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全)씨는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20위를 차지한 성씨로, 시조는 백제의 개국공신 전섭이다. 전섭의 후손들은 천안, 정선, 옥천 등을 본관으로 하여 각 지역에서 세거했다. 주요 인물로는 동학 농민 혁명의 지도자 전봉준, 전두환 전 대통령 등이 있다. 전(田)씨는 45위의 성씨로, 담양, 영광 등을 본관으로 하며, 담양 전씨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고려 시대 인물 전득시를 시조로 한다. 주요 인물로는 배우 전광렬, 전지윤 등이 있다. 전(錢)씨는 문경을 본관으로 하며, 원나라에서 고려로 귀화한 전유겸을 시조로 한다. 주요 인물로는 배우 전인화 등이 있다. 중국의 전(全), 전(田), 전(錢)씨는 각각 다른 기원을 가지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씨 - 전태풍
전태풍은 2009년 전주 KCC 이지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여러 프로 농구팀에서 활동했으며, 2020년에 선수 생활을 마감한 대한민국 프로 농구 선수이다.
| 전 (성씨) | |
|---|---|
| 성씨 정보 | |
| 한글 | 전 |
| 한자 | 全, 田, 錢 |
| 로마자 표기 | Jeon |
| 발음 (IPA) | tɕʌn |
| 통계 정보 | |
| 가구 및 인구 (행정구역별) | 통계청 자료 참조 |
| 추가 정보 | |
| 관련 정보 | Chun (한국 성씨), Cheon (한국 성씨), Joon (한국 이름) |
| 참고 자료 | 국립국어원 성씨 로마자 표기 방안 토론회 자료 |
2. 한국의 전(全)씨
전(全)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559,110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의 성씨 인구 순위 20위이다.
전씨의 도시조 '''전섭'''(全聶)은 백제의 개국공신이다. 전섭은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 아들 온조가 '''백제'''를 개국할 때 마려, 오간, 을음, 해루, 흘간, 곽충, 한세기, 범창, 조성 등 9사람과 함께 공을 세워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전씨(全氏)는 시조인 전섭으로부터 천안, 정선, 옥천, 나주, 전주, 용궁, 옥산, 죽산, 성주, 감천, 평강, 부여, 함창, 계림, 황간, 기장, 팔거 등 18본이 분관되었다.
'''천안 전씨'''(天安全氏) 시조 '''전섭'''(全聶)은 백제의 개국공신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29세손 전락(全樂)이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를 지냈으며,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에 봉해졌다. 천안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76,239명이다.
'''정선 전씨'''(旌善全氏) 시조 '''전선'''(全愃)은 백제 개국공신의 한사람인 전섭(全聶)의 8세손이다. 그는 백제의 대광공주(大光公主)를 배행하고 신라에 들어가, 신라 성덕왕(재위 702년∼737년) 때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내고 정선군(旌善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정선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0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66,965명이다.
'''옥천 전씨'''(沃川全氏) 시조 '''전학준'''(全學俊)은 도시조 전섭(全聶)의 23세손으로 영동정(領同正)을 역임하였다. 그의 5세손 전유(全侑)가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副使), 판도판서(版圖判書), 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내고 관성군(管城君)에 봉해졌다. 옥천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6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47,681명이다.
'''경산 전씨'''(慶山 全氏) 또는 옥산 전씨(玉山 全氏) 시조 '''전영령'''(全永齡)은 백제 개국공신 전섭의 27세손이며, 고려 신종 때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으로 공을 세워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전억령(全億齡)의 손자 전백영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하여 1405년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경산 전씨 23,923명, 옥산 전씨 13,113명이다.
'''죽산 전씨'''(竹山全氏) 시조 '''전한'''(全僩)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문과에 합격하여 고종 때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고, 1231년(고종 18)에 몽골군이 침입했을 때 성신진(成新鎭)을 방어하여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졌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0,757명으로 조사되었다.
'''용궁 전씨'''(龍宮全氏) 시조 '''전방숙'''(全邦淑)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충렬왕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올랐으며,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에 봉해졌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0,142명으로 조사되었다.
'''평강 전씨'''(平康全氏) 시조 '''전승'''(全勝)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시중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전빈(全賓)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에 문과에 합격하여 정언(正言), 숙천부사(肅川府使) 등을 역임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간의대부(諫議大夫)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고 평강백(平康伯)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3,467명이다.
'''나주 전씨'''(羅州全氏) 시조 '''전경'''(全卿)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30세손이다. 고려 충렬왕 때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하고 1341년(충혜왕 복위 2년) 조적의 난에 공을 세워 나성(羅城)군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3,288명이다.
'''완산 전씨'''(完山全氏) 시조 '''전집'''(全潗)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30세손이다. 그는 1361년(고려 공민왕 10년) 중랑장(中郞將)으로 홍건적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워 추충정난호성공신(推忠靖亂扈聖功臣)이 되었고,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졌다.[3] 전두환 전 대통령이 완산 전씨에 해당한다. 2015년 인구는 전주 전씨 24,886명, 완산 전씨 1,753명이다.
전(全)씨의 주요 인물로는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전봉준, 독립운동가 전덕기,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 전두환, 노동운동가 전태일, 문화재 수집가 전형필, 가수 전영록, 배우 전도연, 정치인 전해철, 변호사 전원책, 군인 전인범, 전도봉, 방송인 전현무 등이 있다.
2. 1. 본관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559,110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의 성씨 인구 순위 20위이다.
전씨의 도시조 '''전섭'''(全聶)은 백제의 개국공신이다. 전섭은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 아들 온조가 '''백제'''를 개국할 때 마려, 오간, 을음, 해루, 흘간, 곽충, 한세기, 범창, 조성 등 9사람과 함께 공을 세워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전씨(全氏)는 시조인 전섭으로부터 천안, 정선, 옥천, 나주, 전주, 용궁, 옥산, 죽산, 성주, 감천, 평강, 부여, 함창, 계림, 황간, 기장, 팔거 등 18본이 분관되었다.
'''천안 전씨'''(天安全氏) 시조 '''전섭'''(全聶)은 백제의 개국공신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29세손 전락(全樂)이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를 지냈으며,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에 봉해졌다. 천안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76,239명이다.
'''정선 전씨'''(旌善全氏) 시조 '''전선'''(全愃)은 백제 개국공신의 한사람인 전섭(全聶)의 8세손이다. 그는 백제의 대광공주(大光公主)를 배행하고 신라에 들어가, 신라 성덕왕(재위 702년∼737년) 때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내고 정선군(旌善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정선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0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66,965명이다.
시조 '''전학준'''(全學俊)은 도시조 전섭(全聶)의 23세손으로 영동정(領同正)을 역임하였다. 그의 5세손 전유(全侑)가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副使), 판도판서(版圖判書), 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내고 관성군(管城君)에 봉해졌다. 옥천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6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47,681명이다.
'''경산 전씨'''(慶山 全氏) 또는 옥산 전씨(玉山 全氏) 시조 '''전영령'''(全永齡)은 백제 개국공신 전섭의 27세손이며, 고려 신종 때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으로 공을 세워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전억령(全億齡)의 손자 전백영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하여 1405년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경산 전씨 23,923명, 옥산 전씨 13,113명이다.
'''죽산 전씨'''(竹山全氏) 시조 '''전한'''(全僩)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문과에 합격하여 고종 때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고, 1231년(고종 18)에 몽골군이 침입했을 때 성신진(成新鎭)을 방어하여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졌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0,757명으로 조사되었다.
'''용궁 전씨'''(龍宮全氏) 시조 '''전방숙'''(全邦淑)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충렬왕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올랐으며,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에 봉해졌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0,142명으로 조사되었다.
- '''평강 전씨(平康全氏) 시조 '''전승'''(全勝)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시중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전빈(全賓)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에 문과에 합격하여 정언(正言), 숙천부사(肅川府使) 등을 역임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간의대부(諫議大夫)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고 평강백(平康伯)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3,467명이다.
고려 충렬왕 때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하고 1341년(충혜왕 복위 2년) 조적의 난에 공을 세워 나성(羅城)군에 봉해진 전섭(全聶)의 30세손 '''전경'''(全卿)을 시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3,288명이다.
'''완산 전씨'''(完山全氏) 시조 '''전집'''(全潗)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30세손이다. 그는 1361년(고려 공민왕 10년) 중랑장(中郞將)으로 홍건적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워 추충정난호성공신(推忠靖亂扈聖功臣)이 되었고,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졌다.[3] 전두환 전 대통령이 완산 전씨에 해당한다. 2015년 인구는 전주 전씨 24,886명, 완산 전씨 1,753명이다.
2. 1. 1. 천안 전씨
'''천안 전씨'''(天安全氏) 시조 '''전섭'''(全聶)은 백제의 개국공신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29세손 전락(全樂)이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를 지냈으며,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에 봉해졌다. 천안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76,239명이다.
2. 1. 2. 정선 전씨
'''정선 전씨'''(旌善全氏) 시조 '''전선'''(全愃)은 백제 개국공신의 한사람인 전섭(全聶)의 8세손이다. 그는 백제의 대광공주(大光公主)를 배행하고 신라에 들어가, 신라 성덕왕(재위 702년∼737년) 때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내고 정선군(旌善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정선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0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66,965명이다.
2. 1. 3. 옥천 전씨
시조 '''전학준'''(全學俊)은 도시조 전섭(全聶)의 23세손으로 영동정(領同正)을 역임하였다. 그의 5세손 전유(全侑)가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副使), 판도판서(版圖判書), 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내고 관성군(管城君)에 봉해졌다. 옥천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6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47,681명이다.2. 1. 4. 경산(옥산) 전씨
'''경산 전씨'''(慶山 全氏) 또는 옥산 전씨(玉山 全氏) 시조 '''전영령'''(全永齡)은 백제 개국공신 전섭의 27세손이며, 고려 신종 때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으로 공을 세워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전억령(全億齡)의 손자 전백영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하여 1405년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에 이르렀다.2015년 인구는 경산 전씨 23,923명, 옥산 전씨 13,113명이다.
2. 1. 5. 죽산 전씨
'''죽산 전씨'''(竹山全氏) 시조 '''전한'''(全僩)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문과에 합격하여 고종 때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고, 1231년(고종 18)에 몽골군이 침입했을 때 성신진(成新鎭)을 방어하여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졌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0,757명으로 조사되었다.
2. 1. 6. 용궁 전씨
'''용궁 전씨'''(龍宮全氏) 시조 '''전방숙'''(全邦淑)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충렬왕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올랐으며,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에 봉해졌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0,142명으로 조사되었다.
2. 1. 7. 평강 전씨
- '''평강 전씨(平康全氏) 시조 '''전승'''(全勝)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시중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전빈(全賓)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에 문과에 합격하여 정언(正言), 숙천부사(肅川府使) 등을 역임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간의대부(諫議大夫)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고 평강백(平康伯)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3,467명이다.
2. 1. 8. 나주 전씨
고려 충렬왕 때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하고 1341년(충혜왕 복위 2년) 조적의 난에 공을 세워 나성(羅城)군에 봉해진 전섭(全聶)의 30세손 '''전경'''(全卿)을 시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3,288명이다.2. 1. 9. 완산(전주) 전씨
'''완산 전씨'''(完山全氏) 시조 '''전집'''(全潗)은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의 30세손이다. 그는 1361년(고려 공민왕 10년) 중랑장(中郞將)으로 홍건적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워 추충정난호성공신(推忠靖亂扈聖功臣)이 되었고,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졌다.[3] 전두환 전 대통령이 완산 전씨에 해당한다. 2015년 인구는 전주 전씨 24,886명, 완산 전씨 1,753명이다.
2. 2. 주요 인물
전(全)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559,110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0위를 기록했다. 도시조 '''전섭'''(全聶)은 백제의 개국공신으로, 온조왕을 도와 십제공신(十濟功臣) 중 한 명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전씨는 전섭으로부터 여러 본관으로 분관되었다.- '''천안'''(天安全氏) 시조 '''전섭'''(全聶)은 백제 개국공신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 '''정선 전씨'''(旌善全氏) 시조 '''전선'''(全愃)은 전섭(全聶)의 8세손으로, 성덕왕 때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내고 정선군(旌善君)에 봉해졌다.
- '''옥천 전씨'''(沃川全氏) 시조 '''전학준'''(全學俊)은 전섭(全聶)의 23세손으로, 그의 5세손 전유(全侑)가 고려 때 관성군(管城君)에 봉해졌다.
- '''경산'''(慶山 全氏) 또는 옥산(玉山 全氏) 시조 '''전영령'''(全永齡)은 고려 신종(神宗) 때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졌다.
- '''죽산 전씨'''(竹山全氏) 시조 '''전한'''(全僩)은 고려 고종 때 몽골군을 물리친 공으로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졌다.
- '''용궁 전씨'''(龍宮全氏) 시조 '''전방숙'''(全邦淑)은 고려 충렬왕 때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오르고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평강 전씨'''(平康全氏) 시조 '''전승'''(全勝)은 고려 때 시중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전빈(全賓)은 조선 개국 후 평강백(平康伯)에 봉해졌다.
- '''나주 전씨'''(羅州全氏) 시조 '''전경'''(全卿)은 고려 충렬왕 때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하고 나성(羅城)군에 봉해졌다.
- '''완산 전씨'''(完山全氏) 시조 '''전집'''(全潗)은 1361년(고려 공민왕 10년)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졌다.[3]
전(全)씨 인물로는 동학 농민 혁명 지도자 전봉준, 독립운동가 전덕기,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 전두환, 노동운동가 전태일, 문화재 수집가 전형필이 있다.
그 외에, 가수로 전영록, 전보람, 희진, 전효성, 전인지, 전인권, 전지윤, 정국, 전소미, 소민, 소연, 원우 등이 있으며, 배우로 전도연, 전배수, 전채은, 하지원(본명:전해림), 전혜빈, 전혜진, 전혜진, 전인화, 전종서, 전준혁, 전미도, 전미선, 전민서, 전노민, 전석호, 전소니, 전소민, 전수진, 전수경, 전성우, 전태수, 전예서, 전여빈, 전여진 등이 있다. 방송인으로는 전현무가 있으며, 정치인으로는 전해철, 전여옥이 있다. 스포츠 선수로는 전다혜, 전병국, 전혁진, 전재연이 있으며, 작가로는 전상국이 있다. 그 외 전병삼, 다니엘 천, 전옥, 존 천, 존 H. 천, 전우치 등이 있다.
3. 한국의 전(田)씨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015년 기준 186,469명이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45위를 기록했다. 담양, 영광, 연안, 남양, 우봉 등 본관이 전해지고 있으나, 담양 전씨가 대본으로 대다수를 차지한다.
- '''영광 전씨'''(靈光 田氏) 시조 '''전종회(田宗會)는 고려 개국 공신이다. 전공지(田拱之)가 1014년(현종 5)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 치사하였다.[4] 이후 계대(系代)가 실전되어 첨사(諂事)를 지낸 전개(田漑)를 1세조로 한다. 2000년 인구는 560명이다.
- '''담양 전씨'''(潭陽 田氏) 시조 '''전득시'''(田得時)는 고려시대 사람으로 전라도 담양에서 조상 대대로 살아온 향리의 아들이다. 그는 현량과(賢良科)로 천거되어 고려 의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고 담양군(潭陽君)에 봉해졌다. 담양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5] 2015년 인구는 155,018명이다.
- '''연안 전씨'''(延安 田氏) 시조 '''전가식'''(田可植)은 담양 전씨 시조인 전득시(田得時)의 8세손이다. 그는 1339년(조선 정종 원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은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고 연안군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8,130명이다.
- '''하음 전씨'''(河陰 田氏) 시조 '''전균'''(田畇)은 1447년(세종 29년) 동판내시부사(同判內侍府使)를 거쳐 1452년(문종 2년) 동지내시부사(同知內侍府使)가 되었고, 1453년(단종 1년) 계유정난(癸酉靖亂) 때 수양대군을 도와 공을 세워 수충위사협찬정난2등공신(輸追衛社協贊二等功臣)으로 책록되고 강천군(江川君)에 봉해졌다. 1455년(세조 1년)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좌익2등공신(左翼二等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어 판내시부사(判內侍府使)에 승진, 하음군(河陰君)에 봉직되고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1,854명이다.
- '''남양 전씨'''(南陽 田氏) 시조 '''전주(田柱)는 고려 왕족 순흥군(順興君) 왕승(王昇)의 아들로 본래 이름은 왕강(王康)이었다. 조선 개국과 동시에 시작된 왕씨(王氏) 탄압에 따라 그는 공주목(公州牧)의 관노로 일신역(馹新驛)에 유배되었다가 1394년(태조 3)에 참사를 당하였다. 이 당시 왕씨는 종모성(從母姓)하라는 왕명에 따라 어머니 성을 따른 이가 많았고, 옥(玉), 전(全), 전(田) 등으로 성으로 변성되었다. 전주(田柱)의 손자 전흥(田興)은 태종 이방원(李芳遠)의 하인이었으나, 그의 능력을 높이 사서 심복으로 삼았고, 1,2차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이 승리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 공을 인정받아 태종은 그에게 전흥(田興)이라는 사성명(賜姓名)과 정사좌명원종공신(定社佐命原從功臣)에 책록하였고,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에 올라 남양 전씨의 기틀이 되었다.[6] 남양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의 옛 지명이다. 역사 인물로는 전우치(田禹治)가 있다. 2015년 인구는 4,166명이다.
정치인 전병헌, 전하진, 전여옥, 배우 전광렬, 피아니스트 윤한(본명 전윤한), 배우 하지원(본명 전해림), 가수 포미닛의 멤버 전지윤, 방탄소년단의 정국 등이 전(田)씨이다.
3. 1. 본관
'''영광 전씨'''(靈光 田氏) 시조 '''전종회(田宗會)는 고려 개국 공신이다. 전공지(田拱之)가 1014년(현종 5)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 치사하였다.[4] 이후 계대(系代)가 실전되어 첨사(諂事)를 지낸 전개(田漑)를 1세조로 한다. 2000년 인구는 560명이다.대한민국 통계청의 201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전(田)씨는 186,469명으로 한국 성씨 인구 45위이다. 담양, 영광, 연안, 남양 등의 본관이 전해지나, 담양 전씨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담양 전씨'''(潭陽 田氏) 시조 '''전득시'''(田得時)는 고려시대 사람으로 전라도 담양에서 대대로 살아온 향리의 아들이다. 현량과(賢良科)로 천거되어 고려 의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고 담양군(潭陽君)에 봉해졌다. 담양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5] 2015년 인구는 155,018명이다.
3. 1. 1. 영광 전씨
고려 개국 공신인 전종회(田宗會)가 시조이다. 전공지(田拱之)가 1014년(현종 5)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 치사하였다.[4] 이후 계대(系代)가 실전되어 첨사(諂事)를 지낸 전개(田漑)를 1세조로 한다. 2000년 인구는 560명이다.3. 1. 2. 담양 전씨
대한민국 통계청의 201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전(田)씨는 186,469명으로 한국 성씨 인구 45위이다. 담양, 영광, 연안, 남양 등의 본관이 전해지나, 담양 전씨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담양 전씨'''(潭陽 田氏) 시조 '''전득시'''(田得時)는 고려시대 사람으로 전라도 담양에서 대대로 살아온 향리의 아들이다. 현량과(賢良科)로 천거되어 고려 의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고 담양군(潭陽君)에 봉해졌다. 담양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5] 2015년 인구는 155,018명이다.
3. 1. 3. 남양 전씨
고려 왕족 순흥군(順興君) 왕승(王昇)의 아들인 전주(田柱)가 남양 전씨(南陽 田氏)의 시조이다. 전주의 본래 이름은 왕강(王康)이었다. 조선 개국과 동시에 시작된 왕씨(王氏) 탄압에 따라 그는 공주목(公州牧)의 관노로 일신역(馹新驛)에 유배되었다가 1394년(태조 3)에 참사를 당하였다. 이 당시 왕씨는 종모성(從母姓)하라는 왕명에 따라 어머니 성을 따른 이가 많았고, 옥(玉), 전(全), 전(田) 등으로 성으로 변성되었다. 전주의 손자 전흥(田興)은 태종 이방원(李芳遠)의 하인이었으나, 그의 능력을 높이 사서 심복으로 삼았고, 1, 2차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이 승리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 공을 인정받아 태종은 그에게 전흥이라는 사성명(賜姓名)과 정사좌명원종공신(定社佐命原從功臣)에 책록하였고,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에 올라 남양전씨의 기틀이 되었다.[6] 남양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의 옛 지명이다. 역사 인물로는 전우치(田禹治)가 있다. 2015년 인구는 4,166명이다.3. 2. 주요 인물
전(田)씨는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015년 기준 186,469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45위이다. 본관은 담양, 영광, 연안, 남양, 우봉 등이 전해지고 있으나, 담양 전씨가 대다수를 차지한다.[4][5][6]- '''영광 전씨'''(靈光 田氏) 시조 '''전종회'''(田宗會)는 고려 개국 공신이다.
- '''담양 전씨'''(潭陽 田氏) 시조 '''전득시'''(田得時)는 고려시대 사람으로 전라도 담양에서 조상 대대로 살아온 향리의 아들이다.
- '''연안 전씨'''(延安 田氏) 시조 '''전가식'''(田可植)은 담양 전씨 시조인 전득시의 8세손이다.
- '''하음 전씨'''(河陰 田氏) 시조 '''전균'''(田畇)은 1447년(세종 29년) 동판내시부사를 거쳐 1452년(문종 2년) 동지내시부사가 되었다.
- '''남양 전씨'''(南陽 田氏) 시조 '''전주'''(田柱)는 고려 왕족 순흥군(順興君) 왕승(王昇)의 아들로 본래 이름은 왕강(王康)이었다. 역사 인물로는 전우치가 있다.
정치인으로는 전두환, 전여옥 등이 있으며, 전봉준, 전태일 등 운동가도 있다. 배우로는 전광렬, 하지원(본명 전해림), 전도연, 전인화, 전미선, 전노민, 전소민, 전혜진, 전혜진 등이 있으며, 방송인 전현무, 가수 전효성, 전소미, 정국(본명 전정국), 희진(본명 전희진), 소민(본명 전소민), 소연(본명 전소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 있다. 그 외 전형필과 같은 수집가, 전상국과 같은 작가, 전종서, 전준혁과 같은 배우겸 모델, 전인지와 같은 프로 골프 선수, 존 천과 같은 자동차 공학 디자이너, 존 H. 천과 같은 변호사도 있다.
4. 한국의 전(錢)씨
'''전'''(錢)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678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문경 3,018명, 문희 354명, 관산 201명, 개경 37명 등이다.
문경 전씨(聞慶 錢氏)의 시조 '''전유겸'''(錢惟謙)은 원나라에서 용도각직학사(龍圖閣直學士)를 지내다가 1351년(공민왕 1)에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배행하고 고려에 들어와 평장사(平章事)가 되고 최영(崔瑩) 장군의 누이와 혼인하여 개성(開城)의 천장교(天章橋) 옆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그의 벼슬은 정당문학(政堂文學)에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그는 1388년(우왕 14)에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최영 장군이 피살되고 고려가 망하자 이에 항거하다 관산(冠山, 지금의 문경)에 유배되어 오령산(烏嶺山) 남쪽에 살면서 문경 전씨의 기틀을 만들었다고 한다.
전(錢)씨 인물로는 국회의원과 초대 사회부장관을 역임한 전진한(錢鎭漢), 배우 전인화(錢忍和)가 있다.
4. 1. 본관
'''전'''(錢)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678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문경 3,018명, 문희 354명, 관산 201명, 개경 37명 등이다.문경 전씨(聞慶 錢氏)의 시조 '''전유겸'''(錢惟謙)은 원나라에서 용도각직학사(龍圖閣直學士)를 지내다가 1351년(공민왕 1)에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배행하고 고려에 들어와 평장사(平章事)가 되고 최영(崔瑩) 장군의 누이와 혼인하여 개성(開城)의 천장교(天章橋) 옆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그의 벼슬은 정당문학(政堂文學)에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그는 1388년(우왕 14)에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최영 장군이 피살되고 고려가 망하자 이에 항거하다 관산(冠山, 지금의 문경)에 유배되어 오령산(烏嶺山) 남쪽에 살면서 문경 전씨의 기틀을 만들었다고 한다.
전(錢)씨 인물로는 국회의원과 초대 사회부장관을 역임한 전진한(錢鎭漢), 배우 전인화(錢忍和)가 있다.
4. 1. 1. 문경 전씨
문경 전씨(聞慶 錢氏)의 시조 '''전유겸'''(錢惟謙)은 원나라에서 용도각직학사(龍圖閣直學士)를 지내다가 1351년(공민왕 1)에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따라 고려에 들어와 평장사(平章事)가 되었고, 최영(崔瑩) 장군의 누이와 혼인하여 개성(開城)의 천장교(天章橋) 옆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그의 벼슬은 정당문학(政堂文學)에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그는 1388년(우왕 14)에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최영 장군이 처형되고 고려가 멸망하자 이에 저항하다 관산(冠山, 지금의 문경)에 유배되어 오령산(烏嶺山) 남쪽에 살면서 문경 전씨의 기반을 만들었다고 한다.전(錢)씨 인물로는 국회의원과 초대 사회부장관을 역임한 전진한(錢鎭漢), 배우 전인화(錢忍和)가 있다.
4. 2. 주요 인물
전(錢)씨는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015년 기준 3,678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문경 3,018명, 문희 354명, 관산 201명, 개경 37명 등이다.문경 전씨의 시조 '''전유겸'''(錢惟謙)은 원나라에서 용도각직학사를 지냈고, 1351년(공민왕 1)에 노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와서 평장사가 되었다. 최영 장군의 누이와 혼인하여 개성(開城)에 정착하였고, 정당문학 벼슬에 이르렀다. 1388년(우왕 14) 위화도 회군으로 최영 장군이 피살되고 고려가 멸망하자, 이에 항거하다 관산(冠山, 지금 문경)에 유배되어 문경 전씨의 기틀을 만들었다.
국회의원과 초대 사회부장관을 역임한 전진한, 배우 전인화 등이 전(錢)씨 인물이다.
- 전배수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봉준 (1855년~1895년), 대한민국의 운동가
- 전보람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 전병삼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예술가
- 전병국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 전채은 (200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다혜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다니엘 천 (1980년 출생), 미국의 코미디 작가
- 전도연 (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두환 (1931년~2021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 전은하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하지원(본명: 전해림, 197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희진(본명: 전희진, 200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걸그룹 아르테미스의 멤버
- 전혜빈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 전혜진 (1976년생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 전혜진 (1988년생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 전혁진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 전형필 (1906년~1962년), 한국의 미술품 수집가
- 전효성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 전현무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방송인
- 전인지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 전인화 (196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인권 (1954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 전재연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 전지윤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 존 천 (1928년~2013년), 한국계 자동차 공학 디자이너
- 존 H. 천 (1970년 출생), 미국의 변호사
- 전종서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준혁 (200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모델
- 정국(본명: 전정국, 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 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
- 전미도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 전미선 (1970년~2019년), 대한민국의 배우
- 전민서 (200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노민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옥 (1911년~1969년), 한국의 배우 겸 가수
- 전상국 (1940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가
- 전석호 (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소니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소민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소민(본명: 전소민,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혼성 그룹 카드의 멤버
- 전소미 (2001년 출생), 한국계 캐나다인 가수
- 소연(본명: 전소연,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래퍼 겸 음반 프로듀서, 걸그룹 (여자)아이들의 멤버
- 전수진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수경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성우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태일 (1948년~1970년), 대한민국의 운동가
- 전태수 (1984년~2018년), 대한민국의 배우
- 원우(본명: 전원우,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 그룹 세븐틴의 멤버
- 전우치, 도교 학자
- 전예서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여빈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여옥 (1959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 전여진 (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5. 중국의 전(全, 田, 錢)씨
wikitext
== 중국의 전(全, 田, 錢)씨 ==
=== 전(全)씨 (Quán) ===
전(全, quán)씨는 주나라 관직에서 나왔다. 다른 계통으로는 고대 중국에 서언왕의 서이족들이 전국(全国)에 살았는데 지명 이름을 성으로 하였다. 전국에서 서씨가 나왔으며 서복이 진나라 출신이라 중국에서는 영성으로 분류한다. 영성 가운데는 주나라 희성 공족, 서이족, 백족 등이 있다. 전국은 후대 제나라와 위치가 겹친다.
=== 전(田)씨 (Tián) ===
중국의 티앤(田, tián)씨는 순임금의 후예로 강씨의 제나라를 찬탈하고 전제(田齊)를 설립한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왕족이다.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주나라의 봉건국가 중에 진나라(陳)나라가 있었는데, 진완(陳完)이라는 공자가 왕실의 정쟁에 휘말려 제나라로 도주한 뒤 신분을 숨기고 살았다고 한다. 그의 원래 성은 규(嬀)이며 씨는 진(陳)이였다. 후에 제나라 왕으로부터 관직을 얻고 별호로 전을 쓰다가 진이라는 성을 전으로 바꾸었다고 전하고 있다.
이후 전씨들은 제나라에서 번성하며 8명의 왕을 배출했고 초한쟁패기와 한나라시대까지 번성하였다.
'''춘추전국시대'''
전양저 - 춘추시대의 장군
맹상군 - 전국 사군자 중 한명
전단 - 전국시대의 장군
손무 - 손자병법의 저자 , 전서의 손자
'''초한쟁패기'''
전담 - 제나라의 왕
전영 - 제나라의 왕
전횡 - 제나라의 왕
전안 - 제나라의 왕
'''한, 삼국시대'''
왕망 - 신나라의 황제, 전안의 6대손
전풍 - 후한말의 관료, 원소의 모사
전예 - 위나라의 신하
=== 전(錢)씨 (Qián) ===
전(錢)씨는 예전 중국 펑청(彭城:Péng chéng), 현재 장쑤성 쉬저우(徐州, Xúzhōu)에서 시작된 성씨이다.
중국 전(錢)씨는 초나라 성씨라고 한다. 조상은 축융으로 전한다. 전류 (오대)(錢鏐)의 자손들이 전(錢)은 돈을 뜻하고, 발음도 진(김)으로 중국에서는 비슷하여 전씨에서 진(김)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초나라 동/옥/권/성과 종씨이다. 중국 인물로는 영화 태극권에서 강천보를 연기한 배우 치앤쌰오하오/錢小豪중국어가 있다.
5. 1. 전(全)씨 (Quán)
전(全, quán)씨는 주나라 관직에서 나왔다. 다른 계통으로는 고대 중국에 서언왕의 서이족들이 전국(全国)에 살았는데 지명 이름을 성으로 하였다. 전국에서 서씨가 나왔으며 서복이 진나라 출신이라 중국에서는 영성으로 분류한다. 영성 가운데는 주나라 희성 공족, 서이족, 백족 등이 있다. 전국은 후대 제나라와 위치가 겹친다.5. 2. 전(田)씨 (Tián)
중국의 티앤(田, tián)씨는 순임금의 후예로 강씨의 제나라를 찬탈하고 전제(田齊)를 설립한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왕족이다.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주나라의 봉건국가 중에 진나라(陳)나라가 있었는데, 진완(陳完)이라는 공자가 왕실의 정쟁에 휘말려 제나라로 도주한 뒤 신분을 숨기고 살았다고 한다. 그의 원래 성은 규(嬀)이며 씨는 진(陳)이였다. 후에 제나라 왕으로부터 관직을 얻고 별호로 전을 쓰다가 진이라는 성을 전으로 바꾸었다고 전하고 있다.이후 전씨들은 제나라에서 번성하며 8명의 왕을 배출했고 초한쟁패기와 한나라시대까지 번성하였다.
'''춘추전국시대'''
전양저 - 춘추시대의 장군
맹상군 - 전국 사군자 중 한명
전단 - 전국시대의 장군
손무 - 손자병법의 저자 , 전서의 손자
'''초한쟁패기'''
전담 - 제나라의 왕
전영 - 제나라의 왕
전횡 - 제나라의 왕
전안 - 제나라의 왕
'''한, 삼국시대'''
왕망 - 신나라의 황제, 전안의 6대손
전풍 - 후한말의 관료, 원소의 모사
전예 - 위나라의 신하
5. 2. 1. 주요 인물
전양저 - 춘추시대의 장군맹상군 - 전국 사군자 중 한명
전단 - 전국시대의 장군
손무 - 손자병법의 저자 , 전서의 손자
전담 - 제나라의 왕
전영 - 제나라의 왕
전횡 - 제나라의 왕
전안 - 제나라의 왕
왕망 - 신나라의 황제, 전안의 6대손
전풍 - 후한말의 관료, 원소의 모사
전예 - 위나라의 신하
전봉준 (1855년~1895년),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가. 동학 농민 혁명을 이끈 지도자로, 봉건 체제와 외세에 맞서 싸웠다.
전형필 (1906년~1962년), 한국의 미술품 수집가. 일제강점기 동안 한국의 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해 헌신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전옥 (1911년~1969년), 한국의 배우 겸 가수
전두환 (1931년~2021년), 대한민국의 제11·12대 대통령.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등 권위주의적 통치로 비판받는다.
전태일 (1948년~1970년),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열악한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분신, 한국 노동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여겨진다.
전상국 (1940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가
전인권 (1954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전여옥 (1959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노민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수경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미선 (1970년~2019년), 대한민국의 배우
전배수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도연 (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하지원 (본명: 전해림, 197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현무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방송인
전병삼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예술가
다니엘 천 (1980년 출생), 미국의 코미디 작가
전예서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미도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전혜빈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전다혜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전재연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전여진 (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석호 (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태수 (1984년~2018년), 대한민국의 배우
전보람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전소민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병국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전성우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혜진 (1988년생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전수진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효성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전여빈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지윤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전소니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은하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전종서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인지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전혁진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소민 (본명: 전소민,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혼성 그룹 카드의 멤버
원우 (본명: 전원우,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 그룹 세븐틴의 멤버
정국 (본명: 전정국, 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 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
소연 (본명: 전소연,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래퍼 겸 음반 프로듀서, 걸그룹 (여자)아이들의 멤버
희진 (본명: 전희진, 200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걸그룹 아르테미스의 멤버
전소미 (2001년 출생), 한국계 캐나다인 가수
전준혁 (200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모델
전민서 (200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채은 (200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인화 (196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전혜진 (1976년생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존 천 (1928년~2013년), 한국계 자동차 공학 디자이너
존 H. 천 (1970년 출생), 미국의 변호사
전우치, 도교 학자
5. 3. 전(錢)씨 (Qián)
전(錢)씨는 예전 중국 펑청(彭城:Péng chéng), 현재 장쑤성 쉬저우(徐州, Xúzhōu)에서 시작된 성씨이다.중국 전(錢)씨는 초나라 성씨라고 한다. 조상은 축융으로 전한다. 전류 (오대)(錢鏐)의 자손들이 전(錢)은 돈을 뜻하고, 발음도 진(김)으로 중국에서는 비슷하여 전씨에서 진(김)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초나라 동/옥/권/성과 종씨이다. 중국 인물로는 영화 태극권에서 강천보를 연기한 배우 치앤쌰오하오/錢小豪중국어가 있다.
5. 3. 1. 주요 인물
- 전배수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봉준 (1855년~1895년), 대한민국의 운동가. 동학 농민 혁명의 지도자로, 녹두 장군으로 불렸다. 부패한 조선 봉건 체제에 맞서 싸운 그의 용기는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
- 전보람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 전병삼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예술가
- 전병국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 전채은 (200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다혜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다니엘 천 (1980년 출생), 미국의 코미디 작가
- 전도연 (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두환 (1931년~2021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12.12 군사반란과 5.17 내란으로 정권을 잡은 독재자이며,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시민들을 무참히 학살한 학살자이다.
- 전은하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하지원 (본명: 전해림, 197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희진 (본명: 전희진, 200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걸그룹 아르테미스의 멤버
- 전혜빈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 전혜진 (1976년생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 전혜진 (1988년생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 전혁진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 전형필 (1906년~1962년), 한국의 미술품 수집가. 일제강점기 காலத்தில் 우리 문화재를 지켜낸 위대한 인물이다.
- 전효성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 전현무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방송인
- 전인지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 전인화 (196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인권 (1954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 전재연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 전지윤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 존 천 (1928년~2013년), 한국계 자동차 공학 디자이너
- 존 H. 천 (1970년 출생), 미국의 변호사
- 전종서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준혁 (200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모델
- 정국 (본명: 전정국, 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 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
- 전미도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 전미선 (1970년~2019년), 대한민국의 배우
- 전민서 (200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노민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옥 (1911년~1969년), 한국의 배우 겸 가수
- 전상국 (1940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가
- 전석호 (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소니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소민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소민 (본명: 전소민,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혼성 그룹 카드의 멤버
- 전소미 (2001년 출생), 한국계 캐나다인 가수
- 소연 (본명: 전소연,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래퍼 겸 음반 프로듀서, 걸그룹 (여자)아이들의 멤버
- 전수진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수경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성우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태일 (1948년~1970년), 대한민국의 운동가. 열악한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해 헌신한 노동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이다.
- 전태수 (1984년~2018년), 대한민국의 배우
- 원우 (본명: 전원우,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 그룹 세븐틴의 멤버
- 전우치, 도교 학자
- 전예서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여빈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전여옥 (1959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극우적 발언으로 논란이 많은 인물이다.
- 전여진 (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6. 기타
중국에서 영성은 조씨 외에도 다른 계통이 있다. 봉씨, 공손씨는 본래 주나라 희성인데 진나라에 관적하여 영성으로 분류되고, 서복은 제나라에서 진나라로 들어가 벼슬을 하여 영성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리고 진나라 유민, 장군 등도 영성으로 분류한다. 전국(全国) 전씨는 서이족이므로 굳이 구분하면 영성이다. 전국은 본래 제나라 지역이므로 강성 제후국과 규성 제후국을 거치게 된다.
비공식 야사에 의하면 한국 전(田), 전(全)씨에는 고려 개성 왕씨가 변성한 계통이 있다고 한다.
일본인들의 성에는 복성 뒤에 전(田)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일본인이 한자를 사용하는 다른 나라에 귀화 할 때 앞자가 아닌 뒷자를 성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ko:행정구역(구시군)/성씨·본관별 가구 및 인구
http://kosis.kr/stat[...]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10-23
[2]
서적
ko:성씨 로마자 표기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http://korean.go.kr/[...]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9-06-25
[3]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전주 전씨
[4]
문서
『고려사』 권94, 열전7
https://terms.naver.[...]
[5]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담양 전씨
[6]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남양 전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