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왕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 왕릉은 유교, 풍수지리 사상을 바탕으로 조성되었으며, 능역은 돌담으로 둘러싸인 장방형 구조를 갖는다. 봉분에는 석상, 석수 등이 배치되었고,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은 독특한 구조를 가진다. 잦은 외침과 도굴로 많은 피해를 입었으며, 2013년에는 현릉, 현정릉, 명릉을 포함한 3개의 왕릉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왕릉은 주로 황해북도 개성에 위치하며, 유교 경전, 풍수지리 등을 고려하여 위치가 결정되었다. 대한민국에는 강화 석릉, 곤릉, 홍릉, 가릉과 고양 공양왕릉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시대 유적 - 남원 만복사지
남원 만복사지는 고려시대 창건되어 정유재란 때 소실된 사찰 터로, 오층석탑 등의 유물과 발굴된 유물을 통해 당시 규모를 짐작할 수 있으며, 《금오신화》의 배경으로도 알려져 있다. - 고려의 왕릉 - 공민왕릉
공민왕릉은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능으로, 9년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석상과 함께 일제강점기 훼손 후 북한에서 보수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고려의 왕릉 - 현릉 (고려 태조)
- 개성역사유적지구 - 공민왕릉
공민왕릉은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능으로, 9년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석상과 함께 일제강점기 훼손 후 북한에서 보수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개성역사유적지구 - 만월대
만월대는 고려 왕조가 건국될 때 건설된 궁궐로, 홍건적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으나 남북 공동 발굴 조사를 통해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고려왕릉 | |
---|---|
고려왕릉 | |
![]() | |
문맥 | 북한 |
로마자 표기 | Goryeo wangneung |
한자 표기 | 高麗王陵 |
한국어 표기 | 고려왕릉 |
2. 고려 왕릉의 특징 및 구조
고려 왕릉은 유교 경전인 《예기》, 《주례》의 지침과 풍수지리 사상을 바탕으로 조성되었다. 능역은 남북으로 긴 장방형이며,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봉분은 3~5m 높이로, 면석과 십이지신상 호석, 돌난간, 석수 등으로 장식되었다. 능 앞에는 4단의 층을 두어, 위에서부터 능, 석상, 망주석, 장명등, 문석인, 무석인, 정자각, 능비 등을 배치했다.[2]
고려 왕릉은 잦은 외침과 도굴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었다.
2013년 6월 23일, 프놈펜에서 열린 제3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회의에서 태조 왕건과 신혜왕후 유씨의 합장릉인 현릉, 공민왕과 노국공주가 묻힌 현정릉, 충목왕의 명릉을 포함한 3개의 왕릉군인 명릉군, 피장자가 명확하지 않은 현릉 북서쪽의 왕릉 7기를 포함한 칠릉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4]
고려는 개성을 수도로 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왕릉은 북한 지역에 있다. 몽고의 침입으로 강화도로 천도했던 시기(1232년~1270년)에 조성된 왕릉 5기와 공양왕릉만이 대한민국에 남아있다.[3] 강화도에 있는 왕릉은 희종의 석릉, 성평왕후의 소릉, 원덕왕후의 곤릉, 고종의 홍릉, 순경태후의 가릉이다.[3] 경기도 고양시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에는 공양왕의 능이 각각 1기씩 있으나, 어느 것이 진짜 무덤인지는 확실하지 않다.[1] 인천광역시는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를 설립하고 강화 고려왕릉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3]
대부분의 고려 왕릉은 북한의 황해북도 개풍군과 장풍군, 개성특별시에 위치한다. 북한은 이들 왕릉을 국보 또는 보존급 유적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1]
고려의 역대 국왕과 왕비, 추존왕과 추존왕비의 능으로, 폐위된 우왕과 창왕의 능은 조성되지 않았으며 우왕의 생모인 순정왕후의 의릉(懿陵)은 1389년 12월 철거되었다.[1]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능은 경기도 고양시와 강원도 삼척시에 2기가 존재하나 어느 것이 진짜 무덤인지 불확실하다.
공민왕과 노국공주가 묻힌 현정릉은 고려 왕릉 중 유일하게 쌍봉 형식으로, 봉분 내부에 석실이 존재하며 석실 안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고, 현릉과 정릉을 연결하는 작은 통로가 뚫려 있는 등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왕릉이다.
3. 도굴 및 약탈사
발생 시기 사건 내용 1059년(문종 13년) 음력 5월 태조의 현릉 묘실에 도둑이 들어 능실시위대장군 은정(殷貞) 등을 하옥하고 벌을 내렸다.[5] 1208년(희종 4년) 도적이 안종의 무릉을 도굴하였다. 1217년(고종 4년) 거란군이 공예태후의 순릉을 도굴하였다.[6] 1255년(고종 42년) 몽골의 침략으로 훼손된 명종의 지릉을 보수하였다. 1256년(고종 43년) 도적이 강종의 능을 파헤쳤다. 1288년(충렬왕 14년) 도적이 목종과 선정왕후의 의릉을 도굴하여 은그릇을 가져갔다.[7] 1332년(충혜왕 2년) 음력 2월 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의 고릉이 도굴당했다.[8] 1365년(공민왕 14년) 음력 3월 왜적이 창릉을 침범해 세조의 영정을 탈취하여 새로 봉안하였다.[9] 일제강점기 인종의 장릉 도굴과정에서 황통 6년명 인종시책문과 국보 제94호 청자참외모양병이 출토되어 유출되었다.[10]
4. 세계문화유산
5. 대한민국 소재 고려 왕릉
6. 북한 소재 고려 왕릉
개성을 수도로 했던 고려 왕조의 역사성으로 인해, 일부 왕릉을 제외한 대부분이 북한 지역에 많이 존재한다. 고려 왕릉은 개성 부근 산악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태조의 현릉을 비롯한 19릉의 소재가 분명하다.
2016년 6월에는 북한 개성에서 9대 덕종의 숙릉과 10대 정종의 주릉 등 고려 왕릉 2기가 새롭게 발굴되었다.[2]
고려 왕릉은 황해북도 남서부에 흩어져 있으며, 대부분은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에서 20km 이내에 있다. 대부분의 능은 개성의 서쪽에 인접한 개풍군에 있으며, 개성의 동쪽에 인접한 장풍군에도 상당수가 있다.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일부 능은 개성 자체에도 있다.
고려 시대의 왕릉은 중국의 유교 경전인 《예기》와 《주례》에 명시된 지침을 따랐다. 능의 위치를 결정할 때, 개성과의 거리, 다른 왕릉과의 거리, 접근성, 그리고 풍수지리의 전통 등 많은 요인이 고려되었다.능호 피장자 위치 비고 현릉 태조 왕건 개풍군 해선리 만수산 북한 국보 제179호, 칠릉군 정릉 신성왕후 개풍군 화곡리 북한 국보 제573호 안릉 정종 개풍군 공암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제552호 헌릉 광종 개성시 삼거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제545호 영릉 경종 개풍군 판문면 진봉산 북한 문화재 제569호 강릉 성종 개풍군 진봉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재 제567호 선릉 현종 개풍군 해선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제547호 건릉 안종 장풍군 월고리 현화계곡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제572호 원릉 헌정왕후 장풍군 월고리 현화계곡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제571호 경릉 문종 장풍군 선죽리 경릉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제570호 성릉 선종 개풍군 진봉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568 유릉 예종 개풍군 오산리 양릉 신종 개풍군 거남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제553호 후릉 강종 개풍군 현화리 조선 정종의 후릉과는 다름 소릉 원종 개성시 룡흥동 소릉 골짜기 북한 문화재 제562호 명릉 충목왕 개풍군 연릉리 북한 국보 제549호(2호분과 3호분은 국보 제169호)
7. 왕릉 목록
개성을 수도로 두었던 고려왕조의 역사성으로 인해 일부 왕릉을 제외한 나머지가 대부분 북한 지방에 많이 존재하는 편이며, 몽고의 침입으로 강화도로 천도하면서 1270년 개경으로 환도하기 전까지 38년 동안 만들어진 고려왕릉 5기가 대한민국에 존재한다.
고려의 왕릉은 개성 부근 산악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능의 소재가 분명한 것은 태조의 능인 현릉(顯陵)을 비롯한 19릉이다. 고려의 왕릉은 이민족의 침입과 병란으로 인한 도굴 및 조선시대의 개축 등을 거치면서 원형이 많이 변하였으나, 현릉, 소릉과 칠릉군(七陵群)은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왕릉 발굴과 관련하여 2016년 6월, 북한 개성에서 9대 덕종의 숙릉과 10대 정종(靖宗)의 주릉 등 고려왕릉 2기가 새롭게 발굴되었다.[2]
인천광역시는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를 설립하고 희종의 석릉, 성평왕후의 소릉, 원덕왕후의 곤릉, 고종의 홍릉, 순경태후의 가릉을 포함하여 경기도 고양시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에 위치한 공양왕릉등 강화 고려왕릉의 세계문화유산을 추진하고 있다.[3]
공민왕과 노국공주가 묻힌 현정릉은 고려 왕릉 중 유일하게 쌍봉 형식의 왕릉으로, 봉분 내부에 석실이 존재하며 석실 안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고, 현릉과 정릉을 연결하는 작은 통로가 뚫려있는데,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왕릉이다.대 묘호 및 시호 능호 피장자 건립 시기 소재지 지정 번호 추존 의조 懿祖 온혜릉 溫鞋陵 의조 미상 | 세조 世祖 창릉 昌陵 세조-위숙왕후 황해북도 개풍군 남포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54호 제1대 태조 太祖 현릉
수릉
정릉顯陵
壽陵
貞陵태조-신혜왕후
신정왕후
신성왕후943년
983년
1010년황해북도 개풍군 중서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국보 제179호
북한 보존급유적 제573호제2대 혜종 惠宗 순릉 順陵 혜종-의화왕후 945년 개성 가하동 북한 보존급유적 제946호 제3대 정종 定宗 안릉 安陵 정종-문공왕후 949년 개풍군 북한 보존급유적 제552호 제4대 광종 光宗 헌릉 憲陵 광종 975년 개풍군 영남면 북한 보존급유적 제545호 추존 대종 戴宗 태릉 泰陵 대종-선의왕후 981년 개풍군 중서면 곡잠리 안종 安宗 무릉 武陵 안종 1017년 개풍군 영남면 제5대 경종 景宗 영릉
유릉
원릉榮陵
幽陵
元陵경종-헌숙왕후
헌애왕후
헌정왕후981년
1029년
1009년개성
황해북도 장풍군 현화리북한 보존급유적 제569호
북한 보존급유적 제571호제6대 성종 成宗 강릉 康陵 성종-문덕왕후 997년 개성 제7대 목종 穆宗 의릉 義陵 목종-선정왕후 1012년 개성 제8대 현종 顯宗 선릉
화릉
회릉
명릉
의릉宣陵
和陵
懷陵
明陵
宜陵현종
원정왕후
원혜왕후
원성왕후
원평왕후1031년
1018년
1022년
1028년
1028년개풍군 해선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47호 제9대 덕종 德宗 숙릉
질릉肅陵
質陵덕종
경성왕후1034년
1086년개풍군 제10대 정종 靖宗 주릉
현릉周陵
玄陵정종
용신왕후1046년
1036년개풍군 제11대 문종 文宗 경릉
대릉景陵
戴陵문종
인예왕후1083년
1092년개풍군 북한 보존급유적 제570호 제12대 순종 順宗 성릉 成陵 순종-선희왕후 1083년 개성 북한 보존급유적 제568호 제13대 선종 宣宗 인릉 仁陵 선종-사숙왕후 1094년 개풍군 제14대 헌종 獻宗 은릉 隱陵 헌종 1097년 개풍군 제15대 숙종 肅宗 영릉
숭릉英陵
崇陵숙종
명의왕후1105년
1112년개성 북한 보존급유적 제569호 제16대 예종 睿宗 유릉
자릉
수릉裕陵
慈陵
綏陵예종
경화왕후
순덕왕후1122년
1109년
1118년개풍군 청교면 제17대 인종 仁宗 장릉
순릉長陵
純陵인종
공예왕후1146년
1183년개풍군 청교면 장릉리 제18대 의종 毅宗 희릉 禧陵 의종-장경왕후 1175년 개풍군 제19대 명종 明宗 지릉 智陵 명종-의정왕후 1202년 황해북도 장풍군 제20대 신종 神宗 양릉
진릉陽陵
眞陵신종
선정왕후1204년
1222년개풍군 청교면 양릉리 북한 보존급유적 제553호 제21대 희종 熙宗 석릉
소릉碩陵
紹陵희종
성평왕후1237년
1247년인천광역시 강화군 대한민국 사적 제369호 제22대 강종 康宗 후릉
곤릉厚陵
坤陵강종
원덕왕후1213년
1239년개풍군 영남면
인천광역시 강화군대한민국 사적 제371호(곤릉) 제23대 고종 高宗 홍릉 洪陵 고종 1259년 인천광역시 강화군 대한민국 사적 제224호 제24대 원종 元宗 소릉
가릉韶陵
嘉陵원종
정순왕후1274년
1237년개성 룡흥리 내동
인천광역시 강화군북한 보존급유적 제562호
대한민국 사적 제370호(가릉)제25대 충렬왕 忠烈王 경릉
고릉慶陵
高陵충렬왕
장목왕후1308년
1297년개성 고릉동 제26대 충선왕 忠宣王 덕릉 德陵 충선왕 1325년 개풍군 제27대 충숙왕 忠肅王 의릉
영릉毅陵
令陵충숙왕
공원왕후1339년
1380년개풍군 제28대 충혜왕 忠惠王 영릉
경릉永陵
頃陵충혜왕
덕녕공주1344년
1375년개풍군 제29대 충목왕 忠穆王 명릉 明陵 충목왕 1349년 개풍군 중서면 여릉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보존급유적 제549호제30대 충정왕 忠定王 총릉 聰陵 충정왕 1352년 개풍군 청교면 제31대 공민왕 恭愍王 현릉
정릉玄陵
正陵공민왕
노국공주1372년
1365년개풍군 중서면 여릉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국보 제123호제32대 우왕 禑王 colspan="6" rowspan="2" | 제33대 창왕 昌王 제34대 공양왕 恭讓王 고릉
공양왕릉高陵
恭讓王陵공양왕-순비 노씨 미상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원도 삼척시대한민국 사적 제191호
강원도 기념물 제71호
7. 1. 개풍군 및 장풍군 소재 왕릉
고려 왕릉은 대부분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에서 20km 이내에 위치하며, 개풍군과 장풍군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왕릉의 위치는 개성과의 거리, 다른 왕릉과의 거리, 접근성, 그리고 풍수지리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왕릉 건설에는 유교 경전인 《예기》와 《주례》의 지침과 더불어 한국의 전통적인 매장 의식과 자연 환경이 반영되었다.
개풍군과 장풍군에는 태조의 현릉(북한 국보 제179호), 명종의 지릉, 신종의 양릉(북한 보존급유적 제553호), 강종의 후릉, 공민왕의 현릉(현정릉, 북한 국보 제123호) 등이 있다. 북한은 이 지역의 왕릉들을 국보 또는 보존급 유적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7. 1. 1. 태조와 추존왕
대 | 묘호 및 시호 | 능호 | 피장자 | 건립 시기 | 소재지 | 지정 번호 | |
---|---|---|---|---|---|---|---|
추존 | 의조 懿祖 | 온혜릉 | 溫鞋陵 | 의조 | 미상 | | | |
세조 世祖 | 창릉 | 昌陵 | 세조-위숙왕후 | 황해북도 개풍군 남포리 | 북한 보존급유적 제554호 | ||
제1대 | 태조 太祖 | 현릉 수릉 정릉 | 顯陵 壽陵 貞陵 | 태조-신혜왕후 신정왕후 신성왕후 | 943년 983년 1010년 | 황해북도 개풍군 중서면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북한 국보 제179호 북한 보존급유적 제573호 |
'''현릉'''(顯陵)은 왕건의 무덤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고려를 세운 태조 왕건(877~943, 재위 918~943)의 무덤이다. 왕건은 왕위에 오른 후 태조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신라와 백제를 정복하고 한반도를 통일하였다. 무덤은 943년 왕이 죽은 후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그는 가장 총애하는 왕비인 신혜왕후와 함께 묻혔다.[1]
이 무덤은 1994년에 크게 다시 지어졌는데, "복원"을 위해 원래 건물과 조각상이 모두 철거되었다.[1] 오늘날, 매장실은 관광객에게 공개되어 태조와 왕비의 유해가 안치된 관, 그리고 무덤의 원래 조각 장식을 전시하고 있다.[1]
현릉은 황해북도 개풍군 해선리 만수산 기슭에 있으며, 북한 국보 제179호로 지정되어 있다.[1] 무덤 뒤 계곡에는 여러 왕자, 공주, 후궁의 유해가 안치된 칠릉군이 있다.[1]
'''정릉'''(貞陵)은 태조의 부인인 신성왕후의 무덤이다. 무덤은 상태가 좋지 않으며, 흙으로 된 봉분과 몇 개의 석주만 남아있다. 황해북도 개풍군 화곡리에 있으며, 북한 국보 제573호로 지정되어 있다.[2]
7. 1. 2. 혜종 ~ 광종
대 | 묘호 및 시호 | 능호 | 피장자 | 건립 시기 | 소재지 | 지정 번호 |
---|---|---|---|---|---|---|
제2대 | 혜종 惠宗 | 순릉 | 혜종-의화왕후 | 945년 | 개성 가하동 | 북한 보존급유적 제946호 |
제3대 | 정종 定宗 | 안릉 | 정종-문공왕후 | 949년 | 황해북도 개풍군 | 북한 보존급유적 제552호 |
제4대 | 광종 光宗 | 헌릉 | 광종 | 975년 | 황해북도 개풍군 영남면 | 북한 보존급유적 제545호 |
- 혜종 순릉: 945년에 건립되었으며, 개성 가하동에 위치한다. 북한 보존급유적 제946호이다.[1]
- 정종 안릉: 949년에 건립되었으며, 개풍군에 위치한다. 북한 보존급유적 제552호이다.[2] 묘실 벽화에는 산수도와 수렵도가 그려져 있으며, 천장에는 28수와 6개의 별자리가 묘사되어 있어 초기 고구려 무덤 예술과의 중요한 연관성을 보여준다.[3]
- 광종 헌릉: 975년에 건립되었으며, 개풍군 영남면에 위치한다. 북한 보존급유적 제545호이다.[4]
7. 1. 3. 대종, 안종, 경종 ~ 현종
묘호 및 시호 | 능호 | 피장자 | 건립 시기 | 소재지 | 지정 번호 |
---|---|---|---|---|---|
대종 | 태릉 | 대종-선의왕후 | 981년 | 개풍군 중서면 곡잠리 | |
안종 | 무릉 | 안종 | 1017년 | 개풍군 영남면 | |
경종 | 영릉 | 경종-헌숙왕후 | 981년 | 개성 | 북한 보존급유적 제569호 |
헌애왕후 | 유릉 | 헌애왕후 | 1029년 | 황해북도 장풍군 현화리 | 북한 보존급유적 제571호 |
헌정왕후 | 원릉 | 헌정왕후 | 1009년 | 소재지 불명 | |
성종 | 강릉 | 성종-문덕왕후 | 997년 | 개성 | |
목종 | 의릉 | 목종-선정왕후 | 1012년 | 개성 | |
현종 | 선릉 | 현종 | 1031년 | 개풍군 해선리 | 북한 보존급유적 제547호 |
원정왕후 | 화릉 | 원정왕후 | 1018년 | 현종 선릉 근처 | |
원혜왕후 | 회릉 | 원혜왕후 | 1022년 | 현종 선릉 근처 | |
원성왕후 | 명릉 | 원성왕후 | 1028년 | 현종 선릉 근처 | |
원평왕후 | 의릉 | 원평왕후 | 1028년 | 현종 선릉 근처 |
7. 1. 4. 덕종 ~ 헌종
묘호 및 시호 | 능호 | 피장자 | 건립 시기 | 소재지 | 비고 |
---|---|---|---|---|---|
덕종 | 숙릉 | 덕종 | 1034년 | 개풍군 | |
경성왕후 | 질릉 | 경성왕후 | 1086년 | 소재지 불명, 숙릉 근처 | |
정종 | 주릉 | 정종 | 1046년 | 소재지 불명 | |
용신왕후 | 현릉 | 용신왕후 | 1036년 | 소재지 불명, 주릉 근처 | |
문종 | 경릉 | 문종 | 1083년 | 개풍군 | 북한 보존급유적 제570호 |
인예왕후 | 대릉 | 인예왕후 | 1092년 | 소재지 불명, 경릉 근처 | |
순종 | 성릉 | 순종 | 1083년 | 개성 | 북한 보존급유적 제568호 |
선희왕후 | 미상 | 선희왕후 | 불명 | 소재지 불명, 성릉 근처 | |
선종 | 인릉 | 선종 | 1094년 | 소재지 불명 | |
사숙왕후 | 미상 | 사숙왕후 | 불명 | 소재지 불명, 인릉 근처 | |
헌종 | 은릉 | 헌종 | 1097년 | 소재지 불명 |
7. 1. 5. 숙종 ~ 의종
대 | 묘호 및 시호 | 능호 | 피장자 | 건립 시기 | 소재지 | 지정 번호 | |
---|---|---|---|---|---|---|---|
제15대 | 숙종 肅宗 | 영릉 숭릉 | 숙종 명의왕후 | 1105년 1112년 | 개성 | 북한 보존급유적 제569호 | |
제16대 | 예종 睿宗 | 유릉 자릉 수릉 | 예종 경화왕후 순덕왕후 | 1122년 1109년 1118년 | 개풍군 청교면 | ||
제17대 | 인종 仁宗 | 장릉 순릉 | 인종 공예왕후 | 1146년 1183년 | 개풍군 청교면 장릉리 | ||
제18대 | 의종 毅宗 | 희릉 | 의종 장경왕후 | 1175년 |
7. 1. 6. 명종 ~ 원종
묘호 및 시호 | 능호 | 피장자 | 건립 시기 | 소재지 | 지정 번호 |
---|---|---|---|---|---|
명종 明宗 | 지릉 | 명종, 의정왕후 | 1202년 | 황해북도 장풍군 | |
신종 神宗 | 양릉 진릉 | 신종, 선정왕후 | 1204년 1222년 | 개풍군 청교면 양릉리 | 북한 보존급유적 제553호 |
강종 康宗 | 후릉 | 강종 | 1213년 | 개풍군 영남면 | |
원종 元宗 | 소릉 | 원종 | 1274년 | 개성 룡흥리 내동 | 북한 보존급유적 제562호 |
명종의 지릉은 황해북도 장풍군에 있고, 의정왕후의 능은 소재지가 불분명하나 지릉 근처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종의 양릉은 개풍군 청교면 양릉리에 있으며, 북한 보존급유적 제553호이다. 선정왕후의 진릉은 양릉 근처에 있다. 강종의 후릉은 개풍군 영남면에 있다. 원종의 소릉은 개성 룡흥리 내동에 있으며, 북한 보존급유적 제562호이다.[1]
7. 1. 7. 충렬왕 ~ 공민왕
- 충렬왕의 경릉은 개성시 고릉동에 있으며, 왕비 장목왕후의 고릉이 근처에 있다.
- 충선왕의 덕릉은 소재지가 불명확하다.
- 충숙왕의 의릉과 왕비 공원왕후의 영릉은 소재지가 불명확하다.
- 충혜왕의 영릉과 왕비 덕녕공주의 경릉은 소재지가 불명확하다.
- 충목왕의 명릉은 개풍군 중서면 여릉리에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북한 보존급유적 제549호이다.
- 충정왕의 총릉은 개풍군 청교면에 있다.
- 공민왕의 현릉과 왕비 노국공주의 정릉은 현정릉으로 불리며, 개풍군 중서면 여릉리에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북한 국보 제123호이다.

'''현정릉'''(玄正陵)은 흔히 '''공민왕릉'''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고려 제31대 왕인 공민왕 (1330-1374, 재위 1351-1374)과 몽골 출신 왕비 노국공주의 무덤이다. 고려 왕릉 중 가장 잘 보존된 곳으로,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능묘 건설은 1365년 노국공주가 사망한 후 시작되어 1372년에 완공되었다. 능묘는 조각된 화강암 기단 위에 작은 언덕이 있는 형태로, 주변에는 한국과 몽골을 상징하는 양과 호랑이 조각상이 있다. 능으로 향하는 "신도"에는 무관과 유학자들의 조각상이 줄지어 서 있다. 이들의 배치는 왕에게 중요한 고려 사항이었으며, 부지 선정에 좋은 풍수지리를 확보하기 위해 많은 지관, 천문학자, 수학자들이 자문을 받았다. 안타깝게도 1905년 일본군에 의해 능실이 다이너마이트로 폭파되고 약탈당하면서 능묘의 유물들은 사라졌다. 내부 유물 대부분은 일본으로 반출된 것으로 여겨지며, 공민왕의 관은 개성에 있는 고려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
'''명릉'''(明陵)은 고려 제29대 왕인 충목왕 (1337-1348, 재위 1344-1348)의 묘역이다. 묘 옆에는 명릉군 2호분과 3호분이라는 두 개의 무덤이 있는데, 여기에는 두 명의 미상 친족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 이 묘들은 모두 상태가 양호하며, 풍화되었지만 훼손되지는 않았다. 세 무덤은 개풍군 연릉리에 있으며, 명릉은 북한 국보 제549호로, 2호분과 3호분은 국보 제169호로 지정되어 있다.[1]
7. 2. 대한민국 소재 왕릉
대한민국에 소재한 고려 왕릉은 인천광역시 강화군과 경기도 고양시,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하고 있다.강화도에는 희종의 석릉(사적 제369호)을 비롯하여 성평왕후의 소릉, 원덕왕후의 곤릉(사적 제371호), 고종의 홍릉(사적 제224호), 정순왕후의 가릉(사적 제370호)이 있다.
고양시와 강원도 삼척시에는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과 순비 노씨의 무덤인 공양왕릉이 있다. 공양왕릉은 대한민국 사적 제191호, 강원도 기념물 제71호로 지정되었다.
7. 2. 1. 인천 강화군
7. 2. 2. 경기도 고양시, 강원도 삼척시
恭讓王陵|공양왕릉중국어은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재위 1389년 ~ 1392년)과 순비 노씨의 무덤이다. 조선 건국 후 공양왕은 원주로 추방되었다가 태조 3년(1394년)에 삼척에서 살해되었다.[1] 공양왕릉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으며 대한민국 사적 제191호로, 강원도 삼척시에도 공양왕릉이 있으며 강원도 기념물 제71호로 지정되었다.[1]
참조
[1]
서적
고려사 권45, 세가45 공양왕 1년
[2]
웹인용
북한 "개성에서 고려시대 왕릉 2기 새로 발견"
https://news.naver.c[...]
2016-06-28
[3]
웹인용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내년 5월 설립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7-02-19
[4]
웹인용
연합뉴스, 북개성역사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종합)
https://news.naver.c[...]
[5]
서적
고려사 권8, 세가8 문종 2
[6]
서적
고려사 권22, 세가22 고종 1 (1217년 음력 3월 23일)
[7]
서적
고려사 권30, 세가30 충렬왕 3
[8]
서적
고려사 권36, 세가36 충혜왕
[9]
서적
고려사 권41, 세가41 공민왕 4
[10]
웹인용
국립중앙博 '고려왕실의 도자기' 테마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