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위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치치하얼 시에 속하는 현이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부여, 흑수말갈, 요나라, 금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의 통치를 받았으며, 1933년 만주국에 의해 푸위현으로 설치되었다. 현재는 6개의 진, 3개의 향, 1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이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철도와 도로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치치하얼 시와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치치하얼시의 행정 구역 - 이안현 이안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쑤이화시에 위치하며, 1923년 설치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52년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되었고, 몬순의 영향을 받는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철도와 고속도로가 지나고 병원과 중의원이 위치한다.
치치하얼시의 행정 구역 - 커산현 커산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북서부에 위치한 현으로, 1915년에 현으로 개편되었으며, 현재 7개의 진과 8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고, 치베이 선 철도와 이치 고속도로를 포함한 도로망이 연결되어 있다.
헤이룽장성의 현 - 탕위안현 중국 헤이룽장성 자무쓰시에 있는 탕위안현은 1905년 청나라에 설치되어 1988년 현급시로 승격되었으며, 대륙성 기후를 띠고 허다 고속공로와 G201 국도로 연결된다.
헤이룽장성의 현 - 이안현 이안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쑤이화시에 위치하며, 1923년 설치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52년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되었고, 몬순의 영향을 받는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철도와 고속도로가 지나고 병원과 중의원이 위치한다.
청나라 시대에 이 지역은 치치하얼의 일부로 관리되었다.[2] 1685년, 청나라 정착민들은 현재의 富裕镇|푸위진|푸위중국어에 大来克屯|다라이커툰|중국어이라는 정착촌을 세웠다.[2] 청나라 말기에는 龙江府|룽장부|중국어와 依克明安旗|이커밍안 기|중국어의 관할이었다.[2]
1929년 3월 19일, 중화민국은 이 지역을 设治局|설치국|중국어인 푸위 행정국으로 개편했다.[2]
1933년 10월 1일, 괴뢰 국가인 만주국이 푸위 현을 설립했다.[2] 이후 이 현은 여러 차례 성(省)과 지급행정구역을 변경하여 1984년 12월 15일 치치하얼 시에 속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2] 부유(富裕)는 현 내를 흐르는 우위얼강의 명칭이 변한 것이다.
청대에는 치치하얼 부도통의 관할이었으며, 1685년 (강희 24년)에 타하잔(塔哈爾站, 현재의 타하진(塔哈鎮)), 녕년잔(寧年站, 현재의 부유진(富裕鎮))이 설치되었다. 청말민초에는 현 서부는 용강부(竜江府, 후에 룡강현(竜江県)으로 개칭), 동부는 이극명안기(伊克明安旗)에 속했다. 독립된 행정 구역으로는 1929년 (중화민국력 18년) 3월 19일에 설치된 '''부유설치국(富裕設治局)'''이다.
만주국 건국 후 1933년 (대동 2년) 10월 1일에 '''부유현(富裕県)'''으로 개칭되어 흑룡강성의 관할이 되었다. 이듬해 12월에는 룡강성으로 이관되었다. 전후에는 눈강성이 되었으나, 1949년 5월에 눈강성이 폐지되자 흑룡강성에 편입되어, 1985년 이후에는 치치하얼 시의 관할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청나라 시대에는 이 지역이 치치하얼의 일부로 관리되었다.[2] 1685년, 청나라 정착민들은 현재의 富裕镇|푸위진중국어에 달라이크툰(大来克屯|다라이커툰중국어)이라는 정착촌을 세웠다.[2] 청나라 말기에 이 지역은 龙江府|룽장부중국어와 依克明安旗|이커밍안 기중국어의 관할 하에 놓였다.[2]
2. 3. 근대-현대
1929년 3월 19일, 중화민국은 현재의 푸위현 지역을 设治局|설치국중국어인 푸위 행정국으로 개편했다.[2]
1933년 10월 1일, 괴뢰 국가인 만주국이 푸위 현을 설립했다.[2] 이후 이 현은 여러 차례 성(省)과 지급행정구역을 변경하여 1984년 12월 15일 치치하얼 시에 속하게 되었고, 이후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2]
3. 지리
푸위현은 치치하얼시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눈 강을 사이에 두고 여러 지역과 경계를 접하고 있다.
푸위현은 뚜렷한 사계절을 보이는 춥고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를 나타낸다. 길고 혹독하게 추운 건조한 겨울과 매우 덥고 비가 많이 오는 여름이 특징이다.
푸위 현 기후 데이터 (1971년~2000년 평균, 1991년~2020년 평년값)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평균 최고 기온 (°C)
-14.3
-8.3
1.4
12.3
20.6
25.8
27.6
25.8
19.7
10.2
-2.2
-11.7
8.9
평균 기온 (°C)
-20.7
-15.5
-5.2
5.6
13.9
19.9
22.4
20.4
13.5
4.0
-8.0
-17.5
2.7
평균 최저 기온 (°C)
-26.0
-21.6
-11.7
-1.1
6.7
13.7
17.4
15.4
7.9
-1.5
-12.9
-22.3
-3.0
강수량 (mm)
2.0
1.7
4.8
18.7
31.9
67.6
126.6
101.0
58.8
20.8
4.9
3.5
-
평균 강수일수 (≥ 0.1 mm)
4.2
3.5
3.7
5.8
7.7
12.2
13.8
11.7
9.6
5.9
4.6
5.5
-
최고 기온 기록 (°C)
0.5
9.7
20.7
28.8
35.8
40.7
38.1
35.5
33.3
26.8
14.5
5.3
-
평균 상대 습도 (%)
69
64
53
47
49
63
75
77
68
59
63
69
-
평균 일조 시간
176.8
206.8
251.6
235.7
246.9
234.1
226.1
224.8
226.8
209.4
170.9
153.4
-
평균 일조율 (%)
64
71
68
57
52
49
47
52
61
63
62
59
-
[4][5][6]
3. 1. 위치
푸위현은 치치하얼시 중심부 북쪽, 눈 강 중류의 왼쪽 강둑에 위치해 있으며, 인접한 다칭 지급시와 가깝다.[1] 치치하얼 시내는 남서쪽으로 65km 떨어져 있다. 푸위현은 동쪽으로 이안 현, 서쪽으로 눈 강 건너 간난 현, 북쪽으로 네허 시와 접해 있다.[1]
북부는 너허 시, 동부는 이안 현, 남동부는 다칭 시·린뎬 현, 남서부는 톄펑 구·젠화 구와 접하며, 북서쪽에서 남서쪽으로 눈 강이 흐르고 있다. 이는 간난 현과 메이리스 다우르족 구와의 행정 구역 경계를 이룬다.
3. 2. 지형
푸위현의 고도는 북동쪽이 높고 남서쪽이 낮으며, 현의 평균 해발 고도는 185m이다.[1]
3. 3. 생태
푸위현에서 흔히 발견되는 야생 동물로는 늑대, 여우, 토끼, 두루미, 황새, 비늘가슴물닭이 있다.[1] 푸위현의 흔한 해양 생물로는 잉어, 금붕어, 메기가 있다.[1]
3. 4. 기후
푸위 현은 뚜렷한 사계절을 보이는 춥고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를 나타낸다. 길고 혹독하게 추운 건조한 겨울과 매우 덥고 비가 많이 오는 여름이 특징이다.
신장을 제외하고 중국 내 키르기스족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푸위 키르기스족이 주로 거주하는 우자쯔 마을이며, 푸위현 전체에는 1,400명의 키르기스족이 있다.[7]
산자이자( )는 만주어의 마지막 토착 화자로 여겨지는 고령의 주민들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마을 중 하나이다.[7][8]
푸위 키르기스어는 푸위 현에서 사용되며, 키르기스어의 변종이 아니라 시베리아의 현대 하카스어와 고대 예니세이 키르기스어에 더 가깝다.
5. 1. 민족 구성
푸위 현에는 한족, 만주족, 다우르족, 푸위 키르기스족, 몽골족, 후이족, 티베트족, 먀오족, 이족, 좡족, 부이족, 조선족, 시버족, 야오족, 에벤키족, 오로첸족, 위구르족 등 17개의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7] 한족은 현 인구의 95.5%를 차지한다.[1] 현의 소수 민족은 대부분 산자쯔 (三家子|Ilan Boo중국어) 마을에 거주하는 만주족, 우자쯔 (五家子중국어)에 거주하는 키르기스족, 덩커 (登科중국어)와 기타 마을에 거주하는 다우르족, 그리고 다샤오취안쯔 (大小泉子중국어)에 거주하는 몽골족과 같이 촌락을 이루며 함께 거주한다.[7]
푸위 현에는 약 7,000명의 만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다마강(大马岗), 샤오마강(小马岗), 다가오량(大高粱) 마을에 살고 있다.[7] 타하 진(塔哈镇)은 매년 만주족 스포츠 축제를 개최하며, 여기에는 경마, 레슬링, 궁술, 전통 만주족 스포츠인 펄볼(珍珠球) 경연 및 기타 행사가 포함된다.[7]
푸위 현 정부는 푸위 현에 약 6,000명의 다우르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 지역으로의 이주는 1750년대에 이루어졌다고 추산한다.[7] 다우르족이 많이 거주하는 푸위 현의 마을로는 덩커(登科), 둥지(东极), 다하저우(大哈洲), 량추팡(两出房), 스우리(十五里), 둥타하(东塔哈), 샤오가오량(小高粱), 시타하(西塔哈), 쿠무(库木), 지치바오(吉期堡) 및 푸펑(富丰) 등이 있다.[7]
푸위 현에는 2,000명 이상의 몽골인이 거주하며, 이들은 주로 오이라트족이다.[7] 푸위 현의 몽골족 인구는 주로 다취안쯔(大泉子), 샤오취안쯔(小泉子), 천자쯔(陈家子), 바자쯔(八家子), 산젠팡(三间房) 마을에 집중되어 있다.[7]
대부분 푸위 키르기스족이 거주하는 우자쯔 마을은 신장을 제외하고 중국 내 키르기스족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이다.[7] 마을 주민 653명 중 219명(33.54%)이 키르기스족이다.[7] 푸위현 전체에는 1,400명의 키르기스족이 있다.[7] 푸위 키르기스족은 다른 키르기스족과는 별개의 민족 집단이지만(푸위 키르기스어 분류 참고), 당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키르기스족으로 분류한다.
5. 2. 언어
산자이자( ; 만주어: Ilan Boo)는 푸위현에 있는 몇 안 되는 마을 중 하나로, 고령의 주민들이 만주어의 마지막 토착 화자로 여겨진다.[7][8] 이 마을의 학교는 만주어 강좌를 제공한다.[7]
푸위 키르기스어는 푸위 현에서 사용된다. 이는 키르기스어의 변종이 아니라 시베리아의 현대 하카스어와 고대 예니세이 키르기스어에 더 가깝다.
6. 경제
푸위현은 농업이 주를 이루며, 우유 외에 각종 경제 작물이 생산된다. 광물 자원으로는 모래, 자갈, 점토, 이탄, 광천수, 석영, 백악, 마노가 있다.[1]
6. 1. 농업
푸위현의 농업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푸위현에서 재배되는 주요 작물로는 대두, 옥수수, 밀, 쌀, 수수, 조, 사탕무, 감자, 해바라기, 그리고 다양한 채소가 있다.[1] 푸위현에서 흔히 사육되는 가축으로는 젖소, 육우, 돼지, 양, 그리고 가금류가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