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슬란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슬란트어는 서프리슬란트어,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 북프리슬란트어의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뉘는 언어이다. 고대 영어와 유사성을 보이며, 영어와 앵글로-프리지아어군에 속해 어휘가 겹치는 부분이 많다. 네덜란드 프리슬란트 주에서는 서프리슬란트어가 네덜란드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독일에서도 자터란트어와 북프리슬란트어가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서프리슬란트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들은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슬란트어 - 북프리슬란트어
    북프리슬란트어는 독일 북부 노르트프리슬란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슬란트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영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섬과 본토 방언으로 나뉘어 10개의 방언이 존재하나 현재는 유네스코에 의해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
  • 프리슬란트어 - 동프리슬란트어
    동프리슬란트어는 독일 니더작센주 자터란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프리지아어군 언어로, 고대 프리지아어에서 유래했으며 약 2,000명의 화자가 사용하고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 네덜란드의 언어 -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네덜란드, 벨기에, 수리남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고대 프랑크어에서 유래하여 발전했고 아프리칸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표준 네덜란드어는 홀란트 지방 방언을 기반으로 하고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과 음운 체계를 가진 약 2400만 명의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 네덜란드의 언어 - 고대 작센어
    고대 작센어는 5세기경 작센인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고대 영어, 고대 프리지아어와 관련이 있고, 중세 저지 독일어로 진화했으며, 굴절어이며 헬리안트 등의 문학 텍스트가 존재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프리슬란트어
언어 정보
이름프리슬란트어
자칭Frysk / Fräisk / Frasch / Fresk / Freesk / Friisk
사용 국가네덜란드, 독일
사용 지역니더작센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프리슬란트주, 흐로닝언주
사용자 수40만 명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 게르만어파 - 서게르만어군 - 앵글로프리지아어
문자로마자
언어 규제 기관네덜란드: Fryske Akademy
독일: 없음
비공식 기관: Seelter Buund (동프리슬란트어), Nordfriisk Instituut (북프리슬란트어)
ISO 639-1fy
ISO 639-2fry
유럽의 프리슬란트어 분포
현대 유럽의 프리슬란트어 분포: 서프리슬란트어, 북프리슬란트어, 동프리슬란트어
하위 언어
종류서프리슬란트어
북프리슬란트어
동프리슬란트어 (자텔란트 프리슬란트어 포함)
서프리슬란트어 ISO 639-3fry
북프리슬란트어 ISO 639-3frr
동프리슬란트어 ISO 639-3stq
언어 코드
Lingua Libre52-ACA
Glottologfris1239
Glottolog 참조 이름Frisian

2. 역사

1345년의 고대 프리지아어


프리슬란트어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고대, 중세, 현대의 세 시기로 구분된다.[23]

프리슬란트어는 영어스코트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는 언어이지만, 수백 년간 네덜란드어의 영향을 받아 현대 프리슬란트어는 일부 측면에서 영어보다 네덜란드어와 더 유사해 보이기도 한다. 또한 영어 자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리슬란트어와 멀어졌기 때문에, 두 언어 간의 상호 이해도는 낮아졌다. 이는 네덜란드어와 저지 독일어의 영향뿐만 아니라, 노르만 프랑스어 등이 영어에 미친 영향 때문이다.

그러나 고대 프리지아어(대략 1150년 ~ 1550년)는 고대 영어와 매우 유사했으며,[8] 두 언어는 게르만어 비음 탈락(앵글로-프리지아 코음 기류 법칙)이나 특정 환경에서의 'k' 음의 구개음화 같은 음운 변화를 공유했다.[17][18] 고대 프리슬란트어 시기에는 격 굴절이 존재했으며, 주로 법률 문서 형태로 기록이 남아있다. 프리슬란트어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9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문어로서의 사용은 16세기경 갑작스럽게 중단되었다.

중세 프리슬란트어 시기(대략 1550년 ~ 1820년)에는 프리슬란트어가 주로 구어로 사용되었고, 특히 시골 지역에서 명맥을 유지했다. 1498년 프리슬란트주가 작센 공작 알베르트 3세에게 점령당하고 이후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거치면서 네덜란드어가 행정 언어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이 시기 시인 히스베르트 야픽스는 현대 서프리슬란트 문학의 기초를 닦은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현대 프리슬란트어 시기(대략 1820년 ~ 현재)는 19세기 서프리슬란트 작가와 시인들이 등장하며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요스트 H. 할베르츠마와 같은 인물들이 번역과 저술 활동을 통해 언어 보급과 표준화에 기여했으며, 할베르츠마 형제의 작품은 표준 문학으로 자리 잡았다.[20] 20세기 들어 문화 운동과 함께 언어 부흥 노력이 이어졌으나,[16] 1960년대 이후 네덜란드어의 영향력 증대와 이주민 증가로 인해 다시 쇠퇴하기 시작했다.[20] 현재는 학계와 관련 단체의 노력으로 보존되고 있으며, 특히 문어 사용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21][22]

프리슬란트어는 언어학적으로 네덜란드어저지 독일어와 다른 계통에 속하지만, 오랜 접촉으로 인해 외견상 비슷해 보여 네덜란드어의 방언으로 오해받는 경우도 있다.[23] 네덜란드어의 서프리슬란트 방언이나 저지 독일어의 동프리슬란트 방언과는 명확히 구분되는 별개의 언어이다.

2. 1. 고대 프리슬란트어 (13세기 ~ 1550년경)

중세 전기에 프리지아 지역은 현재 벨기에의 브뤼헤 주변 지역에서 북부 독일베저강까지 뻗어 있었으며, 당시 프리슬란트어는 북해 남부 해안 전체에서 사용되었다.[8] 이 시기의 고대 프리슬란트어는[8] 고대 영어와 매우 유사했다.

역사적으로 영어와 프리슬란트어는 "우리"(''ús''; 독일어 ''uns''), "부드러운"(''sêft''; 독일어 ''sanft''), "거위"(''goes''; 독일어 ''Gans'')와 같은 단어에서 게르만어 비음이 특정 환경에서 탈락하는 앵글로-프리지아 코음 기류 법칙의 특징을 공유한다. 또한, 일부 모음 뒤에서 게르만어 'k'가 'ch' 소리로 변하는 구개음화 현상도 나타났다. 예를 들어, "치즈"와 "교회"에 해당하는 프리슬란트어는 각각 ''tsiis''와 ''tsjerke''인데, 이는 네덜란드어의 "kaas"와 "kerk", 고지 독일어의 "Käse"와 "Kirche"와 대조된다. 반면, "턱"과 "선택하다"에 해당하는 프리슬란트어 ''kin''과 ''kieze''에서는 이러한 음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17][18]

다음 운율은 프리슬란트어와 영어 사이의 뚜렷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Bûter, brea en griene tsiis is goed Ingelsk en goed Frysk." (버터, 빵과 녹색 치즈는 좋은 영어이고 좋은 프리슬란트어이다.) 이 문장은 두 언어에서 거의 동일하게 발음된다.[19]

고대 프리슬란트어 시대(대략 1150년경부터 1550년경까지)에는 격 굴절이 여전히 존재했다는 점이 현대 프리슬란트어와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이다. 이 시대의 문헌 중 일부는 12세기 또는 13세기에 작성되었지만, 대부분은 14세기와 15세기의 법률 문서이다. 프리슬란트어의 가장 오래된 명확한 기록은 대략 9세기경의 것이지만, 해당 지역에서 프리슬란트어로 추정되는 더 오래된 룬 문자 비문도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룬 문자 기록은 대부분 한두 단어에 불과하여 본격적인 문학으로 보기는 어렵다. 16세기에 이르러 프리슬란트어가 문어로서 사용이 갑자기 중단되면서 고대 프리슬란트어 시대는 끝나고 중세 프리슬란트어 시대로 넘어가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대 프리슬란트어의 시기는 13세기부터 1550년경까지로 구분된다.[23]

2. 2. 중세 프리슬란트어 (1550년경 ~ 1800년경)

15세기까지 프리슬란트어는 널리 사용되고 쓰였지만, 1500년부터는 주로 시골 지역에서 사용되는 구어체 언어가 되었다. 이는 1498년 작센 공작 알베르트 3세가 프리슬란트주를 점령하고 행정 언어를 네덜란드어로 대체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이후 합스부르크 왕가의 네덜란드 통치자(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 그의 아들인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 아래에서도 계속되었다. 1585년 네덜란드가 독립한 후에도 서부 프리슬란트어는 이전의 지위를 회복하지 못했다. 이는 홀란드 백국이 네덜란드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그 언어인 네덜란드어가 사법, 행정, 종교 분야에서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예외적으로 프리슬란트 시인 히스베르트 야픽스(1603–1666)가 활동했다. 볼스워르트 시 출신의 학교 교사이자 칸토르였던 그는 현대 서부 프리슬란트 문학과 정서법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2. 3. 현대 프리슬란트어 (1800년경 ~ 현재)

네덜란드에서 녹음된 현대 서프리슬란트어 화자


19세기 들어 서프리슬란트어는 새로운 부흥기를 맞이했다. 시인 기스베르트 야픽스가 중세 시대에 마련한 기반 위에서, 요하네스 힐라리데스는 서프리슬란트어 표기법과 발음 연구를 통해 언어 표준화 작업을 이어갔다. 그는 야픽스와 달리 일반 사람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더 초점을 맞추어 표준을 세우고자 했다.[20]

서프리슬란트어 보급에 가장 크게 기여한 인물 중 한 명은 목사 요스트 H. 할베르츠마 (1789–1869)이다. 그는 신약 성경을 포함한 많은 작품을 서프리슬란트어로 번역했으며, 힐라리데스처럼 서민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주목했다. 할베르츠마는 하층 및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텍스트, 연극, 노래 등을 번역하며 서프리슬란트어 교육과 확산에 힘썼다.[20] 요스트를 포함한 할베르츠마 형제 (찰링, 엘트제)가 함께 쓴 문학 작품집인 리멘 엔 텔츠제스는 표준 프리슬란트 문학의 중요한 작품으로 여겨지며,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서프리슬란트어 보존 노력의 시작점이 되었다.

20세기 전반에는 언어뿐만 아니라 프리슬란트 문화와 역사를 통해 부흥 운동이 더욱 힘을 얻었다. 서프리슬란트어로 노래하고 연기하는 활동들이 장려되며 언어 사용을 촉진했다.[16]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네덜란드어의 영향력이 커지고, 프리슬란트 지역으로 비프리슬란트어 사용자들이 많이 이주하면서 서프리슬란트어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학자들과 관련 단체들의 꾸준한 노력 덕분에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20] 최근에는 언어 자체보다는 프리슬란트라는 지역 정체성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문화 보존 수단으로서 언어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21] 특히 문어(글로 쓰는 언어)의 사용은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서프리슬란트어 사용자 중 약 30%만이 문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21] 16세기 이후 공식적인 사용이 중단된 이래 오늘날까지 학교 등에서 거의 가르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22]

니뷔르 (독일)의 이중 언어 표지판으로, 위에는 독일어 이름이, 아래에는 북프리슬란트어 이름이 적혀 있다.


자터란트 (독일)의 람슬로의 이중 언어 표지판으로, 위에는 독일어 이름이, 아래에는 동프리슬란트어 이름이 적혀 있다.

3. 하위 분류

프리슬란트어는 일반적으로 서프리슬란트어,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 북프리슬란트어의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 세 그룹이 서로 상호 이해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프리슬란트어 아래 속하는 방언으로 간주하기도 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각각을 별개의 언어로 보기도 한다. 실제로 서프리슬란트어의 일부 섬 방언은 본토 방언과 소통이 어렵고, 북프리슬란트어 역시 내부적으로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어 서로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서프리슬란트어는 주로 네덜란드 프리슬란트주에서 사용되며 네덜란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와 북프리슬란트어독일에서 사용되며 저지 독일어독일어의 영향을 받았다. 스타트프리스와 서프리슬란트 네덜란드어는 프리슬란트어가 아니라, 서프리슬란트어의 영향을 받은 네덜란드어 방언이다.

프리슬란트어는 각 그룹별로 다르게 불리는데, 서프리슬란트어는 ''Frysk'',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는 Fräiskstq[6], 북프리슬란트어는 방언에 따라 ''Friisk'', ''fresk'', ''freesk'', ''frasch'', ''fräisch'', ''freesch'' 등으로 불린다.

언어학적으로 프리슬란트어는 인도유럽어족서게르만어군에 속하며, 영어, 스코트어와 함께 앵글로프리지아어군을 형성한다. 또한 저지 독일어와 함께 북해 게르만어군으로 묶이기도 한다.

프리슬란트어의 주요 분류와 추정 사용자 수는 다음과 같다.

프리슬란트어의 주요 분류 및 사용자 수
분류주요 사용 지역추정 사용자 수
서프리슬란트어네덜란드 프리슬란트주360,000 ~ 700,000명
동프리슬란트어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독일 니더작센주 자터란트약 2,000명
북프리슬란트어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노르트프리슬란트5,000 ~ 10,000명


3. 1. 서프리슬란트어 (West Frisian)

서프리슬란트어(''Frysk'')는 프리슬란트어의 세 가지 주요 그룹 중 하나로, 주로 네덜란드프리슬란트주에서 사용된다.[7] 프리슬란트어 중에서 가장 많은 화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프리슬란트주에서는 약 40만 명이 서프리슬란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데, 이는 주 전체 인구의 약 75%에 해당한다.[8] 최근에는 모국어가 네덜란드어인 주민들이 서프리슬란트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경우도 늘고 있다. 서프리슬란트어는 역사적으로 네덜란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스타트프리스와 서프리슬란트 네덜란드어는 서프리슬란트어의 영향을 받은 네덜란드어 방언이며, 프리슬란트어에 속하지 않는다.

=== 하위 방언 ===

서프리슬란트어는 여러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분류방언명
독립 방언힌델로펀 프리슬란트어
독립 방언스히르모니코어그어
웨스트라우워스-터스켈링 프리슬란트어터스켈링어 (오스터렌드 및 웨스트-터스켈링 방언)
서프리슬란트어 본토 방언클레이 프리슬란트어 (Klaaifrysk, 웨스터렌데르스크어 포함)
서프리슬란트어 본토 방언우드 프리슬란트어 (Wâldfrysk)
서프리슬란트어 본토 방언남프리슬란트어 (Súdhoeks)



=== 부흥 운동과 현재 ===

서프리슬란트어의 부흥 운동은 시인 기스베르트 야픽스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서프리슬란트어로 시를 쓰면서 언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서프리슬란트어의 정체성 확립과 표준 표기법 마련에 기여했다.[20] 이후 요하네스 힐라리데스는 야픽스의 작업을 이어받아 표기법과 발음 연구를 심화시켰으며, 특히 일반 대중이 사용하는 일상 언어에 기반한 표준을 지향했다.[20]

19세기에는 목사 요스트 H. 할베르츠마 (1789–1869)가 신약 성경을 비롯한 여러 문헌을 서프리슬란트어로 번역하며 언어 보급에 크게 기여했다.[20] 그는 하층 및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텍스트, 연극, 노래 번역에 힘쓰며 서프리슬란트어 사용 확대를 꾀했다.[20] 할베르츠마 형제(요스트, 찰링, 엘트제)가 함께 쓴 리멘 엔 텔츠제스는 서프리슬란트 문학의 표준으로 여겨지며,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언어 보존 노력의 시발점이 되었다. 20세기 전반에는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와 역사를 통해 부흥 운동이 더욱 힘을 얻었으며, 서프리슬란트어로 노래하고 연기하는 활동이 장려되었다.[16]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네덜란드어가 프리슬란트 지역에서 우위를 점하고, 비프리슬란트어 사용자의 이주가 늘면서 서프리슬란트어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학자들과 관련 단체들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언어가 유지되고 있다.[20] 최근에는 언어 자체보다는 프리슬란트 지역 정체성이 더 중요해지면서, 문화 보존 수단으로서 언어의 중요성은 다소 약화되었다.[21] 특히 문어 서프리슬란트어는 사용 인구의 약 30%만이 구사할 수 있고[21], 16세기 이후 공식적인 사용이 중단된 데다 현대 교육에서도 거의 다루어지지 않아[22]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이중 언어 사용 ===

서프리슬란트어-네덜란드어 이중 언어 사용자 사이에서는 언어 사용 패턴에 차이가 나타난다. 네덜란드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는 서프리슬란트어를 사용할 때 복수 형태를 만드는 방식에서 네덜란드어의 특징(복수 접미사와 연결 접미어의 동음이의)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반면, 서프리슬란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는 서프리슬란트어 고유의 비동음이의 체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3. 2. 동프리슬란트어 (East Frisian)

독일 니더작센주의 자터란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가 유일하게 남아있는 동프리슬란트어 방언이다. 이 언어의 사용자는 약 2,000명 정도이다.[9]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로는 Fräisk|프레이스크stq라고 불린다.[6]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는 저지 독일어표준 독일어의 영향 속에서도 명맥을 이어왔으나, 작은 언어 공동체 규모와 언어 보존 및 확산을 위한 제도적 지원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8]

동프리슬란트어는 과거 엠스 프리슬란트어 방언과 베저 프리슬란트어 방언으로 나뉘었다. 현재는 엠스 프리슬란트어 방언에 속하는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만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방언들은 대부분 소멸하였다.

대분류방언상태
엠스 프리슬란트어 방언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사용 중
기타 방언소멸
베저 프리슬란트어 방언반게로어그 프리슬란트어소멸
부르스텐 프리슬란트어소멸
기타 방언소멸



독일 동프리지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동프리지아 저지 작센 방언은 과거 이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동프리슬란트어의 영향을 받아 일부 기층 언어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동프리슬란트어는 중세 시대 이후 점차 저지 작센어로 대체되었다.

3. 3. 북프리슬란트어 (North Frisian)

북프리슬란트어는 서프리슬란트어,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와 함께 프리슬란트어의 세 가지 주요 그룹 중 하나이다. 주로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의 노르트프리슬란트 지역에서 사용되며, 사용자 수는 약 5,000명에서 10,000명 사이로 추정된다.[10]

북프리슬란트어는 서로 이해하기 어려운 매우 다양한 여러 방언으로 나뉘는 특징이 있다. 사용자는 주로 본토와 질트섬, 푀르섬, 암룸섬, 헬골란트섬 등의 섬 지역에 분포한다.[10] 저지 독일어독일어의 영향을 받았다. 북프리슬란트어는 방언에 따라 ''Friisk'', ''fresk'', ''freesk'', ''frasch'', ''fräisch'', ''freesch''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6]

북프리슬란트어의 하위 방언은 크게 본토 방언과 섬 방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일부는 소멸되었다.

북프리슬란트어의 하위 방언
구분방언비고
본토 방언뵈킹하르데 프리슬란트어
북부 괴스하르데 프리슬란트어
중부 괴스하르데 프리슬란트어
남부 괴스하르데 프리슬란트어소멸
비딩하르데 프리슬란트어
할리겐 프리슬란트어
카르하르데 프리슬란트어
섬 방언솔링어질트섬 방언
페링어-외음랑어푀르섬, 암룸섬 방언
헬골란트어 (할룬더)헬골란트섬 방언
소멸된 방언스트란드 프리슬란트어
아이더슈테트 프리슬란트어


4. 현황

프리슬란트어 사용자는 대부분 네덜란드에 거주하며, 주로 1997년부터 공식적으로 서프리슬란트어 이름인 프리슬란(Fryslân)으로 불리는 프리슬란트주에 분포한다. 이곳의 모국어 사용자는 약 40만 명[7]으로, 프리슬란트주 주민의 약 75%에 해당한다.[8] 이 지역에서는 모국어가 네덜란드어인 주민들이 프리슬란트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니더작센주의 자터란트 지역에 약 2,000명의[9]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 사용자가 거주한다.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는 저지 독일어표준 독일어의 영향 속에서도 명맥을 이어왔으나, 소규모 언어 공동체와 제도적 지원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8] 또한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의 노르트프리슬란트 (Nordfriesland) 지역에는 약 10,000명의 북프리슬란트어 사용자가 있으며[10], 이들은 주로 질트섬, 푀르섬, 암룸섬, 헬골란트섬과 같은 섬 지역과 본토 일부에서 각 지역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와 북프리슬란트어[11]는 독일에서 소수 언어로 공식 인정받고 보호받고 있다. 서프리슬란트어네덜란드어와 함께 네덜란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ISO 639-1 코드 fyISO 639-2 코드 fry는 본래 "프리슬란트어" 전체를 지칭했으나, 2005년 11월부로 "서프리슬란트어"만을 가리키도록 변경되었다.[12] 동프리슬란트어의 한 갈래인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에는 ISO 639 코드 stq가, 북프리슬란트어에는 코드 frr이 사용된다.

[http://language-diversity.eu/en/knowledge/regions-of-europe/die-westfriesen-in-den-niederlanden/ Ried fan de Fryske Beweging]과 같은 단체는 네덜란드 프리슬란트 주에서 서프리슬란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활동한다. 1938년 설립된 [https://web.archive.org/web/20160125181924/https://www.fryske-akademy.nl/en/thusside/ Fryske Academy] 역시 프리슬란트어, 역사, 사회 연구 및 사전 편찬 등을 통해 언어 보존에 기여하고 있다.[7] 이러한 노력으로 교육, 미디어, 공공 행정 분야에서 프리슬란트어 사용이 다소 증가했지만,[13] 자터란트 프리슬란트어와 대부분의 북프리슬란트어 방언은 여전히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이며,[14] 서프리슬란트어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15]

프리슬란트어에 대한 교육 기회나 미디어를 통한 노출은 여전히 부족하며, 이는 언어가 주로 시골 지역에서 사용되고 사회적 권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16] 이로 인해 언어학적으로는 별개의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는 표준어가 아닌 방언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16] L2 화자를 위한 프리슬란트어 교육은 질과 양적인 측면에서 모두 미흡하여 학생들의 언어 및 문화 발달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7] 특히 프리슬란트 주와 같이 두 언어가 공존하는 환경에서는 프리슬란트어가 네덜란드어에 점차 동화될 위험성도 안고 있다.[13]

1960년대 이후 프리슬란트주로 비(非)프리슬란트어 사용자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네덜란드어가 우세해졌고, 언어는 점차 쇠퇴하여 현재는 학계와 관련 단체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20] 최근에는 언어 자체보다는 프리슬란트라는 지역 정체성이 더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문화 보존 수단으로서 언어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21] 특히 문어(文語) 서프리슬란트어는 사용 인구의 약 30%만이 구사 가능하며,[21] 16세기 이후 공식적인 사용이 중단된 이래 현대 교육 과정에서도 거의 다루어지지 않아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22]

'''프리슬란트어 표지판'''

5. 영어와의 비교

영어와 함께 앵글로-프리지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지만, 영어와 프리슬란트어는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스코트어를 제외하면, 현재 사용되는 언어 중에서는 영어와 가장 가까운 언어로 여겨진다.[23] 단어에는 고대 영어앵글인·색슨인의 언어인 고대 프리지아어의 흔적이 강하게 남아 있다고 여겨진다.

기본적으로 유사하게 겹치는 어휘도 많다.


  • Ik ha in wurdboek op myn tabel.fy / I have a dictionary (wordbook) on my table.영어
  • Winter is kald, simmer is hjit. Ik lyk de waarmte en myld weder de best.fy / Winter is cold, summer is hot. I like the warmth and mild weather the best.영어
  • De boat hath seilen op de stream.fy / The boat has sailed up the stream.영어
  • Ik had buter om brea, tsiis, in egg, en somig kowfleis.fy / I had butter on bread, cheese, an egg, and some beef (cowflesh).영어
  • Ik wolde net lyk it te rein oer de neist wyk.fy / I would not like it to rain over the next week.영어
  • Wolkom (yn 'e/bij de) Koreaanske Wikipedy. Wolkom yn de hel.fy / Welcome to (the )Korean Wikipedia. Welcome to (the )hell.영어 [24]


고대 프리지아어는[8] 고대 영어와 매우 유사했다. 역사적으로 영어와 프리지아어 모두 "우리"(''ús''; 독일어 ''uns''), "부드러운"(''sêft''; 독일어 ''sanft''), "거위"(''goes''; 독일어 ''gans'')와 같은 단어에서 게르만어 비음이 특정 모음 앞에서 탈락하는 특징을 보인다(앵글로-프리지아 비음 기식 법칙 참조). 또한, 일부 모음 뒤에 게르만어 'k'는 'ch' 소리로 부드러워졌다. 예를 들어, "치즈"와 "교회"에 해당하는 프리지아어는 "tsiis"와 "tsjerke"이며, 네덜란드어에서는 "kaas"와 "kerk", 고지 독일어에서는 각각 "Käse"와 "Kirche"이다. 반대로, "턱"과 "선택하다"는 프리지아어로 "kin"과 "kieze"이므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17][18]

다음 운율은 프리지아어와 영어 사이의 뚜렷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버터, 빵과 녹색 치즈는 좋은 영어이고 좋은 프리지아어이다."는 두 언어 모두에서 거의 동일하게 발음된다 (서프리지아어: Bûter, brea en griene tsiis is goed Ingelsk en goed Frysk.fy [19]).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 언어는 상호 이해도가 떨어졌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네덜란드어저지 독일어가 프리지아어에 미친 영향 때문이며, 부분적으로는 노르만 프랑스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들이 수 세기 동안 영어에 미친 막대한 영향 때문이다. 즉, 적어도 500년 동안 네덜란드어의 영향을 받은 후 현대 프리지아어는 일부 측면에서 영어보다 네덜란드어와 더 유사성을 보인다.

고대 프리지아어 시대(약 1150년~1550년)에는 굴절 이 여전히 존재했다는 점이 현대 프리지아어와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이다. 이 시대의 텍스트는 대부분 법률 문구로 제한되며, 14세기와 15세기에 작성된 것이 많다. 프리지아어의 가장 초기 기록은 대략 9세기부터지만, 더 오래된 룬 문자 비문도 존재한다. 16세기에 프리지아어가 문어로서 사용이 중단되면서 고대 프리지아어에서 중세 프리지아어 시대로 전환되었다.

아래는 여러 게르만어파 언어로 번역된 문장 예시이다.

언어번역 (The boy stroked the girl around the chin and kissed her on the cheeks.영어)
영어The boy stroked the girl around the chin and kissed her on the cheeks.영어
자터프리슬란트어Die Wänt strookede dät Wucht uum ju Keeuwe un oapede hier ap do Sooken.stq
북프리슬란트어 (무어링 방언)Di dreng aide dåt foomen am dåt kan än mäket har aw da siike.frr
북프리슬란트어 (쥘링 방언)'Di Dreeng strekt dit faamen omt Ken en taatjet / kleepet höör üp di Sjaken''
서프리슬란트어De jonge streake it famke om it kin en tute har op 'e wangen.fy
흐로닝어t Jong fleerde t wicht om kinne tou en smokte heur op wange.
동프리슬란트 저지 독일어De Jung (Fent) straktde dat Wicht um't Kinn to un tuutjede hör up de Wangen.frs
독일어Der Junge streichelte das Mädchen ums Kinn und küsste sie auf die Wangen.de
네덜란드어De jongen aaide het meisje over haar kin en kuste haar op haar wangen.nl
아프리칸스어Die seun het die meisie om die ken gestreel en haar op die wange gesoen.af
덴마크어Drengen strøg pigen om hagen og kyssede hende på kinderne.da
노르웨이어 (부크몰)Gutten strøk jenta rundt haken og kysset henne på kinnene.nb
노르웨이어 (뉘노르스크)Guten strauk jenta kring haka og kyste henne på kinna.nn



'''주:''' 위 번역들은 항상 서로 문자 그대로의 번역은 아니다.

언어학적으로는 네덜란드어저지 독일어 등의 저지 독일어군과는 어군 이하의 레벨에서 계통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의 접촉과 교류 때문에 외견상으로는 네덜란드어나 저지 독일어와 비슷해져서[23], 네덜란드어의 방언 중 하나로 간주되는 경우도 많으며, 네덜란드어·프리슬란트어가 서로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이름이 혼동될 수 있는데, 네덜란드어의 서프리슬란트 방언이나, 저지 독일어의 동프리슬란트 방언과는 다른 언어이다.

6. 참고 문헌


  • 고다마 히토시 저, 『프리슬란트어 문법 - 네덜란드의 또 다른 언어』, 대학서림, 1992년 10월 발행, ISBN 4475018056
  • 고다마 히토시 저, 『프리슬란트어 사전』, 대학서림, 2004년 5월 발행, ISBN 4475001536
  • 마치다 켄 감수, 시미즈 마코토 저(동시 수록), 『뉴 익스프레스 스페셜 유럽의 재미있는 언어』, 백수사, 2010년 7월 20일 초판 발행, ISBN 978-4-560-08540-0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2] OED Frisian
[3] 학술지 Mutual intelligibility between speakers of North and West Frisian https://research.rug[...] 2013
[4] 학술지 How easy is it for speakers of Dutch to understand Frisian and Afrikaans, and why? http://www.let.rug.n[...] 2005
[5] 서적 On the Boundaries of Phonology and Phonetics https://www.research[...] Department of Linguistics 2004
[6] 문서 Though this is the literal translation for "Frisian", the Saterfrisian term ''Fräisk'' traditionally refers to the East Frisians and the [[East Frisian Low Saxon]] language; cf. Fort, Marron Curtis (1980): Saterfriesisches Wörterbuch. Hamburg, p.45.
[7] 서적 The Other Languages of Europe: Demographic, Sociolinguistic,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01-01-01
[8] 서적 An Introduction to Old Frisian: History, Grammar, Reader, Glossary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9-01-01
[9] 문서 "Gegenwärtige Schätzungen schwanken zwischen 1.500 und 2.500." Marron C. Fort: Das Saterfriesische. In: Horst Haider Munske, Nils Århammar: Handbuch des Friesischen – Handbook of Frisian Studies. Niemayer (Tübingen 2001).
[10] 서적 The German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0-02-01
[11] Wikisource ''[[w:de:s:Friesisch-Gesetz|Gesetz zur Förderung des Friesischen im öffentlichen Raum]]'' – [[w:de:s:Hauptseite|Wikisource]]
[12] 웹사이트 Registration Authority Report 2004-2005 http://www.niso.org/[...] 2007-11-23
[13] 서적 Can Threatened Languages be Saved?: Reversing Language Shift, Revisited : a 21st Century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01-01-01
[14] 간행물 Language Diversity Endangered Mouton de Gruter, The Hague
[15] 웹사이트 Atlas of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5-10-28
[16] 서적 Germanic Standardizations: Past to Present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3-10-27
[17] 학술지 The Position of Frisian in the Germanic Language Area https://www.research[...] 2017-08-25
[18] 웹사이트 English to Frisian dictionary http://www.dicts.inf[...]
[19] 서적 The History of English: A Linguistic Introduction Wardja Press 2008
[20] 서적 Standardization: Studies from the German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2-12-31
[21] 서적 Hard-Science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6-11-25
[22] 서적 Standardization: Studies from the German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2-01-01
[23] 서적 언어학대사전 三省堂 1998
[2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virtuallingui[...] 2015-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