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뤼순커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순커우구는 랴오둥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중국 다롄시의 행정 구역으로, 동쪽은 서해, 남동쪽은 황해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보하이만이 위치한다. 전략적 요충지로서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영토였으며, 러시아 통치 시기에는 포르트아르투르, 일본 통치 시기에는 료준으로 불렸다. 청일 전쟁, 러일 전쟁 등 굵직한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중국 해군 기지가 있어 군사 기밀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뤼순커우구는 8개의 가도와 5개의 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랴오닝 대외 경제 무역 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뤼순 박물관, 일로 감옥 등 관광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롄시의 행정 구역 - 진저우구
    진저우구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다롄 시의 시할구로, 다롄 시가지 북동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고구려 비사성에서 유래했고, 현재 다롄 개발구와 여러 교육 기관이 소재한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다롄시의 행정 구역 - 시강구 (다롄시)
    다롄시 중심부에 위치한 시강구는 랴오닝성 다롄시의 시할구로서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쳐 현재 5개의 가도를 관할하며, 다롄 지하철이 지나고 다롄시 제1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으며 일본 하나마키시와 우호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황해 - 다롄시
    다롄시는 랴오닝성 남단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경제 특구로서, 러시아와 일본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고, 개혁 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산업과 무역,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동북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다.
  • 황해 - 남해
    남해는 대한민국 정부 기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는 해역이며,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기상청 등 기관별로 경계 설정이 달라 부산 해운대구와 남구 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 중국의 항구 도시 - 홍콩
    홍콩은 중국 남부 해안에 위치한 특별행정구로서,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중국에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며 서구와 동양 문화가 융합된 경제, 금융, 항구 도시이지만, 중국 정부의 개입으로 사회정치적 갈등과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 중국의 항구 도시 - 웨이하이시
    웨이하이시는 산둥반도 동쪽 황해에 인접한 도시로, 온화한 기후와 류궁다오, 성산두를 포함하며, 주요 어항이자 경공업 중심지로서 대한민국과 경제 교류가 활발하다.
뤼순커우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황금산에서 바라본 뤼순커우 항구와 시가지 전경
황금산에서 바라본 뤼순 군항의 전체 경관 (2011년 5월)
유형
위치랴오닝 성다롄 시
면적512.15 km²
인구 (2020년)398,579 명
시간대중국 표준시(UTC+8)
웹사이트www.dllsk.gov.cn
기타 이름러시아어: Порт-Артур (Port-Artur)
일본어: 旅順 (료 un)
행정 구역 코드
행정 구역 코드210212
역사
건치1955년
행정 구역
관할 구역시할구

2. 지리

다롄과 주변 지역, Landsat 5 위성 사진, 2010년 8월 3일


뤼순커우구는 랴오둥반도의 남쪽 끝에 자리 잡고 있다. 반면 다롄시의 중심부는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약 64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랴오둥반도가 좁아지는 목 부분에 위치한다. 뤼순커우구는 반도 끝 근처의 호수 같은 지형(자연 항만)을 둘러싸고 있는데, 이 항만은 19세기에 매우 잘 보호되고 요새화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지리적으로 뤼순커우구는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북서쪽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서한만, 남동쪽으로는 황해와 접하고 있어 한국과 가깝고, 서쪽으로는 보하이 만이 있다. 베이징은 보하이만을 가로질러 뤼순커우구의 거의 정반대편(서북서쪽)에 위치해 있다.

현재 뤼순커우구의 면적은 506km2이며, 인구는 약 21만 명이다.

랴오둥반도의 가장 남쪽 끝 곶은 절벽 해안으로 이루어진 공원이며, 이곳에는 1893년에 설치된 라오톄산 등대(老铁山灯塔중국어)가 있다. 이곳은 날씨에 따라 황해(노란 바다)와 보하이해(파란 바다)의 경계가 뚜렷하게 보이는 "황발해 분계선"으로도 알려져 있다.[15] 또한 뤼순커우구 남부 톄산 가도 인자촌에는 중국에서는 드물게 노천탕을 갖춘 라오톄산 온천이 있다.[16]

3. 역사

뤼순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전략적으로 중요한 항구 도시로, 고대에는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영토였다. 근대 이전까지 한적한 어촌이었으나, 1878년 청나라 북양 함대의 근거지가 되면서 도시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청일 전쟁(1894-1895) 중 일본 제국군에게 점령되었고, 전쟁 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에 할양될 예정이었으나 삼국 간섭으로 무산되었다. 이후 1898년 러시아 제국이 조차하여 '아르투르 항'(Порт-Артур|포르트아르투르ru)이라 부르며 태평양 함대의 기지로 삼고 요새화했다.[8]

러일 전쟁(1904-1905) 당시 치열한 뤼순항 공방전 끝에 일본군이 점령하였고, 포츠머스 조약에 따라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조차권을 넘겨받았다. 일본 통치 시기에는 '료준'(旅順일본어)으로 불리며 관동주의 일부로서 일본의 주요 군사 거점이 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소련군이 점령하였고, 전후 소련 해군 기지로 사용되다가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에 완전히 반환되었다.[10] 1950년 다롄 등과 합병하여 뤼다(旅大)시가 되었으며, 1981년 다롄시로 개칭되면서 현재의 '''뤼순커우구'''가 되었다.

3. 1. 근대 이전

근대에 들어서기 전까지 눈에 띄는 역사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고대에는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영토였다.

1856년부터 1860년까지 벌어진 애로우 전쟁 당시, 영국 해군의 아서 중위(William C. Arthur)가 지휘하는 프리깃함이 기항한 것을 계기로 서양에는 Port Arthureng(Порт-Артур|포르트아르투르ru)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원래는 집이 드문드문한 한적한 어촌이었으나, 1878년 청나라의 북양 함대 근거지가 되면서 도시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1880년대 후반에는 독일 회사 크루프가 청나라와 계약하여 뤼순커우 주변에 요새를 건설하기도 했다.[7]

3. 2. 근대

근대 이전까지 뤼순은 기록에 남을 만한 뚜렷한 역사가 없었다. 1856년부터 1860년까지 이어진 제2차 아편전쟁(애로우 전쟁) 당시, 영국 해군 중위 윌리엄 C. 아서가 지휘하는 군함이 파손된 선박 수리를 위해 이곳에 기항하면서 서양에는 '포트 아서'(Port Arthureng)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 중국어로는 '뤼순'으로 불렸다.

원래는 집이 드문드문 있던 한적한 어촌이었으나, 1878년 청나라 북양 함대의 근거지가 되면서 도시로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1880년대 후반에는 독일 회사 크루프가 청나라 정부와 계약을 맺고 뤼순커우 주변에 여러 요새를 건설했다. 이는 현지 업자들이 공사를 제대로 진행하지 못한 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7]

뤼순커우는 청일 전쟁 (1894-1895)을 계기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 1894년 9월 평양 전투에서 승리한 일본 제국은 랴오둥 반도와 뤼순커우를 장악하려는 야심을 드러냈다. 일본군 지휘부는 뤼순항이 황해 북부 항로와 톈진으로 가는 길목을 통제하는 전략적 요충지임을 인식하고 점령을 결정했다. 1894년 11월 20일부터 21일까지 벌어진 전투에서 약 15,000명의 일본군이 13,000명의 청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뤼순커우를 점령했다.

뤼순커우 청나라 시대 해방 포대


뤼순 박물관


뤼순 점령 과정에서 일본군이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이른바 뤼순 대학살 사건이 서양 기자들에 의해 보도되어 국제적인 문제가 되었으나, 일본 정부는 이를 사실무근이라고 주장했다. 전쟁 후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뤼순을 포함한 랴오둥 반도는 일본에 할양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러시아, 프랑스, 독일삼국 간섭으로 인해 일본은 할양을 포기해야 했으며, 이는 일본에게 큰 굴욕으로 받아들여졌다.

청일 전쟁 이후 열강들이 약화된 청나라에 군사적 압력을 가하며 조차지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898년 러시아 제국은 랴오둥 반도 조차 협정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뤼순과 다롄을 포함한 랴오둥 반도를 관동주라는 이름으로 조차했다. 러시아는 이곳을 '포르트아르투르'(Порт-Артур|포르트아르투르ru)로 부르며 러시아 해군 태평양 함대의 근거지로 삼고, 동청철도와 연결되는 철도를 부설하는 등 체계적인 요새화 작업을 진행했다.[8] 당시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 황제는 이 태평양 항구 확보가 러시아의 안보를 강화하고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믿었다. 그는 또한 대영 제국이 이 항구를 노리고 있다는 잘못된 정보에 영향을 받기도 했다.[9] 러시아는 뤼순 근처에 달니(Dalny, 현재의 다롄)라는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으나, 1902년 러시아 총독은 달니의 중요성을 축소하고 뤼순에 주요 시설 건설을 집중했다. 이러한 러시아의 팽창 정책은 일본을 더욱 자극하는 결과를 낳았다.

3. 3. 러일 전쟁 (1904-1905)

의화단 운동 (1900-1901) 진압 후, 러시아 제국만주에서 군대를 철수시키지 않고 오히려 남만주 철도 노선을 따라 요새화하며 주둔 병력을 늘렸다. 이는 청일 전쟁 이후 삼국 간섭으로 랴오둥 반도를 빼앗겼던 일본 제국을 자극했다. 일본은 러시아와 1902년부터 1904년까지 만주에서의 세력권 문제를 놓고 협상했지만, 러시아는 시간 끌기 전술을 사용하며 사실상의 영토 병합을 진행했다. 결국 협상이 결렬되자, 일본은 1904년 2월 8일 선전포고 없이 뤼순항의 러시아 함대를 기습 공격하며 러일 전쟁을 일으켰다.[8][9]

러일 전쟁의 개전 초기 전투인 뤼순항 해전은 1904년 2월 9일 새벽, 일본 함대의 어뢰 야간 기습으로 시작되었고, 이어서 주력 수상 전투함 간의 짧은 주간 교전이 벌어졌다.

일본의 선전 목판화로, 러일 전쟁의 뤼순항 야습을 묘사하고 있다.


1904년 7월 말까지 일본군은 랴오둥반도를 따라 남하하여 뤼순의 외곽 방어선에 도달했다. 1904년 8월 초, 일본군이 항구의 포격 사정거리에 접근하자, 러시아 함대가 출항하면서 황해 해전이 발발했다. 이 해전에서 일본이 승리하면서 제해권을 장악했고, 일본 함대는 뤼순항을 계속 봉쇄했다.

1904년 7월 말(혹은 8월 초)부터 시작된 뤼순항 공방전은 뤼순항에 대한 포위 공격과 공성전으로 이어졌다. 특히 시 외곽의 언덕인 203고지 등에서의 격전은 매우 치열했으며, 양측 모두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

결국 뤼순항은 약 6개월간의 길고 격렬한 전투 끝에 1905년 1월 2일, 러시아 수비대가 항복하면서 일본군에게 함락되었다. 이후 뤼순 북쪽 교외의 수사영에서 일본의 노기 마레스케 장군과 러시아의 아나톨리 스테셀 장군이 만나 정전 협정에 조인했다.

전쟁을 마무리 짓는 포츠머스 조약 (1905년)에 따라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랴오둥 반도 남단의 조차권을 정식으로 넘겨받았다. 이로써 뤼순은 다시 일본의 통제하에 들어가게 되었고, 관동주의 일부로서 일본의 군사적 거점이 되었다. 일본은 이곳에 관동 도독부를 설치했으며, 이후 일본 제국 해군의 뤼순 요항부를 두어 군사 기지로서의 역할을 강화했다.

3. 4. 일본 통치 시기 (1905-1945)

러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1905년 포츠머스 조약을 통해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뤼순과 다롄의 조차권을 넘겨받았다. 일본은 기존의 '포트 아서'라는 이름 대신 도시 이름의 중국어 글자를 일본어로 읽은 '료준'(旅順일본어)으로 불렀다.[4] 처음에는 뤼순에 관동 도독부가 설치되었으나, 이후 행정 중심지가 다롄으로 이전되면서 뤼순은 일본의 주요 군사적 거점으로 기능했다. 일본 제국 해군은 이곳에 뤼순 요항부를 설치하여 해군 기지로 활용했다.

일본 통치 하에서 뤼순 시는 룽허(龍河), 뤼순 역, 백옥산(白玉山) 일대를 중심으로 동쪽의 구시가지와 서쪽의 신시가지가 크게 발전했다. 일본은 러일 전쟁의 격전지였던 203고지와 바이위 산(白玉山)에 전쟁 기념비를 세워 승전을 기념했다. 또한, 기존의 포트 아서-하얼빈 철도는 남만주 철도의 일부로 편입되어 운영되었다.

1932년 일본이 괴뢰 국가인 만주국을 세운 후, 일본은 뤼순을 포함한 관동주 조차지를 중국이 아닌 만주국으로부터 소유하는 것으로 간주했다. 이러한 일본의 통치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까지 이어졌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말, 소련군이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을 통해 만주 지역으로 진공하면서 뤼순을 점령하였고, 이로써 일본의 뤼순 통치는 종결되었다.

뤼순에 있던 구 관동군 사령부 건물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

3.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소련군이 뤼순을 점령하였다. 이후 요시프 스탈린과 장제스가 서명한 중소 우호 동맹 조약에 따라 중화민국은 소비에트 해군 태평양 함대가 뤼순을 군항으로 사용하는 것을 인정하였다. 소련은 그 대가로 국민당 정부를 외교적으로 승인했지만, 이후에는 이 항구를 이용하여 중국 공산당의 인민해방군을 지원하였고, 이는 국민당의 패배에 영향을 미쳤다.[10]

1950년에는 인접한 다롄, 진저우와 합병하여 뤼다 시가 설립되었다. 소련은 같은 해 항구를 중화인민공화국에 넘겨주었으나, 소련군 병력은 1955년까지 주둔하다가 완전히 철수하고 뤼순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었다.

1960년 1월 7일, 뤼순시는 뤼다시의 일부인 뤼순커우구로 개칭되었다. 이후 1981년에 뤼다시가 다롄시로 이름을 바꾸면서 뤼순커우구는 다롄시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4. 행정 구역

뤼순커우구는 현재 8개의 가도(街道)와 5개의 진(镇)을 관할하고 있다.

행정 구역 목록
구분명칭 (한국어)명칭 (중국어 간체)
가도더성 가도得胜街道중국어
광룽 가도光荣街道중국어
덩펑 가도登峰街道중국어
스창 가도市场街道중국어
룽왕탕 가도龙王塘街道중국어
수이시잉 가도水师营街道중국어
톄산 가도铁山街道중국어
장시 가도江西街道중국어
솽다오완 진双岛湾镇중국어
싼젠푸 진三涧堡镇중국어
창청 진长城镇중국어
룽터우 진龙头镇중국어
베이하이 진北海镇중국어



=== 행정 구역 변천 ===


  • 1945년 11월 25일: 중화민국 시기 뤼순에 행정 구역으로 뤼순시가 설립되었다. 당시에는 다중구(大众区중국어), 웬화구(文化区중국어), 광밍구(光明区중국어)의 3개 구와 40개 촌을 관할했다.
  • 1946년 1월: 웬화구가 다중구에 통합되고 40개 촌은 23개 방(坊중국어)으로 개편되었다.
  • 1948년 1월: 나머지 2개 구가 시내구(市内区중국어)로 통합되어 12개 방을 관할했다.
  • 1960년 1월 7일: 뤼순시는 당시 뤼다시(旅大市)의 일부인 뤼순커우구(旅顺口区)로 개편되었다.
  • 1981년: 뤼다시가 다롄시로 개칭되면서 뤼순커우구는 다롄시의 구성 구로 유지되었다.
  • 1985년: 당시 관할하던 9개 향(乡) 중 7개가 진(镇)으로 승격되었다.

5. 기후

'''뤼순커우구의 기후 (1981년~2010년)'''[1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평균 최고 기온 (°C)0.32.37.314.520.124.126.727.424.318.210.13.414.9
평균 최저 기온 (°C)-6.8-4.9-0.26.011.716.720.621.216.810.32.6-3.77.6
강수량 (mm)5.54.713.729.551.271.1137.2139.350.832.818.07.5561.3



'''뤼순커우구의 기후 (1991년~2020년)'''[5][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평균 최고 기온 (°C)0.62.77.914.620.424.227.027.724.518.210.33.515.1
일평균 기온 (°C)-3.0-1.03.810.115.920.223.624.320.814.46.70.011.3
평균 최저 기온 (°C)-6.3-4.30.46.412.017.021.121.617.310.73.1-3.57.9
강수량 (mm)4.06.411.532.555.771.2129.0160.446.134.326.18.5585.7
평균 강수일수 (≥ 0.1 mm)3.12.23.05.56.57.89.08.55.25.35.24.365.6
평균 상대 습도 (%)60615960647785847365626067.5
월평균 일조시간 (시간)178.6182.7233.2242.1264.7231.7192.7211.7225.4210.8160.7154.82489.1
일조율 (%)59606361605243516162545356.6


6. 교육

랴오닝 대외 경제 무역 대학교가 위치한다.

7. 현재 상황

현재 뤼순커우구의 면적은 506km2, 인구는 약 21만 명이다.[11] 다롄시는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에 따른 시장 경제 도입의 성과를 보여주는 국제 도시로 발전했다. 그러나 뤼순커우구는 중국 해군 기지가 위치하여 오랫동안 군사 기밀 지역으로 지정되어 외국인의 접근이 제한되었다. 중심 시가지, 군항 주변, 라오톄산 등 일부 지역은 여전히 외국인 출입이 통제되고 있으나, 2009년 6월부터 군항 주변과 군항 공원 등 일부를 제외한 많은 지역이 외국인에게 개방되었다.

개방된 주요 지역으로는 러일 전쟁의 격전지였던 203고지와 전쟁 후 아나톨리 스테셀 러시아군 사령관과 노기 마레스케 일본군 대장이 정전 협정을 맺고 회견한 장소인 수사영 회견소 등이 있으며, 이들은 현재 주요 관광지로 많은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다. 또한, 오타니 탐험대의 수집품을 다수 소장한 뤼순 박물관, 러일 전쟁 당시의 요새 유적인 둥지관산 북 보루, 그리고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의사가 순국 전 수감되었던 뤼순 형무소 (일로 감옥) 등도 과거에는 지정 여행사를 통해서만 방문이 허가되었으나 현재는 외국인에게 완전히 개방되었다. 이 외에도 군항을 조망할 수 있는 바이위산(백옥산, 러일 전쟁 당시 일본이 세운 백옥탑이 위치), 옛 뤼순 고등학교 건물(현 해군 사령부), 옛 뤼순 공과대학 건물(현 해군 병원), 황금산 해안 해수욕장 등도 정식으로 외국인 방문이 가능해졌다. 다롄시는 뤼순커우구 전체를 전쟁 유적으로 지정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으나, 군사 시설 존재로 인해 계획이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

관광 개발과 함께 교육 및 산업 시설 유치도 활발하다. 발해만에 면한 세계 평화 공원이 새로운 관광 명소로 조성되었고, 인근에는 다롄 교통대학교 소프트웨어 학원과 다롄 과기 대학교가 들어섰다. 북쪽의 뤼순 개발구에는 다롄 시내에 있던 다롄 기차 차량 공장이 이전했으며, 랴오닝 대외 경제 무역 학원도 위치한다. 2007년에는 뤼순 난루를 따라 북쪽에 다롄 외국어대학교가, 남쪽에 다롄 의과대학교가 이전하여 교육 중심지로서의 기능도 강화되고 있다.

교통 인프라도 개선되어, 발해의 양터우만에 뤼순 신항이 건설되었고, 2006년 말부터 이곳과 산둥성 옌타이를 잇는 발해 철도 페리가 운항 중이다.

랴오둥반도 남단에는 절벽 해안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곳에는 1893년에 설치된 라오톄산 등대가 있다. 이 지점은 날씨에 따라 황해(서해)와 발해의 바닷물 색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황발해 분계선"으로도 알려져 있다.[15] 또한 뤼순커우구 남부 톄산 가도 인자촌에는 중국에서 보기 드문 노천탕을 갖춘 라오톄산 온천이 있다.[16]

현재 뤼순커우구는 9개의 가도를 관할하고 있다.[11]


  • 덩펑 가도 (登峰街道zho)
  • 더성 가도 (得胜街道zho)
  • 수이시잉 가도 (水师营街道zho)
  • 룽왕탕 가도 (龙王塘街道zho)
  • 톄산 가도 (铁山街道zho)
  • 솽다오완 가도 (双岛湾街道zho)
  • 산젠푸 가도 (三涧堡街道zho)
  • 창청 가도 (长城街道zho)
  • 룽터우 가도 (龙头街道zho)

8. 주요 시설의 시대별 명칭

일본, 러시아, 한국 등 외국인의 방문이 늘고 있으며, 특히 안중근 의사가 순국한 일제강점기 뤼순 형무소를 찾는 한국인 방문객도 많다. 뤼순의 주요 시설에 대한 시대별 명칭은 다음과 같다.

러시아 점령 시대일본 점령 시대현대 중국
구시가지:
뤼순 시청다샹 그룹 신마터 슈퍼마켓 우측 상업 빌딩
푸시킨 초등학교뤼순 민정서해군 시험 시항 초청소
조선은행 뤼순 지점중국공상은행 뤼순 지점
뤼순 제1 초등학교해군 시설 (창장루 난산샹 좌측)
적십자 병원뤼순 병원·의학전문학교해군 시설 (북쪽 입구 뤼순커우구 병원)
관동고등법원관동고등법원 유적지 (뤼순커우구 병원 내)
뤼순 감옥 (원래 회색 벽돌 건물)뤼순 감옥 (붉은 벽돌로 확대)일로 감옥 (반제국주의 교육 시설)
덴마크 루터교 교회기독교 뤼순 예배당
충혼탑바이위 타워(백옥탑)
아사히 광장우의 공원
신시가지:
일본교 (룽허강 소재)해방교
러시아 해병대 청사뤼순공과대학해군 406 병원
뤼순고등학교해군 시설 (사령부)
독일 호상 백화점뤼순 제1 중학교해군 시설 (스탈린로 58호)
저격병 제10연대 하사 집회소뤼순 제2 초등학교다롄시 제56중학교
러시아 귀화 거상 지펑타이 상점뤼순 야마토 호텔1층 상점·2층 여관
뤼순 고등향학당·제2중학교(건물 미사용)
사진관·시청·러시아 요리점뤼순 고등 여학교해군 관계자 아파트 단지
고다마 운동장군항 인접 운동장
러시아군 클럽뤼순 박물관뤼순 박물관
코라쿠엔(후락원)뤼순 박물관 구역 내 공원



자료: 「뤼순공대 90년사」의 「노치 시대의 뤼순(발췌)」에 인용된 「노치 시대의 뤼순」(뤼순 도서관, 1936) 등. 뤼순커우구 정부(구청)는 2005년 궈수이 공로(북교외, 궈자춘~수이시잉)로 이전했다. 해군 시설은 공식 명칭이 표기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나, 알려진 정보는 기재하였다.

9. 자매 도시

참조

[1] 서적 Dalian Statistical Yearbook 2012 2014-07-08
[2] 웹사이트 Dàlián Shì (Sub-provincial City, China)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www.citypopu[...] 2024-10-31
[3] 서적 2010 Census county-by-county statistics 2014-07-08
[4] 웹사이트 The Name Port Arthur, History and Origin of How It Was Applied https://cdnc.ucr.edu[...] Los Angeles Herald, Volume XXXI, Number 300, 25 July 1904 (accessed at UCR Center for Bibliographical Studies and Research) 2020-12-11
[5]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05
[6]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05
[7] 서적 Under the dragon flag: My experiences in the Chino-Japanese war https://archive.org/[...] Frederick A. Stokes Company 2011-08-07
[8] 서적 The Geopolitics of East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05-02
[9] 서적 The Romanovs Weidenfeld & Nicolson 2016
[10] 서적 The Tragedy of Liberation: A History of the Chinese Revolution, 1945-1957 Bloomsbury Press 2013
[11] 웹사이트 2018年统计用区划代码和城乡划分代码:旅顺口区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9-01-31
[12]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公报 1988年第17号(总号:570) http://www.gov.cn/go[...] 中華人民共和国国務院 2023-02-05
[13] 문서 旅順口区政府の日本総領事館員、JETRO職員、大連在住日本人有識者などに対する説明会(2009年3月20日開催)
[14] 웹사이트 日本領事館大連事務所のお知らせ(2009年4月21日付け) http://www.dalian.cn[...]
[15] 웹사이트 遼東半島の先端老鉄山灯台 http://www.shashosha[...]
[16] 웹사이트 老鉄山温泉 http://www.ltswq.com[...]
[17] 웹인용 http://www.nmc.cn/pu[...] National Meteorological Center of CMA 2022-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