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합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와이 합병은 1898년 미국이 하와이 공화국을 병합한 사건이다. 하와이는 원래 독립 왕국이었으나, 19세기 후반 미국과의 무역 및 군사적 관계가 강화되었다. 미국 관세법 개정으로 제당업이 타격을 받자 미국인들이 하와이 혁명을 일으켜 공화국을 수립했고, 미국에 합병을 요청했다. 미국은 뉴랜즈 결의안을 통해 하와이를 합병했으며, 이후 준주를 거쳐 1959년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 합병 과정에서 하와이 원주민의 반대와 합병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하와이 주권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8년 법 - 적기조례
적기조례는 1865년 영국에서 제정된 기관차 법으로, 증기 기관차의 안전 운행을 위해 속도 제한과 붉은 깃발을 든 보행자 배치 등의 규제를 포함했으나, 과도한 규제로 자동차 산업 발전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으며 기술 발전과 안전 사이의 균형 및 규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하와이 합병 | |
---|---|
개요 | |
![]() | |
![]() | |
명칭 | 뉴랜즈 결의안 |
영어 명칭 | Newlands Resolution |
법률 정보 | |
미국 법령 번호 | 30 Stat. 750 |
상세 내용 | |
발효 | 1898년 7월 7일 |
목적 | 하와이 합병 |
관련 인물 | |
제안자 | 프랜시스 G. 뉴랜즈 |
2. 역사적 배경
하와이는 본래 1782년 카메하메하 1세 이후 왕조 체계를 유지하던 독립 국가(하와이 왕국)였으나, 19세기를 거치며 미국과의 관계가 깊어지고 경제적 영향력이 커졌다.
1890년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관세법을 개정하면서 하와이의 주요 산업이었던 제당업이 큰 타격을 입게 되자, 하와이에 거주하던 미국인들을 중심으로 미국과의 합병을 추진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891년 즉위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하와이 원주민의 권리를 강화하고 미국계 농장주들의 특권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이에 반발한 미국계 이주민들이 1893년 하와이 혁명을 일으켜 군주제를 폐지하고 1894년 하와이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하와이 합병 과정은 미국인 이민자들이 주도하여 현지 정부를 전복하고 공화국을 세운 뒤, 미국 본국에 합병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과거 텍사스 합병과 유사한 절차였으며, 일각에서는 훗날 나치 독일이 오스트리아 병합이나 체코슬로바키아 점령 과정에서 사용한 방식과 유사하다는 비판적 시각도 제기된다.
미국인들이 주축이 된 하와이 공화국은 미국 의회에 하와이 합병을 요청하는 결의안("Newlands Resolution")을 제출하였다. 결국 1897년 6월 16일 윌리엄 매킨리 미국 대통령과 하와이 공화국 사이에 합병 조약이 체결되었고, 이 조약은 1898년 7월 7일 미국 의회에서 비준되었다. 조약은 1900년 4월 30일부로 공식 발효되어 하와이는 미국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2. 1. 미국과의 초기 관계
19세기 중반부터 하와이는 미국과 극동을 잇는 중요한 중간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1887년에는 미국과 호혜통상조약을 체결하였고, 이 조약에 따라 진주만(Pearl Harbor)을 미국 해군의 기지로 제공하게 되었다.이 시기 하와이로 이주하는 사람들 중에는 미국인들이 많았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사탕수수와 파인애플 재배가 성공을 거두면서 제당업이 크게 번창하자, 노동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아시아인을 포함한 외국인 이민이 더욱 늘어났다. 이 과정에서 청나라, 일본 제국, 조선 등지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기회를 찾아 하와이로 이주하였다.
3. 하와이 혁명과 공화국 수립
1890년 미국의 관세법 개정은 하와이 경제의 근간이었던 제당업에 큰 타격을 주었다. 당시 하와이에는 사탕수수와 파인애플 재배로 부를 축적한 미국 출신 이민자들이 많았는데, 이들은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자 노골적으로 미국과의 합병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하와이의 주권을 지키려는 움직임과 충돌하게 된다.
1891년 칼라카우아 국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하와이 원주민의 권리를 강화하고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고자 했다. 특히, 미국계 농장주들이 누리고 있던 과도한 정치적 영향력과 경제적 특권, 대표적으로 면세 혜택 등을 축소하는 새로운 헌법 개정을 시도했다.[31] 이는 하와이 내 미국인들의 기득권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조치였다.
결국 여왕의 헌법 개정 시도에 반발한 미국계 이민자들과 사업가들이 주축이 되어 1893년 1월 17일 쿠데타, 이른바 하와이 혁명을 일으켰다. 이 과정에서 미국 해군 함대의 지원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2][33], 혁명 세력은 여왕을 폐위시키고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 이듬해인 1894년 7월 4일, 이들은 하와이 왕국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고 하와이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새롭게 수립된 하와이 공화국은 처음부터 독립적인 국가 운영보다는 미국과의 합병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 공화국 정부는 미국에 지속적으로 합병을 요청하는 Newlands Resolution을 추진하며 미국 편입을 위한 활동을 이어갔다. 이는 사실상 하와이의 독립을 종식시키고 미국에 편입되기 위한 과정의 일부였다.
4. 미국의 하와이 합병 과정
하와이 왕국은 1782년 카메하메하 1세 이후 왕조가 이어진 독립 국가였으나, 미국의 팽창 과정에서 합병되었다. 이는 미국인 이민자들이 주도하여 현지 정부를 전복하고 공화국을 세운 뒤 미국에 합병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텍사스 합병과 유사한 절차였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방식이 훗날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방식과 유사하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19세기 중반부터 하와이는 미국과 아시아를 잇는 태평양의 전략적 요충지로 부상했다. 1887년에는 미국과 호혜통상조약을 맺어 진주만(Pearl Harbor)을 미국 해군 기지로 제공했다. 미국인 이민자들이 하와이 경제, 특히 사탕수수와 파인애플을 중심으로 한 제당업을 장악하면서 경제적 영향력이 커졌고, 아시아계 이민자 유입도 증가했다. 청나라, 일본 제국, 조선에서도 많은 이들이 이주했다.
1890년 미국 관세법 개정으로 하와이 제당업이 타격을 입자, 미국계 이민자들은 미국과의 합병을 적극 추진했다. 1891년 즉위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하와이 원주민의 권리를 강화하려 하자, 미국계 세력은 1893년 하와이 혁명을 일으켜 왕정을 무너뜨리고 1894년 하와이 공화국을 수립했다.
하와이 공화국은 미국에 지속적으로 합병을 요청했다. 처음에는 합병 조약이 미국 상원에서 부결되었으나,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발발로 하와이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면서 상황이 바뀌었다.[1][2] 결국 미국 의회는 뉴랜즈 결의안을 통해 하와이 합병을 결정했고, 1898년 7월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이 서명하여 합병이 공식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을 비롯한 하와이 원주민 사회는 강력히 반발했으며,[3] 주권 이양식 등 관련 행사를 보이콧했다.[4][5]
합병 이후 하와이는 미국의 하와이 준주(Territory of Hawaii)로 편입되었고, 1900년 하와이 조직법 발효로 통치 체제가 확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State) 승격 운동이 본격화되어 1959년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 그러나 합병 과정의 정당성 문제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며, 하와이 주권 운동을 통해 합병의 합법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계속되고 있다.[7][8][9]
4. 1. 뉴랜즈 결의안
1897년, 미국 대통령 윌리엄 매킨리는 하와이 공화국과의 병합 조약을 체결했으나, 미국 상원에서 비준에 필요한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지 못해 무산되었다. 그러나 1898년 4월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하와이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중립을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전쟁 중인 미국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호놀룰루는 태평양을 건너는 미군에게 중요한 중간 기착지가 되었고, 하와이는 해군 기지로서의 전략적 가치를 명확히 보여주었다.[1] 이러한 하와이의 지원은 미국 내에서 긍정적인 여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2]전쟁을 계기로 하와이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합병 반대 여론은 약화되었다. 결국 미국 의회는 상원 비준보다 통과 요건이 낮은 합동 결의안 방식, 즉 뉴랜즈 결의안을 통해 합병을 추진했다. 이 결의안은 민주당 의원이 발의했지만, 공화당 의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1898년 미국 하원에서는 찬성 209표 대 반대 91표(찬성표 중 182표가 공화당)로, 미국 상원에서는 찬성 42표 대 반대 21표(3분의 2 이상 찬성)로 가결되었다. 결의안은 1898년 7월 4일 승인되었고, 7월 7일 매킨리 대통령이 최종 서명했다.
이에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자신의 왕위가 불법적으로 찬탈되었음을 주장하며, 하와이의 주권을 원주민에게 돌려줄 것을 요구하는 항의 서한을 미국 하원에 보냈다.[3] 1898년 8월 12일, 이올라니 궁전 계단에서는 하와이의 주권이 미국으로 공식 이양되었음을 선포하는 기념식이 열렸다. 그러나 하와이 지도자들은 이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으며, 대다수의 하와이 원주민 역시 불참 지침에 따라 행사를 외면했다.[4] 당시 분위기는 매우 침울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한 기록은 "이 정도 규모의 행사라면 보통 성대한 축제가 열리기 마련이지만, 슬픔과 쓰라림, 분노가 너무 만연하여 당국은 불만을 품은 하와이인들의 폭동을 우려해 축제를 열지 못했다"고 묘사했다.[5]
뉴랜즈 결의안은 하와이에 필요한 법률을 마련하기 위한 5인 위원회 설립을 규정했다. 위원회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소속 | 비고 |
---|---|---|
샌퍼드 B. 돌 | 하와이 준주 (공화당) | 준주지사 |
셸비 M. 컬럼 | 일리노이주 (공화당) | 상원의원 |
존 타일러 모건 | 앨라배마주 (민주당) | 상원의원 |
로버트 R. 히트 | 일리노이주 (공화당) | 하원의원 |
월터 F. 프리어 | 하와이 준주 (공화당) | 전 하와이 대법원장, 후일 준주지사 |
위원회는 최종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했고, 이는 1년 넘게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하와이에 선출된 준주 정부를 수립할 경우, 비백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주가 미국 연방에 편입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합병으로 하와이와 미국 본토 간 무관세 무역이 허용되었지만, 이는 이미 1875년 데이비드 칼라카우아 국왕이 미국과 체결한 상호주의 조약을 통해 상당 부분 실현된 상태였다. 당시 하와이는 이 조약의 대가로 진주만을 미국 해군 기지로 장기 임대한 바 있다.
하와이 준주의 설립은 하와이의 주권이 점차 약화되어 온 과정의 마지막 단계였으며,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도 큰 의견 대립을 낳았다. 합병은 폴리네시아인을 중심으로 한 원주민 사회의 반대 속에 어떠한 국민 투표 절차도 없이 강행되었다.[6] 1897년 9월 11일부터 10월 2일까지 '후이 알로하 아이나'와 '후이 쿨라이아이나'라는 단체는 합병에 반대하는 대규모 청원 운동을 벌여, 당시 하와이 원주민 인구(약 39,000명)의 절반이 넘는 21,269명의 서명을 받기도 했다.[3] 미국 헌법에 따른 하와이 합병의 합법성 문제는 오늘날까지도 하와이 주권 운동 지지자들과 반대 세력 사이에서 계속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7][8] 하와이 주권 운동은 합병 자체가 불법적인 행위였다고 주장한다.[7][9] 반면, 미국 연방 대법원은 1901년 DeLima v. Bidwell 사건 판결(182 U.S. 1, 196)에서 하와이 합병의 정당성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바 있다.[10]
4. 2. 합병 조약 체결과 발효
1897년 윌리엄 매킨리 미국 대통령은 하와이 공화국과의 합병 조약을 체결했으나, 이 조약은 미국 상원에서 비준에 필요한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지 못해 무산되었다.그러나 1898년 4월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하와이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중립을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전쟁을 수행하는 미국에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했다.[1] 호놀룰루는 마닐라로 향하는 미군 함대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가 되었고, 하와이는 전쟁 과정에서 해군 기지로서의 전략적 가치를 명확히 보여주었다.[2]
하와이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자 합병에 대한 반대 여론이 약화되었고, 미국 의회는 상원 비준 요건이 더 까다로운 조약 대신 양원 과반수 찬성만으로 가능한 공동 결의안 방식(뉴랜즈 결의안)으로 합병을 추진했다. 이 결의안은 민주당 의원이 초안을 작성했지만, 공화당 의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1898년 7월 4일 하원에서 찬성 209표 대 반대 91표(찬성표 중 182표가 공화당)로 통과되었고, 상원에서도 찬성 42표 대 반대 21표(3분의 2 이상 찬성)로 가결되었다. 7월 7일 매킨리 대통령이 결의안에 서명하면서 하와이 합병은 법적으로 확정되었다.
이에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합병이 불법적으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하며, 하와이 원주민에게 주권을 반환할 것을 요구하는 항의 서한을 미국 하원에 제출했다.[3] 1898년 8월 12일, 이올라니 궁전에서는 하와이의 주권이 미국으로 공식 이양되는 기념식이 거행되었다. 그러나 하와이 지도자들은 이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으며, 대다수의 하와이 원주민들도 불참하며 합병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했다.[4] 당시 분위기는 축제와는 거리가 멀었으며, 슬픔과 분노 속에서 당국은 소요 사태를 우려할 정도였다고 전해진다.[5]
뉴랜즈 결의안에 따라 하와이에 필요한 법률을 마련하기 위한 5인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위원회에는 샌퍼드 B. 돌 준주지사, 셸비 M. 컬럼 및 존 타일러 모건 상원의원, 로버트 R. 히트 하원의원, 그리고 전 하와이 대법원장이자 후일 준주지사가 되는 월터 F. 프리어 등이 참여했다. 위원회의 보고서가 의회에 제출된 후, 하와이 통치 구조에 대한 논의가 1년 이상 지속되었다. 특히 비백인 인구가 다수인 하와이에 선출된 준주 정부를 수립하는 것에 대한 반대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합병을 통해 하와이와 미국 본토 간 무관세 무역이 가능해졌지만, 이는 이미 1875년 데이비드 칼라카우아 국왕이 미국과 체결한 호혜 통상 조약을 통해 상당 부분 달성된 상태였다. 당시 하와이는 이 조약의 대가로 진주만을 미국 해군 기지로 장기 임대해주었다. 하와이 합병은 폴리네시아인을 비롯한 원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주민 투표 없이 이루어졌으며,[6] 1897년에는 합병 반대 청원에 하와이 원주민 인구의 절반이 넘는 21,269명이 서명하기도 했다.[3]
하와이 합병의 합법성 문제는 하와이 주권 운동 진영과 미국 정부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적인 사안으로 남아있다.[7][8][9] 미국 연방 대법원은 1901년 DeLima v. Bidwell 사건 판결에서 하와이 합병의 정당성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바 있다.[10] 합병 결의안은 1898년에 통과되었으나, 하와이가 미국의 정식 준주(하와이 준주)로 편입되어 통치 구조가 확립된 것은 1900년 4월 30일 하와이 조직법(Hawaiian Organic Act)이 발효되면서부터이다.
4. 3. 하와이 준주 시대
1897년, 윌리엄 매킨리 미국 대통령은 하와이 공화국과의 병합 조약을 체결했으나, 미국 상원에서 비준에 필요한 3분의 2 이상 지지를 얻지 못해 무산되었다. 이듬해인 1898년 4월,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하자 하와이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중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미국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는데, 역사가 랄프 S. 쿠이켄달에 따르면 하와이 정부는 중립을 포기하고 미국을 돕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호놀룰루는 듀이 제독의 승리 이후 태평양을 건너는 미군에게 중요한 중간 기착지가 되었으며, 미군 병사들은 하와이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1] 전쟁 중 하와이가 해군 기지로서의 전략적 가치를 증명하자 합병에 대한 반대 여론은 약화되었고, 하와이 내 미국인들의 지원 활동 역시 미국 내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2]결국 하와이는 상원 3분의 2 동의가 필요 없는 뉴랜즈 결의안(Newlands Resolution)이라는 의회-행정부 공동 결의안 방식을 통해 합병되었다. 이 결의안은 민주당 의원이 발의했지만, 공화당 의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되었다. 미국 하원에서는 찬성 209표 대 반대 91표(찬성표 중 182표가 공화당)로 가결되었고, 상원에서는 찬성 42표 대 반대 21표로 3분의 2 이상 찬성을 얻었다. 결의안은 1898년 7월 4일 승인되었고, 7월 7일 매킨리 대통령이 서명했다. 이에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자신의 왕위가 불법적으로 찬탈되었음을 주장하며, 하와이 원주민에게 통치권을 돌려줄 것을 요구하는 항의 서한을 미국 하원에 보냈다.[3]
1898년 8월 12일, 이올라니 궁전 계단에서는 하와이의 주권이 미국으로 공식 이양되었음을 알리는 기념식이 열렸다. 그러나 하와이 지도자들은 이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으며, 대다수 하와이 원주민 역시 불참 지침에 따랐다.[4] 당시 분위기에 대해 한 기록은 "이런 규모의 행사는 보통 밤에 축제를 열기 마련이지만, 너무나 많은 슬픔과 쓰라림, 분노가 만연하여 당국은 불행하고 좌절한 하와이인들의 폭동을 우려해 축제를 열지 않았다"고 묘사했다.[5]
뉴랜즈 결의안은 하와이에 필요한 법률을 마련하기 위한 5인 위원회를 설립하도록 규정했다. 위원회에는 샌퍼드 B. 돌 준주지사(하와이 공화당), 셸비 M. 컬럼 상원의원(일리노이 공화당), 존 타일러 모건 상원의원(앨라배마 민주당), 로버트 R. 히트 하원의원(일리노이 공화당), 그리고 전 하와이 대법원장이자 훗날 준주지사가 되는 월터 F. 프리어(하와이 공화당)가 참여했다. 위원회의 최종 보고서는 의회에 제출되었고, 1년 넘게 논쟁이 이어졌다. 일부 의원들은 하와이에 선출된 준주 정부를 수립하는 것이 비백인이 다수인 주를 편입하게 될 것이라며 반대했다.
합병으로 하와이와 미국 본토 간 무관세 무역이 가능해졌지만, 이는 이미 1875년 데이비드 칼라카우아 국왕이 미국과 체결한 호혜 통상 조약을 통해 상당 부분 달성된 상태였다. 당시 하와이는 무관세 혜택의 대가로 미국 해군에 진주만을 해군 기지로 장기간 임대해주었다.
하와이 준주의 설립은 하와이 주권이 점차 약화되어 온 긴 역사의 마지막 단계였으며, 이는 지역 주민들을 분열시켰다. 합병은 폴리네시아계 원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주민 투표 없이 이루어졌다.[6] 실제로 1897년 9월 11일부터 10월 2일까지 '후이 알로하 아이나'(haw)와 '후이 쿨라이아이나'(haw)라는 두 단체는 합병 반대 청원 운동을 벌여 당시 하와이 원주민 약 39,000명 중 절반이 넘는 21,269명의 서명을 받기도 했다.[3] 미국 헌법에 따른 하와이 합병의 합법성 문제는 여전히 하와이 주권 운동 지지자들과 반대 세력 사이에서 논쟁거리로 남아있다.[7][8] 하와이 주권 운동은 합병을 불법으로 간주한다.[7][9] 반면, 미국 연방 대법원은 1901년 DeLima v. Bidwell 사건 판결에서 하와이 합병의 정당성을 간접적으로 인정했다.[10]
5. 하와이 주 승격
미국에 합병된 하와이는 처음에는 하와이 준주의 지위를 가졌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하와이를 미국의 정식 주로 승격시키려는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하와이는 1959년 8월 21일, 알래스카에 이어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
6. 합병의 정당성 논란과 하와이 주권 운동
하와이 왕국은 본래 카메하메하 1세 이후 왕조가 유지되던 독립 국가였으나, 미국은 텍사스 합병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와이를 병합했다. 이는 미국인 이민자들이 중심이 되어 합병 운동을 벌이고, 이들이 세운 공화국이 미국에 합병을 요청하면 미국이 이를 수용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과정은 훗날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이나 체코슬로바키아 점령 방식과도 유사성을 보인다.
19세기 중반부터 하와이는 미국과 극동을 잇는 중요한 중간 기지 역할을 했으며, 1887년에는 미국과 조약을 맺어 진주만을 해군 기지로 제공하기도 했다. 미국인 이민자들은 하와이에서 사탕수수와 파인애플 재배로 부를 축적했으나, 1890년 미국 관세법 개정으로 경제적 타격을 입자 미국과의 합병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1891년 즉위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미국 농장주들의 특권을 축소하려는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미국인들이 중심이 된 세력은 1893년 하와이 혁명을 일으켜 왕정을 무너뜨리고 1894년 하와이 공화국을 수립했다.
이후 하와이 공화국은 뉴랜즈 결의안(Newlands Resolution)을 통해 미국에 합병을 요청했고, 1897년 윌리엄 매킨리 미국 대통령과 합병 조약을 체결했으나 상원의 비준을 얻지는 못했다. 그러나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발발로 하와이의 전략적 가치가 부각되자, 미국 의회는 조약 비준 대신 양원 과반수 찬성만으로 가능한 뉴랜즈 결의안을 통과시켜 1898년 7월 합병을 결정했다.
이러한 합병 과정에 대해 미국 내에서도 찬반 논란이 있었다.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은 합병이 부도덕하다며 반대했고,[13] 특별 대표 제임스 H. 블런트는 조사 후 원주민의 자치를 존중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제출했다.[14] 미국 반제국주의 연맹은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앤드루 카네기, 마크 트웨인 등 저명 인사들을 중심으로 합병 반대 운동을 벌이며, 이것이 미국의 건국 이념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17][18]
반면,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 헨리 캐벗 로지 등 팽창주의자들은 하와이의 전략적 중요성과 일본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며 합병을 강력히 추진했다.[19] 이들은 하와이가 독립적으로 생존하기 어려우며, 일본에 흡수될 경우 미국의 태평양 진출과 아시아 무역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20][21]
하와이 합병은 원주민들의 의사를 묻는 국민 투표 없이 강행되었으며, 이는 하와이 원주민 사회의 거센 반발을 샀다.[6]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의 항의와 대규모 합병 반대 청원 운동에도 불구하고 합병은 이루어졌고,[3] 1898년 8월 12일 이올라니 궁전에서 열린 공식적인 주권 이양식에는 하와이 지도자들과 대다수 원주민이 불참하며 저항의 뜻을 나타냈다.[4]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합병의 절차적, 윤리적 정당성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았고, 하와이 주권 운동은 합병을 불법으로 규정하며 하와이의 법적 지위에 대한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7][8][9] 비록 미국 연방대법원이 판례를 통해 합병의 정당성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바 있으나,[10] 하와이 원주민의 주권 회복 요구와 합병 과정의 정당성에 대한 논쟁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6. 1. 원주민의 반대와 저항
1897년 윌리엄 매킨리 미국 대통령이 추진한 하와이 공화국 병합 조약은 상원의 비준을 얻지 못했다. 이에 하와이 원주민 사회에서는 합병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거세게 일어났다. 1897년 9월 11일부터 10월 2일까지, 후이 알로하 아이나(조국을 사랑하는 모임)와 후이 쿨라이아이나(시민 연맹)는 대규모 청원 운동을 벌여 "합병 반대 청원"에 21,269명의 서명을 받았다. 이는 당시 하와이 원주민 인구 39,000명의 절반이 넘는 숫자였다.[3]릴리우오칼라니 여왕 역시 합병에 강력히 반대했다. 여왕은 자신의 왕위가 불법적으로 찬탈되었다고 주장하며, 1898년 미국 하원에 하와이의 주권을 원주민에게 돌려줄 것을 요구하는 항의 서한을 보냈다.[3]
그러나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하면서 하와이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자, 미국 내 합병 여론이 다시 힘을 얻었다. 하와이 공화국은 중립을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미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하며 해군 기지로서의 가치를 입증했다.[1][2] 결국 미국 의회는 상원 2/3 비준이 아닌 단순 과반수 투표만으로 가능한 뉴랜즈 결의안을 통해 합병을 강행했다. 1898년 8월 12일, 이올라니 궁전에서는 하와이의 주권이 미국으로 공식 이양되는 기념식이 열렸지만, 하와이 지도자들과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이에 불참하며 저항의 뜻을 분명히 했다.[4] 당시 기념식은 축제 분위기 없이 슬픔과 분노, 긴장감이 감돌았다고 전해진다.[5]
이 합병은 하와이 원주민들의 의사를 묻는 어떠한 국민 투표도 없이 이루어졌으며,[6] 이후 하와이 주권 운동은 합병의 합법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며 합병을 불법으로 간주하고 있다.[7][8][9] 비록 미국 대법원이 1901년 DeLima v. Bidwell 사건 판결(182 U.S. 1, 196)에서 하와이 합병의 법적 효력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판례가 있으나,[10] 하와이 원주민들의 주권 회복을 위한 노력과 합병 과정의 정당성에 대한 논쟁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6. 2. 법적, 역사적 논쟁
1897년 윌리엄 매킨리 미국 대통령은 하와이 공화국 병합 조약을 체결했으나, 미국 상원에서 비준에 필요한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지 못해 무산되었다.[1]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하자 하와이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중립을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미국에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며 해군 기지로서의 전략적 중요성을 부각시켰다.[22][2]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합병 반대 여론이 약화되자, 미국 의회는 상원 3분의 2 찬성이 필요한 조약 비준 대신 양원 과반수 찬성만으로 가능한 뉴랜즈 결의안(Newlands Resolution)을 통해 합병을 추진했다. 이 결의안은 1898년 7월 4일 의회를 통과하고 7월 7일 매킨리 대통령이 서명하였다.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합병에 반대하며 자신의 왕위가 불법적으로 찬탈되었음을 주장하고 원주민에게 주권을 반환할 것을 요구하는 항의 서한을 미국 하원에 제출했다.[3] 1898년 8월 12일 이올라니 궁전에서 공식적인 주권 이양식이 거행되었으나, 하와이 지도자들과 대다수 원주민은 이에 불참하며 합병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했다.[4][23]합병은 폴리네시아인을 중심으로 한 원주민 사회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으며, 주민들의 의사를 묻는 주민 투표 없이 강행되었다.[6][24] 1897년 후이 알로하 아이나(Hui Aloha ʻĀina)와 후이 쿨라이아이나(Hui Kālaiʻāina) 단체는 합병 반대 청원 운동을 벌여 당시 하와이 원주민 인구(약 39,000명)의 절반이 넘는 21,269명의 서명을 받기도 했다.[3]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미국 헌법 및 국제법 관점에서 하와이 합병의 합법성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7][8][25][26] 특히 하와이 주권 운동 세력은 합병이 국제법을 위반한 불법 행위라고 주장하며 하와이의 독립 또는 자치권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7][9][25][27] 반면, 미국 연방대법원은 1901년 DeLima v. Bidwell 사건 판결에서 하와이 합병의 정당성을 묵시적으로 인정한 바 있다.[10]
7. 합병에 대한 다양한 관점
1893년부터 1898년까지 하와이 합병을 둘러싸고 미국과 하와이에서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했다. 합병에 찬성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이 정치적, 경제적, 전략적, 도덕적 논리를 내세우며 첨예하게 대립했다.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과 같이 합병이 작은 왕국에 대한 부도덕한 행위이며 공화주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보는 반대론[13][18]과, 하와이의 전략적 가치 및 일본 제국의 팽창에 대한 우려를 내세우며 미국의 국익과 영향력 확대를 위해 합병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찬성론[19][20][21]이 맞섰다. 이는 당시 미국 사회의 팽창주의적 흐름과 이에 대한 반발, 그리고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하와이의 미래를 둘러싼 복잡한 상황을 반영한다. 주요 논쟁점과 각 입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7. 1. 미국 내 여론 변화
1893년부터 1898년까지 미국 내에서는 하와이 합병을 둘러싸고 찬반 여론이 엇갈렸다. 역사학자 헨리 그래프는 초기에는 "국내 여론이 묵인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미국의 해외 식민지 획득을 위한 세계 열강 합류에 대한 국내 정서가 엄청난 힘으로 무르익고 있었다"고 평가했다.[12]1893년 3월 취임한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은 전임 정부가 추진하던 합병 조약을 철회했다. 그의 전기 작가 알린 브로드스키는 클리블랜드가 작은 왕국에 대한 부도덕한 행위라는 개인적 신념이 깊었다고 설명한다. 그는 합병 자체보다는 불법적인 방식으로 영토를 획득하는 것에 반대했으며, 약소국의 독립을 지지하는 입장이었다.[13] 클리블랜드는 합병을 막기 위해 남부 민주당의 지지를 규합했다.
클리블랜드는 전 조지아 하원의원 제임스 H. 블런트를 하와이에 특별 대표로 파견하여 현지 상황을 조사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했다. 블런트는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었지만, 동시에 남부 흑인의 투표권을 박탈한 백인 우월주의 지도자 중 한 명이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그가 아시아계 민족의 자치 능력을 불신하여 합병을 지지할 것이라 예상했으나, 블런트는 제국주의에 반대하며 미군이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을 복위시켜야 하고, 하와이 원주민들이 그들의 방식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블런트는 클리블랜드 1기 행정부의 토마스 F. 베이아드 국무장관이 하와이 주재 미국 공사에게 내렸던 지침, 즉 유사시 미국인의 생명과 재산 보호 및 질서 유지를 위해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전 행정부 역시 하와이 내정에 개입할 가능성을 열어두었음을 보여준다.[15][16]
한편, 미국 내에서는 미국 반제국주의 연맹을 중심으로 활발한 반팽창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에는 클리블랜드 대통령과 칼 슈르츠뿐만 아니라, 민주당 지도자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산업가 앤드루 카네기, 작가 마크 트웨인, 사회학자 윌리엄 그레이엄 섬너 등 남북 전쟁 이후 세대의 저명한 지식인과 정치인들이 다수 참여했다.[17] 반제국주의자들은 해외 영토 확장이 공화주의 정부의 근간인 '피지배자의 동의' 원칙에 어긋나며, 미국 독립 선언, 조지 워싱턴의 고별 연설,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에서 강조된 미국의 자치와 불간섭 이상을 저버리는 행위라고 비판했다.[18]
그러나 이러한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제국주의를 옹호하는 목소리 또한 강력했다. 존 헤이 국무장관, 해군 전략가 앨프레드 T. 마한, 공화당 상원의원 헨리 캐벗 로지, 엘리후 루트 육군 장관, 그리고 젊은 정치인 시어도어 루스벨트 등이 팽창주의를 주도했다. 이들은 신문 발행인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와 조셉 퓰리처의 지원을 받으며 대중 여론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일본이 하와이를 점령하여 일본 제국의 일부로 삼을 경우, 미국 서부 해안에 심각한 안보 위협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했다.[19] 마한과 루스벨트는 강력한 현대 해군 건설, 태평양 내 해군 기지 확보, 니카라과 또는 파나마를 통과하는 지협 운하 건설, 그리고 미국이 세계 최대 산업 강국으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내용의 세계 전략을 구상했다.[20]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 역시 하와이가 독자적으로 생존하기 어렵고, 당시 하와이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던 일본계 주민들 때문에 결국 일본에 흡수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그는 일본의 태평양 지배가 미국의 아시아 무역 확대를 저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21]
7. 2. 합병 찬성론과 반대론
1893년부터 1898년까지 미국과 하와이에서는 합병을 둘러싸고 다양한 찬반 논쟁이 벌어졌다. 역사학자 헨리 그래프는 초기 미국 내 분위기에 대해 "국내 여론이 묵인하는 것으로 보였다... 분명히, 미국의 해외 식민지 획득을 위한 세계 열강 합류에 대한 국내 정서가 엄청난 힘으로 무르익고 있었다"고 평가했다.[12][29]합병 반대론1893년 취임한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은 전임 정부가 추진하던 합병 조약안을 철회했다. 그는 작은 왕국에 대한 미국의 행동이 부도덕하다는 깊은 개인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클리블랜드는 사모아 제도를 독일로부터 보호하려 했던 것처럼, 하와이 제도의 독립을 지키고자 했다. 그는 합병이 불가피해 보이더라도, 약소국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논란을 감수하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클리블랜드가 반대한 것은 합병 자체라기보다는, 불법적인 방법으로 영토를 획득하려는 시도였다.[13][30] 그는 남부 민주당 의원들의 지지를 모아 합병안에 맞섰다.
클리블랜드는 전 조지아 하원의원 제임스 H. 블런트를 하와이에 특별 대표로 파견하여 현지 상황을 조사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했다. 블런트는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었으나, 동시에 백인 우월주의자로서 1890년대 남부 흑인의 투표권을 박탈하는 데 앞장선 인물이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그가 아시아인이 자치 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합병을 지지할 것이라 예상했지만, 블런트는 오히려 제국주의에 반대하며 미군이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을 복위시켜야 하고, 하와이 원주민들이 그들의 고유한 방식으로 살아가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31]
한편, 블런트는 클리블랜드 1기 행정부의 국무장관 토머스 F. 베이아드가 하와이 주재 미국 공사 조지 W. 메릴에게 내렸던 지침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베이아드는 하와이에서 혁명이 발생할 경우 미국인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되, "필요하다면 미 해군 장교들의 지원을 통해 하와이의 법치와 질서 있는 정부 유지를 도와야 한다"고 지시했다. 실제로 1889년 소규모 반란 시 메릴은 이 지침에 따라 해병대를 상륙시켰고 국무부의 승인을 받았다. 1893년 쿠데타 당시 존 L. 스티븐스 공사 역시 이 1887년 지침을 근거로 미 해병대를 상륙시켰다고 볼 수 있다.[15][16][32][33]
미국 내에서는 미국 반제국주의 연맹을 중심으로 강력한 반대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 운동에는 클리블랜드 대통령과 칼 슈르츠 외에도 민주당 지도자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 작가 마크 트웨인, 사회학자 윌리엄 그레이엄 섬너 등 저명한 지식인과 정치인들이 다수 참여했다.[17][34] 반제국주의자들은 해외 영토 확장이 공화주의의 기본 원칙인 '피지배자의 동의'에 어긋나며, 미국 독립 선언, 조지 워싱턴의 고별 연설,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 등에서 강조된 미국의 자치와 불간섭 이상을 훼손한다고 주장했다.[18][35]
하와이 원주민 사회에서도 합병에 대한 반대는 거셌다. 1897년, 후이 알로하 아이나(Hui Aloha ʻĀina)와 후이 칼라이아이나(Hui Kālaiʻāina) 두 단체는 합병 반대 청원 운동을 벌여 하와이 원주민 약 39,000명 중 절반이 넘는 21,269명의 서명을 받았다.[3] 이들은 합병이 하와이 원주민의 주권을 침해하는 불법적인 행위라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입장은 오늘날 하와이 주권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7][8][9]
합병 찬성론합병을 지지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았다. 특히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하자 하와이의 전략적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하와이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중립을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미군을 적극 지원했다. 호놀룰루는 필리핀으로 향하는 미군 함대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가 되었고, 하와이 주둔 미국인들은 미군을 환영하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1] 이를 통해 하와이는 해군 기지로서의 가치를 입증했고, 미국 내에서 합병 지지 여론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2]
합병 찬성론자들은 하와이의 전략적 가치 외에도 경제적 이익을 강조했다. 합병을 통해 미국 본토와 하와이 간 무관세 무역이 가능해진다는 점을 내세웠다. 그러나 이는 이미 1875년 칼라카우아 국왕과 미국이 체결한 상호주의 조약을 통해 상당 부분 실현되고 있었으며, 이 조약의 대가로 미국은 진주만을 해군 기지로 장기 임대할 권리를 확보한 상태였다.
팽창주의를 지지하는 세력은 주로 공화당 인사들과 군부, 일부 산업계 인사들이었다. 국무장관 존 헤이, 해군 전략가 앨프레드 T. 마한, 상원의원 헨리 캐벗 로지, 육군장관 엘리후 루트, 그리고 젊은 정치인 시어도어 루스벨트 등이 대표적 인물이었다. 이들은 강력한 현대 해군 건설, 태평양 내 해군 기지 확보, 니카라과 또는 파나마를 통과하는 운하 건설 등을 주장하며 미국이 세계적인 강대국으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20][37] 신문 재벌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와 조지프 퓰리처 역시 여론을 자극하며 팽창주의를 부추겼다.[19][36]
특히 당시 일본 제국의 팽창에 대한 우려가 합병론에 힘을 실어주었다. 이미 하와이 인구의 4분의 1이 일본인이었기 때문에, 미국이 합병하지 않으면 일본이 하와이를 점령하여 태평양을 지배하고 미국의 아시아 무역을 위협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9][36]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 역시 하와이가 독자적으로 생존하기 어려우며, 일본에 흡수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그는 일본의 태평양 지배를 막고 아시아와의 무역을 확보하기 위해 합병이 필요하다고 보았다.[21][38]
결국 미-스페인 전쟁으로 하와이의 전략적 가치가 부각되면서 반대 여론이 약화되었고, 합병은 상원 2/3 동의가 필요한 조약 비준 대신 양원 과반수 동의만으로 가능한 뉴랜즈 결의안(Newlands Resolution)이라는 의회-행정부 합의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이 결의안은 민주당 의원이 발의했지만, 공화당의 압도적인 지지로 하원(209 대 91)과 상원(42 대 21)을 통과하여 1898년 7월 7일 매킨리 대통령의 서명으로 발효되었다.
합병의 법적 정당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미국 대법원은 1901년 DeLima v. Bidwell 사건 판결에서 하와이 합병의 정당성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바 있다.[10]
8. 합병의 경제적 영향
미국은 하와이 합병의 일환으로 400만달러의 하와이 채무를 인수했다.[28] 아이오와 대학교의 David R. Barker|데이비드 R. 바커eng는 2009년에 "알래스카 매입과는 달리 하와이는 국가에 이익이 되는 땅이었고, 순세수는 거의 항상 비국방 지출을 초과했다"고 분석하며 합병의 내부 수익률을 15% 이상으로 추산했다.[28]
9. 합병의 현대적 의의와 영향
하와이는 본래 카메하메하 1세 이후 왕조가 유지되던 하와이 왕국이라는 독립 국가였다. 그러나 19세기 중반부터 미국과 극동 아시아를 잇는 태평양 항로의 중요한 중간 기지 역할을 하면서 미국의 전략적 관심 대상이 되었다. 1887년에는 미국과 호혜통상조약을 체결하여 진주만을 미국 해군 기지로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하와이 합병 과정은 과거 텍사스 합병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미국계 이민자들이 주축이 되어 합병 운동을 전개하고, 이들이 세운 공화국 정부가 미국에 합병을 요청하면 미국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강대국이 약소국을 병합하는 방식으로, 훗날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이나 체코슬로바키아 점령 방식과도 유사하다는 비판적 시각이 존재한다.
경제적으로는 19세기 후반 사탕수수 및 파인애플 재배 성공으로 제당업이 번창하였으나, 1890년 미국 매킨리 관세법 개정으로 하와이의 주요 산업이던 제당업이 큰 타격을 입게 되면서, 하와이에 거주하던 미국계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미국과의 합병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891년 즉위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하와이 원주민의 권익을 강화하고 미국계 농장주들의 정치·경제적 특권을 축소하려는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이에 반발한 미국계 이민자들이 1893년 하와이 혁명을 일으켜 왕정을 전복시키고 1894년 하와이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이 공화국은 '뉴랜즈 결의안'을 통해 미국에 합병을 공식적으로 요청하였고, 1897년 6월 16일 윌리엄 매킨리 미국 대통령과 합병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은 미국 의회에서 1898년 7월 7일 최종 비준되었으며, 1900년 4월 30일부로 효력이 발생하여 하와이는 공식적으로 미국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합병 직후 하와이는 미국의 정식 주(State)가 아닌 하와이 준주(Territory of Hawaii)의 지위를 가졌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 승격 운동이 본격화되어 1959년 8월 21일, 알래스카주에 이어 미국의 50번째 주로 승격되었다. 이로써 하와이는 독립 국가로서의 지위를 완전히 상실하고 미국의 한 주로 편입되는 결과를 맞이하게 되었다.
9. 1. 사회문화적 영향
19세기 후반, 하와이에서는 사탕수수와 파인애플 재배가 성공하며 제당업이 크게 번창했다. 이는 기존의 미국인 이민자들 외에도 아시아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의 이민을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이 시기에는 청나라, 일본 제국, 그리고 조선에서도 많은 이들이 새로운 기회를 찾아 하와이로 이주했다. 이렇게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민자들의 증가는 하와이 사회의 다문화적 성격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10. 결론
하와이 합병 과정은 강대국의 경제적, 정치적 이해관계가 약소국의 운명을 결정짓는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본래 하와이 왕국이라는 독립 국가였던 하와이는 미국 이민자들의 경제 활동, 특히 사탕수수와 파인애플 재배를 통한 제당업 번창과 깊이 관련되었다. 그러나 1890년 미국 관세법 개정으로 하와이 경제가 타격을 입자, 현지 미국인들은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지키기 위해 미국과의 합병을 추진했다.
1891년 즉위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하와이의 자주권을 강화하고 미국 농장주들의 특권을 제한하려 하자, 미국인들은 1893년 하와이 혁명을 일으켜 왕정을 무너뜨리고 1894년 하와이 공화국을 수립했다. 이는 사실상 외부 세력에 의한 주권 침탈 과정이었다. 이후 수립된 공화국은 미국에 합병을 요청했고, 미국은 이를 받아들여 1898년 하와이를 자국 영토로 편입시켰다. 이러한 방식은 텍사스 합병이나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및 체코슬로바키아 점령 과정과 유사성을 보여, 제국주의적 팽창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와이 합병의 역사는 국제 관계에서 힘의 논리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경제적 이해관계가 한 나라의 주권을 어떻게 위협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는 오늘날 국제 사회에서도 약소국의 주권과 자결권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남긴다.
참조
[1]
서적
Hawaii: a history, from Polynesian kingdom to American State
[2]
논문
The United States and Hawaii during the Spanish–American War
https://www.jstor.or[...]
[3]
웹사이트
The 1897 Petition Against the Annexation of Hawaii
https://www.archives[...]
2016-08-15
[4]
서적
Nation Within: The History of the American Occupation of Hawai'i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23-05-25
[5]
간행물
Reminiscences of a Kamaʻāina
1964-02-24
[6]
서적
From a Native Daughter: Colonialism and Sovereignty in Hawaiʻi
[7]
서적
Hawaiian Sovereignty: Do the Facts Matter?
Goodale Publishing
[8]
서적
From a Native Daughter : Colonialism and Sovereignty in Hawaiʻi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웹사이트
United States Public Law 103-150
http://www.hawaii-na[...]
2018-01-18
[10]
서적
Who Owns the Crown Lands?
https://freiherrvonq[...]
[11]
보도자료
Researcher's analysis shows buying Alaska no sweet deal for American taxpayer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Iowa
2018-01-20
[12]
서적
Grover Cleveland: The American Presidents Series: The 22nd and 24th President, 1885-1889 and 1893-1897
https://books.google[...]
Macmillan
[13]
서적
Grover Cleveland: A Study in Character
https://archive.org/[...]
Macmillan
[14]
논문
James H. Blount, the South, and Hawaiian Annexation.
https://www.jstor.or[...]
[15]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Foreign Relations: 1865–1900
[16]
서적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17]
논문
The Anti-Imperialist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1898-1900.
https://www.jstor.or[...]
[18]
논문
Literary Aspects of American Anti-Imperialism 1898–1902
https://www.jstor.or[...]
[19]
서적
Pacific Gibraltar: U.S.-Japanese Rivalry Over the Annexation of Hawaii, 1885-1898
[20]
논문
Jingoes, Goo-Goos, and the Rise of America's Empire.
http://archive.wilso[...]
[21]
논문
The Main Reason for Hawaiian Annexation in July, 1898
https://www.jstor.or[...]
[22]
논문
The United States and Hawaii during the Spanish–American War
https://www.jstor.or[...]
[23]
서적
Hawaii's Story by Hawaii's Queen
https://archive.org/[...]
Lee and Shepard
1898
[24]
서적
From a Native Daughter: Colonialism and Sovereignty in Hawaiʻi
[25]
서적
Hawaiian Sovereignty: Do the Facts Matter?
Goodale Publishing
[26]
서적
From a Native Daughter : Colonialism and Sovereignty in Hawaiʻi
University of Hawaii Press
[27]
웹사이트
United States Public Law 103-150
http://www.hawaii-na[...]
2018-01-18
[28]
보도자료
Researcher's analysis shows buying Alaska no sweet deal for American taxpayer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Iowa
2018-01-20
[29]
서적
Grover Cleveland: The American Presidents Series: The 22nd and 24th President, 1885-1889 and 1893-1897
https://books.google[...]
Macmillan
[30]
서적
Grover Cleveland: A Study in Character
https://archive.org/[...]
Macmillan
[31]
논문
James H. Blount, the South, and Hawaiian Annexation.
https://www.jstor.or[...]
[32]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Foreign Relations: 1865–1900
[33]
서적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34]
논문
The Anti-Imperialist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1898-1900.
https://www.jstor.or[...]
[35]
논문
Literary Aspects of American Anti-Imperialism 1898–1902
https://www.jstor.or[...]
[36]
서적
Pacific Gibraltar: U.S.-Japanese Rivalry Over the Annexation of Hawaii, 1885-1898
2011
[37]
논문
Jingoes, Goo-Goos, and the Rise of America's Empire
http://archive.wilso[...]
1998
[38]
논문
The Main Reason for Hawaiian Annexation in July, 1898
https://www.jstor.or[...]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