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프 전쟁의 다국적 연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걸프 전쟁의 다국적 연합군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국가가 파병한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미국이 697,000명으로 가장 많은 병력을 파견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영국, 프랑스, 이집트 등 다양한 국가들이 참전했다. 연합군은 M1 에이브람스 전차, AH-64 아파치 헬리콥터 등 다양한 군사 장비를 사용했으며, 사막 방패 작전, 하프지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 다국적 연합군은 국제 연합, 아랍 연맹 등의 지원을 받았으며, 일본과 룩셈부르크는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걸프 전쟁 - 쿠웨이트 침공
쿠웨이트 침공은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기습 침공하여 점령한 사건으로, 국제 사회의 규탄과 다국적군의 개입으로 걸프 전쟁이 발발하여 쿠웨이트가 해방되었다. - 걸프 전쟁 - 나이라 증언
나이라 증언은 1990년 쿠웨이트인 나이라가 이라크군의 잔혹 행위를 증언한 사건으로, 걸프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후 조작으로 밝혀져 정보 조작과 홍보 윤리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다. - 20세기 군사 동맹 - 5개국 방위 협정
5개국 방위 협정은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영국이 체결한 안보 협정으로, 회원국들은 상호 협의를 통해 공동 대응을 약속하며 군사 협력 및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고 사이버 보안 및 우주 안보 등 새로운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능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20세기 군사 동맹 - 북대서양 조약 기구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안보를 위해 결성된 군사 동맹으로, 회원국에 대한 무력 공격을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며, 냉전 시기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고 동유럽으로 확장하여 영향력을 넓혀왔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걸프 전쟁의 다국적 연합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걸프 전쟁 연합군 |
연합 유형 | 군사 연합 |
존속 기간 | 1990년 - 1991년 |
시작일 | 1990년 8월 2일 ~ 4일 |
종료일 | 1991년 3월 2일 |
발단 | 쿠웨이트 침공 |
주요 연합국 | |
회원국 | 미국 영국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쿠웨이트 (망명 중) |
기타 참여국 | |
다른 기여국 |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바레인 방글라데시 벨기에 캐나다 체코슬로바키아 덴마크 독일 그리스 온두라스 헝가리 이탈리아 일본 룩셈부르크 모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니제르 노르웨이 오만 파키스탄 필리핀 폴란드 포르투갈 카타르 루마니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싱가포르 대한민국 스페인 스웨덴 시리아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 |
주요 사건 | |
사건 1 | 유엔 안보리 결의 678호 채택 |
날짜 1 | 1990년 11월 29일 |
사건 2 | 미국 의회 이라크 결의 채택 |
날짜 2 | 1991년 1월 14일 |
사건 3 | 걸프 전쟁 공습 시작 |
날짜 3 | 1991년 1월 17일 |
사건 4 | 쿠웨이트 해방 작전 시작 |
날짜 4 | 1991년 2월 24일 |
종료 사건 | 유엔 안보리 결의 686호 채택 |
종료일 | 1991년 3월 2일 |
시대 | |
시대 | 걸프 전쟁 |
2. 연합군의 구성
걸프 전쟁 당시 사담 후세인의 이라크에 맞서기 위해 여러 국가들이 연합군을 구성하여 파병하였다. 미국이 697,000명으로 가장 많은 병력을 파견하였고, 사우디아라비아(60,000~100,000명), 영국(53,462명), 이집트(20,000명), 프랑스(18,000명), 시리아(14,500명) 등이 주요 파병국이었다. 이 외에도 모로코, 쿠웨이트, 오만, 파키스탄, 캐나다,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방글라데시, 이탈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네덜란드, 니제르, 스웨덴, 아르헨티나, 세네갈, 스페인, 바레인, 벨기에, 폴란드, 대한민국, 체코슬로바키아, 덴마크, 그리스, 뉴질랜드, 헝가리, 노르웨이 등 다양한 국가들이 연합군에 참여하였다.
2. 1. 국가별 병력 규모
국가 | 인원 수 (명) | 비고 |
---|---|---|
697,000 | 연합군 중 최대 규모 파병 | |
60,000 - 100,000 | ||
53,462 | 그랜비 작전, 노퍽 전투 참전; 제1 기갑사단, 제7 기갑여단, 제4 기갑여단 포함 | |
20,000 | ||
18,000 | 작전 다게(Opération Daguet) 수행 | |
14,500 | ||
13,000 | 보안 병력 | |
9,900 | 망명 쿠웨이트군 | |
6,300 | ||
4,900 - 5,500 | 예비대 | |
4,600 | 프릭션 작전 수행 | |
4,300 | 육군 대대 및 미라주 전투기 편대 지원 | |
2,600 | 하프지 전투 참전 | |
2,200 | 모루프란타르 작전(Operation Moruprantar) 수행; 야전 치료 부대 포함 보안 병력 | |
1,200 | 사막 메뚜기 작전 수행; 파나비어 토네이도 공격 부대 파견 | |
700 | 걸프 전쟁에 대한 오스트레일리아의 기여 | |
700 | 해군 및 공군, 터키 및 이스라엘에 지대공 미사일 지급 | |
600 | 순찰대 | |
525 | 야전 병원 | |
500 | 해군 및 공군 | |
500 | 기초 보호군 | |
500 (육상) / 3,000 (해상) | 공병 파견 | |
400 | 기초 보호군 파병 | |
400 | 기초 공병 파병 | |
400 | ||
319 | 해군 및 의료 지원, 시무움 작전 수행 | |
314 | 의료 및 수송 부대 | |
200 | 특수 화생방 방호 부대 | |
200 | 의료 인력 | |
100 | ||
100 | ||
100 | ||
50 | 의료팀, 록히드 C-130 허큘리스 2대 | |
50 | 의료 및 해군 지원 | |
의료 인력 363명, 군인 21명 | ||
30명, 군사 지원팀 9개 | 나이팅게일 작전 수행; 의료 및 인도적 지원 |
2.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의료 및 지원 병력을 포함하여 314명의 병력을 파병했다.2. 3. 지휘부
벨기에는 지상군과 항공기를 제한적으로 터키에 배치했고, 여러 척의 함정을 걸프 지역에 배치했다.[9]벨기에 해군의 삼국간 협정에 의한 기뢰제거함(Tripartite-class minehunter) 중 이리스(Iris), 미오스티스(Myostis), 지니아(Zinnia) 지휘 및 지원함이 걸프 지역에 배치되어 기뢰 제거 작전을 수행했다. 벨기에 정부는 나중에 디안서스(Dianthus) 기뢰제거함을 추가 파병하기로 결정했다. 휴전이 이루어지자 기뢰 제거 작전은 쿠웨이트 연안으로 이동했다.[9]
미라주 5 전투기(제8 전투 비행대대) 18대와 C-130 수송기(제15 공수비행단) 6대가 NATO의 예방적 항공기 배치의 일환으로 터키에 배치되었다.
의료 인력은 키프로스의 영국 야전병원에 배속되었으며, 75명의 병사와 함께 터키에도 배치되었다.[10]
2. 4. 주요 지휘관
국가 | 지휘관 |
---|---|
বাংলাদেশbn 방글라데시 | 주바이르 시디퀴 |
Türkiyetr 튀르키예 | |
السعوديةar 사우디아라비아 | |
سورياar 시리아 | 무스타파 틀라스 |
Československocs 체코슬로바키아 | 얀 발로 |
France프랑스어 프랑스 | 미셸 로크주프레 |
United States of America영어 미국 | |
مصرar 이집트 |
벨기에는 터키에 제한적으로 지상군과 항공기를 배치했고, 여러 척의 함정을 걸프 지역에 배치했다.[9]
3척의 삼국간 협정에 의한 기뢰제거함 중 이리스(Iris)와 미오스티스(Myostis) 그리고 지니아(Zinnia) 지휘 및 지원함이 걸프 지역에 배치되어 기뢰 제거 작전을 수행했다. 벨기에 정부는 나중에 추가로 디안서스(Dianthus) 기뢰제거함을 파병하기로 결정했다. 휴전이 이루어지자 기뢰 제거 작전은 쿠웨이트 연안으로 이동했다.[9]
제8 전투 비행대대의 미라주 5 전투기 18대와 제15 공수비행단의 C-130 수송기 6대가 NATO의 예방적 항공기 배치의 일환으로 터키에 배치되었다.
의료 인력은 키프로스의 영국 야전병원에 배속되었으며, 75명의 병사와 함께 터키에도 배치되었다.[10]
3. 연합군의 군사 장비
걸프 전쟁 당시 다국적 연합군은 다양한 국가에서 파병된 만큼, 각 국가별로 다양한 군사 장비를 사용했다. 주요 참전국들의 장비는 다음과 같다.
각국의 세부적인 군사 장비 목록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3. 1. 미국
미국은 연합군에 가장 큰 기여를 했으며, 약 69만 7천 명의 병력을 파병했다.[46] 미군은 사막 방패 작전, 하프지 전투, 73 이스팅 전투, 알부사야 전투, 페이즈 라인 벌릿 전투, 메디나 능선 전투, 와디 알바틴 전투, 노퍽 전투 등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노먼 슈워츠코프는 이라크와의 전투에서 모든 연합군을 지휘했으며, 주요 지휘관으로는 콜린 파월, 캘빈 월러, 찰스 호너, 월트 부머, 스탠 아서, 프레드릭 프랭크스, 버스터 글로슨 등이 있었다.
다음은 미국이 걸프전에 참전시킨 주요 장비 목록이다.
유형 | 장비명 | 비고 |
---|---|---|
주력 전차 | M1A1 에이브람스 | |
주력 전차 | M60A1/A3 패튼 | 미국 해병대 |
장갑정찰 공수차량 | M551A1 셰리던 | 열상조준장비(TTS) 장착 |
보병전투장갑차 (IFV) | M2A2 브래들리 | |
기갑전투차량 (CFV) | M3A2 브래들리 | |
상륙돌격장갑차 | AAVP7A1 | 미 해병대 |
경장갑차 | LAV-25 | 미 해병대 |
경장갑차 (대전차) | LAV-AT | 미 해병대 |
장갑병원차 (APC) | M113A2/A3 | |
APC, NBC 및 전자전 | TPz 푸크스 | 독일에서의 UOR 획득 |
개량형 TOW 차량 (ITV) | M901A1 | |
경장갑차(박격포) | LAV-M | 미 해병대 |
자주 박격포 운반 장갑차 | M106A2 | |
155mm 자주곡사포(SPH) | M109A2/A3/A4 | |
8인치 자주곡사포(SPH) | M110A2 | |
다련장 로켓 발사기 | M270 MLRS | |
벌컨 방공 시스템 | M163 벌컨 방공 시스템 | |
자주식 지대공 미사일 발사대 | M48 채퍼럴 | |
험비 | M1097 어벤저 | |
벌컨 방공 시스템 | M167 | |
지대공 미사일 발사대 (SAM) | MIM-23 개량형 호크 | |
지대공 미사일 발사대 (SAM) | MIM-104 패트리어트 | |
105mm 견인곡사포 | M102 | |
155mm 견인곡사포 | M198 | |
지뢰 제거 선형 장약 (견인식) | M58 MICLIC | |
60mm 경량 박격포 | M224 | |
81mm 중량 박격포 | M252 | |
107mm 중(대)량 박격포 | M30 |
'''공병 및 복구 차량'''
- M728 전투 공병 차량
- M9 장갑 전투 지형 조정 차량
- M60 AVLM (장갑차량 발사식 MICLIC (지뢰 제거 선형 장약))
- M88 장갑 복구 차량
- M60A1 장갑차량 발사식 교량
- M578 경량 복구 차량 (장갑 복구 차량)
- D7 캐터필러 (장갑 불도저)
- M139 벌케이노 지뢰 시스템
- M577A2 ACP (장갑 지휘소) 수송차
- AACV7A1 (돌격 상륙장갑차 지휘) (미 해병대)
- LAV-25C2 경장갑차 (지휘 및 통제) (미 해병대)
- M981 FISTV (화력지원팀 차량)
- M998 험비(Humvee)
- M151A2 FAV (고속 공격 차량)(미 해병대)
- M1008 CUCV (상용 다용도 화물 차량)
- FAV (고속 공격 차량) / DPV (사막 순찰 차량)
- 가와사키 KLR-250-D8
- M35A2 6x6 2.5톤 트럭 "듀스 앤드 어 하프"
- M925A1 6x6 5톤 트럭
- M548 궤도 화물 운반차
- M992 FAASV (야전포병 탄약 보급 차량)
- M1059 연막탄 발생기 운반차
항공기 유형 | 기종 | 운용 주체 | 비고 |
---|---|---|---|
공격 헬리콥터 | 벨 AH-1F 코브라 | 미국 육군 | |
공격 헬리콥터 | 벨 AH-1J 시코브라 | 미 해병대 | |
공격 헬리콥터 | 벨 AH-1T 개량형 시코브라 | 미 해병대 | |
공격 헬리콥터 | 벨 AH-1W 슈퍼코브라 | 미 해병대 | |
공격 헬리콥터 | 보잉 AH-64A 아파치 | 미 육군 | |
수송 헬리콥터 | 보잉 CH-46D 시 나이트 | 미국 해군 | |
수송 헬리콥터 | 보잉 CH-46E 시 나이트 | 미 해병대 | |
수송 헬리콥터 | 보잉 CH-47D 치누크 | 미 육군 | |
수송 헬리콥터 | 시콜스키 CH-53D 시 스탤리언 | 미 해군, 미 해병대 | |
수송 헬리콥터 | 시콜스키 CH-53E 슈퍼 스탤리언 | 미 해군, 미 해병대 | |
전자전 헬리콥터 | 벨 EH-1H 이로쿼이 (휴이) | 미 육군 | |
전자전 헬리콥터 | 시콜스키 EH-60A 퀵 픽스 | 미 육군 | |
수색 및 구조 헬리콥터 | 보잉 HH-46D 시 나이트 | 미 해군 | |
수색 및 구조 헬리콥터 | 시콜스키 HH-60H 시호크 | 미 해군 | |
특수작전 헬리콥터 | 보잉 MH-47 (SOA) 특수작전기 | 미국 육군 | |
특수작전 헬리콥터 | 시콜스키 MH-53 페브 로우 | 미 공군 | |
특수작전 헬리콥터 | 시콜스키 MH-53E 시 드래곤 | 미 해군 | |
특수작전 헬리콥터 | 시콜스키 MH-60G 페브 호크 | 미 공군 | |
정찰 헬리콥터 | 벨 OH-58A 카이오와 | 미 육군 | |
정찰 헬리콥터 | 벨 OH-58C 카이오와 | 미 육군 | |
정찰 헬리콥터 | 벨 OH-58D | 미 육군 | |
대잠 헬리콥터 | 시콜스키 RH-53D 시 스탤리언 | 미 해병대 | |
대잠 헬리콥터 | 카만 SH-2F 시스프라이트 | 미 해군 | |
다목적 헬리콥터 | 시콜스키 SH-3G 시킹 | 미 해군 | |
다목적 헬리콥터 | 시콜스키 SH-3H 시킹 | 미 해군 | |
다목적 헬리콥터 | 시콜스키 SH-60B 시호크 | 미 해군 | |
다목적 헬리콥터 | 벨 UH-1H 이로쿼이 (휴이) | 미 육군 | |
다목적 헬리콥터 | 벨 UH-1N (휴이) | 미 해병대 | |
의료 후송 헬리콥터 | 벨 UH-1V 이로쿼이 (휴이) | 미 육군 | |
수송 헬리콥터 | 보잉 UH-46D 시 나이트 | 미 해군 | |
다목적 헬리콥터 | 시콜스키 UH-60A 블랙 호크 | 미 육군 | |
공격기 | 그루먼 A-6E 인트루더 | 미 해군, 미 해병대 | |
공격기 | LTV A-7E 코르세어 II | 미 해군 | |
공격기 | 맥도넬 더글러스 AV-8B 해리어 II | 미 해병대 | |
지상 공격기 | 페어차일드 리퍼블릭 A-10A 썬더볼트 II "워토그" | 미 공군 | |
건쉽 | 록히드 AC-130A (스펙터) 건쉽 | 미 공군 | |
건쉽 | 록히드 AC-130H (스펙터) 건쉽 | 미 공군 | |
전략 폭격기 | 보잉 B-52G 스트래토포트리스 | 미 공군 | |
함재 수송기 | 그루먼 C-2A 그레이하운드 | 미 해군 | |
전략 수송기 | 록히드 C-5 갤럭시 | 미 공군 | |
수송기 | 맥도넬 더글러스 C-9B 스카이트레인 II | 미 해군 | |
수송기 | 레이시온 C-12 휴런 | 미 공군 | |
전술 수송기 | 록히드 C-130 허큘리스 | 미 공군 | |
전술 수송기 | 록히드 C-130F 허큘리스 | 미 해군 | |
전략 수송기 | 록히드 C-141 스타리프터 | 미 공군 | |
수송기 | 노스 아메리칸 록웰 CT-39G | 미 해군 | |
수송기 | 맥도넬 더글러스 DC-9 | 미 해군 | |
함재 조기경보기 | 그루먼 E-2C 호크아이 | 미 해군 | |
조기경보기 (AWACS) | 보잉 E-3B 센트리 AWACS | 미 공군 | |
전자전기 | 더글러스 EA-3B 스카이워리어 | 미 해군 | |
전자전기 | 록히드 EP-3E 아리에스 II | 미 해군 | |
전자전기 | 그루먼 EA-6B 프로울러 | 미 해군 | |
합동 감시 표적 공격 레이더 시스템 | 보잉 E-8 조인트 스타즈 | 미 공군 | |
전자전기 | 제너럴 다이내믹스 EF-111A 레이븐 | 미 공군 | |
전자전/심리전기 | 록히드 EC-130E/J 코만도 솔로 | 미 공군 | |
전자전기 | 록히드 EC-130H 컴퍼스 콜 | 미 공군 | |
공중 지휘 통제기 | 보잉 EC-135L 룩킹 글래스 | 미 공군 | |
전투기 | 맥도넬 더글러스 F-4E 팬텀 II | 미 공군 | |
와일드 위즐 (방공망 제압) | 맥도넬 더글러스 F-4G 팬텀 II | 미 공군 | |
함재 전투기 | 그루먼 F-14A 톰캣 | 미 해군 | |
함재 전투기 | 그루먼 F-14A+(B) 톰캣 | 미 해군 | |
전투기 | 맥도넬 더글러스 F-15C 이글 | 미 공군 | |
전폭기 | 맥도넬 더글러스 F-15E 스트라이크 이글 | 미 공군 | |
전투기 | 제너럴 다이내믹스 F-16A 파이팅 팔콘 | 미 공군 | |
전투기 | 제너럴 다이내믹스 F-16C 파이팅 팔콘 | 미 공군 | |
함재 전투기/공격기 | 맥도넬 더글러스 F/A-18A 호넷 | 미 해군, 미 해병대 | |
함재 전투기/공격기 | 맥도넬 더글러스 F/A-18C 호넷 | 미 해군, 미 해병대 | |
전투기/공격기 | 맥도넬 더글러스 F/A-18D 호넷 | 미 해병대 | |
전폭기 | 제너럴 다이내믹스 F-111E 아드바크 | 미 공군 | |
전폭기 | 제너럴 다이내믹스 F-111F 아드바크 | 미 공군 | |
스텔스 공격기 | 록히드 F-117A 나이트호크 | 미 공군 | |
수색 및 구조기 | 록히드 HC-130 킹 | 미 공군 | |
공중 급유기 | 맥도넬 더글러스 KC-10A 익스텐더 | 미 공군 | |
공중 급유기 | 록히드 KC-130F 허큘리스 | 미 해군, 미 해병대 | |
공중 급유기 | 록히드 KC-130R 허큘리스 | 미 해병대 | |
공중 급유기 | 록히드 KC-130T 허큘리스 | 미 해병대 | |
공중 급유기 | 보잉 KC-135E 스트래토탱커 | 미 공군 | |
공중 급유기 | 보잉 KC-135R 스트래토탱커 | 미 공군 | |
특수전 수송기 | 록히드 MC-130E 허큘리스 컴뱃 탤런 | 미 공군 | |
전선 항공 통제기 | 노스 아메리칸 록웰 OV-10A 브론코 | 미 해병대 | |
전선 항공 통제기 | 노스 아메리칸 록웰 OV-10D 브론코 | 미 해병대 | |
전선 항공 통제기 | 노스 아메리칸 록웰 OV-10D+ 브론코 | 미 해병대 | |
해상 초계기 | 록히드 P-3B 오라이언 | 미 해군 | |
해상 초계기 | 록히드 P-3C 오라이언 | 미 해군 | |
정찰기 | 보잉 RC-135V/W 리벳 조인트 | 미 공군 | |
정찰기 | 맥도넬 더글러스 RF-4C 팬텀 II | 미 공군 | |
대잠/대함 공격기 | 록히드 S-3A 바이킹 | 미 해군 | |
대잠/대함 공격기 | 록히드 S-3B 바이킹 | 미 해군 | |
정찰기 | 록히드 U-2/TR-1 | 미 공군 | |
해상 초계기 | 록히드 UP-3A 오라이언 | 미 해군 |
{| class="wikitable"
|+ 미국의 군함
|-
! 함종
! 함급
! 함명
! 비고
|-
! 항공모함
| 미드웨이급
| 미드웨이(CV-41)
|
|-
! 항공모함
| 포레스트올급
| 사라토가(CV-60), 레인저(CV-61)
|
|-
! 항공모함
| 키티호크급
| 아메리카(CV-66), 존 F. 케네디(CV-67)
|
|-
! 항공모함
| 니미츠급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CVN-69), 시어도어 루즈벨트(CVN-71)
|
|-
! 전함
| 아이오와급
| 미주리 (BB-63), 위스콘신 (BB-64)
|
|-
! 잠수함
| 로스앤젤레스급
| 시카고, 루이빌, 피츠버그
|
|-
! 강습상륙함
| 타라와급
| 타라와, 나소
|
|-
! 강습상륙함
| 이오지마급
| 이오지마, 과달카날, 괌, 트리폴리, 뉴올리언스
|
|-
! 순양함
| 리히(Leahy)급
| 워든, 리치먼드 K. 터너, 핼시
| 4척
|-
! 순양함
| 벨크냅(Belknap)급
| 혼, 비들
| 4척
|-
! 순양함
| 티콘데로가(Ticonderoga)급
| 밸리 포지, 토머스 S. 게이츠, 벙커힐, 모빌 베이, 레이테 걸프, 산하신토, 필리핀해, 프린스턴, 노르망디
| 9척
|-
! 순양함
| 캘리포니아(California)급
| 사우스캐롤라이나
| 1척
|-
! 순양함
| 버지니아(Virginia)급
| 버지니아, 미시시피
| 2척
|-
! 구축함 보급함
| ''새뮤얼 곰퍼스''급
| 새뮤얼 곰퍼스
|
|-
! 구축함 보급함
| ''옐로스톤''급
| USS ''옐로스톤'', 아카디아, USS ''케이프 코드''
|
|-
! 구축함
| 스프루언스급
| 스프루언스, 폴 F. 포스터, 캐런, 올덴도르프, 무스브루거, 레프트위치, 해리 W. 힐, 파이프
|
|-
! 구축함
| Farragut급
| 매크도노, 쿤츠, 프레블
|
|-
! 구축함
| 키드급
| 키드
|
|-
! 프리깃
| 녹스급
| 마빈 실즈, 프랜시스 해먼드, 브릴랜드, 토머스 C. 하트
|
|-
! 프리깃
|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 맥키너니, 재럿, 커츠, 핼리버턴, 니컬러스, 호위스, 포드, 새뮤얼 B. 로버츠
|
|-
! 상륙수송함
| ''롤리''급
| 롤리, 밴쿠버
|
|-
! 상륙수송함
| 오스틴급
| 오그덴
| 4척
|-
! 상륙수송함
| 클리블랜드급
| 덴버, 주노, 슈리브포트
| 4척
|-
! 상륙수송함
| 트렌턴급
| 트렌턴
| 4척
|-
! 탄약함
| 수리바치급
| 모나케아
|
|-
! 탄약함
| 니트로급
| 니트로, 할레아칼라
|
|-
! 탄약함
| 킬라우에아급
| 킬라우에아, 산타바바라, 마운트 후드, 샤스타, 키스카
|
|-
! 상륙함
| 앵커리지급
| 앵커리지, 포틀랜드, 펜사콜라, 마운트 버넌
|
|-
! 상륙함
| 휘드비 아일랜드급
| 저먼타운, 포트 맥헨리, 건스턴 홀
|
|-
! 상륙함
| 뉴포트급
| 매니토워크, 피오리아, 프레드릭, 카유가, 새기노, 스파르탄버그 카운티, 라무어 카운티, 바버 카운티
|
|-
! 급유함
| SL-7형
| 알골, 벨라트릭스, 데네볼라, 폴룩스, 알타이르, 레굴루스, 카펠라
|
|-
! 급유함
| 네오쇼급
| 네오쇼, 하사얌파, 폰샤툴라
|
|-
! 급유함
| 시마론급
| 플랫
|
|-
! 급유함
| 헨리 J. 카이저급
| 조슈아 험프리스, 앤드류 J. 히긴스, 월터 S. 딜
|
|-
! 전투 보급함
| 마스급
| 마스, 실베이니아, 나이아가라폴스, 샌디에이고, 샌호제이
|
|-
! 전투 보급함
| 시리우스급
|
3. 2. 영국
영국은 그랜비 작전과 노퍽 전투에 참여했다. 영국은 총 16척의 함선, 58대의 항공기, 그리고 제1 기갑사단, 제7 기갑여단, 제4 기갑여단을 포함한 53,462명의 병력을 투입했다.[14][45] 영국군 지휘관으로는 영국군 전체 사령관 패트릭 하인, 공군 최고 사령관 마이클 그레이던(RAF Strike Command), 영국군 사령관 피터 드 라 빌리에르, 그리고 참모총장 존 채플(British Army officer) 등이 있었다.영국군의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
장비 종류 | 장비명 | 비고 |
---|---|---|
주력전차 | FV4030/4 챌린저 | |
왕립 공병대 장갑차 | FV4003 센추리온 Mk.5 AVRE 165 | |
정찰차 | FV101 스콜피온, FV107 시미터 | |
대전차 미사일 발사대 | FV102 스트라이커 | |
장갑차 | FV103 스파르탄, FV432, FV510 워리어, 페럿 장갑차, TPz 폭스 | FV432는 장갑병원차 및 장갑 구급차로도 사용, TPz 폭스는 독일에서 인수 |
자주박격포 | FV432(M) | |
자주포 | M109 155mm 자주곡사포 (M109A2형), M110 8인치 자주곡사포 (M110A2형) | |
다련장 로켓 발사대 | M270 다련장 로켓 발사대 | |
지대공 미사일 | 레이피어(Rapier) 야전 표준 B2 고정형, 레이피어(Rapier) TR1 이동형, 재블린 지대공 미사일 | |
경곡사포 | L118 105mm 경곡사포 | |
박격포 | 51mm 경박격포, L16A1 81mm 박격포 | |
장갑차량 발사 교량 | FV4205 치프틴 AVLB | |
전투 공병 트랙터 | FV180 CET | |
장갑 복구 차량 | FV434 ARV, FV512 워리어 기계화 전투 정비 차량, FV513 워리어 기계화 복구 차량 (정비) | |
지휘 차량 | FV105 술탄 | |
수송차량 | 랜드로버 디펜더, 레일랜드 4x4 4톤 트럭, 베드퍼드 4x4 8톤 트럭, 레일랜드 DAF 8x6 14톤 중형 기동성 적재 운반체(MMLC) 분리식 적재 및 적하 시스템(DROPS) 트럭,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 지원 차량, 할리 데이비슨 MT530E, 아암스트롱 500, M548 궤도형 화물 운반차 | |
헬리콥터 | 에어로스파시알-웨스트랜드 가젤 AH.1, 웨스트랜드 링스 AH.1 및 AH.7, 웨스트랜드 링스 HAS.3, 보잉 시누크 HC.1B, 웨스트랜드 시킹 HC.4, 에어로스파시알 푸마 HC.1 | |
전투기 | 판비아 토네이도 GR.1, 세펙 쟈규어 GR.1A, 판비아 토네이도 F.3, 블랙번 버캐니어 S.2B | |
정찰기 | BAe 님로드 MR.2P, 브리텐 노르만 BN-2 아일랜더 AL.1 | |
공중급유기 | 핸들리 페이지 빅터 K.2, 록히드 트리스타, 빅커스 VC10 K.2, K.3 | |
수송기 | 록히드 허큘리스 C.1, C.3, 빅커스 VC10 C.1 | |
구축함 | 42형 셰필드급 구축함 (HMS 요크 (D98), HMS 글로스터 (D96), HMS 엑서터 (D89), HMS 맨체스터 (D95), HMS 카디프 (D108)) | |
호위함(프리깃) | 22형 브로드소드급 프리깃 (HMS 배틀액스, HMS 브레이즌, HMS 런던) | |
잠수함 | 오베론급 잠수함 (HMS 오퍼섬) | |
기뢰제거함 | 헌트급 기뢰제거함 (HMS 레드버리, HMS 캐티스톡, HMS 덜버턴, HMS 비스터, HMS 에더스톤, HMS 허워스) | |
유조선 | RFA 오렌지리프, RFA 올나 | |
보급선 | RFA 리젠트, RFA 포트 그랜지 | |
함대 수리선 | RFA 딜리전스 | |
주 사상자 수용함 | RFA 아르구스 |
3. 3. 사우디아라비아

추산 6만 명에서 10만 명에 달하는 사우디아라비아 군이 칼리드 빈술탄, 살레 알 무하야, 술탄 알 무타이리의 지휘 아래 이라크에 대한 작전에 참여했다.[17] 사우디아라비아 군은 다음과 같은 장비를 보유했다.
வகை | 품명 |
---|---|
주력전차 (MBT) | AMX-30S, M60A1/A3 패튼 |
보병전투장갑차 (IFV) | M2A2 브래들리, AMX-10P |
대전차 유도탄 발사기 (ATGM) | AMX/HOT |
장갑차 | 파나르 AML-60, 파나르 AML-90 |
장갑수송차 (APC) | M113A1, 엔게사 EE-11 우루투, 파나르 M3 VTT |
정찰 장갑차 | 캐딜락 게이지 V-150 코만도, 캐딜락 게이지 V-150 코만도 (TOW 개량형) |
155mm 자주포 | M109A2, AMX-GCT |
다연장로켓발사기 (MLRS) | ASTROS-II MLRS |
박격포 운반 장갑차 | M106A2, 캐딜락 게이지 V-150 코만도 (81mm 박격포), 캐딜락 게이지 V-150 코만도 (90mm 박격포) |
견인곡사포 | M56 105mm, M102 105mm, M198 155mm |
107mm 중(重)박격포 | M30 |
대공방어 시스템 | M163 볼칸, AMX-30SA 샤힌 (자주식 지대공 미사일 발사대), AMX-30SA (자주식 대공포), MIM-23 개량형 호크 (지대공 미사일 발사대), 샤힌 고정형 (지대공 미사일 발사대) |
대공포 | 보포스 40mm L/70, 에를리콘-뷔를레 쌍열 35mm GDF |
다목적 차량 | 랜드로버 디펜더 |
헬리콥터 | 시코르스키 UH-60A 블랙 호크 (RSLF), 아구스타-벨 205 이로쿼이 (RSAF), 아구스타-벨 206 젯 레인저 (RSAF), 아구스타-벨 212 아구스타 (RSAF), 가와사키 KV-107 (RSAF), 유로콥터 AS-365N 도핀 (해군), 유로콥터 AS-332B 슈퍼 퓨마 (해군) |
수송기 (RSAF) | 록히드 C-130E 허큘리스, 록히드 C-130H 허큘리스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RSAF) | 보잉 E-3A 센트리 AWACS |
전투기 (RSAF) | 노스롭 F-5E 타이거 II, 맥도넬 더글러스 F-15C 이글 |
공중급유기 (RSAF) | 록히드 KC-130H |
정찰기 (RSAF) | 노스롭 RF-5E 타이거아이 |
공격기 (RSAF) | 파나비아 토네이도 IDS |
방공전투기 (RSAF) | 파나비아 토네이도 ADV |
함정 | (알 마디나, 호푸프, 아브하, 타이프), (바드르, 알 야르무크, 히틴, 타부크), (알-시디크, 알-파루크, 압둘-아지즈, 파이살, 칼리드, 암르, 타리크, 우크바, 아부 오바디아), (Boraida, Yunbou) |
3. 4. 쿠웨이트
망명 중인 쿠웨이트군은 약 9,900명의 병력이었다.장비 | 종류 | 비고 |
---|---|---|
M-84 | 주력전차(MBT) | |
치프틴 | 주력전차(MBT) | |
BMP-2 | 보병전투차(IFV) | |
M113A1 | 장갑수송차(APC) | |
에어로스파시알 SA.342 가젤 | ||
다쏘 미라주 F1CK | 쿠웨이트 공군 | |
맥도넬 더글러스 A-4KU 스카이호크 | 쿠웨이트 공군 | |
뤼르센 FPB-57 | (미상) | |
뤼르센 TNC-45 | (미상) |
3. 5. 프랑스
프랑스는 미셸 로크제프르(Michel Roquejeoffre) 중장이 이끄는 약 2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부대를 파병했으며, 그들의 작전 명칭은 작전 다게(Opération Daguet)였다.[14] 프랑스는 또한 14척의 함선, 75대가 넘는 항공기, 그리고 350대의 전차를 제공했다.[14]종류 | 품목 |
---|---|
주력 전차 | AMX-30B2 |
장갑차 | 지아트 AMX-10RC, 파나르 AML-90, 파나르 ERC-90F4 사가이 |
장갑차 | 지아트 VAB, 지아트 VAB-PC, 지아트 VAB-VCAC/HOT, 지아트 VAB-VTM |
야포 | TR-F1 155mm 견인곡사포, MO-81-61C 81mm 박격포, MO-120-RT-61 120mm 박격포 |
대공 무기 | GIAT 20mm 53T2 견인식 대공포, 미스트랄 SAM(지대공 미사일) 발사대 |
차량 | 푸조 P4 4륜구동, VLRA 트럭 |
헬리콥터 | 에어로스파시알 SA-342 가젤, 에어로스파시알 SA-330 푸마, 에어로스파시알 슈퍼 프렐롱 |
전투기 | 다쏘 미라주 F1C-200, 다쏘-브르게 미라주 2000, SEPECAT 재규어 A, 다쏘 슈퍼 에탕다르 |
항공모함 | () |
상륙함 | () |
순양함 | () |
프리깃함 | (, , , , ) |
구축함 | () |
어비스(aviso) | ('프르미에르 메르트르 렐레르(Premier maître lHer)'') |
기뢰제거함 | 급 함정인 'LAigle, Cassiopee, Orion, Pluton, Sagittaire'' |
유조선 | (, ) |
기뢰제거 지원함 | , 루아르 |
3. 6. 카타르
(원문 소스에 카타르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결과는 유지됩니다.)카타르와 관련된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3. 7.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약 1,950명의 병력을 걸프 전쟁에 파병했으며, 이들의 작전은 사막 메뚜기 작전으로 알려졌다. 이탈리아는 전쟁 기간 동안 42일간 출격한 8대의 파나비어 토네이도기를 배치했다. 또한 터키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연합군의 측면을 감시한 RF-104G 스타파이터 전술 정찰기 부대와 6대의 F-104기를 튀르키예에 배치했다.[24] 4척의 함선을 걸프 지역으로 파견했으며[14], 이 작전의 이탈리아군 사령관은 마리오 아르피노였다.[25]이탈리아 해군은 다음의 함선을 걸프 지역에 파견했다.[14]
함종 | 함명 |
---|---|
구축함 | |
프리깃 | , , , |
보급함 | , |
3. 8. 폴란드
폴란드는 약 320명의 인원을 파병했다. 폴란드는 시무움 작전과 같은 정보 작전을 수행했다.- ORP 우드니크
- ORP 피아스트
3. 9. 체코슬로바키아

- 타트라 T-815 (중형 트럭)
- UAZ-4629 (화학 정찰 장비 탑재 전천후 차량)
- ARS-12M (프라가 V3S 기반의 탈오염 트럭)
- POP (프라가 V3S 기반의 이동식 현장 의료 트럭)
3. 10. 캐나다
캐나다는 프릭션 작전이라는 코드명으로 걸프 전쟁에 기여했으며, 4,600명의 인원이 참여했다. 캐나다 왕립 해군 함정들이 전쟁에 참여했고, 캐나다 왕립 공군은 초계 및 폭격 임무를 수행했으며, 캐나다 육군은 야전 병원을 배치했다. 캐나다 항공기와 지상군은 죽음의 고속도로를 따라 후퇴하는 이라크군을 공격하기도 했다.[11][12][13]캐나다가 파병한 함선 및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
종류 | 함명/기종 | 비고 |
---|---|---|
구축함 | 테라 노바 | 레스티구슈급 |
구축함 | 아사바스칸 | 이로쿼이급 |
보조함 | 프로텍터 | |
전투기 | CF-18 호넷 | 26대 |
수송기 | C-130 허큘리스 | 27대 |
수송기 | CC-137 | 5대, 보잉 707 기반 |
헬리콥터 | 시콜스키 CH-124 시킹 | 5대 |
수송기 | CC-144 챌린저 | 1대 |
3. 1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는 병력 500명, 코르벳함 2척, 구축함 1척, 수송기 2대, 헬리콥터 3대를 파병했다.[1] 아르헨티나군의 작전 명칭은 알필 작전이었다.아르헨티나 해군과 공군이 파병한 함선과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
함종 | 함명 | 비고 |
---|---|---|
MEKO 360형 구축함 | ARA 알미란테 브라운(D-10) | 1991년 4월 25일 귀환 |
MEKO 140 A16형 (에스포라급) | ARA 스피로(P-43) | 1991년 5월 23일 귀환 |
ARA 로살레스(P-42) | ||
코스타 수르급 화물선 | ARA 바이아 산 블라스(B-4) | 의약품과 식량을 싣고 인도적 지원 |
기종 | 기체번호 | 비고 |
---|---|---|
알루엣 III 헬리콥터 | 3-H-109 | 총 67회 출격, 1대는 사고로 손실되었으나 인명 피해는 없음 |
3-H-112 | ||
보잉 707 수송기 | TC-91[51] | |
TC-94/LV-LGO | 유엔 UNAG-1로 사용[52] |
ARA 알미란테 브라운은 ARA 스피로와 함께 작전 지역에서 25000nmi를 항해했다. ARA 스피로는 작전 지역에서 23000nmi를 항해했다.
4. 기타 연합군 참여국
네덜란드
뉴질랜드
대한민국
니제르
아프가니스탄
룩셈부르크는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 전쟁 후, 룩셈부르크 군인들은 튀르키예-이라크 국경을 따라 산악 지대에 피난한 쿠르드 민간인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파병되었다.[27][28]
니제르는 메카와 메디나의 신성한 장소를 보호하기 위해 약 480명의 병력을 파병했다.[14]
자료에 따르면, 반공 게릴라인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 300명이 1991년 2월 11일 전쟁 말기에 연합군에 합류했다.[47][48] 이라크 쿠르드족 반군 단체들도 사담 후세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고 알려졌다.
5. 연합군 지원국/기구
6. 결론 및 영향
뉴질랜드는 록히드 C-130 허큘리스 수송기 2대와 인원 100명을 제공했다.[29]
참조
[1]
웹사이트
The time Argentina participated in the (first) war against Iraq (spanish)
https://www.univisio[...]
2017-06-05
[2]
웹사이트
HMAS Darwin - Part 2
https://seapower.nav[...]
2024-06-20
[3]
웹사이트
Gulf War & Iraq War Australian War Memorial
https://www.awm.gov.[...]
2024-06-20
[4]
웹사이트
Bahrain - Persian Gulf War
http://www.country-d[...]
2024-06-20
[5]
웹사이트
The Gulf: Future Security and British Policy
https://www.crownpri[...]
1998-04-29
[6]
논문
Bangladesh and the Gulf War: Response of a Small State
Pakist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97-04-01
[7]
웹사이트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Bangladesh and the State of Kuwait
https://kuwait.mofa.[...]
2024-09-03
[8]
웹사이트
Bangladesh helps reconstruct Kuwait
https://www.banglane[...]
2015-12-07
[9]
웹사이트
The Operation Southern Breeze
http://www.wielingen[...]
2024-06-23
[10]
웹사이트
Belgian Medals and Bars for the Persian Gulf War 1990-1991: Comments and Corrections
https://www.omsa.org[...]
2024-06-23
[11]
서적
Among the Others: Encounters with the Forgotten Turkmen of Iraq
Esprit de Corps Books
[12]
웹사이트
Highway of Death
https://obiter-dicta[...]
[13]
웹사이트
The 43-Day War
https://legionmagazi[...]
[14]
웹사이트
Desert Shield and Desert Storm: A Chronology and Troop List for the 1990–1991 Persian Gulf Crisis
https://apps.dtic.mi[...]
1991-03-25
[15]
웹사이트
Českoslovenští vojáci odhalili chemickou válku v Zálivu, píše se v knize
https://www.idnes.cz[...]
2024-09-03
[16]
뉴스
War in the Gulf: Czechoslovaks; Prague to Desert Sands: Soldiers With a Vision
https://www.nytimes.[...]
2024-09-03
[17]
웹사이트
Desert Shield and Desert Storm: A Chronology and Troop List for the 1990–1991 Persian Gulf Crisis
https://apps.dtic.mi[...]
2024-09-18
[18]
웹사이트
The Bundeswehr as an Army on Operations
https://www.bundeswe[...]
2024-07-08
[19]
논문
German Foreign Policy During the First Gulf Crisis: Overcoming a Taboo on Being a Military Power on World Stage
https://dergipark.or[...]
2024-07-08
[20]
서적
Greece a country study
Federal Research Division
1994-12-01
[21]
웹사이트
HS LIMNOS (F 451)
https://hellenicnavy[...]
2024-09-04
[22]
웹사이트
Honduras denies helping Iraq during Gulf War - UPI Archives
https://www.upi.com/[...]
2024-06-23
[23]
웹사이트
DESERT SHIELD AND DESERT STORM A CHRONOLOGY AND TROOP LIST FOR THE 1990–1991 PERSIAN GULF CRISIS
http://apps.dtic.mil[...]
[24]
웹사이트
25 years since the "Locusta" operation
https://en.difesaonl[...]
2024-09-04
[25]
웹사이트
General Mario ARPINO
General Mario ARPINO
2024-09-04
[26]
뉴스
Gulf war trauma began Japan's retreat from pacifism
https://www.reuters.[...]
2024-09-23
[27]
웹사이트
Luxembourg (09/06)
https://2009-2017.st[...]
2023-08-07
[28]
웹사이트
OMP
https://mnhm.net/mnh[...]
2023-08-07
[29]
웹사이트
RNZAF - the Post War Years
https://web.archive.[...]
2010-01-26
[30]
웹사이트
The Dutch contribution to the Gulf war - Historical missions - Defensie.nl
https://english.defe[...]
2024-07-09
[31]
서적
The military factor in Pakistan
Frankfort, IL
[32]
서적
Desert shield to desert storm : the second Gulf war
Authors Choice Press
[33]
서적
War in the Gulf, 1990–91: the Iraq-Kuwait conflict and its implic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Ghareeb
[34]
서적
It doesn't take a hero : the autobiography
Bantam Books
[35]
뉴스
Confrontation in the Gulf – Pakistanis Agree to Join Defense of Saudi Arabia
https://www.nytimes.[...]
1990-08-14
[36]
웹사이트
Participação portuguesa na guerra do Golfo
https://arquivos.rtp[...]
2023-03-22
[37]
웹사이트
A PARTICIPAÇÃO DE PORTUGAL EM OPERAÇÕES DE PAZ. ÊXITOS, PROBLEMAS E DESAFIOS
https://www.ces.uc.p[...]
2023-03-22
[38]
서적
Operații militare expediționare
https://cssas.unap.r[...]
Editura Universității Naționale de Apărare "Carol I"
2007
[39]
웹사이트
Alte misiuni și operații la care au participat militari români
https://misiuni.mapn[...]
2023-04-23
[40]
서적
Military Lessons of the Gulf War
https://books.google[...]
Greenhill Books
1993
[41]
웹사이트
MINDEF Singapore
https://www.mindef.g[...]
2023-08-21
[42]
웹사이트
Kuwait - Operation Granby (in Swedish)
http://www.mil.se/sv[...]
2009-05-27
[43]
뉴스
WAR IN THE GULF: Turkey; Turkey's Role in Air Assault Sets Off Fear of Retaliation
https://www.nytimes.[...]
1991-01-20
[44]
간행물
The Guld War: U.A.E Participation in That War
https://apps.dtic.mi[...]
1993-05-02
[45]
웹사이트
1990/1991 Gulf Conflict
http://www.mod.uk/De[...]
Ministry of Defence
2011-03-25
[46]
웹사이트
The Impact of Infectious Diseases on the Health of U.S. Troops Deployed to the Persian Gulf During Operations Desert Shield/Desert Storm
http://www.gulflink.[...]
Force Health Protection & Readiness Policy & Programs
2014-06-09
[47]
웹사이트
DESERT SHIELD AND DESERT STORM A CHRONOLOGY AND TROOP LIST FOR THE 1990–1991 PERSIAN GULF CRISIS
https://apps.dtic.mi[...]
2018-12-18
[48]
웹사이트
DESERT SHIELD AND DESERT STORM A CHRONOLOGY AND TROOP LIST FOR THE 1990–1991 PERSIAN GULF CRISIS
https://apps.dtic.mi[...]
2018-12-18
[49]
웹사이트
OP SCALPEL War Journal
http://www.rcsigs.ca[...]
2017-05-23
[50]
웹사이트
La Armada Argentina en el Golfo
https://web.archive.[...]
2010-06-09
[51]
웹사이트
El TC-91, un avión con mucha historia
http://www.lanacion.[...]
2010-06-09
[52]
웹사이트
A 12 AÑOS DEL BOEING UNAG-1 EN LA GUERRA DEL GOLFO I
http://www.aeroespac[...]
2011-03-05
[53]
웹사이트
The Dutch contribution to the Gulf war - Historical missions - Defensie.nl
https://english.defe[...]
2020-03-08
[54]
웹사이트
The Operation Southern Breeze
http://www.wielingen[...]
2020-03-08
[55]
서적
걸프전, 범아랍주의의 새 장을 열다
르몽드 20세기사
[56]
문서
걸프 협력 회의는 1981년에 창설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