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중국 관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중국 관계는 1850년대 금광 발견으로 시작된 역사적 교류를 거쳐, 1972년 수교 이후 경제 협력과 문화 교류를 통해 발전해왔다. 중국은 호주의 최대 무역 파트너이며, 2015년 자유 무역 협정 체결을 통해 경제적 유대감을 강화했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 남중국해 분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갈등, 인권 문제 등으로 관계가 악화되었다. 2022년 이후 관계 개선의 노력이 있었지만, 군사적 긴장과 2024년의 사건들로 인해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양국 관계 -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 관계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 관계는 1963년 수교 이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긴밀하게 발전해 왔으며, 한국 전쟁 당시 오스트레일리아의 대한민국 지원, 한-호주 자유무역협정 체결,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등을 통해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교역 파트너이자 큰 한국인 공동체가 있는 국가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중국 관계 -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2014년 3월 8일 쿠알라룸푸르에서 베이징으로 향하던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이 승객과 승무원 239명을 태우고 실종되어 인도양에 추락한 것으로 공식 발표되었으며, 잔해 일부가 발견되면서 국제 민간 항공 기구의 항공기 추적 및 기록 장치 한계를 드러낸 사건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중국 관계 - 중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중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은 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하는 중국계 혈통의 사람들로, 1818년 최초 이민 이후 골드러시, 백호주의 정책, 베트남 전쟁, 천안문 사건 등을 거치며 2021년 기준 139만 명 이상이 거주하며 만다린어, 광둥어를 사용하고, 고등 교육 비율이 높으며 노동당 지지율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 중국의 양국 관계 - 미국–중국 관계
미국-중국 관계는 1784년 미국 상선의 중국 도착으로 시작되어 외교, 경제, 군사, 문화 등 다방면의 관계를 맺어왔으며, 냉전 시대의 적대적 관계를 넘어 관계 개선 및 경제 협력을 이루었으나, 21세기에는 협력과 경쟁이 공존하며 다양한 쟁점에서 갈등을 겪고 있다. - 중국의 양국 관계 - 사우디아라비아-중국 관계
사우디아라비아-중국 관계는 1990년 정식 외교 관계 수립 후 경제·군사 협력을 강화하며 발전하여 2022년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으나,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문제 외면 및 핵 개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오스트레일리아-중국 관계 | |
---|---|
양국 관계 개요 |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국가 | 중국 |
임무 위치 (오스트레일리아) | 베이징 주재 오스트레일리아 대사관 |
임무 위치 (중국) | 캔버라 주재 중국 대사관 |
대사 (오스트레일리아) | 그레이엄 플레처 |
대사 (중국) | 샤오 첸 |
관계 | |
경제 | 캔버라는 중국의 CPTPP 가입을 반대하지 않을 것이다. |
인구 통계 | 2021년 호주 인구 현황 스냅샷 |
추가 정보 | |
참고 | 중국이 아시아에서 더욱 친근한 이웃이 되어가는 이유 침묵의 침략: 호주 내 중국의 영향력 코로나바이러스 조사에 대한 호주와 중국의 논쟁 심화 호주는 세계가 코로나19의 기원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중국의 경제적 강압 완화 큰 기대: 호주-중국 관계의 와해 오커스(Aukus): 중국, 미국-영국-호주 협정을 무책임하다고 비난 |
2. 역사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이 출범할 당시, 저명한 중국 지식인 량치차오는 오스트레일리아를 방문하여 초대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에드먼드 바턴과 만났다.[81] 량치차오는 이 기간 동안 시를 포함한 많은 글을 썼고, 자신의 조국인 중국 또한 연방 형태의 이점을 누릴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했다.[81] 그러나 바턴 총리는 두 국가 사이에 공통점이 거의 없다고 생각했으며, 중국의 거대한 인구가 오스트레일리아를 쉽게 압도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러한 인식 때문에 초기 양국 관계는 제한적이었고, 주로 영국을 통해 중재되었다.[82]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중국과의 관계가 정치적으로 중요한 우선순위가 되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1941년 프레데릭 에글스턴 경을 특사로 파견하여 임무를 수행하게 했다.[83]
2. 1. 19세기: 골드러시와 중국인 이민
1850년대 빅토리아 식민지에서 금광이 발견되면서 골드 러시가 시작되었다.[232] 이 시기 오스트레일리아에는 해외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되었는데, 특히 중국인 노동자는 1850년대에만 3만 명 이상이 몰려들었다.[232] 빅토리아 골드 러시 동안 중국인 인구는 크게 증가하여 1861년경에는 약 4만 명에 이르렀으며, 이는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전체 인구의 3.3%에 해당하는 수치였다.[6][3]당시 인구가 200만 명에 미치지 못했던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서 중국계 주민의 증가는 영국계 이주민 중심의 사회 운영을 지향하던 이들에게 우려를 낳았다.[232] 이에 각지의 식민지 정부는 중국인 노동자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해 상륙세를 부과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면서 갈등이 발생했다.[232] 이러한 제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1881년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의 중국계 주민은 약 38,500명에 달했다.[232]
19세기에 걸쳐 누적된 이러한 갈등과 중국인 이민자에 대한 배척 분위기는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이 출범한 이후 백호주의 정책이 공식적으로 채택되는 배경이 되었다. 백호주의 정책은 백인 중심의 가치관을 내세우며 유색인종, 특히 중국인의 이민을 엄격히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232][6]
2. 2. 청나라 시기 (1909-1911)

빅토리아 골드 러시 시대에 호주 내 중국인 수가 크게 증가하여[3] 1861년경에는 약 4만 명에 달해 전체 인구의 3.3%를 차지했다.[6]
량란순은 1909년 청나라 정부가 당시 호주 정부가 있던 멜버른에 파견한 호주 최초의 중국 총영사였다.[4] 호주 내 중국인 사회는 수년 동안 청나라 영사관 설치를 요구했지만, 영국 외무부는 이러한 움직임을 승인하는 데 주저했다. 호주 연방 수립 이후, ''1901년 이민 제한법'' 제정과 함께 백호주의와 반중 감정이 확산되면서 중국인 사회는 호주에서 공식적인 발언권을 갖기를 더욱 열망하게 되었다.[6]
최초의 총영사로는 제국 관리이자 경험 많은 외교관인 량란순이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의 주요 관심사는 중국 이민자에 대한 차별 문제 해결보다는 무역 관계 증진에 집중되었다.[5]
반면, 마지막 청나라 영사였던 퉁잉둥은 호주 내 중국인들을 돕는 데 더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퉁잉둥 영사는 1911년 3월 호주 외무부 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귀 부서의 공무원들이 노던 준주의 중국 거주민들에게 매우 가혹하게 대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여러 차별과 고충 사례를 언급하며, 당국이 "외국인", "귀화한 영국인", 심지어 외국인이나 귀화한 부모의 후손인 "호주 태생 영국인"까지 구분하지 않고 차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귀화한 영국 시민은 이전 국적을 포기하는 대가로 "영국 시민의 모든 권리와 특권"을 누릴 자격이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았다. 퉁잉둥 총영사는 중국인 수가 줄어들고 있고 호주 연방이 이민을 완전히 통제하는 상황에서, 이 소수의 "무고한 사람들"을 그렇게 가혹하게 대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주장했다.
2. 3. 중화민국 시기 (1912-1949)


1912년 1월 1일, 청 제국을 대신하여 중화민국이 수립되었다. 호주 주재 중국 총영사관은 즉시 새로운 정부를 지지하며 중국 커뮤니티를 동원해 기금을 모으고, 새로운 중국 의회에 파견할 해외 중국인 대표 선출을 위한 대표단을 조직했다. 중국 내 다양한 정치 세력들은 호주에서도 지지 기반을 확보하려 했다. 총영사관은 위안스카이의 베이징 정부를 지지하는 단체를 후원했고, 반대 세력이었던 중국 국민 동맹(이후 중국 국민당의 지부)은 1916년 시드니에서 결성되었다. 호주의 인종 배척법이 완화되면서 양국 간 인적 교류는 더욱 활발해졌다. 1924년 한 해에만 200명의 중국인 유학생이 호주로 유학을 왔다. 호주 무역 사절단은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잠시 중국에 주재하기도 했다.
1920년대 중반, 광저우-홍콩 파업을 둘러싼 중국과 영국의 갈등은 영국 자치령이었던 호주와의 관계에도 긴장을 유발했다. 중국에서 북벌이 성공하며 정치적 통합이 강화되자, 중국 총영사관은 중국인을 차별하는 호주 법률에 대해 더욱 자신감 있게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러한 입장은 1929년 집권 중국 국민당의 제3차 전국대표대회에서 결의안 채택을 통해 국내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후 중국인 거주자와 방문객에 대한 호주의 규정이 완화되어 중국 국적자의 호주 방문 및 유학이 이전보다 쉬워졌다.[5]
1930년대 들어 양국 관계는 크게 발전했다. 총영사관은 시드니로 이전하며 재편되었고, 다른 주요 도시에도 분관이 설치되었다. 여러 중국 관리들이 호주를 방문했는데, 특히 1931년부터 1932년까지 중화민국 국가 정부 주석이자 국가 원수였던 린 센이 시드니와 멜버른을 방문했다.[5] 이는 중국 국가 원수로서는 최초의 호주 방문이었으며, 린 센은 이 기회를 통해 중국인 이민에 대한 호주의 제한을 완화해 줄 것을 촉구했다. 호주 정부는 존경의 표시로 그에게 하원 의석을 제공했다. 1934년에는 정부 부대표였던 존 레이덤이 중국을 방문하는 호주 동방 사절단을 이끌었다.[6] 1935년에는 비비안 고든 보든이 상하이에 주재하는 호주 무역 사절단으로 임명되었다.[7] 여러 아시아 국가에 무역 사절단을 설립하는 것은 1933년 라이온스 정부가 처음 발표한 계획의 일환이었으며, 이전까지 호주의 이익은 영국이 대표했었다.[8]
1941년, 호주가 외교적으로 더 큰 독립성을 확보하면서 중화민국과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전에 연방 보조금 위원회를 이끌었던 프레데릭 에글스턴이 중국의 전시 수도였던 충칭에 초대 호주 대사로 임명되었고, 쉬 모 부 외무부 장관이 초대 주호주 중국 대사로 임명되었다.[6] 1948년, 양국은 상호 대표부를 대사급으로 격상했다.
2. 4.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현재)
고프 휘틀럼이 총리가 되기 전인 1971년 7월 중국을 방문한 것은 양국 관계의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당시 외교관이었던 스티븐 피츠제럴드는 이 방문이 양국 간 외교 관계 수립과 무역 재개의 길을 열었으며, 아시아와의 관계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렸다고 보았다.[87]존 하워드가 이끄는 하워드 정부 시기에는 중국과의 경제 관계가 크게 증대되었지만, 호주는 중국과의 더 긴밀한 정치적, 군사적 관계를 추구하는 데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조지 W. 부시 행정부 이후 미국과의 긴밀한 동맹 관계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84][85] 중국은 전통적으로 미국이 주도해 온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정치적, 경제적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었다. 호주는 미국과 안보 협정을 맺고 있으면서도 중국과의 경제적 관계가 증가하는 여러 아시아 국가들과 같은 중견국의 입장에 있었다.[86] 2007년 6월 15일, 하워드 총리가 달라이 라마를 만나자[88] 중국은 공식적인 비판과 함께 항의했다.[89] 하워드 총리는 2007년, 중국과의 외교 관계 개선을 자신의 정부가 이룬 "정책적 성공"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도, "우리는 항상 중국 정치 사회의 본질에 대해 현실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외교를 해왔다. 우리는 중국이 권위주의 국가라는 환상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90]
케빈 러드 총리의 당선은 중국-호주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졌다. 그는 유창한 중국어를 구사하는 최초의 호주 총리였으며, 아시아와의 더 긴밀한 관계 구축을 외교 정책의 세 가지 기둥 중 하나로 삼았다. 2004년 외무부 장관 시절, 러드는 베이징에서 "호주와 중국: 21세기를 위한 강력하고 안정적인 파트너십"이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기도 했다.[91]
2008년 2월, 호주는 "대만의 독립 재추진 움직임을 질책"하고 "하나의 중국 정책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보도되었다.[92] 그러나 같은 해 4월, 러드 총리는 베이징 대학교에서 중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표준 중국어로 연설하며 "티베트의 심각한 인권 문제"를 언급했다.[93][94][95] 그는 또한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와의 회담에서도 이 문제를 제기했는데, 이는 TV3에 따르면 "고조되는 외교적 긴장" 속에서 이루어졌다.[96] 러드 총리가 중국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정우|zhēnɡyǒu중국어(진정한 친구)라는 용어는 중국으로부터 미온적인 반응을 얻었다.[97][98]
2009년에는 양국 관계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7월, 호주 광산업체 임원인 스턴 후가 스파이 혐의로 중국에서 체포된 리오 틴토 간첩 사건이 발생하자, 러드 총리는 "중국 친구들에게 중국이 [...] 호주 및 전 세계 다른 상업 파트너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경제적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상기"시키기 위해 개입했다.[99] 같은 해 8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레비야 카디르가 멜버른 국제 영화제 참석을 위해 호주 방문 비자를 받은 것에 대해 호주 정부에 항의했다.[100] 리오 틴토 간첩 사건과 중국 국영기업 차이나알코의 리오 틴토 그룹 지분 추가 인수 시도 실패 등이 겹치면서, 이 시기는 최근 몇 년간 양국 관계의 최저점으로 여겨졌다.[101] 중국은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호주 고위 관리들의 방문을 사실상 금지하기도 했다.[102]
이러한 관계 악화에도 불구하고, 2009년 8월 19일 중국 석유 회사 페트로차이나는 엑손모빌과 서부 호주의 고르곤 유전에서 생산되는 액화 천연 가스(LNG)를 구매하는 500억호주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103][104] 이는 중국과 호주 간에 체결된 역대 최대 규모의 계약으로 평가받으며, 중국에 향후 20년간 안정적인 LNG 공급을 보장하고 중국의 가장 큰 비교적 "청정에너지" 공급원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105][106][107]
3. 21세기 외교 관계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오스트레일리아와 중국의 관계는 경제적 상호 의존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정치적, 안보적 갈등이 심화되는 복잡한 양상을 보여왔다. 초기에는 활발한 경제 교류를 바탕으로 관계가 발전하는 듯했으나, 리오 틴토 사건과 같은 갈등 요인이 부상하기 시작했다.
2010년대 들어서는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에 대한 입장 차이, 호주 내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 시도에 대한 우려, 화웨이 등 중국 기술 기업의 5G 네트워크 참여 배제 문제 등으로 양국 간 긴장이 본격적으로 고조되었다. 특히 보수 연립 정부 시기에 이러한 갈등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2020년대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기원에 대한 호주의 독립적 국제 조사 요구가 결정적인 계기가 되어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었다. 중국은 이에 대해 호주산 보리, 와인, 석탄 등에 대한 수입 제한 및 고율 관세 부과 등 광범위한 경제 보복 조치를 단행했다. 또한, 미국, 영국과 함께 새로운 안보 동맹인 AUKUS를 창설하고 핵추진 잠수함 도입을 결정한 것은 중국의 군사적 팽창에 대한 견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중국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2022년 노동당 정부가 출범하면서 양국 관계는 전환점을 맞이했다. 고위급 대화가 재개되고 일부 무역 제한 조치가 해제되는 등 관계 개선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남중국해 등에서의 군사적 긴장, 인권 문제에 대한 이견 등 근본적인 갈등 요인은 여전히 남아 있어 향후 관계 변화의 불확실성은 지속되고 있다.
3. 1. 2000년대: 경제 협력과 갈등의 시작
2009년 7월, 중국 국가기밀보호국은 호주에 기반을 둔 광업 대기업 리오 틴토의 직원 4명을 구속했다. 이들은 6년 동안 관계자에게 뇌물을 제공하고 산업 스파이 활동을 한 혐의를 받았다[235]。 다음 해, 해당 직원들은 산업 스파이 혐의로 징역 7년에서 14년 사이의 판결을 받았다[236]。같은 해 8월, 멜버른 국제 영화제는 세계 위구르 회의 의장이자 미국으로 망명한 라비아 카디르를 초청하여, 의장을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했다[237]。 별도로 초청받았던 중국인 감독들이 영화제를 보이콧했다[238]。
3. 2. 2010년대: 관계 악화와 갈등 심화
노동당의 줄리아 길라드/케빈 러드 정부(2010-2013)는 청정 에너지 협력 등을 통해 중국과의 경제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나,[108] 동시에 미국과의 전통적인 안보 동맹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109] 특히 길라드 총리 취임 이후, 미국과의 관계를 더욱 긴밀히 하고 쿼드 참여에 다시 관심을 보이면서 중국과 거리를 두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112] 호주 북부 다윈 지역에 미군 주둔을 확대하려는 길라드 정부의 계획은 중국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 중국은 이러한 군사적 조치가 지역 안보를 해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114] 길라드 총리는 이에 대해 호주와 미국은 오랜 동맹국이며 중국이 이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반박했다.[115] 그럼에도 2013년 길라드는 중국을 방문하여 시진핑 주석, 리커창 총리와 회담하며 경제 관계 강화를 모색했다.[116]자유당-국민당 연립의 토니 애보트 정부(2013-2015) 시기에는 양국 관계가 일시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애보트 정부는 미국과의 동맹을 유지하면서도 중국과의 관계를 조화롭게 관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117] 2014년 11월에는 양국 간 자유 무역 협정 체결이 마무리되었고,[118] 같은 달 시진핑 주석이 호주를 방문하여 의회 연설을 통해 양국 관계를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한다고 발표하는 등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었다.[120]

그러나 말콤 턴불 정부(2015-2018) 들어 양국 관계는 다시 악화되었다. 특히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에서 호주는 중국의 주장에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2016년 7월, 상설중재재판소가 중국의 구단선 주장이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판결하자,[121][122] 호주는 미국, 일본과 함께 중국에 판결 준수를 촉구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123] 이에 중국 관영 언론은 호주를 '종이 고양이'라고 비난하며 불쾌감을 드러냈다.[124] 같은 해 리우 올림픽에서는 호주 수영 선수가 중국 선수 쑨양의 도핑 전력을 비판하자, 중국 관영 언론은 호주를 "문명의 변두리에 있는 영국의 해외 감옥"이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125]

2017년에는 아세안 및 동아시아 정상회의를 앞두고 미국, 일본, 인도, 호주 4개국 관리들이 만나 안보 협력 방안을 논의했는데, 이는 남중국해 등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쿼드의 공식적인 부활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했다.[126][127]

호주 내부에서는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2017년 6월, 호주 공영방송 ABC의 탐사보도 프로그램 포 코너스는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사업가들이 호주 양대 정당(자유당, 노동당)에 거액의 정치 자금을 기부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고 폭로했다.[243][129] 호주 보안 정보 기구(ASIO) 역시 이러한 중국의 정치 개입 시도에 대해 정치권에 경고해왔음이 알려졌다.[129][244] 중국 외교부는 이러한 의혹 제기가 "전혀 무의미하다"고 일축했다.[130] 전직 국방부 고위 관료는 중국이 호주 내에서 활발한 첩보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31]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17년 12월, 야당인 노동당 소속 샘 데스티어리 상원의원이 중국계 사업가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고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당론과 다른 친중국적 발언을 한 사실이 드러나 결국 의원직을 사퇴하는 스캔들이 발생했다.[132][245] 당시 말콤 턴불 총리는 중국어로 "호주 국민이여 일어서라"(澳大利亚人民站起来了|아오다리야 런민 잔치라이러중국어)고 외치며 중국의 내정 간섭 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133] 직후 턴불 정부는 외국인의 정치 자금 기부를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했고, 이는 이듬해 통과되었다.[134][246] 역사적으로 외국인의 정치 기부에 제한이 거의 없었던 호주에서 이는 중대한 변화였다.[135]
관계 악화는 기술 분야로도 번졌다. 2018년 8월, 턴불 정부는 안보상의 이유를 들어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와 ZTE가 호주의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구축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했다.[136]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로 양국 관계는 급격히 냉각되었다. 2018년 4월, 중국 정부는 턴불 총리를 포함한 호주 정부 고위 인사들에 대한 비자 발급을 사실상 중단하며 불만을 표시했다.[247] 청징예 주호주 중국대사는 호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호주 측의 "무책임하고 부정적인 발언"을 비판하며 무역 보복 가능성을 시사했다.[248] 같은 해 5월 G20 외교장관 회의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줄리 비숍 호주 외교장관에게 "호주 측의 원인으로 양국 관계가 어려움에 직면했다"며 "관계 개선을 원한다면 색안경을 벗고 중국의 발전을 봐달라"고 요구했다.[248]
2010년대 후반에는 경제적 갈등도 발생했다. 일본 기린 홀딩스 산하 라이온 네이선의 유제품 사업부를 중국 멍뉴유업에 6억호주 달러에 매각하려던 계획이 호주 정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조시 프라이든버그 재무장관은 해당 매각이 "국익에 반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249] 또한 2019년에는 중국을 위해 스파이 활동을 했다고 주장하는 남성이 호주에 망명을 신청하며 중국의 정치 간섭 활동 정보를 제공했다는 보도가 나왔고,[250] 호주 정보기관이 총선에 친중국 인사를 후보로 내세우려던 중국 정보기관의 계획을 수사하고 있다는 보도도 이어졌다.[252]
이처럼 2010년대는 호주와 중국 관계가 경제적 상호 의존에도 불구하고, 남중국해 문제,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 시도, 기술 안보 문제 등으로 인해 갈등이 심화되고 관계가 악화된 시기였다.
3. 3. 2020년대: 코로나19 팬데믹과 관계 경색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확산되면서 호주와 중국의 관계는 급격히 경색되었다. 호주 정부는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침체기에 자국 기업이 중국 등 권위주의 정권의 국영 기업에 인수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외국인 투자 규제를 강화했다.[59] 또한 호주 국경 수비대는 중국에서 수입된 불량 마스크 등 개인 보호 장비를 압수하기도 했다.[60][61]결정적으로 2020년 4월, 스콧 모리슨 총리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한 국제적인 독립 조사를 요구하면서 양국 관계는 크게 악화되었다.[19][62][20] 중국은 이를 "정치적 조작"[153]이라며 강하게 반발했고, 호주에 대한 경제적 보복 조치를 단행했다. 2020년 5월, 중국은 호주산 쇠고기 주요 수출업체 4곳의 수입을 금지하고,[63][253] 호주산 보리에 80%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64][254] 중국은 덤핑과 보조금을 이유로 들었으나, 호주 정부와 업계는 강력히 반발했다.[64] 중국은 호주에 미국과의 "거리두기"를 경고하며 경제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위협했고,[65] 환구시보 편집장 후시진은 호주를 "중국 신발 밑창에 붙은 껌"에 비유하며 비난했다.[156] 중국은 또한 호주 내 인종차별 증가를 이유로 자국민에게 호주 여행 및 유학 자제를 권고했다.[68][69][70][254] 2020년 11월에는 호주산 와인에 최대 212.1%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고,[71][258] 12월에는 호주산 석탄 수입을 전면 중단했다.[72] 이러한 조치들은 호주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2020년 중국의 대호주 투자는 전년 대비 61% 급감하여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73]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의 무역 제재가 호주의 코로나19 조사 요구 이전부터 계획된 보복 조치였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158] 호주는 보리 관세 조치에 대해 WTO에 제소 절차를 밟았다.[255]
경제적 압박 외에도 다른 갈등 요인들이 부상했다. 2020년 6월, 호주 정부는 "정교한 국가 기반 행위자"에 의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이 있었다고 발표했는데, 많은 전문가들은 중국을 배후로 지목했다.[66] 중국은 이를 부인했다.[66] 또한 호주는 2018년 국가 안보 우려를 이유로 5G 네트워크 구축 사업에서 중국 기업 화웨이와 ZTE를 배제한 바 있으며,[164] 2020년 8월에는 관련 규정을 더욱 강화하고 외국 투자법을 개정하여 안보 관련 분야의 외국인 투자를 엄격히 심사하기로 했다.[257][256]
2020년 11월, 주호주 중국 대사관 관계자는 호주 언론에 중국의 불만을 담은 14개 항목 목록을 전달하며 노골적인 불만을 표출했다. 이 목록에는 화웨이 5G 배제, 외국인 투자 제한, 코로나19 독립 조사 요구, 신장, 홍콩, 대만 문제 간섭, 남중국해 문제 개입, 반중 싱크탱크 자금 지원, 중국 언론인 부당 대우, 사이버 공격 비난, 호주 정치인과 언론의 반중 행태 등이 포함되었다.[159][162][164] 이 관계자는 호주가 해당 정책들을 철회하지 않으면 중국은 "적으로 맞설 것"이라고 위협했다.[160][161]

같은 달, 중국 외교부 대변인 자오리젠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호주 군인이 아프간 어린이의 목에 칼을 대고 있는 조작된 이미지를 트위터에 게시하면서 외교적 파문이 일었다.[165] 이는 브레레톤 보고서에서 제기된 호주군의 전쟁 범죄 혐의를 비꼰 것이었으나, 스콧 모리슨 총리는 이를 "혐오스럽고 터무니없다"며 중국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166][167] 중국은 사과를 거부하고 오히려 호주가 아프간에서의 인명 피해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맞섰다.[168] 뉴질랜드, 프랑스 등은 호주를 지지하며 중국의 행태를 비판했다.[173][174] 중국 소셜 미디어 위챗은 이 사건에 대한 모리슨 총리의 메시지를 검열하기도 했다.[169]

인권 문제 역시 주요 갈등 현안이었다. 호주는 2019년부터 중국의 신장 위구르족 및 소수 민족 탄압을 비판해왔으며,[143][144]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홍콩과의 범죄인 인도 조약을 중단했다.[145][146] 2021년 12월에는 미국 등과 함께 신장 인권 문제를 이유로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149][264]
2021년 들어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4월, 호주 연방 정부는 빅토리아주가 중국과 맺은 일대일로 관련 협정을 파기한다고 발표했다.[74][75][260] 6월에는 중국의 와인 관세 부과 조치를 세계 무역 기구(WTO)에 제소했다.[76][261] 중국이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 가입을 신청하자, 호주는 양국 간 미해결 문제를 이유로 가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시사했다.[262]

안보 분야에서의 긴장도 고조되었다. 2021년 9월, 호주는 미국, 영국과 함께 새로운 안보 동맹인 AUKUS 창설을 발표하고, 미국의 지원을 받아 핵추진 잠수함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178][263] 이는 중국의 군사적 팽창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었으며, 중국은 이를 "지역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군비 경쟁을 악화시키는 무책임한 행위"라고 맹비난했다.[182] 호주 내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제적 강압과 사이버 공격 등이 호주로 하여금 AUKUS와 같은 강력한 안보 협력을 선택하게 만들었다고 분석했다.[183][184] 2022년에는 중국과 솔로몬 제도 간의 안보 협정 체결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호주는 자국의 "뒷마당"으로 간주하는 남태평양 지역에서의 중국 영향력 확대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189][190][191][192]

2022년 5월 앤서니 앨버니지 노동당 정부가 출범하면서 양국 관계 개선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195] 2022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에서 리처드 마를스 호주 국방부 장관과 웨이펑허 중국 국방부장이 만나 약 3년 만에 양국 간 최고위급 접촉이 이루어졌다.[196] 마를스 장관은 남중국해 상공에서 발생한 중국 전투기의 호주 정찰기 위협 비행 사건 등에 대해 논의했다.[196] 11월에는 G20 발리 정상회의에서 앨버니지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담을 가졌고,[195] 12월에는 페니 웡 호주 외무장관이 2019년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하여 왕이 외교부장과 만났다.[198]
2023년 들어 관계 개선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3월, 앨버니지 총리는 미국, 영국 정상과 함께 AUKUS 잠수함 계획을 공식 발표했지만,[199][200] 동시에 중국과의 관계 개선 노력도 이어갔다. 중국은 2023년 초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를 해제했고,[201][202] 4월에는 양국이 보리 관세 분쟁 해결에 합의하여, 호주가 WTO 제소를 중단하는 대가로 중국이 관세를 재검토하기로 했다.[203] 5월에는 돈 파렐 호주 무역장관이 2019년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했고,[205] 중국은 호주산 목재 수입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206] 8월에는 중국이 호주산 보리에 대한 관세를 철폐한다고 발표했고,[78] 2024년 3월에는 와인 관세도 철폐했다.[79] 이에 호주는 WTO 제소를 철회했다.[80]
2023년 9월, 양국은 3년 만에 고위급 대화를 재개했으며,[207] 10월에는 2020년 9월 중국에 구금되었던 호주 국적 기자 청레이가 석방되어 귀국했다.[208] 11월, 앨버니지 총리는 7년 만에 호주 총리로서 중국을 방문하여 시진핑 주석, 리창 총리와 회담을 갖고 관계 정상화를 모색했다.[209][210][211][265]

그러나 관계 개선 속에서도 군사적 긴장은 여전히 존재했다. 2023년 11월, 일본 근해에서 작전 중이던 호주 해군 호위함 HMAS 투움바 인근에서 작업하던 호주 해군 잠수부들이 접근한 중국 구축함 닝보함의 소나 공격으로 부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212][213][214] 호주는 이에 대해 중국 측에 공식 항의했다.[215] 2024년 5월에는 황해 공해상에서 유엔 대북 제재 이행 작전을 수행하던 호주 해군 헬리콥터(시코르스키 MH-60 시호크) 인근으로 중국 청두 J-10 전투기가 접근하여 조명탄을 발사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222][223][224]
2024년 2월, 호주와 뉴질랜드 외교·국방 장관은 공동 성명을 통해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홍콩에서의 인권 침해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218] 이에 중국은 내정 간섭이라며 반발했다.[219] 3월에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캔버라를 방문하여 웡 외무장관과 호주-중국 외교 및 전략 대화를 가졌다.[220] 5월에는 호주 의원들이 중국 해커 그룹(APT31)의 표적이 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221]
2024년 6월, 리창 중국 총리가 호주를 국빈 방문하여 앨버니지 총리와 회담했다. 양국은 호주 방문객에 대한 15일 무비자 입국 허용, 상호 5년 복수 비자 발급, 군사 소통 채널 개선 등에 합의했다.[225][226] 리 총리는 야당 대표 피터 더튼 등과도 면담하고 퍼스의 리튬 공장을 방문하는 등 경제 협력도 논의했으나, 방문 기간 중 중국 관리들이 기자회견장에서 호주 기자 청레이의 시야를 가리려는 듯한 행동을 보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225][226]
4. 경제 관계
호주와 중국의 경제 관계는 양국 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무역과 투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중국은 오랜 기간 호주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었으며, 호주는 중국에 철광석, 석탄과 같은 원자재를 대량으로 수출하고, 중국으로부터는 다양한 공산품을 수입하는 상호 의존적인 무역 구조를 가지고 있다.
양국 간 투자는 특히 중국의 호주 자원 부문 투자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최근 몇 년간 국가 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호주 정부가 외국인 투자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는 등 변화를 겪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어지는 문단에서 다룬다.
4. 1. 무역
1750년대부터 중국 상인들이 호주에 있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20세기까지 양국 간의 무역은 소규모로 이루어졌다. 당시 호주의 무역 관계는 대영 제국에 크게 의존했으며, 1901년 연방 결성 당시 대중국 무역은 호주 전체 상품 무역의 0.3%에 불과했다. 호주는 주로 중국에서 차와 쌀을 수입했고, 비단과 같은 사치품도 들여왔다. 반면 중국은 호주로부터 주로 은, 금, 구리, 납과 같은 광물을 수입했으며, 곡물도 일부 수입했다.[6]
20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농산물이 호주의 대중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기 시작했다. 특히 호주산 버터와 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1917-18년에는 호주가 약 431286.61kg의 버터를 중국으로 수출했다. 같은 시기 호주에서는 중국산 실크 및 기타 섬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양국 간 무역은 잠시 중단되었으나, 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양모가 중국이 수입하는 주요 호주 상품으로 부상했다. 1960년대부터는 중국의 농업 생산량 부족으로 호주산 밀 수입이 급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초까지 중국은 여전히 호주 전체 상품 무역의 1%만을 차지하는 수준이었다.[6]
1972년 호주와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가 수립된 이후, 중국이 시장 지향적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양국 간 무역은 급격히 확대되었다. 특히 중국의 강력한 철광석,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수요에 힘입어 중국은 호주의 최대 무역 파트너로 부상했다.[43] 이러한 대중국 수출 증가는 호주가 글로벌 금융 위기의 충격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2]
포테스큐 메탈스 그룹, 리오 틴토, BHP 빌리턴, 엑스트라타 등 호주의 주요 광산 기업들은 중국을 비롯한 신흥 경제 대국으로의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호주에 주로 의류, 통신 장비 및 부품, 컴퓨터, 장난감, 유모차, 스포츠 장비 등을 수출한다.[43]
양국 간 교역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0-2011년 회계연도에는 1050억호주 달러에 달했다. 이 기간 동안 호주의 대중국 수출액은 648억호주 달러, 중국의 대호주 수출액은 411억호주 달러를 기록했다.[43]
무역 활성화와 더불어 인적 교류도 늘어나, 베이징, 상하이, 홍콩, 광저우 등 중국 주요 도시와 브리즈번,[45] 멜버른, 애들레이드, 시드니 간 직항 노선이 운항되고 있다. 중국남방항공은 2011년 11월부터 광저우-퍼스 노선을 신설했으며,[46] 1993년부터 잔다콧과 메레딘에 조종사 훈련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46]
1980년대 일본의 호주 투자를 둘러싼 논란과 유사하게, 초기에는 중국의 자원 부문 투자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47] 그러나 호주 외국인 투자 심의 위원회(FIRB)와 정치권의 면밀한 검토를 거쳐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우려는 다소 완화되었다.[48][49][50][51] 호주는 현지 기업 참여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상호 이익이 되는 투자를 중시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49]
2000년, 양국은 에너지 및 자원 분야 협력을 위한 고위급 협의체인 '호주-중국 에너지 및 자원 협력 양자 대화(BDERC)'를 설립했다.[52] BDERC는 특히 화석 연료를 중심으로 양국 간 에너지 협력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52]
한편, 호주의 첨단 기술이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일례로 후베이급 미사일정 설계의 기반 기술 일부가 호주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이 있다.[53]
2013년 4월 8일, 당시 호주 총리였던 줄리아 길라드는 상하이 방문 중 호주 달러가 미국 달러와 일본 엔화에 이어 세 번째로 중국 위안화와 직접 거래되는 통화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54]
중국 본토 내 호주 기업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주중 호주 상공회의소는 매년 '호주-중국 비즈니스 어워드(ACBA)'를 개최하여 중국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활동한 호주 기업들을 시상하고 있다.[55]
2015년 6월 17일, 양국은 중국-호주 자유 무역 협정(ChAFTA)에 서명했다.[56] 이 협정에 따라 호주는 5년 내 모든 상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고, 중국은 최장 15년 내 96.8%의 상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기로 합의했다. 이듬해인 2016년 4월, FTA 발효를 계기로 말콤 턴불 당시 호주 총리가 경제계 인사 등 1,000여 명의 대규모 사절단을 이끌고 중국을 방문하기도 했다.[242]
그러나 2010년대 후반부터 양국 관계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었다. 호주는 중국 통신장비 업체가 공급하는 5G 네트워크 장비에 백도어가 설치되어 중국 정부의 감시 활동에 이용될 수 있다는 안보 우려를 제기했다. 특히 기업과 개인이 정보기관의 정보 수집 활동에 협조하도록 강제하는 중국 인터넷 보안법 등 관련 중국 법률에 대한 우려가 컸다.[57] 2018년 2월, 호주 정부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경계심 속에 농지 및 전력 인프라에 대한 외국인 투자 규제를 강화했다.[58]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양국 간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3월, 호주 정부는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침체기에 어려움을 겪는 자국 기업들이 중국 등 권위주의 국가의 국영 기업에 인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외국인의 기업 인수합병 심사를 강화하는 조치를 도입했다.[59] 4월에는 호주 국경 수비대가 중국에서 수입된 불량 마스크 등 개인 보호 장비(PPE)를 압수하는 일도 발생했다.[60][61]
결정적으로 2020년 5월, 호주가 코로나19의 중국 내 발원에 대한 독립적인 국제 조사를 요구하면서 양국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스콧 모리슨 당시 총리는 세계보건기구(WHO)에 강력한 조사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62] 이에 중국은 즉각 반발하며 경제적 보복 조치를 취했다. 5월 12일, 중국은 호주산 쇠고기 수출의 약 35%를 차지하는 4개 육가공 업체의 수입을 금지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자오리젠은 "소비자 건강과 안전 보장"을 위한 조치라고 주장하며 코로나19 기원 조사 요구와의 연관성을 부인했지만,[63] 사실상 보복 조치로 받아들여졌다.
이어 5월 19일부터는 호주산 보리에 80%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은 수년간의 덤핑 및 보조금 지급에 대한 조사 결과라고 주장했지만, 호주 정부와 업계는 이를 강력히 반박했다.[64] 중국 관영 매체인 ''환구시보''는 호주가 미국 편에 설 경우 경제적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하며 노골적인 압박을 가하기도 했다.[65]
2020년 6월에는 호주 정부 기관 및 기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으며, 호주 정부는 배후로 "정교한 국가 기반 행위자"를 지목하며 사실상 중국을 지목했다. 중국은 관련성을 부인했다.[66] 이 시기 중국 정부는 호주 내 인종차별 증가를 이유로 자국민에게 호주 여행 및 유학 자제를 권고하는 경고를 발령하기도 했다.[68][69][70]
중국의 경제 보복은 계속되어 2020년 11월에는 호주산 와인 수입에 대해 107.1%에서 212.1%에 이르는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고,[71] 12월에는 호주산 석탄 수입을 전면 중단했다.[72]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2020년 중국의 대호주 투자는 전년 대비 61% 급감하여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73] 2021년 4월, 호주 연방 정부는 빅토리아 주정부가 중국과 체결했던 일대일로 관련 양해각서를 취소한다고 발표하며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74][75] 호주는 중국의 와인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세계 무역 기구(WTO)에 공식 제소했다.[76]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외교적 긴장 속에서도 2021년 양국 간 무역 자체는 철광석과 육류 교역 호조로 인해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호주는 대중국 무역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77]
2022년 호주 정권 교체 이후 관계 개선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2023년 8월, 중국 중국 상무부는 호주산 보리에 부과했던 "반덤핑 및 반보조금" 관세를 철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8] 이어 2024년 3월에는 호주산 와인에 대한 관세도 철폐했다.[79] 이에 호주 정부는 WTO에 제기했던 관련 분쟁 절차를 중단한다고 밝혔다.[80]
4. 2. 투자
2012년, 호주 정부는 투자자용 비자 제도를 개정하여, 해외 투자자가 500만호주 달러를 지정된 투자처에 일정 기간 투자하면 호주 국내 거주권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비자 제도는 중국 부유층의 호주 이주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기존 중국계 주민을 포함하여 2016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중국계 호주인은 121만 3903명으로, 전체 인구의 3.9%를 차지하게 되었다[239].그러나 양국 관계 변화와 안보 우려 등으로 인해 호주의 외국인 투자 정책은 변화를 맞이했다. 2020년 6월, 호주 정부는 외국 투자법을 개정하여 해외 투자의 일부를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국가 안보와 관련된 분야의 사업 인수에 대해서는 외국 투자 심사위원회(Foreign Investment Review Board, FIRB)가 투자 규모에 관계없이 정밀 심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 개정의 영향으로 금광 매입 등을 계획했던 일부 중국 기업이 계획을 철회하는 사례가 발생했다[256].
같은 해 8월 23일, 호주 정부는 차세대 통신 규격인 5G 네트워크 참여 조건을 강화했다. 특정 기업을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는 사실상 중국의 통신 장비 대기업인 화웨이의 호주 내 사업 확장을 제한하는 조치로 해석되었다[257].
5. 사회·문화 관계
오스트레일리아와 중국은 역사적으로 깊은 사회·문화적 관계를 맺어왔다. 19세기 빅토리아 골드 러시를 계기로 중국인의 호주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오늘날 중국계 호주인은 호주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았다. 양국 간에는 활발한 인적 교류, 특히 교육 분야에서의 교류가 활발하여 많은 수의 유학생이 오가고 있다. 호주 주요 도시에는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어 있고 중국 설과 같은 문화 행사가 열리는 등 문화적 교류도 지속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문화 교류 증진을 명목으로 공자 학원을 설립하기도 했으나, 이는 운영 방식과 영향력을 둘러싼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5. 1. 인적 교류
빅토리아 골드 러시 시기에 호주 내 중국인 인구가 크게 늘어나,[3] 1861년경에는 약 4만 명에 달하며 전체 인구의 3.3%를 차지했다.[6]
1909년, 청 제국 정부는 당시 호주 정부가 위치했던 멜버른에 량란순을 초대 총영사로 파견했다.[4] 이는 호주 최초의 중국 총영사였다. 수년간 호주 내 중국 커뮤니티는 청나라 영사관 설치를 요구해왔으나, 영국 외무부는 이를 승인하는 데 소극적이었다. 호주 연방 설립 이후, ''1901년 이민 제한법'' 제정과 함께 백호주의 및 반중 감정이 확산되자, 중국 커뮤니티 내에서는 호주 사회에서 공식적인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열망이 더욱 커졌다.[6]
당초 중국 커뮤니티, 유럽 영사단, 호주 총리 등은 메이 춍 타트를 초대 총영사로 선호했으나, 그는 영사관 설치 전인 1903년에 사망했다. 대신 제국 관리이자 외교 경험이 풍부한 량란순이 임명되었다. 그러나 량 총영사는 중국 이민자에 대한 차별 문제보다는 양국 간 무역 관계 증진에 더 집중했다.[5] 그의 후임자인 마지막 청나라 영사 퉁잉둥은 호주 내 중국인들의 어려움을 돕는 데 관여하려 했다. 그는 호주 외무부 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노던 준주의 공무원들이 중국 거주민들에게 가혹하게 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여러 차별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1912년 1월 1일 중화민국이 건국되면서 청 제국을 대체했다. 호주 주재 총영사관은 즉시 새로운 공화국 정부를 지지하며 중국 커뮤니티를 동원해 기금을 모으고, 새로운 중국 의회에 파견할 해외 중국인 대표 선출을 위한 대표단을 조직했다. 중국 내 다양한 정치 세력들은 호주에서도 지지 기반을 확보하려 했다. 총영사관은 위안스카이의 베이징 정부를 지지하는 단체를 후원했고, 반대 세력이었던 중국 국민 동맹(이후 중국 국민당 지부)은 1916년 시드니에서 결성되었다. 이 시기 호주의 인종 차별적인 이민법이 다소 완화되면서 양국 간 인적 교류가 점차 확대되었다. 1924년 한 해에만 약 200명의 중국인 유학생이 호주로 건너왔다. 또한 호주 무역 사절단이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잠시 중국에 주재하기도 했다.
1920년대 중반에는 광저우-홍콩 파업을 둘러싼 중국과 영국 간의 갈등이 호주(당시 영국의 자치령)와의 관계에도 긴장을 유발했다. 중국 내에서 북벌이 성공하며 정치적 통합이 강화되자, 중국 총영사관은 중국인을 차별하는 호주 법률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는 1929년 집권 국민당 제3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채택된 결의안을 통해 국내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후 중국인 거주자와 방문객에 대한 호주의 규정이 완화되어, 중국 국적자들이 호주를 방문하거나 유학하기가 이전보다 수월해졌다.[5]
1930년대 들어 양국 관계는 더욱 활발해졌다. 총영사관은 재정비되어 시드니로 이전했고, 다른 주요 도시들에도 분관이 설치되었다. 다양한 중국 관리들이 호주를 방문했다. 특히 1931년부터 1932년까지 중화민국 국가주석이자 국가원수였던 린 센이 시드니와 멜버른을 방문했다.[5] 이는 중국 국가원수의 첫 호주 방문이었으며, 린 센 주석은 이 기회를 통해 중국인 이민에 대한 호주의 제한 조치를 완화해 줄 것을 촉구했다. 존경의 표시로 그는 호주 하원 의석에 앉는 예우를 받았다. 1934년에는 정부 부대표였던 존 레이덤이 이끄는 호주 동방 사절단이 중국을 방문했다.[6] 1935년에는 비비안 고든 보든이 상하이에 주재하는 호주 무역 대표로 임명되었다.[7] 여러 아시아 국가에 무역 대표를 파견하는 것은 1933년 라이온스 정부가 발표한 계획의 일환이었으며, 이전까지 호주의 이익은 주로 영국이 대변했다.[8]
1941년, 호주가 외교 정책에서 더 큰 독자성을 확보하면서 중화민국과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전에 연방 보조금 위원회를 이끌었던 프레데릭 에글스턴이 중국의 전시 수도였던 충칭에 초대 호주 대사로 임명되었고, 쉬 모 중화민국 외교부 차관이 초대 주호주 중국 대사로 임명되었다.[6] 1948년에는 양국이 상호 대표부를 대사급으로 격상시켰다.

호주는 수 세기 동안 중국 이민자들이 정착해 온 곳이며, 현대에 이르러 중국계 호주인들은 호주 사회의 중요한 소수 민족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과 같은 대도시뿐만 아니라 빅토리아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등 지방 중심지에도 상당수의 호주 태생 중국인 및 중국 출신 이민자/시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다윈을 포함한 호주의 모든 주도에는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멜버른과 시드니에서는 매년 대규모 중국 설 축제가 열린다.
2012년, 호주 정부는 투자자용 비자 제도를 개정하여 해외 투자자가 500만호주 달러를 지정된 투자처에 일정 기간 투자하면 호주 영주권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이 제도를 통해 중국 부유층의 호주 이주가 가속화되었다. 2016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중국계 호주인은 121만 3903명으로, 전체 인구의 3.9%를 차지하게 되었다.[239]
중국 정부는 호주 주요 도시의 대학들과 협력하여 문화 교류 증진을 명목으로 다수의 공자 학원을 설립했다.[27] 그러나 호주 내 공자 학원의 운영 방식과 영향력을 둘러싸고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편, 중국 내에도 호주인 커뮤니티가 존재하며, 이들은 호주식 축구팀을 창단하는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19세기부터 호주인들이 학문 연구를 위해 중국으로 건너가는 사례가 있었다. 윌리엄 메이어스(William Mayers)는 1859년부터 중국에서 공부했으며, 중국에 최초의 철도와 증기 기관차를 도입하는 협상에 참여하기도 했다.[6] 2011년 기준으로 중국은 호주 학생들이 해외 유학 시 가장 많이 선택하는 국가였다. 특히 단기 유학 목적지로는 1위였으며, 장기 유학 및 실습 배치 목적지로는 7번째로 인기가 많았다.[28] 2014년에는 약 4,700명의 호주 학생들이 중국 대학에서 공부했으며, 2015년에는 호주 정부의 '뉴 콜롬보 플랜(New Colombo Plan)'을 통해 525명의 대학생이 중국 유학길에 오를 것으로 예상되었다.[29]
중국 학생들의 호주 유학 역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그 수가 적어 1912년부터 1920년까지 총 30명 정도에 불과했다. 1924년에는 약 300명의 중국 학생들이 호주에서 공부했는데, 대부분은 호주 거주 중국인의 자녀들이었다.[5]
호주는 1986년부터 해외 유학생을 위한 영어 집중 과정(ELICOS)을 통해 중국 학생들의 고등 교육 입학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1987년에는 수천 명의 중국 학생들이 호주에서 공부하고 있었다.[30]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호주 정부는 당시 호주에 체류 중이던 약 2만 명의 중국 학생들에게 임시 보호 조치를 제공했다.[14][30] 이후 호주는 중국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고등 교육 유학 목적지 중 하나가 되었다.[31] 2011년 초에는 호주 내 중국 유학생 수가 12만 6천 명을 넘어섰으며,[31] 이는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26%에 해당했다.[31][32] 같은 해 9월에는 15만 명의 중국 학생들이 호주 고등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이었다.[33] 2009/10년 기준으로 호주의 교육 수출 시장 규모는 190억호주 달러에 달했다.[34] 이러한 활발한 교육 교류는 비정부 기구(NGO)를 통한 양국 청년 간 교류 활성화로 이어졌다. 호주-중국 청년 협회, 호주-중국 청년 대화, 호주-중국 젊은 전문가 이니셔티브, 인게이징 차이나 프로젝트와 같은 단체들은 정부 및 대학의 지원을 받아 수천 명의 호주와 중국 청년들을 학문적, 문화적, 직업적 교류 프로그램으로 연결하고 있다.[35][36][37][38][39]
호주-중국 동문회는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호주 대학 졸업생들 간의 지속적인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40]
5. 2. 문화 교류
호주는 오랫동안 중국 이민자들이 정착해 온 곳으로, 현대 호주 사회에서 중국계 커뮤니티는 중요한 소수 집단을 이루고 있다. 현재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과 같은 대도시뿐만 아니라 빅토리아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등 지방 중심지에도 상당수의 호주 출생 중국인과 중국 출생 이민자/호주 시민이 거주하고 있다. 다윈을 포함한 호주의 모든 주도에는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멜버른과 시드니에서는 대규모 중국 설 축제가 공개적으로 열린다.
문화 교류 증진을 위해 중국 정부는 호주 주요 도시의 대학들과 협력하여 여러 공자 학원을 설립했다.[27] 그러나 호주 내 공자 학원은 운영 방식과 영향력을 둘러싸고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한편, 중국 내 호주인 커뮤니티 역시 활동하며 호주식 축구팀을 창단하는 등 문화적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6. 한반도 문제와 호주-중국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내용을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Exclusive: Canberra 'will not oppose' China's CPTPP trade-pact bid
https://www.scmp.com[...]
2023-11-26
[2]
웹사이트
Snapshot of Australia, 2021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https://www.abs.gov.[...]
2024-07-17
[3]
간행물
Let us work to bolster Sino-Australian ties
China Daily
2006-04-13
[4]
웹사이트
The Chinese Times: 1902–1922 - No 53 October 1994
http://latrobejourna[...]
2022-10-23
[5]
서적
The View from the Edge: Chinese Australians and China, 1890 to 1949
https://books.google[...]
Ferrall, C. et al. (ed.)
2005
[6]
간행물
Australia-China: Not just 40 years
http://www.treasury.[...]
2012
[7]
뉴스
TRADE
http://nla.gov.au/nl[...]
2016-05-04
[8]
서적
Emissaries of trade : a history of the Australian Trade Commissioner Service
https://www.dfat.gov[...]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22-07-28
[9]
문서
Australia-China Relations before Recognition
https://web.archive.[...]
Whitlam Institute
2012
[10]
웹사이트
The unexpected embassy: establishing, maintaining and ending Australian diplomatic representation in Taipei
https://www.soas.ac.[...]
2019-04-15
[11]
문서
Whitlam's Advocacy for Diplomatic Recognition
https://web.archive.[...]
Whitlam Institute
2012
[12]
웹인용
Sino – Australia Relations
http://au.china-emba[...]
Embass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Australia
[13]
뉴스
Australia and Recogni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1972
http://www.foreignmi[...]
Austral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2-07-04
[14]
서적
An Introduction to Australasian Orientalism
https://books.google[...]
Ferrall, C. et al. (ed.)
2005
[15]
간행물
Sino-Australian relations
2011
[16]
웹사이트
The party line
http://www.smh.com.a[...]
2017-06-05
[17]
웹사이트
Why China is becoming a friendlier neighbour in Asia
https://www.scmp.com[...]
2019-01-01
[18]
서적
Silent Invasion: China's influence in Australia
Hardie Grant Books
2018
[19]
웹사이트
Australia and China spat over coronavirus inquiry deepens
https://www.reuters.[...]
2020-12-29
[20]
웹사이트
Australia says world needs to know origins of COVID-19
https://www.reuters.[...]
2020-12-29
[21]
뉴스
Coronavirus: China's new army of tough-talking diplomats
https://www.bbc.com/[...]
2020-05-13
[22]
웹사이트
China relations sour over tariff threat to Australian barley
https://www.theage.c[...]
2020-05-13
[23]
웹사이트
Mitigating China's economic coercion
https://www.japantim[...]
2020-12-23
[24]
웹사이트
Great expectations: The unraveling of the Australia-China relationship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20-12-23
[25]
웹인용
Australia Is Making a Risky Bet on the U.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l Times
2021-09-20
[26]
뉴스
Aukus: China denounces US-UK-Australia pact as irresponsible
https://www.bbc.com/[...]
2021-11-26
[2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1-11-16
[28]
웹인용
SPRE – Australian Outbound Student Mobility – Snapshot
http://www.spre.com.[...]
[29]
웹인용
More Australians wish to study in China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5-03-30
[30]
논문
Organized international asylum-seeker networks: Formation and utilization by Chinese Students1
2006
[31]
웹사이트
Australia and China's higher education revolution
http://www.lowyinter[...]
2011-11-16
[32]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udent data 2011
https://web.archive.[...]
2011-11-16
[33]
웹사이트
Monthly Summary of International Student Enrollment Data1 – Australia – YTD September 2011
http://www.aei.gov.a[...]
Australian Government
2011-09
[34]
웹사이트
Analysis of Australia's Education exports
https://web.archive.[...]
DFAT
[35]
웹사이트
Society, Culture and Arts
http://www.dfat.gov.[...]
2016-10-20
[36]
웹사이트
Successful grant recipients - Australia-China Council - Australia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https://www.dfat.gov[...]
2014-11-09
[37]
웹사이트
404 Error! – Asia Education Foundation
http://www.asiaeduca[...]
2016-10-20
[38]
웹사이트
Growing youth movements fusing China-Australia ties – Xinhua – English.news.cn
http://news.xinhuane[...]
2016-10-20
[39]
뉴스
Mandarin in the Lingua Franca of Youth Dialogue
http://www.theaustra[...]
2016-10-22
[40]
웹사이트
Home – Australia China Alumni Association (ACAA)
http://www.austchina[...]
2020-09-06
[41]
웹사이트
NZ-China relations from-dazzling ping pong to $38 billion a year
https://www.stuff.co[...]
Stuff/Fairfax
2022-01-01
[42]
웹사이트
Australia Signs Mammoth Gas Deal With China
https://www.voanews.[...]
2010-03-24
[4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fat.gov.[...]
2011-11-17
[44]
웹사이트
Home
http://dfat.gov.au/
2016-10-20
[45]
간행물
China southern airlines launches flights to Brisbane, Australia
Asia Pulse
2010-10-18
[46]
간행물
First direct flight from China to Western Australia lands
Asia Pulse
2011-11-09
[47]
웹사이트
Land rush
http://www.theaustra[...]
2011-07-02
[48]
웹사이트
Japanese investment in Australia slips under the radar
http://www.theaustra[...]
2010-04-08
[49]
웹사이트
Foreign investment must be win-win: Gary Gray
http://www.theaustra[...]
2011-10-26
[50]
웹사이트
Chinese investment an opportunity, not a threat
http://www.theaustra[...]
2011-08-16
[51]
웹사이트
Barnett's 'mixed signals' on Chinese investment
http://www.theaustra[...]
2011-09-30
[52]
서적
Cooperating for the Climate: Learning from International Partnerships in China's Clean Energy Sector
The MIT Press
2023-01-01
[53]
뉴스
Insight: From a ferry, a Chinese fast-attack boat.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5-31
[54]
뉴스
China and Australia in currency pact
https://www.bbc.co.u[...]
2016-10-20
[55]
웹사이트
About – AustCham China – ACBAs
http://austcham-chin[...]
2013-08-09
[56]
서적
China in Global Govern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Implications for Global Distributive Justice
Palgrave Macmillan
[57]
웹사이트
Hobbling Huawei: Inside the U.S. war on China's tech giant
https://www.reuters.[...]
2019-05-21
[58]
뉴스
Australia toughens foreign investment rules amid China concerns
https://www.straitst[...]
2020-06-21
[59]
뉴스
Australia tightens investment rules on foreign takeovers
https://www.ft.com/c[...]
2020-06-21
[60]
뉴스
Australia seizes faulty coronavirus protective equipment imported from China
https://www.abc.net.[...]
2020-06-20
[61]
웹사이트
"DODGY" PPE MASKS FROM CHINA WORTH $1.2 MILLION SEIZED AT BORDER: REPORT
https://www.aumanufa[...]
Australian Manufacturing Forum
2020-06-20
[62]
뉴스
Australia started a fight with China over an investigation into COVID-19 — did it go too hard?
https://www.abc.net.[...]
2020-06-21
[63]
뉴스
China Blocks Some Australian Beef Imports Amid Rising Tension Over Calls for Coronavirus Investigation
https://time.com/583[...]
2020-06-21
[64]
뉴스
Why has China slapped tariffs on Australian barley and what can Australia do about it?
https://www.theguard[...]
2020-06-13
[65]
뉴스
Faulty batch of face masks prompts the isolation of more than a thousand Spanish healthcare staff
https://www.nzherald[...]
2020-06-21
[66]
뉴스
Australia sees China as main suspect in state-based cyberattacks, sources say
https://www.reuters.[...]
2020-06-21
[67]
웹사이트
Cyber security
https://www.business[...]
Victoria State Government
2020-12-29
[68]
웹사이트
Australian official urges international students to consider studying in the country as China claims racism
https://www.cnbc.com[...]
CNBC
2020-12-29
[69]
뉴스
Chinese Australians caught in the crossfire from Beijing's Australian travel warning
https://www.abc.net.[...]
2020-06-21
[70]
뉴스
Coronavirus: China warns students over 'risks' of studying in Australia
https://www.bbc.com/[...]
BBC
2020-06-21
[71]
웹사이트
China to impose temporary anti-dumping measures on Australian wine imports
https://www.reuters.[...]
2020-11-26
[72]
웹사이트
China Battles the World's Biggest Coal Exporter, and Coal Is Losing
https://www.nytimes.[...]
2020-12-16
[73]
뉴스
Chinese investment in Australia plummets 61%
https://www.bbc.com/[...]
2021-03-01
[74]
뉴스
Federal government rips up Victoria's controversial Belt and Road agreement with China
https://www.sbs.com.[...]
"[[Special Broadcasting Service]]"
2021-04-21
[75]
뉴스
The pandemic is hurting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https://www.economis[...]
2020-06-04
[76]
뉴스
Australia takes wine dispute with China to WTO
https://www.bbc.co.u[...]
2021-06-19
[77]
서적
China Incorporated: The Politics of a World Where China is Number One
"[[Bloomsbury Academic]]"
2023
[78]
뉴스
China-Australia trade: Beijing's barley-tariff removal raises hope that Australian wine will be next
https://www.scmp.com[...]
2023-08-04
[79]
뉴스
China's government officially abolishes heavy tariffs on Australian wine
https://www.abc.net.[...]
2024-03-28
[80]
뉴스
China scraps tariffs on Australian wine
https://www.theguard[...]
2024-03-28
[81]
뉴스
Australia visit shaped ideas of Mao favorite
The Sydney Morning Herald
2000-12-09
[82]
웹사이트
Chapter one
https://www.aph.gov.[...]
2024-05-13
[83]
간행물
Sir Frederic William Eggleston (1875–1954)
https://adb.anu.edu.[...]
National Centre of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5-13
[84]
뉴스
Anger as US pins sheriff badge on Australia
https://www.telegrap[...]
2003-10-16
[85]
뉴스
Howard plays down sheriff comments
https://www.abc.net.[...]
2003-10-17
[86]
웹사이트
Northern defence
http://australianetw[...]
ABC Newsline
2011-11-14
[87]
웹사이트
1971: Gough Whitlam visits China
https://www.whitlam.[...]
2017-03-17
[88]
웹사이트
John Howard meets Dalai Lama to talk Tibet
http://www.phayul.co[...]
[89]
웹사이트
Conférence de presse du 12 juin 2007
http://www.amb-chine[...]
[90]
논문
Australia–Taiwan relations: the evolving geopolitical setting.
2007
[91]
웹사이트
Australia and China: A Strong and Stable Partnership for the 21st Century
http://au.china-emba[...]
2004-07-06
[92]
뉴스
China, Australia hold strategic meeting
http://news.theage.c[...]
2008-02-05
[93]
뉴스
China rejects Rudd advice
http://www.news.com.[...]
2008-04-10
[94]
뉴스
Australian PM Kevin Rudd warns China over human rights abuses in Tibet
http://www.timesonli[...]
2008-04-09
[95]
뉴스
Aussie Rules
https://www.independ[...]
2008-04-10
[96]
뉴스
Kevin Rudd raises concerns over Tibet
http://www.tv3.co.nz[...]
TV3
2008-04-10
[97]
웹사이트
Rudd may come unstuck over China relations
http://www.theaustra[...]
2010-12-07
[98]
웹사이트
Rudd rewrites the rules of engagement
http://www.smh.com.a[...]
2008-04-12
[99]
뉴스
Australia warns China on spy case
http://news.bbc.co.u[...]
2009-07-15
[100]
뉴스
Uighur Rebiya Kadeer gets visa despite China protest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09-07-31
[101]
웹사이트
Site Under Construction
http://www.ptinews.c[...]
[102]
뉴스
Beijing bites back over Kadeer visa and iron ore prices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09-08-18
[103]
뉴스
Record gas deal between China and Australia – AM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9-08-19
[104]
뉴스
Massive sale from Gorgon Gas Project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9-08-19
[105]
뉴스
Australia to be 'global supplier of clean energy'
http://www.canberrat[...]
The Canberra Times
2009-08-20
[106]
뉴스
CNPC to import 2.25m tons of LNG annually from Australia
http://www.chinadail[...]
ChinaDaily
2009-08-20
[107]
뉴스
Deal means 2.2 million tonnes exported per year – AM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9-08-19
[108]
웹사이트
Julia Gillard rejects need to contain China
http://www.theaustra[...]
2011-11-16
[109]
웹사이트
Julia Gillard's US-China balancing act
http://www.theaustra[...]
2011-11-16
[110]
뉴스
Diabolical dilemmas in PM's China high-wire act
http://www.theage.co[...]
Sunday Age
2009-04-05
[111]
뉴스
PM May Trump Rudd in Managing China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11-08-17
[112]
뉴스
Washington is integral to our region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10-09-21
[113]
뉴스
Popular reflections finding no favour in Beijing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11-11-18
[114]
웹사이트
China reproaches Australia over strengthened US defence ties
http://www.theaustra[...]
2011-11-17
[115]
뉴스
Gillard tells China not to fear US marines
http://www.smh.com.a[...]
2015-10-16
[116]
웹사이트
Gillard urges closer Asian ties to ease tensions
http://www.smh.com.a[...]
2013-04-09
[117]
웹사이트
What the new defence white paper will say about China
http://www.lowyinter[...]
Lowy Institute for International Policy
2013-09-23
[118]
웹사이트
Landmark China-Australia Free Trade Agreement
http://trademinister[...]
Commonwealth of Australia
2014-11-18
[119]
뉴스
Tony Abbott tries to ease fears over China trade deal after Alan Jones tirad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5-13
[120]
웹사이트
The Chinese President has begun addressing the Australian parliament.
http://www.sbs.com.a[...]
2014-11-18
[121]
웹사이트
PCA Press Release: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v.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PCA-CPA
https://pca-cpa.org/[...]
2016-07-12
[122]
뉴스
Tribunal Rejects Beijing's Claims in South China Sea
https://www.nytimes.[...]
2016-07-12
[123]
뉴스
South China Sea: Australia in three-way rebuke of China
http://www.smh.com.a[...]
2016-09-02
[124]
웹사이트
China warns Australia must 'cautiously behave' over South China Sea
http://www.abc.net.a[...]
2016-10-20
[125]
뉴스
China labels Australia 'offshore prison' in Olympic drugs row
http://www.abc.net.a[...]
2016-10-20
[126]
뉴스
Quadrilateral security dialogue: India, Australia, Japan, US hold talks on Indo-Pacific cooperation
https://timesofindia[...]
2017-11-16
[127]
뉴스
Why Has Australia Shifted Back to the Quad?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7-11-16
[128]
뉴스
Exporters urge Turnbull to meet Xi over slow trade
https://www.theaustr[...]
2018-06-06
[129]
뉴스
Malcolm Turnbull orders inquiry following revelations ASIO warned parties about Chinese donations
http://www.abc.net.a[...]
ABC
2017-06-06
[130]
웹사이트
Chinese government hits back at student spying claims in Australia
http://www.smh.com.a[...]
2017-06-06
[131]
웹사이트
Dennis Richardson accuses China of spying in Australia
http://www.afr.com/n[...]
2017-06-06
[132]
뉴스
Sam Dastyari quits as Labor senator over China connections
https://www.theguard[...]
2017-12-12
[133]
뉴스
'Australian people stand up!' Malcolm Turnbull invokes Mao in war of words with China
https://medium.com/s[...]
2018-12-30
[134]
뉴스
Coalition to ban foreign donations to political parties and activist groups
https://www.theguard[...]
2018-02-21
[135]
뉴스
Australia, citing concerns over China, cracks down on foreign political influence
https://www.reuters.[...]
2018-02-21
[136]
웹사이트
Former Australian PM Turnbull explains why his government banned Huawei, ZTE from selling 5G equipment
https://www.cnbc.com[...]
2024-05-13
[137]
뉴스
Australia investigates alleged Chinese plot to install spy MP
https://www.bbc.com/[...]
2019-11-26
[138]
뉴스
ASIO investigating reports of Chinese plot to install agent in Parliament
https://www.abc.net.[...]
2019-11-26
[139]
뉴스
Australia investigates 'China plot to plant spy in Parliament' as Scott Morrison insists 'not naive' to threat
https://www.telegrap[...]
2019-11-26
[140]
웹사이트
Australia investigates China plot to plant spy in Parliament
https://apnews.com/a[...]
2020-12-25
[141]
간행물
How Xi Jinping lost Australia: Canberra went from welcoming the ‘Asian Century’ to arming itself with nuclear-powered submarines in less than a decade of the Chinese president's rule.
https://www.politico[...]
POLITICO
2021-09-27
[142]
서적
Silent Invasion: China's Influence in Australia
https://www.amazon.c[...]
Hardie Grant
2018
[143]
뉴스
Which Countries Are For or Against China's Xinjiang Policies?
https://thediplomat.[...]
2019-07-16
[144]
웹사이트
More than 20 ambassadors condemn China's treatment of Uighurs in Xinjiang
https://amp.theguard[...]
2019-07-16
[145]
웹사이트
The 53 countries supporting China's crackdown on Hong Kong
https://www.axios.co[...]
2020-07-03
[146]
뉴스
National security law: Australia suspends Hong Kong extradition treaty
https://www.bbc.co.u[...]
2020-07-09
[147]
웹사이트
Japan among 39 nations calling on China to respect Uighur human rights
https://www.japantim[...]
2020-10-06
[148]
뉴스
China accuses Australia of 'violent' interference in Five Eyes response to Hong Kong election
https://www.theguard[...]
2021-12-22
[149]
뉴스
Australia joins diplomatic boycott of Beijing Winter Olympics
https://www.abc.net.[...]
2022-02-04
[150]
뉴스
Global Backlash Builds Against China Over Coronavirus
https://www.nytimes.[...]
2020-05-04
[151]
논문
The struggle for certainty: Ontological security, the rise of nationalism, and Australia-China tensions after COVID-19
https://link.springe[...]
Journal of Chinese political science
2021
[152]
웹사이트
China: We do not spread virus disinformation
https://timesofindia[...]
2020-12-23
[153]
웹사이트
No longer a joke: Why Australia's COVID-19 inquiry campaign won the day
https://www.smh.com.[...]
2020-12-29
[154]
뉴스
Opinion {{!}} Australia is standing up to China's bullying. It needs U.S. support.
https://www.washingt[...]
2021-01-20
[155]
뉴스
Australia called 'gum stuck to China's shoe' by state media in coronavirus investigation stoush
https://www.theguard[...]
2020-12-23
[156]
웹사이트
'Chewing gum stuck on the sole of our shoes': The China-Australia war of words – timeline
https://www.theguard[...]
2020-04-29
[157]
뉴스
Australia started a fight with China by pushing for a COVID-19 inquiry – was it necessary?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12-29
[158]
뉴스
From feeding a President to a food van: This is the reality of China's trade war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1-04-26
[159]
웹사이트
China shows official list of reasons for anger with Australia
https://www.9news.co[...]
2022-10-23
[160]
뉴스
'If you make China the enemy, China will be the enemy': Beijing's fresh threat to Australia
https://www.smh.com.[...]
2020-11-20
[161]
웹사이트
In an On-brand Move, China Issues Diktat to Australia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0-11-20
[162]
뉴스
Which freedoms will James Curran give up to be friends with China?
https://www.macrobus[...]
2022-10-23
[163]
뉴스
Beijing backlash to ensure no respite in trade brawl
https://www.theaustr[...]
[164]
웹사이트
China's infamous list of grievances with Australia 'should be longer than 14 points', top diplomat says
https://www.theguard[...]
2022-10-23
[165]
뉴스
What did Australian soldiers do and is anyone going to jail? What you need to know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12-21
[166]
뉴스
Australian PM demands apology from China over 'repugnant' doctored image
https://www.nzherald[...]
2020-11-29
[167]
뉴스
Australia demands China apologise for posting 'repugnant' fake image
https://www.bbc.com/[...]
2020-12-01
[168]
뉴스
China rejects Australian PM's call to apologise for 'repugnant' tweet
https://www.theguard[...]
2020-12-01
[169]
뉴스
WeChat censors Scott Morrison's post directed at Chinese community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12-29
[170]
웹사이트
'No further amplification' of shocking China tweet, PM urges
https://thenewdaily.[...]
2020-12-21
[171]
웹사이트
Don't fuel China anger: ScoMo
https://www.perthnow[...]
2020-12-21
[172]
웹사이트
Australia seeks conciliation with China after dispute over graphic tweet
https://www.latimes.[...]
2020-12-21
[173]
뉴스
New Zealand registers concern with China over official's 'unfactual' tweet
https://www.rnz.co.n[...]
2020-12-01
[174]
뉴스
France and New Zealand join Australia's criticism of Chinese government tweet
https://www.theguard[...]
2020-12-02
[175]
뉴스
Russia accused of 'hypocrisy' after attacking Australia over Afghanistan war crimes report
https://www.abc.net.[...]
2020-12-28
[176]
웹사이트
Editorial: Convivial justice
http://www.afghanist[...]
2020-12-21
[177]
웹사이트
Peter Dutton is 'surprised' China has sent a second spy ship to monitor Australian operations
https://www.sbs.com.[...]
2021-07-18
[178]
간행물
Joint Leaders Statement on AUKUS
https://web.archive.[...]
2021-09-16
[179]
뉴스
Australia Is Making a Risky Bet on the U.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09-20
[180]
웹사이트
Australia's nuclear sub deal 'gravely undermines regional peace' says China
https://www.smh.com.[...]
2024-06-23
[181]
뉴스
Aukus deal: US, UK and Australia agree on nuclear submarine project
https://www.bbc.com/[...]
2024-06-23
[182]
뉴스
Biden Announces Defense Deal With Australia in a Bid to Counter Chin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09-15
[183]
문서
Quoted in Sheftalovich and Lau, 2021.
[184]
문서
Sheftalovich and Lau, 2021.
[185]
Youtube
IN FULL: Former PM Paul Keating criticises AUKUS pact and discusses relations with China
https://www.youtube.[...]
ABC News (Australia)
2023-03-15
[186]
문서
The Essential Things
https://quadrant.org[...]
Quadrant
2024-04-18
[187]
서적
The China Shelf: New Poems
Quemar Press
2024
[188]
웹사이트
Semaphore: Australian Operations in the Solomon Islands
https://seapower.nav[...]
2024-06-21
[189]
웹사이트
The China-Solomon Islands Security Deal Changes Everything
https://thediplomat.[...]
2024-06-21
[190]
웹사이트
Statement on Solomon Islands
https://www.foreignm[...]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2022-04-07
[191]
뉴스
Australia alarm over China security deal with Solomon Island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2-04-07
[192]
뉴스
Australia, New Zealand concerned over Solomon Islands' security talks with China
https://www.channeln[...]
Channel News Asia
2022-04-06
[193]
뉴스
Solomon Islands prime minister says foreign criticism of China security deal 'very insulting'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2-04-07
[194]
웹사이트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Wang Wenbin's Regular Press Conference on March 25, 2022
https://www.fmprc.g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2-04-07
[195]
뉴스
Albanese Says Australia to Focus on Restoring Trade With China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23-02-22
[196]
뉴스
Richard Marles's 'full and frank' meeting with China ends Australia's diplomatic freez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2-06-13
[197]
뉴스
China-Australia relations: Canberra says it values China trade ties, urges Beijing to be 'transparent' about military build-up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2-06-13
[198]
뉴스
Australia-China foreign ministers meet in bid to repair ties
https://apnews.com/a[...]
Associated Press
2023-05-19
[199]
뉴스
China says Aukus submarines deal embarks on 'path of error and danger'
https://www.theguard[...]
Guardian Australia
2023-03-23
[200]
웹사이트
The AUKUS Nuclear Powered-Submarine Pathway: A Partnership for the Future
https://assets.publi[...]
2023-03-17
[201]
뉴스
China resumes Australian coal imports: reports
https://www.afr.com/[...]
Australian Financial Review
2023-02-22
[202]
뉴스
China Removes All Remaining Curbs on Australian Coal Imports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23-03-14
[203]
뉴스
Australia reaches deal with China in barley dispute as trade ties improve
https://www.reuters.[...]
Reuters
2023-04-11
[204]
뉴스
Senior Chinese Official in Australia on Landmark Visit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2023-05-19
[205]
뉴스
Australia trade minister 'pleased' with trade talks in China
https://www.reuters.[...]
Reuters
2023-05-19
[206]
뉴스
China to Immediately Allow Australian Timber Imports in Latest Sign of Thawing Ties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23-05-19
[207]
뉴스
Australia and China open their first high-level dialogue in 3 years in a sign of a slight thaw
https://apnews.com/a[...]
Associated Press
2023-09-08
[208]
뉴스
China Frees Detained Australian in Sign of Improving Ties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23-10-11
[209]
뉴스
Australia's Albanese seeks dialogue, cooperation in China visit
https://www.reuters.[...]
Reuters
2023-11-08
[210]
뉴스
Two proverbs tell the story of two leaders trying to put bygones behind them
https://www.abc.net.[...]
ABC News
2023-11-08
[211]
뉴스
'Handsome boy' Albanese may have managed to turn China's iron fist into a velvet glove
https://www.theguard[...]
2023-11-07
[212]
뉴스
Naval personnel injured by Chinese warship sonar pulses, Opposition criticises government timing
https://www.abc.net.[...]
2024-06-21
[213]
뉴스
Australian naval divers injured after being subjected to Chinese warship's sonar pulses
https://www.theguard[...]
2024-06-21
[214]
웹사이트
How to stop any repeat of the Australia-China sonar incident {{!}} Lowy Institute
https://www.lowyinst[...]
2024-06-21
[215]
뉴스
'Respect the facts': Beijing rejects Australian claims China sonar injured navy divers
https://www.theguard[...]
2023-11-24
[216]
뉴스
AUKUS: Australian officials to brief New Zealand govt on Pillar Two this year
https://www.rnz.co.n[...]
2024-02-02
[217]
뉴스
New Zealand steps up interest in Aukus as Pacific security concerns grow
https://www.theguard[...]
2024-02-02
[218]
뉴스
Chinese embassy deplores, opposes Australia, NZ joint statement
https://www.rnz.co.n[...]
2024-02-15
[219]
웹사이트
Remarks by the Spokesperson of the Chinese Embassy in New Zealand on the Joint Statement on ANZMIN 2024
http://nz.china-emba[...]
Embass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New Zealand
2024-02-02
[220]
뉴스
Australians 'shocked' at death sentence imposed on Yang Hengjun, Penny Wong tells Chinese counterpart
https://www.theguard[...]
2024-03-21
[221]
웹사이트
Aussie spy agencies kept MPs in dark after Chinese hacking
https://thenightly.c[...]
Seven West Media
2024-05-06
[222]
뉴스
Australia denounces China over 'unsafe' aerial confrontation
https://www.reuters.[...]
2024-05-06
[223]
뉴스
Canberra accuses Chinese fighter jet of dropping flares dangerously close to Australian helicopter
https://www.theguard[...]
2024-05-07
[224]
뉴스
Chinese navy destroyer and helicopter shadowed Australian warship during high-profile standoff, documents show
https://www.theguard[...]
2024-07-10
[225]
뉴스
Beijing offers visa-free entry to Australians with defence talks flagged to avoid military clashes
https://www.abc.net.[...]
2024-06-27
[226]
뉴스
Chinese premier’s Australia visit overshadowed by officials’ apparent attempt to block Cheng Lei’s view at event
https://www.theguard[...]
2024-06-27
[227]
웹사이트
Foreign embassies and consulates in Australia –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http://protocol.dfat[...]
2016-10-22
[228]
웹사이트
Australian Embassy in China
http://www.china.emb[...]
2016-10-20
[229]
웹사이트
Australians are losing trust in the US, a new poll shows
https://www.sbs.com.[...]
2018-06-23
[230]
웹사이트
Majority of Australians support defending Taiwan against invasion: survey
https://www.scmp.com[...]
2023-01-19
[231]
웹사이트
Can Taiwan rely on Australia when it comes to China? New poll shows most Australians don't want to send the ADF
https://theconversat[...]
2022-11-15
[232]
웹사이트
オーストラリアの戸惑い : 2つの巨大貿易国のはざまで (日本とアジアの相互の照射 p54
https://cir.nii.ac.j[...]
静岡大学人文学部アジア研究センター
2020-12-17
[233]
웹사이트
オーストラリア総選挙は中国が争点、親中派のラッド党首が優勢に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20-12-15
[234]
웹사이트
豪首相、北京大学で中国語のスピーチを披露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20-12-15
[235]
웹사이트
リオ・ティントは6年間スパイ行為働いた=中国国家機密保護局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0-12-15
[236]
웹사이트
リオ社員4人、産業スパイ罪で懲役7~14年 中国で判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12-15
[237]
웹사이트
今度はオーストラリア?「旅行、留学のボイコットを!」、高まる反豪感情―中国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20-12-15
[238]
웹사이트
ウイグル問題で豪映画祭辞退の中国映画監督が声明「慎重な態度とるべき」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20-12-15
[239]
웹사이트
豪、多文化主義の危機(中国化進む世界)
https://www.nikkei.c[...]
2020-12-24
[240]
웹사이트
中豪関係を包括的・戦略的パートナーシップに格上げへ
http://j.people.com.[...]
新華社
2020-12-24
[241]
웹사이트
中韓と中豪、2つのFTAが発効
https://www.jetro.go[...]
ジェトロ
2020-12-15
[242]
웹사이트
ターンブル豪首相が来週訪中へ、経済界から1000人超の代表団同行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0-12-15
[243]
웹사이트
豪政党、中国人富豪2人から巨額献金受領 スパイ関連法を検証へ
https://www.afpbb.co[...]
프랑스通信社
2020-12-15
[244]
웹사이트
豪、中国人富豪の永住権剥奪 献金疑惑で共産党との関係調査
https://www.afpbb.co[...]
2020-12-15
[245]
웹사이트
豪野党議員、中国との癒着スキャンダルで辞職
https://www.afpbb.co[...]
프랑스通信社
2020-12-15
[246]
웹사이트
豪、多文化主義の危機(中国化進む世界)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3-29
[247]
웹사이트
豪政府関係者に訪中ビザが下りず、関係悪化か 共産党浸透阻止法案をめぐって
https://www.epochtim[...]
大紀元
2020-04-14
[248]
웹사이트
豪中関係、急速な悪化豪で規制法案、中国反発「貿易面の影響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5-22
[249]
웹사이트
キリンHD、豪乳飲料事業の売却中止 豪中摩擦が影響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8-25
[250]
웹사이트
中国から亡命希望の元スパイ、豪に膨大な情報を提供 報道
https://www.afpbb.co[...]
AFP
2019-11-23
[251]
웹사이트
「中国高級スパイ」問題は収束、散々騒ぎ立てた豪メディアはすっかり沈黙―中国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9-12-02
[252]
웹사이트
豪州に忍び寄る中国 情報機関が総選挙擁立…謎の死 自称元スパイが亡命申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11-28
[253]
웹사이트
中国が豪産食肉も標的に、牛肉輸入停止
https://www.nna.jp/n[...]
NNA.ASIA
2020-05-14
[254]
웹사이트
ポスト・コロナの豪中関係-オーストラリアは旗幟(きし)を鮮明にしたのか?
https://www.spf.org/[...]
국제정보 네트워크 분석 IINA 笹川平和財단
null
[255]
웹사이트
ビジネス短信 オーストラリア政府、大麦への追加関税で中国をWTOに提訴へ
https://www.jetro.go[...]
null
2020-12-17
[256]
웹사이트
焦点:膨張する中国企業の鉱物資源買収、豪加当局が「待った」
https://jp.reuters.c[...]
로이터
2020-07-09
[257]
웹사이트
オーストラリア、中国ファーウェイを5Gから締め出し
https://www.cnn.co.j[...]
CNN
2020-08-23
[258]
웹사이트
中国、豪産ワインに反ダンピング措置 対立余波が拡大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11-27
[259]
웹사이트
中国、豪州産ワインに追加関税 豪政府の補助金を非難
https://www.afpbb.co[...]
2020-12-10
null
[260]
웹사이트
豪、州政府の中国「一帯一路」参加協定を破棄
https://www.afpbb.co[...]
AFP
2021-04-22
[261]
웹사이트
豪、中国をWTO提訴へ 大麦に続きワインで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6-19
[262]
웹사이트
豪、中国TPP加入交渉に応じない立場示唆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2021-09-17
[263]
웹사이트
豪、中国の反発を一蹴 原潜配備めぐり
https://www.afpbb.co[...]
AFP
2021-09-17
[264]
웹사이트
五輪「外交的ボイコット」、米豪に続き英も表明…中国外務省「強烈な不満と断固とした反対」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12-08
[265]
웹사이트
豪中首脳が会談 安保では対立、経済は改善 「双方の利益に目を」
https://www.asahi.co[...]
朝日新聞DIGITAL
2023-11-07
[266]
웹인용
Why China is becoming a friendlier neighbour in Asia
https://www.scmp.com[...]
2018-05-27
[267]
서적
Silent Invasion: China's influence in Australia
https://archive.org/[...]
Hardie Grant Books
2018
[268]
웹인용
Australia and China spat over coronavirus inquiry deepens
https://www.reuters.[...]
2020-12-29
[269]
웹인용
Australia says world needs to know origins of COVID-19
https://www.reuters.[...]
2020-12-29
[270]
뉴스
Coronavirus: China's new army of tough-talking diplomats
https://www.bbc.com/[...]
[271]
뉴스
China relations sour over tariff threat to Australian barley
https://www.theage.c[...]
[272]
웹인용
Mitigating China's economic coercion
https://www.japantim[...]
2020-12-23
[273]
웹인용
Great expectations: The unraveling of the Australia-China relationship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20-12-23
[274]
뉴스
Australia Is Making a Risky Bet on the U.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l Times
2021-09-20
[275]
뉴스
Aukus: China denounces US-UK-Australia pact as irresponsible
https://www.bbc.com/[...]
BBC News
2021-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