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라타인은 인도 서부의 마하라슈트라 지역에 기원을 둔 민족 집단이다. 마라타라는 용어는 데칸 지역을 지배했던 라타스 부족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중세 시대에 걸쳐 사타바하나, 찰루키아, 라스트라쿠타, 야다바 왕조 등의 지배를 받았다. 17세기 시바지가 마라타 왕국을 건국하면서 마라타 민족은 독자적인 정체성을 갖게 되었고, 이후 마라타 동맹을 결성하여 무굴 제국에 대항했다. 18세기에는 영토를 확장하며 세력을 떨쳤으나,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영국령 인도 제국에 편입되었다. 인도 독립 이후 마하라슈트라 주가 형성되면서 마라타인은 하나의 주로 통합되었으며, 힌두교를 주로 믿고 마라티어를 사용한다. 마라타인은 고유한 문화와 축제를 가지고 있으며, 음식, 복장, 이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라타 제국 - 락슈미 바이
락슈미 바이는 1828년 또는 1835년 인도에서 태어나 잔시 왕국의 왕비가 되었고, 남편 사후 영국에 저항하며 1857년 세포이 항쟁에 참여하여 반영 항쟁을 이끌다 1858년 전사, 인도 독립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 마라타 제국 - 마라티어
마라티어는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아리아어족 언어로, 고아 주에서도 공용어이며, 초기 프라크리트어에서 파생되어 13세기부터 문학 작품이 등장했고, 현대에는 발보드 문자를 사용하며 인도 헌법에 의해 지정 언어이자 2024년 고전 언어로 인정받았다. - 인도아리아인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인도아리아인 - 베다 시대
베다 시대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전 600년까지 이어진 시기로, 베다 문헌 편찬, 초기 카스트 제도 형성, 농경 사회 발전, 베다 종교(브라만교)의 성립을 특징으로 한다.
마라타인 | |
---|---|
기본 정보 | |
![]() | |
인구 | 약 8,300만 명 |
언어 | 마라티어 |
종교 | 다수: 힌두교 소수: 이슬람, 불교, 기독교, 자이나교, 유대교 |
관련 민족 | 다른 인도아리아인 |
거주 지역 | |
인도 | 82,801,140명 (2011년 인구 조사) |
미국 | 127,630명 |
이스라엘 | 60,000명 (베네 이스라엘) |
오스트레일리아 | 13,055명 |
캐나다 | 9,755명 |
파키스탄 | 500명 |
2. 어원
R. G. 반다르카르에 따르면, 마라타(Maratha)라는 용어는 가장 오랜 시대부터 데칸에서 정치적 지배력을 행사했던 부족인 라타스(Rattas)에서 유래되었다.[16] 라타스는 스스로를 '마하 라타스'(Maha Rattas) 또는 위대한 라타스라고 불렀고, 그들이 살던 나라는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로 '마하-라슈트라'이다.[16] 하리밤사에는 야다바 왕국인 아나르타(Anaratta)가 대부분 아비라(Abhiras)가 거주하는 곳으로 묘사되어 있다.[17] 아나르타와 그 주민들은 수라스트라(Saurashtra) 및 사우라스트라스(Saurastras)라고 불렸는데, 이는 아소카의 암석 칙령에 나오는 라스트리카스(Rastrikas)와 유사한 라타스(Rattas, Rastras)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의 마하라슈트라와 마라타족을 가리킨다.[17]
3. 역사
3. 1. 고대 ~ 중세 시대
기원전 230년경, 마하라슈트라는 400년 동안 이 지역을 통치한 사타바하나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18] 그 후 바카타카 왕조가 서기 3세기부터 5세기까지, 찰루키아 왕조가 6세기부터 8세기까지 통치했다. 카나우지 황제 하르샤를 물리친 풀라케신 2세와 8세기에 아랍 침략자(우마이야 칼리파조)를 물리친 비크라마디티야 2세는 찰루키아 왕조의 저명한 통치자였다. 라스트라쿠타 왕조는 8세기부터 10세기까지 마하라슈트라를 통치했다.[20] 9세기 중반경, 페르시아 상인이자 여행가인 술라이만 알-타지르는 라스트라쿠타 왕조의 통치자인 아모가바르샤를 "세계 4대 위대한 왕 중 하나"라고 불렀다.[21]
11세기 초부터 12세기까지 데칸 고원은 서찰루키아 제국과 촐라 왕조가 지배했다.[22]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는 데바기리의 야다바 왕조가 마하라슈트라를 통치했다.[23] 야다바 왕조는 1321년에 칼지족에게 패배했다.[24] 이후 이 지역은 칼지, 투글라크 왕조, 바흐마니 술탄국과 그 후계 국가인 데칸 술탄국(아딜샤히, 니잠샤히), 무굴 제국 등 여러 이슬람 통치자들의 지배를 받았다.[24]
이슬람 통치 초기에는 비무슬림에 대한 자지야 세금 부과, 사찰 파괴 및 강제 개종이 있었다.[25][26]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힌두교인들과 이슬람 통치자들은 타협하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브라만이 회계를 담당했고, 수입 징수는 마라타가 파틸키(마을 단위의 수입 징수)와 데쉬무크이(더 넓은 지역의 수입 징수)의 와탄 (세습권)을 소유했다. 보살레, 쉬르케, 고르파데, 자다브, 모레, 마하딕, 가트게, 가르게, 님발카르와 같은 많은 가문은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술탄에게 충성스럽게 봉사했다. 와탄다르는 자신들의 와탄을 경제적 권력과 자부심의 원천으로 여겼고, 그것을 포기하는 것을 꺼렸다.[27]
대부분의 인구가 힌두교 신자였고 마라티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이브라힘 아딜 샤 1세와 같은 술탄조차도 행정 및 기록 보존을 위해 마라티어를 궁정 언어로 채택했다.[27][28][29] 이슬람 통치는 또한 페르시아어 어휘가 마라티어에 유입되도록 했다. 쿨카르니에 따르면, 그 시대의 엘리트들은 페르시아어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지위의 상징으로 여겼다. 파드니스, 치트니스, 미라스다르 등과 같이 그 기간 동안의 봉사에서 파생된 성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27]
비탈을 숭배한 마라티 박티 시인 성인들(드냐네슈와르, 남데브, 에크나트, 바히나바이, 투카람 등)은 야다바 말기에서 이슬람 시대 말기 사이에 속했다.[30] 나르심하 사라스와티와 마하누바바 종파 창시자 차크라다르 스와미, 시바교 성인들인 만마스 스와미, 가자난 마하राज, 산트 나르하리 소나르와 같은 종교 지도자들은 헌신적이고 철학적인 작곡을 위해 산스크리트어 대신 마라티어를 사용했다.
언제부터인지는 불분명하지만, 마라타인은 쿰비라고 불리는 집단이 모집단에서 분리되어 파생되어 마하라슈트라 지방에 거주하게 되었다고 한다. 쿰비 카스트에서 완전히 갈라져 폐쇄적인 카스트가 되었는지도 언제부터인지 알 수 없다. 다만 13세기경에 크샤트리아 카스트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집단이 나타나 마라타인을 자칭하는 집단이 나타났다고 한다. 15세기 말에 데칸의 바흐마니 왕조가 분열하고, 16세기에 데칸 술탄 왕조의 5개 왕국이 할거하게 되자, 크샤트리아를 자칭하는 용맹하고 과감한 전사인 마라타인은 그 용병으로 활약했다. 특히 데칸 서부의 아흐마드나가르 왕국과 비자푸르 왕국의 영토에는 마라타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고, 많은 마라타인 호족이 가신이 되었다.
3. 2. 근세 (1650년 ~ 1818년)
시바지의 사망 후 같은 해 아들 삼바지가 왕위를 계승했지만, 아우랑제브는 시바지의 죽음을 틈타 데칸으로 대거 남하했다. (데칸 전쟁)
1686년 비자푸르 왕국이, 1687년 골콘다 왕국이 무굴 제국에 각각 멸망한 후, 무굴 제국과 마라타 세력은 직접 대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삼바지는 점차 열세에 놓여 1689년에 붙잡혀 처형되었다.
위기에 처한 마라타 왕국은 그의 동생 라자람을 옹립하여, 남인도의 타밀 지방으로 도망쳐 진지에 웅거하여 싸웠다. (진지 포위전)
진지 함락 후, 사타라로 돌아온 마라타 세력은 기세를 회복하여, 무굴 제국령 각지에서 습격을 반복했고, 1707년 아우랑제브가 죽자 제국군은 데칸에서 철수했다.
1708년, 마라타 왕국을 중심으로 마라타 동맹이 결성되어, 점차 무굴 제국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1713년, 마라타 왕 샤후는 자신에게 가장 충실했던 발라지 비슈와나트를 재상(페슈와)으로 임명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마라타 왕으로부터 바라문 계급의 왕국 재상에게 실권이 넘어갔다.
1720년에 발라지가 사망하자, 아들 바지 라오 1세가 왕국의 재상이 되었다. 그는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지녔으며, 시바지를 잇는 위대한 인물이었다. 그는 남인도로 원정을 떠난 후, 북인도로 마라타의 세력 확장을 꾀했다.
그리고, 그 시대에 마라타의 세력은 데칸을 넘어, 남인도와 북인도를 세력권으로 삼았으며, 1737년에는 델리까지 진출했다. 이 과정에서 원정에서 활약한 제후(사르다르)들은 봉토와 정복지를 봉토로 인정받았고, 많은 사람들이 그 지역으로 이주했다.
또한, 그의 아들이자 재상인 발라지 바지 라오 시대에는, 마라타는 벵골 지방과 펀자브 지방까지 진출했다.
3. 2. 1. 마라타 왕국의 성립과 발전
17세기 중반, 시바지는 데칸과 콘칸 지역을 비자푸르 왕국으로부터 정복하여 마라타 왕국을 건국하고, ''힌다비 스와라지''( "힌두인의 자치")를 수립했다.[32] 마라타인은 인도에서 무굴 제국의 약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33][14][15][34]
1636년,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이 무굴 제국에 의해 멸망하자, 그 무장이었던 마라타 호족 샤하지는 비자푸르 왕국의 무장이 되어 푸네에 봉토를 받았다. 그의 아들이 시바지이다.
시바지는 이윽고 마라타 세력을 결집하여 왕국에 반란을 일으켰고, 그 과정에서 많은 향주를 따르게 하여 콩칸 지방에 일대 세력을 구축했다. 1660년 이후, 무굴 제국의 황제 아우랑제브와 직접 대결을 벌이며, 경보병을 교묘하게 다루는 전법을 사용하여 중무장한 제국군을 농락하고, 제국령의 각지를 약탈했다.
1674년, 시바지는 마라타 왕으로 즉위식을 거행하고, 그를 시조로 하는 마라타 왕국을 창시했다. 그는 즉위와 함께 마라타 카스트가 크샤트리아 카스트로 인정받는 것에 집착하여, 바라문들에게 마라타가 크샤트리아임을 인정받았다. 또한, 이듬해에는 동생 비얀코지도 타밀 지방에 탄자부르 마라타 왕국을 창시했다.
시바지는 데칸에 힌두교 부흥을 목표로, 무슬림 세력인 데칸의 비자푸르 왕국, 골콘다 왕국, 북인도의 무굴 제국과 계속 싸웠지만, 1680년에 사망했다.
시바지의 사후, 무굴 제국은 1681년 데칸을 침략했다. 시바지의 아들 삼바지는 차트라파티로서 아버지의 뒤를 이어 훨씬 강력한 무굴 제국에 맞서 마라타인을 이끌었지만, 1689년 배신당해 무굴 황제 아우랑제브에게 사로잡혀 고문당하고 살해당했다.[35] 무굴 제국과의 전쟁은 이후 삼바지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라자람 1세가 이끌었다. 라자람이 1700년에 사망하자 그의 미망인 타라바이가 어린 아들의 섭정이 되어 마라타 군대를 지휘했다. 1707년 아우랑제브가 사망하자, 무굴 제국에 포로로 잡혀 성장한 삼바지의 아들 샤후가 풀려나 마라타 왕위를 되찾으면서 데칸 전쟁이 종식되었다. 샤후와 타라바이는 잠시 왕위 계승 다툼을 벌였고, 결국 샤후가 승리했다. 샤후는 6개의 데칸 지방에 대한 세금 징수 권한을 얻고 어머니를 무굴 제국으로부터 석방하는 조건으로 무굴 제국의 종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6][37]
시바지의 손자인 샤후 1세는 페슈와 발라지 비슈와나트와 그의 후손과 같은 유능한 마라타 행정가와 장군들의 도움으로 마라타 세력의 가장 큰 확장을 보았다.
|thumb|200px|바지 라오 1세
1708년, 마라타 왕국을 중심으로 마라타 동맹이 결성되어, 점차 무굴 제국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1713년, 마라타 왕 샤후는 자신에게 가장 충실했던 발라지 비슈와나트를 재상(페슈와)으로 임명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마라타 왕으로부터 바라문 계급의 왕국 재상에게 실권이 넘어갔다.
1720년에 발라지가 사망하자, 아들 바지 라오 1세가 왕국의 재상이 되었다. 그는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지녔으며, 시바지를 잇는 위대한 인물이었다. 그는 남인도로 원정을 떠난 후, 북인도로 마라타의 세력 확장을 꾀했다.
그리고, 그 시대에 마라타의 세력은 데칸을 넘어, 남인도와 북인도를 세력권으로 삼았으며, 1737년에는 델리까지 진출했다. 이 과정에서 원정에서 활약한 제후(사르다르)들은 봉토와 정복지를 봉토로 인정받았고, 많은 사람들이 그 지역으로 이주했다.
또한, 그의 아들이자 재상인 발라지 바지 라오 시대에는, 마라타는 벵골 지방과 펀자브 지방까지 진출했다. 샤후가 1749년에 사망한 후, 페슈와 나나사히브와 그의 후계자들이 마라타 연합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마라타 연합은 페슈와 바지라오 발랄 1세와 그의 후손인 신디아, 가이콰드, 파와르, 나그푸르의 본살레, 홀카르를 포함한 많은 마라티 족장들에 의해 확장되었다. 연합은 최전성기에 남쪽의 카르나타카 북부에서 북쪽의 페샤와르 (현대 카이베르 파크툰크와)까지 마라타-아프가니스탄 전쟁 동안 잠시 뻗어 있었고[38] 동쪽의 오리사까지 뻗어 있었다.[33][39] 그러나 1761년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아흐메드 샤 아브달리가 이끄는 아프간족에게 마라타가 패배한 후, 마라타의 힘은 크게 감소했다. 마하드지 신데의 노력으로 영국 동인도 회사가 페슈와 바지라오 2세를 격파할 때까지 연합으로 유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마라타 국가들은 1947년 인도 자치령에 합병될 때까지 영국의 봉신으로 남아 있었다.[40]
마라타는 또한 1660년대에 강력한 해안 해군을 개발했다. 마라타 콜리[41] 제독 칸호지 앙그레 휘하에서 절정에 달한 해군은 뭄바이에서 사반트와디에 이르는 인도 서부 해안의 영해를 장악했다.[42] 이 해군은 영국, 포르투갈, 네덜란드, 시디 해군 함선을 공격하여 그들의 해군 야망을 억제했다. 마라타 해군은 1730년대까지 지배적인 위치를 유지했지만, 1770년대에는 쇠퇴기에 접어들었고 1818년경에 완전히 사라졌다.[43]
3. 2. 2. 마라타 해군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마라타 해군에 대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2. 3. 사회사
영국 통치 이전, 마하라슈트라 지역은 여러 징수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중세 시대의 카운티 또는 지구에 해당하는 것은 파르가나였다. 파르가나의 수장은 데쉬무크라고 불렸고, 기록 관리자는 데쉬판데라고 불렸다.[44][45] 가장 작은 행정 단위는 마을이었다. 마라티 지역의 마을 사회에는 촌장인 파틸, 징세 담당자, 그리고 마을 기록 담당자인 쿨카르니가 있었다. 이들은 세습직이었다. 파틸은 보통 마라타 카스트 출신이었다. 쿨카르니는 보통 마라티 브라만 또는 CKP 카스트 출신이었다.[46] 마을에는 또한 발루테다르라고 불리는 12명의 세습 하인이 있었다. 발루테다르 제도는 농업 부문을 지원했다. 이 제도의 하인들은 농부와 마을의 경제 시스템에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시스템의 기반은 카스트였다. 하인들은 자신들의 카스트에 특정한 업무를 담당했다. 바라 발루테다르에는 다음과 같은 12 종류의 하인이 있었다. 요시(브라만 카스트 출신의 마을 사제이자 점성가),[47] 소나르(다이와드냐 카스트 출신의 금세공인), 수타르(목수), 구라브(시바 사원 사제), 나위(이발사), 파리트(세탁부), 텔리(기름 짜는 사람), 쿰바르(옹기장이), 참바르(구두 수선공), 도르, 콜리(어부 또는 물 운반인), 초굴라(파틸의 조수), 망(밧줄 제조인), 마하르(마을 보안).[48] 발루테다르 목록에서 도르, 망, 마하르, 참바르는 불가촉천민 카스트에 속했다.[49]
그들의 서비스에 대한 대가로, ''발루테다르''에게는 마을 수확의 일부를 공유할 수 있는 복잡한 세습적 권리(와탄)가 부여되었다.[50]
3. 3. 영국 식민 통치 시대
1세기 이상 지속된 영국의 마하라슈트라 지역 지배는 마라티 사람들의 삶의 모든 측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51] 이 지역은 동인도 회사를 거쳐 1858년부터 영국령 인도 제국의 직간접적 지배를 받았다. 마라티인들은 봄베이 관구, 베라르 주, 중앙 주, 하이데라바드 주, 그리고 다양한 번왕국에 거주했다. 195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전 하이데라바드 주에서 450만 명이 마라티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51] 바르다 주, 괄리오르 주, 인도르 주, 탄조르와 같은 마라타 번왕국에도 상당수의 마라티 인구가 거주했다.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윌리엄 캐리는 마라티어 문법을 표준화하고 최초의 마라티어 사전을 데바나가리 문자로 출판했다.[52] 제임스 토마스 몰스워스 대위와 토마스 캔디 소령은 1831년 가장 포괄적인 마라티어-영어 사전을 편찬했다.[52] 몰스워스는 푸네의 브라만들이 사용하는 산스크리트어가 지배적인 방언을 마라티어 표준 방언으로 채택하여 마라티어 표준화에 기여했다.[53][54] 인쇄술 도입, 마라티어 표준화, 현대 학교 및 대학 설립은 여성, 달리트, 경작 계층 등 사회의 많은 다른 부문에 문해력과 지식을 확산시켰다.[55]
마라티 공동체는 사회 및 종교 개혁 운동과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인도 민족주의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푸나 사르바자니크 사바, 프라르타나 사마지, 아리아 마힐라 사마지, 사티아 쇼다크 사마지는 마라티 지도자들이 설립한 주목할 만한 시민 사회 단체이다. 푸나 사르바자니크 사바는 1875-1876년 기근 구호 활동에 참여했으며, 인도 국민 회의의 전신으로 여겨진다.[56][57] 고팔 크리슈나 고칼레와 발 강가다르 틸락은 정치적 스펙트럼의 반대편에 있었지만 둘 다 마라티인이었다. 틸락은 시바지 숭배와 가네쉬 숭배를 활용하여 마라티 사람들을 위한 집단적 마하라슈트라 정체성을 형성했다.[58] 마하트마 조티라오 풀레와 그의 아내 사비트리바이 풀레, 판사 라나데, 페미니스트 타라바이 신데, 돈도 케샤브 카르베, 비탈 람지 신데, 판디타 라마바이는 식민지 시대의 마라티 사회 개혁가이다.[59] 조티라오 풀레는 여자들과 마라티 달리트 카스트를 위한 학교를 여는 선구자였다.
20세기 초, 콜라푸르의 샤후의 지원을 받은 힌두교 비 브라만 카스트는 조직화되기 시작했다. 케샤브라오 제데와 바부라오 자발카르는 비 브라만 정당을 이끌며 브라만 지배로부터 간파티와 시바지 축제를 되찾고 민족주의와 반 카스트주의를 결합했다.[60][61] 1930년대 후반, 제데는 비 브라만 정당을 의회 정당과 합병하여 마라타가 지배하는 정당으로 변경했다.[62] B. R. 암베드카르는 마하르 카스트를 포함한 달리트 카스트의 권리를 위한 캠페인을 이끌었다.
나그푸르 출신의 마라티인들은 힌두 민족주의 조직인 라슈트리야 스와얌세바크 상그(RSS)를 설립하고 이끌었다.[63] 비나야크 다모다르 사바르카르는 힌두트바를 공식화하고 힌두 마하사바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65][66][67] 사바르카르의 힌두트바 철학은 RSS 관련 조직의 지침으로 남아 있다.[68]
영국은 인도를 원자재 공급지로 여겼지만, 19세기 말 뭄바이에서 현대적인 제조업이 발전했다.[69] 주요 제품은 면화였으며, 공장 노동력의 대부분은 서부 마하라슈트라, 특히 해안 콩칸 지역 출신의[70][71] 마라티인이었다. 20세기 전반기 뭄바이 인구 조사에서 도시 인구의 거의 절반이 마라티어를 모국어로 지정했다.[72][73]
1835년부터 1907년까지 많은 인도인들이 모리셔스 섬으로 건너가 사탕수수 농장에서 강제 노동자로 일했다. 이 섬의 마라티 사람들은 인도 밖에서 가장 오래된 마라티 사람들의 디아스포라를 형성한다.[74]
마라타는 1761년 1월 14일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아프간 세력에게 대패하여 수만 명의 희생자를 냈다. 이로 인해 마라타 동맹은 붕괴되고, 여러 세력으로 분립되었다. 영국은 제1차 마라타 전쟁, 제2차 마라타 전쟁에서 마라타 동맹을 무너뜨리는 데 실패했지만, 제3차 마라타 전쟁에서 마라타 동맹을 제압하고 지배 영역 전체를 영국 직할령과 번왕국으로 만들었다.
3. 4. 인도 독립 이후 (1947년 ~ 현재)
1947년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봄베이 관구 내의 모든 번왕국은 인도 연방에 가입하여 1950년 봄베이 주로 통합되었다.[75] 작은 마라티 유대인 공동체인 베네 이스라엘은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에 새로 건국된 이스라엘로 이주하기 시작했다.[76][77] 1988년 인도에 남은 베네 이스라엘은 약 4,000~5,000명으로 추산되었다.[78]
1956년 주 재편성법에 따라 인도의 주가 언어적 경계에 따라 재편되면서, 봄베이 관구 주는 마라티어를 사용하는 마라트와다(아우랑가바드 구역)와 비다르바 지역을 추가하여 확대되었다. 이 확장된 주에는 구자라트어 사용 지역도 포함되었으며, 봄베이 주의 최남단은 마이소르에 양도되었다. 1954년부터 1955년까지 마라티 사람들은 이중 언어 봄베이 주에 항의하며 삼유크타 마하라슈트라 사미티를 결성해 마라티어를 사용하는 주를 위한 투쟁을 벌였다.[79][80]
삼유크타 마하라슈트라 운동에는 케샤브라오 제데, S.M. 조쉬, 슈리파드 암리트 당게, 프라라드 케샤브 아트레와 같은 푼 기반 지도자들과 고팔라오 케드카르와 같은 비다르바 기반 지도자들이 뭄바이를 수도로 하는 별도의 마하라슈트라 주를 위해 함께 했다. 대규모 시위, 105명의 사망자, 그리고 1957년 선거에서 국민 회의당의 막대한 손실은 자바할랄 네루 총리가 정책을 변경하고 시위대의 요구에 동의하도록 이끌었다. 1960년 5월 1일, 봄베이 주는 마하라슈트라 주와 구자라트 주로 분리되었고, 뭄바이가 새로운 주의 수도로 선언되었다.[81] 마하라슈트라 주는 벨가움 및 카르와르 구에 대해 카르나타카와 분쟁을 겪고 있다.[82][83][84]
마하라슈트라 주 창설로 대부분의 마라티 사람들이 하나의 주에 속하게 되었고, 농촌의 쿤비-마라타 공동체가 가장 큰 사회 집단으로 부상했다. 이들은 1960년 이후 주의 농촌 경제와 정치를 지배해 왔다.[85][86] 이들은 협동 조합 기관을 지배하고, 경제적 권력을 통해 마을에서 록 사바 의석까지 정치를 통제한다.[87] 1980년대 이후, 이들은 사립 교육 기관 설립에도 적극 참여했다.[88][89][90][91] 마하라슈트라의 주요 정치인들은 이 집단 출신이었다. 최근 시브 세나와 바라티야 자나타 당의 부상은 마하라슈트라 입법 의회에서 마라타 카스트 대표를 훼손하지 않았다.[87]
마라타-쿤비 클러스터 다음으로, 지정 카스트(SC) 마하르족은 마하라슈트라의 마라티 사람들 중 두 번째로 큰 공동체이다. 이들 대부분은 1956년 지도자 B. R. 암베드카르와 함께 불교로 개종했다.[87] 1950년대와 1960년대 이 집단 출신의 작가들은 달리트 문학의 선구자였다.[92]
1962년, 포르투갈령 고아가 해방되었다. 마하라슈트라와디 고만탁 당은 고아의 힌두교인과 마라티 사람들의 친밀감 때문에 고아가 마하라슈트라와 합병되기를 원했다. 그러나 고아 여론 조사에서 합병이 거부되었다. 콘칸어가 고아의 공식 언어가 되었지만, 마라티어도 모든 정부 서신에 허용된다.
1960년대에는 발 타케레가 설립한 시브 세나가 등장했는데, 이 당은 뭄바이에서 마라티 사람들의 권리를 옹호하는 대중적인 종파 정당이었다. 시브 세나는 정부 직책에서 마라티 사람들을 위한 더 많은 기회를 옹호하고, 도시의 남인도 인구에 대한 캠페인을 이끌었다. 1980년대에 이 당은 뭄바이 법인에서 권력을 장악했고, 1990년대에는 바라티야 자나타 당(BJP)과의 연합으로 마하라슈트라 주 정부를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당은 비 마라티 사람들에 대한 수사를 완화하고 더 힌두 민족주의적 입장을 채택했다.
20세기 인도 독립 운동에는 발 강가다르 틸락, 마하데브 고빈드 라나데, 고팔 크리슈나 고칼레,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와 같은 마라타 출신 인물들이 참여했다.
4. 카스트와 공동체
마라타인들은 언어, 역사, 문화 및 종교 관습, 사회 구조, 문학, 예술 측면에서 다른 민족 언어 집단과 구별되는 민족 언어 집단을 형성한다.[93]
전통적인 카스트 계층은 브라만 카스트인 데샤스타들, 치트파반, 카르하데, 사라스와트, 그리고 찬드라세니야 카야스타 프라부가 수장으로 있었다.[94] 영국 통치 시대의 뭄바이에서는 파타레 프라부와 다른 공동체들이 여기에 포함되었다.[95][96][97] 마라타는 서부 마하라슈트라에서 32%를 차지하고, 쿤비는 7%를 차지했으며, 기타 소외 계층 인구(쿤비를 제외)는 27%였다. 중간 계층의 다른 카스트로는 수세기 전에 북부 및 남부 인도에서 마하라슈트라로 이주하여 정착한 구자르, 린가야트, 라지푸트 등이 있다.[98] 망의 인구는 8%였다.[99]
5. 마라티 디아스포라
마라타 제국이 인도 전역으로 확장되면서, 마라티족은 통치자들과 함께 마하라슈트라 밖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페슈와, 홀카르, 신디아, 가이콰드 왕조의 지도자들은 새로운 권력 거점을 건설하면서 상당수의 사제, 서기, 군인, 사업가 및 노동자를 데려갔다. 이 이주민 대부분은 다양한 브라만 하위 카스트와 CKP와 같은 지식인 계층 출신이었다. 이들은 비야라-송가드(수라트), 바도다라(바오다, 인도), 인도르, 글와리오르, 분델칸드, 탄자보르 등 여러 지역에서 새로운 마라타 제국 국가의 행정부의 중추를 형성했다.[107] 이들 중 많은 가족들은 200년 이상 마하라슈트라에서 1,0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살았음에도 여전히 마라티 전통을 따르고 있다.[143]
현대에 마하라슈트라 밖에서 일자리를 찾아 이주한 사람들은 거의 모든 지역에 정착했다. 그들은 전국 여러 도시에 마하라슈트라 만달이라고 불리는 지역 사회 단체를 설립했다. 1958년에 마하라슈트라 밖에서 마라티 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전국적인 중앙 조직인 브리한 마하라슈트라 만달이 결성되었다.[108] 브리한 마하라슈트라 만달의 여러 자매 단체도 인도 밖에서 결성되었다.[109]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라티어 화자는 인도 전체 인구의 6.86%를 차지하며, 인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110] 마라티어 화자의 주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주(State) | 마라티어 화자(2011) | 비율-2011 |
---|---|---|
인도 | 83,026,680 | 6.86% (인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됨) |
마하라슈트라 주 | 77,461,172 | 69.93% |
카르나타카 주 | 2,064,906 | 5.38% |
타밀나두 주 | 85,454 | 0.12% |
안드라프라데시 주/텔랑가나 주 | 674,928 | 2.80% |
차티스가르 주 | 144,035 | 0.56% |
오디샤 주 | 8,617 | 0.02% |
서벵골 주 | 14,815 | 0.02% |
구자라트 주 | 920,345 | 3.52% |
푸두체리 | 890 | 0.07% |
케랄라 주 | 31,642 | 0.09%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 639 | 0.17% |
자르칸드 주 | 8,481 | 0.03% |
델리 | 27,239 | 0.16% |
아삼 주 | 11,641 | 0.04% |
마디아프라데시 주 | 1,231,285 | 2.70% |
고아 주 | 158,787 | 12.89% |
라자스탄 주 | 23,240 | 0.03% |
펀자브 주 | 20,392 | 0.07% |
잠무 카슈미르 | 23,006 | 0.18% |
하리아나 주 | 12,806 | 0.05% |
트리푸라 주 | 1,412 | 0.04% |
우타라칸드 주 | 6,028 | 0.06% |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 2,297 | 0.17% |
나갈랜드 주 | 2,659 | 0.13% |
찬디가르 | 1,252 | 0.12% |
히마찰프라데시 주 | 3,438 | 0.05% |
마니푸르 주 | 1,583 | 0.06% |
다드라 나가르 하벨리 | 24,105 | 7.01% |
메갈라야 주 | 20,751 | 0.70% |
시킴 주 | 1,138 | 0.19% |
다만 디우 | 11,008 | 4.53% |
미조람 주 | 408 | 0.04% |
락샤드위프 | 26 | 0.04% |
비하르 주 | 1,975 | 0.001% |
우타르프라데시 주 | 24,280 | 0.01% |
1800년대 중반, 많은 수의 인도인들이 모리셔스, 피지, 트리니다드 토바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아프리카로 계약 노동자로 이주하여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했다. 이 이주민의 대다수는 힌두스탄어 사용 지역 또는 남인도 출신이었지만, 모리셔스로 이주한 상당수의 이민자들은 마라타인이었다.[111][112]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약 25,000~30,000명의 인도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했으며, 이 중 약 20,000명이 콘칸 출신의 마라티어를 사용하는 베네 이스라엘 공동체였다.[113]
마라타인을 포함한 인도인들은 1세기 이상 유럽, 특히 영국으로 이주했다.[114] 런던의 마하라슈트라 만달은 1932년에 설립되었다.[115] 소수의 마라타인들도 식민 시대에 영국령 동아프리카에 정착했다.[116] 케냐, 우간다, 탕가니카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마라타인을 포함한 그곳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남아시아인들은 영국,[117][118][119] 또는 인도(India)로 이주했다.
1965년 이민 및 국적법이 발효되면서 인도인의 미국 대규모 이민이 시작되었다. 1965년 이후에 온 대부분의 마라타인 이민자들은 의사, 엔지니어 또는 과학자와 같은 전문가였다. 두 번째 이민 물결은 1990년대와 이후의 IT 붐 동안 발생했다.
1990년대 이후 IT 붐과 여행의 일반적인 용이성으로 인해, 마라타인들은 현재 미국, 호주,[120] 캐나다,[121] 걸프 국가, 유럽 국가, 이란, 파키스탄을 포함한 전 세계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다.
파니파트 3차 전투 이후, 마라타인들은 신드와 발루치스탄 지역(오늘날의 파키스탄)에 정착했다. 인도 분할 이후, 많은 마라타 힌두교도들이 인도(India)로 왔다.
5. 1. 인도 내
마라타 제국이 인도 전역으로 확장되면서, 마라티족은 통치자들과 함께 마하라슈트라 밖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페슈와, 홀카르, 신디아, 가이콰드 왕조의 지도자들은 새로운 권력 거점을 건설하면서 상당수의 사제, 서기, 군인, 사업가 및 노동자를 데려갔다. 이 이주민 대부분은 다양한 브라만 하위 카스트와 CKP와 같은 지식인 계층 출신이었다. 이들은 비야라-송가드(수라트), 바도다라(바오다, 인도), 인도르, 글와리오르, 분델칸드, 탄자보르 등 여러 지역에서 새로운 마라타 제국 국가의 행정부의 중추를 형성했다.[107] 이들 중 많은 가족들은 200년 이상 마하라슈트라에서 1,0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살았음에도 여전히 마라티 전통을 따르고 있다.[143]현대에 마하라슈트라 밖에서 일자리를 찾아 이주한 사람들은 거의 모든 지역에 정착했다. 그들은 전국 여러 도시에 마하라슈트라 만달이라고 불리는 지역 사회 단체를 설립했다. 1958년에 마하라슈트라 밖에서 마라티 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전국적인 중앙 조직인 브리한 마하라슈트라 만달이 결성되었다.[108] 브리한 마하라슈트라 만달의 여러 자매 단체도 인도 밖에서 결성되었다.[109]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라티어 화자는 인도 전체 인구의 6.86%를 차지하며, 인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110] 마라티어 화자의 주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주(State) | 마라티어 화자(2011) | 비율-2011 |
---|---|---|
인도 | 83,026,680 | 6.86% (인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됨) |
마하라슈트라 주 | 77,461,172 | 69.93% |
카르나타카 주 | 2,064,906 | 5.38% |
타밀나두 주 | 85,454 | 0.12% |
안드라프라데시 주/텔랑가나 주 | 674,928 | 2.80% |
차티스가르 주 | 144,035 | 0.56% |
오디샤 주 | 8,617 | 0.02% |
서벵골 주 | 14,815 | 0.02% |
구자라트 주 | 920,345 | 3.52% |
푸두체리 | 890 | 0.07% |
케랄라 주 | 31,642 | 0.09%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 639 | 0.17% |
자르칸드 주 | 8,481 | 0.03% |
델리 | 27,239 | 0.16% |
아삼 주 | 11,641 | 0.04% |
마디아프라데시 주 | 1,231,285 | 2.70% |
고아 주 | 158,787 | 12.89% |
라자스탄 주 | 23,240 | 0.03% |
펀자브 주 | 20,392 | 0.07% |
잠무 카슈미르 | 23,006 | 0.18% |
하리아나 주 | 12,806 | 0.05% |
트리푸라 주 | 1,412 | 0.04% |
우타라칸드 주 | 6,028 | 0.06% |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 2,297 | 0.17% |
나갈랜드 주 | 2,659 | 0.13% |
찬디가르 | 1,252 | 0.12% |
히마찰프라데시 주 | 3,438 | 0.05% |
마니푸르 주 | 1,583 | 0.06% |
다드라 나가르 하벨리 | 24,105 | 7.01% |
메갈라야 주 | 20,751 | 0.70% |
시킴 주 | 1,138 | 0.19% |
다만 디우 | 11,008 | 4.53% |
미조람 주 | 408 | 0.04% |
락샤드위프 | 26 | 0.04% |
비하르 주 | 1,975 | 0.001% |
우타르프라데시 주 | 24,280 | 0.01% |
5. 2. 국제
1800년대 중반, 많은 수의 인도인들이 모리셔스, 피지, 트리니다드 토바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아프리카로 계약 노동자로 이주하여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했다. 이 이주민의 대다수는 힌두스탄어 사용 지역 또는 남인도 출신이었지만, 모리셔스로 이주한 상당수의 이민자들은 마라타인이었다.[111][112]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약 25,000~30,000명의 인도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했으며, 이 중 약 20,000명이 콘칸 출신의 마라티어를 사용하는 베네 이스라엘 공동체였다.[113]
마라타인을 포함한 인도인들은 1세기 이상 유럽, 특히 영국으로 이주했다.[114] 런던의 마하라슈트라 만달은 1932년에 설립되었다.[115] 소수의 마라타인들도 식민 시대에 영국령 동아프리카에 정착했다.[116] 케냐, 우간다, 탕가니카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마라타인을 포함한 그곳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남아시아인들은 영국,[117][118][119] 또는 인도(India)로 이주했다.
1965년 이민 및 국적법이 발효되면서 인도인의 미국 대규모 이민이 시작되었다. 1965년 이후에 온 대부분의 마라타인 이민자들은 의사, 엔지니어 또는 과학자와 같은 전문가였다. 두 번째 이민 물결은 1990년대와 이후의 IT 붐 동안 발생했다.
1990년대 이후 IT 붐과 여행의 일반적인 용이성으로 인해, 마라타인들은 현재 미국, 호주,[120] 캐나다,[121] 걸프 국가, 유럽 국가, 이란, 파키스탄을 포함한 전 세계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다.
파니파트 3차 전투 이후, 마라타인들은 신드와 발루치스탄 지역(오늘날의 파키스탄)에 정착했다. 인도 분할 이후, 많은 마라타 힌두교도들이 인도(India)로 왔다.
6. 문화
마라타인의 대다수는 힌두교 신자이다. 종교 소수 집단으로는 무슬림, 불교도, 자이나교도, 기독교인, 파르시교도, 그리고 유대인이 있다.
힌두교 문화의 주요 의례에는 출생, 결혼, 입문 의례, 그리고 죽음 의례가 포함된다. 힌두교 생활의 다른 의례로는 가족이 새 집에 공식적으로 거주하기 전에 수행되는 ''Vastushanti''와 "Satyanarayan"이 있다. 사티아나라야나 푸자는 새로운 시도를 시작하기 전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 수행되는 의례이다. 가족의 고트라와 ''쿨라데바타''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많은 공동체에서 이러한 의례의 중요한 측면이다.[123][124]
다른 대부분의 힌두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마라티족은 매일의 예배를 위해 다양한 신들의 우상, 상징, 그림이 있는 ''데바가르''라고 불리는 가정 신사를 가지고 있다. ''포티''라고 알려진 종교 텍스트를 의례적으로 읽는 것도 일부 공동체에서 인기가 있다.
일부 전통적인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과 손님이 소비하기 전에 먼저 가정 신사에서 선호하는 신에게 음식, 즉 ''나이베디야''를 바친다. 현재에는 ''나이베디야''가 특별한 종교적 의미가 있는 날에만 가족에 의해 제공된다.
많은 마라티족은 그들의 부계 조상을 일곱 또는 여덟 명의 현자, 즉 삽타르시 중 한 명에게서 찾는다. 그들은 조상 리시의 이름을 따서 고트라로 분류한다. 고트라 내에서의 근친 결혼은 최근까지 흔하지 않았고, 권장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마라티 가족은 그들만의 가족 수호신 또는 보호 신인 ''쿨라데바타''를 가지고 있다. 제주리의 칸도바는 일부 가족의 ''쿨라데바타''의 예이며, 브라만과 당가르에서 달리트에 이르기까지 여러 카스트에 공통적인 ''쿨라데바타''이다. ''쿨라데바타''로서 지역 또는 영토 신을 숭배하는 관습은 야다바 왕조 시대에 시작되었다. 마하라슈트라 사람들의 다른 가족 신으로는 툴자푸르의 바바니, 콜라푸르의 마할락시미, 아마라바티의 마할락시미, 마후르의 레누카, 콘칸의 파라슈람, 나시크 지역 바니의 삽타슈링가 언덕에 있는 삽타슈린기, 그리고 발라지가 있다. 쿨라데바타를 숭배하는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가네샤, 비탈라, 그리고 비슈누의 다른 인기 있는 아바타라의 숭배는 전체 공동체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가네쇼차브 축제와 판다르푸르의 비탈 사원으로 가는 연례 와리 순례는 모든 마라티족에게 똑같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출생 시, 아이는 의례적으로 가족에게 입문한다. 아이의 명명식은 몇 주, 심지어 몇 달 후에 열릴 수 있으며, 이를 ''바르사''라고 한다. 마라티 힌두교 가족에서는 세속적인 행사에서 아이가 불가피하게 사용하는 이름은 부모가 결정한 이름이다. 명명식 동안, 아이의 아버지의 누이는 유아의 이름을 짓는 영예를 안는다. 아이가 11개월이 되면 첫 번째 삭발을 한다. 이것 또한 중요한 의식이며, ''자왈(जावळ)''이라고 한다. 마라타 공동체에서는 외삼촌이 이 의식에서 처음으로 머리를 자르는 영예를 받는다.[125]
브라만, CKP, 가우드 사라스와트 브라만 구라브, 다이베드냐, 그리고 일부 마라타 공동체에서는 남자아이가 우파나야남을 겪는다.[126]
마라티 힌두교인들은 역사적으로 카스트 내에서는 내혼이지만 씨족 간에는 외혼이다. 대부분의 마라티 힌두교 공동체는 사촌 간 결혼을 허용한다.[125] 힌두교 결혼은 협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망갈수트라는 여성의 결혼을 상징한다.
결혼을 주선할 때, ''가나'', ''고트라'', ''프라바라'', ''데바카''를 모두 염두에 둔다. 별자리를 대조한다. 결혼식은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신랑은 신부 측과 함께 신부의 집으로 간다. ''아크샤타''라는 의식을 수행하는데, 신랑과 신부 주변의 사람들이 신랑 신부에게 ''할디''(강황)와 ''쿤쿠''(주홍색) 색의 쌀알을 던진다. ''칸야다나'' 의식 후, 신랑과 신부 사이에 화환을 교환한다. 그 다음, 신랑은 신부의 목에 망갈수트라를 묶는다. 이어서 신부의 ''사디/사리''의 끝을 신랑의 도티의 끝에 묶는 ''그란티반단''이 있고, 신랑의 집에서 잔치가 열린다."
전통적인 마라티 힌두교 결혼식의 요소로는 결혼 전날의 ''시만트 푸잔''이 있다. ''다르믹'' 결혼에는 ''안타르파트'' 의식이 포함되며, 이어서 베다 의식이 진행되는데, 여기에는 신랑과 신부가 결혼을 마치기 위해 7번 성스러운 불 주위를 걷는 의식이 포함된다. 현대 도시 결혼식은 저녁 리셉션으로 마무리된다. 마라티 힌두교 여성은 결혼 후 남편의 가족의 일부가 되며 남편 가족의 고트라와 전통을 따른다.
결혼식과 실 의식 후에, 많은 마라타, 데샤스타 브라만 및 단가르 가족은 곤달리 그룹의 전통적인 종교적 노래 공연을 주선한다.
마라티 힌두교인들은 화장으로 죽은 사람을 처리한다.[127] 고인의 아들은 시신을 상여 위에 얹어 화장터로 운반한다. 장남은 남자의 경우 머리, 여자의 경우 발에서 시신에 불을 붙인다. 재는 흙 항아리에 모아 사망 후 3일째 강에 담근다. 이것은 13일간의 의식으로, 11일째에는 죽은 영혼에게 ''핀다''를 바치고, 그 다음에는 ''슈라다 (Shrāddha) 의식''과 장례 잔치가 13일째에 열린다. 화장은 베다 의식에 따라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개인이 사망한 지 하루 이내에 이루어진다. 다른 모든 힌두교인과 마찬가지로, 재는 강에 담그는 것을 선호한다. 갠지스 강 또는 고다바리 강과 같은 성스러운 강은 현대 시대에 여행이 쉬워지면서 이 의식에 점점 더 대중화되었다. ''슈라다''는 매년 열리는 의식이 되어, 돌아가신 가족의 모든 조상을 기린다. 이 의식은 남성 후손, 가급적이면 고인의 장남만 수행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모든 조상에 대한 연례 ''슈라다''는 일반적으로 힌두교 달의 바드라파다의 어두운 2주인 피트루 팍샤 동안 수행된다.[128]
마라티족은 데칸 샤리바하나 힌두 달력을 따른다. 이 달력은 음력 달이 무월일에 끝나는 아마타 전통을 따른다.[129]
마라티 힌두교도는 다사라, 디왈리 및 락샤 반단과 같은 대부분의 인도 힌두교 축제를 기념한다. 그러나 이러한 축제는 특정 마하라슈트라 지역 변형으로 기념된다. 가네샷사브와 같은 다른 축제는 더 특징적인 마라티 풍미를 가지고 있다. 아래에 설명된 축제는 구디 파드와의 샤카 신년 축제로 시작하여 샤카력 동안 발생하는 연대순으로 나열된다.[130][131]
- 구디 파드와: 이 날 집 밖에는 승리 기둥 또는 구디가 세워진다. 이 날은 힌두 달력에서 가장 길한 날 중 3일 반 중 하나로 간주되며 새로운 사업 시작 등 많은 새로운 벤처와 활동이 이 날 시작된다. 님 잎 또는 shrikhand는 이 날의 음식의 일부이다. 이 날은 또한 칸나다와 텔루구 신년인 우가디로도 알려져 있다.[132]
- 악샤야 트리티야: 바이샤크의 세 번째 날은 악샤야 트리티야로 기념된다. 이 날은 힌두 달력에서 가장 길한 날 중 3일 반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4월에 발생한다. 비다르바 지역에서는 이 축제를 가족 중 떠난 구성원을 기리기 위해 기념한다. 상위 카스트는 이 날 브라만과 결혼한 부부에게 음식을 제공한다. 마하르 커뮤니티는 까마귀에게 음식을 제공하여 이 날을 기념했다.[133] 이 날은 여성들이 여성들을 위해 조직하는 사교 모임인 할디-쿤쿠 축제의 마지막 날을 기념한다. 결혼한 여성들은 즐거움과 재미의 분위기 속에서 친구, 친척, 새로운 지인들을 초대한다. 이러한 경우, 주최자는 팔찌, 과자, 작은 참신함, 꽃, 빈랑 잎 및 견과류뿐만 아니라 코코넛을 나누어준다. 간식에는 카이리치 판헤(생 망고 주스)와 부서진 병아리콩으로 준비한 요리인 밧리 달이 포함된다.[134]
- 바트 푸르니마: 이 축제는 예슈타 푸르니마로, 6월경에 기념된다. 이 날, 여성들은 단식하고 광범위한 나무처럼 수 세기 동안 살아있는 반얀 나무를 숭배하여 가족의 성장과 힘을 기원한다. 결혼한 여성들은 근처 나무를 방문하여 사랑의 붉은 실을 나무에 묶어 숭배한다. 그들은 남편의 안녕과 장수를 기원한다.
- 아샤디 에카다시: 아샤디 에카다시는 마라티 산트의 즈나네슈와르, 투카람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날 20일 전부터 수천 명의 와르카리들이 성자의 휴식처에서 판다르푸르로 순례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즈나네슈와르의 경우, 즈나네슈와르의 파두카(나무로 만든 상징적인 샌들)를 팔라키에 넣어 알란디에서 시작한다. 와르카리들은 손에 탈스 또는 작은 심벌즈를 들고, 목에는 툴라시로 만든 힌두교 묵주를 착용하고, 비탈라에 대한 경건한 찬송가와 기도를 부르고 춤을 춘다. 마하라슈트라 전역의 사람들은 이 날 단식하고 사원에서 기도한다. 이 날은 힌두 달력에 따르면 차투르마스의 시작을 기념한다. 이 날은 마라티 힌두교도에게 가장 중요한 단식 날 중 하나이다.
- 구루 푸르니마: 아샤드 달의 보름달 날은 구루 푸르니마로 기념된다. 힌두교도에게 구루-시샤(스승-제자) 전통은 매우 중요하다. 구루는 종종 신과 동일시되며 항상 개인과 불멸 사이의 연결 고리로 여겨진다. 이 날 영적인 지망생과 헌신자들은 구루의 구루로 여겨지는 마하르시 비야사를 숭배한다.
- 디비얀치 아마바샤: 아사드/아샤드 달의 초승달 날/마지막 날은 디비얀치 아마바샤로 기념된다. 이 초승달은 아사드 달의 끝과 힌두 달력에서 가장 경건한 달로 여겨지는 슈라반 달의 도래를 의미한다. 이 날, 집의 모든 전통적인 램프는 청소되고 신선한 심지가 넣어진다. 그런 다음 램프에 불을 켜고 숭배한다.
- 나가 판차미: 마라티 사람들이 자연을 기념하고 숭배하는 인도 내 많은 축제 중 하나이다. 나가(코브라)는 힌두 달력에서 슈라반 달의 5번째 날(8월경)에 숭배된다. 나가판차미 날, 사람들은 수컷과 암컷 뱀과 9마리의 자손 또는 나쿨을 묘사한 나가 가족을 그린다. 나가 가족을 숭배하고 우유 한 그릇과 젖은 찬단(백단향 가루)을 제공한다. 나가 신이 가정을 방문하여 촉촉한 찬단에서 유유자적하는 것을 즐기고, 우유를 마시고 가정에 행운을 축복한다고 믿어진다. 여성들은 전날 임시 헤나 문신(멘디)을 손에 하고, 나가판차미 날에 새 팔찌를 구입한다. 민속에 따르면, 사람들은 뱀에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이 날 흙을 파거나, 채소를 자르거나, 튀기거나, 뜨거운 판에서 굽는 것을 자제하며, 농부들은 농장을 쟁기질하지 않는다. 마하라슈트라의 바티스 시랄라라는 작은 마을에서는 세계 각지에서 수천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큰 뱀 축제가 열린다. 마하라슈트라의 다른 지역에서는 뱀을 담은 바구니를 들고 길가에 앉아 있거나 이곳저곳으로 이동하는 뱀 조련사를 볼 수 있다. 그들은 푸응기에서 감미로운 멜로디를 연주하는 동안 "나가오바-라 두드 데 마이"(엄마 뱀에게 우유를 주세요!)라는 외침으로 헌신자들을 부른다. 여성들은 단 우유, 팝콘을 뱀에게 제공하고 기도한다. 현금과 낡은 옷도 뱀 조련사에게 주어진다. 솔라푸르 지구의 바르시 타운에서는 틸락 초크의 나가오바 만디르에서 큰 자트라(카니발)가 열린다.
- 라키 푸르니마 및 나랄리 푸르니마: 나랄리 푸르니마는 샤카 힌두 달력에서 슈라반 달의 보름달 날에 기념된다(8월경). 이 날은 해안 콘칸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축제인데, 어업의 새 시즌이 이 날 시작되기 때문이다. 어부와 여성들은 바다에 코코넛을 바치고 평화로운 시즌을 기원하며 바다가 잔잔하게 유지되기를 기도한다. 같은 날은 마하라슈트라와 북부 인도의 다른 지역에서 형제와 자매 사이의 지속적인 유대를 기념하기 위해 라키 푸르니마로 기념된다. 나랄리 바트(코코넛과 함께 달콤한 쌀)는 이 날의 주요 요리이다. 이 날, 브라만 남성은 성스러운 실을 샤라바니라고 불리는 공동 모임에서 바꾼다.

- 고쿨 아슈타미: 크리슈나의 생일은 인도 전역에서 슈라반 달의 2주기 8번째 날(보통 8월)에 큰 열정으로 기념된다. 마하라슈트라에서 고쿨 아슈타미는 다히 한디 의식과 동의어이다. 이것은 천장에 매달린 마트카(흙 항아리)에서 버터를 훔치려는 크리슈나의 노력을 재현한 것이다. 우유, 커드, 버터, 꿀, 과일 등으로 채워진 큰 흙 항아리가 거리에 20~40 피트 높이에 매달려 있다. 젊은 남성과 소년들로 구성된 팀들이 이 상을 얻기 위해 나선다. 그들은 서로의 어깨 위에 서서 항아리에 닿을 수 있을 만큼 높이 올라가 꼭대기에 있는 사람이 항아리를 깨고 내용물을 차지할 수 있도록 인간 피라미드를 만든다. 화폐는 종종 항아가 매달린 밧줄에 묶여 있다. 상금은 피라미드 건설에 참여하는 사람들 사이에 분배된다. 다히-한디는 엄청난 군중을 끌어모으며, 그들은 '고빈다 알라 레 알라'를 외치며 이 항아리를 잡으려는 팀을 지원한다.

- 망갈라 가우르: 파힐리 망갈라 가우르는 마라티 브라만 사이에서 새로운 신부에게 가장 중요한 축제 중 하나이다. 결혼 후 1년 이내에 해당하는 슈라반 달의 화요일에 새로운 신부는 남편과 새로운 가족의 안녕을 위해 시블링 푸자를 수행한다. 또한 모든 여성들을 위한 사교 모임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수다, 게임, 우케인 및 풍성한 음식이 포함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다음 날 아침 일찍까지 짐마, 푸가디, 벤디를 연주한다.

- 바일 폴라: 이 축제는 농업 황소의 공로를 기리기 위해 슈라반 달의 초승달 날(피토리 아마바샤, 8월-9월)에 기념된다. 이 날 황소는 소유자에 의해 장식되어 마을을 행진한다.[135] 이 축제는 마하라슈트라 및 다른 남부 인도 주들의 시골 지역에서 인기가 있다.[136]
- 하르탈리카: 바드라파다 달의 세 번째 날(보통 8월/9월경)은 수확과 번영의 녹색과 황금 여신 하리타 가우리에게 경의를 표하여 하르탈리카로 기념된다. 화려하게 장식된 파르바티의 형태인 가우리는 가네샤의 어머니로 숭배된다. 여성들은 이 날 단식하고 저녁에 녹색 잎으로 시바와 파르바티를 숭배한다. 기혼 여성과 미혼 여성 모두 이 단식을 지킬 수 있다.

- 가네샷사브: 이 11일 축제는 지혜의 신인 가네샤를 기리기 위해 바드라파다의 네 번째 날인 가네쉬 차투르티에 시작된다. 힌두교 가정에서는 샤두라고 불리는 점토로 만든 가네샤 상을 집에 설치하고 수채화로 칠한다. 이 날 아침 일찍 간파티 바파 모리야를 외치며 가네샤의 점토상을 집으로 가져와 장식된 플랫폼에 설치한다. 이 상은 아침과 저녁에 꽃, 두르바, 카란지 및 모닥을 바쳐 숭배한다.[137][138] 숭배는 가네샤, 다른 신과 성인에게 경의를 표하는 아르티를 부르는 것으로 끝난다. 숭배에는 17세기 성인 사마르트 람다스가 작곡한 수카르타 두카하르타를 부르는 것이 포함된다.[139] 가족 전통은 언제 축제를 끝낼지에 대해 다르다. 가정 축하는 1.5일, 3, 5, 7 또는 11일 후에 끝난다. 그 때 상은 의식적으로 호수, 강 또는 바다와 같은 물가로 침수된다. 마하라슈트라에서 가네샷사브는 또한 다른 축제, 즉 하르탈리카와 가우리 축제를 통합하는데, 전자는 가네쉬 차투르티 전날 여성들이 단식하며, 후자는 가우리 상을 설치하여 기념한다.[140] 1894년, 민족주의 지도자 록마냐 틸락은 이 축제를 영국 식민 통치에 맞서 싸우는 공동 목표를 향해 사람들을 통합하는 수단으로 공공 행사로 만들었다. 이 공공 축제는 음악 콘서트, 오케스트라, 연극 및 스킷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으로 11일 동안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 헌혈,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장학금 또는 자연 재해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의 기부와 같은 일부 사회 활동도 수행된다. 환경 문제로 인해, 많은 가족들이 이제 물가를 피하고, 점토 동상이 집에서 물통에서 붕괴되도록 한다. 며칠 후 점토는 집 정원에 뿌려진다. 일부 도시에서는 공공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과정이 침수에 사용된다.[141]
- 가우리/마할락슈미: 가네샤와 함께, 가우리 축제가 마하라슈트라에서 기념된다. 3일 축제의 첫날, 가우리가 집에 도착하고, 다음 날에는 다양한 과자로 점심을 먹고, 세 번째 날에는 집으로 돌아간다. 가우리는 한 쌍으로 도착하며, 하나는 예슈타(장녀)로, 다른 하나는 카니스타(차녀)로 온다. 그들은 부모님의 집에 도착하는 딸을 나타내므로 사랑으로 대접받는다. 마하라슈트라의 많은 지역에서 이 축제를 마할락슈미라고 부른다.
- 안안트 차투르다시: 가네쉬 축제의 11일(바드라파다 달의 14일)은 안안트 차투르다시로 기념되며, 이는 축제의 끝을 기념한다. 사람들은 집/공공 장소에서 설치된 상을 물에 담그고 '가나파티 바파 모리야, 푸드크야 와르시 라와카르 야!!'를 외치며 눈물의 작별을 고한다. 일부 사람들은 또한 아난타 푸자의 전통적인 맹세를 지킨다. 여기에는 비슈누가 거주하는 뱀의 코일 또는 셰샤인 아난타를 숭배하는 것이 포함된다. 14가지 야채의 맛있는 혼합물이 이 날 나이베디암으로 준비된다.
- 나바라트리 및 가타스타파나: 힌두 달력에서 아슈빈 달의 첫째 날(10월경)부터 시작하여 가장 중요한 축제인 다사라 직전의 9일과 밤의 축제는 인도 전역에서 다양한 전통으로 기념된다. 마하라슈트라에서는 이 10일 축제의 첫날, 여신 두르가의 상이 많은 집에 의식적으로 설치된다. 이 여신의 설치는 가타스타파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142]

이 나바바트리 동안, 소녀와 여성은 '본들라/하드가'를 공연한다. 9일 동안, 본들라는 집의 딸의 여성 친구들을 초대하여 저녁 시간에 정원이나 테라스에서 기념된다. 코끼리는 랑골리를 사용하여 흙 위에 그리거나, 칠판에 분필로 그려 가운데에 놓는다. 소녀들은 서로 손을 잡고 본들라 노래를 부르며 원을 돈다. 모든 본들라 노래는 대대로 전해지는 전통 노래이다. 마지막 노래는 일반적으로 '…키라파티라 카이 가?'라는 단어로 끝난다. 이 키라파티는 특별한 요리 또는 요리이며, 종종 주최자 소녀의 어머니가 힘들게 만든다. 음식은 다른 소녀들이 덮인 요리가 무엇인지 정확히 추측한 후에만 제공된다. 나바라트리 축제를 기념하는 방식에는 몇 가지 변형이 있다. 예를 들어, 많은 브라만 가족에서 축제에는 특별 초청된 손님 그룹에게 9일 동안 점심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손님에는 기혼 여성, 브라만, 처녀가 포함된다. 아침과 저녁에는 가족의 가장이 여신 두르가, 락슈미 또는 사라스와티를 의식적으로 숭배한다. 8일째에는 일부 가족에서 특별한 의식을 수행한다. 쌀 마스크로 된 여신 마할락슈미의 조각상이 준비되어 새로 결혼한 소녀들에 의해 숭배된다. 그 날 저녁에는 여성들이 여신을 기쁘게 하기 위해 흙이나 금속 냄비에 불어 넣는다. 가족 모두는 구절과 바잔을 외치며 그들을 동반한다. 9일 축제는 야드나 또는 힌두교 성전의 읽기로 끝난다.[143]
- 다사라: 이 축제는 힌두 달력에 따라 아슈빈 달의 열 번째 날(10월경)에 기념된다. 이 날은 모든 순간이 중요한 힌두 음력 달력에서 가장 길한 날 중 3일 반 중 하나이다. 마지막 날(다사라 날)에는 나바라트리의 첫날에 설치된 상이 물에 담겨진다. 이 날은 또한 라마가 라바나를 물리친 것을 기념한다. 사람들은 서로 방문하여 과자를 교환한다. 이 날 사람들은 압타 나무를 숭배하고[144] 그 잎(금색 잎으로 알려짐)을 교환하며 서로 황금 같은 미래를 기원한다. 라마의 조상인 라구라자, 압타 나무, 쿠베르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또한 판다바가 망명 기간 동안 무기를 숨긴 샤미 나무에 대한 또 다른 전설이 있다.
- 코자가리 푸르니마: 산스크리트어를 '코 자가르티?'로 축약하여 작성된 코자가리는 아슈윈 달의 보름달 날에 기념된다. 이 코자가리 밤에 여신 락슈미가 모든 집을 방문하여 '코 자가르티?'라고 묻고 깨어 있는 사람들에게 행운과 번영을 축복한다고 한다. 여신을 환영하기 위해 집, 사원, 거리 등이 밝게 조명된다. 사람들은 이 밤에 일반적으로 열린 공간에서 함께 모여 자정까지 게임을 한다. 그 시간, 샤프란과 다양한 종류의 건과일로 끓인 우유에 보름달이 비치는 것을 본 후, 그들은 그 혼합물을 마신다. 집안의 맏이가 이 날 존경받는다.

- 디왈리: 인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디왈리는 4~5일간 지속되는 축제로, 가장 인기 있는 힌두교 축제 중 하나이다. 집은 파나티라고 불리는 점토 램프 열로 축제를 위해 조명되고 랑골리와 아카시 칸딜로 장식된다. 디왈리는 새 옷, 폭죽, 다양한 과자와 함께 가족 및 친구들과 함께 기념된다. 마라티 전통에서 디왈리 기간 동안 가족 구성원은 새벽 전에 의식적인 목욕을 하고 튀긴 과자와 짭짤한 간식으로 아침 식사를 한다. 이러한 과자와 간식은 축제 기간 동안 집에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며 이웃과 교환된다. 전형적인 단 음식 준비에는 라두, 안아르세, 샹카르팔리, 카란지야가 포함된다. 인기 있는 짭짤한 음식에는 차클리, 셰브 및 치보다가 포함된다.[145] 지방이 많고 수분이 적기 때문에 이러한 간식은 부패하지 않고 실온에서 여러 주 동안 보관할 수 있다.
- 카르티키 에카다시 및 툴쉬차 라그나: 카르티크 달의 11일은 차투르마스의 끝을 기념하며 카르티키 에카다시라고 한다. 이 날, 힌두교도, 특히 비슈누의 추종자들은 4개월의 요가니다라 후 그의 깨어남을 기념한다. 사람들은 그를 숭배하고 하루 종일 단식한다. 같은 날 저녁 또는 다음 날 저녁은 툴쉬 비바 또는 툴쉬차 라그나로 표시된다. 툴시 (성 바질 식물)는 힌두교도에 의해 신성하게 여겨지는데, 브린다로 태어난 마할락슈미의 화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디왈리 축제의 끝은 툴쉬차 라그나의 시작을 기념한다. 마라티족은 집에서 성스러운 툴시 식물과 크리슈나의 결혼을 조직한다. 이 날 툴시 브룬다반은 신부처럼 채색되고 장식된다. 사탕수수와 타마린드 및 암라 나무의 가지는 툴시 식물과 함께 심어진다. 가짜 결혼이지만, 실제 마하라슈트라 결혼의 모든 의식이 수행된다. 가족과 친구들이 이 결혼식에 모이는데, 보통 늦은 저녁에 열린다. 다양한 포헤 요리가 크리슈나에게 제공된 다음 가족 구성원 및 친구들에게 배포된다. 이것은 또한 결혼 시즌의 시작을 기념한다.
이 축제는 3일 동안 지속되며 카르티키 푸르니마 또는 트리푸라리 푸르니마에 끝난다.

- 칸도바 축제/참파 샤쉬티: 이 축제는 힌두교 마르가쉬르샤 달의 밝은 2주기의 첫째 날부터 여섯째 날까지, 즉 6일 동안 진행된다. 많은 마라티 가족들이 칸도바를 기리기 위해 기념한다. 나바라트리와 유사한 가타스타파나가 이 축제 기간 동안 가구에서도 열린다. 많은 가족들도 이 기간 동안 단식을 한다. 단식은 참파 샤쉬티라고 불리는 축제의 여섯째 날에 끝난다.[146] 일부 마라티 힌두교 공동체에서는 차투르마스 기간이 참파 사쉬티에 끝난다. 이 공동체에서는 차투르마스 기간 동안 양파, 마늘 및 가지를 섭취하지 않는 것이 관례이므로, 이러한 음식의 섭취는 바릿과 로드가, 자와리(흰색 수수)로 준비한 작은 둥근 평평한 빵의 의식적 준비로 재개된다.
- 다르슈벨 아마바샤: 힌두교 파우샤 달의 마지막 날이다. 이 축제는 대부분
6. 1. 종교
마라타인의 대다수는 힌두교 신자이다. 종교 소수 집단으로는 무슬림, 불교도, 자이나교도, 기독교인, 파르시교도, 그리고 유대인이 있다.6. 2. 힌두교 관습
힌두교 문화의 주요 의례에는 출생, 결혼, 입문 의례, 그리고 죽음 의례가 포함된다. 힌두교 생활의 다른 의례로는 가족이 새 집에 공식적으로 거주하기 전에 수행되는 ''Vastushanti''와 "Satyanarayan"이 있다. 사티아나라야나 푸자는 새로운 시도를 시작하기 전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 수행되는 의례이다. 가족의 고트라와 ''쿨라데바타''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많은 공동체에서 이러한 의례의 중요한 측면이다.[123][124]
다른 대부분의 힌두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마라티족은 매일의 예배를 위해 다양한 신들의 우상, 상징, 그림이 있는 ''데바가르''라고 불리는 가정 신사를 가지고 있다. ''포티''라고 알려진 종교 텍스트를 의례적으로 읽는 것도 일부 공동체에서 인기가 있다.
일부 전통적인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과 손님이 소비하기 전에 먼저 가정 신사에서 선호하는 신에게 음식, 즉 ''나이베디야''를 바친다. 이 종교적 제물 전에 식사나 간식을 먹지 않는다. 현재에는 ''나이베디야''가 특별한 종교적 의미가 있는 날에만 가족에 의해 제공된다.
많은 마라티족은 그들의 부계 조상을 일곱 또는 여덟 명의 현자, 즉 삽타르시 중 한 명에게서 찾는다. 그들은 조상 리시의 이름을 따서 고트라로 분류한다. 고트라 내에서의 근친 결혼(사고트라 비바하)은 근친상간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최근까지 흔하지 않았고, 권장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마라티 가족은 그들만의 가족 수호신 또는 보호 신인 ''쿨라데바타''를 가지고 있다. 이 신은 공통 조상을 통해 서로 연결된 여러 가족의 혈통 또는 씨족에 공통적으로 해당된다. 제주리의 칸도바는 일부 가족의 ''쿨라데바타''의 예이며, 브라만과 당가르에서 달리트에 이르기까지 여러 카스트에 공통적인 ''쿨라데바타''이다. ''쿨라데바타''로서 지역 또는 영토 신을 숭배하는 관습은 야다바 왕조 시대에 시작되었다. 마하라슈트라 사람들의 다른 가족 신으로는 툴자푸르의 바바니, 콜라푸르의 마할락시미, 아마라바티의 마할락시미, 마후르의 레누카, 콘칸의 파라슈람, 나시크 지역 바니의 삽타슈링가 언덕에 있는 삽타슈린기, 그리고 발라지가 있다. 쿨라데바타를 숭배하는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가네샤, 비탈라, 그리고 비슈누의 다른 인기 있는 아바타라, 예를 들어 라마 또는 크리슈나의 숭배는 전체 공동체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가네쇼차브 축제와 판다르푸르의 비탈 사원으로 가는 연례 와리 순례는 모든 마라티족에게 똑같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6. 2. 1. 의식과 의례
출생 시, 아이는 의례적으로 가족에게 입문한다. 아이의 명명식은 몇 주, 심지어 몇 달 후에 열릴 수 있으며, 이를 ''바르사''라고 한다. 많은 인도 힌두교 공동체에서는 아이의 별자리 운세를 참고하여 이름을 짓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아이의 달의 징표(''라시''라고 함)에 따라 다양한 이름을 제시한다. 그러나 마라티 힌두교 가족에서는 세속적인 행사에서 아이가 불가피하게 사용하는 이름은 부모가 결정한 이름이다. 별자리를 기준으로 이름을 선택한 경우, 아이의 인생에서 마법이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해 비밀로 유지된다. 명명식 동안, 아이의 아버지의 누이는 유아의 이름을 짓는 영예를 안는다. 아이가 11개월이 되면 첫 번째 삭발을 한다. 이것 또한 중요한 의식이며, ''자왈(जावळ)''이라고 한다. 마라타 공동체에서는 외삼촌이 이 의식에서 처음으로 머리를 자르는 영예를 받는다.[125]
브라만, CKP, 가우드 사라스와트 브라만 구라브, 다이베드냐, 그리고 일부 마라타 공동체에서는 남자아이가 Munja(의식적 규정의 Munja 풀을 지칭)라고도 불리는 입문 실 의식, ''브라타반다'', 또는 우파나야남을 겪는다.[126]
마라티 힌두교인들은 역사적으로 카스트 내에서는 내혼이지만 씨족 간에는 외혼이다. 대부분의 마라티 힌두교 공동체는 사촌 간 결혼을 허용한다.[125] 힌두교 결혼은 협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망갈수트라는 여성의 결혼을 상징한다.
결혼을 주선할 때, ''가나'', ''고트라'', ''프라바라'', ''데바카''를 모두 염두에 둔다. 별자리를 대조한다. 결혼식은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신랑은 신부 측과 함께 신부의 집으로 간다. ''아크샤타''라는 의식을 수행하는데, 신랑과 신부 주변의 사람들이 신랑 신부에게 ''할디''(강황)와 ''쿤쿠''(주홍색) 색의 쌀알을 던진다. ''칸야다나'' 의식 후, 신랑과 신부 사이에 화환을 교환한다. 그 다음, 신랑은 신부의 목에 망갈수트라를 묶는다. 이어서 신부의 ''사디/사리''의 끝을 신랑의 도티의 끝에 묶는 ''그란티반단''이 있고, 신랑의 집에서 잔치가 열린다."
전통적인 마라티 힌두교 결혼식의 요소로는 결혼 전날의 ''시만트 푸잔''이 있다. ''다르믹'' 결혼에는 ''안타르파트'' 의식이 포함되며, 이어서 베다 의식이 진행되는데, 여기에는 신랑과 신부가 결혼을 마치기 위해 7번 성스러운 불 주위를 걷는 의식이 포함된다. 현대 도시 결혼식은 저녁 리셉션으로 마무리된다. 마라티 힌두교 여성은 결혼 후 남편의 가족의 일부가 되며 남편 가족의 고트라와 전통을 따른다.
결혼식과 실 의식 후에, 많은 마라타, 데샤스타 브라만 및 단가르 가족은 곤달리 그룹의 전통적인 종교적 노래 공연을 주선한다.
마라티 힌두교인들은 화장으로 죽은 사람을 처리한다.[127] 고인의 아들은 시신을 상여 위에 얹어 화장터로 운반한다. 장남은 남자의 경우 머리, 여자의 경우 발에서 시신에 불을 붙인다. 재는 흙 항아리에 모아 사망 후 3일째 강에 담근다. 이것은 13일간의 의식으로, 11일째에는 죽은 영혼에게 ''핀다''를 바치고, 그 다음에는 ''슈라다 (Shrāddha) 의식''과 장례 잔치가 13일째에 열린다. 화장은 베다 의식에 따라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개인이 사망한 지 하루 이내에 이루어진다. 다른 모든 힌두교인과 마찬가지로, 재는 강에 담그는 것을 선호한다. 갠지스 강 또는 고다바리 강과 같은 성스러운 강은 현대 시대에 여행이 쉬워지면서 이 의식에 점점 더 대중화되었다. ''슈라다''는 매년 열리는 의식이 되어, 돌아가신 가족의 모든 조상을 기린다. 이 의식은 남성 후손, 가급적이면 고인의 장남만 수행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모든 조상에 대한 연례 ''슈라다''는 일반적으로 힌두교 달의 바드라파다의 어두운 2주인 피트루 팍샤 동안 수행된다.[128]
6. 2. 2. 힌두 달력과 축제
마라티족, 칸나다 및 텔루구족은 인도 다른 지역 사회에서 따르는 달력과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데칸 샤리바하나 힌두 달력을 따른다. 이 달력은 음력 달이 무월일에 끝나는 아마타 전통을 따른다.[129]
마라티 힌두교도는 다사라, 디왈리 및 락샤 반단과 같은 대부분의 인도 힌두교 축제를 기념한다. 그러나 이러한 축제는 특정 마하라슈트라 지역 변형으로 기념된다. 가네샷사브와 같은 다른 축제는 더 특징적인 마라티 풍미를 가지고 있다. 아래에 설명된 축제는 구디 파드와의 샤카 신년 축제로 시작하여 샤카력 동안 발생하는 연대순으로 나열된다.[130][131]
- 구디 파드와: 이 날 집 밖에는 승리 기둥 또는 구디가 세워진다. 이 날은 힌두 달력에서 가장 길한 날 중 3일 반 중 하나로 간주되며 새로운 사업 시작 등 많은 새로운 벤처와 활동이 이 날 시작된다. 님 잎 또는 shrikhand는 이 날의 음식의 일부이다. 이 날은 또한 칸나다와 텔루구 신년인 우가디로도 알려져 있다.[132]
- 악샤야 트리티야: 바이샤크의 세 번째 날은 악샤야 트리티야로 기념된다. 이 날은 힌두 달력에서 가장 길한 날 중 3일 반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4월에 발생한다. 비다르바 지역에서는 이 축제를 가족 중 떠난 구성원을 기리기 위해 기념한다. 상위 카스트는 이 날 브라만과 결혼한 부부에게 음식을 제공한다. 마하르 커뮤니티는 까마귀에게 음식을 제공하여 이 날을 기념했다.[133] 이 날은 여성들이 여성들을 위해 조직하는 사교 모임인 할디-쿤쿠 축제의 마지막 날을 기념한다. 결혼한 여성들은 즐거움과 재미의 분위기 속에서 친구, 친척, 새로운 지인들을 초대한다. 이러한 경우, 주최자는 팔찌, 과자, 작은 참신함, 꽃, 빈랑 잎 및 견과류뿐만 아니라 코코넛을 나누어준다. 간식에는 카이리치 판헤(생 망고 주스)와 부서진 병아리콩으로 준비한 요리인 밧리 달이 포함된다.[134]
- 바트 푸르니마: 이 축제는 예슈타 푸르니마 (힌두 달력에서 예슈타 달의 보름달)로, 6월경에 기념된다. 이 날, 여성들은 단식하고 광범위한 나무처럼 수 세기 동안 살아있는 반얀 나무를 숭배하여 가족의 성장과 힘을 기원한다. 결혼한 여성들은 근처 나무를 방문하여 사랑의 붉은 실을 나무에 묶어 숭배한다. 그들은 남편의 안녕과 장수를 기원한다.
- 아샤디 에카다시: 아샤디 에카다시 ( 아샤다 달의 11번째 날, ( 그레고리력의 7월~8월 초에 해당))는 마라티 산트의 즈나네슈와르, 투카람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날 20일 전부터 수천 명의 와르카리들이 성자의 휴식처에서 판다르푸르로 순례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즈나네슈와르의 경우, 즈나네슈와르의 파두카(나무로 만든 상징적인 샌들)를 팔라키에 넣어 알란디에서 시작한다. 와르카리들은 손에 탈스 또는 작은 심벌즈를 들고, 목에는 툴라시로 만든 힌두교 묵주를 착용하고, 비탈라에 대한 경건한 찬송가와 기도를 부르고 춤을 춘다. 마하라슈트라 전역의 사람들은 이 날 단식하고 사원에서 기도한다. 이 날은 힌두 달력에 따르면 차투르마스 (4개의 몬순 달, 아사드에서 카르티크까지)의 시작을 기념한다. 이 날은 마라티 힌두교도에게 가장 중요한 단식 날 중 하나이다.
- 구루 푸르니마: 아샤드 달의 보름달 날은 구루 푸르니마로 기념된다. 힌두교도에게 구루-시샤(스승-제자) 전통은 교육적이든 영적이든 매우 중요하다. 구루는 종종 신과 동일시되며 항상 개인과 불멸 사이의 연결 고리로 여겨진다. 이 날 영적인 지망생과 헌신자들은 구루의 구루로 여겨지는 마하르시 비야사를 숭배한다.
- 디비얀치 아마바샤: 아사드/아샤드 (그레고리력 6월과 7월 사이에 해당) 달의 초승달 날/마지막 날은 디비얀치 아마바샤로 기념된다. 이 초승달은 아사드 달의 끝과 힌두 달력에서 가장 경건한 달로 여겨지는 슈라반 달의 도래를 의미한다. 이 날, 집의 모든 전통적인 램프는 청소되고 신선한 심지가 넣어진다. 그런 다음 램프에 불을 켜고 숭배한다. 사람들은 밀가루 반죽을 찐 다음 작은 램프처럼 모양을 내어 준비한 디바(문자 그대로 램프)라는 특정 품목을 요리한다. 이것은 따뜻하게 먹으며 기(ghee)와 함께 제공된다.
- 나가 판차미: 마라티 사람들이 자연을 기념하고 숭배하는 인도 내 많은 축제 중 하나이다. 나가(코브라)는 힌두 달력에서 슈라반 달의 5번째 날(8월경)에 숭배된다. 나가판차미 날, 사람들은 수컷과 암컷 뱀과 9마리의 자손 또는 나쿨을 묘사한 나가 가족을 그린다. 나가 가족을 숭배하고 우유 한 그릇과 젖은 찬단(백단향 가루)을 제공한다. 나가 신이 가정을 방문하여 촉촉한 찬단에서 유유자적하는 것을 즐기고, 우유를 마시고 가정에 행운을 축복한다고 믿어진다. 여성들은 전날 임시 헤나 문신(멘디)을 손에 하고, 나가판차미 날에 새 팔찌를 구입한다. 민속에 따르면, 사람들은 뱀에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이 날 흙을 파거나, 채소를 자르거나, 튀기거나, 뜨거운 판에서 굽는 것을 자제하며, 농부들은 농장을 쟁기질하지 않는다. 마하라슈트라의 바티스 시랄라라는 작은 마을에서는 세계 각지에서 수천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큰 뱀 축제가 열린다. 마하라슈트라의 다른 지역에서는 뱀을 담은 바구니를 들고 길가에 앉아 있거나 이곳저곳으로 이동하는 뱀 조련사를 볼 수 있다. 그들은 푸응기에서 감미로운 멜로디를 연주하는 동안 "나가오바-라 두드 데 마이"(엄마 뱀에게 우유를 주세요!)라는 외침으로 헌신자들을 부른다. 여성들은 단 우유, 팝콘(라는 마라티어로)을 자와리/단/옥수수로 만들어 뱀에게 제공하고 기도한다. 현금과 낡은 옷도 뱀 조련사에게 주어진다. 솔라푸르 지구의 바르시 타운에서는 틸락 초크의 나가오바 만디르에서 큰 자트라(카니발)가 열린다.
- 라키 푸르니마 및 나랄리 푸르니마: 나랄리 푸르니마는 샤카 힌두 달력에서 슈라반 달의 보름달 날에 기념된다(8월경). 이 날은 해안 콘칸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축제인데, 어업의 새 시즌이 이 날 시작되기 때문이다. 어부와 여성들은 바다에 코코넛을 바치고 평화로운 시즌을 기원하며 바다가 잔잔하게 유지되기를 기도한다. 같은 날은 마하라슈트라와 북부 인도의 다른 지역에서 형제와 자매 사이의 지속적인 유대를 기념하기 위해 라키 푸르니마로 기념된다. 나랄리 바트(코코넛과 함께 달콤한 쌀)는 이 날의 주요 요리이다. 이 날, 브라만 남성은 성스러운 실 (잔베; 마라티어: जानवे)을 샤라바니(마라티어:श्रावणी)라고 불리는 공동 모임에서 바꾼다.
- 고쿨 아슈타미: 크리슈나의 생일은 인도 전역에서 슈라반 달의 2주기 8번째 날(보통 8월)에 큰 열정으로 기념된다. 마하라슈트라에서 고쿨 아슈타미는 다히 한디 의식과 동의어이다. 이것은 천장에 매달린 마트카(흙 항아리)에서 버터를 훔치려는 크리슈나의 노력을 재현한 것이다. 우유, 커드, 버터, 꿀, 과일 등으로 채워진 큰 흙 항아리가 거리에 20~40 피트 높이에 매달려 있다. 젊은 남성과 소년들로 구성된 팀들이 이 상을 얻기 위해 나선다. 그들은 서로의 어깨 위에 서서 항아리에 닿을 수 있을 만큼 높이 올라가 꼭대기에 있는 사람이 항아리를 깨고 내용물을 차지할 수 있도록 인간 피라미드를 만든다. 화폐는 종종 항아가 매달린 밧줄에 묶여 있다. 상금은 피라미드 건설에 참여하는 사람들 사이에 분배된다. 다히-한디는 엄청난 군중을 끌어모으며, 그들은 '고빈다 알라 레 알라'를 외치며 이 항아리를 잡으려는 팀을 지원한다.
- 망갈라 가우르: 파힐리 망갈라 가우르(첫 번째 망갈라 가우르)는 마라티 브라만 사이에서 새로운 신부에게 가장 중요한 축제 중 하나이다. 결혼 후 1년 이내에 해당하는 슈라반 달의 화요일에 새로운 신부는 남편과 새로운 가족의 안녕을 위해 시블링 푸자를 수행한다. 또한 모든 여성들을 위한 사교 모임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수다, 게임, 우케인(결혼한 여성들은 2/4 행의 라임 라이너에 짜여진 남편의 이름을 사용한다) 및 풍성한 음식이 포함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다음 날 아침 일찍까지 짐마, 푸가디, 벤디(현대 인도에서 안타크샤리로 더 널리 알려짐)를 연주한다.
- 바일 폴라: 이 축제는 농업 황소의 공로를 기리기 위해 슈라반 달의 초승달 날(피토리 아마바샤, 8월-9월)에 기념된다. 이 날 황소는 소유자에 의해 장식되어 마을을 행진한다.[135] 이 축제는 마하라슈트라 및 다른 남부 인도 주들의 시골 지역에서 인기가 있다.[136]
- 하르탈리카: 바드라파다 달의 세 번째 날(보통 8월/9월경)은 수확과 번영의 녹색과 황금 여신 하리타 가우리에게 경의를 표하여 하르탈리카로 기념된다. 화려하게 장식된 파르바티의 형태인 가우리는 가네샤의 어머니로 숭배된다. 여성들은 이 날 단식하고 저녁에 녹색 잎으로 시바와 파르바티를 숭배한다. 여성들은 녹색 팔찌와 녹색 옷을 입고 자정까지 깨어 있다. 기혼 여성과 미혼 여성 모두 이 단식을 지킬 수 있다.
- 가네샷사브: 이 11일 축제는 지혜의 신인 가네샤를 기리기 위해 바드라파다의 네 번째 날인 가네쉬 차투르티에 시작된다. 힌두교 가정에서는 샤두라고 불리는 점토로 만든 가네샤 상을 집에 설치하고 수채화로 칠한다. 이 날 아침 일찍 간파티 바파 모리야를 외치며 가네샤의 점토상을 집으로 가져와 장식된 플랫폼에 설치한다. 이 상은 아침과 저녁에 꽃, 두르바 (어린 풀 줄기), 카란지 및 모닥을 바쳐 숭배한다.[137][138] 숭배는 가네샤, 다른 신과 성인에게 경의를 표하는 아르티를 부르는 것으로 끝난다. 숭배에는 17세기 성인 사마르트 람다스가 작곡한 수카르타 두카하르타를 부르는 것이 포함된다.[139] 가족 전통은 언제 축제를 끝낼지에 대해 다르다. 가정 축하는 1.5일, 3, 5, 7 또는 11일 후에 끝난다. 그 때 상은 의식적으로 호수, 강 또는 바다와 같은 물가로 침수된다. 마하라슈트라에서 가네샷사브는 또한 다른 축제, 즉 하르탈리카와 가우리 축제를 통합하는데, 전자는 가네쉬 차투르티 전날 여성들이 단식하며, 후자는 가우리 상을 설치하여 기념한다.[140] 1894년, 민족주의 지도자 록마냐 틸락은 이 축제를 영국 식민 통치에 맞서 싸우는 공동 목표를 향해 사람들을 통합하는 수단으로 공공 행사로 만들었다. 이 공공 축제는 음악 콘서트, 오케스트라, 연극 및 스킷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으로 11일 동안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 헌혈,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장학금 또는 자연 재해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의 기부와 같은 일부 사회 활동도 수행된다. 환경 문제로 인해, 많은 가족들이 이제 물가를 피하고, 점토 동상이 집에서 물통에서 붕괴되도록 한다. 며칠 후 점토는 집 정원에 뿌려진다. 일부 도시에서는 공공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과정이 침수에 사용된다.[141]
- 가우리/마할락슈미: 가네샤와 함께, 가우리 (마하라슈트라의 비다르바 지역에서는 마할락슈미로도 알려짐) 축제가 마하라슈트라에서 기념된다. 3일 축제의 첫날, 가우리가 집에 도착하고, 다음 날에는 다양한 과자로 점심을 먹고, 세 번째 날에는 집으로 돌아간다. 가우리는 한 쌍으로 도착하며, 하나는 예슈타(장녀)로, 다른 하나는 카니스타(차녀)로 온다. 그들은 부모님의 집에 도착하는 딸을 나타내므로 사랑으로 대접받는다. 마하라슈트라의 많은 지역(마라트와다와 비다르바 포함)에서 이 축제를 마할락슈미 또는 마할락쉬미아 또는 단순히 락슈미아라고 부른다.
- 안안트 차투르다시: 가네쉬 축제의 11일(바드라파다 달의 14일)은 안안트 차투르다시로 기념되며, 이는 축제의 끝을 기념한다. 사람들은 집/공공 장소에서 설치된 상을 물에 담그고 '가나파티 바파 모리야, 푸드크야 와르시 라와카르 야!!'(가네샤, 내년에 빨리 오세요!)를 외치며 눈물의 작별을 고한다. 일부 사람들은 또한 아난타 푸자의 전통적인 맹세(브라타)를 지킨다. 여기에는 비슈누가 거주하는 뱀의 코일 또는 셰샤인 아난타를 숭배하는 것이 포함된다. 14가지 야채의 맛있는 혼합물이 이 날 나이베디암으로 준비된다.
- 나바라트리 및 가타스타파나: 힌두 달력에서 아슈빈 달의 첫째 날(10월경)부터 시작하여 가장 중요한 축제인 다사라 직전의 9일과 밤의 축제는 인도 전역에서 다양한 전통으로 기념된다. 마하라슈트라에서는 이 10일 축제의 첫날, 여신 두르가의 상이 많은 집에 의식적으로 설치된다. 이 여신의 설치는 가타스타파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142]
이 나바바트리 동안, 소녀와 여성은 태양이 하스타(코끼리)라고 불리는 황도 십삼 번째 별자리로 이동함에 따라 '본들라/하드가'를 공연한다. 9일 동안, 본들라(마하라슈트라의 비다르바 지역에서는 '불라바이'로도 알려짐)는 집의 딸의 여성 친구들을 초대하여 저녁 시간에 정원이나 테라스에서 기념된다. 코끼리는 랑골리를 사용하여 흙 위에 그리거나, 칠판에 분필로 그려 가운데에 놓는다. 소녀들은 서로 손을 잡고 본들라 노래를 부르며 원을 돈다. 모든 본들라 노래는 대대로 전해지는 전통 노래이다. 마지막 노래는 일반적으로 '…키라파티라 카이 가?'('오늘 특별한 요리가 뭐예요?')라는 단어로 끝난다. 이 키라파티는 특별한 요리 또는 요리이며, 종종 주최자 소녀의 어머니가 힘들게 만든다. 음식은 다른 소녀들이 덮인 요리가 무엇인지 정확히 추측한 후에만 제공된다. 나바라트리 축제를 기념하는 방식에는 몇 가지 변형이 있다. 예를 들어, 많은 브라만 가족에서 축제에는 특별 초청된 손님 그룹에게 9일 동안 점심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손님에는 기혼 여성(마라티어:सवाष्ण), 브라만, 처녀(마라티어:कुमारिका)가 포함된다. 아침과 저녁에는 가족의 가장이 여신 두르가, 락슈미 또는 사라스와티를 의식적으로 숭배한다. 8일째에는 일부 가족에서 특별한 의식을 수행한다. 쌀 마스크로 된 여신 마할락슈미의 조각상이 준비되어 새로 결혼한 소녀들에 의해 숭배된다. 그 날 저녁에는 여성들이 여신을 기쁘게 하기 위해 흙이나 금속 냄비에 불어 넣는다. 가족 모두는 구절과 바잔을 외치며 그들을 동반한다. 9일 축제는 야드나 또는 힌두교 성전의 읽기(마라티어:पारायण)로 끝난다.[143]
- 다사라: 이 축제는 힌두 달력에 따라 아슈빈 달의 열 번째 날(10월경)에 기념된다. 이 날은 모든 순간이 중요한 힌두 음력 달력에서 가장 길한 날 중 3일 반 중 하나이다. 마지막 날(다사라 날)에는 나바라트리의 첫날에 설치된 상이 물에 담겨진다. 이 날은 또한 라마가 라바나를 물리친 것을 기념한다. 사람들은 서로 방문하여 과자를 교환한다. 이 날 사람들은 압타 나무를 숭배하고[144] 그 잎(금색 잎으로 알려짐)을 교환하며 서로 황금 같은 미래를 기원한다. 라마의 조상인 라구라자, 압타 나무, 쿠베르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또한 판다바가 망명 기간 동안 무기를 숨긴 샤미 나무에 대한 또 다른 전설이 있다.
- 코자가리 푸르니마: 산스크리트어를 '코 자가르티(को जागरति)?' (산디 '카 자가르티,'의 줄임말, '누가 깨어 있는가'를 의미)로 축약하여 작성된 코자가리는 아슈윈 달의 보름달 날에 기념된다. 이 코자가리 밤에 여신 락슈미가 모든 집을 방문하여 '코 자가르티?'라고 묻고 깨어 있는 사람들에게 행운과 번영을 축복한다고 한다. 여신을 환영하기 위해 집, 사원, 거리 등이 밝게 조명된다. 사람들은 이 밤에 일반적으로 열린 공간(예: 정원 또는 테라스)에서 함께 모여 자정까지 게임을 한다. 그 시간, 샤프란과 다양한 종류의 건과일로 끓인 우유에 보름달이 비치는 것을 본 후, 그들은 그 혼합물을 마신다. 집안의 맏이가 이 날 존경받는다.
- 디왈리: 인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디왈리는 4~5일간 지속되는 축제로, 가장 인기 있는 힌두교 축제 중 하나이다. 집은 파나티라고 불리는 점토 램프 열로 축제를 위해 조명되고 랑골리와 아카시 칸딜(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장식 랜턴)로 장식된다. 디왈리는 새 옷, 폭죽, 다양한 과자와 함께 가족 및 친구들과 함께 기념된다. 마라티 전통에서 디왈리 기간 동안 가족 구성원은 새벽 전에 의식적인 목욕을 하고 튀긴 과자와 짭짤한 간식으로 아침 식사를 한다. 이러한 과자와 간식은 축제 기간 동안 집에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며 이웃과 교환된다. 전형적인 단 음식 준비에는 라두, 안아르세, 샹카르팔리, 카란지야가 포함된다. 인기 있는 짭짤한 음식에는 차클리, 셰브 및 치보다가 포함된다.[145] 지방이 많고 수분이 적기 때문에 이러한 간식은 부패하지 않고 실온에서 여러 주 동안 보관할 수 있다.
- 카르티키 에카다시 및 툴쉬차 라그나: 카르티크 달의 11일은 차투르마스의 끝을 기념하며 카르티키 에카다시( 프라보디니 에카다시라고도 함)라고 한다. 이 날, 힌두교도, 특히 비슈누의 추종자들은 4개월의 요가니다라 후 그의 깨어남을 기념한다. 사람들은 그를 숭배하고 하루 종일 단식한다. 같은 날 저녁 또는 다음 날 저녁은 툴쉬 비바 또는 툴쉬차 라그나로 표시된다. 툴시 (성 바질 식물)는 힌두교도에 의해 신성하게 여겨지는데, 브린다로 태어난 마할락슈미의 화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디왈리 축제의 끝은 툴쉬차 라그나의 시작을 기념한다. 마라티족은 집에서 성스러운 툴시 식물과 크리슈나의 결혼을 조직한다. 이 날 툴시 브룬다반은 신부처럼 채색되고 장식된다. 사탕수수와 타마린드 및 암라 나무의 가지는 툴시 식물과 함께 심어진다. 가짜 결혼이지만, 만트라, 망갈 아슈타카를 부르고 망갈 수트라를 툴시에 묶는 등 실제 마하라슈트라 결혼의 모든 의식이 수행된다. 가족과 친구들이 이 결혼식에 모이는데, 보통 늦은 저녁에 열린다. 다양한 포헤 요리가 크리슈나에게 제공된 다음 가족 구성원 및 친구들에게 배포된다. 이것은 또한 결혼 시즌의 시작을 기념한다.
이 축제는 3일 동안 지속되며 카르티키 푸르니마 또는 트리푸라리 푸르니마에 끝난다.
- 칸도바 축제/참파 샤쉬티: 이 축제는 힌두교 마르가쉬르샤 달의 밝은 2주기의 첫째 날부터 여섯째 날까지, 즉 6일 동안 진행된다. 많은 마라티 가족들이 칸도바를 기리기 위해 기념한다. 나바라트리와 유사한 가타스타파나가 이 축제 기간 동안 가구에서도 열린다. 많은 가족들도 이 기간 동안 단식을 한다. 단식은 참파 샤쉬티라고 불리는 축제의 여섯째 날에 끝난다.[146] 일부 마라티 힌두교 공동체에서는 차투르마스 기간이 참파 사쉬티에 끝난다. 이 공동체에서는 차투르마스 기간 동안 양파, 마늘 및 가지 (가지/가지)를 섭취하지 않는 것이 관례이므로, 이러한 음식의 섭취는 바릿(바이건 바르타)과 로드가, 자와리(흰색 수수)로 준비한 작은 둥근 평평한 빵의 의식적 준비로 재개된다.
- 다르슈벨 아마바샤: 힌두교 파우샤 달의 마지막 날이다. 이 축제는 대부분 마라트와다 지역, 특히 라투르, 오스마나바드, 비드, 난데드 및 비다르 지구에서 기념된다. 농부를 위한 특별 행사로, 사람들은 농장에 가서 친구와 친척을 초대한다. 장소의 신(스탄 데이바타)이 행사에 숭배된다. 명반 가루가 다섯 판다바를 나타내는 다섯 개의 돌에 적용된다. 그들은 풀 오두막으로 덮이고 분홍색 천(샬루)이 오두막에 묶여 있다. 농부는 신상 주변과 밭 전체에 버터밀크를 부어 "올 게 올 게 살람 폴 게"(젖어라, 그리고 다음 다르슈벨 아마바샤까지 한 해를 부유하게 해 주세요를 의미)라고 기도한다.
- 보기: 힌두 축제 '마카르 산크란티' 전날과 그 전날은 보기라고 한다. 보기는 행복과 즐거움의 축제이며 일반적으로 1월 13일에 열린다. 이것은 '구름과 비의 신'인 인드라를 기리기 위해 기념된다. 인드라는 수확의 풍요를 위해 숭배하며, 이는 땅에 풍요와 번영을 가져다준다. 겨울에 열리기 때문에, 보기를 위한 주요 음식은 당근, 리마 콩, 녹색 피망, 드럼스틱, 녹두 및 완두콩으로 만든 혼합 야채 카레이다. 참깨를 얹은 바자라 로티(즉, 진주 기장으로 만든 로티)와 쌀과 무그 달 키차디는 겨울에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먹는다. 이 축제 동안 사람들은 또한 참깨 씨앗으로 목욕한다.

- 마카르 산크란티: 상크라만은 태양이 한 별자리에서 다음 별자리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날은 태양이 다누 트로픽(궁수자리)에서 마카르(염소자리)로 넘어가는 것을 기념한다. 마카르 산크란티는 윤년이 아닌 해에는 1월 14일에 발생하고 윤년에는 1월 15일에 발생한다. 이것은 음력 달력이 아닌 태양력을 기반으로 하는 유일한 힌두교 축제이다. 마하라슈트라 사람들은 관례적인 인사와 함께 굴 및 참깨 씨앗으로 만든 단 음식을 교환한다. 틸굴 가야 아니 고드 볼라는 '틸굴을 받아들이고 친절하게 지내세요'라는 의미이다. 틸굴 폴리 또는 굴폴리는 마하라슈트라에서 그날 만들어지는 주요 단 음식 준비이다. 이것은 참깨 씨앗과 자갈로 채워진 밀 기반의 평평한 빵이다.[147][148]
- 마하 시바라트리: 마하 시바라트리(시바라트리라고도 함)는 '시바의 위대한 밤' 또는 '시바의 밤'을 의미한다. 힌두교 축제는 매년 크리슈나 팍샤 (달이 쇠퇴하는)의 13일 밤과 14일, 즉 마가 (샤리바하나 또는 구자라티 비크라마에 따름) 또는 팔구나 (비크라마에 따름) 달에 기념되며, 초승달의 밤과 날이 있다. 이 축제는 시바에게 바엘 (빌바) 잎을 바치는 것, 하루 종일 단식, 밤새도록 깨어 있는 것으로 기념된다. 이 날의 단식 음식에는 카바스 과일(Limonia) 펄프로 준비한 차트니가 포함된다.

- 홀리, 쉼가 및 랑가판차미: 홀리 축제는 마라티 샤카 달의 마지막 달인 팔군에 발생한다. 마라티 사람들은 화롯불을 피우고 불에 푸란 폴리를 바쳐 이 축제를 기념한다. 북인도에서는 홀리가 2일 동안 기념되며, 두 번째 날은 색을 던지면서 기념된다. 마하라슈트라에서는 둘리 반단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마하라슈트라 사람들은 홀리 5일 후에 랑가판차미에 색을 던지는 것을 기념한다. 마하라슈트라에서는 푸란 폴리를 신성한 불에 의식적인 공물로 만든다.[149]
해안 콘칸 지역에서는 쉼가 축제가 기념되며, 홀리를 통합할 뿐만 아니라 홀리에 앞서고 며칠 더 연장되는 다른 의식과 축제가 포함된다.

- 마을 우루스 또는 자트라: 마하라슈트라의 많은 마을에서는 1월~5월에 연례 축제(마을 카니발) 또는 우루를 개최한다. 이 축제는 마을 힌두교 신(그람 데이바트) 또는 지역 수피 피르 성인의 무덤(다르가)을 기릴 수 있다.[150] 종교적 관찰 외에도 축제에는 수레 경주, 카바디, 레슬링 토너먼트, 박람회 및 여행 댄스 그룹의 라바니/타마샤 쇼와 같은 엔터테인먼트가 포함될 수 있다.
6. 3. 음식
마라티 사회의 다양한 공동체는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낸다. 대부분의 마하라슈트라 사람들은 고기와 계란을 먹지만, 브라만 공동체는 주로 락토-채식주의자이다. 데쉬(데칸 고원)의 전통적인 주식은 보통 ''바크리'', 향신료로 양념한 조리된 채소, ''달'', 쌀이다. 바크리는 인도 기장(''조와르'') 또는 ''바지라''를 사용하여 만든 무발효 빵이다.[158] 북 마하라슈트라 사람들과 도시 거주자들은 로티를 선호한다.[159] 해안 콘칸 지역에서는 쌀이 전통적인 주식이다. 바스마티 쌀보다 ''암베모하르'' 쌀이 마라티 사람들에게 더 인기가 많다. 말바니 요리는 요리 과정에서 더 많은 코코넛과 코코넛 밀크를 사용한다. 비다르바 지역에서는 일상적인 요리에 코코넛이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매운 ''사브지''나 양고기, 닭고기 요리와 같은 요리에는 땅콩과 함께 건조 코코넛이 사용된다.''탈리피트''는 다양한 구운 렌즈콩 혼합물인 ''바자니''를 사용하여 준비하는 인기 있는 전통 아침 평평한 빵이다.[160]
마라티 힌두교도들은 단식일에 쌀과 차파티와 같은 전통적인 주식을 피한다. 그러나 우유 제품과 감자, 땅콩, ''사부다나'' 조리(''사부다나 키치디'')와 같은 비토착 음식은 허용된다.
''세브 바지'', ''미살 파브'', ''파토디''를 포함한 일부 마하라슈트라 요리는 마하라슈트라 내에서 분명하게 지역적인 요리이다.
뭄바이와 푸네를 포함한 대도시 지역에서는 패스트푸드가 매우 인기가 많다. 이 지역에서 마라티 사람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는 ''바지'', ''바다 파브'', ''미살 파브'', ''파브 바지''이다. 더 전통적인 요리로는 ''사부다나 키차디'', ''포헤'', ''웁마'', ''시라'', ''파니푸리''가 있다. 대부분의 마라티 패스트푸드와 스낵은 순수하게 락토-채식주의자적이다.[161][162]
말반 근처의 남 콘칸 지역에서는 주로 비채식 요리인 말바니 요리가 개발되었다. ''콤디 바데'', 생선 요리 및 구운 요리가 이곳에서 더 인기가 있다. 콤디 바데는 콘칸 지역의 레시피이다. 매운 쌀과 우릿 가루로 만든 튀긴 평평한 빵으로, 닭고기 카레, 더 구체적으로는 말바니 닭고기 카레와 함께 제공된다.
디저트는 마라티 음식의 중요한 부분이며, ''푸란 폴리'', ''쉬리칸드'', ''바순디'', ''키르'', ''굴랍 자문'', ''모닥''이 포함된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디저트는 특정 축제와 관련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모닥''은 간파티 축제 동안 준비된다.[163]

6. 4. 복장
전통적으로, 마라타 여성들은 현지 문화 관습에 따라 뚜렷하게 디자인된 사리를 입었다.[166]
6. 5. 이름
마라타 힌두교도들은 부칭 명명 체계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이름에 아버지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혼 여성의 경우 남편의 이름이 주어진 이름과 연결된다. 따라서 마라티 이름은 주어진 이름/이름, 아버지/남편, 성/성으로 구성된다.[168] 예를 들어, 마하데오 고빈드 라나데는 마하데오가 이름, 고빈드가 아버지의 이름, 라나데가 성이다.[168]마라타 힌두교도들은 자녀의 이름을 힌두 신화 서사시인 라마야나나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야무나와 고다바리와 같은 성스러운 강, 시바지와 아쇼카와 같은 마라타 또는 인도 역사 속 힌두교 역사적 인물, 투카람, 드야네슈와르, 자나바이와 같은 마라타 바르카리 성인, 현대 마라티 문학의 인기 캐릭터, 소녀들을 위한 향기로운 꽃의 이름 (예: 바쿨, 연꽃의 경우 카말/캄라), 단맛을 의미하는 ''마두라''와 같은 감각, 여성 이름 ''수와르나''와 같은 귀금속, 해와 달과 같은 천체, 봄과 가을을 각각 의미하는 ''바산트''와 ''샤라드'', 영화 배우나 운동 선수의 이름, 그리고 덕목 (예: 겸손을 의미하는 ''비나이'') 등 다양한 곳에서 선택한다. 반두, 발루, 소냐, 필루와 같은 남성의 별명과 차부, 베비와 같은 여성의 별명도 인기가 있다.[169][170]
마하라슈트라의 많은 성씨는 가족이 원래 살았던 마을에 접미사 ''kar''를 추가하여 파생된다. 예를 들어, Junnarkar는 준나르 마을에서 유래되었고, Waghulkar는 Waghul 마을에서 유래되었다. 반다르카르에 따르면, 지명을 성씨로 사용하는 전통은 7세기의 찰루키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71] 쿰바르, 수타르, 쿨카르니, 데쉬판데, 데쉬무크, 파틸, 데사이, 조시와 같은 이름은 가족의 조상 직업, 직업 또는 행정 역할을 나타낸다.[172][173][174][175][176][177][178]
역사적인 마라타족 추장의 가족은 그들의 씨족 이름을 성씨로 사용한다. 이들 중 일부는 자다브, 보살레, 차반, 신데, 시르케, 모레, 님발카르, 파와르, 마사람, 가르게-데사이(데쉬무크), 가트게이다.[179]
마라타인들은 이름에 다양한 접미사와 접두사를 사용한다. 흔한 접미사로는 여성에게는 바이(bai)와 때로는 타이(tai), 남성에게는 라오(rao)와 사헤브(saheb)가 있다.[180] 상켈리아(Sankhelia)에 따르면, 바이(bai)라는 단어는 13세기에 처음 사용되었다.[181] 현대에는 남성에게 쉬리(Shree), 기혼 여성에게 사우바기아바티(Saubhagyavati)(약칭 사우(Sau))라는 접두사가 흔하게 사용된다.
7. 언어와 문학
학자들은 마라티어의 발달에 드라비다어족의 영향이 있다고 언급했다.[182] 마라티어는 야다바 왕조 통치 기간 동안 궁정 언어였으며, 야다바 왕 싱하니야의 기부를 기록한 비문은 마하라슈트라주의 콜라푸르 사원 내 석판에 마라티어로 기록되어 있다. 헤마드리와 같은 학자들의 저명한 작품들도 발견된다. 헤마드리는 헤마드판트라고 불리는 건축 양식을 도입했다. 콜라바 지구의 악시에서 발견된 비문은 마라티어로 된 최초의 석비로 알려져 있다. 카르나타카주 슈라바나벨라골라의 고메테스와라(바후발리) 조상 하단 비문에는 조각가와 이 조각의 제작을 명령한 왕에 대한 정보가 있다.
마라타인들은 고대 시대부터 시작된 긴 문학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13세기 성자 드냐네슈와르는 마라티어로 기탄에 대한 최초의 논문을 저술했는데, 드냐네슈와리라는 이 작품은 걸작으로 여겨진다. 나무데브는 그의 작품이 시크교 성경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시크교 전통에도 중요하다. 17세기에는 에크나트,[183] 산트 투카람,[184] ''묵테슈와르''와 사마르트 람다스가 중요한 인물들이었다. 18세기에는 바만 판딧, 라구나트 판딧, 슈리다르 판딧, 마히파티,[185] 그리고 모로판트와 같은 작가들이 잘 알려진 작품들을 썼다.
1817년에 최초의 영문 서적이 마라티어로 번역되었으며, 1841년에는 최초의 마라티어 신문이 창간되었다.[186] 마하트마 조티바 풀레, 로키타와디, 판사 라나데, 하리 나라얀 아프테 등 사회 개혁 서적이 쓰였다. 로크만야 틸라크의 마라티어 신문인 ''케사리''는 식민지 정부의 횡포에 대한 비판을 제공했다. 1927년에 설립된 B. R. 암베드카르의 신문 ''바히쉬크루트 바라트''는 문학적 견해를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했다.
1950년대 중반에 '리틀 매거진 운동'이 탄력을 받았다. 이 운동은 비순응적이고 급진적이며 실험적인 글을 출판했다. 달리트 문학 운동 또한 리틀 매거진 운동으로 인해 힘을 얻었다. 이 운동은 중산층, 도시, 상위 카스트로 이루어진 문학 기득권에 도전했다.[187] 발찬드라 네마데를 비롯한 많은 작가들을 배출했다. 달리트 작가인 N. D. 마하노르와 어린이 문학 작가 샤라드 라네 박사가 유명하다.[188]
8. 무술 전통
마라타 민족은 수세기 동안 군사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189] 17세기 인도의 시바지 치하에서 그들의 무술적 자질은 두각을 나타냈으며, 그는 18세기 중반 당시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통제했던 마라타 제국을 세웠다.[190][191] 마라타 제국은 대체로 마라타 민족의 정치체였으며,[192] 그들의 수장과 귀족은 봉슬 (''마라타'' 카스트), 홀카르 (''당가르'' 카스트),[193] 페슈와 (1713년 이후; ''치트파반'' 카스트),[194] 마라타 해군의 수장인 앙그레 (''마라타'' 카스트; 1698년 이후)와 같은 마라타 민족 출신이었다.[195]
마라타 제국은 무굴 황제를 단지 허수아비로 전락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196][197] 또한 그들은 영국인들에게 18세기 인도의 가장 중요한 토착 세력으로 여겨졌다.[198][199] 오늘날 이 민족은 인도 육군에 대표되며, 마라타 경보병대[200] 와 마하르 연대와 같이 두 개의 연대가 마라티 공동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1]
참조
[1]
문서
e22
mar
[2]
웹사이트
Statement 1 :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2019-12-20
[3]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American Community Survey (2009–2013)
http://www2.census.g[...]
2018-08-17
[4]
웹사이트
Bene Israel of Mumbai, India
https://www.bh.org.i[...]
2021-01-29
[5]
웹사이트
Marathi people in Australia
https://www.sbs.com.[...]
[6]
웹사이트
Total – Mother tongue for the total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 100% data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Statistique Canada
2018-02-02
[7]
뉴스
Why create problems when we live in peace: Marathi-speaking community from Karachi to Shiv Sena
https://www.dnaindia[...]
DNA India
2015-10-22
[8]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9]
서적
Caste, Conflict and Ideology: Mahatma Jotirao Phule and Low Caste Protest in Nineteenth-Century Western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Maratha (people)
http://global.britan[...]
2013-07-12
[11]
뉴스
Related communities with agrarian roots — why Marathas are claiming to be Kunbis amid quota stir
https://theprint.in/[...]
ThePrint
2023-11-06
[12]
뉴스
Researcher says 1881 survey recorded Marathas as Kunbis
https://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23-11-01
[13]
논문
Shivaji and the Decline of the Mughal Empire
1976-02
[14]
서적
Delhi, the Capital of Indi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7
[15]
서적
An Advanced History of 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dia
2017
[16]
서적
The Peoples of India
CUP Archive
2017
[17]
서적
Man in India
A.K. Bose
1974
[18]
문서
India Today: An Encyclopedia of Life in the Republic
[19]
문서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century B.C. to the seventh century A.D.
[20]
문서
Indian History
[21]
문서
'A Comprehensive History Of Ancient India (3 Vol. Set)'
[22]
문서
'The Penguin History of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23]
문서
'People of India: Maharashtra'
[24]
웹사이트
Kingdoms of South Asia – Indian Bahamani Sultanate
http://www.historyfi[...]
The History Files, United Kingdom
2014-09-12
[25]
서적
Cultural Politics in Modern India: Postcolonial prospects, colourful cosmopolitanism, global proximities
Routledge India
2016
[26]
서적
Sultans of the South: Arts of India's Deccan Courts, 1323–1687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1
[27]
논문
DECCAN (MAHARASHTRA) UNDER THE MUSLIM RULERS FROM KHALJIS TO SHIVAJI: A STUDY IN INTERACTION, PROFESSOR S.M KATRE Felicitation
1992
[28]
서적
Cambridge History of India: The Marathas 1600–181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29]
웹사이트
The Adil Shahi Kingdom (1510 CE to 1686 CE)
http://www.kamat.com[...]
2014-12-04
[30]
서적
Culture and the Making of Identity in Contemporary Ind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05
[31]
서적
India: Nation on the Move: An Overview of India's People, Culture, History, Economy, IT Industry, & More
iUniverse
[32]
서적
Vijayanagara voices: exploring South Indian history and Hind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33]
논문
Shivaji and the Decline of the Mughal Empire
1976-02
[34]
웹사이트
Is the Pakistan army martial?
http://tribune.com.p[...]
2012-09-29
[35]
문서
Sambhaji
Mehta Publishing House, Pune
2006
[36]
서적
Maharani Tarabai of Kolhapur, c. 1675–1761 A.D.
https://books.google[...]
S. Chand & Co.
1987
[37]
서적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odern India 1707-1813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Pvt. Ltd.
2005
[38]
서적
An Advanced History of 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dia
2017
[39]
웹사이트
Andaman & Nicobar Origin | Andaman & Nicobar Island History
http://www.andamanon[...]
[40]
웹사이트
Full text of "Selections from the papers of Lord Metcalfe; late governor-general of India, governor of Jamaica, and governor-general of Canada"
https://archive.org/[...]
[41]
웹사이트
As NDA cadet, I was witness to Vice Admiral Awati's kindness
https://theprint.in/[...]
2018-11-05
[42]
서적
Sea: Our Saviour
https://books.google[...]
New Age International (P) Ltd.
[43]
서적
Coastal Histories: Society and Ecology in Pre-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Primus Books
[44]
서적
The Marathas 1600–181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1993
[45]
서적
Gandhi's Tiger and Sita's Smile: Essays on Gender, Sexualit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Yoda Press
[46]
서적
John Briggs in Maharashtra: A Study of District Administration Under Early British rule
https://books.google[...]
Mittal
1987
[47]
간행물
'SOCIAL AND ECONOMIC POSITION OF BRAHMINS IN MAHARASHTRA IN THE AGE OF Chhatrapati SHIVAJI'
1964
[48]
서적
Intersections: Socio-Cultural Trends in Maharashtra
Sangam
2000
[49]
간행물
Scheduled castes in Maharashtra: struggle and hurdles in their socio-economic development
http://mujournal.mew[...]
2015-07
[50]
문서
Rural Servants in the 18th Century Maharashtrian Village – Demiurgic or Jajmani System?
1972
[51]
서적
Agricultural Development in Hyderabad State, 1900–1956: A Study in Economic History
https://books.google[...]
Keshav Prakashan
[52]
서적
Molesworth's, Marathi-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J.C. Furla, Shubhada Saraswat Prakashan
[53]
서적
Language politics under colonialism: caste, class and language pedagogy in western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2013
[54]
서적
Handbook of twentieth century literatures of India
Greenwood Press
1996
[55]
서적
Language, Politics, Elites and the Public Sphere: Western India Under Colonialism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56]
서적
Provincial Politics and Indian nationalism : Bombay and the Indian National Congress, 1880–1915
https://books.google[...]
Univ. Press
1973
[57]
서적
India's 2004 elections : grass-roots and 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Sage
2007
[58]
서적
Intersections : socio-cultural trends in Maharashtra
Sangam
2000
[59]
뉴스
The Other Liberal Light
http://www.tnr.com/a[...]
New Republic
2012-06-22
[60]
서적
Wages of violence : naming and identity in postcolonial Bomba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61]
문서
Non-Brahmans and Communists in Bombay
1973
[62]
간행물
Non-Brahmans and Nationalists in Poona
1974
[63]
서적
Religion, Power and Violence: Expression of Politics in Contemporary Time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05
[64]
서적
Divine Enterprise: Gurus and the Hindu Nationalist Move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65]
서적
India's Struggle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India
[66]
서적
Savarkar
Popular Prakashan
[67]
백과사전
Overview of Vinayak Damodar Savarkar
https://www.britanni[...]
[68]
서적
Vishva Hindu Parishad and Indian Politics
Orient Blackswan
2013
[69]
서적
India's Late, Late Industrial Revolution: Democratizing Entrepreneurship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70]
서적
Rival Claims: Ethnic Violence and Territorial Autonomy Under Indian Federal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7
[71]
서적
Emergence of an Industrial Labor Force in India: A Study of the Bombay Cotton Mills, 1854–1947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5
[72]
서적
The origins of industrial capitalism in India business strategies and the working classes in Bombay, 1900–194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73]
서적
World cities beyond the West : globalization, development, and inequal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74]
서적
Asian and African systems of slavery
Basil Blackwell
1980
[75]
웹사이트
History of Kolhapur City
http://www.kolhapurc[...]
Kolhapur Corporation
2014-09-12
[76]
논문
"The Bene Israel Indian Jewish family in Transnational Context."
2012
[77]
논문
"The Indian Family: A Revisit"
https://www.academia[...]
2012-01-02
[78]
간행물
"The Last Jews in India and Burma."
1988
[79]
뉴스
Samyukta Maharashtra movement
http://timesofindia.[...]
The Times Group
2010-04-30
[80]
뉴스
The Samyukta Maharashtra movement
http://www.dnaindia.[...]
Dainik Bhaskar Group
2014-05-01
[81]
뉴스
Linguistic states
http://timesofindia.[...]
The Times Group
2013-08-03
[82]
저널
The Saffron Wave: The Eleventh General Elections in Maharashtra
1997
[83]
서적
Politics in Maharashtra, Problems and Prospects
http://pdf.usaid.gov[...]
University of Poona
1966
[84]
뉴스
Belgaum border dispute
https://www.deccanch[...]
2014-07-30
[85]
서적
The politics of India since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2-01
[86]
서적
Grassroot politics in India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00
[87]
서적
Rise of the plebeians? : the changing face of Indian legislative assemblies
Routledge
2009
[88]
서적
State intervention and popular response : western India in the nineteenth century
Popular Prakashan
1999
[89]
저널
Consolidation of Maratha Dominance in Maharashtra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Vol. 30, No. 6 (Feb. 11, 1995), pp. 336–342 Published by
1995
[90]
서적
Contradictions and conflict : a dialectical political anthropology of a University in Western India
https://books.google[...]
Brill
1994
[91]
서적
Language and society : steps towards an integrated theory
https://books.google[...]
E.J. Brill
1989
[92]
서적
Language in South Asia, Part 9
Cambridge University Press
[93]
서적
Changing India: Bourgeois Revolution on the Subcontinent
[94]
서적
Writing Caste/Writing Gender: Narrating Dalit Women's Testimonies
https://books.google[...]
Zubaan Books
[95]
저널
Traditional Institutions Meet the Modern World: Caste, Gender, and Schooling Choice in a Globalizing Economy
http://www.aeaweb.or[...]
2006-09
[96]
서적
Communal Identity in India: Its Construction and Articul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97]
서적
Rajarshi Shahu: a model ruler
kirti prakashan
[98]
웹사이트
Lingayat - Virasaiva Sect: Migration, Identity & Marathi Lingayat literature in Colonial Maharashtra
https://podcasts.ox.[...]
2024-06-29
[99]
서적
Rise of the Plebeians?: The Changing Face of the Indian Legislative Assemblies (Exploring the Political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India
[100]
서적
John Briggs in Maharashtra: A Study of District Administration Under Early
https://books.google[...]
South Asia Books
1987
[101]
서적
Wages of Violence: Naming and Identity in Postcolonial Bomba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102]
서적
Maharashtra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2004
[103]
서적
Yeotmal District Volume A Descriptive: By C. Brown and R. V. Russell
https://books.google[...]
Printed at the Baptist mission Press
1908
[104]
서적
Sīmā pradeśātīla bhāvagaṅgā
https://books.google[...]
Marāṭhī Sāhitya Parishada, Āndhra Pradeśa
1985
[105]
서적
Caste and Race in India
https://archive.org/[...]
Popular Prakashan
[106]
서적
Religious Converts in India: Socio-political Study of Neo-Buddhists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07]
논문
The Movement of Elites in Western India under Early British Rule
1971
[108]
웹사이트
Brihan Maharashtra Mandal
http://www.bmmindia.[...]
[109]
웹사이트
India programming | Bruhan Maharashtra Mandal of North America
https://www.bmmonlin[...]
2019-12-20
[110]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Website :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http://www.censusind[...]
[111]
웹사이트
mauritiusmarathi.org
http://www.mauritius[...]
2017-08-11
[112]
웹사이트
http://www.maharasht[...]
2007-12-10
[113]
웹사이트
Chapter 9 : India
http://indiandiaspor[...]
2017-08-11
[114]
간행물
A note on the Maratha community in Britain
https://www.tandfonl[...]
1973
[115]
웹사이트
http://www.mmlondon.[...]
2008-06-19
[116]
간행물
Maharashtrian Immigrants in East Africa and Their Leisure
1995
[117]
문서
Quest for equality
1993
[118]
문서
'Citizenship and national integration: the non-African crisis in Kenya'
1969±70
[119]
뉴스
1972: Asians given 90 days to leave Uganda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972-08-07
[120]
웹사이트
Marathi Sydney, MASI, Maharastrians in Sydney, Marathi Mandal « Marathi Association Sydney Inc (MASI)
http://www.marathi.o[...]
Marathi.org.au
2013-05-09
[121]
웹사이트
Marathi Bhashik Mandal Toronto, Inc
http://www.mbmtoront[...]
Mbmtoronto.com
2008-11-15
[122]
웹사이트
Maharashtra Religions
http://www.bharatonl[...]
2017-08-11
[123]
문서
The food of gods–«naivedya/nirmālya» in the Pāñcarātrika sources. Consonanze.
2018
[124]
서적
WITH JAYANT KARVE. The Experience of Hinduism: Essays on Religion in Maharashtra, 223.
https://books.google[...]
1988
[125]
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Systems of Kinship and Marriage in South Asia
1973
[126]
논문
'CULTURES OF RULE, COMMUNITIES OF RESISTANCE: Gender, Discourse and Tradition in Recent South Asian Historiographies.'
http://www.jstor.org[...]
1989
[127]
서적
India's Communities, Volume 6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8]
서적
Dealing with Death: A Search for Cross-cultural and Time-transcending Similarities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29]
서적
The Hindu Religious Year
https://archive.org/[...]
Association Press
[130]
서적
Marathas and Dekhani Musalmans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08
[131]
서적
Among the Hindus: A Study of Hindu Festivals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33
[132]
서적
Among the Hindus : a study of Hindu festival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4
[133]
서적
Among the Hindus : a study of Hindu festival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4
[134]
서적
Among the Hindus : a study of Hindu festival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4
[135]
서적
The Cyclopædia of India and of Eastern and Southern Asia
https://archive.org/[...]
B. Quaritch
[136]
서적
Festivals In Indian Society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37]
웹사이트
What is the significance of 'durva' in Ganesh Poojan ?
http://www.sanatan.o[...]
2000-09-09
[138]
서적
Festivals In Indian Society (2 Vols. Set)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08
[139]
서적
Prarthana: A Book of Hindu Psalms
https://books.google[...]
Arun Shanbag
2007
[140]
서적
99 thoughts on Ganesha : [stories, symbols and rituals of India's beloved elephant-headed deity]
https://books.google[...]
Jaico Pub House
2011
[141]
뉴스
Eco-friendly 'Ganesh Visarjan' save water and soil from getting polluted in Indore
http://timesofindia.[...]
2013-09-20
[142]
서적
Ritual worship of the great goddess : the liturgy of the Durgā Pūjā with interpretation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3
[143]
서적
Gokhale Kulavruttanta
Sadashiv Shankar Gokhale
[144]
간행물
Studies on the ethno-medicinal plants used on the occasion of festivals with special reference to Ratnagiri district from Maharashtra state
https://www.research[...]
[145]
서적
Snack Foods Process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1
[146]
서적
A HISTORY OF THE MARATHA PEOPLE
HUMPHREY MILFORD,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BOMBAY CALCUTTA MADRAS
[147]
논문
Bioactive Constituents as a Potential Agent in Sesame for Functional and Nutritional Application
2014
[148]
서적
Food culture in In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2004
[149]
서적
Feasts and Fasts A History of Indian Food
Reaktion Books
2014
[150]
서적
Images of women in Maharashtrian society : [papers presented at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harashtra: Culture and Society held in April, 1991 at the Arizona State University]
https://books.google[...]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1998
[151]
웹사이트
Sangli District
http://shodhganga.in[...]
2014-04-17
[152]
뉴스
Maharashtra asks high court to reconsider ban on bullock cart races
http://timesofindia.[...]
2012-10-19
[153]
서적
TALEGAON DASHASAR - The Gazetteers Department
http://amravati.nic.[...]
The Gazetteers Department, Maharashtra
[154]
서적
Maráthas and Dekhani Musalmán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55]
문서
Dr. Ambedkar and Buddhism
http://www.sangharak[...]
[156]
웹사이트
Places to Visit
http://nagpur.nic.in[...]
District Collector Office, Nagpur Official Website
[157]
서적
Eating India: An Odyssey into the Food and Culture of the Land of Spic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8
[158]
서적
Epicure S Vegetarian CuisinesJOf India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ltd.
[159]
서적
Delights From Maharashtra
https://books.google[...]
Jaico
2016-07-12
[160]
서적
Epicure S Vegetarian Cuisines Of India
Mumbai: Popular Prakashan ltd. p. 63.
[161]
웹사이트
Vada pav sandwich recipe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13-10-03
[162]
뉴스
In search of Mumbai Vada Pav
http://www.thehindu.[...]
[163]
서적
SAVOUR MUMBAI: A CULINARY JOURNEY THROUGH INDIA'S MELTING POT
https://books.google[...]
Westland
2013
[164]
뉴스
Bid farewell to her
http://cities.expres[...]
Indian Express, Mumbai Newsline
2003
[165]
서적
People of India: Maharashtra, Part 2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166]
웹사이트
Costumes of Maharashtra
http://www.maharasht[...]
Maharashtra Tourism
2014-05-30
[167]
웹사이트
Traditional costumes of Maharashtra
http://www.marathihe[...]
Marathi Heritage Organization
2014-05-30
[168]
서적
Panorama of Indian anthroponomy : (an historical, socio-cultural & linguistic analysis of Indian personal names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05
[169]
논문
Personal Names in Marathi
1986
[170]
서적
Panorama of Indian anthroponomy : (an historical, socio-cultural & linguistic analysis of Indian personal names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05
[171]
서적
Studie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and Ethnography of Gujarat.
https://archive.org/[...]
Deccan College
2022-02-25
[172]
서적
Maharashtra in the Age of Shivaji
https://books.google[...]
R.J. Deshmukh
2018-04-02
[173]
서적
The Modern Review, Volume 16
https://books.google[...]
Modern Review Office
2018-04-02
[174]
서적
Colloques internationaux du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Issue 582
Ed. du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1979
[175]
뉴스
Proceedings of the Session, Volume 38
Superintendent Government Printing, India
1967
[176]
논문
Their surnames
Bennett, Coleman & Company
1970-07
[177]
서적
Home, Family and Kinship in Maharashtra
Oxford University Press
[178]
서적
The Castes and Tribes of H.E.H. the Nizam's Dominions, Volume 1
https://books.google[...]
Times Press
2018-04-02
[179]
서적
Homo hierarchicus: the caste system and its implica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5-13
[180]
서적
Growing up untouchable in India: A dalit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2
[181]
서적
Studie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and Ethnography of Gujarat.
https://archive.org/[...]
Deccan College
2022-02-25
[182]
서적
Reconstructing Languages and Cultur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6-24
[183]
웹사이트
Sant Eknath Maharaj
http://santeknath.or[...]
Santeknath.org
2013-05-09
[184]
웹사이트
Sant TukArAm
http://www.sankeerta[...]
2017-08-11
[185]
서적
Religion and Public Memory: A Cultural History of Saint Namdev in Ind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86]
웹사이트
Printing India
http://www.printingi[...]
Printing India
2013-05-09
[187]
서적
Issues of Language and Representation:Babu Rao Bagul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88]
서적
The Language Conflicts: The Politics and Hostilities between English and the Regional Languages in India
http://www.khg.uni.w[...]
[189]
서적
Ethnic Groups of South Asia and the Pacific: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5-09
[190]
서적
Career's Indian History
https://books.google[...]
Bright Publications
[191]
서적
Rediscovery of India, The: A New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1999
[192]
서적
Ethnic Groups of South Asia and the Pacific: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08-30
[193]
서적
Caste, Conflict and Ide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94]
간행물
Citpavan – Indian caste
https://www.britanni[...]
[195]
서적
Contemporary Political Leadership in India
https://books.google[...]
APH Publishing Corporation
[196]
웹사이트
The Maratha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3-10-16
[197]
간행물
Bal Gangadhar Tilak
https://www.britanni[...]
2024-04-11
[198]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ia, 1480–1950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04
[199]
서적
Justice System and Mutinies in British India
https://books.google[...]
Deep & Deep Publications
[200]
웹사이트
Land Forces Site – The Maratha Light Infantry
http://www.bharat-ra[...]
Bharat Rakshak
2013-05-09
[201]
웹사이트
Land Forces Site – The Mahar Regiment
http://www.bharat-ra[...]
Bharat Rakshak
2013-05-09
[202]
웹사이트
12 crore Maharashtrians - Devendra Fadnavis
http://www.ndtv.com/[...]
NDTV
2018-04-28
[203]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mar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3-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