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마틴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인트마틴섬은 카리브해의 섬으로, 프랑스령 생마르탱과 네덜란드령 신트마르턴으로 나뉘어 있다. 87km²의 면적을 가지며,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국경을 공유하는 유일한 곳이다. 1648년 콩코드 협정에 의해 섬이 분할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통일 운동이 진행 중이다. 섬은 열대 사바나 기후이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2017년 허리케인 어마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아프리카,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등의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은 대형 제트기의 이착륙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마르탱 - 마리고
마리고는 프랑스 루이 16세 치세에 수도가 되었으며, 생마르탱 섬 서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포트 생 루이와 성 마르탱 성당 등의 명소가 있고, 열대 사바나 기후를 보이는 곳이다. - 세인트마틴섬 - 신트마르턴
신트마르턴은 카리브해 생마르탱 섬 남부에 위치한 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으로, 관광 산업 중심의 경제, 다국적 사회, 허리케인 피해와 부패 문제 등의 특징을 지닌다. - 세인트마틴섬 - 생마르탱
생마르탱은 카리브해 생마르탱섬 북쪽에 위치한 프랑스 해외 집합체로, 관광 산업이 주요하며 2007년 과들루프에서 분리되어 자체 행정 체계를 갖추고 프랑스와 유럽 연합의 일부로 남아있다. - 신트마르턴 - 신트마르턴의 문장
- 신트마르턴 - 신트마르턴의 기
신트마르턴의 기는 흰색 테두리가 있는 파란색 바탕 중앙에 신트마르턴 문장이 있는 깃발로, 섬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을 상징하며 2010년부터 공식 깃발로 사용된다.
세인트마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별칭 | 친절한 섬 |
위치 | 카리브해 |
군도 | 리워드 제도 소앤틸리스 제도 앤틸리스 제도 서인도 제도 |
면적 | 88 km² |
최고봉 | 피크 파라디 |
해발고도 | 424 m |
인구 | 73,777명 (2019년 1월) |
인구 밀도 | 847명/km² |
주민 | 생마르탱인 생마르탱 주민 신트마르턴 주민 |
민족 구성 | 아프리카계 카리브인 유럽인 인도인 라틴계 중국인 혼혈 |
![]() | |
행정 구역 | |
프랑스령 | 프랑스 공화국 생마르탱 해외 준현 |
프랑스령 수도 | 마리고 |
프랑스령 최대 도시 인구 | 5,788명 |
프랑스령 면적 | 53 km² |
네덜란드령 | 네덜란드 왕국 신트마르턴 (구성국) |
네덜란드령 수도 | 필립스뷔르흐 (인구 1,900명) |
네덜란드령 최대 도시 | 로워 프린스 쿼터 |
네덜란드령 최대 도시 인구 | 8,123명 |
네덜란드령 면적 | 34 km² |
언어 | |
공용어 | 네덜란드어 (신트마르턴) 프랑스어 (생마르탱) |
토착어 |
2. 지리
생마르탱 섬은 카리브 해 북동부 리워드 제도에 위치하며, 앵귈라, 생바르텔레미, 사바, 신트외스타티우스 등이 인접해 있다.
섬의 면적은 87km2이며,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섬을 분할 통치하고 있다. 프랑스령 지역은 생마르탱이라 불리며 면적은 53km2이고, 네덜란드령 지역은 신트마르턴이라 불리며 면적은 34km2이다.[1][14] 이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육지 국경을 맞대고 있는 곳이다.
주요 도시로는 네덜란드령의 필립스버그와 프랑스령의 마리고가 있다. 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곳은 네덜란드령의 로어 프린스 쿼터이다. 섬의 가장 높은 곳은 프랑스령에 있는 피크 파라디 (424m)이다. 섬에는 강이 없지만, 건조한 골짜기가 많고, 하이킹 코스를 통해 건조림에 접근할 수 있다. 1648년 콩코드 협정은 마리고와 필립스버그 사이의 국경에 위치한 언덕(현재 콩코드 산, 콩코드 언덕 또는 Mont des Accords프랑스어)에서 서명되었다.
2. 1. 위치 및 지형
생 마르탱 섬은 87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앵귈라 해협을 사이에 두고 앵귈라(영국의 자치령)와, 동남쪽으로는 생바르텔레미(프랑스령 해외 준주)가 인접해 있다. 또한 섬의 남쪽에는 네덜란드의 특별 자치체 (BES 제도)인 사바 섬과 신트외스타티우스 섬이 있다.[1]
생 마르탱 섬은 53km2는 프랑스 공화국, 34km2는 네덜란드 왕국이 다스리고 있다.[14] 이는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공유하는 유일한 국경이다.
섬은 대체로 산악 지형이며, 기복이 심한 언덕과 많은 만이 있고, 사주가 발달하여 많은 석호를 가지고 있다. 넓은 평탄한 토지는 사주 등에 한정되어 있다. 섬 중앙부에 산괴가 있으며, 최고봉은 프랑스령 쪽에 있는 피크 파라디 (424m)이다.
서부에는 카리브해 최대의 석호인 [59]심슨 베이 라군이 펼쳐져 있으며, 주변은 리조트 지대이다.

2. 2.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이 섬은 1월부터 4월까지 건기, 8월부터 12월까지 우기를 보이는 열대 사바나 기후(Aw)를 띤다.[64] 강수 패턴은 1년 동안의 아조레스 고기압의 움직임 때문에 나타난다. 주로 동쪽 또는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북동 무역풍의 영향으로 연중 기온이 안정적이며, 기온이 34°C를 넘거나 20°C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는 드물다. 연평균 기온은 27.2°C이며, 평균 해수 온도 역시 27.2°C로 2월의 25.9°C에서 10월의 28.4°C까지 변동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1047mm이며, 강수량이 측정 가능한 날은 142일이다. 뇌우는 가끔 발생하며, 연간 뇌우 발생일은 18일이다. 강수량 총량은 통과하는 열대 저기압의 수에 따라 해마다 상당히 변동이 크다.이 섬은 열대 지방에 위치해 있어 늦여름과 초가을에 대서양 허리케인의 영향을 정기적으로 받는다.[64] 섬에 특히 심대한 피해를 입힌 허리케인으로는 1960년 도나와 1995년 루이스가 있다.[6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32.7 | 31.6 | 32.6 | 33.6 | 33.5 | 33.9 | 34.2 | 35.1 | 34.8 | 34.3 | 33.9 | 32.1 | 35.1 |
평균 최고 기온 (°C) | 28.6 | 28.7 | 29.2 | 29.8 | 30.4 | 31.3 | 31.6 | 31.7 | 31.6 | 31.2 | 30.2 | 29.2 | 30.3 |
평균 기온 (°C) | 25.5 | 25.4 | 25.7 | 26.5 | 27.4 | 28.2 | 28.3 | 28.6 | 28.5 | 28.2 | 27.3 | 26.1 | 27.2 |
평균 최저 기온 (°C) | 23.2 | 23.1 | 23.5 | 24.1 | 25.1 | 25.2 | 26.1 | 26.2 | 26.0 | 25.7 | 24.9 | 23.9 | 24.8 |
최저 기온 기록 (°C) | 18.6 | 19.2 | 19.5 | 19.3 | 20.2 | 22.3 | 22.1 | 21.4 | 22.0 | 22.1 | 21.2 | 20.0 | 18.6 |
평균 강수량 (mm) | 66.0 | 50.7 | 45.2 | 64.0 | 93.3 | 61.8 | 71.6 | 98.8 | 139.6 | 113.0 | 149.3 | 93.8 | 1047.1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1.9 | 9.3 | 9.0 | 11.8 | 10.3 | 8.4 | 12.2 | 13.9 | 13.5 | 13.8 | 14.8 | 13.3 | 142.0 |
평균 상대 습도 (%) | 74.7 | 74.1 | 73.6 | 75.0 | 75.9 | 75.1 | 74.8 | 75.4 | 76.3 | 76.8 | 77.4 | 76.6 | 75.5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257.2 | 235.2 | 271.6 | 265.4 | 251.0 | 245.1 | 257.2 | 288.1 | 232.4 | 244.6 | 235.0 | 246.7 | 3009.4 |
평균 일조율 (%) | 73.5 | 72.7 | 72.2 | 70.6 | 62.4 | 62.0 | 63.2 | 67.7 | 62.8 | 67.0 | 68.3 | 71.4 | 67.8 |
세인트마틴 섬에는 원래 카리브족과 아라와크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두 번째 탐험 항해에서 이 섬을 발견하고 투르의 성 마르티노를 기리기 위해 섬의 이름을 붙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1493년 11월 11일 성 마르티노 축일에 해안에 정박했을 때 실제로 현재 네비스라고 불리는 섬에 이름을 붙였다. 리워드 제도에 있는 수많은 작은 섬들이 제대로 지도에 표시되지 않아 이 이름이 실수로 현재 생마르탱/신트마르턴으로 알려진 섬으로 옮겨졌다.[15][16]
3. 역사
1648년 3월 23일, 프랑스 왕국과 네덜란드 공화국은 콩코드 조약을 체결하여 섬을 두 영토로 나누었다. 이후 분쟁으로 수년에 걸쳐 16번의 국경 변경이 있었지만 1815년 이후로는 안정되었다.[17][18] 1939년에는 면세 항구를 선언하며 경제 발전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60][63]
2017년 9월 6일에는 5등급 허리케인 어마의 강타를 받아 건물과 기반 시설에 30억달러로 추정되는 광범위하고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2018년 7월 9일 현재 총 11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었다.[29][30][31][32]
3. 1. 유럽인들의 "발견"과 식민지 시대
1493년 11월 11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2차 항해에서 이 섬을 "발견"하고, 11월 11일이 성 마르티누스의 성명축일(성 마르티누스의 날)이라는 것에 연유하여 산 마르틴 섬(Isla de San Martínes)이라고 명명했다.[15][16] 콜럼버스는 이 섬을 스페인령으로 귀속시키려 했지만, 스페인은 이 섬에 대한 식민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섬은 각국의 배와 해적들이 물과 소금의 공급지로서 이용하게 되어, "소금의 섬" Soualiga로 불리게 되었다.[61] 17세기에 들어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이 섬에 주목했다. 프랑스인들은 트리니다드와 버뮤다의 중간에 거점을 원했고, 네덜란드인들은 뉴 암스테르담과 브라질의 중간에 거점을 원했기 때문이다.
1631년, 네덜란드인들은 마을과 암스테르담 요새(Fort Amsterdam (Sint Maarten)영어)를 건설했다.[61] 섬의 인구가 적었기 때문에 거점 건설은 용이하게 진행되었다. 얀 클라센 반 캄펜이 초대 총독이 되었고, 곧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가 소금 광산 경영에 착수했다. 마찬가지로 프랑스인과 영국인 식민자도 섬에 진출했다. 그들이 소금 거래에 성공하자 스페인도 이 섬의 가치를 깨닫게 되었다. 당시 스페인과 네덜란드는 팔십 년 전쟁을 벌이고 있었고, 이 섬에도 전황이 미쳤다.
1633년, 스페인이 네덜란드로부터 섬을 탈취하여 입식자들의 대부분을 추방했다(Capture of Saint Martin (1633)영어). 스페인은 Point Blanche에 요새를 건설했다. 네덜란드는 여러 차례 세인트마틴 섬 탈환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로 끝났다. 후에 뉴네덜란드 총독을 맡게 되는 피터 스토이베산트는 1644년에 세인트마틴 섬 공격을 지휘했지만, 다리를 잃었다(Attack on Saint Martin영어).
1648년 팔십 년 전쟁이 종결되자, 스페인은 카리브해 거점 경영에 관심을 잃었고, 세인트마틴 섬도 포기했다.
3. 2. 분할과 근대
1648년 3월 23일, 프랑스 왕국과 네덜란드 공화국은 콩코드 조약을 체결하여 섬을 두 영토로 나누기로 합의했다. 섬을 분할하는 서명은 콩코르디아 산기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콩코르디아 조약Treaty of Concordia영어이라고 불린다.[61] 이후 분쟁으로 인해 수년에 걸쳐 16번의 국경 변경이 있었지만, 1815년의 파리 조약으로 현재의 국경선이 확정되었다.[17][18] 프랑스 측은 약 54.39km2이고, 네덜란드 측은 약 41.44km2이다.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영국이 섬의 지배를 꾀하면서 프랑스와 네덜란드는 격렬하게 다투었다. 1648년부터 1816년까지 소유주 교체는 16번이나 일어났다.
최초로 섬에 노예를 데려온 것은 스페인 사람들이었지만, 그 수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새로운 산업으로 플랜테이션에서 담배나 면화가 재배되면서 엄청난 수의 노예들이 이입되어 노동에 종사하게 되었다. 노예들은 가혹한 취급에 대해 종종 반란을 일으켰고, 지주들도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1848년, 프랑스령 측에서 노예 제도가 폐지되었고, 그 15년 후인 1863년에는 네덜란드령 측에서도 이에 따랐다.[60] 노예 제도 폐지 후, 플랜테이션 경영은 쇠퇴하고 섬의 경제도 후퇴했다. 1939년, 세인트마틴 섬은 면세 항구를 선언하며[60][63] 경제 발전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3. 3. 현대
1939년, 세인트마틴 섬은 면세 항구를 선언하며[60][63] 경제 발전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1943년, 미국군의 기지로서 비행장(후의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이 건설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잠수함과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무렵, 섬의 남북 공통 작업 언어로서 영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61]
1950년대부터 신트마르턴은 관광지로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여, 리조트지로서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하나의 섬이 네덜란드와 프랑스로 나누어져 있다는 독특한 지리적 상황 때문에 관광 열기는 주변 섬들보다 높았고,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은 동카리브해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공항이 되었다. 섬 전체 인구도 5,000명 정도에서 1990년대 중반에는 8만 명까지 증가했다.
1994년, 네덜란드와 프랑스는 세인트마틴 섬 국경 관리 조약Franco-Dutch treaty on Saint Martin border controls영어에 조인했다.
1995년 9월에 섬을 강타한 허리케인 루이스는 섬 전체에서 12명의 사망자와 수백 명의 부상자, 수천 채의 가옥 붕괴라는 큰 피해를 가져왔고, 관광업에 타격과 그에 따른 실업자 증가 등, 산업・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61] 이 허리케인의 충격에서 "루이스 전"(pre-Luis)・"루이스 후"(post-Luis)라는 표현이 사용된다고 한다.[61]
2010년 10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해체되었고, 신트마르턴은 단독으로 네덜란드의 자치령이 되었다.
프랑스령 측(생마르탱)은 1946년 이후 생바르텔레미와 함께 프랑스의 해외 레지옹인 과들루프에 속했다. 2007년, 생마르탱은 과들루프에서 분리되어 단독으로 프랑스의 해외 준주가 되었다.
2017년 9월 6일, 이 섬은 5등급의 허리케인 어마에 의해 강타당했으며, 건물과 기반 시설에 30억달러로 추정되는 광범위하고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29] 2018년 7월 9일 현재 총 11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었다.[30][31][32] 프랑스의 내무부 장관 제라르 콜롱은 2017년 9월 8일, 섬의 프랑스령 절반에 있는 대부분의 학교가 파괴되었다고 말했다. 강풍으로 인한 피해 외에도, 마리고 마을의 사업체에 심각한 홍수 피해가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었다. 약탈 또한 심각한 문제였다. 프랑스와 네덜란드 모두 섬에 구호 물자와 추가 경찰 및 비상 요원을 파견했다.[30][33] ''워싱턴 포스트''는 프랑스 측의 구조물의 95%, 네덜란드 측의 구조물의 75%가 피해를 입거나 파괴되었다고 보도했다.
폭풍이 잦아든 지 며칠 후, 네덜란드 적십자사의 조사에 따르면 신트마르턴의 건물 중 거의 3분의 1이 파괴되었고, 섬의 구조물 중 90% 이상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었다.[36]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은 광범위하게 파손되었지만, 구호 항공편을 허용하고 대피자를 다른 섬으로 데려갈 항공편을 위해 이틀 만에 부분적으로 재개장했다.[37]
3. 4. 통일 운동
세인트마틴섬 통일 운동은 현재 세인트마틴섬의 네덜란드령과 프랑스령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이다.[19] 1990년에는 이러한 통합을 상징하는 "통일 깃발"이 제작되었다.[5]
이 섬은 1648년 콩코드 조약 체결 이후 신트마르턴(섬 남쪽, 네덜란드 왕국의 일부)과 생마르탱 행정구(섬 북쪽, 프랑스의 일부)로 나뉘었다. 콩코드 조약은 오늘날까지 유효한 가장 오래된 조약 중 하나이다. 섬의 통일은 양쪽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19][20]
콩코드 조약은 섬 양쪽 지역 간의 이동의 자유를 허용하여 주민들 사이에 공통된 정서를 갖게 했다. 그러나 이는 일부 사람들이 공식적인 통일을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섬 통일에 대한 다른 반대 의견으로는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모두 이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통일을 위해서는 완전한 독립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 있다.[19]
1990년 8월 31일, 신트마르턴의 필립스버그 주빌리 도서관에서 열린 국가 상징 예비 회의에서 세인트마틴섬의 "통일 깃발"이 채택되었다. 이 깃발은 섬 양쪽 지역 주민과 이들의 통합을 나타내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세인트마틴섬의 일부 주택, 교회 및 종교 단체에서 게양된다.[5] 2020년 8월, 코로나19 범유행 억제를 위해 생마르탱–신트마르턴 국경에 추가된 제한 및 통제에 반대하는 일부 시위대는 이 깃발을 사용했다.[21] 2020년 9월, 이러한 제한이 해제되자 섬 양쪽 지역 주민들은 "하나의 섬, 하나의 국민, 하나의 운명"을 외치기 시작했다.[22]
이 운동의 주목할 만한 지지자로는 2014년에 섬의 통일을 지지한다고 밝힌 전 생마르탱 행정구 지도자 알베르 플레밍이 있다.[23]
4. 정치
세인트마틴섬은 프랑스령 생마르탱과 네덜란드 왕국령 신트마르턴으로 나뉜다. 생마르탱은 프랑스의 해외 준주이며, 신트마르턴은 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이다. 섬의 통일은 양쪽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19][20] 현재 세인트마틴섬의 네덜란드령과 프랑스령을 통합하려는 운동이 있다.[19]
1994년, 네덜란드 왕국과 프랑스는 세인트마틴섬 국경 통제에 관한 프랑스-네덜란드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섬 밖에서 오는 특정 항공편에 대해 공동 국경 통제를 실시하고, 양측 모두 여행 허가를 받은 외국인만 입국을 허용한다. 다소 지연된 후, 이 조약은 2006년 11월 네덜란드에서 비준되었고, 2007년 8월 1일에 발효되었다. 이 조약에 명시된 실무 그룹이 아직 구성되지 않아, 조항은 아직 시행되지 않고 있다.[14]
콩코드 협정은 섬의 양쪽 지역 간의 이동의 자유를 허용하며, 이는 섬 주민들 사이에 공통된 정서를 촉진해왔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공식적인 통일을 불필요하다고 여기기도 한다. 섬 통일에 반대하는 다른 주장으로는 프랑스와 네덜란드 모두 이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양쪽 모두 완전한 독립이 필요하다는 점이 있다.[19]
5. 경제
세인트마틴 섬의 주요 산업은 관광업으로, 노동력의 약 85%가 관광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41] 2000년에는 연간 약 100만 명의 방문객이 섬을 찾았다. 섬의 프랑스령인 생마르탱의 공식 통화는 유로(euro|유로프랑스어)이며,[38] 네덜란드령인 신트마르턴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길더(미국 달러에 고정)를 사용한다.[39] 미국 달러도 널리 통용된다.[54]
INSEE(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는 2014년 생마르탱의 명목 GDP가 5.82억유로 (7.72억달러)라고 추산했다.[38] 같은 해 신트마르턴의 명목 GDP는 22.29억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휠던 (12.45억달러)였다.[39] 따라서 2014년 섬 전체의 명목 GDP는 20.1억달러였으며, 1인당 명목 GDP는 27,923달러였다.[40]
신트마르턴은 2017년 9월 허리케인 어마로 인해 2017년과 2018년에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었다. 실질 GDP는 2017년에 -5.8%, 2018년에 -6.6% 감소했다.[39]
6. 주민
2019년 1월 1일 기준, 섬 전체 인구는 73,777명이며, 이 중 41,177명이 신트마르턴에, 32,489명이 생마르탱에 거주한다.[3][4] 프랑스령 인구는 2017년 9월 허리케인 어마 피해 이후 실시된 인구 조사 결과이며, 네덜란드령 인구는 2011년 인구 조사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이다.[42]
지난 30년간 더 나은 고용과 생활 환경을 찾아온 이주민이 대거 유입되었다. 섬에는 70개국 이상에서 온 사람들이 거주하며 매우 다양한 인구 구성을 보인다.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거주하여 여러 언어가 사용된다. 영어 기반 크리올어가 주요 지역 방언이다.[43] 생마르탱의 공식 언어는 프랑스어이며, 신트마르턴의 공식 언어는 네덜란드어와 영어이다. 그 외에도 프랑스령 카리브해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프랑스어 크리올어,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 및 남아메리카 국가 출신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스페인어, 아루바, 보네르, 퀴라소 출신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파피아멘토어 등이 사용된다.[44]
생마르탱(프랑스령)과 신트마르턴(네덜란드령) 모두 아프리카계 흑인이 많지만, 크리올과 백인도 다수 거주한다. 종교는 기독교가 주를 이룬다.
공용어는 생마르탱은 프랑스어, 신트마르턴은 네덜란드어이지만, 영어도 널리 사용되어 통용된다.
7. 문화
세인트마틴 섬의 문화는 아프리카,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아메리카 원주민, 아시아의 유산이 혼합된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섬의 양 지역은 유사한 유산과 전통을 공유하며, 문화적으로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45]
크리올인들은 대부분 아프리카,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제도에 뿌리를 두고 있다. 식민지 시대 영국 정착민과 여러 군사 지배는 섬에서 영어가 주요 언어로 사용되도록 하였고, 세인트마틴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령 세인트마틴에서는 로마 가톨릭교가 가장 많이 믿는 종교이다. 네덜란드령 신트마르턴은 감리교를 포함한 개신교를 주로 믿는다. 섬에는 또한 작은 유대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힌두교, 이슬람교, 시크교, 불교, 라스타파리 공동체도 존재한다.[45]
섬 전체는 훌륭한 요리로 유명하며, 특히 크리올, 프랑스, 서인도 요리가 유명하다.
세인트마틴의 대중 음악은 칼립소, 메렝게, 소카, 주크, 레게, 처트니 등 카리브 해 전역의 다양한 스타일을 포함하며 축제 문화를 이루고 있다.
네덜란드령 신트마르턴은 축제적인 밤문화, 해변, 보석, 현지 럼 기반 구아바베리 술로 만든 음료, 카지노로 유명하다.[46] 프랑스령 생마르탱은 누드 해변, 의류, 쇼핑(야외 시장 포함), 프랑스 및 인도 카리브 요리로 유명하다. 영어는 현지 방언과 함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이다. 공식 언어는 생마르탱의 경우 프랑스어, 신트마르턴의 경우 네덜란드어와 영어이다. 다른 일반적인 언어로는 다양한 프랑스 기반 크리올어(다른 프랑스령 카리브해 섬 출신 이민자들이 사용), 스페인어(도미니카 공화국 및 다양한 남미 국가 출신 이민자들이 사용), 파피아멘토 (아루바, 보네르, 퀴라소 출신 이민자들이 사용)가 있다.
섬의 주요 문화 예술가로는 음악 밴드인 Youth Waves, 카이소니언이자 팬맨인 Isidore "Mighty Dow" York, 인상주의 화가인 Roland Richardson, 루비 뷰트, 화가; 니콜 드 위버, 댄서이자 브로드웨이 스타; 라사나 M. 세쿠, 시인, 작가, 독립 옹호자; 드리스나 데보라 잭, 멀티미디어 시각 예술가, 시인; 클라라 레예스, 안무가; 그리고 스트링 밴드 음악 그룹인 Tanny and The Boys가 있다.
세인트마틴의 뉴스 간행물에는 ''The Daily Herald'',[47] ''Soualiga News Day'',[48] ''Soualiga News'',[49] ''St. Maarten News'',[50] ''SMN News'',[51] ''SXM Island Time'',[52] 그리고 ''SXM Talks''가 있다.[53]
8. 교통
섬의 주요 교통 수단은 대중 버스이다.[56] 섬에는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과 그랑 케이스 에스페랑스 공항 두 곳의 공항이 있으며, 필립스뷔르흐(신트마르턴 항구)와 마리고 항구가 주요 항구이다.
8. 1. 공항

이 섬에는 에어버스 A330을 포함하여 전 세계에서 관광객을 태우는 많은 주요 항공사가 매일 대형 제트 항공기를 운항한다.[58]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은 짧은 주 활주로와 큰 언덕과 해변 사이에 위치하여 일부 멋진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항공 사진 작가들은 대형 제트기 사진을 찍기 위해 공항으로 몰려들며, 마호 해변의 일광욕객 위 몇 미터 상공을 지나간다.

섬의 프랑스 측에는 이웃 카리브해 섬으로 운항하는 소형 항공기를 위한 그랑 케이스의 레스페랑스 공항이 있다. 허리케인 시즌 동안 그 위치 때문에 짙은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섬 내에는 공항이 2개 있다. 프랑스령 북부의 그랑 카스 에스페랑스 비행장과 네덜란드령 서부의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이다. 규모가 큰 곳은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으로, 대형 제트 여객기의 이착륙도 가능하며, 섬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관문이 되고 있으며, 해변을 저공 비행하는 착륙 풍경은 명물로 꼽힌다. 그랑 카스 에스페랑스 비행장은 카리브해 프랑스령의 근거리 노선이 주를 이룬다.
8. 2. 항만
필립스뷔르흐(신트마르턴 항구)와 마리고 항구가 주요 항구이다.8. 3. 국경 검문
세인트마틴섬 양쪽 모두 솅겐 지역에 속하지 않으므로, 섬을 오갈 때 완전한 국경 검사가 수행된다. 마리고 또는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에서 앵귈라로 가는 페리를 탈 때에도 여권 검사가 실시된다. 섬 양쪽 간의 국경에서는 검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1994년, 네덜란드 왕국과 프랑스는 세인트마틴섬 국경 통제에 관한 프랑스-네덜란드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섬 밖에서 도착하는 소위 "위험 항공편"에 대해 프랑스-네덜란드 공동 국경 통제를 허용하고, 섬 양쪽 모두 여행 허가를 받은 외국인만 입국을 허용한다. 조약은 다소 지연된 후, 2006년 11월 네덜란드에서 비준되었고, 2007년 8월 1일에 발효되었다. 조약에 명시된 실무 그룹이 아직 구성되지 않아, 조항은 아직 시행되지 않고 있다. 이 조약은 두 주요 공항에서 외부 검사를 조율하기 위한 실무 그룹의 구성을 요구하지만, 아직 설치되지 않았다. 네덜란드 측은 프랑스의 새롭고 더 엄격한 비자 요건이 관광 수입에 해를 끼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ise à jour du plan de prévention des risques naturels de la collectivité territoriale de Saint-Martin
http://www.saint-bar[...]
Government of France
2022-02-21
[2]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stats.sintmaa[...]
Department of Statistics, Sint Maarten
2022-02-21
[3]
웹사이트
Population Estimates and Vital Statistics 2021
http://stats.sintmaa[...]
Department of Statistics, Sint Maarten
2022-02-21
[4]
웹사이트
Populations légales des collectivités d'outre-mer en 2019
https://www.insee.fr[...]
Government of France
2022-02-21
[5]
뉴스
12th anniversary of St. Martin's "Unity Flag" observed Saturday on Conscious Lyrics; students raise money for unity bumper stickers
http://houseofnehesi[...]
House of Nehesi Publishers
2002-08-29
[6]
CELEX
[7]
웹사이트
Status Caribisch gebied
https://netherlands.[...]
2023-12-07
[8]
웹사이트
Sint Maarten to start population census 2022 {{!}} Loop Caribbean News
https://caribbean.lo[...]
2024-01-19
[9]
웹사이트
Populations légales des collectivités d'outre-mer en 2017
https://www.insee.fr[...]
Government of France
2022-02-21
[10]
웹사이트
St. Martin
http://www.thecaribb[...]
2021-03-06
[11]
웹사이트
History of St Maarten
https://www.visitstm[...]
2024-08-24
[12]
간행물
ISO 3166-1 Newsletter. Assignment of code elements for Saint-Barthélemy and Saint-Martin and update of France and other French Territories.
http://www.iso.org/i[...]
[13]
간행물
ISO 3166-1 Newsletter. Code elements for Bonaire, Saint Eustatius, and Saba, Curaçao, and Sint Maarten (Dutch part), update of other territories and minor corrections.
http://www.iso.org/i[...]
[14]
웹사이트
Geography St Martin island – locate st martin island in the Caribbean – St Martin west indies sxm – tourism board st martin
http://www.stmartini[...]
2017-09-15
[15]
서적
A History of St Kitts
https://archive.org/[...]
MacMillan Caribbean
2002
[16]
서적
The European Discovery of America, The Southern Voyag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17]
뉴스
One Island, Two Countries
http://opinionator.b[...]
2012-04-24
[18]
서적
'Nueva Geografía Universal, Tomo IX, América. (New Universal Geography, Volume IX, America)'
Promexa
[19]
뉴스
The reunification of St. Martin: A pipe dream or an inevitable choice?
http://houseofnehesi[...]
House of Nehesi Publishers
2004-12-25
[20]
뉴스
One island, two nations and a European Union: St. Martin
https://blog-iacl-ai[...]
2020-11-12
[21]
뉴스
Protest at Saint Martin border: "you are basically blocking us from living"
https://caribbeannet[...]
2020-08-09
[22]
뉴스
Frontière: L'unification qui fait la force? Pas que... Une victoire mais il reste la "crise" sanitaire à gérer
https://www.sxminfo.[...]
2020-09-16
[23]
뉴스
Former mayor Albert Fleming calls for unification of St. Martin north and south with the support of UP party candidate #5 Josianne Artsen
https://smn-news.com[...]
2014-08-01
[24]
웹사이트
Sain Martin
https://www.mindat.o[...]
mindat.org
[25]
웹사이트
Climate Summaries
http://www.meteo.an/[...]
Meteorological Department Curaçao
2013-02-21
[26]
웹사이트
Summary of Climatological Data, Period 1971–2000
http://meteo.cw/Data[...]
Meteorological Department Curaçao
2016-09-22
[27]
웹사이트
Princess Juliana International Airport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9-02
[28]
웹사이트
Summary of Climatological Data, Period 1971–2000
http://meteo.cw/Data[...]
Meteorological Department Curaçao
2016-09-22
[29]
간행물
St. Maarten is still striving to recover from its worst hurricane in a century
https://www.newyorke[...]
2019-04-26
[30]
웹사이트
Caribbean islanders fear another battering after Irma wreaks havoc
https://www.theguard[...]
2017-09-08
[31]
뉴스
Caribbean Devastated as Irma Heads Toward Florida
https://www.nytimes.[...]
2017-09-08
[32]
웹사이트
Revisited – Video: One year after Hurricane Irma, St Martin struggles to recover
https://www.france24[...]
2019-06-06
[33]
웹사이트
ABC News
https://abcnews.go.c[...]
[34]
뉴스
Dutch officials: Irma damaged or destroyed 70 percent of St. Maarten homes, leaving island vulnerable to Jose’s approach
https://web.archive.[...]
Washington Post
2017-09-09
[35]
뉴스
Hurricane Irma destroys ‘95%’ of French part of St. Martin—official
http://newsinfo.inqu[...]
Agence France-Presse
2017-09-07
[36]
웹사이트
Third of buildings on Dutch St. Martin destroyed
https://www.cbsnews.[...]
2017-09-12
[37]
웹사이트
St. Martin's famous airport badly damaged by Hurricane Irma
https://abcnews.go.c[...]
2017-09-07
[38]
웹사이트
Estimation of per capita GDP in Saint-Martin
https://www.cerom-ou[...]
INSEE
2018-05
[39]
웹사이트
GDP 2018 - Press Release
http://stats.sintmaa[...]
Department of Statistics, Sint Maarten
[40]
웹사이트
Populations légales 2014 des départements et collectivités d'outre-mer
https://www.insee.fr[...]
Cabinet of France
[41]
웹사이트
CIA Factbook
https://www.cia.gov/[...]
Cia.gov
2014-02-10
[42]
Webarchive
job offer as census interviewer for the Oct. 2022 census
https://www.facebook[...]
2024-09-06
[43]
서적
Pidgins and Creoles
1989
[44]
webarchive
Culture of St. Maarten
http://www.st-maarte[...]
2006-12-06
[45]
웹사이트
What Are the Religions in Sint Maarten/Saint Martin?
https://www.sint-maa[...]
2022-04
[46]
웹사이트
Casinos
http://about-saintma[...]
about-saintmartin.com
2013-06-17
[47]
웹사이트
The Daily Herald
https://www.thedaily[...]
[48]
웹사이트
Sint Maarten Online Newsday Source
https://www.soualiga[...]
[49]
웹사이트
SoualigaPost.com {{!}} All the news St. Martin & St. Maarten
http://www.soualigap[...]
[50]
웹사이트
StMaartenNews.com – News Views Reviews & Interviews – Always on point!
https://stmaartennew[...]
[51]
웹사이트
St. Martin News Network – St. Martin News Network – Latest News in and around St. Maarten/St. Martin.
https://www.smn-news[...]
[52]
웹사이트
Home 5
http://sxmislandtime[...]
[53]
웹사이트
SXM Talks {{!}} Sint Maarten News And Discussion
https://www.sxm-talk[...]
[54]
뉴스
Central Bank announces introduction of Caribbean Guilder in 2021
https://stmaartennew[...]
2020-11-15
[55]
웹사이트
CBCS moves ahea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aribbean Guilder
https://cdn.centralb[...]
2023-01
[56]
웹사이트
Bus transit Saint-Martin
http://www.stmartini[...]
stmartinisland.org
2015-06-22
[57]
웹사이트
Immigration Formalities
http://about-saintma[...]
About-saintmartin.com
[58]
웹사이트
Aviation Photos: Philipsburg / St. Maarten – Princess Juliana (SXM / TNCM)
http://www.airliners[...]
[59]
문서
About St.Maarten
http://www.sintmaart[...]
[60]
문서
SINT MAARTEN
https://www.cia.gov/[...]
[61]
문서
St Martin yesterday
http://www.stmartini[...]
[62]
웹사이트
Route/Root to Freedom: A case study of how enslaved Africans gained their freedom on the dual national island of Sint Maarten/Saint Martin
https://en.unesco.or[...]
2023-04-20
[63]
문서
SAINT MARTIN
https://www.cia.gov/[...]
[64]
웹인용
Summary of Climatological Data, Period 1971–2000
http://meteo.cw/Data[...]
Meteorological Department Curaçao
2016-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