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 바울로의 회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도 바울로의 회심은 바울이 기독교로 개종한 사건을 의미하며, 신약성경의 바울 서신과 사도행전에 기록되어 있다. 바울은 자신의 서신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를 통해 회심했다고 묘사하며, 사도행전에서는 다마스쿠스로 가던 중 빛을 보고 예수의 음성을 들은 경험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 간의 차이점과 관련하여 논쟁이 있어 왔으며, 의학적, 심리학적 설명도 제시되었다. 바울의 회심은 신적 은총의 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지며,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이라는 표현은 급격한 변화나 새로운 관점을 얻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로 사용된다. 바울의 회심은 미술, 음악, 문학 등 다양한 문화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1월 25일에는 사도 바울의 회심 축일로 기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도 바울로 - 바울로 서신
바울로 서신은 신약성경에 속하는 13개의 서신으로, 기독교 신학의 중요한 주제들을 다루며,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를 4대 서신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사도 바울로 -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은 20세기 후반부터 바울 서신 해석에 대한 새로운 방식으로, 바울 시대 유대교 이해를 바탕으로 유대인과 이방인을 구별하는 특정 행위에 대한 비판이었다고 주장하며 기독교 신학에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 1월의 기념일 - 성년의 날
성년의 날은 매년 5월 셋째 주 월요일에 사회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일깨우고 성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부여하기 위해 기념하는 날로, 삼한시대부터 유래하여 조선시대의 관례와 계례를 거쳐 현대에는 여성가족부 주관 기념행사와 선물 문화로 이어진다. - 1월의 기념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날
오스트레일리아의 날은 1788년 1월 26일 시드니 코브에 영국 함대가 도착하여 최초의 유럽인 정착지 건설을 기념하는 국경일로, 시민권 수여식, 올해의 호주인 시상식, 축제 등이 열리지만, 원주민 사회에서는 '침략의 날'로 여겨져 비판의 목소리도 존재한다. - 교회력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교회력 - 성모 승천
성모 승천은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로 선포한, 성모 마리아의 육체와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외경과 전승을 통해 전해져 여러 교회에서 기념하며 예술 작품의 주제로 활용되지만, 개신교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다.
사도 바울로의 회심 | |
---|---|
사건 개요 | |
![]() | |
사건 | 사도 바울로의 회심 |
시기 | 서기 31-36년경 |
장소 | 다마스쿠스 근처 |
관련된 성경 구절 | 사도행전 9:1-31 사도행전 22:6-21 사도행전 26:12-23 갈라디아서 1:11-24 |
다른 이름 |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 |
인물 | |
주요 인물 | 바울로 예수 |
관련된 인물 | 아나니아스 스테파노 |
신학적 의미 | |
중요성 | 바울로의 개종 및 사도직 수락 기독교 확산의 중요한 사건 |
영향 | 바울로 서신 및 기독교 신학 발전 |
2. 성경에서의 회심 기록
바울로의 회심은 신약성경의 두 곳, 즉 바울 서신과 사도행전에 기록되어 있다.
== 바울로 서신 ==
바울로는 자신의 서신에서 회심을 간략하게 언급하며, 이를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로 묘사한다.[11] 고린도전서 9장 1절[7]과 15장 3~8절[8]에서 바울로는 자신이 부활한 그리스도를 보았다고 증언한다.[9] 고린도후서 12장 1~7절[10]에서는 "주님으로부터의 계시"를 받았다고 기록한다. 갈라디아서 1장 11~16절[11] 역시 그의 회심을 하나님으로부터의 계시로 묘사하며, 예수께서 바울에게 나타나신 것으로 묘사한다.
== 사도행전 ==
사도행전은 바울의 회심 경험을 세 번에 걸쳐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이는 바울의 서신에 나오는 내용보다 훨씬 자세하다. 사도행전은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시리아의 다마스쿠스로 가던 중, 대제사장으로부터 예수의 추종자들을 체포하여 예루살렘으로 압송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전한다.[12] 바울은 눈부신 빛을 보고 신성한 목소리를 들으며 여행이 중단된다.
사도행전 9장은 이 이야기를 3인칭 서술로 전개한다.
그가 다마스쿠스에 가까이 이르렀을 때 갑자기 하늘에서 빛이 그를 비추었다. 그가 땅에 엎드리자 음성이 들려왔다. "사울아, 사울아,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
사울이 물었다. "주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분께서 대답하셨다. "나는 네가 박해하는 예수다. 이제 일어나 시내로 들어가라. 네가 해야 할 일을 너에게 말해 줄 것이다."
사울과 함께 가던 사람들은 말을 잃고 서 있었다. 그들은 소리는 들었지만 아무도 보지 못했다. 바울이 땅에서 일어났지만, 눈을 떴을 때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 그래서 그들이 그를 손으로 이끌어 다마스쿠스로 데려갔다. 그는 사흘 동안 눈이 멀었고, 먹지도 마시지도 않았다.

이 이야기는 다마스쿠스의 아나니아가 곧은 길에 있는 유다의 집에 있는 바울을 찾아가 안수하여 시력을 회복시키라는 신성한 계시를 받는 내용으로 이어진다.[14] 아나니아는 바울의 박해 사실 때문에 처음에는 주저했지만, 신의 명령에 순종한다.
아나니아가 그 집에 들어가 사울에게 손을 얹고 말하였다. "형제 사울, 당신이 이 길을 가실 때 당신에게 나타나신 주 예수님께서 저를 보내셨습니다. 당신이 다시 보시고 성령으로 충만하게 하시기 위함입니다." 즉시 사울의 눈에서 비늘 같은 것이 떨어져 나가고 그는 다시 보게 되었다. 그는 일어나 세례를 받고 음식을 먹고 기운을 차렸다.

사도행전에서 바울의 회심에 대한 두 번째 언급은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체포되었을 때 군중에게 한 연설에서 나타난다.[16] 바울은 자신의 회심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이는 사도행전 9장의 내용과 거의 같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사도행전 9장 7절[17]에서는 바울의 동료들이 그와 이야기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고 기록했지만, 사도행전 22장 9절[18]에서는 그들도 빛을 보았다고 언급한다. 이 연설은 유대인 청중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사도행전 22장 12절[19]에서는 아나니아를 기독교인이 아닌 다마스쿠스 유대인들 사이에서 평판이 좋은 인물로 강조한다.[20]
사도행전에서 바울의 회심에 대한 세 번째 논의는 바울이 아그리파 왕에게 자신을 변호하는 연설에서 이루어진다.[21] 이 이야기는 앞선 두 기록보다 간결하다. 여기서 바울은 로마 통치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늘의 환상에 순종해야 할 필요성[22]을 강조하고, 기독교가 비밀 단체가 아님을 아그리파에게 확신시킨다.[23][24]
== 기록 간의 차이점 ==
사도 바울의 회심에 대한 기록에 나타나는 세부 사항의 불일치는 어느 정도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25] 사도행전 9장 7절은 바울의 동행자들이 그 소리를 들었다고 언급하는 반면, 사도행전 22장 9절은 그들이 듣지 못했다고 언급한다. 전통적인 해석과 현대 성서 학문 모두 이 구절들 사이에 불일치가 있음을 보지만, 일부 현대 보수적 복음주의 주석가들은 그 불일치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리처드 롱넥커는 1세기 독자들이 두 구절을 모두가 그 소리의 소리를 들었지만 "바울만이 명확한 말을 이해했다"는 의미로 이해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26][27]
이 논쟁은 두 개의 그리스어 단어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명사 φωνή (''phōnē'' - "전화", "음성", "음소"와 같은 영어 단어의 어원)는 "목소리, 발언, 보고, 말하는 능력, 동물의 울음소리"로 번역되지만, 무생물에 비유하여 "소리"로도 번역된다.[28] 그러나, 무의미한 소리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는 ψόφος (''psophos'')이다.[29] 동사 ἀκούω (''akouō'' - "음향"과 같은 영어 단어의 어원)는 일반적으로 "듣다"를 의미하지만, 고린도전서 14장 2절에서처럼 "이해하다"라는 부차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30] 그러나, 이 의미는 매우 드물어서 주요 영어-그리스어 사전에서는 "이해하다"의 가능한 번역으로 ἀκούω를 나열하지 않는다.[31] 이 불일치를 해결하려면, 사도행전 9:7에서 φωνή와 ἀκούω를 각각 "소리"와 "듣다"로 번역하고, 사도행전 22:9에서는 같은 단어를 "목소리"와 "이해하다"로 번역해야 한다.[39]
신 표준 개정판(New Revised Standard Version)(NRSV)은 일반적으로 성서 학자들이 선호하는 번역본이며, 이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출판물에서 사용되며,[32] 두 텍스트를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 그와 동행하던 사람들은 그 소리를 들었지만 아무도 보지 못했으므로 말을 잃었다.(사도행전 9:7)
- 나와 함께 있던 사람들은 빛을 보았지만, 내게 말하는 이의 목소리를 듣지 못했다. (사도행전 22:9)
킹 제임스 성경(KJV),[33] 라틴어 불가타,[34] 그리고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루터 성경(Luther Bible) 독일어 번역본[35]을 포함한 대부분의 전통적인 번역본은 유사하며, 각 평행 텍스트에서 핵심 단어를 동일하게 번역하여 불일치를 숨기지 않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일부 번역본들은 조화로운 번역을 시도했는데, 그중에는 다음과 같은 신 국제 버전(NIV)이 있다.
- 사울과 동행하던 사람들은 말을 잃고 서 있었다. 그들은 소리를 들었지만 아무도 보지 못했다. (사도행전 9:7)
- 내 동료들은 빛을 보았지만, 내게 말씀하시는 분의 목소리를 이해하지 못했다. (사도행전 22:9)
마찬가지로 NET 성경 등도 그렇다. φωνή와 ἀκούω를 각 경우에 다르게 번역함으로써, 불일치는 숨겨진다.[39]
조화로운 해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때때로 사도행전 9:7에서 ἀκούω가 분사 구문에서 속격 (ἀκούοντες μὲν τῆς φωνῆς)과 함께 나타나고, 사도행전 22:9에서는 유한 동사로 대격 목적어 (φωνὴν οὐκ ἤκουσαν)와 함께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한다. 나이젤 터너는 대격의 사용이 이해와 함께 듣는 것을 나타낸다고 제안한다.[36] 더 일반적으로, 이 견해의 지지자들은 사람이 들릴 때는 속격이 사용되고, 사물이 들릴 때는 대격이 사용된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같은 방향으로 가지만 훨씬 약한 논증을 낳는다.[37][38] 신약 학자 다니엘 B. 윌리스(Daniel B. Wallace)와 F.F. 브루스(F.F. Bruce)는 이 격에 기초한 주장이 결정적이지 않다고 여기고, 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준다.[39][40] 윌리스는 신약에서 각 구문과 함께 사용된 ἀκούω의 모든 예를 수집하여, 이 supposed 규칙의 예외가 그 예보다 더 많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바울의 개종에 대한 설명을 어떻게든 이해하든, 다른 격에 대한 호소는 아마도 해결책의 일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39]
2. 1. 바울로 서신
바울로는 자신의 서신에서 회심을 간략하게 언급하며, 이를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로 묘사한다.[11] 고린도전서 9장 1절[7]과 15장 3~8절[8]에서 바울로는 자신이 부활한 그리스도를 보았다고 증언한다.[9] 고린도후서 12장 1~7절[10]에서는 "주님으로부터의 계시"를 받았다고 기록한다. 갈라디아서 1장 11~16절[11] 역시 그의 회심을 하나님으로부터의 계시로 묘사하며, 예수께서 바울에게 나타나신 것으로 묘사한다.2. 2.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바울의 회심 경험을 세 번에 걸쳐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이는 바울의 서신에 나오는 내용보다 훨씬 자세하다. 사도행전은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시리아의 다마스쿠스로 가던 중, 대제사장으로부터 예수의 추종자들을 체포하여 예루살렘으로 압송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전한다.[12] 바울은 눈부신 빛을 보고 신성한 목소리를 들으며 여행이 중단된다.사도행전 9장은 이 이야기를 3인칭 서술로 전개한다.
그가 다마스쿠스에 가까이 이르렀을 때 갑자기 하늘에서 빛이 그를 비추었다. 그가 땅에 엎드리자 음성이 들려왔다. "사울아, 사울아,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
사울이 물었다. "주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분께서 대답하셨다. "나는 네가 박해하는 예수다. 이제 일어나 시내로 들어가라. 네가 해야 할 일을 너에게 말해 줄 것이다."
사울과 함께 가던 사람들은 말을 잃고 서 있었다. 그들은 소리는 들었지만 아무도 보지 못했다. 바울이 땅에서 일어났지만, 눈을 떴을 때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 그래서 그들이 그를 손으로 이끌어 다마스쿠스로 데려갔다. 그는 사흘 동안 눈이 멀었고, 먹지도 마시지도 않았다.
이 이야기는 다마스쿠스의 아나니아가 곧은 길에 있는 유다의 집에 있는 바울을 찾아가 안수하여 시력을 회복시키라는 신성한 계시를 받는 내용으로 이어진다.[14] 아나니아는 바울의 박해 사실 때문에 처음에는 주저했지만, 신의 명령에 순종한다.
아나니아가 그 집에 들어가 사울에게 손을 얹고 말하였다. "형제 사울, 당신이 이 길을 가실 때 당신에게 나타나신 주 예수님께서 저를 보내셨습니다. 당신이 다시 보시고 성령으로 충만하게 하시기 위함입니다." 즉시 사울의 눈에서 비늘 같은 것이 떨어져 나가고 그는 다시 보게 되었다. 그는 일어나 세례를 받고 음식을 먹고 기운을 차렸다.
사도행전에서 바울의 회심에 대한 두 번째 언급은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체포되었을 때 군중에게 한 연설에서 나타난다.[16] 바울은 자신의 회심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이는 사도행전 9장의 내용과 거의 같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사도행전 9장 7절[17]에서는 바울의 동료들이 그와 이야기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고 기록했지만, 사도행전 22장 9절[18]에서는 그들도 빛을 보았다고 언급한다. 이 연설은 유대인 청중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사도행전 22장 12절[19]에서는 아나니아를 기독교인이 아닌 다마스쿠스 유대인들 사이에서 평판이 좋은 인물로 강조한다.[20]
사도행전에서 바울의 회심에 대한 세 번째 논의는 바울이 아그리파 왕에게 자신을 변호하는 연설에서 이루어진다.[21] 이 이야기는 앞선 두 기록보다 간결하다. 여기서 바울은 로마 통치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늘의 환상에 순종해야 할 필요성[22]을 강조하고, 기독교가 비밀 단체가 아님을 아그리파에게 확신시킨다.[23][24]
== 기록 간의 차이점 ==
사도 바울의 회심에 대한 기록에 나타나는 세부 사항의 불일치는 어느 정도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25] 은 바울의 동행자들이 그 소리를 들었다고 언급하는 반면, 은 그들이 듣지 못했다고 언급한다. 전통적인 해석과 현대 성서 학문 모두 이 구절들 사이에 불일치가 있음을 보지만, 일부 현대 보수적 복음주의 주석가들은 그 불일치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리처드 롱넥커는 1세기 독자들이 두 구절을 모두가 그 소리의 소리를 들었지만 "바울만이 명확한 말을 이해했다"는 의미로 이해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26][27]
이 논쟁은 두 개의 그리스어 단어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명사 φωνή (''phōnē'' - "전화", "음성", "음소"와 같은 영어 단어의 어원)는 "목소리, 발언, 보고, 말하는 능력, 동물의 울음소리"로 번역되지만, 무생물에 비유하여 "소리"로도 번역된다.[28] 그러나, 무의미한 소리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는 ψόφος (''psophos'')이다.[29] 동사 ἀκούω (''akouō'' - "음향"과 같은 영어 단어의 어원)는 일반적으로 "듣다"를 의미하지만, 에서처럼 "이해하다"라는 부차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30] 그러나, 이 의미는 매우 드물어서 주요 영어-그리스어 사전에서는 "이해하다"의 가능한 번역으로 ἀκούω를 나열하지 않는다.[31] 이 불일치를 해결하려면, 사도행전 9:7에서 φωνή와 ἀκούω를 각각 "소리"와 "듣다"로 번역하고, 사도행전 22:9에서는 같은 단어를 "목소리"와 "이해하다"로 번역해야 한다.[39]
신 표준 개정판(New Revised Standard Version)(NRSV)은 일반적으로 성서 학자들이 선호하는 번역본이며, 이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출판물에서 사용되며,[32] 두 텍스트를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 그와 동행하던 사람들은 그 소리를 들었지만 아무도 보지 못했으므로 말을 잃었다.(사도행전 9:7)
- 나와 함께 있던 사람들은 빛을 보았지만, 내게 말하는 이의 목소리를 듣지 못했다. (사도행전 22:9)
킹 제임스 성경(KJV),[33] 라틴어 불가타,[34] 그리고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루터 성경(Luther Bible) 독일어 번역본[35]을 포함한 대부분의 전통적인 번역본은 유사하며, 각 평행 텍스트에서 핵심 단어를 동일하게 번역하여 불일치를 숨기지 않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일부 번역본들은 조화로운 번역을 시도했는데, 그중에는 다음과 같은 신 국제 버전(NIV)이 있다.
- 사울과 동행하던 사람들은 말을 잃고 서 있었다. 그들은 소리를 들었지만 아무도 보지 못했다. (사도행전 9:7)
- 내 동료들은 빛을 보았지만, 내게 말씀하시는 분의 목소리를 이해하지 못했다. (사도행전 22:9)
마찬가지로 NET 성경 등도 그렇다. φωνή와 ἀκούω를 각 경우에 다르게 번역함으로써, 불일치는 숨겨진다.[39]
조화로운 해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때때로 사도행전 9:7에서 ἀκούω가 분사 구문에서 속격 (ἀκούοντες μὲν τῆς φωνῆς)과 함께 나타나고, 사도행전 22:9에서는 유한 동사로 대격 목적어 (φωνὴν οὐκ ἤκουσαν)와 함께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한다. 나이젤 터너는 대격의 사용이 이해와 함께 듣는 것을 나타낸다고 제안한다.[36] 더 일반적으로, 이 견해의 지지자들은 사람이 들릴 때는 속격이 사용되고, 사물이 들릴 때는 대격이 사용된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같은 방향으로 가지만 훨씬 약한 논증을 낳는다.[37][38] 신약 학자 다니엘 B. 윌리스(Daniel B. Wallace)와 F.F. 브루스(F.F. Bruce)는 이 격에 기초한 주장이 결정적이지 않다고 여기고, 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준다.[39][40] 윌리스는 신약에서 각 구문과 함께 사용된 ἀκούω의 모든 예를 수집하여, 이 supposed 규칙의 예외가 그 예보다 더 많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바울의 개종에 대한 설명을 어떻게든 이해하든, 다른 격에 대한 호소는 아마도 해결책의 일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39]
2. 2. 1. 기록 간의 차이점
사도 바울의 회심에 대한 기록에 나타나는 세부 사항의 불일치는 어느 정도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25] 은 바울의 동행자들이 그 소리를 들었다고 언급하는 반면, 은 그들이 듣지 못했다고 언급한다. 전통적인 해석과 현대 성서 학문 모두 이 구절들 사이에 불일치가 있음을 보지만, 일부 현대 보수적 복음주의 주석가들은 그 불일치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리처드 롱넥커는 1세기 독자들이 두 구절을 모두가 그 소리의 소리를 들었지만 "바울만이 명확한 말을 이해했다"는 의미로 이해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26][27]이 논쟁은 두 개의 그리스어 단어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명사 φωνή (''phōnē'' - "전화", "음성", "음소"와 같은 영어 단어의 어원)는 "목소리, 발언, 보고, 말하는 능력, 동물의 울음소리"로 번역되지만, 무생물에 비유하여 "소리"로도 번역된다.[28] 그러나, 무의미한 소리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는 ψόφος (''psophos'')이다.[29] 동사 ἀκούω (''akouō'' - "음향"과 같은 영어 단어의 어원)는 일반적으로 "듣다"를 의미하지만, 에서처럼 "이해하다"라는 부차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30] 그러나, 이 의미는 매우 드물어서 주요 영어-그리스어 사전에서는 "이해하다"의 가능한 번역으로 ἀκούω를 나열하지 않는다.[31] 이 불일치를 해결하려면, 사도행전 9:7에서 φωνή와 ἀκούω를 각각 "소리"와 "듣다"로 번역하고, 사도행전 22:9에서는 같은 단어를 "목소리"와 "이해하다"로 번역해야 한다.[39]
신 표준 개정판(New Revised Standard Version)(NRSV)은 일반적으로 성서 학자들이 선호하는 번역본이며, 이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출판물에서 사용되며,[32] 두 텍스트를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 그와 동행하던 사람들은 그 소리를 들었지만 아무도 보지 못했으므로 말을 잃었다.(사도행전 9:7)
- 나와 함께 있던 사람들은 빛을 보았지만, 내게 말하는 이의 목소리를 듣지 못했다. (사도행전 22:9)
킹 제임스 성경(KJV),[33] 라틴어 불가타,[34] 그리고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루터 성경(Luther Bible) 독일어 번역본[35]을 포함한 대부분의 전통적인 번역본은 유사하며, 각 평행 텍스트에서 핵심 단어를 동일하게 번역하여 불일치를 숨기지 않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일부 번역본들은 조화로운 번역을 시도했는데, 그중에는 다음과 같은 신 국제 버전(NIV)이 있다.
- 사울과 동행하던 사람들은 말을 잃고 서 있었다. 그들은 소리를 들었지만 아무도 보지 못했다. (사도행전 9:7)
- 내 동료들은 빛을 보았지만, 내게 말씀하시는 분의 목소리를 이해하지 못했다. (사도행전 22:9)
마찬가지로 NET 성경 등도 그렇다. φωνή와 ἀκούω를 각 경우에 다르게 번역함으로써, 불일치는 숨겨진다.[39]
조화로운 해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때때로 사도행전 9:7에서 ἀκούω가 분사 구문에서 속격 (ἀκούοντες μὲν τῆς φωνῆς)과 함께 나타나고, 사도행전 22:9에서는 유한 동사로 대격 목적어 (φωνὴν οὐκ ἤκουσαν)와 함께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한다. 나이젤 터너는 대격의 사용이 이해와 함께 듣는 것을 나타낸다고 제안한다.[36] 더 일반적으로, 이 견해의 지지자들은 사람이 들릴 때는 속격이 사용되고, 사물이 들릴 때는 대격이 사용된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같은 방향으로 가지만 훨씬 약한 논증을 낳는다.[37][38] 신약 학자 다니엘 B. 윌리스(Daniel B. Wallace)와 F.F. 브루스(F.F. Bruce)는 이 격에 기초한 주장이 결정적이지 않다고 여기고, 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준다.[39][40] 윌리스는 신약에서 각 구문과 함께 사용된 ἀκούω의 모든 예를 수집하여, 이 supposed 규칙의 예외가 그 예보다 더 많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바울의 개종에 대한 설명을 어떻게든 이해하든, 다른 격에 대한 호소는 아마도 해결책의 일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39]
3. 신학적 의미
바울의 회심은 신적 은총의 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42] 바울이 기독교를 완전히 근절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심한 것은, "은총이 미치지 못할 정도로 깊은 타락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42] 또한, "모든 것, 심지어 적대적인 박해자조차도 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사용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낸다.[43]
개신교 신자들은 이 회심을 ''오직 믿음''의 증거로 여기는 반면,[41] 반종교개혁 시대의 가톨릭 신자들은 설교의 힘을 보여주는 증거로 보았다.[41]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설교는 새롭게 강조되었다.[41]
바울은 회심과 관련된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의 부활의 중요성을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 제2성전 유대교에 대한 이해, 그리고 하나님이 진정 누구이신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재고하게 되었다.[44] 바울의 회심은 그가 과거에 추구했던 "율법에 근거한 의"와[45] 갈라디아서에서 묘사한 "그리스도의 죽음에 근거한 의" 사이의 분명한 대립을 보여주었다.[45]
갈라디아서 1장과 사도행전 (사도행전 9장, 22장, 26장)의 기록에 따르면, 바울은 이방인에게 증인이 되라는 임무를 받았다. 이는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서 일어난 일이 단순한 개종이 아니라, 바울을 이방인의 사도로 임명하는 것이었음을 보여준다.[46]
유스투스 크네히트는 바울의 회심에 대해 "죄악된 삶을 살던 바로 그 순간에 은총은 사울에게 멈추라고 부르셨고, 그의 마음을 완전히 변화시키시어 예수 그리스도의 맹렬한 원수를 사랑으로 불타는 사도로 바꾸셨습니다."라고 언급하며, 고린도전서 15장 10절을 인용하여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내게 주신 그분의 은혜가 헛되지 아니하여, 내가 그들 모두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한 것이 아니라,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다."라고 설명한다.[52]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대전''에서 바울의 회심을 '하나님의 갑작스러운 은총'의 예시로 보았다. 그는 집회서 11장 23절과 요한복음 6장 45절을 인용하며, 하나님께서 사람을 갑자기 그리고 완전하게 선으로 이끄시어 은총을 받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바울의 경우가 그러하다고 설명한다.[53]
교황 프란치스코는 2024년 1월 25일, 성 바울의 회심 축일에 2024년 10월 20일 세계 선교 주일과 2025년 희년을 앞두고 신자들에게 희망의 기도 순례자가 되도록 촉구하는 사목 서한을 발표했다.[54]
메타노이아 (신학)는 회심의 수행적 여정과 밀접하게 관련된 연구 대상이며, 성 바울의 다마스쿠스 사건을 통해 잘 설명된다. 성 제롬은 초기 언어학자 중 한 명으로, 금욕주의와 메타노이아/μετάνοιαgrc의 헬라어 번역 문제와 씨름했다.
3. 1. 은총의 교리
한스 스페카르트의 그림바울의 회심은 신적 은총의 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42] 바울이 기독교를 완전히 근절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심한 것은, "은총이 미치지 못할 정도로 깊은 타락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42] 또한, "모든 것, 심지어 적대적인 박해자조차도 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사용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낸다.[43]
개신교 신자들은 이 회심을 ''오직 믿음''의 증거로 여기는 반면,[41] 반종교개혁 시대의 가톨릭 신자들은 설교의 힘을 보여주는 증거로 보았다.[41]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설교는 새롭게 강조되었다.[41]
바울은 회심과 관련된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의 부활의 중요성을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 제2성전 유대교에 대한 이해, 그리고 하나님이 진정 누구이신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재고하게 되었다.[44] 바울의 회심은 그가 과거에 추구했던 "율법에 근거한 의"와[45] 갈라디아서에서 묘사한 "그리스도의 죽음에 근거한 의" 사이의 분명한 대립을 보여주었다.[45]
갈라디아서 1장과 사도행전 (사도행전 9장, 22장, 26장)의 기록에 따르면, 바울은 이방인에게 증인이 되라는 임무를 받았다. 이는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서 일어난 일이 단순한 개종이 아니라, 바울을 이방인의 사도로 임명하는 것이었음을 보여준다.[46]
유스투스 크네히트는 바울의 회심에 대해 "죄악된 삶을 살던 바로 그 순간에 은총은 사울에게 멈추라고 부르셨고, 그의 마음을 완전히 변화시키시어 예수 그리스도의 맹렬한 원수를 사랑으로 불타는 사도로 바꾸셨습니다."라고 언급하며, 고린도전서 15장 10절을 인용하여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내게 주신 그분의 은혜가 헛되지 아니하여, 내가 그들 모두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한 것이 아니라,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다."라고 설명한다.[52]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대전''에서 바울의 회심을 '하나님의 갑작스러운 은총'의 예시로 보았다. 그는 집회서 11장 23절과 요한복음 6장 45절을 인용하며, 하나님께서 사람을 갑자기 그리고 완전하게 선으로 이끄시어 은총을 받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바울의 경우가 그러하다고 설명한다.[53]
교황 프란치스코는 2024년 1월 25일, 성 바울의 회심 축일에 2024년 10월 20일 세계 선교 주일과 2025년 희년을 앞두고 신자들에게 희망의 기도 순례자가 되도록 촉구하는 사목 서한을 발표했다.[54]
메타노이아 (신학)는 회심의 수행적 여정과 밀접하게 관련된 연구 대상이며, 성 바울의 다마스쿠스 사건을 통해 잘 설명된다.
3. 2. 이방인의 사도
한스 스페카르트가 그린 회심 삽화에서 볼 수 있듯이, 개신교 신자들은 이 회심을 ''오직 믿음''의 증거로 여겼다. 반면, 반종교개혁 시대의 가톨릭 신자들은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새롭게 강조된 설교의 힘을 보여주는 증거, 적어도 그에 대한 은유로 보았다.[41]바울로의 회심은 "은총이 미치지 못할 정도로 깊은 타락은 없고, 은총이 죄인을 들어 올리지 못할 정도로 높은 곳은 없다"는 구절처럼 신적 은총의 힘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42] 이는 "모든 것, 심지어 적대적인 박해자조차도 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사용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보여준다.[43]
바울로가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 그의 성숙한 신학의 틀을 형성할 단일하고 일관된 계획을 이미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회심과 관련된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의 부활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는 그의 정체성에서부터 제2성전 유대교에 대한 이해, 그리고 하나님이 진정 누구이신지에 이르기까지 그가 이전에 믿었던 모든 것을 근본적으로 재고하도록 만들었다.[44]
바울로의 회심이 가져온 변화의 영향은 그가 과거에 추구했던 "율법에 근거한 의"와[45] 갈라디아서에서 묘사한 "그리스도의 죽음에 근거한 의" 사이의 분명한 대립을 보여주었다.[45]
갈라디아서 1장의 바울로의 증언과 사도행전 (사도행전 9장, 22장, 26장)의 기록에 따르면, 바울로는 이방인에게 증인이 되라는 임무를 받았다고 특별히 언급되어 있다. 이는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서 일어난 일이 단지 1세기 유대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믿음으로의 개종뿐만 아니라, 바울로를 이방인의 사도로 임명하는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바울로의 생각에는 이 두 가지가 같은 것이었다.[46]
4. 회심에 대한 다른 설명들
사도행전은 바울의 회심 경험이 부활한 그리스도와의 만남이었다고 말한다. 열사병, 간질 발작을 포함한 대체 설명이 제안되어 왔다. 1987년, D. 랜드스보로는 ''신경학, 신경외과 및 정신의학 저널''에 기사를 게재하여, 바울의 회심 경험이 밝은 빛, 정상적인 신체 자세의 상실, 강한 종교적 내용의 메시지, 그리고 그 후의 실명과 함께 "아마도 경련으로 끝나는 측두엽 간질 발작... 그 뒤에 이어진 실명은 발작후 상태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47]
이 결론은 같은 저널에서 제임스 R. 브로슨과 캐슬린 브루어에 의해 반박되었는데,[48] 그들은 이 가설이 바울의 동료들이 목소리를 듣고(사도행전 9:7), 빛을 보거나,[49] 땅에 엎드린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50] 게다가, 바울의 실명은 발작후 상태에서 전형적인 점진적인 해결이 아닌 갑작스러운 방식으로 회복되었고, 간질 경련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사실 그런 경련은 바울 시대에 종교 지도자로 받아들여진 사람에게는 있을 것 같지 않은 악마적 영향의 징후로 해석되었을 수 있다.[48]
2012년 ''신경정신과 및 임상 신경과학 저널''에 실린 한 논문은 바울의 회심 경험이 정신적인 사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는 저자들이 기분 장애와 관련된 정신병 스펙트럼 증상에 의해 발생했을 수 있다고 제안하는 바울의 다른 청각 및 시각적 경험의 전반적인 맥락에서 발생했다.[51]
4. 1. 의학적, 심리학적 설명
사도 바울로의 회심 경험에 대해 열사병, 간질 발작 등 다양한 의학적, 심리학적 설명이 제시되어 왔다.[47] 1987년, D. 랜드스보로는 ''신경학, 신경외과 및 정신의학 저널''에 기고한 글에서 바울로의 회심이 측두엽 간질 발작 및 발작후 상태로 인한 실명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47]그러나 제임스 R. 브로슨과 캐슬린 브루어는 이러한 주장이 바울로의 동료들이 목소리를 듣거나 빛을 보고, 땅에 엎드린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고 반박했다.[48][49][50] 또한 바울로의 실명이 발작후 상태와 달리 갑작스럽게 회복되었고, 간질 경련은 당시 종교 지도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지적했다.[48]
2012년 ''신경정신과 및 임상 신경과학 저널''의 한 논문에서는 바울로의 회심 경험이 기분 장애와 관련된 정신병적 증상으로 인한 정신적 사건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51]
5. 문화적 영향
랄프 엘리슨의 1952년 소설 ''보이지 않는 인간'' 17장에는 바울로의 회심과 관련된 문학적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56] "네가 사울로 시작해서 바울로 끝나는 거야."라고 할아버지는 자주 말씀하셨다. "어릴 때는 사울로 살지만, 인생이 너를 좀 두들겨 패게 하면 바울이 되려고 노력하게 되지 – 비록 옆에서는 여전히 사울로 살더라도 말이야."
바울로의 회심은 중세 연극 ''디그비 성 바울의 개종''의 주제이다.
바울로의 회심은 중세 미술에서는 흔하지 않았으며, 르네상스 시대부터 더 큰 그림의 주제로 인기를 얻었다. 종교적 중요성 외에도, 이 주제는 예술가가 풍경 요소, 군중과 말들을 포함시킬 수 있게 해주었으며, 특히 사건의 드라마는 바로크 화가들에게 어필했다.[55]
바울로의 회심은 알브레히트 뒤러, 프란시스코 카밀로, 조반니 벨리니, 프라 안젤리코, 프라 바르톨로메오, 피터 브뤼겔 (1세), 윌리엄 블레이크, 루카 조르다노, 산테 페란다, 후안 안토니오 데 프리아스 이 에스칼란테를 포함한 많은 예술가들에 의해 묘사되었다. 미켈란젤로의 프레스코화인 ''사울의 회심''은 바티칸 궁전의 파울리나 예배당에 있다.[56] 카라바조는 이 사건을 묘사한 ''성 바울의 회심''과 ''다마스쿠스 도상에서의 회심'' 두 작품을 그렸으며, 피터 폴 루벤스 역시 이 주제에 대한 여러 작품을 제작했다.[57]
많은 묘사들 중 상당수가 바울로와 그의 동료 몇몇이 말을 타고 다마스쿠스 길을 여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성경적 기록에는 언급되지 않으며, 더 극적인 구성을 만들기 위함이다. 말들은 일반적으로 갑작스러운 환영의 출현에 의해 동요되어 보이며, 종종 스스로 땅에 쓰러져 있다. 14세기에 처음 등장한 바울의 말은 15세기부터 가장 중요한 묘사에 나타난다.[58]
펠릭스 멘델스존의 오라토리오 ''바울루스''(Paulus), MWV A 14 / Op. 36] (1833–36)는 사도 바울로의 회심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자케스 드 베르트 (1535–1596)가 작곡한 합창 모테트 ''사울, 사울,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Saule, Saule, quid me persequeris)도 같은 주제를 다룬다. Z. 랜들 스트루프가 작곡한 8성부 혼성 합창 아카펠라 곡(사울의 회심)의 주제이기도 하다.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이라는 표현은 급격한 변화, 깨달음, 새로운 관점을 얻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로 사용된다.[59][60][61]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정치인 토니 애보트는 정신 건강 자금 지원을 약속한 후 "그 자신의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 있었던 것으로 묘사되었다.[59] 뉴질랜드의 마약 딜러에서 경찰관으로 전직한 사람 역시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의 첫 번째 발걸음"을 내디뎠다고 묘사되었다.[60]
SF 소설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은 전장에서 스스로 인지하는 전차, Unit SOL-0045, "써니"라는 마크 XX 볼로의 갑작스러운 정치적 개종을 기반으로 한다.[61]
더 와이어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30-에서 노먼 윌슨은 토미 카르체티 시장에게 지미 맥널티/레스터 프리몬의 "연쇄 살인범" 사기극이 시장의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의 순간이며, 수사 목표를 성공적으로 자금 지원하고 달성하기 위해 연쇄 살인범을 날조한 형사들의 행위를 카르체티가 자신의 실제 정치적 의제를 달성하기 위해 실제로 신경 쓰지 않는 인기 있는 캠페인 플랫폼을 채택한 것에 비유한다고 말한다. 또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름길을 택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한 다른 단체, 예를 들어 퓰리처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볼티모어 선''의 관리 편집자들이 한 타협과 결정과도 유사점을 그릴 수 있다.[62][63][64]
''다운튼 애비'' 시즌 4, 3화에서 레이디 그란섬은 딸 에디스의 남자친구에 대한 로드 그란섬의 마음의 변화를 다마스쿠스 회심이라고 언급했다.
5. 1. 문학
무리요의 그림, ]]랄프 엘리슨의 1952년 소설 ''보이지 않는 인간'' 17장에는 사도 바울로의 회심과 관련된 문학적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네가 사울로 시작해서 바울로 끝나는 거야."라고 할아버지는 자주 말씀하셨다. "어릴 때는 사울로 살지만, 인생이 너를 좀 두들겨 패게 하면 바울이 되려고 노력하게 되지 – 비록 옆에서는 여전히 사울로 살더라도 말이야."
바울로의 회심은 중세 연극 ''디그비 성 바울의 개종''의 주제이다.
5. 2. 미술
바울로의 회심은 중세 미술에서는 흔하지 않았으며, 르네상스 시대부터 더 큰 그림의 주제로 인기를 얻었다. 종교적 중요성 외에도, 이 주제는 예술가가 풍경 요소, 군중과 말들을 포함시킬 수 있게 해주었으며, 특히 사건의 드라마는 바로크 화가들에게 어필했다.[55]
바울로의 회심은 알브레히트 뒤러, 프란시스코 카밀로, 조반니 벨리니, 프라 안젤리코, 프라 바르톨로메오, 피터 브뤼겔 (1세), 윌리엄 블레이크, 루카 조르다노, 산테 페란다, 후안 안토니오 데 프리아스 이 에스칼란테를 포함한 많은 예술가들에 의해 묘사되었다. 미켈란젤로의 프레스코화인 ''사울의 회심''은 바티칸 궁전의 파울리나 예배당에 있다.[56] 카라바조는 이 사건을 묘사한 ''성 바울의 회심''과 ''다마스쿠스 도상에서의 회심'' 두 작품을 그렸으며, 피터 폴 루벤스 역시 이 주제에 대한 여러 작품을 제작했다.[57]
많은 묘사들 중 상당수가 바울로와 그의 동료 몇몇이 말을 타고 다마스쿠스 길을 여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성경적 기록에는 언급되지 않으며, 더 극적인 구성을 만들기 위함이다. 말들은 일반적으로 갑작스러운 환영의 출현에 의해 동요되어 보이며, 종종 스스로 땅에 쓰러져 있다. 14세기에 처음 등장한 바울의 말은 15세기부터 가장 중요한 묘사에 나타난다.[58]
5. 3. 음악
펠릭스 멘델스존의 오라토리오 ''바울루스''(Paulus), MWV A 14 / Op. 36] (1833–36)는 사도 바울로의 회심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자케스 드 베르트 (1535–1596)가 작곡한 합창 모테트 ''사울, 사울,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Saule, Saule, quid me persequeris)도 같은 주제를 다룬다. Z. 랜들 스트루프가 작곡한 8성부 혼성 합창 아카펠라 곡(사울의 회심)의 주제이기도 하다.5. 4. 대중적 용법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이라는 표현은 급격한 변화, 깨달음, 새로운 관점을 얻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로 사용된다.[59][60][61]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정치인 토니 애보트는 정신 건강 자금 지원을 약속한 후 "그 자신의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 있었던 것으로 묘사되었다.[59] 뉴질랜드의 마약 딜러에서 경찰관으로 전직한 사람 역시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의 첫 번째 발걸음"을 내디뎠다고 묘사되었다.[60]스카르셀리노
SF 소설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은 전장에서 스스로 인지하는 전차, Unit SOL-0045, "써니"라는 마크 XX 볼로의 갑작스러운 정치적 개종을 기반으로 한다.[61]
더 와이어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30-에서 노먼 윌슨은 토미 카르체티 시장에게 지미 맥널티/레스터 프리몬의 "연쇄 살인범" 사기극이 시장의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의 순간이며, 수사 목표를 성공적으로 자금 지원하고 달성하기 위해 연쇄 살인범을 날조한 형사들의 행위를 카르체티가 자신의 실제 정치적 의제를 달성하기 위해 실제로 신경 쓰지 않는 인기 있는 캠페인 플랫폼을 채택한 것에 비유한다고 말한다. 또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름길을 택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한 다른 단체, 예를 들어 퓰리처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볼티모어 선''의 관리 편집자들이 한 타협과 결정과도 유사점을 그릴 수 있다.[62][63][64]
''다운튼 애비'' 시즌 4, 3화에서 레이디 그란섬은 딸 에디스의 남자친구에 대한 로드 그란섬의 마음의 변화를 다마스쿠스 회심이라고 언급했다.
6. 축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사도 바울로의 회심/Conversion of Paul영어) 또는 사도 성 바울 회심주일은 파울로스가 기독교로 전향한 사건을 기념하는 교회력의 절기이다.[69] 기독교를 박해한 바울로(바울 또는 사울)를 사도로 불러들이신 하느님의 은혜를 묵상하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1월 25일이다.
성 바울 회심 주일을 별도로 지내는 이유는 그의 회심이 인류에 대한 하느님의 큰 은혜이기 때문이다.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영광스러운 모습으로 나타나자 박해자 사울이 즉시 순종한 것은 놀라운 겸손의 표지이며, 하느님의 은혜였다. 교회는 사울을 이방인들의 사도로 변화시켜주신 하느님의 놀라운 업적을 찬양하기 위해 이 축일을 지내며 10세기 말경부터는 모든 교회가 이 축일을 지내게 되었다.[70]
사도 바울로의 회심 축일은 로마 가톨릭, 성공회, 루터교 교회에서 기념되며, 1월 25일에 전례력에 기념된다. 이 축일은 1908년에 시작된 국제 기독교 그리스도교 일치 기도 주간의 마지막 날이다.[66]
7. 한국적 관점
7. 1. 한국 개신교
7. 2. 한국 천주교
7. 3. 남북 관계와 바울로
참조
[1]
서적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A-D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W.B.Eerdman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
서적
Jesus, the Rise of Early Christianity: A History of New Testament Times
InterVarsity Press
[3]
서적
New Testament History
Zondervan Publishing Company
[4]
간행물
Galatians 1:13–14
NIV
[5]
간행물
Philippians 3:4–6
[6]
간행물
Acts 7:57–8:3
[7]
간행물
1 Corinthians 9:1
[8]
간행물
1 Corinthians 15:3–8
[9]
간행물
1 Corinthians 15:3–8
NIV
[10]
간행물
2 Corinthians 12:1–7
NRSV
[11]
간행물
Galatians 1:11–16
NIV
[12]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9:2
[13]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9:3–9
NIV
[14]
서적
Exploring Acts: An expository commentary
https://books.google[...]
Kregel Academic
[15]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9:13–19
NIV
[16]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22:6–21
[17]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9:7
[18]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22:9
[19]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22:12
[20]
서적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Acts of the Apostles: Introduction and commentary on Acts XV-XXVIII
https://books.google[...]
Continuum
[21]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26:12–18
[22]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26:19
[23]
서적
Reading Acts: A Literary and Theological Commentary on the Acts of the Apostles
https://books.google[...]
Smyth & Helwys
[24]
간행물
Acts of the Apostles 26:26
[25]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A socio-rhetorical commentary
https://books.google[...]
Eerdmans
[26]
서적
The Ministry and Message of Paul
https://books.google[...]
Zondervan
[27]
서적
Interpretation of the Acts of the Apostles 1–14, Volume 1
https://books.google[...]
Augsburg Fortress
[28]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Clarendon Press
1940
[29]
웹사이트
Woodhouse's English-Greek Dictionary p. 796
https://artflsrv03.u[...]
[30]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Clarendon Press
1940
[31]
웹사이트
Woodhouse's English-Greek Dictionary p. 913
https://artflsrv03.u[...]
[32]
웹사이트
A Discussion of Bible Translations and Biblical Scholarship
http://courses.misso[...]
2015-02-13
[33]
웹사이트
Acts 9:7
https://www.biblegat[...]
[34]
웹사이트
Acts 9:7
https://www.biblegat[...]
[35]
웹사이트
Acts 9:7
https://www.biblegat[...]
[36]
서적
Grammatical Insights Into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Continuum
2004
[37]
서적
The Elements of New Testament Greek
Cambridge
1991
[38]
서적
Greek Grammar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39]
서적
Greek Grammar Beyond the Basics: An Exegetical Syntax of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Zondervan
1997
[40]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The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Eerdmans
1990
[41]
문서
Leone, Chapter 1
[42]
서적
A commentary on the Holy Scriptures: critical, doctrinal, and homiletical, Volume 8
https://archive.org/[...]
Scribner
1868
[43]
서적
The Catholic Bible, Personal Study Edition: New American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7
[44]
서적
The Paul Debate
Baylor University Press
2015
[45]
서적
Paul's Conversion and His Ethic of Freedom in Galatians
https://books.google[...]
Eerdmans
1997
[46]
서적
The New Perspective on Paul
https://archive.org/[...]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8
[47]
간행물
St Paul and temporal lobe epilepsy
[48]
간행물
St Paul and temporal lobe epilepsy
[49]
성경
[50]
성경
[51]
간행물
The role of psychotic disorders in religious history considered
[52]
서적
A Practical Commentary on Holy Scripture
B. Herder
[53]
서적
Summa Theologica
Benzinger Brothers
[54]
웹사이트
Message for World Mission Day 2024 | Francis
https://www.vatican.[...]
[55]
서적
The Renaissance in Rom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56]
문서
Leone lists a number of works
[57]
서적
Peter Paul Rubens, a touch of brilliance: oil sketches and related works from the State Hermitage Museum and the Courtauld Institute Gallery
Prestel
2003
[58]
문서
Leone, p. 195 onwards; Cuneo, 73, goes further: "almost all" works from 1500-1549 contain horses.
[59]
뉴스
Mental health experts praise Abbott's spending pledge
http://www.abc.net.a[...]
ABC News (Australia)
2010-07-01
[60]
웹사이트
Drug dealer hired as police officer
http://www.nzherald.[...]
2011-09-26
[61]
웹사이트
The Road to Damascus by John Ringo and Linda Evans – WebScription Ebook
https://www.baen.com[...]
2018-10-03
[62]
뉴스
The bitter resonance of The Wire's fake news plotline, a decade later
https://ew.com/tv/20[...]
EW
2018-03-09
[63]
뉴스
The Wire: '-30-
https://www.avclub.c[...]
AV Club
2008-03-09
[64]
뉴스
Sepinwall on TV: 'The Wire' ends
http://blog.nj.com/a[...]
Star-Ledger
2008-03-10
[65]
뉴스
The Wire Recap: Season 5, Episode 10, '-30-'
https://www.slantmag[...]
Slant
2008-03-11
[66]
서적
Exciting holiness: collects and readings for the festivals
Canterbury Press
2003
[67]
서적
Folklore Myths and Legends of Britain
Reader's Digest Association Ltd
[68]
문서
Roman Missal
[69]
문서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이 바울을 사울이 개명한 이름으로 잘못 이해하는데, 바울은 [[디아스포라]] 유대인인 사울의 다른 이름이다. [[재일 한국인|재일교포]] 손정의씨의 일본이름이 손 마사요시인 것과 같다.
[70]
서적
교회력에 따른 대천덕 절기설교
홍성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