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럽중심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중심주의는 1970년대 사미르 아민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르네상스 시대부터 시작되어 19세기에 번성한 유럽 중심의 세계관을 의미한다. 이는 서구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유럽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의 기준으로 삼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개념은 식민주의 시대의 백과사전, 헤겔과 베버의 사상, 그리고 대항해 시대를 거치며 형성되었으며, 탈식민주의와 오리엔탈리즘 비판을 통해 그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유럽중심주의는 개발학, 미용 산업, 이슬람 세계,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그리고 일본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중심주의 - 백인의 짐
    러디어드 키플링의 시 "백인의 짐"은 미국이 필리핀을 통치해야 한다는 제국주의적 관점을 담고 있으며, 백인이 비백인들을 문명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나타내어 발표 이후 제국주의와 백인 우월주의 논쟁을 야기했고 현대 사회에서도 비판적으로 해석된다.
  • 자민족중심주의 - 아시아 중심주의
    아시아 중심주의는 아시아의 가치, 문화, 관점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경제 성장과 위기 대응 능력에서 두각을 나타낸 아시아 국가들의 부상과 함께 주목받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는 유럽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아시아적 가치 확립과 국가 간 협력 증진을 목표로 한다.
  • 자민족중심주의 - 호텝스
    호텝스는 흑인 급진주의와 사회적 보수주의를 혼합하여 음모론, 반유대주의, 성소수자 혐오, 반페미니즘적 성향을 보이며, 고대 이집트 문명이 흑인 단일 민족으로 구성되었다는 왜곡된 역사관을 주장하는 하위 문화 또는 사상이다.
  • 정치 신조어 - 큰 정부
    큰 정부는 예산 규모, 공무원 수, GDP 대비 정부 지출 비중 등으로 측정되는 정부의 크기 및 경제·사회 개입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고복지·고부담을 특징으로 하며 높은 세금, 개인 자유 제약, 관료 조직 비대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정치 신조어 - 능력주의
    능력주의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사회적 지위와 보상이 결정되는 시스템으로, 시험 성적, 성과, 지능, 학력 등이 평가 기준이 되지만, 객관적인 기준 부재,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 불평등 심화 등으로 21세기에는 정치 이념이자 환상으로 재평가되는 개념이다.
유럽중심주의
지도 정보
개요
개념서구 문화와 가치관을 중심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관점
특징서구 문명을 우월하게 여기고 다른 문화를 열등하게 간주하는 경향
서구의 역사, 철학, 사회적 가치를 보편적인 기준으로 삼음
비서구 사회의 다양성과 독자성을 간과하는 경향
제국주의, 식민주의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관련 용어서구 중심성, 서구 편향
역사
기원근대 서구의 발전과 함께 강화된 경향
계몽주의 사상과 제국주의 팽창과 관련
18세기부터 본격화된 서구의 지배적인 세계관
영향지리학 분야에서 서구를 중심으로 지도를 제작하고 세계사를 서구 중심으로 기술하는 경향
오리엔탈리즘과 같은 비서구 문화에 대한 편견을 낳음
인종주의, 식민주의의 정당화에 이용되기도 함
사회과학 분야에서 서구의 이론과 방법론을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
비판비서구 사회의 다양성을 간과하고 획일화된 시각을 강요한다는 비판
문화 제국주의의 한 형태로 간주되기도 함
탈식민주의 사상과 함께 비판적으로 검토됨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짐
학문 분야별 영향
사회과학서구의 이론과 방법론이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경향
비서구 사회 연구에서 서구적 관점이 반영되어 왜곡된 해석을 낳기도 함
인문학문학, 역사, 철학 등에서 서구 문화 중심의 해석이 나타남
비서구 문화의 가치를 평가절하하는 경향
과학과학적 지식이 서구에서 발달했다는 인식이 서구 중심적 사고를 강화
서구의 과학적 방법론을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
사례
지도 제작메르카토르 도법과 같은 서구 중심적인 지도 투영법이 사용됨
유럽을 크게 강조하고 다른 지역은 왜곡하는 경향
세계사 서술세계사를 서구의 역사 중심으로 기술하는 경향
비서구 사회의 역사를 부차적으로 다루거나 누락시키는 경우
문화서구의 문화적 가치를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이나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경우
비판적 관점
탈식민주의탈식민주의는 서구 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식민주의의 유산을 극복하려 함
서구 중심적인 지식 체계를 해체하고 비서구적 관점을 강조
다문화주의다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의 공존과 평등을 추구하며, 서구 중심주의를 비판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모든 문화가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고 주장
상호문화주의상호문화주의는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상호 이해와 존중을 강조하며, 서구 중심주의를 극복하려 함
문화 간의 대화와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과 성장을 모색

2. 용어

1970년대 이데올로기라는 의미로 '유럽중심주의'라는 용어를 만든 사미르 아민


'유럽중심주의(Eurocentrism)'라는 용어는 1970년대 이집트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사미르 아민이 처음 사용했다.[9] 그는 자본주의 발전의 중심-주변부 모델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유럽중심주의가 르네상스 시대부터 시작되었지만 19세기에 이르러서야 번성했다고 주장했다.[12]

'유럽중심적(Eurocentric)'이라는 형용사는 1920년대부터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었으며,[6] 1980년대 중반부터 정체성 정치에서 이데올로기적 용어로 대중화되었다.[8]

'서구중심주의(Western-centrism)'는 1990년대 후반에 등장한 용어로, 유럽중심주의보다 더 최근에 나타난 개념이며 영어에 국한되어 사용된다.[13]

3. 유럽의 우수성

유럽 식민지 시대의 백과사전들은 유럽의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유럽이 다른 대륙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했다. 1741년 요한 하인리히 체틀러는 유럽이 "다른 모든 나라보다 여러 면에서 우위에 위치해 있다"고 기록했다.[110] 19세기 브로크하우스 백과사전은 유럽이 "물질적, 문화적 면 모두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부가 존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11]

이러한 유럽 예외주의는 과학 혁명, 상업 혁명, 식민제국의 부상, 산업혁명, 신제국주의 등의 결과로 나타난 대분기 속에서 싹트게 되었다. 러디어드 키플링의 소설 킴과 같은 대중 문학은 유럽 식민주의를 이상화하고, 서구 영웅이 '야만인'을 정복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유럽중심주의를 반영했다.[112]

'유럽의 기적'이라는 용어는 근세 유럽의 급부상을 가리키며,[113] 19세기 유럽이 세계무역과 세계정치를 지배하게 된 배경을 설명한다.

4. 해당 개념의 역사



'유럽중심주의(Eurocentrism)'라는 용어는 1970년대 이집트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사미르 아민이 처음 사용했다.[107] 그는 자본주의 발전의 중심-주변부 모델의 세계적 맥락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영어에서는 1979년에 처음 사용된 기록이 있다.[108]

'유럽중심적(Eurocentric)' 또는 '유럽 중심적(Europe-centric)'이라는 형용사는 1920년대부터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어 왔다.[104] 이 용어는 20세기 중반 탈식민지화국제주의의 맥락 속에서 프랑스어 ''européocentrique''로 널리 사용되었으며,[105] 1980년대 중반부터는 영어에서 정체성 정치이데올로기적 용어로 대중화되었다.[106]

사미르 아민에 따르면, 유럽중심주의는 르네상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19세기까지는 크게 번성하지 못했다.[12] 역사학자 엔리케 두셀(Enrique Dussel)은 유럽중심주의가 헬레니즘 중심주의(Hellenocentrism)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보았다.[14]

15세기부터 17세기의 대항해 시대에 서구 열강은 아메리카 대륙, 동남아시아 제도, 북아시아 등을 식민지화하면서 문화를 세계 각지에 전파했다.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서구의 경제 발전 및 기술 혁신은 다른 지역을 크게 앞질렀고, 기술적, 군사적 우위가 확립되었다. 이 과정에서 식민지가 된 국가들과 서구를 본받아 근대화를 추진한 지역에서는 자국의 역사, 기술, 문화를 열등한 것으로 여기고 서구 문명을 보편적인 것으로 보는 가치관이 널리 퍼졌다.

인류학자 잭 고디(Jack Goody)는 카를 마르크스 등의 사상에도 유럽중심주의가 있다고 지적한다. 마르크스의 발전 단계설은 유럽 근대의 우위성을 특권적인 것으로 보고, 침체된 동양과 대비시켰다. 그러나 고디는 세계 전체에서 봉건제로의 이행이 진보적인 변화라고 부를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며, 당시 소작농은 봉건제보다 생활이 나았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100]

'서구중심주의(Western-centrism)'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에 등장했으며, 영어에 국한된 표현이다.[109]

4. 1. 탈식민주의와 유럽중심주의 비판

19세기 탈식민주의 운동은 국가적인 전통과 가치를 유럽의 그것과 반대된다고 주장했다. 오리엔탈리즘은 18세기 후반 동양 문화(예를 들어 아시아)에 대한 서구의 이상화와 불균형적 관심으로서 생겨났다.

20세기 초 아널드 J. 토인비와 같은 일부 역사학자는 세계 문명의 다초점 모델을 만들고자 시도하였다. 그는 중세 튀니지의 학자인 이븐 할둔과 같은 비유럽 역사학자들에게 유럽이 관심을 가지도록 하였고,[115] 국제창가학회이케다 다이사쿠와 의견을 교환하는 등 아시아 사상가들과도 연결고리를 만들었다.[115]

유럽중심주의의 명시적인 개념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 탈식민지화 시기의 산물이며, 본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본주의 발전에서 중심-주변부 모델 혹은 의존성 모델을 의미했다(아민 1974,1988).[107] 개발학에서 유럽중심주의는 "주제와 연구 방법을 결정하는 서양의 권위있는 일부 학술 기관들에 대한 지적인 의존을 지속시키고 있다"라는 비판을 받았다.[116]

군더 프랭크는 유럽중심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며, 대다수의 학자들이 유럽중심주의에 기반한 사회과학과 역사학을 신봉한다고 보았다.[133] 그는 서양 외 지역의 역사, 경제, 이념, 정치, 문화적 공헌이 서양에 비해 부족하다는 일부 서구 학자들의 사상을 비판했지만,[134] 동양 국가들 또한 인류 문명에 기여했다고 믿었다.

아널드 J. 토인비는 저서 역사의 연구에서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서구 국가들이 다른 국가들을 "서구화"시킬 수 없다고 보았다.[135] 그는 유럽중심주의가 자기중심성, 동양 국가들의 고정된 발전, 선형적 진보라는 세 가지 오해에서 비롯된다고 결론지었다.[136]

4. 2. 1990년대 이후의 논의

1990년대 이후 유럽중심주의는 개발학에서 특히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졌다. 브로만(1995)은 유럽중심주의가 "주제와 연구 방법을 결정하는 서양의 권위있는 일부 학술 기관들에 대한 지적인 의존을 지속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116]

1990년대부터 등장한 역사적 혹은 현대의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정의는 주로 "사회가 필연적으로 발전되는 방향에 대한 진화론적 스키마"를 함축하고 있는 이분법적인 용어, 예를 들면 문명화된/야만적인 혹은 진보된/퇴보된, 개발된/미개발된, 중심/주변부와 같은 용어가 "서양의 백인들이 우수하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해 자기자신을 참조 분석한 것"의 잔재와 함께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117] 정치적 올바름, 미국의 인종 문제, 적극적 우대조치의 맥락에서 유럽중심주의와 그것이 유럽 외의 국가와 문화, 그리고 사람들에게 붙이는 이원론적인 속성 라벨은 종종 비판받았다.[118][119]

1990년대에는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여러 지리적 용어에 존재하는 유럽중심주의적인 면을 비판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예로는 전통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을 유럽과 아시아로 분리해온 것과 '중동'이라는 용어를 들 수 있다.[120]

2005년 에릭 셰퍼드는 "유럽중심주의"라는 용어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용어에서 비롯한 것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마르크스주의 자체는 제3세계가 "진보적인 사회의 형성을 구상 가능"해지기 전에 먼저 자본주의의 단계를 지나가야 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유럽 중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121]

일부 학자들은 유로센트리즘이라는 개념이 처음 등장한 이후로 진화해왔음을 보여준다. Alina Sajed와 John Hobson은 '비판적' 유로센트리즘의 등장을 지적하며, "비판적 국제관계 이론이 서구를 비판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비서구 행위자를 희생시키면서 서구 행위자를 객관화하는 '유럽숭배' 경향으로 인해 '비판적 유로센트리즘'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한다. Audrey Alejandro는 그들의 연구를 확장하여, '탈식민주의적' 유로센트리즘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유로센트리즘을 제시했다.[30]

5. 주요 사상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막스 베버 외에도, 카를 마르크스, 아널드 토인비, 안드레 훈더 프랑크 등 여러 사상가들이 유럽중심주의와 관련된 논의를 전개했다.

카를 마르크스는 사회가 아시아적 생산양식, 고대적 생산양식, 봉건적 생산양식, 근대 부르주아적 생산양식(자본제) 순으로 발전하며, 궁극적으로는 공산주의에 도달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유럽 근대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침체되고 전제적인 동양과 대비시켰다(동양적 전제주의).[100] 그러나 잭 고디는 봉건제로의 이행이 세계 전체적으로 진보적인 변화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한다.[100]

안드레 훈더 프랑크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유럽중심주의에 영향을 받았다고 비판하며,[39] 서구 이외 지역이 서구에 비해 역사, 경제, 이데올로기, 정치, 문화적으로 탁월한 공헌을 하지 못한다는 일부 서구 학자들의 생각에 반대했다.[40]

아널드 토인비는 ''역사 연구''에서 유럽중심주의를 자기중심성, 동양 국가의 고정된 발전, 선형적 진보라는 세 가지 오해를 가진다고 비판했다.[42]

제임스 M. 블라우트는 유럽의 식민지 확장 규모가 역사적으로 전례가 없었고, "식민지화자의 세계 모델" 형성을 이끌었기에 유럽중심주의가 다른 민족중심주의를 넘어섰다고 주장했다.[43]

5. 1. 게오르크 헤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유럽중심주의의 주요 지지자였다. 그는 세계의 역사가 동쪽에서 시작했지만 서쪽, 특히 프로이센의 입헌군주국에서 끝날 것이라고 믿었다.[127] 헤겔에게 동양 문화는 세계사의 한 부분일 뿐이었고, 역사의 중심은 유럽, 그 중에서도 프랑스, 독일, 영국이었다. 1837년에 출판된 ''역사 철학 강의''에서 헤겔은 세계사가 아시아에서 시작하여 그리스와 이탈리아를 거쳐 알프스 북쪽의 프랑스, 독일, 영국으로 이동한다고 보았다.[21][22]

헤겔은 인도와 중국을 내부 동력이 부족하여 변화가 없는 국가로 보았다.[128] 그는 중국이 고정된 시나리오를 역사적 발전과 맞바꾸어 세계사에서 스스로를 고립시켰으며, 인도와 중국 모두 진정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외부 요인을 기다려야 했다고 주장했다.[128] 헤겔의 사상은 서양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부 학자들은 동양 국가들이 세계사에서 벗어나 있다는 그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지만,[129] 동양 국가들이 지속적으로 정체 상태에 있었다는 점은 인정했다.

5. 2.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자본주의가 유럽의 특징이며, 인도와 중국과 같은 동양 국가들은 자본주의를 발전시킬 수 있는 충분한 요인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130] 그는 유럽의 특별함을 알리고자 많은 논문을 저술하였다.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그는 기업 및 메커니즘을 통해서 나타나는 "합리적인" 자본주의는 서구의 개신교 국가에서만 발현된다고 하였으며, 일련의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문화적 현상은 서양에서만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131] 심지어 다른 형태의 체제 또한 국가라는 개념에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국가는 오로지 훈련된 행정관이 관리하는 정부가 합리적 법률로 인해 제한되며 글로 기록된 헌법이 존재하는 형태만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며 이는 서양에서만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132] 베버는 합리성을 서구 자본주의 사회만의 특징이라고 여겼다.

인류학자 잭 고디는 카를 마르크스 등의 사상에도 유럽 중심주의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막스 베버와 세계 시스템 이론도 유럽 중심주의이며, 16세기 서유럽에 추상적 자본주의가 등장했다는 그들의 주장의 정당성에는 의문이 있다고 말했다.[100]

6. 유럽중심주의의 영향

유럽 식민지 시대 백과사전들은 종종 다른 대륙과 비교했을 때 유럽이 차지하는 특별한 위치를 언급하며 유럽 지배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 1741년 요한 하인리히 체틀러는 "유럽이 세계 4대륙 중 가장 작지만, 여러 면에서 다른 모든 나라보다 우위에 있다... 유럽 거주민들은 훌륭한 관습을 가지고 있으며 예의 바르고 과학과 공예 모두에 학식이 있다."고 기록했다.[110] 1847년 브로크하우스 백과사전은 "지형적 환경과 문화적, 정치적 중요도는 명백히 5대륙 중 가장 높으며, 물질적, 문화적 면 모두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부가 존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유럽 중심적 시각을 드러냈다.[111]

과학 혁명, 상업 혁명, 식민제국의 부상, 산업혁명과 신제국주의의 영향이 합쳐진 근세의 대분기 속에서 유럽 예외주의가 싹텄다. 이는 러디어드 키플링의 킴과 같은 청소년 문학과 모험소설 등 대중 문학에 크게 반영되었다. 이러한 문학 작품에서 유럽 식민주의는 이상화되고 과장된 남성적 서구 영웅이 세계의 '어두운 공간'에 남아있는 '야만인'들을 정복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112]

1981년 에릭 존스가 주창한 '유럽의 기적'[113]은 근세 유럽의 급부상을 가리킨다. 15세기에서 18세기 르네상스, 대발견시대, 식민제국의 형성, 이성의 시대를 거치며 기술 도약이 일어나 자본주의 형성 및 빠른 산업화를 이끌었고, 19세기에는 유럽이 세계무역과 세계정치를 지배하게 되었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세계사가 아시아에서 시작해 그리스와 이탈리아를 거쳐 알프스 북쪽의 프랑스, 독일, 영국으로 이동한다고 보았다.[21][22] 그는 인도와 중국을 내적 추진력이 부족한 정체된 국가로 해석했으며, 그의 사상은 서구 역사 서술과 태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막스 베버는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905)에서 기업과 메커니즘으로 나타나는 "합리적인" 자본주의는 프로테스탄트 서구 국가에서만 나타났고, 일련의 일반화되고 보편적인 문화 현상은 서구에서만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자본주의가 유럽의 특징이라고 제안했다.[26]

라틴 아메리카에서 '백인' 노동자들이 상업 자본을 통제하면서 유럽, 특히 서유럽은 새로운 패턴과 자본주의적 권력의 중심지로 부상했다.[67] R.B. 마르크스(R.B. Marks)는 "유럽이 역사를 만든다. 세계의 다른 지역의 경우, 유럽이 그곳과 접촉할 때까지 역사가 없다. 유럽이 중심이고, 세계의 다른 지역은 그 주변이다."라며 유럽 중심주의의 본질을 설명한다.[97][98]

하지만 역사학자 羽田正는 유럽과 비유럽을 구분하고 유럽의 절대적인 우위를 강조하는 역사관은 더 이상 지지받지 못한다고 말한다.[98] 역사학자 엔리케 두셀(Enrique Dussel)에 따르면, 유럽 중심주의는 헬레노센트리즘(Hellenocentrism, 그리스 중심주의)에서 시작된다.[99] 카를 마르크스 등의 사상에도 유럽 중심주의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마르크스의 발전 단계설에서는 아시아적 생산양식, 고대적 생산양식, 봉건적 생산양식, 근대 부르주아적 생산양식(자본제)로 발전하여 장래에는 공산주의에 이를 것이라고 하며,[100] 유럽 근대의 우위성을 특권적인 것으로 보고, 침체되고 전제적인 동양과 대비시켰다.

6. 1. 미국

미국에서의 유럽 중심주의는 서구화된 구조의 결과이며, 수 세기 동안 유럽 정책의 영향을 받아왔다.[139] 경제학 분야에서는 세계 자본주의가 인종차별적인 유럽 중심적 시각을 통해 세계를 지배하려 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137]

유럽 중심주의는 인종, 국가, 종교적 정체성에 변화를 일으키며, 서구 모델에 동화되는 것이 익숙하다는 인식이 존재한다.[138] 미국의 학교 교육은 유럽 중심적 관점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에게 편향된 세계관을 심어줄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139]

6. 2. 미용 산업

미용 산업에서 유럽중심주의는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미의 표준이 서구화되어 많은 사람들이 이에 맞추려 한다.[142] 다수의 미용 회사와 광고 회사는 유럽중심적 생각에 맞추어 제품을 생산한다.[143]

1940년대에 심리학자 케네스 클라크와 마미 클라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이들에게 인종 분리가 미친 심리적 영향을 측정하고자 "인형 검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백인 인형을 선택하였고, 클라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이들의 이러한 인식은 차별로 인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144] 2012년 멕시코에서 재현된 인형 실험에서도 대부분의 아이들은 백인 인형을 선택했고, 연구자들은 유럽중심주의가 여러 문화에 깊이 뿌리내렸다고 기록하였다.[147]

광고는 유럽중심적이고 서구적 특징을 강조한다. 백인 모델은 유명 브랜드에 주로 고용되며, 한국, 홍콩, 일본 모델들은 세계적인 브랜드 광고에 거의 출현하지 않는다. 이러한 광고는 이상적인 피부는 밝고 투명하며 희고, 완전하며 고운 것이라고 강조한다.[148]

피부 미백은 유럽 중심의 미적 표준에 맞추기 위해 전 세계에서 일반적인 관행이다.[149] 많은 여성들이 피부 미백 제품을 사용하며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몇몇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여성들이 피부 미백 크림을 사용하다 피부 부작용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149] 보고된 합병증으로는 외인성 조직흑갈병, 지연된 상처 회복, 상처 열개, 트리메틸아민뇨증(생선냄새증후군), 신장병, 스테로이드 중독, 감염 경향, 다양한 피부 및 내분비적 합병증과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억제가 있다.[150]

대한민국은 서구 미의 표준에 영향을 받아왔다. 일부 한국인들은 서양적 외모를 얻기 위해 성형 수술을 한다. 국제미용성형외과협회에 따르면 한국은 인구 대비 성형 수술 횟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수요가 많은 수술로는 안검 성형술과 코 성형이 있다.[143]

6. 3. 이슬람 세계

유럽중심주의는 이슬람권의 철학, 과학적 기여, 문화를 경시하고 소외시키며, 서구 문명의 우월성을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는다.[69] '유럽 사회'라는 개념은 유럽 문명의 구성 요소(주로 기독교)를 선호하고, 다른 사회와 문화를 '미개한' 것으로 규정하는 유럽중심주의적 사고방식을 반영한다.[70] 오리엔탈리즘은 유럽중심주의의 영향을 받아 동양을 '낙후된' 것으로 묘사하고, 서구 세계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데 이용되었다.[71]

유럽중심주의가 이슬람권에 미친 영향은 주로 하위 수준의 설명과 이슬람 문화 및 사회 진화에 대한 서술을 막는다는 근본적인 주장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주로 유럽중심주의의 관념적 구조를 통해 이루어졌다.[68] 이러한 구조는 역사가들이 사회의 진화와 발전이 일반적인 경향에 의해 결정된다는 개념을 중심으로 결론을 내림으로써 힘을 얻었고, 이로 인해 이슬람 세계의 진화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역사적 철학적 주제가 되었다.[68]

19세기에 널리 퍼진 유럽중심주의자들의 눈에 비친 "미개함"이라는 낙인은 서구 국가들이 비유럽 및 비백인 국가들을 열등한 것으로 분류하고 국제법과 같은 행동에 대한 그들의 참여와 기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했다. 당시 캠브리지 대학교 국제법 교수였던 존 웨스트레이크와 같은 사람들은 이러한 배제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는 유럽 문명을 가진 국가들이 국제 사회를 구성해야 하며, 튀르키예이란과 같은 국가들은 국제법의 일부에만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70]

오리엔탈리즘은 원래 이슬람 및 동양 세계의 사회적, 문화적 이정표를 인식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러한 영향은 19세기에 오리엔탈리즘의 이상이 정제되고 관능성과 일탈된 사고방식에서 에드워드 사이드가 "도전받지 않는 일관성"으로 묘사한 것으로 전환되면서 시작되었다.[71] 이러한 변화와 함께 두 가지 유형의 오리엔탈리즘이 만들어졌는데, 역사를 통한 동양의 끊임없는 지속성을 다룬 잠재적(latent) 오리엔탈리즘과 새로운 정보의 발견에 따라 변화하는 보다 역동적인 현상적(manifest) 오리엔탈리즘이 그것이다.[71] 유럽중심주의의 영향은 후자에서 드러나는데, 현상적 오리엔탈리즘의 특성은 새로운 발견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정제자의 이상과 원칙의 왜곡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럽중심주의는 오리엔탈리즘을 이용하여 동양을 "낙후된" 것으로 묘사하고 서구 세계의 우월성을 강화하며, 인종 불평등의 의제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그들의 문화를 계속해서 약화시켰다.[71]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유럽중심주의적 이상을 더 잘 나타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및 기타 유사 언어라는 언어의 장벽이 있었다. 오리엔탈리즘을 더 연구하려는 연구자들이 늘어나면서 이슬람 세계의 언어에 대한 가정이 생겨났다. 즉, 과거 이슬람 세계의 텍스트를 필사할 수 있는 능력이 오리엔탈 연구에 대한 훌륭한 지식과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라는 가정이었다. 이를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고전어 연구 훈련을 받았는데, 당시 언어에 대한 이해가 유일하게 필요한 훈련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론은 당시 인류학사회학과 같은 다른 연구는 인류의 이 부분에 대해 오해의 소지가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무관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72]

6. 4. 라틴 아메리카

유럽중심주의는 식민 지배와 팽창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에 영향을 미쳤다.[67] 이는 세계 인구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분류 기준을 적용하면서 나타났다.[67] 이 사건으로 아메리카에서 새로운 사회적·역사적 정체성이 만들어졌는데, '백인', '흑인', '황인', '인디언', '메스티소' 등이 이에 해당한다.[67] 대서양 분지에 위치하여 유리한 점을 가진 '백인'은 금과 은 생산을 통제하는 특권을 누렸다.[67] 반면, 그 생산에 필요한 노동력은 '인디언'과 '흑인'이 제공했다.[67] '백인' 노동자들이 상업 자본을 통제하면서, 유럽, 특히 서유럽은 새로운 권력 패턴과 자본주의의 중심지로 부상했다.[67]

브라질 여성의 미적 이상은 로, 이는 브라질의 모든 인종 집단의 가장 좋은 특징을 대표하는 혼혈 갈색 피부 여성을 의미한다.[90] 알렉산더 에드먼드의 저서 "꽤나 현대적인: 브라질의 아름다움, 섹스, 성형 수술"에 따르면, 백인의 특징은 라틴 아메리카, 특히 브라질의 미적 기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피부색만으로 구별되지는 않는다.[91] 에드먼드는 브라질 사람들이 백인 여부를 판단할 때 피부색보다는 머리카락, 코, 입을 먼저 본다고 설명한다.[91] 그는 또한 브라질 문화에서 성형 수술의 인기에 주목하며, 성형외과 의사들은 수술 시 혼혈을 칭찬하고 돋보이게 하는 미적 기준을 따르는데, 그중에서도 아프리카계와 유럽계 혼혈이 가장 선호된다고 말한다.[92] 이는 생물학적, 대중적 미적 이상을 인종화하여 백인과의 혼혈이 더 낫다는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미적 기준을 형성한다.[91] 도나 골드스타인의 저서 "제자리에서 터져 나오는 웃음: 리우 빈민가의 인종, 계급, 폭력, 성"은 브라질에서 백인이 미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골드스타인은 브라질에 혼혈을 최상위로, 순수 흑인 특징을 최하위로 여기는 미적 계층이 존재한다고 지적한다.[93][94]

에리카 로레인 윌리엄스의 "바이아의 성 관광: 모호한 얽힘"에 따르면, 브라질 여성에게는 유럽 중심적인 미적 이상이 존재하지 않는다.[95] 백인 브라질 여성들은 외국 남성 관광객들이 자신들에게 관심이 없고, 오히려 갈색 피부와 흑인 여성을 선호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95] 브라질의 한 백인 여성은 "그링고"들에게 주목받지 못하며, 그들이 성적인 관계를 위해 흑인과 메스티사 여성을 선호한다고 불평했다.[95]

6. 5. 아프리카

식민지 시대 이전 대부분의 아프리카 사회는 구전을 사용하여 오랜 역사와 함께 국가 기구를 기록했으며, 문자 체계를 개발하였거나 문자를 채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62] 이는 유럽중심주의적 시각에서 '역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63] 유럽 열강의 지배는 서구의 우월성을 전제로 한 과학적 인종차별주의에 의해 지지되었으며, 아프리카 역사는 전적으로 유럽의 관점에서 쓰였다.[62] 현대 역사학자들은 아프리카 역사서술의 탈식민화, 아프리카 인식론을 통합하는 제도적 틀 구축, 아프리카 관점 제시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64][65][66]

7. 일본

일본은 근대화 과정에서 다른 비서구 문명권과 달리 유럽 열강의 직접 지배 없이 유럽 문명을 빠르게 받아들여 강대국이 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본의 자기 식민지화를 추진하고, 자국 문화와 대립하는 유럽중심주의를 내면화하는 모순을 낳았다. 근대 일본 지식인들은 유럽 문명을 최고로 여기면서도 천황제를 통해 이 모순을 해결하려 했다.[101]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전간기에 일본 중상류층 문화는 상당히 유럽화되었다. 미국 대중문화 확산, 모더니즘공산주의 유입 등 세계적인 문화 흐름과 궤를 같이했다. 한편, 민족주의, 국수주의, 반근대주의 사조와 일본 고전 문화 재평가 움직임도 있었다.

극단적 서구 숭배와 국수주의의 모순은 "1위는 서양, 2위는 일본"이라는 자의식으로 이어져 비서구에 대한 멸시를 낳았다.[101] 대아시아주의 같은 모순된 사상도 나타났고,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붕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미국 영향 아래 일본은 재출발했고, 미국 문화가 대중화되며 일본 문화는 미국적으로 변화했다.

그러나 전후 대중문화는 단순한 미국 모방이 아닌 일본 고유 요소도 포함한다. 현재는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 비서구 문화도 활발히 수입되고, 유럽 문화를 일본화한 대중문화가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8. 관련 주제


  • 발견주의
  • 서구 문화
  • 서구 가치관
  • 오리엔탈리즘
  • 중화사상
  • 헬레니즘 중심주의
  • 식민사관
  • 공작의 볏: 수학의 비유럽적 기원(''The Crest of the Peacock: Non-European Roots of Mathematics'')
  • 서양 문명의 동양 기원(''The Eastern Origins of Western Civilisation'')
  • 아프로센트리즘
  • 아메리카중심주의
  • 민족중심주의
  • 인도중심주의
  • 서양 문명의 역사
  • 범아랍주의
  • 범유럽 정체성
  • 지리학에서의 보편주의

참조

[1] 서적 The Eurocentric conception of world politics : western international theory, 1760–20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Eurocentrism and its discontents https://www.historia[...]
[3] 학술지 Eurocentrism Vs. Afrocentrism. A Geopolitical Linkage Analysis https://journals.sag[...] SAGE Publishing
[4] 학술지 Eurocentrism and criticism: Reflections on the study of literature in past and present https://www.tandfonl[...] Routledge
[5] 서적 Reclaiming Indigenous Voice and Vision UBC Press
[6] 서적 Geopolitik des pazifischen Ozeans
[7] 서적 Dictionnaire Historique de la langue française
[8] 서적 Frantz Fanon and the Psychology of Oppression https://books.google[...]
[9] 웹사이트 Anciens directeurs http://www.uneca.org[...]
[10] 서적 Muslim National Communism in the Soviet Union: A Revolutionary Strategy for the Colonial World https://books.google[...]
[11] 웹사이트 Beyond Eurocentrism Aeon Essays https://aeon.co/essa[...]
[12] 서적 Eurocentrism https://archive.org/[...] Monthly Review Press 2024-05-21
[13] 서적 Cultural dialogue & misreading https://books.google[...]
[14] 서적 Politics of Liberation: A Critical World History SCM Press
[15] 뉴스 National Museum's fine contribution to our fascination with ancient Egypt (print: Secrets of the past) https://www.theaustr[...] 2024-08-04
[16] 웹사이트 Europa http://www.zedler-le[...] 2011-09-11
[17] 서적 Das große Conversations-Lexicon für die gebildeten Stände https://books.google[...]
[18] 웹사이트 Reading beyond Rudyard Kipling's imperial crimes: the complexities of Kim https://www.theguard[...] 2016-01-12
[19] 서적 Investigating the Unliterary: Six Readings of Edgar Rice Burroughs' Tarzan of the Apes Martzinek
[20] 서적 The European Miracle: Environments, Economies and Geopolitics in the History of Europe and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논문 Hegel's Lectures on the History of Modern Philosophy 2017-06-06
[22] 서적 Properties of Modernity: Romantic Spain, Modern Europe, and the Legacies of Empire https://books.google[...] Vanderbilt University Press
[23] 논문 Civilization as a Unit of World History: Eurasia and Europe's Place in It 1985
[24] 서적 Hospitality and World Politics
[25] 서적 Scholarship and Partisanship : Essays on Max Web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26] 서적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2017-07-03
[27] 서적 The Origins of the Modern World: A Global and Environmental Narrative from the Fifteenth to the Twenty-First Century Rowman & Littlefield
[28] 서적 Cambridge History of China CUP
[29] 서적 Arnold J. Toynbee: A Lif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0] 논문 Navigating Beyond the Eurofetishist Frontier of Critical IR Theory: Exploring the Complex Landscapes of Non-Western Agency http://academic.oup.[...] 2017-12-01
[31] 웹사이트 Ukraine invasion: Arab journalists call out 'orientalist, racist' double standards on Ukraine coverage https://english.alar[...] 2022-02-28
[32] 논문 Universalism, Eurocentrism, and Ideological Bias in Development Studies: From Modernisation to Neoliberalism 1995
[33]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uman Geography
[34] 기타 Eurocentrism 2012
[35] 기타 Lies My teacher told me 1995
[36] 서적 The Myth of Continents: a Critique of Metage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7] 웹사이트 The Middle East, in whose world? (Primary Reflections) http://www.smi.uib.n[...] Nordic Society for Middle Eastern Studies (The fourth Nordic conference on Middle Eastern Studies: The Middle East in globalizing world Oslo, 13–16 August 1998) 2016-10-26
[38] 논문 Jim Blaut's Model of the World 2005-11
[39] 서적 The Global Politics of Unequal Development Macmillan Education UK
[40] 서적 ReOrient : global economy in the Asian Age University of California 1998
[41] 서적 A study of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42] 학술지논문 Globalization and Global History in Toynbee 2011
[43] 서적 Review of The Colonizer's Model of the World: Geographical Diffusionism and Eurocentric History 1995
[44] 서적 Handbook of Critical and Indigenous Methodologies SAGE Publishing
[45] 간행물 Philosophy and Whiteness Center on Democracy in a Multiracial Society 2006
[46] 간행물 The Painful Demise of Eurocentrism 1992-04
[47] 서적 Afrocentricity: Toward a New Understanding of African Thought in the World Routledge 2014
[48] 서적 Afrocentricity Routledge 2020
[49] 서적 Beyond Eurocentrism in the Intercultural Field: Searching for an Asiacentric Paradigm Sage 2003
[50] 서적 An Anatomy of Eurocentrism in Communication Scholarship: The Role of Asiacentricity in De-Westernizing Theory and Research Asian Medi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enter 2022
[51] 논문 What Makes Multicultural Dialogue Truly Multicultural? Rethinking Cultural Convergence, Theoretical Globalism, and Comparative Eurocentrism
[52] 웹사이트 Eurocentrism and Academic Imperialism http://www.zarcommed[...] ZarCom Media 2011-10-27
[53] 서적 Race and the Enlightenment: A Reader Blackwell
[54] 논문 Articulating Group Differences: A Variety of Autocentrisms
[55] 웹사이트 It's a Small World After All http://smallworldhis[...] Simon Fraser University 2013-12-24
[56] 논문 Historicising Eurocentrism and anti-Eurocentrism in IR: A revisionist account of disciplinary self-reflexivity https://www.cambridg[...] 2016-04-00
[57] 논문 Against Eurocentric Anti-Eurocentrism: International Relations, Historical Sociology and Political Marxism 2020-06-01
[58] 서적 Western Dominance in International Relations? – The Internationalisation of IR in Brazil and India Routledge
[59] 백과사전 Oxford Research Encyclopedias: African History https://oxfordre.com[...]
[60]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African Religions and Philosophy https://link.springe[...] Springer
[61] 논문 Once upon a Time: Oral Traditions as History in Africa https://www.jstor.or[...]
[62] 논문 The Earlier Historiography of Colonial Africa 1978
[63] 논문 Africa's Pasts and Africa's Historians 2000
[64] 논문 African History: The Contribution of the Social Sciences 1966
[65] 논문 Decolonising African Studies?
[66] 서적 Decolonizing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Collective 2024-04-05
[67] 논문 Coloniality of Power and Eurocentrism in Latin America 2016-06-29
[68] 서적 Eurocentrism Monthly Review Press
[69] 논문 Erasing Eurocentrism: 'Using the Other as the Supplement of Knowledge' 2012
[70] 서적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the Long Nineteenth Century: Setting the Preceden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71] 서적 Orientalism New York University Press
[72] 서적 Contending Visions of the Middle East: the History and Politics of Oriental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서적 Across the Spectrum of Socioeconomics: Issue II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Socioeconomics Laboratory 2020-12-28
[74] 서적 Asian/Pacific Islander American Women: A Historical Anthology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3-08-01
[75] 서적 SAGE Readings for Social Problem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21-02-02
[76] 학술지 Skin Lightening and Beauty in Four Asian Cultures http://acrwebsite.or[...]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2008-01-01
[77] 웹사이트 Brown at 60: The Doll Test {{!}} NAACP LDF http://www.naacpldf.[...]
[78] 웹사이트 Professor Revisits Clark Doll Tests https://www.thecrims[...]
[79] 뉴스 Mexicans recreate 'black doll-white doll' experiment to measure skin color preference south of the border – theGrio https://thegrio.com/[...] 2012-01-06
[80] 웹사이트 Mexicans Recreate 'Black Doll-White Doll' Experiment to Measure Skin Color Preference South of the Border https://rollingout.c[...] 2012-01-03
[81] 논문 Investigating Motivations for Women's Skin Bleaching in Tanzania 2011-03-01
[82] 웹사이트 Why Do East Asians Want Pale Skin? It Has Nothing to Do with Western Beauty Standards https://nextshark.co[...] 2021-04-19
[83] 논문 White and Beautiful: An Examination of Skin Whitening Practices and Female Empowerment in China https://onourterms.b[...] 2021-04-19
[84] 논문 Complications of chronic use of skin lightening cosmetics 2008-04-01
[85] 논문 The widespread use of skin lightening creams in Senegal: a persistent public health problem in West Africa 2002-02-01
[86] 서적 White Migrations: Gender, Whiteness and Privilege in Transnational Migratio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87] 서적 Beauty Imagined: A History of the Global Beauty Indust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2-25
[88] 서적 Wellness in Whiteness: Biomedicalization and the Promotion of Whiteness and Youth among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9-04
[89] 서적 White Identities: An Historical & Internation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10-08
[90] 서적 Beauty and the Norm: Debating Standardization in Bodily Appeara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08-24
[91] 서적 Pretty Modern: Beauty, Sex, and Plastic Surgery in Brazil Duke University Press
[92] 서적 Pretty Modern: Beauty, Sex, and Plastic Surgery in Brazil Duke University Press
[93] 서적 Laughter Out of Place: Race, Class, Violence, and Sexuality in a Rio Shantytow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4] 서적 Brazilian 'Travesti' Migrations: Gender, Sexualities and Embodiment Experie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05-22
[95] 서적 Sex Tourism in Bahia: Ambiguous Entanglemen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24-02-02
[96] 서적 The Eurocentric conception of world politics : western international theory, 1760-20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 서적 The Origins of the Modern World. A Global and Ecological Narrative from the Fifteenth to the Twenty-first Century (Second Edition)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98] 간행물 新しい世界史とヨーロッパ史 https://doi.org/10.1[...] 大阪大学西洋史学会 2010-02
[99] 서적 Politics of Liberation: A Critical World History SCM Press
[100] 서적 経済学批判
[101] 뉴스 日曜に考える 日経新聞 2013-09-08
[102] 서적 The Eurocentric conception of world politics : western international theory, 1760-201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 웹사이트 Eurocentrism and its discontents https://www.historia[...]
[104] 서적 Geopolitik des pazifischen Ozeans
[105] 서적 Dictionnaire Historique de la langue française
[106] 서적 Frantz Fanon and the Psychology of Oppression https://books.google[...]
[107] 웹사이트 Anciens directeurs http://www.uneca.org[...] 2018-08-06
[108] 서적 Muslim National Communism in the Soviet Union: A Revolutionary Strategy for the Colonial World https://books.google[...]
[109] 서적 Cultural dialogue & misreading
[110] 웹사이트 Europa http://www.zedler-le[...] 2011-09-11
[111] 서적 Das große Conversations-Lexicon für die gebildeten Stände https://books.google[...] 1847
[112] 논문 Ideology and Eurocentrism in Tarzan of the Apes Martzinek 1995
[113] 서적 The European Miracle: Environments, Economies and Geopolitics in the History of Europe and Asia 2003
[114] 서적 Cambridge History of China CUP 1988
[115] 서적 Arnold J. Toynbee: A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16] 논문 Universalism, Eurocentrism, and Ideological Bias in Development Studies: From Modernisation to Neoliberalism 1995
[117] 백과사전 Eurocentrism 2009
[118] 비디오 Eurocentrism Crashcourse 2012
[119] 서적 lies My teacher told me 1995
[120] 웹인용 The Middle East, in whose world? (Primary Reflections) http://www.smi.uib.n[...] Nordic Society for Middle Eastern Studies 2018-08-29
[121] 논문 Jim Blaut's Model of the World 2005
[122] 서적 Eight Eurocentric Historians Guilford Press 2000
[123] 간행물 Philosophy and Whiteness 2006
[124] 웹사이트 Eurocentrism and Academic Imperialism http://www.zarcommed[...] 2011-10-27
[125] 서적 Race and the Enlightenment: A Reader Blackwell 1997
[126] 웹사이트 It's a Small World After All http://smallworldhis[...] Simon Fraser University 2013
[127] 저널 Hegel’s Lectures on the History of Modern Philosophy https://dx.doi.org/1[...] 2017-06-06
[128] 저널 Civilization as a Unit of World History: Eurasia and Europe's Place in It https://www.jstor.or[...] 1985
[129] 서적 On the Origins of Modern Hospitality https://dx.doi.org/1[...] Palgrave Macmillan 2018-07-28
[130] 서적 Scholarship and partisanship : essays on Max Weber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131] 저널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https://dx.doi.org/1[...] 2017-07-03
[132] 서적 The origins of the modern world : a global and environmental narrative from the fifteenth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www.worldcat[...]
[133] 논문 Unequal Development https://dx.doi.org/1[...] Macmillan Education UK 2018-07-28
[134] 서적 ReOrient : global economy in the Asian Age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135] 서적 A study of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136] 저널 Globalization and Global History in Toynbe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8-08-30
[137] 서적 Eurocentrism Monthly Review Press 2009
[138] 서적 Race, nation, and religion in the America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39] 블로그 Education and Eurocentrism In Today's Schools http://historicallya[...] 2018-08-30
[140] 저널 Peter O'Brien. European Perceptions of Islam and America from Saladin to George W. Bush: Europe's Fragile Ego Uncovered. Palgrave MacMillan 2011
[141] 논문 Eurocentrism in World History: A Critique of Its Propagators 2005
[142] 웹사이트 Here's the Disastrous Effect of American Beauty Ideals in Ads Around the World https://mic.com/arti[...] 2018-07-28
[143] 웹사이트 For many South Koreans, beauty standards represent a cultural struggle https://thevarsity.c[...] 2018-07-28
[144] 웹사이트 Brown at 60: The Doll Test | NAACP LDF http://www.naacpldf.[...] 2018-07-28
[145] 웹사이트 Professor Revisits Clark Doll Tests | News | The Harvard Crimson https://www.thecrims[...] 2018-07-28
[146] 웹사이트 Mexicans recreate 'black doll-white doll' experiment to measure skin color preference south of the border - theGrio https://thegrio.com/[...] 2018-07-28
[147] 웹사이트 Mexicans Recreate 'Black Doll-White Doll' Experiment to Measure Skin Color Preference South of the Border https://rollingout.c[...] 2018-07-28
[148] 논문 Skin Lightening and Beauty in Four Asian Cultures http://acrwebsite.or[...] 2008
[149] 논문 The widespread use of skin lightening creams in Senegal: a persistent public health problem in West Africa 2002
[150] 논문 Complications of chronic use of skin lightening cosmetics 2008
[151] 뉴스 Plastic surgery boom as Asians seek 'western' look http://www.cnn.com/2[...] CNN 2018-07-28
[152] 논문 The moving eye: From Cold War racial subject to middle class cosmopolitan, Korean cosmetic eyelid surgery, 1955-2001 2018-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