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헌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희헌은 1569년에 태어나 1651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의관이다. 그는 경기도 광주 출신으로,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참봉, 내의원 주부 등을 역임했다. 임진왜란 시 광해군을 호종하여 위성 원종공신에 책록되었고, 식년 의과에 합격하여 내의원 의관이 되었다. 허준, 양예수 등과 함께 의서 편찬 및 간행을 감독했으며, 특히 허준의 《동의보감》 발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인조반정 이후 어의를 거쳐 소무 원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내의원 수의를 지냈다. 사후에는 경기도 광주에 묻혔으며, 아들 이원빈은 정종의 후손과 혼인하여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준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허준 - 윤지미 (조선 의사)
윤지미는 1569년 출생하여 서자 신분으로 관직에 오른 조선의 의사이며, 《동의보감》 발간에 참여하고 명나라에 파견되어 의술 관련 질의응답을 하기도 했다. - 한국의 한의사 - 허준
허준은 조선 중기의 의관으로, 서자 출신으로 추정되지만 뛰어난 의술로 선조의 주치의를 역임하고 『동의보감』을 완성하여 동아시아 의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후 정1품 보국숭록대부에 추증되었다. - 한국의 한의사 - 윤지미 (조선 의사)
윤지미는 1569년 출생하여 서자 신분으로 관직에 오른 조선의 의사이며, 《동의보감》 발간에 참여하고 명나라에 파견되어 의술 관련 질의응답을 하기도 했다.
이희헌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희헌 |
한자 표기 | 李希憲 |
![]() | |
자 | 가정(可正) |
출생일 | 1569년 6월 15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651년 11월 28일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 원인 | 병사 |
국적 | 조선 |
직업 | 문신, 한의사, 의관, 정치인, 서예가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청주 한씨, 금천 장씨 |
자녀 | 이원빈, 이원로, 이원례, 이씨, 이씨 |
부 | 이감 |
모 | 예천 윤씨 또는 예산 윤씨 부인 |
친척 | 이복 형 이성헌, 할아버지 이광식, 증조부 이지방, 삼촌 이전, 이용, 당조카 이복남, 사위 전흡, 사위 이흥기, 사돈 이홍주 |
학력 | |
학력 | 1600년 식년의과 을과 급제 |
2. 생애
1569년 (선조 2년) 또는 1568년 (선조 1년)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동(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문과 급제 후 대사헌 등을 지낸 이감이다.
음서를 통해 관직에 나아가 참봉, 내의원 주부, 사옹원 주부 등을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왕세자였던 광해군을 호종하였다. 1600년 (선조 34년) 식년 의과에 아원(2등)으로 급제하여[1] 내의원 의관으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내의원 의관으로 재직하며 허준, 양예수 등 당대 최고 의관들과 함께 임진왜란 중 소실된 의서를 복원하고 중국 의서를 번역하는 국가적인 의학 사업에 참여했다. 주로 의서의 인쇄와 출판을 감독하는 감교관(監校官) 역할을 맡아, 《의림촬요》(1606년), 《언해두창집요》(1608년), 《언해태산집요》(1608년)[2], 《찬도방론맥결집성》(1612년), 《신찬벽온방》(1613년)[3], 《벽역신방》(1613년), 그리고 허준의 역작인 《동의보감》(1613년)[4][5] 등 수많은 중요 의서 간행을 감독하며 조선 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1607년에는 왕명을 받고 안동에 파견되어 병석에 있던 류성룡을 진찰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608년 (선조 41년) 의서 출판의 공으로 내의원 정(正)으로 승진했으며, 같은 해 정운 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1612년 (광해군 4년)에는 내의원 첨정(僉正)에 임명되었고, 1614년 (광해군 6년)에는 임진왜란 당시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위성 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1619년 (광해군 11년) 어의(御醫)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통정대부로 품계가 올랐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에도 어의로 활동했으며, 1627년 (인조 5년) 이인거의 난 진압에 협력한 공으로 1628년 소무 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관직이 계속 올라 1631년 (인조 9년) 가선대부, 1648년 (인조 26년) 자헌대부, 1650년 (효종 1년) 정헌대부에 이르렀으며, 내의원 수의(首醫), 동지중추부사, 지중추부사 등 고위 관직을 역임했다. 1651년 (효종 2년) 내의원 수의에서 물러났다.
사망 후에는 출생지인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동 사동 부락(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산 19번지)에 묻혔다.
2. 1. 출생과 가계
이희헌은 1569년 6월 15일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태릉(太陵) 부락에서 태어났다. 일설에는 1568년 출생이라는 주장도 있다. 《의과방목》(醫科榜目)에는 1569년(정사년)생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1605년부터 19세기 초까지 편찬된 《내의선생안 (內醫先生案)》에는 1568년(무진년)의 오기인 무자년생으로 기록되었으며, 향년 84세를 살았다고 한다.증조부는 무관 이지방, 할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이광식이다. 증조부, 할아버지, 그리고 삼촌 이전, 이용, 5촌 조카 이복남 등은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주로 변방의 무관으로 활동하였다. 아버지 이감은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참판, 사헌부대사헌, 대호군 등을 역임했다.[6] 이감은 사관(史官) 재직 시 기밀 누설 문제로 오랫동안 비판받았고, 이후 윤원형과 이량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결국 1563년(명종 18년) 심의겸, 기대항 등의 탄핵을 받고 정치적으로 몰락했다. 어머니는 예천 윤씨(禮泉尹氏) 또는 예산 윤씨(禮山尹氏) 윤연수(尹連壽 또는 尹延壽)의 딸이지만, 외가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부족하다.
이복 형으로는 이성헌이 있었고, 이복 누나 중 한 명은 정현왕후의 친정아버지인 영원부원군(鈴原府院君) 윤호의 후손 윤유후에게 시집갔다. 친형제로는 이의헌(李宜憲)과 이유헌이 있었으며, 친누이는 안동 권씨 권봉수(權鳳壽)와 혼인했다.
친형 이의헌은 현감 이춘림(李春林)의 딸 이씨와 결혼하였으나 자녀 유무는 알 수 없다. 아버지 이감의 묘비석에는 이의헌이 이희헌보다 손위 형제로 기록되었으나, 1810년(순조 10년) 이후 편찬된 우계 이씨 족보에는 이의헌이 이희헌의 동생으로 나타난다. 만약 이의헌을 동생으로 본다면, 그의 부인 이씨의 아버지인 현감 이춘림이 1568년에 사망했다는 기록과 연대가 맞지 않아 논란의 여지가 있다. 동생 이유헌은 1615년(광해군 8년) 의과에 급제하였으나 자세한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최종 관직은 부사직(副司直)이었다.
첫 부인 청주 한씨(淸州韓氏)는 1593년 일찍 사망했고, 이후 의관(醫官) 장득해의 딸 금천 장씨(衿川張氏)와 재혼했다. 장씨는 의원 집안 출신이었다. 슬하에는 아들 이원빈, 이원로(李元老), 이원례(李元禮)와 두 딸을 두었다.
아들 이원빈은 영의정 이홍주의 서녀(庶女)이자 정종의 넷째 아들 선성군 이무생의 후손인 이애임(李愛任)과 혼인하여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손자 이경태 역시 세종의 아들 영해군 이당의 후손과 혼인하는 등 왕실 후손들과의 관계를 이어갔다. 또한 윤두수의 다섯째 아들이자 서자인 윤간의 후손들과도 여러 대에 걸쳐 혼인 관계를 형성했다.
구분 | 관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조부모 | 조부 | 이광식 | 1493년 ~ 1563년 | 병조 참판 |
조모 | 함안 이씨 | 1492년 ~ 1536년 | 이세응의 딸 | |
부모 | 아버지 | 이감 | 1516년 10월 27일 ~ 1583년 | 대사헌, 참판 |
어머니(본처) | 풍천 임씨 | 1515년 4월 12일 ~ 1556년 2월 1일 | 임권의 딸, 이희헌의 생모 아님 | |
어머니(생모) | 예천 윤씨 또는 예산 윤씨 | 1538년 10월 28일 ~ 1624년 11월 11일 | 윤연수(尹延壽)의 딸 | |
형제자매 | 이복 형 | 이성헌 | 1534년 2월 22일 ~ 1601년 5월 8일 | |
이복 누나 | 우계 이씨 | |||
이복 누나 | 우계 이씨 | 1541년 12월 1일 ~ 1607년 5월 17일 | 윤유후에게 출가 | |
친형 | 이의헌(李宜憲) | 족보상 동생 기록 존재 | ||
친누나 | 우계 이씨 | 권봉수(權鳳壽)에게 출가 | ||
친동생 | 이유헌 | 1615년 의과 급제 | ||
배우자 | 첫째 부인 | 청주 한씨 | 1570년 7월 18일 ~ 1593년 6월 13일 | |
둘째 부인 | 금천 장씨 | 1583년 2월 9일 ~ 1636년 1월 26일 | 의관 장득해의 딸 | |
자녀 | 아들 | 이원빈 | 1608년 4월 12일 ~ 1679년 5월 26일 | 이홍주의 서녀 이애임과 혼인 |
아들 | 이원로(李元老) | 첨지중추부사 역임 | ||
아들 | 이원례(李元禮) | |||
딸 | 우계 이씨 | 전흡(田<0xE6><0xB0><0xB4><0xBB>)에게 출가 | ||
딸 | 우계 이씨 | 이흥기(李興基)에게 출가 | ||
손자녀 (이원빈 소생) | 손자 | 이경태 | 1632년 9월 3일 ~ 1691년 4월 2일 | |
손녀 | 이후영(李厚英) | 1629년 ~ ? | 이뢰(李磊)에게 출가 | |
손녀 | 이정영(李貞英) | 1635년 ~ 1686년 2월 5일 | 윤세달(尹世達)에게 출가 | |
손녀 | 이단영(李端英) | 1645년 ~ 1665년 12월 29일 | 윤진웅(尹震雄)에게 출가 | |
손녀 | 이혜영(李惠英) | 1651년 ~ ? | 유추한(柳樞漢)에게 출가, 절사정려(節死旌閭) 받음 | |
증손자 (이경태 소생) | 증손자 | 이상우 | 1648년 ~ 1741년 | 이영구에게 양자로 감[18] |
2. 2. 초기 활동
음서(蔭敍)로 관직에 처음 나아가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이후 내의원 주부(內醫院主簿)와 사옹원 주부(司饔院主簿) 등을 역임했다.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당시 왕세자였던 광해군이 이천, 전주 등지로 피난을 갈 때 이를 호종하였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훗날 위성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1600년(선조 34년)에 시행된 경자 식년시 의과(式年試 醫科)에 응시하여 아원(亞元, 2등)으로 급제하였다.[1] 이후 내의원 의관이 되었다.
2. 3. 의서 편찬 및 간행 활동
1600년 식년의과에 합격한 이후 내의원 의관으로서 의서 편찬 및 간행 사업에 깊이 관여하였다. 특히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의서들을 복원하고 중국 의서를 번역하는 선조의 명에 따라 허준, 양예수 등이 작업을 진행할 때, 이희헌은 주로 의서의 인쇄와 출판을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는 내의원 내에 인쇄국 설치를 주도하고 윤지미 등과 함께 의서 발행 및 인쇄의 감독관으로서 활동하며 조선 의학 서적의 보급에 기여했다.[1]1607년에는 왕명을 받고 안동에 파견되어 병석에 있던 류성룡을 직접 진찰하기도 하였다.
이희헌이 감교관(監校官)으로 참여하여 편찬 및 간행을 감독한 주요 의서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의서 제목 | 역할 | 당시 직책 | 공동 감교관 | 비고 |
---|---|---|---|---|---|
1606년 | 《의림촬요》 | 감교관 | 행내의원 주부 | 이희헌 (판관) | |
1608년 | 《언해두창집요》 | 감교관 | 행내의원 직장 | 이략 | 허준 편찬, 언해본 |
1608년 | 《언해태산집요》 | 감교관 | 행내의원 직장 | 이옥 | 허준 편찬, 언해본[2] |
1608년 | 《의림촬요》 | 감교관 | 행내의원 주부 | 이격 | |
1608년 | 《의림촬요속집》 | 감교관 | 행내의원 주부 | 이격 | |
1612년 | 《찬도방론맥결집성》 | 감교관 | 행내의원 첨정 | 윤지미 | 허준 교정 |
1613년 | 《간이벽온방》 (중간) | 감교관 | 행내의원 직장 | 윤지미 | 훈련도감 활자 사용 |
1613년 | 《신찬벽온방》 | 감교관 | 행내의원 직장 | 윤지미 | 허준 편찬[3] |
1613년 | 《동의보감》 | 감교관 | 행내의원 직장 | 윤지미 등 | 허준 저술, 16년 만의 결실[4][5] |
1613년 | 《벽역신방》 | 감교관 | 행내의원 직장 | 윤지미 | 허준 저술, 성홍열 관련, 훈련도감 활자 사용 |
1615년 | 《신간보주역문황제내경소문》 | 감교관 | 행내의원 직장 | 윤지미 |
특히 1613년 허준이 16년에 걸쳐 완성한 역작 《동의보감》의 편찬과 간행 과정에서 감교관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조선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4][5] 이러한 의서 간행의 공로를 인정받아 1608년 10월 26일에는 신득일 등과 함께 내의원 정(正)으로 승진하였다.[10] 하지만 당시 사관은 의관을 천한 신분으로 여기고 의서 인출을 작은 공로로 치부하며 이러한 승진을 폄하하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10]
2. 4. 인조반정 이후 활동
1623년(인조 1) 3월 인조반정 이후 다시 어의(御醫)에 임명되었다. 1626년(인조 4) 행내의원첨정이 되었고, 1627년(인조 5년) 행사과(行司果)로 재직 중, 강원도 횡성에서 이인거가 일으킨 이인거의 난 진압에 조력한 공로로 1628년(인조 6) 9월 17일 소무원종공신 1등(昭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1628년(인조 6년) 10월 22일 인조가 수침(受針)에 든 내의원 관료들을 포상할 때 침의였던 이영남(李英男)·이희헌·이략(李絡)·허임(許任) 등과 함께 각각 중표피(中豹皮) 1령(一令)을 하사받았다. 1629년(인조 7) 1월 4일 인조가 비망기를 내려 산실청도제조 김류(金瑬) 등 관료들을 포상할 때 의관으로서 반숙마(半熟馬) 1필을 하사받았다. 이후 어의(御醫)에 올랐고, 1631년(인조 9) 2월 29일 시약청도제조(侍藥廳都提調) 이하를 시상할 때 어의 신득일, 이영남, 이희헌, 견후민, 이략, 김경향, 김사남 등과 함께 가자되었다. 같은 날 가선에 상가(賞加)되었다.
1632년(인조 10년) 인목대비의 병을 진료하였다. 그러나 그 해 8월 13일(음력 6월 28일) 오후 미시(未時)경 인목대비가 진료를 받던 중 사망하자, 이조판서 연평부원군 이귀가 입진 의원의 노국정죄(拏鞫定罪)를 청하여, 함께 입진했던 의원 신득일(申得一), 김경행(金景行), 이영렬(李英劣), 견후민(堅後閔), 이략(李恪)과 의녀 가지자근개(加知者斤介), 연동자(蓮同自) 등과 함께 추국당하였다.[12]
1633년(인조 11년) 가선대부 행 용양위 부호군[13]이 되었고, 1635년(인조 13) 1월 3일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1639년(인조 17년) 8월 16일 인조가 양화당(養和堂)에 약방 관원들과 입시할 때 어의로서 참여하였다. 1641년(인조 19) 내의원 수의(首醫)에 임명되었다. 1643년(인조 21) 4월 6일 사직(司直)을 맡았다. 1645년 9월에 가의대부 행충무위 부호군이 되었고, 1648년(인조 26) 2월 5일 행 부사직 재직 중에 자헌대부로 승진하였다. 1650년(효종 1) 12월 29일 정헌대부 동지중추부사 등을 거쳐,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1651년(효종 2) 내의원 수의에서 물러났다.
3. 사후
1651년 (효종 2년) 11월 28일에 사망하였다. 사후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동 사동 부락(현재의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산 19번지)에 안장되었다. 묘소는 재취 부인인 금천 장씨와 합장되었으며, 2017년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기산리로 이장되었다. 아들 이원빈의 후손들을 제외한 다른 후손들의 행적은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4. 가족 관계
- 증조부 : 이지방(李之芳, 1466년 ~ 1537년), 무관
- 조부 : 이광식(李光軾, 1493년 ~ 1563년), 병조참판
- 아버지 : 이감(李戡, 1516년 10월 27일 ~ 1583년), 문과 급제, 참판, 사헌부대사헌, 대호군 역임. 사관 재직 중 기밀 누설 및 윤원형, 이량의 측근으로 활동하다 1563년 탄핵받고 몰락함.[6]
- 어머니 (아버지의 본처) : 풍천 임씨(豊川任氏, 1515년 4월 12일 ~ 1556년 2월 1일), 좌참찬 정헌공 임권(任權)의 딸
- * 이복 형 : 이성헌(李成憲, 1534년 2월 22일 ~ 1601년 5월 8일)
- * 이복 누나 : 우계 이씨(羽溪李氏)
- * 이복 누나 : 우계 이씨(羽溪李氏, 1541년 12월 1일 ~ 1607년 5월 17일)
- * 이복 매형 : 윤유후(尹裕後, 1541년 1월 11일 ~ 1606년 8월 13일), 윤호(尹壕)의 후손
- 어머니 (생모) : 예천 윤씨(醴泉尹氏) 또는 예산 윤씨(禮山尹氏, 1538년 10월 28일 ~ 1624년 11월 11일), 윤연수(尹延壽)의 딸
- * 형 : 이의헌(李宜憲) - 아버지 이감의 묘비문에는 형으로 기록되었으나, 1810년 이후의 족보에는 동생으로 기록됨.
- * 형수 : 이씨(李氏), 현감 이춘림(李春林, ? ~ 1568년 11월 16일)의 딸
- * 누나 : 우계 이씨(羽溪李氏)
- * 매형 : 권봉수(權鳳壽), 안동 권씨
- ** 외조카 : 권득인(權得仁)
- * 동생 : 이유헌(李有憲), 1615년 의과 급제자
- * 제수 : 이름 미상
- 부인 : 청주 한씨(淸州韓氏, 1570년 7월 18일 ~ 1593년 6월 13일), 아버지 이름 미상
- 부인 : 금천 장씨(衿川張氏, 1583년 2월 9일 ~ 1636년 1월 26일), 의관(醫官) 사과 장득해(張得海)의 딸
- * 아들 : 이원빈(李元賓, 1608년 4월 12일 ~ 1679년 5월 26일)
- * 며느리 : 전주 이씨 이애임(李愛任, 1611년 2월 18일 ~ 1673년 3월 26일), 영의정 충정공 이홍주(李弘胄)의 서녀(庶女), 선성군 이무생(李茂生)의 서6대손
- ** 손자 : 이경태(李慶泰, 1632년 9월 3일 ~ 1691년 4월 2일)
- ** 손자며느리 : 전주 이씨(1635년 12월 28일 ~ 1671년 7월 26일), 영해군 당 5대손 이숙무의 서자 이집의 딸
증손자 : 이상우(李商雨, 1648년 ~ 1741년)[18]
- ** 손자며느리 : 의령 남씨(1640년 1월 18일 ~ 1709년 11월 23일), 이경태의 후처
- ** 손녀 : 이후영(李厚英, 1629년 ~ ?)
- ** 손녀사위 : 이뢰(李磊), 본관은 전의
- ** 손녀 : 이정영(李貞英, 1635년 ~ 1686년 2월 5일)
- ** 손녀사위 : 윤세달(尹世達, 1633년 ~ 1673년 7월 8일), 해평 윤씨
외증손 : 윤제화(尹濟和)
- ** 손녀 : 이단영(李端英, 1645년 ~ 1665년 12월 29일)
- ** 손녀사위 : 윤진웅(尹震雄, 1645년 ~ 1717년 5월 22일), 인의(引儀), 해평 윤씨
외증손 : 윤백화(尹百和)
외증손녀사위 : 이기수(李基壽)
- ** 손녀 : 이혜영(李惠英, 1651년 ~ ?), 절사정려(節死旌閭)
- ** 손녀사위 : 유추한(柳樞漢), 본관은 문화(文化), 자녀 없음
- * 아들 : 이원로(李元老)
- ** 손자 : 이경정(李慶鼎)
증손녀사위 : 우순승(禹順承)
- * 아들 : 이원례(李元禮)
- * 딸 : 우계 이씨
- * 사위 : 전흡(田<0xE6><0xB0><0xB5><0xE5><0x90><0xAE>), 부사(府使) 역임
- * 딸 : 우계 이씨
- * 사위 : 이흥기(李興基), 본관 미상
- ** 외손자 : 이행륙(李行<0xE8><0xBE><0xB0><0xE7><0x8B><0x9D>)
- ** 외손자 : 이행손(李行遜)
- 처부 : 장득해(張得海), 후처 금천 장씨의 아버지
- * 처조부 : 장언룡(張彦龍), 전의감 부정(典醫監副正)
5. 저작
- 학곡 홍서봉 제문 (鶴谷洪瑞鳳祭文)
6. 왕실과의 인척 관계
이희헌은 아들과 손자의 혼인을 통해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아들 이원빈은 정종의 아들인 선성군 이무생의 5대손이자 영의정을 지낸 이홍주의 서녀(庶女) 이애임(李愛任)과 혼인하였다.[18] 이로써 이희헌 가문은 정종의 후손과 연결되었다. 이애임의 어머니 신순복(申福順)은 성종의 딸 혜숙옹주의 양손자 신례(申欚)의 서녀였으므로[18], 성종과도 인척 관계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선원록의 정종대왕자손록 선성군파 편과 성종대왕자손록 유부록 혜숙옹주 편에 이원빈과 그 자녀들의 이름이 기록되는 배경이 되었다.[18]
또한, 손자 이경태는 세종의 아들 영해군 이당(李瑭)의 6대손인 전주 이씨와 혼인하였다.[18] 이경태의 장인 이집(李鏶)은 영해군의 5대손 이숙무(李淑茂)의 서자(庶子)였다.[18] 이 혼인을 통해 이희헌 가문은 세종의 후손과도 인척 관계를 맺게 되어, 왕실과 이중으로 연결되었다. 이경태의 이름은 선원록의 세종대왕자손록 영해군파 편에도 기록되어 있다.[18]
7. 기타
족보에는 이의헌이 그의 동생으로 등재됐지만, 아버지 이감의 묘비문에는 이의헌이 그의 형으로 나타난다.
동생 이유헌(李有憲)은 1615년(광해군 8년) 의과에 급제하였으나 행적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유헌의 최종 관직은 부사직(副司直)이었고, 그의 아들 이원두(李元斗)는 사용을 역임했으나 행적과 묘소 위치는 미상이다.
둘째 아들 이원로(李元老)는 첨추를 역임했으나 행적은 알려진 바가 없다.
생전에 태어난 증손자 이상우(李商雨)[18]는 경기도 포천, 영평 일대에 살던 먼 일족 이영구의 양자로 입양되었으며, 후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서인의 영수였던 윤두수의 다섯째 아들이자 서자인 윤간의 가계와 혼반 관계를 형성하였다. 아들 이원빈(李元賓)의 딸 중 한 명은 윤간의 손자 윤배(尹培)의 아들인 윤세달(尹世達)과 혼인했고, 다른 딸은 윤간의 다른 손자 윤오(尹墺)의 아들인 윤진웅(尹震雄)과 혼인했다. 또한 윤진웅의 형 윤진영(尹震英)의 손녀이자 윤응화(尹應和)의 딸은 이희헌의 4대손으로 출계한 이상우의 차남 이익수(李益壽)의 아들 이성석(李聖錫)과 혼인했다. 윤오의 넷째 아들 윤진성(尹鎭聖)의 딸은 이상우의 장남 이필수(李必壽)의 아들 이희석(李禧錫)과 혼인했고, 윤진성의 손자 윤범굉(尹範宏)은 이상우의 장남 이필수의 딸과 혼인했다. 윤간의 다른 아들 윤연지(尹衍之)의 양자이자 윤각(尹土+各)의 손자인 윤항화(尹恒和)는 이상우의 딸과 혼인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李希憲
http://people.aks.ac[...]
[2]
웹사이트
언해두창집요
http://m.heojunmuseu[...]
[3]
웹사이트
보물 제1087-2호 신찬벽온방 (新纂辟瘟方)
http://www.heritage.[...]
[4]
웹사이트
동의보감(東医寶鑑)
http://www.e-minwon.[...]
[5]
웹사이트
국보 제319-1호 동의보감
http://www.e-minwon.[...]
[6]
기록
이희헌의 의과방목 입격 기록
[7]
도서
朝天記
[8]
도서
계암일록(溪巖日錄)
[9]
도서
공산일기(公山日記)
[10]
기록
"감역관 이락을 동반에 서용할 것 등을 비망기로 이르다"
1608-10-26
[11]
기록
"내의원이 어의를 논상하는 일로 계청하다"
1619-09-06
[12]
도서
"[宣祖妃仁穆后]國葬都監儀軌"
[13]
기록
아들 이원빈의 사마방목 입격 기록
[14]
기록
"전 부사 조정호 등은 서용하라는 전지"
1643-04-06
[15]
기록
"李希憲 등을 불러 受鍼을 하는 것이 어떤지에 대해 묻는 전교"
1643-07-27
[16]
도서
"祭文(李希憲等)"
[17]
기록
"정사가 있었다"
1648-02-05
[18]
기록
1681년(숙종 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으며, 일족인 이영구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그러나 양아버지쪽 계대는 실전. 족보상에는 생부의 아들로 다시 환원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