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안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이안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 중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4개의 시할구와 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이허 유역의 평야 지대에 위치하며, 훙쩌호를 포함한 많은 하천과 호수를 보유하고 있다. 온화하고 습윤한 아열대 기후를 나타내며, 역사적으로는 대운하와 화이허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주요 산업으로는 한국타이어 등 외국 자본 투자가 이루어지는 제조업이 있으며, 2023년 기준 GDP는 장쑤성 11위, 전국 58위이다. 교통은 중국 대운하와 회하가 교차하는 내륙 항구로서, 화이안 롄수이 국제공항, 고속철도, 도로 등을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장회 문화를 기반으로 장회 요리가 발달했으며,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 시설이 있다. 한신, 오승은, 저우언라이 등 역사적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대운하, 조운총독아문 등 관광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이안시 - 훙쩌호
장쑤성에 위치한 훙쩌호는 중국에서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로 큰 담수호이며, 황하의 물길 변경과 토사 유입, 그리고 조상릉 보호를 위한 제방 건설과 확장으로 인해 형성되고 변화를 겪어왔다. - 장쑤성의 지급시 - 전장시
전장시는 중국 장쑤성에 위치한 역사적 상업 중심지로, 대운하의 전초 기지이자 비단, 은제품 생산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행정 구역을 갖춘 도시이다. - 장쑤성의 지급시 - 쑤첸시
쑤첸시는 중국 장쑤성 북부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가진 지급시로, 2개의 시할구와 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허 술 생산지로 유명하며, 콜센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고, 여러 교통망을 통해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약 498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화이안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화이안 시 |
다른 이름 | 화이인 (淮陰) |
종류 | 지급시 |
위치 | 장쑤성 |
시 정부 소재지 | 화이안 구 |
면적 | 9950 km² |
도시 면적 | 4494.3 km² |
시가지 면적 | 3202.6 km² |
인구 (2020년) | 4,556,230 명 |
도시 인구 (2020년) | 2,829,864 명 |
시가지 인구 (2020년) | 2,544,767 명 |
주요 민족 | 한족 |
현급 행정 구역 수 | 8 |
향급 행정 구역 수 | 127 |
차량 번호판 | 쑤H (苏H)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우편 번호 (시 중심) | 223000, 223200, 223300 |
우편 번호 (기타 지역) | 211600, 211700, 223100, 223400 |
지역 번호 | 517 |
ISO 3166-2 | CN-JS-08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 |
![]() | |
![]() | |
![]() | |
![]() | |
정치 | |
시장 | 후이 젠린 (惠建林) |
당 서기 | 천즈창 (陈之常) |
시장 | 스즈쥔 (史志軍) |
경제 | |
GDP | 3600억 인민폐 (CN¥) (544억 미국 달러) |
1인당 GDP | 73,204 인민폐 (CN¥) (11,083 미국 달러) |
행정 구역 | |
구 | 칭허 구 (清河区) |
현 | 화이안 구 (淮安区) 화이인 구 (淮阴区) 칭푸 구 (清浦区) 렌윈 구 (涟水区) 홍쩌 현 (洪泽县) 진후 현 (金湖县) 시위 현 (盱眙县) |
과거 명칭 | |
과거 명칭 | 화이인 (淮陰) |
2. 지리
화이안시는 장쑤성 중서부에 위치하며, 서북쪽은 쑤첸시, 북쪽은 롄윈강시, 동쪽은 옌청시, 동남쪽은 양저우시, 서남쪽은 안후이성 추저우시와 접한다.
화이안시의 대부분은 화이허 유역의 평야로, 지형은 매우 평탄하다. 쉬이 현에는 약간의 구릉 지대가 있다. 시의 최고 고도는 200m이다.
화이안시는 하천과 호수가 매우 많기로 유명하다. 주요 하천과 운하로는 경항대운하, 화이허, 쑤베이 관개총거 등이 있다. 황하의 유로 변경으로 화이허가 범람하여 형성된 훙쩌호는 중국에서 4번째로 큰 담수호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화이허의 범람을 막기 위해 쑤베이 관개총거를 건설하여 화이허 물의 일부를 황해로 흘려보내고 있다.
2. 1. 기후
화이안은 온화하고 습윤한 아열대 기후 (쾨펜 기후 구분 Cwa)를 보이며, 겨울은 여름보다 훨씬 건조하다.[4][5]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6.1 | 8.8 | 14.6 | 20.5 | 25.7 | 29.6 | 31.0 | 30.6 | 26.9 | 22.0 | 15.3 | 8.1 | 20.8 |
평균 기온 (℃) | 1.6 | 4.1 | 9.2 | 15.1 | 20.5 | 24.7 | 27.3 | 26.7 | 22.1 | 16.5 | 10.1 | 3.4 | 15.1 |
평균 최저 기온 (℃) | -1.9 | 0.3 | 4.5 | 10.0 | 15.5 | 20.4 | 24.3 | 23.7 | 18.5 | 12.2 | 5.9 | -0.2 | 10.3 |
월 강수량 (mm) | 24.4 | 33.0 | 34.2 | 47.0 | 70.6 | 131.9 | 252.1 | 194.7 | 90.9 | 44.7 | 44.3 | 24.8 | 992.6 |
평균 상대 습도 (%) | 69 | 70 | 65 | 67 | 70 | 72 | 82 | 84 | 81 | 75 | 72 | 69 | 73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5.5 | 7.0 | 6.5 | 8.3 | 8.7 | 8.5 | 13.9 | 13.6 | 8.8 | 6.3 | 7.0 | 5.3 | 99.4 |
평균 일조 시간 | 139.1 | 129.4 | 179.0 | 193.1 | 196.9 | 161.1 | 154.9 | 166.9 | 164.3 | 164.7 | 145.1 | 143.2 | 1937.7 |
평균 일조율 (%) | 44 | 42 | 48 | 49 | 46 | 37 | 36 | 41 | 45 | 47 | 47 | 47 | 44 |
화이안의 역사는 화이허와 떼려야 뗄 수 없다. 전설에 따르면, 우왕이 화이허를 다스려 오랫동안 안정을 찾았다고 한다.
화이안시는 4개의 시할구와 3개의 현을 관할한다.[1] 이들은 다시 84개의 읍, 33개의 향, 10개의 가도를 포함하여 총 127개의 향진급 행정 구역으로 세분된다.
3. 역사
춘추전국시대 주나라 시기에는 중요한 농업 중심지였다. 기원전 486년, 오나라의 왕 부차는 제나라와의 분쟁에 대비하여 쑤저우와 화이안을 연결하는 한구 운하를 건설했다.[3] 이후 전국 시대에는 오, 월나라, 초나라가 차례로 이 지역을 점령했다가 진나라의 진시황에게 정복되었다.
진나라 시대에는 화이인현(현 청사는 오늘날 화이인구 마터우]), 쉬이현(현 청사는 오늘날 쉬이현 마바]), 둥양현(현 청사는 오늘날 쉬이현 마바)이 설치되었다.[6] 이 지역 사람들은 진나라를 타도한 반군에 가담했으며, 그중 한신이 두각을 나타냈다.
한나라 시대에는 화이푸현(현 청사는 롄수이현 서부), 서양현(현 청사는 화이안시 동남부), 푸린현(현 청사는 현재 홍쩌호 수중에 위치)이 추가되었다. 이 시기에는 한신, 매승, 매고, 진림 등 뛰어난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삼국시대부터 수나라 시대까지, 건안 5년(200년) 진등이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가언을 건설했다.[6] 그는 또한 항구 운하를 서쪽으로 확장하고, 푸링호를 포푸 연못으로 통합했다. 수나라 시대에는 중국 대운하가 건설되어 도시의 교통과 무역이 증가했다. 수 양제는 포푸를 홍쩌호로 개칭했다.[7]
송나라 시대인 1128년, 두충이 황하 제방을 파괴하여 황하가 사수를 빼앗아 화이허 하류로 유입되었다. 이로 인해 홍쩌호가 확장되고 잦은 홍수가 발생했다.[8]
명나라 시기에는 쉬이현에 명조릉이 건설되었다. 청나라 시기에는 청연원이 건설되었고, 남하총독과 조운총독이 설치되어 수운과 소금 생산으로 번영했다. 양저우, 쑤저우, 항저우와 함께 대운하 4대 도시로 불렸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 일본 제국 육군에 점령되어 왕징웨이 정권의 통치를 받았다. 중국 국공 내전 종결 단계에서 중국 공산당 인민해방군에 함락되었다.
1949년 화이인 지구가 설치되었고, 1983년 화이인시로 승격되었다. 2000년 화이안시로 개칭되었다.
4. 행정 구역
4. 1. 시할구
화이안시는 4개의 시할구와 3개의 현을 관할한다.
화이안시 현급 행정 구역 | |||||
---|---|---|---|---|---|
명칭 | 간체 | 병음 | 인구 (2020년) | 면적 (km2) | 인구 밀도 (/km2) |
시할구 | |||||
칭장푸구 | |Qīngjiāngpǔ Qū | 1,010,704 | 438.5km2 | 2,305 | |
화이안구 | |Huáiān Qū | 785,272 | 1460km2 | 537.9 | |
화이인구 | |Huáiyīn Qū | 748,791 | 1315km2 | 569.4 | |
훙쩌구 | |Hóngzé Qū | 285,097 | 1338km2 | 216.3 | |
현 | |||||
롄수이현 | |Liánshuǐ Xiàn | 829,699 | 1679km2 | 494.2 | |
쉬이현 | |Xūyí Xiàn | 607,211 | 2506km2 | 242.3 | |
진후현 | |Jīnhú Xiàn | 289,456 | 1338km2 | 216.3 | |
총계 | 4,556,230 | 9971km2 | 456.9 |
과거에는 칭허구와 칭푸구가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4. 2. 현
롄수이현·쉬이현·진후현5. 경제
장쑤 사강 그룹의 자회사인 장쑤 사강 그룹 화이안 특수강 유한공사(淮安特鋼)가 위치하고 있다. 2000년 이후 대한민국의 한국타이어, 대만의 폭스콘 등 여러 기업들이 화이안에 투자하면서 대만 자본이 집중되는 지역이 되었다. 2023년 화이안시의 GDP는 5015.1억위안이며, 1인당 GDP는 93700CNY(12980USD)로 장쑤성에서 11위, 전국에서 58위를 기록했다.
6. 교통
화이안 롄수이 국제공항이 있으며, 중국동방항공에서 베이징 수도, 충칭, 광저우, 상하이 훙차오, 상하이 푸둥, 원저우, 우한, 샤먼, 시안으로 가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다른 여러 항공사들은 난닝, 정저우와 같은 도시로 가는 국내선 항공편을 제공한다. 공항은 화이안 시내에서 22km 떨어진 롄수이 현에 위치해 있다.[1]
철도로는 쉬옌 고속철도, 롄전 고속철도, 신창선이 있다.
노면 전차가 시내 중심과 도시 남동부를 연결한다.[1]
도로는 징후 고속도로, 수화이옌 고속도로, 닝롄 고속도로, 옌쉬 고속도로가 있다.[1]
중국 대운하와 화이허의 교차점에 위치한 중요한 내륙 항구이다.[1]
7. 문화
화이안시의 현지 문화는 장회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화이허와 양쯔 강 사이의 지역을 의미한다. 현지 방언은 장회 또는 하강 남부 관화의 한 형태이다. 현지 요리는 장회 또는 화이양 요리로 불리며, 역사적으로 중국 요리의 4대 주요 스타일 중 하나로 여겨진다. 특히 민물고기 요리가 유명하다.
화이안시의 종교는 기독교가 시설 수 800곳, 신자 수 18만 명으로 가장 많다. 불교 (시설 수 40곳, 신자 수 4만 명), 이슬람교 (시설 수 5곳, 신자 수 6,000명)가 그 뒤를 잇는다. 유명한 불교 사찰로는 자운사, 문사사 등이 있다.
중국 역사 문화 명성으로 지정된 화이안은 관광 도시로도 알려져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대운하와 조운총독아문(漕運總督衙門) 옛터, 진회루, 문통탑, 청안원, 발지산 공원, 작호 등이 있다. 또한 저우언라이 옛집과 저우언라이 기념관, 명나라 주원장이 조상을 묻은 명조릉도 있다.
8. 인물
- 한신 (기원전 196년 사망): 후기 진나라의 군사 지도자로 유방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회음후에 봉해졌다.
- 오승은 (1500–1582): 명나라 소설가, ''서유기''의 저자.[1]
- 관천패 (1780–1841): 아편 전쟁 중 사망한 청나라 말기 무장.[2]
- 저우언라이 (1898–1976): 1949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를 역임한 인물.[3]
- 루스 벨 그레이엄 (1920–2007): 본명 루스 매큐 벨, 미국의 복음 전도사 빌리 그래엄의 아내.[4]
- 추젠 (1975): 사격 선수,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5]
- 화춘잉 (1970-):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부부장 겸 대변인.[11]
- 리위안차오 (1950-): 전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10]
9. 자매 도시
화이안시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9]
국가 | 도시 | 주/도 |
---|---|---|
에콰도르 | 쿠엥카 | 아수아이 주 |
벨라루스 | 고멜 | 고멜 주 |
러시아 | 콜피노 | 상트페테르부르크 |
러시아 | 마그니토고르스크 | 첼랴빈스크 주 |
캐나다 | 오크빌 | 온타리오 |
폴란드 | 지클린 | 우치주 |
독일 | 자스니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 |
대한민국 | 완주군 | 전라북도 |
미국 | 요바린다 | 캘리포니아 |
참조
[1]
웹사이트
China: Jiāngsū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存档副本
http://dy.163.com/v2[...]
2019-10-07
[3]
웹사이트
Pinyin.info
http://www.pinyin.in[...]
2023
[4]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2
[5]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2
[6]
참고문헌
SHLWSA (7 Sept. 2020)
2020-09-07
[7]
참고문헌
Huai'an (5 Feb. 2018)
2018-02-05
[8]
참고문헌
SHLWSA (3 Sept. 2020)
2020-09-03
[9]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english.huaia[...]
Huai'an
2020-07-12
[10]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中華人民共和国民政部
[11]
웹사이트
江苏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12]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9-22
[13]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