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문 (베오그라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문(Zemun)은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의 자치구로, 다뉴브강과 사바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고대에는 타우루눔으로 알려졌으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지역이다. 12세기 헝가리 왕국에 정복되었고, 이후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 등 다양한 국가의 지배를 받았다. 1929년 베오그라드 시에 편입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격전지였다. 현재는 베오그라드에서 가장 발달된 자치구 중 하나로, 다양한 산업과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세르비아인 외에도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오그라드의 지방 자치체 - 노비베오그라드
    노비베오그라드는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시에 위치한 자치구이자 계획 도시로, 사바 강 좌안에 있으며 현대적인 건축 양식과 넓은 녹지 공간을 특징으로 하는 주요 상업 지구이다.
  • 베오그라드의 지방 자치체 - 소포트 (베오그라드)
    소포트는 베오그라드에서 남쪽으로 45km 떨어진 코스마이 산 경사면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자치구이며, 로마 시대 유적과 고대 슬라브어 지명으로 유명하고, 1972년부터 소페스트 영화제가 개최되며,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등의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제문 (베오그라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공식 명칭제문
원어 명칭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Земун
로마자 표기Zemun
다른 이름헝가리어: Zimony (지모니)
독일어: Semlin (젬린)
유형베오그라드의 구
행정
국가세르비아
상위 행정 구역베오그라드
하위 행정 구역4개
수장 직함구청장
수장 이름Gavrilo Kovačević
수장 소속 정당SNS
지리
면적 (도시)99.42km²
면적 (구)149.77km²
인구
인구 (2022년)177,908명
기타 정보
시간대CET (+1)
서머타임CEST (+2)
우편 번호11080
지역 번호+381(0)11
차량 번호판BG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이미지
가르도슈 탑에서 본 제문 파노라마
가르도슈 탑에서 본 제문 파노라마
제문 문장
문장
제문 깃발
깃발
베오그라드 내 제문 위치
베오그라드 내 제문 위치

2. 명칭

고대 켈트족로마 정착지는 ''타우루눔''으로 알려졌다. 프랑크족 십자군 연대기 저술가들은 9세기의 지명인 ''말레빌라''로 언급했다. 이 시기는 슬라브어 이름 ''Zemln''이 처음 기록된 시기이기도 하다. "흙"을 의미하는 단어 ''zemlja''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며, 현대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또는 ''Zemun'' (라틴 문자), ''Za·munt''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Zimony'', 독일어 ''Semlin''과 같이 도시의 다른 모든 이름의 기초가 되었다.

3. 역사

제문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바덴 문화 무덤과 사발, 의인화된 단지 등과 같은 도자기가 이 마을에서 발견되었다.[4] 인근 아스팔트나 바자에서는 보수트 문화 무덤이 발견되었다.[5]

고대 켈트족과 로마 정착지는 '타우루눔'으로 알려졌으며, 기원전 3세기 스코르디스키족이 트라키아다키아 지역을 점령하면서 타우루눔과 싱기두눔을 건설했다.[6] 기원전 1세기 로마인들이 도착했고, 서기 15년경 타우루눔은 판노니아 로마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싱기두눔(베오그라드)의 판노니아(로마) 함대의 항구 역할을 했다.[8] 민족 이동 이후, 이 지역은 비잔틴 제국, 게피드 왕국, 불가리아 제국 등 다양한 민족과 국가의 지배를 받았다.

프랑크십자군 연대기 저술가들은 9세기의 지명인 '말레빌라'로 언급했으며, 슬라브어 이름 'Zemln'이 처음 기록되었다. "흙"을 의미하는 'zemlja'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며, 현대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또는 'Zemun' (라틴 문자) 등의 기초가 되었다.

12세기 헝가리 왕국에 정복되었고, 15세기 세르비아 전제군주 주라지 브란코비치에게 주어졌다. 1459년 오스만 제국에 몰락한 후, 제문은 중요한 군사 전초 기지가 되었다. 1521년 헝가리 왕국 군대, 크로아티아인 마르코 스코블리치가 이끄는 500명의 샤이카시(강 선단 병력)와 세르비아인[10]은 술레이만 1세의 오스만 군대와 전투를 벌였으나, 7월 12일 제문이 함락되었고,[11] 곧 베오그라드도 함락되었다.[12] 1541년, 제문은 시르미아 산자크에 통합되었고, 부딘 주에 속하게 되었다.

1717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에 의해 정복되었다. 페테르바르데인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1716년 8월 5일)하고 포자레바츠 조약을 통해 쇤보른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1736년 농민 봉기가 일어났고, 1739년 베오그라드 조약으로 국경이 확정되었다. 1746년 군사 변경 지역이 조직되었으며, 1749년 제문시는 군사 코뮌의 권리를 부여받았다.

1754년 제문 인구는 1,900명의 동방 정교회 신자, 600명의 가톨릭 신자, 76명의 유대인, 약 100명의 로마니였다. 1777년에는 1,130채 주택에 6,800명이 거주했는데, 절반은 세르비아인, 나머지는 가톨릭,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무슬림이었다. 가톨릭 인구 중 가장 큰 민족 집단은 독일인이었다. 이 시기부터 제문에 독일인과 헝가리인의 정착이 증가했다.

오스만 시대 제문은 칸, 모스크, 많은 수의 튀르키예인들이 있는 전형적인 동양식 작은 마을이었지만, 오스트리아의 일부가 된 후에는 중요한 도로 교차로이자 국경 도시로 번성하여 무역을 촉진했다.[13] 1793년, 무거운 벨루가 철갑상어가 잡혔다는 기록이 있다.[14] 1816년 프란젠스탈과 고르냐 바로쉬에 독일인과 세르비아인의 대량 재정착으로 크게 확장되었다. 19세기 제문은 7,089명 주민과 1,310채 주택에 달했다. 1813년 카라조르제의 피난처이자 오스만 통치에서 벗어난 인근 베오그라드 및 카라조르제 세르비아의 많은 사람들의 피난처로서 세르비아 역사에서 중요해졌다.

1848년 혁명 동안, 제문은 합스부르크 제국 내 세르비아 자치 지역인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사실상 수도 중 하나였지만, 1849년 군사 변경 지역 행정 하에 다시 돌아왔다. 1881년 군사 변경 지역 폐지 후 제문과 동부 스렘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시르미아 주에 포함되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일부였다. 서쪽으로 연결되는 첫 철도 노선은 1883년, 사바강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철도 교량은 1884년에 건설되었다.

제문 요새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최초 발포 지점이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군세르비아 수도 베오그라드를 포격했다. 세르비아 공병대는 사바강을 가로지르는 구 철도교를 파괴해 대응했고, 아래에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 순찰정을 손상시켰다.[15] 제1차 세계 대전세르비아 전역 동안, 제문은 잠시 세르비아 왕립군에 점령되었고, 많은 남 슬라브인들이 세르비아로 도망갔다. 오스카르 포티오레크 휘하 오스트리아-헝가리 발칸군은 도시를 탈환하고 협력 혐의자를 처형했다.[15] 1918년 11월 5일 세르비아가 도시를 되찾았다.

이후 제문은 세르브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유고슬라비아 왕국) 일부가 되었다. 전간기에는 도시 젠트리와 민족 독일인 지원을 받는 사회주의 정당 간 정치 투쟁이 있었다. 1934년, 제문과 베오그라드 일부를 연결하는 두 개 시내 버스 노선이 도입되었고, 제문의 성장하는 세르비아인 인구가 이 문제에 대한 전반적 관심을 뒷받침했다.

1927년 건설된 제문 비행장은 추축국1941년 4월 유고슬라비아 침공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목표였다. 그 달 유고슬라비아 항복 후, 제문은 나머지 시르미아와 함께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넘겨졌다. 1944년 추축국 통제에서 벗어났고, 이후 중앙 세르비아로 알려진 세르비아 지역 일부가 되었다.

3. 1. 고대와 중세

고대에는 켈트족과 로마 정착지는 '타우루눔'으로 알려졌다. 프랑크십자군 연대기 저술가들은 9세기의 지명인 '말레빌라'로 언급했다. 이 시기는 또한 슬라브어 이름 'Zemln'이 처음 기록된 시기였다. "흙"을 의미하는 단어 'zemlja'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며, 현대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또는 'Zemun' (라틴 문자), 'Za·munt'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Zimony' 및 독일어 'Semlin'과 같이 도시의 모든 다른 미래 이름의 기초가 되었다.

로마 시대의 석관


제문에서 발견된, 그리스 신화의 마이아스의 석상


오늘날 제문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제문에서는 바덴 문화의 묘지나 토기(그릇이나 항아리 등)가 발견되었고[4], 근처의 아스팔트나 바자에서는 보수트 문화의 묘지가 발견되었다[5].타우루눔에서 최초의 켈트인 거주는, 스코르디스키가 트라키아 및 다키아에 속하는 도나우강 연안의 일부 지역을 지배하에 둔 기원전 3세기의 일이었다. 로마인은 기원전 1세기에 이 지역을 지배하였고, 타우루눔은 서기 15년에 판노니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타우르눔에는 요새가 있었고[7], 싱기두눔(베오그라드)을 방문하는 로마인의 계류지로 이용되었다[8]。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의 펜이 타우르눔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9]。민족 이동 시대를 거쳐, 이 지역은 로마 제국, 게피드 왕국, 불가리아 제국 등, 많은 국가·민족에 의한 지배를 경험하게 된다. 12세기에는 헝가리 왕국의 지배 하에 들어가, 15세기에 세르비아인의 데스포트(세르비아 전제 공국)·주라지 브란코비치의 소유지가 된다. 1459년에 일대의 세르비아 제후국이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자, 제문은 군의 주둔지로서 중요한 거점이 된다. 제문은 1521년 7월 12일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어, 부딘 주(부딘), 스레므(시르미아 산자크) 산자크의 일부가 되었다.

3. 2. 오스만 제국 시대

1716년 8월 5일, 오스만 제국이 페터바르데인 전투에서 패배한 후, 제문을 포함한 스레므 지방 동남부는 1717년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 대공국)에 정복되었다. 파사로비츠 조약에 의해 이 지방은 쇤보른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도나우강과 사바강의 합류 지점에 위치한 이곳은 합스부르크가의 오스트리아 대공국과 오스만 제국의 싸움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거점이었다. 1739년 베오그라드 조약에 의해 최종적으로 국경이 확정되어 오스트리아령이 되었다. 1746년 군정 국경 지대가 설치되었고, 1749년 제문은 군사 지구로 지정되었다. 1754년 당시 제문에는 1,900명의 정교회 신자, 600명의 가톨릭교회 신자, 76명의 유대인, 100명의 이 거주하고 있었다. 1777년 제문에는 1,130가구, 6,800명이 거주했는데, 그중 절반은 세르비아인이었고, 나머지 절반은 가톨릭 신자,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무슬림 등이었다. 가톨릭 주민 중 가장 큰 세력은 독일인이었다. 이 무렵부터 제문에는 독일인과 헝가리인 거주자가 늘기 시작했다.

1608년, 오스만 제국 지배하의 제문

3. 3. 합스부르크 왕가 시대

제문과 남동 시르미아는 1717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에 의해 정복되었다. 페테르바르데인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1716년 8월 5일)하고 포자레바츠 조약(독일어: 파사로비츠)을 통해 쇤보른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1736년, 제문은 농민 봉기가 일어난 장소였다. 사바강과 다뉴브강의 합류점에 위치한 전략적 위치는 합스부르크와 오스만 제국 간의 계속되는 국경 전쟁의 중심에 놓였다. 1739년 베오그라드 조약으로 국경이 확정되었고, 1746년 이 지역에 군사 변경 지역이 조직되었으며, 1749년 제문시는 군사 코뮌의 권리를 부여받았다.

제문 지도(1739년경)


제문의 파노라마 뷰, 19세기


1754년, 제문의 인구는 1,900명의 동방 정교회 신자, 600명의 가톨릭 신자, 76명의 유대인, 약 100명의 로마니를 포함했다. 1777년, 제문의 인구는 1,130채의 주택에 6,800명이었는데, 그 중 절반은 민족 세르비아인이었고, 나머지 절반은 가톨릭,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무슬림으로 구성되었다. 가톨릭 인구 중 가장 큰 민족 집단은 독일인이었다. 이 시기부터 제문에 독일인과 헝가리인의 정착이 증가했다.

오스만 시대 동안 제문은 칸, 모스크, 많은 수의 튀르키예인들이 있는 전형적인 동양식 작은 마을이었지만, 오스트리아의 일부가 된 후에는 중요한 도로 교차로이자 국경 도시로 번성하여 무역을 촉진했다.[13] 이 마을은 다뉴브강에 항구를 가지고 있었고 주요 어업 중심지였다. 1793년, 무거운 벨루가 철갑상어가 잡혔다는 기록이 있다.[14] 1816년에는 프란젠스탈과 고르냐 바로쉬의 새로운 마을 교외에 독일인과 세르비아인의 대량 재정착으로 크게 확장되었다. 19세기에 제문은 7,089명의 주민과 1,310채의 주택에 달했다. 제문은 또한 1813년 카라조르제(Karađorđe)의 피난처이자 오스만 통치에 떨어진 인근 베오그라드 및 카라조르제 세르비아의 많은 다른 사람들의 피난처로서 세르비아 역사에서 중요해졌다.

1848–1849년 혁명 동안, 제문은 합스부르크 제국 내의 세르비아 자치 지역인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사실상의 수도 중 하나였지만, 1849년 군사 변경 지역의 행정 하에 다시 돌아왔다. 1881년 군사 변경 지역이 폐지되면서 제문과 나머지 동부 스렘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시르미아 주에 포함되었고, 이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일부였다. 서쪽으로 연결되는 첫 번째 철도 노선은 1883년에 건설되었고, 사바강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철도 교량은 그 직후인 1884년에 건설되었다.

3. 4. 19세기와 세르비아 독립

1716년 8월 5일에 벌어진 페테르바르데인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한 후, 제문을 포함한 스레므 지방 동남부는 1717년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 대공국)에 정복되었다. 파사로비츠 조약에 의해 이 지방은 쇤보른 가문(Schönborn)의 소유지가 되었다. 도나우강과 사바강의 합류 지점에 위치한 이곳은, 합스부르크가의 오스트리아 대공국과 오스만 제국의 싸움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거점이었다. 1739년베오그라드 조약에 의해 최종적으로 국경이 확정되어 오스트리아령이 되었다. 1746년에는 군정 국경 지대가 설치되어, 1749년에 제문은 군사 지구로 지정되었다. 1754년 시점에서, 제문에는 1900명의 정교회 신자, 600명의 가톨릭교회 신자, 76명의 유대인, 100명의 이 거주하고 있었다. 1777년에는 제문에 1130가구, 6800명이 거주하고 있었고, 그 중 절반은 세르비아인, 나머지 절반은 가톨릭 신자나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무슬림 등이었다. 가톨릭 주민 중에서 최대 세력은 독일인이었다. 이 무렵부터 제문에는 독일인이나 헝가리인 거주자가 늘기 시작했다.

제문은 교통의 요충지이자 국경 도시로서 번영했다. 1816년에는 다수의 독일인 및 세르비아인의 유입에 따라 도시가 대폭 확장되어, 새롭게 프란첸슈탈(Franzenstal) 및 고르냐 바로슈(Gornja Varoš) 지구가 탄생했다. 19세기의 제문의 인구는 1310가구, 7089명이었다. 1813년에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란을 이끌었던 카라조르제 페트로비치가 실각하여 많은 세르비아인과 함께 제문으로 도망쳐, 세르비아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의 현장이 되었다.

1848년 혁명 시대, 제문은 오스트리아 제국 내부에 성립한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사실상의 수도가 되었지만, 1849년에는 다시 군정 국경 지대로 돌아갔다. 1882년에 군정 국경 지대가 폐지되자, 제문을 포함한 스레므 지방 일대는 헝가리 왕국, 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자치령·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의 스렘 주의 일부가 되었다. 1883년에는 처음으로 철도로 서방의 제국들과 연결되었고, 1884년에는 사바강을 건너는 철도교도 건설되었다.

3. 5. 20세기와 유고슬라비아

1848~1849년 혁명 동안, 제문은 합스부르크 제국 내의 세르비아 자치 지역인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사실상의 수도 중 하나였지만, 1849년 군사 변경 지역의 행정 하에 다시 돌아왔다.[15] 1881년 군사 변경 지역이 폐지되면서 제문과 나머지 동부 스렘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시르미아 주에 포함되었고, 이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일부였다. 서쪽으로 연결되는 첫 번째 철도 노선은 1883년에 건설되었고, 사바강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철도 교량은 그 직후인 1884년에 건설되었다.

제문 요새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최초의 발포 지점이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군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를 포격했다. 세르비아 공병대는 사바강을 가로지르는 구 철도교를 파괴함으로써 대응했고, 아래에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 순찰정을 손상시켰다.[15] 제1차 세계 대전세르비아 전역 동안, 제문은 잠시 세르비아 왕립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도시에 거주하는 많은 남 슬라브인들이 세르비아로 도망갔다. 오스카르 포티오레크 휘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발칸군은 빠르게 도시를 탈환하고 협력 혐의자를 처형했다.[15] 이 도시는 1918년 11월 5일 세르비아의 통제를 되찾았다. 이후 제문은 세르브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나중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전간기에는 도시의 젠트리(조직된 급진당, 민주당 및 크로아티아 농민당)와 민족 독일인의 지원을 받는 더 사회주의 정당 간의 정치 투쟁이 있었다.

1934년, 제문과 베오그라드 일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시내 버스 노선이 도입되었고, 제문의 성장하는 세르비아인 인구가 이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을 뒷받침했다.

1927년에 원래 건설된 제문 비행장은 추축국1941년 4월 유고슬라비아 침공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목표였다. 그 달 유고슬라비아의 항복 이후, 제문은 나머지 시르미아와 함께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넘겨졌다. 이 도시는 1944년 추축국 통제에서 벗어났고, 그 이후 중앙 세르비아로 알려진 세르비아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 이 도시는 공군 사령부 건물의 본거지이며, 기념비적인 건물은 베오그라드 제문의 아비야티차르스키 광장 12번지에 위치해 있다.

3. 6. 현대

오늘날 제문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바덴 문화(Baden culture)의 묘지나 토기(그릇이나 항아리 등)가 제문에서 발견되었다.[59] 또한 근처의 아스팔트나 바자(Asfaltna Baza)에서는 보수트 문화(Bosut culture)의 묘지가 발견되었다.[60] 타우르눔에서 최초의 켈트인 거주는, 스코르디스키가 트라키아 및 다키아에 속하는 도나우강 연안의 일부 지역을 지배하에 둔 기원전 3세기의 일이었다. 로마인은 기원전 1세기에 이 지역을 지배하에 두고, 타우르눔은 서기 15년에 판노니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타우르눔에는 요새가 있었고,[61] 싱기두눔(베오그라드)을 방문하는 로마인의 계류지로 이용되었다.[62]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의 펜이 타우르눔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63] 민족 이동 시대를 거쳐, 이 지역은 로마 제국, 게피드 왕국(Kingdom of the Gepids), 불가리아 제국 등, 많은 국가·민족에 의한 지배를 경험하게 된다. 12세기에는 헝가리 왕국의 지배 하에 들어가, 15세기에 세르비아인의 데스포트(Despot)·주라지 브란코비치(Đurađ Branković)의 소유지가 된다. 1459년에 일대의 세르비아 제후국이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자, 제문은 군의 주둔지로서 중요한 거점이 된다. 제문은 1521년 7월 12일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어, 부딘 주(Budin), 스레므・산자크의 일부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1716년 8월 5일에 페터바르다인 전투에서 패한 후, 제문을 포함한 스레므 지방 동남부는, 1717년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 대공국)에 정복되었다. 파사로비츠 조약에 의해 이 지방은 쇤보른가(Schönborn)의 소유지가 되었다. 도나우강과 사바강의 합류 지점에 위치한 이 곳은, 합스부르크가의 오스트리아 대공국과 오스만 제국의 싸움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거점이었다. 1739년베오그라드 조약(Treaty of Belgrade)에 의해 최종적으로 국경이 확정되어 오스트리아령이 되었다. 1746년에는 군정 국경 지대가 설치되어, 1749년에 제문은 군사 지구로 지정된다. 1754년 시점에서, 제문에는 1900명의 정교회 신자, 600명의 가톨릭교회 신자, 76명의 유대인, 100명의 이 거주하고 있었다. 1777년에는 제문에 1130가구, 6800명이 거주하고 있었고, 그 중 절반은 세르비아인, 나머지 절반은 가톨릭 신자나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무슬림 등이었다. 가톨릭 주민 중에서 최대 세력은 독일인이었다. 이 무렵부터 제문에는 독일인이나 헝가리인 거주자가 늘기 시작한다.

제문은 교통의 요충지, 그리고 국경의 도시로서 번영했다. 1816년에는 다수의 독일인 및 세르비아인의 유입에 따라, 도시가 대폭 확장되어, 새롭게 프란첸슈탈(Franzenstal) 및 고르냐 바로슈(Gornja Varoš) 지구가 탄생했다. 19세기의 제문의 인구는 1310가구, 7089명이었다. 1813년에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란을 이끌었던 카라조르제 페트로비치(Karađorđe Petrović)가 실각하여, 많은 세르비아인과 함께 제문으로 도망친다는, 세르비아의 역사상 중요한 사건의 현장이 되었다.

1848년 혁명 시대, 제문은 오스트리아 제국 내부에 성립한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사실상의 수도가 되었지만, 1849년에는 이 곳은 다시 군정 국경 지대로 돌아갔다. 1882년에 군정 국경 지대가 폐지되자, 제문을 포함한 스레므 지방 일대는 헝가리 왕국, 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자치령·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의 스렘 주(Syrmia County)의 일부가 되었다. 1883년에는 처음으로 철도로 서방의 제국들과 연결되었고, 1884년에는 사바강을 건너는 철도교도 건설되었다.

1914년의 제1차 세계 대전 시대, 제문은 세르비아 왕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충돌의 최전선이 되었지만, 최종적으로 1918년 11월 5일에 세르비아가 이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종전 후,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성립하고, 제문은 그 일부가 되었다. 전간기에는 도시의 유력자들이 급진당이나 민주당, 크로아티아 농민당(Croatian Peasant Party), 그리고 독일인이 지지하는 사회주의의 여러 정당 등의 진영으로 나뉘어 다투었다.

1934년에 제문과 베오그라드를 잇는 버스가 운행을 시작했고, 제문에서는 세르비아인의 인구가 증가했다. 1927년에 공군 기지가 설치되었고, 1941년 4월에 유고슬라비아가 추축국의 침략을 받자 제문은 그 중요한 표적이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항복하자, 제문을 포함한 스레므 지방 일대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일부가 되었다. 1944년에 파르티잔에 의해 제문은 해방되었고, 그 이후 세르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시대, 제문은 악명 높은 강력한 범죄 조직 "제문 클랜(Zemun Clan)"의 거점이 되었다. 제문 클랜의 구성원 중에는, 후에 조란 진지치의 암살로 유죄가 된 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4. 지리

제문은 스렘(스리이엠) 동부에 위치하며, 베오그라드 시역의 중서부에 해당한다. 제문의 중심 시가지는 베오그라드 시가지 전체의 북단 및 서단이다. 제문 서쪽에는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주 경계가 있으며, 스타라 파조바 자치구 및 페친치 자치구와 접해 있다. 남쪽에 인접한 수르친 자치구, 남동쪽의 노비 베오그라드, 다뉴브강 건너편에 위치한 팔릴룰라 및 스타리 그라드는 모두 제문과 마찬가지로 베오그라드를 구성하는 자치구이다.

도시의 핵심은 도니 그라드, 가르도시, 추코바츠, 고르니 그라드 구역이다. 남쪽으로 제문은 노비 베오그라드와 연결되어 하나의 연속된 도시 지역을 형성한다(토신 부나르 구역). 서쪽으로는 알티나와 플라비 호리존티 구역으로 뻗어 있으며, 북서쪽으로는 갈레니카, 제문 폴리에, 그리고 바타이니차로 이어진다.

제문은 원래 다뉴브강 우안의 가르도시, 추코바츠, 칼바리야의 세 언덕에서 발달했는데, 이곳은 다뉴브강이 넓어지기 시작하고 사바강 어귀에 대전쟁섬이 형성되는 곳이다. 이 언덕들은 자연적인 특징이 아니라, 고대 판노니아 해의 남쪽 선반이 말라붙은 황토 고원이다. 제문 도니 그라드 지역은 과거 다뉴브강에 의해 정기적으로 침수되었고, 물은 황토를 통해 운하를 만들었다. 주민들은 이 운하를 따라 길을 건설하여 통로를 만들고, 고원에서 언덕을 깎아냈다. 1876년 대홍수 이후, 지방 당국은 다뉴브강 둑을 따라 1km 길이의 돌 제방을 건설하여 1889년에 완공했다. 오늘날 제문은 여러 언덕 위에 건설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16]

북쪽의 다뉴브강 둑은 대부분 습지여서, 정착지는 강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고(바타이니차), 작은 언덕(최대 114m)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문시는 해발 100m에 다뉴브강 둑 바로 위에 건설되었다. 이곳은 시르미아 황토 고원의 연장선인 제문 황토 고원의 지점으로, 남동쪽으로 베자니이스카 코사라고 불리는 초승달 모양의 황토 언덕으로 이어진다. 황토는 최대 40m 두께이며 비옥하고, 풀로 개량된 부식토 흑토를 가지고 있다. 다뉴브강의 무인 하천 섬인 대전쟁섬과 소전쟁섬도 제문 자치구에 속한다.

2018년 9월, 베오그라드 시장 조란 라도이치치는 다뉴브강 제문-노비 베오그라드 지역에 댐 건설이 곧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구체적인 계획은 불분명했다. 이후 라도이치치는 임시 이동식 방수벽을 언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방수벽은 높이 50cm, 길이 5km이며, 브란코의 다리에서 사바강을 건너 노비 베오그라드의 우슈체 구역을 지나 제문 가르도시 구역의 다뉴브강 둑에 있는 "라데츠키" 레스토랑까지 이어진다. 비상시에는 패널이 기존 구조물에 설치될 것이다. 건설은 2019년에 시작하여 2020년에 완료될 예정이다.[19][20]

제문 시 지도


제문 시의 이전 지역 사회 지도


제문 시에는 공식적으로 두 개의 정착지가 있다: 베오그라드(제문)는 베오그라드 시의 도시 지역("uža teritorija grada"; 통계적으로 "베오그라드-일부"로 분류)의 일부이며, 우그리노브치 마을(부락인 그르모바츠와 부시예 포함)이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알티나, 플라비 호리존티, 카멘딘, 그르모바츠, 부시예 등 많은 지역이 개발되었다.

시에는 바타이니차, 우그리노브치, 제문 폴리에, 노바 갈레니카의 네 개 지역 사회가 있다. 1996년에 이전 지역 사회가 폐지된 후 2009년에 형성되었다.[28][29]

''도시 지역:''



''교외 지역:''



4. 1. 황토 고원과 라굼

제문은 스렘(스리이엠) 동부에 위치하며, 베오그라드 시역의 중서부에 해당한다. 제문의 중심 시가지는 베오그라드 시가지 전체의 북단 및 서단이다. 제문 서쪽에는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주 경계가 있으며, 노바 파조바(Nova Pazova)와 접해 있다. 남쪽에 인접한 스르친, 남동쪽의 노비 베오그라드, 도나우강 맞은편에 위치한 파릴룰라(Palilula) 및 스타리 그라드는 모두 제문과 마찬가지로 베오그라드를 구성하는 자치구이다.

제문은 원래 가르도슈(Gardoš), 추코바츠(Ćukovac), 칼바리야(Kalvarija)의 세 언덕에서 발달했는데, 이곳은 도나우강이 넓어지기 시작하고 사바강 어귀에 대 전쟁 섬(Great War Island)이 형성되는 곳이다. 제문의 핵심은 도니 그라드(Donji Grad), 가르도슈(Gardoš), 추코바츠(Ćukovac), 고르니 그라드(Gornji Grad) 각 지구이다. 그 남쪽은 노비 베오그라드 구와 접해 있으며, 동구의 토신 부나르(Tošin Bunar) 지구로 시가지가 이어져 있다. 서쪽에는 알티나(Altina) 및 플라비 호리존티(Plavi Horizonti), 북서쪽에는 갈레니카(Galenika), 제문 폴리에(Zemun Polje), 바타이니차(:en:Batajnica) 등의 지구가 있다.

제문의 북쪽을 흐르는 도나우강의 연안부는 대부분이 갯벌로 되어 있으며, 강가에서 사람이 거주하는 구릉지까지는 거리가 있다. 제문의 중심 시가지는 도나우강 우안에 있는 100m 정도의 구릉지 위에 건설되어 있다. 이러한 제문의 구릉지는 스렘 황토 대지의 말단에 위치한 제문 황토 대지의 일부이며, 초승달 모양으로 펼쳐지는 베자니스카 코사(Bežanijska Kosa) 황토 구릉으로 이어진다. 황토층은 최대 40m 두께이다. 도나우강의 중주인 2개의 무인도, 대 전쟁 섬 및 소 전쟁 섬(Little War Island)도 제문 구에 속한다.

라굼 중 하나의 입구


제문의 지형적 특징 중 하나는 가르도시(Gardoš), 무하르(Muhar), 추코바츠(Ćukovac), 칼바리야(Kalvarija)의 황토 지역 아래로 얽혀 있는 인공 지하 통로인 ''라굼(lagums)''이다. 이 지형은 베오그라드에서 가장 활동적인 산사태 지역 중 하나이다. 수 세기 동안 파 내려가면서, 어떤 구역의 황토는 최대 90%의 수직 절벽을 이루고 있다. 로마인들은 적어도 1,700년 전에 라굼을 파기 시작하여, 주로 식량 저장소로 사용했지만, 나중에는 물자 공급과 궁극적으로 숨는 곳 및 대피소로 사용했다.[22] 이전 세기 동안, 정착민들은 라굼을 환기시키고, 황토를 건조시키며, 튼튼하게 유지하기 위해 많은 수직 샤프트를 남겼다.

황토는 튼튼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쉽게 파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물과 섞이면 모래로 변한다. 라굼의 평균 온도는 16°C이다.[23]

지역 주민들이 식량 저장소로 사용했지만,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터키 행정부가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오스트리아인들이 제문을 점령한 후, 그들은 탄약을 보관하기 위해 지하를 사용했다. 이 시기에 사바 강 아래로 제문과 베오그라드를 연결하는 지하 통로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신화가 생겨났다. 그러나 역사학자들은 이를 논쟁하는데, 오스트리아인들이 1717년부터 제문을 영구적으로 점령했지만, 베오그라드는 1717년부터 1739년까지만 점령했기 때문에 당시 기술로는 그러한 대규모 엔지니어링 사업을 수행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1938년 7월 31일, 제문의 로마 가톨릭 묘지 일부가 붕괴되어 그 위에 건설된 라굼으로 떨어졌는데, 이는 제문에서 가장 큰 것 중 하나였다. 당시 사람들은 오래된 구조물을 "로마 시대"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로마인들이 건설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통로를 "로마" 통로라고 불렀다.[2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시가 빠르게 도시화되면서, 새로운 정착민들은 라굼에 대해 알지 못했고, 특히 추코바츠(Ćukovac)에 450m2 면적을 차지하는 가장 큰 라굼에 대해 무지했다. 당시에는 충분한 하수도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정화조를 건설하고 빗물을 모았지만, 환기 샤프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쓰레기로 덮이거나 채워지면서 수십 년 동안 땅이 젖게 되었다. 라굼은 습기를 유지했고 붕괴되기 시작했다. 결국, 벽과 집들은 외관과 벽을 부술 정도로 불안정해졌다. 1988년에 시 당국은 마침내 세 거리에서 집들이 가라앉기 시작하자 개입했다. 표면을 가장 큰 라굼과 연결하기 위해 구멍을 뚫었다. 총 22개의 드릴 구멍이 만들어졌고, 779m3콘크리트가 라굼에 부어져 땅이 안정될 때까지 채웠지만, 그 과정에서 라굼은 파괴되었다. 여전히, 거의 모든 폭우 후에 상황은 심각하다. 2011년 9월 29일, 칼바리야(Kalvarija) 구역의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한 지지 벽을 건설하는 동안, 건설 노동자들은 그 중 한 명을 사망하게 하는 산사태를 유발했다. 2001년에 탐험된 225m 길이의 라굼이 비극이 일어난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지금까지 76개의 긴 통로가 발견되었으며, 더 작은 통로도 많이 있다. 가장 긴 통로는 96m이고, 총 탐험 길이는 1925m이다. 그들은 4882m2 면적을 덮고 있다. 1980년대 이후로 관리되지 않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수가 붕괴되었다.[24][25][26][27]

여전히, 그들 중 대다수는 발견되거나 탐험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발견된 라굼의 벽은 벽돌이나 나무로 덮여 있다. 일부 통로는 막다른 골목인 반면, 다른 통로는 연결되어 있다. "갈레브(Galeb)" 조정 클럽은 도나우 강둑에 있는 라굼 중 하나를 사용하여 카약을 보관한다.[23]

제문의 라굼, 그 분포 및 네트워크 확장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있다. 제문과 도나우 강둑, 인근 베자니야(Bežanija), 로마 우물 및 사바 강 건너편 베오그라드의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라굼에 대한 이야기는 제문과 베오그라드의 도시 신화에서 흔한 일이 되었다. 더 오래된 신화에는 아래에 사는 다양한 괴물도 포함되었다. 여전히, 시대 간 산업가인 지보인 부코이치치(Živojin Vukojčić)의 집에 대한 역사적으로 확인된 이야기가 있다. 그의 아들 드라기 부코이치치(Dragi Vukojčić)는 1943년에 피난처로 지하 방을 지었지만, 지역 신화에서는 그가 아래에 전체 공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여전히, OZNA 공산주의 보안 기관의 요원들이 전쟁 후 그를 체포하기 위해 왔을 때, 부코이치치는 옷을 갈아입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라굼을 따라 도나우 강으로 도망친 후, 보트와 비행기를 통해 브라질로 탈출했다. 최근 이야기에는 2003년 3월 12일 조란 진지치 총리를 암살한 후 경찰 오퍼레이션 세이버 동안 라굼에 숨어 있었다는 제문 클랜의 범죄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21세기에는 신화 속 생물에 대한 이야기가 범죄자, 밀수업자, 마약 중독자 및 노숙자에 대한 이야기로 대체되었다.[23]

라굼은 지역 제문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마을의 정신과 개인적인 기억을 보존하고 있다. 지역 소년 세대에게는 라굼에 내려가, 그 안을 돌아다니며 가능한 한 오랫동안 머무는 것이 성인식 의례였다. 심지어 제문(Zemun)이라는 이름은 "zemlja"(땅) 또는 "zemunica"(흙집)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23]

5. 인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문 구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했다.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제문의 도시 인구는 166,049명, 제문 구 전체 인구는 177,908명이었다.[3] 제문은 베오그라드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른 제문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시가지자치구 전체
192118,528
193128,083
194842,230
195344,11051,129
196172,95674,851
197195,142111,967
1981116,826138,702
1991141,695
2002145,751152,950
2011151,811166,292



2004년 이전 자치구 인구에는 제문에서 분리되기 전의 술친(Surchin) 인구가 포함된다.

5. 1. 민족 구성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른 제문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30]

민족인구비율
세르비아인150,11384.38%
로마니4,8842.75%
유고슬라비아인1,0180.57%
크로아티아인7490.42%
몬테네그로인3980.22%
무슬림3850.22%
마케도니아인3120.18%
러시아인3040.17%
고라니3010.17%
헝가리인1720.1%
보스니아인1330.07%
슬로베니아인1260.07%
슬로바키아인1240.07%
알바니아인1090.06%
불가리아인620.03%
우크라이나인540.03%
독일인490.03%
루마니아인490.03%
기타1,6760.94%
미신고/불명16,8909.49%
합계177,908


6. 행정

제문 우체국


제문 시는 1929년 10월 3일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바노비나로 유고슬라비아가 분할되면서 베오그라드 시 구역(Teritorija grada Beograda)의 일부가 되었다. 1934년 4월 1일, 자치구 자체가 베오그라드 자치구에 흡수되면서 제문 자치구의 시장 직위는 폐지되었고, 베오그라드 시 정부에 "제문 구역 행정관"이 임명되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는 동시르미아 점령 구역(Okupationsgebiet Ostsyrmien)의 일부로 독일군에 점령되었다. 독일은 기술적으로 제문과 그 주변 지역을 크로아티아 독립국 괴뢰 정권의 일부로 인정했지만, 제문은 독일의 직접적인 통치를 받았다. 이 기간 동안 2만 명 이상의 유대인, 로마인, 나치 정권의 반대자들이 사망한 사미슈테 강제 수용소가 설립되었다.

1945년 이후 제문은 베오그라드의 나머지 지역과는 달리 행정적으로 제문 시와 제문 구(srez)로 나뉘었다. 1955년에는 제문 시와 제문 구의 대부분이 다시 베오그라드에 통합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볼예브치와 도바노브치 자치구가 수르친 자치구에 병합되었고, 바타이니차는 제문 자체에 병합되었다. 1965년에는 수르친이 제문 자치구에 병합되면서 제문의 최대 영토 확장(438km2)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3년 11월 24일, 베오그라드 시 의회는 수르친 자치구를 재설립하기로 투표했지만, 지방 선거 이후 별도의 자치 정부가 수립된 2004년 11월 3일까지는 제문의 행정 하에 있었다. 2000년대 초에는 바타이니차를 제문에서 분리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베오그라드의 이전 및 제안된 자치구 목록 참조).

기간직책이름
1929년 10월 3일 – 1930년 6월 20일자치구 시장페타르 S. 마르코비치
1930년 6월 20일 – 1931년 12월 8일자치구 시장스베티슬라프 포포비치
1931년 12월 9일 – 1934년 3월 31일자치구 시장밀로스 조리치
1934년 – 1941년 4월 12일제문 구역 행정관니콜라 폴거
1941년 4월 13일 – 1941년 7월독일 시장요하네스 모저 (1980년 사망)
1941년 7월 – 1941년 12월독일 시장스테판 자이페르트
1941년 12월 – 1944년 10월독일 시장요하네스 모저 (1980년 사망)
1944년 10월 22일 – 1944년 10월 26일파르티잔 군정관밀란 제젤 (1917–1995)
1944년 10월 26일 – 1945년 7월 8일자치구 의회 의장류보미르 밀로바노비치
1945년 7월 8일 – 1947년자치구 의회 의장디미트리에 아노키치
1947년–1949년자치구 의회 의장밀렌코 요바노비치
1949년–1950년자치구 의회 의장보지다르 토미치 (1914년 출생)
1950년자치구 의회 의장라자르 포포프 (대행)
1950년–1955년자치구 의회 의장스토얀 스빌라리치 (1920년 출생)
1955년–1958년자치구 의회 의장브란코 페시치 (1922–1986)
1958년–1962년자치구 의회 의장알렉산다르 S. 요바노비치
1962년–1967년자치구 의회 의장체도미르 요비체비치
1967년–1971년자치구 의회 의장스베토자르 파피치
1971년–1973년자치구 의회 의장라도이코 필리포비치
1973년–1974년자치구 의회 의장파블레 일리치 (대행)
1974년–1978년자치구 의회 의장브란코 S. 라디보예비치 (1932년 출생)
1978년–1982년자치구 의회 의장일리야 크라고비치
1982년–1986년자치구 의회 의장노바크 로디치
1986년–1989년자치구 의회 의장페타르 스톨리차
1989년자치구 의회 의장도브리보예 페로비치
1989년–1992년자치구 의회 의장지브코 다비도비치 (1935년 출생)
1992년 – 1996년 12월자치구 의회 의장네나드 리바르
1996년 12월 – 1998년 4월자치구 의회 의장보이슬라프 세셸 (1954년 출생)
1998년 4월 – 2000년 10월 17일자치구 의회 의장스테보 드라기시치 (1971년 출생)
2000년 10월 17일 – 2004년 11월 4일자치구 의회 의장블라단 야니치예비치 (1934년 출생)
2004년 11월 4일 – 2008년 6월 4일자치구 시장고르다나 팝-라지치 (1956년 출생)
2008년 6월 4일 – 2009년 3월 5일자치구 시장슬라브코 예르코비치 (1959년 출생)
2009년 3월 5일 – 2009년 7월 23일자치구 시장즈드라브코 스탄코비치 (대행)
2009년 7월 23일 – 2013년 7월 4일자치구 시장브라니슬라프 프로스탄 (1976년 출생)
2013년 7월 4일 – 2020년 9월 10일자치구 시장데얀 마티치 (1969년 출생)
2020년 9월 10일 – 현재자치구 시장고란 코바체비치 (1969년 출생)


7. 경제

제문은 베오그라드에서 가장 발달된 자치구 중 하나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산업이 발달했다. 특히 두 개의 큰 산업 지대가 성장하고 있는데, 하나는 고속도로를 따라 위치해 있고 다른 하나는 노비사드로 가는 길에 있다(갈레니카, 고베지 브로드 등).

제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 중장비 농업 기계 및 기기 (''Zmaj'')
  • 정밀 및 광학 기기, 자동화 기기 (''Teleoptik'')
  • 시계 (''INSA'')
  • 버스 및 기타 대형 차량 (''Ikarbus'')
  • 의약품 (''갈레니카'')
  • 플라스틱 (''Grmeč'')
  • 신발 (''Obuća Beograd'')
  • 섬유 (''TIZ'', ''Zekstra'')
  • 식품, 사탕 및 초콜릿 (''Soko Štark'')
  • 금속 (''IMPA'', ''Intersilver'')
  • 목재 및 가구 (''Gaj'', ''Reprek'')
  • 재활용 (''INOS metali'', ''INOS papir'')
  • 음료 (''코카콜라'', ''Navip'')
  • 화학 제품 (''Roma'')
  • 건축 자재 (''DIA'')
  • 전자 제품, 가죽 등


이 외에도 두 산업 지대 전체에 수십 개의 홀과 창고가 건설되어 있다.

2018년 기준 주요 산업별 법인 등록 고용 인원수는 다음과 같다.[31]

활동총계
농업, 임업 및 어업201
광업 및 채석업13
제조업10,018
전기, 가스, 증기 및 냉방 공급471
수도 공급;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복구 활동424
건설업3,815
도매 및 소매 무역,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15,487
운송 및 보관5,141
숙박 및 음식 서비스2,419
정보 및 통신1,600
금융 및 보험 활동483
부동산 활동246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3,758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5,444
공공 행정 및 국방; 강제 사회 보장989
교육4,731
인적 건강 및 사회 복지 활동4,632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1,147
기타 서비스 활동1,060
개인 농업 종사자88
총계62,198


8. 교통

세르비아의 여러 주요 도로가 제문 시를 통과한다. 베오그라드-자그레브 고속도로, 구(바타이니츠키 드룸) 및 신(고속도로) 베오그라드-노비사드 도로, 건설 중인 미래의 베오그라드 외곽 순환도로(바타이니차-부바니 포토크)의 기점(바타이니차-도바노브치), 베오그라드-노비 사드 철도 등이 있다. 2014년까지 제문에는 여름에 본토와 대 전쟁섬을 연결하는 계절성 부교를 제외하고는 다리가 없었다. 다뉴브강 위에 최초로 건설된 다리인 푸핀 다리는 제문을 보르차와 연결하며, 2014년에 완공되었다.

2016년 3월, 베오그라드 시장 시니샤 말리는 구 사바 다리의 대대적인 재건을 발표했다.[32][33] 그러나 2017년 5월, 프로젝트 서류가 공개된 후 시가 실제로 다리를 완전히 철거하고 새로운 다리를 건설하려 한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시민들은 항의했고, 전문가들은 당국이 제시한 이유를 거부하며 불필요한 프로젝트에 돈을 낭비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32][34] 말리는 낡은 다리를 철거하는 대신 옮길 것이며, 위치는 시민들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대 전쟁섬으로 가는 영구적인 보행자 다리로서 제문으로 옮기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세르비아 건축 아카데미 회원인 알렉산다르 밀렌코비치는 "대전쟁 섬 위의 구름"이라는 기사에서 이 제안에 반대했다. 그는 "행정부의 동시적인 임시 결정"을 염두에 두고, 겉보기에는 무해한 아이디어가 실제로는 전략적으로 재앙적인 사업(섬의 보호 야생동물과 관련)이기 때문에 신속하게 반응해야 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또한 이 경우, 이전의 모든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정부가 수많은 이론적 및 경험적 지침을 무시할 것이라고 의심한다.[35]

2014년, 정부는 이전 항구 지역을 미래의 활성화된 항만 지역으로 지정했다.[36] 2018년 4월에는 구 제문 항구가 위치했던 구 항만청(''Stara Kapetanija'') 근처에 관광선 및 유람선을 위한 부두가 건설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이 부두는 길이 120m 및 폭 15m까지의 선박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37] 이 부두는 사바 강의 사바말라에 있는 부두에 이어 베오그라드에서 두 번째 국제 관광 부두이다.[38] 건설은 결국 2019년 6월에 시작되었으며, 이전 제방에서 나온 슬래브와 여러 침몰 선박이 발견되었다.[39] 부두는 2020년 6월 6일에 완공되었다.[40]

바타이치카 공군 기지는 바타이니차 정착지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제한적인 민간 교통도 이루어진다.

1928년, 건설 회사 "슈마디야"는 "공중 전차"라고 불리는 케이블카 건설을 제안했다. 이 프로젝트는 제문과 칼레메그단의 베오그라드 요새를 대 전쟁섬을 통해 연결하는 것을 계획했다. 객실의 간격은 2분으로 설정되었고 전체 경로는 5분으로 예상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실현되지 않았다.[43]

2011년 4월, 베오그라드 수도권의 도시 철도 「BG Voz」의 바타이니차 - 노비베오그라드 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베오그라드 중심부를 거쳐 판체보 다리 역까지 BG Voz 전철로 직통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8. 1. 철도

2016년 초부터 베오그라드 중앙역에서 신설 프로코프역으로 열차를 점진적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2017년 12월, 국영 열차 두 대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베오그라드 중앙"으로 이전되었다.[41] 베오그라드 중심부에 새로운 화물역을 건설할 계획이 있었지만,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프로코프역은 아직 완공되지 않았고, 역 건물과 제대로 된 접근 도로 및 시내 대중교통 연결 시설이 없었다. 오토 열차에서 차량을 싣고 내리는 시설도 없었고 계획된 적도 없었으며, 이 시설은 제문 화물역의 일부가 될 예정이었다.

2018년 1월, 철도 교통의 완전한 이전에 필요한 어떤 프로젝트도 완료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역은 2018년 7월 1일에 교통을 위해 완전히 폐쇄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프로코프역은 미완공 상태이며, 제문에 계획된 주요 화물역은 전혀 개조되지 않고 있고, 베오그라드 철도 순환선에 대한 계획조차 없었다.[42]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일련의 임시 해결책이 적용되어야 했다. 그중 하나는 제문역이 가동될 때까지 오토 열차에 맞게 개조되고 개조될 폐쇄되고 노후된 톱치데르역이었다. 제문의 화물역은 기존 제문역과 제문 폴리에역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은 35ha이다. 기존 6km 선로와 14500m2 건물 복구 작업에 이어 17km의 새로운 선로와 18800m2 건물이 추가로 건설될 예정이다. 마감 기한은 2년이지만, 작업은 2018년 말에 시작될 예정이었다. 즉, 계획된 베오그라드 철도 분기점은 기껏해야 2021년 이전에 완공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2017년 12월, 교통부 장관 조라나 미하일로비치는 상반된 마감 기한을 제시했다. 제문역의 경우, 2018년 1월 현재 어떤 작업도 시작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 말까지 완공되어야 한다고 말했다.[42]

9. 문화

제문에는 베오그라드 대학교 농업학부를 비롯하여 내무, 경제, 기술 및 기계, 의학, 제문 김나지움 등 여러 고등학교와 여러 연구소가 있다. 주요 연구소로는 농업 및 임업 연구소, 광업 연구소, 제문 폴리에 있는 옥수수 연구소, 가축 연구소, 농업 분야의 핵 에너지 활용 연구소, 물리학 연구소 등이 있다.

제문에는 스피르타 하우스에 위치한 도시 박물관이 있다.[52][53] 1969년 10월 22일에는 베오그라드 국립 극장의 분원으로 제문 첫 전문 극장이 설립되었고,[50] 1997년에는 유럽 이 지역 최초의 사립 오페라 극장인 마들레니아눔 오페라 & 극장이 설립되었다.[51]

베오그라드의 주요 병원으로는 KBC 제문(KBC Zemunsr)과 KBC 베자니이스카 코사(KBC Bežanijska Kosasr)가 있으며, 베오그라드에서 가장 큰 노인 요양원인 베자니이스카 코사(Bežanijska Kosasr)도 제문에 있다. 종교 시설로는 가르도쉬 묘지 교회와 하리쉬 예배당, 성 니콜라스 교회, 성 대천사 가브리엘 교회, 두 개의 로마 가톨릭 교회가 있다.

제문에는 마지스트라츠키, 센스키, 벨리키, 브란카 라디체비차, 카라조르제브, 마사리코브 등 여러 광장이 있지만, 대부분 규모가 작다. 그중 한 곳에는 제문 야외 녹색 시장이 있다. 도나우 강둑은 1km 길이의 산책로인 제문스키 케이로 조성되어 있으며, 바지선 카페, 유원지, 베오그라드에서 가장 컸던 호텔인 호텔 유고슬라비아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이 있다.

제문에는 다섯 개의 공식 공원이 있다. 가장 크고 오래된 공원은 제문 시립 공원(''그라드스키 공원'', 1886년 개장)이다. 이 외에도 제문스키 케이 공원(2007년 11월 개조), 칼바리아, 옐로바츠, 군대 공원이 있다.[54][55] 또한 다섯 개의 공식 숲이 있는데, 고속도로를 따라 있는 세 곳(오토푸트 숲, 베오그라드-자그레브 고속도로 숲, 나치오날 숲)과 베자니이스카 코사 숲(고속도로변), 대/소 전쟁 섬이 있다.[56]

9. 1. 주요 건축물 및 유적

메인 거리(Glavna)에서 바라본 다양한 건축물


화이트 베어 선술집은 추코바츠 지역에 있는 옛 카파나(술집)이다. 1658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베오그라드 요새를 제외하면 현대 베오그라드의 도시 지역에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44] 제문은 수 세기 동안 베오그라드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발전했으며, 역사상 대부분 두 도시는 서로 다른 주에 속해 있었다. 제문은 1929년 10월 4일에 베오그라드와 같은 행정 구역이 되었고,[45] 1934년에는 베오그라드에 도시 지위를 빼앗겼으며,[46] 1950년대 이후에야 베오그라드와 지속적으로 연결된 지역을 형성했다. 따라서 베오그라드 시내 도르촐 지역의 10 카라 두산 거리의 집이 일반적으로 베오그라드에서 가장 오래된 집으로 불리는 반면,[47][48] 화이트 베어 선술집은 제문에서 가장 오래된 집으로 불린다.[49]

제문의 첫 번째 전문 극장은 1969년 10월 22일 메인 거리(당시 마르샬 티토 거리)에 베오그라드 국립 극장의 분점으로 설립되었다.[50] 마들레니아눔 오페라 & 극장은 1997년에 유럽 이 지역 최초의 사립 오페라 극장으로 설립되었다. 마들레니아눔의 설립자이자 기증자는 마들레나 제프터이다. 마들레니아눔은 상설 앙상블 없이, 상설 조직과 행정 시스템, 기술 팀을 갖춘 새로운 음악-극적 극장의 모델로 구성되었다.[51]

베오그라드 대학교 농업학부는 제문에 있으며, 다른 많은 중요한 고등 학교(내무, 경제, 기술 및 기계, 의학, 제문 김나지움)와 연구소(농업 및 임업 연구소, 광업 연구소, 세계적으로 유명한 제문 폴리에 있는 옥수수 연구소, 가축 연구소, 농업 분야의 핵 에너지 활용 연구소, 물리학 연구소)도 위치해 있다.

제문에는 역사적인 스피르타 하우스에 위치한 도시 박물관이 있다.[52][53]

베오그라드의 주요 병원-임상 센터 두 곳, 즉 KBC 제문(KBC Zemunsr)과 KBC 베자니이스카 코사(KBC Bežanijska Kosasr)가 제문에 있으며, 베오그라드에서 가장 큰 노인 요양원인 베자니이스카 코사(Bežanijska Kosasr)도 위치해 있다. 교회로는 가르도쉬 묘지 교회와 하리쉬 예배당, 성 니콜라스, 성 대천사 가브리엘과 두 개의 로마 가톨릭 교회가 있다.

제문은 많은 광장으로 알려져 있지만, 거의 모든 광장의 규모는 작다: 마지스트라츠키, 센스키, 벨리키, 브란카 라디체비차, 카라조르제브, 마사리코브 등. 그중 한 곳에 제문 야외 녹색 시장이 있다. 도나우 강둑은 킬로미터 길이의 산책로인 제문스키 케이로 바뀌었으며, 바지선 카페, 유원지, 특히 베오그라드에서 가장 컸던 호텔인 호텔 유고슬라비아(Hotel Jugoslavija)를 포함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이 있다.

12세기에 헝가리 왕국과 비잔틴 제국 사이의 전투 중에 존재했던 옛 도시의 잔해는 제문스키 그라드(제문 타운)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보이는 유적은 1521년 오스만 제국의 포위 공격 당시의 중세 요새(각진 탑과 방어벽의 일부)이다. 이 전투에서 강력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7월 12일에 제문은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64] 베오그라드도 그 직후에 점령되었다(Пад Београдаsr). 쿨라 시비니야닌 얀카(Kula Sibinjanin Jankasr, "후냐디 야노슈의 탑") 또는 밀레니엄 타워는 1896년 8월 20일에 판노니아 평원헝가리 정착 1,000년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어 공식적으로 개장되었다. 이 탑은 다양한 양식의 조합으로 건설되었으며, 주로 로마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자연적인 전망대 역할을 하여, 수십 년 동안 제문의 소방관들이 사용했다. 오늘날, 이 탑은 탑이 건설되기 450년 전에 실제로 옛 요새에서 사망한 야노스 후냐디의 이름을 따서 더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가르도쉬는 오늘날 제문을 가장 잘 나타내는 상징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 지역은 좁고, 여전히 대부분 자갈길이며 현대 차량에 부적합한 거리와 개별 주택으로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제문에는 다섯 개의 공식 공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더 많은 녹지 공간이 있다. 가장 크고 오래된 공원은 제문 시립 공원(''그라드스키 공원'', 1886년 개장)이다. 또한 제문스키 케이 공원(2007년 11월에 개조된 강변), 칼바리아, 옐로바츠 및 군대 공원도 있다.[54][55] 다섯 개의 공식 숲: 고속도로를 따라 있는 세 곳(오토푸트 숲, 베오그라드-자그레브 고속도로 숲 및 나치오날 숲), 베자니이스카 코사 숲(고속도로변), 대/소 전쟁 섬.[56]

9. 2. 교육

베오그라드 대학교 농업학부가 제문에 있으며, 그 외에도 내무, 경제, 기술 및 기계, 의학, 제문 김나지움 등 여러 고등학교와 농업 및 임업 연구소, 광업 연구소, 제문 폴리에 있는 옥수수 연구소, 가축 연구소, 농업 분야의 핵 에너지 활용 연구소, 물리학 연구소 등 여러 연구소가 있다.

제문에는 스피르타 하우스에 위치한 도시 박물관이 있다.[52][53] 1997년에는 이 지역 최초의 사립 오페라 극장인 마들레니아눔 오페라 & 극장이 설립되었다.

9. 3. 종교 시설

제문에는 가르도쉬 묘지 교회와 하리쉬 예배당, 성 니콜라스 교회, 성 대천사 가브리엘 교회 그리고 두 개의 로마 가톨릭 교회가 있다.

9. 4. 스포츠

제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축구 클럽은 세르비아 퍼스트 리그에서 뛰고 있는 FK 제문과, 세르비아 리그 베오그라드에서 뛰고 있는 텔레옵티크 제문이다.[67] 텔레옵티크는 파르티잔 베오그라드의 팜 팀으로 여겨지며, 파르티잔의 많은 유소년 선수들이 1군으로 승격되기 전에 이곳에서 경험을 쌓는다. 제문에는 FK 제문의 경기장인 제문 경기장을 포함한 몇 개의 작은 경기장이 있다. 베오그라드의 주요 스포츠 경기장 중 하나인 핑크 홀은 보슈코 팔코블레비치 핀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제문에 위치해 있다.

제문에는 FK 제문, FK 밀루티나츠 제문(FK Milutinac), BSK 바타이니차(BSK Batajnica)의 홈 구장을 비롯해 다수의 스포츠 경기장이 있다. 베오그라드의 주요 실내 스포츠 시설 할라 핀키(Pinki)도 제문에 있다.

과거에는 슈파르타 제문(Šparta Zemun) 및 ZAŠK(:en:ZAŠK)라는 축구 클럽도 있었지만, 1939년에 SK 제문으로 통합되었다.[67]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나치 독일 점령 시대, 괴뢰 정권의 크로아티아 독립국 영토가 된 제문에는 HŠK 그라단스키(HŠK Građanski), HŠK 제문(HŠK Zemun), HŠK 두나브 제문(HŠK Dunav), HŠK 하이두크 제문(HŠK Hajduk)이라는 4개의 크로아티아인 축구 클럽과 DSV 빅토리아 제문(DSV Victoria), SK 리트(SK Liet)라는 2개의 독일인 축구 클럽이 있었다.

FK 제문은 과거 갈레니카라는 이름을 사용했을 때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 소속된 경험이 있다. 이 외에도 FK 텔레옵티크(Teleoptik), FK 즈마이(Zmaj), FK 밀루티나츠 제문(Milutinac)과 같은 축구 클럽도 있다.

10. 국제 관계

제문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57][68]

국가도시
팔레스타인알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바냐루카
북마케도니아비톨라
룩셈부르크에슈쉬르알제트
몬테네그로헤르체그노비
슬로베니아크란
그리스코르푸
영국타워 햄리츠
오스트리아Mödling|뫼들링de
독일오펜바흐암마인
북마케도니아오흐리드
크로아티아오시예크
프랑스퓌토[58]
시리아리프 디마스크
네덜란드틸뷔르흐
이탈리아벨레트리
그리스베로이아


참조

[1] 템플릿 Serbian municipalities 2006
[2] 웹사이트 Насеља општине Земун http://webrzs.stat.g[...] Statistical Office of Serbia 2019-10-23
[3] 서적 Comparative overview of the number of population in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2 and 2011 – Data by settlements, page 29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Belgrade 2014
[4] 웹사이트 "[Projekat Rastko] Dragoslav Srejovic: Kulture bakarnog i ranog bronzanog doba na tlu Srbije" http://www.rastko.rs[...] 2018-04-22
[5] 간행물 Historical picture of development of Early Iron Age in the Serbian Danube basin 2004-01
[6] 뉴스 Tragom Skordiska u našem gradu 2018-11-08
[7] 문서 A manual of ancient and modern history ... William Cooke Taylor, Caleb Sprague Henry
[8] 문서 Vespasian-Barbara Levick
[9] 문서 "''Biographia classica: the lives and characters of the Greek and Roman classics'', by [[Edward Harwood]]."
[10] 서적 Povijest Hrvatske I. (od najstarijeg doba do g. 1657.)
[11] 간행물 Hrvatska strana Zemuna http://www.matica.hr[...] 2013-02-24
[12] 문서 See [[:sr:Пад Београда (1521)]] – Fall of Belgrade (1521) {{in lang|sr}}
[13] 서적 Draslar Partner 2006
[14] 뉴스 Мегдани аласа и риба грдосија 2018-04-22
[15] 서적 Catastrophe 1914 : Europe goes to war 2013
[16] 웹사이트 Brdo Gardoš nije brdo http://e-zemun.rs/ve[...] Politika 2017-05-04
[17] 뉴스 Prestonica dobija još devet prirodnih dobara http://www.politika.[...] 2013-06-09
[18] 뉴스 2022-05-15
[19] 뉴스 Gradiće se brana na Dunavu! http://www.novosti.r[...] 2018-09-18
[20] 뉴스 Uskoro gradnja brane na Dunavu kod Novog Beograda https://www.blic.rs/[...] 2018-09-17
[21] 뉴스 Umesto džakova, mobilna brana protiv poplava http://www.politika.[...] 2018-09-22
[22] 뉴스 Putovanje kroz istoriju beogradskim metroom http://www.politika.[...] 2011-10-30
[23] 뉴스 2018-08-19
[24] 웹사이트 Vumi's Antika – Prikazati pojedinačan prilog – Istorija Gradova-Beograd http://www.vumidet.n[...] 2018-04-22
[25] 뉴스 Klizišta nisu samo hir prirode http://www.politika.[...] 2011-11-08
[26] 뉴스 Otapanje pokreće i klizišta http://www.politika.[...] 2012-02-22
[27] 뉴스 Zemun ispod Zemuna 2011-10-09
[28] 웹사이트 DECISION ON LOCAL COMMUNITIES ON THE TERRITORY OF THE CITY MUNICIPALITY OF ZEMUN https://www.sllistbe[...] 2020-05-16
[29] 웹사이트 Zemun ponovo dobio mesne zajednice https://www.blic.rs/[...] 2020-05-16
[30] 웹사이트 ETHNICITY – Data by municipalities and cities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3-11-23
[31]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12-29
[32] 웹사이트 Stari savski most pada u vodu http://www.politika.[...] Politika 2017-05-18
[33] 웹사이트 Rekonstrukcija Savskog mosta 2017 godine http://www.blic.rs/v[...] Blic 2016-03-17
[34] 웹사이트 Peticija da se ne ruši Stari savski most http://rs.n1info.com[...] N1 2017-08-04
[35] 뉴스 Oblak nad Velikim ratnim ostrvom 2017-07-26
[36] 뉴스 2019-12-28
[37] 뉴스 Turistički kruzeri od sledeće sezone pristaju u Zemun http://www.novosti.r[...] 2018-04-24
[38] 뉴스 Крузери ће пристајати у Земуну 2018-04-26
[39] 뉴스 Niče pristan u Zemunu http://www.politika.[...] 2019-11-18
[40] 뉴스 2020-06-07
[41] 웹사이트 Прокоп од данас главна железничка станица http://www.rts.rs/pa[...] 2018-04-22
[42] 뉴스 Posle 134 godine bez vozova u Savskom amfiteatru http://www.politika.[...] 2018-01-16
[43] 뉴스 San o žičari od Bloka 44 do Košutnjaka 2012-08-27
[44] 뉴스 Kuća na Ćukovcu od 354 leta http://www.politika.[...] 2012-04-14
[45] 서적 Službene novine KJ br. 232/29 (Official Gazette of the Kingdom of Yugoslavia, No. 232/29) 1929
[46] 서적 Prilog prošlosti gradskog parka u Zemunu od sedamdesetih godina XIX veka do 1914. godine (A contribution to the past history of the town park in Zemun from the 1870s to 1914)
[47] 웹사이트 Cultural monument – House at 10, Cara Dušana Street http://beogradskonas[...] Catalogue of the cultural properties in Belgrade
[48] 뉴스 Tajna kuće u Dušanovoj 10 http://web.arhiv.rs/[...] 2010-05-24
[49] 뉴스 Najstarija kuća u Zemunu http://www.danas.rs/[...] 2016-10-16
[50] 뉴스 1969-10-23
[51] 웹사이트 Monografije Opere i teatra Madlenianum | Opera & Theatre Madlenianum https://operatheatre[...]
[52] 웹사이트 Zavičajni muzej Zemuna {{!}} Muzeji i galerije {{!}} Šta videti https://www.tob.rs/s[...] 2024-10-15
[53] 웹사이트 Завичајни музеј Земуна http://www.mgb.org.r[...] 2024-10-18
[54] 웹사이트 Зоран Алимпић обишао обновљени парк на Мажуранићевом тргу http://www.beograd.r[...] 2018-04-22
[55] 뉴스 2019-05-24
[56] 서적 http://mapa.urbel.co[...] Urbanistički zavod Beograda 2010
[57] 웹사이트 Zemun – Beograd http://www.skgo.org/[...]
[58] 웹사이트 Puteaux – Qu'est-ce que le jumelage? http://www.puteaux.f[...] 2013-12-28
[59] url http://www.rastko.rs[...]
[60] url http://www.balkanins[...]
[61] 문서 A manual of ancient and modern history ... William Cooke Taylor,Caleb Sprague Henry
[62] 문서 Vespasian-Barbara Levick
[63] 문서 Biographia classica: the lives and characters of the Greek and Roman classics
[64] url Hrvatski doprinos zemunskom naslijeđu http://www.hrvatskar[...] Hrvatska riječ 2009-05-29
[65] 뉴스 2007-11-06
[66] url Beoinfo http://www.beograd.r[...]
[67] url Sport u Zemunu http://home.swipnet.[...]
[68] 웹사이트 Stalna konferencija gradova i opština http://www.skgo.org/[...] 2007-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