 여행하며 안전 가옥으로 설정된 일련의 수도원에 머물렀다. 그는 1950년 6월 17일 제노바에서 배를 타고 출발하여 7월 14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도착했다.

아이히만은 처음에는 투쿠만주에 거주하며 정부 계약업체에서 일했다. 1952년에 그는 가족을 불렀고, 그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이사했다. 그는 메르세데스-벤츠에서 부서장으로 승진하기 전까지 일련의 저임금 직업을 가졌다. 가족은 가리발디 거리 14번지(현재 가리발디 거리 6061번지)에 집을 짓고 1960년에 이사했다.[53]

1956년 말부터 4개월 동안 아이히만은 나치 망명 언론인 빌렘 사센에 의해 전폭적으로 인터뷰를 받았으며, 그 목적은 전기 제작이었다. 아이히만은 테이프, 녹취록 및 자필 메모를 제작했다. 남아있는 오디오 녹음은 2022년에 공개되었다. 아이히만은 수백만 명의 유대인과 다른 사람들이 살해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자백했다. "나는 아우슈비츠로 이송된 유대인들이 살든 죽든 상관하지 않았다. 그것은 총통의 명령이었다. 일할 수 있는 유대인은 일하고, 그렇지 못한 유대인은 최종 해결책으로 보내질 것이다." 사센은 그에게 "최종 해결책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그들을 근절해야 한다는 뜻입니까?"라고 질문했고, 아이히만은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 회고록은 1960년 말에 ''라이프''와 ''슈테른'' 잡지에 게재된 일련의 기사의 기초로 사용되었다.

6. 체포

홀로코스트 생존자들과 지몬 비젠탈나치 사냥꾼들은 아이히만을 추적했다.[4] 비젠탈은 1953년에 아이히만이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목격되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1954년에 이스라엘 영사관에 전달했다.[5] 비젠탈은 아이히만 가족 구성원의 사진을 몰래 찍어 모사드에 넘겼다.[6]

로타르 헤르만의 딸 실비아는 클라우스와 사귀면서 아이히만의 정체를 알게 되었고, 프리츠 바우어에게 알렸다.[8] 바우어는 이 정보를 모사드 국장 이세르 하렐에게 전달했고, 하렐은 요원들을 배치하여 감시했으나, 증거를 찾지 못했다.[9] 바우어는 독일 경찰을 신뢰하지 않고 이스라엘 당국에 직접 문의했으나, 이스라엘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10] 게르하르트 클라머는 아이히만의 집 주소를 제공했다.[11]

하렐은 즈비 아하로니를 부에노스아이레스로 파견하여 아이히만의 신원을 확인했다.[12] 다비드 벤구리온은 아이히만을 체포하여 재판을 위해 이스라엘로 데려오기로 결정했다.[13] 하렐은 체포 작전을 감독하기 위해 도착했고, 라피 이탄이 팀을 이끌었다.[14] 1960년, 부에노스아이레스 근처 가리발디 가에서 아이히만을 체포했다.[15] 요원들은 아이히만의 일상을 관찰하고, 그가 버스에서 내려 집으로 걸어갈 때 체포했다.[16] 아이히만은 모사드의 은신처로 이송되어 감금되었고, 신분이 재확인되었다.[17] 요제프 멩겔레를 체포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8]

아이히만은 진정제를 복용하고 승무원 복장을 한 채, 엘알 이스라엘 항공을 타고 이스라엘로 밀항했다.[19] 이스라엘 총리 다비드 벤구리온은 아이히만의 체포를 발표했다.[20] 아르헨티나 극우 세력들의 반유대주의 물결이 일어났다.[21] 아르헨티나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 긴급회의를 요청했고, 이스라엘 대표 골다 메이어는 납치범들이 사적인 개인이라고 주장했다.[22] 결의안 138호가 통과되었고, 이스라엘과 아르헨티나는 분쟁을 끝내기로 합의했다.[23] 이스라엘 법원은 아이히만의 체포 상황이 재판의 적법성과 관련이 없다고 판결했다.[24] 기밀 해제된 중앙정보국(CIA) 문서에 따르면, CIA와 서독 연방정보원은 아이히만의 체포에 대해 우려했다.[25]

7. 재판

아이히만은 이스라엘 야구르의 경찰서로 이송되어 9개월 동안 심문을 받았다.[55] 이스라엘은 문서와 증인의 증언에만 근거하여 재판을 진행하기를 꺼려했다. 심문관 아브너 레스는 야드바솸과 투비아 프리드만이 제공한 문서를 참고하여 아이히만의 거짓말을 확인했다.[55]

아이히만은 자신이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고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했다. 아브너 레스는 아이히만이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아이히만은 사면 요청에서 "책임 있는 지도자와 나 같은 지도자의 손에 있는 단순한 도구 역할을 하도록 강요받는 것 사이에 선을 그을 필요가 있다"라고 썼으며, "나는 책임이 있는 지도자가 아니었고, 따라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55]

홀로코스트 생존자인 이스라엘 경찰 심문관 미키 골드만은 아이히만을 심문할 때 고의로 반소매 셔츠를 입어 그의 수용소 ID 문신이 항상 보이도록 했으며, 아이히만이 어떻게든 강제 수용소 시스템에서 살아남은 것에 대해 실망감을 느낀 듯 보였다고 말했다.

7. 1. 재판 진행

1961년 예루살렘에서 열린 재판 중의 아이히만


1961년 4월 11일, 예루살렘 지방 법원의 특별 재판소에서 아이히만의 재판이 시작되었다. 아이히만은 인도에 반한 죄, 전쟁범죄, 유대 민족에 대한 범죄, 범죄 조직 구성원 등 15가지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재판은 모셰 란다우, 벤자민 할레비, 이츠하크 라베 세 명의 판사가 주재했다. 검사는 기드온 하우스너가 맡았고, 변호인단은 로베르트 세르바티우스, 디터 베히텐브루흐, 아이히만 자신으로 구성되었다. 당시 외국 변호사는 이스라엘 법정에서 변론할 수 없었기 때문에, 법률이 수정되어 사형 혐의를 받는 사람을 비이스라엘인이 변호할 수 있게 되었다.

이스라엘 정부는 아이히만의 재판이 언론에 많이 보도되도록 주도했다. 미국에서는 Capital Cities/ABC가 비디오테이프를 방송할 수 있는 독점권을 획득했고, 전 세계 많은 주요 신문들이 재판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재판은 예루살렘의 강당(현재의 제라드 베하르 센터)에서 진행되었고, 아이히만은 방탄 유리 부스 안에서 재판을 받았다.

검찰 측에서는 수백 개의 문서와 112명의 증인(대부분 홀로코스트 생존자)을 통해 증거를 제출했는데, 검사 하우스너는 홀로코스트에 대한 포괄적인 기록을 만들고자 했다. 변호인단은 아이히만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자료 제출을 제한하려 했고, 검찰은 아이히만의 심문과 윌렘 사센과의 녹취록을 제출했다. 검찰은 아이히만이 헤움노, 아우슈비츠 등 유대인 집단 총격이 일어난 장소를 방문하여 학살 사실을 알고 있었음을 증명했다.[55]

변호인단은 아이히만이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고 주장하고, 국가행위론을 주장했다. 아이히만은 반제 회담 결과에 만족감과 안도감을 느꼈다고 진술하며, 상관의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하우스너는 아이히만이 죄를 인정하게 하려 했지만, 아이히만은 끝내 인정하지 않았다.

7. 2. 판결 및 사형 집행

1961년 12월 15일, 모든 공소 사실에서 유죄가 인정되어 아이히만에게 사형 판결이 내려졌다.[57] 아이히만의 변호인단은 이스라엘 최고 법원에 항소했으나, 1962년 5월 29일 기각되었다. 아이히만은 이츠하크 벤즈비 대통령에게 사면을 청원했으나 거부되었다. 휴고 베르그만, 펄 S. 벅, 마르틴 부버, 에른스트 사이먼 등도 사형에 반대했다.

1962년 6월 1일 새벽, 람라의 형무소에서 교수형이 집행되었다.[57] 이는 이스라엘 건국 이래 두 번째이자, 2023년 시점에서는 마지막 사형 집행이다.

아이히만은 교수형 직전 다음과 같은 마지막 말을 남겼다.

아이히만의 시신은 화장되어 이스라엘 해군에 의해 이스라엘 영해 밖 지중해에 흩뿌려졌다.

처형 후, 아이히만이 어떤 복종 심리에 기반하여 행동했는지가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고, 이른바 "아이히만 테스트"라고 불리는 심리 실험(밀그램 실험)으로 이어졌다.

8. 영향

한나 아렌트의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표지.


아이히만 재판은 언론에 널리 보도되어 홀로코스트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관련 학술 작품 출판도 증가했다.[64] 특히 서독에서는 이 문제가 널리 보도되어 많은 학교에서 이 주제를 교과 과정에 추가했다.[64] 이스라엘에서는 재판 증언을 통해 홀로코스트가 생존자들에게 미친 영향, 특히 젊은 세대에게 깊은 인식을 심어주었고, 유대인들이 수동적으로 학살당했다는 오해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17]

한나 아렌트는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아이히만을 "악의 평범성"을 보여주는 인물로 묘사했다.[64]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증오나 죄의식 없이 평범한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보았다고 주장했다. 지몬 비젠탈은 "책상 살인자" 개념을 통해 수백만 명을 죽이는 데 광신, 가학성, 정신병이 필요하지 않으며, 의무를 다하려는 충성심이면 충분하다고 썼다.[64] "작은 아이히만"이라는 용어는 조직적으로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관료들을 경멸하는 표현이 되었다.[64]

그러나 베티나 스탱네스(Bettina Stangneth)는 저서 《예루살렘 이전의 아이히만》에서 아이히만이 이념적으로 동기 부여된 반유대주의자이자 평생 나치에 헌신한 당원이었으며, 재판에서 자신을 평범한 관료로 위장했다고 주장했다.[65] 크리스토퍼 R. 브라우닝, 데보라 립스타트, 야콥 로조윅, 데이비드 새자라니 등도 스탱네스의 주장에 동의하며, 아이히만이 아렌트가 생각했던 것처럼 생각이 없는 관료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66]

아이히만의 막내 아들 리카르도 아이히만은 아버지를 처형한 이스라엘에 분노하지 않으며, 아이히만의 죄책감 부족이 가족에게 "곤란한 감정"을 느끼게 했다고 밝혔다.[64]

참조

[1] 서적 Eichmann https://www.dictiona[...]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서적 ナチス第三帝国事典(邦訳) 三交社 1993
[3] 서적 図説オーストリアの歴史 河出書房新社 ふくろうの本 2011-09
[4] 서적 2001
[5] 서적 2006
[6] 서적 2009
[7] 서적 2006
[8] 서적 2009
[9] 서적 2000
[10] 서적 2009
[11] 서적 2009
[12] 서적 2006
[13] 서적 2009
[14] 서적 2001
[15] 서적 2009
[16] 서적 2001
[17] 서적 2001
[18] 서적 2001
[19] 서적 2001
[20] 서적 2001
[21] 서적 2001
[22] 서적 2001
[23] 서적 2001
[24] 서적 2001
[25] 서적 2001
[26] 서적 2001
[27] 서적 2001
[28] 서적 2009
[29] 서적 2000
[30] 서적 2009
[31] 서적 2001
[32] 서적 2009
[33] 서적 2009
[34] 서적 2001
[35] 서적 2001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웹사이트 EichmannTrialEN - YouTube https://www.youtube.[...] 2019-02-03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Eichmann: His Life and Crimes Vintage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뉴스 SS-­Obersturmbannführer (Retired) (Published 2014) https://www.nytimes.[...] 2014-09-04
[66] 간행물 Richard H. King. Arendt and America. https://academic.oup[...] 2016-10-01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웹사이트 Einsicht 05 https://www.fritz-ba[...] 2020-10-10
[71] 서적 Eichmanns Memoiren. Ein kritischer Essay. Fischer TB
[72] harvnb
[73] harvnb
[74] harvnb
[75] harvnb
[76] harvnb
[77] harvnb
[78] harvnb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