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산은 DNA와 RNA를 포함하는 생체 고분자로, 1869년 프리드리히 미셔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핵산은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DNA는 유전자의 구성 성분이고 RNA는 유전 정보의 전달 및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 핵산은 뉴클레오타이드의 중합체로, 뉴클레오타이드는 당, 인산, 염기로 구성된다. DNA는 이중 나선 구조를 가지며, RNA는 단일 가닥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핵산의 염기 서열은 유전 정보를 결정하며, 생명체의 모든 정보와 기능을 암호화한다. 핵산 연구는 게놈, 생명공학, 제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반이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기산 -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은 비타민 C로 불리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로, 괴혈병 예방에 필수적이며 항산화 작용을 하고, 화학적 구조 규명 및 합성에 대한 공로로 노벨상이 수여되었으며, 식품 첨가물, 식이 보충제, 암 치료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유기산 - 비타민 C
비타민 C는 결합 조직 형성, 콜라겐 합성, 항산화 작용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괴혈병 예방을 위해 섭취가 권장되며, 인체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되지 않아 외부 섭취가 필요하다. - 핵산 - 염기쌍
염기쌍은 DNA나 RNA에서 아데닌(A)이 티민(T) 또는 우라실(U)과, 구아닌(G)이 사이토신(C)과 수소 결합으로 연결된 뉴클레오염기 쌍을 의미하며, DNA 이중 나선 구조 안정성과 유전 정보 복제 및 전사에 필수적이고, 유전자나 DNA 조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 - 핵산 - RNA
RNA는 DNA와 함께 생명체의 유전 물질을 구성하는 핵심 분자로서, DNA의 유전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 합성, 유전자 발현 조절, 촉매 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mRNA 백신 개발에 기여하였다.
| 핵산 | |
|---|---|
| 핵산 | |
| 종류 | 디옥시리보핵산(DNA) 리보핵산(RNA) |
| 구조 | |
| 구성 성분 | 뉴클레오타이드 |
| 뉴클레오타이드 구성 | 질소 염기 오탄당 인산기 |
| 질소 염기 종류 |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 DNA에서만 존재) 우라실(U, RNA에서만 존재) |
| 오탄당 종류 | 디옥시리보오스(DNA) 리보오스(RNA) |
| 역할 | |
| 주요 기능 | 유전 정보 저장 및 전달 (DNA) 단백질 합성 (RNA) 세포 내 다양한 생화학 반응 조절 |
| 세포 내 위치 | 핵 (주로 DNA) 세포질 (주로 RNA)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일부 DNA) |
| 다른 기능 | 다양한 대사 과정에 관여 효소 활성 및 세포 신호 전달 조절 세포 구조 형성 |
| 추가 정보 | |
| 핵산의 발견 | 프리드리히 미셔 (1869년) |
| DNA 구조 발견 |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 (1953년) |
| 유전학 | 유전 연구의 핵심 물질 |
2. 역사

핵산은 1869년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프리드리히 미셔에 의해 부분적으로 최초로 발견되었다. 그는 '''뉴클레인(nuclein)'''이라고 명명한 새로운 물질을 발견했는데, 그의 연구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현대적인 용어로는 핵산-히스톤 복합체 또는 실제 핵산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의 생화학자 포이베어 아론 테오도르 레빈은 핵산의 기본 구조를 밝혀냈다.[4][5][6]
핵산에 대한 실험 연구는 현대 생물학과 의학 연구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며, 게놈학, 법의학, 생명공학 및 제약 산업의 기초를 형성한다.[10][11][12]
2. 1. 핵산의 발견 (1869년)
스위스의 의사이자 생물학자인 프리드리히 미셔는 1869년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세포핵 안의 물질을 연구하던 중 오늘날 핵산이라고 불리는 "뉴클레인(nuclein)"을 발견하였다.[39] 미셔는 이 발견이 훗날 유전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3]
2. 2. 초기 연구 (1880년대 ~ 1940년대)
는 1869년에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뉴클레인(nuclein)"을 발견하였다.[39] 미셔는 자신이 발견한 오늘날 핵산이라고 불리는 물질을 "뉴클레인(nuclein)"이라고 불렀다. 나중에 미셔는 핵산이 유전과 관련될 수 있다는 생각을 제기했다.[38]1880년대 초 알브레히트 코셀은 뉴클레인을 더욱 정제하여 높은 산성을 띠는 것을 발견하고, 나중에 핵염기도 확인하였다. 1889년에 리하르트 알트만은 "핵산(nucleic acid)"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7]
1938년에 윌리엄 애스트버리와 벨(Bell)은 DNA의 최초 X선 회절 패턴을 발표했다.[40][8]
1944년 에이버리-맥클레오드-매카티 실험은 DNA가 유전 정보의 운반체임을 보여주었다.[9]
2. 3. DNA 이중 나선 구조 발견 (1953년)
1953년에 제임스 D.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냈다.[41] 이는 1944년 에이버리-맥클레오드-매카티 실험에서 DNA가 유전 정보의 운반체임을 보여준 것에 기반한다. 왓슨과 크릭의 DNA 이중 나선 구조 모델 제시는 분자생물학 혁명의 기폭제가 되었으며, 게놈, 법과학, 생명공학기술, 제약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42][43][44]2. 4. 현대 핵산 연구
1879년 스위스의 의사이자 생물학자인 프리드리히 미셔가 "뉴클레인(nuclein)"을 발견하였다.[39] 알브레히트 코셀은 1880년대 초 뉴클레인을 더욱 정제하고, 뉴클레인이 높은 산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나중에 핵염기도 확인하였다. 1889년 리하르트 알트만은 "핵산(nucleic acid)"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7] 1938년 윌리엄 애스트버리와 벨(Bell)은 DNA의 X선 회절 패턴을 최초로 발표했고,[40] 1953년 제임스 D.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DNA의 구조를 밝혀냈다.[41]핵산에 대한 실험 및 연구는 현대 생물학과 의학 연구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며, 게놈, 법과학, 생명공학기술, 제약 산업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42][43][44]
3. 생성 및 명명법
핵산(nucleic acid)은 DNA와 RNA를 포함하는 생체고분자[13]의 총칭이며,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일종이다. 핵산은 처음 세포핵에서 발견되었고, 인산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14] 진핵세포의 세포핵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현재는 세균, 고균,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그리고 바이러스(바이러스가 생물인지 무생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함)를 포함한 모든 생명체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든 생세포는 DNA와 RNA를 모두 함유하고 있지만(성숙한 적혈구와 같은 일부 세포 제외),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 중 하나만을 함유하며, 보통 둘 다 함유하지는 않는다.[15]
핵산의 기본 구성 요소는 뉴클레오타이드이며, 각 뉴클레오타이드는 5탄당 (리보스 또는 디옥시리보스), 인산기, 핵염기를 포함한다.[16] 핵산은 효소[17](DNA 중합효소 및 RNA 중합효소)와 고상 합성을 이용하여 실험실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 화학적 방법들은 또한 펩타이드 핵산과 같이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변형된 핵산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51]
3. 1. 핵산의 정의
핵산은 생체고분자의 일종으로 DNA와 RNA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며,[45] 폴리뉴클레오타이드와 동의어이다. 핵산은 세포핵 내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인산기의 존재(인산과 관련)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46] 진핵세포의 핵 안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현재는 세균, 고균, 진핵생물(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등)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와 바이러스, 바이로이드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 모든 살아있는 세포에는 DNA와 RNA가 모두 존재하지만(성숙한 적혈구와 같은 일부 세포는 제외), 바이러스에는 DNA나 RNA 중 하나만 존재하며, 보통 둘 다 가지고 있지는 않다.[48] 핵산의 기본 구성 단위는 뉴클레오타이드이며, 뉴클레오타이드는 인산, 5탄당(리보스 또는 디옥시리보스), 핵염기로 구성되어 있다.[49] 또한 핵산은 실험실에서 효소[50](DNA 중합효소 및 RNA 중합효소)의 사용 및 고체상 화학 합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3. 2. 명명 유래
핵산은 생체고분자의 일원인 DNA와 RNA를 모두 포함하는 이름이며,[45] 폴리뉴클레오타이드와 동의어이다. 핵산은 세포핵 내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인산기의 존재(인산과 관련)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명명되었다.[46] 진핵세포의 핵 안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핵산은 현재 세균, 고균, 진핵생물(미토콘드리아, 엽록체에서도 발견됨)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와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4. 분자 구성 및 크기
핵산은 일반적으로 매우 큰 분자이며, DNA 분자는 알려진 가장 큰 분자 중 하나이다. 생물학적으로 연구된 핵산 분자는 크기가 다양한데, 작은 것은 21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소간섭 RNA부터 큰 것은 2억 4700만 개의 염기쌍을 가진 사람의 1번 염색체까지 존재한다.[52]
핵산은 뉴클레오타이드의 선형 중합체이며, 각 뉴클레오타이드는 핵염기, 5탄당, 인산의 세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다. 핵산의 종류에 따라 5탄당과 핵염기의 구성이 달라지는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핵산의 당과 인산은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당-인산 골격'을 형성한다.[56] 이 결합은 당의 3' 탄소와 5' 탄소에서 일어나며, 핵산에 방향성을 부여한다. 핵염기는 N-글리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5탄당의 1' 탄소에 연결된다.
DNA와 RNA에서 비표준 뉴클레오사이드가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표준 뉴클레오사이드의 변형으로 생성된다. 운반 RNA(tRNA)는 특히 많은 수의 변형된 뉴클레오사이드를 포함한다.[57]
4. 1. 뉴클레오타이드 구성 요소
핵산은 뉴클레오타이드의 선형 중합체이다. 각 뉴클레오타이드는 퓨린 계열 또는 피리미딘 계열의 핵염기(질소 염기 또는 염기라고도 함), 5탄당(리보스 또는 디옥시리보스), 인산의 세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핵염기와 5탄당으로 구성된 하부 구조를 뉴클레오사이드라고 한다. 핵산의 종류에 따라 뉴클레오타이드를 구성하는 당의 구조가 다르다. DNA는 2'-디옥시리보스를 가지고 있고, RNA는 리보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DNA와 RNA를 구성하는 핵염기에도 차이가 있다. 아데닌, 구아닌, 사이토신은 DNA와 RNA에 공통적으로 존재하지만, 티민은 DNA에만, 유라실은 RNA에만 존재한다.[56]4. 2. DNA와 RNA의 구조적 차이
DNA와 RNA는 모두 핵산의 일종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구조적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5탄당의 차이: DNA는 2'-디옥시리보스라는 당을 가지고 있는 반면, RNA는 리보스라는 당을 가지고 있다. 리보스는 디옥시리보스에 비해 2번 탄소에 수산기(-OH)가 하나 더 붙어있다.
- 핵염기의 차이: DNA와 RNA는 모두 아데닌(A), 구아닌(G), 사이토신(C)을 가지고 있지만, DNA는 티민(T)을, RNA는 유라실(U)을 가진다.
- 가닥 수 차이: 대부분의 경우 DNA는 이중 가닥으로 존재하고, RNA는 단일 가닥으로 존재한다.[53] 그러나 예외도 존재한다. 일부 바이러스는 이중 가닥 RNA 게놈을 가지며, 또 다른 바이러스들은 단일 가닥 DNA 게놈을 가진다.[54] 또한, 특정 상황에서는 세 가닥 또는 네 가닥 핵산 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55]
| 구분 | DNA | RNA |
|---|---|---|
| 5탄당 | 2'-디옥시리보스 | 리보스 |
| 핵염기 | 아데닌(A), 구아닌(G), 사이토신(C), 티민(T) | 아데닌(A), 구아닌(G), 사이토신(C), 유라실(U) |
| 가닥 수 | 주로 이중 가닥 | 주로 단일 가닥 |
4. 3. 핵산의 크기
핵산은 일반적으로 매우 큰 분자이다. 실제로 DNA 분자는 알려져 있는 분자들 중에서 가장 큰 분자일 것이다. 생물학적으로 잘 연구된 핵산 분자의 크기는 21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되어 있는 소간섭 RNA에서부터 큰 염색체(사람의 1번 염색체는 2억 4700만 개의 염기쌍을 포함하고 있는 단일 분자이다[52])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4. 4.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
핵산의 당과 인산은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당-인산 골격을 형성한다.[56] 통상적인 명명법에서 인산기와 결합하는 탄소는 당의 3' 탄소와 5' 탄소이다. 이것은 핵산에 방향성을 부여하며, 핵산 분자의 말단은 5' 말단과 3' 말단으로 불린다.4. 5. N-글리코사이드 결합
뉴클레오염기 고리의 질소(''N''-1은 피리미딘, ''N''-9는 퓨린)와 5탄당 고리의 1' 탄소는 ''N''-글리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결합한다.[56]4. 6. 비표준 뉴클레오사이드
비표준 뉴클레오사이드는 DNA와 RNA 모두에서 발견되며, 보통 DNA 분자나 1차 RNA 전사체 내의 표준 뉴클레오사이드가 변형되어 생성된다. 운반 RNA(tRNA) 분자는 특히 다수의 변형된 뉴클레오사이드를 포함하고 있다.[57]5. 위상
핵산의 3차원 구조는 이중 가닥 핵산과 단일 가닥 핵산(RNA, DNA)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가닥 핵산은 왓슨-크릭 염기쌍이 반복되는 균일한 이중나선 구조를 띄는 반면,[58] 단일 가닥 핵산은 분자 내 염기쌍 및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복잡한 3차원 구조를 형성한다.[59]
핵산 분자는 일반적으로 가지가 없는(비분지형) 선형 또는 원형 분자로 존재한다. 세균 DNA, 플라스미드, 미토콘드리아 DNA, 엽록체 DNA는 주로 원형 이중 가닥 DNA 분자인 반면, 진핵세포 핵 속 염색체는 선형 이중 가닥 DNA 분자이다.[48] RNA 분자는 대부분 선형 단일 가닥이지만, RNA 스플라이싱 과정에서 원형이나 가지형 분자가 생성되기도 한다.[60] DNA 이중 나선의 지름은 2nm로 일정하며, 퓨린 염기의 총량과 피리미딘 염기의 총량은 같다.
5. 1. 이중 가닥 핵산
이중 가닥 핵산은 상보적인 염기 서열로 구성되며, 광범위한 왓슨-크릭 염기쌍 형성으로 인해 매우 반복적이고 균일한 핵산 이중나선 3차원 구조를 형성한다.[24] 반면, 단일 가닥 RNA와 DNA 분자는 규칙적인 이중나선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왓슨-크릭 염기쌍과 비정규 염기쌍을 모두 포함하는 짧은 구간의 분자내 염기쌍 서열과 다양한 복잡한 3차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매우 복잡한 3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25]핵산 분자는 일반적으로 가지가 없으며 선형 및 환형 분자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균 염색체, 플라스미드, 미토콘드리아 DNA, 그리고 엽록체 DNA는 일반적으로 환형 이중 가닥 DNA 분자이고, 진핵생물 핵의 염색체는 일반적으로 선형 이중 가닥 DNA 분자이다.[15] 대부분의 RNA 분자는 선형 단일 가닥 분자이지만, RNA 스플라이싱 반응으로 인해 환형 및 가지형 분자 모두 생성될 수 있다.[26] 이중 가닥 DNA 분자의 피리미딘 총량은 퓨린 총량과 같다. 나선의 지름은 약 20 Å이다.
DNA의 경우, 아데닌(A)과 티민(T), 구아닌(G)과 시토신(C)은 수소결합을 형성한다. A-T 염기쌍은 두 개의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반면, G-C 염기쌍은 세 개의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 따라서, G-C 함량이 높은 영역일수록 안정성이 높아진다.
한편, RNA는 아데닌(A)과 우라실(U), 구아닌(G)과 시토신(C)으로 염기쌍을 형성한다. 염기로 티민이 아닌 우라실로 구성되지만, 우라실도 티민과 마찬가지로 피리미딘 골격이며 아데닌과 염기쌍을 형성한다. 우라실은 티민의 메틸기가 수소기로 치환된 염기이다.
| 약호 | 염기 |
|---|---|
| A | 아데닌 |
| T | 티민 |
| G | 구아닌 |
| C | 시토신 |
| U | 우라실 |
| R | 퓨린 |
| Y | 피리미딘 |
| M | A 또는 C |
| K | G 또는 T |
| S | G 또는 C |
| W | A 또는 T |
| B | G 또는 T 또는 C |
| H | A 또는 T 또는 C |
| V | A 또는 G 또는 C |
| D | A 또는 G 또는 T |
| N | A, G, T, C 중 하나 |
5. 2. 단일 가닥 핵산 (RNA, DNA)
단일 가닥 RNA와 DNA 분자는 규칙적인 이중 나선 구조를 형성하지 않으며, 왓슨-크릭 염기쌍 및 전형적이지 않은 염기쌍을 포함하는 분자 내 염기쌍들 및 여러 상호작용들로 인해 복잡한 3차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59] 단일 가닥 RNA와 DNA 분자는 규칙적인 이중나선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왓슨-크릭 염기쌍과 비정규 염기쌍을 모두 포함하는 짧은 구간의 분자내 염기쌍 서열과 다양한 복잡한 3차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매우 복잡한 3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25]5. 3. 핵산 분자의 형태
이중 가닥 핵산은 왓슨-크릭 염기쌍이 고도로 반복되고 매우 균일한 3차원 이중 나선 구조를 형성하는 상보적인 염기쌍의 서열로 구성되어 있다.[58] 이와는 대조적으로 단일 가닥의 RNA와 DNA 분자는 규칙적인 이중 나선 구조를 형성하지 않으며, 왓슨-크릭 염기쌍 및 전형적이지 않은 염기쌍을 포함하는 분자 내 염기쌍들 및 여러 상호작용들로 인해 복잡한 3차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59]핵산 분자는 일반적으로 가지가 없으며(비분지형), 선형 분자와 원형 분자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균의 DNA, 플라스미드, 미토콘드리아 DNA, 엽록체 DNA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이중 가닥 DNA 분자인 반면, 진핵세포의 핵 안의 염색체는 보통 선형의 이중 가닥 DNA 분자이다.[48] 대부분의 RNA 분자는 선형의 단일 가닥 분자이지만, RNA 스플라이싱 과정에서 원형 분자와 가지가 있는 분자가 생길 수도 있다.[60]
6. 염기서열
DNA 분자와 RNA 분자는 고유한 염기서열을 가지며, 주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서 차이가 난다. 생물학적 DNA 및 RNA 분자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 방법 개발에 막대한 노력이 투입되었다.[27][28] 현재 전 세계의 게놈 센터와 소규모 실험실에서 매일 수억 개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시퀀싱되고 있다. 미국 국립 생명공학 정보 센터(NCBI)는 GenBank 핵산 서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하는 것 외에도, GenBank의 데이터와 NCBI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다른 생물학적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검색 리소스를 제공한다.[29]
6. 1. 염기서열의 중요성
핵산의 염기서열은 모든 생체분자, 세포소기관, 세포 구조, 조직, 기관, 개체의 정보를 암호화하고 있고, 인지, 기억, 행동을 직접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궁극적인 지침을 수행하므로 생물학에서 매우 중요하다.[61][62] 생물학적 DNA와 RNA 분자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 방법 개발에 많은 노력이 투입되었으며,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게놈 센터와 연구실에서 매일 수억 개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염기서열 분석되고 있다. 미국 국립 생물공학정보센터(NCBI)는 GenBank의 핵산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하는 것 외에도 NCBI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GenBank의 데이터와 기타 생물학적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검색 리소스를 제공한다.[63]6. 2. 염기서열 분석 기술
DNA 분자 또는 RNA 분자는 고유한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다. 염기서열은 모든 생체분자들, 세포소기관, 세포 구조, 조직, 기관, 개체의 정보를 암호화하고 있고, 인지, 기억, 행동을 직접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궁극적인 지침을 수행하므로 생물학에서 매우 중요하다. 생물학적 DNA와 RNA 분자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 방법의 개발에 많은 노력이 투입되었으며,[61][62]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게놈 센터와 연구실에서 매일 수억 개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염기서열 분석되고 있다. 미국 국립 생물공학정보센터(NCBI)는 GenBank의 핵산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하는 것 외에도 NCBI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GenBank의 데이터와 기타 생물학적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검색 리소스를 제공한다.[63]7. 종류
핵산의 주요 종류에는 디옥시리보핵산(DNA), 리보핵산(RNA), 인공 핵산이 있다.[30] DNA는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으며, RNA는 유전 정보를 전달하여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 인공 핵산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핵산 유사체이다.
7. 1. 디옥시리보핵산 (DNA)
디옥시리보핵산(DNA)은 알려져 있는 모든 생물체의 발생과 기능에 사용되는 유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핵산이다. DNA 상의 특정 부분을 유전자라고 한다. DNA의 염기서열은 구조적인 목적을 가지거나, 유전 정보 사용을 조절하기도 한다. DNA는 뉴클레오타이드를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이며, 두 가닥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가 이중 나선 구조를 형성한다. 뉴클레오타이드의 5탄당과 인산은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되어 당-인산 골격을 형성한다. DNA 이중 나선의 두 가닥은 양 말단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역평행 구조이다. 각 5탄당에는 핵염기라고 불리는 4가지 종류의 분자 중 하나가 연결되어 있다. 핵염기의 서열은 정보를 가지며, 이 정보는 유전 암호를 통해 단백질 내 아미노산 서열로 지정된다. DNA의 유전 정보가 RNA로 옮겨지는 과정을 전사라고 한다.세포 내에서 DNA는 염색체라는 긴 구조로 조직된다. 세포 분열 시 염색체는 DNA 복제 과정을 통해 복제된 후 각 세포로 나뉜다. 진핵생물(동물, 식물, 균류, 원생생물)은 DNA 대부분을 세포핵 안에 저장하며, 일부는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같은 세포소기관에 저장한다. 반면 원핵생물(세균, 고균)은 세포질에만 DNA를 저장한다. 염색질은 DNA와 히스톤 단백질로 구성되며, 세포 분열 시 응축되어 염색체가 된다. 이러한 밀집 구조는 DNA와 다른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과 관련 있으며, DNA의 전사 조절에 도움을 준다.
7. 2. 리보핵산 (RNA)
리보핵산(RNA)은 유전자의 유전 정보를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RNA의 세 가지 일반적인 종류로는 전령 RNA(mRNA), 리보솜 RNA(rRNA), 운반 RNA(tRNA)가 있다. 전령 RNA는 DNA와 리보솜 간의 유전 정보 전달에 관여하며, 단백질 합성을 지시한다. 리보솜 RNA는 리보솜의 주요 성분으로 펩타이드 결합 형성을 촉매한다. 운반 RNA는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는 아미노산 운반체 분자 역할을 한다. 또한, 현재 많은 다른 종류의 RNA 종류들이 알려져 있다.7. 3. 인공 핵산
펩타이드 핵산, 모르폴리노, 잠금 핵산, 글리콜 핵산, 트레오스 핵산 등은 화학자들이 설계하고 합성한 인공 핵산 유사체이다.[30] 이들 핵산 유사체들 각각은 분자의 골격 변화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DNA 또는 RNA와 구별된다.8. 화학적 성질
핵산의 화학적 성질은 주로 변성(denaturation), 또는 융해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핵산의 변성은 단백질과 같은 거대 분자에서 2차 이상의 구조와 관련된 비공유 결합 상호작용이 파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핵산의 경우, 이중 나선 구조가 단일 나선으로 변환되는 것을 의미한다.[31]
변성은 자외선, 열, 압력, 교반, 산·염기, 용매의 이온 등 다양한 화학적 외인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자극이 지속되면 핵산의 이중 나선은 풀리고, 결국 두 가닥이 완전히 분리되어 단일 가닥이 된다. 이 과정에 필요한 시간은 나선 구조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핵산 가닥의 분리는 염기 사이의 수소 결합이 끊어지면서 진행된다. 구아닌(G)과 시토신(C) 사이의 3중 수소 결합보다 아데닌(A)과 티민(T) 사이의 2중 수소 결합이 더 쉽게 끊어진다. 스태킹 상호작용 또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용액의 이온 강도도 핵산 변성에 영향을 준다. 핵산 분자의 주쇄에는 음전하를 띤 인산기가 있어 두 가닥이 서로 반발하는데, 이온 농도가 높으면 양이온이 음전하를 차폐하여 나선을 안정화시킨다.
G/C 함량이 증가하거나 용액의 이온 강도가 강해질수록 변성에 걸리는 시간은 증가한다. 즉, 염기 조성과 용액의 이온 농도는 핵산 나선 구조의 안정성을 정량화하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주로 온도(Tm), pH(pHm), 염기 조성()으로 나타낸다.
8. 1. 변성 (융해)
핵산의 변성은 거대 분자에서 일어나는 현상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2차 이상의 구조와 관련된 비공유 결합 상호작용이 파괴되는 것을 의미한다. 핵산의 경우에는 이중 나선이 단일 나선으로 변환되는 것을 의미하며,[31] 관례적으로 '''융해'''라고 한다.핵산 변성의 외적 요인으로는 자외선, 열, 가압, 교반, 산·염기, 용매의 이온 등이 있다. 이러한 자극이 계속되면 핵산의 이중 나선 구조는 풀리고, 결국 평행하던 가닥이 완전히 분리되어 단일 가닥이 된다. 이러한 전이에 필요한 시간을 그 나선 구조의 ''안정성''이라고 한다.
가닥 분리는 마주보는 염기 사이의 수소 결합 절단으로 진행되는데, 구아닌(G)/시토신(C) 염기쌍의 3개 결합보다 아데닌(A)/티민(T) 염기쌍의 2개 결합이 더 쉽게 파괴된다. 스태킹 상호작용도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용액의 이온 강도 또한 핵산 변성에 영향을 준다. 나선 분자의 주쇄에는 음전하를 띤 인산기가 있는데, 두 가닥의 음전하는 서로 가까이 있어 차폐되지 않으면 가닥끼리 반발하여 분리가 촉진된다. 이온 농도가 높으면 양이온에 의해 음전하가 차폐되어 나선이 안정화된다.
G/C 함량이 높을수록, 용액의 이온 강도가 강할수록 변성에 걸리는 시간은 증가한다. 용액의 이온 농도(온도, pH 등)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이 시간은 염기 조성에 따라 달라지므로, 측정을 통해 나선 구조의 안정성을 정량화할 수 있다. 안정성의 지표로는 주로 온도, pH, 염기 조성으로부터의 계산 등이 있으며, 각각 '''Tm''', '''pHm''', 로 표시한다.
pHm은 pH 상승 전과 변성이 완료되는 시점의 중간 pH 값이다.
나선 분자 변성 과정의 특징으로, 네이티브 상태에서 변성 상태로 전이될 때 전이 간격의 폭(⊿Tm, ⊿pHm)을 들 수 있다. 나선 구조가 특정 온도에서 동시에 소멸하면 ⊿Tm(⊿pHm) = 0이 된다. DNA는 그러한 용융을 하지 않는다.
핵산에는 단일, 삼중, 사중 나선도 존재하며, 부분적으로 이중 나선을 가진 삼차 구조도 존재한다. 단일 종류 나선 분자의 미변성 온도 및 pH는 매우 낮고, ⊿Tm은 특징적으로 낮아(3〜7℃) 다른 구조와 구별이 가능하다.
8. 2. 안정성 지표
핵산의 안정성은 여러 지표를 통해 정량화할 수 있다. 주로 온도, pH, 염기 조성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각각 '''Tm''', '''pHm''', -ΔG37°로 표시한다.- Tm (녹는점, melting temperature): 핵산 이중 나선의 절반이 단일 가닥으로 변성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이중 나선이 풀리는 현상을 '융해'라고 부르기도 한다.[31] Tm 값은 G/C 염기쌍 비율이 높을수록, 용액의 이온 강도가 강할수록 증가한다. G/C 염기쌍은 A/T 염기쌍보다 더 많은 수소 결합(3개)을 형성하여 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용액 내 양이온은 음전하를 띤 인산기 사이의 반발력을 줄여 이중 나선을 안정화시킨다.
- pHm: 이중 나선의 절반이 단일 가닥으로 변성되는 pH 값을 의미한다. Tm에서 온도를 pH로 바꾼 개념과 동일하다.
핵산 이중 나선의 변성 과정은 '''협동성'''[33]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온도나 pH 변화에 따라 모든 나선 구조 요소가 동시에 붕괴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 -ΔG37° (구조 안정 에너지): 37℃에서 핵산 구조 형성의 자유 에너지 변화를 의미한다. 수소 결합뿐만 아니라 염기 간의 스태킹 상호작용도 고려한 안정성 지표이다.[34] -ΔG37°는 '''최근접 염기쌍 모델'''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데, 이 모델은 핵산 염기쌍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이미 생성되어 있는 이웃 염기쌍이라는 가정에 기반한다.
최근접 염기쌍 모델에 따르면, DNA/DNA 및 RNA/RNA 이중 나선은 10종류, DNA/RNA 이중 나선은 16종류의 최근접 염기쌍 조합이 가능하다.[35] 각 조합에 대한 구조 안정 에너지를 측정하여 전체 핵산 구조의 안정성을 예측할 수 있다.
8. 3. 최근접 염기쌍 모델
핵산의 안정성은 '''최근접 염기쌍 모델'''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이 모델은 1971년 I. Tinoco 등이 제안했으며,[34] "핵산의 염기쌍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미 생성되어 있는 이웃 염기쌍"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34] 즉, 핵산 이중 나선의 안정성은 인접한 염기쌍 간의 상호작용(수소 결합과 스태킹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수소 결합은 나선 축에 수직으로, 스태킹 상호작용은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이 두 가지 상호작용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스태킹 상호작용은 거리의 6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어떤 염기쌍과 인접 염기쌍을 넘어선 염기쌍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최근접 염기쌍 모델에서 핵산 이중 나선의 안정성은 인접하는 염기쌍의 조합에 따라 달라진다. DNA/DNA 및 RNA/RNA 이중 나선에서는 10종류, DNA/RNA 이중 나선에서는 16종류의 최근접 염기쌍 조합이 가능하다.[35]
- DNA/DNA 이중 나선
| DNA | DNA | DNA | DNA | DNA | DNA |
|---|---|---|---|---|---|
| DNA | DNA | DNA | DNA | ||
- RNA/RNA 이중 나선
| RNA | RNA | RNA | RNA | RNA | RNA |
|---|---|---|---|---|---|
| RNA | RNA | RNA | RNA | ||
- RNA/DNA 이중 나선
| RNA | RNA | RNA | RNA | RNA | RNA | RNA | RNA |
|---|---|---|---|---|---|---|---|
| RNA | RNA | RNA | RNA | RNA | RNA | RNA | RNA |
이 모델에 따르면, 서로 다른 염기 배열을 가진 핵산 분자라도 동일한 최근접 염기쌍 조성을 가지면 안정성이 같다.
9. 핵산 염기
핵산 염기는 뉴클레오염기라고도 불리며, 핵산(DNA, RNA)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다. 주요 핵염기에는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 우라실(U)이 있으며, 이들은 퓨린염기(A, G)와 피리미딘염기(C, T, U)로 나뉜다.
DNA에서 A는 T와, G는 C와 수소 결합을 통해 염기쌍을 이룬다. A-T 염기쌍은 수소 결합이 2개, G-C 염기쌍은 3개이므로 G-C 함량이 높을수록 DNA 이중 나선 구조가 더 안정적이다. RNA에서는 T 대신 U이 A와 염기쌍을 이룬다.
9. 1. 주요 핵염기
뉴클레오염기(nucleobase)는 핵산(DNA, RNA)을 구성하는 염기 성분으로,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 우라실(U)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각각 A, G, C, T, U로 줄여 쓴다. 퓨린염기(A, G)와 피리미딘염기(C, T, U)로 분류된다.
9. 2. 염기쌍
뉴클레오염기는 핵산 (DNA, RNA)을 구성하는 염기 성분으로,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 우라실(U)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퓨린 염기 (A, G)와 피리미딘 염기 (C, T, U)로 나뉜다.핵산이나 뉴클레오타이드의 구성 단위(반복 수)를 나타낼 때, 10염기(단일 가닥) 또는 10염기쌍(이중 가닥)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 약호 | 염기 (약칭의 유래) |
|---|---|
| A | 아데닌 (Adenine) |
| T | 티민 (Thymine) |
| G | 구아닌 (Guanine) |
| C | 시토신 (Cytosine) |
| U | 우라실 (Uracil) |
| R | 퓨린 (puRine) |
| Y | 피리미딘 (pYrimidine) |
| M | A 또는 C (aMino) |
| K | G 또는 T (Keto) |
| S | G 또는 C (G와 C의 결합은 강함 (Strong)) |
| W | A 또는 T (A와 T의 결합은 약함 (Weak)) |
| B | G 또는 T 또는 C (A 다음은 B) |
| H | A 또는 T 또는 C (G 다음은 H) |
| V | A 또는 G 또는 C (TU 다음은 V) |
| D | A 또는 G 또는 T (C 다음은 D) |
| N | A, G, T, C 중 하나 (aNy) |
DNA에서 아데닌(A)은 티민(T)과, 구아닌(G)은 시토신(C)과 수소 결합을 이룬다. A-T 염기쌍은 수소 결합이 2개, G-C 염기쌍은 3개이므로, G-C 함량이 높을수록 DNA 이중 나선이 더 안정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A-T는 '''W'''eak(약함), G-C는 '''S'''trong(강함)으로 약호화한다.
RNA에서는 아데닌(A)이 우라실(U)과, 구아닌(G)이 시토신(C)과 염기쌍을 형성한다. RNA는 티민 대신 우라실을 가지지만, 우라실 역시 피리미딘 계열이며 아데닌과 염기쌍을 이룰 수 있다. 우라실은 티민에서 메틸기가 수소로 치환된 형태이다.
10. 존재
효모(Baker's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김, 숭어알(연어), 굴, 콩, 돼지 간 등에서 중량비로 볼 때 핵산의 검출량이 높다.[36]
참조
[1]
웹사이트
Nucleic Acid
https://www.genome.g[...]
2022-01-01
[2]
웹사이트
What is DNA
http://www.whatisdna[...]
Linda Clarks
2016-08-06
[3]
서적
A Short History of Nearly Everything
Broadway Books
[4]
웹사이트
Lexikon der Biologie
https://www.spektrum[...]
2024-06-24
[5]
논문
Discovering DNA: Friedrich Miescher and the early years of nucleic acid research
2008-01-01
[6]
서적
Kurzgefasstes Lehrbuch der physiologischen Chemie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24-06-24
[7]
웹사이트
BIOdotEDU
http://www.brooklyn.[...]
2022-01-01
[8]
서적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Susan Winslow
2008
[9]
웹사이트
DNA Structure
http://www.whatisdna[...]
Linda Clarks
2016-08-06
[10]
논문
Initial sequencing and analysis of the human genome
http://www.nature.co[...]
2001-02-01
[11]
논문
The sequence of the human genome
2001-02-01
[12]
논문
Extracting evidence from forensic DNA analyses: future molecular biology directions
2009-04-01
[13]
논문
Metabolism of Nucleic Acids (Macromolecular DNA and RNA)
[14]
논문
Discovering DNA: Friedrich Miescher and the early years of nucleic acid research
nih.gov
2008-01-01
[15]
서적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Pearson / Benjamin Cummings
[16]
웹사이트
Knowing Nucleic Acids
http://www.chem.ucla[...]
ucla.edu
[17]
웹사이트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Nobel Lecture)
http://nobelprize.or[...]
2010-12-01
[18]
논문
The DNA sequence and biological annotation of human chromosome 1
2006-05-01
[19]
논문
Comparison of RNA, single-stranded DNA and double-stranded DNA behavior during capillary electrophoresis in semidilute polymer solutions
nih.gov
2002-04-01
[20]
웹사이트
RN Virus Replication Strategies
http://pathmicro.med[...]
sc.edu
[21]
논문
RecG helicase activity at three- and four-strand DNA structures
1999-08-01
[22]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23]
논문
Transfer RNA: molecular structure, sequence, and properties
[24]
논문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1953-04-01
[25]
논문
RNA folds: insights from recent crystal structures
[26]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Garland Science
[27]
웹사이트
DNA Sequencing and Gene Structure (Nobel Lecture)
http://nobelprize.or[...]
[28]
웹사이트
Determination of Nucleotide Sequences in DNA (Nobel Lecture)
http://nobelprize.or[...]
[29]
논문
Database resources of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4-01-01
[30]
논문
Modified oligonucleotides: synthesis and strategy for users
[31]
문서
단백질의 변성
[32]
서적
核酸の有機化学 上
講談社
[33]
문서
КООПБРАТИВНОСТЬ의 잠정적 번역
[34]
문서
I. Tinoco, Jr., O. C. Uhlenbeck, M. D. Levine
[35]
문서
아래 그림의 아이디어
[36]
저널
Nucleic Acid Contents of Japanese Foods
[37]
웹인용
What is DNA
http://www.whatisdna[...]
Linda Clarks
2016-08-06
[38]
서적
A Short History of Nearly Everything
Broadway Books
[39]
저널
Discovering DNA: Friedrich Miescher and the early years of nucleic acid research
2008-01-01
[40]
서적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Susan Winslow
2008
[41]
웹인용
DNA Structure
http://www.whatisdna[...]
Linda Clarks
2016-08-06
[42]
저널
Initial sequencing and analysis of the human genome
http://www.nature.co[...]
2001-02-01
[43]
저널
The sequence of the human genome
2001-02-01
[44]
저널
Extracting evidence from forensic DNA analyses: future molecular biology directions
2009-04-01
[45]
저널
METABOLISM OF NUCLEIC ACIDS (MACROMOLECULAR DNA AND RNA)
[46]
저널
Discovering DNA: Friedrich Miescher and the early years of nucleic acid research
nih.gov
2008-01-01
[47]
웹인용
Infrared Spectroscopic Studies in Some Cleome species
https://web.archive.[...]
2019-06-03
[48]
서적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https://archive.org/[...]
Pearson / Benjamin Cummings
[49]
웹인용
Knowing Nucleic Acids
https://web.archive.[...]
ucla.edu
2019-06-03
[50]
웹사이트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Nobel Lecture)
http://nobelprize.or[...]
2010-12-01
[51]
저널
Modified oligonucleotides: synthesis and strategy for users
[52]
저널
The DNA sequence and biological annotation of human chromosome 1
2006-05-01
[53]
저널
Comparison of RNA, single-stranded DNA and double-stranded DNA behavior during capillary electrophoresis in semidilute polymer solutions
nih.gov
2002-04-01
[54]
웹인용
RN Virus Replication Strategies
http://pathmicro.med[...]
sc.edu
[55]
저널
RecG helicase activity at three- and four-strand DNA structures
1999-08-01
[56]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57]
저널
Transfer RNA: molecular structure, sequence, and properties
[58]
저널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1953-04-01
[59]
저널
RNA folds: insights from recent crystal structures
[60]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Garland Science
[61]
웹사이트
DNA Sequencing and Gene Structure (Nobel Lecture)
http://nobelprize.or[...]
[62]
웹사이트
Determination of Nucleotide Sequences in DNA (Nobel Lecture)
http://nobelprize.or[...]
[63]
저널
Database resources of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