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은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에피루스 지역의 알바니아인으로, 차메리아 지역에 거주했다. 이들은 '차므' 또는 '차미데스'로 불리며, 1944년 이후 그리스에서 추방되어 알바니아, 미국, 터키 등에 흩어져 살고 있다. 차머리아 문제는 그리스와 알바니아 간의 주요 갈등 중 하나로, 재산 반환, 시민권 회복, 소수 민족 권리 등을 요구하며, 여러 단체를 통해 정치적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들의 역사, 문화, 언어는 알바니아의 중요한 부분이며, 음악, 춤, 민속 등 독자적인 전통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민족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그리스의 민족 - 튀르키예인
    튀르키예인은 튀르키예 공화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튀르키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민족으로,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지역의 인구와 혼혈을 이루며 아나톨리아에 정착, 튀르키예 공화국 건국을 통해 정체성이 강화되었으나, 비튀르크계 민족과의 관계는 민족 문제로 남아있다.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기본 정보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의 비공식 깃발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의 비공식 깃발
인구약 170,000–690,000명
거주 지역알바니아
그리스
튀르키예
미국
종교이슬람 (다수)
동방 정교회 (소수)
사용 언어알바니아어a (차머리아 알바니아어 방언)
기타 언어그리스어
튀르키예어
영어 (거주 국가에 따라 다름)
로마자 표기Çamë
그리스어Τσάμηδες
그리스어 음역Tsámides
차머리아어차머
알바니아어시치프타러
역사적 맥락
역사적 진실그리스는 차머리아인 소유 토지 몰수, 메탁사스 독재 정권 하의 박해 인정해야 함
협력차머리아 알바니아인 소수는 이탈리아 및 독일과 협력함

2. 명칭

"차머"라는 이름은 해당 지역의 이름인 "차메리아"와 함께 멸종된 현지 슬라브어 *''čamŭ''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현지 그리스어 수계명 ''Thyamis''(그리스어: Θύαμις, 알바니아어: ''Kalamas'')에서 비롯되었다.[12][13] 차베이는 "차머"를 ''Thyamis''의 직접적인 연속으로 본다.[12][13] 민간 어원에서는 이 이름을 터키어 ''cami''(그리스어: ''tzami''), 즉 '모스크를 가는 사람, 모스크 출석자'에서 유래했다고 보는데, 이는 정교회 기독교인들이 이슬람 개종자들의 후손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단어는 그리스 에피루스 지역의 테스프로티아, 프레베자 지역 단위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모든 인구(무슬림 및 기독교인)를 포괄하기 때문에 민간 어원이 맞을 가능성은 낮다.[36]

차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주로 "차므"(Çam 또는 Çamë)라는 알바니아어 형태와 "차미데스"(Τσάμηδες)라는 그리스어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영어 자료에서는 두 이름을 혼합한 형태인 "Tsams"로도 찾을 수 있다.[14] 1944년 이전 그리스 자료에서는 차므족을 "알바노포니"(Αλβανόφωνοι) 또는 단순히 "에피루스의 알바니아인"이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다.[15][169]

그리스에서는 무슬림 차므족을 "알바노차므스"(Αλβανοτσάμηδες, "Alvanotsamides")[169], "투르칼바니아인(Τουρκαλβανοί, "Tourkalvanoi")[16] 또는 "투르코차므스"(Τουρκοτσάμηδες, "Tourkotsamides")라고 불렀다.[238] 19세기 중반부터 "투르크"라는 용어와 19세기 말부터는 "투르칼바노이"와 같은 파생 용어가 비무슬림 발칸 민족에 의해 무슬림 알바니아 인구에 대한 경멸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17][18][19][20][21][22] 전쟁 전까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더 넓은 인구 사이에서 "아르바니티스"(복수: '''''아르바니테스''''')라는 용어는 종교적 소속에 관계없이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23] 오늘날 에피루스에서는 "아르바니티스"라는 용어가 국적과 종교에 관계없이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여전히 사용된다.[23]

테스프로티아의 알바니아어 사용 인구는 그리스인에 의해 "아르바니테스"(Αρβανίτες)라고 불리기도 하는데,[24] 이는 주로 남부 그리스의 알바니아어 사용 그리스인을 지칭하지만, 일반적으로 모든 알바니아어 사용 그리스 시민에게 사용된다. 현지 그리스인들은 그들을 "그라이코차므스"(Ελληνοτσάμηδες, "Elinotsamides")라고 부르며,[169]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은 때때로 그들을 "카우르"라고 지칭하는데, 이는 "불신자"를 의미하며 그들의 종교를 지칭한다.[169] 이 용어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이 비무슬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69] 18세기 이후 널리 사용된 알바니아 민족 고유어인 슈키프타르("분명하게 말하는 사람")는 이 지역의 기독교 알바니아어 사용자들이 사용하기도 했지만, 오늘날에는 이 지역의 다른 집단(그리스인, 블라흐족)과 구별하는 수단으로 주로 사용된다. 그리스어 사용자는 테스프로티아의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를 경멸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스키페타로스"(shqiptar)라는 용어를 사용한다.[25][26]

이 지역에 거주하는 일부 아로마니아인은 차메리아와 차므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차무레니"(Tsamuréńi)라는 지역 자칭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27] 터키의 차므족은 "아르나우츠"(Arnavutlar)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터키의 모든 알바니아계 민족에게 적용된다.[28]

2. 1. 어원

"차머"라는 이름은 해당 지역의 이름인 "차메리아"와 함께 멸종된 현지 슬라브어 *''čamŭ''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현지 그리스어 수계명 ''Thyamis''(그리스어: Θύαμις, 알바니아어: ''Kalamas'')에서 비롯되었다.[12][13] 차베이는 "차머"를 ''Thyamis''의 직접적인 연속으로 본다.[12][13] 민간 어원에서는 이 이름을 터키어 ''cami''(그리스어: ''tzami''), 즉 '모스크를 가는 사람, 모스크 출석자'에서 유래했다고 보는데, 이는 정교회 기독교인들이 이슬람 개종자들의 후손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단어는 그리스 에피루스 지역의 테스프로티아, 프레베자 지역 단위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모든 인구(무슬림 및 기독교인)를 포괄하기 때문에 민간 어원이 맞을 가능성은 낮다.[36]

차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주로 "차므"(Çam 또는 Çamë)라는 알바니아어 형태와 "차미데스"(Τσάμηδες)라는 그리스어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영어 자료에서는 두 이름을 혼합한 형태인 "Tsams"로도 찾을 수 있다.[14] 1944년 이전 그리스 자료에서는 차므족을 "알바노포니"(Αλβανόφωνοι) 또는 단순히 "에피루스의 알바니아인"이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다.[15][169]

그리스에서는 무슬림 차므족을 "알바노차므스"(Αλβανοτσάμηδες, "Alvanotsamides")[169], "투르칼바니아인(Τουρκαλβανοί, "Tourkalvanoi")[16] 또는 "투르코차므스"(Τουρκοτσάμηδες, "Tourkotsamides")라고 불렀다.[238] 19세기 중반부터 "투르크"라는 용어와 19세기 말부터는 "투르칼바노이"와 같은 파생 용어가 비무슬림 발칸 민족에 의해 무슬림 알바니아 인구에 대한 경멸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17][18][19][20][21][22] 전쟁 전까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더 넓은 인구 사이에서 "아르바니티스"(복수: '''''아르바니테스''''')라는 용어는 종교적 소속에 관계없이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23] 오늘날 에피루스에서는 "아르바니티스"라는 용어가 국적과 종교에 관계없이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여전히 사용된다.[23]

테스프로티아의 알바니아어 사용 인구는 그리스인에 의해 "아르바니테스"(Αρβανίτες)라고 불리기도 하는데,[24] 이는 주로 남부 그리스의 알바니아어 사용 그리스인을 지칭하지만, 일반적으로 모든 알바니아어 사용 그리스 시민에게 사용된다. 현지 그리스인들은 그들을 "그라이코차므스"(Ελληνοτσάμηδες, "Elinotsamides")라고 부르며,[169]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은 때때로 그들을 "카우르"라고 지칭하는데, 이는 "불신자"를 의미하며 그들의 종교를 지칭한다.[169] 이 용어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이 비무슬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69] 18세기 이후 널리 사용된 알바니아 민족 고유어인 슈키프타르("분명하게 말하는 사람")는 이 지역의 기독교 알바니아어 사용자들이 사용하기도 했지만, 오늘날에는 이 지역의 다른 집단(그리스인, 블라흐족)과 구별하는 수단으로 주로 사용된다. 그리스어 사용자는 테스프로티아의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를 경멸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스키페타로스"(shqiptar)라는 용어를 사용한다.[25][26]

이 지역에 거주하는 일부 아로마니아인은 차메리아와 차므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차무레니"(Tsamuréńi)라는 지역 자칭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27] 터키의 차므족은 "아르나우츠"(Arnavutlar)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터키의 모든 알바니아계 민족에게 적용된다.[28]

2. 2. 정의

차머 알바니아인알바니아어의 참 방언을 사용하며, 에피루스 지역의 일부였던 차메리아 지역에 거주하던 알바니아인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차머"라는 이름은 현지 그리스어 수계명인 ''Thyamis''(그리스어: Θύαμις, 알바니아어: ''Kalamas'')에서 유래된 슬라브어 *''čamŭ''에서 비롯되었다.[12][13] 차베이는 "차머"를 ''Thyamis''의 직접적인 연속으로 보았다.[12][13]

민간 어원에서는 이 이름을 터키어 ''cami''(그리스어: ''tzami''), 즉 '모스크를 가는 사람'에서 유래했다고 보는데, 이는 정교회 기독교인들이 이슬람 개종자들의 후손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단어는 그리스 에피루스 지역의 테스프로티아, 프레베자 지역 단위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모든 인구(무슬림 및 기독교인)를 포괄하기 때문에 민간 어원은 가능성이 낮다.[36]

차머인들은 에피루스 지역의 알바니아 소수 민족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차메리아 외곽에는 이오안니나 지역 단위의 코니차 근처에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두 마을이 있는데, 이 주민들은 라브족이라는 다른 알바니아 하위 집단에 속한다.[24] 오늘날 그리스에서는 이 용어가 주로 전직 무슬림 소수 민족과 연관되어 사용된다.[24]

3. 분포

차머리아 공동체는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의 차머리아에서 추방된 결과로 알바니아, 미국, 터키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1] 소수는 여전히 이 지역에 살고 있다.[1]

==== 차메리아 ====

차메리아는 알바니아인들이 참(Cham)족이 거주했던 지역에 붙인 이름으로, 북쪽의 코니스폴에서 남쪽의 아케론 계곡까지 이오니아 해 해안을 따라 위치한다.[1] 이 지역은 알바니아의 사란다 구 남부의 몇몇 마을(코니스폴, 샤르, 마르카트)[30]과 그리스의 테스프로티아 및 프레베자 (지방 자치 단체) 지역에 해당하며, 더 넓은 에피루스 지역의 일부이다.[30][38]

200px


이 지역의 대부분은 산악 지형이다. 계곡 농지는 테스프로티아의 중부, 남부, 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프레베자 지역의 지형은 대부분 언덕이 많다. 이 지역에는 티아미스 강과 아케론 강 두 개의 강이 있다.

참족이 원래 거주했던 주요 정착지는 파라미티아,[31] 필리아테스,[31] 이구메니차,[1] 파라포타모스,[32] 시보타,[33] 사지아다,[34] 페르디카,[33] 마르가리티[169] 등이다. 프레베자와 요안니나에도 상당한 참 알바니아인 공동체가 있었다.[35] 정교회 참족은 파나리,[36] 루로스[36] 및 테스프로티코에 거주했다.[36]

20세기 초 차메리아의 알바니아어 사용 지역은 이오니아 해안을 따라 위치했으며, 최북단 지역인 코니스폴을 제외하고 테스프로티아 현의 서부와 프레베자 북부를 포함했다.[37] 현대 그리스 행정 구역으로 보면, 알바니아 지역은 티아미스 및 마르가리티 지방과 파라미티아 및 필리아테스 지방의 최서단 마을을 포함했다. 프레베자 현에서는 파나리 평원과 파르가 주변, 요안니나 현에 위치한 두 정착지를 포함한 아케론 계곡 상류의 마을과 같은 북부 지역을 포함했다.[38]

==== 알바니아 ====

차메리아 알바니아 방언의 최대 범위: 19세기부터 1912/1913년까지(해칭선), Kokolakis에 따르면.M. 언어 배경에 관계없이 종교별 인구: 무슬림 다수(갈색), 정교회 다수(분홍색), 혼합(연갈색). 색칠된 지역은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인구의 대다수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무슬림 차메리아인들이 그리스에서 추방된 후, 그들은 알바니아 전역으로 흩어졌다. 무슬림 차메리아인의 대다수는 블로러, 두러스 및 티라나 교외에 정착했다. 수백 명의 차메리아인들은 히마라 해안을 따라 재산을 옮겼고, 보르시와 같은 해안을 따라 있는 기존 마을로 이주하거나, 그리스 국경 근처의 브리나와 같은 완전히 새로운 마을을 건설했다.[2]

==== 디아스포라 ====

2007년 미란다 비커스에 따르면 디아스포라에 있는 차머리아인의 수는 40만 명으로 추산된다.[2]

이 디아스포라의 첫 번째 파동은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때 터키로 떠났다. 그들은 이스탄불의 에렌코이와 카르탈 지역[39]뿐만 아니라 부르사 지역의 여러 마을, 특히 무다니아에 정착했다.[3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른 사람들은 이즈미르, 젬리크 및 아이딘에 정착했다.[218] 1944년 이후, 또 다른 사람들은 미국으로 이주했는데,[1] 그들은 주로 시카고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보스턴과 뉴욕 시에도 거주했다.[40]

3. 1. 차메리아

차메리아는 알바니아인들이 참(Cham)족이 거주했던 지역에 붙인 이름으로, 북쪽의 코니스폴에서 남쪽의 아케론 계곡까지 이오니아 해 해안을 따라 위치한다.[1] 이 지역은 알바니아의 사란다 구 남부의 몇몇 마을(코니스폴, 샤르, 마르카트)[30]과 그리스의 테스프로티아 및 프레베자 (지방 자치 단체) 지역에 해당하며, 더 넓은 에피루스 지역의 일부이다.[30][38]

이 지역의 대부분은 산악 지형이다. 계곡 농지는 테스프로티아의 중부, 남부, 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프레베자 지역의 지형은 대부분 언덕이 많다. 이 지역에는 티아미스 강과 아케론 강 두 개의 강이 있다.

참족이 원래 거주했던 주요 정착지는 파라미티아,[31] 필리아테스,[31] 이구메니차,[1] 파라포타모스,[32] 시보타,[33] 사지아다,[34] 페르디카,[33] 마르가리티[169] 등이다. 프레베자와 요안니나에도 상당한 참 알바니아인 공동체가 있었다.[35] 정교회 참족은 파나리,[36] 루로스[36] 및 테스프로티코에 거주했다.[36]

20세기 초 차메리아의 알바니아어 사용 지역은 이오니아 해안을 따라 위치했으며, 최북단 지역인 코니스폴을 제외하고 테스프로티아 현의 서부와 프레베자 북부를 포함했다.[37] 현대 그리스 행정 구역으로 보면, 알바니아 지역은 티아미스 및 마르가리티 지방과 파라미티아 및 필리아테스 지방의 최서단 마을을 포함했다. 프레베자 현에서는 파나리 평원과 파르가 주변, 요안니나 현에 위치한 두 정착지를 포함한 아케론 계곡 상류의 마을과 같은 북부 지역을 포함했다.[38]

차메리아 공동체는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의 차메리아에서 추방된 결과로 알바니아, 미국, 터키에 주로 거주하고 있으며, 소수는 여전히 이 지역에 살고 있다.[1]

3. 2. 알바니아

차머리아 공동체는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의 차메리아에서 추방된 결과로 알바니아, 미국, 터키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 소수는 여전히 이 지역에 살고 있다.[1]

무슬림 차메리아인들이 그리스에서 추방된 후, 그들은 알바니아 전역으로 흩어졌다. 무슬림 차메리아인의 대다수는 블로러, 두러스 및 티라나 교외에 정착했다. 수백 명의 차메리아인들은 히마라 해안을 따라 재산을 옮겼고, 보르시와 같은 해안을 따라 있는 기존 마을로 이주하거나, 그리스 국경 근처의 브리나와 같은 완전히 새로운 마을을 건설했다.[2]

3. 3. 디아스포라

차머리아 공동체는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의 차메리아에서 추방된 결과로 알바니아, 미국, 터키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 소수는 여전히 이 지역에 살고 있다.[1] 2007년 미란다 비커스에 따르면 디아스포라에 있는 차머리아인의 수는 40만 명으로 추산된다.[2]

이 디아스포라의 첫 번째 파동은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때 터키로 떠났다. 그들은 이스탄불의 에렌코이와 카르탈 지역[39]뿐만 아니라 부르사 지역의 여러 마을, 특히 무다니아에 정착했다.[3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른 사람들은 이즈미르, 젬리크 및 아이딘에 정착했다.[218] 1944년 이후, 또 다른 사람들은 미국으로 이주했는데,[1] 그들은 주로 시카고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보스턴과 뉴욕 시에도 거주했다.[40]

4. 역사

알바니아인의 기원 참고

역사 기록에서 알바니아인이 민족 집단으로 처음 확실하게 언급된 것은 11세기 후반으로, 중앙 알바니아의 아르바논 거주자로 언급되었다.[42] 이 시기, 에페이로스 지역 내 알바니아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210년 베네치아 문서에 기록되었으며, 코르푸 섬 맞은편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3]

13세기 말과 14세기 초에 알바니아인 인구의 일부가 다양한 이유로 에피루스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4세기 첫 10년 동안, 일부 알바니아 씨족이 에피루스와 테살리아에서 보고되었으며, 주로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용병으로 고용되었다.[45] 1340년대와 1350년대에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는데,[46] 이는 알바니아 부족민들이 중세 세르비아의 성공적인 비잔틴 제국 지역에 대한 군사 작전을 지원했기 때문이다.[47] 이러한 이주 기간 동안, 에피루스에 아르타 전제 공국(1358–1416)과 지로카스트르 공국(1386–1411)과 같은 알바니아계 공국들이 형성되었다.[48] 바게네티아(차메리아/테스프로티아의 중세 이름) 지역은 주로 이탈리아 통치자, 즉 베네치아 공화국 또는 요안니나에 기반을 둔 에페이로스 전제공국의 통제하에 있었다. 당시, 바게네티아의 대표들은 요안니나에서 온 대표단과 함께 세르비아 통치자 시메온 우로스에게 알바니아인의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해 줄 것을 요청했다.[48]

오스만 제국은 민족이 아닌 종교를 기준으로 한 밀레트 제도를 통해 사회를 구성했기 때문에, 차메리아를 포함한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의 학교에서는 터키어와 그리스어로만 교육이 이루어졌다. 기독교 알바니아인은 그리스 학교에, 무슬림 알바니아인은 터키 학교에 다녔지만, 알바니아어 학교는 매우 제한되었다.[65] 오스만 제국 말기, 이 지역의 민족주의 정서는 미약하여 무슬림 알바니아 차미인들은 스스로를 "미슬리만"(무슬림) 또는 "터키인"으로 칭했고, 현지 정교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들은 스스로를 "카우르"(즉 "이교도")라고 칭하며 이 용어를 불쾌하게 여기지 않았다.[66]

알바니아 민족 부흥기 동안, 많은 현지 알바니아인들은 사립, 비인가 알바니아어 학교를 설립했다. 1870년, 파라미티아의 데스포트 그리고리오스는 신약성경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했는데, 이는 그의 추종자들이 그리스어를 잘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67] 1879년에는 사기아다에 아버지 스타티 멜라니가 이 지역 최초의 알바니아 학교를 세웠다. 당시 이 지역은 프리슈티나 동맹의 짧은 통치 아래 있었다.[74]

일부 차미인들은 알바니아 민족 부흥('Rilindja Kombëtare')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여러 차미인들은 독립 알바니아 국가 설립을 목표로 하는 문화 클럽과 애국 단체의 수장이었다.[53] 그중에서도 독립 이전 몇 년 동안 가장 뛰어난 인물로는 아베딘 디노, 오스만 타카, 토마 차미가 있었다.[74]

아베딘 디노는 프리슈티나 동맹(1878)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고, 알바니아 독립의 주요 기여자 중 한 명이었다.[74] 그는 차메리아의 프리슈티나 동맹 대표로 임명되었으며, 요안니나에 지역 동맹 지부를 설립했다. 1881년 동맹이 해산되자 그는 알바니아에서 오스만 군대에 맞서 계속 싸웠다. 그는 페야 동맹 결성에 참여하러 가는 길에 오스만 군에 의해 살해당했다.[74]

당시 활동했던 프리슈티나 동맹의 또 다른 지도자는 오스만 타카였다. 프리슈티나 동맹이 결성되었을 때 그는 프레베자 지역 지부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 1886년 오스만 군대가 프레베자 동맹을 점령하자 오스만 타카도 체포되어 반역죄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1897년 코니스폴에서 처형되었다.[74]

토마 차미는 이 시기 알바니아 문화 부흥의 주요 기여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민족 부흥기의 가장 유명한 문화 클럽인 "바슈키미"의 창립자이자 초대 회장이었다. 그는 또한 알바니아 학교를 위한 최초의 학술 역사서를 저술했지만 독립 선언 전에 사망했다.[74]

베를린 회의가 끝난 1878년 이후, 차메리아의 일부가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 왕국으로 양도되면서 알바니아의 개입이 발생했다. 협상이 시작되기 전에도 오스만 측은 알바니아 민족 지도자들을 사용하여 지연 작전을 펼쳤고, 아베딘 베이 디노를 오스만 외무 장관으로 임명했다.[68] 또한 아베딘 디노는 알바니아 전역과 에피루스에서 온 다양한 알바니아 인물들을 프레베자에 모았다.[69] 이들은 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 운동을 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믿었고, 에피루스의 그리스 병합에 반대했다.[70][71][72][73] 그들은 1879년 1월에 프레베자 회의를 열었고,[74] 1879년 2월 28일에는 프레베자의 그리스 병합을 막기 위해 무기를 들겠다는 위협이 담긴 청원에 서명했다.[75] 압뒬 프라셰리를 비롯한 또 다른 알바니아 민족 지도자가 주도한 소요 사태로 인해 현지 오스만 총독이 소환되었다.[76] 아베딘 디노도 프레베자에서 소환되었고, 최근 도착한 알바니아인들은 도시를 떠나 고향으로 돌아갔다.[77]

1907년 1월, 당시 알바니아 민족 운동의 저명한 지도자인 이스마일 케말과 그리스 정부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한 동맹 가능성에 대한 비밀 협정을 맺었다. 이에 따르면 양측은 미래의 그리스-알바니아 국경을 아크로케라우니아 산맥에 위치시키기로 합의하여 차메리아를 그리스에 귀속시켰다.[78][79] 협정의 일환으로 케말은 그리스 당국에 알바니아 운동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고, 그리스 측은 아크로케라우니아 산맥 이남에서 무장 알바니아 활동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이에 동의했다.[80] 이 시기 케말이 그리스와의 긴밀한 관계를 맺으려 한 이유는 발칸 지역에서 불가리아의 야망을 좌절시키고 알바니아 독립에 대한 지원을 얻기 위해서였다.[81]

오스만 제국의 패배가 임박하고 그리스군이 이 지역에 도착하기 전에 무슬림 차미인과 라브인 무장 부대가 프레베자 인근 3개 마을(츠우카, 글리키, 포타미아), 테스프로티아 4개 마을(알포호리, 마놀리아사, 케라미차, 포르토피아)을 비롯하여 요안니나, 사란데, 델비나 지역의 여러 마을을 불태웠다. 이러한 행동으로 많은 마을 사람들이 인근 코르푸 섬으로 피신했다.[82] 현지 정교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은 무슬림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이웃들의 민족적 이상을 공유하지 않았고, 오히려 그리스 지향적이었으며 스스로를 그리스인으로 인식했다.[83]

이 기간 동안 테스프로티아와 나중에 알바니아의 일부가 된 인접 지역의 알바니아어 사용 지역은 그리스 국가와 그리스인으로 자처하는 에피루스의 기독교인 모두에게 골칫거리로 여겨졌다.[84] 비(非) 그리스어 요인은 그리스의 영토 야망에 걸림돌이 되었다.[85]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정책이 시행되었다. 첫 번째는 그리스 역사가와 정치인들이 이 지역 내 알바니아어의 존재를 은폐하기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이다.[86] 두 번째는 현지 주민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그들의 민족적 소속과 무관하다는 주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87] 당시 그리스에서 널리 퍼져 있던 이데올로기에 따르면 모든 정교 기독교인은 그리스인으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1913년 이후 그리스가 "북 에피루스"로 간주한 남부 알바니아 지역의 무슬림은 알바니아인으로 간주되었다.[88] 이 지역이 그리스에 편입되면서 이러한 담론적 정책과 함께 실제적 정책도 계속되었다.[89] 이는 상당수의 알바니아 무슬림 인구가 그리스 국가에 실제적인 문제로 여겨졌고, 따라서 어떤 친(親)알바니아 운동이라도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제거해야 했기 때문이다.[90]

1912년 알바니아 독립이 선포되었을 때 차미인들은 블로라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차메리아 출신 4명과 요안니나 출신 2명의 대표가 회의에 참석했으며, 그들 모두 독립을 지지했다. 그들은 마르가리티 출신 야쿱 베셀리, 요안니나 출신 크리스토 멕시와 아리스티드 루치, 필리아테스 출신 레젭 데미, 이구메니차 출신 벨리 게르라, 파라미티아 출신 아지스 타히르 아이도나티였다.[270] 그리스 외무부가 1908년부터 1911년까지 수집한 정보에 따르면, 파라미티아, 마르가리티, 프레베자 지역의 무슬림 차미 공동체는 오스만 행정부를 지지하고 오스만 민족 정체성을 공유했지만, 어느 정도 알바니아 민족 운동을 옹호했다.[91] 특히 프레베자 산자크에서는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이 당시 알바니아 민족 운동에 관한 아이디어를 받아들였다. 그중에서도 다른 곳에서 온 대지주와 공무원들은 현지 그리스인들에게 적대적이었고 그들을 박해했다. 또한 그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오스만 제국의 지정학적 이익과 관련한 공식적인 재정착 정책으로 인해 이 지역 내 무슬림 알바니아인의 비율이 장기간에 걸쳐 증가했다.[92][93]

4. 1. 중세 시대 (1434년 이전)

알바니아인의 기원 참고

역사 기록에서 알바니아인이 민족 집단으로 처음 확실하게 언급된 것은 11세기 후반으로, 중앙 알바니아의 아르바논 거주자로 언급되었다.[42] 이 시기, 에페이로스 지역 내 알바니아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210년 베네치아 문서에 기록되었으며, 코르푸 섬 맞은편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3]

13세기 말과 14세기 초에 알바니아인 인구의 일부가 다양한 이유로 에피루스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4세기 첫 10년 동안, 일부 알바니아 씨족이 에피루스와 테살리아에서 보고되었으며, 주로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용병으로 고용되었다.[45] 1340년대와 1350년대에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는데,[46] 이는 알바니아 부족민들이 중세 세르비아의 성공적인 비잔틴 제국 지역에 대한 군사 작전을 지원했기 때문이다.[47] 이러한 이주 기간 동안, 에피루스에 아르타 전제 공국(1358–1416)과 지로카스트르 공국(1386–1411)과 같은 알바니아계 공국들이 형성되었다.[48] 바게네티아(차메리아/테스프로티아의 중세 이름) 지역은 주로 이탈리아 통치자, 즉 베네치아 공화국 또는 요안니나에 기반을 둔 에페이로스 전제공국의 통제하에 있었다. 당시, 바게네티아의 대표들은 요안니나에서 온 대표단과 함께 세르비아 통치자 시메온 우로스에게 알바니아인의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해 줄 것을 요청했다.[48]

4. 2. 오스만 제국 통치 (1434–1912)

오스만 제국은 민족이 아닌 종교를 기준으로 한 밀레트 제도를 통해 사회를 구성했기 때문에, 차메리아를 포함한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의 학교에서는 터키어와 그리스어로만 교육이 이루어졌다. 기독교 알바니아인은 그리스 학교에, 무슬림 알바니아인은 터키 학교에 다녔지만, 알바니아어 학교는 매우 제한되었다.[65] 오스만 제국 말기, 이 지역의 민족주의 정서는 미약하여 무슬림 알바니아 차미인들은 스스로를 "미슬리만"(무슬림) 또는 "터키인"으로 칭했고, 현지 정교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들은 스스로를 "카우르"(즉 "이교도")라고 칭하며 이 용어를 불쾌하게 여기지 않았다.[66] 알바니아 민족 부흥기 동안, 많은 현지 알바니아인들은 사립, 비인가 알바니아어 학교를 설립했다. 1870년, 파라미티아의 데스포트 그리고리오스는 신약성경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했는데, 이는 그의 추종자들이 그리스어를 잘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67] 1879년에는 사기아다에 아버지 스타티 멜라니가 이 지역 최초의 알바니아 학교를 세웠다. 당시 이 지역은 프리슈티나 동맹의 짧은 통치 아래 있었다.[74]

일부 차미인들은 알바니아 민족 부흥('Rilindja Kombëtare')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여러 차미인들은 독립 알바니아 국가 설립을 목표로 하는 문화 클럽과 애국 단체의 수장이었다.[53] 그중에서도 독립 이전 몇 년 동안 가장 뛰어난 인물로는 아베딘 디노, 오스만 타카, 토마 차미가 있었다.[74]

아베딘 디노는 프리슈티나 동맹(1878)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고, 알바니아 독립의 주요 기여자 중 한 명이었다.[74] 그는 차메리아의 프리슈티나 동맹 대표로 임명되었으며, 요안니나에 지역 동맹 지부를 설립했다. 1881년 동맹이 해산되자 그는 알바니아에서 오스만 군대에 맞서 계속 싸웠다. 그는 페야 동맹 결성에 참여하러 가는 길에 오스만 군에 의해 살해당했다.[74]

당시 활동했던 프리슈티나 동맹의 또 다른 지도자는 오스만 타카였다. 프리슈티나 동맹이 결성되었을 때 그는 프레베자 지역 지부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 1886년 오스만 군대가 프레베자 동맹을 점령하자 오스만 타카도 체포되어 반역죄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1897년 코니스폴에서 처형되었다.[74]

토마 차미는 이 시기 알바니아 문화 부흥의 주요 기여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민족 부흥기의 가장 유명한 문화 클럽인 "바슈키미"의 창립자이자 초대 회장이었다. 그는 또한 알바니아 학교를 위한 최초의 학술 역사서를 저술했지만 독립 선언 전에 사망했다.[74]

베를린 회의가 끝난 1878년 이후, 차메리아의 일부가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 왕국으로 양도되면서 알바니아의 개입이 발생했다. 협상이 시작되기 전에도 오스만 측은 알바니아 민족 지도자들을 사용하여 지연 작전을 펼쳤고, 아베딘 베이 디노를 오스만 외무 장관으로 임명했다.[68] 또한 아베딘 디노는 알바니아 전역과 에피루스에서 온 다양한 알바니아 인물들을 프레베자에 모았다.[69] 이들은 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 운동을 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믿었고, 에피루스의 그리스 병합에 반대했다.[70][71][72][73] 그들은 1879년 1월에 프레베자 회의를 열었고,[74] 1879년 2월 28일에는 프레베자의 그리스 병합을 막기 위해 무기를 들겠다는 위협이 담긴 청원에 서명했다.[75] 압뒬 프라셰리를 비롯한 또 다른 알바니아 민족 지도자가 주도한 소요 사태로 인해 현지 오스만 총독이 소환되었다.[76] 아베딘 디노도 프레베자에서 소환되었고, 최근 도착한 알바니아인들은 도시를 떠나 고향으로 돌아갔다.[77]

1907년 1월, 당시 알바니아 민족 운동의 저명한 지도자인 이스마일 케말과 그리스 정부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한 동맹 가능성에 대한 비밀 협정을 맺었다. 이에 따르면 양측은 미래의 그리스-알바니아 국경을 아크로케라우니아 산맥에 위치시키기로 합의하여 차메리아를 그리스에 귀속시켰다.[78][79] 협정의 일환으로 케말은 그리스 당국에 알바니아 운동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고, 그리스 측은 아크로케라우니아 산맥 이남에서 무장 알바니아 활동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이에 동의했다.[80] 이 시기 케말이 그리스와의 긴밀한 관계를 맺으려 한 이유는 발칸 지역에서 불가리아의 야망을 좌절시키고 알바니아 독립에 대한 지원을 얻기 위해서였다.[81]

오스만 제국의 패배가 임박하고 그리스군이 이 지역에 도착하기 전에 무슬림 차미인과 라브인 무장 부대가 프레베자 인근 3개 마을(츠우카, 글리키, 포타미아), 테스프로티아 4개 마을(알포호리, 마놀리아사, 케라미차, 포르토피아)을 비롯하여 요안니나, 사란데, 델비나 지역의 여러 마을을 불태웠다. 이러한 행동으로 많은 마을 사람들이 인근 코르푸 섬으로 피신했다.[82] 현지 정교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은 무슬림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이웃들의 민족적 이상을 공유하지 않았고, 오히려 그리스 지향적이었으며 스스로를 그리스인으로 인식했다.[83]

이 기간 동안 테스프로티아와 나중에 알바니아의 일부가 된 인접 지역의 알바니아어 사용 지역은 그리스 국가와 그리스인으로 자처하는 에피루스의 기독교인 모두에게 골칫거리로 여겨졌다.[84] 비(非) 그리스어 요인은 그리스의 영토 야망에 걸림돌이 되었다.[85]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정책이 시행되었다. 첫 번째는 그리스 역사가와 정치인들이 이 지역 내 알바니아어의 존재를 은폐하기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이다.[86] 두 번째는 현지 주민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그들의 민족적 소속과 무관하다는 주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87] 당시 그리스에서 널리 퍼져 있던 이데올로기에 따르면 모든 정교 기독교인은 그리스인으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1913년 이후 그리스가 "북 에피루스"로 간주한 남부 알바니아 지역의 무슬림은 알바니아인으로 간주되었다.[88] 이 지역이 그리스에 편입되면서 이러한 담론적 정책과 함께 실제적 정책도 계속되었다.[89] 이는 상당수의 알바니아 무슬림 인구가 그리스 국가에 실제적인 문제로 여겨졌고, 따라서 어떤 친(親)알바니아 운동이라도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제거해야 했기 때문이다.[90]

1912년 알바니아 독립이 선포되었을 때 차미인들은 블로라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차메리아 출신 4명과 요안니나 출신 2명의 대표가 회의에 참석했으며, 그들 모두 독립을 지지했다. 그들은 마르가리티 출신 야쿱 베셀리, 요안니나 출신 크리스토 멕시와 아리스티드 루치, 필리아테스 출신 레젭 데미, 이구메니차 출신 벨리 게르라, 파라미티아 출신 아지스 타히르 아이도나티였다.[270] 그리스 외무부가 1908년부터 1911년까지 수집한 정보에 따르면, 파라미티아, 마르가리티, 프레베자 지역의 무슬림 차미 공동체는 오스만 행정부를 지지하고 오스만 민족 정체성을 공유했지만, 어느 정도 알바니아 민족 운동을 옹호했다.[91] 특히 프레베자 산자크에서는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이 당시 알바니아 민족 운동에 관한 아이디어를 받아들였다. 그중에서도 다른 곳에서 온 대지주와 공무원들은 현지 그리스인들에게 적대적이었고 그들을 박해했다. 또한 그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오스만 제국의 지정학적 이익과 관련한 공식적인 재정착 정책으로 인해 이 지역 내 무슬림 알바니아인의 비율이 장기간에 걸쳐 증가했다.[92][93]

4. 2. 1. 알바니아 민족 부흥 (1870년대–1912)

오스만 제국은 민족이 아닌 종교를 기준으로 한 밀레트 제도를 통해 사회를 구성했기 때문에, 차메리아를 포함한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의 학교에서는 터키어와 그리스어로만 교육이 이루어졌다. 기독교 알바니아인은 그리스 학교에, 무슬림 알바니아인은 터키 학교에 다녔지만, 알바니아어 학교는 매우 제한되었다.[65] 오스만 제국 말기, 이 지역의 민족주의 정서는 미약하여 무슬림 알바니아 차미인들은 스스로를 "미슬리만"(무슬림) 또는 "터키인"으로 칭했고, 현지 정교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들은 스스로를 "카우르"(즉 "이교도")라고 칭하며 이 용어를 불쾌하게 여기지 않았다.[66] 알바니아 민족 부흥기 동안, 많은 현지 알바니아인들은 사립, 비인가 알바니아어 학교를 설립했다. 1870년, 파라미티아의 데스포트 그리고리오스는 신약성경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했는데, 이는 그의 추종자들이 그리스어를 잘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67] 1879년에는 사기아다에 아버지 스타티 멜라니가 이 지역 최초의 알바니아 학교를 세웠다. 당시 이 지역은 프리슈티나 동맹의 짧은 통치 아래 있었다.[74]

일부 차미인들은 알바니아 민족 부흥('Rilindja Kombëtare')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여러 차미인들은 독립 알바니아 국가 설립을 목표로 하는 문화 클럽과 애국 단체의 수장이었다.[53] 그중에서도 독립 이전 몇 년 동안 가장 뛰어난 인물로는 아베딘 디노, 오스만 타카, 토마 차미가 있었다.[74]

아베딘 디노는 프리슈티나 동맹(1878)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고, 알바니아 독립의 주요 기여자 중 한 명이었다.[74] 그는 차메리아의 프리슈티나 동맹 대표로 임명되었으며, 요안니나에 지역 동맹 지부를 설립했다. 1881년 동맹이 해산되자 그는 알바니아에서 오스만 군대에 맞서 계속 싸웠다. 그는 페야 동맹 결성에 참여하러 가는 길에 오스만 군에 의해 살해당했다.[74]

당시 활동했던 프리슈티나 동맹의 또 다른 지도자는 오스만 타카였다. 프리슈티나 동맹이 결성되었을 때 그는 프레베자 지역 지부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 1886년 오스만 군대가 프레베자 동맹을 점령하자 오스만 타카도 체포되어 반역죄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1897년 코니스폴에서 처형되었다.[74]

토마 차미는 이 시기 알바니아 문화 부흥의 주요 기여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민족 부흥기의 가장 유명한 문화 클럽인 "바슈키미"의 창립자이자 초대 회장이었다. 그는 또한 알바니아 학교를 위한 최초의 학술 역사서를 저술했지만 독립 선언 전에 사망했다.[74]

베를린 회의가 끝난 1878년 이후, 차메리아의 일부가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 왕국으로 양도되면서 알바니아의 개입이 발생했다. 협상이 시작되기 전에도 오스만 측은 알바니아 민족 지도자들을 사용하여 지연 작전을 펼쳤고, 아베딘 베이 디노를 오스만 외무 장관으로 임명했다.[68] 또한 아베딘 디노는 알바니아 전역과 에피루스에서 온 다양한 알바니아 인물들을 프레베자에 모았다.[69] 이들은 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 운동을 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믿었고, 에피루스의 그리스 병합에 반대했다.[70][71][72][73] 그들은 1879년 1월에 프레베자 회의를 열었고,[74] 1879년 2월 28일에는 프레베자의 그리스 병합을 막기 위해 무기를 들겠다는 위협이 담긴 청원에 서명했다.[75] 압뒬 프라셰리를 비롯한 또 다른 알바니아 민족 지도자가 주도한 소요 사태로 인해 현지 오스만 총독이 소환되었다.[76] 아베딘 디노도 프레베자에서 소환되었고, 최근 도착한 알바니아인들은 도시를 떠나 고향으로 돌아갔다.[77]

1907년 1월, 당시 알바니아 민족 운동의 저명한 지도자인 이스마일 케말과 그리스 정부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한 동맹 가능성에 대한 비밀 협정을 맺었다. 이에 따르면 양측은 미래의 그리스-알바니아 국경을 아크로케라우니아 산맥에 위치시키기로 합의하여 차메리아를 그리스에 귀속시켰다.[78][79] 협정의 일환으로 케말은 그리스 당국에 알바니아 운동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고, 그리스 측은 아크로케라우니아 산맥 이남에서 무장 알바니아 활동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이에 동의했다.[80] 이 시기 케말이 그리스와의 긴밀한 관계를 맺으려 한 이유는 발칸 지역에서 불가리아의 야망을 좌절시키고 알바니아 독립에 대한 지원을 얻기 위해서였다.[81]

오스만 제국의 패배가 임박하고 그리스군이 이 지역에 도착하기 전에 무슬림 차미인과 라브인 무장 부대가 프레베자 인근 3개 마을(츠우카, 글리키, 포타미아), 테스프로티아 4개 마을(알포호리, 마놀리아사, 케라미차, 포르토피아)을 비롯하여 요안니나, 사란데, 델비나 지역의 여러 마을을 불태웠다. 이러한 행동으로 많은 마을 사람들이 인근 코르푸 섬으로 피신했다.[82] 현지 정교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은 무슬림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이웃들의 민족적 이상을 공유하지 않았고, 오히려 그리스 지향적이었으며 스스로를 그리스인으로 인식했다.[83]

이 기간 동안 테스프로티아와 나중에 알바니아의 일부가 된 인접 지역의 알바니아어 사용 지역은 그리스 국가와 그리스인으로 자처하는 에피루스의 기독교인 모두에게 골칫거리로 여겨졌다.[84] 비(非) 그리스어 요인은 그리스의 영토 야망에 걸림돌이 되었다.[85]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정책이 시행되었다. 첫 번째는 그리스 역사가와 정치인들이 이 지역 내 알바니아어의 존재를 은폐하기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이다.[86] 두 번째는 현지 주민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그들의 민족적 소속과 무관하다는 주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87] 당시 그리스에서 널리 퍼져 있던 이데올로기에 따르면 모든 정교 기독교인은 그리스인으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1913년 이후 그리스가 "북 에피루스"로 간주한 남부 알바니아 지역의 무슬림은 알바니아인으로 간주되었다.[88] 이 지역이 그리스에 편입되면서 이러한 담론적 정책과 함께 실제적 정책도 계속되었다.[89] 이는 상당수의 알바니아 무슬림 인구가 그리스 국가에 실제적인 문제로 여겨졌고, 따라서 어떤 친(親)알바니아 운동이라도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제거해야 했기 때문이다.[90]

1912년 알바니아 독립이 선포되었을 때 차미인들은 블로라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차메리아 출신 4명과 요안니나 출신 2명의 대표가 회의에 참석했으며, 그들 모두 독립을 지지했다. 그들은 마르가리티 출신 야쿱 베셀리, 요안니나 출신 크리스토 멕시와 아리스티드 루치, 필리아테스 출신 레젭 데미, 이구메니차 출신 벨리 게르라, 파라미티아 출신 아지스 타히르 아이도나티였다.[270] 그리스 외무부가 1908년부터 1911년까지 수집한 정보에 따르면, 파라미티아, 마르가리티, 프레베자 지역의 무슬림 차미 공동체는 오스만 행정부를 지지하고 오스만 민족 정체성을 공유했지만, 어느 정도 알바니아 민족 운동을 옹호했다.[91] 특히 프레베자 산자크에서는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이 당시 알바니아 민족 운동에 관한 아이디어를 받아들였다. 그중에서도 다른 곳에서 온 대지주와 공무원들은 현지 그리스인들에게 적대적이었고 그들을 박해했다. 또한 그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오스만 제국의 지정학적 이익과 관련한 공식적인 재정착 정책으로 인해 이 지역 내 무슬림 알바니아인의 비율이 장기간에 걸쳐 증가했다.[92][93]

4. 3. 현대사

4. 3. 1.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그리스 통치 초기 (1913–1923)

발칸 전쟁(1912–1913)이 시작되자 무슬림 차머리아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군대의 일원으로 싸우는 것을 꺼렸다.[94] 그럼에도 랩과 차머리아의 대부분의 베이들은 그리스군에 대항하여 불규칙적인 무장 단체를 결성, 파라미티아, 파나리, 필리아테스 지역의 여러 마을을 불태웠다. 반면 마르가리티의 일부 베이들은 싸우기를 꺼리고 오스만 제국 내의 일반적인 무정부 상태로 인해 그리스의 통치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었다.[95] 지역 기독교인들은 그리스군의 일원으로 징집되었다. 그리스군이 이 지역에 대한 통제를 확보한 지 며칠 만에 델리지아나키스와 스피로스 포티스 사령관 휘하의 그리스 크레타 준군사 조직이 그리스 국가에 충성을 맹세하기 위해 모인 파라미티아의 차머리아 명사 75명을 살해했다.[97] 그리스군에 의한 이 지역 내의 잔혹 행위 발생은 주로 알바니아 측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이러한 사건은 그리스 정부 관리들에 의해 간접적으로, 하지만 명확하게 언급되었다.[96] 몇 달 후, 더 많은 차머리아 명사들이 그리스 당국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 지역의 이탈리아 외교관들은 내부 서신에서 이것이 알바니아 민족 이데올로기를 더 넓은 인구에 전파하는 역할을 했던 엘리트 계급을 제거함으로써 이 지역에서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의 영향력을 끝내기 위해 사용된 전술이라고 언급했다.[97]

발칸 전쟁에서 오스만 군대가 패배한 후, 국제 경계 위원회는 에피루스 지역의 북부 에피루스를 알바니아 공국에, 남부를 그리스 왕국에 할당하여 국경 양쪽에 그리스 및 알바니아 소수 민족 지역을 남겨두었다. 차머리아인들이 거주하는 대부분의 지역은 몇몇 마을을 제외하고 그리스에 할당되었다.[98] 발칸 전쟁이 끝난 후, 그리스 당국은 알바니아 임시 정부와 이탈리아의 지원을 받는 반그리스 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고 의심하고 주민들의 무장을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알바니아 대표들은 차머리아 대표들의 암살과 박해를 그리스를 비난했다. 이러한 비난은 그리스 정부에 의해 거부되었다.[99] 1915년 12월 그리스 입법 선거에서,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정당이 선언한 일반적인 보이콧으로 인해 프레베자 선거구의 세 명의 국회의원 중 두 명이 무슬림 차머리아인이었다: 알리 디노와 무슬리 에민 라미즈.[100] 차머리아인에 대한 박해는 발칸 전쟁 때보다 작은 규모로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계속되었다. 주로 이전 카자였던 필리아테스와 파라미티아의 많은 마을이 불에 탔다.[97]

남부 에피루스가 최종적으로 그리스에 편입된 후, 차머리아인들은 아테네 평화 조약의 네 번째 조항에 따라 그리스 국적과 터키 국적 중에서 선택할 권리가 있었다.[101][102] 전간기 동안 무슬림 차머리아 공동체는 지역 종교적 소속감 이상으로 그들의 국적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103] 결국, 차머리아인들은 터키 국적 대신 그리스 국적을 선택했다. 이 조약은 세 번째 조항에 따라 종교적 소수 민족에게는 특별한 권리를 부여했지만, 민족적 소수 민족에게는 부여하지 않았다.[104] 당시 그리스의 소수 민족 정책에 따라 정교회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그리스인과 함께 계산되었고, 무슬림 차머리아인들은 인구 조사에서 종교적 소수 민족으로 계산되었다.[238] 알바니아 정부는 차머리아인들이 그리스 당국에 의해 차별을 받는다고 불만을 제기했지만, 이 시기에 직접적인 국가적 박해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105]

이 기간 동안 무슬림 차머리아 베이들은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누렸던 정치적 권력을 잃었지만, 잠시 동안 경제적 영향력을 유지했다.[106] 인구의 무슬림 부분은 그리스 당국과 이 지역에서 인정받은 지역 무프티의 ''고유의'' 통치를 받았다.[107] 에피루스 지역에는 요안니나, 파라미티아, 필리아테스, 마르가리티, 이구메니차, 파르가, 프레베자, 사기아다 및 테스프로티코의 무프티가 있었다.[108] 곧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그리스 당국은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재산 소유주의 토지 권리에 상당한 제한을 가했다. 또한 무슬림 지주의 대규모 토지를 겨냥한 새로운 세금 제도가 시행되었고, 그리스의 전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차머리아 재산에 대규모 곡물 몰수가 다시 사용되었다. 이는 기아와 이 지역에서 수십 명의 사망자를 초래했다. 이탈리아 국방부 장관에게 보낸 이탈리아 장군 위원의 군사 보고서에 따르면 1917년 7월부터 그리스 당국의 에피루스 통치로 인해 3,000명 이상의 차머리아인들이 이스탄불과 아나톨리아로 피난을 가야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09]

4. 3. 2. 인구 교환 및 재산 몰수 (1923–1926)

그리스-터키 전쟁이 끝난 후, 그리스와 터키는 로잔 조약을 체결하고 인구 교환을 진행했다. 이 조약은 종교를 국적의 기준으로 삼아 무슬림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도 인구 교환 대상에 포함시켰다.[110]

그리스 정부는 차메리아인을 터키로 보내거나 알바니아의 그리스 소수 민족과 교환하려 했으나, 알바니아는 후자를 거부했다.[39] 1923년 1월, 그리스는 공식적으로 "알바니아 출신 무슬림을 교환할 의사가 없다"고 선언했다.[111] 그러나 알바니아는 예외를 요청했고,[103] 대다수의 무슬림 차메리아인들은 자신들의 민족적 기원보다 종교적 소속을 우선시했다.[2][39] 그리스는 차메리아인을 안보 위협으로 간주하고, 터키 이주를 강요했다.[112]

1924년 5월, 국제 연맹 대표단은 현지 무프티들의 지지를 받아 차메리아인 대다수가 터키 출신이며 교환을 원한다고 결론내렸다.[113][114][115] 그러나 이탈리아와 알바니아의 압력으로, 그리스는 1925년에 무슬림 차메리아인이 교환 대상이 아님을 인정했다.[39]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는 알바니아 출생자나 그 아버지가 알바니아 출생인 사람만 그리스에 남을 수 있도록 허용하여, 진정한 차메리아인은 제외되었다.[238] 알바니아는 그리스가 차메리아인의 삶을 "견딜 수 없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198]

많은 차메리아 알바니아인이 터키로 보내졌다. 국제 연맹은 강제 교환 금지 후에도 2,993명의 무슬림 차메리아인이 터키인으로 간주되어 추방되었다고 추산했다.[118][119][120] 이들은 이스탄불과 부르사에 정착했으며, 주로 이오아니나, 프레베자 출신이었다.[35] 약 16,000명의 그리스 난민이 에피루스에 정착했다.[236]

무슬림 차메리아인들은 부대 토지 증서 없이 광대한 토지를 소유했다. 로잔 조약에 따라 이 토지의 일부는 징발되어 난민에게 제공되었다. 차메리아인은 보상을 요구했지만, 그리스와 국제 연맹은 거부했다.[198] 1923년에서 1937년 사이, 무슬림 차메리아인의 재산 몰수를 위한 법률이 통과되었다.[238] 그리스는 인구 교환에서 면제된 무슬림 시민 또는 외국인 소유 재산을 우선 몰수했다.[123] 알바니아는 국제 연맹에 보고했고, 분쟁의 일부는 알바니아 지주의 지위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 알바니아 지주들은 인근 마을에서 수입을 얻었으나, 그리스령이 된 후 농민들은 세금 지불을 거부했다.[103]

1923년 2월 15일, 첫 번째 법은 무슬림 차메리아인의 토지와 별장을 몰수하여 그리스 난민과 토지 없는 농부에게 제공했다. 보상은 1914년 시장 가격보다 낮았다.[238] 파라미티아, 드라구미, 필리아테스 등지의 알바니아인들은 청원을 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123] 이 법은 국제 연맹에 보고되었으나, 1928년 6월 알바니아 청원은 기각되었다.[103][238] 알바니아는 차별 혐의로 대응했으나, 그리스는 몰수 정책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고 밝혔다.[124]

1922-1926년, 그리스 정부는 난민 정착을 차메리아인 압박 도구로 사용했다.[125] 난민들은 차메리아 무슬림의 집에 정착했고, 일부는 토지를 팔고 토지 없는 상태가 되었다.[126] 무슬림 차메리아인은 "교환 가능"으로 분류되어 토지 임대, 판매, 경작 권리가 제한되어 재정적으로 파탄났다.[127] 1925년, 그리스는 특별 작전을 통해 국외로 떠나도록 설득했다.[129] 1926년에야 무슬림 차메리아인은 교환 대상이 아니라고 결정되었고, 난민 대부분은 다른 지역으로 재정착했다.[134][130] 소수의 소아시아 그리스 난민만이 필리아테스, 마르가리티, 파라미티아에 재정착했다.[131]

1926년 이후, 난민이 재정착하면서 그리스는 토지 개혁과 몰수를 신중하게 시행했다.[124] 1928년, 알바니아인들은 재산 소유권, 몰수, 반환, 사회 정치적 대표성, 군 징집 문제를 제기했다. 국제 연맹은 몰수된 토지 반환 또는 (재)보상 문제를 양자 협상으로 이관하고, 다른 문제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규정했다. 국제 연맹의 결정은 그리스 입장을 옹호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132]

1945년, 레지날드 리퍼 영국 대사는 그리스인들이 코르푸 폭격 및 점령의 구실이 된 엔리코 텔리니 살해에 대해 차메리아 알바니아인을 비난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133]

4. 3. 3. 판갈로스 정권 (1926)

테오도로스 판갈로스


알바니아계에 우호적인 것으로 알려진 아르바나이트 장군이 그리스의 총리가 되면서 참족의 운명에 예상치 못한 변화가 일어났다. 1925년 6월 24일, 정치적 불안정이 국가를 위험에 빠뜨릴 것을 우려한 장교 그룹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부를 전복시켰고, 그들의 지도자인 테오도로스 판갈로스가 독재 정부의 수장이 되었다. 그의 외교 정책의 주요 우선순위는 알바니아와의 좋은 관계를 구축하고 그리스 내의 참족과 알바니아 내의 그리스인 등 양쪽 소수 민족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1926년 이후 참족 알바니아인들을 터키로 보내는 것을 공식적으로 중단하여 인구 교환을 종식시켰다. 그는 또한 소아시아 난민들이 원래 결정되었듯이 차머리아가 아닌 서트라키에 정착하도록 결정했다.[134]

판갈로스는 알바니아어를 구사했으며, 자신의 알바니아인 혈통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선언했다.[135] 알바니아와의 좋은 관계를 구축하려는 그의 우선순위는 두 정부 간의 네 가지 협정으로 곧 구체화되었으며, 여기에는 소아시아에서 온 그리스 난민이 그 지역에 정착하기 전인 1926년 이전의 참족 재산 몰수 문제가 포함되었다. 이 협정은 참족이 외국 시민 또는 그리스계 민족만큼 "최소한" 보상을 받을 것이라고 명시했다.[108] 그는 또한 공개 성명에서 참족이 소수 민족임을 인정하고 그 지역에 알바니아 학교를 열겠다고 약속했다.[134][136] 그러나 몇 달 후 그는 전복되었고 그의 친참족 정책은 즉시 폐지되었다.[134]

4. 3. 4. 차별과 정상화 (1927–1936)

테오도로스 판갈로스 정권이 무너진 후에도 차메리아인에 대한 차별은 계속되었다.[169] 1926년,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들은 알리 디노가 창당한 차메리아 정당을 통해 독자적인 정치 활동을 시도했으나, 큰 지지를 얻지 못했다.[137]

1927년 그리스 정부는 파르가, 프레베자, 사기아다, 테스프로티코의 무프티를 폐지했다.[108] 또한, 그리스를 떠나는 무슬림 차메리아인과 기타 소수 민족의 그리스 시민권을 박탈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1927년 법령에 따르면, 비(非) 그리스계 그리스인("''allogeneis''")은 국외로 떠날 경우 시민권을 잃을 수 있었다.[138] 이는 민족적 소속에 근거한 차별로, 차메리아인 등을 그리스 사회에서 법적으로 배제하는 조치였다.[138]

1929년 국제 연맹은 그리스에 알바니아어 학교 설립을 요청했다. 그러나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총리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도 이 지역에 알바니아 학교가 없었다는 이유로 거부했다.[136] 국제 연맹의 압력으로 그리스는 필리아테스, 이구메니차, 파라미티아, 사기아다에 4개의 이중 언어 초등학교 설립을 발표했지만, 알바니아어는 처음 세 학년에서만 가르쳐질 예정이었다.[139] 알바니아는 차메리아의 주요 마을에 15개의 알바니아어 학교 설립을 요청했지만, 그리스는 거부했다.[140] 협상 끝에 1935년, 알바니아는 그리스 제안을 수락하고 알바니아 내 그리스인들을 위한 사립 학교 설립을 허용하는 협정을 체결했지만, 이오아니스 메탁사스의 쿠데타로 이 협정은 무효화되었다.[139]

그리스 정부는 차메리아 알바니아인의 재산 문제 해결도 시도했다. 1928년 베니젤로스 정부는 차메리아인에게 다른 그리스 시민과 동등하게 보상하는 협정에서 철회했다.[136] 1930년과 1931년에 무슬림 공동체에 더 많은 보상을 제공하는 법률이 통과되었지만, 다른 그리스 시민만큼은 아니었다.[136] 그리스인이 정착하지 않은 토지의 일부가 반환되기도 했지만, 메탁사스 정권 수립으로 제한적으로 시행되었다.[238] 차메리아 공동체 구성원들은 토지 몰수로 인해 차별을 받았다.[141]

이 기간 동안 테스프로티아, 프레베자, 이오아니나에서 100개 이상의 마을 이름이 변경되었다.[51][142] 1913년에 이미 많은 이름이 변경되었고, 1928년과 1929년에 대부분의 마을과 도시는 그리스어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1950년대에는 남아있는 알바니아어 또는 터키어 이름이 최종적으로 그리스어로 개명되는 ''헬레니즘화'' 기간이 있었다.[51]

1930년 9월, 알바니아는 차메리아 소수 민족과 알바니아 내 그리스 소수 민족 교환을 제안했다. 알바니아의 조그 1세는 양국 간 차이점 해결을 위해 노력했지만, 그리스는 알바니아가 그리스 소수 민족을 강제 추방할 것을 우려하여 거부했다.[143][144]

베니젤로스 정부(1928–1932)는 차메리아 공동체의 경제적, 사회적 개선 조치를 취했다. 1931년에는 부당하게 몰수된 도시 재산을 반환하는 법률이 통과되었다.[145] 1930년 4월, 국제 연맹은 불법 몰수 주장을 들었고, 그리스는 테스프로티아 내 재산이 농지 법률에서 면제된다는 특별법을 통과시켰다.[146] 그러나 그리스 당국은 강경 정책으로 무슬림 차메리아 인구를 터키로 이주시키려 했고, 알바니아로의 이주는 억제하거나 금지했다.[147] 1930년대까지 무슬림 차메리아인들은 그리스에서 적대적인 인구로 간주되었다.[148]

4. 3. 5. 메탁사스 정권 하의 억압 (1936–1940)

독재 정권 시기인 1936년부터 1941년까지 그리스의 총리 이오아니스 메탁사스가 집권하면서 차메리아 알바니아인에 대한 가장 가혹한 차별이 발생했다.[106][153][149] 그의 정권은 민족주의적 성격을 띠었고, 그리스 내 모든 소수 민족에게 이러한 성격이 강요되었다. 슬라브어 사용 인구, 아로마니아인, 로마인과 마찬가지로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은 집 밖에서 자국어 사용이 금지되었다.[150] 학교나 군대에서 알바니아어를 사용한 사람들은 신체적인 처벌을 받거나 굴욕을 당했다.[150] 그리스어가 학교에서 강요되었고, 그리스어를 모르는 노인들은 그리스어를 읽고, 쓰고, 심지어 말하는 법을 배우기 위해 야간 학교에 다녀야 했다.[150] 한편, 그리스어의 부재 또는 인구 통계학적 중요성 때문에 그리스 교육은 일부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 마을에 유치원을 설립하여 확대되었다.[151]

1936년, 그리스 정부는 차메 무슬림 소수 민족에 대한 더 나은 통제를 행사하기 위해 이오아니나와 프레베자의 일부 지역에서 테스프로티아 현이라는 새로운 현을 만들었다.[152] 그리스인들의 이 지역 식민지화와 차메 재산 몰수가 증가했으며, 알바니아 지명은 그리스 지명으로 대체되었다.[149] 무슬림 차메인과 기독교인이 함께 사는 마을에서는 지역 행정의 무슬림 수장이 기독교인으로 교체되었다. 같은 기간 동안 차메인에 대한 지역 경찰의 괴롭힘이 더욱 빈번해졌다.[153]

4. 4. 제2차 세계 대전과 추방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이후, 이탈리아 왕국보호령이 된 알바니아 왕국은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문제를 알바니아의 지지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했다. 프란체스코 자코모니 총독은 알바니아의 "차머리아 해방"에 대한 열정을 잠재우면서도, 알바니아의 지원에 대해 로마에 낙관적인 보고서를 반복적으로 보냈다.[164]

1940년 6월, 다우트 호자라는 무슬림 차메인이 알바니아 남부의 브리나 마을에서 머리가 없는 시체로 발견되었다. 그는 양 두 마리를 놓고 두 명의 양치기와 싸우다 살해된 악명 높은 산적이었다.[154][155][156][157][158][159][160][161][162] 그의 죽음은 파시스트 이탈리아가 그리스를 공격하는 마지막 핑계로 사용되었다. 이탈리아 선전은 그를 그리스 첩자들이 알바니아 내부에서 살해한 "애국심이 투철한 차머리아 출신 알바니아인"으로 묘사하며 차머리아의 임박한 해방을 선언했다.[163] 이탈리아의 그리스 공격이 가까워지자 자코모니는 그리스에 맞서 싸울 알바니아 불규칙 부대를 무장시키기 시작했다.[164]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그리스가 이탈리아의 침공에 앞서 완전한 동원을 발표했을 때,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동원에 포함될 것을 요청했다. 그리스는 그들을 동원에 포함시켰지만 무기를 지급하는 대신 건설 작업에 투입하여 알바니아인들을 소외시켰다.[165] 차머리아 알바니아 공동체 지도자들은 이탈리아가 그리스를 침공한 바로 그날 그리스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추방당했다.[165]

그리스-이탈리아 전쟁 직전에 그리스 당국은 1800명의 차메 징집병의 무장을 해제하고 그들을 지역 도로에서 일하게 했다.[106] 이탈리아 군대가 알바니아 영토에서 그리스를 침공하면서 시작된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에서, 에피루스에서 이탈리아의 침공군은 차메인들이 이탈리아의 선전 주제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치아무리아(Ciamuria) 군단"이라고 불렸다.[167] 차메인 중 일부는 이탈리아의 그리스 공격을 지원했다.[166] 침공군은 이탈리아군에 배속된 3개 자원병 대대에 2,000~3,500명으로 추산되는 (차메인과 코소보인을 포함한) 토착 알바니아인들을 포함했다.[167][168] 그러나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이 동기 부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탈영하거나 귀순했기 때문에 그들의 수행 능력은 뚜렷하게 부진했다. 실제로 무솔리니를 포함한 이탈리아 지휘관들은 나중에 알바니아인들을 이탈리아의 실패에 대한 희생양으로 삼았다.[164] 10월 28일~11월 14일 동안 이탈리아군이 짧은 진격을 하여 테스프로티아의 일부를 잠시 점령하는 동안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여러 마을을 습격하고 파라미티아와 필리아테스를 포함한 여러 마을을 불태웠다.[169]

11월, 그리스 반격이 테스프로티아를 되찾자 그리스 당국은 이탈리아군에 징집되지 않은 모든 무슬림 차메 남성을 체포하여 안전상의 이유로 섬으로 추방했다.[106][170][171] 그리스군이 이탈리아 침공 초기에 해당 지역을 재점령했을 때, 그들은 거의 모든 남성 인구, 특히 14세 이상 모든 남성을 레스보스, 키오스, 코린토스 섬의 수용소로 추방했다. 이로 인해 차머리아 알바니아 여성, 어린이 및 노인은 무방비 상태로 방치되어 살인, 강간 및 강도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스군은 현지 그리스인들이 차메인에게 저지른 잔혹 행위에 눈을 감았다.[165]

1943년 7월 29일부터 8월 31일까지 독일군과 차머리아 병력은 "아우구스투스(Augustus)"라는 암호명으로 대(對)게릴라 소탕 작전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그리스인 600명과 알바니아인 50명이 사망하고 70개 마을이 파괴되었다.[181] 9월 27일, 나치-차머리아 연합군은 파라마티아 북쪽의 엘레프테로호리, 셀리아니, 세멜리카, 아기오스 니콜라오스 마을을 불태우고 파괴하는 대규모 작전을 시작, 그리스인 50명을 살해했다. 이 작전에 차머리아 병력 150명이 참여했으며, 독일군 소령 Stöckert는 이들이 "매우 훌륭하게 수행했다"고 평가했다.[182]

9월 27일, 차머리아 민병대는 파라마티아에서 그리스인 53명을 체포, 이틀 뒤 49명을 처형했다. 이는 누리 디노와 마자르 디노 형제(차머리아 민병대 장교)가 마을의 그리스인 대표와 지식인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한 것이었다. 독일 보고서는 차머리아 민병대가 사형 집행대의 일부였다고 기록했다.[183] 9월 30일, 국제 적십자사의 스위스 대표 한스-야콥 비켈은 차머리아 갱단이 통제 불능 상태이며, 무장하지 않은 그리스인들에게 공포를 주고 잔학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184]

1943년 9월 파시스트 이탈리아 항복 이후, 영국 군사 대표단은 차머리아인들에게 독일군과 함께 싸울 동맹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185] 협력 차머리아 갱단은 남부 알바니아에서도 활동했다. 독일 장군 후베르트 란츠는 알바니아 코니스폴 지역에서 "호리도(Horridoh)" 작전을 시작했다. 알바니아 민족주의 단체들이 이 작전에 참여했는데, 그중에는 누리 디노 지휘 아래 약 1,000명의 차머리아 대대가 있었다. 1944년 1월 1일 코니스폴 지역에서 시작된 이 작전으로 알바니아인 500명이 사망했다.[186] 대부분 민족주의 저항 단체 발리 콤베타르[2](협력적인 발리 콤베타르 참(Balli Kombëtar Çam)과는 다름)[169]에 속한 지역 베이와 무프티는 이러한 행동을 지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69][106]

1944년 여름, 지역 저항 조직의 수장인 나폴레옹 제르바스는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에게 좌익 ELAS에 맞서 싸우는 EDES에 합류할 것을 요청했지만, 그들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106] 그 후, 연합군이 EDES에게 이 지역에서 그들을 몰아내라는 구체적인 명령을 내림에 따라 양측 간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106] 영국 보고서에 따르면, 차메리아 협력자들은 모든 장비를 갖추고, 훔친 소 50만 마리와 말 3,000마리를 가지고 알바니아로 도망쳤으며, 지역 사회의 노인들만 남겨두었다고 한다.[187]

1944년 6월 18일, 연합군의 지원을 받은 EDES 병력은 파라미티아를 공격했다. 차메리아-독일 연합 수비대와의 단기적인 갈등 끝에, 그 마을은 마침내 연합군 지휘 하에 놓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1943년 9월 학살에 책임이 있다고 여겨진 마을의 무슬림 공동체를 상대로 격렬한 보복이 가해졌다.[53][187] EDES 제10사단과 자신의 집이 불타는 것에 대한 복수를 갈망하는 지역 그리스 농민들이 참여한 두 차례의 공격이 7월과 8월에 발생했다.[106]

영국 보고서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차메리아 측의 주장에 따르면,[187] 그리스 불규칙 병력에 의한 알바니아 무슬림에 대한 가장 악명 높은 학살은 1944년 6월 27일 파라미티아 지역에서 발생했는데, 이 병력이 마을을 점령했을 때 약 600명의 무슬림 차메리아인(남녀노소)이 사망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죽기 전에 강간과 고문을 당했다.[53] 영국 장교들은 이를 "현지 게릴라들이 '약탈하고 모든 것을 함부로 파괴하는' '복수의 향연'을 포함하는 ''가장 부끄러운 사건''"이라고 묘사했다.[106] 영국 외무부는 "파라미티아의 주교가 전리품을 찾기 위해 집을 수색하는 데 합류했고, 이미 짐이 가득 실린 자신의 노새가 그 사이에 일부 안다르테스에게 털린 것을 발견하기 위해 한 집에서 나왔다"고 보고했다.[106]

반면에, 추축국 점령 기간 동안 그리스 주재 연합군 군사 임무의 책임자였던 크리스 우드하우스는 당시 이 지역에 있었는데, 차메리아인 추방 결정에 대한 책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지만, 이것이 수행된 복수 방식은 비판했다. 그는 1945년 10월 16일 군사 보고서 "차메리아인에 대한 메모"에 파라미티아 사건으로 이어진 상황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포함했다. "차메리아인은 인종적으로 터키인, 알바니아인, 그리스인의 일부이다. 1941-3년에 그들은 이탈리아인과 협력하여 그 지역에서 게릴라 저항 조직을 어렵게 만들었다. 나는 그들 중 누구도 적에 대한 저항에 참여했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제르바스는 나와 함께 연합군 임무의 격려를 받아 1944년에 적에 대한 작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들을 집에서 쫓아냈다. 그들은 대부분 알바니아로 피난했는데, 그곳에서도 인기가 없었다. 그리스에서의 그들의 축출은 이탈리아와 동맹을 맺은 차메리아인들이 저지른 많은 잔혹 행위에 의해 조성된 일반적인 복수심 때문에 피비린내 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제르바스의 작업은 1945년 3월 필리아테스에서 제르바스의 해산된 병력의 잔당이 조토스의 지휘하에 저지른 용서할 수 없는 차메리아인 학살로 완성되었다. 차메리아인들은 그들이 겪은 것을 받을 자격이 있었지만, 제르바스의 방법은 매우 좋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그의 부하 장교들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었다. 결과는 사실상 인구 이동이었고, 원치 않는 소수 민족을 그리스 땅에서 제거했다. 아마도 상황을 그대로 두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53]

이 기간 동안, 필리아테스의 소수의 무슬림 로마인도 무슬림 차메리아인들과 함께 알바니아로 도망쳤다.[188] 그들은 사란다 근처의 슈칼레 마을에 정착했는데, 최근 몇 년 동안 이민으로 인해 일부는 그리스로 재정착했다.[188]

제2차 세계 대전 말, 소수의 무슬림 차머리아인들이 그리스 인민 해방군(ELAS)과 알바니아 민족 해방군에 합류했다.[169][189] ELAS에서는 발로라에서 독일군에 맞서 싸우다 사망한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알리 데미의 이름을 딴 혼성 차메리아 알바니아-그리스 대대인 제4 "알리 데미" 대대가 결성되었다. 1944년 창설 당시 46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그중 일부는 차머리아인이었다.[169] 그러나 차메리아 공동체의 엘리트 대부분은 점령군에 의해 타락했고, 독일, 이탈리아, 차메리아인에게 고통받은 현지 그리스인에 대한 분위기는 그리스-차메리아 연합 저항에 대한 동기를 제한하는 폭발적인 양극화를 초래했다.

추축국에 대한 기여에 대한 증거는 없지만, ELAS의 차메리아 부대는 그리스 내전의 첫 번째 단계에서 EDES에 맞서 싸웠다.[190] 에피루스 지역에서 우익 EDES가 지배하고, 독일이 그리스에서 철수한 후 국가 통제를 맡을 준비를 하면서 징집을 위해 차메리아인들에게 의존했다. 징조를 감지한 수백 명의 무슬림 차메리아인들이 그 대열에 입대했다. 이러한 차메리아 자원병의 참여와 함께 현지 ELAS군은 중앙 그리스의 ELAS군의 지원을 받아 에피루스의 EDES를 공격하여 1944년 말에 테스프로티아 지역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106] 이 단기적인 ELAS의 승리의 결과로, 1945년 1~2월에 약 4,000~5,000명의 차메리아인들이 알바니아에서 주로 필리아테스 및 사기아다 국경 지역으로 귀향했다. 그러나 아테네 전투와 항복 이후(바르키자 협정 참조), EDES 참전 용사들과 지역 사회는 차메리아인의 참여에 대한 복수를 갈망했다.[106] EDES 참전 용사인 조토스 대령이 이끄는 전직 EDES 게릴라와 지역 주민들의 느슨한 준군사 집단이 횡포를 부렸다. 3월 13일 필리아테스 마을에서 저질러진 이 두 번째 학살에서 60~70명의 차메리아인이 사망했다. 많은 차메리아 마을이 불탔고 남은 주민들은 국경을 넘어 알바니아로 도망쳤다.

알바니아와 터키로 추방된 차메리아 알바니아인의 정확한 숫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마크 마조워와 빅터 루도메토프는 약 18,000명이라고 말하는 반면,[106][191] 미란다 비커스는 25,000명이 알바니아로 도망쳤다고 말한다.[53] 차메리아 협회는 차메리아 알바니아인 35,000명이 떠났고, 그중 28,000명이 알바니아로, 나머지는 터키로 갔다고 주장한다.[192] 전쟁 후 그리스에는 117명의 무슬림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만 남았다.[53] EDES 집단의 폭력은 당시 유럽 전역, 특히 진격하는 소련군에 의해 저질러진 독일인에 대한 사건에 비해 훨씬 제한적이었다. EDES는 초기 분쟁 이후 지역 통제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193]

4. 4. 1. 그리스-이탈리아 전쟁 (1940–1941)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이후, 이탈리아 왕국보호령이 된 알바니아 왕국은 차메 문제, 즉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문제를 알바니아의 지지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했다. 프란체스코 자코모니 총독은 알바니아의 "차머리아 해방"에 대한 열정을 잠재우면서도, 알바니아의 지원에 대해 로마에 낙관적인 보고서를 반복적으로 보냈다.[164]

1940년 6월, 다우트 호자라는 무슬림 차메인이 알바니아 남부의 브리나 마을에서 머리가 없는 시체로 발견되었다. 그는 양 두 마리를 놓고 두 명의 양치기와 싸우다 살해된 악명 높은 산적이었다.[154][155][156][157][158][159][160][161][162] 그의 죽음은 파시스트 이탈리아가 그리스를 공격하는 마지막 핑계로 사용되었다. 이탈리아 선전은 그를 그리스 첩자들이 알바니아 내부에서 살해한 "애국심이 투철한 차머리아 출신 알바니아인"으로 묘사하며 차머리아의 임박한 해방을 선언했다.[163] 이탈리아의 그리스 공격이 가까워지자 자코모니는 그리스에 맞서 싸울 알바니아 불규칙 부대를 무장시키기 시작했다.[164]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그리스가 이탈리아의 침공에 앞서 완전한 동원을 발표했을 때,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동원에 포함될 것을 요청했다. 그리스는 그들을 동원에 포함시켰지만 무기를 지급하는 대신 건설 작업에 투입하여 알바니아인들을 소외시켰다.[165] 차머리아 알바니아 공동체 지도자들은 이탈리아가 그리스를 침공한 바로 그날 그리스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추방당했다.[165]

그리스-이탈리아 전쟁 직전에 그리스 당국은 1800명의 차메 징집병의 무장을 해제하고 그들을 지역 도로에서 일하게 했다.[106] 이탈리아 군대가 알바니아 영토에서 그리스를 침공하면서 시작된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에서, 에피루스에서 이탈리아의 침공군은 차메인들이 이탈리아의 선전 주제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치아무리아(Ciamuria) 군단"이라고 불렸다.[167] 차메인 중 일부는 이탈리아의 그리스 공격을 지원했다.[166] 침공군은 이탈리아군에 배속된 3개 자원병 대대에 2,000~3,500명으로 추산되는 (차메인과 코소보인을 포함한) 토착 알바니아인들을 포함했다.[167][168] 그러나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이 동기 부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탈영하거나 귀순했기 때문에 그들의 수행 능력은 뚜렷하게 부진했다. 실제로 무솔리니를 포함한 이탈리아 지휘관들은 나중에 알바니아인들을 이탈리아의 실패에 대한 희생양으로 삼았다.[164] 10월 28일~11월 14일 동안 이탈리아군이 짧은 진격을 하여 테스프로티아의 일부를 잠시 점령하는 동안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여러 마을을 습격하고 파라미티아와 필리아테스를 포함한 여러 마을을 불태웠다.[169]

11월, 그리스 반격이 테스프로티아를 되찾자 그리스 당국은 이탈리아군에 징집되지 않은 모든 무슬림 차메 남성을 체포하여 안전상의 이유로 섬으로 추방했다.[106][170][171] 그리스군이 이탈리아 침공 초기에 해당 지역을 재점령했을 때, 그들은 거의 모든 남성 인구, 특히 14세 이상 모든 남성을 레스보스, 키오스, 코린토스 섬의 수용소로 추방했다. 이로 인해 차머리아 알바니아 여성, 어린이 및 노인은 무방비 상태로 방치되어 살인, 강간 및 강도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스군은 현지 그리스인들이 차메인에게 저지른 잔혹 행위에 눈을 감았다.[165]

4. 4. 2. 추축국 점령과 협력 (1941–1944)

1943년 7월 29일부터 8월 31일까지 독일군과 차머리아 병력은 "아우구스투스(Augustus)"라는 암호명으로 대(對)게릴라 소탕 작전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그리스인 600명과 알바니아인 50명이 사망하고 70개 마을이 파괴되었다.[181] 9월 27일, 나치-차머리아 연합군은 파라마티아 북쪽의 엘레프테로호리, 셀리아니, 세멜리카, 아기오스 니콜라오스 마을을 불태우고 파괴하는 대규모 작전을 시작, 그리스인 50명을 살해했다. 이 작전에 차머리아 병력 150명이 참여했으며, 독일군 소령 Stöckert는 이들이 "매우 훌륭하게 수행했다"고 평가했다.[182]

9월 27일, 차머리아 민병대는 파라마티아에서 그리스인 53명을 체포, 이틀 뒤 49명을 처형했다. 이는 누리 디노와 마자르 디노 형제(차머리아 민병대 장교)가 마을의 그리스인 대표와 지식인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한 것이었다. 독일 보고서는 차머리아 민병대가 사형 집행대의 일부였다고 기록했다.[183] 9월 30일, 국제 적십자사의 스위스 대표 한스-야콥 비켈은 차머리아 갱단이 통제 불능 상태이며, 무장하지 않은 그리스인들에게 공포를 주고 잔학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184]

1943년 9월 파시스트 이탈리아 항복 이후, 영국 군사 대표단은 차머리아인들에게 독일군과 함께 싸울 동맹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185] 협력 차머리아 갱단은 남부 알바니아에서도 활동했다. 독일 장군 후베르트 란츠는 알바니아 코니스폴 지역에서 "호리도(Horridoh)" 작전을 시작했다. 알바니아 민족주의 단체들이 이 작전에 참여했는데, 그중에는 누리 디노 지휘 아래 약 1,000명의 차머리아 대대가 있었다. 1944년 1월 1일 코니스폴 지역에서 시작된 이 작전으로 알바니아인 500명이 사망했다.[186] 대부분 민족주의 저항 단체 발리 콤베타르[2](협력적인 발리 콤베타르 참(Balli Kombëtar Çam)과는 다름)[169]에 속한 지역 베이와 무프티는 이러한 행동을 지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69][106]

4. 4. 3. 첫 번째 추방

1944년 여름, 지역 저항 조직의 수장인 나폴레옹 제르바스는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에게 좌익 ELAS에 맞서 싸우는 EDES에 합류할 것을 요청했지만, 그들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106] 그 후, 연합군이 EDES에게 이 지역에서 그들을 몰아내라는 구체적인 명령을 내림에 따라 양측 간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106] 영국 보고서에 따르면, 차메리아 협력자들은 모든 장비를 갖추고, 훔친 소 50만 마리와 말 3,000마리를 가지고 알바니아로 도망쳤으며, 지역 사회의 노인들만 남겨두었다고 한다.[187]

1944년 6월 18일, 연합군의 지원을 받은 EDES 병력은 파라미티아를 공격했다. 차메리아-독일 연합 수비대와의 단기적인 갈등 끝에, 그 마을은 마침내 연합군 지휘 하에 놓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1943년 9월 학살에 책임이 있다고 여겨진 마을의 무슬림 공동체를 상대로 격렬한 보복이 가해졌다.[53][187] EDES 제10사단과 자신의 집이 불타는 것에 대한 복수를 갈망하는 지역 그리스 농민들이 참여한 두 차례의 공격이 7월과 8월에 발생했다.[106]

영국 보고서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차메리아 측의 주장에 따르면,[187] 그리스 불규칙 병력에 의한 알바니아 무슬림에 대한 가장 악명 높은 학살은 1944년 6월 27일 파라미티아 지역에서 발생했는데, 이 병력이 마을을 점령했을 때 약 600명의 무슬림 차메리아인(남녀노소)이 사망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죽기 전에 강간과 고문을 당했다.[53] 영국 장교들은 이를 "현지 게릴라들이 '약탈하고 모든 것을 함부로 파괴하는' '복수의 향연'을 포함하는 ''가장 부끄러운 사건''"이라고 묘사했다.[106] 영국 외무부는 "파라미티아의 주교가 전리품을 찾기 위해 집을 수색하는 데 합류했고, 이미 짐이 가득 실린 자신의 노새가 그 사이에 일부 안다르테스에게 털린 것을 발견하기 위해 한 집에서 나왔다"고 보고했다.[106]

반면에, 추축국 점령 기간 동안 그리스 주재 연합군 군사 임무의 책임자였던 크리스 우드하우스는 당시 이 지역에 있었는데, 차메리아인 추방 결정에 대한 책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지만, 이것이 수행된 복수 방식은 비판했다. 그는 1945년 10월 16일 군사 보고서 "차메리아인에 대한 메모"에 파라미티아 사건으로 이어진 상황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포함했다. "차메리아인은 인종적으로 터키인, 알바니아인, 그리스인의 일부이다. 1941-3년에 그들은 이탈리아인과 협력하여 그 지역에서 게릴라 저항 조직을 어렵게 만들었다. 나는 그들 중 누구도 적에 대한 저항에 참여했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제르바스는 나와 함께 연합군 임무의 격려를 받아 1944년에 적에 대한 작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들을 집에서 쫓아냈다. 그들은 대부분 알바니아로 피난했는데, 그곳에서도 인기가 없었다. 그리스에서의 그들의 축출은 이탈리아와 동맹을 맺은 차메리아인들이 저지른 많은 잔혹 행위에 의해 조성된 일반적인 복수심 때문에 피비린내 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제르바스의 작업은 1945년 3월 필리아테스에서 제르바스의 해산된 병력의 잔당이 조토스의 지휘하에 저지른 용서할 수 없는 차메리아인 학살로 완성되었다. 차메리아인들은 그들이 겪은 것을 받을 자격이 있었지만, 제르바스의 방법은 매우 좋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그의 부하 장교들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었다. 결과는 사실상 인구 이동이었고, 원치 않는 소수 민족을 그리스 땅에서 제거했다. 아마도 상황을 그대로 두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53]

이 기간 동안, 필리아테스의 소수의 무슬림 로마인도 무슬림 차메리아인들과 함께 알바니아로 도망쳤다.[188] 그들은 사란다 근처의 슈칼레 마을에 정착했는데, 최근 몇 년 동안 이민으로 인해 일부는 그리스로 재정착했다.[188]

4. 4. 4. 저항, 그리스 내전, ELAS의 송환, 최종 추방

제2차 세계 대전 말, 소수의 무슬림 차머리아인들이 그리스 인민 해방군(ELAS)과 알바니아 민족 해방군에 합류했다.[169][189] ELAS에서는 발로라에서 독일군에 맞서 싸우다 사망한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알리 데미의 이름을 딴 혼성 차메리아 알바니아-그리스 대대인 제4 "알리 데미" 대대가 결성되었다. 1944년 창설 당시 46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그중 일부는 차머리아인이었다.[169] 그러나 차메리아 공동체의 엘리트 대부분은 점령군에 의해 타락했고, 독일, 이탈리아, 차메리아인에게 고통받은 현지 그리스인에 대한 분위기는 그리스-차메리아 연합 저항에 대한 동기를 제한하는 폭발적인 양극화를 초래했다.

추축국에 대한 기여에 대한 증거는 없지만, ELAS의 차메리아 부대는 그리스 내전의 첫 번째 단계에서 EDES에 맞서 싸웠다.[190] 에피루스 지역에서 우익 EDES가 지배하고, 독일이 그리스에서 철수한 후 국가 통제를 맡을 준비를 하면서 징집을 위해 차메리아인들에게 의존했다. 징조를 감지한 수백 명의 무슬림 차메리아인들이 그 대열에 입대했다. 이러한 차메리아 자원병의 참여와 함께 현지 ELAS군은 중앙 그리스의 ELAS군의 지원을 받아 에피루스의 EDES를 공격하여 1944년 말에 테스프로티아 지역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106] 이 단기적인 ELAS의 승리의 결과로, 1945년 1~2월에 약 4,000~5,000명의 차메리아인들이 알바니아에서 주로 필리아테스 및 사기아다 국경 지역으로 귀향했다. 그러나 아테네 전투와 항복 이후(바르키자 협정 참조), EDES 참전 용사들과 지역 사회는 차메리아인의 참여에 대한 복수를 갈망했다.[106] EDES 참전 용사인 조토스 대령이 이끄는 전직 EDES 게릴라와 지역 주민들의 느슨한 준군사 집단이 횡포를 부렸다. 3월 13일 필리아테스 마을에서 저질러진 이 두 번째 학살에서 60~70명의 차메리아인이 사망했다. 많은 차메리아 마을이 불탔고 남은 주민들은 국경을 넘어 알바니아로 도망쳤다.

알바니아와 터키로 추방된 차메리아 알바니아인의 정확한 숫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마크 마조워와 빅터 루도메토프는 약 18,000명이라고 말하는 반면,[106][191] 미란다 비커스는 25,000명이 알바니아로 도망쳤다고 말한다.[53] 차메리아 협회는 차메리아 알바니아인 35,000명이 떠났고, 그중 28,000명이 알바니아로, 나머지는 터키로 갔다고 주장한다.[192] 전쟁 후 그리스에는 117명의 무슬림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만 남았다.[53] EDES 집단의 폭력은 당시 유럽 전역, 특히 진격하는 소련군에 의해 저질러진 독일인에 대한 사건에 비해 훨씬 제한적이었다. EDES는 초기 분쟁 이후 지역 통제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193]

4. 5. 전후 상황 (1945–1990)

알바니아로 탈출한 무슬림 참족은 공산주의 주도의 알바니아 정부로부터 난민 지위를 부여받았고,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반파시스트 위원회(CAFC)의 보호를 받으며 조직되었다. 알바니아는 지역의 그리스인 요소를 희석시키기 위해 (그리스인에게는 북에피루스로 알려짐) 그들에게 나라 남쪽의 특정 지역에 집을 제공했다.[14]

1946년, 그들은 의회를 구성하여 그리스를 박해 혐의로 고발하는 각서를 채택하고 국제 사회에 고국으로 돌아가고 배상을 받기 위한 조치를 취해 줄 것을 요청했다. CAFC는 28,000명의 참족이 추방되었고, 2,771명이 사망했으며, 5,800채의 집이 약탈당하고 불탔다고 주장했다.[53][194]

알바니아의 새로운 전후 공산 알바니아 정부는 참족 문제를 1946년 파리 평화 회의에 가져가 참족의 송환과 재산 반환을 요구했다. 다음 달 CAFC 대표단이 아테네로 보내져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정부에 항의했다. 이 요구는 결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국제 연합 총회는 뉴욕에서 난민들이 직면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인정하고, 국제 연합 구호 재건 관리국(UNRRA)을 통해 북부 그리스 난민을 위해 120만 달러를 지원했다.[53] 한편, 1945-1946년 그리스 협력자 특별 법원은 2,109명의 참족에게 반역죄로 ''부재 중 재판''으로 유죄를 선고하고 사형을 선고했으며, 그들의 부동산은 그리스 정부에 의해 몰수되었다.[238] 그러나 참족 출신의 전쟁 범죄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두 그리스에서 탈출했기 때문에 재판에 회부된 적이 없다.[53]

1953년 알바니아 정부는 모든 참족에게 알바니아 시민권을 부여하고 알바니아 사회에 통합하도록 강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나이든 참족은 여전히 자신을 그리스 시민권을 박탈당한 난민으로 여기며 그리스 내 재산으로 돌아갈 권리를 주장한다.[2]

엔베르 할릴 호자 정권 동안,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들은 충성심에 의문이 제기되었고 쉽게 외세의 첩자가 될 수 있다고 여겨졌다.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1944–1985) 시대에는 엔베르 할릴 호자가 국가를 통치했다. 호자 정권 40년은 자신의 권력을 위협하는 측근들을 제거하기 위해 스탈린주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졌다. 이 정권은 차메리아 공동체에 대해 점점 더 노골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들은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들이 충성심에 의문이 있고 쉽게 외세의 첩자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견해는 그들이 그리스 시민이라는 사실과 그들의 엘리트가 전통적으로 부유한 지주였고, 추축국과의 협력 및 반공주의 역시 이에 기여한 중요한 요인이었다는 사실에 근거했을 가능성이 높다.[57] 1945년 말,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당국은 수많은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들을 투옥했으며, 그들은 "''전범''", "''점령군 협력자''", "''그리스인 살해자''"로 낙인 찍혔다. 공동체 대표들이 이러한 전개에 항의했지만, 이는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들의 추가적인 체포와 추방으로 이어졌다.[58] 이처럼 알바니아의 공산 정권은 차메리아 공동체에 대해 매우 불신하는 시각을 가졌다. 그들 중 많은 수가 남부 국경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북쪽으로 이주되었다.[58][198]

1949년, 그리스 내전(1946–1949) 중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지도부는 차메리아 공동체를 동원하여 공산주의자들과 함께 싸우도록 하려 했다.[199] 그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자 그들은 "반동"으로 낙인 찍혔고 알바니아 내에서 어느 정도 박해를 받았다. 더욱이 차메리아 문제는 현지 정권에 의해 무시되었다.[185] 1947년 정권은 85명의 차메리아인들이 "발리 콤베타르"라는 무장 민족주의 단체를 만들었다는 음모를 폭로했다.[58] 1960년에는 코니스폴 출신의 알바니아 해군 차메리아 제독인 테메 세이코 아래 또 다른 반공 음모가 드러났다. 29명의 차메리아인을 포함한 혐의자들은 "미국,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분리주의자"의 첩자로 기소되었다. 그 결과 세이코는 처형되었고 그의 친척 여러 명이 박해를 받았으며, 다른 차메리아 공동체 구성원들은 투옥되었다.[63]

1945년 이후 테스프로티아에 남아 있던 알바니아어 사용 공동체에 대해서는 동화 정책의 일환으로 알바니아 정체성이 억제되었다. 버려진 참족 마을은 인접한 그리스 및 아로마니아어 사용 공동체에 의해 재정착되었다.[53][195][196][197]

4. 5. 1.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치하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1944–1985) 시대에는 엔베르 할릴 호자가 국가를 통치했다. 호자 정권 40년은 자신의 권력을 위협하는 측근들을 제거하기 위해 스탈린주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졌다. 이 정권은 차메리아 공동체에 대해 점점 더 노골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들은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들이 충성심에 의문이 있고 쉽게 외세의 첩자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견해는 그들이 그리스 시민이라는 사실과 그들의 엘리트가 전통적으로 부유한 지주였고, 추축국과의 협력 및 반공주의 역시 이에 기여한 중요한 요인이었다는 사실에 근거했을 가능성이 높다.[57] 1945년 말,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당국은 수많은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들을 투옥했으며, 그들은 "''전범''", "''점령군 협력자''", "''그리스인 살해자''"로 낙인 찍혔다. 공동체 대표들이 이러한 전개에 항의했지만, 이는 차메리아 알바니아인들의 추가적인 체포와 추방으로 이어졌다.[58] 이처럼 알바니아의 공산 정권은 차메리아 공동체에 대해 매우 불신하는 시각을 가졌다. 그들 중 많은 수가 남부 국경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북쪽으로 이주되었다.[58][198]

1949년, 그리스 내전(1946–1949) 중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지도부는 차메리아 공동체를 동원하여 공산주의자들과 함께 싸우도록 하려 했다.[199] 그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자 그들은 "반동"으로 낙인 찍혔고 알바니아 내에서 어느 정도 박해를 받았다. 더욱이 차메리아 문제는 현지 정권에 의해 무시되었다.[185] 1947년 정권은 85명의 차메리아인들이 "발리 콤베타르"라는 무장 민족주의 단체를 만들었다는 음모를 폭로했다.[58] 1960년에는 코니스폴 출신의 알바니아 해군 차메리아 제독인 테메 세이코 아래 또 다른 반공 음모가 드러났다. 29명의 차메리아인을 포함한 혐의자들은 "미국,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분리주의자"의 첩자로 기소되었다. 그 결과 세이코는 처형되었고 그의 친척 여러 명이 박해를 받았으며, 다른 차메리아 공동체 구성원들은 투옥되었다.[63]

5. 현재 상황

5. 1. 알바니아 공산주의 붕괴 이후의 정치

알바니아 공산 정권 붕괴 이후, 1991년 티라나에서 차메리아 정치 협회가 결성되었다. 이 협회는 1944~45년에 그리스를 떠나 현재 알바니아에 거주하는 차미아인들의 증언, 기록, 개인 자료 등을 수집하여 역사적 기억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

2008년 6월 27일 알바니아 코니스폴에서 열린 연례 차미아인 시위


1994년 알바니아는 1944년 파라미티아 학살 사건을 기념하는 6월 27일을 '차메리아 알바니아인에 대한 그리스 쇼비니스트 집단 학살의 날'로 선포하고, 코니스폴 마을에 기념관을 건설했다.[200] 이 결정은 국제적 승인을 받지 못했다.[201] 많은 차미아인 지지자들은 매년 6월 27일 사란다와 코니스폴에서 희생자들을 기리는 "차미아인 행진"(''Marshimi çam'')을 연다. 2006년에는 알바니아-그리스 국경에서 약 10,000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진이 열렸으며, 참가자들은 "고향으로의 평화로운 귀환"을 희망했다.[1]

2004년 3월에는 차미아 연구소(ICS)가 설립되어 차미아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같은 해, 차미아인들은 정의 통합 정당(PJI)을 창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1]

2005년에는 그리스 대통령 카롤로스 파풀리아스가 차미아인들의 시위로 인해 알바니아 대통령 알프레드 모이시우와의 회담을 취소하는 외교적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스 외무부는 알바니아 당국이 극단주의 요소를 억제하지 않았다고 비판했고, 알바니아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1]

최근 소수의 차미아인들이 가족의 옛 집으로 돌아가 재건을 시도하고 있다. 한편, 알바니아에서 온 수백 가구의 그리스 소수 민족 가족들이 필리아테스 같은 마을에 정착했다.[1]

5. 1. 1. 무슬림

1951년 그리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에피루스 지역의 알바니아계 무슬림 참(Cham)인은 총 127명으로 집계되었다.[202] 더 최근인 1986년에는 이 지역 사회의 44명의 구성원이 시보타(Sybota), 코드라(Kodra) 및 폴리네리(Polyneri, 이전 쿠치(Koutsi)) 정착지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2] 게다가, 최근까지 폴리네리의 무슬림 공동체는 에피루스 지역에서 이맘(imam)을 둔 유일한 곳이었다.[202] 1972년 현지 기독교인이 마을의 모스크를 폭파하기 전까지, 그곳이 해당 지역의 마지막 모스크였다.[20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지역에 남아 있던 무슬림 참(Cham)인의 수에는 재산을 보존하고 생존하기 위해 정교회로 개종하여 현지 인구에 동화된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었다.[203][204][205]

5. 1. 2. 기독교 정교회

유럽 연합의 유로모자이크 프로젝트 연구에 따르면,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공동체는 알바니아 국경을 따라 테스프로티아 현, 테스프로티코 지역의 프레베자 현 북부, 그리고 이오안니나 지방 자치 단체의 몇몇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24] 프레베자 현 북부의 이 공동체에는 파나리 지역[206], 아무디아[207] 및 아지아와 같은 마을도 포함된다.[208] 1978년에는 이 공동체의 일부 고령 거주자들이 알바니아어를 단독으로 사용했다.[209]

하트에 따르면, 오늘날 이러한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 공동체는 그리스어로 자신을 아르바니테스라고 부르며, 그리스 남부의 아르바니테 공동체처럼 스스로를 그리스인으로 여기고 있다.[9] 반면에 부자이스키는 정교회를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에 포함시켰다.[10] 그들은 그리스어로 자신들의 언어를 ''아르바니티카''라고 부르며, 알바니아어로 대화할 때는 ''슈킵''이라고 부른다.[210][211] 아르바니테와는 대조적으로, 일부는 뚜렷한 언어적[212] 및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했을 뿐만 아니라 알바니아 국가 정체성도 유지했다.[26] 외국인이 있을 때,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는 그리스의 다른 지역에 있는 아르바니테보다 알바니아어를 말하는 것을 더 꺼린다.[213] 자신을 여전히 '참'으로 여기는 사람들도 스스로를 그렇게 밝히는 것을 꺼리는 현상이 관찰되었다.[214] 톰 위니프리스는 이 지역에 단기간 체류(1990년대 초)하면서 도시 지역에서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을 찾기 어려웠고,[215] 몇 년 후에는 이 지역에서 알바니아어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216] 이 지역의 일부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 예를 들어 이구메니차 근처의 카스트리 마을 주민들 사이에서는 "아르바니티 결혼" 공연을 포함한 민속의 부활이 있었다.[217]

5. 2. 터키 내 상황

터키 내 무슬림 차메리아인들은 알바니아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차메리아인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1] 이 공동체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이후에 형성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차메리아인들은 인구 교환으로 인해 터키로 강제 이주되었으며,[103][39][12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그리스에서 추방된 차메리아인 중 소수가 반공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알바니아 대신 터키를 선택하면서 또 다른 이주 물결이 일었다.[218] 1913년부터 1944년까지 약 8만 5천 명의 알바니아인, 대부분이 차메리아인들이 터키로 이주했다.[219]

터키 내 무슬림 차메리아인의 정확한 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여러 추정치에 따르면 그 수는 8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이며,[218] 터키에 거주하는 전체 알바니아계 인구 50만 명에서 600만 명 중 일부를 차지한다.[220][221] 차메리아 인권 협회는 그들 대부분이 언어적으로 동화되었지만, 알바니아 의식과 지역 차메리아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40] 터키 내 상당수의 차메리아인들은 자신들의 기원을 보존하기 위해 터키어로 소나무를 의미하는 ''Cam'' 또는 ''Cami''로 성을 변경했다.[218] 그들은 알바니아인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알바니아-터키 형제 협회"(Shoqëria e Vllazërisë Shqiptaro-Turkesq, Türk-Arnavut Kardeşliği Derneğitr) 내에서 조직되어 있다.[218]

5. 3. 미국 내 상황

미국 내 차머리아인들은 알바니아, 튀르키예, 그리스 다음으로 네 번째로 많은 인구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1] 이들 대다수는 그리스로부터 추방된 직후 미국으로 이주했는데, 이는 알바니아의 공산주의 정부가 그들을 차별하고 박해했기 때문이다.[1] 그들은 그들의 전통과 언어를 유지했으며,[1] 1973년 차메리아 인권 협회인 차메리아 연맹을 결성했다.[228][222] 이 단체는 이후 알바니아계 미국인 차메리아 기구로 통합되어 그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28][222]

6. 차머 문제

알바니아는 제2차 세계 대전 말에 추방된 무슬림 차머의 송환과 소수 민족 권리 부여, 그리고 재산 반환을 요구한다.[53] 반면 그리스는 차머의 추방이 양국 관계에서 종결된 문제라고 주장하며, 차머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독일 침략자들과 협력했기 때문에 전쟁 범죄자로 간주하여 그리스 법에 따라 처벌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53]

1990년대 알바니아는 차머 문제를 알바니아 내 그리스 소수 민족 문제에 대한 반론으로 이용했다.[103] 1999년 알바니아 총리가 그리스의 코스타스 시미티스 총리와 회담을 가졌지만 부정적인 반응을 얻었다.[53] 2000년대 이후 코소보 문제가 해결되면서 알바니아 정부가 차머 문제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여론이 커졌지만, 그리스가 유럽 연합과 NATO 회원국이라는 점이 알바니아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103]

그리스는 1992년 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 총리가 재산 관련 절충안을 제안했지만 알바니아 측에서 거부했다.[120] 그리스는 알바니아 공산 정권 시절 재산을 잃은 그리스계 주민에 대한 보상도 함께 제안했다.

차머 문제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쟁법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추축국 패배 이후 독일인들의 탈출과 유사한 사건으로 간주된다. 1987년 그리스가 알바니아와의 전쟁 상태를 철회하면서 압류된 재산 문제는 법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223]

차머 문제는 아직 국제 기구의 의제가 되지 않았지만,[1] 1991년 이후 차머 커뮤니티 대표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터키의 지원을 받고 있다.[53] 2006년에는 유럽 의회 의원들이 차머 문제에 대한 결의안을 작성했지만 표결에 부쳐지지는 않았다.[1] 2016년 요하네스 한 유럽 연합 확대 및 유럽 이웃 정책 담당 집행위원은 차머 문제를 알바니아와 그리스가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로 언급했다.[224]

=== 시민권 문제 ===

1944년 추방 이후, 협력자로 사형 선고를 받은 약 2,000명의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만이 그리스 시민권을 박탈당했다. 나머지 대다수는 1947년 특별법에 따라 시민권을 잃었다.[238] 1953년 알바니아 정부는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에게 강제로 알바니아 시민권을 부여했으며, 터키와 미국에서도 해당 시민권을 취득했다.[53]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차머리아 문제 해결의 첫 단계로 그리스 시민권 회복을 요구하고 있다. 몰수된 재산 반환보다 시민권 회복이 주요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고 한다.[1] 그들은 그리스 법원이 소수의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에게 범죄 혐의를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권 박탈은 집단 처벌이었다고 주장한다.[225] 그들은 이중 국적을 요구했는데,[1] 이는 그리스가 알바니아 내 그리스 소수 민족의 경우에 따르는 정책이다.[225]

=== 재산 문제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의 재산은 그리스 정부에 의해 보류되었다.[238] 1953년 그리스 의회는 허가나 여권 없이 그리스를 떠난 소유주의 농촌 부동산을 "유기된 것"으로 간주하는 법을 통과시켰으며,[238] 3년 후 이 재산은 국유화되었다. 1959년 그리스 의회에서 통과된 법에 따라 주택은 유기된 것으로 간주되어 해당 지역의 다른 거주자들이 점유할 수 있게 되면서 국유화되었다. 이 두 법은 차머리아인의 재산을 국유화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집에 정착하도록 허용했지만, 소유주는 그리스 정부였다.[238]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테스프로티아의 재산 양도에 관한 임시 위원회는 토지가 있는 농부와 토지가 없는 농부에게 추첨을 통해 농촌 재산을 제공했으며, 이구메니차, 파라미티아, 마르가리티, 필리아테스, 페르디카 및 시보타의 주택과 도시 재산은 노숙자에게 제공되었다.[238]

=== 소수 민족 문제 ===

차머리아는 유엔OSCE와 같은 국제기구로부터 인정받는 소수 민족이 아니며, 차머리아 대표들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국제 정치에서 어떠한 법적 차원이나 약속도 갖지 않는다. 차머리아 단체들은 그들의 귀환과 소수 민족 권리를 요구하며, 그리스에 거주하는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에 대한 소수 민족 권리 또한 요구해 왔다. 이러한 입장은 알바니아 정치인들도 지지하는데, 2000년 1월 당시 야당 대표였던 알바니아의 현 총리 살리 베리샤는 필리아테스 마을에 알바니아어 학교 개교와 같은 그리스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인을 위한 문화적 권리를 포함하여 그리스의 차머리아 소수 민족에 대한 더 많은 권리를 요구했다.

=== 사건 ===

차메리아 문제는 양국에서 분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여러 외교적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알바니아 해방군 조직 (코소보 및 민족 해방군)에 의해 차메리아 후손들의 미완성적인 꿈을 부추기는 데 사용되었다.[103] 게다가, 그리스 북부의 에피루스 지역에는 차메리아 해방군이라는 무장 조직이 결성되었다는 보고가 있다.[1][226] 2001년 기준으로, 그리스 경찰은 이 단체가 약 30~40명의 알바니아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했다. 이 단체는 알바니아 정부의 공식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1]

6. 1. 정치적 입장

알바니아는 제2차 세계 대전 말에 추방된 무슬림 차머의 송환과 소수 민족 권리 부여, 그리고 재산 반환을 요구한다.[53] 반면 그리스는 차머의 추방이 양국 관계에서 종결된 문제라고 주장하며, 차머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독일 침략자들과 협력했기 때문에 전쟁 범죄자로 간주하여 그리스 법에 따라 처벌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53]

1990년대 알바니아는 차머 문제를 알바니아 내 그리스 소수 민족 문제에 대한 반론으로 이용했다.[103] 1999년 알바니아 총리가 그리스의 코스타스 시미티스 총리와 회담을 가졌지만 부정적인 반응을 얻었다.[53] 2000년대 이후 코소보 문제가 해결되면서 알바니아 정부가 차머 문제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여론이 커졌지만, 그리스가 유럽 연합과 NATO 회원국이라는 점이 알바니아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103]

그리스는 1992년 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 총리가 재산 관련 절충안을 제안했지만 알바니아 측에서 거부했다.[120] 그리스는 알바니아 공산 정권 시절 재산을 잃은 그리스계 주민에 대한 보상도 함께 제안했다.

차머 문제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쟁법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추축국 패배 이후 독일인들의 탈출과 유사한 사건으로 간주된다. 1987년 그리스가 알바니아와의 전쟁 상태를 철회하면서 압류된 재산 문제는 법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223]

차머 문제는 아직 국제 기구의 의제가 되지 않았지만,[1] 1991년 이후 차머 커뮤니티 대표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터키의 지원을 받고 있다.[53] 2006년에는 유럽 의회 의원들이 차머 문제에 대한 결의안을 작성했지만 표결에 부쳐지지는 않았다.[1] 2016년 요하네스 한 유럽 연합 확대 및 유럽 이웃 정책 담당 집행위원은 차머 문제를 알바니아와 그리스가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로 언급했다.[224]

6. 2. 시민권 문제

1944년 추방 이후, 협력자로 사형 선고를 받은 약 2,000명의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만이 그리스 시민권을 박탈당했다. 나머지 대다수는 1947년 특별법에 따라 시민권을 잃었다.[238] 1953년 알바니아 정부는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에게 강제로 알바니아 시민권을 부여했으며, 터키와 미국에서도 해당 시민권을 취득했다.[53]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차머리아 문제 해결의 첫 단계로 그리스 시민권 회복을 요구하고 있다. 몰수된 재산 반환보다 시민권 회복이 주요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고 한다.[1] 그들은 그리스 법원이 소수의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에게 범죄 혐의를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권 박탈은 집단 처벌이었다고 주장한다.[225] 그들은 이중 국적을 요구했는데,[1] 이는 그리스가 알바니아 내 그리스 소수 민족의 경우에 따르는 정책이다.[225]

6. 3. 재산 문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의 재산은 그리스 정부에 의해 보류되었다.[238] 1953년 그리스 의회는 허가나 여권 없이 그리스를 떠난 소유주의 농촌 부동산을 "유기된 것"으로 간주하는 법을 통과시켰으며,[238] 3년 후 이 재산은 국유화되었다. 1959년 그리스 의회에서 통과된 법에 따라 주택은 유기된 것으로 간주되어 해당 지역의 다른 거주자들이 점유할 수 있게 되면서 국유화되었다. 이 두 법은 차머리아인의 재산을 국유화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집에 정착하도록 허용했지만, 소유주는 그리스 정부였다.[238]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테스프로티아의 재산 양도에 관한 임시 위원회는 토지가 있는 농부와 토지가 없는 농부에게 추첨을 통해 농촌 재산을 제공했으며, 이구메니차, 파라미티아, 마르가리티, 필리아테스, 페르디카 및 시보타의 주택과 도시 재산은 노숙자에게 제공되었다.[238]

6. 4. 소수 민족 문제

차머리아는 유엔OSCE와 같은 국제기구로부터 인정받는 소수 민족이 아니며, 차머리아 대표들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국제 정치에서 어떠한 법적 차원이나 약속도 갖지 않는다. 차머리아 단체들은 그들의 귀환과 소수 민족 권리를 요구하며, 그리스에 거주하는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에 대한 소수 민족 권리 또한 요구해 왔다. 이러한 입장은 알바니아 정치인들도 지지하는데, 2000년 1월 당시 야당 대표였던 알바니아의 현 총리 살리 베리샤는 필리아테스 마을에 알바니아어 학교 개교와 같은 그리스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인을 위한 문화적 권리를 포함하여 그리스의 차머리아 소수 민족에 대한 더 많은 권리를 요구했다.

6. 5. 사건

차메리아 문제는 양국에서 분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여러 외교적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알바니아 해방군 조직 (코소보 및 민족 해방군)에 의해 차메리아 후손들의 미완성적인 꿈을 부추기는 데 사용되었다.[103] 게다가, 그리스 북부의 에피루스 지역에는 차메리아 해방군이라는 무장 조직이 결성되었다는 보고가 있다.[1][226] 2001년 기준으로, 그리스 경찰은 이 단체가 약 30~40명의 알바니아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했다. 이 단체는 알바니아 정부의 공식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1]

7. 단체

차메리아인들은 정당, 비정부 기구, 차메리아 연구소 등 여러 단체를 설립했다.

; 국가 정치 협회 "차메리아"

: 국가 정치 협회 "차메리아"(''Shoqëria Politike Atdhetare "Çamëria"'')는 1991년 1월 10일에 설립되었으며, 그리스로 차메리아인(Chams)의 귀환, 보상 수령 및 그리스 내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의 더 큰 자유를 옹호하는 압력 단체이다.[1] 이 협회는 정의 통합당 및 기타 조직의 도움을 받아 매년 여러 활동을 개최한다. 매년 6월 27일에는 코니스폴에서 차메리아 행진이 열리는데, 이는 차메리아인 추방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이다.[227]

: 이 단체의 지도자들은 고대 그리스 왕 피로스 (기원전 4~3세기)를 알바니아 영웅으로 제시하여 대중의 인식 속에 비역사적인 연관성을 만들려고 시도하였는데, 이는 이 협회의 극단적이고 팽창주의적인 목표를 드러낸다는 비판을 받는다.[198]

; 차메리아 인권 협회

: 차메리아 인권 협회(''Shoqëria për të drejtat e Njeriut, Çamëria'')는 미국 워싱턴 D.C.에 본부를 둔 비정부 기구로,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옹호한다.[228]

: 협회는 차메리아인들의 "그리스로의 귀환 권리"를 보장하여 "그리스 형제들과 함께 평화와 번영 속에서 살도록 하는 것"과 재산권을 포함한 기타 법적 권리 보장을 목표로 한다.[228] 또한, 그리스 헌법 및 법률, 유럽 연합 조약 및 법률, 그리스가 당사자인 국제 조약 및 협약에서 파생되는 모든 법적 및 소수자 권리를 보장하고, 차메리아인들의 풍부한 역사, 문화, 언어 및 기타 문화적 측면을 보존하고 전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28]

; 차메리아 민주 재단

: 차메리아 민주 재단(''Fondacioni Demokratik Çamëria'')은 2006년 네덜란드 헤이그에 설립된 차메리아 알바니아인 단체이다. 이 단체는 평화로운 방식으로 차메리아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29]

: 차메리아 민주 재단은 매년 국제 사법 재판소 밖에서 시위를 조직하며, 양국 정부가 해결책을 찾지 못할 경우 차메리아 문제를 제기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229]

: 이 단체는 차메리아 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향으로 활동한다.[229]

:* 합법적이고 평화롭게 차메리아 거주민 및 전 거주민의 법적 지위, 생활 및 근로 조건에 대한 관심을 환기한다.

:* 정부 및 비정부 기구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조직과 협상한다.

:* 필요할 경우 법적 절차를 통해 차메리아 거주민 및 전 거주민의 법적 이익을 보호한다.

; 정의와 통합당

: 정의와 통합당(Partia për Drejtësi dhe Integrim)은 알바니아 내외의 소수 민족, 특히 차미 문제와 관련하여 소수 민족의 권리를 보호하고 옹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알바니아의 정당이다.[230] 이 정당은 2009년 총선 이후 9월, 정의와 통합당의 유일한 대표인 다샤미르 타히리(Dashamir Tahiri)와 차미 출신의 국회의원인 슈페팀 이드리지(사회당)에 의해 창당되었다.[230] 현재 알바니아 의회에서 2명의 의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알바니아에서 네 번째로 큰 정당이다.[230]

; 정의와 통합을 위한 정당

: 정의와 통합을 위한 정당(''Partia për Drejtësi dhe Integrim'')은 2004년 알바니아에서 결성되었으며, 정치에서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을 대표한다.[1] 이 정당은 당헌에서 자신들이 중도 우파에 속한다고 밝히고 있다.[1] 이는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소외된 대다수의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에게 정치적 고향과 같다.[1] 일당 국가가 붕괴된 이후,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그리스와의 권리 추구를 위해 일관되게 중도 우파 정당에 대한 믿음을 보여왔다.[1] 그러나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티라나의 정치인들이 민주당이든 사회당이든 선거 기간 동안에만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문제에 집중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1]

: 이 정당은 2007년 마지막 지방 선거에서 사란다, 델비나, 코니스폴, 마르카트, 자르의 시의회에서 다수의 의석을 얻었으며, 블로러, 피에르 등과 같은 대규모 시의회에서도 주요 정당 중 하나였다.[231]

; 차메리아 연구소

: 2004년 3월, 차메리아 연구소(알바니아어: ''Instituti i Studimeve Çame'')가 7명의 이사진으로 설립되었다. '차메 문제 연구소'로도 알려져 있으며, 주요 목표는 "차메 문제 전반에 대한 방대한 지식 격차를 메우는 것"이다.[1] 연구소는 "알바니아 민족의 고유하고 중요한 부분으로서 차메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며, "공공 과학적 토론을 발전시키고 자극하며 연구를 수행"하고, "과학적 활동을 조직하고 그 결과물을 출판"하는 것을 추구한다.[232]

: 차메리아 연구소는 설립 직후, 2004년 5월 티라나에서 최초의 차메 회의를 개최하였다.[1] 또한, "알바니아 및 해외(발칸, 유럽 및 북미)의 유사 연구 센터와 광범위한 연락망을 구축하고 상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32]

; 문화 협회 "빌랄 자페리"

: 1993년, 차메리아 출신의 언론인과 작가 그룹이 티라나에 문화 협회 "빌랄 자페리"(''Shoqata Kulturore "Bilal Xhaferri"'')를 설립했으며, "차메리아 문화 공동체"(''Komuniteti Kulturor i Çamërisë'')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253][233] 이 협회는 차메리아 알바니아 문화와 전통의 가치를 보존하고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단체이다.[253][233] 협회는 출판사를 설립하여 특히 차메리아인과 차메리아에 관한 책을 출판한다.[253][233] 이 출판사는 유명한 반체제 작가인 빌랄 자페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설립 이후 알바니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에서 자페리의 조기 사망으로 인해 미완성된 그의 자필 회고록과 이야기를 출판했다.[253][233]

7. 1. 알바니아 내 차메리아 협회

국가 정치 협회 "차메리아"(알바니아어: ''Shoqëria Politike Atdhetare "Çamëria"'')는 1991년 1월 10일에 설립되었으며, 그리스로 차메리아인(Chams)의 귀환, 보상 수령 및 그리스 내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의 더 큰 자유를 옹호하는 압력 단체이다.[1] 이 협회는 정의 통합당 및 기타 조직의 도움을 받아 매년 여러 활동을 개최한다. 매년 6월 27일에는 코니스폴에서 차메리아 행진이 열리는데, 이는 차메리아인 추방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이다.[227]

이 단체의 지도자들은 고대 그리스 왕 피로스 (기원전 4~3세기)를 알바니아 영웅으로 제시하여 대중의 인식 속에 비역사적인 연관성을 만들려고 시도하였는데, 이는 이 협회의 극단적이고 팽창주의적인 목표를 드러낸다는 비판을 받는다.[198]

7. 2. 미국 내 차메리아 협회

차메리아 인권 협회(''Shoqëria për të drejtat e Njeriut, Çamëria'')는 미국 워싱턴 D.C.에 본부를 둔 비정부 기구로, 차메리아인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옹호한다.[228]

협회는 차메리아인들의 "그리스로의 귀환 권리"를 보장하여 "그리스 형제들과 함께 평화와 번영 속에서 살도록 하는 것"과 재산권을 포함한 기타 법적 권리 보장을 목표로 한다.[228] 또한, 그리스 헌법 및 법률, 유럽 연합 조약 및 법률, 그리스가 당사자인 국제 조약 및 협약에서 파생되는 모든 법적 및 소수자 권리를 보장하고, 차메리아인들의 풍부한 역사, 문화, 언어 및 기타 문화적 측면을 보존하고 전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28]

7. 3. 차메리아 민주 재단

차메리아 민주 재단(''Fondacioni Demokratik Çamëria'')은 2006년 네덜란드 헤이그에 설립된 차메리아 알바니아인 단체이다. 이 단체는 평화로운 방식으로 차메리아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29]

차메리아 민주 재단은 매년 국제 사법 재판소 밖에서 시위를 조직하며, 양국 정부가 해결책을 찾지 못할 경우 차메리아 문제를 제기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229]

이 단체는 차메리아 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향으로 활동한다.[229]

  • 합법적이고 평화롭게 차메리아 거주민 및 전 거주민의 법적 지위, 생활 및 근로 조건에 대한 관심을 환기한다.
  • 정부 및 비정부 기구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조직과 협상한다.
  • 필요할 경우 법적 절차를 통해 차메리아 거주민 및 전 거주민의 법적 이익을 보호한다.

7. 4. 정의와 통합당

정의와 통합당(Partia për Drejtësi dhe Integrim)은 알바니아 내외의 소수 민족, 특히 차미 문제와 관련하여 소수 민족의 권리를 보호하고 옹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알바니아의 정당이다.[230] 이 정당은 2009년 총선 이후 9월, 정의와 통합당의 유일한 대표인 다샤미르 타히리(Dashamir Tahiri)와 차미 출신의 국회의원인 슈페팀 이드리지(사회당)에 의해 창당되었다.[230] 현재 알바니아 의회에서 2명의 의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알바니아에서 네 번째로 큰 정당이다.[230]

7. 5. 정의와 통합을 위한 정당

정의와 통합을 위한 정당(''Partia për Drejtësi dhe Integrim'')은 2004년 알바니아에서 결성되었으며, 정치에서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을 대표한다.[1] 이 정당은 당헌에서 자신들이 중도 우파에 속한다고 밝히고 있다.[1] 이는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소외된 대다수의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에게 정치적 고향과 같다.[1] 일당 국가가 붕괴된 이후,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그리스와의 권리 추구를 위해 일관되게 중도 우파 정당에 대한 믿음을 보여왔다.[1] 그러나 차머리아 알바니아인들은 티라나의 정치인들이 민주당이든 사회당이든 선거 기간 동안에만 차머리아 알바니아인 문제에 집중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1]

이 정당은 2007년 마지막 지방 선거에서 사란다, 델비나, 코니스폴, 마르카트, 자르의 시의회에서 다수의 의석을 얻었으며, 블로러, 피에르 등과 같은 대규모 시의회에서도 주요 정당 중 하나였다.[231]

7. 6. 차메리아 연구소

2004년 3월, 차메리아 연구소(알바니아어: ''Instituti i Studimeve Çame'')가 7명의 이사진으로 설립되었다. '차메 문제 연구소'로도 알려져 있으며, 주요 목표는 "차메 문제 전반에 대한 방대한 지식 격차를 메우는 것"이다.[1] 연구소는 "알바니아 민족의 고유하고 중요한 부분으로서 차메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며, "공공 과학적 토론을 발전시키고 자극하며 연구를 수행"하고, "과학적 활동을 조직하고 그 결과물을 출판"하는 것을 추구한다.[232]

차메리아 연구소는 설립 직후, 2004년 5월 티라나에서 최초의 차메 회의를 개최하였다.[1] 또한, "알바니아 및 해외(발칸, 유럽 및 북미)의 유사 연구 센터와 광범위한 연락망을 구축하고 상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32]

7. 7. 문화 협회 "빌랄 자페리"

1993년, 차메리아 출신의 언론인과 작가 그룹이 티라나에 문화 협회 "빌랄 자페리"(''Shoqata Kulturore "Bilal Xhaferri"'')를 설립했으며, "차메리아 문화 공동체"(''Komuniteti Kulturor i Çamërisë'')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253][233] 이 협회는 차메리아 알바니아 문화와 전통의 가치를 보존하고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단체이다.[253][233] 협회는 출판사를 설립하여 특히 차메리아인과 차메리아에 관한 책을 출판한다.[253][233] 이 출판사는 유명한 반체제 작가인 빌랄 자페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설립 이후 알바니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에서 자페리의 조기 사망으로 인해 미완성된 그의 자필 회고록과 이야기를 출판했다.[253][233]

8. 인구 통계

미란다 비커스에 따르면, 차미아인(Cham)의 수는 약 69만 명이다.[53] 차미아인 단체에 따르면, "원래 차미아인"의 후손은 17만 명이다.[103] 그들 중 많은 수가 알바니아에 살고 있으며, 다른 공동체는 그리스, 터키, 미국에 살고 있다. 그들의 종교는 이슬람교동방 정교회이다.

==== 역사적 인구 통계 ====

차메리아 지역의 인구는 주로 알바니아인그리스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소수의 소수 민족도 거주했다.[234] 19세기 초, 알리 파샤의 비서이자 그리스 학자인 아타나시오스 프살리다스는 차메리아에 그리스인과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며, 알바니아인은 기독교인과 무슬림으로 나뉘고 그리스인이 지배적인 세력이었다고 기록했다.[234] 20세기에는 "참(Cham)"이라는 용어를 무슬림에게만 적용하는지에 대한 논쟁과 함께, 이 지역의 알바니아 인구 규모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9]

1912년 아르메니아계 미국인의 추산에 따르면, 전체 토스크 알바니아인은 1,500,000명이었으며, 이 중 200,000명이 참족이었다.[235] 1913년 그리스 인구 조사에서는 차메리아 지역에 알바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무슬림이 25,000명이었다.[236] 1923년에는 20,319명의 무슬림 참족이, 1928년에는 17,008명의 알바니아어 사용 무슬림이 있었다.[238]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기간 동안, 공식적인 그리스 인구 조사에서 알바니아어 사용자의 수는 정치적인 동기와 조작으로 인해 다양하게 변동했다.[237] 특히, 그리스 정부는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수를 의도적으로 축소하거나 왜곡하여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점령군(1941년)은 알바니아 민족의 정교회 공동체도 포함하여, 이 지역에 54,000명의 알바니아인(정교회 26,000명, 무슬림 28,000명)과 20,000명의 그리스인이 있다고 추산했다.[238] 전쟁 후, 그리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무슬림 참족은 1947년 113명, 1951년 127명이었다. 1951년 조사에서는 에피루스 전체에서 7,357명의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가 집계되었다.[239]

그리스의 참족 (1913–1951)
연도무슬림
참족
정교회
참족

인구
출처
191325,000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6]
192320,319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8]
192525,00022,00047,000알바니아 정부[238][74]
192817,008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8]
193817,311알 수 없음그리스 정부[238]
194021,000–22,000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 추정[238]
194128,00026,000알 수 없음이탈리아 추정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 점령군에 의해)[238]
1947113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8]
1951127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8] 에피루스 전체에서도 7,357명의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가 계산되었습니다.[239]



==== 현재 인구 통계 ====

1985년, 차메리아와 코니차의 두 마을을 포함한 에피루스 알바니아인의 인구는 3만 명으로 추산되었다.[240] 2002년, 작가 미란다 비커스에 따르면 차메리아의 정교회 알바니아인 인구는 4만 명으로 추산되었다.[9][241]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20세기에 '참'이라는 용어가 무슬림에게만 적용되었으며, 이 지역의 정교회 알바니아어(아르바니티카) 사용 공동체와 그리스어-알바니아어 이중 언어 사용 공동체 모두 그리스 국가를 따르며 그리스 민족의 일부라고 주장한다.[9][241] 이는 그리스 정부가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민족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고 동화시키려는 정책을 펼쳤기 때문으로 보인다.

알바니아어는 이구메니차 거주민 소수에게서 여전히 사용된다.[242] Ethnologue에 따르면, 알바니아어는 에피루스와 플로리나의 레초보 마을에서 약 1만 명의 알바니아인이 사용한다.[243]

알바니아의 참족에 대한 유일한 정확한 숫자는 1991년에 차메리아 협회가 실시한 인구 조사에서 약 20만 5천 명의 참족이 등록되었을 때 나왔다.[53]

알바니아의 참족, 지역별 (1991)[53]
지역인구
슈코더 주1,150
크루야 구 및 쿠르빈 구720
티라나 구29,700
레자 구35
두러스 구35,000
카바예 구10,500
블로러 구42,300
피에르 구39,800
사란다 구12,100
델비나 구2,900



오늘날 이 지역에는 1991년 이후의 소수의 알바니아 이민자들이 거주하고 있다.[53]


8. 1. 역사적 인구 통계

차메리아 지역의 인구는 주로 알바니아인과 그리스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소수의 소수 민족도 거주했다.[234] 19세기 초, 알리 파샤의 비서이자 그리스 학자인 아타나시오스 프살리다스는 차메리아에 그리스인과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며, 알바니아인은 기독교인과 무슬림으로 나뉘고 그리스인이 지배적인 세력이었다고 기록했다.[234] 20세기에는 "참(Cham)"이라는 용어를 무슬림에게만 적용하는지에 대한 논쟁과 함께, 이 지역의 알바니아 인구 규모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9]

1912년 아르메니아계 미국인의 추산에 따르면, 전체 토스크 알바니아인은 1,500,000명이었으며, 이 중 200,000명이 참족이었다.[235] 1913년 그리스 인구 조사에서는 차메리아 지역에 알바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무슬림이 25,000명이었다.[236] 1923년에는 20,319명의 무슬림 참족이, 1928년에는 17,008명의 알바니아어 사용 무슬림이 있었다.[238]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기간 동안, 공식적인 그리스 인구 조사에서 알바니아어 사용자의 수는 정치적인 동기와 조작으로 인해 다양하게 변동했다.[237]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점령군(1941년)은 알바니아 민족의 정교회 공동체도 포함하여, 이 지역에 54,000명의 알바니아인(정교회 26,000명, 무슬림 28,000명)과 20,000명의 그리스인이 있다고 추산했다.[238] 전쟁 후, 그리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무슬림 참족은 1947년 113명, 1951년 127명이었다. 1951년 조사에서는 에피루스 전체에서 7,357명의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가 집계되었다.[239]

그리스의 참족 (1913–1951)
연도무슬림
참족
정교회
참족

인구
출처
191325,000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6]
192320,319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8]
192525,00022,00047,000알바니아 정부[238][74]
192817,008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8]
193817,311알 수 없음그리스 정부[238]
194021,000–22,000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 추정[238]
194128,00026,000알 수 없음이탈리아 추정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 점령군에 의해)[238]
1947113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8]
1951127알 수 없음그리스 인구 조사.[238] 에피루스 전체에서도 7,357명의 정교회 알바니아어 사용자가 계산되었습니다.[239]


8. 2. 현재 인구 통계

1985년, 차메리아와 코니차의 두 마을을 포함한 에피루스 알바니아인의 인구는 3만 명으로 추산되었다.[240] 2002년, 작가 미란다 비커스에 따르면 차메리아의 정교회 알바니아인 인구는 4만 명으로 추산되었다.[9][241]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20세기에 '참'이라는 용어가 무슬림에게만 적용되었으며, 이 지역의 정교회 알바니아어(아르바니티카) 사용 공동체와 그리스어-알바니아어 이중 언어 사용 공동체 모두 그리스 국가를 따르며 그리스 민족의 일부라고 주장한다.[9][241]

알바니아어는 이구메니차 거주민 소수에게서 여전히 사용된다.[242] Ethnologue에 따르면, 알바니아어는 에피루스와 플로리나의 레초보 마을에서 약 1만 명의 알바니아인이 사용한다.[243]

알바니아의 참족에 대한 유일한 정확한 숫자는 1991년에 차메리아 협회가 실시한 인구 조사에서 약 20만 5천 명의 참족이 등록되었을 때 나왔다.[53]

알바니아의 참족, 지역별 (1991)[53]
지역인구
슈코더 주1,150
크루야 구 및 쿠르빈 구720
티라나 구29,700
레자 구35
두러스 구35,000
카바예 구10,500
블로러 구42,300
피에르 구39,800
사란다 구12,100
델비나 구2,900



오늘날 이 지역에는 1991년 이후의 소수의 알바니아 이민자들이 거주하고 있다.[53]

9. 종교

알바니아에 거주하는 차미리아인들은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지만, 이들의 종교적 소속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245][246][247] 과거 공산주의 정권은 알바니아를 "세계 유일의 무신론 국가"로 선포했으며, 정권 붕괴 후에도 많은 국민들이 스스로를 불가지론자 또는 무종교인으로 여기고 있다.[245][246][247] 현재 알바니아 인구의 65~70%가 어떤 종교도 따르지 않는다는 추정치도 있다.[245][246][247] 반면, 그리스와 터키의 차미리아인들은 거의 모두 각 국가의 주요 종교를 따르고 있다.[218][108]

10. 언어

차메리아 알바니아인은 '''차메리아 방언'''(Çamërisht)을 사용하는데, 이는 토스크 알바니아어 방언의 하위 분파이다.[248] 차메리아 방언은 알바니아어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방언 중 하나이며, 그리스의 또 다른 방언은 토스크 알바니아어의 한 형태인 아르바니티카 방언이다. 이와 같이, 아르바니티카와 차메리아 방언은 많은 공통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24]

차메리아 방언 분류


알바니아 언어학자들은 이 방언이 알바니아어의 방언학적 연구와 민족 언어학적 분석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다. 아르베레쉬어와 마찬가지로, 이 방언은 표준 알바니아어에서 'q'와 'gj'로, 그리고 /j///j/rup 대신 /l///l/rup로 나타나는 오래된 자음군 /kl///kl/rup, /ɡl///ɡl/rup과 같은 알바니아어의 오래된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249]

차메리아 알바니아어표준 (토스크) 알바니아어아르바니티카어영어
KljumështQumështKljumsht우유
GluhëGjuhëGljuhë언어
GolaGojaGljoja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특징이 차메리아 방언에 보수적인 성격을 부여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그리스어와의 근접성과 지속적인 접촉 때문이다. 그들은 이 방언의 여러 독특한 특징에 반영된 이러한 보수적 성격이 위협받고 있으며,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이 지역의 알바니아 지명 또한 마찬가지이며, 이는 알바니아어의 역사적 진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했다고 주장한다.[249]

11. 문학 및 미디어

11. 1. 문학

차메리아 지역에서 쓰여진 최초의 알바니아어 책은 그리스 독립 전쟁의 저명한 인물이자 술리 출신 선장인 마르코스 보차리스가 쓴 그리스-알바니아어 사전이었다. 이 사전은 당시 최대 규모의 차미 알바니아어 사전으로, 1,484개의 어휘를 담고 있었다.[250] 알바니아학자 로버트 엘시는 이 사전이 특별한 문학적 중요성을 지니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는 사멸된 술리-알바니아 방언, 즉 차미 방언의 하위 분파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데 중요하다고 평가했다.[251][250] 이 사전은 파리의 ''국립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251]

마르코스 보차리스의 사전 페이지


19세기 동안 차미인들은 주로 남부 알바니아에서 새로운 종류의 시인 베이트를 창작하기 시작했다. 가장 잘 알려진 ''베이트지''는 코니스폴에서 태어난 무하메트 키추쿠 (차미)였다. 그는 차미 방언으로 글을 쓴 유일한 알바니아 시인이자, 더 긴 시를 쓴 최초의 알바니아 작가로 여겨진다. 그가 가장 기억되는 작품은 1820년경에 쓰여진 ''Erveheja'' (''Ervehe'')로 알려진 운문 형태의 로맨틱한 이야기로, 원래는 ''Ravda'' ("정원")라는 제목이었다. 키추쿠는 알바니아 민족 부흥의 첫 번째 시인이다.[252]

현대 시대에 가장 잘 알려진 알바니아 작가는 공산 정권 하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반체제 인물로 여겨지는 빌랄 자페리이다. 그는 니나트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나이에 반공주의로 인해 미국으로 이주해야 했다. 그는 시카고에서 51세의 나이로 사망했지만, 12권이 넘는 소설과 시를 통해 알바니아 문학에 기여했다. 캐나다 알바니아학 학자인 로버트 엘시는 그를 "가장 훌륭한 차미 알바니아 작가이자 시인"으로 평가한다.[252]

11. 2. 미디어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의 문화와 정치적 입장은 알바니아와 미국에 있는 세 개의 현지 언론에 의해 대변된다. 알바니아의 혹독한 공산주의 정권으로 인해 차머리아인들은 1945년부터 1990년까지 어떠한 언론도 발행하지 못했다.[253] 반면, 미국에 거주하는 차머리아 이민자들은 시카고에 본부를 둔 신문과 잡지를 창간했으며, 두 매체 모두 빌랄 자페리(Bilal Xhaferri)가 편집했다. 최초의 차머리아 알바니아 신문은 1966년 "차머리아 - 조국"(''Çamëria – Vatra amtare'')이라는 이름으로 발행되었으며, 현재까지 시카고에서 발행되고 있다.[40] 잡지 "독수리의 날개" (''Krahu i shqiponjës'')는 1974년에 발행을 시작했다.[253]

신문 "차머리아 - 조국"은 주로 정치적인 성향을 띠며, 차머리아 문제를 국제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1991년에는 전국정치협회 "차머리아"의 공식 신문이 되었으며, 2004년부터는 정의통합당의 공식 신문이기도 하다. 이 신문은 알바니아에서는 단체와 정당의 공동 편집위원회에서 발행하며, 미국에서는 차머리아 인권 협회에서 발행한다.[227]

한편, 잡지 "독수리의 날개"는 주로 문화 잡지이며, 1982년부터 미국에서는 더 이상 발행되지 않는다. 문화 단체 "빌랄 자페리"는 이 잡지를 티라나에서 재발행했으며, 1994년부터는 월간 "차머리아 문화 잡지"로 자체 설명하고 있다.[253][233]

12. 전통

12. 1. 음악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의 음악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이는 다른 알바니아 음악과 구별된다. 차머리아 알바니아 민속 음악은 크게 이소-다성, 다성 및 민요 발라드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254]

독일 학자 도리스 스톡만(Doris Stockman)에 따르면, 차머리아 음악은 "남부 발칸의 다양한 민속 집단의 성악 관행과 관련하여 내부 알바니아 관계를 더 잘 설명하고, 유럽 민속 다성 음악의 복잡한 문제에 대한 비교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254]

이소-다성은 전통적인 알바니아 다성 음악의 한 형태이다. 이 특정 유형의 알바니아 민속 음악은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 무형 문화 유산 걸작"으로 선포되었다. 차미아인들은 '차미아 이소-다성'이라고 불리는 다른 유형의 음악을 부른다. 그들은 라브 알바니아인과 경계를 이루고 있지만, 그들의 이소-다성은 토스크 유형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254][255][256][257] 차메리아 알바니아 혁명가 첼로 메자니(Çelo Mezani)의 죽음을 서술하고 애도하는 다성 민요인 첼로 메자니의 노래는 가장 잘 알려진 차메리아 알바니아 노래로 여겨진다.[258]

12. 2. 춤

차머리아 알바니아 춤은 알바니아에서 잘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오스만 타카의 춤이다. 이 춤은 오스만 제국군에 맞서 싸운 차머리아 알바니아 지도자 오스만 타카와 관련이 있으며, 이 춤으로 오스만 제국군으로부터 죽음을 면했다고 전해진다. 오래된 차머리아 춤이지만, 이 이름으로 알려진 것은 19세기부터이다.[259]

잘롱고의 춤(알바니아어: ''Vallja e Zallongut'')은 수울리의 여성들과 그들의 아이들의 집단 자살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을 말한다. 이 이름은 또한 이 사건을 기념하는 대중적인 춤 노래를 지칭한다.[260][261] 이 춤은 1803년 12월 에피루스의 잘롱고 산에서 오스만 군대에 갇힌 소수의 수울리 여성들과 아이들이 포로가 되어 노예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먼저 아이들을, 그리고 스스로 가파른 절벽에서 던져 자살한 사건에서 영감을 받았다.[262][263] 춤의 노래는 알바니아어로 다음과 같다.[264]

알바니아어와 영어로 된 춤의 노래:[264]
알바니아어영어


12. 3. 민속

덴마크 민족학자 홀게르 페데르센은 1889년 차머리아 민담을 수집하여 9년 후 코펜하겐에서 "알바니아 민속학에 관하여"(''Zur albanesischen Volkskunde'')라는 책으로 출판했다.[265] 수집된 30개 이상의 차메 민담은 대부분 용기와 명예에 관한 내용이었다.[266] 남부 차메리아 지역의 차메인들은 자신들이 남부 알바니아 신화의 거인인 전설적인 "옐림"의 후손이라고 믿는다. "옐림"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단어 Έλλην (''ellin'')을 슬라브어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리스인"을 의미한다.[267]

13. 생활 양식

13. 1. 복식

차머리아 지역의 민속 의상은 다채롭다. 무슬림과 정교회 신자들의 가장 흔한 남성 의상은 푸스타넬라로 알려진 킬트였으며, 은실로 수놓았고, 더블렛, 소매가 넓은 짧은 셔츠, 페즈, 빨간 끈이 달린 가죽 나막신과 흰색 무릎 양말이 있었다. 의상의 다른 부분으로는 은으로 된 가슴 장식과 총이나 권총을 휴대하는 데 사용되는 은실로 수놓은 권총집이 있었다.[268] 이러한 종류의 의상은 모든 알바니아인들에게 흔했지만, 남부에서는 남성들, 특히 참족을 포함하여 무릎까지 오는 더 짧은 의상을 입는 차이가 있었다. 상류층 남성의 킬트는 많은 주름(약 250~300개)으로 만들어졌으며, 나중에는 바지로 대체되었고, 이전 킬트는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되었다.[268]

Women's dress


여성들의 일반적인 의상은 일종의 동양식 실크 또는 면 바지가 되었다. 그들은 매일 면바지를 입었고, 실크 바지는 특별한 경우에만 입었다. 이 의상의 다른 부분으로는 그들의 가정용 베틀로 짠 실크 셔츠와 금 또는 은실로 수놓은 조끼가 있었으며, 때로는 벨벳 조끼로 완성되기도 했다.[268] 1880~1890년대에는 도시 여성들이 주로 긴 치마나 드레스를 입었다. 그들은 짙은 빨간색 또는 보라색이었고 금실로 수놓아졌다. 이 의상의 다른 부분은 소매 없는 조끼, 섬세하게 수놓은 소매가 넓은 실크 셔츠였다. 특별한 경우에는 드레스 색상과 일치하는 반 길이 코트도 입었다. 이 코트는 다양한 꽃무늬로 수놓아졌다.[268] 의상의 또 다른 아름다운 부분은 은 허리띠, 실크 머리 수건, 그리고 귀걸이, 반지, 팔찌, 목걸이 등과 같은 많은 수의 보석류이다.[268]

13. 2. 건축

차머리아 지역의 주요 건축 기념물로는 모스크, 주택, 무슬림 묘지, 그리고 알바니아식 탑인 '쿨라스'가 있었다.[269] 쿨라스는 숲이나 관목 지대, 알바니아 국경 근처의 옛 군사 지역 한가운데에 위치해 있어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은 사라졌다.[269]

살아남은 모스크는 매우 적으며,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의 모델을 따라 박물관으로 변모되었다. 무슬림 묘지는 도로 건설과 같은 현대 건축 공사로 인해 자주 훼손된다.[269]

차미인 가옥과 행정 건물, 모스크, 문화 기념물은 서서히 초목에 덮여가고 있다. 한때 차미인이 가축을 기르던 목초지는 이 지역의 인구 감소로 인해 숲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북서부 그리스에 차미인이 존재했다는 지리적, 건축적 유산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1]

13. 3. 요리

차머리아 알바니아 요리는 알바니아 요리그리스 요리가 혼합된 것으로 여겨지며, 지중해 요리오스만 요리의 주요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268] 이 지역 요리에는 다양한 종류의 치즈가 포함된다. 양고기는 다른 요리와 달리 요구르트와 함께 구워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 중 하나가 되었다.[268]

Qumështor
]]

대부분의 지중해 요리와 마찬가지로, 차머리아인들은 많은 채소와 올리브 오일을 사용한다. 가장 흔한 애피타이저는 트라하나와 타라토르이며, 해산물 수프도 이 지역 요리의 일부이다. 차머리아인들은 빵과 전통적인 터키 요리의 파이인 뵈렉(알바니아어로는 뷔레크)를 만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알바니아에서 잘 알려져 있다.[268]

14. 주요 인물

프레제렌 동맹의 창립자이자 알바니아 독립에 크게 기여한 아베딘 디노[74], 군 지도자이자 정치인 아흐메드 디노, 유명한 알바니아 만화가이자 헬레니즘 의회 의원 알리 디노 (1890–1938)가 있다.[74] 런던 조약알바니아 대표로 서명한 외교관 라시 디노 (1865–1928), 오스만 의회의 프레베자 산자크 부대표이자 이후 알바니아 내무부 장관을 역임한 샤힌 디노도 주요 인물이다.

1918년 그리스 필리아테스에서 태어나 1943년 알바니아 블로러에서 추축군과의 전투 중 사망한 알바니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영웅 알리 데미를 기려, ELAS 군대에 최초의 차머리아 대대인 "알리 데미" 대대가 창설되었다. 파라마티아 출신으로, 블로러 회의의 차머리아 대표이며, 알바니아 독립 선언 서명자인 아지스 타히르 아즈도나티[270], 알바니아 코니스폴 출생 작가 빌랄 자페리[271], 수학자, 철학자 및 심리학자 하산 타흐시니[272]가 있다.

마르가리티 출신으로, 블로러 회의의 차머리아 대표이며, 알바니아 독립 선언 서명자 자쿠프 베셀리[270], 국민 부흥의 첫 번째 시인으로 여겨지며, 알바니아의 가장 유명한 베이텍신 중 한 명인 무하메트 키추쿠 (차미)[252], 알바니아 국민 부흥의 주요 기여자 중 한 명이자 당대 유명한 무용가 오스만 타카[74], 알바니아 민족 부흥의 혁명가이자 중요한 인물 무사 데미, 알바니아 상무부 장관 니아지 데미가 있다.

필리아테스 출신으로, 블로러 회의의 차머리아 대표이며, 알바니아 독립 선언 서명자 렉셉 데미[270], 필리아테스 출생으로 알바니아인 정치인이자 알바니아 노동당의 고위급 당원이었으며 코메콘에서 알바니아 대표를 지낸 타히르 데미 (1919–1961), 알바니아군 장교이자 발리 콤베타르 사령관 아지즈 차미, 알바니아 민족 부흥 시대의 교사이자 시인 카밀 차미가 있다.

파라마티아 출신으로, 릴린자 콤베타레의 가장 유명한 문화 클럽인 "바슈키미"의 창립자이자 회장 토마 차미 (1852–1909)[74], 이구메니차 출신으로, 블로러 회의의 차머리아 대표이며, 알바니아 독립 선언 서명자 벨리 게르라[270], 준장이자 알바니아 해군 사령관 테메 세이코가 있다.

베네치아에서 태어난 알바니아 출신의 이탈리아 스포츠 디렉터 조반니 파라미티오티 (1943년 뉴욕 사망)는 축구 클럽 인터 밀란 (1908–1909)의 창립자이자 초대 회장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조상들은 오스만 제국의 정복을 피해 알바니아 디아스포라에 합류했으며, 에피루스 지역의 차머리아 (파라마티아) 출신이다. 19세기 알바니아 르네상스 시대의 알바니아인 화가, 조각가, 건축가, 사진가, 영화 촬영 기사, 작곡가 및 엔지니어였던 콜레 이드로메노 (1860년 8월 15일 – 1939년 12월 12일)는 알바니아에서 사실주의와 풍경화의 선구자로 널리 여겨진다. 그의 아버지 아르센 이드로메노는 파르가 출신의 차머리아 알바니아인이었다.

참조

[1] 서적 The Cham Issue - Where to Now? https://www.files.et[...] Defence Academy of the United Kingdom 2017-08-03
[2] 서적 Journey Into Europe: Islam, Immigration,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3] 간행물 Urgent anthropology. Vol. 3. Problems of Multiethnicity in the Western Balkans http://www.imir-bg.o[...] International Center for Minority Studies and Intercultural Relations 2004
[4] 서적 The Cham Issue - Where to Now? https://www.files.et[...] Defence Academy of the United Kingdom 2017-08-03
[5]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Bloodstained Edelweiss. The 1st Mountain-Division in WWII]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6] 서적 The New Albanian Migration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7] 서적 After The War Was Over: Reconstructing the Family, Nation and State in Greece, 1943–1960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Nationalism, Globalization, and Orthodoxy: The Social Origins of Ethnic Conflict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9] 학술지 Culture, Civilization, and Demarcation at the Northwest Borders of Greece https://www.scribd.c[...] 2017-09-09
[10] 서적 Return of the Balkans: Challenges to European Integration and U.S. Disengagement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S. Army War College Press
[11] 문서
[12] 서적 L'Albania: notizie geografiche, etnografiche e storiche http://asa.archivios[...] Societa' Ed. Dante Alighieri
[13] 문서 Albanian Etymological Dictionary Brill
[14] 서적 Badlands, Borderlands: A History of Northern Epirus/Southern Albania https://books.google[...] Duckworth 2009-03-15
[15] 학술지 The Greek census of 1928 1929-06
[16] 서적 Lexicon of the Modern Greek Language Lexicology Centre
[17] 문서 The politicization of Islam: reconstructing identity, state, faith, and community in the late Ottoman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18] 문서 Turkish-Greek Relations and the Balkans: A Historian's Evaluation of Today's Problems Cyprus Foundation
[19] 문서 Nation-building and identity in Europe: The dialogics of reciprocity Palgrave Macmillan
[20] 문서 Tragically Speaking: On the Use and Abuse of Theory for Lif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1] 학술지 "Tourkokratia: History and the image of Turks in Greek literature."
[22] 학술지 "Introduction: Identity, confessionalism, and nationalism."
[23] 문서
[24] 웹사이트 L'arvanite/albanais en Grèce http://www.uoc.edu/e[...] European Commission 2006
[25] 문서
[26] 서적 Minorités linguistiques en Grèce: Langues cachées, idéologie nationale, religion. Mercator Program Seminar 1994-06-06
[27] 문서 The Vlachs: Metropolis and Diaspora Zitros
[28] 웹사이트 Arnaut http://www.thefreedi[...] 2009-03-16
[29] 서적 The Cham Albanians of Greece: A Documentary History IB Tauris
[30] 서적 Albania: From Anarchy to a Balkan Identity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31] 서적 Epirus: The Geography, the Ancient Remains, the History and Topography of Epirus and Adjacent Areas Oxford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Parapotamos Municipality http://www.parapotam[...] Parapotamos Municipality 2009-03-16
[33] 서적 Travels in Northern Greece https://books.google[...] M. Hakkert
[34]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Sagiada Municipality http://www.sagiada.g[...] Sagiada Municipality 2009-03-16
[35] 서적 Diplomacy and Displacement: Reconsidering the Turco-Greek Exchange of Populations, 1922–1934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9-03-31
[36] 논문 Çamët ortodoks Albanian Academy of Sciences 2006-02
[37] 간행물 2011
[38] 간행물 Το ύστερο Γιαννιώτικο Πασαλίκι: χώρος, διοίκηση και πληθυσμός στην τουρκοκρατούμενη Ηπειρο (1820–1913) http://helios-eie.ek[...] EIE-ΚΝΕ 2003
[39] 간행물 2007
[40] 뉴스 Interview with the head of Chameria organization / Bollati: Chameria today 2005-06
[41] 웹사이트 Τα κριτήρια της ελληνικής ιθαγένειας κατά την περίοδο της Επανάστασης https://web.archive.[...] Πανεπιστημιακές Εκδόσεις Κρήτης 2011-10-03
[42]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3] 간행물 Fourteenth-century Albanian migration and the ‘relative autochthony’ of the Albanians in Epeiros. The case of Gjirokastër. https://www.research[...] 2003
[44] 서적 Perspectives On Albania Springer 1992
[45] 논문 Imagining frontiers, contesting identities https://books.google[...] Edizioni Plus
[46] 서적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47]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8] 논문 Late Byzantine Period (1204–1479) https://books.google[...] Ekdotike Athenon
[49] 논문 Late Byzantine Period (1204–1479) https://books.google[...] Ekdotike Athenon 2015-03-11
[50] 간행물 2003
[51] 서적 Η ΤΟΥΡΚΙΚΗ ΣΤΑΤΙΣΤΙΚΗ ΤΗΣ ΗΠΕΙΡΟΥ ΣΤΟ ΣΑΛΝΑΜΕ ΤΟΥ 1895 http://helios-eie.ek[...] Institute of Modern Greek Studies 2009-03-18
[52] 서적 The Muslim Bonaparte: Diplomacy and Orientalism in Ali Pasha's Gree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3] 간행물 2002
[54] 문서 See Hasluk, 'Christianity and Islam under the Sultans', London, 1927.
[55] 서적 The Bektashi Order of Dervishes http://www.geocities[...]
[56] 간행물 2011
[57] 간행물 Albanian Otto Harrassowitz Verlag 1999
[58] 간행물 Minderheitenschutz im östlichen Europa (Albanien) https://web.archive.[...] Universität Köln 2015-04-23
[59] 간행물 The Muslim experience in the Balkan states, 1919–1991. 2000
[60] 간행물 2011
[61] 간행물 Identities, Locality and Otherness in Epirus during the Late Ottoman period. http://www.eens.org/[...] European Society of Modern Greek studies 2011-02-22
[62] 논문 Aspects of Islamization in Çamëri http://www.ceeol.com[...] Institute of History
[63] 간행물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Second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64] 간행물 The Orthodox Church in Albania Under the Ottoman Rule 15th–19th Century. Peter Lang 2010
[65] 서적 The Modernization of Public Education in the Ottoman Empire, 1839–1908: Islamization, Autocracy, and Discipline https://books.google[...] BRILL 2009-03-18
[66] 문서 Tsoutsoumpis
[67] 서적 Ιστορικοί περίπατοι ανά τη Θεσπρωτία
[68] 문서 Kondis 1976
[69] 문서 Skoulidas
[70] 서적 Bismarck, Gladstone, and the Concert of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London, Athlone Press
[71] 문서 Kondis, 1976, p. 24
[72]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서적 The Albanian national awakening, 1878–1912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4] 서적 Historia e popullit shqiptar në katër vëllime Botimet Toena
[75] 서적 The crescent and the eagle: Ottoman rule, Islam and the Albanians, 1874–1913 https://books.google[...] I.B.Tauris
[76] 서적 Belleten https://books.google[...] Türk Tarih Kurumu
[77] 문서 Skoulidas, 2001, p. 157: "Η Υψηλή Πύλη, για άγνωστους λόγους που ενδεχομένως σχετίζονταν με την σημαντική κινητοποίηση και παρουσία Αλβανών στην Πρέβεζα που θα μπορούσε να καταστεί επικίνδυνη για τα συμφέροντα της, ανακάλεσε τον Abeddiii bey Dino στην Κων/λη και στη θέση του έστειλε τον Costali Pasha, προκαλώντας τη δυσαρέσκεια του Vessel bey Dino, του καδή της Πρέβεζας και άλλων αλβανών προκρίτων, οι οποίοι στη συνέχεια αποχώρησαν στις ιδιαίτερες πατρίδες τους..."
[78] 서적 Greece and Albania, 1908–1914
[79] 학위논문 Οι Ελληνοαλβανικές Σχέσεις και το βορειοηπειρωτικό ζήτημα κατά περίοδο 1907– 1914 http://www.didaktori[...] National and Kapodistrian University of Athens
[80] 문서 Pitouli-Kitsou. Οι Ελληνοαλβανικές Σχέσεις. 1997. p. 168. "Ο Ισμαήλ Κεμάλ υπογράμμιζε ότι για να επιβάλει στη σύσκεψη την άποψη του να μην επεκταθεί το κίνημα τους πέραν της Κάτω Αλβανίας, και ταυτόχρονα για να υποδείξει τον τρόπο δράσης που έπρεπε να ακολουθήσουν οι αρχηγοί σε περίπτωση που θα συμμετείχαν σ' αυτό με δική τους πρωτοβουλία και οι Νότιοι Αλβανοί, θα έπρεπε να αποφασίσει η κυβέρνηση την παροχή έκτακτης βοήθειας και να του κοινοποιήσει τις οριστικές αποφάσεις της για την προώθηση του προγράμματος της συνεννόησης, ώστε να ενισχυθεί το κύρος του μεταξύ των συμπατριωτών του. Ειδικότερα δε ο Ισμαήλ Κεμάλ ζητούσε να χρηματοδοτηθεί ο Μουχαρέμ Ρουσήτ, ώστε να μην οργανώσει κίνημα στην περιοχή, όπου κατοικούσαν οι Τσάμηδες, επειδή σ' αυτήν ήταν ο μόνος ικανός για κάτι τέτοιο. Η ελληνική κυβέρνηση, ενήμερη πλέον για την έκταση που είχε πάρει η επαναστατική δράση στο βιλαέτι Ιωαννίνων, πληροφόρησε τον Κεμάλ αρχικά στις 6 Ιουλίου, ότι ήταν διατεθειμένη να βοηθήσει το αλβανικό κίνημα μόνο προς βορράν των Ακροκεραυνίων, και εφόσον οι επαναστάτες θα επι ζητούσαν την εκπλήρωση εθνικών στόχων, εναρμονισμένων με το πρόγραμμα των εθνοτήτων. Την άποψη αυτή φαινόταν να συμμερίζονται μερικοί επαναστάτες αρχηγοί του Κοσσυφοπεδίου. Αντίθετα, προς νότον των Ακροκεραυνίων, η κυβέρνηση δεν θα αναγνώριζε καμιά αλβανική ενέργεια. Απέκρουε γι' αυτόν το λόγο κάθε συνεννόηση του Κεμάλ με τους Τσάμηδες, δεχόταν όμως να συνεργασθεί αυτός, αν χρειαζόταν, με τους επαναστάτες στηνπεριοχή του Αυλώνα."
[81] 서적 Ottoman refugees, 1878–1939: Migration in a post-imperial world A&C Black
[82] 문서 Albanian historical folksongs, 1716–1943. https://books.google[...] Argonaut
[83] 학술
[84] 학술
[85] 학술
[86] 학술
[87] 학술
[88] 학술
[89] 학술
[90] 학술
[91] 문서 Pitouli-Kitsou. Οι Ελληνοαλβανικές Σχέσεις. 1997. p. 121. "Ειδικότερα για τους Τσάμηδες στις υποδιοικήσεις Παραμθιάς, Μαργαριτίου και Πρέβεζας, στο ελληνικό Υπουργείο είχε σχηματισθεί η εντύπωση ότι κατά το διάστημα 1908–1911 αυτοί έτρεφαν αρκετές συμπάθειες για το εθνικό αλβανικό Κίνημα, αλλά ότι, καιροσκόποι και εφεκτικοί απέναντι στην οθωμανική Διοίκηση στην πλειονότητα τους, με στοιχειώδη αλβανική συνείδηση, έκλιναν προς τον Τουρκισμό ή είχαν καθαρά τουρκικά αισθήματα. Για το γεγονός αυτό προβαλλόταν εκ μέρους των Ελλήνων η εξήγηση ότι οι Τσάμηδες είχαν ασπασθεί σχετικά πρόσφατα τον ισλαμισμό, όχι όμως και τον μπεκτασισμό, σε αντίθεση προς τους άλλους μωαμεθανούς της Ηπείρου, για τους οποίους δεν είχαν ευνοϊκές διαθέσεις."
[92] 문서 Pitouli-Kitsou. Οι Ελληνοαλβανικές Σχέσεις. 1997. p. 122. "Ειδικότερα στο σαντζακι της Πρέβεζας όσοι έτειναν να ασπασθούν τις εθνικές αλβανικές ιδέες, αν και ήταν οπαδοί του Ισμαήλ Κεμάλ, δεν συνεργάζονταν με τους ' Ελληνες και καταδίωκαν τους χριστιανούς, συμπράττοντας με τους Τούρκους, ιδίως οι μεγαλοϊδιοκτήτες ή οι κρατικοί υπάλληλοι που προέρχονταν από άλλα μέρη. Ο αριθμός των Τουρκαλβανών στο σαντζακι αυτό εξάλλου αυξανόταν, άγνωστο σε ποιο ποσοστό, καθώς η τουρκική Διοίκηση συνέχιζε την τακτική της εγκατάστασης άλλων, που είχε εγκαινιάσει από παλαιότερα."
[93] 학술 Forced Population Movements in the Ottoman Empire and the Early Turkish Republic: An Attempt at Reassessment through Demographic Engineering. http://ejts.revues.o[...]
[94] 학술
[95] 문서 Pitouli-Kitsou. Οι Ελληνοαλβανικές Σχέσεις. 1997. p. 212: "Μεταξύ των Αλβανών μπέηδων της Ηπείρου, οι περισσότεροι Λιάπηδες και Τσάμηδες, που είχαν έντονα ανθελληνικά αισθήματα, είχαν ήδη σχηματίσει άτακτα σώματα και πολεμούσαν εναντίον του ελληνικού στρατού και των ελληνικών σωμάτων, καίγοντας χωριά στις περιοχές Παραμυθιάς και Φαναριού. Ορισμένοι μπέηδες, αντίθετα, στα διαμερίσματα Δελβίνου, Αργυροκάστρου, Χείμαρρος και Μαργαριτίου φαίνονταν έτοιμοι να αποδεχθούν την ελληνική κυριαρχία, για να απαλλαγούν και από την αναρχία που συνεπαγόταν η σκιώδης τουρκική εξουσία"; p. 360: "Αλβανοί μουσουλμάνοι από το σαντζάκι Ρεσαδιέ, μετά την κατάληψη του από τον ελληνικό στρατό, διέφυγαν προς τον Αυλώνα. Πολλοί από αυτούς είχαν πολεμήσει με τους Τούρκους εναντίον των Ελλήνων, και είχαν πυρπολήσει αρκετά χωριά στα τμήματα Φιλιατών και Παραμυθιάς. Εκεί, πριν από την οριστική εγκατάσταση των ελληνικών αρχών, είχαν γίνει εναντίον τους και ορισμένες αντεκδικήσεις από τους χριστιανούς, καθώς και συγκρούσεις μεταξύ αλβανικών και ελληνικών σωμάτων."
[96] 학술
[97] 학술
[98] 서적 Concise History of Greec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3-31
[99] 문서 Pitouli-Kitsou. Οι Ελληνοαλβανικές Σχέσεις. 1997. p. 360-361: "Μετά το τέλος του πολέμου στην περιοχή επικρατούσε έκρυθμη κατάσταση, και οι ελληνικές αρχές είχαν υπόνοιες για την οργάνωση σ' αυτήν, μελλοντικά, κάποιου κινήματος, μετά από συνεννόηση πιθανώς των Τσάμηδων με τους Ιταλούς εκπροσώπους και την κυβέρνηση του Αυλώνα, η οποία διατηρούσε δίκτυο κατασκοπείας των κινήσεων του ελληνικού στρατού. Κανένα αξιόλογο κίνημα δεν διοργανώθηκε όμως στο τμήμα Ρεσαδιέ, μετά τη διενέργεια του αφοπλισμού . Βέβαιο είναι, ότι οι Τσάμηδες, που βρίσκονταν στον Αυλώνα, μαζί με πρόσφυγες από την Κορυτσά και το Αργυρόκαστρο, πήραν μέρος σε συλλαλητήριο, που έγινε στην πόλη στις 22 Μαΐου με την παρότρυνση των προξένων των δύο Αδριατικών Δυνάμεων, για να διαμαρτυρηθούν "κατά της περικοπής των συνόρων της Αλβανίας υπέρ της Ελλάδος", που θα είχε ως αποτέλεσμα να περιέλθει το σαντζάκι Ρεσαδιέ στην Ελλάδα. Οι ίδιοι απηύθυναν τέλος αναφορά προς τον ' Αγγλο Υπουργό Εξωτερικών, με την οποία κατήγγειλαν φόνους και διώξεις των Αλβανών προκρίτων από τα ελληνικά σώματα και τις ελληνικές αρχές. Την αναφορά αυτή διέψευσε λίγο αργότερα η ελληνική κυβέρνηση με συγκεκριμένα στοιχεία."
[100] 문서 Hoi Hevraioi tēs Thessalonikēs stis ekloges tou Hellēnikou kratous 1915–1936 https://books.google[...] Savvalas
[101] 학술지 Peace Treaty Between Greece and the Ottoman Empire University of California
[102] 웹사이트 1913 Athens Peace Convention (Limited preview) http://www.mfa.gr/N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Greece 2009-03-16
[103]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04] 서적 Israel Year Book on Human Rights, 1995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9-03-31
[105]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9-03-31
[106] 서적 After The War Was Over: Reconstructing the Family, Nation and State in Greece, 1943–196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03-15
[107] 서적 Islam and the European Union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9-03-31
[108] 서적 ΟΙ ΜΟΥΣΟΥΛΜΑΝΟΙ ΤΣΑΜΗΔΕΣ ΤΗΣ ΗΠΕΙΡΟΥ (1923–2000) [Cham Muslims of Epirus (1923–2000)] Ίδρυμα Μελετών Χερσονήσου του Αίμου
[109] 서적
[110] 서적 The Refugee in International Society: Between Sovereig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1]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and the Greek State (1923–1945) 2009
[112] 간행물
[113]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2009
[114] 간행물 Old and New Islam in Greece 2012
[115]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2009
[116]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2009
[117] 서적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by Their Kin-state https://books.google[...] Council of Europe
[118] 학술지 Memories of Anatolia: generating Greek refugee identity http://balkanologie.[...] Federation of Journal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vues) 2001-12
[119] 학술지 Exchange of Populations in the Balkans
[120] 서적 The New Albanian Migration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009-03-31
[121] 간행물
[122] 간행물
[123] 학술지 The Agricultural Settlement of Refugees: A Source of Productive Work and Stability in Greece, 1923–1930 http://www.arts.york[...] Department of History,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2009-03-31
[124]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2009
[125] 간행물
[126] 간행물
[127] 간행물
[128] 간행물
[129] 간행물
[130] 간행물
[131]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2009
[132]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2009
[133] 서적 The Cham Albanians of Greece: A Docu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2-12-18
[134] 학술지 The Diplomacy of Theodoros Pangalos 1925–1926
[135] 서적 Diegriechich-albanichen Beziehungen
[136] 학술지 Culture, Civilization, and Demarcation at the Northwest Borders of Greece
[137] 문서 Stillborn republic: social coalitions and party strategies in Greece, 1922–1936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8] 서적 Citizenship in Greece: Present challenges and future changes http://www.antigone.[...] University of Macedonia 2009-03-17
[139] 학술지 Kosova and Çamëria in the First Half of the XXth Century – A Comparative Look http://www.ceeol.com[...] Albanian Institute of History
[140] 학술지 The issue of Epirus in political writings of Mid'hat bey Frashëri http://www.ceeol.com[...] Albanian Institute of History
[141] 간행물 A concrete description of the lives of the Muslims is clearly referred to in a special report drawn by K. Stylianopoulos, the "Inspector" in charge of Minority issues, who was directly appointed by the Prime Minister Eleftherios Venizelos and was accountable to him. The report relates to us in graphic terms that "[...] persecutions and heavier confiscations, even led to the decision of classifying as chiftlik the town of Paramythia [...] and in that way small properties and gardens had been expropriated against the Constitution and the Agrarian law; not a single stremma was left to them for cultivation and for sustaining their families, nor were the rents of their properties paid to them regularly (some of them being even lower than a stamp duty). They were not permitted to sell or buy land, and were forced to evaluate their fields at ridiculously low prices (as low as 3 drahmi per stremma), [...], only to be imprisoned for taxes not paid for land already confiscated or expropriated''..... Report, 15 October 1930, Archive of Eleftherios Venizelos, Minorities, f. 58/173/4573. See the more detailed report on illegal real estate expropriations and confiscations and the financial results upon the Muslim population at the documents contacted by the General Inspector of the Central Department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to his Ministry, dated 13. 01. 1932 and 7 August 1932 (HAMFA, 1935, f. A/4/9/2), where he underlines that even plots of 2–3 stremmata had been expropriated." 2011
[142] 웹사이트 Institute of Neo-Hellenic Studies` collection http://pandektis.ekt[...]
[143] 서적 Epirus, 4000 years of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Ekdotike Athenon
[144] 서적 Balkan studi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Balkan Studies, Society for Macedonian Studies
[145]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2009
[146] 간행물 "Τον Απρίλιο του 1930 έφθασαν στην Κοινωνία των Εθνών καταγγελίες μικροϊδιοκτητών Τσάμηδων για παράνομες απαλλοτριώσεις σε κτήματα στην Τσαμουριά κάτω των 30 εκταρίων που προέβλεπε ο αγροτικός νόμος του 1926. Η ελληνική αντιπροσωπεία απάντησε ότι ο αγροτικός νόμος προέβλεπε εξαιρέσεις για την περιοχή της Ηπείρου και οι ίδιοι ισχυρισμοί είχαν απορριφθεί από το Συμβούλιο της Επικρατείας. Πάντως, τον Ιούνιο του 1930 ψηφίζεται ειδικός νόμος για τα απαλλοτριωθέντα κτήματα στην Τσαμουριά και η αρμόδια τριμελής επιτροπή της Κοινωνίας των Εθνών έμεινε ικανοποιημένη." 2006
[147] 간행물 Various documents indicate that the Greek Authorities either prompted dislocation, or, as one document vividly puts it, "all of our services, but most of all the Sub-prefecture and the Gendarmerie [Χωροφυλακή] of Filiati and Igoumenitsa are working hardly to reinforce the [migration] flow". Practical incentives were provided to individuals and most of all to families wanting to migrate to Turkey. Another mechanism that was used in some cases was the demographic disruption of Muslim communities targeting the disassociation of the social web of the communities with a view to put additional pressure to emigrate. This migration flow presents a prima facie controversial acknowledgmen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we have mentioned that an Albanian national minority was called into being: The great majority of the emigrants chose to leave for Turkey and not Albania. However, a closer reading of the relevant documents indicates that the Greek Authorities were unofficially encouraging (legal) migration to Turkey while discouraging, or even forbidding, migration to Albania. One more fact tha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is that there was an underground migration to Albania, which was not documented in the reports of Local Authorities to the Centre (since, for instance, no passports were issued) and only indirectly referred to in Greek sources. However, this migration is testified to by the relevant Albanian bibliography which includes the testimonies of members of the community. This underground migration of individuals and families to Albania continued until 1940. 2011
[148] 간행물 In the 1930s it was obvious that the Chams were viewed as a hostile population and "a lost cause for "Hellenism" 2011
[149] 간행물 2002
[150] 학술지 Language Shift among the Albanian Speakers of Greece The Trustees of Indiana University
[151] 간행물 Parallel measures were taken at the same time regarding the language in Christian Albanian speaking villages. The most important and easily confirmed measure consisted of opening kindergartens in villages selected either by the absence of knowledge of Greek or by their demographic importance. According to a 1931 document, these villages included Aghia, Anthoussa, Eleftheri[o], Kanallaki, Narkissos, Psakka, Aghios Vlassios, Kastri (Dagh) and Draghani. 2011
[152] 간행물 Finally, so as to exercise better control over the minority, the Greek state created in late 1936 a new prefecture, that of Thesprotia, consisting of areas that previously belonged to the Prefectures of Ioannina (Yanina) and Preveza, embodying all the Muslim population.... According to the suggestion of the General Administration of Epirus to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4 October 1936), the presence of Albanian Muslims and the difficulties in "administrating" them from a far away capital calls for the creation of a new prefecture (HAMFA, 1937, A4/9). 2011
[153] 간행물 2015
[154] 서적 The Hollow Legions https://books.google[...] Doubleday
[155] 서적 Albania in Occupation and War: From Fascism To Communism 1940–1945 https://books.google[...] I.B.Tauris
[156] 서적 Albania's captives https://books.google[...] Argonaut
[157] 서적 Mussolini unleashed, 1939–194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서적 Hitler's Strategy 1940–194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9] 서적 The New Europe https://books.google[...] Ayer Publishing
[160] 서적 Tobacco, arms,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161] 서적 They were there' https://books.google[...]
[162] 서적 Balcony Empire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163] 서적 Albania's Captives https://books.google[...] Argonaut
[164] 서적 Albania at War, 1939–1945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165] 서적 Conflict areas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20
[166] 서적 Ethnologia Balkanica https://books.google[...]
[167] 서적 The Italian Army 1940–45: (1) Europe 1940–43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68] 서적 Albania's captives https://books.google[...] Argonaut
[169] 서적 Verfolgung und Gedächtnis in Albanien: eine Analyse postsozialistischer Erinnerungsstrategien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170] 학술지 The Problem of Collaboration in Post-war Greece 1944–46 http://www.ceeol.com[...] University of California
[171] 서적 Ethnologia Balkanica https://books.google[...]
[172]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173]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2009
[174] 간행물
[175] 간행물 The Cams of Albania 2009
[176] 논문 Οι Βρετανικές Υπηρεσίες κατά την Περίοδο του Δευτέρου Παγκοσμίου Πολέμου στην Ελλάδα [British Intelligence in World War II Greece] http://www.didaktori[...] Panteion University of Social and Political Sciences 2015-05-10
[177]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Bloodstained Edelweiss. The 1st Mountain-Division in WWII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178]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Bloodstained Edelweiss. The 1st Mountain-Division in WWII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179] 문서
[180] 서적 Anepithymetoi sympatriotes. Stoicheia gia ten katastrophe ton meionoteton tes Elladas Bibliorama. Athens
[181]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Bloodstained Edelweiss. The 1st Mountain-Division in WWII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182]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Bloodstained Edelweiss. The 1st Mountain-Division in WWII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183]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Bloodstained Edelweiss. The 1st Mountain-Division in WWII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184]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Bloodstained Edelweiss. The 1st Mountain-Division in WWII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185] 논문 The Developments of the Northern Epirus Question https://books.google[...] Ekdotike Athenon 2015-05-10
[186]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Bloodstained Edelweiss. The 1st Mountain-Division in WWII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187] 서적 Blutiges Edelweiß: Die 1. Gebirgs-division im zweiten Weltkrieg Bloodstained Edelweiss. The 1st Mountain-Division in WWII https://books.google[...] Ch. Links Verlag
[188] 간행물 Balkan Roma immigrants in Greece: An initial approach to the traits of a migration flow.
[189] 서적 Statehood before and beyond ethnicity: minor states in Northern and Eastern Europe, 1600–2000 https://books.google[...] P.I.E.-Peter Lang
[190] 문서
[191]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192] 웹사이트 Document of the Committee of Cham Albanians in exile, on Greek persecution of the Chams, submitted to the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United Nations in 1946 http://www.albanianh[...] 2010-06-17
[193] 서적 Ετερότητα και σύγκρουση: ταυτότητες στην κατοχική Θεσπρωτία και ο ρόλος της Μουσουλμανικής μειονότητας http://195.251.197.1[...] University of Ioannina, Dodoni Journal 2013
[194] 웹사이트 Document of the Committee of Chams in exile, on Greek persecution of the Chams, submitted to the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United Nations in 1946 http://www.albanianh[...] Cham Anti-Fascist Committee 2009-03-31
[195] 문서
[196] 문서
[197] 서적 The Vlachs
[198] 웹사이트 Comparative Balkan Parliamentarism http://www.balkans.g[...]
[199] 서적 The withered vin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 웹사이트 Law Nr.7839, datë 30.6.1994, "For declaring 27th June in the national calendar as 'The Day of Genocide Against Albanians of Chameria from Greek Chauvinism' and to build a memorial in Konispol" http://www.qpz.gov.a[...] Center of Official Publication website 2009-03-31
[201] 문서
[202] 문서
[203] 문서
[204] 서적 Notes from the Balkans: Locating Marginality and Ambiguity on the Greek-Albanian bor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5] 문서
[206] 웹사이트 "Πρόσφυγες, Σαρακατσάνοι, Αρβανίτες" http://cultureportal[...] 2007-12-10
[207] 문서 Λαογραφική Μελέτη Αμμουδιάς Πρεβέζης http://cultureportal[...] Κέντρων Ερεύνης της Ελληνικής Λαογραφίας
[208] 문서 Language change and language death in Albanian speech communities in Greece: A sociolinguistic study University of Wisconsin
[209] 서적 Epirus Faber
[210] 웹사이트 publications as a researcher http://www.thanassis[...] 2015-04-18
[211] 서적 Language change and language death Tsitsipis 1981
[212] 서적 Baltsiotis 2011
[213] 서적 "On the question of methods for studying ethnic minorities' music in the case of Greece's Arvanites and Alvanoi." Cambridge Scholars Press 2004
[214] 서적 Notes from the Balkans: Locating Marginality and Ambiguity on the Greek-Albanian bor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215] 웹사이트 Southern Albania, Northern Epirus: Survey of a Disputed Ethnological Boundary http://www.farsarotu[...] Society Farsharotu 2015-04-18
[216] 서적 Badlands, Borderlands: A History of Northern Epirus/Southern Albania Duckworth 2002
[217] 웹사이트 Σε αρβανιτοχώρι της Θεσπρωτίας αναβίωσαν τον αρβανίτικο γάμο! In an Arvanite village, Arvanite customs have reappeared ! http://katoci.blogsp[...] 2015-04-18
[218] 서적 Diaspora Shqiptare në Turqi ACCL Publishing 2000-11
[219] 서적 A Problem between Albania and Greece: Cham Albanian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20
[220] 뉴스 Türkiyedeki Kürtlerin Sayısı! http://www.milliyet.[...] 2008-06-07
[221] 간행물 GCC Model: Conflict Management for the "Greater Albania" https://sablon.sdu.e[...]
[222] 웹사이트 chameriaorganization.blogspot.com 2022-08
[223] 서적 Old and New Islam in Greece: From historical minorities to immigrant newcomer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2
[224] 웹사이트 Greece Accuses Hahn of Backing Albania over Chams http://www.balkanins[...] 2016-09-29
[225] 뉴스 Interview of Tahir Muhedini, president of Party for Justice and Integration 2009-02
[226] 간행물 "Η ΝΕΑ ΕΛΛΗΝΙΚΗ ΜΕΤΑΝΑΣΤΕΥΤΙΚΗ ΠΟΛΙΤΙΚΗ ΚΑΙ ΤΑ ΕΘΝΙΚΑ ΜΑΣ ΣΥΜΦΕΡΟΝΤΑ" (The New Greek Migration Policy and Our Ethnic Interest) http://www.elesme.gr[...] Hellenic Institute of Strategic Studies 2009-03-31
[227]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Party for Justice and Integration http://www.pdi-al.co[...] 2009-03-31
[228]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Chameria Human Rights Association http://www.chameriaa[...] 2009-03-31
[229]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Democratic Foundation of Chameria http://cameria.eu 2009-04-16
[230] 웹사이트 Partia Drejtësi dhe Unitet http://www.pdu-al.co[...]
[231]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Central Commission of Elections http://www.cec.org.a[...] 2009-03-31
[232]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Institute of Cham Studies http://www.cameriain[...] Institute of Cham Studies 2009-03-31
[233]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magazine "Krahu i Shqiponjës" http://krahuishqipon[...] Cultural Association "Bilal Xhaferri" 2009-03-31
[234] 서적 Η ελληνική κοινότητα της Αλβανίας υπό το πρίσμα της ιστορικής γεωγραφίας και δημογραφίας [The Greek Community of Albania in terms of historical geography and demography] University of Athens 1995
[235] 서적 Oriental World https://books.google[...] New Armenia Publishing Company 1912
[236] 서적 The Balkan Exchange of Minorities and Its Impact on Greece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09-03-31
[237] 서적 Baltsiotis 2011
[238] 서적 Περιουσίες Αλβανών και Τσάμηδων στην Ελλάδα: Aρση του εμπολέμου και διεθνής προστασία των δικαιωμάτων του ανθρώπου' http://www.kemo.gr/d[...] Center of Studying of Minority Groups 2009-03-24
[239] 서적 Baltsiotis 2011
[240] 서적 Le sedi dei Greci Arvaniti [The settlements of the Greek Arvanites] Rivista Geografica Italiana 1985
[241] 서적 The Balkans in the new millennium: In the shadow of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42] 서적 The Albanian Question: Reshaping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9-03-31
[243]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SIL) International 2009-03-31
[244] 뉴스 President Begaj honors the victims of Greek 'ethnic cleansing' against Albanians in Chameria https://top-channel.[...] "[[Top Channel]]" 2024-07-15
[245] 웹사이트 L'Albanie en 2005 - http://www.membres.l[...]
[246] 간행물 Atheism: Contemporary Rates and Patterns https://web.arch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7] 서적 Larousse Dictionary of Beliefs & Religions https://web.archive.[...] Larousse
[248] 서적 Standard Albanian: A Reference Grammar for Student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9-03-31
[249] 서적 The Cham Issue and the European Integration "Arbëria" Publishing House
[250] 서적 Το Ελληνο-αλβανικόν λεξικόν του Μάρκου Μπότσαρη : φιλολογική έκδοσις εκ του αυτογράφου [The Greek-Albanian dictionary of Markos Botsaris: filologhic edition of the original] Academy of Athens
[251] 서적 Dictionary of Alban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9-03-31
[252] 서적 Albanian Literature: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9-03-31
[253] 서적 Albania in Transition: The Rocky Road to Democracy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2009-03-31
[254] 서적 Folklori Muzikor-Polifonia Shqiptare http://vasiltole.com[...] Shtëpia Botuese e Librit Universitar 2009-03-31
[255] 서적 Enciklopedia e muzikës popullore shqiptare [Encyclopedia of Albanian Folk Music] http://vasiltole.com[...] ILAR 2009-03-31
[256] 논문 "Dasma çame" ["Cham Dance"] Institute of History, Albanian Academy of Sciences
[257] 논문 Polifonia dy zërëshe e Shqipërisë së Jugut [Two voice polyphony of Southern Albania] Institute of Popular Culture, Albanian Academy of Sciences
[258] 서적 European voices: Multipart singing in the Balkans and the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Wien
[259] 서적 Folk Dance of Europe https://books.google[...] Folk Dance Enterprises 2009-03-31
[260] 서적 Mémoires de la Société Royale du Canada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anada
[261] 서적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Folk Music Council, Volumes 6–10 https://books.google[...] Published for the International Folk Music Council by W. Hefner & Sons
[262] 문서 Sakellariou
[263] 문서 Royal Society of Canada
[264] 문서 Mero Rrapaj, Fatos
[265] 서적 Zur albanesischen Volkskunde E. Möller
[266] 논문 Perla të folklorit kombëtar të pavlerësuara [Unvalued pearls of national folklore] Shoqëria Politike Atdhetare "Çamëria"
[267] 서적 A Dictionary of Albanian Religion, Mythology, and Folk Culture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01 2009-03-31
[268] 문서 Ethnographic phenomenon of the Chameria region
[269] 논문 The Challenge to Preserve the Cham Heritage Spektër group 2004-11
[270] 서적 Kujtime [Memories] Shtëpia e librit & Komunikimit
[27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Scarecrow Press
[272] 서적 Internationalizing the History of Psychology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9-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