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보병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보병사단은 1947년 12월 부산에서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사단이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서울과 대전 방어전을 치렀으며, 38선을 최초로 돌파하여 국군의 날 제정의 계기가 되었다. '백골부대'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휴전 이후 최전방 경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1991년부터 서울 경복궁에서 의장대 임무를 수행하며, 2020년 국방개혁 2.0에 따라 예하 연대가 여단으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원군 (남) 소재의 관공서 -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은 1948년에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서 춘천 방어 전투를 비롯한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큰 전공을 세웠으며, 휴전 이후 휴전선 중부 지역 경계를 담당하다가 현재는 여러 여단과 직할대로 구성되어 있다.
  • 철원군 (남) 소재의 관공서 - 제7보병여단
    제7보병여단은 1946년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보병부대로, 한국 전쟁 때 유엔군 최초로 압록강에 도달했으며 2020년 여단으로 승격되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제11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참전 및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으며,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현재는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7보병사단 "이기자부대"는 1953년 창설되어 강원도 화천군 일대 수색 및 경계를 주 임무로 수행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101경비대대를 운영하기도 했으나, 2022년 국방개혁 2.0으로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은 1946년 춘천에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영천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화천군에 주둔하며 여러 예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3보병사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부대 이름제3보병사단
로마자 표기Je3 Bobyeongsadan
한자 표기第三步兵師團
별칭백골부대
창설일1947년 12월 1일
현재 사단 승격일1949년 5월 12일
소속대한민국 육군
병과보병
규모사단
역할지역 경계
주둔지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상급 부대제5군단
모토살아도 백골 죽어도 백골, 필사즉생 골육지정
부대 색상청색, 백색
부대 군가제3보병사단가
사단가3사단가
부대 상징
제3보병사단 휘장
제3보병사단 휘장
지휘관
현재 사단장[[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박진희
주요 지휘관김백일
김종오
박세직
박정인
김요환
신원식
김운용
남영신
사단장[[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정재열 (육사 52기)
주요 전투
참전 전투조선전쟁
조선 전쟁 전투
전투 목록포크풍 작전
부산 교두보 전투
경주 전투
부산 교두보 공세
1950년 9월 유엔군 반격
유엔군 북진
제2차 공세
유엔군 북한 철수

2. 역사

제3보병사단은 1947년 12월 1일 부산에서 조선경비대 제3여단으로 창설되었으며, 1949년 5월 12일 사단으로 승격되었다.[2] 사단의 별칭인 '백골부대'는 한국 전쟁 중 서북청년회 출신들이 주축이 된 제18연대가 사단에 배속된 것에서 유래하였으며, 전후 사단 전체의 별칭으로 자리 잡았다.[47][48]

한국 전쟁 당시 제3보병사단은 서울과 대전 방어선에서 활약했으며, 이후 반격 과정에서 예하 제23연대가 38선을 최초로 돌파하여 국군의 날 제정의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예하 제22연대는 한만 국경 혜산진에 최선봉으로 도달하는 등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 전쟁 기간 동안 150여 회의 전투를 치르며 패배하지 않아 '불패의 부대'라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

휴전 이후에는 최전방 경계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1991년부터는 경복궁에서 국가 의전 행사를 담당하는 의장대를 운영하고 있다.[5] 2020년 12월에는 국방개혁 2.0에 따라 예하 연대들이 여단급 부대로 개편되었다.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47년 ~ 1950년)

1947년 12월 1일 부산에서 조선경비대 제3여단으로 창설되었다. 1949년 5월 12일 사단으로 승격되었으며,[2] 편성 당시 예하 부대는 제5연대, 제6연대, 제9연대였다. 이후 부대 이동 및 개편을 거쳐 한국 전쟁 발발 직전인 1950년 시점에는 제22연대, 제23연대 2개 연대 및 독립보국대대를 예하에 두고 주로 영남 지역의 공비 토벌 임무를 수행하였다.

1949년 12월 24일, 제3사단 예하 부대는 경상북도 문경에서 비무장 민간인 80여 명을 공산주의자와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학살하는 문경 사건을 일으켰다.[1] 이는 국민을 보호해야 할 군대가 오히려 민간인을 학살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백골부대'라는 별칭의 유래는 한국 전쟁 중 3사단에 배속된 제18연대와 관련이 있다. 공산 세력의 탄압을 피해 월남한 서북청년회 출신 청년들이 주축이 된 제18연대(당시 수도사단 소속) 병사들이 "죽어 백골이 되어서라도 고향 땅을 되찾겠다"는 의지로 철모에 백골을 그려넣은 것에서 시작되었다.[47][48] 제18연대는 1948년 11월 20일 포항에서 제3여단 예하 부대로 창설되었으나 1949년 8월 수도사단으로 예속이 변경되었고, 흥남 철수 작전 이후인 1950년 12월 15일에 다시 제3사단으로 배속되었다. 사단 전체의 공식 별칭이 '백골부대'로 변경된 것은 한국 전쟁이 끝난 후의 일로 알려져 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예하 제22연대를 서울 방어에 투입하였다. 서울 함락 이후에는 대한민국 육군 직할 부대로 편입되어[3] 서울에서 대전으로 이어지는 북한인민군의 남하를 지연시키는 방어선을 담당했다.[3] 1950년 7월에는 동해안 지역에서 미국 해군의 함포 지원을 받으며 남하하는 북한군 제5사단의 침공을 저지하였다.

이후 부산 교두보 전투에 참전하여 북한군 제5사단과 교전하였다.[3] 8월 16일에는 포항 방어선 유지가 어려워지자 상륙함 4척을 이용해 장사동으로 해상 철수를 단행하기도 했다. 9월 경주 부근 형산강 전투에서는 북한군의 진격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9월 20일에는 치열한 전투 끝에 포항을 탈환하고 북한군을 영덕 방면으로 후퇴시켰다.[4]

인천 상륙 작전 성공 후 시작된 반격 작전에서 제3사단은 선봉에 섰다. 1950년 10월 1일, 제3사단 제23연대 3대대 10중대가 강원도 양양군에서 대한민국 육군 최초로 38선을 돌파했으며, 이 날은 후에 국군의 날로 제정되는 계기가 되었다. 10월 10일에는 원산을 점령하였고, 제22연대는 한만 국경 지대인 혜산진까지 가장 먼저 진격하는 기록을 세웠다.

2. 2. 한국 전쟁 (1950년 ~ 1953년)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과 함께 북한군이 남침을 시작했다. 제3보병사단은 서울 함락 이후 대한민국 육군 직할 부대로 편입되어, 서울에서 대전으로 이어지는 북한군의 남하를 지연시키기 위한 방어선에 투입되었다.[3] 이 과정에서 주로 공병 여단과 함께 사수전을 벌였다. 1950년 7월, 동해안에서는 미국 해군의 지원을 받으며 북한군 제5사단의 남침을 저지하였다.

부산 교두보 전투에도 참전했으며,[3] 특히 포항에서는 북한군 제5사단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1950년 9월 20일 아침, 마침내 포항을 탈환하고 북한군을 영덕 방면으로 후퇴시켰다.[4] 9월 경주 전투에서는 형산강 방어선을 지켜내며 북한군의 진격을 저지하였다.

반격 작전에서 제3보병사단은 선봉에 섰다. 1950년 10월 1일, 예하 제23보병연대 3대대 10중대 3소대 2번 기준병이 38선을 전군 최초로 돌파하였고, 이 날은 후에 국군의 날로 제정되었다. 10월 10일에는 원산을 점령하였으며, 제22연대는 한만 국경선인 혜산진까지 최선봉으로 진격하였다.

1950년 12월, 흥남 철수 작전수도기계화보병사단 소속이던 제18연대가 제3보병사단으로 배속 변경되었다. 같은 달, 중국인민지원군의 대규모 공세로 인해 성진에서 철수해야 했다. 이후 제2군단에 예속되어 홍천 부근에서 북한군과 교전하였다.

1951년 2월에는 미국 제10군단(군단장: 알몬드 소장)에 배속되었고, 3월 7일에는 다시 제3군단으로 배속이 변경되었다. 1951년 5월, 중공군의 5월 공세에 밀려 패퇴하면서 제3군단이 해체되고 제1군단에 편입되었다. 이후 밴 플리트 미 제8군 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9주간의 집중 훈련을 받으며 전투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1951년 10월 19일, 다시 미 제10군단에 편입되어 제5사단으로부터 가칠봉 지역을 인계받았다. 10월 27일부터 31일까지 가칠봉 전방의 1052고지와 1211고지를 공격하는 등 치열한 고지전을 벌였다. 1951년 11월 23일 양구로 이동하여 1952년 1월 7일까지 교육 훈련을 실시했다. 1952년 2월에는 662고지에서 전투를 치렀고, 4월 5일에는 재건된 제2군단에 편입되었다.

1953년 4월 13일부터는 작전 지역을 제5사단에 인계하고 미 제8군 예비 부대로 전환되어 부대 정비를 실시하였다.

제3보병사단은 한국 전쟁 기간 동안 150회가 넘는 전투에 참가하여 5만 1천 명 이상의 적군을 사살하거나 포로로 잡는 전과를 올렸다. 이러한 혁혁한 전공으로 '불패의 부대'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2. 3. 휴전 이후 (1953년 ~ 현재)

3사단 수색대대가 비무장지대 부근에서 순찰 중


휴전 이후, 제3보병사단은 최전방 지역에서 경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1991년부터 이 사단은 서울 경복궁에 의장대를 상주시켜 국가원수 환영, 근위병 교대식 등 의전 행사를 수행하고 있다.[5] 이 부대는 노태우 대통령이 그 해 백악관을 방문하여 미 제3보병연대의 의장대를 본 후, 한국군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대가 있어야 한다고 결정하여 창설되었다.[5] 역사적 재현을 위해 전통 의복과 무기를 착용하며, 장비와 복장은 역사학자 및 전문가들과의 연구와 협의를 거쳐 마련되었다. 첫 번째 의식은 1996년에 거행되었다.[5]

2020년 12월, 대한민국 정부의 국방개혁 2.0 계획에 따라 예하 3개 보병연대와 1개 포병연대가 여단으로 승격되었다.

3. 부대 편성

제3보병사단은 예하에 3개의 보병여단과 1개의 포병여단, 그리고 여러 직할 부대를 두고 있다.[6]


  • 여단
  • 제18보병여단 (진백골여단)
  • 제22보병여단 (혜산진여단)
  • 제23보병여단 (맹호여단)
  • 포병여단 (백골포병여단)
  • 직할대
  • 사단 직할대에 대한 상세 편제는 아래 문단을 참고하라.

3. 1. 여단급 부대


  • '''제18보병여단 (진백골여단)'''
  • * GOP 경계 임무를 수행한다.
  • * 예하 대대: 1대대(진백골), 2대대(아리랑), 3대대(백혼)

  • '''제22보병여단 (혜산진여단)'''
  • * 한국 전쟁 당시 최북단 혜산진에 입성한 것을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GOP 경계 임무를 수행한다.
  • * 예하 대대: 1대대(불사조), 2대대(이한림), 3대대(야성마)

  • '''제23보병여단 (맹호여단)'''
  • * 한국 전쟁 당시 38선을 최초로 돌파한 부대이다.
  • * 예하 대대: 1대대(비호, 신병교육대대 임무 수행), 2대대(백호), 3대대(청호, 38선 최선봉 돌파대대)

  • '''포병여단 (백골포병여단)'''[6]
  • * K9 자주포를 운용한다.
  • * 예하 대대: 11포병대대(대한민국 육군 최초 창설 6개 포병대대 중 하나), 369포병대대(구 71포병대대, 3.7 완전작전 포병대대), 72포병대대, 635포병대대

3. 2. 직할대

사단 사령부 직할 부대는 다음과 같다.[6]

  • 공병대대
  • 정비근무대 (정비대대)
  • 보급수송대대
  • 수색대대 (정찰대대)
  • 의무근무대 (의무대대)
  • 정보통신대대 (통신대대)
  • 전차대대 (기갑대대)
  • 군사경찰대대 (구 헌병대대)
  • 화생방지원대 (화학대대)
  • 방공중대
  • 본부근무대
  • 보충중대
  • 토우중대 (TOW 중대) - 2018년 해체됨.
  • 대전차 중대[6]
  • DMZ 순찰 중대[6]
  • 지원대대[6]
  • 수색중대

4. 역대 사단장

wikitext

대 | colspan=2 | 사단장 | rowspan=2 | 재임 기간 | rowspan=2 | 출신 학교·기수 | rowspan=2 | 전직 | rowspan=2 | 후직 | rowspan=2 | 비고
한자/가타카나 표기원어 표기
1이응준이응준1947.12.1 -
1948.2.5
일본 육사 26기
군사영어학교 1기
감찰총감제1여단장
2채원개채원개1948.2.5 -
1949.1.15
낙양강무당
경찰 3기
제7연대장제2여단장
3최덕신최덕신1949.1.15 -
6.30
중앙군관학교 10기
경찰 3기
육군사관학교제1군단 참모장
4이응준이응준1949.6.30 -
1950.1.15
일본 육사 26기
군사영어학교 1기
육군참모총장제5사단장
5김백일김백일1950.1.15 -
4.22
봉천 5기
군사영어학교 1기
지리산 지역전투사령관육군본부 행정참모부장
6유승렬유승렬1950.4.22 -
7.10
일본 육사 26기제1사단장경상북도 편성관구사령관
7이준식이준식1950.7.10 -
8.7
운남육군강무당수도사단장경인지구 계엄사령관
8김석원김석원1950.8.7 -
9.1
일본 육사 26기수도사단장전시 특명검열부장
9이종찬이종찬1950.9.1 -
11.12
일본 육사 49기중앙훈련소 본부장병기행정본부장
보병학교장
10최석최석1950.11.12 -
1951.3.17
군사영어학교제1훈련소장육군본부 전방지휘소장
11김종오김종오1951.3.17 -
5.23
군사영어학교 1기제1군단 참모장인사국장
12백남권백남권1951.5.23 -
1952.10.10
군사영어학교수도사단 부사단장육군보병학교장
13임선하임선하1952.10.10 -
1953
군사영어학교 1기육군보병학교장
14신응균[7]신응균1953 - 1954.6일본 육사 53기국방부 제1국장유엔군 총사령부 파견 한국연락장교단장
15정래혁정래혁1954.6 -
1954.8
일본 육사 58기
육사 7기
부사단장보병학교장
이희권이희권-
1957.8[8]
군사영어학교 1기제9사단장[9]육군대학교 입학
김상복김상복1957[10]
1959.6.2[11]
군사영어학교 1기제20사단장군사발전국장
유의준유의준1959.6.2[11] -
1959.12.3[12][13]
국방연구원 교습부장육본 부비리로 인해 경질[13]
최택원최택원1959.12.3[12] -제26사단장
장우주[14]장우주1961.3.15 -
1962.7.7
육사 3기국방대학교 교수부장국방부 기획조정관
19이동화이동화1962[15]육사 2기제31사단장
20조혁환[16]조혁환- 1966.7.19육사 3기육군본부 작전참모부 차장[17]준장
21유근국유근국1966.7.19 -
1967.7.11[18]
육사 6기제2군 인사부장국방부 예비군국장[19]준장
22최철최철1967.7.11 -
1968
육사 5기포병학교장제5관구사령관
23육장균육장균1968[20]육사 7기육군사관학교 교수부장3사관학교장
24오일수오일수-1972
25[21]박정인[22]박정인1972.3[23] - 1973.4.3[24]육사 6기울산 특정지역 경비사령관[25]예비역 편입준장, 독단적으로 조선인민군에 대한 포격을 실시하여 경질
27김수중김수중1975[26]육사 9기수도사단 부사단장합동참모본부 작전국장
28권익검권익검1975 -
1977.7
육사 10기보안사 참모군사참모장[27]
29오철오철1977.7 -
1979.9 [28]
군수 1기제5군단 참모장제1군단 부군단장
30박세직박세직1979.9 -
1980.8.23
육사 12기국방부 장관 보좌관수도방위사령부하나회
최인수최인수1982[29]-1984육군본부 비서실장육군본부 감찰관
32박익순 [30]박익순1984 -육사 16기
33이기룡이기룡-육사 17기제1공수특전여단 참모장예비역하나회
34손병익손병익-육사 19기합동인사기획참모부장
35구태도구태도- 1992육사 21기예비역하나회
36박영일박영일1992 -
1993.10
육사 22기예비역하나회
37[31]조영래조영래1993.10[32] -
1996
갑종 177기예비역
38안충준안충준1996 -
1997.3.11
육사 25기한미연합사 작전처장인도-파키스탄 PKO 사령관[33]
39박흥근[34]박흥근1997.3.11 -
2000
육사 26기육군본부 감찰관[35]
40이성규[36]이성규2000 - 2001육사 28기한미연합사 작전처장[37]
41고기원고기원2001 -
2003.4.29
육사 29기육군본부 인사운영차장
42박수근[38]박수근2003.4.29[39] -
2006.11
3사 4기예비역
43김종해김종해2005.5.6[40] -
2006.11
육사 32기육군보병학교장
44김요환김요환2006.11 -
2008.11.10
육사 34기합동참모본부 전비태세검열차장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45유영조유영조2008.11.10 -
2010.6.29
육사 36기통합참모본부 전력기획부 1차장[41]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부장[42]
46신원식[43]신원식2010.6.29 -
2011
육사 37기국방정책실 정책기획관국방정책실 정책기획차장
47윤완선윤완선2011 -
2013.4.25
육사 38기제5군단 참모장합동군사대학교 총장
48김운용김운용2013.4.25 -
2015.4.15
육사 40기합동참모본부 해외파견과장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49남영신남영신2015.4.15 -
2017.9
학사 23기육군학생군사학교 교수부장[44]특수전사령관
50김현종김현종2017.9 -
2018.5
육사 44기제3군단 참모장국가안전보장실 국방개혁비서관
51신상균신상균2018.5 -
2020.5.14[45]
육사 45기제2작전사령부 참모장
52손식손식2020.5.14 -
2022.6.15[46]
육사 47기육본 계획편성차장[45]국군의 날 행사기획단장
53박진희박진희2022.6.15 -
2024.11
3사 29기제3포병여단장포병학교장
54정재열정재열2024.11 -
육사 52기국방부 국회협력단장


5. 상징

사단의 대표적인 상징은 '백골부대'라는 별칭이다. 이 별칭은 한국 전쟁 당시 서북청년회 출신 장병들이 죽어서 백골이 되더라도 공산군과 싸워 조국을 지키겠다는 결의를 다지며 철모에 백골을 그린 것에서 유래하였다.[47][48] 자세한 유래와 사단가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5. 1. 부대 별칭

사단의 애칭은 원래 '사자부대'였으나 후에 '백골부대'로 변경되었다. 이 별칭은 공산당의 탄압을 피해 월남한 서북청년회 출신 청년들이 자진 입대하여 주축을 이룬 당시 수도사단 소속 제18연대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죽어서 백골이 되더라도 공산당과 싸워 조국을 수호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철모에 백골을 그려 넣었고[47][48], 이로 인해 제18연대가 '백골부대'로 불리게 되었다. 1950년 12월 흥남 철수 작전 중 제18연대가 수도사단에서 3사단으로 배속되었고, 6.25 전쟁이 끝난 후 사단 전체의 애칭을 '사자부대'에서 더 전투적인 이미지의 '백골부대'로 변경한 것으로 전해진다.

5. 2. 사단가

'''1절'''

돌격명령 내리면 비호와 같이

적을 쳐 무찌르는 조국의 방패

백골혼 이어받아 죽음을 겁내지 않고

조국통일 선봉에서 싸워 이겼다

'''2절'''

조국산천 울리는 우리의 함성

승리의 깃발들고 전진 또 전진

오랑캐 무찌르고 보무도 당당하게

화랑의 후예들이 싸워 이겼다

'''후렴'''

우리는 백골이 되어도 싸워서 이기는

무적의 정예란다 우리 3사단

6. 관련 사건/사고

(내용 없음)

6. 1. 문경 학살 사건

1949년 12월 24일, 제3보병사단 휘하 부대는 경상북도 문경에서 문경 민간인 학살 사건을 일으켰다.[1]

7. 대중 매체

MBC TV의 예능 프로그램 일밤의 코너 진짜사나이 36회 (2013년 12월 방영분)에서 부대 촬영이 이루어졌다.

참조

[1] 뉴스 문경 양민 학살 진실 밝혀질까 문경 양민 학살 유족들, 헌법 소원 내기로…정부, 50년 동안 외면 http://www.sisapress[...] 2000-01-13
[2] 웹사이트 3rd Infantry Division http://www.globalsec[...]
[3] 서적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8-13
[4] 서적 The Korean War: The UN Offensive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5] 웹사이트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oyal Palace Gates and Royal Guard Changing Ceremonies (수문장 교대의식) https://english.visi[...] Korea Tourism Organization
[6] 뉴스 백골 제3사단, 부사관의 따듯한 선행이 귀중한 생명 살려 https://www.jeonmae.[...] 2017-08-17
[7] 문서 육군소장 보직 해면 건 상신(제3사단장 신응균) http://contents.arch[...]
[8] 뉴스 師團長級異動 http://www.busan.com[...] 1957-08-07
[9] 뉴스 学生に希望と夢を植え付けてくれた故李喜権将軍(“학생들의 희망과 꿈을 심어 준 故이희권 장군”) http://www.jangsunew[...] 2022-07-15
[10] 뉴스 第17代参謀次長 金相福中将(“17대 참모차장 김상복 중장”) http://news.joins.co[...] 1968-02-16
[11] 뉴스 將星級 15名 異動 http://www.busan.com[...] 1959-06-02
[12] 뉴스 陸軍人事 http://www.busan.com[...] 1959-12-05
[13] 뉴스 師團長級六名異動 http://www.busan.com[...] 1959-12-04
[14] 뉴스 「朴正煕が撮った男」張禹疇将軍 波乱万丈現代史の話('' '박정희가 찍은 남자' 장우주 장군의 파란만장 현대사 이야기'') http://www.newdaily.[...] 2012-05-14
[15] 웹사이트 李東和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16] 웹사이트 軍番10377.老兵が証言する歴史の表と裏(“군번 10377. 노병이 증언하는 역사의 막전 막후”) http://champyungan.c[...] 참평안
[17] 뉴스 首都師団長にユ・ビョンヒョン准将・艦隊司令官にはジャン・ジス少将 (''수도사 단장에 유병현 준장 함대사령관엔 장지수 소장'') http://news.joins.co[...] 1966-07-20
[18] 뉴스 陸軍師団長級人事 http://newslibrary.n[...] 1967-07-11
[19] 뉴스 統一主体国民会議の事務局長、柳根国氏 (''통일주체 국민회의 사무총장, 유근국씨'') http://news.joins.co[...] 1974-12-30
[20] 웹사이트 陸章均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1] 뉴스 「Again 3.7作戦」的挑発報復伝統をつなぐ!3師団71砲兵隊、3.7完全作戦記念行事の実施 ('' 'Again 3.7작전' 적도발 응징 전통을 잇다! 3사단 71포병대대, 3.7완전작전 기념행사 실시'') http://www.cwinews.c[...] 2012-03-08
[22] 뉴스 【ヤン・サンフン コラム】猛將の芽を摘んだ朴定仁師団長解任事件 (''【양상훈 칼럼】 猛將의 싹을 자른 박정인 사단장 해임 사건'') http://news.chosun.c[...] 2015-08-13
[23] 뉴스 [朴定仁(パク・ジョンイン、88歳)白骨師団長逝去]骨髄反攻野戦型の一生(“ [朴定仁(박정인,88세) 백골사단장 별세]골수반공 야전형 일생”) https://www.economyt[...] 2016-05-14
[24] 뉴스 金日成を恐怖に震え上がらせた前白骨師団長「北韓の奴らは…」(''김일성을 공포에 떨게 만든 전 백골사단장 “북한놈들은..”'') http://pk.newdaily.c[...] 2015-09-16
[25] 뉴스 【この人】北奇襲挑発を膺懲した朴定仁将軍「新羅が会話で三国統一したのか」(''[이 사람] 北 기습 도발을 응징했던 朴定仁 장군 “신라가 대화로 삼국통일 했나”'') http://monthly.chosu[...] 2011-01-10
[26] 웹사이트 金洙重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7] 웹사이트 한국인물정보 권익검 http://egochang.kr/w[...]
[28] 웹사이트 오철 장군 소개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최인수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30] 뉴스 [동정] 성균관대, 중국-몽골대사 초청 특강 등 https://www.chosun.c[...] 2002-06-07
[31] 문서 37대 사단장 조영래 장군님께서 전우회에 참석하시면서 보내주신 글 http://cluster1.cafe[...]
[32] 뉴스 3군 중.소장(少將)급 32명 진급.보직인사(종합) http://ruliweb.daum.[...] 1993-10-18
[33] 뉴스 印パPKO隊長 安忠濬陸軍少将(''인-파키스탄 PKO단장 안충준 육군소장'') http://news.donga.co[...] 1997-03-14
[34] 뉴스 【建軍50周年】「建軍っ子」48年生まれの8人師団長服務(''【건군 50돌】「건군둥이」48년생 8명 사단장 복무'') http://news.donga.co[...] 1998-09-30
[35] 뉴스 軍、17~20日ごろ「星の大移動」...総選挙直後の将星人事断行(“군 17∼20일께 '별들의 대이동'…총선직후 장성인사 단행”) http://news.donga.co[...] 2000-04-07
[36] 뉴스 軍将星104人進級・職員人事(군장성 104명 진급·보직인사) https://www.chosun.c[...] 2003-10-16
[37] 뉴스 李成圭陸軍中将"40年勤めた軍は去れど、私は永遠の花郎"(이성규 육군중장 “40년 정든 군 떠나지만 난 영원한 화랑”) https://www.donga.co[...] 2007-12-01
[38] 뉴스 海兵司令官など中将級以下の人事(해병사령관등 중장급 이하 인사) http://www.knnews.kr[...] 2003-04-30
[39] 뉴스 陸軍朴守根 3師団長に就任(육군 박수근 3사단장 취임) http://www.kado.net/[...] 2003-04-30
[40] 뉴스 師団長就任式 李漢弘2師団長(사단장 취임식이한홍 2사단장) http://www.kado.net/[...] 2005-05-07
[41] 뉴스 鉄原駐留白骨部隊長にユ・ヨンジョ将軍就任(철원 주둔 백골부대장에 유영조 장군 취임) http://m.dailian.co.[...] 2008-11-12
[42] 뉴스 鉄原、鉄の三角形陸軍第3師団 白骨部隊第45・46代の師団長が就任式(철원, 철의삼각지 육군제3사단 백골부대 제45·46대 사단장 이·취임식) http://cwinews.co.kr[...] 2015-04-13
[43] 웹사이트 申源湜 http://cpmadang.org/[...]
[44] 뉴스 鉄原、白骨第48代「名将」キム・ウンヨン師団長離任(철원, 백골 제48대「명장」김운용 사단장 이임) http://cwinews.co.kr[...] 2015-04-13
[45] 뉴스 ソン・シク新任陸軍3師団長「勝利する部隊の伝統を継承する」(손식 신임 육군 3사단장 "승리하는 부대 전통 이어가겠다") https://m.yna.co.kr/[...] 2020-05-14
[46] 뉴스 パク・ジンヒ 第53代白骨師団長に就任(박진희 제53대 백골사단장 취임) https://www.shinailb[...] 2022-06-15
[47] 뉴스 汝矣島(여의도)서 紀念式(기념식)┈새兵器(병기) 공개 내일 建軍(건군) 30돌 https://newslibrary.[...]
[48] 뉴스 전쟁터의 승패 刻印(각인) 영욕의 부대 별칭들 https://newslibrary.[...]
[49] 뉴스 參謀副長에 金大領就任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0-04-23
[50] 뉴스 신응균삼사단장에 미공로훈장을 수여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4-07-05
[51] 뉴스 육군사단장급이동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7-07-11
[52] 뉴스 청와대 국가안보실 국방개혁비서관에 김현종 제3보병사단장(육사44기·소장)이 내정 2018-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