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주 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주 이씨는 경기도 여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고려 시대부터 여주 지역에 세거하며 세력을 떨쳤다. 이 씨족은 시조를 달리하는 세 파로 나뉘며, 고려 시대 문인 이규보, 조선 시대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이언적 등을 배출했다. 경주파, 교위공파, 문순공파 등으로 분파되었으며, 주요 인물로는 독립운동가 이승훈, 실학자 이익 등이 있다. 주요 집성촌은 경기도 수원시,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 등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주 이씨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여주 이씨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여주 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여주 이씨
시조이인덕(李仁德)
집성촌경기도 수원시
충청남도 홍성군
강원도 춘천시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함안군
평안남도 중화군
주요 인물이규보
이행
이몽가
이자
이언적
이고
이익
이중환
이가환
이승훈
이상의
이종상
이재교
이능윤
이맹휴
이용휴
이원경
이한구
이완구
이원만
이동찬
이기백
이기문
이인성
이태식
이미경
이필상
이병선
이병혁
이광형
이성형
분파경주파(慶州派)
교위공파(校尉公派)
문순공파(文順公派)
국가한국
년도2000
인구71,711명
순위105

2. 시조 및 역사

여주 이씨에는 중시조를 달리하는 3파가 있다. 이들은 다같이 고려 중엽부터 경기도 여주시에 자리잡아 세력을 떨치던 호족들이자 상층향리로서 지역을 다스리다가 개성으로 상경해 벼슬을 하였다. 이후 후손들은 시조는 달리하면서도 오랜 예전부터 서로 동족으로 알아 한 뿌리일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해 조선시대부터 대동보를 함께 만들어오기도 했다. 고려시대에는 대 문장가 이규보가 나오면서 가문의 명예를 크게 빛냈다. 조선시대에는 최고 영예인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이언적이 배출되면서 나라를 대표하는 국반(國班)으로 이름을 날렸다.


  • '''경주파'''(慶州派)는 고려 때 향공진사(鄕貢進士) '''이세정'''(李世貞)을 시조로 한다. 여강 이씨로도 분리된다. 조선시대 최고 영예인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명인 이언적을 배출했으며 영남 남인의 대표 가문이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양동마을이 주요 세거지다.

  • '''교위공파'''(校尉公派)는 고려 때 인용교위(仁勇校尉)를 지낸 '''이인덕'''(李仁德)을 시조로 한다. 조선시대 훈구파의 일원이었고, 이상의 이래 이른바 '정동이씨(貞洞李氏)'로 불리는 등 기호 남인을 영도하는 명문거족으로 이름을 날렸다. 또한 이익을 비롯한 실학의 거장들을 배출했다.

  • '''문순공파'''(文順公派)는 고려 때 중윤(中尹)를 지낸 '''이은백'''(李殷伯)을 시조로 하고 고려시대 최고 문장가이자 정승인 이규보(李奎報)를 중시조로 한다.


이밖에 상신 2명, 대제학 3명, 청백리 3명, 호당 2명, 공신 5명 등이 나왔다. 문과 급제자는 107명, 무과 급제자는 62명, 생진과 입격자는 275명이다.

3. 분파

여주 이씨는 중시조를 달리하는 3개의 파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고려 중엽부터 경기도 여주시에 자리잡아 세력을 떨친 호족이자 상층향리였다. 이들은 지역을 다스리다가 개성으로 상경해 벼슬을 하였고, 후손들은 시조는 달리하면서도 오랜 예전부터 서로 동족으로 알아 한 뿌리일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해 조선시대부터 대동보를 함께 만들어오기도 했다. 고려시대에는 이규보가 나오면서 가문의 명예를 크게 빛냈고, 조선시대에는 이언적이 배출되면서 나라를 대표하는 국반(國班)으로 이름을 날렸다.


  • 경주파(慶州派)는 고려 때 향공진사(鄕貢進士) '''이세정'''을 시조로 한다. 여강 이씨로도 분리된다. 조선시대 이언적을 배출했으며 영남 남인의 대표 가문이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양동마을이 주요 세거지다.

  • 교위공파(校尉公派)는 고려 때 인용교위(仁勇校尉)를 지낸 '''이인덕'''을 시조로 한다. 조선시대 훈구파의 일원이었고, 이상의 이래 이른바 '정동이씨(貞洞李氏)'로 불리는 등 기호 남인을 영도하는 명문거족으로 이름을 날렸다. 또한 이익을 비롯한 실학의 거장들을 배출했다.

  • 문순공파(文順公派)는 고려 때 중윤(中尹)를 지낸 '''이은백'''을 시조로 하고 고려시대 최고 문장가이자 정승인 이규보를 중시조로 한다.


이 밖에도 상신 2명, 대제학 3명, 청백리 3명, 호당 2명, 공신 5명 등이 나왔다. 문과 급제자는 107명, 무과 급제자는 62명, 생진과 입격자는 275명이다.

3. 1. 경주파 분파

경주파 분파
장사공파(壯士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지헌공파(止軒公派)
판서공파(判書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무첨당파(無忝堂派)
양졸당파(養拙堂派)
설천정파(雪川亭派)
수졸당파(守拙堂派)
오의정파(五宜亭派)
향단파(香檀派)
옥산파(玉山派)
경력공파(癡庵公派)
경산파(慶山派)


3. 2. 교위공파 분파


  • 선천파(宣川派): 5세 수산(秀山)의 장남인 헌(瀗)을 파조로 한다.
  • 상원파(祥原派): 5세 수산(秀山)의 차남인 상(祥)을 파조로 한다.

3. 3. 문순공파 분파

여주 이씨는 이규보를 파조로 하는 분파 외에도 다른 분파들이 있다.

  • 판서공파(判書公派): 이규보의 장남 이함을 파조로 한다.
  • 사간공파(司諫公派): 이규보의 차남 이징을 파조로 한다.
  • 녹사공파(錄事公派): 이규보의 삼남 이제를 파조로 한다.

4. 주요 인물

여주 이씨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이 시대별로 정리할 수 있다.

시대인물설명
고려이규보고려 최고의 문인.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 문하시랑 역임.
이수룡고종 때 정당문학, 지문하성사 역임.
이벽충렬왕 때 홍문관대제학 역임.
이고공양왕 때 한림학사·집현전직제학 역임. 호는 망천(忘川).
이행공민왕 때 예문관대제학, 이조판서 역임. 호는 기우자(騎牛子), 시호는 문절.
조선이언적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조선 6현 중 한 명. 의정부 좌찬성 및 증 영의정 역임. 성리학 이기론의 선구자이자 영남학파 창시자.
이익조선 실학의 중조.
이중환조선 후기 지리학자. 이익의 재종손 겸 제자이자 《택리지》 저자.
이가환조선 후기 수학, 천문학자. 이익의 재종손, 형조판서 역임.
이척태종 때 이조참판 겸 직제학 역임. 양녕대군과 사돈, 한명회의 외조부, 장순왕후공혜왕후의 증외조부.
이자세종 때 지동령부사 역임. 양녕대군의 사위, 한명회의 외삼촌.
이계손성종 때 병조판서 역임. 계유정난 공신.
이우직선조 때 의정부 우참찬, 형조·예조판서 역임. 청백리.
이상의선조 때 의정부 좌찬성, 여흥부원군 역임. 정동이씨(貞洞李氏)의 시조.
이광륜선조 때 의병장. 순조 때 이조판서 추증, 시호 의헌공.
이광복선조 때 공조정랑 역임. 호조참판 추증.
이종상영남 남인 성리학자.
한말 및 일제강점기이승훈독립운동가. 오산학교 교장, 민족대표 33인, 동아일보 사장 역임.
이능윤성리학자. 도산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원장 역임.
이필봉독립운동가.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현대이완구국무총리 역임.
이원경외무부 장관 역임.
이규효건설부 장관 역임.
이한구국회의원, 한나라당 원내대표 역임.
이미경국회의원 역임.
이태식주미대사 역임.
이원만, 이동찬, 이웅렬코오롱그룹 회장 역임.
이필상고려대학교 총장, 경영대학장 역임.
이기문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국어학자.
이기백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인성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이규문부산광역시경찰청장 역임.
이동환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이은정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이병선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이병혁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이기남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교수.
이정형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이혜정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동채에코프로그룹 회장.


4. 1. 고려

여주 이씨는 고려 중엽부터 경기도 여주시에 자리잡아 세력을 떨치던 호족이자 상층향리로서 지역을 다스리다가 개성으로 상경해 벼슬을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대 문장가 이규보가 나오면서 가문의 명예를 크게 빛냈다.

여주 이씨에는 중시조를 달리하는 3파가 있다.

  • '''경주파'''(慶州派)는 고려 때 향공진사(鄕貢進士) '''이세정'''(李世貞)을 시조로 한다.
  • '''교위공파'''(校尉公派)는 고려 때 인용교위(仁勇校尉)를 지낸 '''이인덕'''(李仁德)을 시조로 한다.
  • '''문순공파'''(文順公派)는 고려 때 중윤(中尹)를 지낸 '''이은백'''(李殷伯)을 시조로 하고 고려시대 최고 문장가이자 정승인 이규보(李奎報)를 중시조로 한다.


이밖에 상신 2명, 대제학 3명, 청백리 3명, 호당 2명, 공신 5명 등이 나왔다. 문과 급제자는 107명, 무과 급제자는 62명, 생진과 입격자는 275명이다.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이규보 - 고려 최고의 문인, 호 백운거사(白雲居士), 문하시랑.
  • 이수룡 - 고종 때 정당문학, 지문하성사.
  • 이벽 - 충렬왕 때 홍문관대제학.
  • 이고 - 공양왕 때 한림학사·집현전직제학. 호는 망천(忘川)
  • 이행 - 공민왕 때 예문관대제학 이조판서. 호 기우자(騎牛子), 시호 문절.

4. 2. 조선

조선시대에는 최고 영예인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이언적이 배출되면서 나라를 대표하는 국반(國班)으로 이름을 날렸다.

경주파는 이언적을 배출했으며 영남 남인의 대표 가문이었다. 교위공파는 조선시대 훈구파의 일원이었고, 이상의 이래 '정동이씨(貞洞李氏)'로 불리는 등 기호 남인을 영도하는 명문거족으로 이름을 날렸다. 또한 이익을 비롯한 실학의 거장들을 배출했다.

이밖에 상신 2명, 대제학 3명, 청백리 3명, 호당 2명, 공신 5명 등이 나왔다. 문과 급제자는 107명, 무과 급제자는 62명, 생진과 입격자는 275명이다.

인물설명
이언적조선 최고 영예인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의정부 좌찬성 및 증 영의정. 성리학의 이기론에서 선구적 위치를 차지하는 영남학파의 창시자.
이익조선 실학의 중조.
이중환조선 후기 지리학의 선구자. 이익의 재종손 겸 제자이자 《택리지》의 저자.
이가환조선 후기 수학, 천문학의 대가. 이익의 재종손. 형조판서.
이척태종 때 이조참판 겸 직제학. 세자우문학,양녕대군과 사돈, 한명회의 외조부, 장순왕후공혜왕후의 증외조부.
이자세종때 지동령부사. 양녕대군의 사위, 한명회의 외삼촌
이계손성종 때 병조판서. 계유정난 공신.
이우직선조 때 의정부 우참찬, 형조·예조판서, 청백리 녹선.
이상의선조 때 의정부 좌찬성, 여흥부원군. 정동이씨(貞洞李氏)의 뿌리.
이광륜선조 때 의병장. 순조 때 이조판서 추증, 시호 의헌공.
이광복선조때 공조정랑. 호조참판 추증
이종상영남 남인 성리학의 거두.
이능섭고종 때 이조참판, 경주부윤.
이재교1884년 제 7차 영남만인소(嶺南萬人疏)의 소수(疏首)


4. 3. 한말 및 일제


  • 이승훈: 한말의 독립운동가로, 오산학교 교장, 민족대표 33인 기독교 대표, 동아일보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 이능윤: 한말과 일제시대 성리학자로, 도산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원장에 선임되었다.
  • 이필봉: 한말의 독립운동가로,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4. 4. 현대

인물직함
이완구국무총리
이원경외무부 장관
이규효건설부 장관
이한구국회의원, 한나라당 원내대표
이미경국회의원
이태식주미대사
이원만, 이동찬, 이웅렬코오롱그룹 회장
이필상고려대학교 총장, 경영대학장
이기문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국어학자
이기백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인성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이규문부산광역시경찰청
이동환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이은정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이병선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이병혁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이기남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교수
이정형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이혜정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이동채에코프로그룹 회장


5. 본관

여주 이씨는 고려 중엽부터 경기도 여주시에 자리잡아 세력을 떨치던 호족 가문이다. 이들은 향리로서 지역을 다스리다가 개성으로 상경해 벼슬을 하였다. 시조는 각각 다르지만, 조선시대부터 대동보를 함께 만들어오며 동족으로 인식해왔다.

여주 이씨의 본관인 여주는 본래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불렸다. 고려 태조 23년(940년) 황려현(黃驢縣)으로 개칭되었고, 현종 9년(1018년) 강원도 원주시에 속했다가 고종 1년(1214년) 영의(永義)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고려 충렬왕 31년(1305년)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되었고, 조선 태종 1년(1401년) 음죽현(陰竹縣) 북부를 편입하여 여흥부(驪興府)로 승격되면서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관할이 변경되었다. 태종 때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고, 조선 예종 1년(1469년) 세종대왕의 능인 영릉(英陵)을 현 능서면 왕대리(旺垈里)로 옮기면서 천령현(川寧縣)을 병합하여 여주목(驪州牧)으로 삼고 목사(牧使)를 두었다. 조선 연산군 7년(1501년) 여주목의 관할 구역을 없애고 충주부(忠州府) 관할하에 두었다가 1895년 충주부 여주군으로 칭하였으며, 1914년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후손들은 여주를 본관으로 삼고 있으나, 각 파별로 본관을 다르게 사용하기도 했다.


  • 교위공파: 고려 때는 황려(黃驪), 조선 때는 여흥(驪興), 여주로 사용. 간혹 영의(永義)를 사용한 지파도 존재.
  • 문순공파: 이규보의 후손 가운데 하음(河陰, 지금의 강화)을 본관으로 사용한 지파 존재.
  • 경주파: 여강(驪江)을 본관으로 사용.


현재는 본관을 '여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

6. 주요 집성촌

지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
경상북도 영일군 신광면 우각동
경상북도 포항시 기북면 오덕리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무이리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하곡리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중화동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외암두곡리
평안남도 중화군 수산면 은구리
평안남도 중화군 풍동면 덕암리


7. 항렬자

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
종(鍾)○건(乾)
○구(九)
필(弼)
병(炳)
○녕(寧)
○형(衡)
성(成)
무(茂)
희(熙)
기(起)
용(鏞)
강(康)
○재(宰)
○장(章)
정(廷)
성(聖)
○규(揆)
○발(發)
상(相)
근(根)
○열(烈)
○영(榮)
재(在)
경(坰)
○석(錫)
○용(鎔)
영(永)
순(淳)
○중(重)
○만(萬)



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
봉(鳳)
항(亢)
○백(栢)
○석(奭)
연(衍)
하(河)
○빈(斌)
○의(義)
령(岺)○
원(苑)○
○경(慶)
○광(廣)
창(彰)○
달(達)○
○각(珏)
○정(程)
징(澄)○
계(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