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기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기병은 말을 타면서 활을 쏘는 기술과 그러한 기술을 가진 병사를 의미한다. 철기 시대에 발전하여 전차를 대체했으며,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중요한 군사 전술로 활용되었다. 특히 유목 민족에게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파르티아 사법과 같은 독특한 기술이 개발되기도 했다. 화기 기술의 발달로 쇠퇴했지만, 몽골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을 계승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현대 스포츠로도 발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마 - 데스트리어
데스트리어는 중세 시대에 전투나 토너먼트용으로 사육된 튼튼하고 민첩한 군마를 지칭하는 용어로, 특정 품종이 아닌 특수한 목적을 위해 길러진 말들을 의미하며, 어원은 '오른쪽 말'을 뜻하는 속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 군마 - 코서
코서는 어원이 다양하며 중세 시대 전쟁에서 기병대의 기동력과 힘을 제공하여 전투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말 품종을 지칭한다. - 승마 - 마상체조
마상체조는 말을 타고 다양한 기술과 동작을 선보이는 승마 종목으로, 과거 기병 훈련에서 시작되어 현대에는 어린이 승마 교육과 레크리에이션, 치료 목적으로 활용되며 국제 대회도 개최된다. - 승마 - 장애물 비월
장애물 비월은 기승자와 말이 코스 내 다양한 장애물을 뛰어넘어 완주하는 승마 스포츠로, 여우 사냥에서 유래되었으며 올림픽 등 국제 대회에서 시행되고 기술 발전 및 안전 규정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궁수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궁수 - 숭덕제
숭덕제는 청나라의 제2대 황제이자 후금의 칸으로,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내몽골 복속, 조선 정복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한족 관료 등용과 육부 설치로 통치 체제를 정비하여 청나라의 중국 대륙 지배 기반을 마련했다.
궁기병 | |
---|---|
개요 | |
![]() | |
유형 | 군사 기술, 사냥 기술 |
사용 도구 | 활, 화살, 말 |
유사 용어 | 기사 (騎士) |
역사 | |
기원 | 유라시아 |
사용 문화권 | 스키타이 흉노 사르마티아 파르티아 고대 한국 몽골 튀르크 중국 인도 페르시아 일본 아랍 카자크 체르케스인 아파치족 코만치족 마자르족 |
전술 및 기술 | |
주요 전술 | 히트 앤 런 (Hit-and-run) 파르티안 사격 (Parthian shot) |
기술적 요구 사항 | 말 타기 기술 활쏘기 기술 말 위에서의 균형 감각 |
국가별 궁기병 | |
대한민국 | 각궁, 목궁, 편전, 기사, 습사 |
일본 | 야부사메 |
현대적 활용 | |
스포츠 | 마상궁술 |
2. 역사
기마궁술은 철기 시대에 처음 발전하여 점차 청동기 시대의 전차를 대체했다. 경기마궁수는 넓은 공간에서 전투 중 이동과 퇴각에 유리했지만, 지형이 좁으면 쉽게 공격받았고, 보병 궁수와 석궁병에게도 취약했다. 대규모 군대가 경기마궁수에만 의존하는 경우는 드물었지만, 카르라이 전투나 다리우스 1세의 유럽 스키타이 원정처럼 기마궁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 사례도 많다.
크라수스는 카르라이 전투에서 파르티아 기마궁수와 카타프락토스에게 패배했고, 다리우스 1세는 스키타이족 원정에서 많은 병력과 보급품을 잃었다. 반면, 그리스는 플라타이아 전투에서 페르시아 기마궁수를 격파했고, 마케도니아의 필립포스 2세는 스키타이족을 정복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자크사르테스 강 전투에서 승리하고 인도 침공에도 기마궁수를 활용했다.
로마 제국은 동부 군대와의 충돌 이후 기마궁수를 광범위하게 사용했으며, 십자군도 투르코폴이라는 기마궁수를 활용했다. 비잔티움과 튀르크 군대의 중기마궁수는 창병과 혼합된 엄격한 편대로 일제 사격을 가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몽골군과 다른 군대에는 중기마궁수와 경기마궁수가 모두 포함되었다. 러시아 드루지나 기병과 튀르크 티마리오트, 카피쿨루는 중장갑을 착용하고 헝가리, 알바니아, 몽골 기마궁수와 대적했다.
대월은 11세기에 기마궁수를 기록했고, 리 공온 황제는 기마궁술 학교를 열었으며, 리 성종 시절에는 2,000명의 숙련된 기마궁수 부대가 리송 전쟁에서 활약했다. 리 왕조의 기마궁수들은 참파와 크메르 제국과의 전투에서도 승리했지만, 왕조 쇠퇴와 함께 해산되었다.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중세 군대는 기마 석궁병을 활용하여 정찰, 습격, 측면 보호, 적 경기병 추격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장전 메커니즘 발명으로 기마 석궁병은 말을 타고 무거운 석궁을 재장전하고 발사할 수 있게 되었다.
기마궁술은 보병 궁병이나 석궁병에 비해 사격 능력이 떨어졌지만, 십자군은 투르크멘 기마궁병에 석궁병으로 대응했고, 중국군은 유목민 군대에 대규모 석궁병을 배치했다. 유목민 군대는 보병 궁병과의 활쏘기 교전을 위해 말에서 내리는 경우가 많았다.
16세기 이후 화기 기술 발전으로 기마궁술은 쇠퇴했지만, 17세기 동유럽에서는 합성궁과 권총이 함께 사용되기도 했다. 18세기 만주에서는 기마궁술이 높이 평가되었고, 준가르-청 전쟁에서 청나라 궁기병이 승리했다.[53] 전통적인 만주 궁술은 1911년 청나라 멸망까지 이어졌다.
2. 1. 고대
기마궁술은 철기 시대에 처음 발전하여 점차 청동기 시대의 전차를 대체했다. 가장 초기 묘사는 기원전 9세기경 신아시리아 제국의 예술 작품에서 발견되며 초기 이란계 민족의 침입을 반영한다.[37]아시리아 조각상에 묘사된 초기 기마궁술은 두 명의 기수가 한 명은 말 두 마리를 조종하고 다른 한 명은 활을 쏘는 방식이었다.[38]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 군대에 처음으로 중기마궁수가 등장했으며, 이들은 가벼운 경기병과 무거운 카타프락토스 기병 사이의 연결 고리를 형성했다.[39][40][41] 중기마궁수는 보통 사슬갑옷이나 판갑과 투구를 착용했고, 때로는 말에도 갑옷을 입혔다.[42]
메로에와 메로에 이후의 누비아 기병 전술에서 기마궁술이 널리 사용되었다.[43]
말 위에서 고삐를 놓고 상반신을 완전히 뒤로 돌려 활을 쏘는 사법을 파르티아 사법이라고 하는데, 유목민들은 기원전 7~3세기부터 파르티아 사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었다. 등자를 이용한 파르티아 사법은 고구려의 벽화 수렵도에 등장한다.[95]

2. 2. 중세


나폴레옹 전쟁 중 러시아 제국군은 나폴레옹군에 대항하여 코사크, 바쉬키르, 칼미크 기마궁수를 배치했다. 마르보 남작은 라이프치히 전투 전날 자신의 부대가 기마궁수를 만났다고 기록하고 있다.

마르보 장군은 기마궁수를 경멸적인 어조로 묘사했지만, 장군 자신은 적의 화살에 다리가 부상을 입었고, 바쉬키르 부대는 1814년 파리 점령군에 속해 있었다.
화기가 유럽과 러시아에서 활을 대체하기 시작한 이유는 화기가 더 우수해서가 아니라 사용하기 쉽고 연습이 덜 필요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5] 그러나 1846년 버펄로 사냥에 대해 논하면서 프랜시스 파크먼은 "인디언들이 버펄로를 사냥할 때 사용하는 활과 화살은 화기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으며, 백인들도 가끔 그것을 사용한다"고 언급했다.[56] 북미의 코만체족은 화승총보다 활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 "...1800년경 이후 대부분의 코만체족은 머스켓과 권총을 버리고 오래된 무기에 의존하기 시작했다."[57] 활은 후기 미국 인디언 전쟁에서도 미국 원주민에 의해 사용되었지만, 현대식 연발 화기에 즉시 접근할 수 있었던 거의 모든 전사들은 이 총을 대신 사용했다.
이동 중 말 위에서 활을 쏘는 것은 양손을 필요로 하므로, 기수는 높은 수준의 마술 기술이 요구되며, 이에 상응하는 말의 훈련도 필요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궁기병은 마술에 능하고 안장과 등자 등 더 발전된 마구를 가진 유목민들로 구성되었다. 스키타이인, 사르마타이인, 훈족, 마자르인, 튀르크인, 몽골인의 궁기병이 유명하며, 이들 부족과의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던 한족, 로마인 등도 궁기병을 편제 및 고용했다. 조의 무령왕의 호복기사(기마민족 풍의 옷을 입고, 기사를 하는 것)는 유명하다. 일본에서는 에미시가 경장갑의 궁기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마쿠라 시대 전후의 무사도 궁기병이 주력이었다. 또한, 서양인 도래 이후 북미 원주민(특히 라코타족, 아파치 등 서부 및 중부 평원의 여러 부족)에도 뛰어난 궁기병이 존재했다.
궁기병은 매우 기동력에 뛰어나, 그 기동력을 살린 위장퇴각과 기사를 반복하는 전술 등을 채택했다. 언뜻 결정력 부족처럼 보이지만, 합성궁의 개량이 거듭되어 큰 살상력을 지니고 있었다. 중기병이나 보병 등을 공격할 때에는 집요한 기사로 진형을 무너뜨리고 사기가 저하된 적을 추격하는 전법을 채택했다.
일반적으로 궁기병은 활이 다루기 쉽고, 또한 말의 속도를 살리기 위해 경장비로 일상복 그대로인 경우가 보통이며, 방어구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방한을 겸한 누비 갑옷(면포갑)이나 간단한 흉갑과 투구를 사용하는 정도였다. 다만, 십자군 이후의 이슬람 세계(특히 동방), 몽골 제국의 일부 기병, 가마쿠라 시대의 일본 등에는 중장비의 궁기병이 존재했고, 이러한 궁기병은 다소 기동력을 잃었지만 다른 중장기병의 지원이나 경장비 궁기병이 포위한 적의 섬멸에는 한몫했다.
2. 3. 근세
16세기 이후 총과 대포 등 화기 기술이 발전했지만, 궁기병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서양에서는 17세기 말 오스만 제국 전성기까지 오스만 군대의 주요 병과로 활약했고, 동양에서는 청나라 팔기군에서 18세기 말까지 중요한 병과로 활약했다.[1] 그러나 17세기 이후 서양에서는 화기 기술과 전술이 발전하면서 궁기병이 점차 쇠퇴했고, 동양에서도 준가르가 멸망하고 만주족이 정주화되면서 궁기병은 점차 몰락했다.[1] 이후 총과 대포로 무장한 서양 열강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궁기병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1]2. 4. 현대
몽골은 1921년 독립 이후 궁기병술과 관련 기술을 부활시켰으며, 특히 나담 축제에서 이를 선보이고 있다.[58] 오늘날 몽골에서는 궁술과 승마 경기가 별도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이 스포츠가 매우 제한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말 경주는 서로 경쟁하며, 궁술은 전통적으로 앉은 자세가 아닌 서서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지난 5년 동안 몽골 승마 궁술 협회의 설립을 통해 전통을 부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회원들은 한국과 유럽에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3. 특징
기마궁사는 뛰어난 승마 기술과 궁술 실력을 겸비해야 했다.[13] 광활한 초원 지역 원주민들은 사냥, 가축 보호, 전쟁에 기마궁술을 사용했다.[14][15] 기마궁술은 많은 집단에게 기본적인 생존 기술이었고, 필요할 때마다 모든 건장한 남성을 이동성이 높은 전사로 만들었다.[16] 북아메리카 대초원의 들소 사냥은 활쏘기 사냥에 대한 가장 잘 기록된 사례 중 하나이다.[17]
전투에서 경기병 기마궁사는 주로 경기병으로, 적의 측면이나 후방에 신속한 타격을 가하거나 근접전을 피할 수 있는 가볍게 무장한 투척병이었다.[18] 파르티아 사격은 기수가 상체를 돌려 뒤로 사격하면서 적에게서 후퇴하는 전술이었다.[20] [21] 기마궁사의 속도가 워낙 빨랐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원거리 무기가 없는 부대는 기마궁사의 공격에 대응하기 어려웠다.[22] 끊임없는 공격은 사상자 발생, 사기 저하, 대형 붕괴로 이어질 수 있었고,[23] 궁수들을 향해 돌격하면 전체 군대의 속도가 느려졌다.[24]
기병궁수는 스키타이, 훈족, 파르티아 제국, 쿠만족, 페체네그족처럼 가벼운 기병이거나, 비잔티움 제국의 카발라리오이, 튀르키예의 티마리오트, 러시아의 드루지나, 일본의 사무라이처럼 무거운 기병일 수도 있었다.[31] 무거운 기병궁수는 보통 형성된 부대 단위로 싸웠다. 이들은 계속해서 적을 괴롭히는 대신, 집중 사격을 가하여 돌격 전에 적을 약화시켰다.[32] 활 외에 창이나 투창 같은 근접 무기를 휴대하기도 했다.[33][34]
말 위에서 활을 쏘려면 양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기수는 높은 수준의 마술 기술이 필요했고, 말 또한 그에 맞는 훈련이 필요했다. 따라서 궁기병은 안장과 등자 등 발전된 마구를 가진 유목민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스키타이, 사르마타이, 훈족, 마자르인, 튀르크, 몽골의 궁기병이 유명하며, 이들과의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은 한족, 로마 등도 궁기병을 편제하거나 고용했다. 조나라 무령왕의 호복기사(胡服騎射, 기마민족 풍의 옷을 입고 기사를 하는 것)는 유명하다.
궁기병은 뛰어난 기동력을 바탕으로 위장퇴각과 기사를 반복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합성궁의 개량으로 살상력이 커지면서, 중기병이나 보병을 공격할 때 끈질긴 기사로 진형을 무너뜨리고 사기가 떨어진 적을 추격하는 전법을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궁기병은 활을 다루기 쉽고 말의 속도를 살리기 위해 경장비를 착용하거나 일상복 차림이었다. 방어구를 착용하더라도 방한을 겸한 누비 갑옷(면포갑)이나 간단한 흉갑, 투구 정도였다.
3. 1. 파르티아 사법
파르티아 사법은 말 위에서 고삐를 놓고 상반신을 완전히 뒤로 돌려 활을 쏘는 사법이다. 유목민들은 기원전 7~3세기부터 파르티아 사법을 널리 사용했다. 기원전 1세기경부터 중국에서도 금속 장식이나 그림을 그린 벽돌, 벽화 등에 파르티아 사법이 등장한다. 천산의 세계에서 신선이 길게 늘어지는 중국식 옷을 입고 등 뒤의 호랑이나 기린에게 활을 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95]이 사법을 구사하려면 달리는 말 위에서도 완벽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파르티아가 발흥할 당시 금속 등자가 발명되지 않아 기마 자세가 상당히 어려웠다. 등자 없이 이 사법을 구사하려면 허벅지에 힘을 주어 말에 몸을 완전히 밀착해야 하는 기마법이 꼭 필요하다. 고구려의 벽화 수렵도에서 등장하는 파르티아 사법은 등자를 이용하고 있다.[95]
4. 장비
유라시아 기마궁수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한 무기는 크기가 작아 말을 타고 편리하게 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사거리와 관통력을 유지하는 복합 재갈궁이었다.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은 힘줄로 보강된 짧은 목재 활을 사용했지만, 완전한 3층 복합궁은 개발하지 못했다.
5. 문화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수학, 서예, 문학, 기마술, 궁술, 음악, 예법을 육예(六藝)로 여겼다.[59] 명나라 홍무제는 국자감(國子監)에서 유교 경전 외에 법률, 수학, 서예, 기마술, 궁술을 강조했으며, 과거 시험에도 포함시켰다.[60][61][62][63][64][65] 영락제, 정덕제, 만력제 등 명나라 황제들은 기마술과 궁술을 즐겼다.[71][72][77]
일본 기마궁술의 역사는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헤이안 시대부터 전국 시대까지 널리 사용된 전투 기술이었다.[81][83] 16세기 조총이 전래되면서 쇠퇴하였으나,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오가사와라 씨에게 학교 설립을 명하여 전통을 유지하였다. 현재 일본 기마궁술은 오가사와라 씨가 개혁한 기술을 계승하고 있다.
한국에도 기마궁술 전통이 있으며, 2007년 한국 정부는 기마궁술을 포함한 한국 전통 무예의 보존 및 발전을 장려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했다. 한국 기마궁술 경기에는 측면 한 발 쏘기, 이중 사격, 연속 사격, 모구 등 5가지 종목이 있다.
5. 1. 중국
전통적으로 수학, 서예, 문학, 기마술, 궁술, 음악, 예법은 육예(六藝)로 알려져 있었다.[59]명나라 홍무제는 국자감(國子監)에서 유교 경전 외에 법률, 수학, 서예, 기마술, 궁술을 강조했으며, 과거 시험에도 포함시켰다.[60][61][62][63][64][65] 1370년 홍무제는 궁술과 기마술을 시험 과목에 추가했는데, 이는 송나라 효종이 1162년 무과(武舉)에서 군사가 아닌 관리들에게 궁술과 기마술을 요구했던 것과 유사하다.[66] 홍무제 치하에서 난징 자미문(紫禁門) 주변 지역은 근위병과 장군들이 궁술 연습을 하던 곳으로 사용되었다.[67]
명나라 시대 과거 시험에는 궁술이 포함되었다. 말을 타고 궁술을 하는 것은 국경 근처에 사는 중국인들 사이에서 행해졌다. 왕주(王矩)의 궁술에 관한 저술은 명나라와 원나라 시대에 따랐으며, 명나라는 새로운 궁술 방법을 개발했다.[68] 금릉도용(金陵圖詠)은 명나라 시대 난징의 궁술을 보여준다.[69] 수도에서 엄선된 근위병들을 대상으로 궁술 대회가 열렸다.[70]
영락제(朱棣)는 기마술과 궁술을 즐겨 했다.[71] 정덕제(正德帝)는 궁술과 기마술을 자주 즐겼으며,[72] 환관들과 함께 궁술과 승마를 연습했다.[73] 그의 근위대장 천녕(千寧)은 정덕제에게 양손잡이 궁술 명인이자 군인인 강빈(蔣賓)을 소개해주었고, 티베트 불교 승려, 무슬림 여성, 음악가들을 구해 정덕제에게 제공했다.[74] 뛰어난 군사 지휘관이자 궁술 명인이었던 뤄왕(潞王)의 손자는 1514년 반역 혐의로 잘못 기소되어 백성의 신분으로 강등되었다.[75]
홍희제는 군사 문제에는 무관심했지만 궁술에는 능숙했다.[76] 만력제(萬曆帝)는 궁술 대회, 기마술, 서예를 즐겼다.[77] 명나라 황제들은 축구와 궁술을 즐겼다.[78][79]
5. 2. 일본
일본 기마궁술의 역사는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81] 일본에서 인기를 얻어 많은 군중을 끌어들였다. 천황은 이러한 군중이 의식의 엄숙하고 신성한 성격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698년에 공개 시연을 금지했다.[82] 기마궁술은 헤이안 시대부터 전국 시대까지 널리 사용된 전투 기술이었다.[83] 가마쿠라 시대의 무사인 나스노 요이치는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기마궁사이다. 카사가케, 유야부사메, 이누오우모노(개 사냥)를 일본 기마궁술 세 가지로 정의하였다.
16세기에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조총이 일본에 전래되면서 궁술은 구식이 되었다. 전통적인 일본 기마궁술을 유지하기 위해,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오가사와라 씨에게 학교 설립을 명령했다. 현재의 일본 기마궁술은 오가사와라 씨가 개혁한 기술을 계승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유야부사메에 참가할 수 없었지만, 1963년에 여성 궁사들이 처음으로 유야부사메 시범에 참가했다.[84]
유야부사메 기마궁술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으며, 오늘날 세계 여러 곳에서 공개 시연을 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기마궁술학교가 설립되었다.
5. 3. 한국
한국에는 기마궁술 전통이 있다. 2007년 한국 정부는 기마궁술을 포함한 한국 전통 무예의 보존 및 발전을 장려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했다.
한국 기마궁술 경기에는 5가지 종목이 있으며, 각각 따로 경쟁을 펼친다. 한국 기마궁술은 헝가리식처럼 궁수가 활 쏘는 손에서 화살을 꺼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화살을 궁수 또는 말 어딘가에 보관해야 한다는 주요 차이점이 있다. 전통적으로는 오른쪽 허벅지에 있는 화살통에 보관하지만, 벨트, 띠, 안장 화살통 또는 부츠나 팔 화살통에 보관할 수도 있다.
한국 기마궁술 경기 종목은 다음과 같다.
- 측면 한 발 쏘기: 경기장 길이는 90m (헝가리 방식과 같음)이지만, 경기장 뒤쪽 약 5m~10m 지점에 표적이 하나만 설치되어 있다. 이 표적은 점수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높아지는 다섯 개의 동심원 사각형 고리로 구성된 독특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 안쪽 고리(종종 '호랑이' 얼굴로 장식됨)는 최대 5점의 가치가 있다. 각 궁수는 두 번의 기회를 갖게 되며, 각 시도는 16초 이내에 완료해야 한다(그렇지 않으면 감점을 받음).
- 이중 사격: '측면 한 발 쏘기'와 매우 유사하지만, 처음 30m 지점에 약간 앞으로 기울어진 표적 하나와 마지막 30m 지점에 약간 뒤로 기울어진 표적 하나가 있다.
- 연속 사격: 정지 표적에 대한 마지막 경기로, 약 20m 간격으로 약 110m 길이의 경기장에 5개의 표적이 고르게 배치되어 있다. 세 가지 정지 표적 경기 모두 자세와 형태에 대한 추가 보너스 점수가 부여된다.[80]
- 모구: 한국 기마궁술의 또 다른 주요 차이점은 '모구' 또는 이동 표적 경기이다. 이 경기는 한 기수가 말 뒤에 큰 목화와 대나무 공을 끌고 다니는 동안 다른 궁수가 그 공을 쏘는 것으로 구성된다(먹물을 묻힌 특수한 순무 머리 화살 사용). 궁수는 가능한 한 많은 횟수로 공을 맞추려고 한다. 두 번째 '모구' 경기는 세 번째 기수가 끄는 표적을 두 명의 궁수 팀이 맞추는 경기이다. 모구에 남은 먹물 자국으로 확인된 화살의 적중 횟수에 따라 점수가 부여된다.
6. 쇠퇴
궁기병은 주로 유목 민족의 주력 병과로서 오랫동안 활약했지만, 총과 대포 등 화기 기술이 발달하면서 점차 쇠퇴했다. 보병 궁수나 석궁병은 기마궁병보다 사격 능력이 뛰어났고, 말을 탄 사람보다 더 작은 표적이었다. 십자군은 투르크멘 기마궁병에 대해 석궁병으로 대응했으며, 제노바 석궁병은 맘루크와 몽골군 모두에서 인기 있는 용병이었다. 중국 역시 유목민 군대에 대항하기 위해 대규모 석궁병을 배치했다.[13][14][15][16][17][18][19][20][21][22][23][24]
16세기 이후, 화기를 장착한 다양한 기병 부대가 등장하면서 기마궁술은 점차 전장에서 사라졌다. 아르케뷰스와 머스켓은 기병이 사용하기에 불편했기 때문에, 카빈과 같은 가벼운 무기가 개발되었다. 16세기 용기병과 카라비니에는 화기만 장착한 중기병이었지만, 권총은 17세기 동유럽에서 합성궁과 함께 오랫동안 공존했다. 많은 군대에서 기마궁술은 연발 화기가 도입될 때까지 효과적인 전술 시스템으로 남아 있었다.[25][26][27][28][29][30]
18세기에 화기는 몽골에서 전통적인 합성궁을 대체했지만, 만주에서는 기마궁술이 여전히 높이 평가받았다. 1758년 호르고스 전투에서 머스켓으로 무장한 몽골 준가르 기병은 청나라 만주, 몽골, 중국 궁수들이 만주궁으로 무장한 기병과 맞섰고 청나라가 승리했다.[53]
나폴레옹 전쟁 중 러시아 제국군은 코사크, 바쉬키르, 칼미크 기마궁수를 배치했다. 마르보 남작은 라이프치히 전투 전날 자신의 부대가 기마궁수를 만났다고 기록했다.
북미의 코만체족은 화승총보다 활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 1800년경 이후 대부분의 코만체족은 머스켓과 권총을 버리고 활을 사용했다.[57] 활은 후기 미국 인디언 전쟁에서도 미국 원주민에 의해 사용되었지만, 현대식 연발 화기에 즉시 접근할 수 있었던 거의 모든 전사들은 총을 대신 사용했다.
7. 현대의 부활
몽골은 1921년 독립 이후 궁기병술과 관련 기술을 부활시켰으며, 특히 나담 축제에서 이를 선보이고 있다.[58] 그러나 몽골에서는 이 스포츠가 매우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나담 축제에서는 궁술과 승마 경기가 별도로 진행된다. 말 경주는 서로 경쟁하며, 궁술은 전통적으로 앉은 자세가 아닌 서서 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지난 5년 동안 몽골 승마 궁술 협회의 설립을 통해 전통을 부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회원들은 대한민국과 유럽에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미국에서 승마 궁술은 성장하는 스포츠다. 미국 승마 궁술 협회(The Mounted Archery Association of the Americas)와 같은 단체들의 노력을 통해 전국적으로 승마 궁술 클럽이 생겨나고 있다. 미국에서 볼 수 있는 경기 코스는 한국식, 헝가리식, 페르시아식(즉, 카바크(Qabaq))을 통합한다. 참가자들은 말을 타는 기술과 궁술 기술을 결합하며, 말의 관리와 훈련에도 힘쓴다. 기수들은 90m 코스를 재갈을 채우지 않고 달리면서 다양하게 배치된 과녁에 화살을 쏜다. 전국의 MA3 클럽은 훈련장, 랭킹 시스템, 대회를 제공하여 회원들에게 이 스포츠를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영국 승마 궁술 협회는 2007년에 설립되었으며 승마 궁술의 최고 기관이다. 첫 전국 대회는 2010년에 열렸다.[85][86] 2013년부터 회원들은 국제 팀 대회에서 영국을 대표해왔다.[87][88] 영국 전역의 참가자들이 참여하는 우편 경기도 열린다. 장애인 기수와 청소년을 위한 부문도 도입되었다.
여러 국가에서 전통 기마궁술을 보존하고 현대 스포츠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제적인 기마궁술 연맹과 단체들은 다음과 같다.
단체명 | 설립 연도 |
---|---|
세계승마궁술연맹(WHAF) | 2004년[91] |
국제승마궁술연맹(IHAA) | 2013년[92] |
세계승마궁술연합(WFEA) | 1994년[93] |
벨기에 승마 및 마차 연맹(FFE) | 1972년[94] |
참조
[1]
논문
Horse Archery in Medieval Northwestern Europe, 400-1500: A Study of a Forgotten Military Tradition
[2]
서적
The Book of Archery: Being the Complete History and Practice of the Art, Ancient and Modern..
HG Bohn
[3]
논문
Mounted Archery in Japan: Yabusame and the Modern Setting
[4]
논문
Mounted Archery and Firearms: Late Medieval Muslim Military Technology Reconsidered
[5]
논문
Horse riding and the shape of the acetabulum: Insights from the bioarchaeological analysis of early Hungarian mounted archers (10th century)
[6]
웹사이트
Yabusame (Japan) - Traditional Sports
https://www.traditio[...]
2024-10-02
[7]
서적
The soldier in later medieval England
OUP Oxford
[8]
논문
Formidable genus armorum: the horse archers of the Roman Imperial Army
[9]
논문
The service patterns and social-economic status of English archers, 1367-1417: The evidence of the muster rolls and poll tax returns
[10]
서적
An early history of horsemanship
Brill
[11]
웹사이트
Archery history: Horseback archers of the East, Orient and ancient world
https://www.worldarc[...]
2024-05-05
[12]
서적
Comanches, the history of a people
Vintage Books
[13]
서적
Archery: Skills. Tactics. Techniques
Crowood
[14]
서적
Man and the horse: an illustrated history of equestrian apparel
Metropolitan museum of art
[15]
서적
Horse nations: the worldwide impact of the horse on indigenous societies post-1492
OUP Oxford
[16]
서적
Soul of the sword: an illustrated history of weaponry and warfare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Simon and Schuster
[17]
웹아카이브
Comanche Indians Chasing Buffalo with Lances and Bows. George Catlin 1846-1848. Western Landscape
http://catlinclassro[...]
2002-10-02
[18]
문서
Elements of Military Strategy
[19]
서적
On the border with Mackenzie, or Winning West Texas from the Comanches
Antiquarian Press
[20]
문서
Understanding Ancient Battle: Combat in the Classical World from the Unit Commander's Perspective
[21]
논문
The Parthian Shot
[22]
논문
Studies on Mounted Warfare in Asia IV: The Turanian Tradition–The Horse Archers of Inner Asia, c. ce 550–1350
[23]
논문
The Arsacids vs. Rome (First to Third Centuries CE): Observations on Parthian Tactics and Warfare
[24]
서적
Warfare in the ancient world: from the Bronze Age to the fall of Rome
Bloomsbury Publishing USA
[25]
서적
The peacemakers: arms and adventure in the American West
Simon and Schuster
[26]
서적
Firearms of the Texas Rangers: From the Frontier Era to the Modern Age
University of North Texas Press
[27]
논문
The story of Comanche: horsepower, heroism and the conquest of the American West
[28]
서적
Buffalo guns & barbed wire: two frontier accounts
Texas Tech University Press
[29]
서적
Rawhide Texa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30]
서적
Comanches, the history of a people
Vintage Books
[31]
뉴스
Mounted archery
https://en-academic.[...]
2024-12-15
[32]
서적
World history of warfare
U of Nebraska Press
[33]
서적
Weapons: A pictorial history
JHU Press
[34]
서적
50 weapons that changed warfare
Permuted Press
[35]
서적
Armies of the Steppe Nomads, 376–1227: from the Coming of Attila's Huns to the Death of Genghis, Great Khan of the Mongols
Pen and Sword Military
[36]
서적
The hutchinson dictionary of ancient & medieval warfare
Taylor & Francis
1998
[37]
서적
The horsemen of Israel: horses and chariotry in monarchic Israel (ninth-eighth centuries BCE)
Penn State Press
2011
[38]
논문
Bit by bit: an iconographic study of horses in the reliefs of the Assyrian king Ashurnasirpal II (883-859 BC)
https://www.academia[...]
Stellenbosch University
2014
[39]
서적
Dawn of the Horse Warriors: Chariot and Cavalry Warfare, 3000-600BC
2015
[40]
서적
Cataphracts: knights of the ancient eastern empires
Grub Street Publishers
2016
[41]
문서
Cavalry Warfare
[42]
학술지
Cavalry equipment and tactics on the Euphrates frontier
1972
[43]
학술지
New insights into Nubian archery
https://pam-journal.[...]
2015
[44]
웹사이트
Herodotus, excerpts from the Histories (Ca
https://web.archive.[...]
2013-08-26
[45]
문서
Ashley
[46]
학술지
Roman Arrowheads from Dinorben and the 'Sagittarii' of the Roman Army
1977
[47]
서적
Crusading Warfare 1097-1193
[48]
웹사이트
Collection of Lê dynasty weapons in Ngọc khánh
http://luanan.nlv.go[...]
2001
[49]
서적
Lịch triều hiến chương loại chí
[50]
서적
Armies of Feudal Europe 1066-1300
Wargames Research Group
1989
[51]
서적
The Crossbow: Its Military and Sporting History, Construction and Use
Skyhorse Publishing
2007
[52]
서적
Dictionary of Biography
Ch.Delagrave
1876
[53]
서적
Wars in the Age of Louis Xiv, 1650-1715
[54]
웹사이트
The Memoirs of General Baron de Marbot
http://www.gutenberg[...]
2000-11-01
[55]
학술지
The Replacement of the Composite Reflex Bow by Firearms in the Muscovite Cavalry
2010
[56]
웹사이트
The Oregon Trail
https://en.wikisourc[...]
1847
[57]
서적
Comanches, the history of a people
Vintage Books
2007
[58]
웹사이트
Mongolian National Archery
http://www.atarn.org[...]
[59]
서적
Intellectuals at a Crossroads: The Changing Politics of China's Knowledge Worker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3
[6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61]
서적
Chinese Archery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0
[62]
서적
Zhu Yuanzhang and Early Ming Legislation: The Reordering of Chinese Society Following the Era of Mongol Rule
https://books.google[...]
BRILL
1995
[63]
서적
Community Schools and the State in Ming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64]
웹사이트
Ming Empire 1368-1644
http://www.san.beck.[...]
[65]
웹사이트
Chinese archery training background text
https://web.archive.[...]
2010-12-17
[66]
서적
China as a Sea Power, 1127-1368: A Preliminary Survey of the Maritime Expansion and Naval Exploits of the Chinese People During the Southern Song and Yuan Periods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2
[67]
웹사이트
Hongwu Reign|The Palace Museum
https://en.dpm.org.c[...]
[68]
서적
Chinese Archery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0
[69]
서적
Negotiating Urban Space: Urbanization and Late Ming Nanji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70]
서적
The Treatises on Military Affairs of the Ming Dynastic History (1368-1644):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Treatises on Military Affairs, Chapter 89 and Chapter 90: Supplemented by the Treatises on Military Affairs of the Draft of the Ming Dynastic History: A Documentation of Ming-Qing Historiography and the Decline and Fall of
https://books.google[...]
Ges.f. Natur-e.V.
1998
[71]
서적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1
[7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8]
웹사이트
Ming: 50 years that changed China | British Museum blog
https://blog.british[...]
2016-05-06
[79]
뉴스
The Ming empire strikes back
https://www.theguard[...]
2014-08-24
[80]
웹아카이브
Korean track
http://www.diesteppe[...]
2009-03-05
[81]
문서
Nihon Shoki volume 14
[82]
문서
Shoku Nihongi volume 1
[83]
서적
The samurai, a military history.
[84]
뉴스
Kishagasa
http://search.japant[...]
2006-05-16
[85]
웹사이트
The 2010 BHAA Championships
http://bhaa.org.uk/b[...]
2011-05-13
[86]
웹사이트
BHAA championships
http://www.bhaa.org.[...]
2016-09-20
[87]
웹사이트
international match report 13
http://www.bhaa.org.[...]
2016-09-20
[88]
웹사이트
horseback archery competition Cotteswold Mounted Archers
http://www.mountedar[...]
2016-09-20
[89]
웹사이트
Hungarian 'Master' fires passion for horseback archery
http://sg.news.yahoo[...]
2015-03-19
[90]
웹사이트
A magyar harcművészet reklámfilmje – A lovasíjász
http://www.filmteker[...]
2016-03-24
[91]
웹사이트
History :: W.H.A.F.
https://whaf.webnode[...]
[92]
웹사이트
International Horseback Archery Alliance
http://ihaa.info/pag[...]
[93]
웹사이트
WFEA
https://wfea.world/
2024-08
[94]
웹사이트
Archerie Equestre - Paard Boogschieten - Horseback Archery - Bogenschießen vom Pferd - Belgium - FFE
http://www.ffe.be/ar[...]
[95]
서적
유라시아 역사기행
민음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