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크어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크어 문자는 아랍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를 거쳐 현재 로마자를 사용한다. 중앙아시아 튀르크어족 언어처럼 아랍 문자를 사용하다가, 1928년부터 1940년까지 라틴 문자를 사용했다. 1940년에는 키릴 문자로 바뀌었으며, 1992년 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 로마자가 다시 도입되었다. 현재 로마자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키릴 문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 문자 - 자위 문자
자위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해 14세기경 만들어져 말레이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브루나이 공식 문자이자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종교, 문화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체계이다. - 아랍 문자 - 우르두 문자
우르두 문자는 13세기 이란에서 기원한 페르시아-아랍 문자의 변형으로, 나스타리크 서체로 쓰이는 아브자드 문자이며, 우르두어의 음운 체계를 반영하여 자모가 추가되었고, 38개의 자음과 여러 모음을 표기하며,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파키스탄과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다. - 로마자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로마자 - 프락투어
프락투어는 16세기 초 막시밀리안 1세 시대에 디자인된 블랙 레터 서체로, 독일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민족주의와 낭만주의 부흥 시기 안티콰체와의 논쟁을 겪었고, 현재는 장식적 용도로 사용된다.
우즈베크어 문자 | |
---|---|
개요 | |
종류 | 알파벳 |
사용 언어 | 우즈베크어 |
사용 지역 | 우즈베키스탄 |
문자 수 | 30 (라틴 문자) |
쓰기 방향 | 왼쪽에서 오른쪽 |
역사 | |
최초 사용 시기 | 1929년 (라틴 문자) |
대체 | 아랍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라틴 문자에서 키릴 문자로,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
문자 | |
라틴 문자 (1992년 이후) | A a, B b, D d, E e, F f, G g, H h, I i, J j, K k, L l, M m, N n, O o, P p, Q q, R r, S s, T t, U u, V v, X x, Y y, Z z, Oʻ oʻ, Gʻ gʻ, Sh sh, Ch ch, Ng ng |
키릴 문자 | А а, Б б, В в, Г г,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И и, Й й, К к, Л л, М м, Н н, О о, П п, Р р, С с, Т т, У у, Ф ф, Х х, Ц ц, Ч ч, Ш ш, Ъ ъ, Э э, Ю ю, Я я, Ў ў, Қ қ, Ғ ғ, Ҳ ҳ |
로마자 표기법 (한국어 개정 로마자 표기법) | |
A a | A a |
B b | B b |
D d | D d |
E e | E e |
F f | F f |
G g | G g |
H h | H h |
I i | I i |
J j | J j |
K k | K k |
L l | L l |
M m | M m |
N n | N n |
O o | O o |
P p | P p |
Q q | K k |
R r | R r |
S s | S s |
T t | T t |
U u | U u |
V v | V v |
X x | X x |
Y y | Y y |
Z z | Z z |
Oʻ oʻ | Oe oe |
Gʻ gʻ | Ge ge |
Sh sh | Sy sy |
Ch ch | Tsy tsy |
Ng ng | Ng ng |
2. 역사
중앙아시아의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처럼 우즈베크어는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 계열의 문자를 사용했다. 1928년 소련의 영향 아래 교육 계획의 일환으로 라틴 문자 기반의 양알리프(Yañalif)가 도입되었으나,[37] 1940년 이오시프 스탈린 치하에서 다시 키릴 문자로 강제 전환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이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후인 1992년, 정부는 공식 문자를 다시 로마자로 채택했다. 그러나 키릴 문자는 독립 이후에도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1993년에 초기 로마자 안이 제안되었고,[38] 1995년에 현재 사용되는 형태의 로마자 표기법이 도입되었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는 교육, 화폐, 정부 웹사이트, 도로 표지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마자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56] 하지만 아프가니스탄의 우즈베크인들은 여전히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
최근 몇 년간(2018년 이후) 현행 로마자 표기법을 개정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주로 이중음자를 발음 구별 기호가 부착된 단일 문자로 변경하여[39] 다른 튀르크 언어들과의 표기법 유사성을 높이려는 목적이다.[42] 이러한 개정안은 공론화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40][41][43] 정부는 키릴 문자에서 로마자로 완전히 전환하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44][45] 전환 완료 시점은 여러 차례 연기되고 있다.[46]
2. 1. 아랍 문자 시기
중앙아시아의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 및 문학적 전신인 차구타이어와 마찬가지로, 우즈베크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령 투르케스탄이 소련 점령 하에 들어가면서, 1921년 1월 자디드주의자들이 고안한 개혁된 아랍 문자 표기법이 도입되었다. 이 표기법은 단모음을 표기하던 하라카트 기호를 없애고, 모든 모음을 나타내는 완전한 문자 체계를 채택했다. 또한, 아랍어 차용어에만 존재하며 고유한 음가를 갖지 않는 문자들도 제거되었다. 이 결과 6개의 모음과 23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문자 체계가 만들어졌다. 특히 이 표기법에는 /f/ 음가를 나타내는 문자가 없었는데, 이는 구어에서 항상 /p/로 동화된다는 주장에 근거했다. 일부에서는 많은 방언에서 /h/ 음이 /x/ 음으로 동화되는 것을 고려해 /h/ 문자 사용 폐지를 제안하기도 했으나, 최종적으로는 채택되지 않았다.[2]

현재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여전히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우즈베크어를 표기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의 아프간계 우즈베크인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21세기 초부터 아프가니스탄-우즈베크 학자들의 사전 편찬,[3][4] 문학 작품 출판, 그리고 BBC 우즈베크 아프가니스탄이나 TRT 아프가니 우즈베크 같은 국내외 뉴스 매체의 아랍 문자 채택과 함께, 아랍 문자의 문서화 및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ا | ب | پ | ت | ث | ج | چ | ح |
خ | د | ذ | ر | ز | ژ | س | ش |
ص | ض | ط | ظ | ع | غ | ف | ق |
ک | گ | ل | م | ن | و | ه | ی |
2. 2. 라틴 문자 시기 (1929-1940)
우즈베크어의 라틴 문자 전환 문제는 1920년대부터 논의되기 시작했다. 1921년 1월 타슈켄트에서 열린 지역 회의에서 이 문제가 다루어졌으나, 당시에는 아랍 문자 개혁 지지자들의 반대로 라틴 문자 도입이 승인되지 못했다. 이후 1926년 바쿠에서 열린 제1차 튀르크 회의에서 소련 내 모든 튀르크어족 언어에 대해 새로운 라틴 문자인 야날리프를 도입하기로 결정하면서 전환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우즈베크 SSR 중앙 집행 위원회 산하에 신문자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새로운 문자에 대한 다양한 안들이 논의되었다. 특히 모음 조화를 표기하는 방식에 대한 논쟁 끝에, 모음을 나타내는 9개의 문자를 포함하여 음성 조화를 반영하기로 결정했다.[5]1929년, 우즈베크인들에게 정치적 영향을 포함한 포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우즈베크 SSR의 공식 문자가 라틴 문자로 변경되었다. 이는 소련의 라틴 문자화 정책의 맥락에서 진행된 것이었다.[6] 이 새로운 라틴 문자는 기존에 없던 /f/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문자 'f'를 포함했으며,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을 구별하기 위한 여러 문자들도 도입했다.
1929년 5월 사마르칸트에서 열린 공화국 철자법 회의에서는 총 34개의 문자로 구성된 새로운 우즈베크 라틴 문자가 최종 승인되었다.
A a | B ʙ | C c | Ç ç | D d | E e | Ə ə | F f |
---|---|---|---|---|---|---|---|
G g | Ƣ ƣ | H h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Ŋ ŋ | O o | Ө ө | P p | Q q | R r | S s |
Ş ş | T t | U u | V v | X x | Y y | Z z | Ƶ ƶ |
Ь ь | ' | colspan="6" | |
그러나 1934년에 알파벳은 다시 개혁되었다. 이 개혁에서는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을 구별하기 위해 도입되었던 문자 '''Ө ө, Y y, Ь ь'''가 제거되었고, 문자 '''Ə ə'''의 사용 빈도도 줄어들어 대부분 '''A a'''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우즈베크어 철자를 단순화하려는 목적이었지만, 여전히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했다.[7][2] 이에 따라 1937년, A.K. 보로프코프가 이끄는 학자 팀이 우즈베크어 알파벳과 철자법의 새로운 버전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들이 제안한 알파벳 순서는 '''A a, B b, V v, G g, D d, E e, Ƶ ƶ, Z z, I i, J j, K k, L l, M m, N n, Å å, O o, P p, R r, S s, T t, U u, F f, X x, C c, Ş ş, Ç ç, Q q, Ƣ ƣ, H h, Ꞑ ꞑ''' 이었다. 하지만 이 시기 소련에서는 이미 키릴 문자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었기 때문에,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이 개혁안은 실현되지 못했다.[5] 결국 1940년, 이오시프 스탈린의 지시에 따라 우즈베크어 표기는 키릴 문자로 강제 전환되었고, 라틴 문자 사용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3. 키릴 문자 시기 (1940-1992)
1940년, 이오시프 스탈린의 통치 아래 소련에서는 소련의 키릴 문자화 정책의 일환으로 우즈베크어 표기를 키릴 문자로 강제 전환했다.[5] 이 키릴 문자는 1992년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로마 문자를 공식적으로 재도입하기 전까지 공식 문자로 사용되었으며, 이후에도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다.키릴 문자 도입에 앞서 1939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 교육 위원회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우즈베크어 알파벳 개발 위원회를 설립했다. 위원회는 초기에 러시아어 알파벳 33개 문자에 '''Ң ң, Ҷ ҷ, Ө ө, Қ қ, Ƶ ƶ, Ҳ ҳ''' 여섯 개의 추가 문자와 아포스트로피를 포함하는 안을 제안했다.[5] 그러나 이 초기 제안은 언어학자와 교육자들로부터 지나치게 복잡하고 불필요한 문자가 많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Щ щ와 Ы ы 문자를 제외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일부는 Е е, Ё ё, Ц ц, Ю ю, Я я 문자도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최종적으로 1940년에 확정된 우즈베크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5]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Ъ ъ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Ў ў | Қ қ | Ғ ғ | Ҳ ҳ |
이 알파벳은 러시아어 알파벳의 33개 문자에 우즈베크어의 특정 소리를 나타내는 '''Ў ў, Қ қ, Ғ ғ, Ҳ ҳ''' 네 개의 문자를 추가한 형태이다. 이 추가된 네 문자는 단순한 문자 변형이 아니라 독립된 문자로 취급되며, 알파벳 순서상으로는 Я я 다음에 위치한다.[5]
러시아어 알파벳에 포함된 Ц ц와 Ь ь 문자는 우즈베크 고유어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러시아어 등에서 들어온 차용어를 표기하기 위해 포함되었다. 예를 들어 '칼슘'은 кальций로 표기한다.[5] 반면, Щ щ와 Ы ы 문자는 우즈베크 키릴 문자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러시아어 차용어나 인명에 이 문자들(Щ, Ы)이 포함된 경우, 각각 Шч(또는 Ш)와 И로 대체하여 표기한다. 예를 들어 러시아 성씨 Щедрин(Shchedrin)과 Быков(Bykov)는 우즈베크 키릴 문자로 각각 Шчедрин과 Биков으로 적는다.[5]
이 키릴 문자는 이후 일부 개혁 시도에도 불구하고, 1992년 로마자 재도입 결정 이후에도 우즈베키스탄 본토와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등 주변국의 우즈베크인 공동체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5]
2. 4. 현대 로마자 시기 (1992-현재)
1992년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하면서 키릴 문자를 사용하던 정책에서 벗어나 로마자를 공식 문자로 다시 도입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키릴 문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8]1993년 당시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는 새로운 로마자 알파벳을 제안했다. 이 알파벳에는 ⟨c⟩ /ts/, ⟨ç⟩, ⟨ğ⟩, ⟨ɉ⟩, ⟨ñ⟩, ⟨ö⟩, ⟨ş⟩ 와 같은 문자들이 포함되었다. 특히 ⟨ɉ⟩ 문자는 키릴 문자의 ⟨Җ⟩에 해당하는 문자였다.[8] 이 초기 로마자 알파벳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A a, B b, C c, D d, E e, F f, G g, H h, I i, J j, K k, L l, M m, N n, O o, P p, Q q, R r, S s, T t, U u, V v, X x, Y y, Z z, Ç ç, Ğ ğ, Ɉ ɉ, Ñ ñ, Ö ö, Ş ş, ʼ.'''[9]
그러나 1993년 제안된 알파벳은 1995년에 현재 사용되는 로마자 알파벳으로 대체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우즈베크어 로마자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А а | B b | D d | Е е | F f | G g | H h |
I i | J j | K k | L l | М m | N n | О о |
P p | Q q | R r | S s | Т t | U u | V v |
X x | Y y | Z z | Oʻ oʻ | Gʻ gʻ | Sh sh | Ch ch |
Ng ng | ʼ |
우즈베키스탄 내 교육 현장에서는 로마자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2001년부터는 주화에도 로마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4년부터는 일부 정부 웹사이트에서도 우즈베크어를 표기할 때 로마자를 사용하기 시작했고,[35][56] 대부분의 도로 표지판 역시 새로운 로마자로 표기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국영 TV 채널인 Oʻzbekiston Telekanali (MTRK 소속)도 뉴스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로마자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 아프가니스탄에 거주하는 우즈베크인들은 여전히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우즈베크어를 표기하고 있다.
2018년부터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현행 로마자 알파벳을 다시 개정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다. 주요 목표는 'Sh', 'Ch'와 같은 이중 문자를 발음 구별 기호가 붙은 단일 문자로 바꾸는 것이었다.[10][39] 2021년 3월에는 Ch ch, Sh sh, Gʻ gʻ, Oʻ oʻ를 각각 Ç ç, Ş ş, Ḡ ḡ, Ō ō로 바꾸고, 차용어에 쓰이는 Ts ts를 C c로 바꾸는 구체적인 개정안이 발표되어 공론화되었다.[11][12][40][41] 이 개정안은 1995년 개혁 이전의 형태로 일부 되돌아가는 것으로, 튀르키예어, 투르크멘어, 카라칼파크어, 카자흐어, 아제르바이잔어 등 다른 튀르크계 언어의 로마자 표기와 유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13][42] 이 개정안에 대해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렸으며, 같은 해 5월에 다시 한번 공론화 과정을 거쳤다.[14][43]
2023년 9월에는 언어학자들이 또 다른 로마자 알파벳 개혁안을 제안했다. 이 안에서는 키릴 문자의 Ў/ў, Ғ/ғ, Ч/ч, Ш/ш에 해당하는 현재 로마자 Oʻ/oʻ, Gʻ/gʻ, Ch/ch, Sh/sh를 각각 Õ/õ, Ğ/ğ, C/c, Ş/ş로 수정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2018년 이후 세 번째로 시도되는 알파벳 개혁안이다.[20]
아래 표는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제안된 주요 알파벳 개혁 내용을 비교한 것이다.
1995년에 채택된 현대 우즈베크어 로마자 문자는 29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문자 목록과 각 문자의 과거 표기 및 발음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1년 2월,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2023년 1월 1일까지 키릴 문자 사용을 완전히 중단하고 로마자 기반 알파벳으로 전면 전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15][16][44][45] 하지만 이 전환 마감 기한은 여러 차례 연장되었다.[17][46]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로마자와 키릴 문자가 함께 사용되고 있는데, 세대 간 선호도 차이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젊은 세대는 로마자 사용을 선호하는 반면, 소련 시절 교육을 받은 기성세대는 키릴 문자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사용 분야에서도 차이가 있어, 로마자는 주로 비즈니스 및 관광 분야에서 사용되고, 키릴 문자는 정부 공식 문서 등에서 여전히 많이 사용된다.[18]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의 출판계에서는 여전히 키릴 문자 사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19]
3. 문자 체계
3. 1. 문자 목록 (1995년)
1995년에 채택된 현대 우즈베크어 로마자 문자는 29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대문자 | ||||||||||||||||||||||||||||
A | B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X | Y | Z | Oʻ | Gʻ | Sh | Ch | Ng |
소문자 | ||||||||||||||||||||||||||||
a | b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x | y | z | oʻ | gʻ | sh | ch | ng |
기호 ⟨ʼ⟩는 별도의 문자로 간주하지 않는다.
3. 2. 문자 대응표
아래 표는 현재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와 과거에 사용된 야날리프(1934년~1940년), 키릴 문자, 아랍 문자 표기 및 국제음성기호(IPA) 발음, 영어에서의 유사 발음을 비교한 것이다.[47][48]로마자[49] | 야날리프(1934년~1940년) | 키릴 문자 | 이름[50] | 아랍 문자 | IPA | 영어 근사 발음 |
---|---|---|---|---|---|---|
A a | A a | А а | 아 (a) | ا / ه | /æ/ | chat |
B b | B ʙ | Б б | 베 (be) | ب | /b/ | bat |
D d | D d | Д д | 데 (de) | د | /d̪/ | den |
E e | E e | Э э / Е е | 에 (e) | اې / ې | /e/[51] | bet |
F f | F f | Ф ф | 에프 (ef) | ف | /ɸ/ | fish |
G g | G g | Г г | 게 (ge) | گ | /ɡ/ | go |
H h | H h | Ҳ ҳ | 하 (ha) | ھ / ح | /h/ | house |
I i | I i | И и | 이 (i) | ای / ی | /i/ | me |
J j | Ç ç | Ж ж | 제 (je) | ج | /dʒ/ | joke |
Ƶ ƶ | ژ | /ʒ/[52] | vision | |||
K k | K k | К к | 카 (ka) | ک | /k/ | cold |
L l | L l | Л л | 엘 (el) | ل | /l/ | list |
M m | M m | М м | 엠 (em) | م | /m/ | man |
N n | N n | Н н | 엔 (en) | ن | /n/ | next |
O o | A a | О о | 오 (o) | ا / آ | /ɔ/[52] | hot, call (RP) |
P p | P p | П п | 페 (pe) | پ | /p/ | pin |
Q q | Q q | Қ қ | 카 (qa) | ق | /q/, /χ/[53] | k와 비슷하나 더 목구멍 안쪽에서 발음 |
R r | R r | Р р | 에르 (er) | ر | /r/ | (떨리게) rat |
S s | S s | С с | 에스 (es) | ث / س / ص | /s/ | sick |
T t | T t | Т т | 테 (te) | ت / ط | /t̪/ | toe |
U u | U u | У у | 우 (u) | او / و | /u/ | put, choose |
V v | V v | В в | 베 (ve) | و | /v~w/ | van |
X x | X x | Х х | 하 (xa) | خ | /χ/ | 독일어 Bach나 스코틀랜드어 loch의 ch와 유사 |
Y y | J j | Й й | 예 (ye) | ی | /j/ | yes |
Z z | Z z | З з | 제 (ze) | ذ / ز / ض / ظ | /z/ | zebra |
Oʻ oʻ | O o | Ў ў | 오 (oʻ) | اۉ / ۉ | /o/ | row, fur |
Gʻ gʻ | Ƣ ƣ | Ғ ғ | 가 (gʻa) | غ | /ʁ/ | 프랑스어나 독일어의 r과 유사 |
Sh sh | Ş ş | Ш ш | 샤 (sha) | ش | /ʃ/ | shoe |
Ch ch | C c | Ч ч | 체 (che) | چ | /tʃ/ | chew |
Ng ng | Ꞑ ꞑ | Нг нг | 응에 (nge) | ڭ / نگ | /ŋ/ | king |
ʼ | ʼ | ъ | 투툭 벨기시 (ʼ) 아이리시 벨기시 (ъ) | ء / أ / ؤ / ئ / ع | /ʔ/ | 모음 앞 성문 파열음 또는 모음 뒤 장모음 표시[54] |
키릴 문자 Ё ё, Ю ю, Я я는 각각 'yo', 'yu', 'ya' 소리 조합에 해당한다. 키릴 문자 Ц ц(tse)와 ь(yumshatish belgisi, 연음 부호)는 러시아어 등에서 온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현대 라틴 문자 표기 시 ц는 모음 뒤에서는 'ts', 그 외에는 's'로 적고, ь는 일반적으로 생략한다(단, ье, ьи, ьо는 각각 'ye', 'yi', 'yo'로 표기될 수 있다).
'c'(이중자음 'ch' 제외)와 'w'는 우즈베크어의 정식 문자는 아니지만, 각각 tse, dubl-ve로 불린다. 수학 등 학문 분야에서는 'x', 'y', 'z'를 각각 iks, igrek, zet로 부르기도 한다.
3. 3. 특수 문자
우즈베크어를 로마 문자로 표기할 때, '''Oʻ''' (키릴 문자 '''Ў''')와 '''Gʻ''' (키릴 문자 '''Ғ''')는 오키나(ʻ) 문자를 사용하여 올바르게 표현된다.[55][34] 하지만 이 문자는 하와이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판 배열이나 글꼴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우즈베키스탄 정부 웹사이트를 포함한[56][35] 많은 우즈베크어 웹사이트에서는 오키나 대신 왼쪽 작은따옴표(‘) 또는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한다.또한, 투툭 벨기시(ʼ) 문자는 외래어에서 모음 앞에 오는 성문 파열음을 표기하거나(예: ''sanʼat'' - 예술), 모음 바로 뒤에 붙어 장모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예: ''maʼno'' - 의미).[57][36] 투툭 벨기시 역시 대부분의 자판 배열에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오른쪽 작은따옴표(’) 또는 아포스트로피(') 문자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대부분의 우즈베크어 타이피스트들은 오키나(ʻ)와 투툭 벨기시(ʼ)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며, 키보드 자판 배열 자체도 보통 직선 아포스트로피(')만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4. 문자 개혁 논의 (1992년 이후)
1940년 이오시프 스탈린 치하에서 우즈베크어 표기에 키릴 문자가 도입된 이후, 우즈베키스탄은 1992년까지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소련 해체 후 독립한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1992년 로마 문자를 공식 문자로 재도입했지만, 실생활에서는 여전히 키릴 문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93년 당시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는 새로운 로마자 알파벳으로 ⟨c⟩(/ts/), ⟨ç⟩, ⟨ğ⟩, ⟨ɉ⟩, ⟨ñ⟩, ⟨ö⟩, ⟨ş⟩ 등을 포함하는 안을 제안했다. 이 문자 체계는 1995년 현재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법이 도입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ɉ⟩ 문자는 키릴 문자의 Җ에 해당한다.[38]
로마자 도입 이후, 우즈베키스탄 사회 여러 분야에서 로마자 사용이 점차 확대되었다. 교육 현장에서는 로마 문자를 사용하며, 2001년부터는 주화에도 로마자가 표기되기 시작했다. 2004년부터 일부 정부 웹사이트에서 로마자 표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56] 현재 대부분의 도로 표지판도 로마자로 작성되어 있다. 국영 TV 채널 'Oʻzbekiston telekanali' 역시 뉴스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로마 문자를 사용한다.
한편, 아프가니스탄에 거주하는 우즈베크인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아랍 문자 기반의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4. 1. 2018년 이후 개혁 시도
2018년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우즈베크 로마 문자를 다시 개정하려는 시도를 시작했다. 주요 목표는 Ch ch, Sh sh, Gʻ gʻ, Oʻ oʻ와 같은 몇몇 이중음자를 발음 구별 기호가 붙은 문자로 바꾸는 것이었다.[39]2021년 3월에는 구체적인 개정안이 발표되어 공론화 과정에 들어갔다. 이 개정안은 Ch ch를 Ç ç로, Sh sh를 Ş ş로, Gʻ gʻ를 Ḡ ḡ로, Oʻ oʻ를 Ō ō로 바꾸고, 추가로 Ts ts를 C c로 대체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40][41] 이는 1995년 문자 개혁의 일부 내용을 되돌리는 것으로, 튀르키예어, 투르크멘어, 카라칼파크어, 카자흐어, 아제르바이잔어의 로마자와 유사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었다.[42] 그러나 이 개정안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엇갈렸으며, 같은 해 5월에 다시 공론화가 진행되기도 했다.[43]
한편, 2021년 2월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2023년 1월 1일까지 키릴 문자 사용을 완전히 중단하고 로마 문자로 전면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44][45] 하지만 이 전환 기한은 여러 차례 연장되었다.[46]
5. 현대 우즈베크어 문자 사용 현황
현대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소련 시기 도입된 키릴 문자와 1992년 독립 이후 재도입된 로마자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18] 정부는 공식적으로 로마자 사용을 추진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두 문자가 병존하는 과도기적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는 로마자를, 소련 시절 교육받은 기성세대는 키릴 문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18] 이러한 상황은 교육, 미디어,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자 사용의 혼재를 야기하고 있으며,[18][19] 정부가 여러 차례 설정한 로마자로의 완전한 전환 시한은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계속 연기되고 있다.[15][16][17]
5. 1. 로마자 사용 증가
우즈베키스탄에서 로마자는 1992년 공식적으로 재도입된 이후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로마자 사용 선호도가 높으며, 비즈니스 및 관광 분야에서 주로 활용된다.[18]교육 현장에서는 많은 지역에서 로마자 기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1년부터는 솜 동전에도 로마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4년부터는 일부 공식 웹사이트가 우즈베크어 표기에 로마자를 채택했으며,[35] 대부분의 거리 표지판 역시 새로운 로마자로 표기되고 있다.
그러나 키릴 문자 역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소련 시절 교육받은 기성세대는 키릴 문자를 선호하며, 정부 공식 문서나 출판 분야에서는 키릴 문자가 주로 사용된다.[18]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우즈베크 출판사들은 여전히 대부분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주요 국영 TV 채널인 Oʻzbekiston Telekanali(MTRK 소유)는 로마자로 전환했지만, 뉴스 프로그램은 여전히 키릴 문자로 방송하는 등[18] 일부 분야에서는 두 문자가 병용되는 과도기적 양상을 보인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2023년 1월 1일까지 로마자로 완전히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으나,[15][16] 이전에도 여러 차례 마감 기한이 연장된 바 있어[17] 실제 전환 완료 시점은 유동적이다.
5. 2. 키릴 문자 잔존
1992년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로마자를 공식 문자로 재도입했지만, 소련 시절부터 사용되어 온 키릴 문자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련 시대에 교육받은 기성세대는 키릴 문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젊은 세대는 로마자를 더 선호한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공식 정부 문서에서는 주로 키릴 문자가 사용되며,[18]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우즈베크어 출판사들 역시 대부분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9]우즈베키스탄의 주요 국영 방송인 Oʻzbekiston Telekanali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로마자로 송출하지만, 뉴스 프로그램은 여전히 키릴 문자로 방송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2023년 1월 1일까지 키릴 문자에서 로마자로 완전히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2021년 2월에 발표했으나,[15][16] 이전에도 여러 차례 설정되었던 전환 완료 시한은 계속 연장되고 있는 상황이다.[17]
6. 예시문
아래는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를 다양한 우즈베크어 문자로 표기한 예시이다.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현대 아랍 문자 |
---|---|---|
Barcha odamlar erkin, qadr-qimmat va huquqlarda teng boʻlib tugʻiladilar. Ular aql va vijdon sohibidirlar va bir-birlari ila birodarlarcha muomala qilishlari zarur.uzb | ||
국제 음성 기호 (IPA) | 한국어 번역 | |
[bærˈtʃæ ɒd̪æmˈlær erˈkɪn ǀ qæd̪r̩ qɨmˈmæt̪ ʋæ huquqlærˈd̪æ t̪em‿bɵˈlɨp t̪uʁɨlæd̪ɨˈlær ǁ uˈlær æql̩ ʋæ ʋɪdʒˈd̪ɒn sɒhɨbɨdɨrˈlær ǀ ʋæ bɨr bɨrlæˈrɨ iˈlæ bɨrɒdærlærˈtʃæ mu.ɒmæˈlæ qɨlɨʃlæˈrɨ zæˈrur ǁ] |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
참조
[1]
웹사이트
Uzbekistan's Drawn-out Journey From Cyrillic to Latin Script
https://thediplomat.[...]
2024-04-22
[2]
서적
Making Uzbekistan: Nation, Empire, and Revolution in the Early USSR
http://archive.org/d[...]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01-12
[3]
문서
Uzbek Turki to Persian/Dari Dictionary, authored by D. Faizullah Aimaq (فرهنگ تورکی اوزبیکی به فارسی/ دری، تألیف داکتر فیض الله ایماق)
https://www.kabulnat[...]
[4]
웹사이트
BBCPersian.com
https://www.bbc.com/[...]
2024-04-22
[5]
서적
Узбекский алфавит и вопросы его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опросы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алфавитов тюркских языков СССР)
Наука
[6]
서적
Language Planning and National Development: The Uzbek
Walter de Gruyter
[7]
서적
Орфография узбекского языка (Орфографии тюркских литературных языков СССР)
«Наука»
[8]
웹사이트
Özbek Alifbosi
https://www.evertype[...]
[9]
웹사이트
Özbekiston Respublikasiniñ Qonuni. Lotin yozuviga asoslañan özbek alifbosini joriy etiş töğrisida
http://www.evertype.[...]
1993-02-09
[10]
웹사이트
Лотин ёзувига асосланган ўзбек алифбоси ҳақида ишчи гуруҳнинг сўнгги хулосаси
http://www.uza.uz/oz[...]
Uzbekistan National News Agency
2018-11-07
[11]
뉴스
Проект нового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представлен для обсуждения
https://www.gazeta.u[...]
2021-03-16
[12]
웹사이트
Uzbekistan unveils its latest bash at Latin alphabet
https://eurasianet.o[...]
2019-05-23
[13]
웹사이트
Uzbekistan Moves to Make Its Latin Script Closer to One Used in Turkey
http://windowoneuras[...]
2019-05-27
[14]
뉴스
Проект закона о новом узбекском алфавите на латинской графике вновь опубликован для обсуждения
https://kun.uz/ru/ne[...]
2012-05-22
[15]
간행물
Uzbekistan Aims For Full Transition To Latin-Based Alphabet By 2023
https://www.rferl.or[...]
RadioFreeEurope
2021-02-12
[16]
웹사이트
В Узбекистане в 2023 году узбекский алфавит в делопроизводстве переведут с кириллицы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http://interfax.az/v[...]
[17]
웹사이트
Uzbekistan: Keeping the Karakalpak Language Alive
https://iwpr.net/glo[...]
2019-05-20
[18]
웹사이트
Alphabet Transition in Uzbekistan: Political Implications and Influences on Uzbek Identity
https://centralasiap[...]
[19]
웹사이트
Redeeming Book Culture in Uzbekistan
https://thediplomat.[...]
2023-06-20
[20]
웹사이트
Анонсирован очередной проект по изменению некоторых букв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https://uznews.uz/po[...]
2023-10-01
[21]
웹사이트
Лотин ёзувига асосланган ўзбек алифбоси ҳақида ишчи гуруҳнинг сўнгги хулосаси = Конечные итоги рабочей группы по узбекскому латинскому алфавиту
http://www.uza.uz/oz[...]
Национальное информационное агентство Узбекистана
2018-11-17
[22]
문서
Обновленный вариант алфавита представили в Узбекистане, Sputnik News, 22 May 2019
[23]
웹사이트
Проект нового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представлен для обсуждения
https://www.gazeta.u[...]
2021-04-02
[24]
웹사이트
Ученые-лингвисты предложили изменить некоторые буквы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https://uzreport.new[...]
2021-11-29
[25]
웹사이트
Анонсирован очередной проект по изменению некоторых букв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https://uznews.uz/po[...]
2023-10-01
[26]
뉴스
Представлен новый вариант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без сочетаний sh и ch и с двумя буквами, как в казахском
https://www.currentt[...]
2019-05-22
[27]
웹사이트
Transliteration of Non-Roman Scripts: Uzbek
http://transliterati[...]
2015-11-12
[28]
문서
1995 orthography
[29]
서적
Teach-Yourself Uzbek Textbook
Oʻqituvchi
[30]
문서
Cyrillic "Е е" at the beginning of a word and after a vowel is "Ye ye" in Latin.
[31]
문서
In Russian borrowings.
[32]
문서
In some words written with the letter "q", the sound has now changed to /χ/, such as oʻquvchi [oˈχuv.tʃi] "pupil" and haqiqiy [hæχiˈχiː] "real". There is no regular sound change law regarding when this process occurs.
[33]
문서
Tutuq belgisi
[34]
웹사이트
The Unicode Consortium
https://www.unicode.[...]
2015-01-13
[35]
웹사이트
The Governmental Portal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http://www.gov.uz/uz[...]
2012-12-06
[36]
간행물
Principal Orthographic Rules For The Uzbek Language
the Uzbekistan Cabinet of Minister's Resolution No. 339
1995-08-24
[37]
서적
Language Planning and National Development: The Uzbek
Walter de Gruyter
[38]
웹인용
Özbek Alifbosi
https://www.evertype[...]
[39]
웹인용
Лотин ёзувига асосланган ўзбек алифбоси ҳақида ишчи гуруҳнинг сўнгги хулосаси
http://www.uza.uz/oz[...]
UzA
2018-11-06
[40]
뉴스
Проект нового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представлен для обсуждения
https://www.gazeta.u[...]
2021-03-16
[41]
웹인용
Uzbekistan unveils its latest bash at Latin alphabet
https://eurasianet.o[...]
2019-05-22
[42]
웹인용
Uzbekistan Moves to Make Its Latin Script Closer to One Used in Turkey
http://windowoneuras[...]
2019-05-27
[43]
뉴스
Проект закона о новом узбекском алфавите на латинской графике вновь опубликован для обсуждения
https://kun.uz/ru/ne[...]
2012-05-22
[44]
뉴스
Uzbekistan Aims For Full Transition To Latin-Based Alphabet By 2023
https://www.rferl.or[...]
RadioFreeEurope
2021-02-12
[45]
웹인용
В Узбекистане в 2023 году узбекский алфавит в делопроизводстве переведут с кириллицы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http://interfax.az/v[...]
2022-10-31
[46]
웹인용
Uzbekistan: Keeping the Karakalpak Language Alive
https://iwpr.net/glo[...]
2019-05-17
[47]
웹인용
Представлен новый вариант узбекского алфавита: без сочетаний sh и ch и с двумя буквами, как в казахском
https://www.currentt[...]
2022-09-20
[48]
웹인용
Transliteration of Non-Roman Scripts: Uzbek
http://transliterati[...]
2015-11-12
[49]
문서
1995년 체계
[50]
서적
Teach-Yourself Uzbek Textbook
Oʻqituvchi
[51]
문서
키릴 문자에서 단어의 시작이나 모음 뒤에 있는 "Е е"는 로마 문자로 바꿨을 때 "Ye ye"이다.
[52]
문서
러시아어 인용에 사용함.
[53]
문서
간혹 "q"가 사용된 단어에서 소리가 /χ/로 바뀐 경우가 있다. 예시로는 o‘quvchi [oˈχuv.tʃi]나 haqiqiy [hæχiˈχiː]가 있다. 이 현상을 설명하는 일관된 문법은 없다.
[54]
문서
투툭 벨기시('''ʼ''')는 "s"와 "h"가 "sh"처럼 한 번에 발음되지 않고 각각 발음해야 할 때도 사용한다. 예시로는 Isʼhoq (''Исҳоқ'')가 있다.
[55]
웹인용
The Unicode Consortium
https://www.unicode.[...]
2015-01-13
[56]
웹인용
The Governmental Portal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http://www.gov.uz/uz[...]
2012-12-06
[57]
간행물
Principal Orthographic Rules For The Uzbek Language
the Uzbekistan Cabinet of Minister's Resolution No. 339
1995-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