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의 소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의 소방은 삼국 시대의 방화 개념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의 금화제도, 조선 시대의 금화도감 설치를 거쳐 발전해 왔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경무국이 소방 업무를 담당했고, 미군정기를 거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내무부 치안국 소방과에서 소방 업무를 담당했다. 1970년대 이후 서울특별시와 부산직할시에 소방본부가 설치되면서 자치 소방 체제가 시작되었고, 1992년에는 전국에 소방본부가 설치되어 현재의 광역 자치 소방 체제가 확립되었다. 2004년 소방방재청이 설치되었으나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국민안전처로 통합되었다가 2017년 소방청으로 분리되었다. 소방 조직은 소방청과 시·도 소방본부로 구성되며, 소방관은 화재진압대, 구조대, 구급대로 나뉜다. 소방 장비로는 기동 장비, 진압 장비, 구조 장비, 개인 장비 등이 있으며, 소방관의 인력 부족, 열악한 근무 환경, 장비 노후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소방청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는 서울특별시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화재 진압, 구조, 구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소방서, 서울종합방재센터, 119특수구조단 등을 운영한다.
  • 대한민국 소방청 - 대한민국 소방방재청
    소방방재청은 재해로부터 국토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재난 및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을 담당했던 행정기관으로,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해체되어 소방청으로 재출범하였다.
  • 대한민국의 소방 - 대한민국 소방청
    대한민국 소방청은 화재 예방 및 진압, 인명 구조, 구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으로, 1948년 내무부 치안국 소방과로 시작하여 소방국, 소방방재청을 거쳐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로 격하되었으나 2017년 독립된 소방청으로 승격되었다.
  • 대한민국의 소방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는 서울특별시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화재 진압, 구조, 구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소방서, 서울종합방재센터, 119특수구조단 등을 운영한다.
  • 좋은 글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좋은 글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대한민국의 소방
개요
목적화재 예방/진압, 재난/재해 시 구조/구급 활동을 통해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 복리 증진에 기여
소방대 구성소방공무원
의무소방원
의용소방대원
관할지방자치단체 (지역의 화재예방·경계·진압·조사 및 구조·구급)
조직
중앙소방청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소방본부
소방서소방서 (소방본부 예하)
119안전센터119안전센터 (소방서 예하)
소방파출소소방파출소 (119안전센터 예하)
법률
소방 관련 법률소방기본법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지방자치법

2. 역사



1946년부터 1948년까지 미군정 시대에는 경찰 소속이었던 소방이 독립하여 자치 소방 체제가 구축되었다. 중앙에는 소방위원회와 소방청이, 지방에는 도 소방위원회와 지방 소방청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국가 소방 체제로 변경되었고, 1958년 소방법에 의해 내무부 국가 경찰 본부와 지방 경찰국 내에 소방과가 설치되었다. 소방 공무원은 경찰 공무원법을 적용받는 경찰관 신분이었다.[35]

1970년대 이후 소방 제도가 재검토되어 1972년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소방은 경찰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조직이 되었다. 서울특별시부산직할시는 자치 소방, 그 외 지역은 국가 소방으로 이원화되었다. 1975년 내무부 민방위본부 내에 소방국이 설치되었고, 1978년에는 소방공무원법이 제정되었다. 1991년 소방법 개정으로 1992년 4월부터 시·도 광역 자치 소방이 실시되어[22] 시·도에 소방본부가 설치되고, 소방 공무원 대부분은 지방 공무원이 되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2월)과 태풍 매미(9월)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방재 체제가 근본적으로 재검토되었다. 기존 소방법은 폐지되고 소방기본법 등 4개 법률로 기능별로 분리되었다. 2004년 6월 1일, 행정자치부 외청으로 소방방재청이 설치되었다.[47]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로 소방방재청은 해양경찰청과 함께 해체되고, 국민안전처 산하 중앙소방본부가 되었다.[48] 이후 2017년 7월 25일 국민안전처가 폐지되고 행정안전부 외청으로 소방청이 설치되었다.

소방 체제의 연혁
1946년 ~ 1948년미군정 시대자치 소방 체제중앙: 소방위원회, 소방청
지방: 도 소방위원회, 지방 소방청
1948년 ~ 1970년대한민국 정부국가 소방 체제중앙: 내무부 치안국 소방과
지방: 경찰국 소방과, 소방서
1970년 ~ 1992년국가 소방 + 자치 소방중앙: 내무부 소방국
서울·부산: 자치 소방
서울·부산 외: 경찰국 소방과, 소방서
1992년 ~시·도 자치 소방시·도: 시·도 소방본부
중앙: 행정자치부 소방국 (2004년 6월 소방방재청으로 개편)



구급 업무의 연혁
1970년대화재 현장에서 급병 환자 이송 개별 실시
1980년 10월 2일대전소방서, 구급차 1대로 구급 업무 수행
1981년 6월부산시 4개 소방서[23], 구급차 4대로 구급 업무 수행
1982년3월 1일: 서울시 8개 소방서, 구급차 8대로 구급 업무 수행
6월 9일: 내무부·보건사회부 공동 훈령 제정
1983년 12월 31일소방법 개정, 소방의 기본 업무로 구급 업무 법제화 (30개 소방서)
1989년 8월 18일내무부 예규 제정 (소방 구급 활동 요항)
1992년 8월 31일내무부 예규 제742호 제정 (구급대 편성·운영 규정)
2005년 8월 22일자치행정부령 제296호 개정 (구조대·구급대 편성·운영 규칙)



구조 업무의 연혁
1988년4월 30일: 119 구조대원 복제 규정 제정 (내무부 훈령 제938호)
8월 1일: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수원 7개 시에서 119 구조대 9개 대 발족 (서울 3개 대)
1989년 12월 30일소방법 개정, 소방의 기본 업무로 구조 활동 법제화
1995년 12월 17일중앙119구조본부 발족 (6개 팀 68명)
1997년 12월 20일내무부령 제747호 제정 (구급대·구급대 편성 운영 규칙)
2005년 8월 22일자치행정부령 제296호 개정 (구조대·구급대 편성·운영 규칙)


2. 1. 삼국시대

삼국사기에 따르면 문무왕 재위 2년, 6년, 8년에 황룡사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이 시기에는 방화 사건도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4] 삼국사기 기록을 통해 방화에 대한 개념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34] 연개소문의 정변 때 연개소문이 휘하 병력을 동원해 수도 평양성에 방화를 저지르자 국왕 직속 병사들이 불을 끄느라 경비가 흐트러졌다는 기록도 있다.

2. 2. 고려시대

고려시대부터 국가 차원의 소방 관련 제도가 '금화제도'라는 명칭으로 마련되어 화재를 예방하였으나, 전문 조직은 존재하지 않았다.[35] 각 관아의 당직자나 책임자가 화재 예방 책임을 지고 있었으며, 관리가 불을 예방하지 못하면 면직되었다. 민간인이 실수로 불을 내거나 고의로 불을 낸 경우에는 불을 낸 장소에 따라 차등하여 벌을 주었다. 고려 문종 20년 운여창 화재 이후 금화관리자를 창고에 배치해 어사대가 수시로 점검하여 직무를 태만히 한 경우 벌을 주었다.[34]

금화제도는 처벌과 보험을 기반으로 운영되었다. 방화 혐의가 있는 관리는 즉시 해고되었고, 회사 재산을 불태운 자는 3년 징역형에 처해졌다. 화재 피해자는 화재로 인해 가옥이 파괴되거나 부상을 입은 경우 보상을 받았다.[4] 지방 정부는 이러한 기금을 관리할 책임자를 한 명 임명했는데, 처음에는 감독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고려 문종 20년에 화재가 발생한 후, 이 담당자들은 기금 유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어사대의 수시 감찰을 받게 되었다. 임명된 사람이 발견되지 않거나 의무를 소홀히 하면 투옥되거나 추가 처벌을 받았다.[4]

2. 3. 조선시대

1426년(세종 8년) 한반도 최초의 소방 전문 조직인 금화도감이 병조 아래에 설치되어 방화 업무를 담당하기 시작하였고[36], 같은 해 6월에 하천 관리 업무를 겸하게 되었다.[37] 그러나 "상시로 늘 모두 다스릴 일이 없는데 모두 설립되어 있어 폐단만 있으니 병합하자"는 주장에 따라 수성금화도감으로 합쳐져[38] 공조 산하에 설치되었다.[39] 1460년(세조 6년)에는 한성부로 합쳐져 폐지되었다가[40]경국대전》 반포 이후인 1481년(성종 12년)에 수성금화사로 재설치되었다.[41] 초기에는 금화군(禁火軍)이 화재를 진압하였고, 세조 때 금화군을 멸화군(滅火軍)이라 개칭하고 24시간 대기시켰다.[42][43]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수성금화사는 폐지되어 병조한성부가 필요에 따라 금화 업무를 담당하였다.[42] 1894년(고종 31년) 7월에 경무청 관제를 확정하면서 경무청이 화재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도록 하였다.[44][45]

2. 4. 일제강점기

1931년 경성소방서 전직원 기념촬영


조선총독부 경무국의 방호과, 보안과, 경비과에서 소방 업무를 담당하였다. 1910년대에 서울 시내 경찰관서에 소방관을 배치하고, 주요 도시에도 소방조를 편성해 소방관을 배치하였다. 1922년 경성소방조가 경성소방소로 바뀌었고, 1925년에는 최초의 소방서인 경성소방서가 개서하였다.[44] 1910년에 68개였던 소방조는 1938년까지 1398개로 증가하였고, 1939년에는 기존의 소방조와 수방단을 경방단으로 통합하였다.[42][46]

2. 5. 미군정기, 대한민국

1946년부터 1948년까지의 미군정 시대에, 경찰 소속이었던 소방이 독립하여 처음으로 자치 소방 체제가 구축되었다. 중앙에는 소방위원회와 소방청이, 지방에는 도 소방위원회와 지방 소방청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자치 소방 체제에서 국가 소방 체제로 변경되었고, 1958년 제정된 소방법에 의해 내무부 국가 경찰 본부 내에 소방과가 설치되었고, 지방에서는 경찰국 내에 소방과가 설치되었다. 또한 소방 공무원의 신분은 경찰 공무원법이 적용되는 경찰관이 되었다.[35]

1970년 이후, 소방 제도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 1972년 정부 조직법 개정으로 소방은 경찰에서 분리되어 다시 독립된 조직이 되었다. 당시에는 서울특별시부산직할시의 소방은 자치 소방, 그 외의 도는 국가 소방이라는 이원화된 제도가 되었다. 1975년, 내무부에 민방위 본부가 설치되어 그 안의 조직으로서 소방국이 설치되었다. 1978년에는 소방 공무원법이 제정되었다. 그 후, 1991년에 소방법이 개정되어 1992년 4월 이후 시·도의 광역 자치 소방이 실시되었고[22], 시·도에 소방본부가 설치, 소방 공무원의 대부분은 지방 공무원이 되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 (2월)과 태풍 매미 (9월)에 의한 재해 등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을 계기로 방재 체제가 근본적으로 재검토되었다. 여러 차례 개정으로 체계와 내용이 복잡해져 있던 이전의 소방법이 폐지되고, 소방 기본법을 시작으로 하는 4개의 법률로 기능별로 분리되었다. 2004년 6월 1일, 행정자치부 방위 재난 통제 본부의 한 조직으로 설치되어 있던 소방국을 격상시켜, 정부 조직법과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에 근거하여 행정자치부 외청으로서 소방방재청이 설치되었다.[47]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소방방재청은 해양경찰청과 함께 해체되었고, 재편 후에는 국민안전처 산하의 중앙 소방 본부가 되었다.[48] 그 후 정권 교체에 따라 2017년 7월 25일에 국민안전처는 폐지되었고, 행정안전부의 외청으로서 소방청이 설치되었다.

3. 소방 조직

대한민국의 소방 조직은 행정안전부 산하의 소방청과 각 시도 지방자치단체장 휘하의 시도 소방본부로 구성된다. 소방청 직할 기관으로 중앙119구조본부중앙소방학교 등이 있으며, 지방 소방학교와 일선 소방서 등은 각 시도의 자치단체장이 관리한다.

소방본부는 광역자치단체에 18개, 기초자치단체(창원시)에 1개가 설치되어 화재 예방·경계·진압·조사 및 구조·구급 등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소방본부에는 지방 소방학교가 설치되어 있다. 대전광역시와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소방본부에는 소방항공대가 설치되어 있다.

소방본부 산하에는 소방서(복수의 기초자치단체를 관할하는 소방서도 있다)와 119안전센터(소방서의 출장소. 단, 제주특별자치도는 119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에 119구조대, 소방항공대(15개소), 소방정대(6개소), 구급대(27개소), 119지역대가 조직되어 있다.

3. 1. 소방관서

서울종로소방서


소방관서는 소방청, 시도 소방본부, 소방학교, 소방서, 119안전센터 등을 모두 포함하며,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소방서가 대표적인 소방관서에 해당된다.

  • 소방학교: 중앙소방학교와 각 지방 소방학교들이 해당되며 소방공무원의 교육, 훈련과 소방업무의 연구 증진에 목적이 있다.
  • 119안전센터: 소방서의 하위기관으로, 읍면동을 관할하며 각 담당 지역의 화재 진압과 응급환자 구호를 담당한다. 화재진압대와 구급대로 구성되어 있다.
  • 119구조대: 소방서 당 1개씩 설치하는 것이 원칙으로, 소방서가 담당하는 지역의 구조업무를 전담한다.[49] 구조대는 일반구조대, 특수구조대(화학구조대·수난구조대·산악구조대·고속국도구조대·지하철구조대), 직할구조대, 테러대응구조대로 나뉜다.[50]
  • 119지역대: 119안전센터의 하위기관으로 119안전센터를 두기에는 인구가 적고 인근 안전센터의 거리가 먼 경우에 설치하며 1명 - 3명의 소방공무원이 근무한다.

3. 1. 1. 소방청

소방청은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가 2017년 7월 26일에 분리된 기관으로, 국가 단위의 소방 업무를 담당한다. 산하에 중앙119구조본부중앙소방학교가 있다.

3. 1. 2. 소방본부

대한민국의 소방 조직은 소방청 (행정안전부 소속)과 시·도 소방본부로 구성된다. 소방청 산하에는 중앙119구조본부중앙소방학교가 있으며, 시·도 소방본부 산하에는 소방서와 지방 소방학교가 있다. 소방청은 중앙 정부에 책임을 지며, 시·도 소방본부는 각각 지방 정부에서 관리한다.

정부에는 행정안전부의 외청으로서 소방청이 있으며, 지방(광역시·도·특별자치도, 창원시)에는 소방본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본부 아래에 소방서가 설치되어 있다. 소방본부의 장(소방본부장)과 소방서의 장(소방서장)은 소관 시장이나 도지사의 지휘·감독을 받는다.

소방본부(소방본부한국어)는 광역자치단체에 18개, 기초자치단체에 1개(창원시)가 설치되어 화재 예방·경계·진압·조사 및 구조·구급 등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광주광역시·경기도·충청남도·경상북도의 소방본부에는 교육 기관으로 지방소방학교가 설치되어 있다. 대전광역시와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소방본부에는 소방항공대가 설치되어 있다.

'''소방본부 목록'''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서울소방재난본부한국어)
  • 부산 소방본부(부산 소방본부한국어)
  • 대구 소방안전본부(대구 소방안전본부한국어)
  • 인천 소방안전본부(인천 소방안전본부한국어)
  • 광주 소방안전본부(광주 소방안전본부한국어)
  • 대전 소방본부(대전 소방본부한국어)
  • 울산 소방본부(울산 소방본부한국어)
  • 세종 소방본부(세종 소방본부한국어)
  • 창원 소방본부(창원 소방본부한국어)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경기도 소방재난본부한국어)(한강 이남 관할)
  • 경기도북부 소방재난본부(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한국어)(한강 이북 관할)
  • 강원도 소방본부(강원도 소방본부한국어)
  • 충청북도 소방본부(충청북도 소방본부한국어)
  • 충청남도 소방안전본부(충청남도 소방안전본부한국어)
  • 전북 소방안전본부(전북 소방안전본부한국어)
  • 전라남도 소방본부(전남 소방본부한국어)
  • 경상북도 소방본부(경상북도 소방본부한국어)
  • 경상남도 소방본부(경상남도 소방본부한국어)
  • 제주 소방안전본부(제주 소방방재본부한국어)

3. 1. 3. 소방학교

소방청 산하에 중앙119구조본부중앙소방학교가 있으며, 시·도 소방본부 산하에는 소방서와 지방 소방학교가 있다.

3. 1. 4. 소방서

소방서는 각 시·군·구에 1개씩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지만,[11] 현실적으로는 재정 자립도가 낮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소방서 설치에 소극적이어서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12] 강원도 소방본부의 화재 인명 피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소방서 유무에 따라 사망률에 큰 차이가 있어 소방서 설치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2] 소방서 1곳을 설치하는 데는 약 70억의 예산이 소요된다.[12]

소방본부 산하에는 소방서와 119안전센터(소방서의 출장소. 단, 제주특별자치도는 119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일부 소방서는 복수의 기초자치단체를 관할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119구조대, 소방항공대(15개소), 소방정대(6개소), 구급대(27개소), 119지역대가 조직되어 있다.

3. 1. 5. 119안전센터

119안전센터는 소방서의 하위 기관으로, 읍면동 단위에서 화재 진압, 구조, 구급 업무를 수행한다. 119안전센터는 소방서의 출장소 역할을 한다. 단, 제주특별자치도는 119센터로 불린다.[1]

3. 1. 6. 119구조대

119구조대는 소방서 산하에 설치되어 인명 구조를 전담한다.[1]

3. 1. 7. 119지역대

119안전센터(제주특별자치도는 119센터)는 소방서의 하위 기관이다.[1] 119지역대는 119안전센터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1]

4. 대한민국의 소방관

소방관(消防官)은 소방업무를 직업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소방공무원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대한민국의 소방관은 업무에 따라 119화재진압대, 119구조대, 119구급대, 항공구조구급대 등으로 나뉜다. 이는 업무상 구분일 뿐, 법령상 모두 소방공무원이며[58] 소방학교에서 구조과정을 수료해야 한다.[59][60] 1개 구급대에는 응급구조사간호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61]


  • 119화재진압대원: 119안전센터에 소속되어 화재 예방과 진압을 주 업무로 한다.
  • 119구조대원: 119구조대에 소속되어 재난 현장에서 인명 구조를 담당한다.[58]
  • 119구급대원: 119안전센터에 소속되어 부상자를 응급처치하고 병원으로 이송한다.[60]
  • 항공구조구급대원: 항공대에서 소방헬기에 탑승하여 구조 및 구급 업무를 수행한다.


2008년 숭례문 방화 사건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들.

4. 1. 소방공무원의 계급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은 국가직 11계급, 지방직 10계급으로 나뉜다.[13] 비간부인 소방사시보, 소방사, 소방교, 소방장은 '정화·개선'을 의미하는 육각수 아래에 관창호스 형태를 받친 것이다. 중간간부인 소방위, 소방경, 소방령, 소방정은 관창과 호스를 뺀 소방사시보용 계급장을 6각으로 두른다. 고위간부인 소방준감, 소방감, 소방정감, 소방총감은 가운데에 태극을 두고 소방위용 계급장을 5각으로 둘러 별을 형상한다.[62]

소방준감 계급장


소방위 계급장


소방사시보 계급장


소방공무원의 계급은 아래 표와 같다.[27]

소방공무원의 계급
직급직위
국가 (한글)지방
소방총감(소방총감한국어)소방방재청장 (정무직)
소방정감(소방정감한국어)지방소방정감소방방재청 차장
소방감(소방감한국어)지방소방감소방방재본부장, 중앙소방학교장, 서울·부산·경기소방본부장 등
소방준감(소방준감한국어)지방소방준감소방방재청 팀장, 상기 이외의 시도소방본부장, 서울·부산소방본부 과장, 서울·경기소방학교장 등
소방정(소방정한국어)지방소방정상기 이외의 시도소방본부 과장, 소방서장, 지방소방학교장 등
소방령(소방령한국어)지방소방령소방본부 계장, 소방서 과장 등
소방경(소방경한국어)지방소방경소방서 과·계장 등
소방위(소방위한국어)지방소방위파출소장, 구조대장 등
소방장(소방장한국어)지방소방장계원
소방교(소방교한국어)지방소방교계원
소방사(소방사한국어)지방소방사계원


4. 2. 소방공무원의 임용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 채용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임용권자는 국가소방공무원의 경우 소방청장, 지방소방공무원의 경우 각 시·도 광역단체장(시·도지사)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 사법시험, 5급 공채(행정) 합격자 특별채용 - 임용계급은 일선 소방서의 과장급인 소방령이다.
  • 소방간부후보생 - 매년 30명을 선발하며, 중앙소방학교에서 1년간 초급간부 교육을 수료한 후 소방위로 임용된다.
  • 소방사 공채 - 공개채용시험 외에 의무소방원 전역자 및 특수부대에서 2년 이상 근무하고 전역한 사람에 한해 특별채용을 거쳐 소방사로 임용된다.


국가소방공무원의 경우, 소방령 이상은 소방방재청장의 추천을 받아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용한다. 지방소방공무원은 시·도지사가 임용한다.

4. 3. 양성평등 정책

2018년 5월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소방기관에서 근무하는 여성은 3605명으로, 전체 소방공무원의 7.82%를 차지한다.[63] 여성 소방관 중 최고 계급은 소방정이며, 그 수는 5명에서[64] 4명으로 감소하였다.[65]

그러나 구급대원이 아닌 일반 여성 소방관의 경우, 대부분 현장직이 아닌 사무직으로 보직을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체력검정 기준이 평균적으로 남성의 65%에 불과하여, 여성 소방관이 현장 가용 인력에서 사실상 배제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66] 물론 이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여성 소방공무원의 양성교육 시 체력측정은 남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구급대원이 아닌 여성 소방공무원을 사무직에 보직하는 것은 대부분 인사명령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이다.[67]

구급대의 경우에는 여성 소방공무원들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4. 4. 근무시간 및 질병 문제

대부분의 외근직 소방공무원은 2조 맞교대로 주 84시간을 근무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법정근로시간인 주 40시간을 두 배 이상 초과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시간 근무는 소방공무원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3교대 근무 주장의 근거가 된다.[68]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 지원도 거의 없으며,[69] 소방공무원 총 정원 3만 7894명 중 2만 1376명이 직업병을 앓고 있거나 의심받고 있다. 이 중 확실하게 직업병을 가진 소방관은 14.3%였다.[70] 그러나 공상을 신청하면 인사상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부상당한 소방관의 88%가 공상을 신청하지 못하고 있다.[71] 백혈병이나 혈액암이 직무와 관련하여 발병해도 공무원연금공단에서는 공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2008년 대법원이 직무연관성을 인정했음에도 이후 공상 신청에서 불승인 판정을 내리고 있다.[72]

4. 5. 인력부족 문제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 1인당 담당하는 주민의 수는 1,306명으로,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 주민 수 500명에 비해 매우 과중한 업무 부담을 안고 있다. 특히 경기도는 소방공무원 1명당 1,989명을 담당하여 인력 부족이 가장 심각한 반면, 강원도는 673명으로 가장 양호한 수준이다.[85]

이러한 인력 부족은 현장 대응 및 장비 관리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87] 2014년 말 기준으로 현장 출동 소방공무원은 5만 493명이 필요했지만, 실제 출동 가능한 인원은 2만 9783명으로 결원율이 41%에 달했다.[86] 2018년에는 전체 부족률이 37%로 다소 완화되었지만, 지역별 편차가 여전히 크다.[88]

지방 소방서는 3교대 근무를 실시하고 있지만, 총원은 그대로인 채로 3교대를 실시하여 출동대의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73] 예를 들어, 11명이 2개 조로 근무하는 119안전센터의 경우 진화를 전담하는 대원은 1명뿐이다.[74] 장성 요양병원 화재 사고 당시 최초 화재 신고에 대응한 담양소방서 삼계119안전센터의 근무 인원은 5명이었고, 그 중 2명은 다른 현장에 출동하여 3명만이 현장에 출동하였다.[75][76][77]

소방관 1명이 화재진압, 구조, 구급, 소방차량 운전까지 담당하는 "나홀로 지역대"도 존재한다.[78][79][80] "나홀로 지역대"는 2013년에는 538개,[81] 2014년에는 81개,[82] 2016년에는 59개소로 줄어드는 추세에 있지만,[83] 소방관이 배치되지 않은 지역대도 132개소에 달한다.[84]

소방청은 2022년까지 소방공무원 2만 명을 충원할 계획을 세웠으며,[89] 2023년 3월 기준 6만 6천여 명까지 증원되었다.[90] 그러나 지방자치단체별 소방공무원 1인당 담당 인구수가 최대 3.5배까지 차이가 나는 등 인력 운용의 비효율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91]

4. 6. 국가직 전환 및 자치 사무 문제

2019년 11월 19일 국회 본회의에서 소방공무원법(대안)이 통과됨에 따라[104] 2020년 4월 1일 소방공무원은 국가직으로 신분이 전환되었다.[105] 그러나 소방 사무는 여전히 자치 사무로 구분되어 있어, 완전한 국가직 전환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105]

2020년 4월 1일 이전까지 소방은 중앙부처인 소방방재청과 소방준감 이상의 고위 간부를 제외하면, 나머지 소방공무원은 각 광역자치단체 소속의 지방공무원이었다.[92] 이는 각 지역의 소방업무를 광역자치단체에 위임했기 때문인데, 소방공무원의 임용과 승진을 포함한 모든 업무가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위임되어 있어 소방공무원의 사기 저하와 복리 증진, 소방업무 발전에 좋지 않다는 의견이 있었다.[93][94] 또한 지자체별로 장비와 인원을 확충하도록 되어 있어 예산 낭비와 효율 저하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었다.[95][96] 이러한 문제로 소방관들은 2001년부터 국가직 전환을 요구해왔다.[97]

2014년 5월 28일, 안전행정부는 "외국도 소방은 지방사무이고, 화재에 일차적으로 대응하는 곳이 지자체이며, 국가안전처 신설로 소방직을 국가직으로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라고 말했다.[98] 그러나 소방방재청 해체를 반대하는 한 소방관은 "가장 선진화된 미국과 일본의 소방을 예로 들면, 미국은 사무인데, 대부분의 주가 대한민국보다 크다는 것은 상식이며, 주를 국가 개념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본은 시·정·촌의 소방서가 각종 재난재해에 모두 대응하는 대한민국과는 다른 강력한 소방행정체제를 갖추고 있다. 행정관료 조직이 서류 작업만 하는 것이나 해양재난은 해경, 육상재난은 소방으로 분리한 것과는 매우 다르다"고 주장했다.[99]

이재오 새누리당 의원은 2013년 4월에 소방공무원을 국가직으로 하는 법안을 발의했고[100], 김영록 새정치민주연합 원내수석부대표 또한 2014년 6월에 유사한 법률을 발의했다.[101] 문재인 정부는 2017년에 출범하여 소방공무원의 국가직 전환을 추진했으나[102], 지방분권에 역행한다는 시도지사들의 반대도 있었다.[103]

5. 재난 대응

소방조직은 각종 사회 재난과 자연 재난에 대응한다. 과거에는 인적·사회적 재난은 안전행정부가, 자연 재난은 소방방재청이 주관했으나,[109] 국민안전처 신설로 통합되어 모든 재난을 국민안전처가 담당했었다.[110][111]

2018년 기준으로 재난 관리는 대한민국 행정안전부가, 육상 재난 대응은 대한민국 소방청과 지역 소방본부가, 해양 재난 대응은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이 담당한다. 국가 단위의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지역 단위의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광역자치단체 단위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둘 수 있다.[110] 이 경우 소방조직은 인명 구조를 위해 국가 단위 재난의 경우 소방청에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을, 지역 단위 재난의 경우 소방서에는 "시·군·구 긴급구조통제단"을, 소방본부에는 "시·도 긴급구조통제단"을 설치할 수 있다.[110]

그러나 산불의 경우 예방과 감시는 지방자치단체의 5개월 기간제 근로자가[112], 진화는 지방자치단체 기간제 근로자나 산림청 산하의 10개월 기간제 근로자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113]가 담당하며 소방기관은 유관기관으로 협조에 응한다.[114]

인천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재난의 경우 인천국제공항공사 산하의 외주 용역업체가 담당하다가[115][116] 인천공항공사의 임시법인 자회사가 담당하는 것으로 전환되었고, 향후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직접 담당할 계획이다.[117] 그 외의 공항은 한국공항공사와 용역계약을 맺은 외주소방구조대가 1차로 대응하나,[118] 자위소방대이기 때문에 정식소방대로 인정받지는 못한다.[119][120]

6. 소방장비

대한민국의 소방 장비는 화재 진압, 구조, 구급 등 다양한 소방 활동에 사용되는 장비들을 말한다.

소방 장비는 기동 장비, 진압 장비, 구조 장비, 개인 장비로 나뉜다. 기동 장비에는 지휘차, 펌프차, 물탱크차, 화학차, 무인방수탑차, 고가사다리차, 굴절사다리차, 구조공작차, 구급차, 배연차, 조명차, 소방헬기, 소방정 등이 있다.[121][122] 진압 장비에는 수관(호스), 소방관창, 이동형 소방펌프 등이 있다.[122] 구조 장비에는 동력절단기, 유압스프레다, 구조용 다목적 공기총, 탐조등 등이 있다.[122] 소방관 개인에게 지급되는 장비는 소방헬멧, 방화복, 안전화, 공기호흡기, 방열복 등이다.[122] 공기호흡기는 1996년 순직 사고 이후,[123] 방화복은 2001년 홍제동 화재 사고 이후 전면 보급되었다.[124]

서울서초소방서 소속 소방공무원이 방화복 등 개인장비를 착용한 모습


2012년 국회에서 소방 장비 구입 예산 402억이 전액 삭감된 적이 있다.[125] 국가 보조금이 20%에 불과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여건에 따라 장비 지급 및 교체가 지연되는 문제도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현 의원은 방화복, 방화두건, 안전화, 헬멧, 소방자동차 등의 상당수가 내구연한을 넘겼으며, 소방관 개인이 장비를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126][127] 방염 처리가 필수적인 소방 장갑 대신 농어업용 고무 장갑이 지급되거나,[128] 개인 장비 수량 자체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129]

6. 1. 기동 장비

인천중부소방서 소속 119구급차


지휘차는 소방활동 지휘를 위해 운용되는 차량으로, 모든 재난 현장에 출동한다. 펌프차는 화재 진압용 소방차로 각 안전센터마다 1~2대씩 운용되며, 진압요원 4~5명이 한 조로 출동한다.[121] 물탱크차는 펌프차보다 많은 양의 물을 운용하여 펌프차나 다른 소방차에 물을 공급한다.[122] 화학차는 기름이나 화공약품 등에 의한 특수화재 시 특수소화약제를 사용한다.[121] 고층 화재 발생 시에는 유리창 등을 파괴하고 화재를 진압하는 무인방수탑차와 인명을 구조하는 고가사다리차, 굴절사다리차가 있다.[122] 각종 재난사고 현장에서는 구조 장비를 이용해 인명구조를 전문으로 하는 구조공작차,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하며 병원으로 이송하는 구급차가 있다.[121] 그 밖에도 지하 화재 발생 시 연기를 제거하는 배연차, 야간작업을 지원하는 조명차, 산악·수난사고 등에 출동하는 소방헬기, 수난사고에 출동하는 소방정이 있다.[122]

6. 2. 진압장비

수관은 호스를 일컬으며 소화전이나 소방차의 펌프에 연결해 물을 공급한다. 구경은 40mm와 65mm가 있고, 결합구는 나사식이다. 수관의 끝에는 소방관창을 결합하여 수관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며, 화재 진압 시 파지하여 방수와 방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소방차나 소화전 없이 고여 있는 물 등을 이용해 화재를 진압하는 경우 이동형 소방펌프를 임시로 설치하여 화재를 진압한다.[122]

6. 3. 구조장비

갇혀 있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해 문 등을 강제로 절단할 때에는 동력절단기를 사용하고, 절단하지 않고 그 틈을 벌릴 때에는 유압스프레다를 사용한다. 고립된 사람을 구하기 위해 로프를 발사하거나, 인명을 해치는 동물을 포획할 때에는 구조용 다목적 공기총을, 화재 현장에 진입하여 사람을 구조하기 위해 탐조등을 사용한다.[122]

6. 4. 개인장비



소방관을 보호하기 위해 소방헬멧, 방화복, 안전화, 공기호흡기, 방열복 등이 지급된다.[122] 공기호흡기는 1996년에 발생한 순직 사고 이후에 전면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으며[123], 방화복은 2001년 홍제동 화재 사고 이후에 전면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124]

6. 5. 소방장비 교체 문제

인천광역시 소방안전본부 소속의 한 소방관은 자신의 트위터에 "헬멧은 녹아 부피가 줄었고 방화복은 누렇게 타버렸습니다. 현재 전국 대부분의 소방관이 이 장비를 착용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2012년 국회의원들은 소방장비 구입을 위한 예산을 전액 없앴습니다"라고 주장했고, 실제 국회는 소방방재청이 요청한 장비교체예산 402억을 전액 삭감했다.[125]

또한 국가보조금은 20%에 불과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여건에 따라 장비의 지급이나 교체도 지연되고 있다. 소방방재청은 "일부의 과장된 얘기를 확대시키는 것이다", "지방재정 차이에 따라서 시기가 늦어질 수는 있지만 지급 안되는 일은 거의 없다", "지방소방서에서 컴플레인이 들어온 적이 없다"고 밝혔으나, 새정치민주연합 김현 의원은 "국정감사 기간에 매년 지적됐던 상황"이라며 방화복의 21.7%, 방화두건 6%, 안전화 20.8%, 헬멧 24.2%, 소방자동차의 21.1%가 내구연한을 넘겼다고 밝혔으며, 개인의 돈으로 장갑이나 기동화 등의 필요한 장비를 구입하기도 한다고 주장했다.[126][127]

또한 방염처리가 필수적인 소방장갑 대신 농어업용 고무장갑이 지급되기도 하며,[128] 개인장비의 수량 자체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129]

7. 대한민국의 소방을 소재로 한 작품

다음은 소방관의 활약상을 다룬 영화, 드라마, 웹툰 등이다.

구분제목연도
영화싸이렌2000년
영화리베라 메2000년
영화새드 무비2005년
영화해운대2009년
영화두 개의 문2012년
영화반창꼬2012년
영화타워2012년
영화터널2016년
영화신과함께-죄와 벌2017년
영화힘을 내요, 미스터 리2019년
영화소방관2024년
드라마엔젤 아이즈2014년
드라마맨몸의 소방관2017년
드라마포레스트2020년
드라마소방서 옆 경찰서2022년
드라마엄마친구아들2024년
웹툰PEAK
웹툰콜사인


참조

[1] 웹사이트 Framework Act on Fire Services http://www.law.go.kr[...]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12-30
[2] 웹사이트 Act on 119 Rescue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http://www.law.go.kr[...]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6-03-16
[3] 웹사이트 Local Autonomy Act http://www.law.go.kr[...]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01-21
[4] 웹사이트 Gyeongsangbuk-do Fire Service Headquarters History http://gb119.go.kr/g[...] Gyeongsangbuk-do 2017-01-08
[5] 웹사이트 Chungcheongbuk-do Fire Service History http://cb119.chungbu[...] Chungcheongbuk-do 2017-01-08
[6] 웹사이트 Gyeongsangbuk-do Fire Service Headquarters History http://gb119.go.kr/g[...] Gyeongsangbuk-do 2017-01-08
[7] 웹사이트 Doopedia - Firefighting http://terms.naver.c[...] Doosan 2017-01-08
[8] 웹사이트 The Encyclopedia of Korean National Culture - Firefighting http://terms.naver.c[...]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Korea Studies 2017-01-08
[9] 뉴스 "다시 행정직 지휘받나" 소방방재청 부글부글 http://www.segye.com[...] Segye Ilbo 2014-05-29
[10] 뉴스 <119의 날 50주년 특집> 50주년 소방의 날을 맞아 돌아보는 소방의 역사 http://fpn119.co.kr/[...] 소방방재신문 2012-11-09
[11] 웹사이트 Regulation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Municipal Fire Service Facilities http://www.law.go.kr[...]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02-22
[12] 뉴스 불나면 산 넘고넘어 1시간 걸려 와요…소방서 없는 지자체 많아 http://www.yonhapnew[...] Yeonhapnews 2016-08-07
[13] 웹사이트 울산소방본부 소방복제 및 장비 http://fire.ulsan.go[...] Ulsan Metropolitan City 2017-01-08
[14] 뉴스 홍제동 참사 11년… 소방관 안전 대책은 아직도 빨간불 http://news.naver.co[...] Hankook Ilbo 2012-03-02
[15] 뉴스 소방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심각 http://news.kbs.co.k[...] Korea Broadcasting System 2013-12-31
[16] 뉴스 소방관 절반 이상이 '건강 이상자'…14.3%는 직업병 앓아 http://www.mt.co.kr/[...] Moneytoday 2015-07-20
[17] 뉴스 소방관 절반 가까이 불면증, 다쳐도 '쉬쉬'…불이익 우려 http://news.jtbc.joi[...] JTBC 2015-11-13
[18] 뉴스 "이젠 그 누구에게도 소방관을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http://news.joins.co[...] JoongAng Ilbo 2015-11-30
[19] 뉴스 소방관들 무리한 3교대… "불 끌 사람 없다" http://news.sbs.co.k[...] Seoul Broadcasting System 2012-10-07
[20] 뉴스 "소방관 현장출동인력, 기준보다 41% 부족" http://www.newsis.co[...] Newsis 2015-09-04
[21] 문서 市単位で消防局・消防本部が置かれている日本とは違う。逆に保健行政は韓国は市・郡単位であるのに対し、日本は都道府県単位である。
[22] 문서 1992年1月1日の時点で市部はすべての市で消防署の管轄区域に入っていたが、郡部は一部邑・面のみ管轄区域に入っていた。시·군의소방서직제(市・郡の消防署職制) 別表2[[1991年]][[4月23日]]改正
[23] 문서 [[中部消防署 (釜山広域市)|中部]]、[[釜山鎮消防署|釜山鎮]]、[[東萊消防署|東莱]]、[[北部消防署 (釜山広域市)|北部]]の4消防署
[24] 문서 [[茂鎮長消防署]]([[茂朱郡]]、[[鎮安郡]]、[[長水郡]]を管轄)など
[25] 서적 2013 소방방재 통계연보(발간 2014년)(2013年消防防災統計年報(発刊2014年)) 消防防災庁 2014-07
[26] 문서 前掲書同頁
[27] 문서 다. 소방공무원 총괄(정원)(タ.消防公務員 総括(定員))前掲書99頁
[28] 뉴스 1人で運転・消火・救助、財源不足で「消防署ひとり」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社 2014-06-08
[29] 웹인용 소방기본법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9-25
[30] 웹인용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9-25
[31] 웹인용 소방기본법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9-25
[32] 문서 단, [[창원시]]는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 예외적으로 광역자치단체의 지휘 통제 밖에 있는 자치 소방 조직이 있다.
[33] 웹인용 지방자치법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9-25
[34] 웹인용 경기도소방소개 http://www.gg.go.kr/[...] 2014-06-29
[35] url 충청북도 소방본부, 소방의 역사 http://cb119.chungbu[...]
[36] 웹인용 세종 31권 2월 26일 5번째 기사 - 금화 도감을 설치하게 하다 http://sillok.histor[...] 2014-06-29
[37] 웹인용 세종 32권 6월 16일 5번째 기사 - 하천을 관리하는 일을 금화 도감에서 겸하여 맡게 하다 http://sillok.histor[...] 2014-06-29
[38] 웹인용 세종 32권 6월 19일 2번째 기사 - 성문 도감·금화 도감을 합하여 수성 금화 도감으로 하게 하다 http://sillok.histor[...] 2014-06-29
[39] 웹인용 세종 33권 7월 8일 5번째 기사 - 금화 도감과 성문 도감을 병합한 관청을 공조에 속하게 하다 http://sillok.histor[...] 2014-06-29
[40] 웹인용 세조 20권 5월 22일 3번째 기사 - 이조에서 줄일 수 있는 관원과 혁파할 수 있는 관사를 기록하여 아뢰다 http://sillok.histor[...] 2014-06-29
[41] 웹인용 성종 127권 3월 30일 2번째 기사 - 영사 윤호가 전일 민가에 불이 난 것은 여염이 즐비하기 때문이라고 아뢰다 http://sillok.histor[...] 2014-06-29
[42]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소방 https://terms.naver.[...] 2014-06-29
[43] 웹인용 두피디아 - 수성금화사 https://terms.naver.[...] 2014-06-29
[44] 뉴스 <119의 날 50주년 특집> 50주년 소방의 날을 맞아 돌아보는 소방의 역사 http://fpn119.co.kr/[...] 소방방재신문 2014-03-21
[45] 웹인용 고종 33권 4월 29일 - 경무청 관제를 반포하다, 경무청 관제 제12조 제10호 http://sillok.histor[...] 2014-06-29
[46]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방단 https://terms.naver.[...]
[47] 뉴스 "안전한 한국" 만든다 https://news.naver.c[...] YTN 2014-07-15
[48] 뉴스 "다시 행정직 지휘받나" 소방방재청 부글부글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6-02-01
[49] 문서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5조 제1항 제4호
[50] 문서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조 제1항
[51] 뉴스 "[단독] '우리가 무슨죄' 소방총수 강등에 현장 소방관 분노폭발 \"국민 여러분 119가 되주세요\""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02-01
[52] 뉴스 소방방재청 해체에 일선 소방관들 "억울하다" 반발 http://news.jtbc.joi[...] JTBC 2016-02-01
[53] 뉴스 안행부 "국가안전처, 소방조직 위상 축소 아니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5-30
[54] 뉴스 소방방재청 해체, 너도나도 반대서명…"도대체 무슨일?"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4-05-30
[55] 뉴스 "[기자칼럼] 세월호 참사로 해체위기서 '구사일생' 안행부, 소방관 죽이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02-01
[56] 웹인용 지방소방기관 설치에 관한 규정 별표2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8-13
[57] 뉴스 불나면 산 넘고넘어 1시간 걸려 와요…소방서 없는 지자체 많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8-13
[58] 문서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119구조대"란 탐색 및 구조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갖추고 소방공무원으로 편성된 단위조직을 말한다.
[59] 웹인용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 http://www.law.go.kr[...] 2014-07-01
[60] 문서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제2조 제4호: "119구급대"란 구급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갖추고 소방공무원으로 편성된 단위조직을 말한다.
[61] 웹인용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 http://www.law.go.kr[...] 2014-07-01
[62] 웹인용 울산소방본부 소방복제 및 장비 http://fire.ulsan.go[...] 2014-07-22
[63] 뉴스 소방청, 성평등한 조직문화 위해 여성 소방관 대상 워크숍 개최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8-07-02
[64] 뉴스 조종묵 소방청장 "여성소방관도 '별' 다는 고위간부 나올 것"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7-02
[65] 뉴스 "후배들에게 길 터주기 위해 물러납니다"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8-07-02
[66] 뉴스 "호스조차 못 들어"… 여성소방관 체력검정 강화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8-07-02
[67] Youtube 경기소방학교 68기 전문체력측정 여자1등 https://www.youtube.[...]
[68] 뉴스 홍제동 참사 11년… 소방관 안전 대책은 아직도 빨간불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2-03-02
[69] 뉴스 소방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심각 http://news.kbs.co.k[...] 한국방송공사 2014-02-26
[70] 뉴스 소방관 절반 이상이 '건강 이상자'…14.3%는 직업병 앓아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5-07-20
[71] 뉴스 소방관 절반 가까이 불면증, 다쳐도 '쉬쉬'…불이익 우려 http://news.jtbc.joi[...] JTBC 2015-11-30
[72] 뉴스 "이젠 그 누구에게도 소방관을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5-11-30
[73] 뉴스 소방관들 무리한 3교대… "불 끌 사람 없다" http://news.sbs.co.k[...] SBS 2014-01-04
[74] 뉴스 불나도 끌 사람이 없다…119센터 '나홀로 소방관' http://imnews.imbc.c[...] MBC 2014-06-02
[75] 문서 담양소방서 홈페이지 확인. 1팀당 6명씩 3개팀, 총원 19명 (일근: 센터장), 3교대 근무.
[76] 뉴스 "[장성] 현장에 첫 도착한 구조대원은 2명뿐" http://www.mbn.co.kr[...] MBN 2014-05-31
[77] 뉴스 "목숨 걸고 일하는데"…소방관들 '분노의 역류'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4-05-30
[78] 뉴스 "'화재현장 잇따른 소방관 순직' 실태와 문제점"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4-06-02
[79] 뉴스 화재 시 소방관 1명이 20분 마크? "우리도 아찔"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4-06-02
[80] 뉴스 "[한수진의 SBS 전망대] "혼자 불끄러 다니는 소방관 허다한데…"" http://news.sbs.co.k[...] SBS 2014-06-02
[81] 뉴스 "'나홀로 소방서' 538개…소방관 1인당 1320명 담당"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4-06-02
[82] 뉴스 전국 '1人 소방서' 81곳… 5분 출동 골든타임 못 지킨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4-06-10
[83] 뉴스 권은희 "'1인 소방서' 전국 59곳 달해…전남 52%"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9-19
[84] 뉴스 소방관 없는 무인 지역소방대 전국 132곳, 1인 지역대 59곳 http://news1.kr/arti[...] 뉴스1 2017-09-19
[85] 뉴스 소방관 1인당 주민수 … 경기 1989명, 강원 673명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4-06-26
[86] 뉴스 "소방관 현장출동인력, 기준보다 41% 부족"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5-09-04
[87] 뉴스 13만명 제천에 사다리차 단 1대… 소방서 없는 지자체도 32곳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7-12-25
[88] 뉴스 부족한 소방인력…1인 관할 면적 편차도 최대 68배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TV 2018-06-24
[89] 뉴스 2022년까지 소방관 2만명 충원…'1인 소방대' 사라진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9-13
[90] 뉴스 존재감 미미했던 '소방과'→75년 만에 6만6천명 '소방청'으로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11-04
[91] 뉴스 1인당 1270명 책임지는 ‘서울 소방관’…강원의 3.5배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24-11-04
[92] 뉴스 "'화재현장 잇따른 소방관 순직' 실태와 문제점"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4-01-04
[93] 뉴스 '"소방청 독립돼야" 31년차 소방관의 절규' https://news.naver.c[...] CBS 2014-01-04
[94] 뉴스 5년간 소방관 36명 순직… 원인은 '인력난' http://www.kgnews.co[...] 경기신문 2014-01-04
[95] 뉴스 "'주먹구구' 소방헬기 구입, 같은 기종 사는데 40억 차이" http://news.jtbc.joi[...] JTBC 2015-10-10
[96] 뉴스 한해 167만명 구한 119…인력·장비 부족에 신음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5-10-10
[97] 뉴스 "[오늘의 눈] 소방관들이 원하는 것"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6-02-03
[98] 뉴스 '"안행부 서울 잔류 여부, 관련법 따르게 될 것"'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6-02
[99] 뉴스 "[단독] "세월호 참사 말고 어느 정도 재난이 와야…" 피토하는 심정의 119 소방관 편지"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6-02
[100] 뉴스 이재오 "국가개조 한다더니 애꿎은 소방관만…"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4-06-13
[101] 뉴스 새정치聯, 소방관 국가직 전환 시동…정부조직 개편 '쟁점' 부상 http://the300.mt.co.[...] 머니투데이 2014-06-13
[102] 뉴스 文대통령 "소방관은 국민 살리는 국가의 손…국가직 전환 필요"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12-01
[103] 뉴스 "[단독]文대통령 공약 소방 국가직화…박원순·안희정도 '反'"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7-12-01
[104] 웹인용 "[2023888] 소방공무원법 전부개정법률안(대안)(행정안전위원장)" https://likms.assemb[...] 대한민국 국회 2024-11-04
[105] 뉴스 "'반쪽짜리 국가직' 소방 국가직화 정착 도모한다…연구용역 발주"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11-04
[106] 뉴스 "[단독] 방화복-호흡기가 모자라…돌려입으며 불끄는 소방관"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24-11-04
[107] 뉴스 "[유재웅의 이슈 탐구] 여전히 무늬만 국가직인 소방공무원" https://www.seoul.co[...] 2024-11-04
[108] 뉴스 '"소방관이 범죄자보다 못 먹네" ...\'부실 급식 논란\' 커지자 결국' https://www.ytn.co.k[...] YTN 2024-11-04
[109] 뉴스 재난 대응시스템, 대대적 손질 불가피 https://news.naver.c[...] 한국방송공사 2014-07-24
[110] 웹인용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http://www.law.go.kr[...] 2014-12-09
[111] 웹인용 긴급구조대응활동 및 현장지휘에 관한 규칙 별표2 http://www.law.go.kr[...] 2014-12-09
[112] 뉴스 산불감시원도 채용 비리…30명 중 23명 부정합격자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TV 2018-07-01
[113] 뉴스 산림 지키는 '산불재난진화대'…현실은 일당 10만원 일용직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8-05-06
[114] 웹인용 산림보호법 제37조 http://www.law.go.kr[...] 2014-07-24
[115] 뉴스 인천공항 소방 비정규직 "불나도 문고리 하나 맘대로 못 부숴"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07-09
[116] 뉴스 공항 소방대, 민간용역 업체 소속…전문성 확보 한계 http://news.jtbc.joi[...] jtbc 2015-07-09
[117] 뉴스 '[인터뷰]위기상황 대처 도맡는 김순례 인천공항소방대 조장'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8-06-24
[118] 뉴스 한국공항공사 아웃소싱 도 넘었다…14곳 모두 보안ㆍ방재업무 외주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8-06-24
[119] 웹인용 공항안전운영기준 제132조 http://www.law.go.kr[...] 2014-07-24
[120] 웹인용 한국공항공사 - 공항소방 구조대 http://www.airport.c[...] 2014-07-24
[121] 웹인용 소방차량 소개 http://119.busan.go.[...] 2014-07-01
[122] 서적 소방학개론 신광문화사
[123] 뉴스 나보다 남이 먼저였던 '남 바보' 소방관의 추억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6-02-03
[124] 뉴스 동료를 잃고도 나는 구하러 가네 http://www.sisainliv[...] 시사IN 2016-02-03
[125] 뉴스 '"헬멧은 녹아 내리고, 방화복은 누렇게 타들어가고…"'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4-05-29
[126] 뉴스 현직소방관 "소방장갑을 왜 직접 사냐구요?" http://www.nocutnews[...] CBS 표준FM 2014-05-29
[127] 뉴스 목숨 걸고 출동...정작 장비는 '내 돈'으로? http://www.ytn.co.kr[...] YTN 2014-05-31
[128] 뉴스 "[인터뷰] 고진영 소방관 \"농업용 고무장갑 끼고 소방 활동도\"" http://news.jtbc.joi[...] JTBC 2016-02-01
[129] 뉴스 "[단독]방화복-호흡기가 모자라… 돌려입으며 불끄는 소방관"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6-02-03
[130] 뉴스 "'불량 방화복' 무더기로 납품…터질 듯 달아오른 불만" http://news.jtbc.joi[...] JTBC 2015-03-19
[131] 뉴스 "소방관 방화복 이어 근무복도… 검사 안 거치고 6만여벌 납품"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5-03-19
[132] 뉴스 "[취재후] \"가짜 아닙니다\"…눈덩이 의혹 '특수 방화복 게이트' 진실은?" http://news.kbs.co.k[...] KBS 2015-03-19
[133] 뉴스 안전처, '무검사 특수방화복' 자체조사 사실 숨겨 http://news.kbs.co.k[...] KBS 2015-03-19
[134] 뉴스 안전처, 착용보류 방화복 활용 결정 http://news.kbs.co.k[...] KBS 2015-04-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