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 (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언은 '혀'와 '말하다'의 합성어로, 종교적 맥락에서 신령한 언어 또는 알 수 없는 언어를 의미한다.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와 초기 기독교에서 방언은 신성함과 연관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방언에 대한 언급이 드물었다. 19세기 이후 오순절 운동을 통해 방언이 중요한 현상으로 부각되었으며, 현재 기독교 내에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방언은 성경에서 '신령한 언어' 등으로 기록되며, '노력 없이도 어떠한 영적 힘에 이끌려 외국어를 구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방언에 대한 기독교 신학적 관점은 기적적인 은사로 보는 방언론, 중단된 은사로 보는 중단론, 프렐레스트의 한 형태로 보는 입장, 민속적 관행으로 보는 입장 등으로 나뉜다. 방언 통역은 방언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표현하는 초자연적인 능력으로, 오순절/은사주의 기독교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은사로 여겨진다. 비기독교 종교에서도 방언과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며, 언어학적, 심리학적, 의학적 연구를 통해 방언의 특징과 효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령론 - 기독교의 신
기독교의 신은 기독교에서 숭배하는 유일신으로, 유대교 및 이슬람교와 같이 아브라함을 공유하며, 구약성경에서는 다양한 이름으로 나타나고, 신의 속성과 본질은 신학적 논의를 통해 이해되며, 미술에서는 상징으로 묘사되고, 삼위일체론으로 설명된다. - 성령론 - 독력주의
독력주의는 기독교 신학에서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만 이루어지며 인간의 의지나 협력이 필요 없다는 교리로서, 도르트 신조, 벨기에 신앙고백, 일치신조 등 다양한 신앙고백 표준에서 정의되고, 특히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통해 강조되며, 인간의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선택을 강조하며, 루터교와 칼뱅주의를 포함한 일부 교파에서 옹호된다. - 인공어 - 발리리아어
발리리아어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로, 고지 발리리아어와 여러 변종인 가짜 발리리아어로 나뉘며, 고지 발리리아어는 소설 세계관에서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학문 및 교육 언어이고, 드라마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언이 등장하며, 듀오링고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 인공어 - 인공 문자
인공 문자는 가상 세계, 문자 없는 언어, 종교적·기술적 목적 등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체계를 의미하며, 텡과르, 클링온 문자, 한글 등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방언 (종교) |
---|
2. 어원
γλωσσολαλία|글로솔랄리아|glossolalíagrc는 γλῶσσα|글로사|glossagrc (혀, 언어)[7]와 λαλέω|랄레오|laleōgrc (말하다)[8]의 합성어이다. 이 그리스어 표현은 사도행전과 고린도전서에 나온다. 프레데릭 파라는 1879년에 처음으로 "글로소라리아"라는 단어를 사용했다.[10]
고대 세계에서는 신적인 존재들이 인간과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는 믿음이 있었고, 그리스-로마 문학에서는 방언과 유사한 난해한 언어가 천사의 언어 또는 신성한 언어로 설명되었다.[19] 욥기에서는 욥의 딸들이 천사의 언어로 말하고 노래할 수 있었다고 묘사된다. 알렉산드로스 아보노테이코스는 예언적 황홀경 상태에서 방언을 보였을 수 있다. 그리스 철학자 켈수스는 초기 기독교에 대한 글에서 기독교 방언에 대해 언급하며, 팔레스타인과 페니키아의 여러 기독교인들이 이해할 수 없고 모호한 발언을 한다고 묘사했다.
"방언"이라는 단어는 14세기에 위클리프가 성경을 중세 영어로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한국어에서 "방언"은 "특정 지역에서만 쓰이는 말"이라는 뜻도 있지만, 종교적으로는 "신령한 언어" 또는 "알 수 없는 언어"를 의미한다.
3. 역사
1817년 독일에서 구스타프 폰 벨로우는 그의 형제들과 함께 포메라니아의 그의 영지를 기반으로 한 종교 운동을 창설했는데, 여기에는 방언이 포함되었을 수 있다.[28]
벤자민 어윈은 침례교회에서 홀리네스 교회로 옮겨간 후, 존 웨슬리의 동료인 조지프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저서를 접하고 성령의 불에 의한 제3의 사역을 주장했다. 이 제3의 사역에는 부르짖음, 흐느낌, 울음, 방언, 엑스터시 상태가 따른다고 한다.
오순절 운동은 주로 감리교 목사인 T.B. 바렛에 의해 전 세계에 전해졌다. 그러나 오순절 운동은 홀리네스 진영으로부터 격렬한 반대를 받았다. 반대의 주된 이유는 오순절 교회가 제2의 정결에 대항하여 제3의 정결인 "방언"을 주장한 점에 있다. 오순절 진영 내부에서도 방언에 대한 이해가 대립하여 1914년 이후 오순절파는 어셈블리 오브 갓 교단 계열과 하나님의 교회 교단 계열로 분리되었다.
3. 1. 고대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에서는 신적인 존재들이 인간의 언어와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는 생각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는 종종 천사의 언어 또는 신성한 언어로 여겨졌다.[19]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이암블리코스는 방언을 예언과 연결하여, "말하는 자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말을 내뱉는" 신적인 영적 지배로 묘사했다.
교부들이 방언으로 말하는 것에 대한 언급은 드물다. 이레네우스가 2세기에 교회의 많은 사람들이 "성령을 통해" 모든 종류의 언어를 말한다고 언급한 것과, 테르툴리아누스가 서기 207년에 방언 해석의 영적 은사가 당시 나타났다고 언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그들의 저술에서 방언에 대한 다른 직접적인 설명은 없으며, 간접적인 설명도 거의 없다.[20]
3. 2. 중세 및 근대
12세기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는 신자들의 삶이 변화하는 더 큰 기적이 있기 때문에 방언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21] 같은 시기 빙겐의 힐데가르트는 라틴어를 배우지 않고도 라틴어로 말하고 쓸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22] 13세기 토마스 아퀴나스는 방언을 선교를 위해 주어진 모든 언어를 말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했다. 그는 그리스도가 이 은사를 가지지 않았던 이유는 그의 사명이 유대인에게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이제 각 신자는 한 언어로만 말한다"고 덧붙였다.[23]
15세기 모라비아 교회는 방언을 했다고 언급된다. 당시 비판가인 존 로슈는 모라비안인들이 "흔히 어떤 단절된 속어로 터뜨렸는데, 그들은 종종 대중에게 '영의 풍부하고 저항할 수 없는 배설물'로 넘겨줬다"고 주장했다.[24]
17세기 프랑스 예언자들인 카미사르는 때때로 알려지지 않은 언어로 말했으며, 통역의 은사가 동반되기도 했다.[25][26] 초기 퀘이커들도 모임에서 방언을 언급했다.[27]
19세기에는 에드워드 어빙과 가톨릭 사도 교회에서 방언 현상이 나타났다. 어빙은 한 여인이 "알 수 없는 언어로 매우 길게, 초인적인 힘으로 말할 것"이라고 썼으며, 방언이 개인적인 교훈을 위한 훌륭한 도구라고 말했다.[29][30]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역사에도 브리검 영, 조셉 스미스 등 많은 사람들이 방언을 하는 관행이 기록되어 있다.[31][32] 시드니 리그돈은 알렉산더 캠벨과 방언에 대해 의견 차이를 보였고, 나중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 가입했다.
3. 3. 20세기 이후
찰스 파르함과 윌리엄 J. 세이무어가 이끄는 오순절 운동에서 방언이 중요한 현상으로 부각되었다. 1906년 아주사 거리 부흥 운동은 전 세계 오순절 운동의 시작으로 여겨지며, 방언 현상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3] 1900년 12월 31일에 찰스 파르함이 성경학교 여학생에게 안수를 하자, 이 여학생들이 방언으로 말하기 시작했다. 1906년 로스앤젤레스의 아즈사 거리에서 파르함 밑에서 훈련을 받은 윌리엄 시모어가 한 집회에서 엑스터시 상태에 빠지면서 방언 현상이 일어났다. 아즈사 거리의 감리교 교회에서 집회를 계속하자 이 현상이 소문이 나서 퍼졌다. 로스앤젤레스의 신문에 게재되어 전 미국으로 퍼져 오순절 운동으로 발전했다.
1906년 윌리엄 세이무어의 뉴스레터 ''사도 신앙'' 첫 번째 호에 따르면, 무함마드교도인 수단 출신으로 16개 언어를 구사하는 통역관이 아주사 거리 집회에 참석했는데, 주님께서 그에게 그 자신만이 이해할 수 있는 메시지를 주셨다고 한다. 그는 여러 언어를 식별하고 해석하고 기록했다.
대부분의 오순절주의자와 은사주의자들은 방언을 주로 신성한 것, 즉 인간의 언어가 아닌 "천사의 언어"로 간주한다.[35] 아주사 거리 부흥 운동 이후 오순절주의자들이 선교지로 가서 이상한 땅에서 방언을 할 때 그들이 현지 거주민의 언어를 마음대로 말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36]
1960년대 이후 은사주의 운동과 가톨릭 은사 운동을 통해 방언의 관행이 다른 기독교 교단으로 확산되었다.
4. 기독교 신학적 관점
기독교에서 방언에 대한 초자연적인 설명은 일부에서 옹호되고 다른 일부에서는 거부된다. 각 관점의 지지자들은 성경 저술과 역사적 주장을 사용하여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한다. 방언에 대한 주요 관점은 다음과 같다.
- 방언론자: 방언을 실천하는 사람들 외에도, 오늘날 오순절/은사주의 방언이 신약성경에 묘사된 "방언"이라고 믿는 모든 기독교인을 의미한다. 이들은 방언이 기적적인 은사 또는 영적 은사라고 믿으며, 실제 언어(제노글로시아)[39][40]이거나 "영의 언어", "천상의 언어", 또는 천사의 언어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41]
- 중단론자: 성령의 모든 기적적인 은사가 기독교 역사 초기에 중단되었으며, 은사주의 기독교인들이 실천하는 방언은 비언어적 음절을 학습하여 발화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이들은 신약성경에 묘사된 "방언"은 이전에 학습하지 않은 자연 언어로 의사 소통할 수 있는 기적적인 영적 은사인 제노글로시아였다고 주장한다.
- 프렐레스트주의자: 방언이 존재하지만, 신약성경에 묘사된 "방언"이 아닌 프렐레스트의 한 형태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방언이 실천자들이 진정한 영적 권능을 나타내는 매개적인 기술의 일부지만, 이 권능이 반드시 성령의 권능은 아니라고 믿는다.[4]
- 기타: "방언"의 실천이 민속적 관행이며, 실제 언어를 말하고 해석하는 정당한 신약성경의 영적 은사와 다르다고 믿는다. 이들은 방언론자들이 성경을 오해하고 자연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을 성령에게 잘못 귀속시켰다고 비판한다.[42]
오순절주의와 은사주의 신념은 획일적이지 않기 때문에, 방언에 대한 완전한 신학적 합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추종자들은 방언이 세 가지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는 영적 은사라고 믿는다.[55]
- 방언의 표징: 추종자들이 자신이 배운 적이 없는 언어를 말한다고 믿는 이방언(xenoglossia)을 의미한다.
- 방언의 은사: 개인에 의해 발화되고, 일반적으로 다른 신자들의 회중에게 전달되는 방언적 발화를 의미한다.
- 성령 안에서 기도하기: 일반적으로 개인 기도의 일부로서의 방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56]
성령 안에서 찬양(singing in the Spirit)은 글로소랄리아의 음악적 간주를 표현하는 용어이다.[60][61][62]
4. 1. 성경적 근거
신약성경에는 방언에 대한 언급이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곳은 마가복음 16:17, 사도행전 2장, 10장 46절, 19장 6절, 고린도전서 12-14장 등이다.[81]- '''마가복음 16:17''': 그리스도께서 사도들에게 "믿는 자들에게는 이런 표적이 따르리니 ... 새 방언을 말하며"라고 말씀하셨다.
- '''사도행전 2장''': 오순절에 예루살렘에서 제자들이 성령을 받고 여러 나라의 말(ἑτέραις γλώσσαιςel)로 말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들은 사람들은 "저마다 자기가 태어난 지방 말"로 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79] "말(γλώσσαιςel)"은 혀와 말하는 단어 둘 다를 의미하며, "다른()"은 제자들이 자국어가 아닌 외국어로 말했음을 나타낸다. 이는 바벨탑 이야기와는 반대로, 성령이 사람들이 언어를 넘어 서로 이해할 수 있게 하셨음을 보여준다.
- '''사도행전 10:46''': 가이사랴의 고넬료의 집에서 사람들이 "방언(γλώσσαιςel)"으로 말하는 것을 베드로가 보고, 오순절의 방언과 같은 성질의 것임을 짐작했다.
- '''사도행전 19:6''': 에베소에서 바울이 세례 요한의 제자들에게 안수하자, 그들이 "방언(γλώσσαιςel)"을 말하고 예언을 하였다.
- '''고린도전서 12-14장''': 사도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서 사람들이 방언을 말하는 것을 언급하며, 방언이 하나님의 은사임을 인정하면서도 오용에 대해 지적했다. 그는 질서를 지켜 방언을 말하고, 통역하는 사람이 없으면 교회에서는 개인적으로만 말하며, 불신자를 걸려 넘어지게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또한, 방언보다 예언(성경의 말씀)을 말하는 것을 권장했다.
사도행전 2장의 오순절 이야기는 글로소랄리스트(glossolalists)와 세사셔니스트(cessationists) 모두에게 이방언으로 인식되는 중요한 사건이다. 이들은 방언의 은사가 성령이 부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주된 목적이라는 데 동의한다. 사도 베드로는 이 은사가 요엘의 예언의 성취라고 선언했다 (사도행전 2:17).[40]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에서 방언의 은사를 인정하면서도, 질서와 덕을 세우기 위해 통역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방언으로 기도하고 찬양하며 감사하는 것에 대해 언급했으며 (고린도전서 14:14–17), 방언의 해석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고린도전서 14:5).
4. 2. 방언에 대한 다양한 해석
방언에 대한 해석은 기독교 내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며, 주요 관점들은 다음과 같다.- '''방언론(Glossolalist)''': 방언을 기적적인 영적 은사로 간주한다. 이들은 방언이 실제 언어(제노글로시아)이거나 "영의 언어", "천상의 언어"일 수 있다고 믿는다.[41]
- '''중단론(Cessationism)''': 방언을 포함한 기적적인 은사들이 사도 시대 이후 중단되었다고 본다. 현대의 방언 현상은 학습되거나 자기 유도된 행동이라고 주장한다.[42]
- '''프렐레스트(Preterism)''': 방언은 존재하지만, 성경에 묘사된 방언과 다른 현상이라고 본다. 이들은 방언을 사탄이 주는 현상이라고 주장한다.[4]
- '''기타''': 방언이 민속적 관행이며, 실제 언어와 통역은 정당한 성경적 은사라고 믿는다. 이들은 방언론자들이 성경을 오해하고 자연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을 성령에게 돌린다고 비판한다.[42]
이러한 다양한 해석에도 불구하고, 오순절 및 은사주의 교회에서는 방언을 성령 세례의 증거로 간주하며, 개인적인 기도나 예배에서 사용한다.
신약성경에서는 방언을 주로 하나님께 드리는 말로 묘사하지만, 통역될 경우 듣는 사람들을 세우는 말이 될 수도 있다고 본다. (고린도전서 14:5, 13)
글로소랄리아의 음악적 간주는 성령 안에서 노래함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4. 3. 방언 통역
기독교 신학에서 '''방언 통역'''은 고린도전서 12장에 열거된 영적 은사 중 하나이다. 이 은사는 방언의 은사(화자에게 알려지지 않은 언어로 말하는 초자연적인 능력)와 함께 사용된다. 통역의 은사는 알 수 없는 방언으로 발화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초자연적인 능력이다. 이것은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성령에 의해 부여되므로, 언어 통역의 습득된 기술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중단주의 기독교인들은 이 기적적인 은사가 중단되었다고 믿는 반면, 은사주의 및 오순절교 기독교인들은 이 은사가 교회 내에서 계속 작동한다고 믿는다.[63]이 은사에 대해 알려진 많은 내용은 사도 바울이 고린도전서 14장에 기록했다. 이 구절에서 방언 은사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지침이 주어졌는데, 방언의 은사가 교회의 덕을 세우는 데 유익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초자연적인 발언이 모인 기독교인들의 언어로 통역되어야 했다. 만약 모인 기독교인들 중 누구도 통역의 은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방언의 은사는 공개적으로 사용되지 않아야 했다. 방언의 은사를 가진 사람들은 통역 능력을 위해 기도하도록 권장되었다.[63]
5. 비기독교적 관점
다른 종교 단체들도 일종의 신성한 방언을 행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아마도 이교주의, 샤머니즘, 그리고 다른 영매 종교 관습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4] 일본에서는 갓 라이트 협회가 방언이 신자들이 전생을 기억하게 할 수 있다고 믿었다.[5]
초심리학 분야에서 이언어(진성 이언어, xenoglossy)는 모국어 화자와 직접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낭송형 이언어 (recitative xenoglossy)와 의사소통이 가능한 극소수의 응답형 이언어 (responsive xenoglossy)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6. 언어학적, 심리학적, 의학적 연구
1972년 토론토 대학교의 언어학자 윌리엄 J. 사마린은 방언에 대해, 인간 언어와 유사한 측면은 있지만 의미는 없고 음운론적으로 구조화된 발화라고 결론지었다.[17] 펠리시타스 굿먼은 방언을 하는 사람들의 발화가 모국어의 패턴을 반영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4] 신경 영상 연구에서는 방언을 할 때 뇌의 언어 영역에서 활동이 보이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68][69] 일부 연구에서는 방언이 스트레스 감소, 자기 신뢰 증가 등 긍정적 심리적, 사회적 이점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한다.[73][74][75]
사마린은 5년 동안 이탈리아, 네덜란드, 자메이카,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 열린 기독교 모임에서 기록된 방언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대상에는 푸에르토리코인, 애팔래치아 뱀 취급자, 영적 기독교인 등이 포함되었다.[11]
사마린은 방언이 억양, 리듬, 억양 및 일시 정지를 사용하여 발화를 단위로 나누고, 각 단위는 화자가 알고 있는 언어의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음절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인간 언어와 유사하다고 보았다.[12] 그러나 음절 묶음이 단어를 형성하지 않고, 발화 흐름이 내부적으로 조직화되지 않으며, 언어 단위와 개념 사이에 체계적인 관계가 없다는 점에서 방언은 의사소통을 위한 인간 언어와는 다르다고 결론지었다.[16]
굿먼은 미국, 카리브해, 멕시코의 여러 오순절 공동체를 연구하고, 아프리카, 보르네오, 인도네시아, 일본의 비 기독교 의식 기록과 비교했다. 그 결과, 오순절 개신교도와 다른 종교의 추종자들 사이에 분절적 구조와 초분절적 요소에서 차이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18]
방언을 하는 사람들은 신경성 질환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드물게 신경성 질환에서 방언이 발생하기도 한다.[65] 방언을 하는 사람들은 발화에서 개인적인 의미를 발견한다고 보고하며, 정신 병리와의 연관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오히려 방언이 신경증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68]
''American Journal of Human Biology''의 연구에 따르면, 방언은 스트레스 감소와 관련된 생체 지표 변화와 관련이 있다.[73] 또한, 일부 사회학 연구에서는 방언이 자기 신뢰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사회적 이점을 가져온다고 보고한다.[74][75]
1973년의 한 실험 연구에서는 방언에 두 가지 유형이 있다고 보았다. 하나는 반복 강박에 가까운 정적인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언어와 유사한 요소의 자유 연상에 가까운 역동적인 형태이다.[72][70]
7. 한국 개신교의 방언 논쟁
일본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오순절교회 (카리스마파)뿐이며, 그 외 교파와는 성경 해석에 큰 차이가 있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7. 1. 찬성 측 (지속론)
방언은 성령의 은사 중 하나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주장은 성경에 근거하며, 방언이 개인의 영적 성장과 교회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 주어지는 선물이라고 본다.오순절 및 은사주의 교단의 부흥과 성장은 방언의 은사가 역사하고 있다는 증거로 제시된다. 방언 체험은 신앙생활에 활력을 불어넣고, 기도 응답과 영적 능력을 경험하게 한다는 것이다.
1900년 12월 31일, 찰스 파르함이 성경학교 여학생에게 안수를 하자, 이 여학생들이 방언으로 말하기 시작했다.[80] 1906년 로스앤젤레스의 아즈사 거리에서 파르함의 훈련을 받은 윌리엄 시모어가 집회에서 엑스터시 상태에 빠지면서 방언 현상이 일어났고, 이는 오순절 운동으로 발전했다.
오순절 운동은 감리교 목사인 T.B. 바렛에 의해 전 세계에 전해졌으나, 홀리네스 진영으로부터는 격렬한 반대를 받았다. 오순절 교회가 제3의 정결인 "방언"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오순절파 내부에서도 방언에 대한 이해가 달랐다. 어셈블리 오브 갓 교단 계열은 회심으로 정결이 완성되며, 방언은 성령 충만의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하나님의 교회 교단 계열은 성령 세례인 방언을 받음으로써 완전한 죄로부터 정결이 완성된다고 주장했다.
벤자민 어윈은 존 웨슬리의 동료인 조지프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저서를 접하고 성령의 불에 의한 제3의 사역을 주장했는데, 여기에는 부르짖음, 흐느낌, 울음, 방언, 엑스터시 상태가 따른다고 한다.
오늘날 카리스마 교단과 오순절 교단에서는 안수 기도를 통해 마음에 떠오르는 말을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라고 믿고 소리 내어 말하는 방식으로 방언을 가르친다.[80]
7. 2. 반대 측 (중단론)
다양한 기독교 단체들은 방언과 같은 신비주의적 현상에 지나치게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는 이유로 오순절주의와 은사주의 운동을 비판해 왔다.[76] 일부 복음주의 및 기타 개신교 교회에서는 이러한 영적 은사들이 사도 시대에만 해당되며 그 이후에는 사라졌다고 주장하는 중단주의 신학적 입장을 취한다.[77][78]일본에서 이 용어는 오순절교회 (카리스마파)에서만 사용되며, 다른 교파와는 성경 해석에 큰 차이가 있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카리스마 교단과 오순절 교단에서 현재 가르치는 방언은 안수 기도를 통해 마음에 떠오르는 말을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라고 믿고 소리 내어 말하는 것이다. 다만, 성경에 기록된 초자연적인 현상과는 달리 인위적인 것이라는 비판이 복음주의 교회에서 제기되고 있다.[80]
7. 3. 중도적 입장
방언의 은사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그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신중해야 한다. 방언을 성령 세례의 유일한 증거로 간주하는 것은 성경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복음주의 교회에서 제기되고 있다.[80] 방언보다는 사랑, 섬김, 성화 등 성령의 열매에 더 집중해야 한다.8. 결론
방언은 기독교 역사와 신학에서 중요한 논쟁거리였으며, 다양한 관점과 해석이 존재한다. 언어학적, 심리학적, 의학적 연구를 통해 방언 현상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이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한국 개신교 내에서도 방언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으며, 각 교단과 신학적 입장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공존하고 있다.
일본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오순절교회(카리스마파)뿐이며, 그 외 교파와는 성경 해석에 큰 차이가 있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벤자민 어윈은 침례교회에서 홀리네스 교회로 옮겨간 후, 존 웨슬리의 동료인 조지프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저서를 접하고 성령의 불에 의한 제3의 사역을 주장했는데, 여기에는 부르짖음, 흐느낌, 울음, 방언, 엑스터시 상태가 따른다고 한다.
1900년 12월 31일 찰스 파르함이 성경학교 여학생에게 안수를 하자, 이 여학생들이 방언으로 말하기 시작했다. 1906년 로스앤젤레스의 아즈사 거리에서 윌리엄 시모어가 집회에서 엑스터시 상태에 빠지면서 방언 현상이 일어났고, 이는 오순절 운동으로 발전했다.
오순절 운동은 T.B. 바렛에 의해 전 세계에 전해졌으나, 홀리네스 진영으로부터 격렬한 반대를 받았다. 오순절 진영 내부에서도 방언에 대한 이해의 대립이 있었고, 1914년 이후 오순절파는 둘로 분리되었다. 어셈블리 오브 갓 교단 계열은 방언은 성령의 충만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주장한 반면, 하나님의 교회 교단 계열은 성령 세례인 방언을 받음으로써 완전한 죄로부터 정결이 완성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진보와 보수 진영 간의 정치적, 이념적 대립이 방언 논쟁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가 필요하다.
참조
[1]
사전
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8-05
[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eligion and Race in Americ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Wm. B. Eerdmans Publishing
[4]
서적
Orthodoxy and the Religion of the Future
St Herman Press
1997
[5]
간행물
Shifting Paradigms and Mediating Media: Redefining a New Religion as "Rational" in Contemporary Society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Wm. B. Eerdmans; Brill
1999-2003
[7]
사전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8]
사전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9]
성경
Mark 16:17
[10]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11]
서적
Tongues of Men and Angels: The Religious Language of Pentecostalism
Macmillan
[12]
서적
Tongues of Men and Angels: The Religious Language of Pentecostalism
Macmillan
[13]
간행물
Sociolinguistic vs. Neurophysiological Explanations for Glossolalia: Comment on Goodman's Paper
[14]
간행물
Phonetic Analysis of Glossolalia in Four Cultural Settings
[15]
웹사이트
We don't know what we're saying, but it's profound
https://www.research[...]
New Zealand Linguistic Society, Massey University
[16]
서적
Tongues of Men and Angels: The Religious Language of Pentecostalism
Macmillan
[17]
서적
Tongues of Men and Angels: The Religious Language of Pentecostalism
Macmillan
[18]
서적
Speaking in Tongues: A Cross-Cultural Study in Glossolal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웹사이트
Glossolali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6-16
[20]
서적
Counterfeit Miracles
Charles Scribner's Sons
[21]
웹사이트
"Premier Serrmon Pour Le Jour de L'Ascension. Sur l'Evangile du jour."
http://www.abbaye-sa[...]
2020-02-07
[22]
간행물
A Survey of Glossolalia and Related Phenomena in NonChristian Religions
https://sciencedocbo[...]
1956-02
[23]
기타
Summa Theologica
[24]
서적
Initial evidence: historical and biblical perspectives on the Pentecostal doctrine of spirit baptism
Hendrickson Publishers
[25]
서적
A Cry from the Desert
[26]
서적
The charismatic movement
https://archive.org/[...]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7]
서적
The great mystery of the great whore unfolded; and Antichrist's kingdom revealed unto destruction
[28]
서적
Tongues: A Theological History of Christian Glossolalia
Tate Publishing
2010
[29]
간행물
Facts Connected With Recent Manifestations of Spiritual Gifts
https://books.google[...]
2009-06-09
[30]
서적
The Collected Writings of Edward Irving
Alexander Strahan
2017-01-12
[31]
웹사이트
Speaking in Tongues and the Mormon Church
http://www.frontiern[...]
[32]
웹사이트
Speaking in Tongues
http://www.mormonwik[...]
[33]
간행물
Speaking in Tongues in the Restoration Churches
https://www.dialogue[...]
[35]
서적
Tongues: Genuine Biblical Languages: A Careful Construct of the Nature, Purpose, and Operation of the Gift of Tongues for the Church
[36]
웹사이트
31-1-05
http://wesley.nnu.ed[...]
2005-04-27
[37]
서적
Speaking in tongues: and its significance for the church
Dimension Books
[38]
서적
The Modern Tongues Movement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39]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Inter-Varsity Press
[40]
웹사이트
The Baptism in the Holy Spirit: The Initial Experience and Continuing Evidences of the Spirit-Filled Life
http://ag.org/top/Be[...]
General Council of the Assemblies of God of the United States
2000-08-11
[41]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Inter-Varsity Press
[42]
뉴스
A Neuroscientific Look at Speaking in Tongues
https://www.nytimes.[...]
2006-11-07
[43]
웹사이트
Was it Only the Apostles Who Spoke in Tongues at Pentecost?
https://christianpub[...]
Christian Publishing House
2023-07-05
[44]
웹사이트
Statement of Fundamental Truths
http://ag.org/top/Be[...]
General Council of the Assemblies of God of the United States
2009-06-09
[45]
웹사이트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http://www.christian[...]
2015-07-22
[46]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Inter-Varsity Press
[47]
서적
The Charismatic Phenomenon
https://archive.org/[...]
Wakeman Trust
[48]
Bible
Corinthians
[49]
서적
Dictionary of Pentecostal and Charismatic Movements
Zondervan
[50]
서적
Dictionary of Pentecostal and charismatic movements
Zondervan
[51]
웹사이트
Questions about Tongues
http://ag.org/top/Be[...]
General Council of the Assemblies of God of the United States
2009-06-10
[52]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Inter-Varsity Press
[53]
서적
The Charismatic Phenomenon
https://archive.org/[...]
Wakeman Trust
[54]
서적
The West Tennessee Historical Society Papers – Issue 56
West Tennessee Historical Society.
[55]
웹사이트
10 Things Christians Should Know about the Pentecostal Church
https://www.christia[...]
2019-12-02
[56]
서적
Acts for Everyone, Part One
Louisville: WJK
2008
[57]
웹사이트
Liturgical Order and Glossolalia. 1 Corinthians 14:26c–33a and its Implications
https://digitalcommo[...]
1983-06
[58]
서적
Pentecostal Experience
Gospel Publishing House
[59]
서적
Signs of the Apostles
Banner of Truth Trust
[60]
간행물
Singing as a therapeutic agent in Pentecostal worship
[61]
웹사이트
Releasing the Spirit: the Pentecostals
https://www.christia[...]
2021-08-31
[62]
웹사이트
Religion – Christianity – Pentecostalism
https://www.bbc.co.u[...]
2021-08-31
[63]
문서
Foundations of Pentecostal Theology
Foursquare Media
[64]
서적
The Voynich Manuscript
Orion
[65]
간행물
Non-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A Preliminary Classification
2018-01-01
[66]
간행물
William J. Samarin. Tongues of Men and Angels. The Religious Language of Pentecostalism. (New York, Macmillan, and London, Collier-Macmillan Ltd, 1972.) $7.95.
https://www.cambridg[...]
1973-12
[67]
간행물
Glossolalia as learned behavior: An experimental demonstration.
1986
[68]
간행물
The measurement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during glossolalia: A preliminary SPECT study
2006-11-22
[69]
웹사이트
Language Center of the Brain Is Not Under the Control of Subjects Who "Speak in Tongues" – PR News
https://www.pennmedi[...]
2019-01-15
[70]
간행물
Nonspeech Oral Movements and Oral Motor Disorders: A Narrative Review
2015-11-01
[71]
서적
Religion and the Body. Modern Science and the Construction of Religious Meaning
https://library.oape[...]
Brill
2021-04-16
[72]
간행물
Glossolalic speech from a psycholinguistic perspective
1973-03-01
[73]
간행물
Salivary Alpha-Amylase and Cortisol Among Pentecostals on a Worship and Nonworship Day
2010
[74]
서적
Culture and personality aspects of the Pentecostal holiness religion
Mouton (IS)
1965
[75]
간행물
Pentecostal Glossolalia toward a Functional Interpretation
1969
[76]
서적
Pentecostalism: A Guide for the Perplexed
T&T Clark, UK
2012
[7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vangelical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UK
2013
[78]
서적
A Bible Handbook to the Acts of the Apostles
Kregel Academic, USA
1999
[79]
문서
新約聖書
[80]
서적
獄中からの讃美
生ける水の川
1974
[81]
웹사이트
사도행전 2장
http://www.kcm.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