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금은 집에서 사육하는 닭, 칠면조, 오리, 거위 등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닭목과 기러기목의 가축화된 조류를 포함하며, 고기나 알을 얻기 위해 사육된다. 가금의 예시로는 닭, 칠면조, 메추라기, 오리, 거위, 호로새, 비둘기, 꿩 등이 있다. 닭은 가장 대규모로 사육되며, 전 세계적으로 돼지고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소비되는 육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금 - 집비둘기
집비둘기는 바위비둘기에서 유래하여 인간에 의해 가축화된 조류로, 전 세계 도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다양한 품종으로 사육되지만, 도시에서는 배설물 등으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가금 - 거위
거위는 회색기러기와 큰고니를 기원으로 하는 가축화된 조류로, 식량, 깃털, 경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며, 야생 조상보다 큰 몸집과 높은 번식력을 가지고 있고, 식용뿐 아니라 깃털을 이용한 제품 생산, 제초 등 다양한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 축산 - 구유
구유는 예수 탄생 이야기에서 마리아와 요셉이 아기 예수를 뉘었던 곳으로, 겸손과 신성한 탄생을 상징하며, 성탄절에 교회나 가정에 장식되기도 한다. - 축산 - 목축
목축은 가축을 사육하고 관리하는 행위로, 혼합농업 발전 또는 수렵채집 생활 진화에서 기원하며, 유목민들은 이동성을 기반으로 환경에 적응하며 생계를 유지하지만, 최근 기후변화와 인구 증가로 인한 갈등, 가축 유전자원 보존, 지속 가능한 정책 수립이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 고기 - 갈비
바라는 소나 돼지의 갈비 부위를 가리키는 일본어 표현으로, 소의 경우 섬유질과 지방이 많아 풍미가 진하며, 돼지의 경우 삼겹살이라고도 불리며 지방과 살코기가 층을 이루어 부드럽고 풍미가 풍부하여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고기 - 고래고기
고래고기는 여러 지역에서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나, 현대에는 밍크고래 등이 사냥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 음식으로 소비되지만, 독성 물질 축적 및 멸종 위기종 포획 문제로 국제적인 논란이 있다.
가금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가축 |
학명 | aves |
어원 | "poultry"(영어)는 프랑스어 "poulet"에서 유래 "가금"(家禽)은 집에서 기르는 새라는 뜻 |
특징 | 인간에 의해 사육되는 조류 |
역사 | |
기원 | 동남아시아 |
가축화 시기 | 약 5,400년 전 |
가축화 목적 | 초기에는 투계 목적, 이후 식용으로 전환 |
아메리카 대륙 전파 | 고대 DNA 분석 결과, 아메리카 대륙에 닭이 전파된 경로 확인 |
용도 | |
주요 용도 | 식용 (고기, 알) 깃털 |
기타 용도 | 애완동물 |
고기 생산량 | 전 세계 육류 공급량의 상당 부분 차지 |
종류 | |
주요 종류 | 닭 오리 거위 칠면조 기니새 |
기타 종류 | 비둘기 메추라기 꿩 |
산업 | |
관련 산업 | 양계업 육가공업 사료 산업 유통업 |
경제적 중요성 |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농업 분야 |
문화 | |
상징적 의미 | 다양한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적 의미 부여 (예: 닭은 새벽을 알리는 존재) |
기타 | |
관련 정보 | 가금류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소비되는 식품이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됨 |
2. 정의
한국어에서 가금(家禽)은 집 가(家)와 새 금(禽) 두 글자로 이루어진 "집에서 기르는 날짐승"이라는 뜻으로, 들새를 뜻하는 야금(野禽)과 구별된다.[85] 영어의 폴트리(poultry)는 가축화되어 유용하게 활용되는 새 전반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닭목과 기러기목 새는 포함하지만, 앵무새처럼 새장에 넣어 기르는 새는 가리키지 않는다. 주로 고기나 알을 먹기 위해 키우는 닭, 칠면조, 거위, 오리 등을 가리킨다.[86] 한국 법령에서는 가금류를 "닭과 오리"로 좁게 정의한다.[87]
영어에는 파울(fowl영어)이라는 명칭도 있는데, 주로 닭과 동일시되지만 그 밖의 가금류도 포함하며, 심지어 새 전반을 가리키기도 하는 등 지칭하는 범위가 넓다. 많은 언어가 폴트리와 파울을 구별하지 않으며, 두 단어 모두 가금육을 가리킬 때도 사용한다.[91] 게임(game영어)은 가금류와 반대되는 야생 조류를 통칭하는 말이며, 가금류 고기와 그렇지 않은 새고기를 구분할 때 사용한다.[92]
2. 1. 가금의 예시
한국어에서 '가금(家禽)'은 집에서 기르는 날짐승을 뜻하며, 닭, 칠면조, 거위, 오리 등이 대표적이다.[86] 한국 법령에서는 닭과 오리를 가금류로 정의한다.[87]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호로새와 집비둘기를 가금류에 포함한다.[88] R. D. 크로퍼드의 저서에는 꿩과 메추라기가 추가되며, 특히 메추라기는 사육 후 야생 방사되는 경우가 많다.[89] 에드먼드 딕슨은 공작, 호로새, 혹고니, 칠면조, 거위, 오리, 밴텀닭 등을 가금류로 분류했다.[90]
새 | 조상격 새 | 가축화 지역 | 용도 | 사진 |
---|---|---|---|---|
닭 | 적색야계 | 동남아시아 | 알과 고기 | ![]() |
칠면조 | 들칠면조 | 멕시코 | 고기 | ![]() |
메추라기 | 야생 메추라기 | 일본 | 알과 고기 | |
오리 | 청둥오리 | 세계 각지 | 알과 고기 | ![]() |
거위 | 회색기러기 | 세계 각지 | 알과 고기 | |
호로새 | 야생 호로새 | 아프리카 | 알과 고기 | ![]() |
집비둘기 | 바위비둘기 | 중동 | 고기 | ![]() |
꿩 | 야생 꿩 | 동아시아 | 고기 | ![]() |
닭싸움은 투계(鬪鷄)라고도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관중 스포츠 형태 중 하나이다. 수탉 두 마리를 싸움 붙여서 한 마리가 죽거나 심하게 다칠 때까지 싸우게 하는 것이다. 인류가 닭을 처음 기르기 시작한 것은 맨 처음에는 신앙의 상징으로서였고, 그 다음으로는 닭싸움에 출전시키기 위해서였다.[82] 동남아시아 군도 지대에 널리 퍼져 있는 닭싸움 문화는 도박 스포츠로 성행하기도 하지만 때때로 제례로서 실행되기도 한다.[101] 닭싸움은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고대 인도·중국·페르시아·그리스·로마 등지에서도 문화의 일부였고, 대개 거금이 내걸려 많은 사람들이 닭싸움의 승패에 따라 떼돈을 벌거나 탕진하곤 했다. 특히 인도 아대륙에서는 투계에 쓰려고 공격성을 드높인 품종을 개발했는데, 대표적인 품종이 아실·샤모이다.[108] 닭싸움은 20세기 들어 동물 학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대다수의 국가에서 금지되어 사라졌다.[88]
"가금(家禽)"은 집에서 기르는 날짐승을 뜻하는 말로, 들새를 뜻하는 "야금(野禽)"과 대비된다.[85] 영어 단어 "폴트리(poultry)" 역시 가축화되어 유용하게 활용되는 새 전반을 가리킨다. 한국어와 영어 단어 모두 닭목과 기러기목 새는 포함하지만, 앵무새처럼 새장에 넣어 기르는 새는 포함하지 않는다. 즉, 주로 고기나 알을 먹기 위해 키우는 닭, 칠면조, 거위, 오리 등을 가리킨다.[86]
3. 역사
"가금"이라는 단어는 중세 영어 ''pultry'' 또는 ''pultri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고대 프랑스어/노르만어 pouletriefro에서 파생되었다.[12] 미성숙한 가금을 지칭하는 용어인 암탉은 쌍둥이 단어인 ''poult''와 마찬가지로,[7] 중세 영어 ''pulet''과 고대 프랑스어 ''polet''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둘은 모두 어린 가금류 또는 어린 동물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pullus''에서 파생되었다.[8][9][10] "Fowl"이라는 단어는 게르만어파에서 유래되었다 (예: 고대 영어 ''Fugol'', 독일어 ''Vogel'', 덴마크어 ''Fugl'').[11]
4. 주요 가금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는 일반적인 가금류 목록에 호로새와 집비둘기를 추가하고 있다.[88] R. D. 크로퍼드의 《가금류 번식과 유전적 특징》에서는 꿩과 메추라기를 추가하는데, 메추라기는 사육 상태에서 번식하여 야생으로 방사되기도 한다.[89] 영국의 조류학자 에드먼드 딕슨은 《관상용 및 가정용 가금류: 그 역사와 관리》에서 공작, 호로새, 혹고니, 칠면조, 거위, 머스코비오리를 포함한 오리, 밴텀닭을 비롯한 닭을 목록에 포함시켰다.[90]
영어에는 "파울(fowl)"이라는 명칭도 있는데, 주로 닭과 동일시되지만, 그 밖의 가금류, 심지어 새 전반을 가리키기도 하는 등 범위가 넓다. 많은 언어가 폴트리와 파울을 구별하지 않으며, 두 단어 모두 가금육을 가리킬 때도 사용한다.[91] "게임(game)"은 가금류와 반대되는 야생 조류를 통칭하는 말이며, 가금류 고기와 그렇지 않은 새고기를 구분할 때 사용한다.[92]새 조상격 새 가축화 지역 용도 사진 닭 적색야계 동남아시아 알과 고기 칠면조 들칠면조 멕시코 고기 메추라기 야생 메추라기 일본 알과 고기 오리 청둥오리 세계 각지 알과 고기 거위 회색기러기 세계 각지 알과 고기 호로새 야생 호로새 아프리카 알과 고기 집비둘기 바위비둘기 중동 고기 꿩 야생 꿩 동아시아 고기
호로새(뿔닭)는 남아프리카 원산으로, 주로 소비되는 것은 투구뿔닭(Numida meleagrisla)이다. 호로새는 반점이 있는 회색 몸, 알록달록한 두상에 독특한 볏이 있는 중형 가금류로,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도 사육되었다. 곤충이 주식이지만 식물성 모이도 먹으며, 채마밭에 풀어 기르면 해충을 구제하고 라임병을 옮기는 진드기도 잡아먹을 수 있다. 야생에서는 주로 나무에 보금자리를 틀며, 째지는 울음소리로 포식자를 막는다. 닭과 같은 방식으로 고기와 알을 먹을 수 있으며, 생후 4개월이면 도축할 수 있다.[123]
집비둘기는 식용 비둘기로, 그 중에서도 비둘기고기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어린 개체는 스쿼브(squab)라고 불린다. 다른 가금류처럼 식용 집비둘기는 바위비둘기(Columba liviala)가 조상이다. 육용으로 쓰기 좋게 개량한 품종을 기른다. 비둘기가 두 개씩 알을 낳으면 약 17일간 부화시키고, 태어난 새끼는 부모 비둘기가 게워낸 단백질 덩어리를 먹고 자란다. 비둘기는 금세 자라지만 깃털은 느리게 나며, 생후 26~30일에 몸무게가 500g이 되면 둥지를 떠날 준비를 한다. 그 즈음에 다 자란 비둘기가 한 쌍, 어버이 비둘기가 번식기 동안 4주마다 한 쌍씩 알을 낳는다.[124]
꿩은 중대형 가금류로, 동아시아에서는 꿩고기 수요가 있어 관상용 및 식용으로 사육된다. 잡식성이며 야생에서는 주로 산간 지역에 서식한다. 오랜 세월 동안 식용 조류로 소비되었으나, 닭이나 오리만큼 폭넓게 사용되지는 않았다. 현시대에는 닭과 같은 대량 사육이 가능해져 특수가금으로 취급된다.[125][126]
4. 1. 닭
닭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중형 잡식성 조류로, 붉은 벼슬과 육수(肉垂)가 특징이며 다부진 몸집과 곧추선 자세를 하고 있다. 수탉은 보통 암탉보다 더 크고, 색깔이 뚜렷하며 깃털이 풍성하다. 땅에서 생활하며, 자연에서는 흙바닥과 낙엽지에서 씨앗과 무척추동물을 비롯한 소형 동물을 먹는다. 위태로울 상황을 빼고는 좀처럼 날지 않으며, 주로 풀숲으로 도망쳐서 위기를 회피한다.[93] 현재의 닭(Gallus gallus domesticus)은 아시아에 분포하는 적색야계를 주된 조상으로 하여 회색야계, 실론야계, 녹색야계와 같은 여러 산닭 종류의 유전자를 일부 가지고 있다.[94][81]
게놈 연구에 따르면 닭이 처음으로 가축화된 것은 8,000년 전 동남아시아에서였고, 그로부터 2,000~3,000년에 걸쳐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와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로 전파되었다.[81]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에서는 기원전 6000년보다 훨씬 더 오래 전부터 닭을 길렀고, 중국에서는 기원전 6000년, 인도에서는 기원전 2000년 즈음에 닭을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95][96] 2020년 전 세계에서 닭 863마리를 선별해 연구한 결과 현대에서 가축으로 기르는 모든 닭은 중국 남서부·태국 북부·미얀마에서 가축화된 적색야계의 후손으로, 가축화 과정에서 동남아시아·남아시아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산닭 종류와 교잡이 이루어진 끝에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닭이 출현하게 되었다. 가장 널리 사육되는 품종인 레그혼은 여러 적색야계 아종들의 유전자가 뒤섞여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97][98][99]
기원전 3500년~2500년 사이에 닭은 해양 민족인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손에 대만, 해양 동남아시아, 멜라네시아, 마다가스카르, 폴리네시아 등지로 퍼져나갔다.[100][101] 기원전 2000년에 다다라서는 인더스강 인근의 문명으로 전파되었으며 그로부터 250년 후에는 이집트에 도달했다. 닭은 여전히 투계에도 사용되었지만, 동시에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고대 로마에서는 점을 칠 때 사용되기도 했으며, 이집트에서는 닭의 인공 번식을 성사시키기 위해 까다로운 사육법을 개발하기도 했다.[102] 이후 닭은 전세계로 퍼져나가면서 계란과 닭고기가 주요 식량 공급원으로 자리매김해 갔다.[103]
가축화 이후 레그혼, 로드아일랜드레드, 오골계, 플리머스록 등 수많은 품종이 개량되었으나 백색레그혼을 제외한 상업용 품종 대다수는 잡종 기원이다.[104] 1800년경 닭의 대규모 사육이 성행하기 시작하면서 1920년대 즈음에는 영국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로는 미국에 닭의 대량생산을 도모하는 농장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20세기 중반까지는 육계(肉鷄) 산업의 중요성이 계란 산업에 비해 우위를 차지했다. 갈수록 다양해지는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발적인 품종 개량이 일어났고, 그 결과 닭은 알을 연간 300개씩 생산할 수 있는 가볍고 산란 능력이 뛰어난 품종, 살이 순식간에 찌고 단시간에 성장할 수 있어서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상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품종, 양질의 알과 고기를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실용 품종 등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되었다. 수탉은 계란 생산에서는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갓 태어난 수평아리일 때 성별 감정을 통해 솎아내어 도축되며, 육계일 경우에도 공격성을 제거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거세된다.[88] 이렇게 거세한 식용 수탉(capon)은 공격성도 완화되는 동시에 육질도 연해진다.[105]
한편 밴텀(bantam)은 닭을 인위적으로 소형이 되도록 개량시키거나, 주로 애완용으로 기르는 왜소한 품종을 뜻한다. 역사적으로 유럽 상인들이 해당 지역의 닭을 거래하던 자바섬의 촌락 반탐에서 유래되었으며,[106] 일반적인 닭의 4분의 1에서 3분의 1 정도 크기에다가 작은 달걀을 낳는다. 밴텀은 주로 애호가의 취미나 관상용 목적으로 기르거나, 알을 얻거나 품평회에 출품하기 위해 기른다.[107]
닭싸움(투계)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형태의 관중 경기로, 수탉 두 마리를 싸움 붙여서 한 마리가 죽거나 심하게 다칠 때까지 싸우도록 하는 것이다. 인류가 닭을 처음으로 기르기 시작한 것은 맨 처음으로는 신앙의 상징으로서, 그 다음으로는 닭싸움에 출전시키기 위해서였다.[82] 동남아시아 군도 지대에 널리 퍼져 있는 닭싸움 문화는 도박 스포츠로 성행하기도 하지만 때때로 제례로서 실행되기도 한다.[101] 닭싸움은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고대 인도, 중국,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등지에서 문화를 형성했고, 대개 거금이 내걸려 많은 사람들이 닭싸움의 승패에 따라 떼돈을 벌거나 탕진하곤 했다. 특히 인도 아대륙에서는 투계에 쓰려고 공격성을 드높인 품종을 개발했는데 대표적인 품종이 아실·샤모이다.[108] 닭싸움은 20세기 들어 동물 학대에 대한 인식이 신장되면서 대다수의 국가에서 금지되어 사라졌다.[88]
4. 2. 오리
오리는 넓은 부리, 머리 측면에 나 있는 눈, 긴 목, 몸에서 비교적 뒤편에 위치하는 짧은 다리에 물갈퀴가 있는 중형 수생 조류이다. 수오리가 암오리보다 더 크며, 일부 품종은 서로 다른 깃털빛을 가진다. 흔히 기르는 집오리는 수생곤충·연체동물·환형동물·양서류·수초·풀 등을 가리지 않고 먹는 잡식성이다.[109] 물 속의 먹이를 먹을 때는 머리 부분을 물 속에 담그고 엉덩이를 들어올린 채 물장구를 치면서 먹는다. 집오리들은 무겁기 때문에 대부분 날 수 없으며, 무리를 지어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사회적인 새들이다. 깃털 위에는 꼬리샘에서 나오는 기름을 쳐서 깃털이 젖지 않도록 할 수 있다.[110]
중국에서는 기원전 4000년경의 찰흙 오리 모형이 출토되기도 한 것으로 보아 양사오 문화가 발흥할 때도 오리는 가축화가 이미 되어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더라도, 오리가 가축의 영역에 들어선 것은 서양보다 동양이 1,500년 정도 더 빨랐다. 기원전 1세기 로마 제국의 농업 전문가였던 루키우스 콜루멜라는 자신의 저서에 오리를 기르고 싶은 사람은 야생 오리알을 모아서 암오리가 품게 하라는 지침을 기록했는데, 이렇게 새장에 가두고 길러야 야생성이 달아나고 번식이 용이해진다는 이유에서였다. 이렇듯 로마 시대에 오리 사육법을 기록한 문헌이 잔존하는데도 불구하고, 그 이후 서기 810년경까지 서유럽의 농경 기록 가운데 어디에서도 오리를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서기 810년 이후에는 거위·닭·공작과 함께 소작농이 임대료로 오리를 지불한다는 기록이 등장했다.[111]
청둥오리는 집오리 전 품종의 조상뻘이지만, 아예 다른 속에 속하는 머스코비오리는 예외이다.[111] 오리는 주로 오리고기와 오리알, 그리고 침구류 등에 사용되는 솜털을 얻기 위해 기른다.[112] 닭과 마찬가지로 오리 또한 산란 능력과 성장성, 솜털의 양 등을 개선시키고자 수많은 품종으로 개량이 이루어졌다. 영미권에서 가장 흔한 품종은 1년에 200개씩 알을 낳을 수 있고 생후 44일 만에 3.5kg까지 살이 찔 수 있는 흰색 페킨 오리이다.[110] 서양에서는 생산하는 살코기가 더 많고 집중사육과 보관이 쉬운 닭고기가 오리고기보다 더 인기가 많아서 오리고기는 주로 고급 요리에 등장하지만, 중국과 같은 동양권에서는 논에 풀어다 기르는 재래식 사육법이 비교적 쉬워 오리고기가 닭고기에 맞먹는 인기를 가지기도 한다.[112]
4. 3. 거위
회색기러기(Anser anserla)가 고대 이집트에서 가축화되어 거위가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최소 3,000년 전의 일이며, 성서에도 거위 사육이 기록되어 있다.[113][114] 그로부터 약 1,000년 후 시베리아 등지에서 개리(Anser cygnoidesla)가 가축화되어 중국거위가 되었다.[115] 두 종 사이에는 서로 교배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중국 거위의 특징인 부리의 혹은 여러 거위 품종들 사이에서 다양한 형태로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잡종 거위들로부터 현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여러 품종들이 탄생했다. 거위는 꽤 이른 시기에 가축화가 이루어졌지만, 닭이나 오리만큼 상업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는 않았다.[113]
가축화된 거위는 야생 기러기보다 훨씬 몸집이 육중하고, 굵고 긴 목에 꼿꼿한 자세, 넓은 엉덩이가 특징이다. 회색기러기로부터 파생된 서양 거위 품종은 큰 덩치에 살집이 많아 육용으로 소비되지만, 반대로 중국거위 혈통 품종은 덩치가 작아 알을 생산하는 데 쓰인다. 양쪽 모두 부드러운 솜털이 나기 때문에 옷과 침구류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먹이로는 주로 풀을 뜯어먹으며 이따금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풀을 주식으로 삼고도 잘 자란다는 것은 거위 사육의 장점이다.[116] 사회성이 뛰어나고 기억력이 월등하기 때문에 늦게까지 돌아다니다가도 해가 지기 전에 귀소(歸巢)한다. 중국 거위는 공격성이 높고 시끄러운 소리로 울기 때문에 침입자나 도둑을 막는 파수꾼 역할을 맡을 수도 있다.[113] 거위고기는 발색이 진한 고단백 식품이지만, 대부분이 단일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섭취 시 피하지방을 축적하게 된다. 주로 생후 10주에서 24주 사이에 도축되며, 그 시기 사이에 혈관이 연결된 핀 솜털(pin feather)이 자라나기 때문에 사체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116]
어떤 나라에서는 간의 지방 함량을 비대하게 찌워 푸아그라를 만들기 위해 강제로 모이를 섭취시킨다. 특히 프랑스산 푸아그라가 푸아그라 생산량의 75%를 차지하며, 헝가리·불가리아·중국 등이 이를 잇는다. 특히 중국은 최근에 푸아그라 생산량이 증가 추세이다.[117] 푸아그라는 전 세계적으로 사치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만, 이와 같이 강제로 먹이를 먹게 하는 사육법은 동물 복지에 어긋나기에 세계 각국에서 금지하고 있다.[118]
4. 4. 칠면조
꿩과 호로새에 가장 가까운 대형 조류인 칠면조는 부채꼴로 난 꼬리깃과 구애 용도로 웃자란 부리 근처의 긴 육수가 특징이다. 가축 칠면조의 조상인 들칠면조(Meleagris gallopavola)는 날 수는 있지만 나는 경우는 별로 없으며, 겅중겅중 달리는 것을 좀더 선호한다. 이 종은 나무에 둥지를 틀어 지상에서 씨앗·견과류·열매·풀·관목·무척추동물·도마뱀·소형 뱀 등 다양한 먹이를 찾아 먹는다.[120]
현재 가축으로 사육되는 칠면조는 멕시코 할리스코주·게레로주·베라크루스주 등지에 서식하는 들칠면조 6개 아종 가운데 한 종의 후손이다. 현재의 멕시코 중남부 지역에서 아즈텍보다 더 이전 시대에 기거하던 원주민 부족은 기원전 800년경에 칠면조를 가금으로 길들였다. 또한 미국 콜로라도고원에 살던 미국 원주민인 푸에블로 인디언 역시 칠면조를 기원전 200년경에 길들여서 가금으로 이용했고, 처음에는 겉옷·담요·제구를 만들기 위해 깃털을 사용했다. 칠면조가 육용 목적으로 사용된 것은 그로부터 1,000년 후의 일이다.[119] 칠면조를 처음 본 유럽인은 이 새를 당시 터키, 즉 튀르키예를 경유해서 유럽에 들어온 호로새로 착각해서 터키(turkey)라고 부르게 되었다.[120]
상품 목적으로 사육되는 칠면조는 통기성과 조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만들어진 대형 축사 내부에서 사육된다. 이와 같은 축사에서 사육할 시 활동량이 감소해 살이 더 빨리 찌게 된다. 칠면조의 식사 빈도는 조명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어두운 저조도 조명을 24시간 동안 유지시키거나 단계적으로 조명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사육법을 동원하면 칠면조가 먹이를 자주 먹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암컷은 생후 15주, 수컷은 19주에 도축할 수 있는 몸무게로 자라나는데, 이렇게 자란 성체 칠면조는 야생 들칠면조보다 몸무게가 2배는 더 나간다. 품종 개량도 거듭 이루어졌지만 육용 칠면조는 대개 흰색 깃털을 가진다. 이렇게 흰색 깃털이 나는 편이 도축 이후 사체의 외관에 더 좋고, 깃털도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121] 한때 칠면조는 크리스마스나 추수감사절 등 명절 기간에 집중 소비되는 특식 취급을 받았으며 영국에서는 크리스마스 시기 약 1천만 마리가,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에 약 6천만 마리가 도살될 정도로 그 인식이 강했지만, 점점 대중화되어 세계인의 식탁에 오르내리고 있다.[122]
5. 기타 가금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는 일반적인 가금류 목록에 호로새와 집비둘기를 추가하고 있다.[88] R. D. 크로퍼드의 저서 《가금류 번식과 유전적 특징》에서는 비둘기 대신 꿩과 메추라기를 추가했는데, 메추라기는 사육 상태에서 번식하여 야생으로 방사되는 경우가 많다.[89] 영국의 조류학자 에드먼드 딕슨은 《관상용 및 가정용 가금류: 그 역사와 관리》에서 공작, 호로새, 혹고니, 칠면조, 여러 종류의 거위, 머스코비오리를 포함한 오리 종류, 밴텀닭을 비롯한 닭 전 종류를 가금류 목록에 포함시켰다.[90]
뿔닭이라고도 불리는 호로새는 남아프리카 원산으로, 주로 투구뿔닭(Numida meleagris)이 소비된다. 호로새는 반점이 있는 회색 몸, 알록달록한 머리에 독특한 볏을 가진 중형 가금류로,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도 사육되었다. 환경 적응력이 강하고 사회성이 높으며, 곤충이 주식이지만 식물성 먹이도 먹는다. 채마밭에 풀어 기르면 해충을 구제하고 라임병을 옮기는 진드기도 잡아먹을 수 있다. 야생에서는 주로 나무에 보금자리를 틀며, 째지는 울음소리로 포식자의 접근을 막는다. 닭처럼 고기와 알을 먹을 수 있으며, 성장성이 강해 생후 4개월이면 도축할 수 있다.[123]
집비둘기는 식용으로 사육되는 비둘기로, 그 중에서도 비둘기고기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어린 개체를 스쿼브(squab)라고 부른다. 식용 집비둘기는 바위비둘기(Columba livia)에서 유래되었다. 육용으로 쓰기에 바람직한 특성을 지니도록 개량한 품종을 가금으로 기른다. 비둘기가 두 개씩 알을 낳으면 약 17일간 부화시키고, 새끼는 부모 비둘기가 게워낸 단백질 덩어리를 먹고 자란다. 비둘기는 금세 자라지만 깃털은 느리게 나며, 생후 26-30일에 몸무게가 500g으로 늘어나 둥지를 떠날 채비를 갖춘다. 다 자란 비둘기 한 쌍은 번식기 동안 4주마다 한 쌍씩 알을 낳아 번식한다.[124]
꿩은 중대형 가금류로, 동아시아에서는 꿩고기 수요가 있어 관상용 및 식용으로 사육된다. 잡식성 조류이며 야생에서는 주로 산간 지역에 서식한다. 오랜 세월 동안 식용 조류로 소비되었으나, 닭이나 오리만큼 폭넓게 사용되지는 않았다. 현대에는 닭과 같은 대량 사육이 가능해져 특수가금으로 취급된다.[125][126]
조류 | 야생종 | 가축화 | 이용 |
---|---|---|---|
집비둘기 | 집비둘기 | 서아시아, 선사 시대 | 고기, 통신 |
에뮤 | 에뮤 | 다양, 20세기 | 고기, 피혁, 기름 |
인도공작 | 인도공작 | 다양 | 고기, 깃털, 장식품, 조경 |
혹고니 | 혹고니 | 다양 | 깃털, 알, 조경 |
타조 | 타조 | 다양, 20세기 | 고기, 알, 피혁, 깃털, 조경 |
뿔닭 | 뿔닭 | 아프리카 | 고기, 해충 구제, 방범(파수꾼) |
꿩 | 꿩 | 유라시아 대륙 | 고기 |
금계 | 금계 | 유라시아 대륙 | 고기, 주로 장식품 |
레아 | 레아 | 다양, 20세기 | 고기, 피혁, 기름, 알 |
메추라기 | 메추라기 | 동아시아, 무로마치 시대 | 고기, 알, 실험동물, 애완동물 |
6. 가금축산업
가금 가운데서 가장 대규모로 사육되는 것은 닭으로, 매년 500억 마리가 넘는 수가 알과 고기를 얻기 위해 사육된다.[127] 재래식 농법에서 가금류는 소규모 무리만 집중적으로 기르면서 낮에는 모이를 주고 밤에는 새장에 가둬 놓는 식으로 사육하는데, 여러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러한 방식이 일반적이다. 개발도상국에서 가금을 돌보는 일은 가정에서 주로 여성이 맡는 중요한 가계 소득원이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가금축산은 대부분 전문적인 대규모 사육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규모 사육은 사료 재배지와 가깝거나 육류 수요가 높은 곳 근처에 입지를 잡고 진행되어 도시권에 저렴한 양질의 가금육을 공급한다.[128] 사육 수익은 사료 가격에 따라 변동하는데, 사료 가격이 높아질수록 가금축산의 확장은 어려워진다.[129]
가금 사육 방식은 크게 방목, 마당 사육, 축사 사육, 배터리 케이지 사육으로 나눌 수 있다.
- 방목: 가금이 방사 시간 동안 자유롭게 야외 활동을 할 수 있지만, 대부분 넓게 쳐 놓은 목책을 벗어나지 못한다. 비교적 자연에 가까운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지낼 수 있다.
- 마당 사육: 새장과 울타리를 쳐 놓은 마당에서 가금을 기르는 방식으로, 방목보다는 면적이 줄어들지만 사육 밀집도는 올라간다.
- 축사 사육: 가금이 야외로 나갈 수는 없지만, 건물 내부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 배터리 케이지 사육: 좁은 새장을 여러 층으로 쌓아서 만든 연립식 새장에 가금을 가두어 기르는 방식이다. 한 우리 안에 여러 마리가 사육되기도 하며, 이동 및 정상적인 활동이 크게 제한된다. 알은 바닥에 떨어져 바깥쪽에 설치된 알바구니로 굴러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수의 암탉을 비좁은 배터리 케이지에 가두어 기르는 방식은 동물 복지 차원에서 큰 논란이 되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2012년 1월 1일부로 배터리 케이지 사육을 불법으로 규정했다.[127]
고기를 먹을 용도로 사육되는 닭은 육계(broiler영어)라고 부르며, 6주 이내에 2kg 이상으로 자라는 품종이 개량되어 있다.[130] 육계는 매우 빠르게 성장하여 다리로 몸무게를 지탱하기 어렵고, 심장과 호흡기를 통한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육계의 폐사율은 1% 정도로, 비슷한 무게까지 자라는 데 18주가 걸리는 산란계보다 훨씬 높다.[130] 가금 처리는 대부분 자동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지며, 2-3시간 내에 도축, 절단, 내장 제거, 세척, 냉각, 탈수, 체중 측정, 포장이 모두 완료된다.[131][130]
밀집 사육과 방목 사육 모두 동물 복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밀집 사육에서는 동족포식, 깃털 빠짐, 통풍구 훼손 등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리를 깎기도 한다.[132] 면역력이 떨어져 질병에 감염될 확률 역시 높으며, 한 번 퍼지면 수천 마리씩 걷잡을 수 없이 퍼져나간다. 방목의 경우 가금이 악천후에 취약해지고, 포식자와 질병을 옮기는 야생 조류와 접촉이 잦아진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적절한 질병 통제책 없이 방목하여 조류독감 발생이 빈번해지기도 한다.[133] 축사 내에서 풀어 기르는 것은 환경이 매우 비위생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복지 차원에서 낮은 평가를 받는다.[132]
6. 1. 대한민국 가금 산업 현황
전 세계적으로 닭은 다른 가금류보다 많이 사육되며, 매년 500억 마리 이상의 닭이 고기와 달걀을 얻기 위해 사육된다.[49] 대한민국에서도 닭은 가장 대규모로 사육되는 가금류이다.전통적으로 닭은 작은 무리로 사육되어 낮에는 먹이를 찾고 밤에는 닭장에 수용되었다. 이는 개발도상국에서 여전히 그러하며, 여성들이 가금류 사육을 통해 가족의 생계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그러나 세계 인구 증가와 도시화로 인해 대량 생산은 더 크고 집중적인 전문 시설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설은 종종 사료가 재배되는 곳이나 고기가 필요한 곳 근처에 위치하며, 도시 지역 사회에 저렴하고 안전한 식품을 제공한다.[50]
생산의 수익성은 사료 가격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사료 가격 상승은 가금류 생산의 추가적인 발전을 제한할 수 있다.[51]
방목 사육에서 닭은 하루 중 일부를 야외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 닭은 자연 환경에 접근하고 정상적인 행동을 할 수 있지만, 넓은 울타리 안에서 사육되는 경우가 많다. 더 집중적인 시스템은 마당 사육으로, 닭들이 울타리가 쳐진 마당과 닭장에 접근할 수 있으며 사육 밀도가 더 높다. 가금류는 개방된 공기에 접근할 수 없지만 건물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헛간 시스템에서 사육될 수도 있다.
산란계의 가장 집중적인 시스템은 배터리 케이지이며, 여러 층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 시스템에서는 여러 마리의 닭이 좁은 케이지를 공유하여 정상적인 방식으로 움직이고 행동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알은 케이지 바닥에 낳아 수집이 용이하도록 외부의 홈통으로 굴러간다. 암탉을 위한 배터리 케이지는 EU에서 2012년 1월 1일부터 불법이다.[49]
고기를 얻기 위해 집중적으로 사육되는 닭은 "육계"라고 불린다. 육계 품종은 6주 이내에 2kg 이상의 크기로 성장하도록 개발되었다.[52] 육계는 매우 빠르게 성장하여 다리가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거나, 심장 및 호흡기 시스템이 근육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 육계의 사망률은 1% 정도로, 덜 집중적으로 사육된 산란계보다 훨씬 높다.[52]
닭의 가공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발에 매달아 기절, 도축, 피를 빼고, 데치고, 털을 뽑고, 머리와 발을 제거하고, 내장을 제거하고, 씻고, 냉각시키고, 물기를 빼고, 무게를 측정하고, 포장하는 모든 과정이 2시간 남짓한 시간에 이루어진다.[53]
집중적인 농업과 방목 농업 모두 동물 복지에 대한 우려가 있다. 집중적인 시스템에서는 닭끼리 서로 잡아먹는 행위, 깃털 쪼기, 항문 쪼기가 흔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일부 농부들은 예방 조치로 부리 다듬기를 사용한다.[54] 질병 또한 흔하게 발생하여 무리 전체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광범위한 시스템에서는 닭이 악천후에 노출되고 포식자 및 질병을 옮기는 야생 조류에 취약하다. 헛간 시스템이 가장 심각한 조류 복지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54] 동남아시아에서는 방목 농업의 질병 관리 부족이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과 관련이 있다.[55]
7. 식품 용도
가금류는 돼지고기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소비되는 고기이다. 2013년 전 세계 가금육 생산량은 8460만 톤에 달했으며, 미국(20%), 중국(16.6%), 브라질(15.1%), 유럽연합(11.3%) 순으로 생산량이 많았다.[135] 가금 생산은 유럽연합식 모델과 미국식 모델로 나뉜다. 유럽연합식 모델은 원산지 추적이 가능하며 식품 안전, 동물 복지, 환경 규제를 고려하여 비용이 많이 드는 반면, 미국식 모델은 생산된 가금육을 바로 상품화한다.[136]
2011년 전 세계 오리고기 생산량은 420만 톤이었으며, 이 중 3분의 2가 중국에서 생산되었다.[137]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미얀마, 인도네시아, 한국 등도 주요 생산국이며, 서양에서는 프랑스가 가장 높은 생산 비율을 보였다.[111] 중국은 거위고기와 호로새고기의 최대 생산국이기도 하다.[137]
2013년 전 세계 계란 생산량은 약 6550만 톤으로 추산되었으며, 2000년에서 2010년 사이 연간 2%의 성장세를 보이다가 이후 1% 정도로 성장세가 감소했다.[138]
가금은 신선하거나 냉동된 상태, 통째로나 부위별, 뼈를 붙인 채로나 순살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된다.[139] 가장 살이 많은 부위는 가슴살과 허벅다리살이며, 버펄로 윙처럼 날개 부위도 식재료로 사용된다.[139][140][141]
가금류 고기는 다크미트(dark meat)와 화이트미트(white meat)로 나뉜다. 다크미트는 지속적인 활동에 쓰이는 부위로 미오글로빈의 영향으로 어두운색을 띠며, 닭의 허벅다리살이 이에 해당한다. 화이트미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근육으로, 닭의 가슴살이 대표적이다. 오리와 거위는 비행에 적합한 가슴 근육을 가져 전체적으로 적색육 성질이 강하다.[142]
8. 인체 영향
As of|2022년영어 현재까지 가금류 섭취가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한 임상실험은 없으나,[143] 영양학적으로 가금류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식품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 함량과 지방산 배합도 적절하여 인체에 이롭다.[144] 닭고기는 대다수의 적색육보다 다가 불포화 지방산이 2~3배 더 많다.[145] 단, 뼈나 껍질이 없는 닭가슴살의 경우 그 양은 훨씬 적다. 구운 닭가슴살 100g에는 지방 4g에 단백질 31g이, 대응되는 쇠고기 부위인 스커트 스테이크는 지방 10g에 단백질 27g이 함유되어 있다.[146][147]
일반적으로 식료품점에서 판매되는 육류 및 가금류 고기는 황색포도상구균의 감염률이 높으며, 2011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 식료품점에서 팔리는 고기의 47%가 황색포도상구균에 오염되었으며, 이런 박테리아 가운데 52%는 적어도 세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다. 조리를 통해서 박테리아를 박멸할 수 있지만, 원료를 부적절하게 섭취할 시 감염될 위험은 상존한다.[148] 또한 가금류로 생산된 식재료를 취급할 시,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 등으로 인한 박테리아 감염 역시 주의해야 하며, 부적절하게 취급되면 음식물을 통해 질병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144]
조류독감 역시 가금류로 전염되는 돌림병으로, 조류만을 표적으로 감염되는 특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에 의해 발생한다. 사람은 일반적으로는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으나, 살아있는 가금과 접촉이 잦은 사람들은 바이러스 보균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와 같은 감염은 야생 조류의 인플루엔자 감염률이 높은 동남아시아에서 자주 발생한다.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사람한테도 치명적인 고전염성 병원균으로 돌변하면 독감 유행 사태를 일으킬 수 있다.[149]
박테리아는 과학기관에서 인위적으로 배양관을 만들어 배양할 수 있으나, 바이러스는 살아있는 세포가 있어야 스스로 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질병에 대한 백신은 주로 유정란을 배양처 삼아 개발한다. 독감 백신을 개발하는 데 쓰이는 유정란은 연간 수백만 개에 달하며, 새 백신을 만드는 데는 6개월간 백신의 표적이 될 변종을 정하는 결정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렇게 생성된 백신은 난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면역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이지만, 유정란 기반이 아닌 세포 기반으로 바이러스를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극복이 차차 가능해지고 있다.[150] 세포 배양법은 충분한 양의 살균된 수정란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151]
참조
[1]
웹사이트
Consider These 6 Types Of Poultry For Your Farm
https://www.hobbyfar[...]
2017-08-14
[2]
웹사이트
"Fowl"
https://animals.hows[...]
2008-04-22
[3]
논문
The wild species genome ancestry of domestic chickens
2020-12
[4]
웹사이트
Ancient DNA Explains How Chickens Got To The Americas
https://www.forbes.c[...]
2017-11-23
[5]
웹사이트
Chickens Were Initially Domesticated for Cockfighting, Not Food
http://www.todayifou[...]
2013-08-30
[6]
웹사이트
Sources of the world's meat supply in 2012
http://www.fao.org/a[...]
FAO
2018-08-26
[7]
OED
poult
[8]
encyclopedia
Pullet
http://www.thefreedi[...]
Houghton Mifflin Company
[9]
웹사이트
Fowl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4-02-12
[10]
웹사이트
Our Poultry
https://poule-dor.co[...]
[11]
웹사이트
Poultry
http://www.etymonlin[...]
Ehitymonline.com
2014-02-12
[12]
encyclopedia
Poultry
http://www.thefreedi[...]
Houghton Mifflin Company
[13]
encyclopedia
Poultry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06-06
[14]
서적
Poultry Breeding and Genetics
http://www.cabdirect[...]
Elsevier
[15]
서적
Ornamental and Domestic Poultry: Their History, and Management
https://archive.org/[...]
Gardeners' Chronicle
[16]
웹사이트
Fowl
http://www.thefreedi[...]
thefreedictionary.com
2014-02-12
[17]
encyclopedia
Game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18]
Citation
Identification of the yellow skin gene reveals a hybrid origin of the domestic chicken
[19]
논문
Did chickens go north? New evidence for domestication
[20]
논문
Overview of chicken taxonomy and domestication
2007-06-01
[21]
논문
863 genomes reveal the origin and domestication of chicken
[22]
논문
Multiple maternal origins of chickens: Out of the Asian jungles
2006-01
[23]
논문
Documenting domestication: the intersection of genetics and archaeology
2006-03
[24]
서적
New Perspectives in Southeast Asian and Pacific Prehistory
ANU Press
[25]
논문
The History of Faunal Terms in Austronesian Languages
https://www.jstor.or[...]
2002-06
[26]
뉴스
How the Chicken Conquered the World
http://www.smithsoni[...]
2012-06-01
[27]
논문
Investigating the global dispersal of chickens in prehistory using ancient mitochondrial DNA signatures
[28]
서적
Poultry Production
http://www.cabdirect[...]
Lea & Febiger
[29]
서적
Western poultry book
https://archive.org/[...]
Mrs. A. Basley
[30]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4-02-21
[31]
웹사이트
Breed gallery
http://www.poultrycl[...]
The Poultry Club of Great Britain
2014-02-21
[32]
웹사이트
History of Aseel
http://www.aseellove[...]
[33]
웹사이트
10 Facts About Ducks
https://www.four-paw[...]
2022-07-05
[34]
웹사이트
Information sheet: The Welfare of Farmed Ducks
http://www.rspca.org[...]
RSPCA
2012-07-01
[35]
서적
Domestic Duck Production: Science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ABI
[36]
웹사이트
Domestic ducks
http://www.duckhealt[...]
Cornell University
2014-02-15
[37]
웹사이트
Origins and Breeds of Domestic Geese
http://www.fao.org/D[...]
FAO Agriculture Department
2014-02-17
[38]
웹사이트
White Chinese Goose
http://www.bird-frie[...]
2014-02-17
[39]
웹사이트
CALU factsheet: Meat geese seasonal production
http://www.calu.bang[...]
2009-06-01
[40]
뉴스
China to boost foie gras production
http://news.xinhuane[...]
2006-04-11
[41]
웹사이트
Welfare Aspects of the Production of Foie Gras in Ducks and Geese
http://foodfancy.net[...]
1998-12-16
[42]
웹사이트
"Wild turkey: Meleagris gallopavo"
http://www.globaltwi[...]
2008
[43]
뉴스
Native Americans First Tamed Turkeys 2,000 Years Ago
http://news.discover[...]
2010-02-01
[44]
서적
The Turkey: An American 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5]
서적
Turkeys: Behavior, Management and Well-Being
Marcell Dekker
[46]
웹사이트
Can turkey rule the roost all year round?
http://www.yourshepw[...]
Your Shepway
2013-12-18
[47]
웹사이트
Keeping Guinea fowl
http://www.ca.uky.ed[...]
University of Kentucky
2014-03-09
[48]
간행물
Primefacts: Squab raising
http://www.dpi.nsw.g[...]
NSW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2014-03-09
[49]
웹사이트
Compassion in World Farming: Poultry
http://www.ciwf.org.[...]
Ciwf.org.uk
2014-02-12
[50]
웹사이트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Poultry
http://www.fao.org/a[...]
FAO
2014-02-27
[51]
웹사이트
Poultry Brief 2013
http://agritrade.cta[...]
CTA
2014-02-28
[52]
뉴스
Ten weeks to live
https://www.theguard[...]
2014-02-21
[53]
웹사이트
Meat chicken farm sequence (processing)
http://www.poultryhu[...]
Poultry Hub
2014-02-21
[54]
학술 논문
A comparison of the welfare of layer hens in four housing systems in the UK
[55]
웹사이트
Free-range farming and avian flu in Asia
http://wspa-internat[...]
WSPA International
2014-02-12
[56]
웹사이트
History of poultry
http://www.poultrycl[...]
Poultry Club of Great Britain
2014-02-23
[57]
웹사이트
Types of Show
http://www.poultrycl[...]
Poultry Club of Great Britain
2014-02-23
[58]
뉴스
Food for Thought: Global Food Trends
http://www.sciencene[...]
Science News Online
2003-05-27
[59]
웹사이트
USDA Livestock & Poultry: World Markets & Trade
http://www.thepoultr[...]
The Poultry Site
2014-02-24
[60]
학술 논문
Trends in the global poultry meat supply chain
[61]
웹사이트
USDA International Livestock & Poultry: World Duck, Goose and Guinea Fowl Meat Situation
http://www.thepoultr[...]
The Poultry Site
2014-03-09
[62]
웹사이트
Global Poultry Trends: World Egg Production Sets a Record Despite Slower Growth
http://www.thepoultr[...]
The Poultry Site
2014-02-24
[63]
웹사이트
Global Egg Production Continues to Grow
https://www.internat[...]
2024-01-21
[64]
웹사이트
Poultry meat cuts
http://www.feedcousa[...]
FeedCo USA
2014-03-01
[65]
웹사이트
America, You're Getting Two-Thirds of the Hot Wing
http://www.chow.com/[...]
2014-04-03
[66]
서적
日本料理用語辞典 (英文): Ingredients & Culture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67]
웹사이트
The color of meat and poultry
http://dwb.unl.edu/t[...]
USDA: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2014-03-01
[68]
학술 논문
Iridescence in Meat Caused by Surface Gratings
[69]
학술 논문
Poultry Consumption and Human Health: How Much Is Really Known? A Systematically Searched Scoping Review and Research Perspective
[70]
웹사이트
Poultry and human health
http://www.fao.org/a[...]
FAO
2014-02-25
[71]
웹사이트
Feinberg School: Nutrition Fact Sheet: Lipids
http://nuinfo-proto4[...]
Northwestern University
2009-08-24
[72]
웹사이트
FoodData Central {{!}} Chicken, breast, boneless, skinless, raw
https://fdc.nal.usda[...]
2024-03-13
[73]
웹사이트
FoodData Central {{!}} Beef, flank, steak, boneless, choice, raw
https://fdc.nal.usda[...]
2024-03-13
[74]
뉴스
US meat and poultry is widely contaminated with drug-resistant Staph bacteria, study finds
https://www.scienced[...]
2011-04-15
[75]
웹사이트
Information on Avian Influenza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03-03
[76]
웹사이트
The evolution, and revolution, of flu vaccine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03-06
[77]
웹사이트
Vaccines for pandemic threats
http://www.historyof[...]
2014-03-05
[78]
웹인용
Consider These 6 Types Of Poultry For Your Farm
https://www.hobbyfar[...]
2017-08-14
[79]
웹인용
Fowl
https://animals.hows[...]
2008-04-22
[80]
웹인용
Ancient DNA Explains How Chickens Got To The Americas
https://www.forbes.c[...]
2017-11-23
[81]
저널
The wild species genome ancestry of domestic chickens
2020-12
[82]
웹인용
Chickens Were Initially Domesticated for Cockfighting, Not Food
http://www.todayifou[...]
2013-08-30
[83]
뉴스
Food for Thought: Global Food Trends
http://www.sciencene[...]
Science News Online
2003-05-31
[84]
웹인용
Sources of the world's meat supply in 2012
http://www.fao.org/a[...]
FAO
2018-08-26
[85]
백과사전
가금(家禽)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3-09-23
[86]
사전
Poultry
http://www.thefreedi[...]
Houghton Mifflin Company
[87]
웹인용
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제8조의2
https://www.law.go.k[...]
대한민국 법제처 법령정보센터
2020-05-29
[88]
백과사전
Poultry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06-06
[89]
서적
Poultry Breeding and Genetics
http://www.cabdirect[...]
Elsevier
[90]
서적
Ornamental and Domestic Poultry: Their History, and Management
https://archive.org/[...]
Gardeners' Chronicle
[91]
웹인용
Fowl
http://www.thefreedi[...]
thefreedictionary.com
2014-02-12
[92]
사전
Game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3-08
[93]
서적
Poultry Production
http://www.cabdirect[...]
Lea & Febiger
[94]
인용
Identification of the yellow skin gene reveals a hybrid origin of the domestic chicken
[95]
저널
Did chickens go north? New evidence for domestication
[96]
저널
Overview of chicken taxonomy and domestication
2007-06-01
[97]
저널
863 genomes reveal the origin and domestication of chicken
[98]
저널
Multiple maternal origins of chickens: Out of the Asian jungles
2006-01
[99]
저널
Documenting domestication: the intersection of genetics and archaeology
2006-03
[100]
서적
New Perspectives in Southeast Asian and Pacific Prehistory
ANU Press
[101]
저널
The History of Faunal Terms in Austronesian Languages
https://www.jstor.or[...]
2002-06
[102]
뉴스
How the Chicken Conquered the World
http://www.smithsoni[...]
2012-06-01
[103]
저널
Investigating the global dispersal of chickens in prehistory using ancient mitochondrial DNA signatures
[104]
서적
Poultry Production
http://www.cabdirect[...]
Lea & Febiger
[105]
서적
Western poultry book
https://archive.org/[...]
Mrs. A. Basley
[106]
웹인용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4-02-21
[107]
웹인용
Breed gallery
http://www.poultrycl[...]
The Poultry Club of Great Britain
2014-02-21
[108]
웹인용
History of Aseel
http://www.aseellove[...]
2014-02-15
[109]
웹인용
10 Facts About Ducks
https://www.four-paw[...]
2022-07-05
[110]
웹인용
Information sheet: The Welfare of Farmed Ducks
http://www.rspca.org[...]
RSPCA
2014-03-08
[111]
서적
Domestic Duck Production: Science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ABI
[112]
웹인용
Domestic ducks
http://www.duckhealt[...]
Cornell University
2014-02-15
[113]
웹인용
Origins and Breeds of Domestic Geese
http://www.fao.org/D[...]
FAO Agriculture Department
2014-02-17
[114]
백과사전
가금
[115]
웹인용
White Chinese Goose
http://www.bird-frie[...]
2014-02-17
[116]
웹인용
CALU factsheet: Meat geese seasonal production
http://www.calu.bang[...]
2009-06-01
[117]
뉴스
China to boost foie gras production
http://news.xinhuane[...]
2014-03-09
[118]
웹인용
Welfare Aspects of the Production of Foie Gras in Ducks and Geese
http://foodfancy.net[...]
1998-12-16
[119]
뉴스
Native Americans First Tamed Turkeys 2,000 Years Ago
http://news.discover[...]
2014-02-19
[120]
서적
The Turkey: An American 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1]
서적
Turkeys: Behavior, Management and Well-Being
Marcell Dekker
[122]
웹인용
Can turkey rule the roost all year round?
http://www.yourshepw[...]
Your Shepway
2013-12-18
[123]
웹인용
Keeping Guinea fowl
http://www.ca.uky.ed[...]
University of Kentucky
2014-03-09
[124]
저널
Primefacts: Squab raising
http://www.dpi.nsw.g[...]
NSW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2014-03-09
[125]
저널
특수가금(꿩, 청둥오리, 오골계)육의 영양성분
https://www.dbpia.co[...]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23-09-24
[126]
저널
꿩의 생산기술 현황과 생산전망
https://www.dbpia.co[...]
한국가금학회
2023-09-24
[127]
웹인용
Compassion in World Farming: Poultry
http://www.ciwf.org.[...]
Ciwf.org.uk
2014-02-12
[128]
웹인용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Poultry
http://www.fao.org/a[...]
FAO
2012-09-25
[129]
웹인용
Poultry Brief 2013
http://agritrade.cta[...]
CTA
2014-02-28
[130]
뉴스
Ten weeks to live
https://www.theguard[...]
2014-02-21
[131]
웹인용
Meat chicken farm sequence (processing)
http://www.poultryhu[...]
Poultry Hub
2014-02-21
[132]
저널
A comparison of the welfare of layer hens in four housing systems in the UK
[133]
웹인용
Free-range farming and avian flu in Asia
http://wspa-internat[...]
WSPA International
2014-02-12
[134]
뉴스
Food for Thought: Global Food Trends
http://www.sciencene[...]
Science News Online
2003-05-31
[135]
웹인용
USDA Livestock & Poultry: World Markets & Trade
http://www.thepoultr[...]
The Poultry Site
2014-02-24
[136]
저널
Trends in the global poultry meat supply chain
[137]
웹인용
USDA International Livestock & Poultry: World Duck, Goose and Guinea Fowl Meat Situation
http://www.thepoultr[...]
The Poultry Site
2014-03-09
[138]
웹인용
Global Poultry Trends: World Egg Production Sets a Record Despite Slower Growth
http://www.thepoultr[...]
The Poultry Site
2014-02-24
[139]
웹인용
Poultry meat cuts
http://www.feedcousa[...]
FeedCo USA
2014-03-01
[140]
웹인용
America, You're Getting Two-Thirds of the Hot Wing
http://www.chow.com/[...]
2014-04-03
[141]
서적
日本料理用語辞典 (英文): Ingredients & Culture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142]
웹인용
The color of meat and poultry
http://dwb.unl.edu/t[...]
USDA: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2000-05-01
[143]
저널
Poultry Consumption and Human Health: How Much Is Really Known? A Systematically Searched Scoping Review and Research Perspective
[144]
웹인용
Poultry and human health
http://www.fao.org/a[...]
FAO
2014-02-25
[145]
웹인용
Feinberg School: Nutrition Fact Sheet: Lipids
Northwestern University
2009-08-24
[146]
웹인용
Nutrition Data - 100g Chicken Breast
http://nutritiondata[...]
[147]
웹인용
Nutrition Data - 100g Lean Skirt Steak
http://nutritiondata[...]
[148]
뉴스
US meat and poultry is widely contaminated with drug-resistant Staph bacteria, study finds
https://www.scienced[...]
2014-02-27
[149]
웹인용
Information on Avian Influenza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03-03
[150]
웹인용
The evolution, and revolution, of flu vaccine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03-06
[151]
웹인용
Vaccines for pandemic threats
http://www.historyof[...]
2014-03-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국내서 한달 만에 고병원성 AI 발생…브라질산 수입 중단에 이은 악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