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의 대물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난의 대물림은 경제적, 사회문화적, 구조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여러 세대에 걸쳐 빈곤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경제적 요인으로는 낮은 생산성, 높은 실업률, 개인 사업 실패, 의료비 증가 등이 있으며, 사회문화적 요인으로는 낮은 교육 수준, 학업 성취에 대한 낮은 기대 등이 영향을 미친다. 구조적 요인으로는 교육 기회의 불평등, 산업 구조의 변화 등이 작용하며, 그 외에도 재난, 질병, 약물 남용 등 다양한 요인들이 빈곤을 심화시킨다. 특히, 일본에서는 생활 보호 세대, 한부모 가정, 외국인 가정을 중심으로 빈곤이 대물림되는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저학력, 학대, 범죄, 정신 질환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들은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2세대 빈곤 완화 접근 방식을 통해 부모와 자녀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원 낭비 - 고용 차별
고용 차별은 인종, 성별, 장애, 종교 등을 이유로 동일 자격자를 다르게 대우하는 것으로, 노동 시장의 불평등을 야기하며, 다양한 증거와 이론으로 설명되고, 정부와 고용주는 차별 해소를 위해 노력하며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 자원 낭비 - 에너지 위기
- 개발경제학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개발경제학 - 생산성
생산성은 생산 과정에서 투입된 자원 대비 산출된 결과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 생산성, 자본 생산성, 총요소 생산성 등으로 측정되며, 기술 혁신, 인적 자본 개발 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 도심 황폐화 -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으로, 1982년 제시되었으며, 뉴욕시 치안 정책에 반영되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했으나, 과잉 단속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도심 황폐화 - 슬럼
슬럼은 열악한 주거 환경과 빈곤이 연관된 밀집 주거 지역으로, 낮은 주택 품질, 부족한 기반 시설, 불안정한 토지 소유권 등의 특징을 가지며, 사회 문제들을 야기하여 다양한 해결 전략이 제시되지만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 없이는 해결이 어렵다.
가난의 대물림 | |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빈곤의 쳇바퀴 |
원인 | |
교육 부족 | 교육 수준이 낮으면 양질의 직업을 얻기 어렵다. |
열악한 의료 서비스 | 의료 서비스 부족은 생산성을 저해하고 생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 |
금융 서비스 부족 | 은행 계좌 및 대출과 같은 금융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하면 자산을 축적하고 기업을 시작하기가 어려워진다. |
차별 | 인종, 민족 또는 성별에 따른 차별은 기회를 제한하고 빈곤을 영속화시킨다. |
사회적 고립 |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가 부족하면 개인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어렵다. |
불충분한 인프라 | 도로, 다리 및 통신 시스템과 같은 인프라가 부족하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된다. |
결과 | |
건강 불량 | 빈곤은 건강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생산성을 저해하고 빈곤을 악화시킨다. |
범죄 | 빈곤은 범죄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빈곤을 악화시키고 지역 사회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
정치적 불안정 | 빈곤은 정치적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빈곤을 악화시키고 지역 사회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
해결책 | |
교육 | 교육은 빈곤에서 벗어나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이다. |
의료 서비스 |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면 생산성이 향상되고 빈곤이 감소한다. |
금융 서비스 | 금융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면 개인이 자산을 축적하고 기업을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차별 철폐 | 차별 철폐는 모든 사람이 성공할 수 있는 공평한 경쟁의 장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
사회적 지원 |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는 개인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인프라 개선 | 인프라 개선은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
2. 원인
2. 1. 경제적 요인
경제적 요인은 빈곤을 측정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낮은 국민 총생산이나 생산성, 높은 실업률, 사회 이동의 제한, 경기후퇴, 기후 변화, 각종 재난, 유행병, 기아, 인위적인 재해 등은 빈곤을 야기하는 요인들이다.[6] 또한, 개인 사업 실패, 건강 이상으로 인한 장애 발생 또는 의료비 증가, 가족 구성원의 사망, 계획하지 않은 임신, 저축 부족 또는 빚, 이혼이나 별거, 자동차 사고, 감금 등도 개인을 빈곤하게 만들 수 있다.[6]가난한 사람들은 특정한 행동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가난을 벗어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거지를 확보하기 위해 값비싼 호텔이나 모텔을 이용하거나, 가정에서 요리하는 대신 외식으로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거나, 식품 사막에서 비싼 가격으로 물건을 구입하는 경우가 있다.[7] 은행 계좌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 금액이 부족하여 수수료를 지불하거나, 신용카드 연체로 이자 및 수수료를 부담하는 것도 빈곤을 심화시키는 요인이다.[7][8] 가구나 전기제품을 구입하지 못하고 렌트하여 사용하는 것, 대중교통 대신 불필요한 차를 구입하는 것, 의료 보험 없이 병원 치료에 목돈을 지불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9]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2012년 빈곤 속에 살고 있는 18세에서 64세 사이의 사람들 중 31%는 질병 또는 장애 때문에, 26%는 가정 또는 가족 문제 때문에, 21%는 학교 또는 기타 이유로, 13%는 일자리를 찾을 수 없어서, 8%는 조기 은퇴 때문에 일을 하지 않았다.[6]
최소 일일 잔고를 유지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은행에서 수수료를 부과받는 반면, 더 많은 재산을 가진 사람들은 저축에 대한 이자를 받고 투자로 수익을 올릴 수 있다.[8] 무(無)계좌자는 급여 지급을 위해 더 비싼 대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며, 다른 사람에게 송금하기 위해 우편환을 사용해야 한다.[8] 은행 계좌를 개설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는 은행에 대한 불신, 은행 오류 또는 지연으로 인한 지불 문제, 은행 작동 방식에 대한 이해 부족, 무료 계좌 개설 자금 부족 등이 있다.[8]
대부분의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무상 보편적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미국과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저축이 적은 사람들이 비싼 의료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9] 이로 인해 작은 질병이 심각한 상태로 발전하여 더 많은 치료비와 임금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9] 고소득 근로자는 의료 보험을 통해 예방 치료를 받고 병가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9]
기술이나 경험이 필요하지 않은 빈곤층의 일부 사람들은 의료 연구에 자원하거나 혈장 공여를 통해 돈을 벌기도 한다.[10] 개인의 재정에 대한 걱정은 생산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인도 공장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작업 기간 초기에 임금을 지급하자 평균 노동자 생산량이 6.2% 증가했다.[18]
사회학자 윌리엄 줄리어스 윌슨은 경제 구조 조정으로 인한 도시 내부의 높은 실업률과 기술-일자리 간의 "불일치"가 빈곤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했다.[29] 아버지의 연령별 자녀의 빈곤율은 U자형을 보이며, 20대 초반과 60대의 아버지[부]가 있는 가정에서 높게 나타난다.[191] 10대의 임신·출산 경험, 고등학교 중퇴 경험[112]과 한부모가 되는 것[198]은 빈곤 위험을 증가시킨다. 윌리엄 줄리어스 윌슨은 흑인 남성의 높은 실업률이 빈곤한 흑인 여성들 사이에서 미혼모가 증가하는 것과 가장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192]
2. 2. 사회문화적 요인
고소득 직업을 얻기 위해 필요한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11]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문화,[15] 학문적 성취나 경제적 성공에 대한 낮은 기대[16] 등은 가난의 대물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고등학교 졸업, 정규직 취업, 21세까지 결혼 및 출산 연기라는 세 가지 단계를 모두 따르는 사람들의 빈곤율은 2%에 불과했지만, 이 단계를 전혀 따르지 않는 사람들의 빈곤율은 76%에 달했다.[19][20]유아기 역경, 기본적인 욕구 충족의 어려움, 학대와 방임 등은 세대 간 빈곤의 주요 원인이다.[21] 이러한 요인들은 성인이 된 후의 전반적인 건강과 고용 상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2] 특히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뇌 발달에 영향을 주어 스트레스 반응 조절, 주의력, 기억력, 계획 및 새로운 기술 학습과 같은 중요한 기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21][24][25] 작업 기억 능력 또한 빈곤 환경에서 자란 아동에게서 더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26]
가구 소득 결정 요인의 변화를 분석한 2002년 연구에서는 부모의 교육 수준, 직업, 소득, 혼인 상태, 가족 규모, 거주 지역, 인종, 민족 등이 자녀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7] 또 다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의 상당수가 저소득층 성인이 되며, 노동 시장에서 고숙련 및 고학력 개인에게 돌아가는 보상과 자녀의 기술 및 자격 획득 기회가 세대 간 소득 이동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28]
이와테현의 어촌에서는 빈곤과 교육 문제로 지역 출신 교사의 충족률이 낮고, 지역 특유의 가치관 때문에 중학교 교육이 어려움을 겪는 "교육의 악순환"이 발생하기도 한다.[194] 2012년 후생노동백서는 가정의 경제 상황이 자녀의 학력 및 고용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었다.[16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PISA) 결과 분석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90년대 후반 이후 실업 및 도산 증가로 인해 잠재적 능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인 학생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96]
생활보호 수급 가정의 경우, 일반 가정에 비해 고등학교 진학률이 낮고,[197] 은둔형 외톨이나 등교 거부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201][202] 오키나와현의 조사에서는 생활보호 이용 세대의 등교 거부 경향이 있는 학생 비율이 그렇지 않은 세대의 약 5배에 달했다.[204]
2. 3. 구조적 요인
가난의 대물림은 체계적이고 제도화된 구조적 문제와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11] 도널드 커티스(2006년)는 영국의 복지 시스템이 응집력이 부족하고 역량 강화 도구로 설계되지 않아 빈곤 탈출을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12] 그는 외부 기관에 대한 감독 부재로 인해 예산 낭비와 빈곤층의 시스템 고갈 비난이라는 악순환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12]미국에서는 교육이 가난의 고리를 끊는 방법으로 여겨져 왔지만, 저소득층 자녀들은 불리한 입장에 놓여 있다. 학업 성취도 격차는 학교 구조에서 비롯되는데, 반 편성(교육)과 같은 제도는 학생들을 능력별로 나누어 학습 기회의 불평등을 초래한다.[38] 이는 특히 라틴계나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여 가난의 대물림을 심화시킨다.[39]
사회학자 윌리엄 줄리어스 윌슨은 산업 구조의 전환으로 인한 도시 주민들의 만성적인 실업과 기술 불일치가 빈곤의 주요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메리 코코란 등은 게토에 거주하는 언더클래스 도시 주민의 빈곤을 인종적, 계급적 불평등의 징표로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10대 여성의 임신은 빈곤한 여성 세대주 가족과 관련이 깊으며, 흑인 남성의 높은 실업률은 흑인 여성의 미혼율 증가와 미혼모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192]
2. 4. 기타 요인
경기후퇴, 기후 변화, 전쟁, 허리케인, 가뭄, 지진 등 각종 재난, 유행병, 기아, 인위적인 재해는 가난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실업, 사업 실패, 건강 이상으로 인한 장애 발생 또는 의료비 증가, 가족 구성원의 사망, 계획에 없던 임신, 저축 부족 또는 빚, 이혼이나 별거로 인한 별거 수당, 자동차 사고, 감금 등도 가난을 초래할 수 있다.가난한 사람들은 주거, 음식, 은행, 빚, 대금 미지불, 가구, 교통, 의료 비용 등 여러 면에서 불리한 상황에 놓여 가난이 지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거지를 확보하기 위해 비싼 호텔이나 모텔을 이용하거나, 가정에서 음식을 요리하는 대신 외식을 통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거나, 식품 사막에 거주하여 비싼 가격으로 물건을 구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은행 계좌 유지 최소 금액 이하로 인해 수수료를 지불하거나, 신용카드 연체로 이자 및 수수료를 지불하는 경우도 빈곤의 악순환을 야기한다.
가난의 지속적인 경험은 체계적이거나 제도화되어 있거나, 개인이 역사적 경험에 의해 유발된 정서적 어려움으로 인해 잘못된 판단을 하거나, 개인이 정신 질환을 앓는 경우, 또는 이 세 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발생한다.(Bertrand, Mullainathan, & Shafir, 2004[11]). 질 서티(Jill Suttie, 2018)는 암묵적 편견이 비언어적으로 아이들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학습된 행동이라고 언급했다.[13] 비판적 사고 능력은 암묵적 편견을 막을 수 있지만, 교육과 훈련이 없으면 습관적인 사고가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다.
다트머스 대학교(2016년) 연구에 따르면, 확률적 의사 결정은 실패에 대한 사전 지식을 따른다고 보고했다.[14] 사람들은 성공을 선택하기보다는 실패가 이미 일어난 것처럼 반응하며, 세대 간 빈곤을 경험한 사람들이 이러한 학습된 행동에 가장 취약하다(Wagmiller & Adelman, 2009).[15]
Rudnick 등(2014)은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빈곤층을 연구한 결과, 참여자들은 웰빙 관리, 영양, 주거, 일자리가 심각하게 부족하다고 느꼈다고 결론 내렸다.[17] 응답자들은 가장 심각한 문제는 양질의 서비스 접근성이며, 관료주의적 시스템은 논리가 결여된 것처럼 보였고, 제공자들의 치료는 종종 비협조적이었다고 주장했다(Rudnick 등, 2014).[17]
유아기 역경, 기본적인 필요의 스트레스, 학대와 방임 등은 세대 간 빈곤의 주요 원인이다. 연구에 따르면 아동 학대의 트라우마는 성인기 삶의 전반적인 건강과 고용 상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1] 빈곤 가구의 모든 구성원은 기본적인 필요 스트레스의 고통을 겪으며 그 영향을 받고, 보육 시설을 확보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능력 또한 빈곤층이 직업을 구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요인이다.[23] 이러한 스트레스는 신체의 건강과 발달에 치명적이며,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뇌의 구조가 변화하여 스트레스 반응 조절, 주의력, 기억력, 계획 및 새로운 기술 학습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1][24][25]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건강에 해로우며 뇌를 포함한 기억력과 장기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작업 기억은 빈곤 환경에서 자란 아동이 중산층 환경에서 자란 아동보다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2004년 뉴질랜드의 연구[35][36]는 "삶의 충격"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견딜 수 있으며, 그 이후에는 사람들이 궁핍에 빠질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평생 동안 7가지 이하의 부정적인 사건을 겪은 사람들의 생활 수준에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8가지 이상의 삶의 충격을 겪은 사람들은 빈곤하게 살 가능성이 훨씬 더 컸다. 연구된 삶의 충격 중 일부는 결혼 파탄, 미혼모, 계획에 없던 임신과 출산, 파산, 상당한 재정적 손실, 해고, 실업, 예상치 못한 소득 감소, 주택 강제 매각, 퇴거, 주택의 심각한 피해, 주택 침입, 폭력의 피해자, 투옥, 질병, 심각한 부상 또는 건강 문제 등이다.
3. 일본의 빈곤 대물림
대물림되는 가난은 여러 세대를 거쳐서 가난이 대물림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부모의 사회적 단절로 인한 네트워킹 부재, 낮은 교육 수준으로 인한 인지 발달 저해, 잘못된 재정 관리, 약물 남용, 열악한 환경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한다.[77]
=== 생활 보호와 빈곤의 연쇄 ===
후생노동성은 2011년 7월 "생활 지원 전략 중간 정리"에서 빈곤의 연쇄를 방지하고, 생활 곤궁 세대의 차세대 지원과 교정 시설 퇴소자의 지역 사회 복귀를 지원하여 안심·안전한 사회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77] 생활 보호 세대의 40%가 출신 세대에서도 생활 보호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78] 특히 모자 가정의 경우 그 비율이 3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빈곤의 연쇄가 확인되고 있다.[79]
후쿠오카현 타가와 지역 조사에서는 부모와 자식, 형제자매 등 친족 간의 수급 연쇄도 47.8%에 달하며, 쇼와 40년대 출생 이후 세대에서는 약 57%로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79] 이는 빈곤의 연쇄가 세대 간뿐만 아니라 친족 간에도 확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복지 현장에서는 3세대, 4세대 생활 보호 수급 세대가 나타나고 있으며,[80] 전국 모자 과부 복지 단체 협의회 이사는 생활 보호의 대물림 현상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81] 빈곤 세대의 성 행동은 활발하며, 이른 시기에 시작되는 성관계, 불특정 다수와의 성교, 피임 부족 등으로 인해 성병 문제나 10대 출산으로 이어지기도 한다.[82] 영국 정부의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10대 임신이 많은 지역은 대부분 빈곤 지역으로 나타났다.[83]
미국의 조사에서는 독립적인 여성 세대주 가족에서 성장한 젊은 여성이 미혼모가 될 가능성이 더 높았으며,[84] 도쿄도 마치다시 조사에서는 10대 청소년의 출산이 모자 가정의 자녀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85] 아라카와구의 분석에서는 젊은 출산의 경우, 그 부모도 젊은 출산인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85] 생활 보호 모자 세대는 중졸, 고등학교 중퇴 후 사별이나 이혼을 겪는 경우가 많고, 이후 비혼 상태로 출산하는 혼외자의 출현율이 25.7%로 높게 나타났다.[86][87]
생활 보호 수급자 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90] 2011년에는 임산부 가산 수급자가 10년 전에 비해 3배, 산부 가산 수급자는 2배로 증가했다.[91] 매년 약 2천 명의 아이가 생활 보호 2세로 출생하고 있어 빈곤의 연쇄를 방지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생활 보호 수급자는 아동 복지법을 이용하여 거의 무상으로 출산하지만,[92] 그 출산 수는 공표되지 않아 가산 수에서 추정할 수밖에 없다. 2011년 피보호자 전국 일제 조사에 따르면, 생활 보호를 받는 0~17세 아동은 285,624명이다.[93]
=== 한부모 가정의 빈곤 ===
일본에서는 2000년대 중반 OECD 가맹국 중 아동 빈곤율이 30개국 중 12위로 높은 편이었다.[94] 특히, 일하는 한부모 가정의 상대적 빈곤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으며,[95] 2003년 이후 한부모 가정의 빈곤율은 감소했지만 아동 빈곤율은 오히려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96] 이는 사회 보험료 및 세금 부담이 커서 소득 재분배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97]
일본의 한부모 가정 빈곤율은 일하는 세대(58%)와 일하지 않는 세대(60%)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95] 이는 세금 등에 의한 소득 재분배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98][99] 생활 보호 수준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기 때문일 수 있다.[100][101] 아동 수당 수급자는 100만 명을 돌파했으며,[104] 미혼모의 딸이 다시 미혼모가 되어 아동 수당을 받는 등 빈곤의 대물림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105]
모자 세대는 두 부모 세대에 비해 학력이 낮고, 특히 중졸 비율이 높아 취업 및 정규직 고용에 어려움을 겪는다.[106] 생활 보호를 받는 모자 세대는 증가 추세이며,[107] 이들은 정규직 취업을 희망하는 비율이 낮고, 생활 보호 기간이 길어질수록 어머니가 생활 보호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진다.[107] 어머니가 자영업을 하는 경우 빈곤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 적절한 취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108]
미국과 영국에서는 양육비 지급 의무를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지만,[109][110] 일본에서는 양육비 미지급 문제가 심각하며, 이는 복지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109] 생활보호 모자 가정에서 어머니가 정신 질환을 앓거나, 부자 가정에서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으로 생활비를 탕진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114]
모자 세대의 빈곤은 이혼이나 미혼모 가정에서 아버지로부터의 양육비 지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므로,[247] 양육비 징수를 강화하고 경제적 자립을 지원해야 한다.[247] 그러나 양육비 미신고에 따른 아동 수당 부정 수급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248]
소재 불명 아동 문제는 행정 서비스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생활보호 및 아동 수당 부정 수급과 연관되기도 한다.[251][254] 오사카시 니시구에서는 이혼한 어머니가 유아를 방치하여 굶어 죽게 한 사건이 발생했는데,[252] 이는 학대의 연쇄와도 관련이 있었다.[253] 도쿄도 아다치구에서는 사망한 차남의 아동 수당을 부정 수급한 사건도 있었다.[255]
단신 여성의 빈곤 문제도 심각하며,[259][260] 생활보호 기준액이 저소득 모자 가정보다 높은 경우도 있어 근로 의욕을 저해할 수 있다.[261][262] 생활보호 모자 세대의 상당수가 정신 질환을 앓고 있어 취업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263][264]
일부 지자체에서는 생활보호 모자 가정의 취업을 지원하여 경제적 자립을 돕고 있다.[265][266] 조기 취업 지원이 빈곤 탈출에 효과적이며,[268] 자립에 성공한 세대는 수급 기간이 짧고, 학력 및 자격증 소지, 한부모 가정 등의 특징을 보였다.[269]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자녀의 질병으로 인한 결근이 해고로 이어질 수 있어 병간호 지원이 필요하다.[270][271][272]
=== 빈곤과 학대 ===
대물림되는 가난은 여러 세대를 거쳐서 가난이 대물림되는 현상이다. 부모의 사회적 단절로 인한 네트워킹 부재, 낮은 교육 수준으로 인한 인지 발달 저해, 잘못된 재정 관리, 약물 남용, 열악한 주거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115]
경제 상황과 학대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학대로 인해 아동보호시설에 입소한 아동의 가정 환경을 조사한 결과, 부모의 정신 장애, 한부모 가정, 생활 보호 가정이 상당수를 차지했다.[115] 후생노동성 연구에 따르면, 학대 사례에서 장애 아동 및 양육자 본인이 장애를 가진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116] 특히 가족 구성원 내에 장애 아동 또는 장애인이 없는 경우는 매우 적었다.[116]
중증 학대 보호 케이스 중 상당수가 생활 보호 세대이며, 특히 한부모 가정의 생활 보호율이 높았다.[117] 한부모 가정에서는 방임이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117] 도쿄도 학대 분석 결과, 한부모 가정에서 경제적 어려움, 고립, 불안정한 취업 상태가 학대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118]
아동 학대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반응성 애착 장애는 발달 장애와 유사한 임상상을 보이며, 뇌의 기질적, 기능적 이상을 초래하여 발달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123] 학대 가정의 아버지가 정신 질환이나 성격 문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어머니가 지적 장애를 가진 경우도 지적된다.[124]
생활 보호 수급과 관련된 여러 학대 사례가 보고되었다.
- 사이타마현 아사카시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모자 가정에서 어머니와 교제 상대가 5세 아들을 학대하여 사망하게 한 사건이 발생했다.[126]
- 도마코마이시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모자 가정의 어머니가 두 자녀를 1개월간 방치하여 1세 아이가 사망하고 3세 아이는 생존한 사건이 있었다.[127][128]
- 아키타현 후지사토정에서는 생활보호 모자 가정의 어머니가 딸(9세)을 살해하고 이웃 남자아이(7세)도 교살한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 이전에 육아 방임이 인지되었지만, 학교, 정, 아동 주임은 위험성을 낮게 판단했다.[80]
- 와라비시에서는 생활 보호 세대에서 4세 아동이 학대로 사망했다.[129]
- 오쓰시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모자 가정의 어머니가 채팅에 빠져 1세 7개월 아이의 폐렴을 방치하여 사망하게 한 사건이 발생했다.[130]
- 도쿄도 고토구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부자 가정의 아버지가 5세 아들을 폭행하여 사망하게 했다.[132]
-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에서는 3세 여자아이가 교제 상대 남성과 친모의 학대로 사망했다. 친모는 생활 보호와 아동 부양 수당을 받고 있었지만, 교제 남성과 동거하며 폭행, 물고문, 끈으로 묶어 매다는 등 학대를 가했다.[133]
- 도쿄도 가쓰시카구에서는 2세 아동이 폭행으로 사망하여 아버지가 체포되었다. 양친은 생활 보호를 받고 있었으며, 다른 남성과의 아이는 아동 보호 시설이나 친척 집에 맡겨져 있었다.[134][135]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서는 2대 이상에 걸친 모자 동거 생활 보호 세대에서 20세 어머니가 1세 8개월 아이를 학대하여 사망하게 했다.[136]
- 아다치구에서는 행방불명된 남자아이를 학대하고 사망시킨 혐의로 부모가 체포되었다. 이들은 3세 아들을 토끼 우리에 감금하고 폭행하여 질식사시킨 뒤 시체를 유기했다. 또한, 아동 수당과 생활 보호비를 부정 수급한 혐의도 받았다.[137]
- 오사카부 카도마시에서는 22세 언니가 교제 상대와 함께 17세 여동생을 학대하여 사망하게 했다. 언니는 여동생의 수입 신고를 하지 않고 보호비를 부정 수급했다.[138]
생활 보호 수급 세대의 중학교 졸업 미취업 형제자매가 취업·취학하지 않고 세대 분리되어 폭력단의 예비군이 되거나 가족의 보호비를 의존하는 경우도 보고된다.[139]
=== 저학력의 계승 ===
가난의 대물림은 여러 세대를 거쳐서 가난이 이어지는 현상으로, 부모의 학력 및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부모가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하면 자녀에게 적절한 인지 발달을 제공하기 어렵고,[30] 이는 자녀의 학업 성취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사회적 고립은 자녀에게 필요한 사회적 자본 형성을 방해하며, 경제적 어려움은 자녀의 고등 교육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30]
미국에서는 교육이 가난의 고리를 끊는 방법으로 여겨져 왔지만, 현실에서는 저소득층 자녀들이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다. 연구에 따르면, 학업 성취도 격차는 학교 구조에서 비롯되며, 특히 반 편성은 학생들의 학습 기회를 감소시키고 사회 계급을 분리하여 가난하고 소수 민족인 어린이들을 2류 교육을 받는 낮은 반에 배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38][39]
일본의 경우, 사카이시의 생활 보호 수급자 조사에서 세대주의 상당수가 중학교 졸업 또는 고등학교 중퇴 학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모자 세대의 고등학교 중퇴율이 높았다.[140] 구시로시 조사에서도 생활 보호 모자 세대 어머니의 3명 중 1명이 중졸 학력이었고, 그 부모 역시 중졸 학력인 경우가 많아 저학력의 계승이 확인되었다.[141] 가나가와현의 조사에서도 생활 보호 자녀 동반 세대 부모(양육자)의 학력 수준이 낮았으며, 고등학교 및 대학 중퇴자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142] 이러한 저학력은 니트로 이어지기 쉽고[143], 취업에도 불리하게 작용하여 가난의 대물림을 심화시킬 수 있다.
내각부의 『2011년판 어린이·청소년 백서』에 따르면, 고등학교 중퇴자의 경우 정규직 비율이 낮고, 부모의 학력 또한 낮은 경향을 보였다.[144] 특히, 모자 가정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한부모 세대가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44] 생활보호 세대의 아이들은 학습 부진을 겪는 경우가 많으며,[199] 이는 초등학교 단계에서의 학습 부진과 연관될 수 있다.[200]
=== 외국인 모자 가정 ===
생활 보호 모자 가정 중에서도 외국인 가구는 7천 가구를 넘어섰고, 40%가 필리핀인[145]이며, 그 아이가 어머니와 사회의 가교가 되어 부담을 느끼는 사례[112]도 나타나고 있다. 2013년 2월 18일 군마현 오이즈미정에서 필리핀인 어머니가 아이들을 남겨두고 귀국하는 동안 3세 아이가 사망(영양실조 의심)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중학생인 언니가 신고한 사건도 있었다. 이 어머니는 같은 달 5일에 만난 케이스 워커에게 귀국 사실을 보고하지 않았다[146][147]。 이 사건은 과거에 해당 아동이 0세였을 때에도 어머니가 일주일간의 약속으로 지인에게 유아를 맡기고 귀국하여 연락이 끊긴 채 1년이 지나, 그 동안 아이들은 아동 보호 시설에 입소했던 고위험 가정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148]。
생활 보호를 받고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케이스 워커로부터의 연락은 세대주에게 집중되고, 아이가 부재 중인 낮 시간의 자택 방문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이들의 동향 파악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학습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외하면 아이의 성장을 지켜보는 지원도 적다. 또한 아이가 유아이고 부모가 취업·구직 중이거나 질병으로 육아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생활 보호 수급자, 모자 가정은 우선적으로, 또한 생활 보호 수급자는 무상[149]으로 보육원에 입소할 수 있기 때문에, 낮에는 아이의 육아가 공공의 장에서 지켜지고 있다.
2012년 4월 오사카시에서는 6세 남자아이와 4세 여자아이가 모자 가정의 필리핀인 어머니(29세)에게 칼에 찔려, 남자아이가 사망하고 여자아이가 상해를 입었다. 동반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150]。 어머니는 생활 보호 케이스 워커가 가정 방문했을 때, "야간 취업과 육아의 양립에 큰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151]。 이 사건을 계기로, 전체 학생의 약 40%가 13개 국적을 가진 오사카 시립 남 초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사와 지원 단체 등이 자원 봉사로 학습을 돕는 오사카의 야간 교실이 시작되었다[152]。
2013년 10월 도쿄도 미타카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도, 공판 시에 필리핀인 어머니를 둔 범인 남자(21세)의 성장 과정이 밝혀졌다. 빈곤한 생활 속에서 좁은 방의 옆방에서 어머니가 교제 상대와 성행위를 하는 소리를 듣고, 어머니의 교제 상대에게 가혹한 학대를 받았으며, 어머니가 며칠 동안 집에 돌아오지 않는 일이 다반사였고, 이웃 편의점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도시락을 구걸하는 생활을 했으며, 어머니 또한 교제 상대에게 폭력을 당하는 등, "아동 학대", "방임", "가정 폭력"의 삼중고에 시달린 남성 A의 성장 과정이 법정에서 언급되었다[153]。
또한, 도쿄도아라카와구의 빈곤과 사회적 배제 조사에서, 문제를 안고 있는 조사 대상 가구의 약 20%가 외국 국적의 가정이었다[154]。
2011년 3월에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도쿄 전력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겪으면서, 정부의 지시를 넘어 자율적으로 피난이 확산되는 가운데, 생활 보호를 받는 외국인이 일본인과의 사이에 태어난 아이를 두고 귀국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간토 지방의 시 복지 사무소에서는 중국 국적의 40대 어머니가 "할아버지가 위독해서 귀국한다"고 전화했지만, 집에 남겨진 고등학교 2학년과 중학교 2학년 아이들에게 담당자가 사정을 묻자, 어머니는 "'''원자력 발전소가 무서워'''" 중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와 같은 귀국은 최소 동일본의 84개 복지 사무소에서 64건에 달하며, 중국, 한국, 필리핀, 태국인 등이 있었고, 중국인이 가장 많았다. 영주 자격 등을 취득한 후 일본인 남성과 이혼한 모자 가정이나, 단신 여성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아이와 함께 귀국하는 사람이 많은 한편, 친구인 중국인이나 일본인에게 맡기고 귀국하거나, 아이를 버려두는 방임도 적지 않다고 한다. 신고자들은 모두 "조부모가 위독해서"라고 말하고 귀국하며, 말없이 귀국하는 예가 많아 실태를 파악하기 어렵다고 복지 사무소 담당자는 말했다[155]。 외국인 가구에는 귀국에 의한 방임이 발생하는 문제도 따른다.
=== 범죄 및 의존증 ===
가난이 대물림되는 현상은 여러 세대에 걸쳐 나타나며, 부모의 재정적, 사회적, 교육적 자원 부족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상황을 포함한다.[156][157] 부모의 잘못된 재정 관리, 약물 남용, 열악한 양육 환경 등은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악영향을 끼친다.[139]
오사카시 니시요도가와구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세 명의 모자 가정 여성이 파칭코로 인해 생활비를 탕진하고 절도를 저지른 사건이 발생했다.[156] 후쿠오카현 타가와시 군 지역의 생활 보호 수급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알코올, 약물, 도박 의존 문제가 일반 인구에 비해 매우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157]
과거 에도가와구의 케이스 워커였던 미야타케 마사아키는 부모의 생활을 보고 고등학교 진학의 희망을 잃은 아이들이 학력 부진에 빠지고, 이는 다시 빈곤의 재생산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이치 아베크 생매장 살인 사건, 오사카 중졸 소녀 살인 사건, 아다치 여자 고등학생 콘크리트 매장 살인 사건 등을 예로 들며, 빈곤, 질병, 열악한 지역 환경이 가정 붕괴와 빈곤의 축적을 초래한다고 강조했다.[139]
2004년 교정 통계 연보에 따르면, 범죄자의 출신 가정 생활 수준은 빈곤층이 27.4%로, 범죄의 정도가 심할수록 빈곤층 출신이 많았다.[159] 2011년 통계에서는 신 수형자의 4할 이상이 "중졸" 학력이었으며, 대학교 졸업자는 4.5%에 불과했다.[160] 이는 학력과 범죄, 그리고 빈곤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162]
소년 범죄 현장에서는 빈곤 세대 소년범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 불황과 모자 가정 증가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소년원에서는 여성의 빈곤이 자녀의 빈곤으로 이어져 비행을 유발하는 사례가 많다고 보고된다.[163]
2010년 공립 고등학교 수업료 무상화는 중퇴율 감소와 고등학교 재입학 증가에 기여했지만, 도쿄도 내 전일제 고등학교 진학률은 1970년대에 비해 감소했다.[164][165]
2013년 히로시마현 구레에서 발생한 소녀 유기 사건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던 16세 소녀가 체포되었으며, 다른 미성년자들도 아동 학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166]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무직 여성이 10대 소년 소녀들을 집단 감금하고 음란 행위를 강요한 사건이 발생했다.[169] 에히메현 이요시에서는 시영 단지 벽장에서 17세 여성의 유해가 발견되었으며, 동거 가족에게 살인 및 상해 치사 혐의가 제기되었다.[170]
모자 가정에서 자란 소녀가 매춘을 하는 경우, 싱글맘이 개인 매춘(와리키리)을 하는 경우 등 빈곤이 대물림되는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171][172] 또한, 생활 보호 수급 세대의 싱글맘이 인터넷으로 알게 된 베이비시터에게 아이를 맡겼다가 살해당하는 등 범죄에 휘말리는 경우도 있다.[173][174]
=== 출신 가정의 빈곤과 노숙 ===
출신 가정의 빈곤과 노숙의 관계에 대해, 노숙자 네트워크 대표 이쿠타 타케시는 노숙이 된 젊은이들 중에는 모자 가정과 학대 가정이 많으며, 모자 가정에서 생활 보호를 받고 있거나, 폭력이 심해 친가로 돌아갈 수 없다는 상담이 있다고 한다.[176] 빅이슈 기금에 의한 젊은 홈리스의 청취 조사에서는, 지금까지의 주된 양육자는 양친이 반수였고, 한부모 가정이 32%, 보호 시설 출신은 12%였다.[177]
고등학교 중퇴, 홈리스, 비정규직, 생활 보호, 싱글맘, 자살, 약물・알코올 중독이라는 '''사회적 배제'''를 겪어온 사람들의 정부 조사에서는, 사회적 배제에 이르게 된 이유로 본인의 정신 질환・기타 질환 다음으로, 한부모 가정이나 부모가 없는 세대, 출신 가정의 빈곤이라는 잠재적 위험이 꼽히고 있다.[178]
=== 아동 양육 시설 ===
학대나 부모의 유기 등의 이유로 아동 양육 시설에 보호된 아이들은 시설 퇴소 후에 생활 곤궁에 빠지기 쉽다.[179] 부녀 보호 시설 원장에 따르면, 그곳에서 자란 아이는 진학하지 않으면 중졸이라도 시설을 퇴소해야 하며, 10대 여성은 우발적인 동거 후 임신하여 상대 남성은 종적을 감추고, 부녀 보호 시설에 입소하는 예가 끊이지 않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시설 퇴소 후에 성 산업에 종사하여 미혼모가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179] 부녀 보호 시설과 관련된 여성은 지적 장애와 다른 장애를 복합적으로 안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매춘 경험이 있는 지적 장애인의 부모도 역시 지적 장애를 가진 경우가 있다.[171]
아동 양육 시설의 아이는 9.3%가 중졸로 시설을 퇴소하며, 그 중 약 절반이 졸업 다음 해(2005년)에 이직을 경험하고 있다. 고등학교 중퇴는 7.6%를 차지하고 있다.[181] 아동 양육 시설 출신자가 또 그 자녀도 아동 양육 시설에 맡기는 "부정적인 연쇄"[182], "빈곤의 세대 간 재 생산"[183]도 일어나고 있다.
일본에서는 사회적 보호를 받는 아이들의 90%가 시설에, 10%가 위탁 부모 등이라는 형태인데, 이는 세계적으로도 선진국 중에서는 다소 기형적인 형태로 아동 권리 조약의 원칙에서도 벗어나, 권리 위원회로부터 지적을 받고 있는 부분[184]이다. 학대에 의한 아동 양육 시설의 입소는 절반을 넘고 있다.[185] 하지만 아동 양육 시설의 대다수가 대규모 시설 (대규모 집단 처우)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처우가 불충분해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직원으로부터의 시설 내 학대도 잇따르고 있으며[186], 아동 간의 음료 강요[187] 등의 괴롭힘이나 폭행[188], 성 학대[189]도 일어나고 있어 심신 모두 건강한 육성으로 이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후생노동성은 2011년 아동 양육 시설 등의 사회적 보호의 과제에 관한 검토 위원회·사회 보장 심의회 아동 분과 사회적 보호 전문 위원회에서 "사회적 보호의 과제와 장래상"을 정리했다.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이는, 경제면을 포함해, 풍족하지 않은 가정 환경의 아이가 많다. "빈곤의 세대 간 연쇄"가 되지 않도록, 적절한 양육과 교육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하여, 소규모 케어, 그룹 홈, 패밀리 홈의 조합 활용 및 위탁 부모 위탁률의 인상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190]
3. 1. 생활 보호와 빈곤의 연쇄
대물림되는 가난은 여러 세대를 거쳐서 가난이 대물림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부모의 사회적 단절로 인한 네트워킹 부재, 낮은 교육 수준으로 인한 인지 발달 저해, 잘못된 재정 관리, 약물 남용, 열악한 환경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한다.[77]후생노동성은 2011년 7월 "생활 지원 전략 중간 정리"에서 빈곤의 연쇄를 방지하고, 생활 곤궁 세대의 차세대 지원과 교정 시설 퇴소자의 지역 사회 복귀를 지원하여 안심·안전한 사회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77] 생활 보호 세대의 40%가 출신 세대에서도 생활 보호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78] 특히 모자 가정의 경우 그 비율이 3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빈곤의 연쇄가 확인되고 있다.[79]
후쿠오카현 타가와 지역 조사에서는 부모와 자식, 형제자매 등 친족 간의 수급 연쇄도 47.8%에 달하며, 쇼와 40년대 출생 이후 세대에서는 약 57%로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79] 이는 빈곤의 연쇄가 세대 간뿐만 아니라 친족 간에도 확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복지 현장에서는 3세대, 4세대 생활 보호 수급 세대가 나타나고 있으며,[80] 전국 모자 과부 복지 단체 협의회 이사는 생활 보호의 대물림 현상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81] 빈곤 세대의 성 행동은 활발하며, 이른 시기에 시작되는 성관계, 불특정 다수와의 성교, 피임 부족 등으로 인해 성병 문제나 10대 출산으로 이어지기도 한다.[82] 영국 정부의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10대 임신이 많은 지역은 대부분 빈곤 지역으로 나타났다.[83]
미국의 조사에서는 독립적인 여성 세대주 가족에서 성장한 젊은 여성이 미혼모가 될 가능성이 더 높았으며,[84] 도쿄도 마치다시 조사에서는 10대 청소년의 출산이 모자 가정의 자녀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85] 아라카와구의 분석에서는 젊은 출산의 경우, 그 부모도 젊은 출산인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85] 생활 보호 모자 세대는 중졸, 고등학교 중퇴 후 사별이나 이혼을 겪는 경우가 많고, 이후 비혼 상태로 출산하는 혼외자의 출현율이 25.7%로 높게 나타났다.[86][87]
생활 보호 수급자 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90] 2011년에는 임산부 가산 수급자가 10년 전에 비해 3배, 산부 가산 수급자는 2배로 증가했다.[91] 매년 약 2천 명의 아이가 생활 보호 2세로 출생하고 있어 빈곤의 연쇄를 방지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생활 보호 수급자는 아동 복지법을 이용하여 거의 무상으로 출산하지만,[92] 그 출산 수는 공표되지 않아 가산 수에서 추정할 수밖에 없다. 2011년 피보호자 전국 일제 조사에 따르면, 생활 보호를 받는 0~17세 아동은 285,624명이다.[93]
3. 2. 한부모 가정의 빈곤
일본에서는 2000년대 중반 OECD 가맹국 중 아동 빈곤율이 30개국 중 12위로 높은 편이었다.[94] 특히, 일하는 한부모 가정의 상대적 빈곤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으며,[95] 2003년 이후 한부모 가정의 빈곤율은 감소했지만 아동 빈곤율은 오히려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96] 이는 사회 보험료 및 세금 부담이 커서 소득 재분배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97]일본의 한부모 가정 빈곤율은 일하는 세대(58%)와 일하지 않는 세대(60%)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95] 이는 세금 등에 의한 소득 재분배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98][99] 생활 보호 수준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기 때문일 수 있다.[100][101] 아동 수당 수급자는 100만 명을 돌파했으며,[104] 미혼모의 딸이 다시 미혼모가 되어 아동 수당을 받는 등 빈곤의 대물림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105]
모자 세대는 두 부모 세대에 비해 학력이 낮고, 특히 중졸 비율이 높아 취업 및 정규직 고용에 어려움을 겪는다.[106] 생활 보호를 받는 모자 세대는 증가 추세이며,[107] 이들은 정규직 취업을 희망하는 비율이 낮고, 생활 보호 기간이 길어질수록 어머니가 생활 보호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진다.[107] 어머니가 자영업을 하는 경우 빈곤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 적절한 취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108]
미국과 영국에서는 양육비 지급 의무를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지만,[109][110] 일본에서는 양육비 미지급 문제가 심각하며, 이는 복지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109] 생활보호 모자 가정에서 어머니가 정신 질환을 앓거나, 부자 가정에서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으로 생활비를 탕진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114]
모자 세대의 빈곤은 이혼이나 미혼모 가정에서 아버지로부터의 양육비 지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므로,[247] 양육비 징수를 강화하고 경제적 자립을 지원해야 한다.[247] 그러나 양육비 미신고에 따른 아동 수당 부정 수급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248]
소재 불명 아동 문제는 행정 서비스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생활보호 및 아동 수당 부정 수급과 연관되기도 한다.[251][254] 오사카시 니시구에서는 이혼한 어머니가 유아를 방치하여 굶어 죽게 한 사건이 발생했는데,[252] 이는 학대의 연쇄와도 관련이 있었다.[253] 도쿄도 아다치구에서는 사망한 차남의 아동 수당을 부정 수급한 사건도 있었다.[255]
단신 여성의 빈곤 문제도 심각하며,[259][260] 생활보호 기준액이 저소득 모자 가정보다 높은 경우도 있어 근로 의욕을 저해할 수 있다.[261][262] 생활보호 모자 세대의 상당수가 정신 질환을 앓고 있어 취업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263][264]
일부 지자체에서는 생활보호 모자 가정의 취업을 지원하여 경제적 자립을 돕고 있다.[265][266] 조기 취업 지원이 빈곤 탈출에 효과적이며,[268] 자립에 성공한 세대는 수급 기간이 짧고, 학력 및 자격증 소지, 한부모 가정 등의 특징을 보였다.[269]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자녀의 질병으로 인한 결근이 해고로 이어질 수 있어 병간호 지원이 필요하다.[270][271][272]
3. 3. 빈곤과 학대
대물림되는 가난은 여러 세대를 거쳐서 가난이 대물림되는 현상이다. 부모의 사회적 단절로 인한 네트워킹 부재, 낮은 교육 수준으로 인한 인지 발달 저해, 잘못된 재정 관리, 약물 남용, 열악한 주거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115]경제 상황과 학대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학대로 인해 아동보호시설에 입소한 아동의 가정 환경을 조사한 결과, 부모의 정신 장애, 한부모 가정, 생활 보호 가정이 상당수를 차지했다.[115] 후생노동성 연구에 따르면, 학대 사례에서 장애 아동 및 양육자 본인이 장애를 가진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116] 특히 가족 구성원 내에 장애 아동 또는 장애인이 없는 경우는 매우 적었다.[116]
중증 학대 보호 케이스 중 상당수가 생활 보호 세대이며, 특히 한부모 가정의 생활 보호율이 높았다.[117] 한부모 가정에서는 방임이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117] 도쿄도 학대 분석 결과, 한부모 가정에서 경제적 어려움, 고립, 불안정한 취업 상태가 학대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118]
아동 학대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반응성 애착 장애는 발달 장애와 유사한 임상상을 보이며, 뇌의 기질적, 기능적 이상을 초래하여 발달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123] 학대 가정의 아버지가 정신 질환이나 성격 문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어머니가 지적 장애를 가진 경우도 지적된다.[124]
생활 보호 수급과 관련된 여러 학대 사례가 보고되었다.
- 사이타마현 아사카시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모자 가정에서 어머니와 교제 상대가 5세 아들을 학대하여 사망하게 한 사건이 발생했다.[126]
- 도마코마이시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모자 가정의 어머니가 두 자녀를 1개월간 방치하여 1세 아이가 사망하고 3세 아이는 생존한 사건이 있었다.[127][128]
- 아키타현 후지사토정에서는 생활보호 모자 가정의 어머니가 딸(9세)을 살해하고 이웃 남자아이(7세)도 교살한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 이전에 육아 방임이 인지되었지만, 학교, 정, 아동 주임은 위험성을 낮게 판단했다.[80]
- 와라비시에서는 생활 보호 세대에서 4세 아동이 학대로 사망했다.[129]
- 오쓰시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모자 가정의 어머니가 채팅에 빠져 1세 7개월 아이의 폐렴을 방치하여 사망하게 한 사건이 발생했다.[130]
- 도쿄도 고토구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부자 가정의 아버지가 5세 아들을 폭행하여 사망하게 했다.[132]
-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에서는 3세 여자아이가 교제 상대 남성과 친모의 학대로 사망했다. 친모는 생활 보호와 아동 부양 수당을 받고 있었지만, 교제 남성과 동거하며 폭행, 물고문, 끈으로 묶어 매다는 등 학대를 가했다.[133]
- 도쿄도 가쓰시카구에서는 2세 아동이 폭행으로 사망하여 아버지가 체포되었다. 양친은 생활 보호를 받고 있었으며, 다른 남성과의 아이는 아동 보호 시설이나 친척 집에 맡겨져 있었다.[134][135]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서는 2대 이상에 걸친 모자 동거 생활 보호 세대에서 20세 어머니가 1세 8개월 아이를 학대하여 사망하게 했다.[136]
- 아다치구에서는 행방불명된 남자아이를 학대하고 사망시킨 혐의로 부모가 체포되었다. 이들은 3세 아들을 토끼 우리에 감금하고 폭행하여 질식사시킨 뒤 시체를 유기했다. 또한, 아동 수당과 생활 보호비를 부정 수급한 혐의도 받았다.[137]
- 오사카부 카도마시에서는 22세 언니가 교제 상대와 함께 17세 여동생을 학대하여 사망하게 했다. 언니는 여동생의 수입 신고를 하지 않고 보호비를 부정 수급했다.[138]
생활 보호 수급 세대의 중학교 졸업 미취업 형제자매가 취업·취학하지 않고 세대 분리되어 폭력단의 예비군이 되거나 가족의 보호비를 의존하는 경우도 보고된다.[139]
3. 4. 저학력의 계승
가난의 대물림은 여러 세대를 거쳐서 가난이 이어지는 현상으로, 부모의 학력 및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부모가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하면 자녀에게 적절한 인지 발달을 제공하기 어렵고,[30] 이는 자녀의 학업 성취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사회적 고립은 자녀에게 필요한 사회적 자본 형성을 방해하며, 경제적 어려움은 자녀의 고등 교육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30]미국에서는 교육이 가난의 고리를 끊는 방법으로 여겨져 왔지만, 현실에서는 저소득층 자녀들이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다. 연구에 따르면, 학업 성취도 격차는 학교 구조에서 비롯되며, 특히 반 편성은 학생들의 학습 기회를 감소시키고 사회 계급을 분리하여 가난하고 소수 민족인 어린이들을 2류 교육을 받는 낮은 반에 배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38][39]
일본의 경우, 사카이시의 생활 보호 수급자 조사에서 세대주의 상당수가 중학교 졸업 또는 고등학교 중퇴 학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모자 세대의 고등학교 중퇴율이 높았다.[140] 구시로시 조사에서도 생활 보호 모자 세대 어머니의 3명 중 1명이 중졸 학력이었고, 그 부모 역시 중졸 학력인 경우가 많아 저학력의 계승이 확인되었다.[141] 가나가와현의 조사에서도 생활 보호 자녀 동반 세대 부모(양육자)의 학력 수준이 낮았으며, 고등학교 및 대학 중퇴자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142] 이러한 저학력은 니트로 이어지기 쉽고[143], 취업에도 불리하게 작용하여 가난의 대물림을 심화시킬 수 있다.
내각부의 『2011년판 어린이·청소년 백서』에 따르면, 고등학교 중퇴자의 경우 정규직 비율이 낮고, 부모의 학력 또한 낮은 경향을 보였다.[144] 특히, 모자 가정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한부모 세대가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44] 생활보호 세대의 아이들은 학습 부진을 겪는 경우가 많으며,[199] 이는 초등학교 단계에서의 학습 부진과 연관될 수 있다.[200]
3. 5. 외국인 모자 가정
생활 보호 모자 가정 중에서도 외국인 가구는 7천 가구를 넘어섰고, 40%가 필리핀인[145]이며, 그 아이가 어머니와 사회의 가교가 되어 부담을 느끼는 사례[112]도 나타나고 있다. 2013년 2월 18일 군마현 오이즈미정에서 필리핀인 어머니가 아이들을 남겨두고 귀국하는 동안 3세 아이가 사망(영양실조 의심)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중학생인 언니가 신고한 사건도 있었다. 이 어머니는 같은 달 5일에 만난 케이스 워커에게 귀국 사실을 보고하지 않았다[146][147]。 이 사건은 과거에 해당 아동이 0세였을 때에도 어머니가 일주일간의 약속으로 지인에게 유아를 맡기고 귀국하여 연락이 끊긴 채 1년이 지나, 그 동안 아이들은 아동 보호 시설에 입소했던 고위험 가정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148]。생활 보호를 받고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케이스 워커로부터의 연락은 세대주에게 집중되고, 아이가 부재 중인 낮 시간의 자택 방문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이들의 동향 파악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학습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외하면 아이의 성장을 지켜보는 지원도 적다. 또한 아이가 유아이고 부모가 취업·구직 중이거나 질병으로 육아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생활 보호 수급자, 모자 가정은 우선적으로, 또한 생활 보호 수급자는 무상[149]으로 보육원에 입소할 수 있기 때문에, 낮에는 아이의 육아가 공공의 장에서 지켜지고 있다.
2012년 4월 오사카시에서는 6세 남자아이와 4세 여자아이가 모자 가정의 필리핀인 어머니(29세)에게 칼에 찔려, 남자아이가 사망하고 여자아이가 상해를 입었다. 동반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150]。 어머니는 생활 보호 케이스 워커가 가정 방문했을 때, "야간 취업과 육아의 양립에 큰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151]。 이 사건을 계기로, 전체 학생의 약 40%가 13개 국적을 가진 오사카 시립 남 초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사와 지원 단체 등이 자원 봉사로 학습을 돕는 오사카의 야간 교실이 시작되었다[152]。
2013년 10월 도쿄도 미타카 스토커 살인 사건에서도, 공판 시에 필리핀인 어머니를 둔 범인 남자(21세)의 성장 과정이 밝혀졌다. 빈곤한 생활 속에서 좁은 방의 옆방에서 어머니가 교제 상대와 성행위를 하는 소리를 듣고, 어머니의 교제 상대에게 가혹한 학대를 받았으며, 어머니가 며칠 동안 집에 돌아오지 않는 일이 다반사였고, 이웃 편의점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도시락을 구걸하는 생활을 했으며, 어머니 또한 교제 상대에게 폭력을 당하는 등, "아동 학대", "방임", "가정 폭력"의 삼중고에 시달린 남성 A의 성장 과정이 법정에서 언급되었다[153]。
또한, 도쿄도아라카와구의 빈곤과 사회적 배제 조사에서, 문제를 안고 있는 조사 대상 가구의 약 20%가 외국 국적의 가정이었다[154]。
2011년 3월에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도쿄 전력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겪으면서, 정부의 지시를 넘어 자율적으로 피난이 확산되는 가운데, 생활 보호를 받는 외국인이 일본인과의 사이에 태어난 아이를 두고 귀국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간토 지방의 시 복지 사무소에서는 중국 국적의 40대 어머니가 "할아버지가 위독해서 귀국한다"고 전화했지만, 집에 남겨진 고등학교 2학년과 중학교 2학년 아이들에게 담당자가 사정을 묻자, 어머니는 "'''원자력 발전소가 무서워'''" 중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와 같은 귀국은 최소 동일본의 84개 복지 사무소에서 64건에 달하며, 중국, 한국, 필리핀, 태국인 등이 있었고, 중국인이 가장 많았다. 영주 자격 등을 취득한 후 일본인 남성과 이혼한 모자 가정이나, 단신 여성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아이와 함께 귀국하는 사람이 많은 한편, 친구인 중국인이나 일본인에게 맡기고 귀국하거나, 아이를 버려두는 방임도 적지 않다고 한다. 신고자들은 모두 "조부모가 위독해서"라고 말하고 귀국하며, 말없이 귀국하는 예가 많아 실태를 파악하기 어렵다고 복지 사무소 담당자는 말했다[155]。 외국인 가구에는 귀국에 의한 방임이 발생하는 문제도 따른다.
3. 6. 범죄 및 의존증
가난이 대물림되는 현상은 여러 세대에 걸쳐 나타나며, 부모의 재정적, 사회적, 교육적 자원 부족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상황을 포함한다.[156][157] 부모의 잘못된 재정 관리, 약물 남용, 열악한 양육 환경 등은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악영향을 끼친다.[139]오사카시 니시요도가와구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세 명의 모자 가정 여성이 파칭코로 인해 생활비를 탕진하고 절도를 저지른 사건이 발생했다.[156] 후쿠오카현 타가와시 군 지역의 생활 보호 수급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알코올, 약물, 도박 의존 문제가 일반 인구에 비해 매우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157]
과거 에도가와구의 케이스 워커였던 미야타케 마사아키는 부모의 생활을 보고 고등학교 진학의 희망을 잃은 아이들이 학력 부진에 빠지고, 이는 다시 빈곤의 재생산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이치 아베크 생매장 살인 사건, 오사카 중졸 소녀 살인 사건, 아다치 여자 고등학생 콘크리트 매장 살인 사건 등을 예로 들며, 빈곤, 질병, 열악한 지역 환경이 가정 붕괴와 빈곤의 축적을 초래한다고 강조했다.[139]
2004년 교정 통계 연보에 따르면, 범죄자의 출신 가정 생활 수준은 빈곤층이 27.4%로, 범죄의 정도가 심할수록 빈곤층 출신이 많았다.[159] 2011년 통계에서는 신 수형자의 4할 이상이 "중졸" 학력이었으며, 대학교 졸업자는 4.5%에 불과했다.[160] 이는 학력과 범죄, 그리고 빈곤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162]
소년 범죄 현장에서는 빈곤 세대 소년범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 불황과 모자 가정 증가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소년원에서는 여성의 빈곤이 자녀의 빈곤으로 이어져 비행을 유발하는 사례가 많다고 보고된다.[163]
2010년 공립 고등학교 수업료 무상화는 중퇴율 감소와 고등학교 재입학 증가에 기여했지만, 도쿄도 내 전일제 고등학교 진학률은 1970년대에 비해 감소했다.[164][165]
2013년 히로시마현 구레에서 발생한 소녀 유기 사건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던 16세 소녀가 체포되었으며, 다른 미성년자들도 아동 학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166]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에서는 생활 보호를 받는 무직 여성이 10대 소년 소녀들을 집단 감금하고 음란 행위를 강요한 사건이 발생했다.[169] 에히메현 이요시에서는 시영 단지 벽장에서 17세 여성의 유해가 발견되었으며, 동거 가족에게 살인 및 상해 치사 혐의가 제기되었다.[170]
모자 가정에서 자란 소녀가 매춘을 하는 경우, 싱글맘이 개인 매춘(와리키리)을 하는 경우 등 빈곤이 대물림되는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171][172] 또한, 생활 보호 수급 세대의 싱글맘이 인터넷으로 알게 된 베이비시터에게 아이를 맡겼다가 살해당하는 등 범죄에 휘말리는 경우도 있다.[173][174]
3. 7. 출신 가정의 빈곤과 노숙
출신 가정의 빈곤과 노숙의 관계에 대해, 노숙자 네트워크 대표 이쿠타 타케시는 노숙이 된 젊은이들 중에는 모자 가정과 학대 가정이 많으며, 모자 가정에서 생활 보호를 받고 있거나, 폭력이 심해 친가로 돌아갈 수 없다는 상담이 있다고 한다.[176] 빅이슈 기금에 의한 젊은 홈리스의 청취 조사에서는, 지금까지의 주된 양육자는 양친이 반수였고, 한부모 가정이 32%, 보호 시설 출신은 12%였다.[177]고등학교 중퇴, 홈리스, 비정규직, 생활 보호, 싱글맘, 자살, 약물・알코올 중독이라는 '''사회적 배제'''를 겪어온 사람들의 정부 조사에서는, 사회적 배제에 이르게 된 이유로 본인의 정신 질환・기타 질환 다음으로, 한부모 가정이나 부모가 없는 세대, 출신 가정의 빈곤이라는 잠재적 위험이 꼽히고 있다.[178]
3. 8. 아동 양육 시설
학대나 부모의 유기 등의 이유로 아동 양육 시설에 보호된 아이들은 시설 퇴소 후에 생활 곤궁에 빠지기 쉽다.[179] 부녀 보호 시설 원장에 따르면, 그곳에서 자란 아이는 진학하지 않으면 중졸이라도 시설을 퇴소해야 하며, 10대 여성은 우발적인 동거 후 임신하여 상대 남성은 종적을 감추고, 부녀 보호 시설에 입소하는 예가 끊이지 않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시설 퇴소 후에 성 산업에 종사하여 미혼모가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179] 부녀 보호 시설과 관련된 여성은 지적 장애와 다른 장애를 복합적으로 안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매춘 경험이 있는 지적 장애인의 부모도 역시 지적 장애를 가진 경우가 있다.[171]아동 양육 시설의 아이는 9.3%가 중졸로 시설을 퇴소하며, 그 중 약 절반이 졸업 다음 해(2005년)에 이직을 경험하고 있다. 고등학교 중퇴는 7.6%를 차지하고 있다.[181] 아동 양육 시설 출신자가 또 그 자녀도 아동 양육 시설에 맡기는 "부정적인 연쇄"[182], "빈곤의 세대 간 재 생산"[183]도 일어나고 있다.
일본에서는 사회적 보호를 받는 아이들의 90%가 시설에, 10%가 위탁 부모 등이라는 형태인데, 이는 세계적으로도 선진국 중에서는 다소 기형적인 형태로 아동 권리 조약의 원칙에서도 벗어나, 권리 위원회로부터 지적을 받고 있는 부분[184]이다. 학대에 의한 아동 양육 시설의 입소는 절반을 넘고 있다.[185] 하지만 아동 양육 시설의 대다수가 대규모 시설 (대규모 집단 처우)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처우가 불충분해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직원으로부터의 시설 내 학대도 잇따르고 있으며[186], 아동 간의 음료 강요[187] 등의 괴롭힘이나 폭행[188], 성 학대[189]도 일어나고 있어 심신 모두 건강한 육성으로 이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후생노동성은 2011년 아동 양육 시설 등의 사회적 보호의 과제에 관한 검토 위원회·사회 보장 심의회 아동 분과 사회적 보호 전문 위원회에서 "사회적 보호의 과제와 장래상"을 정리했다.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이는, 경제면을 포함해, 풍족하지 않은 가정 환경의 아이가 많다. "빈곤의 세대 간 연쇄"가 되지 않도록, 적절한 양육과 교육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하여, 소규모 케어, 그룹 홈, 패밀리 홈의 조합 활용 및 위탁 부모 위탁률의 인상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190]
4. 빈곤의 대물림 해결을 위한 노력
; 일반적인 접근
많은 정부 관계자들이 빈곤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여러 주와 지방 자치 단체들은 빈곤의 대물림을 끊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블룸버그 뉴욕 시장은 부모가 특정 목표를 달성하면 연간 최대 5,000달러를 지급하는 멕시코의 계획을 모델로 한 정책을 옹호했다.[40] 캘리포니아 주의회에서는 2017년까지 아동 빈곤을 절반으로 줄이고 2027년까지 없애기 위한 계획을 개발하는 자문 아동 빈곤 위원회 설립 법안이 제안되었다.[40] 그러나 코네티컷 주와 같이 아동 빈곤이 증가하는 현실에 직면한 주도 있다. 주 정부들은 빈곤층 감소뿐만 아니라, 의회의 복지 개혁으로 인한 엄격한 근로 요건을 조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빈곤 옹호자들은 이러한 제한이 취약 계층의 취업을 방해한다고 주장하며, 맥더모트 캘리포니아 민주당 하원의원은 이로 인해 빈곤 탈출이 더 어려워졌다고 믿는다.[40]
레인 켄워디는 복지 혜택을 늘리고 비근로 가족에게까지 확대하는 것이 빈곤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41] 어빙 B. 해리스는 저서 『위험에 처한 아이들: 우리는 이 고리를 끊을 수 있을까?』에서 조기 교육의 중요성과 가족 가치관 증진, 십대 임신 예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42] 할렘 아동 구역은 출생부터 대학까지 교육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세대 간 빈곤 종식을 목표로 하며, 오바마 행정부의 빈곤 퇴치 프로그램 모델로 인정받았다.[43][44]
일본에서는 생활보호 세대 아이들이 진로 불안, 등교 거부, 학력 부진 등의 문제를 겪고 있으며, 모자가정의 비율이 높아 한부모 가정 특유의 육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206][207] 미노오시의 "아이 성장 관찰 시스템" 분석 결과, 생활 곤궁도가 높은 가정의 아이일수록 학력 편차가 낮고 비인지 능력이 부족하며, 이는 가정의 경제 상황, 양육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09] 일본 재단은 빈곤 상태 아이들의 학력이 10세를 기점으로 급격히 저하되며, 비인지 능력 육성이 중요하다고 결론 내렸다.[210]
오사카시에서는 빈곤층 어린이들을 위한 "어린이의 집"에 대한 보조금이 삭감되어, 빈곤 구제 수단이 줄어들고 장래 생활 보호 수급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38] 생활 보호 케이스 워커는 부모와 다른 가치관을 가진 어른의 개입이 중요하다고 말한다.[240] 이바라키현다카하기시 전 시장인 쿠사마 요시오는 아동 양육 시설에서의 경험을 통해 타인과의 인연에 감사함을 표했다.[241][188][242] 아동 자립 지원 홈에서는 아동 양육 시설 퇴소자 등을 지원하며, 사회적 양육의 기반이 되는 젊은이들이 빈곤 문제에 직면하고 있음을 지적한다.[243] 일본 변호사 연합회는 빈곤 환경에서 벗어난 아이들의 사례를 통해, 금전 급부 외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44]
미국의 발달 심리학자 Emmy Werner의 카우아이 섬 출생아 추적 조사에 따르면, 다양한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발달을 보인 아이들은 부모 외 양육자와의 강한 유대, 커뮤니티 활동 참여 등 회복 탄력성(회복 탄력성)이 높았다.[246]
대한민국에서는 한부모 가정의 83%가 전 배우자로부터 양육비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2012년 현재), 2015년 여성가족부 산하에 양육비 이행 관리원이 설치되어 양육비 징수를 지원하고 있다.[320] 일본에서는 이혼 후 아이 아버지로부터 지급되는 양육비가 20%에 불과하며[247], 양육비 상담 지원 센터가 설립되어 공정 증서 작성 등을 지원하고 있다.[324][325] 아카시시는 양육비 보전 모델 사업을 통해 한부모 세대에게 최대 60만 엔을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다.[326] 국가 정책으로는 2002년 '아동 부양 수당 중심 지원'에서 '취업・자립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으로 전환했지만[327], 모자 가정의 어머니들의 낮은 학력과 경제 상황으로 인해 정규 고용 전환은 어려운 현실이다.[328][329]
; 2세대 빈곤 완화 접근 방식
2세대 빈곤 완화 접근 방식은 부모와 자녀가 빈곤의 굴레에서 벗어나 정신적, 육체적, 재정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한 상태로 가족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교육, 건강 및 사회 서비스와 기회에 초점을 맞춘다.[23] 이는 빈곤 완화를 위한 전체론적 계획이며 "저소득층 부모와 자녀가 상황을 개선하는 데 필요"하다.[23]
2세대 접근 방식을 통해 부모는 추가적인 경력 기술을 배우고, 리더십 훈련을 받으며, 더 높은 임금을 받는 직업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아이들은 더 나은 교육 프로그램, 무료 유치원, 무료 보육 서비스, 학교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물품을 얻을 수 있다. 가족 구성원은 빈곤으로 인한 현재의 스트레스 요인과 아동기 외상에 대한 상담을 받는다. 모든 가구 구성원은 단기적으로 기본적인 필요 스트레스 요인을 완화하기 위해 전체적인 건강 관리 혜택, 가정 및 학교에서의 식량 서비스, 청구서, 의류, 교통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받으며, 이는 가족이 배우고 성장할 시간을 갖지 못하게 한다.[23] 헤드 스타트는 유아에게 효과가 있는 유일한 시스템은 아동 전체, 즉 건강과 부모의 성공 능력을 고려하는 것이라고 믿는다.[23]
생활보호 세대의 경우, 아이들은 진학 및 진로에 대한 불안, 등교 거부, 은둔형 외톨이, 학력 부진 등의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으며, 부모 역시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206] 아이가 있는 세대의 70%는 모자가정[206]이므로, 한부모 가정 특유의 육아 부담이 있으며, 수급 어머니의 건강 악화가 아이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207]
일본 미노오시의 "아이 성장 관찰 시스템"은 가정 환경, 경제 상황, 복지 수급 상황, 학력 및 생활 습관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분석한다. 생활 곤궁도가 높은 가정의 아이일수록 학력 편차가 낮고, 비인지 능력과 가정의 경제 상황, 양육 상황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09] 일본 재단은 빈곤 상태 아이들의 학력이 10세를 기점으로 급격히 저하되며, 나이가 들수록 격차가 확대된다고 보고 있다. 비인지 능력은 곤궁 세대와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저학년 때부터 차이가 크지만, 빈곤 속에서도 학력이 높은 아이는 비인지 능력이 높으며, 기초적인 신뢰나 생활 습관 등 비인지 능력 육성이 중요하다고 결론 내린다.[210]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대한민국 등 선진국에서는 빈곤 가정이나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는 아이들에 대한 포괄적인 지원을 도입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아이들에 대한 조기 지원은 효율성이 높은 사회 투자이다.[309] 일본의 보육·유아 교육 일체형 교육 도입 시에도 이러한 내용이 참고되었다.[310]
1960년대 미국 미시간의 페리 스쿨에서 흑인 빈곤 가정의 3~4세 아이들에게 좋은 유아 교육을 받게 하는 사회 실험이 이루어졌고, 40년간 추적한 결과 유아 교육을 받은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고등학교 졸업률, 주택 소유율이 높고, 체포된 사람이 적고, 수입도 높았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제임스 헤크만은 페리 스쿨 등의 성과를 근거로 5세까지의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311]하며, 유아기의 투자는 수익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일본에 적용할 때 "미국에는 공적인 보육 제도가 없기 때문에, 영유아기에 특히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됩니다. 일본에는 보육원이 있으므로, 여기에 추가 투자를 함으로써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는 별도로 생각해야 합니다."[312]라는 지적도 있다.
; 긴축 정책 비판
마크 블라이스는 2014년 저서에서 긴축 정책이 성장을 촉진하지 못하고, 부채를 노동 계급에게 전가한다고 주장했다.[45] 앤드루 갬블 등 많은 학자들은 영국의 긴축 정책을 경제적 필요성보다는 이념에 의해 추진되는 국정 운영 도구로 본다.[46] 2017년 11월 ''The BMJ''에 발표된 연구는 보수당 정부의 긴축 프로그램이 2010년 이후 약 12만 명의 사망과 연관되어 있다고 밝혔으나, 인과 관계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이유로 논란이 되었다.[47][48] 긴축 정책은 인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소득 지원 감소와 관련된 노령층 사망률 증가,[49] 자살 증가, 정신 건강 문제 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처방 증가,[50] 교도소 내 폭력, 자해 및 자살 증가 등이 있다.[51][52]
영국에서는 토니 블레어 총리가 1999년 아동 빈곤 퇴치를 선언하고[273] 2004-05년까지 아동 빈곤율을 25% 삭감한다는 목표를 세워 거의 달성했지만, 경제 위기 이후 정권 교체와 함께 아동 수당 삭감 등의 정책으로 아동 빈곤이 증가했다.[274] 한편, 토니 블레어는 입양에도 관심을 가졌는데, 그의 아버지가 혼외 자식으로 입양되어 성장했기 때문이라고 가디언지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275]
영국에서는 일하는 것보다 더 많은 공적 부조가 문제가 되어[276][277][278][279], 2013년 4월부터 제도 개혁이 시행되었다. 캐머런 총리는 선지에서 "성실하게 일하는 사람들보다 생활 보호 수급자가 더 많은 수입을 얻는 상황은 '미쳐 돌아가는 것'"이라며 생활 보호 제도 개혁을 옹호했다.[280][281]
미국의 공적 부조로는 "요부양 아동 가정 부조(AFDC[282])"가 있었고, 이를 대체하여 1996년 "개인 책임 및 취업 기회 일치법(PRWORA[283])"에 따라 "빈곤 가족 임시 부조(TANF[284])"가 시행되었다. AFDC와 TANF는 빈곤 아동이 있는 모자 가정·부자 가정을 주 대상으로 하며, 장애인이나 고령자에게는 "보충적 보장 소득(SSI[285])" 제도를 통해 빈곤 대책을 실시한다.[286] TANF는 빈곤 가족에 기한부 생활 부조를 제공하고 취업 지원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60개월 수급 제한, 취업·직업 훈련 의무화, 고용 지원, 육아 케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287] 1994년 AFDC 수급 가구는 약 500만 가구였고, AFDC 수급 아동의 절반 이상이 혼외자였으며, 장기 수급 문제도 있었다.
1975년 사회 보장법 개정에서는 아동 부양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부모에게서 양육비를 징수하는 「아동 부양 강제」[289] 프로그램이 규정되었다. 1996년 복지 개혁법에 의해 AFDC는 TANF로 재편되었고, TANF는 취업 촉진, 혼외 임신 예방, 양친 가정 형성 등을 목표로 한다. 수급자는 취업 의무가 있으며, 불응 시 급여가 삭감되거나 정지되고, TANF 수급 중 새로 아이가 태어난 경우 추가 급여를 거부할 수 있다.[290] TANF는 자립·취업 지원으로 수급자가 감소하고 있으며,[287] 주 정부는 TANF에서 벗어난 사람에게도 일정 소득까지 지원을 지속하는 효과를 낳고 있다.[291]
TANF 지급 기간은 평생 60개월(5년)로 제한된다. 일본에서도 이혼 증가에 따른 모자 가구 증가로 복지 수당 지급보다는 취업을 통한 자립을 지원하는 워크 페어형 개혁이 추진되고 있다. TANF는 일본의 생활 보호 제도보다 더 취업 촉진적인 제도로 나타났지만, 일본의 가동률이 더 높았다.[286]
스웨덴의 사회 보험은 국가 권한으로 실시되며, 거주 기반 급여와 노동 시장 참여 기반 급여의 2단계로 구성된다. 사회 부조는 코뮌(기초 자치단체)에 위임되어 운영되며, 코뮌 간 차이가 크고 급여 수준도 다르다. 사회 부조 수급 자격은 매우 엄격하여 소유물 매각, 취업 프로그램 참여 등이 강요된다. 1990년대 경제 위기로 사회 부조 비용 증가, 수급자 수 증가, 수급 기간 장기화 문제가 발생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사회 부조 수급자 수를 절반으로 줄이는 목표가 설정되었고, 청년층과 모자 가정 사회 부조 수급자에게는 경도 지적 장애, 의사 소통 능력 결여, 가정폭력 피해, 약물 중독 등 다양한 문제가 있었다. 장기 수급자 증가로 빈곤의 세대 간 계승 사례도 확인되었다. 2000년에는 복지 사무소에서 소셜 워커 피습 사건이 발생하여 복지 사무소 운영이 배타적으로 변했다.[292]
; 대량 수감 문제
일부 학자들은 미국 빈곤층의 대량 수감을 신자유주의의 부상과 연관 짓고 있다.[53][54] 사회학자 로익 바캉과 마르크스주의 경제 지리학자 데이비드 하비는 빈곤의 범죄화와 대량 수감이 경제적으로 소외된 인구 집단 사이의 사회적 불안정을 다루기 위한 신자유주의 정책이라고 주장했다.[55] 바캉에 따르면, 이러한 상황은 사회적 복지 국가의 축소와 징벌적 워크페어의 부상, 도시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증가, 공공 기능의 민영화, 경제적 규제 완화를 통한 노동 계급에 대한 집단적 보호 축소, 저임금 불안정 노동의 증가를 허용한 다른 신자유주의 정책의 시행에 따른 결과이다.[55] 반대로, 사회 상위 계층, 특히 상류층과 기업의 경제 범죄, 예를 들어 사기, 횡령, 내부자 거래, 신용 및 보험 사기, 자금 세탁, 상업 및 노동법 위반과 관련해서는 극도로 관대하다.[56] 바캉에 따르면, 신자유주의는 정부를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상위 계층에 대한 정부의 감시가 거의 없고 하위 계층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갖춘 "켄타우로스 국가"를 세운다.[57]
; 개발도상국의 빈곤 퇴치
개발도상국에서는 제한적인 신용 및 자본 시장 접근, 극심한 환경 파괴, 부패한 거버넌스, 자본 도피, 열악한 교육 시스템, 질병 생태, 공공 의료 부족, 전쟁 및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등 다양한 요인들이 가난의 대물림에 영향을 미친다.[64]
제프리 삭스는 저서 ''빈곤의 종말''에서 가난의 대물림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그는 원조 기관이 벤처 자본가처럼 행동하여 스타트업 기업에 충분한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발도상국이 가난의 대물림에서 벗어나려면 2005년 G8 정상 회담에서 약속된[65] 충분한 원조가 필수적이다. 삭스는 극빈층이 인적 자본, 사업 자본, 사회 기반 시설, 자연 자본, 공공 제도 자본, 지식 자본 등 6가지 주요 자본 유형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며,[66] 가난한 사람들은 1인당 자본 수준이 매우 낮고, 세대를 거치면서 1인당 자본의 비율이 감소하여 빈곤에 갇힌다고 설명한다. 삭스는 대외 원조가 충분하면 가난한 국가의 자본 부족을 메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삭스는 공공 부문이 인적 자본(건강, 교육, 영양), 사회 기반 시설(도로, 전력, 물 및 위생, 환경 보전), 자연 자본(생물 다양성 및 생태계 보전), 공공 제도 자본(잘 운영되는 공공 행정, 사법 시스템, 경찰력), 지식 자본의 일부(건강, 에너지, 농업, 기후, 생태에 대한 과학 연구)에 주로 투자해야 한다고 제안한다.[67] 사업 자본 투자는 민간 부문에 맡겨야 하는데, 이는 민간 부문이 성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익성 있는 기업을 개발하기 위해 자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삭스는 공공 기관이 로스토우의 성장 단계 모형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공공재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지만, 사유재는 사기업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생산되고 분배된다고 주장한다.[68]
문헌에서는 가난의 대물림의 여러 다른 형태에 대해 논의하는데,[69] 여기에는 내륙국과 불량한 이웃, 폭력적인 갈등의 악순환, 농부와 중개인의 상호 의존적인 생계형 함정, 소규모 판매자의 운전자본 함정, 근로자와 기업 간의 낮은 기술 함정, 영양 부족과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 접근성 간의 영양 함정, 그리고 유혹과 비유혹 상품을 구별하기 어려운 개인의 행동 함정 등이 있다.
; 일본의 빈곤 대책
2000년 일본은 제1차 분권 개혁을 통해 생활보호법의 "최저 생활 보장"은 법정수탁사무로, "자립의 조장"은 자치사무로 분배하여 현금 급부는 국가, 상담 지원은 자치단체가 담당하게 되었다.[211] 2004년부터는 여러 자치단체에서 자립 지원 모델 사업이 시작되었고, 이의 일환으로 "어린이의 건전 육성 사업"이 추진되었다.[212] 자립 지원 사업 비용은 지방 자치단체가 부담하지만, 국고 보조금이 후생노동성 예산 범위 내에서 지원되며, 보조 비율은 2005년 1/2에서[213] 2012년 10/10으로 변동되었다.[214] 2015년부터는 생활 곤궁자 자립 지원법에 따라 학습 지원 사업 보조율이 절반으로 감소될 예정이다.[215] 전국 조사에서 생활 보호 아동 학습 지원을 하지 않는 자치단체는 인력 부족과 함께 재원 확보 문제를 겪고 있다.[216]
25세 남성이 80세까지 생활보호를 받을 경우, 세금 및 사회 보험료 손실액을 합하면 최대 1억 5천만 엔을 넘는다.[217]
생활보호 자녀 세대의 자립을 돕기 위해 "어린이 지원원" 배치[218]가 시작되고 있으며, 2012년 가나가와현의 관련 예산은 15,731천 엔이었다.[219] 생활보호 케이스 워커는 아이와 직접 대화하는 경우가 드물다.[220] 이들은 생활보호 수급자의 가치관이 찰나적이고 가족 간 불신이 강하다고 인식한다.[221]
빈곤의 연쇄는 학력, 10대 출산 등과 관련이 깊다.[222] 도내 생활보호 세대의 전일제 고등학교 진학률은 70%에 미치지 못하며,[223] 중퇴율도 높다.[224] 에도가와구에서는 1987년부터 생활보호 세대 자녀를 위한 학습 지원을 하고 있다.[225] 사이타마현은 교원 OB 등이 참여하는 학습 지원을 통해 고등학교 진학률을 높였으나,[226][227][228][229] 중퇴율이 높아 2013년부터 무료 학습 교실을 운영하여 성과를 거두고 있다.[230][231] 중퇴자의 약 60%가 무직 상태이므로, 고등학교 졸업과 안정된 취업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232] 2014년에는 학습 교실 참가자의 고등학교 진학률이 97.7%로 상승했고, 고등학교 중퇴율은 4.6%로 개선되었다.[233] 도쿄도는 생활보호 가정에 학원비 보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234] 부모의 학력도 중요하므로, 부모에 대한 학습 지원도 필요하다.[235]
고등학교 중퇴 방지는 미성년자 임신, 아동 학대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236] 젊은 생활 곤궁자 중에는 학습이 서투른 아이들이 있으며, 이들에게는 기술, 직업 교육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112][237]
2013년 3월, 일본 국회 내에서 ''''아동 빈곤 대책법'''' 제정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다.[293] 자민당과 민주당의 법안은 대체로 일치했으나, 자민당 안에는 빈곤율 감축 수치 목표가 없었다.[294][295] 일본변호사연합회는 수치 목표 없는 법률은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며, 보육 시설 확충 등을 제안했다.[296] 아동 빈곤 대책 법안은 2013년 6월에 성립되어,[297] 정부의 대강 제정 의무와 도도부현의 계획 책정 노력 의무가 부과되었다.[298]
제2차 아베 내각 각료의 63%가 세습 의원이며,[299] 아소 다로 등은 귀족원 가계 출신이다.[300][301] 국회의원 공탁금은 300만 엔으로, 정치 참여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302] 2014년 최고재판소 장관으로 임명된 테라다 이쓰로는 아버지에 이어 장관직을 맡게 되었다.[303]
유니세프는 아동 빈곤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정책 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304] 도쿄도아라카와구는 아동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검토위원회를 발족하고 자치단체 시스템 구축을 모색했다.[305] 가나가와현은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연구를 실시했다.[306] 도쿄도기타구는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빈곤 학생을 지원하고 있다.[307] 2013년 전국 조사에서 아동 빈곤 대책 전담 부서가 있는 자치단체는 2.4%에 불과했다.[308]
4. 1. 일반적인 접근
많은 정부 관계자들이 빈곤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여러 주와 지방 자치 단체들은 빈곤의 대물림을 끊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블룸버그 뉴욕 시장은 부모가 특정 목표를 달성하면 연간 최대 5,000달러를 지급하는 멕시코의 계획을 모델로 한 정책을 옹호했다.[40] 캘리포니아 주의회에서는 2017년까지 아동 빈곤을 절반으로 줄이고 2027년까지 없애기 위한 계획을 개발하는 자문 아동 빈곤 위원회 설립 법안이 제안되었다.[40] 그러나 코네티컷 주와 같이 아동 빈곤이 증가하는 현실에 직면한 주도 있다. 주 정부들은 빈곤층 감소뿐만 아니라, 의회의 복지 개혁으로 인한 엄격한 근로 요건을 조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빈곤 옹호자들은 이러한 제한이 취약 계층의 취업을 방해한다고 주장하며, 맥더모트 캘리포니아 민주당 하원의원은 이로 인해 빈곤 탈출이 더 어려워졌다고 믿는다.[40]레인 켄워디는 복지 혜택을 늘리고 비근로 가족에게까지 확대하는 것이 빈곤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41] 어빙 B. 해리스는 저서 『위험에 처한 아이들: 우리는 이 고리를 끊을 수 있을까?』에서 조기 교육의 중요성과 가족 가치관 증진, 십대 임신 예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42] 할렘 아동 구역은 출생부터 대학까지 교육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세대 간 빈곤 종식을 목표로 하며, 오바마 행정부의 빈곤 퇴치 프로그램 모델로 인정받았다.[43][44]
일본에서는 생활보호 세대 아이들이 진로 불안, 등교 거부, 학력 부진 등의 문제를 겪고 있으며, 모자가정의 비율이 높아 한부모 가정 특유의 육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206][207] 미노오시의 "아이 성장 관찰 시스템" 분석 결과, 생활 곤궁도가 높은 가정의 아이일수록 학력 편차가 낮고 비인지 능력이 부족하며, 이는 가정의 경제 상황, 양육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09] 일본 재단은 빈곤 상태 아이들의 학력이 10세를 기점으로 급격히 저하되며, 비인지 능력 육성이 중요하다고 결론 내렸다.[210]
오사카시에서는 빈곤층 어린이들을 위한 "어린이의 집"에 대한 보조금이 삭감되어, 빈곤 구제 수단이 줄어들고 장래 생활 보호 수급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38] 생활 보호 케이스 워커는 부모와 다른 가치관을 가진 어른의 개입이 중요하다고 말한다.[240] 이바라키현다카하기시 전 시장인 쿠사마 요시오는 아동 양육 시설에서의 경험을 통해 타인과의 인연에 감사함을 표했다.[241][188][242] 아동 자립 지원 홈에서는 아동 양육 시설 퇴소자 등을 지원하며, 사회적 양육의 기반이 되는 젊은이들이 빈곤 문제에 직면하고 있음을 지적한다.[243] 일본 변호사 연합회는 빈곤 환경에서 벗어난 아이들의 사례를 통해, 금전 급부 외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44]
미국의 발달 심리학자 Emmy Werner의 카우아이 섬 출생아 추적 조사에 따르면, 다양한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발달을 보인 아이들은 부모 외 양육자와의 강한 유대, 커뮤니티 활동 참여 등 회복 탄력성(회복 탄력성)이 높았다.[246]
대한민국에서는 한부모 가정의 83%가 전 배우자로부터 양육비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2012년 현재), 2015년 여성가족부 산하에 양육비 이행 관리원이 설치되어 양육비 징수를 지원하고 있다.[320] 일본에서는 이혼 후 아이 아버지로부터 지급되는 양육비가 20%에 불과하며[247], 양육비 상담 지원 센터가 설립되어 공정 증서 작성 등을 지원하고 있다.[324][325] 아카시시는 양육비 보전 모델 사업을 통해 한부모 세대에게 최대 60만 엔을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다.[326] 국가 정책으로는 2002년 '아동 부양 수당 중심 지원'에서 '취업・자립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으로 전환했지만[327], 모자 가정의 어머니들의 낮은 학력과 경제 상황으로 인해 정규 고용 전환은 어려운 현실이다.[328][329]
4. 2. 2세대 빈곤 완화 접근 방식
2세대 빈곤 완화 접근 방식은 부모와 자녀가 빈곤의 굴레에서 벗어나 정신적, 육체적, 재정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한 상태로 가족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교육, 건강 및 사회 서비스와 기회에 초점을 맞춘다.[23] 이는 빈곤 완화를 위한 전체론적 계획이며 "저소득층 부모와 자녀가 상황을 개선하는 데 필요"하다.[23]2세대 접근 방식을 통해 부모는 추가적인 경력 기술을 배우고, 리더십 훈련을 받으며, 더 높은 임금을 받는 직업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아이들은 더 나은 교육 프로그램, 무료 유치원, 무료 보육 서비스, 학교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물품을 얻을 수 있다. 가족 구성원은 빈곤으로 인한 현재의 스트레스 요인과 아동기 외상에 대한 상담을 받는다. 모든 가구 구성원은 단기적으로 기본적인 필요 스트레스 요인을 완화하기 위해 전체적인 건강 관리 혜택, 가정 및 학교에서의 식량 서비스, 청구서, 의류, 교통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받으며, 이는 가족이 배우고 성장할 시간을 갖지 못하게 한다.[23] 헤드 스타트는 유아에게 효과가 있는 유일한 시스템은 아동 전체, 즉 건강과 부모의 성공 능력을 고려하는 것이라고 믿는다.[23]
생활보호 세대의 경우, 아이들은 진학 및 진로에 대한 불안, 등교 거부, 은둔형 외톨이, 학력 부진 등의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으며, 부모 역시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206] 아이가 있는 세대의 70%는 모자가정[206]이므로, 한부모 가정 특유의 육아 부담이 있으며, 수급 어머니의 건강 악화가 아이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207]
일본 미노오시의 "아이 성장 관찰 시스템"은 가정 환경, 경제 상황, 복지 수급 상황, 학력 및 생활 습관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분석한다. 생활 곤궁도가 높은 가정의 아이일수록 학력 편차가 낮고, 비인지 능력과 가정의 경제 상황, 양육 상황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09] 일본 재단은 빈곤 상태 아이들의 학력이 10세를 기점으로 급격히 저하되며, 나이가 들수록 격차가 확대된다고 보고 있다. 비인지 능력은 곤궁 세대와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저학년 때부터 차이가 크지만, 빈곤 속에서도 학력이 높은 아이는 비인지 능력이 높으며, 기초적인 신뢰나 생활 습관 등 비인지 능력 육성이 중요하다고 결론 내린다.[210]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대한민국 등 선진국에서는 빈곤 가정이나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는 아이들에 대한 포괄적인 지원을 도입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아이들에 대한 조기 지원은 효율성이 높은 사회 투자이다.[309]。 일본의 보육·유아 교육 일체형 교육 도입 시에도 이러한 내용이 참고되었다.[310]
1960년대 미국 미시간의 페리 스쿨에서 흑인 빈곤 가정의 3~4세 아이들에게 좋은 유아 교육을 받게 하는 사회 실험이 이루어졌고, 40년간 추적한 결과 유아 교육을 받은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고등학교 졸업률, 주택 소유율이 높고, 체포된 사람이 적고, 수입도 높았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제임스 헤크만은 페리 스쿨 등의 성과를 근거로 5세까지의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311]하며, 유아기의 투자는 수익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일본에 적용할 때 "미국에는 공적인 보육 제도가 없기 때문에, 영유아기에 특히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됩니다. 일본에는 보육원이 있으므로, 여기에 추가 투자를 함으로써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는 별도로 생각해야 합니다."[312]라는 지적도 있다.
4. 3. 긴축 정책 비판
마크 블라이스는 2014년 저서에서 긴축 정책이 성장을 촉진하지 못하고, 부채를 노동 계급에게 전가한다고 주장했다.[45] 앤드루 갬블 등 많은 학자들은 영국의 긴축 정책을 경제적 필요성보다는 이념에 의해 추진되는 국정 운영 도구로 본다.[46] 2017년 11월 ''The BMJ''에 발표된 연구는 보수당 정부의 긴축 프로그램이 2010년 이후 약 12만 명의 사망과 연관되어 있다고 밝혔으나, 인과 관계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이유로 논란이 되었다.[47][48] 긴축 정책은 인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소득 지원 감소와 관련된 노령층 사망률 증가,[49] 자살 증가, 정신 건강 문제 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처방 증가,[50] 교도소 내 폭력, 자해 및 자살 증가 등이 있다.[51][52]영국에서는 토니 블레어 총리가 1999년 아동 빈곤 퇴치를 선언하고[273] 2004-05년까지 아동 빈곤율을 25% 삭감한다는 목표를 세워 거의 달성했지만, 경제 위기 이후 정권 교체와 함께 아동 수당 삭감 등의 정책으로 아동 빈곤이 증가했다.[274] 한편, 토니 블레어는 입양에도 관심을 가졌는데, 그의 아버지가 혼외 자식으로 입양되어 성장했기 때문이라고 가디언지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275]
영국에서는 일하는 것보다 더 많은 공적 부조가 문제가 되어[276][277][278][279], 2013년 4월부터 제도 개혁이 시행되었다. 캐머런 총리는 선지에서 "성실하게 일하는 사람들보다 생활 보호 수급자가 더 많은 수입을 얻는 상황은 '미쳐 돌아가는 것'"이라며 생활 보호 제도 개혁을 옹호했다.[280][281]
미국의 공적 부조로는 "요부양 아동 가정 부조(AFDC[282])"가 있었고, 이를 대체하여 1996년 "개인 책임 및 취업 기회 일치법(PRWORA[283])"에 따라 "빈곤 가족 임시 부조(TANF[284])"가 시행되었다. AFDC와 TANF는 빈곤 아동이 있는 모자 가정·부자 가정을 주 대상으로 하며, 장애인이나 고령자에게는 "보충적 보장 소득(SSI[285])" 제도를 통해 빈곤 대책을 실시한다.[286] TANF는 빈곤 가족에 기한부 생활 부조를 제공하고 취업 지원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60개월 수급 제한, 취업·직업 훈련 의무화, 고용 지원, 육아 케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287] 1994년 AFDC 수급 가구는 약 500만 가구였고, AFDC 수급 아동의 절반 이상이 혼외자였으며, 장기 수급 문제도 있었다.
1975년 사회 보장법 개정에서는 아동 부양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부모에게서 양육비를 징수하는 「아동 부양 강제」[289] 프로그램이 규정되었다. 1996년 복지 개혁법에 의해 AFDC는 TANF로 재편되었고, TANF는 취업 촉진, 혼외 임신 예방, 양친 가정 형성 등을 목표로 한다. 수급자는 취업 의무가 있으며, 불응 시 급여가 삭감되거나 정지되고, TANF 수급 중 새로 아이가 태어난 경우 추가 급여를 거부할 수 있다.[290] TANF는 자립·취업 지원으로 수급자가 감소하고 있으며,[287] 주 정부는 TANF에서 벗어난 사람에게도 일정 소득까지 지원을 지속하는 효과를 낳고 있다.[291]
TANF 지급 기간은 평생 60개월(5년)로 제한된다. 일본에서도 이혼 증가에 따른 모자 가구 증가로 복지 수당 지급보다는 취업을 통한 자립을 지원하는 워크 페어형 개혁이 추진되고 있다. TANF는 일본의 생활 보호 제도보다 더 취업 촉진적인 제도로 나타났지만, 일본의 가동률이 더 높았다.[286]
스웨덴의 사회 보험은 국가 권한으로 실시되며, 거주 기반 급여와 노동 시장 참여 기반 급여의 2단계로 구성된다. 사회 부조는 코뮌(기초 자치단체)에 위임되어 운영되며, 코뮌 간 차이가 크고 급여 수준도 다르다. 사회 부조 수급 자격은 매우 엄격하여 소유물 매각, 취업 프로그램 참여 등이 강요된다. 1990년대 경제 위기로 사회 부조 비용 증가, 수급자 수 증가, 수급 기간 장기화 문제가 발생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사회 부조 수급자 수를 절반으로 줄이는 목표가 설정되었고, 청년층과 모자 가정 사회 부조 수급자에게는 경도 지적 장애, 의사 소통 능력 결여, 가정폭력 피해, 약물 중독 등 다양한 문제가 있었다. 장기 수급자 증가로 빈곤의 세대 간 계승 사례도 확인되었다. 2000년에는 복지 사무소에서 소셜 워커 피습 사건이 발생하여 복지 사무소 운영이 배타적으로 변했다.[292]
4. 4. 대량 수감 문제
일부 학자들은 미국 빈곤층의 대량 수감을 신자유주의의 부상과 연관 짓고 있다.[53][54] 사회학자 로익 바캉과 마르크스주의 경제 지리학자 데이비드 하비는 빈곤의 범죄화와 대량 수감이 경제적으로 소외된 인구 집단 사이의 사회적 불안정을 다루기 위한 신자유주의 정책이라고 주장했다.[55] 바캉에 따르면, 이러한 상황은 사회적 복지 국가의 축소와 징벌적 워크페어의 부상, 도시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증가, 공공 기능의 민영화, 경제적 규제 완화를 통한 노동 계급에 대한 집단적 보호 축소, 저임금 불안정 노동의 증가를 허용한 다른 신자유주의 정책의 시행에 따른 결과이다.[55] 반대로, 사회 상위 계층, 특히 상류층과 기업의 경제 범죄, 예를 들어 사기, 횡령, 내부자 거래, 신용 및 보험 사기, 자금 세탁, 상업 및 노동법 위반과 관련해서는 극도로 관대하다.[56] 바캉에 따르면, 신자유주의는 정부를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상위 계층에 대한 정부의 감시가 거의 없고 하위 계층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갖춘 "켄타우로스 국가"를 세운다.[57]4. 5. 개발도상국의 빈곤 퇴치
개발도상국에서는 제한적인 신용 및 자본 시장 접근, 극심한 환경 파괴, 부패한 거버넌스, 자본 도피, 열악한 교육 시스템, 질병 생태, 공공 의료 부족, 전쟁 및 열악한 사회 기반 시설 등 다양한 요인들이 가난의 대물림에 영향을 미친다.[64]제프리 삭스는 저서 ''빈곤의 종말''에서 가난의 대물림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그는 원조 기관이 벤처 자본가처럼 행동하여 스타트업 기업에 충분한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발도상국이 가난의 대물림에서 벗어나려면 2005년 G8 정상 회담에서 약속된[65] 충분한 원조가 필수적이다. 삭스는 극빈층이 인적 자본, 사업 자본, 사회 기반 시설, 자연 자본, 공공 제도 자본, 지식 자본 등 6가지 주요 자본 유형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며,[66] 가난한 사람들은 1인당 자본 수준이 매우 낮고, 세대를 거치면서 1인당 자본의 비율이 감소하여 빈곤에 갇힌다고 설명한다. 삭스는 대외 원조가 충분하면 가난한 국가의 자본 부족을 메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삭스는 공공 부문이 인적 자본(건강, 교육, 영양), 사회 기반 시설(도로, 전력, 물 및 위생, 환경 보전), 자연 자본(생물 다양성 및 생태계 보전), 공공 제도 자본(잘 운영되는 공공 행정, 사법 시스템, 경찰력), 지식 자본의 일부(건강, 에너지, 농업, 기후, 생태에 대한 과학 연구)에 주로 투자해야 한다고 제안한다.[67] 사업 자본 투자는 민간 부문에 맡겨야 하는데, 이는 민간 부문이 성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익성 있는 기업을 개발하기 위해 자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삭스는 공공 기관이 로스토우의 성장 단계 모형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공공재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지만, 사유재는 사기업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생산되고 분배된다고 주장한다.[68]
문헌에서는 가난의 대물림의 여러 다른 형태에 대해 논의하는데,[69] 여기에는 내륙국과 불량한 이웃, 폭력적인 갈등의 악순환, 농부와 중개인의 상호 의존적인 생계형 함정, 소규모 판매자의 운전자본 함정, 근로자와 기업 간의 낮은 기술 함정, 영양 부족과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 접근성 간의 영양 함정, 그리고 유혹과 비유혹 상품을 구별하기 어려운 개인의 행동 함정 등이 있다.
4. 6. 일본의 빈곤 대책
2000년 일본은 제1차 분권 개혁을 통해 생활보호법의 "최저 생활 보장"은 법정수탁사무로, "자립의 조장"은 자치사무로 분배하여 현금 급부는 국가, 상담 지원은 자치단체가 담당하게 되었다.[211] 2004년부터는 여러 자치단체에서 자립 지원 모델 사업이 시작되었고, 이의 일환으로 "어린이의 건전 육성 사업"이 추진되었다.[212] 자립 지원 사업 비용은 지방 자치단체가 부담하지만, 국고 보조금이 후생노동성 예산 범위 내에서 지원되며, 보조 비율은 2005년 1/2에서[213] 2012년 10/10으로 변동되었다.[214] 2015년부터는 생활 곤궁자 자립 지원법에 따라 학습 지원 사업 보조율이 절반으로 감소될 예정이다.[215] 전국 조사에서 생활 보호 아동 학습 지원을 하지 않는 자치단체는 인력 부족과 함께 재원 확보 문제를 겪고 있다.[216]25세 남성이 80세까지 생활보호를 받을 경우, 세금 및 사회 보험료 손실액을 합하면 최대 1억 5천만 엔을 넘는다.[217]
생활보호 자녀 세대의 자립을 돕기 위해 "어린이 지원원" 배치[218]가 시작되고 있으며, 2012년 가나가와현의 관련 예산은 15,731천 엔이었다.[219] 생활보호 케이스 워커는 아이와 직접 대화하는 경우가 드물다.[220] 이들은 생활보호 수급자의 가치관이 찰나적이고 가족 간 불신이 강하다고 인식한다.[221]
빈곤의 연쇄는 학력, 10대 출산 등과 관련이 깊다.[222] 도내 생활보호 세대의 전일제 고등학교 진학률은 70%에 미치지 못하며,[223] 중퇴율도 높다.[224] 에도가와구에서는 1987년부터 생활보호 세대 자녀를 위한 학습 지원을 하고 있다.[225] 사이타마현은 교원 OB 등이 참여하는 학습 지원을 통해 고등학교 진학률을 높였으나,[226][227][228][229] 중퇴율이 높아 2013년부터 무료 학습 교실을 운영하여 성과를 거두고 있다.[230][231] 중퇴자의 약 60%가 무직 상태이므로, 고등학교 졸업과 안정된 취업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232] 2014년에는 학습 교실 참가자의 고등학교 진학률이 97.7%로 상승했고, 고등학교 중퇴율은 4.6%로 개선되었다.[233] 도쿄도는 생활보호 가정에 학원비 보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234] 부모의 학력도 중요하므로, 부모에 대한 학습 지원도 필요하다.[235]
고등학교 중퇴 방지는 미성년자 임신, 아동 학대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236] 젊은 생활 곤궁자 중에는 학습이 서투른 아이들이 있으며, 이들에게는 기술, 직업 교육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112][237]
2013년 3월, 일본 국회 내에서 ''''아동 빈곤 대책법'''' 제정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다.[293] 자민당과 민주당의 법안은 대체로 일치했으나, 자민당 안에는 빈곤율 감축 수치 목표가 없었다.[294][295] 일본변호사연합회는 수치 목표 없는 법률은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며, 보육 시설 확충 등을 제안했다.[296] 아동 빈곤 대책 법안은 2013년 6월에 성립되어,[297] 정부의 대강 제정 의무와 도도부현의 계획 책정 노력 의무가 부과되었다.[298]
제2차 아베 내각 각료의 63%가 세습 의원이며,[299] 아소 다로 등은 귀족원 가계 출신이다.[300][301] 국회의원 공탁금은 300만 엔으로, 정치 참여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302] 2014년 최고재판소 장관으로 임명된 테라다 이쓰로는 아버지에 이어 장관직을 맡게 되었다.[303]
유니세프는 아동 빈곤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정책 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304] 도쿄도아라카와구는 아동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검토위원회를 발족하고 자치단체 시스템 구축을 모색했다.[305] 가나가와현은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연구를 실시했다.[306] 도쿄도기타구는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빈곤 학생을 지원하고 있다.[307] 2013년 전국 조사에서 아동 빈곤 대책 전담 부서가 있는 자치단체는 2.4%에 불과했다.[308]
5. 빈곤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아동은 빈곤의 악순환에 가장 취약하다.[58] 아동은 보호자에게 의존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빈곤하면 아동도 빈곤하게 된다. 아동은 나이, 경험 및 직업 부족 등으로 인해 스스로 빈곤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어린 시절 빈곤을 경험하면서 얻는 상처는 성인기까지 이어진다. 어린 시절에 특정한 빈곤 관련 행동을 배우면, 그러한 행동이 지속될 가능성이 더 높다.
가구 구조는 때때로 아동 빈곤과 관련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빈곤한 아동은 한부모 가구(대부분 모계) 출신인 경향이 있다. 1997년, 미국의 빈곤 아동 중 거의 850만 명(57%)이 한부모 가구 출신이었다.[59] 이혼율과 혼외 출산율이 증가함에 따라 한부모 가구에서 태어나거나 한부모 가구로 전락하는 아동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도시와 농촌의 빈곤 아동 모두 학교, 이웃, 지역 사회에서 비빈곤 아동으로부터 고립될 가능성이 더 높다. 빈곤 아동은 사회 경제적 지위 때문에 고립되면, 그 지위가 개선되지 않는 한 그것을 극복하기 어렵다. 따라서 빈곤 아동은 더 긴장된 관계를 가지며, 이는 때때로 비정상적이고 비건설적이거나 설명할 수 없는 행동으로 이어진다.
빈곤 아동의 필요를 특별히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 있다. 프랜시스 매리언 대학교의 빈곤 아동 교사 양성 우수 센터는 빈곤 아동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 더 효과적인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여러 계획을 가지고 있다. 헤드 스타트는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조기 아동 교육과 부모 참여를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아동의 학업 성과가 향상되지만, 빈곤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자금 부족으로 인해 시설의 질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60]
빈곤 아동이 성장하는 지역 사회는 종종 범죄가 만연한 지역이다. 미국의 이러한 지역의 예로는 할렘과 브롱스가 있다.[61] 어린 나이의 범죄와 학대는 아동의 학습 능력을 최대 5%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62] 범죄 생활 방식을 채택하는 것은 빈곤의 악순환의 영향을 더욱 악화시킨다.[63]
참조
[1]
서적
Cambridge IGCSE Sociology Course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논문
Poverty Traps
2005
[3]
서적
Social Inequality: Patterns and Processes
McGraw Hill Publishing
[4]
웹사이트
Cycle of poverty
http://encyclopedia.[...]
[5]
서적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overty
aha! Process, Inc.
[6]
웹사이트
Why the Poor Don't Work, According to the Poor
https://www.theatlan[...]
[7]
문서
Nickel and Dimed
[8]
웹사이트
A Place Called Jubilee
https://think.kera.o[...]
[9]
웹사이트
Work sick or lose pay?: The high cost of being sick when you don't get paid sick days
https://www.epi.org/[...]
2024-05-02
[10]
웹사이트
One Day, Two Dollars
https://think.kera.o[...]
[11]
논문
A Behavioral-Economics View of Poverty
http://nrs.harvard.e[...]
2004-04-01
[12]
논문
Mind sets and methods: poverty strategies and the awkward potential of the enabling state
2006-02
[13]
웹사이트
How Adults Communicate Bias to Children
https://greatergood.[...]
2017-01-31
[14]
웹사이트
Bias in how we learn and make decisions
https://www.scienced[...]
2016-04-26
[15]
웹사이트
NCCP | Childhood and Intergenerational Poverty
http://www.nccp.org/[...]
2009-11-30
[16]
뉴스
Census Bureau: California has highest poverty rate in U.S.
https://www.upi.com/[...]
2018-09-13
[17]
논문
Perspectives of social justice among people living with mental illness and poverty: a qualitative study
2014-06-01
[18]
웹사이트
How Poverty Makes Workers Less Productive
https://www.npr.org/[...]
[19]
웹사이트
Mobility Is a Problem; Now What?
https://web.archive.[...]
Brookings Institution
2011-12-23
[20]
웹사이트
Creating an Opportunity Society
https://web.archive.[...]
Brookings Institution
2009-10-27
[21]
논문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life opportunities: Shifting the narrative
2017-01
[22]
뉴스
Council Post: Using Technology To Combat Intergenerational Poverty
https://www.forbes.c[...]
2017-09-06
[23]
뉴스
Report: Two-Generation Approach is Needed to Break Poverty Cycle
https://magicvalley.[...]
2017-11-24
[24]
논문
The Brain on Stress: Vulnerability and Plasticity of the Prefrontal Cortex over the Life Course
2013-07
[25]
논문
Stress Effects on Neuronal Structure: Hippocampus, Amygdala, and Prefrontal Cortex
2016-01
[26]
뉴스
I am just a poor boy though my story's seldom told
https://www.economis[...]
2009-04-04
[27]
서적
Family Background and Economic Success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서적
Dynamics of Inequality and Poverty
https://books.google[...]
Elsevier
[29]
논문
Want Ads and Jobs for the Poor: A Glaring Mismatch
https://www.jstor.or[...]
2023-05-30
[30]
논문
Modern education's 'cycle of poverty'
2006-09
[31]
논문
Center-based early care and education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Do impacts vary by neighborhood poverty?
https://figshare.com[...]
2018-04
[32]
서적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overty
Aha! Process
[33]
서적
The Culture of Poverty: A Critique
Simon & Schuster
[34]
서적
Perspectives on Poverty
Praeger
[35]
뉴스
'Life shocks' tip people into hardship
http://www.nzherald.[...]
2011-09-26
[36]
뉴스
New Zealand Living Standards 2004
https://web.archive.[...]
2009-06-20
[37]
뉴스
Editorial: Shock the ministry missed
http://www.nzherald.[...]
2006-07-15
[38]
논문
Poverty, tracking,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ilure: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racking
2003-03
[39]
서적
Multiplying inequalities : the effects of race, social class, and tracking on opportunities to learn mathematics and science
Rand
1990
[40]
간행물
States and Localities.
CQ Researcher
2007
[41]
논문
Do Social-Welfare Policies Reduce Poverty? A Cross-National Assessment
http://www.lisdatace[...]
1999-03
[42]
서적
Children in jeopardy can we break the cycle of poverty?
Yale Child Study Center, Distributed by Yale UP
1996
[43]
웹사이트
The Harlem Children's Zone Project: 100 Blocks, One Bright Future
https://web.archive.[...]
2008-10-12
[44]
웹사이트
Barack Obama and Joe Biden's Plan to Combat Poverty
https://web.archive.[...]
2008
[45]
서적
Austerity: The History of a Dangerous Idea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46]
간행물
Austerity as Statecraft
2015-01
[47]
뉴스
Landmark study links Tory Austerity to 120,000 deaths
https://www.independ[...]
2017-11-15
[48]
웹사이트
Health and social care spending cuts linked to 120,000 excess deaths in England
https://blogs.bmj.co[...]
2017-11-15
[49]
논문
Austerity and old-age mortality in England: a longitudinal cross-local area analysis, 2007–2013
2016-03
[50]
논문
Trends in mental health inequalities in England during a period of recession, austerity and welfare reform 2004 to 2013
2015-12-01
[51]
논문
Rolling back the prison estate: the pervasive impact of macroeconomic austerity on prisoner health in England
[52]
논문
Contextualising the pervasive impact of macroeconomic austerity on prison health in England: a qualitative study among international policymakers
[53]
논문
Are Private Prisons to Blame for Mass Incarceration and its Evils? Prison Conditions, Neoliberalism, and Public Choice
https://ir.lawnet.fo[...]
Fordham University School of Law
2014-09-07
[54]
서적
Caught: The Prison State and the Lockdown of American Politics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55]
웹사이트
Loïc Wacquant: "Prisons of Poverty"
http://notes-taken.b[...]
2010-09-29
[56]
웹사이트
The punitive regulation of poverty in the neoliberal age
https://web.archive.[...]
2011-08-01
[57]
논문
Feeding the School-to-Prison Pipeline: The Convergence of Neoliberalism, Conservativism, and Penal Populism
http://cedar.wwu.edu[...]
Woodring College of Education,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58]
논문
Patterns of Childhood Poverty: New Challenges for Policy
1994
[59]
논문
Poverty and Inequality Among Children
1997-08
[60]
논문
Center-based early care and education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Do impacts vary by neighborhood poverty?
https://figshare.com[...]
2018-04
[61]
뉴스
Violence rises in New York City's housing developments, statistics show
https://www.nydailyn[...]
2011-01-18
[62]
웹사이트
Child Abuse Affects Teen Learning.
http://www.medpageto[...]
2010-12-06
[63]
문서
[64]
논문
Poverty trap formed by the ecology of infectious diseases
2010
[65]
문서
Flight Capital as a Portfolio Choice.
Development Research Group, World Bank.
[66]
서적
The End of Poverty.
Penguin Books
2006
[67]
서적
The End of Poverty.
Penguin Books
2006
[68]
서적
The End of Poverty
Penguin Books
2006
[69]
문서
The Bottom Billion: Why the Poorest Countries are Failing and What Can Be Done About It
[70]
웹사이트
Cycle of poverty
http://encyclopedia.[...]
Hutchinson Encyclopedia
[71]
서적
Social Inequality: Patterns and Processes
McGraw Hill publishing
2008
[72]
서적
Culture and Poverty
University of Chicago
1968
[73]
문서
development trap
[74]
간행물
貧困の世代間連鎖の実証研究
http://www.jil.go.jp[...]
2013-06-11
[75]
간행물
東京大学学生生活委員会学生生活調査室 2007年(第57回)学生生活実態調査の結果
http://www.u-tokyo.a[...]
[76]
웹사이트
「子どもの貧困」に関する経済的影響を推計
https://www.nippon-f[...]
2015-12-01
[77]
간행물
厚生労働省「生活支援戦略 中間のまとめ参考資料 2012年7月5日
https://www.mhlw.go.[...]
[78]
간행물
厚生労働省「「貧困の連鎖」の防止のための取組(関係資料)」
http://www.mhlw.go.j[...]
[79]
간행물
「厚生労働省第6回社会保障審議会生活保護基準部会資料4 被保護母子世帯における貧困の世代間連鎖と生活上の問題」2012年10月4日
https://www.mhlw.go.[...]
2012-10-04
[80]
서적
生活保護が危ない
扶桑社新書
2008-09-01
[81]
간행물
第1回児童部会ひとり親家庭への支援施策の在り方に関する専門委員会議事録 海野委員 (全国母子寡婦福祉団体協議会理事)発言 2013年5月29日
https://www.mhlw.go.[...]
2013-05-29
[82]
서적
ドキュメント高校中退
ちくま新書
2009-10-10
[83]
간행물
日本性教育協会 10 代の妊娠のリスク・ファクター
http://www.jase.faje[...]
2013-12-16
[84]
서적
アメリカのアンダークラス
明石書店
1999
[85]
간행물
公益財団法人荒川区自治総合研究所子どもの貧困・社会排除問題研究プロジェクト最終報告書「地域は子どもの貧困・社会排除にどう向かい合うのか― あらかわシステム」p32-32 2011年8月
http://www.city.arak[...]
2011-08
[86]
서적
生活保護と日本型ワーキングプア
ミネルヴァ書房
2009
[87]
간행물
厚生労働省第6回社会保障審議会生活保護基準部会議事録 道中隆委員発言 2011年10月4日
https://www.mhlw.go.[...]
2011-10-04
[88]
논문
生活保護受給母子世帯の自立支援課題--生活保護ケースワーカーの役割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大学院教育学研究科・教育福祉論分野
[89]
서적
生活保護vsワーキングプア
php研究所
2008
[90]
뉴스
生活保護受給者、214万2千人 過去最多を更新 2013年1月22日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3-01-22
[91]
간행물
厚生労働省 被保護者全国一斉調査 基礎調査 2000年第8表、2010年第9表
https://www.e-stat.g[...]
[92]
문서
東京都児童福祉法施行細則 別表1
[93]
간행물
平成23年被保護者全国一斉調査基礎調査 第2表
https://www.e-stat.g[...]
[94]
간행물
厚生労働白書2012年度版
https://www.mhlw.go.[...]
[95]
간행물
OECD 東京センター主要統計18.貧困、格差統計「子供の貧困率」
http://www.oecdtokyo[...]
2013-04-26
[96]
간행물
厚生労働白書2012年度版
https://www.mhlw.go.[...]
[97]
간행물
独立行政法人 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周燕飛 2012年2月29日
http://www.jil.go.jp[...]
2012-02-29
[98]
서적
子どもの貧困
岩波新書
2008-11-20
[99]
서적
大震災と子どもの貧困白書
かもがわ出版
2012
[100]
간행물
第3回社会保障審議会生活保護基準部会「資料1:第2回部会等における委員の依頼資料」厚生労働省社会・援護局保護課 2012年6月28日
https://www.mhlw.go.[...]
2012-06-28
[101]
간행물
内閣府 「我が国の生活保護制度の諸問題にかかる主要各国の公的扶助制度の比較に関する調査報告書」 p24 平成16年3月
https://www.cao.go.j[...]
2004-03
[102]
간행물
「厚生労働省:第5回生活保護費及び児童扶養手当に関する関係者協議会 資料 2005年10月19日
https://www.mhlw.go.[...]
2005-10-19
[103]
간행물
総務省統計研究所 西文彦 2012年7月14日
http://www.stat.go.j[...]
2012-07-14
[104]
간행물
厚生労働省 福祉行政報告例(平成24年10月分概数) 第3表 2013年3月1日閲覧
https://www.mhlw.go.[...]
2013-03-01
[105]
간행물
厚生労働省児童部会ひとり親家庭への支援施策の在り方に関する専門委員会議事録 三木委員 (戸田市こども青少年部長)大塩委員 (全国母子生活支援施設協議会会長)発言部分 2013年5月29日
https://www.mhlw.go.[...]
2013-05-29
[106]
웹사이트
労働と家庭からの排除~アンダークラス化する若年女性問題~ 宮本みち子 労働政策フォーラム 2014年6月21日
http://www.jil.go.jp[...]
[107]
웹사이트
シングルマザーの就業と経済的自立 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2013年11月20日閲覧
http://www.jil.go.jp[...]
[108]
웹사이트
阿部彩 貧困統計ホームページ 2015年9月8日
http://www.hinkonsta[...]
[109]
논문
アメリカの養育費制度についての一考察
https://hdl.handle.n[...]
京都産業大学法学会
[110]
논문
イギリスにおける養育費政策の変容 : 子どもの貧困対策との関連から
https://doi.org/10.1[...]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111]
간행물
生活保護制度および養育費取り決めが養育費受給に与える影響の研究
http://www3.grips.ac[...]
政策研究大学院大学
2020-06-06
[112]
웹사이트
文部科学省今後の高校教育の在り方に関するヒアリング(第3回)「青砥恭氏(一般社団法人彩の国子ども・若者支援ネットワーク代表理事)意見発表 2012年12月16日
https://www.mext.go.[...]
[113]
웹사이트
「貧困の連鎖」の解消へ 子ども育てる社会的ネットワークを 東京土建一般労働組合 2011年1月1・10日号第1982号
http://www.tokyo-dok[...]
[114]
웹사이트
子どもの貧困~すべての子どもの生存と発達を保障するために~ 第53 回人権擁護大会シンポジウム第1分科会実行委員会 資料P25,P28 2010年10月7日
http://www.nichibenr[...]
[115]
논문
自分の子どもを虐待した母親の研究--養育のための社会保障の充実を求めて
https://hdl.handle.n[...]
創価大学大学院
[116]
논문
虐待事例に表われる障がいと貧困 : 家族の脆弱性という視点から (特集 社会的排除と子どもの貧困)
https://doi.org/10.1[...]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117]
웹사이트
日本子ども家庭総合研究所 平成15年度厚生労働科学研究費補助金(子ども家庭総合研究事業)分担研究報告書 児童相談所が対応する虐待家族の特性分析~被虐待児及び家族背景に関する考察 2013年12月18日閲覧
http://www.aiiku.or.[...]
[118]
웹사이트
東京都福祉保険局「児童虐待の実態II」
http://www.fukushiho[...]
2002-12
[119]
서적
「子どもの貧困白書」p235 東京都北児童相談所 川松亮著部分 子どもの貧困白書編集委員会編 明石書店 2009年
[120]
서적
「子ども虐待と貧困」p21 松本伊智朗編著 子どもの貧困白書編集委員会編 明石書店 2009年
[121]
웹사이트
同志社大学公開セミナー子どもの貧困に対する政策を考える 子どもの貧困と「重なりあう不利」松本伊智朗 2012年1月9日
http://gpsw.doshisha[...]
[122]
논문
子どもの貧困と「重なり合う不利」 : 子ども虐待問題と自立援助ホームの調査結果を通して (特集 日英における貧困・社会的包摂政策 : 成功,失敗と希望)
https://www.ipss.go.[...]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123]
웹사이트
発達障がいと子ども虐待 - 日本精神神経学会 杉山登志郎(浜松医科大学児童青年期精神医学講座)2015年3月26日閲覧
http://www.jspn.or.j[...]
[124]
서적
「子ども虐待と貧困」p88 松本伊智朗編著 子どもの貧困白書編集委員会編 明石書店 2009年
[125]
서적
「子ども虐待と貧困」p210 山野良一著部分 松本伊智朗編著 明石書店 2010年
[126]
웹사이트
長男虐待死で逮捕の母親「いまも妊娠5か月・11月に次の子」の怖さ
https://www.j-cast.c[...]
2012-07-11
[127]
웹사이트
密室の悲劇 苫小牧民報社
http://www.tomamin.c[...]
[128]
웹사이트
判例@pedia - 裁判所判例サイト 殺人,死体遺棄,保護責任者遺棄被告事件(苫小牧幼児置き去り餓死事件)(平成19(わ)24)
http://hanrei.atpedi[...]
[129]
웹사이트
埼玉県児童虐待重大事例検証委員会報告書概要版 埼玉県児童虐待重大事例検証委員会 2010年9月
http://www.pref.sait[...]
[130]
뉴스
肺炎を放置、1歳児死亡 滋賀県警、29歳母親を逮捕2012年6月29日
http://iryou.chunich[...]
中日新聞 中日メディカルサイト
[131]
뉴스
1歳児放置死:チャットに夢中…危険シグナル検証へ2012年09月04日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132]
뉴스
傷害致死:5歳の長男殴り死なす 容疑の父を逮捕…警視庁
http://mainichi.jp/s[...]
2013-09-07
[133]
웹사이트
川崎市児童福祉審議会第4部会 平成21年12月川崎市児童虐待死亡事例検証報告書 2013年11月15日閲覧
http://www.crc-japan[...]
[134]
뉴스
2014年2月2日閲覧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135]
뉴스
暴行容疑父を逮捕
東京新聞
2014-01-31
[136]
웹사이트
児童虐待による死亡事例等検証報告書 福岡市児童福祉審議会権利擁護等専門部会 2013年6月
http://www.city.fuku[...]
[137]
뉴스
足立区男児不明:両親逮捕…監禁致死容疑 異例、遺体未発見 毎日新聞 2015年04月28日 11時30分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138]
웹사이트
門真市 不正受給は犯罪 「生活保護法違反で刑事告訴へ」 2012年3月16日
http://www.city.kado[...]
[139]
논문
生活困難な家庭の児童の学習支援はなぜ大切か : 高校就学保障のしくみに至る経過
http://id.nii.ac.jp/[...]
こども教育宝仙大学
[140]
서적
「生活保護が危ない」P29道中隆氏調査記述部分 産経新聞大阪社会部 扶桑社新書 2008年9月1日
[141]
서적
ルポ 生活保護
中公新書
2010-08-25
[142]
웹사이트
「子どもの健全育成プログラム策定推進モデル事業の一年間の取組み報告」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2011-05-06
[143]
웹사이트
ニートの状態にある若年者の実態および支援策に関する調査研究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3-12-19
[144]
웹사이트
平成23年版子ども・若者白書 本編 > 特集 > 2 「若者の意識に関する調査(高等学校中途退学者の意識に関する調査)」結果から
https://www8.cao.go.[...]
2013-11-11
[145]
웹사이트
平成22年被保護者全国一斉調査 2010年 基礎調査第15表
http://www.e-stat.go[...]
[146]
웹사이트
母フィリピン帰国中、3歳餓死か 中学生姉「妹が動かない」
http://hochi.yomiuri[...]
スポーツ報知
2013-02-21
[147]
뉴스
3歳女児餓死か
東京新聞
2013-02-21
[148]
웹사이트
毎日jp 群馬女児死亡:母、3年前にも放置 1年以上連絡取れず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3-03-05
[149]
문서
各自治体の児童福祉法第56条の規定に基づく費用の徴収に関する規則 保育所に係る徴収金項目
[150]
웹사이트
スポニチ 母子3人無理心中か…「みんな死んだらいい」マンションから叫び声
http://www.sponichi.[...]
2012-04-15
[151]
웹사이트
大阪市 大阪市社会福祉審議会 児童福祉専門分科会児童虐待事例検証部会の報告書を公表します
http://www.city.osak[...]
2013-09-11
[152]
뉴스
関西発外国人児童に夜間教室 大阪のボランティアら
http://osaka.yomiuri[...]
2013-11-01
[153]
간행물
三鷹ストーカー殺人裁判で判明 母親の性を巡る被告のトラウマ
週刊文春
2014-08-07
[154]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荒川区自治総合研究所子どもの貧困・社会排除問題研究プロジェクト最終報告書「地域は子どもの貧困・社会排除にどう向かい合うのか― あらかわシステム」p7
http://www.city.arak[...]
2011-08-01
[155]
뉴스
生活保護の中国人母ら「原発怖い」子供置き去り 帰国
産経新聞
2011-03-26
[156]
뉴스
産経新聞大阪夕刊社会面
2009-02-25
[157]
웹사이트
生活保護受給世帯における依存症問題
http://www.iff.co.jp[...]
アイエフエフ
2010-02-01
[158]
웹사이트
貧困の世代間連鎖は止められないのか「江戸川中3勉強会」25年目の夏に見た生活保護世帯の子どもたちの現実
https://diamond.jp/a[...]
2023-12-19
[159]
웹사이트
内閣府 ゼロから考える少子化対策プロジェクトチーム第6回会合 阿部彩氏提出資料
https://www8.cao.go.[...]
2010-04-21
[160]
웹사이트
矯正統計 年次 2011年 11-00-34表
https://www.e-stat.g[...]
[161]
웹사이트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性別高等学校・大学への進学率:1950~99年」
http://www.ipss.go.j[...]
2013-03-26
[162]
웹사이트
厚生労働省白書2012年度版
http://www.mhlw.go.j[...]
[163]
웹사이트
東京社会福祉学会 シンポジウム 「子どもの貧困に対する支援体制をめぐって」「少年非行と貧困」 -A少年院の事例から-
http://www.jssw.jp/a[...]
日本赤十字広島看護大学/法務省中国地方更生保護委員会
[164]
서적
大震災と子どもの貧困白書
かもがわ出版
2012
[165]
서적
子どもの貧困白書
明石書店
2009
[166]
웹사이트
毎日新聞 広島・呉の少女遺棄:逮捕の1少女、虐待受け生活保護 1Kで共同生活
http://mainichi.jp/a[...]
2013-07-20
[167]
웹사이트
広島16歳少女死体遺棄事件の様々な謎 「接客業」めぐるトラブル?の報道も
https://www.j-cast.c[...]
2023-12-19
[168]
웹사이트
平成23年被保護者全国一斉調査 基礎調査 年次 2011年第1表
https://www.e-stat.g[...]
[169]
웹사이트
産経新聞「奴隷になるか」と逮捕の女、被害少年脅す 加害少年は女宅で集団生活
https://web.archive.[...]
2013-12-10
[170]
웹사이트
日刊ゲンダイ 愛媛伊予市の「鬼ヤンママ」が17歳少女を“奴隷”にするまで
http://www.nikkan-ge[...]
2014-08-19
[171]
서적
最貧困女子
幻冬舎新書
2014
[172]
서적
彼女たちの売春
扶桑社
2012
[173]
뉴스
シングルマザー、追い詰められて 今そこにある貧困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4-07-26
[174]
웹사이트
貧困にあえぐシングルマザー 格安シッター選ぶしかない現状
https://www.news-pos[...]
2023-12-19
[175]
뉴스
複数の児童の裸、撮影した疑い ベビーシッター再逮捕へ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4-04-28
[176]
서적
「ルポ子どもの貧困連鎖」
光文社
2012
[177]
서적
ルポ若者ホームレス
筑摩書房
2011
[178]
간행물
社会的排除にいたるプロセス~若年ケース・スタディから見る排除の過程~
https://www.mhlw.go.[...]
社会的排除リスク調査チーム内閣官房社会的包摂推進室/内閣府政策統括官(経済社会システム担当)
2012-09
[179]
서적
「子どもの貧困白書」
明石書店
2009
[180]
뉴스
NHK2013年12月10日(火曜)再放送12月17日(火曜)シリーズ貧困拡大社会 第19回見えない世界に生きる 知的障害の女性たち
http://www.nhk.or.jp[...]
[181]
서적
子どもの貧困
明石書店
2008-04
[182]
웹사이트
児童養護施設の闇と光。
http://nagashimayuri[...]
2023-12-19
[183]
논문
貧困の世代的再生産と子育て —ある母・子のライフヒストリーからの考察—
2009
[184]
간행물
内閣府子ども・子育て新システム検討会議作業グループ基本制度ワーキングチーム第7回会合議事録
https://www8.cao.go.[...]
2010-12-15
[185]
PDF
厚生労働省「社会的養護の現状について(参考資料)」2011年7月
https://www.mhlw.go.[...]
[186]
간행물
第1回社会保障審議会少子化対策特別部会:資料2-3 平成19年12月26日
https://www.mhlw.go.[...]
[187]
서적
施設で育った子どもたちの語り
明石書店
2012
[188]
서적
「ひとりぼっちの私が市長になった!」
講談社
2006
[189]
뉴스
NHK生活情報ブログ 施設内での性被害を無くす取り組み
https://web.archive.[...]
2011-12-08
[190]
간행물
児童養護施設等の社会的養護の課題に関する検討委員会・社会保障審議会児童部会社会的養護専門委員会とりまとめ「社会的養護の課題と将来像」2011年7月
https://www.mhlw.go.[...]
[191]
간행물
内閣府 ゼロから考える少子化対策プロジェクトチーム第6回会合 阿部彩氏提出資料
https://www8.cao.go.[...]
2010-04-21
[192]
서적
アメリカのアンダークラス
明石書店
1999
[193]
뉴스
MODERN EDUCATION'S 'CYCLE OF POVERTY.'
Society for The Advancement of Education
2006-09
[194]
서적
「大震災と子どもの貧困白書」
かもがわ出版
2012
[195]
간행물
文部科学省 「平成21年度文部科学白書」第1章 家計負担の現状と教育投資の水準 第1節家計負担の現状
http://www.mext.go.j[...]
[196]
간행물
みずほ情報総研「学力格差と子供の貧困」社会保障
http://www.mizuho-ir[...]
みずほ情報総研
2007-12-11
[197]
간행물
厚生労働省 貧困の連鎖の防止 2013年度予算概要
https://www.mhlw.go.[...]
[198]
간행물
OECD 東京センター主要統計18.貧困、格差統計「子供の貧困率」
http://www.oecdtokyo[...]
OECD 東京センター
[199]
서적
「子どもの貧困」
岩波新書
2008
[200]
서적
「子ども虐待と貧困」第3章
明石書店
2010
[201]
서적
「子どもの貧困白書」
明石書店
2009
[202]
서적
「子どもの貧困白書」
明石書店
2009
[203]
뉴스
janjan newsコラム【高村智庸の「ワイドショー事件簿」】八戸母子殺人事件 相反する精神鑑定の間での判決
http://janjan.voicej[...]
2009-04-15
[204]
뉴스
不登校、生活保護世帯で5倍 家庭の経済状況影響 琉球新報
https://web.archive.[...]
琉球新報
2016-02-06
[205]
서적
「子どもの貧困白書」
明石書店
2009
[206]
간행물
神奈川県保健福祉局「平成22年度子どもの健全育成プログラム策定推進モデル事業の一年間の取り組み
http://www.pref.kana[...]
神奈川県保健福祉局
2012-03
[207]
간행물
厚生労働省 第6回社会保障審議会生活保護基準部会資料「被保護母子世帯における貧困の世代間連鎖と生活上の問題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8]
서적
「出会い系のシングルマザーたち」
朝日新聞出版
2010
[209]
간행물
文部科学省 箕面市 「子供の貧困対策支援システム在り方と運用法に関する実証研究報告」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210]
간행물
日本財団「家庭の経済格差と子どもの認知・非認知能力格差の関係分析」(速報版)
https://www.nippon-f[...]
日本財団
[211]
간행물
全日本自治団体労働組合「釧路市における生活保護受給者自立支援の取り組みについて」北海道本部/社団法人北海道地方自治研究所 正木浩司
http://www.jichiro.g[...]
2010-11
[212]
간행물
平成17年3月31日社援発第0331021号厚生労働省社会・援護局長通知「セーフティネット支援対策等事業の実施について」別添1「自立支援プログラム策定実施推進事業実施要領」3(1)ク
http://wwwhourei.mhl[...]
2005-03-31
[213]
서적
ルポ 生活保護
中公新書
2010-08-25
[214]
간행물
平成24年4月5日厚生労働省発社援0405第9号「セーフティネット支援対策等事業費の国庫補助について」別紙「セーフティネット支援対策等事業費補助金交付要綱」別表
http://www.pref.shim[...]
2012-04-05
[215]
뉴스
国の補助率縮小見直しを 生活保護世帯の学習支援
http://www.chunichi.[...]
中日新聞
2014-05-29
[216]
보고서
平成25年度厚生労働省社会福祉推進事業 「子ども・若者の貧困防止に関する事業の実施・運営に関する調査・研究事業」報告書 P13 平成26(2014)年3月 加瀬 進(東京学芸大学 教育学部 特別支援科学講座 教授)
http://www.we-collab[...]
2014-03
[217]
간행물
内閣官房 社会保障改革に関する集中検討会議(第八回)
https://www.cas.go.j[...]
2012-05-23
[218]
간행물
神奈川県保健福祉局 活保護世帯の子どもの健全育成について
http://www.pref.kana[...]
2012-04-05
[219]
간행물
「神奈川県福祉保健局平成24年度当初予算(案)主要施策の概要(抜すい版)」
http://www.pref.kana[...]
[220]
서적
子どもの貧困 池谷秀登著部分
明石書店
2008
[221]
서적
貧困
ミネルヴァ書房
2018
[222]
간행물
厚生労働省 第6回社会保障審議会生活保護基準部会資料「被保護母子世帯における貧困の世代間連鎖と生活上の問題」
https://www.mhlw.go.[...]
[223]
간행물
東京都社会福祉協議会「低所得世帯の子どもの高校進学のための情報と支援」
http://www.tcsw.tvac[...]
[224]
뉴스
産経ニュース「貧困の連鎖絶ちたい」 堺市と関西大の生活保護世帯の高校生調査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2-09-06
[225]
뉴스
貧困の世代間連鎖は止められないのか「江戸川中3勉強会」25年目の夏に見た生活保護世帯の子どもたちの現実
https://diamond.jp/a[...]
2020-04-11
[226]
간행물
厚生労働省第8回社会保障審議会生活困窮者の生活支援の在り方に関する特別部会(平成24年9月28日)提出資料 p27
http://www.mhlw.go.j[...]
2012-09-28
[227]
뉴스
産経ニュース 「貧困の連鎖」防ぐ学習教室、各地で効果 生活保護受ける世帯主25%は受給世帯育ち
http://sankei.jp.msn[...]
産経ニュース
2013-01-24
[228]
간행물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特別講演会 NPO法人キッズドア
http://www.ipss.go.j[...]
2013-03-04
[229]
간행물
埼玉県生活保護受給者チャレンジ支援事業について
http://www.pref.sait[...]
[230]
뉴스
生活保護世帯:中退率が2倍 埼玉県、高校生に学習支援へ
http://mainichi.jp/f[...]
2013-02
[231]
뉴스
生活保護家庭:県の高校生支援スタート半年 子どもと1対1でじっくり 「必ず卒業」誓う生徒 /埼玉
http://mainichi.jp/a[...]
2013-11
[232]
간행물
埼玉県平成25年2月定例会 一般質問 荒井福祉部長
http://www.pref.sait[...]
[233]
간행물
埼玉県 知事の部屋 貧困の連鎖を断つ! 生活保護世帯の子供への教育支援
https://www.pref.sai[...]
2015-11-16
[234]
간행물
日野市議会議事録 2011.09.06 : 平成23年第3回定例会(第3日)清水登志子君質疑部分
http://asp.db-search[...]
[235]
간행물
被保護母子世帯の開始状況と廃止水準 -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藤原千沙・湯澤直美
https://oisr-org.ws.[...]
2010-06
[236]
간행물
第5回児童虐待対策専門部会 資料2被保護者の中学卒業後の進路状況
http://www.city.osak[...]
2011-10-17
[237]
간행물
大阪市西成特区構想有識者座談会報告書第3章 生活保護と地域福祉平成24年10月11日
http://www.city.osak[...]
2012-10-11
[238]
웹사이트
大阪市「子どもの家」廃止 子どもの貧困は家族の貧困
https://wedge.ismedi[...]
2012-06-27
[239]
간행물
NHK2014年4月2日(水曜)再放送4月9日(水曜)シリーズ 子どもクライシス 第2回「失われゆく“居場所”」
http://www.nhk.or.jp[...]
[240]
뉴스
産経ニュース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3-03-20
[241]
서적
「生活保護が危ない」P201-203
扶桑社新書
2008-09-01
[242]
웹사이트
平成27年度 里親シンポジウムの報告
https://www.city.sak[...]
堺市
2020-02-15
[243]
서적
「大震災と子どもの貧困白書」
かもがわ出版
2012
[244]
간행물
子どもの貧困~すべての子どもの生存と発達を保障するために~ 第53 回人権擁護大会シンポジウム第1分科会実行委員会 資料P144
http://www.nichibenr[...]
2010-10-07
[245]
간행물
厚生労働省 「生活保護の被保護母子世帯の日々の生活に関するアンケート結果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mhlw.go.[...]
2010-06-29
[246]
간행물
リジリエンスについて 庄司順一 青山学院大学教育人間科学部 人間福祉学研究第2巻第1号2009年11月
http://www.kwansei.a[...]
[247]
간행물
独立行政法人 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養育費の徴収と母子世帯の経済的自立 周 燕飛 2008年2月8日
http://www.jil.go.jp[...]
[248]
간행물
内閣府 ゼロから考える少子化対策プロジェクトチーム第6回会合 資料6 NPO法人Wink提出資料 2010年4月21日 2013年3月31日閲覧
https://www8.cao.go.[...]
2013-03-31
[249]
서적
生活保護と日本型ワーキングプア
ミネルヴァ書房
2009
[250]
서적
「養育費政策にみる国家と家族」
勁草書房
2008
[251]
뉴스
NHKあさイチ「消えた子ども 1191人はどこに?」2012年5月16日
http://www.nhk.or.jp[...]
2012-05-16
[252]
간행물
大阪市における幼児死亡事例検証結果報告書 2010年12月
http://www.crc-japan[...]
2010-12
[253]
뉴스
産経ニュース「自分も罪を背負って償っていく」と下村被告の父 2012.3.8 21:54
https://web.archive.[...]
2012-03-08
[254]
뉴스
産経ニュース 跡形もなく消える子供たち…「居所不明児童976人」という日本社会の“現実” 2013年8月17日
https://web.archive.[...]
2013-08-17
[255]
방송
日本テレビ スッキリ!! 2014年6月27日(金)08:00~10:25放映
2014-06-27
[256]
뉴스
日刊ゲンダイ 足立4歳児不明 両親は「生活保護500万円」で悠々暮らし 2014年6月29日
http://www.nikkan-ge[...]
2014-06-29
[257]
뉴스
<足立男児不明>保険金詐取容疑で両親を再逮捕 毎日新聞 2014年9月9日
http://news.goo.ne.j[...]
2014-09-09
[258]
간행물
厚生労働省 社会保障審議会生活困窮者の生活支援の在り方に関する特別部会(第1回)資料3-1 2012年4月26日
https://www.mhlw.go.[...]
2012-04-26
[259]
웹사이트
単身女性、3人に1人が貧困 母子世帯は57% - 働けど貧困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23-12-19
[260]
웹사이트
あなたの隣にもいる「貧困女子のビンボー生活」(フライデー) @gendai_biz
http://gendai.media/[...]
2023-12-19
[261]
간행물
第68次改定生活保護基準額表
http://web.keio.jp/~[...]
[262]
간행물
財務省主計職 社会保障予算P48 2013年10月
http://www.mof.go.jp[...]
2013-10
[263]
간행물
厚生労働省第6回社会保障審議会生活保護基準部会資料4 被保護母子世帯における貧困の世代間連鎖と生活上の問題 2011年10月4日
https://www.mhlw.go.[...]
2011-10-04
[264]
간행물
釧路公立大学 釧路市の母子世帯の母への就労支援に関する調査報告 2006年3月
http://www.kushiro-p[...]
2006-03
[265]
웹사이트
「生活保護率における地域間格差の原因分析のための調査」(全国市長会提出資料)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3-12-19
[266]
서적
ルポ 生活保護
中公新書
2010-08-25
[267]
간행물
厚生労働省社会保障審議会-福祉部会生活保護制度の在り方に関する専門委員会第14回資料1 2004年7月14日
https://www.mhlw.go.[...]
2004-07-14
[268]
간행물
厚生労働省 第2回「生活保護制度に関する国と地方の協議」2011年12月12日
https://www.mhlw.go.[...]
2011-12-12
[269]
논문
生活保護受給者の自立阻害要因と自立支援策--福岡県田川地区502ケースを対象とした分析より
http://id.nii.ac.jp/[...]
福岡県立大学
[270]
웹사이트
「子どもが病気、でも休めない…」“病児保育”で働く親をサポートする「ノーベル」高亜希さんに聞く、人が生きるために必要な5つのこと
https://greenz.jp/20[...]
2023-12-19
[271]
블로그
NPO法人フローレンス代表理事 駒崎弘樹ブログ 2015年3月8日
http://www.komazaki.[...]
2015-03-08
[272]
웹사이트
宇都宮市 母子家庭・父子家庭(ひとり親家庭)への支援策について知りたい。2015年11月8日閲覧
http://www.city.utsu[...]
2015-11-08
[273]
웹사이트
Pledge to eliminate child poverty
http://news.bbc.co.u[...]
2023-12-19
[274]
간행물
「子どもの貧困対策と現金給付」ジョナサン・ブラッドショー/所 道彦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2013年4月9日閲覧
https://www.ipss.go.[...]
2013-04-09
[275]
뉴스
Blair: 'Why adoption is close to my heart'
https://www.theguard[...]
2023-12-19
[276]
뉴스
【ナマポ問題が海を超えた】イギリス大家族が生活保護で年収893万円!「働いたらもらえなくなる」に只今炎上中 2012年05月30日
http://irorio.jp/nao[...]
2012-05-30
[277]
뉴스
closer online uk‘I claim 50k worth of handouts I don’t need! 29 May 2012
http://www.closeronl[...]
2012-05-29
[278]
웹사이트
親権欲しさの放火で子ども6人殺害、英国
https://www.afpbb.co[...]
2023-12-19
[279]
뉴스
THe sun We get £17,680 a year in benefits, buy 40 cigs a day, have a laptop and a home with 47-inch TV.. why work? 2013年1月27日
http://www.thesun.co[...]
2013-01-27
[280]
웹사이트
生活保護が「ライフスタイルの選択肢に」、英首相
https://www.afpbb.co[...]
2023-12-19
[281]
뉴스
Crazy situation where you earn more on benefits than you do at work ends NOW
http://www.thesun.co[...]
TheSun
2013-04-07
[282]
문서
Aid to Families with Dependent Children
[283]
문서
Personal Responsibility and Work Reconciliation Act
[284]
문서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
[285]
문서
Supplementary Security Income
[286]
간행물
生活保護制度は就労意欲を阻害しているか―アメリカの公的扶助制度との比較
http://www.jcer.or.j[...]
日本経済研究センター
[287]
간행물
アメリカの「意外に手厚い」生活保護制度
http://g2.kodansha.c[...]
G2|講談社
[288]
문서
Aid to Familieswith Dependent Children
[289]
문서
Child Support Enforcement
[290]
간행물
米国における96年福祉改革とその後
http://ndl.go.jp/jp/[...]
[291]
간행물
アメリカ福祉改革再考――ワークフェアを支える仕組みと日本への示唆――
http://www.ipss.go.j[...]
[292]
논문
固定化するスウェーデンの最貧困層--国際公共比較部門・公共政策部門合同対話研究会報告
https://opac.ll.chib[...]
千葉大学 公共研究センター
[293]
뉴스
目標設定 各党隔たり 子どもの貧困 対策法へ集会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3-03-30
[294]
간행물
民主党 子どもの貧困対策法の概要(案)
https://www.dpj.or.j[...]
[295]
뉴스
子どもの貧困対策法 自民案 数値目標盛り込まず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3-04-05
[296]
웹사이트
日本弁護士連合会:いわゆる「子どもの貧困対策法」の実効性確保のため、子どもの貧困率削減の数値目標の設定等を求める会長声明
https://www.nichiben[...]
2013-04-11
[297]
뉴스
子どもの貧困対策が成立 年内施行の見通し
http://news.infoseek[...]
朝日新聞デジタル
2013-06-19
[298]
간행물
参議院議案 子どもの貧困対策の推進に関する法律案第8条及び第9条
http://www.shugiin.g[...]
[299]
문서
父または祖父が議員であったことが確認できなかった大臣は下村博文、茂木敏充、太田明宏、小野寺五典、菅義偉、森まさこ、稲田朋美の7人
[300]
간행물
首相官邸 第2次安倍内閣 閣僚名簿
http://www.kantei.go[...]
[301]
문서
各閣僚wikipedia 家族・親族欄
[302]
문서
公職選挙法第92条・93条
[303]
웹사이트
最高裁長官の「世襲」に専門家「とても危ないと感じる」
https://dot.asahi.co[...]
2014-05-29
[304]
웹사이트
ユニセフ・イノチェンティ研究所 最新報告書発表 子どもの貧困削減を政策の優先課題に
https://www.unicef.o[...]
2012-05-29
[305]
간행물
地域は子どもの貧困・社会排除にどう向かい合うのか― あらかわシステム
http://www.city.arak[...]
公益財団法人荒川区自治総合研究所子どもの貧困・社会排除問題研究プロジェクト最終報告書
2011-08
[306]
논문
子どもの安心のための政策研究 (特集 自治体の政策研究と大学連携) -- (シンクタンク神奈川・平成22年度研究報告)
https://iss.ndl.go.j[...]
政策研究・大学連携センター
[307]
간행물
NHK首都圏スペシャル 『逆境を生き抜け-急増“チャイルド・プア” 闘う現場-』 2013年5月31日(金)放映
http://www.nhk.or.jp[...]
[308]
간행물
子ども・若者の生活困窮支援のあり方に関する研究
http://www.mri.co.jp[...]
株式会社三菱総合研究所
2013-03
[309]
간행물
内閣府 子ども・子育て新システム検討会議作業グループ基本制度ワーキングチーム第7回会合資料4 駒村康平委員
https://www8.cao.go.[...]
2010-12-15
[310]
간행물
内閣府 子ども・子育て新システム検討会議作業グループ基本制度ワーキングチーム第7回会合議事録
https://www8.cao.go.[...]
2010-12-15
[311]
웹사이트
「エビデンスベースト」が日本の教育を変える〜中室牧子氏に聞く
http://eduview.jp/?p[...]
2014-03-14
[312]
뉴스
日本社会の「前提」が崩れ、貧困が生まれている首都大学東京・阿部彩教授に聞く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on line
2015-09-04
[313]
간행물
ひとり親家庭の支援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雇用均等・児童家庭局家庭福祉課
2012-10-24
[314]
웹사이트
離婚に関する統計 5 親権を行う子の数別にみた離婚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3-12-19
[315]
서적
貧困
ミネルヴァ書房
2018
[316]
서적
養育費政策にみる国家と家族
勁草書房
2008
[317]
간행물
養育費確保の推進に関する制度的諸問題
http://www.youikuhi-[...]
養育費相談支援センター
2013-08-10
[318]
서적
養育費政策にみる国家と家族
勁草書房
2008
[319]
간행물
ブレア政権の子育て支援策の展開と到達点
https://www.ipss.go.[...]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2007
[320]
뉴스
養育費の不払い対策、各国の仕組みは 子どもと貧困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6-03-07
[321]
간행물
平成23年度全国母子世帯等調査結果報告 17養育費の状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3-04-14
[322]
서적
養育費政策にみる国家と家族
勁草書房
2008
[323]
서적
生活保護と日本型ワーキングプア
ミネルヴァ書房
2009
[324]
웹사이트
養育費等相談支援センター
https://www.youikuhi[...]
2023-12-19
[325]
웹사이트
Q&A(よくある質問集)
http://www.youikuhi-[...]
2023-12-19
[326]
뉴스
離婚後の養育費不払い、市が補填 兵庫・明石市が全国初の制度 最大60万円
神戸新聞
2018-11-02
[327]
간행물
平成19年度母子家庭の母の就業支援施策の実施状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28]
간행물
第2回家族についての全国調査 (NFRJ03) 第2次報告書「母子世帯の多くがなぜ貧困なのか」
http://nfrj.org/nfrj[...]
""
2006-04
[329]
간행물
平成16年度「消費生活に関するパネル調査」について(第12年度分)第4章離婚の要因分析
http://www.kakeiken.[...]
財団法人 家計経済研究所
2005-09-29
[330]
간행물
平成19年度母子家庭の母の就業支援施策の実施状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31]
뉴스
離婚時に養育費合意56%・「親子面会」55%
http://www.yomiuri.c[...]
2013-08
[332]
논문
Poverty Traps
2005
[333]
웹사이트
Cycle of poverty
http://encycl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