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권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권국은 19세기 말부터 국경을 가진 국가로 나뉘어 형성되었으며, 국제 연합을 중심으로 한 국제 사회의 기반을 이룬다. 베스트팔렌 조약(1648년)은 영토성을 바탕으로 한 국가 주권 개념을 확립했으며, 이후 자기 결정의 원칙 발전과 무력 위협 금지로 주권의 의미가 변화했다. 주권 국가는 특정 영토 내에서 국내 정책 우위와 외교 정책 독립을 특징으로 하며, 국가의 승인은 본질적 이론과 선언적 이론에 따라 결정된다. 국가는 법률상 및 사실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정부와는 구별된다. 주권 국가 체제는 유럽에서 시작되어 변용을 겪었으며, 국가의 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급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권 - 탈식민지화
    탈식민지화는 식민지 지배로부터의 해방과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60년 결의안을 통해 식민지화된 국가들에게 자결권을 부여하였다.
  • 주권 - 독립기념일
    독립기념일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정치적 독립을 쟁취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 이 문서는 전 세계 국가들의 독립 연도, 날짜, 이전 지배 국가 등의 정보를 대륙별 표로 정리하여 제공하며, 일부 국가의 역사적 배경 설명과 독립기념일이 없는 국가 목록도 포함한다.
  • 정치지리학 - 해외
    해외는 대한민국 이외의 지역을 의미하며, 각 국가 및 문화권에 따라 범위가 다르게 인식되고, 역사적으로 대륙 간 이동 수단 발달과 현대 비행기 발달로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었다.
  • 정치지리학 - 유럽 대륙
    유럽 대륙은 지리적 경계가 불명확하여 맥락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며, 유럽 본토, 주변 섬과 반도, 유럽 연합 회원국 등을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여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용어이다.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주권국
개요
녹색 바탕의 국기 이미지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
정의영토에 대해 최고의 권한을 가지는 국가
특징
구성 요소영구적인 인구
정의된 영토
정부
다른 국가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
주권대내적 최고성
대외적 독립성
국제법적 관점
몬테비데오 협약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몬테비데오 협약에서 규정하는 국가의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함.
승인국가로 인정받기 위한 조건. 국가 승인은 국가 건설에 중요한 요소임.

2. 역사

19세기 말 이후, 지구는 대부분 국경을 가진 국가로 나뉘었다. 현대 국가는 국제 연합(UN)을 중심으로 한 국제 사회에 속하며, 국제법, 외교 등의 기반을 이룬다. 베스트팔렌 조약(1648년)은 영토성을 바탕으로 한 국가 주권 개념을 확립했으며, 종교와 국가의 분리, 군주의 종교 결정권 인정 등을 포함한다. 베스트팔렌 조약 이전에는 절대 면제 개념이 있었으나, 현대에는 제한적 면제를 법으로 도입하는 국가들이 생겨나고 있다.

백년 전쟁30년 전쟁을 통해 근대 국가의 형태가 갖춰졌으며, 이 시스템은 18세기 - 19세기를 거쳐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현대에도 기본적으로 계승되고 있다.

2. 1. 베스트팔렌 조약과 주권 국가 체제

베스트팔렌 조약1648년 30년 전쟁 이후 체결된 조약으로, 네덜란드스위스 연방의 독립을 인정했다.[20] 이 조약은 국가 주권의 독립, 주권 평등 등 현대 국제법의 여러 원칙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기서 확립된 주권 국가 체제는 각 주권 국가가 일정 영역에 대하여 배타적으로 공권력을 행사하고, 그 점을 서로 인정함으로써 성립되는 세계 질서를 의미한다.

중세 유럽은 로마 가톨릭 교회와 신성 로마 제국, 라틴어라는 보편성으로 결합되어 있었지만, 국왕권의 확립, 국경관세 개념의 등장으로 개별 국가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종교 개혁 이후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에 의해 로마 가톨릭 교회와 다른 교회 및 국가들이 각자의 개별성을 주장하면서 국어도 확립되어 갔다. 오스만 제국의 강성은 유럽 국가들 간의 외교 교섭을 촉진했고, 30년 전쟁은 유럽 각국이 외교 사절을 교환하고 강화 조약동맹을 맺는 외교 관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20]

3. 주권 국가의 성립 요건

국제법에는 국가가 언제 주권자로 승인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몇 가지 이론이 존재한다.[82]

주권 국가의 성립 요건에 대해서는 크게 본질적 이론선언적 이론 두 가지가 있다. 본질적 이론은 다른 국가의 승인을 받아야만 주권 국가로 성립된다는 이론이며, 선언적 이론은 영토, 인구, 정부, 외교 능력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다른 국가의 승인과 관계없이 주권 국가로 성립된다는 이론이다.[86]

국가 승인은 주권 국가가 다른 실체를 역시 주권 국가로 취급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승인은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효과는 소급 적용된다. 그러나 국가 승인이 반드시 외교 관계를 수립하거나 유지하려는 의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3. 1. 본질적 이론 (Constitutive Theory)

국가의 구성 요건 이론은 한 국가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국가로부터 주권 국가로 인정받는 경우에만 국제법상 법인으로 정의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19세기에 발전하였다.[83] 이 이론에 따르면, 다른 주권 국가가 주권 국가로 승인하면 그 국가는 주권 국가가 된다. 따라서 새로운 국가는 즉시 국제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없거나 국제법에 구속될 수 없었으며, 인정된 국가는 이러한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국제법을 존중할 필요가 없었다.[25]

1815년 빈 회의의 최종 의정서는 유럽 외교 체제에서 39개의 주권 국가만을 인정했으며, 그 결과 앞으로 새로운 국가는 다른 국가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하나 이상의 강대국의 인정을 의미한다는 것이 확고히 정립되었다.[84]

이 법에 대한 주요 비판 중 하나는 일부 국가는 새로운 실체를 인정하지만 다른 국가는 인정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혼란이다. 이 이론의 주요 지지자 중 한 명인 허쉬 라우터파흐트는 국가가 인정을 부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국가는 인정을 부여할지 여부를 판단할 때 어떤 기준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기준을 사용할 의무는 없다. 많은 국가는 다른 국가가 자국에 유리한 경우에만 인정을 할 수 있다.[85]

1912년, L. F. L. 오펜하임은 국가 구성 요건 이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3. 2. 선언적 이론 (Declarative Theory)

선언적 이론은 한 국가가 영토, 인구, 정부, 그리고 다른 나라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외교 능력)이라는 네 가지 요건을 충족하면 국제법상 주권국으로 성립된다고 본다.[86] 이 이론에 따르면, 어떤 국가의 주권은 다른 국가의 인정 여부와는 관계가 없으며, 주권 획득 과정에서 무력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인정받지 않아도 된다. 선언적 이론은 1933년 몬테비데오 협약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86]

몬테비데오 협약 제3조는 국가의 정치적 지위가 다른 국가의 인정과 무관하며, 국가는 스스로를 방어할 권리가 있다고 선언한다.[87] 또한 제11조는 주권 획득을 위한 무력 사용을 금지한다.

"국가를 구성하는 조건"과 유사한 견해는 배드인터 중재 위원회의 유럽 경제 공동체 의견에서도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국가를 영토, 인구, 정부, 그리고 다른 국가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정의한다.[88]

3. 3. 국가 승인 (State Recognition)

국가의 승인은 한 국가를 주권국으로 간주하는 다른 주권국의 결정만을 의미한다.[79] 이는 외교 관계 수립이나 유지와는 다르다.

국가 승인 기준은 주로 정치적이며, 국제법에는 명확한 기준이 없다.[80] L.C. 그린은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의 승인을 예로 들며 "국가 승인은 재량의 문제"라고 설명했다.[81]

국제법은 국가가 다른 국가를 승인하도록 강요하지 않는다.[90] 새로운 국가가 불법적이거나 국제법을 위반했을 때 국제사회는 종종 승인을 보류하는데, 로디지아북키프로스가 그 예이다.[91][92] 로디지아는 백인 소수 민족 정권이, 북키프로스는 키프로스 북부에 세워진 국가라는 이유로 널리 인정받지 못했다. 그러나 국제법은 독립 선언을 금지하지 않으며,[93] 국가 승인은 정치적인 문제이다.[94] 터키계 키프로스인은 유럽 평의회에서 "옵서버" 지위를 얻었고, 북키프로스는 이슬람 협력 기구, 경제 협력 기구 등 여러 국제기구의 옵서버 회원국이 되었다.

4. 사실상(De facto) 국가와 법률상(De jure) 국가

대부분의 주권국은 법률상 그리고 사실상으로 모두 존재한다. 그러나 어떤 국가는 법률상으로만 인정받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정부들은 자국이 추축국에 점령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연합국과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48]

다른 경우로, 어떤 실체는 영토에 대한 사실상 통제는 하고 있지만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할 수 있다. 국제 사회는 이러한 실체를 단지 사실상의 국가로만 간주할 수 있다. 소말릴란드가 대표적인 예이다.[49][50][51][52]

2019년 5월, 세계의 사실상 지배 지도

5. 국가와 정부의 관계

국제법국가정부를 구분하며, 망명정부의 개념은 그 차이에 근거를 두고 있다.[102] 국가는 비정치적 사법 기관이며, 어떤 종류의 조직도 아니다.[103] 그러나 국가의 정부는 조약과 같은 수단으로 국가를 의무화하거나 구속할 수 있다.[102]

6. 국가의 소멸

국가는 자발적인 수단이나 군사적 침략과 같은 외부의 힘을 통해 소멸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폭력을 통한 국가 소멸은 사실상 중단되었다.[104] 국가는 구체적인 형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물리적인 힘만으로는 국가를 소멸시킬 수 없다고 주장되어 왔다.[105] 따라서 군사적 침략은 국가를 소멸시키기 위해서 올바른 사회적 혹은 사법적 행동과 연계되어야 한다.

7. 주권 국가 체제의 특징 (일본어 문서 내용)

국가 정부에 우월한 권위는 국내외에 존재하지 않으며, 국가 간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아나키로 가정된다.[19] 각국은 경찰, 군대 등 폭력 장치를 독점하고 서로 대치한다. 또한, 각국은 국민 경제(경제적 자립)를 목표로 하고, 고유한 문화, 가치, 이념을 확립하여 경쟁한다.[20] 이러한 특징을 가진 주권 국가 체제는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확립되었지만, 세계의 일체화와 세계 문제의 등장으로 오늘날 변화를 겪고 있다.

8. 주권 국가 체제의 변용 (일본어 문서 내용)

주권 국가 체제는 유럽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지만, 유럽을 무대로 한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변질되기 시작했다.[22]

9. 주권 국가의 존재론적 위치

국가의 존재론적 지위는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63][64][106][107] 특히 국가를 보거나, 맛보거나, 만지거나, 감지할 수 없는 객체가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주를 이룬다.

9. 1. 준(準)추상적 상태

국가는 플라톤학파의 구체성과 추상성 면에서 자리를 잡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3의 범주인 준추상물에 속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108] 구체적인 물체는 시간과 공간상에 위치하는 물체를 말하나, 국가는 그렇지 않고(국가의 영토는 공간상의 위치를 가지지만, 국가는 영토와 구별된다), 추상적인 물체는 시간과 공간상의 위치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국가의 특성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국가는 일시적인 위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와 같은 준추상적 존재는 문서를 통해 실재할 수 있으며, 조약으로 구속하거나 전쟁에서 항복하는 등 조작할 수도 있다.[65]

9. 2. 정신적 상태

국가의 존재에 대한 또 다른 이론은 국가가 그 자신의 존재를 가진 영적이거나 신비로운 존재이며, 국가의 구성원들과는 구별된다는 것이다. 독일의 관념론 철학자 게오르크 헤겔은 이 이론의 가장 큰 지지자였으며, 국가를 "지구에 존재하는 신념"이라고 표현했다.[67]

10. 국가의 수 추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이후 국제사회의 주권국 수는 급증했다.[110] 일부 연구에 따르면 국제적, 지역적인 기구들의 존재, 경제적 원조의 더 큰 가용성, 그리고 자기 결정의 수용 확대는 독립하려는 정치 세력들의 욕구를 증가시켰고, 이로 인해 국가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111][112] 하버드의 경제학자 알베르토 알레시나와 투프츠의 엔리코 스폴라오레는 그들의 저서 '국제 사회의 크기(Size of Nations)'에서 국가 수 증가는 더 평화로운 세계, 자유 무역, 국제 경제 통합, 민주화 그리고 경제를 옹호하는 국제 기구의 존재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13]

참조

[1] 논문 Sovereignty: An Introduction and Brief History 1995
[2] 서적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with a sketch of the history of the science Carey, Lea & Blanchard 1836
[2] 사전 sovereign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4
[2] 사전 sovereig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 논문 The Opinions of the Badinter Arbitration Committee A Second Breath for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1992
[3] 논문 What constitutes the sovereign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1996
[4] 웹사이트 Countries Not in the United Nations 2024 https://worldpopulat[...] 1945-06-26
[5] 논문 Recognition of Governments in International Law 2001
[6] 서적 International law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6] 서적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law Kluwer Law International 1995
[7] 논문 Statehood and recognition in world politics: Towards a critical research agenda 2022
[8] 논문 Legitimization of Statehood and its Impact on Foreign Policy in De Facto States: A Case Study of Abkhazia Brill 2018
[9] 서적 Sovereignty: Organised Hypocris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논문 About the Impossibility of Absolute State Sovereignty
[11] 논문 From Trusteeship to Self-Determination and Back Again: The Role of the Hague Regulations in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Trusteeship, and the Framework of Rights and Duties of Occupying Powers
[12] 서적 International Law 1928
[13] 서적 International law and the protection of Namibia's territorial integrity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4] 웹사이트 Chapter IV Fundamental Rights and Duties of States http://www.oas.org/d[...] Secretariat of The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15] 웹사이트 Draft Declaration on Rights and Duties of States http://legal.un.org/[...] UN Treaty Organization
[16]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resolution 1803 (XVII) of 14 December 1962, "Permanent sovereignty over natural resources" http://www2.ohchr.or[...] United Nations
[17] 논문 The Story of the U.N.'s Declaration on Permanent Sovereignty over Natural Resources 1963
[18] 웹사이트 OHCHR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https://www.ohchr.or[...]
[19] 논문 Globalization and Sovereignty: Why do States Abandon their Sovereign Prerogatives? https://www.socionau[...] 2008
[20] 논문 Islam, Religious Revival and the Sovereign State 2007-07
[21] 서적 Great Powers and Outlaw States: Unequal Sovereigns in the International Legal Or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2] 서적 The State Immunity Controversy in International Law 2005
[23] 서적 International law: achievements and prospect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1
[24] 서적 Israel Yearbook on Human Rights, 1989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0
[25] 서적 Sourcebook on Public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 서적 Taming the Sovereigns https://books.google[...]
[27] 서적 International Law: A Treatise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Ltd.
[28] 서적 Recognition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논문 The Status of Unrecognized Quasi-States and Their Responsibilities Under the Montevideo Convention https://poseidon01.s[...] 2019-12-19
[30] 웹사이트 Convention on Rights and Duties of States http://www.oas.org/j[...]
[31] 서적 International Law and Self-Determination: The Interplay of the Politics of Territorial Possession With Formulations of Post-Colonial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32]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Legal Criteria for Statehood: A Response to Jure Vidmar https://www.ejiltalk[...] 2013-08-07
[33] 서적 The recognition of states: law and practice in debate and evolution Praeger 1999
[34] 서적 Recognition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5] 문서 Opinion No. 10. of the Arbitration Commission of the Conference on Yugoslavia
[36] 문서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16
[37] 문서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541
[38] 웹사이트 The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Hisashi Owada (2010): "International law contains no prohibition on declarations of independence." https://www.bbc.com/[...] 2018-05-22
[39] 서적 Oshisanya, An Almanac of Contemporary and Comperative Judicial Restatement, 2016 https://books.google[...] 2022-11-14
[40] 웹사이트 The decision of 02.07.2013. paragraph 29 https://hudoc.echr.c[...] 2013-07-02
[41] 웹사이트 Property Spat Over Turk-Controlled Cyprus Fails https://www.courthou[...] 2014-10-13
[42] 웹사이트 Michali Toumazou, Nicolas Kantzilaris and Maroulla Tompazou versus Republic of Turkey and Turkish Republic of Northern Cyprus http://dockets.justi[...] 2023-10-20
[43] 웹사이트 Opinion stating the reasons for the Court's Order of September 30, 2014 granting both the TRNC's and the HSBC defendants' motions to dismiss, denying the plaintiffs' motion for leave to amend, and dismissing this action with prejudice for Toumazou et al v. Republic of Turkey et al https://docs.justia.[...] 2023-10-21
[44] 웹사이트 The decision of 02.09.2015. paragraph 237. https://hudoc.echr.c[...] 2015-09-02
[45] 뉴스 Criminals fleeing British justice can no longer use Cyprus as a safe haven, judges rule, in landmark decision https://web.archive.[...] The Telegraph 2017-02-03
[46]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Counter Secession: Preventing the Recognition of Contested States https://books.google[...] 2022-11-14
[47] 서적 Unrecognised Subjects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Scholar Publishing House 2024-02-05
[48] 서적 The Reality of International LawEssays in Honour of Ian Brownli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10-14
[49] 학술지 De facto Statehood? The Strange Case of Somaliland http://yalejournal.o[...] 2010-01-04
[50] 웹사이트 The List: Six Reasons You May Need A New Atlas Soon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Magazine 2010-01-04
[51] 웹사이트 Overview of De-facto States http://www.unpo.org/[...]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2010-01-04
[52] 웹사이트 France recognises de facto Somaliland http://www.lesnouvel[...] Les Nouvelles d'Addis Magazine 2010-01-04
[53] 웹사이트 The Nagorno-Karabakh Republic: The life and death of an unrecognized state https://eurasianet.o[...] EurasiaNet 2024-01-04
[54] 서적 Parry and Grant Encyclopaedic Dictionary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3-07
[55] 학술지 The Semi-Sovereign State: Belarus and the Russian Neo-Empire 2006-04
[56] 서적 Policy and Politics in West Germany: The Growth of a Semisovereign State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22-03-07
[57] 서적 Rethinking Germany and Europe: Democracy and Diplomacy in a Semi-Sovereign Stat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22-03-07
[58] 학술지 The Distinction Between State and Government 2013-08
[59] 서적 The Creation of States in International Law Clarendon Press
[60] 학술지 An ontological analysis of states: Organizations vs. legal persons 2010
[61] 학술지 State Death in the International System 2004
[62] 학술지 The Involuntary Extinction of States: An Examination of the Destruction of States though the Application of Military Force by Foreign Powers since the Second World War http://www.edwardhea[...] 2013-06-06
[63] 학술지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state https://archive.org/[...] 1996
[64] 서적 Sovereign Statehood: The Basis of International Society Allen & Unwin
[65] 학술지 A documentary theory of states and their existence as quasi-abstract entities https://dl.dropboxus[...] 2014-09-16
[66] 학술지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State
[67] 문서 (citation needed)
[68] 서적 The Philosophy of History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69] 웹사이트 The SAGE Handbook of Diplomacy https://uk.sagepub.c[...] SAGE Publications 2016-11-17
[70] 학술지 Membership Has Its Privileges: The Changing Benefits of Statehood 2014-03
[71] 웹사이트 The State of Secess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http://www.e-ir.info[...] 2016-11-16
[72] 서적 The Size of Nations https://mitpress.mit[...] MIT Press 2003-11-07
[73] 서적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4] 서적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law Kluwer Law International 1995
[75] 서적 Elments of international law: with a sketch of the history of the science. Carey, Lea & Blanchard 1836
[76] 사전 sovereign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Company 2014
[77] 사전 sovereig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78] 저널 Recognition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79] 백과사전 Recognition http://www.answers.c[...] Encyclopedia of American Foreign Policy
[80] 서적 IV Recognition of States https://archive.org/[...]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1
[81] 서적 Israel Yearbook on Human Rights https://archive.org/[...]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89
[82] 서적 The recognition of states: law and practice in debate and evolution Westport, Connecticut: Praeger 1999
[83] 서적 International Law: A Treatise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Ltd. 2005
[84] 서적 Taming the Sovereigns
[85] 서적 Sourcebook on Public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8
[86] 서적 Recognition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87] 웹사이트 CONVENTION ON RIGHTS AND DUTIES OF STATES http://www.oas.org/j[...]
[88] 서적 International Law and Self-Determination: The Interplay of the Politics of Territorial Possession With Formulations of Post-Colonial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0
[89] 서적 International law (5차 개정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90] 문서 유고슬라비아 총회 중재위원회 10번 의견
[91] 유엔결의안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16
[92] 유엔결의안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541
[93] 뉴스 The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Hisashi Owada https://www.bbc.com/[...] BBC 2010
[94]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Counter Secession: Preventing the Recognition of Contested States https://books.google[...]
[95] 뉴스 Palestinians 'may declare state http://news.bbc.co.u[...] BBC News.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08-02-20
[96] 문서 이스라엘은 특별 지역 분류에 따라 PNA가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일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최소한의 간섭(국경 통제 유지: 영공, 내해 너머의 바다, 가자 지구에 있는 육지 및 "지역 C"에서 최대한의 간섭을 유지하고 있다.
[97] 저널 De facto Statehood? The Strange Case of Somaliland http://yalejournal.o[...] Yale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2008
[98] 잡지 The List: Six Reasons You May Need A New Atlas Soon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Magazine 2007-07
[99] 웹사이트 Overview of De-facto States http://www.unpo.org/[...] 2008-07
[100] 저널 France recognises de facto Somaliland https://web.archive.[...] Les Nouvelles d'Addis Magazine 2008-04
[101] 저널 The Distinction Between State and Government https://web.archive.[...] The Geography Compass. 2013
[102] 서적 The Creation of States in International Law (2차 개정판) Oxford: Clarendon Press 2006
[103] 서적 An Ontological Analysis of States: Organizations vs. Legal Persons Applied Ontology 2010
[104] 저널 State Death in the International System "State Death in the [...] International Organization 2004-04-01
[105] 저널 The Involuntary Extinction of States: An Examination of the Destruction of States though the Application of Military Force by Foreign Powers since the Second World War https://web.archive.[...] The Journal of Military Geography 2011
[106] 저널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state https://doi.org/10.1[...] 1996-00-00
[107] 저널 overeign Statehood: The Basis of International Society https://archive.org/[...] London: Allen & Unwin 1986-00-00
[108] 저널 A documentary theory of states and their existence as quasi-abstract entities https://dl.dropboxus[...] 2014-00-00
[109] 저널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State 1996-00-00
[110] 웹사이트 The SAGE Handbook of Diplomacy https://uk.sagepub.c[...] 2020-01-11
[111] 저널 Membership Has Its Privileges: The Changing Benefits of Statehood https://doi.org/10.1[...] 2014-03-01
[112] 웹사이트 The State of Secess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https://www.e-ir.inf[...] 2020-01-12
[113] 웹사이트 The Size of Nations https://mitpress.mit[...] 2020-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