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이디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이디푸스는 테베의 왕 라이오스가 아들을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할 것이라는 신탁을 두려워하여 버려졌지만, 코린토스의 왕 폴리보스에 의해 양육되었다. 성장한 오이디푸스는 친부모를 죽일 것이라는 신탁을 듣고 코린토스를 떠나 테베로 가는 길에서 아버지 라이오스를 죽이고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풀어 테베의 왕이 되어 어머니 이오카스테와 결혼한다. 이후 역병의 원인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진실을 깨닫고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오이디푸스 신화는 다양한 판본으로 존재하며, 소포클레스의 비극 3부작이 가장 유명하다. 또한,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오이디푸스 신화를 바탕으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을 제시했으며, 연극, 문학, 미술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친 살해자 - 주우규
    주우규는 오대 십국 시대 후량의 황족으로, 아버지 주전충을 살해하고 황위에 올랐지만, 무능하고 잔혹한 통치로 인해 반란으로 살해되어 사후 서인으로 강등되었다.
  • 부친 살해자 - 디펜드라
    디펜드라 비르 비크람 샤 데브는 네팔의 왕세자이자 2001년 왕족 살해 사건 직후 3일간 왕위에 올랐던 국왕으로, 아버지 비렌드라 국왕을 포함한 왕족 9명을 살해한 가해자로 알려져 있으며, 결혼 문제와 정치적 불만 등 다양한 추측이 사건 동기로 제기되고 있다.
  • 테베의 왕 - 폴리네이케스
    폴리네이케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테베 왕 오이디푸스와 이오카스테의 아들이자 에테오클레스의 형제로, 테베 통치권을 두고 다투다 아르고스로 망명하여 테베 공격 원정을 일으켰으나 형과의 결투 끝에 함께 사망하며 그의 죽음은 여동생 안티고네의 비극으로 이어진다.
  • 테베의 왕 - 펜테우스
    펜테우스는 그리스 신화 속 테베의 왕으로, 디오니소스 숭배를 거부하다 어머니와 이모들에게 찢겨 죽는 비극적인 인물이며, 디오니소스 숭배의 중요성을 상징한다.
  • 군주 시역자 - 블라도 체르노젬스키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불가리아 출신으로, IMRO에서 활동하며 우스타샤와 협력하여 유고슬라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1세를 암살하고 체포 과정 중 사망했다.
  • 군주 시역자 - 리키메르
    리키메르는 5세기 서로마 제국의 실질적인 지배자로서 게르만계 군사령관이었으며, 여러 황제를 꼭두각시로 내세워 권력을 행사하고 반달족과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안테미우스와의 갈등 끝에 사망하여 서로마 제국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오이디푸스
기본 정보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의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의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
이름오이디푸스
로마자 표기Oedipus
그리스어Οἰδίπους
가족 관계
부모 (생물학적)라이오스, 이오카스테
부모 (양부모)코린토스의 폴리보스, 코린토스의 메로페
자녀안티고네, 이스메네, 에테오클레스, 폴리니케스
배우자이오카스테, 에우리게네이아, 아스티메두사
형제자매 (양자)알키노에
역할
거주지테베
직업테베의 왕

2. 신화

오이디푸스 전설은 호메로스, 헤시오도스, 핀다르, 아이스킬로스, 에우리피데스 등 여러 고대 그리스 시인들의 작품에 등장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소포클레스의 테베 비극 3부작(''오이디푸스 왕'',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안티고네'')이다.

오이디푸스는 테베 왕 라이오스와 왕비 이오카스테의 아들이었다. 라이오스는 아들이 자신을 죽일 것이라는 신탁을 받고, 아들이 태어나자 발목을 묶어 산에 버렸다. 그러나 아이는 코린토스의 양치기에게 발견되어 자식이 없던 코린토스 왕 폴리보스와 왕비 메로페에게 입양되었다. 오이디푸스는 '부은 발'이라는 뜻으로, 발목 부상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성장한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사생아라는 말을 듣고 신탁에서 친부모에 대해 묻는다. 신탁은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할 운명이라고 예언했다. 이 운명을 피하고자 코린토스를 떠나 테베로 향했다.

테베로 가는 길에 오이디푸스는 다울리아에서 우연히 라이오스 왕의 전차와 마주쳐, 길을 가는 순서 문제로 다투다 라이오스를 죽였다.

테베에 도착한 오이디푸스는 스핑크스를 만났다. 스핑크스는 "아침에는 네 발, 오후에는 두 발, 밤에는 세 발로 걷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수수께끼를 냈고, 오이디푸스는 "인간"이라고 답했다. 정답을 맞춘 오이디푸스 덕분에 스핑크스는 절벽에서 뛰어내려 자살했다.

크레온은 스핑크스를 제거하는 자에게 테베 왕위와 과부가 된 이오카스테와의 결혼을 약속했다. 오이디푸스는 이오카스테와 결혼하여 예언을 이루었고, 에테오클레스, 폴리네이케스, 안티고네, 이스메네 네 자녀를 두었다.

몇 년 후, 테베에 불임 전염병이 돌자 오이디푸스는 크레온을 델포이 신탁에 보내 해결책을 찾았다. 신탁은 라이오스 왕의 살인자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고, 오이디푸스는 살인자를 처벌하겠다고 맹세했다. 테이레시아스는 오이디푸스가 바로 살인자이며, 진짜 부모에 대해 모른다고 폭로했다. 오이디푸스는 크레온을 의심했지만, 이오카스테에게서 라이오스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불안해졌다.

코린토스에서 온 전령은 오이디푸스가 입양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오카스테는 오이디푸스가 자신의 아들임을 깨닫고 자살했고,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라이오스를 죽였고 어머니와 결혼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소포클레스의 비극에서 오이디푸스는 이오카스테의 핀으로 스스로 눈을 멀게 한 후 추방되었다. 딸 안티고네가 그를 안내했고, 콜로노스에서 죽었다. 그러나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에서는 이오카스테는 오이디푸스의 출생을 알게 된 후 바로 자살하지 않았고, 오이디푸스는 라이오스의 하인에 의해 눈이 멀게 되었다. 호메로스를 포함한 몇몇 오래된 자료에서는 오이디푸스가 테베를 계속 통치했다고 전한다.[1]

오이디푸스의 두 아들 에테오클레스와 폴리네이케스는 왕국을 번갈아 통치하기로 했으나, 에테오클레스가 약속을 어기자 폴리네이케스는 군대를 이끌고 테베를 공격했다. 전투 중 형제는 서로를 죽였고, 크레온이 왕위를 차지했다. 크레온은 폴리네이케스를 반역자로 여겨 매장을 금지했고, 안티고네는 이 칙령을 어기고 오빠를 매장하려다 발각되어 자살했다.

2. 1. 탄생과 추방

라이오스이오카스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오이디푸스는,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할 것이라는 신탁을 받았다.[29] 이 신탁을 피하기 위해 라이오스는 갓 태어난 오이디푸스의 발목을 가죽끈으로 묶어 산에 버리도록 했다. 그러나 명을 받은 부하는 차마 아이를 버리지 못하고 이웃 나라 코린토스의 목동에게 넘겼다.

목동은 아이를 코린토스의 왕 폴리보스와 왕비 메로페에게 바쳤고, 부부는 아이의 부은 발을 보고 '부은 발'이라는 뜻의 '오이디푸스'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양육했다.[29]

2. 2. 아버지 살해와 스핑크스 퇴치

오이디푸스는 코린토스를 떠나 테바이로 가던 중, 우연히 만난 라이오스와 길을 누가 먼저 갈 것인지를 두고 다투다가 그를 죽였다.[29]

테바이 관문에서 스핑크스를 만난 오이디푸스는 "아침에는 네 발, 점심때는 두 발, 저녁에는 세 발로 걷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수수께끼에[33] '사람'이라고 답했다. 분노한 스핑크스는 바위에서 몸을 던져 목숨을 끊었다.[29]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

2. 3. 테베의 왕이 된 오이디푸스

스핑크스를 물리친 오이디푸스는 테바이의 영웅이 되었고, 선왕의 왕비였던 이오카스테와 결혼하여 테바이의 왕이 되었다. 오이디푸스와 이오카스테 사이에는 두 아들인 에테오클레스폴리네이케스, 그리고 두 딸인 안티고네와 이스메네가 태어났다.[29]

2. 4. 진실을 찾아서

테바이(현대 그리스어로는 티바)에 역병이 돌자 오이디푸스는 이 역병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이오카스테의 남동생인 크레온델포이아폴론 신전으로 보냈다. 신탁은 “선왕인 라이오스 왕을 죽인 자를 찾아서 복수를 하면 역병이 물러간다.”고 하였다.[1]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길에서 죽인 사람이 라이오스 왕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범인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을 맹세한다.

크레온이 데려온 예언가 테이레시아스는 오이디푸스가 찾고 있는 살해자가 바로 자신이라고 폭로한다.[1] 오이디푸스는 크레온이 자신의 왕위를 노리고 테이레시아스를 조종하여 거짓말을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오카스테로부터 라이오스가 아들에게 살해될 것이라는 신탁을 받았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또한 코린토스의 왕 폴뤼보스의 죽음을 알리러 온 사자는 과거에 어린 자신을 폴뤼보스 왕에게 바친 목동임을 알게 되었다.

오이디푸스는 친아버지 라이오스의 명령에 따라 어린 오이디푸스를 버리는 일을 맡았던 사람을 불러 대질했고, 결국 자신이 친아버지인 라이오스를 살해했고, 아내라고 알고 있었던 이오카스테가 사실 자신의 어머니임을 깨닫게 된다.[1] 이오카스테는 이 무서운 진실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하고, 오이디푸스는 이오카스테의 브로치를 빼어 자신의 눈을 찔러 스스로 소경이 된다. 절망한 오이디푸스는 테바이를 크레온에게 맡기고 딸인 안티고네에 의지하여 각지를 떠돌아 다니다가 죽는다.[1]

2. 5. 몰락

이오카스테는 자신이 오이디푸스의 어머니라는 무서운 진실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오이디푸스는 이오카스테의 옷에 있던 브로치로 자신의 눈을 찔러 스스로 소경이 되었다.[1] 절망한 오이디푸스는 테바이를 크레온에게 맡기고, 딸 안티고네에게 의지하여 각지를 떠돌아다니다가 죽었다.[29]

2. 6. 오이디푸스의 자식들

오이디푸스와 이오카스테는 두 아들(에테오클레스, 폴리네이케스)과 두 딸(안티고네, 이스메네)을 두었다. 두 아들은 성장한 후 테베의 왕위 계승을 두고 다투었다. 그 결과, 테베에서 추방된 폴리네이케스는 7명의 장수와 함께 테베를 공격했지만(''테베를 공격하는 일곱 장수'') 실패로 끝났다. 전쟁 중에 오이디푸스의 아들들은 서로를 죽였다.[1]

오이디푸스의 두 딸은 오이디푸스와 함께 여러 나라를 방랑했지만(''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오이디푸스가 죽자 테베로 돌아갔다. 이후, 두 아들 간의 전쟁이 벌어졌고, 테베를 배신한 형 폴리네이케스의 유해는 매장을 허락받지 못하고 들판에 방치되었다. 그러나 안티고네는 형의 시신에 흙을 덮어 매장을 대신했다. 이 일로 그녀는 사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 자결했다(''안티고네''). 안티고네의 약혼자였던 하이몬도 그녀를 따라 자결했다고 전해진다.[1]

눈먼 오이디푸스와 그의 딸 안티고네


전쟁 후 10년, 일곱 장수의 아들들(에피고노이)은 아버지의 뜻을 이어 테베를 재공격하여 함락시켰다. 그 과정에서 에테오클레스의 아들 라오다마스가 전사한다.[1]

한편, 폴리네이케스의 아들 테르산드로스는 테베에서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지만, 그리스군은 실수로 미시아에 상륙하여 텔레포스 왕과 전쟁을 벌였다. 그리스군은 텔레포스에게 패했고, 테르산드로스는 끝까지 싸웠지만 텔레포스에게 죽임을 당했다.[1]

3. 오이디푸스 신화의 다양한 판본

호메로스, 헤시오도스, 핀다르, 아이스킬로스, 에우리피데스 등 여러 고대 그리스 작가들이 오이디푸스 신화를 다루었다. 하지만 이 전설의 가장 인기 있는 버전은 소포클레스의 테베 비극 3부작(''오이디푸스 왕'',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안티고네'')에서 유래한다.[1] 각 판본마다 세부적인 내용에 차이가 있다.


  • 호메로스: 『일리아스』에는 오이디푸스가 전쟁터에서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래된 형태의 전설에서는 오이디푸스가 자신의 어머니를 아내로 삼았다는 것을 알게 된 후에도 그대로 왕으로 남아 있다.
  • 아이스킬로스: 기원전 467년 아테네의 극작가 아이스킬로스는 오이디푸스 신화를 바탕으로 한 3부작을 썼으며, 이 작품으로 도시 디오니시아에서 1등상을 받았다. 이 극들 중 첫 번째는 《라이오스》, 두 번째는 《오이디푸스》였으며, 《테베를 공격하는 일곱 장수》는 세 번째 작품이자 유일하게 현존하는 작품이다. 이 3부작에 이어서 상연된 사티로스극은 《스핑크스》였다.
  • 소포클레스: 소포클레스의 "테바 3부작" 중 현존하는 3개의 작품은 ''오이디푸스 왕'' (''오이디푸스 티라누스'' 또는 ''오이디푸스 렉스''라고도 함),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안티고네''이다. 세 작품 모두 고대 테베의 운명을 다루고 있으며, 오이디푸스 왕의 통치 기간 동안과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10] 원래 소포클레스는 이 작품들을 여러 해에 걸쳐 열린 세 개의 축제 경쟁을 위해 썼다. 테바 3부작은 진정한 의미의 3부작(하나의 연속된 이야기를 다룬 세 편의 연극)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의도적인 연작도 아니며 작품들 간에 몇 가지 모순이 존재한다.[10]
  •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딸과 함께 여러 나라를 떠돌던 오이디푸스는 아테네에 도착했다. 아테네 왕 테세우스는 오이디푸스를 따뜻하게 보호하고, 콜로노스의 숲에서 오이디푸스가 최후를 맞이하는 것을 허락한다.[27] 테세우스의 보살핌을 받으며, 마침내 안식의 땅을 얻은 오이디푸스는 땅 속으로 사라졌다.
  • 에우리피데스: 에우리피데스는 ''크리시포스''에서 저주에 대한 뒷이야기를 전개한다. 라이오스의 죄는 펠롭스의 아들인 크리시포스를 납치하여 강간한 것이었고, 이것이 신들의 복수를 그의 가족 전체에게 초래했다. 에우리피데스는 또한 몇 조각만이 남아 있는 ''오이디푸스''도 썼다.[14] 이 연극에서 오이디푸스가 라이오스의 시종들에게 눈이 멀게 되었고, 이는 그가 라이오스의 아들임이 밝혀지기 전에 일어났다는 점을 명시한다. 따라서 이 구절은 소포클레스의 신화 처리에 중요한 차이점을 나타내며, 소포클레스의 처리는 현재 '표준' 버전으로 간주된다.[16]


소포클레스보다 젊은 기원전 5세기의 극작가 최소 3명이 오이디푸스에 관한 희곡을 썼다. 여기에는 에레트리아의 아카이오스, 니코마코스, 그리고 연장자 크세노클레스가 포함된다.[17]

고대 로마라틴 문학에서도 오이디푸스는 등장하는 인물이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오이디푸스에 관한 연극을 썼지만, 현대까지 전해지지는 않았다.[20] 오비디우스는 ''변신 이야기''에서 오이디푸스를 스핑크스를 물리친 인물로만 언급하며, 아버지와 어머니에 얽힌 오이디푸스의 불행한 경험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세네카(Seneca the Younger)는 서기 1세기에 오이디푸스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자신의 연극을 썼다.

4.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오스트리아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오이디푸스 신화를 '아들이 아버지를 적대시하고, 어머니를 좋아하는 본능의 표현'으로 보았다. 그는 남자 아이가 어머니에게 무의식적으로 배타적인 사랑을 느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아들에게 아버지는 사회적 구속의 상징이며, 어머니는 보호해야 할 대상이다. 아들은 아버지에게 경쟁 심리를 느끼며, 어머니를 독점하려 한다. 이러한 어머니의 사랑을 독점하려는 마음은 아버지를 사랑의 경쟁 상대로 보게 하고, 이 원한의 감정으로부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발생한다고 하였다.[25]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4~5세 사이에 끝나는데, 이러한 욕구를 계속 가지면 아버지에게 제거될지도 모른다는 공포심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무의식 속에 남아 꿈에서 실현된다고 프로이트는 말한다. 그리고 그 꿈에서조차도 사회적 규범 안에서 뒤틀려서 실현되고 해방된다고 한다.[25]

프로이트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어린 시절의 특정 신경증의 기원을 설명했다. 이는 남자아이가 어머니의 독점적인 사랑을 무의식적으로 갈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욕망에는 아버지에 대한 질투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무의식적인 소망, 그리고 어머니와의 성관계에 대한 무의식적인 욕망이 포함된다. 프로이트는 오이디푸스 이야기를 듣거나 연극을 본 고대 그리스 청중은 오이디푸스가 실제로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이야기가 계속 전해지고 연극으로 상연되면서 이 주제에 대한 몰두를 반영한다고 추론했다.[25]

5. 후대 예술에 미친 영향

오이디푸스 신화는 연극, 문학, 미술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소포클레스의 비극 외에도 세네카, 존 드라이든, 볼테르, 올라 로티미 등 여러 작가들이 오이디푸스를 소재로 한 작품을 썼다.[20][21] 율리우스 카이사르도 오이디푸스에 관한 연극을 썼지만,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20] 오비디우스는 ''변신 이야기''에서 오이디푸스가 스핑크스를 물리친 이야기만 간략하게 언급했다.

세네카는 서기 1세기에 오이디푸스 이야기를 바탕으로 자신의 연극을 썼는데, 이 작품은 소포클레스의 작품과 여러 면에서 다르다. 세네카의 연극은 르네상스 이후 성공적으로 무대에 올려졌으며, 1678년에는 존 드라이든에 의해 영웅극인 ''오이디푸스''로 각색되었다. 1718년에는 볼테르가 쓴 최초의 연극 ''오이디푸스''가 공연되었다. 2008년 말에는 국립 극장에서 랄프 파인즈와 클레어 히긴스 주연으로 프랭크 맥기니스의 오이디푸스 버전이 공연되었다.

1960년대 후반, 올라 로티미는 요루바 왕국을 배경으로 오이디푸스 신화를 재해석한 소설이자 연극인 ''신은 죄가 없다''를 출판했다.[21] 2011년에는 미국의 작가 데이비드 구터슨이 오이디푸스에서 영감을 얻은 소설 "에드 킹"을 출간했다.

민속학에서 오이디푸스 신화는 국제 아르네-톰슨-우터 지수에서 이야기 유형 ATU 931, "오이디푸스"로 분류된다.[22][23][24]

그리스 비극에서는 아이스킬로스의 『테바이를 공격하는 일곱 장수』,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등이 오이디푸스 신화를 다루고 있다. 라틴어 비극으로는 세네카의 『Oedipus_(Seneca)|label=오이디푸스|preserve=1영어』가 알려져 있다.

장오귀스트도미니크 앵그르는 1808년에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푸는 오이디푸스』를 그렸으며, 이 작품은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귀스타브 모로는 1864년에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를 그렸으며, 이 작품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장오귀스트도미니크 앵그르의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푸는 오이디푸스』 1808년, 루브르 박물관 소장

참조

[1] 웹사이트 Oedipus: The message in the myth http://www.open.edu/[...]
[2] 희곡 Phoenissae
[3] 희곡 Oedipus Rex
[4] 희곡 Oedipus Rex
[5] 희곡 Oedipus Rex
[6] 서적 Second Olympian Ode
[7] 희곡 Oedipus Rex
[8] 희곡 Oedipus Rex
[9] 서적 Second Olympian Ode
[10] 서적 Sophocles I: Oedipus the King, Oedipus at Colonus, Antigone University of Chicago
[11] 서적 Sophocles: The Theban Plays Penguin Books
[12] 뉴스 Newly Readable Oxyrhynchus Papyri Reveal Works by Sophocles, Lucian, and Others (url unavailable) 2005-04-18
[13] 서적 The Reign of the Phallus: Sexual Politics in Ancient Athenas (publisher unavailable)
[14] 서적 Tragicorum Graecorum Fragmenta (TrGF) vol. 5.1 (publisher unavailable)
[15] 리뷰 Review of (unspecified book)
[16] 저널 (unspecified article)
[17] 서적 Sophocles and the Greek Tragic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Bibliotheca
[19] 서적
[20] 서적 Introduction to Seneca: Four Tragedies and Octavia
[21] 서적 The Gods are Not to Blame Three Crown Books
[22] 서적 The types of the folktale: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61
[23] 저널 Novelinė pasaka "Edipas" (AT 931): reflections of individual performance in the written text of the tale https://www.lituanis[...] 2005
[24] 백과사전 Ödipus (AaTh 931) De Gruyter 2023-01-03
[25] 서적 Freud and Man's Soul https://archive.org/[...] Knopf
[26] 서적 (Title unavailable)
[27] 서적 ギリシア神話の名画はなぜこんなに面白いのか 中経出版
[28] 웹사이트 오이디푸스 [Oedipus] https://terms.naver.[...]
[29] 웹사이트 오이디푸스 [Oedipus] - 테바이의 왕 https://terms.naver.[...]
[30] 서적 하룻밤에 읽는 그리스 신화
[31] 서적 하룻밤에 읽는 그리스 신화
[32] 서적 오이디푸스 왕 https://terms.naver.[...] 민음사
[33] 웹사이트 스핑크스 [Sphinx]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