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백악기 시대에 살았던 대형 육식 공룡으로, 날카로운 이빨을 특징으로 한다. 1927년 이집트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모로코에서 거의 완전한 두개골 화석이 발견되어 재기재되었다. 몸길이는 약 11미터, 두개골 길이는 약 1.6미터로,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한 크기이며, 5~7톤의 몸무게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학명은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도마뱀이라는 의미이며, 톱니 모양의 이빨은 사냥에 적합한 형태로 진화했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모식 속이며,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 번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 콘카베나토르
    콘카베나토르는 전기 백악기 스페인에 살았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수각류 공룡으로, 등에 솟아오른 독특한 융기가 특징이며 융기의 기능과 깃털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193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하우피오테릭스
    하우피오테릭스는 쥐라기 초기 육식성 어룡으로, 최대 3m까지 성장하며 물고기, 갑각류, 두족류를 먹고 독일과 룩셈부르크 등 유럽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된다.
  • 백악기 후기 아프리카의 공룡 - 스피노사우루스
    스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부터 후기 북아프리카에 살았던 스피노사우루스과의 수각류 공룡으로, 긴 신경배돌기("돛")가 있는 등뼈가 특징이며 가장 큰 수각류 공룡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식성, 수생 생활 여부, 이동 방식 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백악기 후기 아프리카의 공룡 - 파랄리티탄
    파랄리티탄은 백악기 후기에 맹그로브 숲 갯벌 지역에 살았던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2000년 이집트에서 발견되어 2001년 파랄리티탄 스트로메리라는 종으로 명명되었으며, 최대 몸길이 32m, 몸무게 59톤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재건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두개골, 미네소타 과학 박물관
재건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두개골, 미네소타 과학 박물관
학명Carcharodontosaurus
어원jagged toothed lizard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진 도마뱀)
명명자Stromer, 1931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속
타입 종Carcharodontosaurus saharicus
타입 종 명명자(Depéret & Savornin, 1925) (원래 Megalosaurus)
생존 시기백악기 후기 (세노마눔절), 약 1억년 전 ~ 9400만년 전
몸길이약 10–12.5 미터
몸무게약 4–7 톤
한국어 이름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영어 이름Carcharodontosaur
분류
상위 분류공룡상목
용반목
수각아목
테타누라하목
카르노사우루스류 (미분류)
알로사우루스상과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Stromer, 1931
C. saharicus (Depéret & Savornin, 1925)
C. iguidensis? Brusatte & Sereno, 2007
이명

2. 발견 및 명명

IPHG 1922 X46의 구식 두개골 재구성 및 내주형
IPHG 1922 X46의 구식 두개골 재구성 및 내주형, 슈트로머 (1936)


1924년 프랑스의 고생물학자 샤를 드페레와 쥐스탱 사보르냉은 알제리에서 발견된 두 개의 이빨 화석을 메갈로사우루스 사하리쿠스(''Megalosaurus saharicus'')라는 새로운 수각류 공룡 종의 모식 표본으로 종 설명했다.[24] ''사하리쿠스''라는 이름은 이빨이 발견된 사하라 사막을 가리킨다.[3]

1931년 독일의 고생물학자 에른스트 슈트로머는 이집트 바하리야 오아시스에서 부분 두개골, 이빨, 목 척추, 꼬리 척추, 불완전한 골반 등으로 구성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골격(IPHG 1922 X46)을 발견했다. 슈트로머는 이빨의 특징이 데페레와 사보르냉이 기술한 이빨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사하리쿠스''라는 종명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속명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를 부여했다. 이는 백상아리(''Carcharodon carcharias'')의 이빨과 유사한 날카로움과 톱니 모양에서 유래했다.[10]

1996년 미국 고생물학자 폴 세레노모로코에서 ''C. 사하리쿠스''의 새로운 두개골 화석(UCRC PV12)을 발견하여 재기재했다.[6]

2007년 고생물학자 스티브 브루사테와 폴 세레노니제르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종인 ''C. 이구이덴시스''를 명명했다.[7]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이빨 화석(사하라 산)


속명 κάρχαροςgrc(karcharos)는 "날카로운"을 뜻하고, οδούςgrc(odous; 어간: odont-)는 "이빨"을, σαῦροςgrc(sauros)는 "도마뱀"을 의미하는 단어들의 합성어이다. 또는 앞의 두 단어를 합친 καρχαροδωνgrc(karcharodon)이 백상아리 속을 의미하는 것으로부터 "백상아리" + "도마뱀"의 합성어로 볼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얇고 톱니 모양의 상어와 같은 이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2. 1. 모식 표본 소실과 재발견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두개골 화석 표본(모로코산)


최초로 발견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특징적인 이빨 화석은 프랑스의 고생물학자 샤를 드페레(en)와 J.Savornin이 1927년 이집트의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하여 메갈로사우루스의 일종인 ''Megalosaurus saharicus'' (메갈로사우루스 사하리쿠스)로 명명했다.

1931년 독일의 고생물학자 에른스트 슈트로머는 이빨 이외의 부위를 새로 발견했고, 자세한 분석 결과 ''saharicus'' 종에 새로운 속 ''Carcharodontosaurus''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속)의 이름을 부여하여 ''Megalosaurus'' 속에서 변경했다.

이 화석군은 모식 표본이 되었지만, 독일 뮌헨으로 옮겨진 후 제2차 세계 대전 중 뮌헨 대공습으로 파괴되었다. 이때 스피노사우루스의 모식 표본도 같은 운명을 겪었다.[12]

1996년 시카고 대학교미국 고생물학자 폴 세레노모로코에서 명백히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임을 알 수 있는 거의 완전한 두개골 화석을 발견하여 모식 표본으로 재기재했다.[6]

3. 특징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특징적인 이빨과 두개골 구조를 가지고 있다.

''C. 사하리쿠스''
''C. 이구이덴시스''
가능성 있는 표본[8][24]

화석 발견 위치지층추가 정보
튀니지 타타우인 주대륙간 인터칼레르 지층여러 개의 이빨[8]
니제르 북부엘라즈 지층후안와골과 두개골 이하 유해 (아크로칸토사우루스와 유사, 다른 수각류 화석일 가능성 존재)[14]
니제르 아데즈 지역이르하제르 군2개의 부착된 등쪽 척추를 포함한 많은 척추 (다른 수각류 속에 속할 가능성 존재)[14]
테피데트와 아카라제라스니제르의 대륙간 인터칼레르 지층미추와 이빨 (척추는 다른 수각류에서 온 것일 가능성 존재)[14]
사하라 사막의 대륙간 인터칼레르 (정확한 위치 불명)-8개의 척추, 상완골, 손가락뼈 (다른 수각류에서 온 것일 가능성 존재)[14]
남부 튀니지체니니 지층이빨과 미추 (미추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indet.로 표기)[27]
이집트 서부퀘시르 지층화석[28]
수단와디 밀크 지층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여러 척추와 사지 요소 (미추에 체강 존재)[14]
켐 켐 층-흉추의 큰 신경궁 ("오스테오포로시아 기간테아"라는 새로운 속과 종의 메가랍토라으로 비공식적 기술, C. 사하리쿠스 또는 사우로니옵스에 속할 가능성 존재)[30]


  • 두개골: 높고 긴 주둥이를 가졌으며, 좌우 폭은 좁다. 뼈 내부에는 빈 공간이 많아 무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84][85]
  • 이빨: 얇고 날카로우며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어 고기를 찢는 데 특화되었다.[56][57] 이빨 단면은 얇고 넓으며, 앞뒤 방향 굴곡이 적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화석 판별의 주요 증거가 된다.
  • 기타 골격: 다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공룡들과 마찬가지로 작고 튼튼한 앞다리와 길어진 꼬리, 짧은 목을 가지고 있었다.[7][8]

3. 1. 크기

에른스트 스트로머는 최초 발견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표본(IPHG 1922 X46)을 바탕으로 티라노사우루스과고르고사우루스와 크기가 비슷하다고 추정했다. 이 표본은 이후 발견된 표본보다 약 15% 작았으며, 몸길이는 약 12~12.5m, 몸무게는 약 5~7t으로 추정되었다.[91][92][93][94] 이로 인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하리쿠스(''Carcharodontosaurus saharicus'')는 알려진 가장 큰 수각류 공룡 중 하나로 꼽히며, 대부분의 추정에 따르면 두 번째로 큰 수각류이자 전체적으로 세 번째로 큰 수각류이다.[95][92] 반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이구이덴시스(''Carcharodontosaurus iguidensis'')는 몸길이 약 10m, 몸무게 약 4t으로 훨씬 작았다.[92]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몸길이 약 11m[84], 두개골 길이 약 1.6m[85]로,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하거나 더 큰 몸집을 가졌으며, 몸무게는 5~7톤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가노토사우루스와는 근연 관계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빨은 육식 공룡 특유의 날카로운 니가 특히 크고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형태를 띠고 있다. 단면이 얇고 폭이 넓으며 앞뒤 방향 굴곡이 적다는 특징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화석 판별의 주요 증거가 된다. 티라노사우루스와 달리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이빨은 고기를 먹는 데 더 적합한 형태를 하고 있어, 포식자로서의 경향이 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다리알로사우루스처럼 길어 티라노사우루스류와는 다르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티타노사우루스류와 같은 거대한 초식 공룡과 동시대에 살았기 때문에, 검치호처럼 큰 먹이에게 깊은 상처를 입혀 출혈로 사망시키는 방식으로 사냥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86]

두개골은 높이가 있고 주둥이 부분이 길며 좌우 폭은 좁다. 뼈 내부에는 빈 공간이 많아 무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84][85]

Chure(2000)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발달된 누골이 머리 박치기에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87] Sereno와 Brusatte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에오카르카리아를 설명하면서 이 그룹의 이마 융기가 암컷을 두고 싸우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88][89]

두개골 크기는 티라노사우루스를 능가하지만, 뇌 자체는 티라노사우루스의 3분의 2(인간의 15분의 1[85]) 정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수각류로서는 일반적인 크기이다.

3. 2. 두개골

재구성된 신형의 두개골


가장 크고 완전한 ''C. saharicus''의 두개골은 완벽할 경우 1.6m로 측정될 것이며, 가장 큰 ''티라노사우루스'' 두개골과 거의 같은 크기이다. 이 속의 두개골에서는 전상악골과 완전한 후두부 영역, 하악골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두개골은 후기 티라노사우루스과보다 가늘고 가볍게 제작되는 경향이 있는데, 후기 티라노사우루스과는 강력한 구조와 분쇄에 적응되어 있다. 신형 두개골은 측면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좁아져 삼각형 윤곽을 만든다. 이것은 ''마푸사우루스''와 ''기가노토사우루스''와 같은 다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와 유사하다. 그 두개골은 티라노사우루스과보다 가벼웠으며, 안와전동공이 전체 두개골 길이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상악골(위턱뼈), 비골(코뼈), 협골(광대뼈) 및 누골(앞쪽 안와뼈)에 포사(fossa)로 둘러싸여 있었다. 다른 속과 마찬가지로, 비골은 길쭉하며 거친 표면으로 덮인 앞쪽 면을 가지고 있다. 이 융기는 각질 외피에 의해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케라토사우루스''처럼 뿔과 같은 구조를 만들었을 것이다. 유사한 융기가 누골에서도 발견되며, 이것 또한 각질에 의해 길어져 유사한 요소를 형성했을 것이다.[6]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속(genus)에 고유한 상악골의 조각된 외부이다. 그러나 ''C. iguidensis''는 안와전동공 근처에 국한된 안와 전동공, 상악골의 내측 면을 따라 흐르는 능선, 그리고 정중선을 따른 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C. saharicus''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두 종을 구별한다.[7]

IPHG 1922 X46의 상악골은 완성되었을 때 70cm 길이였을 것이며, 신형의 완전한 상악골은 훨씬 더 크다. 각 상악골에는 14개의 치아 소켓이 있다. 뇌상자의 일부가 알려져 있지만, 그 형태는 대부분 ''기가노토사우루스''와 동일하다. 그러나 ''C. saharicus''는 두개골 지붕을 덮고 있는 훨씬 더 두드러진 후두선을 가지고 있다. 전두골은 단단히 융합되어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수각류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40] 협골은 넓고 삼각형 모양이다. 관절은 다른 수각류에 비해 후두과(목이 두개골에 부착되는 곳) 뒤쪽으로 더 멀리 위치해 있었다.[6] Ibrahim 외 (2020)에 의해 ''C. saharicus''로 언급된 두 개의 치골(하악골) 조각은 깊고 확장된 치조(치아 소켓)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른 대형 수각류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15] ''티라노티탄'' 및 ''기가노토사우루스''와 같다면, 치골에는 16개의 치조(치아 소켓)이 있었을 것이다.[41]

''C. saharicus''의 치아


두개골은 높이가 있고, 주둥이 부분이 길며, 좌우 폭은 좁았다. 뼈의 내부는 빈 공간이 많아 경량화에 도움이 되었다.[84][85]

Chure는 2000년에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가 발달한 누골을 가진 이유는 머리 박치기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했다.[87] Sereno와 Brusatte는, 마찬가지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에오카르카리아를 기재할 때, 이 그룹의 이마 융기가 암컷을 두고 싸우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88][89]

두개골의 크기는 티라노사우루스를 능가할 정도이지만, 뇌함의 크기로 보아 뇌 자체는 티라노사우루스의 3분의 2(인간의 15분의 1[85])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수각류로서는 일반적인 크기이다.

3. 3. 이빨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이빨은 얇고 날카로우며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어, 고기를 찢는 데 특화된 형태였다.[56][57] 이빨의 단면은 얇고 폭이 다소 넓으며, 앞뒤 방향의 굴곡이 적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화석을 판별하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치아


이빨은 육식 공룡 특유의 날카로운 톱니가 특히 크고 물결 모양으로 주름진 형태를 띤다. 알로사우루스류의 치아는 뚜렷하며,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치아는 얇고 칼날 모양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56][57] 그러나 이러한 치아는 얇아서 뼈와 같은 단단한 표면에 충격을 가하면 구부러지거나 부러질 위험이 있었다.[56][57] 이러한 위험은 치아에서 관찰되는 직선 모서리, 약간 뒤로 굽은 끝, 그리고 사인 곡선 모양에 의해 더욱 악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아는 여전히 더 작은 수각류의 치아보다 훨씬 더 튼튼하며, 전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압력을 견딜 수 있었다.[96][97]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치아 교체 속도가 빨라 손상된 치아를 쉽게 교체할 수 있었다.[96][97] 이는 치아를 유지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현존하는 뼈를 부수는 포유류와 대조적이다.[96][97]

티라노사우루스 등 다른 육식 공룡은 먹이의 뼈까지 부술 수 있는 이빨을 가졌다는 증거가 있는 반면,[58][59][60]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이빨은 고기를 먹는 데 더 적합한 모양을 하고 있어, 포식자로서의 경향이 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이빨 개수에 대한 추정치는 다양하지만, 최근 추정으로는 턱뼈에 30개, 앞턱뼈에 8개, 위턱뼈에 24개로 총 62개의 치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2]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치아는 어떤 공룡 그룹보다도 가장 큰 치아에 속하며, IPHG 1922 X46의 위턱 치아는 높이가 6.8cm이고 너비가 3.5cm이다.[10][43] 그러나 치아는 매우 얇아서 대부분 1cm 미만이다. 앞쪽과 뒤쪽 가장자리에는 많은 톱니가 있으며, ''C. 사하리쿠스''는 가장자리 1cm당 18~20개 이상의 톱니가 있고, ''C. 이구이덴시스''는 최대 32개까지 있다.[7][10] 치아는 곧고, 옆으로 납작하며, 단면이 방추형이다. 그러나 입 뒤쪽으로 갈수록 이빨은 위턱에 있는 것보다 더 굽어졌다. 이러한 치관의 뒤쪽 가장자리는 굽어져 있으며 끝이 볼록하다. 굽은 법랑질 주름은 치관의 양쪽 등쪽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주름은 가장자리 톱니를 향해 굽어지며, 끝을 따라 띠 모양을 이룬다.[6][44][41]

3. 4. 기타 골격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다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공룡들과 마찬가지로 작고 튼튼한 앞다리와 길어진 꼬리, 짧은 목을 가지고 있었다.[7][8] 가장 완전했으나 파괴된 표본(IPHG 1922 X46)은 심하게 풍화된 3개의 목뼈를 보존하고 있었는데, 하나는 축추이고 나머지 두 개는 축추보다 길고 넓은 앞쪽 목뼈이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목뼈는 튼튼하고 후요추형(뒤쪽 끝이 오목함)이다.[46][41] 이 속의 목뼈는 기가노토사우루스처럼 낮고 튼튼한 척추뼈의 신경 가시로 덮여 있으며, 척추뼈를 가볍게 하기 위해 공기 주머니를 포함하는 뼈의 공기화(몸통 측면의 얕은 함몰부) 위에 매달린 튼튼한 척추뼈 횡돌기에 연결되어 있다. 이 척추뼈의 척추체는 배쪽 면을 따라 용골로 장식되어 있다. 앞쪽 꼬리뼈도 알려져 있는데, 편평형(앞쪽과 뒤쪽 끝이 평평함)이며 짧았다. 이 꼬리뼈는 불완전하여 신경 가시의 대부분이 없었지만, 혈관궁과 연결될 횡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척추체의 측면 또한 공기화되어 있었다. 이 개체에서는 두 개의 칼날 모양의 혈관궁도 보존되었다.[10]

IPHG 1922 X46의 골반과 왼쪽 뒷다리.
골반과 IPHG 1922 X46의 왼쪽 뒷다리(파괴됨)


골반은 불완전하여 양쪽 두덩뼈와 왼쪽 궁둥뼈를 포함했지만, 완전한 골반은 관련된 속에서 알려져 있다. 궁둥뼈는 뒤쪽을 가리키고 두덩뼈는 앞쪽을 가리키는데, 이는 용반목 공룡의 특징이다. 두덩뼈는 완전히 보존되었을 때 거의 1m였을 것이며, 가늘지만 앞쪽 끝에서 횡적으로 확장되어 연결되어 앞쪽에서 볼 때 V자 모양을 형성하는 줄기를 가지고 있었다. 왼쪽 종아리뼈 외에 두 개의 대퇴골도 회수되었으며, 대퇴골은 길이가 1.26m로, 수각류에서 기록된 가장 큰 뼈 중 하나이다. 대퇴골은 강한 곡률이 없으며 앞쪽과 뒤쪽 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직선이다. 대전자는 작지만 두드러진 돌출부가 있는데, 이는 꼬리의 미대퇴근에 연결될 것이다. 종아리뼈는 길이가 88cm로 대퇴골 길이의 약 1/3이었다. 앞쪽 끝은 옆에서 볼 때 삼각형 모양이고 가 불룩하며, 뒤쪽 끝은 둥글다.[10]

4. 생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얇고 칼날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어 고기를 베어 먹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는 먹잇감에 깊은 상처를 입혀 과다 출혈로 죽게 만드는 사냥 방식을 뒷받침한다.[86] 이빨은 톱니가 크고 물결 모양으로 주름져 있으며, 단면이 얇고 폭이 넓으며 앞뒤 방향 굴곡이 적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화석 판별의 중요한 증거가 된다. 티라노사우루스 등 다른 육식 공룡들이 뼈까지 부술 수 있는 이빨을 가진 것과 달리,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포식자로서의 경향이 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6][57] 또한, 치아 교체 속도가 빨라 손상된 치아를 쉽게 교체할 수 있었다.[96][97]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물림 힘은 티라노사우루스보다 약했지만, 두개골은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큰 먹이도 사냥할 수 있었다.[103]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하리쿠스의 앞쪽 물림 힘은 11,312뉴턴, 뒤쪽 물림 힘은 25,449뉴턴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티라노사우루스보다 낮아 뼈를 먹지 않았음을 시사한다.[101][102]

도널드 헨더슨과 로버트 니콜스의 연구에 따르면, 성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하리쿠스는 최대 424kg의 무게를 들 수 있었다.[37]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아크로칸토사우루스와 같은 수각류는 눈물샘 부위에 볏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기능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04][67]

2006년 생물학자 켄트 스티븐스(Kent Stevens)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Carcharodontosaurus)의 양안 시야 능력을 연구했는데, 크고 길쭉한 주둥이 때문에 양안 시야가 제한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가 최대 양안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머리를 40° 아래로 숙이고 눈을 위로 향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런 알로사우루스상과의 시야 범위는 악어와 유사하며, 매복 포식자였음을 시사한다.[68]

4. 1. 사냥 및 먹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얇고 칼날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어, 고기를 베어 먹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는 먹잇감에 깊은 상처를 입혀 과다 출혈로 죽게 만드는 사냥 방식을 뒷받침한다.[86] 이빨은 톱니가 크고 물결 모양으로 주름져 있으며, 단면이 얇고 폭이 넓으며 앞뒤 방향 굴곡이 적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화석 판별의 중요한 증거가 된다. 티라노사우루스 등 다른 육식 공룡들이 뼈까지 부술 수 있는 이빨을 가진 것과 달리,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포식자로서의 경향이 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6][57] 또한, 치아 교체 속도가 빨라 손상된 치아를 쉽게 교체할 수 있었다.[96][97]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물림 힘은 티라노사우루스보다 약했지만, 두개골은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큰 먹이도 사냥할 수 있었다.[103]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하리쿠스의 앞쪽 물림 힘은 11,312뉴턴, 뒤쪽 물림 힘은 25,449뉴턴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티라노사우루스보다 낮아 뼈를 먹지 않았음을 시사한다.[101][102] 두개골의 유한 요소 분석 결과,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티라노사우루스과보다 부드러운 먹이를 먹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103]

도널드 헨더슨과 로버트 니콜스의 연구에 따르면, 성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하리쿠스는 최대 424kg의 무게를 들 수 있었다.[37]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자신보다 큰 티타노사우루스류와 같은 거대한 초식 공룡과 동시대에 살았기 때문에, 검치호처럼 먹이에게 깊은 상처를 입혀 과다 출혈로 죽게 만드는 방식으로 사냥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86]

4. 2. 볏의 기능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아크로칸토사우루스와 같은 수각류는 눈물샘 부위에 볏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기능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04][67] 고생물학자 대니얼 추어는 이 볏이 종족 간의 싸움에서 "머리 부딪히기"에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이 볏이 얼마나 튼튼한지는 연구되지 않았다.[104][67]

4. 3. 시력



2006년 생물학자 켄트 스티븐스(Kent Stevens)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Carcharodontosaurus), ''알로사우루스''(Allosaurus) 등 알로사우루스상과 공룡과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 ''스테노니코사우루스(Stenonychosaurus)''를 포함한 여러 수각류(Coelurosauria)의 양안 시야 능력을 연구했다. 스티븐스는 이 공룡들의 머리 모델에 시야 검사(Visual field test)를 적용,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양안 시야가 제한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크고 길쭉한 주둥이 때문이었다. 가장 넓은 양안 시야는 높은 곳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가 최대 양안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머리를 40° 아래로 숙이고 눈을 위로 향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런 알로사우루스상과의 시야 범위는 악어와 유사하며, 매복 포식자였음을 시사한다. 이들은 먹이와 배경 사이의 시차(Parallax)로 먹이를 감지했을 수 있으며, 좁은 양안 시야는 먹이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공격 시점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68]

5. 분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아과(Carcharodontosaurinae)의 모식 속이다. 이 아과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외에도 기가노토사우루스, 마푸사우루스, 메락세스, 티라노티탄을 포함하며, 이들은 독립적인 분류군인 기가노토사우루스족을 구성한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는 20세기 후반에 다른 구성원들이 인식되기 전까지는 이 이름이 사용되지 않았다.[10]

1996년 Paul Sereno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화석에 대한 설명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대륙 간 분류군을 인식하게 했다. 더 많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가 발견되면서 이들의 상호 관계가 더욱 분명해졌다. 이 분류군은 고생물학자 토머스 R. 홀츠와 동료들이 2004년에 알로사우루스 또는 신랍토르보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에 더 가까운 모든 알로사우루스류로 정의했다.[47]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거의 완전한 골격을 가진 메락세스기가노토사우루스에 비해 다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보다 덜 알려져 있다.[48][52] 이 과의 구성원들은 후기 쥐라기부터 오세아니아와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중기 백악기에 걸쳐 인식되었다.[49][50][6]

Canale 외 (2022)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를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아과에서 가장 먼저 분기되는 구성원으로 회수했다. 2024년 수각류 관계에 대한 검토에서 Cau는 테스트된 모든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표본을 단계통군(monophyletic)으로 회수하지 못했다.[51]

로돌포 코리아와 레오나르도 살가도는 수각류의 거대화가 수렴 진화한 것은 이들의 환경이나 생태계의 공통적인 조건과 연관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52] 세레노와 동료들은 아프리카(''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북아메리카(''아크로칸토사우루스'') 및 남아메리카(''기가노토사우루스'')에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존재를 발견하여 이 그룹이 초기 백악기 시기에 대륙을 횡단하는 분포를 보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생물학적 분산은 후기 백악기에 북부와 남부 대륙 사이의 해양 장벽으로 인해 단절되었고, 이는 교환을 방지하여 더 뚜렷한 지방 동물군으로 이어졌다.[53][6] 이전에는 백악기 세계가 생물지리학적으로 분리되어 북부 대륙은 티라노사우루스과, 남아메리카는 아벨리사우루스과, 아프리카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가 지배하는 것으로 여겨졌다.[54]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가 속한 아과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아과는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로 형성된 남부 대륙 곤드와나에 한정되었으며, 아마도 이 지역의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이다.[47] 남아메리카의 기가노토사우루스족은 곤드와나가 압트절–알비절 시대의 초기 백악기 동안 분열될 때 분산적 지리생물학을 통해 아프리카 친척과 분리되었을 수 있다.[55]

두개골과 앞다리 등 많은 특징으로 미루어 보아 기가노토사우루스와 근연종으로 여겨지며,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를 이룬다. 이는 아프리카 대륙과 남아메리카 대륙의 분리 시기가 늦었다는 근거가 된다고 폴 세레노 등은 보고 있다. 북아메리카의 아크로칸토사우루스 또한 이 과에 속한다고 여겨지지만, 알로사우루스과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강하며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어느 쪽이든,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는 알로사우루스과, 중국의 공룡으로 이루어진 신랍토르과(en)와 근연 관계에 있는 것은 분명하며, 통틀어 알로사우루스상과로 분류된다.

6. 고병리학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하리쿠스(''C. saharicus'')의 신모식표본 두개골에는 병리학적 흔적이 있는데, 알로사우루스아크로칸토사우루스를 비롯한 다른 알로사우루스류 공룡들에게서도 물린 자국, 감염, 골절 등의 흔적이 발견된다.[69][70] 이 두개골에는 비강에 둥근 자상과 "안와 전방 가장자리에 비정상적인 뼈 돌출부"가 있었다.[70] 이후 연구에서는 이것이 다른 개체에게 두개안면을 물려서 생긴 상처라고 추정했다.[71]

7. 고환경

Bahariya Formation의 동물 복원
바하리야 지층의 동물 복원도, 오른쪽 중앙에 ''C. saharicus''가 있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화석은 스피노사우루스델타드로메우스의 서식지와 유사하게 북아프리카 전역의 여러 백악기 시대 유적지에서 발견된다.[15][6] 이 시기 북아프리카는 테티스 해에 접해 있었고, 이로 인해 이 지역은 광대한 갯벌수로가 있는 맹그로브가 우세한 해안 환경으로 변모했다.[72][73]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와 ''스피노사우루스'' 화석의 동위원소 분석 결과, 켐 켐 지층은 동남아시아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현대 아열대열대 환경과 유사하게 지속적인 강우가 아닌 일시적인 우기를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64][74] 이러한 강 퇴적층에는 톱가오리 ''온코프리스티스'', 실러캔스 ''마우소니아'', 폴립테루스 ''바위티우스''를 포함한 대형 어류가 서식했다. 이로 인해 거대한 스토마토수쿠스 ''스토마토수쿠스''가 이집트에서, ''엘로수쿠스'', ''라고노수쿠스'', ''에기수쿠스'' 속이 모로코에서 진화하는 등 어식을 하는 악어형류가 풍부하게 발생했다.[75] 모로코에서는 ''시로코프테릭스''와 ''니코린쿠스''와 같은 익룡도 풍부하게 발견되었다.[76][77]

이러한 유적지에서 발견되는 공룡 동물군의 구성은 육식 공룡에 비해 초식 공룡 종이 적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이는 다양한 수각류 분류군 간에 생태적 지위 분화가 있었음을 나타내며, 스피노사우루스과는 물고기를 섭취하고 다른 그룹은 초식 공룡을 사냥했다.[78] 동위원소 증거는 이를 뒷받침하는데, 켐 켐 지층과 엘라즈 지층 모두에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와 케라토사우루스의 식단에 상당한 양의 육상 동물이 포함되어 있었음을 발견했다.[79][8] 바하리야 지층에서는 ''파랄리티탄''과 ''Aegyptosaurus''와 같은 용각류가 발견되며,[80] ''레바키사우루스''는 켐 켐 지층에서 발견된다.[81]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는 켐 켐 지층에서 ''C. saharicus''와 ''사우로니옵스''로, 엘라즈 지층에서 ''에오카르카리아''와 잠재적으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로, 에카르 지층에서 ''C. iguidensis''로 대표된다.[7]

참조

[1] 논문 The 'mid'-Cretaceous (Lower Cenomanian) Continental Vertebrates of Gara Samani, Algeria. Sedimentological Framework and Palaeodiversity 2022
[2] 논문 La faune de reptiles et de poisons albiens de Timimoun (Sahara algérien) 1927
[3] 논문 Sur la découverte d'une faune de vertébrés albiens à Timimoun (Sahara occidental) https://gallica.bnf.[...] 1925
[4] 논문 The taxonomic status of ''Megalosaurus bucklandii''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Middle Jurassic of Oxfordshire, UK 2008
[5] 서적 Palaeontologie und Phylogenie der Niederen Tetrapoden VEB Gustav Fischer Verlang
[6] 논문 Predatory Dinosaurs from the Sahara and Late Cretaceous Faunal Differentiation http://doc.rero.ch/r[...]
[7] 논문 A new species of ''Carcharodontosaurus''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Cenomanian of Niger and a revision of the genus 2007-12-12
[8] 논문 Les dinosauriens du "Continental intercalaire" du Sahara central. https://naturalhisto[...] 1960
[9] 논문 Le Crétacé continental à vertébrés de la bordure sud du Plateau de Tinhert: considérations stratigraphiques et bilan paléontologique 2016
[10] 논문 Ergebnisse der Forschungsreisen Prof. E. Stromers in den Wüsten Ägyptens. II. Wirbeltier-Reste der Baharîjestufe (unterstes Cenoman). 10. Ein Skelett-Rest von ''Carcharodontosaurus'' nov. gen. https://www.dinochec[...] 1931
[11] 웹사이트 Rocky Road: Ernst Stromer https://www.stranges[...] 2023-07-08
[12] 논문 New information regarding the holotype of Spinosaurus aegyptiacus Stromer, 1915 2006
[13] 논문 A large abelisau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Morocco and comments on the Cenomanian theropods from North Africa 2016-02-29
[14] 웹사이트 Carnosauria https://theropoddata[...] 2023-06-06
[15] 논문 Isolated Dinosaur bones from the Middle Cretaceous of the Tafilalt, Morocco https://sciencepress[...] 1996
[16] 서적 Mémoires de la société géologique de France Société Géologique de France 2017
[17] 논문 Sur les dinosauriens du Continental Intercalaire des Kem-Kem de la Daoura 1954
[18] 논문 "''Spinosaurus'' is not an aquatic dinosaur" 2022-11-30
[19] 논문 A thick-skulled theropod (Dinosauria, Saurischi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rocco with implications for carcharodontosaurid cranial evolution 2013-03-01
[20] 논문 Paleobiogeographic evolution and distribution of Carcharodontosauridae (Dinosauria, Theropoda) during the middle Cretaceous of North Africa 2018-07-26
[21] 논문 New giant theropod material from the Kem Kem Compound Assemblage (Morocco) with implications on the diversity of the mid-Cretaceous carcharodontosaurids from North Africa 2022-10-11
[22] 뉴스 Os dinossáurios carnívoros: A sua descrição e modo de vida 1998
[23]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논문 A new specimen of ''Spinosaurus''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Tunisia, with remarks on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Spinosauridae https://doc.rero.ch/[...]
[25] 논문 Semiaquatic adaptations in a giant predatory dinosaur 2014-09-26
[26] 논문 Eine Bonebed-Lagerstätte aus dem Wealden Süd Tunesiens (Umgebung Ksar Krerachfa) 1978
[27] 논문 Integrating palaeoecology and morphology in theropod diversity estimation: A case from the Aptian-Albian of Tunisia 2014-09
[28] 서적 Reports from the Survey of the Dakhleh Oasis, Western Desert of Egypt, 1977-1987 Oxbow Books 1999
[29] 웹사이트 JuraPark na tropie nowych dinozaurow z Maroka. https://jurapark.pl/[...] 2023-06-27
[30] 서적 Dinosaur Facts and Figures: The Theropods and Other Dinosaurifor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31] 논문 El primer representante de la clase mamíferos hallado en el Mesozoico de España
[32] 논문 Mamíferos del Wealdiense de Uña, cerca de Cuenca https://www.raco.cat[...] 1968
[33] 논문 Theropod teeth diversity from the Villar del Arzobispo Formation (Tithonian–Berriasian) at Riodeva (Teruel, Spain) 2012-06-01
[34] 논문 Sediments with the remains of dinosaurs near Gokwe, Rhodesia 1970-12
[35] 논문 Vertebrate palaeontology and geology of the Gokwe Formation, Zimbabwe 1998
[36] 논문 A fauna dinossauriana da 'Laje do Coringa', Cretaceo medio de Nordeste do Brasil 2002
[37] 논문 Balance and Strength—Estimating the Maximum Prey-Lifting Potential of the Large Predatory Dinosaur ''Carcharodontosaurus saharicus''
[38] 논문 A new method to calculate allometric length-mass relationships of dinosaurs 2001-03-26
[39] 서적 Tyrannosaurid Paleobi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10-20
[40] 논문 The braincase of Giganotosaurus carolinii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Argentina 2003-01-14
[41] 논문 A large Cretaceous theropod from Patagonia, Argentina, and the evolution of carcharodontosaurids 2005-05-01
[42] 논문 Taphonomic evidence supports an aquatic lifestyle for Spinosaurus https://researchport[...] 2021-01-01
[43] 웹사이트 Discoveries {{!}} Paul Sereno - Paleontologist {{!}} The University of Chicago https://paulsereno.u[...] 2023-06-30
[44] 논문 The systematic utility of theropod enamel wrinkles 2007-12-12
[45] 문서 Endocranial anatomy of ''Carcharodontosaurus saharicus'' (Theropoda: Allosauroide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ropod brain evolution. pp. 19–33. In: ''Mesozoic Vertebrate Life''. Ed.s Tanke, D. H., Carpenter, K., Skrepnick, M. W. Indiana University Press. Indiana University Press
[46] 논문 A reanalysis of ''Acrocanthosaurus atokensis'', its phylogenetic status, and paleobiological implications, based on a new specimen from Texas
[47] 논문 Evolution of the carnivorous dinosaurs during the Cretaceous: The evidence from Patagonia 2013-10-01
[48] 논문 New giant carnivorous dinosaur reveals convergent evolutionary trends in theropod arm reduction 2022-07-07
[49] 논문 An Early Cretaceous, medium-sized carcharodontosaurid theropod (Dinosauria, Saurischia) from the Mulichinco Formation (upper Valanginian), Neuquén Province, Patagonia, Argentina 2020-07-01
[50] 논문 A Reassessment of ''Kelmayisaurus petrolicus'', a Large Theropod Dinosaur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China 2012
[51] 논문 A Unified Framework for Predatory Dinosaur Macroevolution https://www.paleoita[...] 2024-05-01
[52] 논문 A new giant carnivorous dinosaur from the Cretaceous of Patagonia 1995
[53] 논문 Out of Africa: Meat-Eating Dinosaurs That Challenge ''Tyrannosaurus rex'' 1996-05-17
[54] 논문 Dinosaurios carnívoros de Sudamérica http://www.investiga[...] 1996-06
[55] 논문 Osteolog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yrannotitan chubutensis'' Novas, de Valais, Vickers-Rich and Rich, 2005 (Theropoda: Carcharodontosauridae)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Patagonia, Argentina 2014
[56] 논문 Incidence of Tooth Breakage Among Large, Predatory Mammals 1988
[57] 논문 Costs of carnivory: tooth fracture in Pleistocene and Recent carnivorans
[58] 논문 Feeding behaviour and bone utilization by theropod dinosaurs 2010
[59] 논문 Head-biting behavior in theropod dinosaurs: Paleopathological evidence 1998
[60] 논문 High frequencies of theropod bite marks provide evidence for feeding, scavenging, and possible cannibalism in a stressed Late Jurassic ecosystem 2020-05-27
[61] 논문 Estimating bite force in extinct dinosaurs using phylogenetically predicted physiological cross-sectional areas of jaw adductor muscles 2022-07-12
[62] 논문 The Biomechanics Behind Extreme Osteophagy in ''Tyrannosaurus rex'' 2017-05-17
[63] 서적 STUDIES ON FOSSIL TETRAPODS Palaeontological Association 2011
[64] 논문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seasonal patterns recorded in the oxygen isotope compositions of theropod dinosaur tooth enamel. 2016
[65] 논문 Oxygen and carbon isotope compositions of middle Cretaceous vertebrates from North Africa and Brazil: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2010
[66] 논문 Oxygen isotopes from biogenic apatites suggest widespread endothermy in Cretaceous dinosaurs 2006-06-15
[67] 논문 On the orbit of theropod dinosaurs. https://www.research[...] 2000
[68] 논문 Binocular vision in theropod dinosaurs 2006-06-12
[69] 논문 Pathologic Bone Tissues in a Turkey Vulture and a Nonavian Dinosaur: Implications for Interpreting Endosteal Bone and Radial Fibrolamellar Bone in Fossil Dinosaurs 2009
[70] 서적 Mesozoic Vertebrate Life Indiana Univ. Press 2001
[71] 서적 The Carnivorous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72] 논문 Provenance, tectonic setting and source area-paleoweathering of sandstones of the Bahariya Formation in the Bahariya Oasis, Egypt: An implication to paleoclimate and paleogeography of the southern Neo-Tethys region during Early Cenomanian 2021-03
[73] 논문 Palaeoenvironments of the Continental Intercalaire fossil from the Late Cretaceous (Barremian-Albian) in North Africa: a case study of southern Tunisia 2014-03-01
[74] 논문 Oxygen isotope evidence for semi-aquatic habits among spinosaurid theropods 2010-02
[75] 논문 A New Eusuchian Crocodyliform with Novel Cranial Integument and Its Significance for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rocodylia 2012-01-31
[76] 논문 A New Pterosaur (Pterodactyloidea: Azhdarchidae)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rocco 2010-05-26
[77] 논문 A taxonomic and phylogenetic review of the anhanguerid pterosaur group Coloborhynchinae and the new clade Tropeognathinae
[78] 논문 Evidence of a derived titanosaurian (Dinosauria, Sauropoda) in the 'Kem Kem beds' of Morocco, with comments on sauropod paleoecology in the Cretaceous of Africa https://econtent.unm[...] 2016
[79] 논문 Calcium isotopes offer clues on resource partitioning among Cretaceous predatory dinosaurs 2018-04-11
[80] 논문 A Giant Sauropod Dinosaur from an Upper Cretaceous Mangrove Deposit in Egypt http://doc.rero.ch/r[...] 2001
[81] 논문 Osteology of Rebbachisaurus garasbae Lavocat, 1954, a diplodocoid (Dinosauria, Sauropoda) from the early Late Cretaceous–aged Kem Kem beds of southeastern Morocco 2015-07-04
[82] 문서 分類学上、未整理の階級。階級未定の[[タクソン|分類群(タクソン)]]。
[83] 문서 当時のアフリカ大陸の様子については右の画像を参照のこと。本種が棲息していた当時のアフリカ大陸北部地域は、この図よりはもう少し陸地が広がっていた。
[84] 서적 生物の進化大図鑑
[85] 서적 カラー版 恐竜たちの地球 岩波新書 1999-09-29
[86] 문서 剣歯虎の長大な[[上顎犬歯]]の用途については諸説あり、出血死を狙ったとする説は、[[脊椎]]を直接断裂させるとする説と並んで、積極的な狩猟者と見る学説の中の有力な一つである。
[87] 논문 On the orbit of theropod dinosaurs. https://www.research[...] 2000
[88] 웹사이트 New Meat-eating Dinosaur Duo from Sahara Unveiled https://www.newswise[...] 2023-09-21
[89] 웹사이트 サメのように殺す恐竜ハイエナのように食べる恐竜 https://natgeo.nikke[...] 2023-09-21
[90] 문서 東京国際ミネラルフェアパンフレット(文面に編集あり)。
[91] 논문 Balance and Strength—Estimating the Maximum Prey-Lifting Potential of the Large Predatory Dinosaur ''Carcharodontosaurus saharicus''
[92]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93] 논문 A new method to calculate allometric length-mass relationships of dinosaurs 2001-03-26
[94] 서적 Tyrannosaurid Paleobi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10-20
[95] 논문 An Early Cretaceous, medium-sized carcharodontosaurid theropod (Dinosauria, Saurischia) from the Mulichinco Formation (upper Valanginian), Neuquén Province, Patagonia, Argentina 2020-07-01
[96] 논문 Incidence of Tooth Breakage Among Large, Predatory Mammals 1988
[97] 논문 Costs of carnivory: tooth fracture in Pleistocene and Recent carnivorans
[98] 논문 Feeding behaviour and bone utilization by theropod dinosaurs 2010
[99] 논문 Head-biting behavior in theropod dinosaurs: Paleopathological evidence 1998
[100] 논문 High frequencies of theropod bite marks provide evidence for feeding, scavenging, and possible cannibalism in a stressed Late Jurassic ecosystem 2020-05-27
[101] 논문 Estimating bite force in extinct dinosaurs using phylogenetically predicted physiological cross-sectional areas of jaw adductor muscles 2022-07-12
[102] 논문 The Biomechanics Behind Extreme Osteophagy in ''Tyrannosaurus rex'' 2017-05-17
[103] 서적 STUDIES ON FOSSIL TETRAPODS Palaeontological Association 2011
[104] 논문 On the orbit of theropod dinosaurs. https://www.research[...]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