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아메리카스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은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59년 개항했다. 초기에는 델타 항공, 팬 아메리칸 항공, 도미니카나 데 아비아시온 등이 운항했으며, 1990년대에는 유럽과 남미를 잇는 주요 항공 거점으로 성장했다. 현재는 스카이 하이 도미니카나, 아라젯 등이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2007년 4대의 보잉 747을 수용할 수 있는 터미널이 완공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2개의 터미널과 활주로가 있으며, 다양한 항공사의 여객 및 화물 노선이 운항하고 있다. 2021년에는 뉴욕, 마이애미, 뉴어크 등의 노선이 이용객이 많았으며, 과거에는 도미니카나 DC-9 항공 사고, 아메리칸 항공 587편 추락 사고 등의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미니카 공화국의 공항 - 푼타카나 국제공항
푼타카나 국제공항은 도미니카 공화국 푼타카나에 위치하며, 1971년 소규모 활주로로 시작하여 확장 공사를 거쳐 5개의 터미널과 2개의 활주로를 갖춘 국제공항이다. - 1959년 개항한 공항 -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셰레메티예보 알렉산드르 S. 푸시킨 국제공항은 모스크바에 있는 4개의 국제공항 중 하나로, 군용 비행장에서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어 2019년에 러시아 대문호의 이름을 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북쪽과 남쪽 터미널로 나뉘어 지하 셔틀로 연결되고 아에로플로트를 비롯한 여러 항공사가 취항하는 러시아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이다. - 1959년 개항한 공항 - 선샤인코스트 공항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선샤인 코스트에 위치한 선샤인 코스트 공항은 활주로 확장과 대규모 개선 공사를 거쳐 현재는 대형 항공기 운항이 가능하며, 국내외 노선 확장으로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라스아메리카스 국제공항 | |
---|---|
기본 정보 | |
![]() | |
![]() | |
공항 이름 |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 |
현지 이름 | Aeropuerto Internacional Las Américas (아에로푸에르토 인테르나시오날 라스 아메리카스) |
IATA 코드 | SDQ |
ICAO 코드 | MDSD |
공항 종류 | 공공 |
소유주 | Aeropuertos Dominicanos Siglo XXI S.A. (아에로푸에르토스 도미니카노스 시글로 XXI S.A.) |
운영자 | Aeropuertos Dominicanos Siglo XXI S.A. (아에로푸에르토스 도미니카노스 시글로 XXI S.A.) |
주요 취항 도시 | 산토도밍고 |
위치 | 푼타 카우세도, 도미니카 공화국 |
허브 공항 | 에어 센추리 RED Air 스카이 하이 항공 서비스 스카이 카나 |
운영 기반 | Arajet (아라헤트) |
고도 | 18 m (58 ft) |
웹사이트 | aeropuertolasamericas.com |
활주로 | |
활주로 번호 | 17/35 |
길이 | 3,353 m |
표면 | 아스팔트 콘크리트 |
통계 | |
통계 연도 | 2023년 |
총 승객 수 | 5,287,206명 |
항공기 운항 횟수 | 47,205회 |
2. 역사
1959년,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은 도미니카 공화국 수도 시우다드 트루히요(현재의 산토도밍고)의 공식 공항으로 개항했으며, 이후 도시 이름은 산토도밍고로 변경되었다. 2002년에는 공항의 공식 명칭이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호세 프란시스코 페냐 고메스(AIJFPG)"로 변경되었지만, 여전히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 또는 현지에서 "라스 아메리카스 공항, AILA", "엘 아에로푸에르토"로 불린다.
(초기 역사와 확장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 초기 역사 (1950년대 ~ 1970년대) === 와 === 확장기 (1990년대 ~ 현재) === 하위 섹션을 참조)
2. 1. 초기 역사 (1950년대 ~ 1970년대)
1959년,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은 도미니카 공화국 수도 시우다드 트루히요(현재의 산토도밍고)의 공식 공항으로 개항했다.[3]1954년, 델타 항공(당시 시카고 앤 사우던 항공과의 합병으로 "델타 C&S"로 불림)은 컨베어 340 쌍발 프로펠러 항공기를 이용하여 푸에르토리코 산후안과 아이티 포르토프랭스로 가는 노선을 운항했다.[3] 델타 항공은 휴스턴 - 뉴올리언스 - 쿠바 아바나 - 포르토프랭스 - 시우다드 트루히요 - 산후안 노선을 매일 운항했으며, 반대 방향 노선도 매일 운항했다.[4] 1950년대 중반, 범 아메리카 세계 항공(팬암)은 더글러스 DC-6 4발 프로펠러 항공기로 뉴욕, 마이애미, 포르토프랭스를 연결했다.[5] 1960년, 도미니카나 데 아비아시온은 더글러스 DC-4로 마이애미, 더글러스 DC-3와 커티스 C-46으로 푸에르토리코 산후안 노선을 운항했다.[6]
1960년대 초중반, 팬 아메리칸 항공은 보잉 707로 뉴욕, 마이애미, 푸에르토리코 산후안, 자메이카 킹스턴, 퀴라소 등 여러 도시를 연결했다.[7] 브라질의 VARIG는 수드 아비에이션 카라벨 및 컨베어 990 제트 여객기로 뉴욕과 마이애미를 연결하고, 벨렝, 포르탈레자 등 여러 도시로 환승 없이 연결했다.[8][9]
1976년, 아메리칸 항공은 뉴욕에서 보잉 707 및 보잉 747 항공기로 운항했다.[10] 도미니카나 데 아비아시온은 뉴욕, 마이애미,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에서 다양한 기종을 운항했다.[10] 이스턴 항공은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에서 보잉 727-100으로 운항했다.[10] 팬 아메리칸 항공은 포르토프랭스에서 보잉 707로 운항했다.[10] ALM 안틸레안 항공은 퀴라소에서 맥도넬 더글러스 DC-9-30으로, 비아사는 더글러스 DC-8로 운항했다.[10] 아에로비아스 퀴스케이아나는 마이애미와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에서 보잉 707 및 더글러스 DC-8로 운항했으며, 마드리드까지 대서양 횡단 노선을 운항했다.[10][11]
2. 2. 확장기 (1990년대 ~ 현재)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라스아메리카스 국제공항은 확장기를 맞이했다. 오피셜 항공 가이드(OAG)에 따르면, 1996년에는 여러 유럽 항공사들이 대서양 횡단 항공편을 운항했다.[12] 에어 프랑스는 파리로 보잉 747 항공기를 이용해 직항 노선을, 알리탈리아는 로마로 보잉 767-300 항공기를 이용해 직항 노선을 운영했다. 콘도르 항공은 쾰른/본 및 프랑크푸르트로 보잉 767-300 항공기를, 이베리아 항공은 마드리드로 맥도넬 더글러스 DC-10 항공기를, LTU 인터내셔널 항공은 뒤셀도르프로 맥도넬 더글러스 MD-11 항공기를, 마르티네어는 암스테르담으로 보잉 767-300 항공기를 이용해 직항 노선을 운영했다. TAP 포르투갈 항공은 리스본으로 에어버스 A310 항공기를 이용해 한 번 경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12]같은 해, 남미로 가는 항공 서비스로는 ACES 콜롬비아가 보고타로 보잉 727-200 항공기를, 이베리아 항공이 리마로 맥도넬 더글러스 DC-10 항공기를 이용해 직항 노선을 운영했다. 코파 항공은 파나마 파나마시티에 있는 허브를 경유하여 보잉 737-200 항공기로 리마까지 환승 없이 운항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13]
1996년, 아메리칸 항공은 뉴욕에서 에어버스 A300-600R, 맥도넬 더글러스 DC-10, 맥도넬 더글러스 MD-11 항공기를, 마이애미에서 에어버스 A300-600R 및 보잉 727-200 항공기를 이용해 직항 노선을 운영했다. 또한, 보스턴과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에어버스 A300-600R 항공기로 한 번 경유하는 운항을 했다. 컨티넨탈 항공은 뉴어크에서 보잉 727-200 항공기로, 트랜스 월드 항공(TWA)은 뉴욕에서 보잉 767-200 및 록히드 L-1011 항공기로 직항 노선을 운영했다. 도미니카에 본사를 둔 APA 인터내셔널 에어는 뉴욕과 마이애미에서 에어버스 A300 항공기로 직항 노선을 운영했다.[14][15]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은 도미니카나 데 아비아시온, APA 인터내셔널 에어, PAWA 도미니카나 및 기타 소규모 항공사의 허브 역할을 수행했다. 현재는 스카이 하이 도미니카나와 아라제트가 이곳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한, 아에로마르 리네아스 아에레아스 도미니카나스, 아에로 콘티넨테 도미니카나, 퀸 에어와 같은 항공사의 허브 역할도 수행했다.
최근에는 산토도밍고에서 공항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시내 중심에서 동쪽으로 약 20km)가 확장 및 현대화되었다. 공항 또한 현대화되어 20개의 게이트를 포함한 터미널 2개가 추가되었다. 새로운 고속도로는 도시의 고가도로 및 터널 시스템을 도시의 주요 거리인 Av. 27 de Febrero로 연결하는 새로운 현수교를 지나 오사마 강을 가로지른다. 해안선을 따라가는 더 아름다운 경로는 카리브해와 도시의 아름다운 전망을 제공하며, 이 보조 도로는 부교를 통해 오사마 강을 건너 도시 중심부로 이어지는 Av. 조지 워싱턴(엘 말레콘)으로 연결된다.
2007년 4월 18일, 새로운 터미널이 완공되어 운영을 시작했다. 이 터미널은 4대의 보잉 747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으며, 탑승교가 있는 4개의 게이트, 공기 조절 시스템, 항공기 유지 보수 시설을 갖추고 있다.
3. 시설
3. 1. 터미널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은 주 위성 컨코스(A)에 A2부터 A6까지 5개의 게이트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게이트 시설은 활주로에 주차하는 항공편을 위해 사용된다. 1960년대와 70년대에 공항은 훨씬 작았고, 원래 건물은 오늘날 최신 구조물의 절반 크기였지만 여전히 현대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다. 컨코스 B는 B1부터 B4까지 4개의 게이트와 원격 스탠드(P8)를 갖추고 있다. 터미널 B는 현재 코파 클럽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유나이티드 항공과 코파 항공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회원 및 사업가 전용 프라이빗 라운지이다.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의 일일 평균 출발 및 도착 항공편 수는 68편에서 84편 사이이며, 젯블루 항공이 이 공항에서 운항하는 최대 항공사이다.3. 2. 활주로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의 활주로는 남북 방향(17-35)으로 뻗어 있다. 이 활주로는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가장 길 뿐만 아니라, 카리브해 지역에서도 가장 긴 활주로 중 하나로 손꼽힌다. 활주로 길이는 3355m로, 보잉 747과 같은 대형 항공기도 운항할 수 있다. 2008년 6월에 마지막으로 활주로 개보수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전 유도로 또한 함께 개보수되었는데, 이는 기존 활주로 개보수 기간 동안 임시 활주로로 사용하기 위함이었다. 개보수가 완료된 후에는 유도로는 다시 본래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 활주로는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 구호 물품 수송을 위해 안토노프 An-225 기종이 착륙한 기록이 있다.[16][17]4. 운항 노선
라스아메리카스 국제공항의 운항 노선은 여객 노선과 화물 노선으로 구분된다.
여객 노선에서는 도미니카 공화국 항공사인 스카이하이 항공이 카리브해 지역의 여러 섬과 도시(앙귈라, 앤티가, 아루바, 보네르 섬, 퀴라소, 킹스턴, 메데인, 세인트키츠, 신트마르턴 등)를 연결한다. 에어 산토 도밍고는 앙귈라와 토르톨라 섬 노선을, 스카이 카나는 뉴욕/JFK 노선을 운항한다.
미국 항공사로는 아메리칸 항공(보스턴, 마이애미, 뉴욕/JFK, 산후안 노선), 아메리칸 이글(포앵트아피트르, 산후안 노선), 유나이티드 항공(뉴어크 노선), 델타 항공(애틀랜타, 뉴욕/JFK 노선), 제트블루 항공(보스턴, 포트 로더데일, 뉴욕/JFK, 올랜도, 산후안 노선), 스피릿 항공(포트 로더데일 노선) 등이 있다.
캐나다 항공사로는 에어 트랜샛(몬트리올 노선), 선윙 항공(몬트리올, 토론토 노선)이 운항한다.
그 외 코파 항공(파나마 시티 노선), 아비앙카 항공(보고타 노선), LATAM 페루(리마 노선), 콘비아사 항공 및 아비올 에어라인스(카라카스 노선), 쿠바나 항공(아바나 노선), 이베리아 항공 및 에어 유로파 (스페인)(마드리드 노선), 에어 프랑스(포르 드 프랑스, 파리, 포앵트아피트르, 마이애미 노선), 에어 카리브(포르 드 프랑스, 아바나, 포앵트아피트르 노선), 콘도르 항공(프랑크푸르트, 파나마 시티 노선) 등이 있다.
화물 노선에서는 ABX 항공(산후안, 마이애미, 포트로더데일 노선), 아메리젯 인터내셔널(마이애미, 산티아고 데 로스 카바예로스, 포르토프랭스, 신트마르턴, 산후안, 칸쿤, 과테말라시티, 포트로더데일, 도미니카, 그레나다, 퀴라소, 바르셀로나(베네수엘라), 카라카스, 포트오브스페인, 아루바, 바베이도스, 산페드로술라, 산살바도르, 파나마시티 등)이 운항한다. DHL 항공은 멤피스 노선, 페덱스 익스프레스는 포트로더데일 노선, 마운틴 에어 카고는 아과디야 노선, 탐파 카고는 메데인 노선, 트레이드윈즈 항공은 뉴욕 JFK 노선, UPS 항공은 마이애미 노선을 운항한다.
여객 및 화물 노선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각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여객
항공사 | 목적지 |
---|---|
아에로멕시코 | 멕시코시티 |
아에로멕시코 커넥트 | 멕시코시티 |
에어 앤틸리스 | 푸앵트아피트르 |
에어 카리브 | 파리-오를리, 푸앵트아피트르 |
에어 유로파 | 마드리드 |
아메리칸 항공 | 마이애미 |
아라젯[18] | 아루바, 보고타, 칸쿤, 카르타헤나, 퀴라소, 과테말라시티, 킹스턴-노먼 맨리, 리마, 메데인-JMC, 멕시코시티-AIFA, 산호세 (CR), 산살바도르, 세인트마틴 |
아비앙카 항공 | 보고타 |
콘도르 | 프랑크푸르트 |
코파 항공 | 파나마시티-토큐멘 |
델타 항공 | 애틀랜타, 뉴욕-JFK |
프런티어 항공 | 산후안, 탬파 계절 운항: 마이애미, 필라델피아 |
이베리아 | 마드리드 |
인터캐리비안 항공영어 | 앵귈라, 도미니카-더글러스-찰스, 프로비덴시알레스, 토르톨라 |
제트블루 | 보스턴, 포트 로더데일, 뉴어크 (2025년 1월 6일 종료),[19] 뉴욕-JFK, 올랜도, 산후안 |
노르드윈드 항공 | 계절 전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
스카이 하이영어 | 아구아디야,[20] 앵귈라, 앤티가, 아루바, 보네르, 카옌, 퀴라소, 포르 드 프랑스, 조지타운-체디 자간,[21] 킹스턴-노먼 맨리, 마이애미,[22] 푸앵트아피트르, 포르토프랭스,[23] 산후안,[24] 산살바도르,[25] 세인트크로이,[26] 세인트 키츠, 세인트마틴, 세인트토마스, 토르톨라 |
스피릿 항공 | 포트 로더데일, 올랜도 |
선라이즈 항공 | 앤티가,[27] 포르토프랭스, 토르톨라[27] |
유나이티드 항공 | 뉴어크 |
윙고 | 보고타, 메델린-JMC |
월드2플라이 | 마드리드 |
4. 2. 화물
항공사 | 목적지 |
---|---|
알로하 항공 화물 | 마이애미 |
아메리지에트 인터내셔널[28] | 바베이도스, 마이애미, 푼타 카나, 산티아고데로스카바예로스, 포르토프랭스, 신트마르턴, 산후안, 칸쿤, 과테말라시티, 포트로더데일, 도미니카, 그레나다, 퀴라소, 바르셀로나(베네수엘라), 카라카스, 포트오브스페인, 아루바, 바베이도스, 산페드로술라, 산살바도르, 파나마시티 |
UPS 항공[29] | 루이빌, 마이애미 |
XCargo | 마이애미 |
ABX 항공 | 산후안, 마이애미, 포트로더데일 |
DHL 항공 | 멤피스 |
페덱스 익스프레스 | 포트로더데일 |
마운틴 에어 카고 | 아과디야 |
탐파 카고 | 메데인 |
트레이드윈즈 항공 | 뉴욕 JFK |
5. 통계
순위 | 도시 | 승객 수 | 항공사 |
---|---|---|---|
1 | 뉴욕-케네디 | 842,272 | 델타 항공, 제트블루 항공 |
2 | 마이애미 | 535,633 | 아메리칸 항공, 프론티어 항공, RED 항공, 스카이 하이 항공 서비스, 스피릿 항공 |
3 | 뉴어크 | 469,710 | 제트블루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
4 | 마드리드-바라하스 | 416,168 | 에어 유로파, 이베리아, 플러스 울트라 리네아스 에레아스, 월드2플라이 |
5 | 포트 로더데일 | 281,696 | 제트블루 항공, 스피릿 항공 |
6 | 산후안 | 179,437 | 제트블루 항공 |
7 | 파나마시티-토쿠멘 | 179,104 | 코파 항공 |
8 | 보스턴 | 176,055 | 제트블루 항공 |
9 | 올랜도 | 153,896 | 프론티어 항공, 제트블루 항공, 스피릿 항공 |
10 | 애틀랜타 | 101,608 | 델타 항공 |
11 | 카라카스 | 90,057 | 아비오르 항공, 콘비아사, 레이저 항공, 베네수엘라 항공 |
12 | 보고타 | 83,347 | 아비앙카 항공, 윙고 |
13 | 멕시코시티 | 48,399 | 아에로멕시코 |
14 | 워싱턴-덜레스 | 36,252 | 유나이티드 항공 |
15 | 파리-샤를 드 골 | 33,547 | 에어 프랑스 |
16 | 샬럿 | 30,000 | 아메리칸 항공 |
17 | 발렌시아 (베네수엘라) | 23,514 | 스카이 하이 항공 서비스, 터피알 항공 |
18 | 프로비덴시알레스 | 15,651 | 인터캐리비안 항공 |
19 | 푸앵트아피트르 | 11,757 | 에어 앙틸 , 에어 카리브 |
20 | 세인트 마틴 | 8,746 | 스카이 하이 항공 서비스 |
6. 사건 및 사고
- 1970년 2월 15일, 도미니카나 데 아비아시온 소속 DC-9기가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의 루이스 무뇨스 마린 국제공항으로 비행하던 중 추락하여 탑승자 102명 전원이 사망했다. (도미니카나 DC-9 항공 사고 참조)[32]
- 1975년 1월 30일, LANSA 소속 더글러스 DC-3 HI-222기가 이륙 중 추락하여 탑승자 30명 중 1명이 사망했다. 해당 항공기는 아이티 포르토프랭스의 메이 게이트 공항으로 향하는 국제선 정기 여객편이었다.[31]
- 2001년 11월 12일, 9.11 테러 두 달 후, 아메리칸 항공 587편 (에어버스 A300기)이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이륙 직후 뉴욕 시 퀸스의 벨 하버 지역에 추락했다. 이는 앞서 가던 보잉 747-400기의 와류에 대응하려던 부조종사가 방향타를 과도하게 사용하면서 수직 안정판이 분리된 것이 원인이었다. 해당 사고로 인해 항공기 탑승자 260명 전원과 지상 5명이 사망했으며, 이는 아메리칸 항공 191편에 이어 미국 본토에서 두 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낸 항공 사고로 기록되었다.
- 2021년 12월 15일, 걸프스트림 IV 사업용 제트기(등록 번호 HI1050)가 산토도밍고의 라이사벨라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플로리다 올랜도의 올랜도 이그제큐티브 공항으로 향하던 중 라스 아메리카스 국제공항으로 회항하여 착륙을 시도하다 추락했다. 이 사고로 9명이 사망했으며 생존자는 없었다. 이 사건은 현재 조사 중이다.
- 2008년 2월 7일, 아메리칸 이글 항공 5111편 (ATR 72-500형) 산후안행이 엔진 문제로 인해 라 로마나에 비상 착륙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rajet Seeks To Add Nearly 20 International Routes From Punta Cana
https://aviationweek[...]
2024-07-09
[2]
웹사이트
BCRD - Estadísticas Económicas
http://www.bancentra[...]
2016-03-17
[3]
웹사이트
Delta-C&S Air Lines route map
https://www.timetabl[...]
1954-08-01
[4]
웹사이트
Delta-C&S Air Lines: Ft. Worth, Dallas, and New Orleans; the Caribbean, Atlanta, and Miami
https://www.timetabl[...]
1954-08-01
[5]
웹사이트
PAA Latin America Services
https://www.timetabl[...]
1956-07-01
[6]
웹사이트
CDA Dominican Airlines timetable
http://www.timetable[...]
1960-08-01
[7]
웹사이트
Pan Am Latin America Services
https://www.timetabl[...]
1963-08-01
[8]
웹사이트
Varig Intercontinental Schedules
https://www.timetabl[...]
1962-05-31
[9]
웹사이트
Varig Jets to South America
https://www.timetabl[...]
1964-04-26
[10]
간행물
Feb. 1, 1976 Official Airline Guide, North American edition, Santo Domingo flight schedules
[11]
웹사이트
Aerovias Quisqueyana
http://www.timetable[...]
[12]
간행물
Oct. 27, 1996 OAG Pocket Flight Guide, Europe edition, Santo Domingo flight schedules
[13]
간행물
Oct. 1, 1996 Official Airline Guide, Worldwide edition, Santo Domingo to Bogota and Lima flight schedules
[14]
간행물
April 7, 1996 OAG Pocket Flight Guide, North American edition, Santo Domingo flight schedules
[15]
간행물
Oct. 1, 1996 OAG Pocket Flight Guide, North American edition, Santo Domingo flight schedules
[16]
웹사이트
Antonov-225 Delivered Humanitarian Aids to Japan
http://www.antonov.c[...]
2011-03-25
[17]
웹사이트
AN-225 Mriya / Super Heavy Transport
http://www.antonov.c[...]
[18]
웹사이트
Dominican Airline Arajet Starts Selling Tickets for $55
https://worldnationn[...]
2022-08-08
[19]
웹사이트
JetBlue NW24 Network Changes – 24JUL24
https://www.aerorout[...]
2024-07-25
[20]
웹사이트
El aeropuerto de Aguadilla estrenará un vuelo internacional
https://www.elnuevod[...]
2024-08-25
[21]
웹사이트
Skyhigh Dominicana Schedules Guyana Launch in Feb 2024
https://www.aerorout[...]
2024-01-09
[22]
웹사이트
Sky High Aviation Services announces flights to Miami
https://www.aviacion[...]
2022-08-14
[23]
웹사이트
Skyhigh Dominicana 1Q24 Network Expansion Update
https://www.aerorout[...]
2024-02-05
[24]
웹사이트
Skyhigh Dominicana Adds San Juan Service From Oct 2024
https://www.aerorout[...]
2024-09-03
[25]
웹사이트
Sky High Dominicana inicia la venta de nueva ruta internacional
https://aviationclub[...]
2024-04-16
[26]
웹사이트
Sky High Dominicana Launches 50-Minute Flights to St. Croix Starting December 13
https://viconsortium[...]
2023-11-14
[27]
웹사이트
Sunrise Airways NW24 Caribbean Network Additions
https://www.aerorout[...]
2024-10-02
[28]
웹사이트
amerijet.com - Flight schedule
https://www.amerijet[...]
2021-12-05
[29]
웹사이트
aircargo.ups.com - Destinations
https://aircargo.ups[...]
2021-12-08
[30]
웹사이트
COMMERCIAL AIR TRANSPORT STATISTICS REPORT OF THE DOMINICAN REPUBLIC 2021
https://www.jac.gob.[...]
2023-07-18
[31]
웹사이트
HI-222 Accident description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10-08-17
[32]
웹사이트
aviation-safety.net 19700215-0
https://asn.flight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