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송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송전쟁은 몽골 제국과 남송 간에 벌어진 일련의 전쟁을 의미한다. 칭기즈 칸은 금나라 정벌 이후 남송 공격 계획을 남겼고, 몽골 대사의 죽음으로 인해 1227년 몽골군은 송나라 영토를 지나 금나라를 공격하며 분쟁이 시작되었다. 몽골은 1235년 사천 지역을 공격하며 본격적인 침략을 시작했고, 1251년 몽케 칸의 즉위 이후 쿠빌라이가 동아시아 경영을 맡아 남송을 압박했다. 1271년 쿠빌라이는 원나라를 건국하고 양양·번성 전투에서 승리한 후, 1276년 수도 임안을 함락하며 남송을 멸망시켰다. 남송의 충신들은 저항을 이어갔으나, 1279년 애산 전투에서 패배하며 몽송전쟁은 종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제국-송나라 관계 - 단평의 입락
단평의 입락은 남송이 몽골의 침략에 맞서 북벌을 시도했으나 몽골의 압도적인 군사력에 패배하고 멸망하는 과정이다. - 몽골 제국이 참전한 전쟁 - 몽금전쟁
몽금전쟁은 1211년부터 1234년까지 몽골 제국이 선조의 복수를 명분으로 금나라를 침공하여 멸망시키고 중원 정복의 발판을 마련한 전쟁이다. - 몽골 제국이 참전한 전쟁 - 제9차 십자군
1271년부터 1272년까지 에드워드 1세가 주도한 제9차 십자군은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위협받던 예루살렘 왕국의 잔존 세력을 지원하고 맘루크 왕조의 세력 확장을 저지하려 했으며, 십자군 국가 방어에 기여하고 십자군 운동 종말의 계기가 되었다. - 송나라가 참전한 전쟁 - 금송 전쟁
금송 전쟁은 1125년부터 1234년까지 남송과 금나라 간에 약 120년간 지속된 전쟁으로, 소흥화의를 기점으로 양상이 변화했으나 영토 분쟁과 패권 경쟁이 이어지며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고, 결국 양국은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 송나라가 참전한 전쟁 - 몽금전쟁
몽금전쟁은 1211년부터 1234년까지 몽골 제국이 선조의 복수를 명분으로 금나라를 침공하여 멸망시키고 중원 정복의 발판을 마련한 전쟁이다.
| 몽송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기본 정보 | |
| 분쟁 | 몽골-송 전쟁 및 쿠빌라이 칸의 원정의 일부 |
| 기간 | 1235년 2월 11일 – 1279년 3월 19일 |
| 장소 | 남중국 |
| 결과 | 원나라의 승리 |
| 영토 변경 | 남중국이 원나라에 정복됨 |
| 교전 세력 | |
| 1235–1259 | 몽골 제국 대리국 |
| 1260–1279 | 원나라 대리국 |
| 1235–1279 | 남송 |
| 지휘관 | |
| 몽골 제국/원나라 | 오고타이 칸 퇴레게네 귀위크 칸 몽케 칸 쿠빌라이 칸 바얀 우리양카다이 아주 사천택 장홍범 장유 |
| 남송 | 이종 도종 공제 단종 소제 가사도 여문환 조우문 이정지 장세걸 문천상 |
| 병력 규모 | |
| 몽골 제국/원나라 | 60만 명 이상 |
| 남송 | 미상 |
| 피해 규모 | |
| 몽골 제국/원나라 | 매우 큼 |
| 남송 | 매우 큼 |
2. 배경

몽골-금나라 전쟁이 일어나기 전, 남송은 과거 송금전쟁에서 적대했던 금나라를 함께 공격하자고 몽골에 사신을 보내 제안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칭기즈 칸은 생전에 이 제안을 거절했지만, 1227년 사망하면서 남송 영토를 통과하여 금나라 수도를 공격하라는 계획을 남겼다. 이후 불확실한 이유로 남송의 관리가 몽골 사신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 몽골은 이에 대한 해명을 듣기도 전에 남송 영토로 진격하여 허난성에 위치한 금나라의 요새로 향했다.
2. 1. 정해지변(1227)
1227년 초봄, 칭기즈 칸은 금나라와 서하 정벌을 명분으로 소규모 부대를 파견하여 송나라의 이주로를 공격하도록 명령했다.[73][4] 이 침공으로 계주(階州), 봉주(鳳州), 성주(成州), 화주(和州), 천수(天水) 등 5개 주가 파괴되는 피해를 입었다.[73][4]
2. 2. 촉구전투 (1230-1231)
1230년 겨울부터 1231년 가을까지, 몽골군은 송나라의 영토를 강제로 통과하였다. 이 과정에서 촉구(蜀口|Shukou중국어)의 세 관문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남송 군대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74][5] 이는 몽골의 남송 정복이 공식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발생한 두 세력 간의 두 번째 무력 충돌이었으며, 규모 면에서는 가장 큰 충돌이었다.[74][5]2. 3. 몽골-금나라 전쟁(몽금전쟁) 이후
1227년 칭기즈 칸 사후, 1229년 쿠릴타이를 통해 오고타이 칸이 제2대 칸으로 즉위했다. 오고타이 칸은 정권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남송과 동맹을 맺고 금을 공격하는 제2차 대금 전쟁을 시작했다.
1233년 남송은 몽골과 공식적으로 동맹을 맺었으며, 몽골은 황하(黃河) 이남 영토를 남송과 공유하기로 약속했다. 남송의 장군 맹공(孟珙)은 금나라 장군 오현(Wu Xian)을 격파하고, 금나라의 마지막 황제가 피신한 채주(蔡州)를 포위하는 데 군대를 투입하는 등 활약했다. 몽골군의 도움을 받아 남송은 100년 이상 화북(華北) 지역을 지배했던 금나라를 1234년 마침내 멸망시켰다.
그러나 금나라 멸망 1년 후, 남송 조정은 중원 회복을 목표로 몽골과의 협정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군대를 북진시켰다. 남송군은 북송의 옛 수도였던 개봉(開封), 낙양, 남경 등을 점령하려 시도하며 개봉까지 진격했으나, 칭기즈 칸의 부하였던 보르추의 후손 타치르(Tachir)가 이끄는 몽골 수비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남송의 이러한 행동은 몽골의 격렬한 분노를 사 몽골의 남침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오고타이 칸 정권은 바투의 서방 원정과 함께 남송 침공 계획을 세웠다. 오고타이 칸의 셋째 아들 쿠추(Kuchu)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몽골군의 전통적인 삼군단 전술에 따라 서로군(사령관 코덴, 감숙 방면), 동로군(사령관 알다이치, 산동 방면), 중앙군(사령관 쿠추, 한수 유역)으로 나누어 대규모 침공을 개시했다.
하지만 전쟁 초기에 총사령관 쿠추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중앙군이 후퇴했고, 몽골군의 지휘 체계는 큰 혼란에 빠졌다. 이로 인해 각 군단은 통일된 지휘 없이 독자적으로 남송의 여러 도시를 공격했으나, 공성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송은 금나라와의 전쟁에서 활약했던 맹공을 다시 기용했고, 맹공은 혼란에 빠진 몽골군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며 오히려 양양까지 탈환하는 전과를 올렸다.
몽골군은 남송 침공 과정에서 말에게 적합하지 않은 남부의 낯선 지형, 이전에는 겪어보지 못했던 새로운 질병의 창궐, 그리고 초원 민족에게는 생소한 해전 수행의 필요성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몽골의 정복 전쟁 중 남송과의 전쟁을 가장 길고 어려운 전쟁 중 하나로 만들었다.[6] 중국은 몽골이 상대했던 모든 세력 가운데 가장 격렬하게 저항했으며, 몽골은 승리를 위해 동원 가능한 모든 군사적 수단과 전략을 사용해야 했다.[7] 고려(高麗)와 남송은 다른 유라시아 지역의 국가들이 몽골군에게 빠르게 정복된 것과 비교했을 때 훨씬 더 끈질긴 저항을 보여주었다.[8] 1256년 중동 지역 침공에 동원된 군대보다 남송 침공에 투입된 몽골 군대의 규모가 훨씬 컸다는 사실은 남송 정복의 어려움을 보여준다.[9]
3. 1단계 (1235-1248): 초기 공세와 저항
1234년 금나라가 멸망하면서 몽골 제국과 남송은 직접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 금나라 멸망 과정에서 협력했던 양국 관계는 남송이 북송의 옛 수도였던 개봉, 낙양 등을 점령하려 시도하면서[79] 파탄났고, 이는 몽골의 침공을 불러왔다.
오고타이 칸은 바투의 서방 원정과 함께 남송 침공을 계획했다. 총대장으로는 오고타이 칸의 셋째 아들 쿠추가 임명되었으나, 개전 초기에 그가 급사하면서 몽골군의 지휘 체계에 혼란이 발생했다.
본격적인 침공은 1235년부터 시작되었다. 몽골 장군 코단은 감숙 방면에서 사천(四川) 지역으로 진격하여 성도평원(成都平原)을 공격했다.[79] 사천 점령은 화남 정벌의 중요한 발판으로 여겨졌다. 1236년에는 장강(長江) 중류의 요충지이자 남송 장군 조우문(曹友聞)이 지키던 양양(襄陽)이 함락되었다.[79]
그러나 동부 전선에서는 남송 장군 맹공(孟珙)과 두고(杜杲)가 구온불화(口溫不花)가 이끄는 몽골군의 압박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이는 당시 몽골의 주력 부대가 유럽 원정에 투입되었던 상황과 맞물린 결과였다.[80] 사천 지역에서는 사천안무치제사(四川安撫置制使) 여개(余玠)가 염진(冉璡)과 염박(冉璞) 형제의 건의를 받아들여 조어성(釣魚城) 등 산악 지대에 요새를 구축하고 방어선을 강화했다. 여개는 이를 바탕으로 약 10년간 사천을 지켜냈다.[80] 1239년, 맹공은 몽골군을 격파하고 양양을 되찾았으며, 이후 수년간 몽골군과 사천 지역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80] 1241년까지 몽골군이 사천에서 확보한 주요 거점은 성도(成都) 정도였다.[81] 회하(淮河) 유역에서도 몽골군은 수세에 머물렀으나, 퇴레게네 카툰과 귀위크 칸 시기에는 남송 공격 명령이 내려지기도 했다.[81]
한편, 금나라 통치에 반감을 가졌던 많은 한족들이 몽골군에 합류했다. 대표적으로 장유(張柔), 엄실(嚴實), 사천택(史天澤), 유흑마(劉黑馬) 등 4명의 한인 만호(萬戶)는 각각 1만 명 규모의 부대를 이끌며 오고타이 칸 휘하에서 활약했다.[82][83][84][85]
| 이름 | 비고 |
|---|---|
| 장유(張柔) | 한인 만호 지휘 |
| 엄실(嚴實) | 한인 만호 지휘 |
| 사천택(史天澤) | 한인 만호 지휘 |
| 유흑마(劉黑馬) | 한인 만호 지휘 |
1242년, 몽골은 다시 사천을 침공했다. 몽골 지휘부는 한족 만호인 장유와 차가안(Chagaan)에게 남송 공격을 명령했다.[87] 이들이 남송 영토를 약탈하자 남송 조정은 사절단을 보내 휴전을 제의했고, 몽골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장유와 차가안은 북쪽으로 철수했다.[87] 앞서 퇴레게네 카툰이 평화 협상을 위해 보낸 사절을 남송 측이 투옥하는 사건도 있었다.[86]
몽골군은 몽골인 병력 외에도 중국 남부의 현지 소수 민족 병력을 적극 활용했다. 특히 대리국(大理國)의 찬북군(爨僰軍)은 대리국 황족 단씨(段氏)의 지휘 아래 양쯔강 유역 전투에서 몽골군의 주력 부대 역할을 했다. 우량카다이(Uriyangkhadai)가 남송을 공격할 당시 그의 휘하 기병은 3천 명에 불과했고, 군대의 대부분은 단씨 가문 장교들이 이끄는 찬족과 보족 병사들이었다.[88][19]
전쟁 과정에서 남송군은 화약 무기를 사용하기도 했다. 몽골군이 난징을 공격했을 때, 남송군은 땅굴을 파고 들어오는 몽골군에 대항해 '진천뢰(震天雷)'라는 철제 폭탄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89] 이 무기는 저위력 질산염 화약으로 채워진 철솥 형태로, 폭발 시 철 파편과 함께 불을 사방으로 뿜어내며[90] 수 리 밖에서도 들릴 정도의 큰 폭발음을 냈다고 묘사된다.[91]
4. 2단계 (1251-1260): 몽케 칸의 개입과 전략 변화
1251년 몽케 칸이 카안(qa'an)으로 즉위하면서 몽골 제국의 내분은 잠시 수습되었고, 남송에 대한 공세가 다시 강화되었다. 몽케 칸은 동생 쿠빌라이에게 동아시아 지역 공략을 맡겼고, 쿠빌라이는 금련천(金蓮川)에 본거지를 마련하고 남송 침공 계획을 세웠다.
쿠빌라이는 남송을 남쪽과 서쪽에서 포위하는 전략을 추진했다. 우선 1253년 윈난-다리 원정을 통해 대리국을 정복하였고, 이후 장군 우량카다이와 함께 운남(雲南)과 티베트를 평정하였다. 1254년 몽골군은 잠시 하주(Ho-chiou, 현 충칭시 허촨구 인근)를 포위하기도 했다.
1257년까지 중국 서남부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끈 우량카다이는 티베트 부족들을 평정한 후 동쪽으로 방향을 돌려 다이비엣(大越, 쩐 왕조)으로 향했다.[92] 같은 해 가을, 우량카다이는 다이비엣 황제 쩐타이똥(Trần Thái Tông)에게 남송으로 가는 길을 열어달라고 요구하는 서신을 보냈으나, 사절단이 수도 탕롱(昇龍, 현재의 하노이)에 감금되자[93] 12월, 장군 트레첵두(Trechecdu), 아주(Aju) 등과 함께 다이비엣을 침공하였다.[93] 1258년 1월 17일 빈레(Bình Lệ) 초원에서 벌어진 전투[94] 이후, 1월 22일 우량카다이는 탕롱을 함락시키는 데 성공했다.[92][95][96] 우량카다이는 1259년 탕롱을 떠나 광서(廣西) 일대의 남송 영토를 침공하며 북상, 몽케 칸의 사천 공격군 및 산동(山東)·하남(河南) 방면 공격군과 합류하고자 하였다.[96]
한편, 쿠빌라이의 신중한 전략에 만족하지 못하고 단기 결전을 원했던 몽케 칸은 1257년 10월 직접 남송 정벌에 나섰다. 1258년 5월 육반산(六盤山) 인근에 주둔한 뒤, 몽골군 주력(약 2/3)을 이끌고 사천으로 진격했다. 몽케는 잠시 쿠빌라이를 해임하고 타가차르를 기용하기도 했으나, 별다른 성과가 없자 다시 쿠빌라이를 기용하고 직접 군대를 지휘했다.
그러나 각 부대 간의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몽케의 군대만 고립되는 양상이 나타났고, 1259년 8월 11일 조어성(釣魚城, 현재 충칭시 허촨구) 공략 중 몽케 칸은 진중에서 이질[97] 혹은 콜레라로 추정되는 병으로 급사하였다.[98][99][100] 몽케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남송 정벌 계획에 큰 차질을 빚게 했으며, 쿠빌라이와 아릭부케 사이에 카안 지위를 둘러싼 계승 분쟁을 촉발시켰다.
쿠빌라이는 휘하 군대의 이탈을 막기 위해 북쪽으로 돌아가는 대신 남하하여 몽골군 최초로 장강을 건너 어저우(鄂州, 현재 우한시)를 포위했다. (어저우 전투 (1258년~1259년)) 몽골군의 도강 소식에 충격을 받은 남송 조정은 가사도(賈似道)를 구원군으로 파견했다. 이 무렵 쿠빌라이는 이미 북쪽으로 돌아갈 결심을 굳히고 있었으나, 가사도는 철수하는 몽골군 일부를 공격하여 승리를 거두었다고 보고했다. 이 공로로 가사도는 이후 재상의 자리에 올랐지만, 당시 쿠빌라이와 가사도 사이에 밀약이 있었다는 소문이 돌았고, 이 전투의 실제 성과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 시기 남송 조정은 심각한 내부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이종(理宗)의 외척인 가씨(賈氏)와 염씨(閻氏) 일파, 환관 동송신(董宋臣)과 노윤승(盧允升) 등이 권력을 장악하고 정치를 어지럽혔다. 조정은 몽골의 침입뿐만 아니라 복건(福建)에서 일어난 안몽표(晏夢彪)의 난이나 호남(湖南)의 농민 반란 등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1260년 새로 즉위한 도종(度宗) 조기(趙禥) 역시 가사도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가사도는 문천상(文天祥)과 이불(李芾) 등 자신에게 반대하는 신하들을 추방했다. 심각한 재정난 속에서 가사도는 공전법(公田法) 등 토지 관련 제도를 개혁하려 시도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군사적으로 남송은 돌화창(突火槍)과 같이 대나무 관을 이용해 발사체를 쏘는 화약 무기를 사용하여 몽골군에 저항했다.[101] 한편, 운남, 귀주(貴州), 사천 등지의 토사(土司)들은 몽골에 복속하여 기존의 지위를 인정받고 원나라의 통치 체제에 편입되기도 했다.
5. 남송의 항복 (1260-1276): 양양 함락과 임안 함락

1260년, 쿠빌라이가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즉위하면서 남송 정벌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하지만 즉위 직후 동생 아리크부카와의 톨루이 내전(1260-1264)으로 인해 남송 공략은 잠시 지연되었다.[105] 내전을 마무리한 쿠빌라이는 남송 정복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1268년, 몽골군은 아주의 지휘 아래 남송의 핵심 방어 거점인 양양과 번성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양양·번성 전투). 양양과 번성은 한수 유역에 위치하여 장강으로 나아가는 길목을 통제하는 전략적 요충지였다.[110] 남송군은 여문환 등의 지휘 아래 5년 가까이 끈질기게 저항했으나, 몽골군은 일칸국의 기술 지원을 받아 도입한 강력한 투석기 등 신무기를 동원하여 공세를 강화했다.[111][115][116] 또한, 남송 조정 내부의 가사도와 여씨 가문 간의 정치적 갈등은 효과적인 방어 작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120]
1273년, 마침내 번성이 함락되었고, 몽골군은 번성 주민들을 학살하여 양양 수비군의 저항 의지를 꺾으려 했다. 심리적 압박과 계속되는 공격 속에 양양의 지휘관 여문환은 결국 몽골군에 항복했다.[122] 양양과 번성의 함락은 남송의 장강 방어선 붕괴를 의미하는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쿠빌라이는 항복한 여문환을 처벌하는 대신 회유하여 남송 공략에 적극 활용했다.
이후 바얀이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장강을 따라 남하했다. 여문환은 자신의 옛 부하들과 인맥을 동원하여 장강 유역의 남송 요새들의 항복을 유도하며 몽골군의 진격을 도왔다.[122] 1274년 악주가 함락되었고, 바얀은 쿠빌라이의 지시에 따라 약탈을 금지하며 회유책을 썼으나, 저항이 계속되자 1275년 창저우에서는 주민 학살을 감행하기도 했다. 남송의 실권자였던 가사도는 무호 전투에서 패배한 뒤 살해되었다.
1276년 2월, 바얀이 이끄는 몽골군은 남송의 수도 임안(현 항저우)을 포위했다. 더 이상 저항할 힘이 없다고 판단한 사태후와 전태후는 어린 공제와 함께 옥새를 바치며 항복했다. 이로써 남송은 150년 가까운 역사를 뒤로하고 사실상 멸망하였다.
역사가 패트리샤 버클리 에브리에 따르면, 몽골군은 이전에 금나라의 완안 황족이나 서하의 탕구트족 황족에게는 가혹한 처우를 했던 것과 달리, 남송의 조씨 황족에게는 비교적 관대한 정책을 펼쳤다. 공제와 태후를 비롯한 황족들은 목숨을 보전했으며, 임안의 주민들 역시 약탈당하지 않고 생업을 이어갈 수 있었다. 쿠빌라이는 공제를 상도로 보내 자신의 가문인 보르지긴 가문의 공주와 혼인시키기도 했다.[124][125][126]
수도 임안이 함락되고 황제가 항복했지만, 문천상, 장세걸, 육수부 등 일부 충신들은 공제의 동생들을 황제로 내세우며 남쪽으로 내려가 항전을 계속했다. 그러나 이들의 저항은 1279년 애산 전투에서의 패배로 완전히 끝나게 된다.
5. 1. 몽골군의 전략
쿠빌라이 칸은 남송 정벌 과정에서 기존 몽골의 기병 중심 전략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수정하였다. 강남의 지형에서는 기병의 장점을 살리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소수의 몽골 기병을 핵심으로 하되 거란, 여진, 한족 출신 병력으로 구성된 혼합 부대를 편성하였다. 또한, 화북 지방 군벌 세력이 보유한 보병을 적극 활용하여 군대의 구조를 다변화했다.[106] 원은 항복한 금나라 및 남송 군대를 '신부군(新附軍)'이라 칭하며 한군(漢軍)으로 편제하였다. 쿠빌라이 칸은 투항한 남송 군인들에게 토지, 가축, 의복 등을 제공하며 회유책을 사용하기도 했다.[108][109]양양·번성 전투가 장기화되자, 몽골군은 전쟁의 양상을 바꿀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다. 아주는 쿠빌라이 칸에게 일칸국의 발전된 공성무기 지원을 요청했다.[111] 이에 이라크 모술 출신 기술자인 이스마일과 알 알 딘 등이 파견되어, 평형추 원리를 이용한 신형 투석기(trebuchet)를 제작했다. 이 투석기는 1258년 바그다드 포위전에서 훌라구가 사용했던 설계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115][116], 기존의 견인식 투석기(traction trebuchet)보다 사거리가 길고 파괴력이 뛰어났다.[118] 이 신무기는 이전까지 공략하기 어려웠던 견고한 남송의 성벽, 특히 번성의 성벽을 파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118], 몽골군이 점령하기 힘들다고 여겼던 도시들을 빠르게 함락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115][116] 몽골군은 이 외에도 화약을 채운 무쇠 폭탄인 진천뢰(震天雷)와 포위용 쇠뇌 등을 운용하였고, 이에 맞서 남송군은 화전(火箭)과 화창(火槍) 등으로 저항했다.[91]
수전(水戰)의 중요성을 인식한 쿠빌라이 칸은 1270년 5천 척의 선박 건조를 시작으로, 3년 후 2천 척을 추가 건조하는 등 대규모 선단 확보에 힘썼다. 이는 약 5만 명의 병력을 장강 너머로 수송할 수 있는 규모였으며, 남송 정벌에 필수적인 해상 및 하천 전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몽골군 총사령관 바얀은 군사적 압박과 함께 항복을 유도하는 전략을 병행했다. 쿠빌라이 칸의 지시에 따라 불필요한 살상을 피하고 점령지 주민을 회유하려 노력했으며, 악주 함락 후 약탈을 엄금하여 투항을 유도했다. 그러나 1273년 번성 함락 후 주민들을 학살한 사례처럼, 때로는 공포심을 조장하여 저항 의지를 꺾는 심리전도 구사하였다. 양양성 함락 후 투항한 남송 장수 여문환은 자신의 인맥을 활용하여 장강 유역의 다른 남송군 지휘관들의 투항을 설득하는 등 내부 와해 공작에도 기여하였다.[122]
5. 2. 남송 멸망의 요인
양양·번성 전투의 패배는 남송 멸망의 결정적인 요인 중 하나였다. 1268년부터 5년간 이어진 이 공방전에서 남송군은 끈질기게 저항했지만, 몽골군은 일한국에서 도입한 신형 투석기와 같은 강력한 공성 무기를 앞세워 결국 1273년 번성을 함락시키고 주민들을 학살했다. 이에 심리적으로 위축된 양양의 지휘관 여문환은 결국 몽골에 항복했다.[115][116][118][119] 양양과 번성은 장강 중류의 핵심 방어 거점이었기에, 이곳의 함락은 남송의 방어 체계가 사실상 붕괴되었음을 의미했다.[123]남송 내부의 정치적 분열과 실정 역시 멸망을 재촉한 중요한 원인이었다. 당시 남송 조정은 권신 가사도가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는데, 그는 어저우 전투에서 쿠빌라이와 밀약을 맺었다는 의혹을 받는 등 정치적 기반이 불안정했다. 양양·번성 전투가 장기화되면서 여씨(呂氏) 가문과의 정치적 갈등이 격화되었고, 이는 지휘 체계의 혼란으로 이어졌다. 가사도는 여씨의 정적인 이정지가 구원군 지휘관으로 임명되자, 여씨가 그의 지시를 따르지 않아도 된다고 하여 효율적인 군사 작전을 방해했다.[120] 이러한 내부 분열과 리더십 부재는 몽골의 침략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게 만들었다.
결정적으로 항복한 남송 장수 여문환의 배신은 남송의 멸망을 가속화했다. 쿠빌라이는 항복한 여문환을 처벌하지 않고 오히려 우대하며 회유했고, 가사도 정권에 불만을 품고 있던 여문환은 몽골군에 적극 협력했다. 그는 자신의 인맥을 동원하여 장강 유역의 남송 주둔군에게 항복을 권유했으며, 이는 남송군의 사기를 크게 저하시키고 방어선을 무력화하는 결과를 낳았다.[122] 여문환의 협력 덕분에 바얀이 이끄는 몽골군은 큰 저항 없이 장강을 따라 남하하여 남송의 수도 임안을 압박할 수 있었다.
이처럼 양양·번성 전투에서의 군사적 패배, 가사도를 중심으로 한 조정의 무능과 내부 분열, 그리고 핵심 장수의 배신이라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남송은 결국 몽골에 의해 멸망하게 되었다.
6. 남송 충신들의 저항 (1276-1279)

임안이 함락된 후에도 남송에 충성하는 이들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사태후는 어린 황제의 두 형제(조현, 조병)를 몰래 복주로 피신시켰다. 그러나 남송 충신 세력의 거점은 하나둘씩 무너져 내렸다. 1276년에는 양주가, 1277년에는 충칭이, 그리고 1279년에는 합주가 차례로 몽골군에게 함락되었다. 남은 충신들은 복건성, 광동성, 강서성의 험준한 산악 지대를 중심으로 몽골군에 맞서 싸움을 이어갔다.
남송의 대표적인 충신 중 한 명인 문천상은 1279년 2월에 결국 몽골군에게 체포되었다. 그는 원나라의 수도인 칸발릭(대도, 현재의 베이징)으로 압송되어 처형당했다.
남송의 마지막 저항은 1279년 3월 19일 애산(厓山)에서 벌어진 대규모 해전으로 막을 내렸다. 이 전투에서 약 1,000척에 달하는 남송 함대는 300척에서 700척 규모의 원나라 함대와 맞섰다. 원나라 함대는 한족 출신인 장홍범과 탕구트족 출신인 이형이 지휘했다. 원나라 조정은 남송 함대가 투석기를 사용하면 쉽게 도망칠 것을 우려하여 투석기 사용을 금지하는 대신, 해상에서 남송 함대를 완전히 포위하여 섬멸하는 작전을 세웠다.
남송 함대는 처음부터 전술적인 실수를 범했다. 방어에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려 했던 남송군은 함선들을 서로 밧줄로 묶어 거대한 방어 진형을 구축했다. 이는 함대의 기동성을 크게 떨어뜨려 공격과 후퇴 모두 어렵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더욱이 인근에 마땅한 보급 기지가 없어 탈출조차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전투가 시작되기도 전인 3월 12일에는 상당수의 남송 병사들이 원나라 측에 투항했다. 13일에는 남송 함대가 북쪽의 원나라 순찰선을 공격하며 탈출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3월 17일, 이형과 장홍범은 결정적인 공격을 감행하기로 결정했다. 네 개의 원나라 함대가 남송 함대를 향해 진격했다. 이형은 북쪽과 북서쪽에서, 장홍범은 남서쪽에서 공격했으며, 나머지 두 함대는 남쪽과 서쪽에서 압박했다. 마침 그날 아침에는 짙은 안개가 끼고 비가 내려, 새벽에 시작된 이형 함대의 접근을 숨겨주었다. 조류의 방향과 남서풍 또한 원나라 함대의 이동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원나라 함대는 순식간에 남송 함대의 북쪽에 나타났다. 원나라 함대가 남송 함대의 정면(선수)부터 공격한 것은 이례적인 방식이었다.
전투에 앞서 원나라는 해병대 병사들이 활을 쏠 수 있는 높은 사격 발판을 배 위에 설치했다. 이 발판 위에서 7~8명의 궁수들이 조를 이루어 남송 함대를 향해 효과적으로 화살 공격을 퍼부었으며, 이는 이후 벌어진 근접전에서 큰 위력을 발휘했다.
이형의 첫 공격으로 남송 함대를 묶고 있던 밧줄들이 끊어지면서 격렬한 근접전이 벌어졌다. 정오가 되기 전에 남송은 세 척의 함선을 잃었다. 이형의 함대는 남송 함대의 외곽 방어선을 돌파했고, 다른 두 원나라 함대 역시 북서쪽에서 남송 진형을 무너뜨렸다. 이때 조류의 방향이 바뀌자 이형의 함대는 잠시 북쪽으로 밀려났다.
남송군은 원나라의 공격이 잠시 멈춘 것으로 생각하고 방심했다. 그러나 이때 북쪽 해류를 타고 온 장홍범의 함대가 다시 남송 함대를 맹렬히 공격했다. 장홍범은 남송의 지휘관 좌태를 사로잡으려 했고, 그의 기함은 남송군의 화살 공격을 막기 위해 방패로 보호되었다. 전투 후 장홍범이 남송 기함을 점령했을 때, 그의 배는 화살로 뒤덮여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형의 함대도 다시 전투에 합류했다. 늦은 오후가 되자 전투는 원나라의 승리로 끝났고, 남송 해군의 마지막 남은 함선들도 항복했다.
몽골의 지배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남송의 지도자들은 죽음을 택했다. 전투 중 어린 황제 조병을 돌보던 재상 육수부는 다른 지도자들과 함께 스스로 목숨을 끊기로 결심했다. 육수부 스스로의 판단이었는지, 아니면 다른 이들의 결정이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그는 어린 황제를 품에 안고 바다에 몸을 던졌다. 이를 따라 수만 명의 남송 관료들과 궁인들 역시 바다에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마지막 황제의 죽음으로 남송의 저항은 완전히 끝났다. 이 애산 해전의 승리로 쿠빌라이 칸은 중국 전역을 정복하고 통일된 몽골 원나라 시대를 열게 되었다.
그러나 모든 송 황족이 죽은 것은 아니었다. 송 공종이나 조맹부, 조용 등 일부 황족은 원나라 치하에서 살아남았다. 특히 조맹부는 원나라 조정에서 활동하며 쿠빌라이 칸을 직접 만나기도 했다. 한편, 베트남의 역사서인 ''대월사기전서''에는 1276년 겨울, 30척의 배를 탄 남송 황족의 일부가 대월의 수도인 탕롱에 도착하여 '나이-뜽' 지역에 정착했고, 약과 비단을 파는 시장을 열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57]
7. 영향 및 평가
남송이 멸망한 후, 남송의 무관과 문관 중 일부는 베트남과 참파 등 해외 지역으로 피신했다. 베트남으로 간 이들은 현지 지배층과 혼인 관계를 맺기도 했으며, 정사소의 기록에 따르면 참파에서는 현지 정부에 참여하여 활동하기도 했다.[65] 또한, 과거 남송 군인이었던 이들은 제2차 몽골 침략에 맞서 베트남 황제 쩐 탄 통이 조직한 군대에 합류하여 싸웠다.[66]
리암 켈리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몽골의 중국 침략 이후 조중(趙中)이나 서종도(徐宗道)와 같은 남송 출신 인물들이 당시 쩐 왕조가 지배하던 베트남으로 망명하여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는 쩐 왕조를 지원했다. 몽골의 침략을 기록했던 도교 성직자 서종도는 몽골군을 "북쪽 도적"이라고 지칭했다. 그는 대월사기전서를 인용하며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송[왕조]이 멸망하자, 그 백성들이 우리에게 왔다. 녓 유앗(Nhật Duật, 쩐 왕조의 왕족)이 그들을 받아들였다. 조중이라는 자가 그의 개인 경호원으로 복무했다. 그러므로 원[즉, 몽골]을 물리치는 데 있어 녓 유앗의 공이 가장 컸다."[67][68]
참조
[1]
서적
In the Service of the Khan: Eminent Personalities of the Early Mongol-Yüan Period (1200–1300)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
문서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3]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anklin Classics
[4]
서적
Inner Mongolia People's Publishing House
[5]
문서
[6]
서적
The Mongol Warlords: Genghis Khan, Kublai Khan, Hulegu, Tamerlane
https://books.google[...]
Brockhampton
[7]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Chinese People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8]
서적
Warfare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9]
간행물
Nomads on Ponies vs. Slaves on Horses
[10]
문서
Kublai Khan
[11]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2010-10-28
[12]
문서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13]
웹사이트
窝阔台汗己丑年汉军万户萧札剌考辨 – 兼论金元之际的汉地七万户
http://www.wanfangda[...]
[14]
웹사이트
窝阔台汗己丑年汉军万户萧札剌考辨 – 兼论金元之际的汉地七万户-国家哲学社会科学学术期刊数据库
http://www.nssd.org/[...]
2016-01-10
[15]
웹사이트
新元史/卷146 – 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https://zh.wikisourc[...]
[1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klxsw.com[...]
2016-05-03
[17]
문서
The Mongols A History
[18]
문서
Mongol hiiged Eurasiin diplomat shastir
[19]
서적
Between winds and clouds: the making of Yunnan (second century BCE to twentieth century C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20]
문서
Artillery and warfare during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Monograph series)
https://books.google[...]
Utah State University Press
2014-12-30
[21]
문서
A History of Greek Fire and Gunpowder
https://www.google.c[...]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4-12-30
[22]
문서
zhen tian lei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4-12-30
[23]
서적
Khubilai Khan: His Life and Tim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서적
Descending Dragon, Rising Tiger: A History of Vietnam
Reaktion Books
[25]
문서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26]
간행물
Mongols in Vietnam: end of one era, beginning of another
[27]
간행물
The deaths of two Khaghans: a comparison of events in 1242 and 1260
[28]
문서
The history of the Mongol conquests
[29]
문서
Daily life in the Mongol empire
[30]
문서
Kublai Khan
[31]
문서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32]
서적
Artillery and warfare during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tah State University Press
2011-11-28
[33]
서적
Political Frontiers, Ethnic Boundaries and Human Geographies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34]
서적
Empire at the Margins: Culture, Ethnicity, and Frontier in Early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35]
문서
East Asia at the center: four thousand years of engagement with the world
[36]
서적
Hucker 1985
https://books.google[...]
[37]
서적
Empire's Twilight: Northeast Asia Under the Mongol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38]
서적
Kublai Kha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2
[39]
서적
China's Entrepreneurial Arm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0]
서적
Mongol Warrior 1200–1350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2010-10-28
[41]
서적
Kublai Khan
[42]
웹사이트
揭秘730多年无影古塔 为武汉现存最早古建筑(图)
http://news.cnhubei.[...]
Hubei Daily Online
2014-06-13
[43]
웹사이트
无影有踪 追溯洪山无影塔历史 ("No Shadow But With History": (play on the name of the pagoda and the Chinese phrase 无影无踪 'Disappear without a Trace') Tracing the History of the Hongshan Wuying Pagoda (Mount Hong Shadowless Pagoda))
https://web.archive.[...]
Tencent Dachuwang
2013-05-15
[44]
서적
City of heavenly tranquility: Beijing in th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46]
논문
Black Camels and Blazing Bolts: The Bolt-Projecting Trebuchet in the Mamluk Army
[47]
서적
Chinese Walled Cities 221 BC–AD 1644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10-28
[48]
서적
Fighting techniques of the Oriental world, AD 1200–1860: equipment, combat skills, and tactics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0-10-28
[49]
서적
Genghis Khan & the Mongol conquests, 1190–1400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10-28
[50]
서적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Taylor & Francis
[51]
서적
Siege weapons of the Far East: AD 960–1644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10-28
[52]
서적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Taylor & Francis
[53]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a guide to 8,500 battles from antiquity through the twenty-first century, Volume 3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0-10-28
[54]
서적
State Power in China, 900–1325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1-12-03
[55]
서적
Buddhist Encounters and Identities Across East Asia
Brill
2018
[56]
서적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1
[57]
간행물
The Mongol Navy: Kublai Khan's Invasions in Đại Việt and Champa
[58]
서적
Defending Heaven: China's Mongol Wars, 1209–1370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3
[59]
서적
Defending Heaven: China's Mongol Wars, 1209–1370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3
[60]
서적
Defending Heaven: China's Mongol Wars, 1209–1370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3
[61]
서적
Shanghai
https://books.google[...]
Wiley-Academy
2002
[62]
서적
Defending Heaven: China's Mongol Wars, 1209–1370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3
[63]
서적
Global Connec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4]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3
[65]
서적
China's Encounters on the South and Southwest: Reforging the Fiery Frontier Over Two Millennia
https://books.google[...]
Brill
2014
[66]
서적
China's Encounters on the South and Southwest: Reforging the Fiery Frontier Over Two Millennia
https://books.google[...]
Brill
2014
[67]
웹사이트
Giặc Bắc đến xâm lược!: Translations and Exclamation Points
https://web.archive.[...]
2016-04-05
[68]
웹사이트
Liam Kelley | Department of History
https://web.archive.[...]
2014-10-14
[69]
문서
『[[宋史紀事本末]]』巻93 端平2年正月丙辰条 「詔孟珙屯黄州。珙留襄陽、招中原精鋭之士萬五千餘、分屯漅北、樊城、新野、唐、鄧間、以備蒙古、名鎮北軍、遂以爲襄陽都統制」
[70]
서적
In the Service of the Khan: Eminent Personalities of the Early Mongol-Yüan Period (1200–1300)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71]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72]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73]
서적
宋元战争史
内蒙古人民出版社
2010
[74]
서적
[75]
서적
The Mongol Warlords: Genghis Khan, Kublai Khan, Hulegu, Tamerlane
https://books.google[...]
Brockhampton Press
[76]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Chinese People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02
[77]
서적
Warfare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00
[78]
저널
https://www.jstor.or[...]
1998
[79]
서적
Kublai Khan
[80]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81]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82]
웹인용
窝阔台汗己丑年汉军万户萧札剌考辨 – 兼论金元之际的汉地七万户
http://www.wanfangda[...]
[83]
웹인용
窝阔台汗己丑年汉军万户萧札剌考辨 – 兼论金元之际的汉地七万户-国家哲学社会科学学术期刊数据库
http://www.nssd.org/[...]
2016-01-10
[84]
웹인용
新元史/卷146 – 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https://zh.wikisourc[...]
[85]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klxsw.com[...]
2016-05-03
[86]
서적
The Mongols A History
[87]
서적
Mongol hiiged Eurasiin diplomat shastir
[88]
서적
Between winds and clouds: the making of Yunnan (second century BCE to twentieth century C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89]
간행물
Artillery and warfare during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Monograph series)
https://books.google[...]
Utah State University Press
1961
[90]
서적
A History of Greek Fire and Gunpowder
https://www.google.c[...]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60
[91]
서적
The Hutchinson Dictionary of Ancient & Medieval Warfa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2]
서적
Khubilai Khan: His Life and Tim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3]
서적
Descending Dragon, Rising Tiger: A History of Vietnam
Reaktion Books
[94]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95]
저널
Mongols in Vietnam: end of one era, beginning of another
[96]
저널
The deaths of two Khaghans: a comparison of events in 1242 and 1260
[97]
서적
The history of the Mongol conquests
[98]
서적
Daily life in the Mongol empire
[99]
서적
Kublai Khan
[100]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101]
서적
Artillery and warfare during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tah State University Press
1961
[102]
문서
『신당서(新唐書)』「열전(列傳)147하·남만(南蠻)하」
[103]
서적
Political Frontiers, Ethnic Boundaries and Human Geographies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104]
서적
Empire at the Margins: Culture, Ethnicity, and Frontier in Early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105]
서적
East Asia at the center: four thousand years of engagement with the world
[106]
서적
han tumen khitan
https://books.google[...]
1985
[107]
서적
Empire's Twilight: Northeast Asia Under the Mongol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108]
서적
Kublai Kha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2
[109]
서적
China's Entrepreneurial Arm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10]
서적
Mongol Warrior 1200–1350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2010-10-28
[111]
서적
Kublai Khan
[112]
웹인용
揭秘730多年无影古塔 为武汉现存最早古建筑(图) (Uncovering the Secrets of the over 730-year-old Wuying Ancient Pagoda: Wuhan's Oldest Extant Ancient Architectural Structure (with Photographs))
http://news.cnhubei.[...]
Hubei Daily Online
2014-06-13
[113]
웹인용
无影有踪 追溯洪山无影塔历史 ("No Shadow But With History": (play on the name of the pagoda and the Chinese phrase 无影无踪 'Disappear without a Trace') Tracing the History of the Hongshan Wuying Pagoda (Mount Hong Shadowless Pagoda))
http://hb.qq.com/a/2[...]
Tencent Dachuwang
2013-05-15
[114]
서적
City of heavenly tranquility: Beijing in th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5]
문서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116]
논문
Black Camels and Blazing Bolts: The Bolt-Projecting Trebuchet in the Mamluk Army
[117]
서적
Chinese Walled Cities 221 BC–AD 1644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10-28
[118]
서적
Fighting techniques of the Oriental world, AD 1200–1860: equipment, combat skills, and tactics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0-10-28
[119]
서적
Genghis Khan & the Mongol conquests, 1190–1400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10-28
[120]
서적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Taylor & Francis
[121]
서적
Siege weapons of the Far East: AD 960–1644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0-10-28
[122]
서적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Taylor & Francis
[123]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a guide to 8,500 battles from antiquity through the twenty-first century, Volume 3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0-10-28
[124]
서적
State Power in China, 900–1325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10-29
[125]
서적
Buddhist Encounters and Identities Across East Asia
Brill
2018
[126]
서적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