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응고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응고제는 혈액 응고를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약물을 통칭하며, 헤파린, 쿠마린, 와파린 등이 널리 사용된다. 2000년대 이후에는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DOACs)가 도입되어 쿠마린계 약물보다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항응고제는 심방세동, 심부정맥혈전증, 뇌졸중 등 다양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며, 출혈 위험이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최근에는 DOACs의 해독제 개발과 XIa 인히비터 등 새로운 항응고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응고제 - 옥살산염
옥살산염은 옥살산의 음이온 형태로, 화학식은 C₂O₄²⁻이며, 수용액 pH에 따라 존재 형태가 달라지고, 평면형과 비틀림형 구조를 가지며, 금속 이온에 대한 리간드로 작용하고, 식물에 존재하며 과다 섭취 시 신장 결석을 유발할 수 있다. - 항응고제 - 나파모스타트
나파모스타트는 일본에서 개발된 혈액 항응고제로, 급성 췌장염과 범발성 혈관 내 응고증 치료에 사용되며,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효능으로 주목받았으나 흡입 제형 개발은 중단되었다. - 혈액 검사 - 페리틴
- 혈액 검사 - C-반응성 단백질
C-반응성 단백질(CRP)은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염증 반응의 지표로 사용되며, 세균 감염, 조직 손상, 자가면역 질환 등에서 혈중 농도가 증가하여 면역 반응에 기여한다. - 약에 관한 - 커피콩
커피콩은 커피나무 열매 속 씨앗으로, 볶아서 커피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생두와 볶은 콩으로 나뉘고,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브라질이 최대 생산국이다. - 약에 관한 - 셀레늄
셀레늄은 육방정계의 회색 형태가 가장 안정적인 비금속 원소로, 생명체의 필수 미량 영양소로서 항산화 효과 및 갑상선 호르몬 대사에 관여하며, 유리 제조, 반도체 등 산업적으로도 활용되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항응고제 | |
---|---|
항응고제 | |
![]() | |
ATC 코드 접두어 | B01 |
MeSH ID | D00534-class |
개요 | |
항응고제 |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약물 종류이다. NHS |
작용 기전 | |
혈액 응고 방지 | 항응고제는 혈액 응고 과정을 방해하여 혈액이 굳는 것을 막는다. NHS |
혈액 응고 관련 | 혈액 응고는 상처 치유에 필수적이지만, 혈관 내에서 형성될 경우 혈전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질병 치료 | 항응고제는 혈전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
역사 | |
전통적 치료법 | 과거에는 거머리를 이용한 치료법이 있었으며, 거머리 타액에 포함된 항응고 성분으로 혈액 응고를 방지했다. |
대체 치료 | 화학적 및 기계적 방법으로 거머리 치료법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
종류 | |
헤파린 | 헤파린은 각다귀의 침샘과 중간 창자에서 발견되는 물질이다. 한국기생충학저널 |
경구 항응고제 | 아픽사반 다비가트란 에독사반 리바록사반 등 비타민 K 길항제가 아닌 새로운 경구 항응고제가 있다. PLOS One |
전통적 항응고제 | 와파린은 오랜 기간 사용된 혈액 희석제이다. 영국 임상 약리학 저널 |
기타 | EDTA는 시험관 내에서 혈액 응고를 막기 위해 사용된다. 임상 화학 및 실험실 의학 |
적용 분야 | |
치료 | 심부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치료에 사용된다. 코크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리뷰 |
예방 | 수술 후 혈액 응고 방지 심장 및 폐 수술 중 혈액 응고 방지 번역 의학 연보 심방세동 환자의 혈전 색전증 예방 임상 치료학 |
주의사항 | |
부작용 | 출혈 위험 증가와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치료 모니터링 | 항응고제 치료 중에는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항혈소판제는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또 다른 약물 종류이다. StatPearls |
2. 종류
항응고제에는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와파린을 비롯한 쿠마린계 약물과 헤파린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74] 2000년대 이후로는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 '''DOACs''', 이전에는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 '''NOACs''' ) 또는 '''비비타민 K 길항제 경구용 항응고제'''라고 불림)가 도입되었다.[75][76][77][78]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에는 직접 트롬빈 억제제(다비가트란)와 X 인자 억제제(리바록사반, 아픽사반, 베트릭사반, 에독사반)가 있으며, 쿠마린계 약물보다 효과가 비슷하거나 더 우수하고 심각한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79] 다만, 새로운 항응고제(NOACs/DOACs)는 기존 항응고제보다 가격이 비싸며, 신장 질환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80]
연구 및 개발 단계에 있거나, 진단용으로 사용되거나, 약물 후보 물질로 존재하는 여러 항응고제들도 있다.
- 바트록소빈(Batroxobin)
- 헤멘틴(Hementin)
- 비타민 E
- 알코올 음료
2. 1. 비타민 K 길항제 (쿠마린계 약물)
쿠마린에서 유래한 경구용 항응고제는 비타민 K 길항제로 작용한다. 이 계열의 대표적인 약물인 와파린(쿠마딘)은 대규모 다과목 의료 현장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항응고제로 알려져 있다.[81] 와파린은 항응고 효과가 나타나는 데 최소 48~72시간이 걸리므로, 즉각적인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헤파린을 병용 투여한다.이러한 항응고제는 심부 정맥 혈전증(DVT), 폐색전증(PE) 환자 치료와 심방세동(AF) 환자 및 기계식 인공 심장 판막 환자의 색전증 예방에 사용된다. 아세노쿠마롤, 페프로쿠몬, 아트로멘틴, 페닌디온 등도 비타민 K 길항제에 속한다.
쿠마린 유도체는 응고 인자 중 제II인자(프로트롬빈), 제VII인자, 제IX인자, 제X인자 합성의 보조인자인 비타민 K에 길항 작용을 하여 항응고 작용을 나타낸다.[130] 쿠마린 유도체의 효과는 투여 시작 후 48~72시간 후에 최대로 나타나므로, 즉효성을 원한다면 헤파린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응고 효과 및 출혈 위험성을 판정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프로트롬빈 시간을 측정해야 한다.
비타민 K 길항제(쿠마린계 약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와르파린
- 아세노쿠마롤
- 페닌디온
브로디파쿰과 디페나쿰은 쿠마린계 약물이지만, 살서제(특히 쥐약)로 사용되며 의학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2. 2. 헤파린 및 유도체
헤파린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맥 내 임상 항응고제이다.[82] 헤파린은 천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이다. 헤파린에는 비분획 헤파린(UFH), 저분자량 헤파린(LMWH), 초저분자량 헤파린(ULMWH)의 세 가지 주요 범주가 있다.[83]비분획 헤파린은 주로 돼지 내장과 소 폐에서 추출된다.[84] 비분획 헤파린은 효소 억제제인 항트롬빈 III(AT)에 결합하여 활성화를 유도하는 구조적 변화를 일으킨다.[85] 활성화된 AT는 X 인자, 트롬빈 및 기타 응고 인자를 불활성화시킨다.[86]
헤파린은 ''생체 내''(주사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의료 기기 내부 또는 표면에서 혈액 또는 혈장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생체 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정맥 천자에서 헤파린이 들어있는 Vacutainer 브랜드 혈액 채취 튜브는 일반적으로 녹색 뚜껑을 가지고 있다.[87]
저분자량 헤파린(LMWH)은 비분획 헤파린의 조절된 해중합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83] 저분자량 헤파린은 항Xa/항IIa 활성 비율이 더 높으며,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응고 매개변수의 모니터링이 필요 없고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유용하다.[83]
폰다파리눅스는 헤파린에서 항트롬빈에 결합하는 5개의 당(펜타사카라이드)으로 구성된 합성 당이다. 폰다파리눅스는 저분자량 헤파린보다 작은 분자이다.
- 이드라파리눅스
- 이드라비오타파리눅스
헤파린은 돼지나 소의 장에서 추출되며, 안티트롬빈 III의 활성 작용에 의해 항응고 작용을 갖는다.[132] 헤파린은 혈관 내 투여를 한다.
2. 3.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 (DOAC/NOAC)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DOACs)는 2008년 이후 도입되었으며,[88] 이전에는 "새로운/신규" 및 "비 비타민 K 길항제" 경구 항응고제(NOACs)로도 불렸다.[90] 현재 시판되는 DOACs에는 다비가트란(다비가트란), 리바록사반(리바록사반), 아픽사반(아픽사반), 에독사반(에독사반), 베트릭사반(베트릭사반)의 다섯 가지가 있다.[89]DOACs는 와파린과 비교했을 때 작용 발현이 빠르고 반감기가 짧아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기능하며, 항응고 효과를 신속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91] 와파린보다 예측 가능한 항응고 작용이 더 우수하여 일상적인 모니터링과 용량 조절의 필요성이 적다.[94] 약물 상호작용이 적고, 알려진 식이 상호작용이 없으며, 치료 지수가 넓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용량 조절이 필요 없는 고정 용량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93][94]
그러나 와파린과 달리 대부분의 DOACs에는 해독제가 없다. 다비가트란의 해독제인 이다루시주맙(이다루시주맙)은 현재 FDA 승인을 받아 사용 가능하다.[95] DOACs는 와파린보다 가격이 비싸지만, INR 모니터링이 필요 없어 검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92]
2. 3. 1. 직접 트롬빈 억제제
항응고제의 또 다른 종류는 직접 트롬빈 억제제이다.[99] 이 계열의 현재 약물에는 이가(二價) 약물인 히루딘, 레피루딘, 비발리루딘과 일가(一價) 약물인 아르가트로반, 다비가트란이 포함된다. 경구용 직접 트롬빈 억제제인 크시멜라가트란(Exanta)은 2004년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지 못했고,[100] 심각한 간 손상과 심장마비 보고 이후 2006년 2월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되었다.[101] 2010년 11월, 다비가트란은 심방세동 환자의 혈전증 예방을 위해 FDA의 승인을 받았다. 트롬빈의 경쟁적 저해 작용을 가지며, 피브리노겐의 피브린으로의 전환을 억제한다.- 다비가트란(ダビガトラン일본어) : 경구 투여. 와파린과 같은 정기적인 효과 판정이 필요 없다(반대로 효과 판정의 수단이 없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와파린과의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심방세동(비판막성) 환자의 뇌졸중·기타 색전증 발생률을 동등하게 하는 용량에서는 큰 출혈의 발생률이 낮았고, 와파린보다 뇌졸중 발생률을 저하시키는 용량에서는 큰 출혈의 발생률은 동등했다.[131]
- 알가트로반(アルガトロバン일본어) : 정맥 투여
2. 3. 2. 직접 Xa 인자 억제제
리바록사반(자렐토), 아픽사반(엘리퀴스), 에독사반(릭시아나)과 같은 약물은 Xa 인자를 직접 억제하여 작용한다. 이는 헤파린 및 폰다파리눅스가 항트롬빈 활성화를 통해 작용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이다.이 범주에는 포르톨라 제약의 베트릭사반(베빅사), 개발이 중단된 아스텔라스의 다렉사반(YM150), 다케다의 렉사반(TAK-442), 화이자의 에리박사반(PD0348292)이 포함된다.
베트릭사반은 2018년 FDA로부터 급성 의학적 질환 환자에게 사용하도록 승인된 유일한 경구용 Xa 인자 억제제였다.[96] 다렉사반 개발은 2011년 9월 중단되었는데, 이중 항혈소판 요법(DAPT)과 함께 심근 경색 재발 예방을 위한 시험에서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고 출혈 위험이 약 300% 증가했기 때문이다.[97] 렉사반 개발 역시 2011년 5월 2상 연구의 부정적인 결과에 따라 중단되었다.[98]
Xa 인자는 트롬빈 활성화를 촉진하는 인자이다. Xa 인자 억제제에는 보조인자 없이 억제하는 직접 억제제와, 보조인자로 안티트롬빈 III을 필요로 하는 간접 억제제가 있다.
- 경구 투여: 리바록사반, 에독사반, 아픽사반
- 피하 투여: 폰다파리누크스
2. 4. 기타 항응고제
연구 및 개발 단계에 있거나, 진단용으로 사용되거나, 약물 후보 물질로 존재하는 여러 항응고제들이 있다.- 바트록소빈(Batroxobin)은 뱀 독에서 추출한 독소로, 혈소판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을 응고시킨다(피브리노겐을 절단한다).
- 헤멘틴(Hementin)은 아마존 자이언트 거머리 ''Haementeria ghilianii''의 침샘에서 추출한 항응고 효소이다.
- 비타민 E
- 알코올 음료
3. 의학적 사용
항응고제는 혈액의 응고를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약물로, 헤파린, 쿠마린, 와파린 따위가 있다. 항응고제 사용 여부는 항응고 요법의 위험과 이점을 고려하여 결정된다.[14] 항응고 요법의 가장 큰 위험은 출혈 위험 증가이다.[15] 건강한 사람의 경우 출혈 위험 증가는 최소화되지만, 최근 수술을 받았거나 뇌동맥류 또는 기타 질환이 있는 경우 출혈 위험이 너무 클 수 있다.[16][17] 일반적으로 항응고제의 이점은 혈전색전증 질환의 진행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이다.[18]
항응고 요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몇 가지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 심방세동 — 일반적으로 심방 부속지 혈전을 형성한다.[19]
- 관상동맥질환[20]
- 심부정맥혈전증 — 폐색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21]
- 허혈성 뇌졸중[22]
- 고혈전증 상태 (예: V인자 라이덴 돌연변이) — 심부정맥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23]
- 인공 심장 판막[24]
- 심근경색[25]
- 폐색전증[26]
-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27]
- 심폐 바이패스(또는 일시적인 대동맥 폐쇄가 필요한 기타 수술)[28]
- 심부전[29]
이러한 경우 항응고 요법은 위험한 혈전의 형성 또는 성장을 예방한다.[30]
치료적 항응고 요법을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는 혈액 희석제 복용 중 출혈 가능성으로 인해 비침습적 사전 검사 계층화로서 여러 출혈 위험 예측 결과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5] 이러한 도구에는 HAS-BLED,[31] ATRIA,[32] HEMORR2HAGES,[33] 및 CHA2DS2-VASc가 있다.[34] 위의 위험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출혈 위험을 혈전증 위험과 비교하여 항응고 요법 시작에 대한 환자의 전반적인 이점을 공식적으로 결정해야 한다.[35]
치매가 없는 뇌 소혈관 질환 환자에게 표준 치료에 항응고 요법을 추가하는 것이 이점이 있다는 증거는 없으며, 이 질환이 있는 사람은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출혈 위험이 증가한다.[36]
4. 부작용
항응고제와 관련된 가장 심각하고 흔한 유해 반응은 경미하거나 중대한 출혈 위험이 증가하는 것이다.[37] 출혈 위험은 사용되는 항응고제의 종류, 환자의 나이 및 기존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와파린은 연간 약 15~20%의 출혈 발생률과 연간 1~3%의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률을 보인다.[38] 새로운 비비타민 K 길항제 경구 항응고제는 와파린보다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 사건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39][40] 80세 이상의 환자는 100인년당 13회의 출혈률을 보이는 등 출혈 합병증에 특히 취약할 수 있다.[41] 신장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와 NOAC 치료 환자의 경우 모든 NOAC가 어느 정도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출혈 위험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42] 따라서 신장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는 출혈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43]
암 환자의 경우, 체계적인 검토 결과 와파린은 사망률이나 혈전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44] 그러나 인구 1000명당 중대한 출혈 위험은 107명 증가하고, 경미한 출혈 위험은 167명 증가했다.[44] 아픽사반은 사망률, 혈관 내 혈전 재발 또는 중대한 또는 경미한 출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한 연구에서만 나온 것이다.[44]
비출혈성 유해 사건은 출혈성 유해 사건보다 덜 흔하지만 여전히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39] 와파린의 비출혈성 유해 사건에는 피부 괴사, 사지 괴저 및 자색 발가락 증후군이 포함된다.[45] 피부 괴사와 사지 괴저는 대부분 치료 3일에서 8일 사이에 관찰된다.[46][47] 피부 괴사와 사지 괴저의 정확한 발병 기전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와파린이 단백질 C와 단백질 S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48][49] 자색 발가락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와파린 치료 시작 후 3~8주 후에 발생한다.[50][51] 와파린의 다른 유해 반응은 비타민 K 고갈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G1a 단백질과 성장 정지 특이적 유전자 6의 억제로 이어져 동맥 석회화 및 심장 판막의 위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비타민 D가 과다하게 존재하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52][53] 와파린이 G1a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은 임신 중 와파린으로 치료받은 산모의 태아 골격 발달 이상과도 관련이 있다.[54][55] 장기간 와파린과 헤파린 사용은 골다공증과도 관련이 있다.[56][45]
헤파린 사용과 관련된 또 다른 잠재적으로 심각한 합병증은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HIT)이다.[57]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에는 면역 매개와 비면역 매개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57] 면역 매개 HIT는 대부분 헤파린 노출 후 5~10일 후에 발생한다.[58] 면역 매개 HIT의 발병 기전은 헤파린 의존성 면역글로불린 항체가 혈소판의 혈소판 인자 4/헤파린 복합체에 결합하여 광범위한 혈소판 활성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9]
하버드 대학교에 따르면, 항응고제의 부작용은 출혈 위험이 증가하는 것이다. 출혈 중에서도 특히 뇌출혈이 가장 문제가 되는데, 혈전증 환자나 고관절 치환술을 받은 사람이 어떤 충격으로 머리를 부딪히면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항응고제의 효과를 억제하는 약물이 필요하게 된다. 혈뇨, 혈변 또는 흑색변,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은 물론이고, 면도로 인한 상처의 출혈이 잘 멈추지 않거나, 코피가 잘 멈추지 않거나, 몸통에 큰 멍이 생긴 경우에도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133]
5. 약물 상호작용
항응고제는 낫토키나아제, 룸브로키나아제, 맥주, 빌베리, 샐러리, 크랜베리, 어유, 마늘, 생강, 은행나무잎추출물, 인삼, 녹차, 칠엽수, 감초, 나이아신, 양파, 파파야, 석류, 붉은토끼풀, 대두, 세인트존스워트, 울금, 밀싹, 버드나무껍질 등 혈액을 묽게 하는 효과가 있는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60][61][62] 단삼과 피버퓨 같은 한방 건강기능식품도 혈액을 묽게 하는 특성이 있다.[63]
반면, 알팔파, 아보카도, 캣츠클로, 코엔자임 Q10, 시금치와 같은 짙은 녹색 잎채소는 혈액 응고를 촉진할 수 있다.[65][66][67] 따라서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동안에는 이러한 식품의 과다 섭취를 피해야 한다.[68][69]
자몽은 일부 항응고제와 상호 작용하여 체내 대사 시간을 늘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섭취해야 한다.[70]
6. 치과 치료 시 고려사항
항응고제 치료를 받는 환자는 출혈 위험이 증가하므로, 치과 치료 시 주의가 필요하다.[102] 특히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DOACs)와 침습적 치과 치료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임상적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103] 따라서 DOACs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04]
치과 치료 전 DOACs 사용에 대한 권장 사항은 시술의 출혈 위험과 개인의 출혈 위험 및 신장 기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105] 출혈 위험이 낮은 치과 시술의 경우, 혈전색전증 위험 증가를 피하기 위해 DOACs 복용을 계속하는 것이 좋다.[106][107] 반면, 복잡한 발치 등 출혈 위험이 높은 시술의 경우, 시술 전 DOAC 복용을 일시 중단하거나 연기하는 것이 권장된다.[108]
치과의사는 환자의 구강 증상을 통해 항응고제 과다 복용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항응고제 또는 항혈소판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치과 치료는 출혈 합병증의 위험이 있으므로, 특정 지침이 필요하다.
출혈 위험 관리항응고제나 항혈소판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출혈 가능성이 낮은 치과 치료(국소 마취 주사, 기본적인 치은 차팅, 치은 위 플라크/치석 제거, 근관 치료, 틀니/크라운 인상 채취, 교정 장치 장착/조정 등)는 표준 절차에 따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출혈 가능성이 높은 치과 치료(단순 발치, 구강 내 붓기 배액, 루트 플래닝, 치은 아래 충전, 복잡한 충전, 치은 재형성, 생검 등)의 경우, 치과의사는 추가적인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127]
- 환자의 의학적 상태 및 복용 약물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일반 진료 의사 또는 전문의와 상담한다.
- 단기간 항응고제/항혈소판 요법 중인 경우, 비응급 침습적 시술은 약물 중단 후로 연기한다.
- 시술은 가능한 한 하루 중 이른 시간, 주 초에 계획하여 출혈 발생 시 대처 시간을 확보한다.
- 최대한 외상을 적게 주는 시술을 하고, 지혈 확인 후 환자를 퇴원시킨다.
- 응급 치료까지의 이동 시간이 문제인 경우, 초기 치료 시 합병증 예방 조치에 집중한다.
-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을 권장하고, NSAID(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디클로페낙, 나프록센 등)는 피하도록 한다.
- 환자에게 서면 치료 후 조언과 응급 연락처를 제공한다.
- 항응고제/항혈소판제 종류에 따른 특정 권장 사항 및 조언을 따른다.
대부분의 경우 와파린 등의 구형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클로피도그렐, 티클로피딘, 프라수그렐, 티카그렐로, 아스피린 등) 치료 요법은 치과 시술 전 변경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약물 중단/감소로 인한 혈전색전증, 뇌졸중, 심근 경색 위험이 국소 조치로 제어 가능한 출혈보다 크기 때문이다. 기존 의학적 상태나 다른 약물 복용으로 출혈 위험이 높은 경우, 치과의사는 환자의 의사와 상담하여 안전한 치료 제공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다비가트란, 리바록사반, 아픽사반, 에독사반 등의 DOACs를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대부분 항응고제 요법 변경 없이 국소 조치로 출혈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출혈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예: 다른 의학적 상태가 있거나 출혈 위험이 더 높은 광범위한 시술을 받는 환자), 환자의 의사와 상담하여 시술 후 항응고제 복용 시기를 연기하거나, 마지막 복용 후 가능한 늦게 시술하거나, 24~48시간 동안 약물 치료를 일시 중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7. 항응고 효과 역전제
경구 항응고제 사용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요 출혈 발생 및 긴급 항응고제 효과 역전 치료의 필요성으로 인해 항응고제 효과 역전제에 대한 연구가 점점 더 관심을 받고 있다.[112] 와파린의 역전제는 더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 와파린의 오랜 사용 역사와 INR(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국제표준화비율) 측정을 통한 환자의 항응고 효과 정확 측정 가능성으로 인해 역전에 대한 확립된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113]
일반적으로 비응급 상황에서 와파린의 효과를 역전시키는 데는 비타민 K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14] 그러나 응급 상황이거나 INR이 매우 높은 경우(INR >20), 신선 동결 혈장(FFP), 재조합 7a 인자, 프로트롬빈 복합제 농축액(PCC)과 같은 지혈 역전제가 효능이 입증되어 사용되었다.[115] 특히 와파린의 경우, 4인자 PCC(4F-PCC)는 INR 수치를 낮추는 데 있어 FPP에 비해 우수한 안전성 및 사망률 이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12]
DOACs에 대한 특정 해독제 및 역전제는 그렇게 광범위하게 연구되지는 않았지만, 이다루시주맙(다비가트란용)과 안덱사넷 알파(Xa 인자 억제제용)가 임상 환경에서 다양한 효능으로 사용되었다. 이다루시주맙은 2015년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단클론 항체로, 유리형 및 트롬빈 결합형 다비가트란 모두에 결합하여 다비가트란의 효과를 역전시킨다.[116][117] 안덱사넷 알파는 재조합 변형 인간 Xa 인자 유인물질로, Xa 인자 억제제의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촉매 작용을 불활성화함으로써 Xa 인자 억제제의 효과를 역전시킨다.[118][119] 안덱사넷 알파는 2018년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120] 직접 Xa 인자 억제제의 잠재적 역전제인 시라파란타그라는 또 다른 약물은 아직 연구 중이다.[121] 또한, 지혈 역전제는 DOACs의 효과를 역전시키는 데에도 다양한 효능으로 사용되었다.[122][123]
8. 연구 동향
많은 화합물들이 항응고제로 사용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 가장 유망한 것들은 접촉 활성화계(XII인자a와 XI인자a)에 작용하는데, 이는 출혈 위험 없이 혈전증을 예방하는 약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128]
2021년 11월 기준으로, 직접적인 XIa 인히비터인 밀벡시안(milvexian)은 수술 후 색전증 예방을 위한 2상 임상시험 중이다.[129]
참조
[1]
웹사이트
Overview: Anticoagulant medicines
https://www.nhs.uk/c[...]
NHS
2023-06-02
[2]
논문
Chemical and mechanical alternatives to leech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critical appraisal
https://www.thieme-c[...]
Thieme Medical Publishers
2011-10-01
[3]
논문
Detection of heparin in the salivary gland and midgut of Aedes togoi
The Korean Society for Parasitology and Tropical Medicine
2014-04-01
[4]
논문
Anticoagulant treatment for subsegmental pulmonary embolism
2020-02-07
[5]
논문
Comparison of the Novel Oral Anticoagulants Apixaban, Dabigatran, Edoxaban, and Rivaroxaban in the Initial and Long-Term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15-12-30
[6]
논문
Effectiveness and Safety of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for Atrial Fibrillation and Venous Thromboembolis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https://www.clinical[...]
2017-07-01
[7]
논문
The role of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as in vitro anticoagulant for diagnostic purposes
https://www.degruyte[...]
2007-01-01
[8]
논문
Safe anticoagulation when heart and lungs are "on vacation"
2015-05-01
[9]
논문
Warfarin: almost 60 years old and still causing problems
2006-11-01
[10]
논문
Warfarin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0-01-23
[11]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0-01-23
[12]
논문
Anticoagulation drug therapy: a review
2015-01-01
[13]
뉴스
Race Is on for the Next Blood Thinner
https://www.wsj.com/[...]
2007-12-10
[14]
논문
An Update on the "Novel" and Direct Oral Anticoagulants, and Long-Term Anticoagulant Therapy
2018-09-01
[15]
논문
Scoring Systems for Estimating the Risk of Anticoagulant-Associated Bleeding
2017-07-01
[16]
논문
The hemorrhage risk of prophylactic external ventricular drain insertion in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patients requiring endovascular aneurysm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www.minervame[...]
2017-02-01
[17]
논문
Meta-Analysis of Usefulness of Anticoagulation After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2017-11-01
[18]
웹사이트
Blood Thinners
https://medlineplus.[...]
2020-01-23
[19]
논문
Efficacy and Harms of Direct Oral Anticoagulants in the Elderly for Stroke Prevention in Atrial Fibrillation and Secondary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7-01
[20]
논문
Antithrombotic therapy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nd coronary artery disease
2019-01-01
[21]
논문
Antithrombotic Therapy for VTE Disease: CHEST Guideline and Expert Panel Report
2016-02-01
[22]
논문
Antiplatelet and Anticoagulant Therapies for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2017-05-01
[23]
논문
The use of direct oral anticoagulants in inherited thrombophilia
2017-01-01
[24]
논문
Mechanical prosthetic heart valves: Quality of anticoagulation and thromboembolic risk. The observational multicenter PLECTRUM study
2018-09-01
[25]
논문
Antiplatelet and anticoagulant use after myocardial infarction
1996-05-01
[26]
논문
Management of Pulmonary Embolism: An Update
2016-03-01
[27]
논문
Anticoagulation after coronary stenting: a systemic review
2017-09-01
[28]
논문
Anticoagulation management during cross-clamping and bypass
2016-09-01
[29]
논문
Anticoagulation Therapy and NOACs in Heart Failur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6-01-01
[30]
논문
Emerging therapeutic uses of direct-acting oral anticoagulants: An evidence-based perspective
2017-06-01
[31]
웹사이트
HAS-BLED Score for Major Bleeding risk
http://www.mdcalc.co[...]
MDCalc
2014-08-15
[32]
웹사이트
ATRIA Bleeding Risk
http://www.mdcalc.co[...]
MDCalc
2014-08-15
[33]
웹사이트
HEMORR₂HAGES Score for Major Bleeding Risk
https://www.mdcalc.c[...]
2020-01-23
[34]
웹사이트
CHA2DS2-VASc
http://www.mdcalc.co[...]
MDCalc
2014-08-15
[35]
논문
The HAS-BLED Score for Predicting Major Bleeding Risk in Anticoagulated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9-01
[36]
논문
Antithrombotic therapy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in people with small vessel disease on neuroimaging but without dementia
2022-07-13
[37]
논문
Emergency Reversal of Anticoagulation
2019-08-01
[38]
논문
Reversal of warfarin-induced hemorrh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2011-11-01
[39]
논문
Breadth of complications of long-term oral anticoagulant care
2018-11-01
[40]
논문
Safety and effectiveness of oral rivaroxaban versus standard anticoagulation for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deep-vein thrombosis (XALIA): an international, prospective, non-interventional study
2016-01-01
[41]
논문
Major hemorrhage and tolerability of warfarin in the first year of therapy among elderly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2007-05-01
[42]
논문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 use in patients with renal impairment
2017-09-01
[43]
논문
Influence of Renal Function on the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Efficacy, and Safety of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
2018-10-01
[44]
논문
Oral anticoagulation in people with cancer who have no therapeutic or prophylactic indication for anticoagulation
2017-12-29
[45]
논문
Oral anticoagulant therapy: Antithrombotic Therapy and Prevention of Thrombosis, 9th ed: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2-02-01
[46]
논문
Local haemorrhage and necrosis of the skin and underlying tissues, during anti-coagulant therapy with dicumarol or dicumacyl
1954-04-24
[47]
논문
Warfarin necrosis of the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of the male external genitalia
1983-08-01
[48]
논문
Protein C and the development of skin necrosis during anticoagulant therapy
1983-06-01
[49]
논문
Necrosis of skin induced by coumarin in a patient deficient in protein S
1989-01-01
[50]
논문
Purple toes syndrome associated with warfarin therapy in a patient with antiphospholipid syndrome
2003-05-01
[51]
논문
Purple toe syndrome following anticoagulant therapy
2001-09-01
[52]
논문
Vitamin K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steoporosis and arterial calcification
http://www.scicompdf[...]
2005-08-01
[53]
논문
Vitamin K-dependent proteins, warfarin, and vascular calcification
2008-09-01
[54]
논문
Congenital malformations associat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oral anticoagulants during pregnancy
1975-03-01
[55]
논문
Maternal and fetal sequelae of anticoagulation during pregnancy
1980-01-01
[56]
논문
Risk of osteoporot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taking warfarin: results from the National Registry of Atrial Fibrillation 2
2006-01-01
[57]
논문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2006-08-01
[58]
논문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8th Edition)
2008-06-01
[59]
논문
Systematic review of fondaparinux for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When there are n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8-10-01
[60]
논문
Drug interactions update: drugs, herbs, and oral anticoagulation
2001-09-01
[61]
논문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and Pharmacokinetic Characterization of Ginkgo Lactone Nanosuspensions for Antiplatelet Aggregation
2016-01-01
[62]
논문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and its mixed prescription on the high molecular weight dextran-induced blood stasis in rats and human platelet aggregation
2001-10-01
[63]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interactions of herbal medicine with warfarin
2017-08-10
[64]
논문
Multivitamin Supplements May Affect Warfarin Anticoagulation in Susceptible Patients
2003-11-01
[65]
논문
Clinically Important Drug Interactions with Anticoagulants: An Update
1996-06-01
[66]
논문
Vegetables intake and venous thromboembolism: a systematic review
2016-04-01
[67]
웹사이트
Avocado: Health Benefits, Uses, Side Effects, Dosage & Interactions
https://www.rxlist.c[...]
2020-01-23
[68]
논문
Effect of Vitamin K Intake on the Stability of Treatment with Vitamin K Antagonis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16-05-27
[69]
웹사이트
Warfarin Uses, Dosage, Side Effects
https://www.drugs.co[...]
2020-01-23
[70]
논문
Grapefruit juice and the response to warfarin
1998-08-01
[71]
논문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2016-12-01
[72]
논문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pixaban in the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2020-01-23
[73]
간행물
Ambulation after deep vein thrombosis: a systematic review
http://www.choosingw[...]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2009-01-01
[74]
논문
Old and new oral anticoagulants: Food, herbal medicines and drug interactions
2017-07-01
[75]
논문
Use of direct oral anticoagulants in daily practice
2018-12-01
[76]
논문
Why switch from warfarin to NOACs?
2016-04-01
[77]
논문
Non-vitamin-K oral anticoagulants (NOACs) for the prevention of secondary stroke
2018-09-22
[78]
논문
NOACs Now Mainstream for the Use of Anticoagulation in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in Australia
2019-04-01
[79]
논문
Anticoagulation in atrial fibrillation: NOAC's the word
2013-08-01
[80]
논문
Orale Antikoagulation bei chronischer Nierenerkrankung und Vorhofflimmern
2018-04-27
[81]
논문
Prescribing Patterns of Novel Anticoagulants Within a Statewide Multispecialty Practice
https://www.pharmacy[...]
2016-06-21
[82]
논문
2003 Claude S. Hudson Award address in carbohydrate chemistry. Heparin: structure and activity
2003-06-01
[83]
논문
Heparin and anticoagulation
2016-06-01
[84]
논문
Re-visiting the structure of heparin
2015-02-01
[85]
논문
Preparation, separation, and conformational analysis of differentially sulfated heparin octasaccharide isomers using ion mobility mass spectrometry
2012-03-01
[86]
논문
Antithrombin III for critically ill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and trial sequential analysis
2016-04-01
[87]
논문
False lithium toxicity secondary to lithium heparin test tube: A case report and review
2020-05-01
[88]
논문
Human medicines European public assessment report (EPAR): Pradaxa, dabigatran etexilate, Arthroplasty, Replacement,Venous Thromboembolism, Date of authorisation: 17/03/2008, Revision: 29, Status: Authorised
2019-07-16
[89]
논문
Laboratory testing in patients treated with direct oral anticoagulants: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https://lirias.kuleu[...]
2018-02-01
[90]
논문
The Reversal of Bleeding Caused by New Oral Anticoagulants (NOAC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9-01
[91]
웹사이트
Management of Dental Patients Taking Anticoagulants or Antiplatelet Drugs
http://www.sdcep.org[...]
Scottish Dental Clinical Effectiveness Programme
2015-08-01
[92]
논문
Direct Oral Anticoagulant Use: A Practical Guide to Common Clinical Challenges
2020-06-15
[93]
웹사이트
Novel anticoagulants
https://www.bhf.org.[...]
British Heart Foundation
[94]
논문
Role of the anticoagulant monitoring service in 2018: beyond warfarin
2018-11-01
[95]
논문
Real-World Adherence and Persistence to Direct Oral Anticoagulant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1-01
[96]
논문
Overview of betrixaban and its role in clinical practice
2018-08-01
[97]
논문
RUBY-1: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the safety and tolerability of the novel oral factor Xa inhibitor darexaban (YM150) following acute coronary syndrome
2011-10-01
[98]
웹사이트
First Time European Approval for Xarelto in ACS
http://decisionresou[...]
Decision Resources
2013-05-01
[99]
논문
Direct thrombin inhibitors
https://pure.uva.nl/[...]
2005-09-01
[100]
웹사이트
Exanta
http://www.fvleiden.[...]
The Thrombophilia Awareness Project
[101]
웹사이트
Exanta™ (ximelagatran) Study report summaries
http://www.astrazene[...]
[102]
논문
World workshop on oral medicine VII: Direct anticoagulant agents management for invasive oral procedur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6-01
[103]
논문
Postoperative bleeding risk of direct oral anticoagulants after oral surgery procedur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7-01
[104]
논문
Managing patients taking novel oral anticoagulants (NOAs) in dentistry: a discussion paper on clinical implications
2016-01-01
[105]
논문
The dental patient on oral anticoagulant medication: a literature review
2011-08-01
[106]
저널
Management recommendations for invasive dental treatment in patients using oral antithrombotic medication, including novel oral anticoagulants
2013-12-01
[107]
저널
Post-operative Bleeding Risk in Dental Surgery for Patients on Oral Anticoagulant Therapy: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17-02-08
[108]
웹사이트
Management of Dental Patients Taking Anticoagulants or Antiplatelet Drugs: Dental Clinical Guidance
https://www.sdcep.or[...]
2020-01-09
[109]
웹사이트
Thrombate III label
http://www.talecris-[...]
[110]
웹사이트
Fractionated Plasma Products - ATryn
https://www.fda.gov/[...]
2019-04-24
[111]
웹사이트
Antithrombin (Recombinant) US Package Insert ATryn for Injection February 3, 2009
https://www.fda.gov/[...]
[112]
저널
Current evidence of oral anticoagulant reversal: A systematic review
2018-02-01
[113]
저널
Warfarin reversal
2004-11-01
[114]
저널
Emergency oral anticoagulant reversal: the relative efficacy of infusions of fresh frozen plasma and clotting factor concentrate on correction of the coagulopathy
1997-03-01
[115]
저널
Prothrombin complex concentrates versus fresh frozen plasma for warfarin reversa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9-01
[116]
저널
Dabigatran etixilate and traumatic brain injury: Evolving anticoagulants require evolving care plans
2014-01-01
[117]
저널
Dabigatran etexilate – a novel, reversible, oral direct thrombin inhibitor: Interpretation of coagulation assays and reversal of anticoagulant activity
2010-01-01
[118]
저널
Andexanet Alfa for the Reversal of Factor Xa Inhibitor Activity
2015-12-17
[119]
저널
Andexanet Alfa for Acute Major Bleeding Associated with Factor Xa Inhibitors
2016-09-22
[120]
웹사이트
Andexanet Alfa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0-01-23
[121]
저널
Single-dose ciraparantag safely and completely reverses anticoagulant effects of edoxaban
2017-02-01
[122]
저널
Reversal of Rivaroxaban and Dabigatran by Prothrombin Complex Concentrat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Study in Healthy Subjects
2011-10-04
[123]
저널
Effect of non-specific reversal agents on anticoagulant activity of dabigatran and rivaroxaban: A randomised crossover ex vivo study in healthy volunteers
2012-01-01
[124]
웹사이트
Bethesda unit
http://www.biology-o[...]
2009-02-14
[125]
서적
Handbook of Hematologic Pathology
Informa Health Care
[126]
저널
The shift from fluoride/oxalate to acid citrate/fluoride blood collection tubes for glucose testing — The impact upon patient results
2014-05-01
[127]
웹사이트
Management of Dental Patients Taking Anticoagulants or Antiplatelet Drugs – New guidance from SDCEP Scottish Dental
https://www.scottish[...]
2020-02-20
[128]
저널
New Anticoagulants: Moving Beyond the Direct Oral Anticoagulants
2020-10-12
[129]
저널
Milvexian for the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2021-11-01
[130]
문서
2006-01-01
[131]
문서
2009-01-01
[132]
문서
2002-01-01
[133]
웹사이트
Bleeding problems: Know your risk
https://www.health.h[...]
2022-10-01
[134]
저널
Drug interactions update: drugs, herbs, and oral anticoagulation
2001-09-01
[135]
저널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and Pharmacokinetic Characterization of Ginkgo Lactone Nanosuspensions for Antiplatelet Aggregation
2016-01-01
[136]
저널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and its mixed prescription on the high molecular weight dextran-induced blood stasis in rats and human platelet aggregation
2001-10-01
[137]
웹인용
Anticoagulant medicines
https://www.nhs.uk/c[...]
2020-01-23
[138]
저널
Chemical and mechanical alternatives to leech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critical appraisal
2011-10-01
[139]
저널
Detection of heparin in the salivary gland and midgut of Aedes togoi
2014-04-01
[140]
저널
Anticoagulant treatment for subsegmental pulmonary embolism
2020-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