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머리 사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리 사냥은 인간의 머리에 영적인 힘이 깃들어 있다는 믿음에 기반하여, 그 힘을 얻거나 복수, 훈공 증명 등의 목적으로 머리를 베는 행위를 의미한다. 머리 사냥은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유럽 등 다양한 지역에서 역사적으로 행해졌다. 머리 사냥은 종교적 의례, 통과의례, 전쟁의 전리품 획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20세기 이후에는 전쟁 중 적군의 머리를 수집하는 행위로 이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머리 사냥 - 사키자야족
    사키자야족은 타이완 원주민으로, 한때 아미족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졌으나 독립적인 민족으로 인정받았으며, 고유한 언어와 전통 신앙을 가지고 모계 사회를 이루며 어업, 사냥, 벼농사로 생계를 유지하고 스랄이라는 연령 계급 제도를 운영한다.
  • 머리 사냥 - 토라자족
    토라자족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에 거주하며 애니미즘 신앙에서 기독교 등으로 종교를 수용하고, 가족 중심 사회에서 전통 가옥에 거주하며 독특한 장례 의식을 치르는 민족이다.
  • 인간 전리품 수집 행위 - 촘판틀리
    촘판틀리는 아즈텍 문명에서 해골을 전시하던 건축물로, 전쟁 포로와 희생 제물의 머리를 전시하여 종교적, 정치적 의미를 드러내는 유적이며, 현대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인간 전리품 수집 행위 - 인피제본
    인피제본은 인간의 피부로 책을 제본하는 행위로, 프랑스 혁명 시기에 은어로 사용된 후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며 범죄자, 흑사병 관련 서적, 고서적 등에 적용되었고, 모낭 패턴 검사 등의 방법으로 식별 가능하지만 윤리적, 법적 문제와 안전성 논란이 있다.
  • 인류학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 인류학 - 민족지
    민족지는 특정 문화, 사회, 집단에 대한 연구 방법이자 결과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람들의 사회적 의미와 일상 활동을 포착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변이를 연구, 해석하는 학문이다.
머리 사냥
개요
정의사람을 사냥하여 죽인 후 머리를 베어 수집하는 행위
같이 보기
관련 항목인사 담당자
헤드헌터 (동음이의)

2. 이념

여러 설이 있다. 한 설에서는 인간의 머리에 영적인 힘이 깃든다는 신앙이 근본에 있으며, 그 힘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조작하려는 주술적·종교적인 행위로 생겨난 행위라는 것이다. 한편, 풍작이나 풍어·풍렵을 확보하기 위한 수렵, 죽은 자가 사후 세계에서 섬길 자를 확보하기 위한 순교적 수렵, 또한 전투에서의 훈공을 증명하기 위해 수급을 가져오는 수렵(수급 취득), 용기를 보여주고 어엿한 청년으로서 결혼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기 위한 수렵, 복수로서의 수렵, 신의 뜻을 알기 위한 수렵 등 수렵의 이념에는 매우 다양한 면이 있다.

3. 역사와 문화

머리 사냥은 트로피 사냥처럼 큰 동물이나 월척을 낚는 등 기념할 만한 기록을 가진 동물을 사냥했을 때에도 행해지지만, 사람의 머리를 사냥하는 행위를 말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사람의 머리를 사냥하는 행위에 대해 다룬다.

1908년 촬영된 본톡 전사가 머리 사냥꾼의 ''차클라그'' 가슴 문신을 한 사진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 민족 사이에서 머리 사냥은 문신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머리 사냥을 하는 사회에서 문신은 전사가 전투에서 얼마나 많은 머리를 얻었는지를 기록하는 것이었고, 성인이 되는 입문 의례의 일부였다. 따라서 문신의 수와 위치는 전사의 지위와 용맹함을 나타냈다.[3]

동남아시아의 여러 부족들은 머리 사냥을 의례적 활동으로 여겼다. 무룻, 두순 로투드, 이반, 브라완, 와나, 마푸론도 부족 등이 그러했다. 이들은 전쟁이나 갈등보다는 의례를 위해 머리 하나를 가져갔다. 머리 사냥은 죽은 자에 대한 애도를 끝내고, 남성다움과 결혼의 의미를 부여했으며, 빼앗긴 머리는 소중하게 여겨졌다. 그 외에도 적을 노예로 삼거나 재산을 약탈하고, 부족 간 갈등을 해결하거나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머리 사냥을 하기도 했다.

이탈리아 인류학자 엘리오 모딜리아니는 1886년 니아스 섬의 머리 사냥 공동체를 연구했다. 그는 머리 사냥의 주된 목적이 다른 사람의 두개골을 소유하면 희생자가 사후 세계에서 영원히 노예로 봉사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임을 발견했다. 인간의 두개골은 귀중한 상품이었다.[1] 니아스 섬에서는 20세기 후반까지 머리 사냥이 계속되었고, 1998년에도 보고된 사례가 있다.[4]

숨바족은 20세기 초까지 머리 사냥을 했지만, 대규모 전쟁 집단에서만 행해졌다. 이들은 수집된 두개골을 마을 중앙의 두개골 나무에 걸었다.[5]

케네스 조지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의 마푸론도 종교 집단의 연례 머리 사냥 의식을 기록했다. 이들은 실제 머리 대신 코코넛 형태의 대리 머리를 사용했다. ''팡가에''라고 불리는 이 의식은 쌀 수확철 마지막에 열리며, 죽은 자들에 대한 애도를 끝내고, 문화 간 긴장을 표현하며, 남성다움을 과시하고, 공동 자원을 분배하며, 외부 압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했다.

푸난 바 머리, 바다 데이악에 의해 빼앗김


보르네오 섬 사라왁에서는 백인 라자 제임스 브룩과 그 후손들이 왕조를 세워 100년 동안 머리 사냥을 근절했다. 브룩은 이반족과 조약을 체결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원주민 부대를 동원해 반란을 진압했다. 머리 사냥은 금지되었지만, 브룩이 승인한 원정에서는 허용되었다. 이반족 전사 리바우 "렌타프"는 브룩 행정부에 저항했다. 브룩은 세 번의 원정 끝에 렌타프를 물리쳤다. 이반족은 이후에도 여러 차례 이주했으며, 머리 사냥과 관련된 신성한 의례를 수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령 보르네오의 일본 점령 기간 동안 머리 사냥이 부활했다. 인도네시아군과 말레이시아 연방 군대 간의 분쟁, 사라왁과 말라야의 공산주의 반란 기간 동안에도 머리 사냥이 관찰되었다. 이반족은 머리 사냥으로 유명했고, 뛰어난 레인저와 추적자로 인정받았다.

1997년 이후 칼리만탄 섬에서 데이악족과 마두라족 이민자 간의 부족 간 폭력으로 삼바스 폭동과 삼핏 분쟁이 발생했다. 2001년 삼핏 분쟁에서는 최소 500명의 마두라족이 살해되었고, 일부는 데이악 머리 사냥 전통에 따라 참수되었다.[6]

몰루카인, 특히 세람의 알푸르는 네덜란드 식민 통치 이전까지 사나운 머리 사냥꾼이었다.[7]

1885년 파푸아 식민지에서 촬영된 부족 마을의 인간 해골 사진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제도의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족 사이에서 머리 사냥이 행해졌다. 멜라네시아 대부분과[8] 뉴기니에서도 머리 사냥이 행해졌다.[9] 1901년 한 선교사는 고아리바리 섬에서 10,000개의 해골을 발견하기도 했다.[10]

뉴기니의 마린드-아님은 머리 사냥으로 유명했다. 이 관습은 신생아 이름 짓기와 관련이 있었고, 해골은 마나와 같은 힘을 담고 있다고 믿었다. 머리 사냥은 식인 풍습보다는 의례적 목적이 컸다. 코로와이는 나무 집에 살며, 이웃한 머리 사냥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했다.[11] 1961년 실종된 마이클 록펠러는 아스맛 지역의 머리 사냥꾼에게 붙잡혔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잭 런던은 ''스나크호의 항해''(1911)에서 말라이타의 머리 사냥꾼들이 랑가 랑가 석호 주변에 머물며 그의 배를 공격했다고 기록했다. 당시 블랙버딩이라 불리는 노동자 납치가 성행했고, ''미놀타''호 선장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참수당했다.[12]

H. G. 로블리가 자신의 ''모코모카이'' 수집품과 함께 찍은 사진


뉴질랜드의 마오리는 ''모코모카이''라는 형태로 머리를 보존했다. 그들은 뇌와 눈을 제거하고 머리를 훈제하여 모코 문신을 보존했으며, 1800년대 후반에 유럽 수집가들에게 판매했다.[13]

이푸가오에서 피의 복수 동안 전리품으로 수집된 머리 사냥 두개골. 머리 사냥은 1913년 필리핀에서 금지되었다.


타이완 원주민의 머리 사냥 의식


세디크 원주민 반군이 제2차 무서 사건에서 친일 원주민에게 참수당함


필리핀, 타이완,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도 머리사냥이 이루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인 해골을 들고 포즈를 취하는 미국인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 특히 미국군은 사망한 일본인의 해골을 개인적인 전리품이나 기념품으로 수집하기도 했다. 1942년 9월, 태평양 함대 사령관은 이러한 행위를 징계하도록 명령했지만, 전리품 수집은 계속되었다. ''라이프''는 1944년 5월 22일 자에 해군 남자친구에게 선물 받은 해골과 함께 포즈를 취하는 여성의 사진을 게재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관행이 미국인들이 일본인을 열등한 존재로 여기는 것과 미국인 전쟁 사망자에 대한 훼손과 고문에 대한 대응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보르네오에서는 일본군에 대한 원주민의 보복이 일본 제국 육군의 잔학 행위를 근거로 이루어졌다. 다야크은 연합군을 도와 천 명 규모의 참수 군대를 조직했고, 약 1,500명의 일본군 병사를 살해하거나 포로로 잡았다.[33]

말라야 비상 사태 (1948-1960) 동안 친독립 투사로 의심되는 자들의 잘린 머리를 들고 있는 영국 해병대원


말라야 비상사태 (1948–1960) 동안, 영국 및 영연방군은 보르네오 출신 이반 머리 사냥꾼을 모집하여 게릴라로 의심되는 자들을 참수했다.[34] 이반족 머리 사냥꾼은 시체의 두피를 전리품으로 보관하는 것이 허용되었다.[34] 1952년 4월, ''데일리 워커''는 참수된 사람의 머리를 들고 포즈를 취하는 영국 해병대의 사진을 게재했다.[34] 영국 정부는 처음에는 사진이 위조되었다고 주장했지만, 결국 진본임을 인정해야 했다.[37] 윈스턴 처칠은 더 많은 사진이 공산주의 선전에 악용될 것을 우려하여 머리 사냥을 금지했다.[34]

베트남 전쟁 동안, 일부 미국 군인들은 "전리품 두개골"을 수집하는 행위에 가담했다.[38][39]

머리 축소술로 만들어진 아마존 지역의 머리


아마존강 유역의 히바로안족은 머리를 머리 축소술로 축소시켜 "Tzan-Tzas"라는 전리품을 만들었다. 이들은 머리에 살해된 사람의 영혼이 깃든다고 믿었다.[40] 21세기에도 슈아르족은 Tzan-tza 복제품을 만들어 관광객에게 판매한다.

페루의 키추아-라미스타족은 과거에 머리 사냥꾼이었다.[24]

후이칠로포치틀리 신에게 바쳐진 아즈텍 사원의 묘사 오른쪽에 ''tzompantli''가 묘사되어 있다. 후안 데 토바르의 1587년 원고(일명 라미레스 코덱스)


''tzompantli''는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인간 해골을 공개적으로 전시하는 데 사용된 나무 랙 또는 말뚝 울타리였다.[25] 오악사카의 라 코요테라 유적에서 tzompantli 형태의 구조물이 발굴되었으며, 이는 사포텍 문명 시기로 추정된다. ''Tzompantli''는 톨텍과 믹스텍 문화에서도 언급된다. 테노치티틀란의 ''Hueyi Tzompantli''(거대한 해골 랙)에는 최대 60,000개의 해골이 있었다고 추정된다. 마야 문명 유적, 특히 치첸 이트사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발견된다.

나스카는 종교 의식에 참수된 머리, 즉 트로피 머리를 사용했다.[26] 후기 나스카 사회 지도자들의 위신은 성공적인 머리 사냥으로 강화되었다.[27]

로크페르튀즈. 두개골을 받도록 설계된 구멍이 있는 ''포르티코'' 기둥. 기원전 3-2세기. 마르세유 지중해 고고학 박물관


유럽의 켈트족은 머리가 사람의 영혼을 담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머리 사냥을 행했다. 고대 로마고대 그리스인들은 켈트족이 적들의 머리를 벽에 못 박거나 말의 목에 매다는 습관을 기록했다.[28] 켈트족 게일족은 중세 말까지 머리 사냥을 했다.[29] 켈트족이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도 이 관행은 계속되었지만, 종교적 이유는 사라졌을 것이다.

과거 켈트족 지역에서는 성인의 머리를 묘사한 세팔로포어가 흔했다.[30]

게르만족과 이베리아인들 사이에서도 머리를 잘랐지만, 그 목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스키타이인들은 적의 두피를 벗기고 해골로 술을 마셨다고 헤로도토스가 기록했다.[31]

몬테네그로인은 1876년까지 머리 사냥을 행했다.[32] 1830년대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녜고시는 체티네 수도원 위에 '"타블랴"'라는 탑을 짓고 터키인들의 머리를 전시했다. 1876년 니콜라 1세는 이 관습을 중단시켰고, '"타블랴"'는 1937년에 철거되었다.

3. 1. 아시아



필리핀에서 머리 사냥은 루손 고산 지대의 코르디예라족(일명 "이고로트")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통과의례, 벼 수확, 조상 영혼에 대한 종교 의식, 피의 복수, 토착 문신과 관련이 있었으며, 머리 도끼와 다양한 검, 칼을 사용했다.[14] 필리핀 스페인 식민지 시대 동안 기독교화된 저지대 주민 근처의 일부 코르디예라 부족들은 19세기까지 이 관행을 포기했지만, 더 외딴 지역에서는 여전히 만연했다. 이 관행은 20세기 초 미국이 필리핀 미국 식민지 시대에 억압했다.[14]

타이완 원주민 사이에서 머리 사냥은 야미족이바탄족을 제외한 모든 부족에서 흔하게 행해졌다. 타이완 평원 원주민, 한족, 일본인 정착민들은 타이완 산악 원주민들의 머리 사냥 주요 표적이었다. 머리 사냥은 밭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급습하거나, 가옥에 불을 지르고 불타는 건물에서 도망치는 사람들을 죽여 머리를 베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관습은 일본 통치 시대의 타이완 동안에도 계속되었으나, 1930년대 일본 식민 정부의 가혹한 탄압으로 종식되었다.

타이완 원주민 부족들은 1652년 곽회일의 난 당시 중국에 대항하여 네덜란드와 동맹을 맺었으나, 제2차 제란디아 요새 전투에서 네덜란드에 등을 돌리고 코싱가의 중국군으로 전향했다.[15] 신칸 원주민들은 코싱가의 사면 제안 후 투항하여 중국을 위해 싸웠고 네덜란드 사람들을 처형하여 머리를 베었다. 산과 평원의 변경 원주민들도 1661년 5월 17일에 항복하여 중국에 귀순했으며, 네덜란드 통치 하에서의 강제 교육으로부터의 자유를 축하하며 네덜란드 사람들을 사냥하여 머리를 베고 기독교 학교 교과서를 파괴했다.[16]

청불 전쟁 중 지룽 전역의 단수이 전투에서 1884년 10월 8일, 중국군은 부상당한 프랑스 해병 11명을 포로로 잡고, ''라 갈리소니에르''의 함장 퐁텐을 포함하여 머리를 베었다. 머리는 대나무 장대에 걸려 반프랑스 정서를 자극하기 위해 전시되었으며, 중국에서는 프랑스인들의 참수 장면을 상하이의 ''톈스차이 화보''에 게재했다.[17]

한족과 타이완 원주민들은 1907년 베이푸 봉기와 1915년 타파니 사건에서 일본에 반란을 일으켰다. 세디크 원주민들은 1930년 우서 사건에서 일본에 반란을 일으켰고, 이 반란 기간 동안 일본인들의 머리를 베는 머리 사냥 관습을 부활시켰다.

춘추 시대전국 시대 동안 진의 병사들은 공적을 쌓기 위해 패배한 적들의 머리를 자주 수집했다. 상앙의 개혁 이후, 진나라는 실력주의 시스템을 채택하여 병사들에게 적의 머리를 수집함으로써 상사로부터 승진과 보상을 받을 기회를 제공했다. 이는 일종의 사살 수였다. 이 지역의 당국은 또한 20세기 초까지 처형된 범죄자들의 머리를 공공 장소에 전시했다.

중국 남서부, 미얀마 동부(샨 주) 및 태국 북부에 거주하는 산악 소수 민족와족은 한때 머리 사냥 전통으로 인해 영국 식민주의자들에게 "야생 와"로 알려졌다.[19] 사무라이 역시 머리 사냥을 통해 영광을 추구했다. 전투가 끝나면, 용병 출신인 전사는 전리품인 머리를 장군에게 의례적으로 바쳤는데, 장군은 그에게 계급 승진, 금이나 은, 또는 패배한 씨족의 토지를 보상으로 주었다.[20]

19세기까지 인도, 방글라데시, 미얀마쿠키,[21] ,[19] 미조, 가로, 나가 민족 사이에서 머리 사냥이 행해졌다.[22] 동부 아프가니스탄의 누리스탄도 19세기 말까지 머리 사냥을 했다.[21]

나가족의 머리 사냥


버마와 중국 국경에 걸쳐 있는 는 한때 유럽인들에게 "야만적인" 행동 때문에 "와족 야만인"으로 알려졌다. 1970년대까지 와족은 머리 사냥을 했다.[23]

난징 대학살 당시 많은 중국군과 민간인이 일본군에 의해 참수되었으며, 심지어 누가 더 많은 사람을 죽이는지 내기를 하기도 했다.

3. 1. 1. 동남아시아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 민족 사이에서 머리 사냥 습격은 문신 시술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머리 사냥 사회에서 문신은 전사가 전투에서 얼마나 많은 머리를 얻었는지 기록하는 것이었고, 성인으로의 입문 의례의 일부였다. 따라서 문신의 수와 위치는 전사의 지위와 무용을 나타냈다.[3]

동남아시아에서 인류학 저술은 무룻, 두순 로투드, 이반, 브라완, 와나, 마푸론도 부족의 머리 사냥 및 기타 관습을 탐구했다. 이들 집단에서 머리 사냥은 대개 전쟁이나 갈등 행위가 아닌 의례적 활동이었다. 전사는 머리 하나를 가져갔다. 머리 사냥은 공동체의 죽은 자에 대한 개인적, 집단적 애도의 중단을 위한 촉매 역할을 했다. 남성다움과 결혼에 대한 개념이 이 관행에 포함되었으며, 빼앗긴 머리는 매우 소중하게 여겨졌다. 머리 사냥의 다른 이유로는 적을 노예로 삼는 것, 귀중한 재산을 약탈하는 것, 부족 간 및 부족 간의 갈등, 영토 확장이 있었다.

이탈리아 인류학자이자 탐험가인 엘리오 모딜리아니는 1886년 수마트라 서쪽의 섬인 니아스에서 머리 사냥 공동체를 방문하여 그들의 사회와 신념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작성했다. 그는 머리 사냥의 주요 목적이, 만약 한 남자가 다른 사람의 두개골을 소유하면, 그의 희생자는 사후 세계에서 영원히 소유자의 노예로 봉사할 것이라는 믿음임을 발견했다. 인간의 두개골은 귀중한 상품이었다.[1] 니아스 섬에서는 20세기 후반까지 산발적인 머리 사냥이 계속되었으며, 마지막 보고된 사건은 19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

머리 사냥은 20세기 초까지 숨바족 사이에서 행해졌다. 그것은 단지 대규모 전쟁 집단에서만 행해졌다. 반대로, 남자들이 야생 동물을 사냥할 때는 조용하고 은밀하게 행동했다.[5] 수집된 두개골은 마을 중앙에 세워진 두개골 나무에 걸렸다.

케네스 조지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남서부의 고지대 부족인 마푸론도 종교 소수 집단에서 그가 관찰한 연례 머리 사냥 의식에 대해 썼다. 머리는 빼앗지 않고, 대신 코코넛 형태의 대리 머리가 의식에 사용된다. ''팡가에''라고 불리는 의식은 쌀 수확철의 마지막에 열린다. 이 의식은 지난 1년간 죽은 자들에 대한 공동 애도를 끝내고, 문화 간의 긴장과 논쟁을 표현하며, 남성다움을 과시하고, 공동 자원을 분배하며, 마푸론도 생활 방식을 포기하라는 외부 압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한다.

보르네오 섬의 북서부 지역인 사라왁에서는, 최초의 "백인 라자" 제임스 브룩과 그의 후손들이 왕조를 세웠다. 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전 100년 동안 머리 사냥을 근절했다. 브룩이 도착하기 전에, 이반족은 카푸아스 중부 지역에서 바탕 루파 강 상류 지역으로 이주하여 세루족과 부키탄족과 같은 기존 소규모 부족과 싸워 그들을 몰아냈다. 이반족의 또 다른 성공적인 이주는 사리바스 지역에서 바탕 라장 강 중부의 카노비트 지역으로의 이주였으며, 이는 유명한 무자 "부아 라야"가 이끌었다. 그들은 카노비트족과 바케탄족과 같은 부족과 싸워 그들을 몰아냈다.

브룩은 1849년 베팅 마루 전투에서 사라왁의 사리바스-스크랑의 머리 사냥 이반족을 처음 만났다. 그는 그 지역의 이반족 추장과 사라바스 조약을 체결했으며, 그 추장은 오랑 카야 펨판차 다나 "바양"으로 불렸다. 그 후, 브룩 왕조는 최초의 작은 사라왁 지역에서 현재의 사라왁 주로 영토를 확장했다. 그들은 말레이족, 이반족 및 기타 원주민을 대규모 무보수 부대로 모집하여 주에서의 반란을 물리치고 진압했다. 브룩 행정부는 머리 사냥(이반어로는 ''응아야우'')을 금지하고 라자 지도 정부의 법령을 위반하는 사람에게 처벌을 내렸다. 브룩 행정부가 승인한 원정 중에, 그들은 머리 사냥을 허용했다. 브룩이 승인한 징벌 원정에 참여한 원주민은 브룩 행정부에 연간 세금을 면제받거나 그들의 봉사에 대한 대가로 새로운 영토를 받았다. 부족 내 및 부족 간의 머리 사냥이 있었다.

브룩 행정부의 권위에 저항한 가장 유명한 이반족 전사는 리바우 "렌타프"였다. 브룩 정부는 사독 언덕 꼭대기에 있는 그의 요새에서 렌타피를 물리치기 위해 세 번의 연속적인 징벌 원정을 보내야 했다. 브룩의 군대는 처음 두 번의 원정에서 주요 패배를 겪었다. 세 번째이자 마지막 원정 동안 브룩은 렌타프의 대포인 ''부장 팀팡 베랑''(외팔이 독신)과 경쟁하기 위해 ''부장 사독''(사독 산의 왕자)이라는 대형 대포를 만들고, 브룩의 정책으로 인해 렌타프를 지원하여 정부를 인정하지 않은 유명한 추장의 아들들과 휴전을 맺었다.

이반족은 바탕 루파 지역의 바탕 아이 상류 지역에서 바탕 카냐우(엠발로)를 거쳐 카티바스 상류, 그리고 바탕 라장 지역의 발레/무종 지역으로 세 번째 주요 이주를 수행했다. 그들은 카얀족, 카장족, 우키트족과 같은 기존 부족을 몰아냈다. 브룩 행정부는 이반족의 마지막 이주를 승인했으며, 갈등을 최소한으로 줄였다. 이반족은 머리 사냥과 관련된 신의 축복을 기원하기 위해 특별하고 복잡한 주문으로 신성한 의례를 수행했다. 한 예로는 사리바스/스크랑 지역의 새 축제와 발레 지역의 적절한 축제가 있었으며, 이는 부족의 남자가 효과적인 전사가 되기 위해 필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령 보르네오의 일본 점령 기간 동안, 머리 사냥은 원주민 사이에서 부활했다. 수카르노가 이끄는 인도네시아군은 말레이시아 연방의 형성에 맞서 싸웠다. 말라야, 싱가포르, 사바, 사라왁의 군대가 추가로 싸웠으며, 머리 사냥은 사라왁과 당시 말라야에서 일어난 공산주의 반란 동안 관찰되었다. 이반족은 머리 사냥으로 유명했으며, 나중에 군사 작전 중에 우수한 레인저와 추적자로 인정받아 14개의 무공 및 명예 훈장을 받았다.

1997년 이후 칼리만탄 섬에서 데이악족과 마두라족 이민자 간의 심각한 부족 간 폭력이 발생했다. 사건에는 삼바스 폭동과 삼핏 분쟁이 포함되었다. 2001년 칼리만탄 중부의 삼핏 마을에서 일어난 삼핏 분쟁 동안 최소 500명의 마두라족이 살해되었고 최대 10만 명의 마두라족이 도망쳐야 했다. 일부 마두라족 시신은 데이악 머리 사냥 전통을 연상시키는 의식으로 참수되었다.[6]

몰루카인 (특히 알푸르는 세람에 거주), 말루쿠 제도에 거주하는 혼합 오스트로네시아-파푸아 기원의 민족 집단은 인도네시아의 네덜란드 식민 통치가 이 관행을 억압하기 전까지 사나운 머리 사냥꾼이었다.[7]

필리핀에서 머리 사냥은 루손 고산 지대의 다양한 코르디예라족(일명 "이고로트")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통과의례, 벼 수확, 조상 영혼에 대한 종교 의식, 피의 복수, 토착 문신과 관련이 있었다. 코르디예라 부족들은 습격과 전쟁에서 적의 목을 베는 데 특별한 무기를 사용했는데, 특히 독특한 모양의 머리 도끼와 다양한 검과 칼을 사용했다. 필리핀 스페인 식민지 시대 동안 기독교화된 저지대 주민 근처에 살았던 일부 코르디예라 부족들은 19세기까지 이미 이 관행을 포기했지만, 스페인 식민 당국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더 외딴 지역에서는 여전히 만연했다. 이 관행은 20세기 초 미국이 필리핀 미국 식민지 시대에 마침내 억압했다.[14]

머리 사냥은 타이완 원주민 사이에서 흔한 관습이었다. 이 관습은 과거 오키나와 섬에 고립되었던 야미족이바탄족을 제외한 모든 부족에서 행해졌다. 머리 사냥은 필리핀의 민족들과 연관이 있었다.

타이완 평원 원주민, 한족, 그리고 일본인 정착민들은 타이완 산악 원주민들의 머리 사냥의 주요 표적이었다. 후자의 두 집단은 침략자, 사기꾼, 그리고 적으로 여겨졌다. 머리 사냥은 종종 밭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급습하거나, 가옥에 불을 지르고 불타는 건물에서 도망치는 사람들을 죽여 머리를 베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관습은 일본 통치 시대의 타이완 동안에도 계속되었으나, 1930년대에 일본 식민 정부의 가혹한 탄압으로 인해 종식되었다.

타이완 원주민 부족들은 1652년 곽회일의 난 당시 중국에 대항하여 네덜란드와 동맹을 맺었으나, 제2차 제란디아 요새 전투에서 네덜란드에 등을 돌렸다. 그들은 코싱가의 중국군으로 전향했다.[15] 신칸의 원주민들은 코싱가가 사면을 제안한 후 그에게 투항했다. 신칸 원주민들은 중국을 위해 싸웠고 네덜란드 사람들을 처형하여 머리를 베었다. 산과 평원의 변경 원주민들도 1661년 5월 17일에 항복하여 중국에 귀순했으며, 네덜란드 통치 하에서의 강제 교육으로부터의 자유를 축하했다. 그들은 네덜란드 사람들을 사냥하여 머리를 베고 기독교 학교 교과서를 파괴했다.[16]

청불 전쟁 중 지룽 전역의 단수이 전투에서 1884년 10월 8일, 중국군은 부상당한 프랑스 해병 11명을 포로로 잡고, ''라 갈리소니에르''의 함장 퐁텐을 포함하여 머리를 베었다. 머리는 대나무 장대에 걸려 반프랑스 정서를 자극하기 위해 전시되었다. 중국에서는 프랑스인들의 참수 장면을 상하이의 ''톈스차이 화보''에 게재했다.[17]

한족과 타이완 원주민들은 1907년 베이푸 봉기와 1915년 타파니 사건에서 일본에 반란을 일으켰다. 세디크 원주민들은 1930년 우서 사건에서 일본에 반란을 일으켰고, 이 반란 기간 동안 일본인들의 머리를 베는 머리 사냥 관습을 부활시켰다.

동남아시아 지역의 머리 사냥 관습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부족지역목적 및 특징
히바로족에콰도르아마존강 상류츠안차로 가공하여 건조된 머리를 만듦.[40] 사자를 애도하기 위한 장례식의 일부로 실행.[43]
타이완 원주민타이완타오족 전체와 아미족 일부를 제외한 많은 부족에서 통과의례나 종교적인 이유로 실행.[41]
본톡족, 이푸가오족, 팅기안족필리핀 루손섬축제의 일환으로 행해짐.[42]
다야크족, 이반족보르네오결혼하기 위한 조건으로 머리를 얻는 경우가 있었음.[43]
토라자족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로 행해짐.[44]
와족미얀마 북동부의 파종기에 풍작을 기원하는 행사로 머리 사냥을 함.[45]


3. 1. 2. 기타 아시아

타이완 원주민 사이에서 머리 사냥은 흔한 관습이었다. 이 관습은 과거 오키나와 섬에 고립되었던 야미족이바탄족을 제외한 모든 부족에서 행해졌다. 머리 사냥은 필리핀의 민족들과 연관이 있었다.

타이완 평원 원주민, 한족, 일본인 정착민들은 타이완 산악 원주민들의 머리 사냥의 주요 표적이었다. 후자의 두 집단은 침략자, 사기꾼, 그리고 적으로 여겨졌다. 머리 사냥은 종종 밭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급습하거나, 가옥에 불을 지르고 불타는 건물에서 도망치는 사람들을 죽여 머리를 베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관습은 일본 통치 시대의 타이완 동안에도 계속되었으나, 1930년대에 일본 식민 정부의 가혹한 탄압으로 인해 종식되었다.

타이완 원주민 부족들은 1652년 곽회일의 난 당시 중국에 대항하여 네덜란드와 동맹을 맺었으나, 제2차 제란디아 요새 전투에서 네덜란드에 등을 돌리고 코싱가의 중국군으로 전향했다.[15] 신칸의 원주민들은 코싱가가 사면을 제안한 후 그에게 투항하여 중국을 위해 싸웠고 네덜란드 사람들을 처형하여 머리를 베었다. 산과 평원의 변경 원주민들도 1661년 5월 17일에 항복하여 중국에 귀순했으며, 네덜란드 통치 하에서의 강제 교육으로부터의 자유를 축하했다. 그들은 네덜란드 사람들을 사냥하여 머리를 베고 기독교 학교 교과서를 파괴했다.[16]

청불 전쟁 중 지룽 전역의 단수이 전투에서 1884년 10월 8일, 중국군은 부상당한 프랑스 해병 11명을 포로로 잡고, ''라 갈리소니에르''의 함장 퐁텐을 포함하여 머리를 베었다. 머리는 대나무 장대에 걸려 반프랑스 정서를 자극하기 위해 전시되었다. 중국에서는 프랑스인들의 참수 장면을 상하이의 ''톈스차이 화보''에 게재했다.[17]

1907년 베이푸 봉기와 1915년 타파니 사건에서 한족과 타이완 원주민들은 일본에 반란을 일으켰다. 세디크 원주민들은 1930년 우서 사건에서 일본에 반란을 일으켰고, 이 반란 기간 동안 일본인들의 머리를 베는 머리 사냥 관습을 부활시켰다.

춘추 시대전국 시대 동안 진의 병사들은 공적을 쌓기 위해 패배한 적들의 머리를 자주 수집했다. 상앙의 개혁 이후, 진나라는 대부분 징집된 농노였으며 봉급을 받지 못했던 일반 병사들에게 적의 머리를 수집함으로써 상사로부터 승진과 보상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는 실력주의 시스템을 채택했다. 이는 일종의 사살 수였다. 이 지역의 당국은 또한 20세기 초까지 처형된 범죄자들의 머리를 공공 장소에 전시했다.

중국 남서부, 미얀마 동부(샨 주) 및 태국 북부에 거주하는 산악 소수 민족와족은 한때 머리 사냥의 전통으로 인해 영국 식민주의자들에게 "야생 와"로 알려졌다.[19] 사무라이 역시 머리 사냥을 통해 영광을 추구했다. 전투가 끝나면, 용병 출신인 전사는 전리품인 머리를 장군에게 의례적으로 바쳤는데, 장군은 그에게 계급 승진, 금이나 은, 또는 패배한 씨족의 토지를 보상으로 주었다. 장군들은 패배한 경쟁자의 머리를 공개 광장에 전시했다.[20]

19세기까지 인도, 방글라데시, 미얀마쿠키,[21] ,[19] 미조, 가로, 나가 민족 사이에서 머리 사냥이 행해졌다.[22] 동부 아프가니스탄의 누리스탄도 19세기 말까지 머리 사냥을 했다.[21]

버마와 중국 국경에 걸쳐 있는 는 한때 유럽인들에게 "야만적인" 행동 때문에 "와족 야만인"으로 알려졌다. 1970년대까지 와족은 머리 사냥을 했다.[23]

난징 대학살당시 많은 중국군과 민간인이 일부 일본군에 의해 참수되었으며, 심지어 누가 더 많은 사람을 죽이는지 내기를 하기도 했으며(백인 참수 경쟁 참조), 머리 더미와 함께 기념 사진을 찍기도 했다.

3. 2. 오세아니아



머리 사냥은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제도의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족 사이에서 행해졌다. 멜라네시아 대부분의 지역과[8] 뉴기니에서도 머리 사냥이 행해졌다.[9] 1901년 한 선교사는 고아리바리 섬의 공동 주택에서 10,000개의 해골을 발견하기도 했다.[10]

역사적으로 뉴기니의 마린드-아님은 머리 사냥으로 유명했다. 이 관습은 그들의 신념 체계에 뿌리를 두고 있었으며, 신생아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해골은 마나와 같은 힘을 담고 있다고 믿었다. 머리 사냥의 주된 동기는 식인 풍습이 아니었으며, 죽은 사람의 살은 포획과 살해 후 의식에서 소비되었다.

코로와이는 이리안 자야 남동부에 사는 파푸아인 부족으로, 일부는 높이가 거의 40m에 달하는 나무 집에 산다. 이것은 원래 이웃한 머리 사냥꾼인 시탁 부족으로부터의 방어 수단으로 추정되었다.[11] 일부 연구자들은 1961년 뉴기니에서 실종된 미국인 마이클 록펠러가 아스맛 지역의 머리 사냥꾼에게 붙잡혔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는 뉴욕 주지사 넬슨 록펠러의 아들이었다.

잭 런던은 1905년 미크로네시아 항해 모험에 대한 이야기인 ''스나크호의 항해''(1911)에서 말라이타의 머리 사냥꾼들이 랑가 랑가 석호, 특히 라우라시 섬 주변에 머물면서 그의 배를 공격했다고 기록했다. 당시 잭 런던을 비롯한 여러 배들은 블랙버딩이라 불리는 관행에 따라 농장 노동자로 일할 마을 사람들을 납치했다. ''미놀타''호의 선장 매켄지는 무장 노동 "모집" 작전 중 마을 남자들을 잃은 것에 대한 보복으로 마을 사람들에게 참수당했다. 마을 사람들은 선박 승무원들이 점수가 균등해지기 전에 머리 몇 개를 "빚졌다"고 믿었다.[12]

뉴질랜드에서 마오리는 일족의 조상과 특정 적들의 머리를 ''모코모카이''라는 형태로 보존했다. 그들은 뇌와 눈을 제거하고 머리를 훈제하여 모코 문신을 보존했다. 이 머리들은 1800년대 후반에 유럽 수집가들에게 판매되었으며, 어떤 경우에는 주문 제작되기도 했다.[13]

3. 3. 아메리카



아마존강의 주요 지류( 치치페강, 보보나자강, 모로나강, 우파노강, 파스타자강 등)를 따라 에콰도르 동부와 페루 북부에 거주하는 슈아르족을 포함한 히바로안족의 여러 부족은 전리품을 얻기 위해 머리 사냥을 행했다. 머리는 머리 축소술로 축소되었으며, 현지에서는 "Tzan-Tzas"라고 불렸다. 이들은 머리에 살해된 사람의 영혼이 깃든다고 믿었다.[40]

21세기에는 슈아르족이 Tzan-tza의 복제품을 생산한다. 이들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은색털원숭이와 나무늘보의 머리를 사용하여 관광객에게 판매한다. 지역 부족의 분파들은 영토 분쟁이나 격정적인 범죄에 대한 복수로 부족 간의 분쟁이 있을 때 이러한 관행을 계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페루의 키추아-라미스타족은 과거에 머리 사냥꾼이었다.[24]

''tzompantli''는 여러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기록된 나무로 된 랙 또는 말뚝 울타리의 일종이다. 이는 전쟁 포로나 기타 인신 제물 희생자들의 것으로, 공개적으로 인간 해골을 전시하는 데 사용되었다.[25]

tzompantli 형태의 구조물이 오악사카의 라 코요테라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이는 기원전 2세기에서 서기 3세기까지 번성했던 원-고전 사포텍 문명 시기로 추정된다. ''Tzompantli''는 톨텍과 믹스텍과 같은 다른 메소아메리카 프리 콜럼비아 문화에서도 언급된다.

정복자 안드레스 데 타피아와 프라이 디에고 두란이 제시한 수치를 바탕으로, 버나드 오르티스 데 몬텔라노는 20세기 후반에 테노치티틀란의 ''Hueyi Tzompantli''(거대한 해골 랙)에 최대 60,000개의 해골이 있었다고 계산했다. 테노치티틀란에는 적어도 5개의 해골 랙이 더 있었지만, 모든 기록에 따르면 훨씬 작았다.

마야 문명 유적에서도 다른 사례가 나타난다. 특히 훌륭하고 온전한 명문 사례가 광범위한 치첸 이트사 유적에서 발견된다.

나스카는 다양한 종교 의식에 참수된 머리, 즉 트로피 머리를 사용했다.[26] 후기 나스카의 도상학은 후기 나스카 사회 지도자들의 위신이 성공적인 머리 사냥으로 강화되었음을 시사한다.[27]

남아메리카 에콰도르아마존강 상류의 히바로족은 츠안차로 가공하여 건조된 머리를 만들었으며[40], 사자를 애도하기 위한 장례식의 일부로 실행되었다.[43]

3. 4. 유럽



유럽의 켈트족은 머리가 사람의 영혼을 담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머리 사냥을 행했다. 고대 로마고대 그리스인들은 켈트족이 개인적인 적들의 머리를 벽에 못 박거나 말의 목에 매다는 습관을 기록했다.[28] 켈트족 게일족은 훨씬 오랫동안 머리 사냥을 했다. 아일랜드 신화의 ''얼스터 대계''에서 반신 쿠 쿨린은 네흐탄의 세 아들의 머리를 베어 그의 전차에 매달았다. 이것은 종교적인 관행이라기보다는 전통적인 전사들의 관행으로 여겨진다. 이 관행은 중세 말까지 아일랜드 씨족들 사이에서, 심지어 앵글로-스코틀랜드 변경 지대의 국경 약탈자들 사이에서도 더 오래 지속되었다.[29] 켈트족이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도 이 관행은 계속되었지만, 머리 사냥의 이교도 종교적 이유는 아마 사라졌을 것이다.

과거 켈트족 지역에서는 성인의 머리(기적적으로 잘린 머리를 들고 있는)를 묘사한 세팔로포어가 흔했다.[30]

게르만족과 이베리아인들 사이에서도 머리를 잘랐지만, 그 목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스키타이인들은 뛰어난 기마 민족이었다. 고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그들의 일부 부족들이 인신 제사를 지내고 희생자의 피를 마시며, 적의 두피를 벗기고, 적의 해골로 술을 마셨다고 기록했다.[31]

몬테네그로인은 디나르 알프스산맥을 중심으로 동유럽에 거주하는 민족이다. 그들은 1876년까지 머리 사냥을 행했는데, 특히 머리 사냥을 위해 특별히 기른 머리카락 뭉치에서 머리를 가져갔다고 한다.[32]

1830년대에 몬테네그로 통치자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녜고시는 체티네 수도원 위에 '"타블랴"'라고 불리는 탑을 짓기 시작했다. 이 탑은 완공되지 않았으며, 몬테네그로인들은 오스만 제국과 빈번하게 충돌하면서 전투에서 빼앗은 터키인들의 머리를 전시하는 데 사용했다. 1876년 니콜라 1세 국왕은 이 관습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유럽 외교관들이 이 행위를 야만적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타블랴"'는 1937년에 철거되었다.

4. 현대의 머리 사냥

동남아시아에서 인류학 저술은 무룻, 두순 로투드, 이반, 브라완, 와나, 마푸론도 부족의 머리 사냥 및 기타 관습을 탐구했다. 이들 집단에서 머리 사냥은 대개 전쟁이나 갈등 행위가 아닌 의례적 활동이었다. 전사는 머리 하나를 가져갔다. 머리 사냥은 공동체의 죽은 자에 대한 개인적, 집단적 애도의 중단을 위한 촉매 역할을 했다. 남성다움과 결혼에 대한 개념이 이 관행에 포함되었으며, 빼앗긴 머리는 매우 소중하게 여겨졌다. 머리 사냥의 다른 이유로는 적을 노예로 삼는 것, 귀중한 재산을 약탈하는 것, 부족 간 및 부족 간의 갈등, 영토 확장이 있었다.

이탈리아 인류학자이자 탐험가인 엘리오 모딜리아니는 1886년 수마트라 서쪽의 섬인 니아스에서 머리 사냥 공동체를 방문하여 그들의 사회와 신념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작성했다. 그는 머리 사냥의 주요 목적이, 만약 한 남자가 다른 사람의 두개골을 소유하면, 그의 희생자는 사후 세계에서 영원히 소유자의 노예로 봉사할 것이라는 믿음임을 발견했다.[1] 인간의 두개골은 귀중한 상품이었다. 니아스 섬에서는 20세기 후반까지 산발적인 머리 사냥이 계속되었으며, 마지막 보고된 사건은 19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

머리 사냥은 20세기 초까지 숨바족 사이에서 행해졌다. 그것은 단지 대규모 전쟁 집단에서만 행해졌다. 반대로, 남자들이 야생 동물을 사냥할 때는 조용하고 은밀하게 행동했다.[5] 수집된 두개골은 마을 중앙에 세워진 두개골 나무에 걸렸다.

케네스 조지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남서부의 고지대 부족인 마푸론도 종교 소수 집단에서 그가 관찰한 연례 머리 사냥 의식에 대해 썼다. 머리는 빼앗지 않고, 대신 코코넛 형태의 대리 머리가 의식에 사용된다. ''팡가에''라고 불리는 의식은 쌀 수확철의 마지막에 열린다. 이 의식은 지난 1년간 죽은 자들에 대한 공동 애도를 끝내고, 문화 간의 긴장과 논쟁을 표현하며, 남성다움을 과시하고, 공동 자원을 분배하며, 마푸론도 생활 방식을 포기하라는 외부 압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한다.

보르네오 섬의 북서부 지역인 사라왁에서는, 최초의 "백인 라자" 제임스 브룩과 그의 후손들이 왕조를 세웠다. 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전 100년 동안 머리 사냥을 근절했다. 브룩이 도착하기 전에, 이반족은 카푸아스 중부 지역에서 바탕 루파 강 상류 지역으로 이주하여 세루족과 부키탄족과 같은 기존 소규모 부족과 싸워 그들을 몰아냈다. 이반족의 또 다른 성공적인 이주는 사리바스 지역에서 바탕 라장 강 중부의 카노비트 지역으로의 이주였으며, 이는 유명한 무자 "부아 라야"가 이끌었다. 그들은 카노비트족과 바케탄족과 같은 부족과 싸워 그들을 몰아냈다.

브룩은 1849년 베팅 마루 전투에서 사라왁의 사리바스-스크랑의 머리 사냥 이반족을 처음 만났다. 그는 그 지역의 이반족 추장과 사라바스 조약을 체결했으며, 그 추장은 오랑 카야 펨판차 다나 "바양"으로 불렸다. 그 후, 브룩 왕조는 최초의 작은 사라왁 지역에서 현재의 사라왁 주로 영토를 확장했다. 그들은 말레이족, 이반족 및 기타 원주민을 대규모 무보수 부대로 모집하여 주에서의 반란을 물리치고 진압했다. 브룩 행정부는 머리 사냥(이반어로는 ''응아야우'')을 금지하고 라자 지도 정부의 법령을 위반하는 사람에게 처벌을 내렸다. 브룩 행정부가 승인한 원정 중에, 그들은 머리 사냥을 허용했다. 브룩이 승인한 징벌 원정에 참여한 원주민은 브룩 행정부에 연간 세금을 면제받거나 그들의 봉사에 대한 대가로 새로운 영토를 받았다. 부족 내 및 부족 간의 머리 사냥이 있었다.

브룩 행정부의 권위에 저항한 가장 유명한 이반족 전사는 리바우 "렌타프"였다. 브룩 정부는 사독 언덕 꼭대기에 있는 그의 요새에서 렌타프를 물리치기 위해 세 번의 연속적인 징벌 원정을 보내야 했다. 브룩의 군대는 처음 두 번의 원정에서 주요 패배를 겪었다. 세 번째이자 마지막 원정 동안 브룩은 렌타프의 대포인 ''부장 팀팡 베랑''(외팔이 독신)과 경쟁하기 위해 ''부장 사독''(사독 산의 왕자)이라는 대형 대포를 만들고, 브룩의 정책으로 인해 렌타프를 지원하여 정부를 인정하지 않은 유명한 추장의 아들들과 휴전을 맺었다.

이반족은 바탕 루파 지역의 바탕 아이 상류 지역에서 바탕 카냐우(엠발로)를 거쳐 카티바스 상류, 그리고 바탕 라장 지역의 발레/무종 지역으로 세 번째 주요 이주를 수행했다. 그들은 카얀족, 카장족, 우키트족과 같은 기존 부족을 몰아냈다. 브룩 행정부는 이반족의 마지막 이주를 승인했으며, 갈등을 최소한으로 줄였다. 이반족은 머리 사냥과 관련된 신의 축복을 기원하기 위해 특별하고 복잡한 주문으로 신성한 의례를 수행했다. 한 예로는 사리바스/스크랑 지역의 새 축제와 발레 지역의 적절한 축제가 있었으며, 이는 부족의 남자가 효과적인 전사가 되기 위해 필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령 보르네오의 일본 점령 기간 동안, 머리 사냥은 원주민 사이에서 부활했다. 수카르노가 이끄는 인도네시아군은 말레이시아 연방의 형성에 맞서 싸웠다. 말라야, 싱가포르, 사바, 사라왁의 군대가 추가로 싸웠으며, 머리 사냥은 사라왁과 당시 말라야에서 일어난 공산주의 반란 동안 관찰되었다. 이반족은 머리 사냥으로 유명했으며, 나중에 군사 작전 중에 우수한 레인저와 추적자로 인정받아 14개의 무공 및 명예 훈장을 받았다.

1997년 이후 칼리만탄 섬에서 데이악족과 마두라족 이민자 간의 심각한 부족 간 폭력이 발생했다. 사건에는 삼바스 폭동과 삼핏 분쟁이 포함되었다. 2001년 칼리만탄 중부의 삼핏 마을에서 일어난 삼핏 분쟁 동안 최소 500명의 마두라족이 살해되었고 최대 10만 명의 마두라족이 도망쳐야 했다. 일부 마두라족 시신은 데이악 머리 사냥 전통을 연상시키는 의식으로 참수되었다.[6]

몰루카인 (특히 알푸르는 세람에 거주), 말루쿠 제도에 거주하는 혼합 오스트로네시아-파푸아 기원의 민족 집단은 인도네시아의 네덜란드 식민 통치가 이 관행을 억압하기 전까지 사나운 머리 사냥꾼이었다.[7]

다야크족 머리 사냥꾼, 보르네오.


난징 대학살에서는 많은 중국군과 민간인이 일부 일본군에 의해 참수되었으며, 심지어 누가 더 많은 사람을 죽이는지 내기를 하기도 했으며(백인 참수 경쟁 참조), 머리 더미와 함께 기념 사진을 찍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 (특히 미국군)은 때때로 사망한 일본인의 해골을 개인적인 전리품, 고국에 있는 친구와 가족을 위한 기념품,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판매하기 위해 수집했다. (이 관행은 태평양 전선에서만 나타났으며, 미국군은 독일 및 이탈리아 병사의 해골을 가져가지 않았다.) 1942년 9월, 태평양 함대 사령관은 적군의 신체 부위를 기념품으로 가져가는 병사에 대해 강력한 징계 조치를 시행하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리품 수집은 지속되었다. ''라이프''는 1944년 5월 22일자 잡지에 해군 남자친구로부터 서명된 해골을 선물받아 포즈를 취하는 젊은 여성의 사진을 게재했다. 이에 미국 내에서 여론이 분노했다.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관행이 미국인들이 일본인을 열등한 존재로 여기는 것과 미국인 전쟁 사망자에 대한 훼손과 고문에 대한 대응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 보르네오에서는 일본군에 대한 원주민의 보복이 일본 제국 육군이 해당 지역에서 저지른 잔학 행위를 근거로 이루어졌다. 일본군의 부당한 대우를 받은 보르네오의 다야크은 연합군을 돕기 위해 군대를 결성했다. Z 특수 부대의 호주 및 영국 특수 요원들은 내륙 다야크 부족민들을 천 명 규모의 참수 군대로 훈련시켰다. 이 부족민 군대는 약 1,500명의 일본군 병사를 살해하거나 포로로 잡았다.[33]

말라야 비상사태 (1948–1960) 동안, 영국 및 영연방군은 사회주의적이고 친독립적인 말라야 민족 해방군의 게릴라로 의심되는 자들을 상대로 싸우고 참수하기 위해 보르네오 출신 이반 (다야크) 머리 사냥꾼을 모집했는데, 공식적으로는 "신원 확인" 목적으로 그렇게 했다고 주장했다.[34] 이반족 머리 사냥꾼은 시체의 두피를 전리품으로 보관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사적으로, 식민부는 "의심할 여지없이 국제법상 전시의 유사한 사건은 전쟁 범죄가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35][36] 전리품 두개골의 조각은 나중에 영국 연대 박물관에 전시된 것으로 밝혀졌다.[34]

1952년 4월, 영국 공산당의 공식 신문인 ''데일리 워커'' (오늘날 ''모닝스타''로 알려짐)는 말라야의 영국 군사 기지에서 참수된 사람의 머리를 들고 공개적으로 포즈를 취하는 영국 해병대의 사진을 게재했다.[34] 처음에는 해군본부 및 식민부 소속 영국 정부 대변인들이 신문의 주장을 부인하고 사진이 위조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응하여, ''데일리 워커''는 말라야에서 촬영된 다른 영국 군인들이 참수된 사람의 머리를 들고 포즈를 취하는 또 다른 사진을 공개했다. 이에 올리버 리틀턴 식민부 장관은 하원에서 ''데일리 워커'' 머리 사냥 사진이 실제로 진본임을 인정해야 했다.[37] ''데일리 워커'' 기사에 대한 대응으로, 더 많은 사진이 공산주의 선전에 계속 악용될 것을 우려한 윈스턴 처칠에 의해 머리 사냥이 금지되었다.[34]

말라야에서 참수된 머리를 들고 포즈를 취하는 군인들의 충격적인 사진에도 불구하고, ''데일리 워커''는 20세기 동안 이 사진들을 게재한 유일한 영국 신문이었으며, 사진들은 주류 영국 언론에 의해 사실상 무시되었다.

베트남 전쟁 동안, 일부 미국 군인들은 "전리품 두개골"을 수집하는 행위에 가담했다.[38][39]

5. 한국 문화와 머리 사냥

이 섹션은 내용이 비어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Un viaggio a Nias Fratelli Treves Editori
[2] 논문 The Significance of Head-Hunting in Assam 1928
[3] 서적 Inked: Tattoos and Body Art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06-04
[4] 서적 Fra i tagliatori di teste : Elio Modigliani : un fiorentino all'esplorazione di Nias Salatan, 1886 Marsilio 2013
[5] 서적 The Play of Time: Kodi Perspectives on Calendars, History, and Exchange http://ark.cdlib.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6] 웹사이트 Behind Ethnic War, Indonesia's Old Migration Policy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10-05-25
[7] 웹사이트 Politicians and Magicians: Power, Adaptive Strategies, and Syncretism in the Central Moluccas http://www.nunusaku.[...] 2024-02-08
[8] 간행물 Some Head-Hunting Traditions of Southern New Guinea https://www.jstor.or[...] 1952
[9] 웹사이트 Hunter Gatherers – New Guinea http://www.climatech[...] Climatechange.umaine.edu 2010-05-25
[10] 서적 The Anthropology of Cannibalism https://books.google[...] 1999
[11] 웹사이트 Head-Hunters Drove Papuan Tribe Into Tree-Houses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com 2010-05-25
[12] 서적 The Cruise of the Snark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Digitized Jan 19, 2006
[13] 뉴스 Weather delays return of toi-moko http://tvnz.co.nz/na[...] TNVZ (national news)
[14] 간행물 The Non-Christian Tribes of Northern Luzon https://archive.org/[...] 1906-10
[15] 서적 Pentecost of the Hills in Taiwan: The Christian Faith Among the Original Inhabitants https://books.google[...] Hope Publishing House 2014-12-10
[16] 서적 The Colonial 'civilizing Process' in Dutch Formosa: 1624 - 1662 https://books.google[...] BRILL 2014-12-10
[17] 서적 Maritime Taiwan https://books.google[...] M.E. Sharpe
[18] 서적 The Island of Formosa, Past and Present https://archive.org/[...] Macmillan & Company
[19] 뉴스 Headhunting days are over for Myanmar's 'Wild Wa' https://www.reuters.[...] 2021-07-05
[20] 뉴스 Samurai: Japan's Way of the Warrior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1] 웹사이트 Headhunting (anthropology)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2] 서적 The Way of the Warrior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2008-10-01
[23] 뉴스 Soldiers of Fortune https://web.archive.[...] TIME Asia
[24] 서적 Plants, Health And Healing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2-05-15
[25] 뉴스 Tower of human skulls in Mexico casts new light on Aztecs https://www.reuters.[...] Reuters 2017-07-01
[26] 논문 The Body Context: Interpreting Early Nasca Decapitation Burials 2000
[27] 논문 A Cache of 48 Nasca Trophy Heads From Cerro Carapo, Peru 1993
[28] 문서 https://archive.org/[...]
[29] 웹사이트 Info for Headhunters http://www.lard.net/[...]
[30] 문서
[31] 웹사이트 Summary of and commentary on Herodotus' Histories, book 4 https://www.livius.o[...] Livius.org 2010-05-25
[32] 서적 Albania and the Albanian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4-12-24
[33] 뉴스 "'Guests' can succeed where occupiers fail"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11-09
[34] 서적 Dark Trophies: Hunting and the Enemy Body in Modern War Berghahn
[35] 서적 Malaysian Chinese & China: Conversion in Identity Consciousness, 1945–1957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12
[36] 서적 The Ambiguities of Power: British Foreign Policy Since 1945 1995-08-15
[37] 서적 Alias Chin Peng: My Side of History Media Masters
[38] 웹사이트 Eerie Souvenirs From the Vietnam War https://www.washingt[...] 2007-07-03
[39] 웹사이트 Signs of the Times – Trophy Skulls http://george.loper.[...] George.loper.org 1996-08-08
[40] 서적 アマゾン万華鏡 2000
[41] 서적 帝国日本と人類学者 2005
[42] 서적 入門東南アジア研究 1999
[43] 서적 ヌサンタラ島から島へ 2006
[44] 서적 観光と文化―旅の民族誌 2007
[45] 서적 シーサンパンナと貴州の旅 2004
[46] 웹인용 headhunting (anthropology)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09-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