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체르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르케스는 흑해 북동부 해안에 위치했던 역사적 지역으로, 오늘날에는 아디게인이라고도 불리는 체르케스인들의 고향이었다. 체르케스라는 명칭은 튀르크족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에는 지치아 또는 지고이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략,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코카서스 정복으로 인한 러시아-체르케스 전쟁과 체르케스인 학살을 겪었다.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후, 많은 체르케스인들이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되었고, 현재는 러시아, 튀르키예, 요르단 등지에 체르케스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체르케스인들은 다양한 종교를 거쳐 현재는 이슬람교를 주로 믿으며, 체르케스 민족주의 운동을 통해 문화 보존과 독립 국가 재건을 추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내전 - 라트비아 독립 전쟁
    라트비아 독립 전쟁은 1918년 라트비아 독립 선포 후부터 1920년 라트비아-소비에트 평화 조약 체결까지 라트비아에서 벌어진 군사적 충돌로, 라트비아 임시정부, 소비에트 러시아, 독일 제국 등 여러 세력이 개입하여 라트비아가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 러시아 내전 - 크론시타트 반란
    크론시타트 반란은 1921년 러시아 크론시타트 해군 기지에서 발생한 반볼셰비키 봉기로, 볼셰비키의 정책에 반발한 수병들이 자유로운 선거 등을 요구하며 일어났지만 무력 진압되었고 레닌의 권력 강화와 신경제정책 도입의 배경이 되었다.
  • 유럽의 옛 나라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유럽의 옛 나라 -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의 동부 지역을 계승하여 330년부터 1453년까지 존속했으며, 그리스-로마 문화와 기독교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고, 중세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체르케스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체르케스 국기
국기
러시아 자료에 있는 체르케스 문장
문장
표어생명보다 먼저 명예를 얻으라
표어 (체르케스어)Псэм ипэ напэ
표어 (로마자)Psem yipe nape
체르케스 지역 표시
체르케스로 표시된 지역
수도지호폴 (???–1427)
샨지르 (1427–1458)
여러 지역 (1458–1807)
비후르칼레 (아나파) (1807–1829)
샤체 (소치) (1829–1839)
비후르칼레 (아나파) (1839–1848)
하조흐 (카메노모스트스키) (1848–1859)
샤체 (소치) (1860–1864)
최대 도시샤체 (소치)
공식 언어체르케스어
기타 언어우비크어
아바진어
카라차이-발카르어
종교체르케스 이교
유대교 (700년대 경)
동방 정교회 (700년대 경–1600년대 경)
로마 카톨릭교 (1300년대 경)
수니 이슬람 (1600년대 경–1864년)
통화공식 통화 없음. 오스만 주화가 사실상 통화로 사용됨.
데모님체르케스인
정치
정치 체제지방 의회 연합
입법부레프크 제페스
체르케스 독립 의회 (1860-1864)
역사
존속 기간7세기 경 – 1864년
주요 사건러시아-체르케스 전쟁 (1763–1864)
이전 국가지치아
이후 국가러시아 제국
이날의 체르케스
이날 대왕 통치 기간인 1450년의 체르케스
체르케스 독립 의회
체르케스 의회가 발표한 법령에 따라 1860년에 개정된 체르케스의 행정 구역
인구
체르케스인 학살 이전1,625,000명
체르케스인 학살 이후86,655명
현재 국가
기타
면적82,000 km²
좌표43°35′07″N 39°43′13″E
지도자 정보
서부 체르케스 지도자스타켐파크 (스타체므파크)
다위
박산 다위코
하자르 통치로우리스타 (하자르의 봉신)
웨체 (하자르의 봉신)
동부 체르케스 왕자이날 대왕
타불다
이나르마스
베슬란
이다르
카이투크 1세
템루크
시아프슈크
캄불라트
카이투크 2세
숄로크
쿠데네트
알레구코
아타주크 1세
미소스
아타주크 2세 쿠르고코
아타주크 3세 미세웨스티코
이슬람베크
타타르한
케유쿠오 아슬란베흐
바토코
바마트 무하마드
카세이 아타주크
잔코트
미소스 2세 베마티크와
아타주크 3세
아타주크 4세
잔코트 2세 쿠슈크

2. 명칭

체르케스를 뜻하는 영어 명칭 Circassia는 아디게인들을 칭하는 튀르키예어 명칭인 체르케스 (Cherkess, 현대 튀르키예어: Çerkes)의 라틴어화된 형태이며, 본래는 체르케스를 방문한 15세기 중세 시대의 제노바인 상인들과 탐험가들에게서 유래했다.[183][184] 체르케스라는 명칭은 전통적으로 이웃한 튀르크족 (주로 크림 타타르족[185]튀르키예인[186])들이 아디게인들에게 적용했던 것이다.

이 지역에 대한 또다른 옛 명칭은 고대 그리스의 지식인 스트라본이 묘사하길 직스 또는 지고이였다. 15세기 말에 제노바 탐험가 및 민족학자 조르조 인테리아노가 체르케스와 이곳 주민들의 자세한 서술을 썼다.[187]

"체르케스"와 "체르케스인"(Circassians|sərˈkæsiənz영어)는 이칭으로, 어원이 논쟁의 대상인 "체르케스"라는 단어에서 라틴어로 변형된 것이다.[24][25] 한 견해에 따르면, 그 어원은 튀르크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용어는 체르케스인들의 성공적인 전투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머리 자르는 자" 또는 "전사 살인자"를 의미한다.[26] 이 용어가 몽골어 "Jerkes"에서 유래되었으며, "길을 막는 자"를 의미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16][27] 일부는 고대 그리스에서 이 지역을 지칭하던 이름인 "Siraces"에서 유래되었다고 믿는다. 또 다른 견해에 따르면, 그 기원은 페르시아어에 있다.

코카서스 지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언어들에서는 원래 체르케스에 대한 다른 명칭을 사용했지만, 러시아의 영향으로 "체르케시아/체르케스"라는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이 언어들을 인용하는 많은 세계 언어에서도 이와 같거나 유사하다.

체르케스인들 스스로는 "체르케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그들의 나라를 아디게 헤쿠(Адыгэ Хэку|Adıgə Xəkuady) 또는 아디게이(Адыгей|Adıgeyady)라고 부른다.

이 나라의 또 다른 역사적인 이름은 지치아("Zyx" 또는 "Zygii")였으며, 고대 그리스 지식인 스트라본은 그들을 콜키스 북쪽에 있는 민족으로 묘사했다.[28]

3. 지리

1856년의 체르케스


체르케스는 서아시아 북쪽, 북동쪽 흑해 연안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러시아의 캅카스 정복(1763-1864) 이전에는 비옥한 고원 전체와 코카서스 북서부 지역의 스텝 지대를 포괄했으며, 인구는 약 10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

체르케스의 역사적 영역은 서쪽의 타만 반도에서 동쪽의 오늘날 북오세티야-알라니야에 위치한 모즈도크 마을까지 뻗어 있었다. 역사적으로 체르케스는 오늘날 크라스노다르 지방, 아디게야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그리고 북오세티야-알라니야와 스타브로폴 지방의 일부를 포함했으며, 북쪽으로는 쿠반 강을 경계로 러시아 제국과 분리되었다.

흑해 연안의 기후는 따뜻하고 습하며, 저지대는 온화하고 고지대는 더 시원하다. 체르케스의 대부분 지역은 1년의 절반 이상 동안 서리가 내리지 않는다. 평원에는 스텝 초원, 산기슭에는 너도밤나무와 참나무 숲, 산에는 소나무 숲과 고산 초원이 있다.[29]

소치는 많은 체르케스인들이 전통적인 수도로 여기는 곳이다.[30] 체르케스인에 따르면, 2014년 동계 올림픽의 올림픽 선수촌은 1864년 러시아 제국에 패배한 후 체르케스인들의 집단 매장 지역에 건설되었다.[31]

4. 역사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공을 받았으며, 역사학자 라시드웃딘의 《페르시아어 연대기》에는 1237년 체르케스의 왕 투카르가 몽골족에 맞서다가 전사했다는 기록이 있다.[190]

1333년 교황 요한 22세는 지키아(체르케스)의 왕 베르자흐타에게 아디게인(체르케스인)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는데 도움을 준 것에 대해 감사의 서한을 보냈다.[191] 베르자흐타의 권력과 지위는 매우 높았으며, 체르케스의 역대 모든 군주들이 그를 따라 로마 가톨릭 신앙을 유지하였다.

1471년 체르케스의 통치자와 카파(페오도시야)의 통치자 사이에 조약이 체결되었다.[192] 이 조약으로 지키아는 카파에 많은 양의 곡물을 공급했다. 이 시기 체르케스는 미모의 여성들로 유명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오스만 제국술탄과 페르시아의 샤들과 혼인하여 하렘에서 영향력 있는 지위를 얻었다.

19세기러시아 제국의 침공으로 러시아-체르케스 전쟁이 발발하여 체르케스는 제국의 영토로 흡수되었다. 지역 인구 대다수는 고향에서 인접국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당했다. (체르케스인 학살 참조) 오늘날 지금의 러시아 체르케스 지역에 살고 있는 체르케스인은 약 70만 명에 불과하다.

최근에는 체르케스 민족주의가 대두되어 본래의 고향을 되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지역의 알려진 통치자들은 다음과 같다.

시기통치자
기원전 400년 ~ 383년헤카타이오스
기원전 383년 ~ 355년옥타마사데스
100년대스타쳄팍
400년대다위이
500년대바크산 다위코
700년 ~ 800년대라우리스탄
800년 ~ 900년대웨체
900년대하파치
900년 ~ 1022년레데디야
1200년대압둔칸
1200년 ~ 1237년투카르
1237년 ~ 1239년투크바쉬
1300년대베르자흐트
1427년 ~ 1453년이나르 대왕
1470년대페트레조크
1530년 ~ 1542년칸사부크



터키 민족주의자 단체와 현대 범튀르크주의 지지자들은 체르케스인들이 튀르크계 기원이라고 주장해 왔지만,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과학적 증거는 발표된 적이 없으며, 체르케스인,[73] 공정한 연구,[74][134][136][143][75][76] 언어학자[77] 및 전 세계 역사학자[78]들에 의해 강력히 부인되었다. 체르케스어는 차용어를 제외하고는 터키어와 뚜렷한 유사점을 공유하지 않는다. 다양한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신도-메오트 부족의 체르케스 기원은 체르케스인들이 튀르크계 민족 기원이라는 주장을 반박한다.[74]

4. 1. 고대

체르케스인들은 고대 시대에 "케르켓", "수차" 등 여러 이름으로 알려졌다.[79] 기원전 1200년경에는 히타이트와 함께 고대 이집트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79]

4. 1. 1. 마이코프 문명

미예콰프(마이코프) 문명은 기원전 3000년에 건설되었다. 체르케스인들은 고대 시대에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졌는데, "케르켓"과 "수차"가 그 예시이다.[79] 기원전 1200년경, 체르케스인들은 히타이트와 함께 고대 이집트에 맞서 싸웠다.[79]

4. 1. 2. 신디카 왕국



신디카 왕국은 기원전 800년에 건국되었다. 이 시기 동안 그리스인과 신디-메오타이 부족이 체르케스에 거주했다. 이 국가의 지배 하에, 이 지역의 신디-메오티안족은 체르케스인의 조상이 되었다.[85] 기원전 5세기에 살았던 그리스 시인 히포낙스와 헤로도토스는 신디스족을 언급했다. 스트라보 또한 흑해 연안 근처에 위치한 신디카의 수도를 언급한다. 신디카에 대한 정보는 그리스 문서와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얻었으며,[81] 자세한 내용은 많지 않다. 신디카 왕국이 정확히 언제 건국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신디스족은 흑해 연안에 그리스 식민지가 건설되기 전에 그리스인과 국가 및 무역 관계를 맺고 있었다. 신디카 왕국은 예술가와 상인들이 머무르던 번성한 무역 국가였다.[81][86][87][88][89][90] 체르케스인들은 이 국가 이후 오랫동안 연합을 결성할 수 없었다.

4. 2. 중세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공을 받았으며, 역사학자 라시드웃딘의 《페르시아어 연대기》에는 1237년 체르케스의 왕 투카르가 몽골족에 맞서다가 전사했다는 기록이 있다.[190]

1333년 교황 요한 22세는 지키아(체르케스)의 왕 베르자흐타에게 아디게인(체르케스인)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는데 도움을 준 것에 대해 감사의 서한을 보냈다.[191] 베르자흐타의 권력과 지위는 매우 높았으며, 체르케스의 역대 모든 군주들이 그를 따라 로마 가톨릭 신앙을 유지한 것은 그 예이다.

1471년 체르케스의 통치자와 카파(페오도시야)의 통치자 사이에 조약이 체결되었다.[192] 이 조약으로 지키아는 카파에 많은 양의 곡물을 공급했다. 이 시기 체르케스는 미모의 여성들로 유명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오스만 제국술탄과 페르시아의 샤들과 혼인하여 하렘에서 영향력 있는 지위를 얻었다.

1395년 체르케스인들은 타메를레인과 격렬한 전쟁을 벌여 타메를레인에게 약탈당했다.[94]

1382년 체르케스 맘루크가 맘루크 술탄국(카이로)의 왕좌를 차지했고, 부르지 왕조가 집권하면서 맘루크는 체르케스 국가가 되었다. 1223년 코카서스를 침략하기 시작한 몽골족은 체르케스인 일부와 알란족 대부분을 파괴했다. 그 후 골든 호드의 공격으로 대부분의 영토를 잃은 체르케스인들은 쿠반 강 후방으로 후퇴해야 했다.

4세기경부터 체르케스인들 사이에서 봉건주의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르메니아, 그리스, 비잔틴 제국의 영향으로 기독교는 3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코카서스 전역으로 확산되었다.[91][92] 그 기간 동안 체르케스인(당시에는 ''카소그''라고 불림)[93]은 기독교를 민족 종교로 받아들이기 시작했지만, 토착 종교 신앙의 모든 요소를 버리지는 않았다.

1404년, 중세 체르케스에 대한 가장 상세한 묘사는 요하네스 데 갈로니폰티부스가 저술한 《세계 지식서》[172]에 기록되어 있다. 그의 기록에 따르면, 14세기와 15세기의 전환기에 체르케스는 북쪽으로 돈 강 하구까지 영토를 확장했으며, "타나 시와 항구는 유럽과 아시아를 구분하는 돈 강 상류 체르케스에 위치해 있다"고 언급했다.

1500년경 체르케스는 코카서스 전쟁과 1864년 러시아-체르케스 전쟁으로 멸망했으며, 러시아 제국은 체르케스인 학살을 통해 체르케스인오스만 제국으로 몰아냈다.

4. 2. 1. 이나르 대공

이날은 모든 체르케스인 부족을 통합하고 체르케스 국가를 건국했기 때문에 체르케스인과 압하스인에게 "왕자들의 왕자"라고 불린다. 민간 신앙에 따르면 이날은 카바르디아, 베슬레네이, 쳄구이, 하투콰이 왕자들의 조상이다.[95]

1400년대에[95] 타만 반도에 땅을 소유했던 이날은 주로 헤가이크 부족으로 구성된 군대를 창설하고 당시 여러 국가로 분열되어 있던 체르케스인들을 단일 국가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선언했다.[96] 자신의 공국을 선포한 후, 그는 차례로 모든 체르케시아를 정복했다.[97]

체르케스 귀족과 왕자들은 이날의 부상을 막으려 했지만, 므심타 강 근처 전투에서 30명의 체르케스 영주들이 이날과 그의 지지자들에게 패배했다. 그들 중 10명은 처형되었고, 나머지 20명의 영주들은 충성을 맹세하고 이날의 새로운 국가의 군대에 합류했다.[98] 서부 체르케시아를 통치한 이날은 1434년에 동부 체르케시아에 카바르디아 지역을 설립하고 1438년에 쿠반 강 북쪽의 체르케스 땅에 있던 크림 타타르 부족을 몰아냈다.[99] 그의 효과적인 확장의 결과로 그는 모든[98][99] 체르케스 땅을 통치하게 되었다.

이날이 건국한 이 새로운 체르케스 국가의 수도는 그가 태어나고 자란 타만 지역에 세워진 샨지르 시가 되었다.[100][101][102][103] 샨지르 시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장 유력한 설은 클라라포스와 팔라스가 묘사한 도시의 설명과 일치하는 크라스나야 바타레야 지역이라는 것이다.[100][104][105]

체르케스인들을 통합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날은 사촌 민족인 압하스인도 자신의 국가에 포함시키고 싶어했다. 압하스 왕조 차치바와 아치바는 가능한 전쟁에서 이날 편에 서겠다고 발표했다. 압하지야에서 전쟁에서 승리한 이날은 북부 압하지야를 공식적으로 정복했고, 압하스인들은 이날의 통치를 인정했으며, 이날은 압하지야에서의 통치를 마무리했다.[99][106][98][107][108] 압하지야 국기의 별 중 하나는 이날을 나타낸다.

이날은 1453년에 자신의 땅을 아들과 손자들에게 분할했고, 1458년에 사망했다. 이어서 체르케스 부족 공국들이 설립되었다. 이 중 일부는 템루크가 건국한 쳄구이, 베슬란이 건국한 베슬레네이, 카바르드가 건국한 카바르디아, 자노코가 건국한 샤프수그이다.

압하스 측의 주장에 따르면 이날은 북부 압하지야에서 사망했다.[109] 대부분의 자료가 이 설을 인용하지만, 이 지역에서의 연구와 수색은 이날의 무덤이 여기에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10] 러시아 탐험가이자 고고학자인 예브게니 디미트리에비치 펠리친에 따르면 이날의 무덤은 압하지야에 있지 않다. 1882년에 출판된 지도에서 펠리친은 이날에게 큰 중요성을 부여했고, 그의 무덤을 압하지야가 아닌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의 이스프라브나야 지역에 위치시켰다. 그는 이 지역에 고대 조각상, 고분, 무덤, 교회, 성 및 토루가 있으며, 이는 이날과 같은 사람에게 이상적인 무덤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110][111]

4. 3. 근대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공을 받았으며, 라시드웃딘의 《페르시아어 연대기》에는 1237년 체르케스의 왕 투카르가 몽골족에 맞서다가 전사했다는 기록이 있다.[190]

1471년 체르케스의 통치자와 카파(페오도시야)의 통치자 사이에 조약이 체결되었다.[192] 이 조약으로 지키아는 카파에 많은 양의 곡물을 공급했다. 이 시기 체르케스는 미모의 여성들로 유명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과 페르시아의 샤들과 혼인하여 하렘에서 영향력 있는 지위를 얻었다.

1500년경에 성립하여, 코카서스 전쟁과 1864년의 으로 멸망했으며, 러시아는 체르케스인 학살로 체르케스인오스만 제국으로 몰아냈다.

19세기러시아 제국의 침공으로 러시아-체르케스 전쟁이 발발하여 체르케스는 제국의 영토로 흡수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인구 대다수는 고향에서 인접국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당했다.[190]

최근에는 체르케스 민족주의가 대두되어 본래의 고향을 되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4. 3. 1. 칸잘 전투

1708년, 체르케스인들은 타타르족의 습격을 막기 위해 오스만 술탄에게 막대한 조공을 바쳤지만, 술탄은 의무를 다하지 않았고 타타르족은 체르케시아 중심부까지 습격하여 모든 것을 약탈했다.[113] 이 때문에 카바르디아 체르케스인들은 크림 칸과 오스만 술탄에게 다시는 조공을 바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114] 크림 칸 카플란 기레이는 카바르디아로 진군하여 체르케스인들을 정복하고 조공을 징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15][116] 오스만 제국은 카바르디아인과의 쉬운 승리를 예상했지만, 카자니코 자바그가 세운 전략으로 인해 체르케스인들이 승리했다.[113][117][118][119][120][121]

크림 군대는 하룻밤 사이에 완전히 궤멸되었다. 크림 칸 카플란 기레이는 간신히 목숨을 건졌으며, 굴욕을 당하고 신발까지 빼앗겼으며, 그의 형제, 아들, 야전 도구, 텐트 및 개인 소지품을 모두 잃었다.[113]

4. 3. 2. 러시아-체르케스 전쟁

19세기러시아 제국의 침공으로 러시아-체르케스 전쟁이 발발하여 체르케스는 제국의 영토로 흡수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인구 대다수는 고향에서 인접국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당했다.[190] 오늘날 지금의 러시아 체르케스 지역에 살고 있는 체르케스인은 약 70만 명에 불과하다.

체르케스 카바르다 (Къэбэрдей Хэгъэгу) 공국의 최고 군주들
카바르다(동 체르케스) 최고 군주


1714년 표트르 1세는 코카서스를 점령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는 이 계획을 실행하지 못했지만, 점령의 정치적, 이념적 토대를 마련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이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시작했다. 러시아군은 테레크 강둑에 배치되었다.[122]

러시아군은 일련의 요새를 건설하여 권위를 확립하려 했지만, 이 요새들은 다시 습격의 새로운 목표가 되었고, 실제로 산악 지대 주민들이 요새를 점령하고 지키기도 했다.[123] 예르몰로프 휘하에서 러시아군은 요새에 대한 습격에 대한 불균형적인 보복 전략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러시아군은 저항군이 숨어 있다고 여겨지는 마을을 파괴하고, 암살, 납치, 그리고 가족 전체를 처형하는 방식으로 보복했다.[7] 저항은 호의적인 마을에 식량을 의존했기 때문에, 러시아군은 또한 작물과 가축을 체계적으로 파괴하고 체르케스 민간인을 살해했다.[124][125] 체르케스인들은 이 지역의 모든 부족을 포괄하는 부족 연합을 결성하여 대응했다.[125] 1840년 카를 프리드리히 노이만은 체르케스인 사상자를 약 150만 명으로 추산했다.[126] 일부 자료에 따르면 수십만 명이 추방 중에 사망했다.[127] 여러 역사학자들은 이 지역에서 러시아의 행동의 결과에 대해 "체르케스인 학살"이라는 구절을 사용한다.[128][129]

1860년부터 1864년까지 이어진 일련의 광범위한 군사 작전에서 북서 코카서스와 흑해 해안은 무슬림 마을 주민들로 거의 비워졌다. 이주민의 행렬은 쿠반 강 평원으로 향하거나, 오스만 제국으로 수송하기 위해 해안으로 향했다. 하나씩, 모든 체르케스 부족 집단이 흩어지고, 재정착되거나, 대량으로 살해되었다.[130]

체르케스인들은 1861년 6월 25일 수도 샤셰(소치)에 "대자유 회의"라는 집회를 열었다. 하지 케란디코 베르제지는 이 집회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 이 회의는 유럽의 도움을 요청하며[131] 곧 망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결과가 나오기 전에 러시아의 콜랴바킨 장군이 소치를 침공하여 의회를 파괴했고[132] 어떤 나라도 이에 반대하지 않았다.[131]

1864년 5월, 2만 명의 체르케스 기병으로 구성된 체르케스 군대와 10만 명의 완전 무장한 러시아 군대 사이에 마지막 전투가 벌어졌다. 체르케스 전사들은 러시아 군대를 공격하여 전선을 돌파하려 했지만, 대부분 러시아 포병과 보병에 의해 사살되었다.[76] 남은 병사들은 계속해서 무장 세력으로 싸웠고 곧 패배했다. 2만 명의 체르케스 기병이 모두 전쟁에서 사망했다. 러시아군은 체르케스 병사들의 시체 위에서 승리를 축하하기 시작했고, 1864년 5월 21일이 공식적으로 전쟁의 종식일이 되었다.[133]

4. 3. 3. 체르케스인 학살

19세기러시아 제국의 침공으로 러시아-체르케스 전쟁이 발발하여 체르케스는 제국의 영토로 흡수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인구 대다수가 고향에서 인접국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당했다.[134] 오늘날 지금의 러시아 체르케스 지역에 살고 있는 체르케스인은 약 70만 명에 불과하다.

체르케스인 추방 제안은 러시아 정부에 의해 비준되었고, 러시아 군대가 마지막 작전을 수행하면서 난민 이동이 시작되었다.[134] 체르케스인들은 러시아 군대의 진격과 군대에 맞서 최후의 저항을 준비했다.[135] 항복을 거부하자 체르케스 민간인들은 러시아 군대에 의해 하나씩 표적이 되었고 수천 명이 학살되었다. 러시아는 체르케스 마을을 습격하고 불태웠으며,[125] 돌아올 수 없도록 밭을 파괴하고, 나무를 베어 사람들을 흑해 해안으로 몰아냈다.[136]

집단 학살의 주요 표적은 체르케스인들이었지만, 일부 압하스인, 아바진인, 체첸인, 오세트인 및 기타 무슬림 코카서스인[137] 공동체도 영향을 받았다. 정확한 피해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연구자들은 체르케스인 인구의 최소 75%, 90%,[138][139] 94%,[140] 또는 95~97%[141]가 피해를 입었다고 추정한다. 이러한 비율을 고려하여, 러시아 정부의 자체 기록 수치를 고려한 계산에 따르면 60만~150만 명의 손실이 발생했다.

부족전쟁 이전 인구전쟁 이후 인구감소율
카바르딘족500,000명35,000명93%
압자흐족260,000명14,600명94%
나투하즈족240,000명175명99.9%
샤프수그족300,000명3,000명99%



러시아 장교 이반 드로즈도프는 1864년 5월 콰바다에서 승리를 축하하며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 길에서 우리의 눈은 충격적인 광경을 마주했다. 개들에게 찢기고 반쯤 먹힌 여성, 어린이, 노인 시체; 굶주림과 질병으로 쇠약해져 다리를 움직일 힘조차 없어 탈진하여 개들의 먹이가 된 추방자들이 아직 살아 있었다.

오스만 제국은 아디게 전사들을 용감하고 경험이 풍부하다고 여겼다. 제국의 국경을 강화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의 다양한 국경 근처 정착지에 정착하도록 장려했다.

월터 리치먼드에 따르면, 체르케스인들은 흑해 북동 해안에 위치한 작은 독립 국가였다. 민족적 증오 외에 다른 이유 없이, 수백 번의 습격 과정에서 러시아인들은 체르케스인들을 고향에서 몰아내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했다. 최소 60만 명이 학살, 기아, 혹독한 환경으로 목숨을 잃었고, 수십만 명이 고향을 떠나야 했다. 1864년까지 인구의 4분의 3이 전멸했으며, 체르케스인들은 현대 역사상 최초의 무국적 민족 중 하나가 되었다.[143]

조지아는 이 사건을 집단 학살로 분류한 유일한 국가이며, 러시아는 체르케스인 집단 학살을 적극적으로 부인하고 이 사건을 "미개한 미개 민족"의 단순한 이주로 분류한다. 러시아 민족주의자들은 매년 5월 21일을 러시아 제국의 코카서스 점령에 대한 저항이 끝난 "성스러운 정복의 날"로 기념한다. 체르케스인들은 매년 5월 21일을 체르케스 애도의 날로 기념한다.

오스만 제국으로 체르케스인들의 추방을 보여주는 지도. 밝은 녹색 지역은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되기 전에 이미 남쪽으로 밀려났던 체르케스인들의 최종 경계를 나타낸다. 18세기 후반에 체르케스인들은 이 지도에 녹색으로 나타나지 않는 북쪽 영토를 잃었다.

5. 정치

체르케스는 역사적으로 여러 부족과 공국으로 구성되었으며, 때로는 연맹을 맺어 통합된 정치 체제를 이루기도 했다.

1807년, 슈워파그웨 칼라웨바테코(Shuwpagwe Qalawebateqo)는 체르케스를 12개의 주요 지역으로 나누고 스스로를 연맹의 지도자라고 칭했다.[36][37][38][39] 1827년에는 이스마일 베르제그가 공식적으로 체르케스 부족의 군사 연맹을 선포하고, 1839년까지 체르케스 상당 부분을 통일했다.[40][41]

1839년, 체르케스인들은 비구칼(Anapa)을 새로운 수도로 선포하고 하우두코 만수르(Hawduqo Mansur)를 연맹의 새로운 지도자로 선포했다.[42][43][41] 1848년에는 무하마드 아민이 지도자가 되었고,[44][45][46] 그의 통치를 받아들이기 위해 수천 가구가 압자흐(Abdzakh) 지역으로 이주했다.[47] 세페르비 자네코가 아민의 뒤를 이었으나 이듬해 사망했다.

1860년, 체르케스 대표들은 회의를 통해 의회를 구성하고, 이를 체르케스의 최고 입법 기관으로 삼았다.[48][49][50] 이 의회는 소치(Шъачэ|Ş̂açəady)에 설립되었으며, 케란디코 베르제그가 의회와 국가의 수장으로 선출되었다.[51][52]

체르케스는 외교 관계에도 힘썼다. 1739년 벨라드 조약을 통해 카바르다 (동체르케스)의 독립이 국제적으로 인정되었고,[16] 빈 회의에서도 체르케스의 독립이 규정되었다.[17] 1837년에는 유럽 국가들에 법적 인정을 요청하여 영국의 인정을 받았다.[16][17] 그러나 러시아-체르케스 전쟁 동안 러시아 제국은 체르케스를 독립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반군 점령 하의 러시아 영토로 취급했다.[18] 체르케스 의회는 외교적, 군사적 지원을 얻기 위해 이스탄불런던에 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펼쳤다.[51]

5. 1. 체르케스 대공

이나르 대공은 1427년에서 1453년 사이에 모든 체르케스 공국을 정복하고 스스로를 체르케스 대공으로 선언했다. 그의 사후, 체르케스는 다시 분열되었다.[32]

영향력 있는 체르케스 공국들은 정기적으로 모여 그들 중에서 대공(Пщышхо)을 선출했으며, 유일한 조건은 그 왕자가 이나르 대공의 후손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제도의 존재는 외국 자료에 의해 확인된다. 외국 관찰자들의 눈에는 대공이 체르케스인의 왕으로 여겨졌다.[33] 그러나 개별 부족들은 매우 자율적이었고, 칭호는 대부분 상징적인 것이었다. 1237년, 도미니크회 수도사 리차드와 줄리안은 헝가리 대사관의 일원으로서 체르케스를 방문했고, 타만 반도에 위치한 이 국가의 주요 도시인 마트레가를 방문했다. 마트레가에서 대사관은 대공으로부터 좋은 환대를 받았다.[34]

14세기와 15세기에 카파 영사와 체르케스 간의 관계에 관한 이탈리아 문서들은 체르케스 통치자의 절대적인 특별 지위를 명확히 나타낸다. 이 지위는 체르케스 수석 공작이 교황과 서신을 주고받을 수 있게 했다. 교황 요한 22세가 지키아(체르케스)의 대공 베르자흐트에게 보낸 서한은 133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로마 교황은 그의 신하들 사이에 가톨릭 신앙을 도입하려는 그의 부지런함에 대해 통치자에게 감사를 표했다. 베르자흐트의 권력 지위는 너무 높아서, 그의 선례를 따라 몇몇 다른 체르케스 공작들이 가톨릭교를 받아들였다.[35]

5. 2. 연방

1807년, 슈워파그웨 칼라웨바테코(Shuwpagwe Qalawebateqo)는 스스로 체르케스 연맹의 지도자라고 칭하며 체르케스를 12개의 주요 지역으로 나눴다.[36][37][38][39] 1827년, 이스마일 베르제그는 공식적으로 체르케스 부족의 군사 연맹을 선포했고, 1839년까지 체르케스의 상당 부분을 그의 통제하에 통일했다.[40][41]

1839년, 체르케스인들은 비구칼(Anapa)을 새로운 수도로 선포했고 하우두코 만수르(Hawduqo Mansur)를 체르케스 연맹의 새로운 지도자로 선포했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 이 직함을 유지했다.[42][43][41] 1848년, 무하마드 아민이 체르케스의 지도자가 되었다.[44][45][46] 한 무사 학자가 도착했다는 소식을 듣고 수천 가구가 그의 통치를 받아들이기 위해 압자흐(Abdzakh) 지역으로 이주했다.[47] 세페르비 자네코는 아민이 떠난 후 권력을 잡았지만 이듬해 사망했다.

1860년 6월, 체르케스 대표들의 회의에서 의회가 체르케스의 최고 입법 기관으로 구성되었다. 정치적 저항 의회이자 체르케스의 입법부로서,[48][49][50] 의회는 1860년 6월 13일 소치(Шъачэ|Ş̂açəady)에 설립되었고 케란디코 베르제그가 의회와 국가의 수장으로 선출되었다.[51][52]

5. 3. 외교 관계

1739년 벨라드 조약은 동체르케스(카바르다)의 독립을 법적으로, 국제적으로 인정했으며, 러시아 제국오스만 제국 모두 이를 인정했고, 당시 열강들도 이 조약을 지켜보았다. 1814년에서 1815년 사이에 열린 빈 회의 또한 체르케스의 독립을 규정했다. 1837년, 체르케스 지도자들은 유럽 국가들에게 법적 인정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고, 이에 따라 영국은 체르케스를 인정했다.[16][17] 그러나 러시아-체르케스 전쟁 동안 러시아 제국은 체르케스를 독립 지역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해당 지역을 반군 점령 하의 러시아 영토로 취급했다. 이 지역에 대한 통제권이나 소유권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18] 러시아 장군들은 체르케스인들을 그들의 민족 이름이 아닌 "산악인", "산적", "산악 쓰레기"라고 불렀다.[18][19]

체르케스 의회는 대규모 외교 활동을 시작했다. 우선, 알렉산드르 2세 차르에게 보내는 공식 각서를 작성했다. 이 각서의 내용은 1861년 9월 차르가 체르케스를 방문했을 때 의회 지도자들이 차르에게 전달했다. 의회는 또한 오스만 정부와 유럽 정부에 호소문을 채택했다. 외교적, 군사적 지원을 모색하기 위해 특별 사절단을 이스탄불런던에 파견했다. 체르케스 정부의 활동은 공공 단체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고, 이스탄불과 런던의 체르케스 위원회가 체르케스를 지원했다. 이로써, 체르케스는 사실상 국제법 주체의 특징을 갖게 되었다.[51]

16세기에 코카서스 해안을 여행한 영국 여행가 에드먼드 스펜서는 오스만 술탄에 대한 체르케스 속담을 인용했다.

> 체르케스인의 피가 술탄의 혈관에 흐른다. 그의 어머니, 그의 하렘은 체르케스인이다; 그의 노예는 체르케스인이고, 그의 대신과 장군은 체르케스인이다. 그는 우리 신앙의 지도자이자 우리 민족의 지도자이기도 하다.

6. 군사

체르케스인들은 수세기 동안 외부 침략의 위협 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삶의 방식 전체가 군사화되었다. 아스트라한의 총독은 표트르 1세에게 다음과 같이 편지를 썼다.[53]

체르케스 지역에는 소위 "전쟁 문화"가 발전했다. 명예로운 전투는 이 문화의 큰 부분을 차지했으며, 적대 행위 중에는 집이나 농작물, 특히 빵에 불을 지르는 것이 엄격히 용납되지 않았다. 심지어 적의 것도 마찬가지였다. 전우의 시신을 전장에 버려두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일로 여겨졌다. 살아있는 채로 적의 손에 넘어가는 것은 체르케스에서 큰 수치로 여겨졌기 때문에, 후에 체르케스에서 싸운 러시아 장교들은 자살까지 할 정도로 체르케스인들을 생포하는 것이 매우 드물었다고 언급했다. 요한 폰 블라람베르크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체르케스인 학살로 체르케스 지역을 침략하고 민족 청소를 한 후, 러시아군은 무기(샤슈카, 체르케스 사브르, 단검, 체르케스 안장, 체르케스 말)부터 군복(체르케스카, 부르카, 파파하)에 이르기까지 체르케스 군복의 일부를 채택했다.[53]

7. 인구

러시아와 소련 통치 아래에서 체르케스계 민족들에 대한 인종적, 부족적 구분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체르케스계인들(아디게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딘인, 샵수그인)에게 다른 통계학적 명칭이 사용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체르케스 민족 국가 개념과 이를 반영하기 위해 러시아 인구조사에서 체르케스인(아디게인)이라는 이름으로 합치려는 노력이 있다. 체르케스 디아스포라 대다수는 이미 자신들을 "체르케스인"이라고 칭하고 있다.[193]

2010년 러시아 인구조사에 따르면, 체르케스계 인구는 718,727명이었다. 이 중 516,826명이 카바르딘인, 124,835명이 아디게인, 73,184명이 체르케스인, 3,882명이 샵수그인으로 조사되었다.[193] 체르케스인 대다수는 튀르키예에 거주하며, 그 인구는 140만 명에서 최대 600만 명에 달한다.[194][195]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이란, 레바논, 세르비아, 이집트, 팔레스타인 등지에도 소수의 체르케스인이 살고 있다.[196][197]

오늘날 약 70만 명의 체르케스인이 러시아의 역사적 체르케스 지역에 거주한다. 2010년 러시아 인구조사에서 718,727명의 체르케스인이 기록되었으며, 이 중 카바르딘인이 516,826명, 아디게인이 124,835명, 체르케스인이 73,184명, 샵수그인이 3,882명이었다.[145] 가장 큰 체르케스인 인구는 터키에 거주하며(1,400,000~6,000,000명),[146]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이란, 레바논, 세르비아, 이집트, 이스라엘 등에도 체르케스인들이 거주하지만 그 수는 상대적으로 적다.[147][148]

8. 종교

체르케스는 이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를 점차적으로 거쳐왔다.[149]

8. 1. 토착 신앙

체르케스인들의 고대 신앙은 하브제의 관습적 규칙 틀 안에서 애니미즘과 마법에 기초했다. 주요 신앙은 일원론적-일신교였지만, 물, 불, 식물, 숲, 바위, 천둥, 번개를 사용하여 기도했다.[150] 사원처럼 사용된 신성한 숲에서 춤과 음악을 동반하여 예배 행위를 수행했고, 노련한 사제가 기도와 간청의 노래를 동반하여 의식을 이끌었다. 이는 신생아를 질병과 악령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50]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조상과 명예였다. 그들은 인간의 현세적 존재 목표가 명예 유지, 연민의 표현, 무상으로 돕는 행위 등 전사의 용맹함과 용기와 함께 인간의 영혼이 맑은 양심으로 조상의 영혼에 합류할 수 있게 하는 영혼의 완성이라고 믿었다.[151]

8. 2. 유대교

과거 일부 체르케스 부족들은 8세기경 체르케스에 약 20,000명의 유대인이 정착하고, 튀르크계 유대인 하자르 카간국과 관계를 맺으면서 유대교로 개종했다. 체르케스 지역의 유대교는 결국 기독교와 이슬람으로 동화되었다.

8. 3. 기독교

초기 기독교 전통에 따르면 기독교는 사도 안드레아의 여행과 설교를 통해 서기 1세기에 체르케스에 처음 등장했지만,[152] 기록된 역사에 따르면, 그리스와 비잔틴의 영향으로 서기 3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기독교가 처음 체르케스 전역으로 확산되었다고 한다.[91][92][153] 가톨릭 신앙의 확산은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정복과 라틴 국가의 수립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가톨릭 종교는 파르자크트(Farzakht)를 따라 체르케스인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는데, 그는 이 종교를 자국에 전파하는 데 크게 기여한 저명한 인물이었다. 교황은 그의 노력에 감사를 표하며 1333년에 그에게 편지를 보냈다. 체르케스인들에게 기독교 가르침에서 가장 중요하고 매력적인 인물은 성 게오르기우스였다. 그들은 그에게 코카서스에서 존경받는 모든 미덕의 화신을 보았다. 체르케스어로 그의 이름은 "아우셰-게르게"이다.

체르케스에서의 기독교는 18세기에 모든 체르케스인들이 이슬람을 받아들이면서 최종적으로 붕괴되었다. 전직 사제들은 체르케스 귀족에 합류하여 "쇼게네"(shogene, 교사)라는 이름을 받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이름은 성씨가 되었다.

오늘날 기독교는 모즈도크 카바르딘인들 사이에서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154]

8. 4. 이슬람교

815년, 아랍 선교사 아부 이스하크와 무함마드 킨디가 체르케스에 이슬람교를 전파하면서 최초의 체르케스 무슬림 공동체가 설립되었으나, 소수의 추종자만 있었다. 중세 시대부터 체르케스에는 소규모 무슬림 공동체가 존재했지만, 이슬람교가 널리 수용된 것은 1717년 이후였다.[155] 수피 선교사들의 여행과 러시아의 침략 위협 증가는 체르케스에서 이슬람교 확산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했다.[155][156][157] 오스만 제국에서 교육받은 체르케스 학자들도 이슬람교 확산에 기여했다.[158]

9. 체르케스 민족주의

러시아와 소련 통치 하에서 체르케스인들 사이의 민족적 및 부족적 분열이 조장되었고, 그 결과 체르케스인(아디게, 체르케스, 카바르딘, 젭슈그)의 다양한 부분에 대해 여러 다른 통계적 명칭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체르케스 민족주의가 발전했다. 체르케스 민족주의는 전 세계의 체르케스인들이 문화를 보존하고 자신들의 언어를 소멸 위협에서 구하며,[159][160] 체르케스인 학살에 대한 완전한 국제적 인정을 달성하고,[161][162][163] 전 세계적으로 체르케스인들 사이에서 아디게 하브제를 부활시키고,[164][165][166] 그들의 고향인 체르케스에 돌아가고,[167][168][169][170] 궁극적으로 독립적인 체르케스 국가를 재건하려는 열망이다.[169][170][171] 체르케스 민족의 개념을 반영하고 부활시키기 위해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 체르케스인들이 "체르케스"(아디게)라는 이름으로 통합하려는 노력도 있다. 디아스포라의 압도적인 다수는 이미 스스로를 "오직 체르케스인"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문서
[2] 뉴스 Dünyayı yıkımdan kurtaracak olan şey : Çerkes tipi hükümet sistemi https://ghuaze.net/d[...] 2022-11-05
[3] 웹사이트 “Алфавитный список народов, обитающих 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http://www.demoscope[...] 2005-01-24
[4] 웹사이트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www.hdp.org.[...] 2020-09-26
[5]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3-04-09
[6] 서적 Geçmişten günümüze Kafkasların trajedisi: uluslararası konferans, 21 Mayıs 2005 https://books.google[...] Kafkas Vakfı Yayınları 2006
[7] 웹사이트 Tarihte Kafkasya - ismail berkok - Nadir Kitap https://www.nadirkit[...] 2020-09-26
[8] 문서
[9] 문서
[10] 웹사이트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www.hdp.org.[...] 2020-09-26
[11]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3-04-09
[12] 서적 Geçmişten günümüze Kafkasların trajedisi: uluslararası konferans, 21 Mayıs 2005 https://books.google[...] Kafkas Vakfı Yayınları 2006
[13] 웹사이트 UNPO: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unpo.org/art[...] 2009-11-02
[14] 웹사이트 Tarihte Kafkasya - ismail berkok {{!}} Nadir Kitap https://www.nadirkit[...] 2020-09-26
[15] 웹사이트 Çerkezler: Kafkaslar'da yaşayan halklardan biri https://islamansiklo[...] 2021-06-24
[16] 서적 Circassia: Born to Be Free Xlibris 2017-09-15
[17] 서적 The Circassians: A Handbook
[18]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Blood on the Shore: The Circassian Genocide http://caucasusforum[...] 2012-10-13
[20]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3
[21] 간행물 Circassian World Responses to the New Challenges http://www.ponarseur[...] 2016-05-08
[22]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23] 뉴스 single | The Jamestown Foundation http://www.jamestown[...] Jamestown.org 2013-08-20
[24] 문서
[25]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26] 문서
[27]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8] 문서
[29] 웹사이트 Circassians https://www.encyclop[...] www.encyclopedia.com 2019-06-20
[30] 뉴스 Home thoughts from abroad: Circassians mourn the past—and organise for the future The Economist 2012-05-26
[31] 웹사이트 Spelen zijn op massagraven. http://nos.nl/os2014[...] 2014-02-03
[32] 웹사이트 Prince Inal the Great (I): The Tomb of the Mighty Potentate Is Located in Circassia, Not Abkhazia http://circasvoices.[...] Circassian Voices 2013
[33] 웹사이트 Черкесия: черты социо-культурной идентичности http://www.elot.ru/i[...] 2013-08-20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Tarihte Kafkasya İstanbul Matbaası
[37] 문서 Tarihte Kafkasya
[38] 문서 Çerkes Özgürlük Meclisi KAFFED
[39] 문서 These regions were Shapsugo-Natukhaj, Abdzakh, Chemirgoy, Barakay, Bzhedug, Kabardo-Besleney, Hatuqway, Makhosh, Bashilbey, Taberda, Abkhazia and Ubykh people.
[40] 간행물 Hadji-Ismail Dagomuqua Berzeg, Circassian Warrior and Diplomat
[41] 문서 Kronolojik Savaş Tarihi
[42] 문서 Урыс-Адыгэ зауэ
[43] 문서 Çerkez tarihi liderleri A.Ü. Arşivi, XII.V
[44] 문서 Имам Шамиль Молодая гвардия 2003
[45] 문서 AKAK, Vol. X, p.590, document No. 544, Vorontsov to Chernyshev (secret), 8 [20] November 1847, No. 117
[46] 문서 Магомет-Амин II Кавказский календарь на 1861 год 1860
[47] 문서 “Report of Mehmed Emin…” NA, F.O. 195/443 1854-08-15
[48] 문서 Указ. соч.
[49] 문서 Убыхи в освободительном движении на Западном Кавказе М.; Л. 1935
[50] 문서 Кавказская война М. 1994
[51] 웹사이트 Черкесия: черты социо-культурной идентичности http://www.elot.ru/i[...] 2022-04-08
[52] Webarchive Soçi Meclisi ve Çar II. Aleksandr ile Buluşma https://jinepsgazete[...] 2011-08
[53] 문서 Русско-Черкесская война 1763—1864 гг. и ее последствия
[54] 문서 Polyaenus names Hekataios, the king of the Sindi kingdom of Circassians, who ruled between 400-383 BC.
[55] 문서 Arrian (89–146) mentions a king of Zichia (West Circassia) named Stachemfak (Стахэмфакъу)
[56] 문서 Çerkes Krallar, Hükümdarlar
[57] 문서 Ancient Circassian History
[58] 문서 Çerkes Krallar, Hükümdarlar
[59] 문서 Çerkes Krallar, Hükümdarlar
[60] 문서 Medieval Russia’s Cronicles, 58-59
[61] 문서 Çerkes Krallar, Hükümdarlar
[62] 문서 The Laurentian Codex provides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1022, Prince Mstislav of Chernigov, who at the time was the prince of Tmutarakan, started a military operation against the Alans. During the operation, he encountered the Kassogian army commanded by Rededya. To avoid unnecessary bloodshed, Mstislav and Rededya, who possessed an extraordinary physical force, decided to have a personal fight, with the condition that the winner would be considered the winner of the battle. The fight lasted some hours and, eventually, Rededya was knocked to the ground and stabbed with a knife."
[63] 웹사이트 Pdf scans of the original text http://www.lrc-lib.r[...]
[64] 웹사이트 from The Complete Collection of Russian Manuscripts http://litopys.org.u[...]
[65] 문서 Historian Rashid-al-Din Hamadani in the Persian Chronicles, wrote that the Circassian king Tuqar was killed in battle against the Mongols
[66] 문서 Сборник летописей М.-Л. 1952
[67] 문서 Kuzey Kafkasya’da Moğol İstilası
[68] 웹사이트 ФАЗЛАЛЛАХ РАШИД-АД-ДИН->СБОРНИК ЛЕТОПИСЕЙ->ПУБЛИКАЦИЯ 1941 Г.->ТЕКСТ http://www.vostlit.i[...]
[69] 문서 In his letter to the king of Zichia, Verzacht/Ferzakht, Pope John XXII thanks the Governor of Circassians for his assistance in implementing the Christian faith among the Circassians. Verzacht's power and status was so high that his example was followed by the rest of the Circassian princes, who took the Roman Catholic faith.
[70] 문서 A contract was signed between the ruler of Circassia and the ruler of Feodosia#Kaffa (Genoese colony), naming another ruler of Zichia: "Petrezok , the paramount lord of Zichia". Under the contract, Zichia would supply large quantities of grain to Caffa.
[71] 서적 The Administration of Caffa under the Uffizio di San Giorgio University of Wisconsin 1966
[72] 서적 Kabarda na ėtapakh politicheskoĭ istorii : (seredina XVI-pervai︠a︡ chetvertʹ XIX) veka Pomatur 2002
[73] 웹사이트 Ulusal Toplu Katalog - Tarama http://www.toplukata[...] 2020-11-02
[74] 웹사이트 Çerkesler Türk mü? http://www.cerkesya.[...] 2018
[75] 백과사전 Circassia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0-07-20
[76] 웹사이트 Çerkesler Türk değildir https://www.internet[...] 2006
[77] 웹사이트 Circassian: A Most Difficult Language https://forward.com/[...] 2014-06-29
[78] 웹사이트 Circassian https://elalliance.o[...]
[79] 웹사이트 Çerkes tarihinin kronolojisi. http://www.cerkes.ne[...] 2020-02-26
[80] 문서 Гос. Эрмитаж, инв. No. М. 59.1320. Монета разломана на две части, склеена.
[81] 웹사이트 К находке синдской монеты в Мирмекии http://myrmekion.ru/[...] 2020-11-09
[82] 문서 Сопутствующий монете материал хранится в ЛОИА АН СССР. Керам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представлен обломками фасосских амфор и чернолаковой керамикой (инв. No.No. М. 59. 1308-1319)
[83] 문서 М. И. Ростовцев, Эллинство и иранство на юге России, СПб., 1908, стр. 123; В. И. Мошинская, О государстве синдов, ВДИ. 1946, No. 3, стр. 203 сл.; Н. В. Анфимов, К вопросу о населении Прикубанья в скифскую эпоху, СА, XI, 1949, стр. 258; он же, Из прошлого Кубани, Краснодар. 1958, стр. 85; он же, Синдика в VI-IV вв. до н. э., "Труды Краснодарского гос. пед. ин-та", вып. XXXIII, Краснодар, 1963, стр. 195; В. Д. Блаватский, Античная культура в Северном Причерноморье, КСИИМК, XXXV, М.- Л., 1950; стр. 34; он же, Рабство и его источники в античных государствах Северного Причерноморья. СА, XX, 1954, стр. 32, 35; он же, Процесс истор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античных государств в Северном Причерноморье, сб. "Проблемы истории Северного Причерноморья в античную эпоху", М., 1959, стр. 11; В. П. Шилов, Население Прикубанья конца VII - середины IV в. до н. э. по материалам городищ и грунтовых могильников, Автореф. дисс, М.- Л., 1951, стр. 13; он же, Синдские монеты, стр. 214; Н. И. Сокольский и Д. Б. Шелов, Историческая роль античных государств Северного Причерноморья, сб. "Проблемы истории Северного Причерноморья", М., 1959, стр. 54; Д. Б. Шелов, Монетное дело Боспора, стр. 47; Т. В. Блаватская, Очерки политической истории Боспора в V-IV вв. до н. э., М-, 1959, стр. 94; Э. Берзин, Синдика, Боспор и Афины в последней четверти V в. до н. э., ВДИ, 1958, No. 1, стр. 124; F. И. Крупнов, Древняя история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М., 1960, стр. 373; "Истор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ой АССР", т. I, M., 1967, стр. 48;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ии", т. I, Ставрополь, 1967, стр. 45-48: Т. X. Кумыков, К вопросу о возникновении и развитии феодализма у адыгских народов, сб. "Проблемы возникновения феодализма у народов СССР", М., 1969, стр. 191-194.
[84] 문서 В боспорской нумизматике известны монеты, приписанные исследователями Аполлонии и Мирмекию и датированные первой половиной V в. до н. э. Однако первые вызывают большие споры и сомнения ввиду отсутствия города с таким названием в источниках; вторые - с эмблемой муравья - также не могут быть отнесены безоговорочно к Мирмекию. См. В. Ф. Гайдукевич, Мирмекий, Варшава, 1959, стр. 6.
[85] 문서 Древнее царство Синдика, 2007
[86] 서적 Tarihte Kafkasya İstanbul 1958
[87] 간행물 Sindika Krallığı Jineps 2007-01
[88] 서적 Çerkesya, Gönül Yaram Ankara 2007
[89] 뉴스 Сыд фэдагъа Синдикэр? Адыгэ макъ gazetesi 1992-01-07
[90] 서적 İlkçağ Tarihi Ankara 1987
[91] 간행물 The Penny Magazine Charles Knight 1838
[92]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Greenwood 2000
[93]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7-06-28
[94] 웹사이트 Çerkes tarihinin kronolojisi. http://www.cerkes.ne[...] 2020-02-26
[95] 문서 Shora Nogma has 1427 (per Richmond, Northwest Caucasus, kindle@610). In a later book (Circassian Genocide kindle @47) Richmond reports the legend that Inal reunited the princedoms after they were driven into the mountains by the Mongols. In a footnote (@2271) he says that Inal was a royal title among the Oguz Turks
[96] 간행물 Caucasian Review 1956
[97] 서적 Ethnic Groups of Europe: An Encyclopedia ABC-CLIO, LLC 2011
[98] 웹사이트 The Legendary Circassian Prince Inal, by Vitaliy Shtybin https://abkhazworld.[...] Abkhaz World 2020-07-24
[99] 웹사이트 Prenslerın Prensı İnal Nekhu (Pşilerın Pşisi İnal İnekhu) http://www.cherkessi[...] Kağazej Jıraslen 2013
[100] 웹사이트 Prince Inal the Great of Circassia, II: Shanjir, the Fabled Capital of Inal's Empire http://circasvoices.[...] 2013
[101] 서적 Новейшие географические и исторические известия о Кавказе 1823
[102] 간행물 “Пограничное укрепление Боспор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и Краснобатарейное городище” Москва 1937
[103] 간행물 “Краснобатарейное городище. Старые проблемы, новые исследования” 2009
[104] 서적 Travels Through the Southern Provinces of the Russian Empire, in the Years 1793 and 1794 John Stockdale, Piccadilly 1812
[105] 간행물 Фролова, Н. А., “Горлов Ю. В. Клад золотых боспорских статеров II в. н. э. с Краснобатарейного городища: [Краснодар. край]” 2000
[106] 서적 Абхазия : история без фальсификации Izd-vo Sukhumskogo Gos. Universiteta
[107] 서적 Travels in the Caucasus and Georgia performed in the years 1807 and 1808 by command of the Russian government Elibron Classics
[108] 문서 The 200-year Mingrelia-Abkhazian war and the defeat of the Principality of Mingrelia by the Abkhazians of XVII-XVIII cc.
[109] 문서 Asie occidentale aux XIVe-XVIe siècles
[110] 웹사이트 Prince Inal the Great (I): The Tomb of the Mighty Potentate Is Located in Circassia, Not Abkhazia https://web.archive.[...] Circassian Voices 2013
[111] 문서 Археологическая карта Кубанской области
[112] 웹사이트 Biblioteca Italiana. Vita de' Zichi chiamati Ciarcassi di G. Interiano https://archive.toda[...]
[113] 웹사이트 Путешествие господина А. де ла Мотрэ в Европу, Азию и Африку http://www.vostlit.i[...] 2019-01-12
[114] 웹사이트 Ещё одна "Мать Полтавской баталии"? К юбилею Канжальской битвы 1708 года https://web.archive.[...] 2019-01-12
[115] 웹사이트 Подборка статей к 300-летию Канжальской битвы https://archive.toda[...] 2018-09-20
[116] 서적 Все монархи мира. Мусульманский Восток. XV-XX вв. https://archive.toda[...] «Вече»
[117] 웹사이트 Описание Черкесии http://www.vostlit.i[...] 2019-01-12
[118] 웹사이트 "Записки" Гербера Иоганна Густава http://www.vostlit.i[...] 2019-01-12
[119] 웹사이트 Энгельберт Кемпфер http://www.vostlit.i[...] 2019-01-12
[120] 웹사이트 Ещё одна "Мать Полтавской баталии"? К юбилею Канжальской битвы 1708 года http://www.diary.ru/[...] 2019-01-12
[121] 웹사이트 Circassian World News Blog: Documentary: Kanzhal Battle https://web.archive.[...] 2009-10-15
[122] 문서 Ein Blick auf die Circassianer
[123] 서적 Yaşayan Efsane Xabze Phoenix Yayınları
[124] 서적 Hatti-Hititler ve Çerkesler Chiviyazıları Yayınevi
[125] 문서
[126] 문서
[127] 문서
[128] 문서
[129] 문서
[130] 문서
[131] 문서 Circassian Genocide
[132] 뉴스 Adigece'nin temel sorunları-1 https://web.archive.[...] Адыгэ макъ 2009-02-13
[133] 웹사이트 Arşivlenmiş kopya https://web.archive.[...] 2020-02-20
[134] 웹사이트 Russian Federation – Adygey https://web.archive.[...] 2020-07-20
[135] 문서
[136] 웹사이트 Russian Federation – Karachay and Cherkess https://web.archive.[...] Minority Rights 2020-07-20
[137] 웹사이트 Caucasus Survey https://web.archive.[...] 2015-04-23
[138] 뉴스 145th Anniversary of the Circassian Genocide and the Sochi Olympics Issue https://web.archive.[...] Reuters 2009-05-22
[139] 뉴스 Georgia Says Russia Committed Genocide in 19th Century https://web.archive.[...] 2011-05-20
[140] 문서 The First 'Circassian Exodus' to the Ottoman Empire (1858–1867), and the Ottoman Response, Based on the Accounts of Contemporary British Observers
[141]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142] 웹사이트 А.Суриков. Неизвестная грань Кавказской войны http://www.apn-nn.ru[...]
[143] 웹사이트 Russian Federation – Kabards and Balkars https://minorityrigh[...] Minority Rights 2020-07-20
[144] 서적 The Caspian Region: a Re-emerging Region Routledge
[145] 뉴스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gks.ru/fr[...] GKU 2015-12-16
[146] 웹사이트 People groups: Kabardian + Adyge http://joshuaproject[...] Joshua project 2015-12-16
[147] 뉴스 World: Europe Circassians flee Kosovo conflict http://news.bbc.co.u[...] 1998-08-02
[148] 웹사이트 NJ Circassians join international group to protest Winter Olympics in Russia http://www.nj.com/ne[...] 2010-02-09
[149] 간행물 Трансформация Религиозных Взглядов Адыгов На Примере Основных Адыгских Космогонических Божеств 2015
[150] 간행물 Çerkes mitolojisinin temel unsurları: Tanrılar ve Çerkesler http://www.cerkesara[...] 2006
[151] 문서 Khabze: the religious system of Circassians http://habze.info/pu[...] Khabze.info
[152] 서적 Antiquitates christianæ, or, The history of the life and death of the holy Jesus as also the lives acts and martyrdoms of his Apostles: in two parts
[153]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7-06-28
[154] 웹사이트 Мэздогу адыгэ: кто такие моздокские кабардинцы https://kavtoday.ru/[...] 2024-10-04
[155] 서적 Circassian History
[156] 서적 The Circassians: A Forgotten Genocide
[157]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158] 웹사이트 Çerkeslerde inanç ve hoşgörü http://www.circassia[...]
[159] 웹사이트 Çerkes milliyetçiliği nedir? http://ajanskafkas.c[...] 2011-03-15
[160] 웹사이트 'Çerkes Milliyetçiliği' Entegre (Kapsayıcı) Bir İdeolojidir http://www.ozgurcerk[...] 2021-02-17
[161] 웹사이트 152 yıldır dinmeyen acı https://www.aa.com.t[...] 2021-02-17
[162] 웹사이트 Kayseri Haberi: Çerkeslerden anma yürüyüşü https://www.sozcu.co[...] 2017-05-21
[163] 웹사이트 Çerkes Forumu, Çerkes Soykırımını yıl dönümünde kınadı https://www.milligaz[...] 2021-05-14
[164] 뉴스 Circassians Caught Between Two Globalizing "Mill Stones", Russian Commentator Says 2013-01
[165] 문서 Хабзэ против Ислама. Промежуточный манифест
[166] 뉴스 North Caucasus Insurgency Admits Killing Circassian Ethnographer http://www.rferl.org[...] 2010
[167] 웹사이트 Suriyeli Çerkesler, Anavatanları Çerkesya'ya Dönmek İstiyor https://www.haberler[...] 2013-09-05
[168] 웹사이트 Kaffed - Dönüş https://www.kaffed.o[...] 2021-02-17
[169] 웹사이트 Kaffed - Evimi Çok Özledim https://www.kaffed.o[...] 2021-02-17
[170] 웹사이트 A COUNTRY STUDY: THE REPUBLIC OF ADYGEYA http://www.circassia[...] 2010-04-05
[171] 웹사이트 Savbaş Ve Sürgün, Kafdağı'nın Direnişi https://www.atlasder[...] 2013-09-23
[172] 문서 Книга познания мира (1404)
[173] 문서
[174] 뉴스 Dünyayı yıkımdan kurtaracak olan şey : Çerkes tipi hükümet sistemi https://ghuaze.net/d[...] 2022-11-05
[175] 웹사이트 “Алфавитный список народов, обитающих 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http://www.demoscope[...] Демоскоп Weekly 2005-01-24
[176] 웹인용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www.hdp.org.[...] 2014
[177]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3-04-09
[178] 서적 Geçmişten günümüze Kafkasların trajedisi: uluslararası konferans, 21 Mayıs 2005 https://books.google[...] Kafkas Vakfı Yayınları 2006
[179] 웹인용 Tarihte Kafkasya - ismail berkok - Nadir Kitap https://www.nadirkit[...] 2020-09-26
[180] 웹사이트 http://aheku.org/
[181] 웹사이트 http://www.circassia[...]
[182] EB1911
[183] 서적 Descriptive Ethnology. https://books.google[...] London, J. Van Voorst 1859
[184] 서적 Elements of Comparative Philology. https://books.google[...] London, Walton and Maberly 1862
[185] 서적 Three Voyages in the Black Sea to the Coast of Circassia. https://books.google[...] London 1837
[186] 서적 A New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ommercial Grammar and Present State of the Several Kingdoms of the World Philadelphia, Johnson & Warner 1815
[187] 웹사이트 Biblioteca Italiana.Vita de' Zichi chiamati Ciarcassi di G. Interiano https://archive.toda[...]
[188] 간행물 Home thoughts from abroad: Circassians mourn the past—and organise for the future 이코노미스트 2012-05-26
[189] 뉴스 Spelen zijn op massagraven http://nos.nl/os2014[...] 네덜란드 방송 재단 2014-02-03
[190] 서적 Сборник летописей М.-Л. 1952
[191] 서적 Кафа в период владения ею банком св. Георгия (1454—1475) Симферополь 1912
[192] 서적 The Administration of Caffa under the Uffizio di San Giorgio University of Wisconsin 1966
[193] 뉴스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gks.ru/fr[...] 2010
[194] 뉴스 TURKEY'S CIRCASSIANS DEMAND FREEDOM TO TRAVEL TO ABKHAZIA https://search.wikil[...] 2009
[195] 뉴스 Country: Turkey / People groups: Kabardian + Adyge http://joshuaproject[...] 2015
[196] 뉴스 World: Europe Circassians flee Kosovo conflict http://news.bbc.co.u[...] 1998-08-02
[197] 웹인용 N.J. Circassians join international group to protest Winter Olympics in Russia http://www.nj.com/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