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고 (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고는 상록 활엽수로,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과일이다. 40m 이상 자라며, 작고 노란 꽃이 핀다. 원산지는 인도와 인도차이나 반도 주변으로 추정되며, 현재 500개 이상의 품종이 재배된다. 주요 생산국은 인도, 멕시코, 필리핀 등이며, 한국에서는 주로 애플 망고 품종이 재배된다. 망고에는 카로틴, 비타민 A, C, 엽산 등이 풍부하며, 껍질에는 우루시올과 유사한 물질이 있어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망고는 생과, 주스, 푸딩 등 다양한 형태로 섭취되며,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의 국가 과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망고 (종)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angifera indica |
명명자 | L. |
이명 | Mangifera amba Forssk. Mangifera anisodora Blanco Mangifera austroyunnanensis Hu Mangifera balba Crevost & Lemarié Mangifera cambodiana (Pierre) Anon. Mangifera domestica Gaertn. Mangifera equina Crevost & Lemarié Mangifera gladiata Bojer Mangifera kukulu Blume Mangifera laxiflora Desr. Mangifera linnaei Korth. ex Hassk. Mangifera maritima Lechaume Mangifera mekongensis (Pierre) Anon. Mangifera montana B.Heyne ex Wight & Arn. Mangifera oryza Crevost & Lemarié Mangifera rostrata Blanco Mangifera rubra Bojer Mangifera sativa Roem. & Schult. Mangifera siamensis Warb. ex Craib Mangifera viridis Bojer |
한국어 이름 | 망고 |
영어 이름 | Mango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DD (자료 부족) |
IUCN 버전 | 3.1 |
2. 식물학적 특징 및 분포
망고 나무(''Mangifera indica'')는 크고 푸른 상록 교목으로, 높이는 15m에서 30m[5], 때로는 40m 이상까지 자랄 수 있으며[4], 크라운 폭도 비슷하고 줄기 둘레는 약 3.66m 이상이다.[4][6] 잎은 단순하고 광택이 나는 짙은 녹색이다.[7]
노란색에서 흰색을 띠는 향기로운 꽃은[4] 연두색의 복총상 꽃차례 형태로 겨울 말과 봄 초에 핀다.[4] 수꽃과 암꽃 모두 같은 나무에서 피며[4], 개화 시기는 기후 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다.[4] 예를 들어 남아시아에서는 남쪽에서 12월, 벵골에서 1월, 우타르 프라데시와 비하르 동부에서는 2월, 인도 북부에서는 2~3월에 개화가 시작된다.[8] 다셰리 품종의 개화 기간은 20~25일이며, 닐룸 품종은 타밀 나두 카냐쿠마리에서는 1년에 두 번 수확되기도 한다.[8] 꽃은 강한 부패 냄새를 풍겨 수분을 돕는 검정파리과 등의 파리를 유인하는데, 이는 원산지인 열대 지역의 높은 기온 때문에 꿀벌 대신 파리를 수분 매개 곤충으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하우스 재배에서는 꿀벌을 이용하기도 한다.)
열매는 불규칙한 달걀 모양의 다육질 핵과이다.[4] 크기는 계통에 따라 길이 3cm~25cm, 폭 1.5cm~15cm로 다양하며[4], 형태는 둥글거나, 타원형, 심장형, 콩팥 모양 등이다.[4] 과피는 녹색에서 익으면 노란색, 복숭아색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며, 강인하고 약간 두껍지만 익으면 쉽게 벗겨진다. 미숙과는 녹색이며[4] 매우 신맛이 강하지만, 완숙되면 밝은 오렌지색의 부드러운 과육이[4] 농후한 단맛과 송진에 비유되는 독특한 향을 낸다. 가운데에는 크고 평평한 씨앗이 하나 있다.[4] 미숙과는 피클이나 처트니를 만드는 데 사용되고[9], 익은 망고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과일이다. 열매 무게의 약 85%는 껍질과 과육이며, 나머지 15%는 씨앗이다.[10]
망고는 미얀마 북서부, 방글라데시, 그리고 인도 북동부 사이의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4][13][14] 단배성(하나의 씨앗에서 하나의 개체 발생) 종류는 인도의 아삼 지방에서 치타공 고원 부근, 다배성(하나의 씨앗에서 여러 개체 발생) 종류는 말레이 반도 부근이 원산지로 추정된다. 인도에서는 4000년 이상 전부터 재배되었으며, 불교 경전에도 언급된다. 수 세기에 걸쳐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각각 재배되면서 현대 망고는 "인도형"과 "동남아시아형"이라는 두 개의 뚜렷한 유전적 개체군으로 나뉘었다.[4][13][14] 이 종은 1753년 린네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5]
동남아시아에서 재배가 시작된 이후, 망고는 세계의 다른 따뜻한 지역으로 전파되었다.[4][13][14] 현재 인도, 멕시코, 필리핀,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대만 등이 주요 생산국이며, 일본에서는 오키나와현, 미야자키현, 가고시마현 등에서 하우스 재배되고 있다. 망고 나무는 일반적으로 최저 -8°C (약 약 -8.3°C)[16] 정도의 온도를 견딜 수 있으며, 배수가 잘 되는 사질 양토에서 가장 잘 자란다. 최적의 토양 pH는 5.2에서 7.5 사이이다.[5]
2. 1. 품종
망고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 가지의 품종이 있으며, 인도에서는 보고된 것만 500개가 넘는다.[4] 보고되지 않은 야생 품종까지 포함하면 1000개 이상으로 추정된다.[4]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애플 망고: 주로 멕시코산 '어윈'(Irwin) 품종을 말한다. 과실은 크며 무게가 400g~500g에 달한다. 익으면 껍질이 사과처럼 붉어지며, 과육은 오렌지색이고 진한 단맛이 특징이다. 일본의 미야자키현, 오키나와현 등에서도 재배된다.
- 태국 망고: 필리핀 망고와 비슷하게 납작하고 노란 품종이다. 단맛과 함께 약간의 신맛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 필리핀 망고 (펠리칸 망고): '카라바오'(Carabao) 품종이 대표적이며, 과실이 납작하고 노랗다.
- 브라질 망고: '켄트'(Kent) 품종으로, 애플 망고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브라질에서 생산되어 북반구에서는 주로 겨울철에 수입품으로 유통된다.
- 키츠 망고: '키트'(Keitt) 품종으로, 껍질이 녹색인 상태로 완전히 익는 것이 특징이다. 섬유질이 적고 단맛이 강하다.
- 호주 망고: 껍질이 노란색 바탕에 분홍색을 띠어 "피치 망고"라고도 불린다. 부드러운 식감과 은은한 단맛을 가지고 있다.
2. 1. 1. 한국 재배 품종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재배 품종'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주로 일본의 망고 재배, 수입 규제, 품종(어윈 종), 주요 생산지(오키나와, 미야자키, 가고시마), 미야자키현의 완숙 망고 및 '태양의 달걀' 브랜드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3. 성분
망고에는 망기페린(약리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하이드록실화된 잔톤 C-글리코사이드)이 함유되어 있다. 망기페린은 어린 잎(172 g/kg), 껍질(107 g/kg), 늙은 잎(94 g/kg) 순으로 높은 농도로 추출된다.[11]
과일 껍질에는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우루시올 성분이 존재한다.[12] 이 성분은 옻나무과 식물에 포함된 유독 성분과 유사하며, 민감한 사람에게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다.[12] 특히 미국에서 흔한 옻나무나 덩굴옻나무와 같은 옻나무과 식물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서 이러한 피부 반응이 더 자주 나타날 수 있다.[12] 망고에 포함된 '망골'이라는 물질 역시 우루시올과 비슷하게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접촉성 피부염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피부염 증상은 망고 섭취 후 며칠이 지나서 나타나거나 심해지기도 하며, 헤르페스 등으로 잘못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망고 나무의 목재 또한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는 페놀성 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4. 이용
망고는 주로 잘 익은 열매를 씨앗을 따라 잘라 생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4] 익은 망고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과일이다.[9] 껍질과 과육은 망고 무게의 약 85%를 차지하며, 나머지 15%는 씨앗이다.[10] 생과일 외에도 주스, 라씨, 퓌레, 통조림, 건조 과일 등으로 가공하여 섭취하기도 한다. 홍콩에서는 망고 과육이나 퓌레에 젤라틴, 설탕, 생크림 등을 섞어 만든 망고 푸딩이 유명하며, 그 외에도 무스, 케이크, 샤베트, 스무디, 젤리 등 다양한 서양식 디저트 재료로도 활발하게 사용된다.
덜 익은 녹색 망고는 피클이나 처트니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9] 소금 절임이나 단촛물 절임으로 만들기도 한다. 동남아시아의 태국이나 베트남 등지에서는 덜 익은 망고를 서민들의 간식으로 즐겨 먹는데, 주로 고추가 들어간 설탕 소금 등을 찍어 먹거나 볶음 요리에 활용한다. 덜 익은 망고는 단맛은 거의 없지만 특유의 산미와 아삭아삭한 식감을 즐길 수 있다. 타이완에서는 작은 크기의 덜 익은 망고를 통째로 시럽에 절여 간식으로 먹기도 한다. 인도에서는 덜 익은 망고를 건조시켜 가루로 만든 암추르(आमचूर|암추르hi)를 산미를 내는 향신료로 사용하며, 가람 마살라에 암추르를 더한 차트 마살라(चाट मसाला|차트 마살라hi)는 인도 요리에서 널리 쓰인다.
망고 나무는 주로 열매 때문에 재배되지만, 과일 생산 수명이 다하면 목재로도 활용된다. 다만, 목재는 곰팡이나 곤충에 취약한 편이다.[18] 망고 목재는 우쿨렐레와 같은 악기,[18] 합판, 저가 가구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19] 나무껍질에서는 노란색 염료를 얻을 수 있다.[20]
5. 문화
6. 각국의 망고
망고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소비되는 과일이다. 원산지로 여겨지는 남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중요한 농작물이자 식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각 나라의 기후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며, 고유한 방식으로 소비되고 있다.
6. 1. 인도
인도는 세계 최대의 망고 생산국으로, 연간 수확량은 약 160만 톤에 달하며 세계 각국으로 수출한다. 미얀마 북서부, 방글라데시, 그리고 인도 북동부 사이의 지역이 망고의 원산지 중 하나로 여겨지며[4][13][14], 인도에서는 4000년 이상 전부터 재배가 시작되어 불교 경전에도 그 이름이 언급될 정도로 역사가 깊다. 현재 인도에서는 약 500개 이상의 품종이 보고되었으며[4](보고되지 않은 1000개 이상의 야생 품종 포함),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망고 나무의 개화 시기는 지역별 기후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남아시아에서는 남부 지역에서 12월, 벵골에서는 1월, 우타르 프라데시와 비하르 동부에서는 2월, 인도 북부에서는 2~3월에 개화가 시작된다.[4][8]
인도 망고 중 특히 유명한 것은 '망고의 왕'으로 불리는 알폰소 망고이다. 이 품종은 보통 3월부터 5월 사이에 열매를 맺기 시작해 7월경 수확이 끝나며, 달콤한 맛과 독특한 향이 특징이다. 우기가 시작되기 몇 달 전, 데칸 고원 등지에서 4월 중순부터 5월 초순 사이에 내리는 비, 이른바 '망고 레인'을 맞으며 한꺼번에 익는 경향이 있다. 우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6월 중순이면 알폰소 망고의 제철은 마무리된다. 데브가르산에서 생산되는 알폰소 망고가 최고로 평가받으며, 열매가 크고 맛이 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6년부터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인도산 망고의 일본 수입이 허용되었다.[25] 현재 일본으로 수입 가능한 품종은 알폰소 종을 비롯하여 케사르 종, 초사 종, 반간팔리 종, 마리카 종, 랑그라 종 등이다.
한편, 과거 벵골 지방에서는 망고 잎만 먹인 소의 오줌을 이용하여 인디안 옐로우라는 노란색 안료를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소를 극심한 영양실조 상태로 만드는 비윤리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동물 학대라는 비판을 받았고, 1908년에 결국 생산 및 거래가 금지되었다.[26]
6. 2. 일본
망고는 열대성 식물이므로 아열대 기후인 오키나와현 등을 제외한 대부분이 온난 습윤 기후인 일본에서는 노지 재배로 과실을 맺기 어렵다. 이 때문에 농가에서는 비닐하우스 재배를 주로 채택하고 있다. 하우스 재배의 주된 목적은 높은 기온을 확보하는 것보다, 망고의 개화 시기가 일본의 우기와 겹치기 때문에 물에 약한 망고의 꽃가루를 비로부터 보호하여 수분과 결실을 유도하기 위함이다.[27]일본에서는 식물 방역법에 따라, 농업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해충인 열대과실파리류가 발생하는 국가나 지역으로부터의 망고 생과실 수입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수출국에서 해당 해충에 대한 완전 살충 처리 기술(예: 증열 처리, 온탕 침지)이 확립되고, 일본 농림수산성의 검토를 거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살충 처리 등의 조건을 붙여 수입이 허가된다. 이러한 조건부 수입 해금 조치 덕분에 1990년대 후반부터 필리핀산 등의 망고가 저렴한 가격으로 일본 전국의 소매점에서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과자 등 가공품의 원료로도 널리 사용되면서 대표적인 열대 과일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일본에서는 망고를 꽃 모양으로 잘라 먹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자르는 방법은 가운데의 납작한 씨를 피해, 생선을 3장으로 뜨듯이 과육을 세로로 3장으로 자른다. 이후 껍질이 잘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과육 부분에 바둑판 모양으로 칼집을 낸 뒤, 양손으로 껍질 쪽을 밀어 올리면 과육이 뒤집히면서 꽃 모양이 된다.
일본 국내에서는 약 3000ton의 망고가 생산되며, 재배되는 품종은 거의 대부분 어윈(Irwin) 종이다.[28] 국내 주요 생산지는 오키나와현, 미야자키현, 가고시마현 순이다.[29]
6. 3. 태국
망고는 태국어로 '마무앙'(태국에서는 60가지가 넘는 다양한 품종의 망고가 재배되고 있다. 일본으로는 1987년부터 조건부로 수입이 허용되었으며[36], 식물방역법 시행 규칙에 따라 식물 검역을 통과한 7가지 품종만이 생과일 형태로 수입될 수 있다. 해당 품종은 키오우 사웨이, 초크 아난, 난칸완, 난독마이(นำ้ดอกไม้|남독마이tha), 핌센당, 마하차노, 랏이다.[37] 일본 시장에서 태국산 망고는 멕시코, 필리핀산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입량을 기록하고 있다.
일본 소비자들에게는 특히 당도가 높고 식감이 부드러운 남독마이 품종이 인기가 많아, 일본으로 수입되는 태국산 망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남독마이'는 태국어로 '꽃의 물방울'을 의미하며, 망고의 물방울 같은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6. 4. 대만

대만어로는 "소아이아"(檨仔|소아이아nan)라고 불린다.
6. 5. 중국

1968년 8월 5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인 마오쩌둥은 파키스탄 외무 장관 Mian Arshad Hussain|미안 아르샤드 후세인영어에게 받은 Sindhri|신드리영어 망고를 칭화 대학에 진주한 수도공농 마오쩌둥 사상 선전대에 하사했다. 이를 계기로 망고를 마오쩌둥과 동일시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38]
또한, 2020년대 중국의 펫 붐 시기에는 망고를 뜻하는 중국어 '芒果(망궈)'의 '果(궈)' 발음이 개를 뜻하는 '狗(거우)'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망고 씨앗의 섬유질을 활용해 만든 인형 등을 '망구(芒狗)'라 부르며 애완동물처럼 여기는 유행이 있었다.[39]
한편, 홍콩에는 타피오카가 들어간 망고 시미 루라는 디저트가 있다. 이 디저트는 2021년 대만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2022년에는 일본에서도 판매되기 시작했다.[40]
참조
[1]
iucn
Mangifera indica
2021-11-19
[2]
웹사이트
Mangifera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0-05-08
[3]
웹사이트
Agroforestree Species profile
https://apps.worldag[...]
2024-09-04
[4]
웹사이트
Mango (Mangifera indica L.)
https://hort.purdue.[...]
In: Fruits of Warm Climates; New Crop Resource Online Program, Center for New Crops and Plant Products, Purdue University
1987
[5]
웹사이트
Flowers of India
http://www.flowersof[...]
[6]
웹사이트
USDA Plant guide, Mangifera indica L.
http://plants.usda.g[...]
USDA, NRCS
[7]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https://www.worldcat[...]
Skyhorse Publishing
[8]
웹사이트
Flowering of mango
http://mango-trees.b[...]
[9]
뉴스
A global guide to pickles
https://www.theguard[...]
2023-03-21
[10]
간행물
SEA Hand Book 2009
http://www.seaofindi[...]
Solvent Extractors' Association Of India
[11]
논문
Characterization and quantitation of polyphenolic compounds in bark, kernel, leaves, and peel of mango (Mangifera indica L.)
[12]
웹사이트
Urushiol CASRN: 53237-59-5
http://toxnet.nlm.ni[...]
TOXNET (Toxicology Data Network) NLM (NIH)
2014-01-22
[13]
논문
Genetic Map of Mango: A Tool for Mango Breeding
2017-04-20
[14]
논문
Population genomic analysis of mango (Mangifera indica) suggests a complex history of domestication
2019-06
[15]
GRIN
2009-10-08
[16]
PLANTS
2024-08-07
[17]
서적
Handbook of natural toxins
Dekker
1983
[18]
웹사이트
Mango
http://www.wood-data[...]
2014-08-30
[19]
웹사이트
Economic importance of Mangifera indica
http://greencleangui[...]
2014-08-30
[20]
웹사이트
Yellow dyes
http://www.asiantext[...]
2024-06-08
[21]
웹사이트
Mango tree, national tree
http://bdnews24.com/[...]
2013-11-16
[22]
웹사이트
Mangifera indic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doi.org/10.2[...]
1998
[23]
YList
2023-01-29
[24]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25]
보도자료
インド産マンゴウの生果実の輸入解禁について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2023-12-09
[26]
웹사이트
【フェルメール事典】第2部(5)「インディアンイエロー」牛の尿で作る絵の具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23-12-09
[27]
웹사이트
所さんの目がテン番組HP マンゴー
http://www.ntv.co.jp[...]
[28]
웹사이트
日本のマンゴー生産量
https://www.jircas.g[...]
国立研究開発法人 国際農林水産業研究センター
2020-06-04
[29]
웹사이트
鹿児島県産のマンゴー
https://www.ohisamak[...]
2022-04-08
[30]
웹사이트
宮崎県産宮崎マンゴー
https://www.nissei-c[...]
NISSEI
2020-06-04
[31]
웹사이트
"「マンゴーが僕を見て微笑んだ」宮崎県のセールスマン・東国原英夫氏がヒットを連発できた理由"
https://type.jp/st/f[...]
株式会社キャリアデザインセンター
2020-06-04
[32]
웹사이트
太陽のタマゴ最高50万円 宮崎市などで初競り
https://www.the-miya[...]
宮崎日日新聞
2020-06-04
[33]
웹사이트
完熟マンゴー「太陽のタマゴ」初セリ 宮崎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
2020-06-04
[34]
서적
るるぶ タイ・バンコク 2015年版
JTB
[35]
웹사이트
Mamuang Nampla Wan – A Really Thai Delicacy
http://thaiphile.com[...]
2016-09-04
[36]
논문
海外検疫の現場から(7) タイ産マンゴーおよびマンゴスチン
https://www.jppa.or.[...]
2023-12-09
[37]
웹사이트
タイ産マンゴウの生果実に関する植物検疫実施細則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3-06-14
[38]
논문
毛沢東からの贈り物 -毛沢東崇拝のなかのマンゴー効果-
https://www.jstage.j[...]
日本国際情報学会
2017-07-02
[39]
웹사이트
マンゴーの種までペットに? 若者が「何でもペット化」するワケ
http://j.people.com.[...]
人民日報
2023-08-21
[40]
웹사이트
23年ヒット確実? 香港発“楊枝甘露”が上陸、コストコが導火線
https://xtrend.nikke[...]
2022-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