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 (시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武)는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시호로, 용맹함과 무공을 기리는 칭호이다. 중국, 한국 등 여러 국가에서 '무제'(武帝), '무왕'(武王), '무공'(武公), '무후'(武侯) 등의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조선의 이순신 장군에게 내려진 '충무공' 시호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에게 '무' 자가 포함된 시호가 부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호 - 장 (시호)
장(莊)은 동아시아에서 훌륭함, 위엄, 강함을 의미하는 시호로, 황제, 왕 등 다양한 지위에 있는 인물에게 사용되었다. - 시호 - 경 (시호)
경(景) 또는 경(敬) 자를 시호로 받은 인물들은 황제, 왕, 제후, 공 등의 작위를 가졌으며, 각 시호는 생전 업적과 성품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무 (시호) |
---|
2. 중국의 역대 무제
중국 역사에서 '무제'(武帝)라는 시호를 받은 황제들을 시대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왕조 | 황제 | 시호 | 성명 |
---|---|---|---|
전한 | 무제 | 세종 효무황제 | 유철 |
후한 | 광무제 | 세조 광무황제 | 유수 |
조위 | 무제 | 태조 무황제 | 조조 |
서진 | 무제 | 세조 무황제 | 사마염 |
동진 | 무제 | 열종 효무황제 | 사마요 |
오호십육국 | 무제 | 태종 무황제 | 이웅 |
무제 | 열종 소무황제 | 유총 | |
무제 | 태조 무황제 | 석호 | |
무제 | 세조 성무제 | 모용수 | |
무제 | 태조 의무제 | 여광 | |
무제 | 중종 소무제 | 모용성 | |
무제 | 세종 헌무제 | 모용덕 | |
남조 | 무제 | 고조 무제 | 유유 |
효무제 | 세조 효무제 | 유준 | |
무제 | 세조 무제 | 소색 | |
무제 | 고조 무제 | 소연 | |
무제 | 고조 무제 | 진패선 | |
북조 | 무제 | 태조 도무황제 | 탁발규 |
무제 | 세조 태무황제 | 탁발도 | |
무제 | 세종 선무황제 | 원각 | |
무제 | 효무황제 | 원수 | |
무제 | 신무황제 | 고환 | |
무제 | 고조 무제 | 우문옹 | |
오대십국 | 무제 | 세조 신무제 | 유숭 |
몽골 제국 | 무제 | 태조 법천계운성무황제 | 패아지근철목진 |
원 | 무제 | 세조 성덕신공문무황제 | 패아지근홀필렬 |
명 | 무제 | 태조 홍무제 | 주원장 |
2. 1. 전한
무제(武帝)는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이다. 세종(世宗) 효무황제(孝武皇帝) 유철(劉徹)이다.[1]2. 2. 후한
광무제(光武帝)는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광무황제(光武皇帝) 유수(劉秀)이다.2. 3. 조위
무제는 조위(曺魏) 문제의 아버지 조조이다. 태조(太祖) 무황제(武皇帝) 조조이다.2. 4. 서진
- '''무제'''(武帝)는 서진(西晉)의 초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무황제(武皇帝) 사마염(司馬炎)이다. 진(晉) 무제
- '''무제'''(武帝)는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이다. 열종(烈宗) 효무황제(孝武皇帝) 사마요(司馬曜)이다. 동진 효무제
2. 5. 동진
무제는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이다. 열종(烈宗) 효무황제(孝武皇帝) 사마요(司馬曜)이다.2. 6. 오호십육국
- 무제는 오호십육국 성한의 초대 황제이다. 태종(太宗) 무황제(武皇帝) 이웅이다. [1]
- 무제는 오호십육국 한(漢)의 제3대 황제이다. 열종(烈宗) 소무황제(昭武皇帝) 유총이다. [1]
- 무제는 오호십육국 후조의 제3대 황제이다. 태조(太祖) 무황제(武皇帝) 석호이다. [1]
- 무제는 오호십육국 후연의 초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성무제(成武帝) 모용수이다. [1]
- 무제는 오호십육국 후량의 초대 황제이다. 태조(太祖) 의무제(懿武帝) 여광이다. [1]
- 무제는 오호십육국 후연의 제3대 황제이다. 중종(中宗) 소무제(昭武帝) 모용성이다. [1]
- 무제는 오호십육국 남연의 초대 황제이다. 세종(世宗) 헌무제(獻武帝) 모용덕이다. [1]
2. 7. 남조
- '''무제'''(武帝)는 남조 송의 초대 황제 고조(高祖) 유유(劉裕)이다.
- '''효무제'''(孝武帝)는 남조 송의 제4대 황제 세조(世祖) 유준(劉駿)이다.
- '''무제'''(武帝)는 남조 제의 제2대 황제 세조(世祖) 소색(蕭赜)이다.
- '''무제'''(武帝)는 남조 양의 초대 황제 고조(高祖) 소연(蕭衍)이다.
- '''무제'''(武帝)는 남조 진의 초대 황제 고조(高祖) 진패선(陳覇先)이다.
2. 8. 북조
- 북위 도무제 무제(태조 도무황제 탁발규)[1]
- 북위 태무제 무제(세조 태무황제 탁발도)
- 북위 선무제 무제(세종 선무황제 원각)
- 북위 효무제 무제(효무황제 원수)
- 북제 신무제 무제(신무황제 고환)
- 북주 무제 무제(고조 무제 우문옹)
2. 9. 오대십국
2. 10. 몽골 제국
'''무제'''(武帝)는 몽골의 초대 황제이다. 태조(太祖) 법천계운성무황제(法天啓運聖武皇帝) 패아지근철목진(孛兒只斤鐵木眞)2. 11. 원
- '''무제'''(武帝)는 원의 초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성덕신공문무황제(聖德神功文武皇帝) 패아지근홀필렬(孛兒只斤忽必烈)
2. 12. 명
- '''무제'''(武帝)는 전한의 제7대 황제이다. 세종(世宗) 효무황제(孝武皇帝) 유철(劉徹)이다.
- '''무제'''(武帝)는 후한의 초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광무황제(光武皇帝) 유수(劉秀)이다.
- '''무제'''(武帝)는 조위 조비의 아버지 조조(曹操)이다. 태조(太祖) 무황제(武皇帝) 조조(曹操)이다.
- '''무제'''(武帝)는 서진의 초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무황제(武皇帝) 사마염(司馬炎)이다.
- '''무제'''(武帝)는 동진의 제9대 황제이다. 열종(烈宗) 효무황제(孝武皇帝) 사마요(司馬曜)이다.
- '''무제'''(武帝)는 오호십육국 성한의 초대 황제이다. 태종(太宗) 무황제(武皇帝) 이웅(李雄)이다.
- '''무제'''(武帝)는 오호십육국 한의 제3대 황제이다. 열종(烈宗) 소무황제(昭武皇帝) 유총(劉聡)이다.
- '''무제'''(武帝)는 오호십육국 후조의 제3대 황제이다. 태조(太祖) 무황제(武皇帝) 석호(石虎)이다.
- '''무제'''(武帝)는 오호십육국 후연의 초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성무제(成武帝) 모용수(慕容垂)이다.
- '''무제'''(武帝)는 오호십육국 후량의 초대 황제이다. 태조(太祖) 의무제(懿武帝) 여광(呂光)이다.
- '''무제'''(武帝)는 오호십육국 후연의 제3대 황제이다. 중종(中宗) 소무제(昭武帝) 모용성(慕容盛)이다.
- '''무제'''(武帝)는 오호십육국 남연의 초대 황제이다. 세종(世宗) 헌무제(獻武帝) 모용덕(慕容德)이다.
- '''무제'''(武帝)는 남조 송의 초대 황제이다. 고조(高祖) 무제(武帝) 유유(劉裕)이다.
- '''무제'''(武帝)는 남조 송의 제4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이다.
- '''무제'''(武帝)는 남조 제의 제2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무제(武帝) 소색 (蕭?)이다.
- '''무제'''(武帝)는 남조 양의 초대 황제이다. 고조(高祖) 무제(武帝) 소연(蕭衍)이다.
- '''무제'''(武帝)는 남조 진의 초대 황제이다. 고조(高祖) 무제(武帝) 진패선(陳覇先)이다.
- '''무제'''(武帝)는 북조 북위의 초대 황제이다. 태조(太祖) 도무황제(道武皇帝) 탁발규(拓跋珪)이다.
- '''무제'''(武帝)는 북조 북위의 제3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태무황제(太武皇帝) 탁발도(拓跋燾)이다.
- '''무제'''(武帝)는 북조 북위의 제8대 황제이다. 세종(世宗) 선무황제(宣武皇帝) 원각(元恪)이다.
- '''무제'''(武帝)는 북조 북위의 제14대 황제이다. 효무황제(孝武皇帝) 원수(元脩)이다.
- '''무제'''(武帝)는 북조 북제의 문선제(文宣帝) 고양(高洋)의 아버지 고환(高歡)이다. 신무황제(神武帝帝) 고환(高歡)이다.
- '''무제'''(武帝)는 북주의 제3대 황제이다. 고조(高祖) 무제(武帝) 우문옹(宇文邕)이다.
- '''무제'''(武帝)는 오대십국 북한의 초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신무제(神武帝) 유숭(劉崇)이다.
- '''무제'''(武帝)는 몽골 제국의 초대 황제이다. 태조(太祖) 법천계운성무황제(法天啓運聖武皇帝) 패아지근철목진(孛兒只斤鐵木眞)이다.
- '''무제'''(武帝)는 원의 초대 황제이다. 세조(世祖) 성덕신공문무황제(聖德神功文武皇帝) 패아지근홀필렬(孛兒只斤忽必烈)이다.
- '''무제'''(武帝)는 명의 초대 황제이다. 태조(太組) 홍무제(洪武帝) 주원장(朱元璋)이다.
3. 한국의 역대 무왕
한국 역사상 '무왕'(武王)이라는 칭호를 받은 왕은 다음과 같다.
4. 그 외의 무(武) 칭호
4. 1. 무왕 (武王)
- 주 무왕은 중국 주(周)의 창시자이다.
- 초 무왕은 중국 춘추시대 초(楚)의 군주이다.
- 진 무왕은 중국 전국시대 진(秦)의 27대 군주이다.
- 제 무왕은 중국 신나라의 반란군 지도자이며 후한의 추존 제후왕이다.
- 무령왕은 백제의 25대 왕이다.
- 백제 무왕은 백제의 30대 왕이다.
- 발해 무왕은 발해의 2대 왕이다.
4. 2. 무공, 무후 (武公, 武侯)
- 노 무공은 서주 시대 노(魯)의 군주이다.
- 송 무공
- 연 무공
- 위 무공
- 위 무후
- 제 무공은 서주 시대 제(齊)의 군주이다.
- 정 무공은 춘추시대 정(鄭)의 군주이다.
- 조 무공
- 중산 무공
- 진 무공은 춘추시대 진(晋)의 군주이다.
- 기 무공
- 주 무공
- 진 무후
- 채 무후
- 무양무후 번쾌
- 안국무후 왕릉
- 선평무후 장오
- 강무후 주발
- 충무공 이순신
4. 3. 무자 (武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