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대통령은 필리핀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며,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대통령은 6년 단임으로, 헌법에 따라 재선될 수 없다.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으로서 행정 명령을 발동하고, 필리핀군 최고사령관을 역임하며, 의회에서 통과된 법안에 대한 거부권, 사면권, 각료 및 대법원장 임명권 등 강력한 권한을 갖는다. 대통령 유고 시에는 부통령, 상원의장, 하원의장 순으로 직무를 승계한다. 필리핀 역대 대통령으로는 에밀리오 아기날도, 마누엘 케손, 호세 라우렐 등이 있으며, 현재 대통령은 봉봉 마르코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 정부 - 필리핀 의회
    필리핀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 기관으로,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거쳐 1987년 헌법에 의해 현재의 양원제 의회로 복원되었으며, 법률 제정 절차를 통해 일반 입법, 묵시적 권한, 고유 권한을 행사한다.
  • 필리핀 정부 - 존스 법
    존스 법은 1916년 미국 의회를 통과한 법률로, 필리핀에 자치 정부를 수립하고 양원제 입법부를 창설하여 필리핀 독립의 토대를 마련했다.
  • 필리핀의 대통령 - 조셉 에스트라다
    필리핀의 배우 출신 정치인인 조셉 에스트라다는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필리핀 제13대 대통령을 역임했고, 부정부패 혐의로 인해 사임했으며, 이후 마닐라 시장을 역임했다.
  • 필리핀의 대통령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필리핀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92년 상원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98년 부통령에 당선되어 2001년 에드사 혁명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고, 2004년 재선에 성공했다.
필리핀의 대통령
기본 정보
직책필리핀 대통령
원어 명칭


로마자 표기Pangulo ng Pilipinas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기
대통령기
필리핀 대통령 문장
대통령 문장
통칭대통령 각하 (Mr. President)
각하 (The Honorable) (공식)
각하 (His Excellency) (외교)
소속필리핀 정부
필리핀 대통령실
관저말라카냥궁
임명 방식직접 선거 또는 부통령에서 승계
임기6년, 재선 불가
설립일1899년 1월 23일 (공식)
1935년 11월 15일 (공식)
전신필리핀 총독
필리핀 총리
초대 대통령에밀리오 아기날도 (공식)
마누엘 L. 케손 (공식)
월급411,382/US$ 7,409
웹사이트president.gov.ph (이전 웹사이트)
op-proper.gov.ph/
pbbm.com.ph
정치
정치 체제국가 원수
정부 수반
최고 사령관
소속 기관필리핀 내각
필리핀 국가안전보장회의
현직봉봉 마르코스 (PFP)
취임일2022년 6월 30일
헌법1987년 필리핀 헌법
역할 및 권한
역할필리핀 정부의 행정 수반, 국가 원수, 군 통수권자
권한법률 집행, 정책 결정, 공무원 임명, 조약 체결, 군 통수
기타
관련 정보필리핀의 정치

2. 역사

일제 강점기 동안 사용된 "필리핀 공화국 대통령"이라는 용어는 당시 대통령인 호세 P. 라우렐 정부와 마누엘 L. 케손 대통령이 이끄는 코먼웰스 망명 정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10] 1945년 코먼웰스의 복원과 그 이후 필리핀의 독립으로 1935년 헌법에서 제정된 "필리핀 대통령"이라는 직함이 회복되었다.[11] 1973년 헌법은 대통령을 일반적으로 "필리핀 대통령"이라고 언급하지만, 제17조 12항에서는 한때 "공화국 대통령"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2] 1972년 9월 계엄령을 선포한 포고령 제1081호 문서에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자신을 꾸준히 "필리핀 대통령"이라고 언급했다.[13]

호세 P. 라우렐이 제2필리핀공화국 대통령 취임 후 연설하는 모습


보니파시오[85]와 아기날도[86]는 모두 반란 정부의 초대 대통령으로 간주될 수 있다. 케손은 현재 필리핀의 전신 국가의 초대 대통령이었고,[87] 로하스는 독립 필리핀의 초대 대통령이었다.[64]

필리핀 정부는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필리핀 초대 대통령으로 간주하며, 그 뒤를 케손과 그의 후계자들이 이었다.[88][89] 헌법[90]과 정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계보는 연속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16대 대통령으로 여겨진다.[91]

정부는 아기날도를 초대 대통령으로 간주할 수 있지만, 제1공화국은 스페인-미국 전쟁을 종식시킨 1898년 파리 조약에 따라 미국의 관할권 하에 있었기 때문에 미국은 그의 임기를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88][92] 마누엘 L. 케손은 미국이 타이딩스-맥더피 법을 통해 필리핀에 독립을 부여했을 때 미국에 의해 초대 대통령으로 간주되었다.[93] 그는 또한 최초로 인기투표와 전국 선거에서 승리한 대통령이기도 하다.[94]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필리핀에는 두 개의 정부를 이끄는 두 명의 대통령이 있었다.[95] 하나는 워싱턴 D.C.에 있는 케손과 연방망명 정부였고,[96][97] 다른 하나는 마닐라에 본부를 둔 일본이 지원한 제2공화국을 이끈 라우렐이었다.[95] 특히 라우렐은 케손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마닐라에 남아 있었다.[73] 라우렐과 아기날도는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공식적으로 필리핀 대통령으로 인정받지 못했다.[98][99] 그들이 공식 명단에 포함된 것은 독립기념일의 공식 날짜가 7월 4일(미국으로부터의 필리핀 독립 기념일)에서 6월 12일(1898년 독립 선언 기념일)로 변경된 것과 일치한다.[98]

2. 1. 초기 공화국

에밀리오 아기날도필리핀 혁명카비테주 테헤로스 회의에서 카티푸난을 대체하기 위해 1897년 3월에 새로운 혁명 정부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31][32] 이 정부는 "필리핀 공화국"(스페인어: ''Republica Filipina''),[33] "필리핀 공화국"(스페인어: ''Republica de Filipinas'')[34] 그리고 "전체 타갈로그인 정부" 또는 "전체 타갈로그 민족/국민 정부"(필리핀어: ''Pamahalaan ng Sangkatagalugan'')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다.[35]

몇 달 후, 아기날도는 11월 불라칸주 비악나바토에서 재편된 "필리핀 공화국"(스페인어: ''Republica de Filipinas'')[37]의 대통령으로 다시 선출되었으며,[36] 오늘날 일반적으로 비악나바토 공화국으로 알려져 있다.[38] 따라서 아기날도는 비악나바토 조약에 서명하고 1897년 말 홍콩으로 망명했다.[39]

1898년 4월 스페인-미국 전쟁이 발발했고,[40] 그 후 미국 해군의 아시아 함대가 필리핀으로 항해했다.[41] 1898년 5월 1일 마닐라 만 해전에서 미국 해군은 스페인 해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했다.[42] 그 후 아기날도는 미국 해군 함정을 타고 필리핀으로 돌아와 혁명을 재개했다.[43] 그는 1898년 5월 24일 독재 정부를 수립했고,[44]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독립 선언을 발표했다.[92] 이 짧은 기간 동안 그는 "독재자"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독립 선언에서도 그렇게 언급하고 있다.[45]

1898년 6월 23일, 아기날도는 자신의 독재 정부를 혁명 정부로 전환했고 다시 "대통령"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6][47] 1899년 1월 23일, 아기날도는 혁명적인 말롤로스 의회가 제정한 혁명적인 말롤로스 헌법에 따라 구성된 새로운 정부인 "필리핀 공화국"(스페인어: ''Republica Filipina'')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48][49] 결과적으로, 이 정부는 오늘날 공식적으로 적절한 "제1공화국"으로 간주되며, 수도인 불라칸주 말롤로스의 이름을 따서 말롤로스 공화국이라고도 불린다.[50][51] 그 의회(공식적으로 "국민 의회")와 헌법은 일반적으로 말롤로스 의회와 말롤로스 헌법으로 알려져 있다.[52][53]

제1필리핀 공화국은 필리핀 코먼웰스까지 그 이전과 이후의 모든 정부와 마찬가지로 수명이 짧았고,[54]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55] 그리고 현재 공화국의 영토 전체를 통제하거나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지는 못했지만, 필리핀 군도 전체와 그곳의 모든 사람들을 대표하고 통치한다고 주장했다.[56] 필리핀은 그 해 12월에 체결된 1898년 파리 조약에 의해 스페인에서 미국으로 이관되었다.[57] 미국과 아기날도 정부 사이에 필리핀-미국 전쟁이 발발했다.[58] 1901년 4월 1일, 아기날도가 미군에 체포된 후 미국에 충성을 맹세하면서 아기날도의 정부는 사실상 사라졌다.[58]

현재 필리핀 공화국 정부는 이전의 여러 정부가 아닌 말롤로스 공화국의 대통령직을 기준으로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필리핀의 초대 대통령으로 간주한다.[88]

2. 1. 1. 보니파시오의 타갈로그 공화국

용어 정의에 따라 여러 사람이 초대 대통령으로 간주될 수 있다.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는 타갈로그 지방의 대통령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그는 1896년 8월 스페인 식민 정부에 대한 공개적인 반란을 시작한 비밀 혁명 단체인 카티푸난의 세 번째 최고 대통령(프레시덴테 수프레모/''Presidente Supremo''es; 카타아스-타아상 팡울로/''Kataas-taasang Pangulo''fil)이었으며, 스스로를 "주권 국가/국민의 대통령"(팡울로 낭 하링 바얀/''Pangulo ng Haring Bayan''fil)으로 칭하며 단체를 혁명 정부로 전환했다.[14] "카티푸난"(그리고 "최고 대통령"이라는 직함)이라는 용어는 남아 있었지만, 보니파시오의 정부는 타갈로그 공화국(레푸블리카 타갈라/''República Tagala''es; 레푸블리카 낭 카타갈루간/''Republika ng Katagalugan''fil)으로도 알려졌으며,[15][16][17] "haring bayan" 또는 "haringbayan"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뿌리인 ''res publica''에서 유래한 "공화국"의 각색 및 동의어로 사용되었다.[18] 당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역사적 기록에서 ''Presidente Supremo''가 ''Supremo''로 축약되었기 때문에, 그는 전통적인 필리핀 역사에서 그 직함만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이는 후대의 "대통령"과는 대조적으로 "최고 지도자"[19][20][21]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필리핀 역사가 샤오 추아가 지적했듯이, 보니파시오는 자신을 ''Supremo''라고 부르지 않았고, 자신의 저술에서 증명되듯이 ''Kataas-taasang Pangulo''(최고 대통령), ''Pangulo ng Kataas-taasang Kapulungan''(최고 의회 의장), 또는 ''Pangulo ng Haring Bayan''(주권 국가/국민의 대통령)이라고 불렀다.[21]

"타갈로그"라는 단어는 주로 루손 남부에 거주하는 특정 민족 언어 집단인 타갈로그족을 가리키지만, 보니파시오는 "타갈로그 공화국"에서 "타갈로그"라는 용어를 식민지 시대 기원을 가진 ''필리핀인'' 대신 필리핀의 모든 비스페인계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으며, 필리핀 국가와 국민을 "주권 타갈로그 국가/국민" 또는 더 정확하게는 "타갈로그 국민의 주권 국가"(하링 바양 카타갈루간/''Haring Bayang Katagalugan''fil)로 언급하여 "타갈로그 공화국" 또는 더 정확하게는 "타갈로그 국민의 공화국"의 동의어로 사용했다.[22][23][24][25][26]

현재 필리핀 정부에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를 필리핀 초대 대통령으로 인정해 달라는 청원이 제기되었다.


필리핀 역사가 암베스 오캄포에 따르면, 보니파시오를 과거 대통령으로 포함시키는 것은 마카리오 사카이와 미구엘 말바르도 포함시켜야 함을 의미하는데, 사카이는 보니파시오의 국가 타갈로그 공화국 개념을 계승했고, 말바르는 보니파시오의 정부를 계승한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이끄는 여러 정부의 정점이었던 필리핀 공화국을 계승했으며, 아기날도가 체포된 후 말바르가 그의 뒤를 이었다.[27]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니파시오의 후손을 포함하여 보니파시오를 현재 정부가 필리핀 초대 대통령으로 인정해 달라는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15][18] 1993년, 역사가 밀라그로스 게레로, 에마누엘 엔카르나시온, 라몬 비예가스는 국립역사연구소(현 필리핀국립역사위원회)에 보니파시오를 필리핀 초대 대통령으로 인정해 달라는 청원을 제출했지만, 연구소는 보니파시오가 카티푸난의 첫 번째 ''Supremo''가 아니라 데오다토 아레야노였다는 이유로 청원을 기각했다.[28]

2013년, 마닐라 시의회는 보니파시오를 필리핀 군도의 모든 원주민에게 적용되는 타갈로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포할 것을 국가 정부에 설득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8] 또한 2013년 필리핀 역사가 협회는 당시 필리핀 대통령 베니그노 아키노 3세에게 보니파시오를 필리핀 초대 대통령으로 인정할 것을 촉구하는 별도의 결의안에 서명했다.[29] 같은 해, 필리핀 하원의 대표들은 보니파시오를 초대 대통령으로 인정하려는 하원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8] 2016년에도 유사한 하원 결의안이 제출되었다.[30]

NHCP의 마론 카디즈에 따르면, 이 기관은 보니파시오의 초대 대통령 지위에 대한 전문가의 설명뿐만 아니라 새로운 증거를 포함한 철저하고 명확한 연구를 기다리고 있다.[28]

2. 1. 2. 아기날도의 정부와 제1공화국

에밀리오 아기날도와 1899년 '''필리핀 공화국 헌법(Constitución Política de la República Filipina)'''을 통과시킨 말롤로스 의회 대표 10명


1897년 3월, 스페인에 대한 필리핀 혁명 중에 카비테주 테헤로스에서 열린 테헤로스 회의에서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새로운 혁명 정부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31] 이 새로운 정부는 카티푸난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32] 이 정부는 "필리핀 공화국"(스페인어: ''Republica Filipina''),[33] "필리핀 공화국"(스페인어: ''Republica de Filipinas'')[34] 그리고 "전체 타갈로그인 정부" 또는 "전체 타갈로그 민족/국민 정부"(필리핀어: ''Pamahalaan ng Sangkatagalugan'')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다.[35]

몇 달 후, 아기날도는 11월 불라칸주 비악나바토에서 재편된 "필리핀 공화국"(스페인어: ''Republica de Filipinas'')[37]의 대통령으로 다시 선출되었으며,[36] 오늘날 일반적으로 비악나바토 공화국으로 알려져 있다.[38] 따라서 아기날도는 비악나바토 조약에 서명하고 1897년 말 홍콩으로 망명했다.[39]

1898년 4월 스페인-미국 전쟁이 발발했고,[40] 그 후 미국 해군의 아시아 함대가 필리핀으로 항해했다.[41] 1898년 5월 1일 마닐라 만 해전에서 미국 해군은 스페인 해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했다.[42] 그 후 아기날도는 미국 해군 함정을 타고 필리핀으로 돌아와 혁명을 재개했다.[43] 그는 1898년 5월 24일 독재 정부를 수립했고,[44]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독립 선언을 발표했다.[92] 이 짧은 기간 동안 그는 "독재자"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독립 선언에서도 그렇게 언급하고 있다.[45]

1898년 6월 23일, 아기날도는 자신의 독재 정부를 혁명 정부로 전환했고 다시 "대통령"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6][47] 1899년 1월 23일, 아기날도는 혁명적인 말롤로스 의회가 제정한 혁명적인 말롤로스 헌법에 따라 구성된 새로운 정부인 "필리핀 공화국"(스페인어: ''Republica Filipina'')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48][49] 결과적으로, 이 정부는 오늘날 공식적으로 적절한 "제1공화국"으로 간주되며, 수도인 불라칸주 말롤로스의 이름을 따서 말롤로스 공화국이라고도 불린다.[50][51] 그 의회(공식적으로 "국민 의회")와 헌법은 일반적으로 말롤로스 의회와 말롤로스 헌법으로 알려져 있다.[52][53]

제1필리핀 공화국은 필리핀 코먼웰스까지 그 이전과 이후의 모든 정부와 마찬가지로 수명이 짧았고,[54]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55] 그리고 현재 공화국의 영토 전체를 통제하거나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지는 못했지만, 필리핀 군도 전체와 그곳의 모든 사람들을 대표하고 통치한다고 주장했다.[56] 필리핀은 그 해 12월에 체결된 1898년 파리 조약에 의해 스페인에서 미국으로 이관되었다.[57] 미국과 아기날도 정부 사이에 필리핀-미국 전쟁이 발발했다.[58] 1901년 4월 1일, 아기날도가 미군에 체포된 후 미국에 충성을 맹세하면서 아기날도의 정부는 사실상 사라졌다.[58]

현재 필리핀 공화국 정부는 이전의 여러 정부가 아닌 말롤로스 공화국의 대통령직을 기준으로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필리핀의 초대 대통령으로 간주한다.[88]

2. 2. 미국의 식민 통치

1898년부터 1935년까지 필리핀의 행정권은 4명의 미국 군정 총독과 11명의 민간 총독이 순차적으로 행사하였다.[61][62][63]

2. 3. 필리핀 코먼웰스

1935년 10월, 마누엘 케손(Manuel L. Quezon)은 그해 5월 14일 비준된 헌법에 따라, 여전히 미국의 주권 하에 설립된 필리핀 코먼웰스(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64] 초기 5년 동안 대통령은 6년 임기로, 중임은 허용되지 않았다.[65] 이후 1940년에 개정되어 대통령의 임기는 최대 2기(각 4년)로 제한되었다.[66][67]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리핀이 일본 제국에 함락된 후 케손 대통령이 미국으로 망명하자, 케손은 필리핀 대법원장(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호세 아바드 산토스(José Abad Santos)를 자신의 대리인으로 임명했는데, 이는 사실상 조지 A. 맥알름(George A. Malcolm) 판사에 따르면 코먼웰스의 권한대행 대통령이었다.[68][69] 아바드 산토스는 그 후 1942년 5월 2일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처형되었다.[68]

순서대통령소속 정당임기재임 기간비고부통령
2마누엘 케손국민당11935년 11월 15일
- 1941년
1935년 11월 15일 - 1944년 8월 1일세르히오 오스메냐
21941년
- 1944년 8월 1일
재임 중 사망
4세르히오 오스메냐
100px
국민당31944년 8월 1일
- 1946년 5월 28일
1944년 8월 1일 - 1946년 5월 28일승격
(부통령)
(결원)
5마누엘 로하스자유당41946년 5월 28일
- 1946년 7월 4일
1946년 5월 28일 - 1946년 7월 4일엘피디오 키리노


2. 4. 일본 점령하 제2공화국

호세 P. 라우렐
은 공식적으로 필리핀의 세 번째 대통령이자 제2 필리핀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인정받고 있다.[70][71] 1943년 10월 14일, 호세 P. 라우렐은 일본 점령 세력이 부과한 헌법에 따라 대통령이 되었다. 라우렐은 필리핀 대법원 부장판사였으며, 코레히도르로, 그리고 이후 미국으로 이동하여 미국에 망명 정부를 수립한 케손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마닐라에 남아 있었다.[73][74] 1945년 8월 17일,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한 지 이틀 후, 라우렐은 공식적으로 공화국을 해산하였다.[75]

순서대통령소속 정당선거재임 기간비고
3호세 라우렐(Jose P. Laurel)
100px
칼리바피(KALIBAPI)11943년 10월 14일
- 1945년 8월 17일
일본군의 실질적인 지배 하에 수립된 “필리핀 공화국”이다. 1944년 12월 21일 마닐라를 떠나 바기오로 이동했고, 1945년 4월 28일 일본으로 망명하여 같은 해 8월 17일 정부 해산을 선언했다.
colspan="10" |


2.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일본의 항복으로 종식된 후, 1935년 헌법이 복원되었고,[66] 1944년 세르히오 오스메냐케손의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64] 1946년 7월 4일, 미국이 필리핀 공화국의 주권을 인정하면서 마누엘 아. 로하스가 독립 필리핀 공화국(필리핀 제3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76][64]

대통령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부통령
(5)100px마누엘 로하스
(Manuel Roxas)
자유당
(LP)
11946년 7월 4일
- 1948년 4월 15일
재임 중 사망style="background-color:#f0e68c" |엘피디오 키리노
6100px엘피디오 키리노
(Elpidio Quirino)
자유당
(LP)
1948년 4월 15일
- 1949년
승격
(부통령)
style="background-color:black" |(결원)
21949년
- 1953년 12월 30일
style="background-color:#f0e68c" |
7100px라몬 마그사이사이
(Ramon Magsaysay)
국민당
(NP)
31953년 12월 30일
- 1957년 3월 17일
재임 중 사망style="background:#98fb98" |카를로스 가르시아
8100px카를로스 가르시아
(Carlos P. Garcia)
국민당
(NP)
1957년 3월 17일
- 1961년 12월 30일
승격
(부통령)
style="background-color:black" |(결원)
4style="background-color:#f0e68c"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9100px디오스다도 마카파갈
(Diosdado Macapagal)
자유당
(LP)
51961년 12월 30일
- 1965년 12월 30일
style="background-color:#f0e68c" |에마누엘 펠라에스
10100px페르디난드 마르코스
(Ferdinand Marcos)
국민당
(NO)
61965년 12월 30일
- 1969년
rowspan="4" |style="background-color:#f0e68c" |페르난도 로페스
71969년
- 1978년 2월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black" |(폐지)
(10)신사회운동
(KBL)
1978년 2월
- 1981년
신당 결성
81981년
- 1986년 2월 26일
style="background-color:black" |(결원)
11100px코라손 아키노
(Corazon Aquino)
통일국민당민주조직
(UNIDO)
91986년 2월 25일
- 1992년 6월 30일
style="background:#ffd700" |살바도르 라우렐
12100px피델 라모스
(Fidel V. Ramos)
라카스
(Lakas)
101992년 6월 30일
- 1998년 6월 30일
style="background-color:#ffa500" |조셉 에스트라다
13100px조셉 에스트라다
(Joseph Estrada)
라반
(LMMP)
111998년 6월 30일
- 2001년 1월 20일
임기 만료 전 해임style="background-color:#B0E0E6"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14100px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Gloria Macapagal Arroyo)
라카스
(Lakas)
2001년 1월 20일
- 2004년 6월 30일
rowspan="2" | 승격
(부통령)
style="background-color:black" |(결원)
style="background-color:#B0E0E6" |테오피스토 긴고나
122004년 6월 30일
- 2010년 6월 29일
재선 특례style="background-color:#전송 " |노이 데 카스트로
15100px베니그노 아키노 3세
(Benigno Aquino III)
자유당
(LP)
132010년 6월 30일
- 2016년 6월 30일
style="background-color:#ffd700" |제조마르 비나이
16100px로드리고 두테르테
(Rodrigo Duterte)
필리핀 민주당-국민의 힘
(PDP–Laban)
142016년 6월 30일
- 2022년 6월 30일
style="background-color:#f0e68c" |레니 로브레도
17100px봉봉 마르코스
(Bongbong Marcos)
필리핀 연방당
(PFP)
152022년 6월 30일
- (현직)
style="background-color:#f0e68c" |사라 두테르테


2. 6. 1973년 및 1987년 헌법

1973년 1월 17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 하에 새로운 헌법이 비준되면서 의회식 정부가 도입되었다.[77][78] 마르코스는 1978년부터 대통령직과 총리직을 겸임하였다.[79] 1981년 세사르 비라타가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실질적인 권한은 여전히 마르코스에게 있었다.[80]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의 21년간의 권위주의 정권이 무너지고 코라손 아키노가 대통령이 되면서 1973년 헌법은 효력을 잃었다.[66] 아키노는 1986년 3월 25일, "자유 헌법"으로 불리는 1986년 제3호 선포령을 발표하여 1973년 헌법을 대체하였다.[66] 이 임시 헌법은 혁명적인 방법으로 대통령에 취임한 아키노가 제정하였으며,[81] 마르코스 정권과 관련된 조항, 대통령에게 입법권을 부여한 조항, 단원제 의회인 바타상 팜반사(Batasang Pambansa)에 관한 조항 등 1973년 헌법의 많은 조항을 폐지하였다.[82][83][84] 다만, 권리장전과 같이 민주주의 회복에 필수적인 일부 조항은 유지되었다.[82][83] 이 헌법은 1987년 2월 2일 현재의 헌법으로 대체되었다.[66]

3. 대통령 선출

}}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필리핀 공화국 헌법에 따라 임기는 1기 6년이고 중임은 불가능하다(대통령을 보좌하는 필리핀 공화국 부통령 또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113] 출마 자격으로는 필리핀 출생자이며 40세 이상이라는 조건이 있다.

==== 자격 요건 ====

필리핀의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111]


  • 필리핀에서 출생한 사람
  • 등록된 유권자
  •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 만 40세 이상
  • 필리핀에서 최소 10년 이상 거주


천부적 필리핀 시민(natural-born Filipinos)은 필리핀 시민권을 취득하거나 완성하기 위해 어떠한 행위도 할 필요 없이 출생 시부터 필리핀 시민이다. 부 또는 모가 출생 당시 필리핀 시민이었던 사람들과 1973년 1월 17일 이전에 필리핀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나 성년에 이르러 필리핀 시민권을 선택한 사람들은 천부적 필리핀 시민으로 간주된다.[112]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임기는 6년 단임제이다.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재선될 수 없으며, 대통령직을 계승하여 4년 이상 재임한 사람은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될 수 없다.[113] 그러나 조세프 에스트라다(Joseph Estrada)의 경우처럼, 1998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2001년 축출되었고, 다시 2010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사례가 있어, 헌법 조항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 선거 절차 ====

필리핀의 대통령은 6년마다 직접 투표로 선출되며, 보통 5월 둘째 주 월요일에 실시된다.[113] 가장 최근 선거는 2022년에 치러졌다. 최다 득표자가 대통령이 되지만, 두 명 이상이 가장 많은 표를 얻은 경우에는 상원과 하원이 따로 투표하여 의회 전체 의원 과반수의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한다.[113]

대통령들의 고향 주 (파란색과 보라색)


각 주 또는 시의 개표 위원회가 인증한 대통령 및 부통령 선거 결과는 상원 의장에게 전달되어 의회로 보내진다. 개표 증명서를 받으면 상원 의장은 선거일 후 30일 이내에 의회의 공개 합동 회의에서 모든 증명서를 개봉한다. 의회는 여론조사가 진짜이며 법률에 따라 이루어졌는지 확인한 후 투표를 개표한다.[113]

대통령 임기는 6년 단임제이고 필리핀 헌법에 의거해 연임은 절대 금지이다.

==== 취임 ====

카를로스 가르시아는 1957년 선거에서 승리한 후 필리핀 제8대 대통령으로 취임 선서를 했다.


봉봉 마르코스의 취임식


필리핀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대통령 선거 후 6월 30일 정오에 취임 선서를 한다.[114] 전통적으로 부통령이 먼저 정오 조금 전에 선서를 하는데,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의전에 따라 아무도 대통령(최고 권력자이므로 마지막이다)을 따르지 않으며, 둘째, 대통령 당선자가 취임하기 전에 헌법적으로 유효한 계승자를 확립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케손 대통령 취임식에서는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기 위해 부통령과 의회가 대통령 취임 후 선서를 했다.

관례적으로 취임식 장소는 세 곳으로 정해져 있다. 불라칸주 말롤로스의 바라소인 교회, 마닐라의 국립박물관(현재 필리핀 국립미술관의 일부)의 옛 의사당 건물 앞, 또는 대부분의 취임식이 거행된 키리노 그랜드스탠드이다. 일부 대통령들은 특별한 상황이나 다른 이유로 이러한 관례를 깨기도 했다. 2004년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키리노 그랜드스탠드에서 취임 연설을 하고, 세부에서 힐라리오 다비데 주니어 대법원장 앞에서 취임 선서를 한 후, 다음 날 부투안에서 첫 각료 회의를 열었다. 그녀는 필리핀의 세 개 주요 섬 그룹인 루손, 비사야, 민다나오에서 취임식을 기념하고자 관례를 깼다. 그녀의 첫 취임식은 조셉 에스트라다를 축출한 2001년 EDSA 혁명 중 2001년 1월 20일 EDSA 성지에서 취임 선서를 한 것으로도 관례를 깼다.

현대 취임식의 복장 규정은 전통적인 정장 필리핀 의상인 ''필리피아나''이다. 여성은 ''바로트 사야''(다른 원주민 집단의 정장도 허용됨)를 착용해야 하고, 남성은 ''바롱 타갈로그''를 착용해야 한다. 행사에 참석하는 필리핀 사람이 아닌 사람들은 각자의 정장을 입을 수 있지만, 외국 외교관들은 문화적 존중의 표시로 ''필리피아나''를 입는 경우가 많다.

헌법은 취임 전에 대통령과 부통령 당선자가 해야 하는 다음과 같은 선서 또는 확인을 규정하고 있다.[114]

"나는 (이름) 필리핀 대통령(또는 부통령 또는 권한 대행 대통령)으로서의 나의 의무를 충실하고 양심적으로 수행할 것을 엄숙히 선서(또는 확인)합니다. 헌법을 수호하고 방어하며, 법을 집행하고, 모든 사람에게 정의를 행사하며, 나 자신을 국가 봉사에 헌신할 것을 선서합니다. 하나님이 나를 도와주시옵소서." (확인의 경우 마지막 문장은 생략됩니다.)

— 필리핀 헌법, 제7조 제5항

피델 라모스, 조셉 에스트라다, 베니그노 아키노 3세, 그리고 봉봉 마르코스의 취임식에 사용된 타갈로그어 선서는 다음과 같다.[115]

source=Konstitusyon ng Pilipinas, Artikulo VII, SEK. 5fil/"Ako si (pangalan), ay taimtim kong pinanunumpaan (o pinatototohanan) na tutuparin ko nang buong katapatan at sigasig ang aking mga tungkulin bilang Pangulo (o Pangalawang Pangulo o Nanunungkulang Pangulo) ng Pilipinas, pangangalagaan at ipagtatanggol ang kanyang Konstitusyon, ipatutupad ang mga batas nito, magiging makatarungan sa bawat tao, at itatalaga ang aking sarili sa paglilingkod sa Bansa. Kasihan nawa ako ng Diyos." (Kapag pagpapatotoo, ang huling pangungusap ay kakaltasin.)fil

대통령이 취임 선서를 하자마자 새로운 국가 원수에게 경례하는 21발의 예포 사격이 이루어지고, 대통령의 국가 ''"위 세이 마부하이"''가 연주된다. 대통령은 취임 연설을 하고, 궁전을 공식적으로 소유함을 상징하는 의식인 말라카냥 궁전의 대계단을 오른다. 그런 다음 대통령은 국무실 중 한 곳에서 새로 구성된 내각을 취임시킨다.

3. 1. 자격 요건

필리핀의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111]

  • 필리핀에서 출생한 사람
  • 등록된 유권자
  •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 만 40세 이상
  • 필리핀에서 최소 10년 이상 거주


천부적 필리핀 시민(natural-born Filipinos)은 필리핀 시민권을 취득하거나 완성하기 위해 어떠한 행위도 할 필요 없이 출생 시부터 필리핀 시민이다. 부 또는 모가 출생 당시 필리핀 시민이었던 사람들과 1973년 1월 17일 이전에 필리핀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나 성년에 이르러 필리핀 시민권을 선택한 사람들은 천부적 필리핀 시민으로 간주된다.[112]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임기는 6년 단임제이다.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재선될 수 없으며, 대통령직을 계승하여 4년 이상 재임한 사람은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될 수 없다.[113] 그러나 조세프 에스트라다(Joseph Estrada)의 경우처럼, 1998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2001년 축출되었고, 다시 2010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사례가 있어, 헌법 조항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3. 2. 선거 절차

필리핀의 대통령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113]

  • 필리핀에서 출생한 사람
  • 등록된 유권자
  •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 최소 만 40세 이상
  • 필리핀에서 최소 10년 이상 거주


대통령은 6년마다 직접 투표로 선출되며, 보통 5월 둘째 주 월요일에 실시된다.[113] 가장 최근 선거는 2022년에 치러졌다. 최다 득표자가 대통령이 되지만, 두 명 이상이 가장 많은 표를 얻은 경우에는 상원과 하원이 따로 투표하여 의회 전체 의원 과반수의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한다.[113]

각 주 또는 시의 개표 위원회가 인증한 대통령 및 부통령 선거 결과는 상원 의장에게 전달되어 의회로 보내진다. 개표 증명서를 받으면 상원 의장은 선거일 후 30일 이내에 의회의 공개 합동 회의에서 모든 증명서를 개봉한다. 의회는 여론조사가 진짜이며 법률에 따라 이루어졌는지 확인한 후 투표를 개표한다.[113]

대통령 임기는 6년 단임제이고 필리핀 헌법에 의거해 연임은 절대 금지이다. 필리핀 대통령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필리핀 공화국 헌법에 따라 임기는 1기 6년이고 중임은 불가능하다.

3. 3. 취임



필리핀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대통령 선거 후 6월 30일 정오에 취임 선서를 한다.[114] 전통적으로 부통령이 먼저 정오 조금 전에 선서를 하는데,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의전에 따라 아무도 대통령(최고 권력자이므로 마지막이다)을 따르지 않으며, 둘째, 대통령 당선자가 취임하기 전에 헌법적으로 유효한 계승자를 확립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케손 대통령 취임식에서는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기 위해 부통령과 의회가 대통령 취임 후 선서를 했다.

관례적으로 취임식 장소는 세 곳으로 정해져 있다. 불라칸주 말롤로스의 바라소인 교회, 마닐라의 국립박물관(현재 필리핀 국립미술관의 일부)의 옛 의사당 건물 앞, 또는 대부분의 취임식이 거행된 키리노 그랜드스탠드이다. 일부 대통령들은 특별한 상황이나 다른 이유로 이러한 관례를 깨기도 했다. 2004년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키리노 그랜드스탠드에서 취임 연설을 하고, 세부에서 힐라리오 다비데 주니어 대법원장 앞에서 취임 선서를 한 후, 다음 날 부투안에서 첫 각료 회의를 열었다. 그녀는 필리핀의 세 개 주요 섬 그룹인 루손, 비사야, 민다나오에서 취임식을 기념하고자 관례를 깼다. 그녀의 첫 취임식은 조셉 에스트라다를 축출한 2001년 EDSA 혁명 중 2001년 1월 20일 EDSA 성지에서 취임 선서를 한 것으로도 관례를 깼다.

현대 취임식의 복장 규정은 전통적인 정장 필리핀 의상인 ''필리피아나''이다. 여성은 ''바로트 사야''(다른 원주민 집단의 정장도 허용됨)를 착용해야 하고, 남성은 ''바롱 타갈로그''를 착용해야 한다. 행사에 참석하는 필리핀 사람이 아닌 사람들은 각자의 정장을 입을 수 있지만, 외국 외교관들은 문화적 존중의 표시로 ''필리피아나''를 입는 경우가 많다.

헌법은 취임 전에 대통령과 부통령 당선자가 해야 하는 다음과 같은 선서 또는 확인을 규정하고 있다.[114]

"나는 (이름) 필리핀 대통령(또는 부통령 또는 권한 대행 대통령)으로서의 나의 의무를 충실하고 양심적으로 수행할 것을 엄숙히 선서(또는 확인)합니다. 헌법을 수호하고 방어하며, 법을 집행하고, 모든 사람에게 정의를 행사하며, 나 자신을 국가 봉사에 헌신할 것을 선서합니다. 하나님이 나를 도와주시옵소서." (확인의 경우 마지막 문장은 생략됩니다.)

— 필리핀 헌법, 제7조 제5항

피델 라모스, 조셉 에스트라다, 베니그노 아키노 3세, 그리고 봉봉 마르코스의 취임식에 사용된 타갈로그어 선서는 다음과 같다.[115]

"Ako si (pangalan), ay taimtim kong pinanunumpaan (o pinatototohanan) na tutuparin ko nang buong katapatan at sigasig ang aking mga tungkulin bilang Pangulo (o Pangalawang Pangulo o Nanunungkulang Pangulo) ng Pilipinas, pangangalagaan at ipagtatanggol ang kanyang Konstitusyon, ipatutupad ang mga batas nito, magiging makatarungan sa bawat tao, at itatalaga ang aking sarili sa paglilingkod sa Bansa. Kasihan nawa ako ng Diyos." (Kapag pagpapatotoo, ang huling pangungusap ay kakaltasin.)|source=

대통령이 취임 선서를 하자마자 새로운 국가 원수에게 경례하는 21발의 예포 사격이 이루어지고, 대통령의 국가 ''"위 세이 마부하이"''가 연주된다. 대통령은 취임 연설을 하고, 궁전을 공식적으로 소유함을 상징하는 의식인 말라카냥 궁전의 대계단을 오른다. 그런 다음 대통령은 국무실 중 한 곳에서 새로 구성된 내각을 취임시킨다.

4. 대통령의 권한과 역할

필리핀군 최고사령관을 역임한다. 그 외에도 의회에서 승인된 법안에 대한 거부권, 사면권(국회의원 과반수의 찬성 필요), 모든 각료 및 대법원장 임명권 등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4. 1. 행정권

필리핀의 대통령은 최고 행정 책임자로서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을 겸임한다.[100] 헌법은 대통령에게 행정권을 부여하며, 따라서 대통령은 내각과 모든 행정부 부처를 포함한 정부의 행정부를 이끈다.[101] 특정 부처에 보고하지 않고 대통령실의 지휘를 받는 정부 기관도 있다.[102] 또한 대통령은 지방 정부 단체에 대한 일반적인 감독권을 행사한다.[103]

대통령은 행정 명령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행정부의 정책과 프로그램을 간소화하는 수단이다. 1987년 행정법에 정의된 바와 같이 대통령이 발행할 수 있는 여섯 가지 명령에는 대통령령, 행정 명령, 선포, 각서 명령, 각서 공고, 일반 또는 특별 명령 등이 있다.[100]

대통령은 탄핵 사건을 제외하고는 최종 판결에 의한 유죄 판결 후 사면, 감형 및 사면을 허가하고 벌금 및 몰수를 면제할 수 있다.[104] 대통령은 의회의 모든 의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 사면을 허가할 수 있다.[105] 대통령은 국가를 대신하여 외국 차관을 계약하거나 보증할 권한이 있지만, 통화위원회의 사전 동의를 얻고 법률에 규정된 제한을 받는다.[106]

대통령은 수용권을 행사할 권한이 있다. 또한 대통령은 국유지 또는 사유지의 환수 또는 복귀 절차를 지시하고 정부의 공유지 및 사유지를 보존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권한의 행사를 제한하는 두 가지 헌법 조항이 있다. 헌법 제3조 제9항은 어떠한 사람도 적법 절차 없이 생명, 자유 또는 재산을 박탈당하지 않으며, 사유재산은 정당한 보상 없이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징용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100]

대통령은 임명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행정부 부처의 장, 국가 정부 관련 기관의 이사회 구성원 및 지도자, 대사, 기타 공공 장관 및 영사, 고위 장교, 기타 공무원을 임명한다.[107] 대법원과 하급 법원의 판사도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사법 및 변호사 위원회가 작성한 후보 명단에서만 임명한다. 이러한 임명에는 임명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지 않다.[108]

필리핀군 최고사령관을 역임한다. 그 외에도 의회에서 승인된 법안에 대한 거부권, 사면권(국회의원 과반수의 찬성 필요) 등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4. 2. 입법권

헌법 제6조 제1항에 따라 입법권은 필리핀 의회(Congress of the Philippines)에 있으며, 상원(Senate of the Philippines)과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 of the Philippines)으로 구성된 양원제이다.[109] 그러나 대통령에게도 일부 입법권이 있다.[109] 대통령은 의회에서 통과된 법안(Bill (law))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제6조 제27항에 따라 의회에서 통과된 모든 법안은 대통령에게 제출되며, 대통령은 30일 이내에 법안에 서명하여 법률로 제정하거나, 거부권을 행사하거나,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을 수 있다.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을 경우 법안은 서명된 것과 같이 통과된다. 의회는 대통령의 거부권을 무효화할 수 있지만, 양원 모두에서 3분의 2 득표가 필요하다. 대통령은 예산, 세입, 관세 법안에서 특정 항목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항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통령은 의회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법안을 형성하고 입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110] 국정연설(State of the Nation Address (Philippines)) 또한 대통령에게 우선 입법 의제를 제시할 기회를 제공한다.[110] 필리핀군 최고사령관을 역임한다. 그 외에도 의회에서 승인된 법안에 대한 거부권, 사면권(국회의원 과반수의 찬성 필요), 모든 각료 및 대법원장 임명권 등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4. 3. 기타 권한

필리핀군 최고사령관을 역임한다. 그 외에도 의회에서 승인된 법안에 대한 거부권, 사면권(국회의원 과반수의 찬성 필요), 모든 각료 및 대법원장 임명권 등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5. 대통령직 공석 및 승계



;임기 시작 시

필리핀 헌법 제7조 제7항에 따르면, 당선 대통령이 자격을 갖추지 못하는 경우, 당선 부통령이 당선 대통령이 자격을 갖출 때까지 대통령 직무를 대행한다.[3] 대통령 임기 시작 시 당선 대통령이 사망하거나 영구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당선 부통령이 대통령이 된다.[3] 대통령과 부통령이 선출되지 않았거나 자격을 갖추지 못했거나, 또는 대통령과 부통령이 모두 사망하거나 영구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상원 의장 또는 상원 의장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하원 의장이 대통령과 부통령이 선출되어 자격을 갖출 때까지 대통령 직무를 대행한다.[3]

;임기 중

세르히오 오스메냐
는 1944년 마누엘 케손의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계승한 최초의 필리핀 부통령이었다.

헌법 제7조 제8항에 명시된 대통령 승계 순서는 부통령, 상원의장, 하원의장이다. 필리핀 대법원장은 승계 순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통령과 부통령의 직책이 동시에 공석인 경우, 의회는 특정 기간 내에 특별 선거를 위한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 그러나 대통령 선거가 18개월 남았다면 특별 선거는 실시되지 않는다. 권한대행이 일시적으로 대통령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대통령 승계 순서는 다음과 같다.

순위직책현직자
1필리핀 부통령사라 두테르테
2필리핀 상원 의장프랜시스 에스쿠데로
3필리핀 하원 의장마틴 로물데스


5. 1. 임기 시작 시

필리핀 헌법 제7조 제7항에 따르면, 당선 대통령이 자격을 갖추지 못하는 경우, 당선 부통령이 당선 대통령이 자격을 갖출 때까지 대통령 직무를 대행한다.[3] 대통령 임기 시작 시 당선 대통령이 사망하거나 영구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당선 부통령이 대통령이 된다.[3] 대통령과 부통령이 선출되지 않았거나 자격을 갖추지 못했거나, 또는 대통령과 부통령이 모두 사망하거나 영구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상원 의장 또는 상원 의장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하원 의장이 대통령과 부통령이 선출되어 자격을 갖출 때까지 대통령 직무를 대행한다.[3]

5. 2. 임기 중

는 1944년 마누엘 케손의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계승한 최초의 필리핀 부통령이었다.

헌법 제7조 제8항에 명시된 대통령 승계 순서는 부통령, 상원의장, 하원의장이다. 필리핀 대법원장은 승계 순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통령과 부통령의 직책이 동시에 공석인 경우, 의회는 특정 기간 내에 특별 선거를 위한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 그러나 대통령 선거가 18개월 남았다면 특별 선거는 실시되지 않는다. 권한대행이 일시적으로 대통령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대통령 승계 순서는 다음과 같다.

순위직책현직자
1필리핀 부통령사라 두테르테
2필리핀 상원 의장프랜시스 에스쿠데로
3필리핀 하원 의장마틴 로물데스


6. 대통령 탄핵

필리핀의 탄핵 절차는 미국과 유사하다. 하원은 대통령, 부통령, 대법원 판사, 헌법위원회 위원, 감찰관에 대한 모든 탄핵 소추를 시작할 수 있는 독점적 권한을 가지고 있다.[119] 하원 의원 3분의 1 이상이 탄핵 소추안을 승인하면, 탄핵 재판소로서 탄핵 사건을 심리하고 결정하는 상원으로 이송된다.[120] 상원에서는 하원 의원들이 검사 역할을 하고, 상원 의원들이 상원 의장과 대법원장이 공동으로 재판을 주재하는 판사 역할을 한다. 해당 공무원을 유죄로 선고하려면 상원 의원 3분의 2 이상(즉, 24명 중 16명)이 유죄 판결에 찬성해야 한다. 탄핵 시도가 실패하거나 공무원이 무죄로 석방되면, 해당 탄핵 대상 공무원에 대해 최소 1년 동안 새로운 탄핵 사건을 제기할 수 없다.

헌법은 대통령 탄핵 사유로 헌법 위반, 반역, 뇌물 수수, 부정부패, 기타 중대한 범죄, 그리고 공직에 대한 배신 등을 열거하고 있다.[121] 이는 부통령, 대법원 판사, 헌법위원회 위원, 감찰관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7. 대통령 관저



말라카냥궁은 필리핀 대통령의 공식 관저이며, 헌법에 따라 대통령에게 주어지는 특권이다.[3] 필리핀어 이름은 "거기에 귀족이 있다"는 의미의 타갈로그어 구절에서 유래했다. 이 궁전은 마닐라 산 미구엘구(San Miguel, Manila)의 파식강 북쪽 기슭에 있으며, 바하이 나 바토(bahay na bato)와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말라카냥궁이 대통령 공식 관저로 지정되기 전,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인트라무로스(Intramuros) 성벽 도시 안에 있는 총독궁(Palacio del Gobernador)이 총독의 관저였다. 그러나 1863년 지진으로 총독궁이 파괴된 후 말라카냥궁으로 이전되었다. 필리핀 혁명 동안 아기날도 대통령은 카비테(Cavite) 카윗(Kawit)의 자택에 거주했고, 필리핀-미국 전쟁에서 패한 후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다. 미국 점령기에는 총독들의 공식 관저로 궁전이 사용되었다. 필리핀 점령(Japanese occupation of the Philippines) 기간에는 대통령 관저와 정부 사무실이 바기오로 이전되어 맨션이 공식 관저가 되었다. 필리핀 연방 망명 정부 대통령 마누엘 케손(Manuel L. Quezon)은 워싱턴 D.C.(Washington D.C.)의 옴니 쇼어햄 호텔(Omni Shoreham Hotel)에 거주했다. 1946년 독립 후 새로운 수도에 새 관저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실행되지 않았고, 말라카냥궁이 계속 공식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122][123]

바기오의 맨션은 대통령의 공식 별장으로, 1908년 미국 총독의 여름 별장으로 지어졌으며, 나중에 대통령의 휴양지이자 집무실이 되었다.[129] 다바오시티(Davao City)의 남부 말라카냥(Malacañang of the South)은 민다나오 관저로 2005년에 건설되었다. 세부시티(Cebu City)의 수그보 말라카냥(Malacañang sa Sugbo)은 비사야 지역의 전 공식 관저였으나, 현재는 세관으로 반환되었다.[130] 일로코스 지방(Ilocos Region)의 북부 말라카냥(Malacañang of the North) 또한 대통령의 공식 관저였으나 현재는 대통령 박물관이다.[131]

8. 대통령의 교통 수단



필리핀 대통령은 두 대의 검은색 방탄 메르세데스-벤츠 W221 S600 가드를 사용하며, 그중 한 대는 유인 차량이다. 대통령 차량 행렬에는 대통령경호단이 토요타 포투너 SUV를 선두로 여러 대의 차량과 함께 이동한다.[134] 대통령 차량에는 "1" 또는 "PANGULO"(대통령)라는 번호판이 부여되며, 필리핀 국기와 때때로 대통령 깃발이 달려 있다.[134]

역대 대통령들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이용했다.[135][136][137]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1924년식 팩커드 식스 투어링, 마누엘 케손은 1937년식 크라이슬러 에어플로우 커스텀 임페리얼 CW, 호세 P. 로렐은 1942년식 팩커드 커스텀 슈퍼 에이트:원-에이티 리무진을 사용했다. 마누엘 로하스는 1940년식 캐딜락 75 시리즈 리무진, 엘피디오 키리노는 1953년식 크라이슬러 임페리얼 리무진, 라몬 마그사이사이는 1955년식 캐딜락 75-23 시리즈를 이용했다. 카를로스 P. 가르시아의 전용차는 기록이 없지만, 마그사이사이와 동일했을 가능성이 있다.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은 1957년식 포드 세단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1980년식 링컨 컨티넨탈 마크 VI 시그니처 시리즈와 1981년식 메르세데스-벤츠 600 풀만 리무진 (W100)을 사용했다.

코라손 아키노는 메르세데스-벤츠 500SEL (W126), 피델 V. 라모스는 메르세데스-벤츠 500SEL 가드 (W126), 조세프 에스트라다는 메르세데스-벤츠 S600 (W140)을 이용했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BMW 750iL 고보안 (E38), 메르세데스-벤츠 S600 (W140),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 (W220), 메르세데스-벤츠 S600 (W221)을 사용했다. 베니그노 아키노 3세는 메르세데스-벤츠 S600 (W221), 토요타 랜드크루저, 렉서스 LX570을, 로드리고 두테르테토요타 랜드크루저, 이수즈 D-맥스, 토요타 하이럭스, 쉐보레 콜로라도를 이용했다. 봉봉 마르코스토요타 랜드크루저,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ESV, 메르세데스-벤츠 S600 (W221), 메르세데스-벤츠 마이바흐 S680 (W223), 링컨 컨티넨탈 코치 도어 에디션을 사용한다.

대통령궁은 마누엘 L. 케손 대통령 시절 필리핀 최초의 대통령 리무진으로 사용된 1937년식 크라이슬러 에어플로우를 포함하여 수십 년 동안 다양한 차량을 소유해 왔다.[138] 지역 방문 시 대통령은 토요타 코스터, 미쓰비시 후소 로사 등을 이용하며, PSG은 구급차가 뒤따르는 지역 경찰차를 이용하여 대통령을 경호한다. 베니그노 아키노 3세는 개인 차량인 토요타 랜드크루저 200 또는 친척의 렉서스 LX 570을 선호했다.[138]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공식 대통령 차량으로 백색 방탄 장갑차인 토요타 랜드크루저를 사용했다.[139]

수빅 베이 해군 기지에서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을 태운 아에로스파시알 SA-330 푸마


필리핀 공군의 제250 비행단(대통령 전용기 비행단)은 필리핀 대통령과 영부인 가족을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 수송을 담당한다.[132] 경우에 따라, 이 비행단은 정부의 다른 구성원, 방문하는 국가 원수 및 기타 국빈의 수송 임무를 맡기도 한다.[132]

대통령의 국내 이동에 주로 사용되는 폭커 F28 1대(대통령 탑승 시 "칼라야안 원"으로 불림), 벨 412 헬리콥터 4대, 시콜스키 S-76 헬리콥터 3대, 시콜스키 S-70-5 블랙 호크 1대, 여러 대의 벨 UH-1N 트윈 휴이, 그리고 폭커 F-27 프렌드십 여러 대가 운영되고 있다.[132] 2020년 9월에는 VIP 수송 및 C2(지휘통제) 임무에 사용될 새로운 걸프스트림 G280이 도입되었다.[132] 필리핀 외 지역으로의 이동을 위해 공군은 봄바르디어 글로벌 익스프레스, 걸프스트림 G650ER을 사용하거나 필리핀의 국적 항공사인 필리핀항공으로부터 적절한 항공기를 임차한다.[132] 편명 "PR/PAL 001"과 호출 부호 "PHILIPPINE 001"을 사용하는 PAL 항공기는 필리핀 대통령 수송을 위해 필리핀항공이 운항하는 항공편이다.[132] 필리핀 일부 공항의 활주로가 짧아 대통령은 때때로 필리핀 국내 이동에 전세 제트기를 이용하기도 한다.[132]

'''BRP 안그 판굴로(AT-25)'''(''BRP''는 ''Barkó ng Repúblika ng Pilipinas'', 즉 "필리핀 공화국의 함선"을 의미하며, "''Ang Pangulo''"는 필리핀어로 "대통령"을 뜻한다)는 1959년 3월 7일 필리핀 해군에 의해 취역했다.[133] 가르시아 대통령 시절 일본에서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일본의 필리핀에 대한 배상의 일환으로 건조되었다.[133] 주로 현직 대통령의 손님 접대에 사용된다.

8. 1. 항공



필리핀 공군의 제250 비행단(대통령 전용기 비행단)은 필리핀 대통령과 영부인 가족을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 수송을 담당한다.[132] 경우에 따라, 이 비행단은 정부의 다른 구성원, 방문하는 국가 원수 및 기타 국빈의 수송 임무를 맡기도 한다.[132]

대통령의 국내 이동에 주로 사용되는 폭커 F28 1대(대통령 탑승 시 "칼라야안 원"으로 불림), 벨 412 헬리콥터 4대, 시콜스키 S-76 헬리콥터 3대, 시콜스키 S-70-5 블랙 호크 1대, 여러 대의 벨 UH-1N 트윈 휴이, 그리고 폭커 F-27 프렌드십 여러 대가 운영되고 있다.[132] 2020년 9월에는 VIP 수송 및 C2(지휘통제) 임무에 사용될 새로운 걸프스트림 G280이 도입되었다.[132] 필리핀 외 지역으로의 이동을 위해 공군은 봄바르디어 글로벌 익스프레스, 걸프스트림 G650ER을 사용하거나 필리핀의 국적 항공사인 필리핀항공으로부터 적절한 항공기를 임차한다.[132] 편명 "PR/PAL 001"과 호출 부호 "PHILIPPINE 001"을 사용하는 PAL 항공기는 필리핀 대통령 수송을 위해 필리핀항공이 운항하는 항공편이다.[132] 필리핀 일부 공항의 활주로가 짧아 대통령은 때때로 필리핀 국내 이동에 전세 제트기를 이용하기도 한다.[132]

8. 2. 해상



'''BRP 안그 판굴로(AT-25)'''(''BRP''는 ''Barkó ng Repúblika ng Pilipinas'', 즉 "필리핀 공화국의 함선"을 의미하며, "''Ang Pangulo''"는 필리핀어로 "대통령"을 뜻한다)는 1959년 3월 7일 필리핀 해군에 의해 취역했다.[133] 가르시아 대통령 시절 일본에서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일본의 필리핀에 대한 배상의 일환으로 건조되었다.[133] 주로 현직 대통령의 손님 접대에 사용된다.

8. 3. 육상

필리핀 대통령은 두 대의 검은색 방탄 메르세데스-벤츠 W221 S600 가드를 사용하며, 그중 한 대는 유인 차량이다. 대통령 차량 행렬에는 대통령경호단이 토요타 포투너 SUV를 선두로 여러 대의 차량과 함께 이동한다.[134] 대통령 차량에는 "1" 또는 "PANGULO"(대통령)라는 번호판이 부여되며, 필리핀 국기와 때때로 대통령 깃발이 달려 있다.[134]

역대 대통령들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이용했다.[135][136][137]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1924년식 팩커드 식스 투어링, 마누엘 케손은 1937년식 크라이슬러 에어플로우 커스텀 임페리얼 CW, 호세 P. 로렐은 1942년식 팩커드 커스텀 슈퍼 에이트:원-에이티 리무진을 사용했다. 마누엘 로하스는 1940년식 캐딜락 75 시리즈 리무진, 엘피디오 키리노는 1953년식 크라이슬러 임페리얼 리무진, 라몬 마그사이사이는 1955년식 캐딜락 75-23 시리즈를 이용했다. 카를로스 P. 가르시아의 전용차는 기록이 없지만, 마그사이사이와 동일했을 가능성이 있다.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은 1957년식 포드 세단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1980년식 링컨 컨티넨탈 마크 VI 시그니처 시리즈와 1981년식 메르세데스-벤츠 600 풀만 리무진 (W100)을 사용했다.

코라손 아키노는 메르세데스-벤츠 500SEL (W126), 피델 V. 라모스는 메르세데스-벤츠 500SEL 가드 (W126), 조세프 에스트라다는 메르세데스-벤츠 S600 (W140)을 이용했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BMW 750iL 고보안 (E38), 메르세데스-벤츠 S600 (W140), 메르세데스-벤츠 S600 가드 (W220), 메르세데스-벤츠 S600 (W221)을 사용했다. 베니그노 아키노 3세는 메르세데스-벤츠 S600 (W221), 토요타 랜드크루저, 렉서스 LX570을, 로드리고 두테르테토요타 랜드크루저, 이수즈 D-맥스, 토요타 하이럭스, 쉐보레 콜로라도를 이용했다. 봉봉 마르코스토요타 랜드크루저,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ESV, 메르세데스-벤츠 S600 (W221), 메르세데스-벤츠 마이바흐 S680 (W223), 링컨 컨티넨탈 코치 도어 에디션을 사용한다.

대통령궁은 마누엘 L. 케손 대통령 시절 필리핀 최초의 대통령 리무진으로 사용된 1937년식 크라이슬러 에어플로우를 포함하여 수십 년 동안 다양한 차량을 소유해 왔다.[138] 지역 방문 시 대통령은 토요타 코스터, 미쓰비시 후소 로사 등을 이용하며, PSG은 구급차가 뒤따르는 지역 경찰차를 이용하여 대통령을 경호한다. 베니그노 아키노 3세는 개인 차량인 토요타 랜드크루저 200 또는 친척의 렉서스 LX 570을 선호했다.[138]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공식 대통령 차량으로 백색 방탄 장갑차인 토요타 랜드크루저를 사용했다.[139]

9. 역대 대통령 목록

필리핀의 대통령 목록은 대통령의 목록이다.

1899년 1월 23일부터 1901년 3월 23일까지는 제1공화국 (말롤로스 공화국) 시기였다.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초대 대통령이었다. 1901년 7월 1일부터 1935년 11월 15일까지는 섬 정부 시기였다. 1935년 11월 15일부터 1946년 7월 4일까지는 필리핀 코먼웰스 시기였다. 마누엘 케손은 1935년 11월 15일부터 1944년 8월 1일까지 대통령이었다. 호세 라우렐은 1943년 10월 14일부터 1945년 8월 17일까지 제2공화국 대통령이었다.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1944년 8월 1일부터 1946년 5월 28일까지 대통령이었다.

1946년 7월 4일부터 1972년 9월 21일까지는 제3공화국 시기였다. 마누엘 록사스는 1946년 5월 28일부터 1948년 4월 15일까지 대통령이었다. 엘피디오 키리노는 1948년 4월 17일부터 1953년 12월 30일까지 대통령이었다. 라몬 막사이사이는 1953년 12월 30일부터 1957년 3월 17일까지 대통령이었다. 카를로스 가르시아는 1957년 3월 18일부터 1961년 12월 30일까지 대통령이었다.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은 1961년 12월 30일부터 1965년 12월 30일까지 대통령이었다.

1972년 9월 21일부터 1987년 2월 2일까지는 계엄령과 제4공화국 시기였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1965년 12월 30일부터 1986년 2월 25일까지 대통령이었다.

1987년 2월 2일부터 제5공화국이 시작되었다. 코라손 아키노는 1986년 2월 25일부터 1992년 6월 30일까지 대통령이었다. 피델 라모스는 1992년 6월 30일부터 1998년 6월 30일까지 대통령이었다. 조셉 에스트라다는 1998년 6월 30일부터 2001년 1월 20일까지 대통령이었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2001년 1월 20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대통령이었다. 베니그노 아키노 3세는 2010년 6월 30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대통령이었다.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2016년 6월 30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대통령이었다. 봉봉 마르코스는 2022년 6월 30일부터 현재까지 대통령이다.

10. 퇴임 후 대통령

필리핀의 대통령들은 퇴임 후에도 다양한 활동을 통해 대중의 관심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를 제외한 전직 대통령과 그들의 직계 가족은 경호를 위해 7명의 군인을 배치받는 등의 영예를 누렸다.[140]


  • 호세 P. 로렐은 필리핀 제2공화국의 유일한 대통령으로, 1951년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1957년까지 활동했다. 대통령직 이후 하위직에 출마한 최초의 국가 원수이다. 나시오날리스트당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1953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거절하고 라몬 마그사이사이의 당선을 도왔다. 이후 마그사이사이 대통령에 의해 외교 사절단장으로 임명되어 로렐-랭글리 협정을 체결했다. 필리핀 리세움 대학교의 설립자이기도 하다.[141][142]
  •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록사스, 키리노, 마그사이사이, 가르시아 정부에서 국무회의 위원을 역임했으며, 가르시아 정부에서는 국가안전보장회의 위원이었다.[142][143]
  • 엘피디오 키리노는 마그사이사이 대통령 재임 중 국무회의 위원이었다.[144]
  • 카를로스 가르시아는 1971년 6월 1일 헌법 개정 회의 대표로 선출되었다.[145]

가르시아(오른쪽)와 마그사이사이(왼쪽)

  •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은 1971년 헌법 개정 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대학교에서 강의를 했고, 아키노와 라모스 대통령 재임 중 국무회의 위원이었다.

1965년 12월 30일, 대통령 당선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말라카냥 궁 음악실에서 재임 중인 대통령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을 만났다.

  • 코라손 아키노는 라모스, 에스트라다, 아로요 정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 위원, 아로요 대통령 재임 중에는 국무회의 위원이었다.
  • 피델 라모스는 라모스 평화개발재단을 설립하고, 에스트라다 대통령 재임 중 국가안전보장회의 고문 및 위원을 역임했다. 아로요 대통령 재임 중 국무회의 위원과 특사를 역임했다. 2016년에는 중국 특사로 임명되었으나 11월 1일에 사임했다.
  • 조셉 에스트라다는 2010년 대통령직 재선을 시도했으나 베니그노 아키노 3세에게 패배했다. 이후 2013년 마닐라 시장에 당선되어 2019년까지 역임했다. 아로요, 아키노 3세, 두테르테, 마르코스 주니어 정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 위원을 역임했다.[146][147][148]

2016년 7월 27일 국가안전보장회의 회의 시작 전: 왼쪽부터 조셉 에스트라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로드리고 두테르테, 피델 라모스, 베니그노 아키노 3세.


현재 생존해 있는 전직 필리핀 대통령은 조셉 에스트라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로드리고 두테르테 3명이다.

참조

[1] 웹사이트 Emilio Aguinaldo https://www.official[...] 2011-03-22
[2] 서적 The laws of the first Philippine Republic (the laws of Malolos) 1898–1899. http://quod.lib.umic[...]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1972-01-10
[3]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www.chanrobl[...]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2008-01-07
[4] 웹사이트 Salary Grade Table https://www.official[...]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20-01-01
[5] 문서 Salary Grades of Positions of Constitutional and Other Officials and Their Equivalents https://www.dbm.gov.[...]
[6] 웹사이트 NATIONAL-BUDGET-CIRCULAR-NO-588.pdf https://www.dbm.gov.[...]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22-01-03
[7] 뉴스 Don't call me 'Your Excellency' https://newsinfo.inq[...] 2021-08-24
[8] 웹사이트 Duterte order: Don't call me 'His Excellency' https://www.rappler.[...] 2021-08-24
[9] 웹사이트 Out na ang 'His Excellency' https://balita.net.p[...] Balita 2021-08-24
[10] 웹사이트 The 1943 Constitution http://www.thecorpus[...] 2009-04-01
[11] 웹사이트 The 1935 Constitution http://www.thecorpus[...] 2009-04-01
[12] 웹사이트 The 1973 Constitution http://www.thecorpus[...] 2009-04-01
[13]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1081 (September 21, 1972), PROCLAIMING A STATE OF MARTIAL LAW IN THE PHILIPPINES http://www.lawphil.n[...]
[14] 웹사이트 Was Andres Bonifacio the 1st Philippine president?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21-08-29
[15] 웹사이트 Recognition sought for Bonifacio as first Tagalog Republic president https://www.manilati[...] 2021-08-30
[16] 뉴스 Bonifacio's claim: Tagalog Republic https://newsinfo.inq[...] 2021-08-30
[17] 뉴스 Lessons from Gat Andres' death https://opinion.inqu[...] 2021-08-30
[18] 웹사이트 Bonifacio descendant wants government to recognize him as first PHL president {{!}} Roderick Abad https://businessmirr[...] 2021-08-30
[19] 뉴스 The Supremo's supreme love https://opinion.inqu[...] 2021-09-08
[20] 웹사이트 Filipinos honor 'Father of Philippine Revolution' https://www.pna.gov.[...] 2021-09-08
[21] 웹사이트 Bonifacio did not call himself Supremo https://news.abs-cbn[...] 2021-08-30
[22] 서적 https://books.google[...]
[23] 서적 https://books.google[...]
[24] 뉴스 Bonifacio for (first) president http://blogs.gmanews[...] GMA News 2022-07-16
[25] 서적 Reform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26] 간행물 Andrés Bonifacio and the 1896 Revolution http://www.ncca.gov.[...]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2009-08-02
[27] 뉴스 Bonifacio, First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https://www.pressrea[...] 2010-05-11
[28] 웹사이트 Militants want Bonifacio declared first president https://www.manilati[...] 2021-08-30
[29] 웹사이트 His Excellency, President Andres Bonifacio? https://www.rappler.[...] 2021-08-30
[30] 웹사이트 House Resolution No. 285 https://www.congress[...] 2016-08-30
[31] 웹사이트 Looking Back: Election fraud at the Tejeros Convention http://opinion.inqui[...] 2007-05-11
[32] 웹사이트 Tejeros Convention {{!}} Presidential Museum and Library http://malacanang.go[...] 2021-09-01
[33] 서적 War in the Philippines: And Life and Glorious Deeds of Admiral Dewey. A Thrilling Account of Our Conflicts with the Spaniards and Filipinos in the Orient... https://books.google[...] Monarch 1899-01-01
[34] 뉴스 Our only republic https://opinion.inqu[...] 2021-08-31
[35] 뉴스 Jacinto https://www.pressrea[...] 2021-08-31
[36] 웹사이트 Philippine History -- The Biak-na-Bato Republic of 1897 http://www.msc.edu.p[...] 2021-09-01
[37] 웹사이트 Speech of President Ramos on the centennial of the Biak-na-Bato Republic https://www.official[...] 2021-09-01
[38] 웹사이트 Can "Rev-Gov" Heal All In The Philippines? https://theaseanpost[...] 2021-09-01
[39] 웹사이트 Chronology for the Philippine Islands and Guam in the Spanish-American War - The World of 1898: The Spanish-American War (Hispanic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09-01
[40] 웹사이트 UofL Libraries: Government Resources: History: Spanish-American War https://library.loui[...] 2021-09-01
[41] 뉴스 The mock Battle of Manila Bay (2) https://www.manilast[...] 2021-09-01
[42] 서적 History of Panay Central Philippine University 1973
[43] 뉴스 When Aguinaldo visited Singapore https://opinion.inqu[...] 2021-09-01
[44] 웹사이트 Philippine History -- The Dictatorial Government of Aguinaldo in 1898 http://msc.edu.ph/ce[...] 2021-09-01
[45] 뉴스 July the 4th https://opinion.inqu[...] 2021-09-01
[46] 서적 Struggle for Freedom' 2008 Ed.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2008
[47] 서적 Emilio Aguinaldo: Generalissimo and President of the First Philippine Republic--first Republic in Asia https://books.google[...] Phoenix Publishing House 1983
[48] 웹사이트 Revolutionary govt; Republica Filipina https://www.philstar[...] 2021-09-01
[49] 웹사이트 ASIANOW - Asiaweek - Emilio Aguinaldo http://edition.cnn.c[...] CNN 2021-09-01
[50] 뉴스 The many names for war https://opinion.inqu[...] 2021-09-01
[51] 웹사이트 Araw ng Republikang Filipino, 1899 https://www.official[...] 2021-09-01
[5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enate https://legacy.senat[...] 2021-09-01
[53] 웹사이트 Malolos Constitution - The LawPhil Project https://lawphil.net/[...] 2021-09-01
[54] 웹사이트 First Philippine Republic Day declared special working holiday https://www.bworldon[...] 2021-09-01
[55] MA thesis Allegiance and Identity: Race and Ethnicity in the Era of the Philippine-American War, 1898-1914 https://etd.ohiolink[...] Youngstown State University 2021-09-01
[56]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Revolution {{!}} Presidential Museum and Library http://malacanang.go[...] 2021-09-01
[57] 웹사이트 The U.S. Occupation of the Philippines http://www.colorado.[...] University of Colorado American Studies 2015-02-13
[58] 웹사이트 The First Philippine Republic https://nhcp.gov.ph/[...] 2012-09-07
[59] 웹사이트 The Manila Times – Trusted Since 1898 http://www.manilatim[...] 2015-02-13
[60] 웹사이트 Macario Sakay: Tulisán or Patriot? http://www.bibingka.[...] Philippine History Group of Los Ángeles 1995-08-12
[61] 웹사이트 Old Governor-General's Office {{!}} Presidential Museum and Library http://malacanang.go[...] 2021-09-04
[62] 학술지 The Governor-General of the Philippines Under Spain and the United States https://www.jstor.or[...] 1916
[63] 서적 The American Occupation of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20-07-31
[64]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https://www.official[...] 2021-09-09
[65] 웹사이트 The 1935 Constitution https://www.official[...] 2021-09-09
[66] 웹사이트 Constitution Day https://www.official[...] 2021-09-09
[67] 웹사이트 1935 Constitution amended https://www.official[...] 2021-09-09
[68] 웹사이트 The execution of Jose Abad Santos https://www.official[...] 2021-09-09
[69] 뉴스 Abad Santos kin forgive Japan for killing wartime Chief Justice https://newsinfo.inq[...] 2021-09-09
[70] 웹사이트 Dr. Jose P. Laurel as President of the Second Philippine Republic {{!}} Presidential Museum and Library http://malacanang.go[...] 2021-09-20
[71] 웹사이트 Jose P. Laurel: No one's puppet https://businessmirr[...] 2021-09-20
[72] 웹사이트 Today is the birth anniversary of President Jose P. Laurel http://malacanang.go[...] 2021-09-20
[73] 웹사이트 Jose P. Laurel Sr. was inaugurated President October 14, 1943 https://kahimyang.co[...] 2021-09-20
[74] 웹사이트 Speech of President Garcia at the Dinner in Honor of the memory of the late Senator Jose P. Laurel https://www.official[...] 1960-03-14
[75] 웹사이트 Second Philippine Republic http://malacanang.go[...] 2021-09-20
[76] 웹사이트 Third Republic https://www.official[...] 2021-09-20
[77] 웹사이트 1973 Philippine Constitution - The LawPhil Project https://lawphil.net/[...] 2021-09-23
[78] 웹사이트 Address of President Marcos on Constitution Day https://www.official[...] 1984-01-17
[79] 뉴스 MARCOS SAID TO PLAN A NEW GOVERNMENTAL STRUCTURE https://www.nytimes.[...] 2021-09-23
[80] 뉴스 A celebration of failure https://opinion.inqu[...] 2021-09-30
[81] 웹사이트 LOOK BACK: When did the Philippines have a revolutionary government? https://www.rappler.[...] 2021-10-12
[82] 웹사이트 Philippines - Proclamation No. 3 declaring a national policy to implement the reforms mandated by the people, adopting a Provisional Constitution, and related matters. http://www.ilo.org/d[...] 2021-10-12
[83] 뉴스 Aquino Drops Assembly and Constitution https://www.washingt[...] 2021-10-12
[84] 웹사이트 1976 AMENDMENTS TO THE 1973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www.chanrobl[...] 2021-10-12
[85] 웹사이트 Bonifacio is the first Philippine president - https://manilatoday.[...] 2021-10-12
[86] 웹사이트 Katipunan - The World of 1898: The Spanish-American War (Hispanic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21-10-12
[87] 논문 Manuel Quezon, Patron of the American-Filipino Community https://journals.ope[...] 2008-12-01
[88]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89] 웹사이트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www.official[...] 2015-02-13
[90] 웹사이트 The Explainer: Vice-President's Night http://www.quezon.ph[...] ANC 2021-10-12
[91] 웹사이트 The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 President Rodrigo Roa Duterte https://milanpcg.dfa[...] 2021-10-12
[92] 웹사이트 Emilio Aguinaldo y Famy https://www.loc.gov/[...]
[93]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1898–1946 https://history.hous[...] 2021-10-12
[94] 웹사이트 A Look into the Most Consequential Election in our History: the 1935 Presidential Elections https://www.esquirem[...] 2021-10-12
[95] 웹사이트 The Philippines's Second Republic and a forgotten Independence Day https://businessmirr[...] 2021-10-13
[96] 웹사이트 1. United States/Philippines (1898-1946) https://uca.edu/poli[...] 2021-10-13
[97] 뉴스 Problem in Exile https://content.time[...] 2021-10-13
[98] 웹사이트 Remembering our Past https://pvao.gov.ph/[...] 2021-10-13
[99] 웹사이트 Republic Day https://www.official[...] 2021-10-13
[100] 웹사이트 The Executive Branch https://www.official[...] 2021-10-13
[101] 문서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7, sec. 1
[102] 웹사이트 Gov't. Agencies under OP http://op-proper.gov[...] 2021-10-13
[103] 문서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10, sec. 4.
[104] 웹사이트 The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Article VII https://www.official[...] 2021-10-13
[105] 문서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7, sec. 19
[106] 법률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7, sec. 20
[107] 법률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7, sec. 16
[108] 법률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8, sec. 9
[109] 웹사이트 The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Article VI https://www.official[...] 2022-06-30
[110] 웹사이트 The Powers of the Philippine President, Explained http://www.reportr.w[...] 2022-06-29
[111] 법률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7, sec. 2
[112] 웹사이트 Philippine Consulate General Vancouver https://vancouverpcg[...]
[113] 법률 1987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7, sec. 4
[11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7, sec. 5 https://www.official[...]
[115] 웹사이트 Konstitusyon ng Pilipinas, art. 7, sek. 5 https://www.official[...]
[116] 웹사이트 1935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http://www.chanroble[...]
[117] 웹사이트 Martial Law Museum https://martiallawmu[...]
[118] 웹사이트 1973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http://www.chanroble[...]
[119] 법률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11, sec. 2
[120] 웹사이트 The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Article XI http://www.chanroble[...] 2008-07-25
[121] 법률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art. 11, sec. 2
[122] 뉴스 A century of alternative Malacañangs http://www.philstar.[...]
[123] 웹사이트 Grandstands and grand public spaces http://www.philstar.[...]
[124] 웹사이트 Bahay Pangarap: Aquino's future home? http://www.abs-cbnne[...] 2010-06-09
[125] 웹사이트 Noynoy's new home is Bahay Pangarap https://www.philstar[...] 2022-05-10
[126] 웹사이트 Bahay Pangarap for P-Noy ready https://archive.toda[...] 2010-08-10
[127] 웹사이트 Briefer on Bahay Pangarap and Malacanang Park https://www.official[...] 2010-07-29
[128] 웹사이트 How was PNoy's first night at Bahay Pangarap? https://www.gmanetwo[...] 2022-05-15
[129] 사진 Mansion House (NHI Marker) https://www.flickr.c[...] 2011-11-21
[130] 뉴스 BOC-Cebu staff poised to go back to old Customs house http://www.pna.gov.p[...] www.pna.gov.ph 2022-05-15
[131] 뉴스 Bringing back the grandeur of Malacañang ti Amianan http://newsinfo.inqu[...] 2022-05-15
[132] 뉴스 PH Air Force commissions brand new 'command and control' aircraft https://newsinfo.inq[...] 2020-11-14
[133] 웹사이트 The Presidential Yachts https://www.official[...]
[134] Youtube President Aquino arrives at the Palace https://www.youtube.[...]
[135] 웹사이트 11 Historic Philippine Presidential Cars We Love https://www.wheninma[...] 2021-05-03
[136] 뉴스 A look at presidential cars in Philippine history https://news.abs-cbn[...] 2012-08-24
[137] 웹사이트 A look at presidential cars in Philippine history https://nhcp.gov.ph/[...] ABS-CBN News 2021-08-24
[138] 웹사이트 Palace: Presidential Car Necessary Expense http://ph.news.yahoo[...]
[139] 웹사이트 It looks like BBM is ending the trend of using Japanese SUVs as the presidential vehicle https://www.topgear.[...] 2022-07-02
[140] 뉴스 Pullout of Erap security a 'mistake' https://web.archive.[...] The Manila Times
[141] 웹사이트 http://pangulo.ph/pr[...] 2008-03-25
[142] 웹사이트 http://pangulo.ph/ 2008-04-21
[143] 웹사이트 http://pangulo.ph/pr[...] 2009-02-23
[144] 웹사이트 http://pangulo.ph/pr[...] 2008-03-07
[145] 웹사이트 http://pangulo.ph/pr[...] 2008-04-18
[146] 뉴스 Estrada to return to Malacañang http://www.gmanews.t[...] GMANews.TV 2007-01-11
[147] 뉴스 9 years after ouster, Erap back in Malacañang http://www.gmanews.t[...] GMANews.TV 2010-01-12
[148] 뉴스 QTV: Erap back in Malacañang for NSC meeting http://www.gmanews.t[...] GMANews.TV 2010-12-01
[149] 뉴스 Arroyo proclaimed congresswoman of Pampanga's 2nd district http://newsinfo.inqu[...]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0-05-13
[150] 뉴스 NEW SPEAKER? Gloria takes seat at House rostrum, Alvarez welcomes Duterte http://www.gmanetwor[...] GMA News Online 2018-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