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일 전쟁은 1991년 6월 슬로베니아의 독립 선언 이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과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 사이에서 벌어진 짧은 전쟁이다. 1980년대부터 이어진 유고슬라비아 내의 정치적, 민족적, 경제적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슬로베니아는 경제적 번영과 민족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독립을 추진했다. 슬로베니아는 게릴라전을 계획하고, 비대칭 전력으로 유고 인민군에 맞섰으며, 1991년 6월 25일 독립을 선언하고, 유고 인민군의 공격을 받았다. 10일간의 전투 끝에 슬로베니아는 승리하여 독립을 쟁취했고, 이는 유고슬라비아 해체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슬로베니아 - 브리유니 협정
브리유니 협정은 1991년 유럽 공동체의 중재로 체결되어 슬로베니아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철수를 용이하게 했지만, 크로아티아에서는 무력 충돌을 완전히 종식시키지 못했다. - 10일 전쟁 - 1990년 슬로베니아 독립 국민투표
1990년 슬로베니아 독립 국민투표는 유고슬라비아의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슬로베니아 독립을 결정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투표 결과 유권자의 대다수가 독립에 찬성하여 슬로베니아 독립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이후 독립 선언과 10일 전쟁으로 이어졌다. - 10일 전쟁 - 브리유니 협정
브리유니 협정은 1991년 유럽 공동체의 중재로 체결되어 슬로베니아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철수를 용이하게 했지만, 크로아티아에서는 무력 충돌을 완전히 종식시키지 못했다. - 슬로베니아가 참전한 전쟁 - 테러와의 전쟁
"테러와의 전쟁"은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들이 특정 테러 집단 및 정권에 대해 벌인 군사 작전을 지칭하는 용어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광범위한 군사 개입과 안보 강화 노력을 포함하지만, 테러 조장 우려와 논란으로 사용이 줄고 있으며, 정의와 효과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슬로베니아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유럽을 중심으로 벌어진 제1차 세계 대전은 제국주의적 경쟁, 민족주의 갈등, 동맹 관계, 군비 경쟁 등의 복합적 원인으로 발발하여, 사라예보 사건을 도화선으로 삼국 동맹과 삼국 협상의 연쇄 참전, 새로운 무기 사용, 러시아 혁명, 미국의 참전 등을 거쳐 독일의 항복으로 종전되었고, 그 결과 4개 제국이 멸망하고 유럽 국경선이 재편되었으며 국제 연맹이 창설되었다.
10일 전쟁 | |
---|---|
개요 | |
![]() | |
분쟁 명칭 | 십일 전쟁 |
슬로베니아어 명칭 | desetdnevna vojna (십일 전쟁) |
슬로베니아어 다른 명칭 | slovenska osamosvojitvena vojna (슬로베니아 독립 전쟁) |
시기 | 1991년 6월 27일 ~ 1991년 7월 7일 () |
장소 | 슬로베니아 |
일부 |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일부 |
결과 | 슬로베니아의 승리 브리유니 협정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슬로베니아에서 철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전면적인 침공 회피 |
영토 변경 | 슬로베니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얻음 |
교전 세력 | |
교전 부대 1 | [[파일:Logo of the JNA.svg|22px]]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유고슬라비아 육군 |
교전 부대 2 | [[파일:Patch of the Territorial Defense of Slovenia.svg|20px]] 영토방위군 [[파일:Slovenia - National Police POLICIJA (4341618425).jpg|20px]] 국가 경찰 |
지휘관 | |
지휘관 (교전국 1)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보리사브 요비치 벨코 카디예비치 블라고예 아지치 콘라트 콜셰크 알렉산다르 바실레비치 Andrija Rašeta |
지휘관 (교전국 2) | 밀란 쿠찬 로이제 페테를레 야네스 얀샤 이고르 바우차르 |
전력 | |
병력 (교전국 1) | 22,300명 |
병력 (교전국 2) | 영토방위군 35,200명, 경찰 10,0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사상자 (교전국 1) | 전사 45명, 부상 146명, 포로 4,693명 |
사상자 (교전국 2) | 전사 19명, 부상 182명 |
민간인 사상자 | 슬로베니아인 6명, 외국 민간인 12명 사망 |
관련 정보 |
2. 배경
1980년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사망한 이후, 유고슬라비아 내에 잠재되어 있던 정치, 민족, 종교, 경제적 긴장이 표면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52] 특히 1989년, 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중앙위원회 의장을 지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53][54]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면서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밀로셰비치는 연방 정부의 권력을 강화하는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나,[55] 슬로베니아를 비롯한 다른 공화국들은 각 공화국과 자치주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여 연방의 영향력을 줄이려 했다.[55]
이러한 상황 속에서 슬로베니아는 독일과 바티칸의 지원을 받으며[56][9]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삼았다.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중 경제 수준이 가장 높았고, 민족적 동질성 또한 매우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1980년대 이후 유고슬라비아 전역으로 확산된 민족주의 경향 역시 독립 움직임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슬로베니아 내부에서도 독립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이 나타났다. 1989년 12월, 슬로베니아 경찰은 친 밀로셰비치 시위대의 류블랴나 진입을 막는 '북쪽 조치(Action North)'를 실행했다.[57] 이 사건은 슬로베니아 내 야당을 결집시키고 공산주의 체제의 민주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어 1990년 4월에는 슬로베니아 최초의 다당제 민주 선거가 실시되었고, 독립을 지지하는 중도 우파 연합인 DEMOS 연합이 55% 이상의 지지율로 승리하며[57] 독립 추진의 정치적 동력을 확보했다. 이처럼 슬로베니아의 독립은 유고슬라비아 내부의 정치적 갈등 심화, 슬로베니아 자체의 경제적·민족적 특수성, 그리고 민주화와 민족 자결에 대한 열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2. 1. 경제적 요인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구성국 중에서 가장 높은 경제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유고슬라비아 전체 인구의 10% 미만이었지만, 고용, 소득, 수출 등 경제 지표는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가장 높았다. 가장 경제 수준이 낮은 북마케도니아와 슬로베니아 사이의 국내 경제 격차는 8배에 달했다.이러한 높은 경제 수준은 슬로베니아가 독립 후에도 빠르게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슬로베니아는 2004년 5월 1일, 구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중 가장 먼저 유럽 연합(EU)에 가입했다. 당시 함께 가입한 동유럽 7개국과 몰타, 키프로스와 비교해도 슬로베니아의 국민 1인당 국내 총생산(GDP)은 가장 높았다. EU 가입 시점의 1인당 GDP는 스페인, 키프로스, 그리스에 준하는 수준이었고, 이미 포르투갈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슬로베니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할 때부터 경제 성장의 기반을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슬로베니아의 높은 경제 수준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지리적으로 오스트리아, 이탈리아(특히 북이탈리아)와 접해 있어 유고슬라비아 내에서도 가장 서유럽에 가까웠고, 이 덕분에 서방과의 경제 교류가 활발했다. 또한, 근면을 중시하는 문화가 있었다. 이는 슬로베니아가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 오스트리아 제국령에 속해 있으면서 근면을 강조하는 독일 문화 등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당시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했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슬로베니아인이 더 많았던 곳도 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후 주민 투표를 통해 오스트리아령으로 남은 지역도 있다. 현재도 슬로베니아인 중에는 독일어와의 이중 언어 구사자가 많으며, 이는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경제적 배경은 슬로베니아인들이 독립을 생각하게 된 중요한 이유 중 하나였다. 그들은 "유고슬라비아의 정치는 베오그라드 중심의 세르비아인이 주도하지만, 경제는 슬로베니아가 이끌고 있다. 슬로베니아 혼자라면 더 발전할 수 있는데, 세르비아나 마케도니아 같은 다른 공화국들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유고슬라비아 연방에 남아 있는 것보다 독립하여 서방과의 경제적 유대를 강화하는 것이 더 이득이라고 판단하게 되었다.
2. 2. 민족적 동질성
슬로베니아는 당시 유고슬라비아를 구성하던 공화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제력과 함께 민족적 동질성이 매우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1980년대 이후 유고슬라비아 전역으로 퍼져나간 민족주의 경향 역시 슬로베니아 독립의 배경으로 작용했다.슬로베니아 내 슬로베니아인 비율은 90%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크로아티아인 비율이 약 75%였던 크로아티아나 세르비아인 비율이 약 65%였던 세르비아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경우처럼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무슬림인 등 어느 민족도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하는 상황과는 더욱 대조적이었다.
이러한 높은 민족적 동질성은 여러 측면에서 슬로베니아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당시 유고슬라비아의 주도권을 쥐고 있던 세르비아는 다른 공화국의 독립 움직임에 대해 해당 지역 내 세르비아인 보호를 명분으로 개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슬로베니아 내 세르비아인 비율은 3% 정도에 불과하여 세르비아가 개입할 명분이 약했다. 이는 세르비아인이 인구의 10% 이상을 차지하며 크로아티아 전쟁의 주요 원인이 되었던 크로아티아의 상황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슬로베니아는 구 유고슬라비아 내 주요 민족 통합주의(대크로아티아주의, 대세르비아주의, 대알바니아주의)의 대상 지역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세르비아는 슬로베니아의 독립을 저지하는 데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두지 않았고, 크로아티아 역시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군사 행동을 일으킬 이유가 없었다.
높은 민족적 동질성은 슬로베니아 내부적으로도 큰 이점이었다. 슬로베니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독립에 대한 국내 여론을 하나로 모으기 쉬웠다. 전쟁 발발 이후에도 소수 민족인 세르비아인을 중심으로 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슬로베니아 내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받기 어려웠고, 이는 결과적으로 전쟁이 단기간에 끝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2. 3. 정치적 요인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인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1980년에 사망한 이후, 유고슬라비아 내에 잠재되어 있던 정치, 민족, 종교, 경제적 갈등이 표면화되기 시작했다.[52] 특히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유고슬라비아 전역으로 민족주의 경향이 확산되었다.1986년부터 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중앙위원회 의장이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1989년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53][54]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밀로셰비치는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이 각 공화국과 자치주에 부여한 자치권을 비판하며, 베오그라드의 연방 정부를 중심으로 유고슬라비아를 중앙집권화하려 했다.[55] 이는 사실상 세르비아 중심의 연방 운영을 의미했으며,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자극했다.
밀로셰비치의 이러한 움직임은 세르비아인을 제외한 다른 민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코소보의 알바니아인 사이에서 반(反)세르비아적인 민족주의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났다.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중 경제 수준이 가장 높고 민족적 동질성이 강했으며, 지리적으로 서유럽과 가까워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서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슬로베니아는 독일과 바티칸의 지원을 받으며[56][9]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삼았다.
1988년에는 슬로베니아의 민족주의 감정을 크게 자극한 '얀샤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슬로베니아에서는 비교적 자유로운 발언이 허용되는 분위기 속에서 반체제적인 언론 활동이 나타났는데, 슬로베니아 청년 동맹 기관지 "믈라디나"의 기자였던 야네즈 얀샤가 군사 기밀 누설 혐의로 체포되었다. 얀샤는 반 세르비아적 입장을 보여왔기에 이 체포는 슬로베니아인들의 반발을 샀으며, 특히 재판이 슬로베니아어가 아닌 세르보크로아트어로 진행된 점이 반감을 더욱 증폭시켰다. 이 사건을 계기로 슬로베니아 내 반 세르비아 정서는 더욱 강해졌다.
1989년 동유럽 혁명으로 공산주의 정권들이 연이어 붕괴하자 그 영향은 유고슬라비아에도 미쳤다. 1989년 초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에서는 비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계열 정당 설립이 허용되었고, 1990년에는 복수 정당제에 의한 자유 선거 실시가 결정되었다. 한편, 1989년 12월 슬로베니아 경찰은 친 밀로셰비치 시위대의 류블랴나 진입을 막는 '북쪽 조치(Action North)'를 실행했는데, 이는 야당을 결집시키고 슬로베니아의 공산주의 체제를 민주화하는 계기가 되었다.[57] 1990년 4월 슬로베니아 최초의 다당제 자유 선거에서는 슬로베니아 민족주의 성향의 중도 우파 연합인 DEMOS 연합이 55% 이상의 지지율로 승리하며 독립을 위한 정치적 기반을 마련했다.
1990년 10월, 슬로베니아는 크로아티아와 함께 유고슬라비아를 각 공화국에 주권을 인정하는 국가 연합, 즉 "미니 EC"(유럽 공동체)와 유사한 형태로 만드는 '국가 연합 모델'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로 인해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내에서는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분리 독립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결국 1991년 6월 25일 양국은 동시에 독립을 선언했다.
3. 전쟁 준비
1990년 12월 실시된 독립 국민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으로 독립이 결정되자,[58][59][10][11] 슬로베니아 정부는 베오그라드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정부가 군사력을 동원해 이를 저지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다. 실제로 국민투표 직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기존의 공화국별 영토방위군(TO) 중심의 "인민대중방위론"을 폐기하고, 군 지휘권을 중앙으로 집중시키는 새로운 방위 교리를 발표했다.[60] 이는 각 공화국의 국방 주권을 약화시키고 영토방위군을 무장 해제하여 JNA 본부에 종속시키려는 의도였다.[61]
슬로베니아 정부는 이러한 움직임에 맞서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의 무기 대부분이 JNA에 넘어가지 않도록 조치했으며,[62] 1990년 9월 헌법 개정을 통해 영토방위군에 대한 독자적인 지휘권을 확보했다. 동시에 '국가 방위 기동 구조'(Manevrska struktura narodne zaščite|마노에우레 스트룩투라 나로드네 자슈치테sl, MSNZ)라는 비밀 지휘 체계를 구축하여, JNA의 통제를 벗어난 독자적인 군사 조직을 운영할 준비를 했다.[62] 1990년 5월부터 10월 사이, 연방 정부 모르게 상당수의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 및 경찰 인력이 이 비밀 지휘 체계 아래로 편입되었다. 또한, 슬로베니아 정부는 JNA와의 군사적 충돌에 대비해 상세한 작전 계획을 수립하여 전쟁 발발 약 7개월 전인 1990년 11월까지 준비를 마쳤다.[63][12]
슬로베니아는 JNA의 압도적인 군사력을 정면으로 상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국방부 장관 야네즈 얀샤의 주도하에 비대칭 전투 전략을 채택했다. 이는 게릴라 방식으로 JNA 부대를 기습하고, 대전차 무기와 대공 미사일을 적극 활용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특히 기동이 제한되는 지형에서 매복 공격을 통해 JNA 기갑 부대를 효과적으로 무력화시키는 전술 등이 고려되었다. 이를 위해 슬로베니아는 SA-7 그라일 대공 미사일, 아름브루스트 대전차 미사일 등 필요한 무기 체계를 해외에서 비밀리에 확보했다.[64]
3. 1.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 강화
1990년 12월 23일, 슬로베니아에서 열린 독립 여부 국민투표는 투표율 93.3%에 전체 유권자의 88.5%(투표자의 94.8%)가 독립을 지지하며 통과되었다.[58][59][10][11] 슬로베니아 정부는 베오그라드의 유고슬라비아 연방정부가 슬로베니아의 독립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군사력을 동원할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국민투표 직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유고슬라비아 전역에 적용될 새로운 방위 교리를 발표했는데, 이는 티토 시대 각 공화국의 영토방위군(TO)이 유지하던 "인민대중방위론"(또는 "전 국민 방위") 교리를 폐기하고 중앙집권화된 군사 체계로 대체하는 내용이었다.[60] 이 계획에 따라 각 공화국은 국방 주권을 잃고 영토방위군은 무장 해제되어 베오그라드의 JNA 본부에 종속될 예정이었다.[61]
슬로베니아 정부는 이러한 무장 해제 시도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여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의 무기 대부분이 JNA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아냈다. 또한 1990년 9월 28일 통과된 헌법 개정안을 통해 자국의 영토방위군을 슬로베니아 정부가 독자적으로 지휘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이와 동시에 슬로베니아는 '국가 방위 기동 구조'(Manevrska struktura narodne zaščite|마노에우레 스트룩투라 나로드네 자슈치테sl, MSNZ)라는 비밀스러운 대체 지휘 조직을 창설했다. 이는 공화국이 민병대와 유사하게 즉석에서 방어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고안된 기존의 제도를 활용한 것이었다. 1990년 이전에는 구식 무기와 적은 인원으로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으나, 슬로베니아 정부는 MSNZ를 통해 JNA의 통제를 벗어난 독자적인 지휘 체계를 확보했다.[62]
JNA가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의 지휘권을 장악하려 하자, TO의 지휘 구조는 즉시 MSNZ 조직으로 전환되었다. 1990년 5월부터 10월 사이, 연방 정부 모르게 약 21,000명의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 및 경찰 인력이 MSNZ 지휘 체계 아래로 비밀리에 편입되었다. 슬로베니아 정부는 JNA와의 군사적 충돌에 대비한 세부 계획도 수립하여, 실제 전쟁 발발 7개월여 전인 1990년 11월까지 작전 및 전술 계획을 마련했다.[63]
슬로베니아는 자국 군사력만으로는 JNA를 장기간 막아내기 어렵다는 현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야네즈 얀샤는 비대칭 전투 전략을 채택했다. 영토방위군은 대전차 무기와 대공 미사일을 이용해 JNA 부대를 기습하는 게릴라 작전을 수행할 계획이었다. 예를 들어, 기동이 제한된 좁은 산길과 같은 유리한 지형에서 JNA 기갑 부대의 선두 및 후미 차량을 파괴하여 대열 전체를 고립시킨 후 격파하는 전술 등이 구상되었다. 이러한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 슬로베니아 정부는 해외로부터 SA-7 그라일 대공 미사일과 독일제 아름브루스트 대전차 미사일 등 경량 미사일 시스템을 비밀리에 대량으로 구매했다.[64] JNA의 압도적인 화력을 고려할 때, 전면전보다는 기습 및 지연 전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는 의도였다.
3. 2. 군사 전략 수립
1990년 12월 23일, 슬로베니아에서 열린 독립 여부 국민투표에서 전체 유권자의 88.5%(투표자의 94.8%)가 독립을 지지하며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되었다.[58][59][10][11] 슬로베니아 정부는 베오그라드의 유고슬라비아 연방정부가 슬로베니아의 독립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군사력을 동원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었다. 국민투표 직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유고슬라비아 전국에 적용될 새로운 방위교리를 발표했다. 이 교리는 티토 시대에 각 공화국이 영토방위군(TO)을 통해 유지하던 "인민대중방위론" 교리를 폐기하고, 군사 체계를 베오그라드 중앙 정부 아래로 일원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60] 이에 따라 각 공화국은 국방 주권을 상실하고, 각자의 영토방위군은 무장 해제된 채 유고 인민군의 지휘 아래 놓일 예정이었다.[61]
슬로베니아 정부는 이러한 중앙 정부의 무장 해제 시도에 저항하여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이 보유한 무기의 상당수가 유고 인민군에게 넘어가는 것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62] 또한 1990년 9월 28일에는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을 공화국 정부가 독자적으로 지휘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와 동시에 슬로베니아는 "마노에우레 국가보호조직"(Manevrska struktura narodne zaščitesl, MSNZ)으로 알려진 비밀 대체 지휘 체계를 구축했다. 이는 공화국이 유사시 민병과 같이 즉각적인 방어 체계를 가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존의 제도를 활용한 것이었다.[62] 유고 인민군이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의 지휘권을 장악하려 하자, 슬로베니아는 영토방위군의 지휘 구조를 MSNZ 조직으로 신속하게 전환했다. 1990년 5월부터 10월 사이에 약 21,000명의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 및 경찰 인력이 연방 정부 모르게 MSNZ 지휘 체계로 비밀리에 편입되었다. 슬로베니아 정부는 유고 인민군과의 군사적 충돌에 대비한 세부 계획 수립에도 착수하여, 실제 전쟁이 시작되기 약 7개월 전인 1990년 11월까지 작전 및 전술 계획을 마련해 두었다.[63][12]
슬로베니아는 자국의 군사력만으로는 유고 인민군의 압도적인 전력을 장기간 막아낼 수 없다는 현실을 잘 알고 있었다. 이에 국방부 장관 야네즈 얀샤는 비대칭 전투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전쟁 전략을 수립했다.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은 게릴라 작전을 통해 대전차 무기와 대공 미사일을 사용하여 유고 인민군 부대를 기습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예를 들어, 기동 공간이 제한된 좁은 산길과 같은 유리한 지형에서 매복하여 유고 인민군 기갑 부대의 선두 및 후미 차량을 먼저 파괴함으로써 전체 대열의 기동을 봉쇄하고 나머지 병력을 효과적으로 제압하는 전술을 구상했다. 이러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슬로베니아 정부는 해외로부터 SA-7 그라일 대공 미사일과 독일제 아름브루스트 대전차 미사일과 같은 경량 미사일 시스템을 비밀리에 대량으로 구매했다. 이는 유고 인민군의 우월한 화력에 정면으로 맞서기보다는 기습 및 지연 전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는 비대칭 전략의 일환이었다.[64]
4. 10일 전쟁의 전개
1991년 6월 25일,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65]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 연방군의 군사적 대응을 예상하고, 독립 선언일을 비밀리에 하루 앞당겨 6월 25일로 정함으로써 초기 주도권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는 6월 26일을 군사 행동 개시일로 계획했던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혼란을 야기했다.[66][13]
유고슬라비아 연방군(JNA) 지도부는 슬로베니아의 독립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대응 방식에 대해서는 내부 의견이 갈렸다. 참모총장 블라고예 아지치는 슬로베니아 정부 전복을 위한 대규모 군사 작전을 주장한 반면, 국방장관 벨코 카디예비치는 슬로베니아가 독립 선언을 철회하도록 압박하는 제한적인 무력시위를 선호했다. 결국 후자의 방안이 채택되었다.[67][14] 연방 총리 안테 마르코비치는 연방 정부가 군의 이러한 결정에 대해 사전에 통보받지 못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68][15]
6월 26일 아침, JNA 부대가 크로아티아의 리예카 기지를 출발하여 슬로베니아 국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자, 슬로베니아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시위를 벌이며 저항했다.[69] 같은 날 슬로베니아 정부는 주요 국경 초소와 류블랴나 공항을 신속하게 장악하여 주권의 핵심 요소인 국경 통제권을 확보했다.[70] 이는 JNA가 선제공격을 감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었고, 6월 27일 디바차에서 JNA 장교의 첫 발포로 무력 충돌이 시작되었다.[71]
6월 27일 새벽부터 JNA는 본격적인 군사 작전을 개시하여 류블랴나 공항을 점령하고 주요 국경 지점으로 진군했다.[72] 이에 슬로베니아 정부는 무장 저항을 결정했고,[75]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TO)은 JNA 헬리콥터를 격추하고[76][77] JNA 부대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초기 JNA는 일부 국경 초소를 점령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으나, 슬로베니아 전역에 분산 배치되어 TO의 효과적인 공격에 취약한 상태에 놓였다.[80]
6월 28일부터 슬로베니아 TO는 총공세를 펼쳐 JNA 부대를 공격하고 여러 지역에서 전술적 우위를 확보하기 시작했다.[81] 노바고리차[83], 홀메츠[17] 등 주요 교전에서 슬로베니아군은 JNA 부대에 상당한 피해를 입히고 무기와 장비를 노획했다. JNA는 공습을 감행했지만[86], 슬로베니아 출신 병사들의 탈영과 지휘 체계의 혼란으로 어려움을 겪었다.[87]
전쟁이 격화되자 JNA 지도부는 전면 침공과 군정 실시를 고려했으나, 유고슬라비아 대통령단의 승인을 얻지 못했다.[94][30] 7월 초까지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슬로베니아 TO는 지속적으로 JNA 부대를 격퇴하고 국경 초소를 탈환했다.[97][98] 결국 JNA는 7월 3일 저녁 휴전에 동의하고 막사로 철수하기 시작했다.[101][102]
7월 7일, 유럽 공동체(EC)의 중재로 브리유니 협정이 체결되어 공식적인 휴전이 이루어졌고, 유고슬라비아 연방군은 슬로베니아에서 완전히 철수하기로 합의했다.[104] 이로써 슬로베니아는 독립을 성공적으로 지켜냈으며, 10일간의 짧은 전쟁은 막을 내렸다.
4. 1. 유고슬라비아 연방군의 침공 (6월 26일 - 27일)
1991년 6월 25일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 법안을 통과시키자[65], 슬로베니아는 예상되는 충돌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독립일을 비밀리에 하루 앞당겼다. 이는 6월 26일을 군사 행동 개시일로 잡았던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혼란을 주었다.[66][13]
유고슬라비아군은 슬로베니아의 독립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내부적으로 대응 방식을 두고 의견이 갈렸다. 유고 인민군 참모총장 블라고예 아지치 중장은 슬로베니아 정부를 무너뜨리는 대규모 군사 작전을 주장했으나, 국방장관 벨코 카디예비치 대장은 슬로베니아가 독립 선언을 철회하도록 압박하는 무력시위를 선호했다. 결국 카디예비치의 신중론이 채택되었다.[67][14] 연방행정회의 의장 안테 마르코비치는 연방 정부가 군대의 이러한 결정에 대해 사전에 통보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68][15]
6월 26일 아침,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 제13군단 부대가 크로아티아의 리예카 기지를 떠나 슬로베니아와 이탈리아 국경 지대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이 움직임은 슬로베니아 주민들의 자발적인 저항에 부딪혔고, 주민들은 바리케이드를 치거나 시위를 벌여 인민군의 진군을 방해했다. 이때까지 양측은 되도록 먼저 발포하지 않는다는 비공식적인 정책을 유지하는 듯 보였다.[69]
같은 날, 슬로베니아 정부는 주요 국경 초소와 류블랴나 공항(당시 브르니크 공항)을 장악하기 위한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 국경 초소 근무자 대부분이 슬로베니아인이었기 때문에, 큰 충돌 없이 유니폼과 휘장을 바꾸는 것만으로 슬로베니아의 통제하에 들어왔다. 이는 슬로베니아의 주권 행사에 필수적인 국경, 관세, 영공 통제권을 확보하고[70] 중요한 세입원을 장악하며, 유고 인민군의 예상 공격 지점에 방어선을 구축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유고 인민군은 선제공격을 감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고, 실제로 6월 27일 디바차에서 유고 인민군 장교가 첫 발포를 했다.[71]

6월 27일 새벽, 유고 인민군은 추가 병력을 투입하며 본격적인 침공을 개시했다. 크로아티아 카를로바츠에 주둔한 제306대공연대가 슬로베니아 국경 마을 메틀리카를 넘었고, 브르흐니카에 기지를 둔 제1기갑여단 일부가 류블랴나 인근 브르니크 공항으로 이동하여 시설을 장악했다.[72] 동쪽에서는 마리보르에서 출발한 인민군 부대가 국경 건널목인 셴틸과 드라보그라드를 향해 진군했다. 유고슬라비아 공군은 슬로베니아 전역에 "우리는 평화와 협력을 추구한다!", "모든 저항은 진압될 것이다"라는 내용의 전단지를 투하하며 심리전을 펼쳤다.[73][74]
슬로베니아 지도부는 6월 27일 새벽 유고 인민군의 움직임을 보고받았다. 제5군구 사령부는 슬로베니아 대통령 밀란 쿠찬에게 군의 임무가 국경 및 공항 점령에 한정된다고 밝혔지만, 슬로베니아 대통령직 회의는 무장 저항을 하기로 결정했다.[75] 슬로베니아 정부는 유고 인민군 특수부대의 헬리콥터 수송 작전 가능성을 경고하며, 헬기 사용 시 격추될 수 있다고 유고 인민군 제5군구 사령부에 통보했다. 그러나 유고 인민군 지도부는 슬로베니아가 저항하지 못할 것이라 오판하고 이 경고를 무시했다. 6월 27일 오후,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TO)은 SA-7 미사일로 유고 인민군 헬기 2대를 격추했다.[76] 그중 한 대는 류블랴나 로주나돌리나 상공에서 격추된 에로스페티아르 가젤 헬기로,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으며 여기에는 슬로베니아인 조종사 토니 므를라크도 포함되어 있었다.[77][78]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은 유고 인민군 막사를 포위하고 공격을 개시했다. 브르니크 공항에서는 공항을 점거한 유고 인민군과 교전이 벌어졌고, 트르진에서는 전투 끝에 유고 인민군 병사 4명과 영토방위군 병사 1명(에드바르트 페페르코)이 사망하고 남은 유고 인민군 부대가 항복했다. 또한 페스니차, 오르모시, 코세제 등지에서 유고 인민군 전차 대열을 공격했다. 크로아티아 바라주딘에서 진격해 온 유고 인민군 제32기계화여단은 오르모시 인근에서 슬로베니아군이 설치한 바리케이드에 막혀 진격이 저지되었다.[79]
6월 27일 밤까지 유고 인민군은 이탈리아와의 모든 국경 건널목, 오스트리아 국경과의 3개 건널목, 그리고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 국경의 일부를 제외한 다수의 국경 초소를 점령하는 등 초기 목표를 일부 달성했다. 하지만 유고 인민군 부대는 슬로베니아 전역에 분산되어 공격에 취약한 상태에 놓였으며,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의 예상보다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한편, 당시 한국 정부는 현지 상황 악화에 따라 류블랴나에 체류 중이던 교민 28명(상사원 27명, 유학생 1명)에게 안전지대로 대피하라는 지시를 내렸다.[80]
4. 2. 슬로베니아의 반격 (6월 28일 - 7월 1일)
6월 27일에서 28일로 넘어가는 밤,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TO)에 유고 인민군(JNA)에 대한 총공격 개시 명령이 내려졌다. 슬로베니아 국방부는 "슬로베니아 공화국 군대(TO)가 전술적 우위를 점하는 모든 지점에서 적 부대와 시설을 상대로 공격 작전을 수행한다. 적에게 항복을 요구하고, 가능한 가장 짧은 기한을 정하여 항복을 요구하며, 모든 사용 가능한 무기를 사용하여 조치를 취한다. 작전 중에는 민간인을 대피시키고 보호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고 명령했다.[81]6월 28일, 전투는 하루 종일 이어졌다. 오스트리아 국경 근처 슈트리호베츠에서는 전날 공격받았던 JNA 전차 대열이 슬로베니아 트럭으로 만든 바리케이드에 막혀 TO와 경찰의 공격을 다시 받았다. 유고슬라비아 공군은 JNA 지원을 위해 두 차례 공습을 감행하여 트럭 운전사 4명이 사망했다.[82] 슬로베니아 중부 메드베제크에서도 다른 JNA 전차 대열이 트럭 바리케이드에서 공격을 받았고, 이 과정에서 공습으로 트럭 운전사 6명이 사망했다.[24]
이탈리아 국경의 노바고리차에서는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슬로베니아 특수부대는 아름브루스트 대전차 미사일 2발과 보병 무기로 700여 발을 발사하여 JNA T-55 전차 2대를 파괴하고 3대를 추가로 노획했으며, BTS-1 군용 공병 차량 1대도 노획했다. 이 전투로 JNA 병사 3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당했으며, 부대 지휘관을 포함한 98명의 병사가 항복했다.[83][24] 부상자 중 일부는 국경 너머 이탈리아 고리치아 병원으로 후송되었다.[84][25] 일부 소식통은 이 전투가 전쟁의 향방을 결정지었다고 평가한다.[85]
홀메츠 국경 초소는 슬로베니아 TO에게 점령되었다(홀메츠 전투). 이 전투로 슬로베니아군 2명과 JNA 병사 3명이 사망하고, JNA 병사 45명이 포로로 잡혔다.[17] 부코비에의 JNA 막사가 공격받았고, 보로브니차의 JNA 무기고가 함락되어 슬로베니아군의 무기 확보에 큰 도움이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공군은 브르니크 공항을 포함한 여러 지역을 공습했다. 브르니크 공항 공습으로 오스트리아 기자 2명(니콜라스 포겔, 노르베르트 베르너)이 사망하고 아드리아 항공 여객기 4대가 크게 파손되었다.[26][27] 공군은 또한 코체브스카 레카의 TO 군사 본부와 크림, 쿰, 트르디나 봉, 나노스의 라디오 및 텔레비전 송신소를 공격하여 슬로베니아 정부 방송을 방해하려 했다.[86]
날이 저물 무렵, JNA는 여전히 많은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으나 빠르게 점령지를 잃어가고 있었다. 또한 JNA 내 슬로베니아 출신 병사들의 탈영 문제도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지상군 및 베오그라드의 지도부 모두 상황 대처에 혼란을 겪는 모습을 보였다.[87] 한편, 유럽 공동체(EC)는 위기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시작하여, 28일 밤부터 29일까지 자그레브에서 EC 외무장관 3명이 슬로베니아 및 유고슬라비아 대표들과 만나 휴전 계획에 합의했으나 실행되지는 못했다.
6월 29일 아침, 슬로베니아군은 여러 중요한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 브르니크 공항에 주둔하던 JNA 부대는 밤새 시설을 포위한 TO에 항복했다. 북부 슈트리호베츠 근처에서는 여러 대의 JNA 탱크가 노획되어 TO 기갑 중대로 재편성되었다. 흐르바티니에서는 JNA 특수부대의 해상 상륙 시도가 있었으나, 슬로베니아군의 매복에 걸려 격퇴당했으며 2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당했다. Vrtojba와 셴틸의 JNA 점령 하 국경 검문소도 TO에 함락되어 무기와 탱크를 추가로 확보했다.[28] JNA는 슬로베니아에 6월 30일 오전 9시까지 적대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이에 슬로베니아 의회는 슬로베니아의 독립을 위협하지 않는 평화로운 위기 해결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며 JNA의 최후 통첩을 거부했다.

6월 30일에도 교전이 계속되었다. TO는 류블랴나 남쪽 노바 바스에 있는 JNA 시설을 점령했다.[92] 치르니 브르흐에 있는 JNA 탄약고에 화재가 발생하여 대규모 폭발로 파괴되었고 마을 일부가 손상되었다. 그러나 슬로베니아군은 페초브니크, 부코브즐라크, 잘로슈카 고리차의 다른 탄약고들을 성공적으로 점령하여 약 70대의 트럭 분량의 탄약과 폭발물을 확보했다.[29]
메드베제크에서 후퇴한 JNA 제306 경항공 방어 포병 연대는 크로아티아 국경 근처의 크라코보 숲(''Krakovski gozd'')으로 이동했으나, 크르슈코 마을 근처에서 봉쇄에 걸려 슬로베니아군에 포위되었다. 이들은 구원 병력을 기다리며 항복을 거부했다.[93][29]
그 사이 JNA 지도부는 작전 방향 전환을 모색했다. 국방부 장관 벨코 카디예비치는 유고슬라비아 내각에 슬로베니아 국경선 장악이라는 최초 계획이 실패했음을 알리고, 슬로베니아에 대한 전면적인 침공과 군사 통치를 시행하는 예비 계획을 실행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그러나 당시 세르비아 출신 보리사브 요비치가 의장이던 집단 대통령직은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JNA 참모총장 블라고예 아지치 장군은 연방 대통령단의 결정에 격분하며 "[슬로베니아인들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우리를 공격하는 동안 연방 기관이라는 곳은 협상을 요구하면서 [우리를] 계속 방해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난했다.[94][30]
7월 1일, 전쟁 발발 이후 가장 격렬한 전투 중 일부가 벌어졌다. 돔잘레 라디오 송신기는 협정 세계시(UTC) 10시 37분(현지 시간 11시 37분)에 JNA 소속 MiG-21 전투기 2대의 공격을 받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95] 하지만 이날 JNA는 여러 차례 큰 좌절을 겪었다. 크라코보 숲의 JNA 호송대는 TO 부대의 지속적인 공격을 받아 결국 항복하였다.[96] 또한 JNA 제4기갑여단 부대는 크로아티아 야스트레바르스코에서 진격을 시작하였으나 슬로베니아 국경 인근의 브레가나에서 격퇴당했다. 슬로베니아 TO는 셴틸리, 고르냐 라드고나, 페르네티치, 고리안스코 등의 국경 초소를 공격하여 점령하고 다수의 JNA 병력을 포로로 잡는 데 성공했다.[97] 드라보그라트에서는 오후부터 저녁까지 JNA와 TO 사이의 장시간 교전이 벌어졌고, 슬로베니아 전역의 많은 JNA 시설이 슬로베니아군에게 점령당했다.[98] 밤 9시 경, 슬로베니아 대통령직 측은 일방적으로 휴전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JNA 지도부 측에서는 "통제권을 다시 장악"하고 슬로베니아 저항 세력을 격파하겠다며 휴전을 거부하였다.[99]
4. 3. 휴전과 연방군 철수 (7월 2일 - 7일)
7월 2일에는 전쟁 중 가장 치열했던 전투 일부가 벌어졌다. JNA의 MiG-21기 2기가 돔잘레 라디오 송신소를 공습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95] 그러나 JNA는 이날 여러 좌절을 겪었다. 크라코보숲에 있던 JNA 호송대는 TO의 지속적인 공격 끝에 항복하였다.[96] 크로아티아 야스트레바르스코에서 출발한 JNA 제4기갑여단 부대는 슬로베니아 국경 인근 브레가나에서 격퇴당했다. 슬로베니아 TO는 셴틸, 고르냐라드고나, 페르네티치, 고리안스코 등의 국경 초소를 공격하여 JNA 부대를 제압하고 다수를 포로로 잡았다.[97] 드라보그라트에서는 오후부터 밤까지 JNA와 TO 간의 전투가 이어졌고, 슬로베니아 전역의 JNA 시설들이 슬로베니아군에게 점령당했다.[98] 밤 9시경, 슬로베니아 대통령직은 일방적으로 휴전을 선언했으나, JNA 지도부는 "통제권을 다시 장악"하고 슬로베니아 저항 세력을 격파하겠다며 이를 거부하였다.[99]7월 3일 아침, 대규모 JNA 기갑 부대가 베오그라드에서 슬로베니아를 향해 출발했으나,[100] 공식적으로는 기계적 고장으로 인해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했다.[102] 슬로베니아 내에서는 전투가 계속되어, 고르냐라드고나 국경 초소로 향하던 JNA 구호대가 라덴치 인근에서 저지되었고, 코크 국경 초소의 JNA 부대도 TO의 공격을 받았다. 저녁이 되자 JNA는 휴전과 막사로의 철수에 동의하였다. 한편, 라덴치에서 멀지 않은 흐라스티에모타 마을에서는 JNA 소속 밀 Mi-8 헬리콥터가 기계적 문제로 비상 착륙했으며, 슬로베니아군이 이를 압류했으나 나중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8월 13일 베오그라드로 반환했다.[101][102]
7월 4일, 슬로베니아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정부의 최후 통첩을 대부분 수용하면서 휴전이 발효되었고, 양측은 교전을 중단했다.[103] 슬로베니아군은 자국의 모든 국경 초소를 장악했으며, JNA 부대는 평화적으로 막사로 철수한 후 국경을 넘어 크로아티아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었다.[104]
7월 7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슬로베니아 공화국 사이에 브리유니 협정이 체결되어, 유고슬라비아 연방군은 슬로베니아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이로써 10일 전쟁은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5. 주요 사건
- '''6월 25일''': 슬로베니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세르비아가 주도하는 유고슬라비아 연방군의 대응이 불확실한 가운데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 국경 부근에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슬로베니아 지역 방위군(티토 시대에 각 지역에 연방군과 별도로 설치된 방위대로, 비동맹주의 유고슬라비아의 전민중 방위 구상에 따라 조직됨)이 배치되었고, 기습적으로 연방군이 관리하던 국경 검문소들을 탈취했다. 이 사건은 연방군이 슬로베니아 독립 문제에 개입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 '''6월 26일''': 슬로베니아에서 독립 기념식이 열렸다. 유고슬라비아 연방군도 배치되었으나, 이날 대규모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 '''6월 27일''': 유고슬라비아 연방군이 대규모 침공을 시작했다.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의 국경 지역, 슬로베니아 내 군사 기지 주변, 공항 등 여러 곳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 '''~ 7월 초''': 각지에서 산발적인 전투가 이어졌다. 그러나 크로아티아 역시 동시에 독립을 선언하면서, 슬로베니아와 국경을 맞대지 않은 세르비아로부터 군대를 파견하기 어려워졌다. 또한 슬로베니아는 연방군의 보급선을 차단하는 작전을 펼쳐 연방군의 보급을 어렵게 만들었다. 슬로베니아 내에서 연방군에 협조하는 움직임이 거의 없었던 점과, 정보전을 통해 세르비아를 국제적으로 고립시킨 점도 슬로베니아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 '''7월 2일''': 국제 사회의 비난을 우려한 유고슬라비아는 일부 부대의 철수를 결정했다.
- '''7월 7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슬로베니아 공화국 사이에 브리오니 합의가 체결되어, 유고슬라비아 연방군은 슬로베니아에서 완전히 철수하기로 했다.
- '''7월 8일''': 슬로베니아 정부는 전쟁 승리를 선언했다.
5. 1. 홀메츠 사건
오스트리아 국경 인근의 홀메츠 국경초소에서는 10일 전쟁 중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에 의해 저질러진 것으로 추정되는 전쟁 범죄 혐의 사건이 발생했다.[39] 이 장면은 오스트리아의 공영 방송국인 ORF에 의해 촬영되었다.영상에는 소수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 병사들이 항복의 표시로 흰 천을 들고 두 손을 든 채 서 있거나 천천히 걷는 모습이 담겨 있다. 그러나 잠시 후 총성이 울리며 병사들이 땅에 쓰러지거나 엎드리는 장면이 이어진다. 영상만으로는 총알이 어디서 날아왔는지, 병사들이 실제로 총에 맞았는지 등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슬로베니아 정부는 유고 인민군 병사들이 총격을 피하기 위해 엄폐 자세를 취한 것일 뿐 총에 맞은 것은 아니며, 이 사건은 이미 조사가 완료되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2006년 세르비아의 텔레비전 방송국 B92에서 이 영상이 다시 방영되면서 논란이 재점화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슬로베니아 영토방위군이 항복한 유고 인민군 병사들을 사살했으며, 슬로베니아 정부가 이 사실을 은폐하려 한다고 주장했다.[109][110][111][35][36][37]
영상에 등장한 유고 인민군 병사들의 생사 여부는 여전히 논란거리이다. 분쟁이 끝나고 15년이 지난 후에도 이 병사들이 살아있다는 보고가 있는 반면,[112][38] 다른 보고에서는 Zoran Ješić|조란 예시치srp, Goran Maletić|고란 말레티치srp, Antonio Šimunović|안토니오 시무노비치hrv라는 세 명의 병사가 홀메츠 사건 당시 살해되었다고 주장한다.[113][39]
5. 2. 전략적 측면
슬로베니아군은 전쟁 발발 수개월 전부터 군사 전략을 치밀하게 준비했으며, 상세한 언론 관리 계획과 통합하여 실행에 옮겼다. 정보부 장관 옐코 카친이 이끄는 국제 미디어 센터는 슬로베니아의 입장을 전 세계에 효과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수행했다. 슬로베니아 정부와 언론은 서방 세계를 대상으로 이번 분쟁을 신생 민주주의 국가와 권위주의적인 공산주의 국가 간의 "다윗과 골리앗" 싸움으로 묘사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탱크 대열 이미지는 2년 전 1989년 톈안먼 사건을 연상시키며 국제 사회의 동정심과 슬로베니아 독립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14] 슬로베니아군은 기습적으로 유고 연방군이 관리하던 국경 검문소를 점령하고, 알프스 산맥 아래 오스트리아 국경의 전략적 요충지인 카라반케 터널을 장악했으며, 노바 고리차에서는 유고 인민군 전차 9대를 노획하는 등 군사적으로도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항복한 유고 인민군으로부터 노획한 무기를 즉시 재분배하여 전력을 강화했다.반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여러 전략적 약점을 드러냈다. 많은 유고슬라비아 군인들은 슬로베니아군의 공격을 받기 전까지 자신들이 실제 군사 작전에 투입되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했으며, 훈련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었다.[3] 이는 슬로베니아군의 저항을 과소평가하고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전을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사기는 슬로베니아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장교단은 주로 세르브인과 몬테네그로인으로 구성되어 유고슬라비아 연방 유지에 대한 이념적 동조가 강했을 수 있으나, 병사 대부분은 징집병이었고 슬로베니아인과 싸워야 할 뚜렷한 동기가 부족했다. 1990년 슬로베니아 지역에서 활동하던 제5군구 병력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115][40]
슬로베니아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정부가 슬로베니아 독립 문제에 크게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인지하고 있었다. 슬로베니아 내 세르브계 소수민족의 비율이 매우 낮았기 때문이다.[3] 실제로 6월 30일, 유고슬라비아 국방장관 벨코 카디예비치 장군이 슬로베니아의 예상외의 강력한 저항을 분쇄하기 위해 대규모 공격을 연방 대통령직에 제안했지만, 세르비아 대표인 보리사브 요비치는 세르비아가 더 이상의 군사 행동을 지지하지 않겠다고 밝혀 군 지휘부를 놀라게 했다.[116][41] 당시 세르비아는 슬로베니아보다는 크로아티아 내 세르브계 문제와 임박한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었으며, 10일 전쟁이 채 끝나기도 전에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부대는 크로아티아 전선으로 재배치되고 있었다.[117][42]
전쟁을 직접 취재했던 언론인 헤르만 테르치에 따르면, 연방군의 약한 군사 배치는 벨그라드가 국제 국경을 방어한다는 주장을 하기 위한 대외적인 명분 쌓기와 슬로베니아 기지, 특히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국경에서 재산을 수집하기 위한 두 가지 목적이 있었다. 그는 슬로베니아가 민족적으로 동질적이고 세르비아의 직접적인 이해관계나 소수 민족 유산이 없었기 때문에, 밀로셰비치와 그의 장군들이 결국 슬로베니아를 쉽게 포기했다고 평가했다.[43]
6. 전쟁의 결과
슬로베니아는 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독립을 쟁취하고 경제 주권을 획득했다. 이는 유고슬라비아에서 분리 독립한 첫 번째 공화국이 되었으며, 이후 다른 공화국들의 독립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례를 남겼다. 전쟁 이후 슬로베니아는 경제적으로도 서유럽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성장 기반을 다졌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을 중심으로 한 유고슬라비아 측 역시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6. 1. 슬로베니아의 독립 쟁취

10일 전쟁은 크로아티아의 브리유니에서 체결된 브리유니 협정으로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105] 이 협정을 통해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독립이 승인되었다. 협정 조건은 슬로베니아에게 매우 유리했는데,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독립 선언을 3개월 연기하기로 합의했을 뿐 실제 독립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며, 슬로베니아 경찰과 영토방위군 등 군사 조직이 슬로베니아 영토 내에서 주권 세력으로 인정받았다.[106][107]
협정에 따라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10월 말까지 모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부대를 슬로베니아 영토에서 철수시키기로 합의했다. 슬로베니아 정부는 철수가 자국의 조건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 결과 유고 인민군은 중화기와 장비를 대부분 남겨두고 철수해야 했다. 슬로베니아는 이렇게 확보한 무기들을 자국 군대를 무장시키거나 다른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에 판매하는 데 사용했다. 유고 인민군의 철수는 협정 체결 10일 후부터 시작되어 10월 26일에 완전히 마무리되었다.[107]

슬로베니아는 이 전쟁의 승리로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완전히 지켜냈다. 1992년 1월 15일, 모든 유럽 공동체 회원국이 슬로베니아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승인했으며, 같은 해 5월 22일에는 유엔 회원국으로 가입하여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았다.[118]
이 전쟁은 유고슬라비아 측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서는 슬로베니아인과 크로아트인 병력이 거의 모두 이탈하면서 사실상 세르브인과 몬테네그로인 중심의 군대가 되었다.[119] 슬로베니아와 이후 크로아티아에서 보여준 유고 인민군의 부진한 성과, 그리고 결정적으로 유럽 공동체 옵저버 헬리콥터 격추 사건 등이 겹치면서 유고슬라비아 군 지도부는 신뢰를 잃었다. 결국 1992년 1월 벨코 카디예비치(Veljko Kadijević|벨코 카디예비치sh) 국방장관이 사임했고, 블라고예 아지치(Blagoje Adžić|블라고예 아지치sh) 총참모장도 얼마 지나지 않아 건강상의 이유로 강제 퇴역당했다.
유럽 위원회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정부에 긴장 완화를 위해 브리유니 협정에 따라 독립 선언을 3개월 동안 동결할 것을 촉구했고,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이에 동의했다.[120] 슬로베니아는 이 기간을 활용하여 국가 기관을 강화하고, 가장 시급한 경제 개혁을 단행했으며, 국가의 국제적 승인을 준비했다.[121]
슬로베니아는 전쟁 승리를 통해 독립을 쟁취하고 경제 주권을 확보했다. 독립 직후에는 기존의 주요 시장이었던 유고슬라비아를 잃어 경제가 일시적으로 침체되기도 했지만, 서유럽 시장으로 적극적으로 진출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1995년에는 선진국의 지표 중 하나인 1인당 국내총생산(GDP) 1만달러를 돌파했다. 현재 슬로베니아 자본은 크로아티아나 세르비아 등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으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다. 2004년에는 구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중 가장 먼저 유럽 연합(EU)에 가입했으며, 동시에 가입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 등 다른 동유럽 국가들과 비교해도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07년 1월 1일에는 유로화를 도입하여 통화 통합을 이루었다.
슬로베니아는 유고슬라비아에서 분리 독립한 첫 번째 공화국이 되었다. 슬로베니아의 성공적인 독립은 당시 독립을 인정받지 못하고 전쟁을 계속하던 크로아티아는 물론, 상대적으로 독립 움직임이 약했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나 마케도니아 등 다른 공화국에서도 분리 독립 경향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한편, 슬로베니아 침공 당시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제5군관구 사령관이었던 Konrad Kolšek|콘라드 콜셰크영어는 슬로베니아인이었다. 이 때문에 그는 전쟁 후 슬로베니아에서 반역죄로 기소되었으나, 1999년 슬로베니아로 돌아와 법정 투쟁 끝에 무죄 판결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로베니아 정부는 콜셰크에게 군인 연금 지급을 거부했으며, 그는 기본적 인권 침해를 호소했지만 슬로베니아 국내 언론으로부터 지속적인 비판을 받았다.[44]
6. 2. 유고슬라비아의 변화
10일 전쟁 이후 유고슬라비아 측에는 여러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출신 병력 대부분을 잃고, 거의 전적으로 세르브인과 몬테네그로인 중심으로 구성된 군대가 되었다.[119] 이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의 군사적 단면을 보여주는 현상이었다.슬로베니아에서의 군사적 실패와 이후 크로아티아에서의 부진한 성과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지도부의 위신을 크게 떨어뜨렸다. 특히 1992년 유럽 공동체 옵저버 헬리콥터 격추 사건은 결정적인 계기가 되어, 1992년 1월 벨코 카디예비치(Veljko Kadijević) 연방 국방장관이 사임하였고, 블라고예 아지치(Blagoje Adžić) 총참모장 역시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사실상 강제로 퇴역하게 되었다.
슬로베니아의 성공적인 독립은 유고슬라비아 내 다른 공화국들의 독립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쳤다. 크로아티아는 이미 독립을 선언하고 전쟁 중이었으며, 슬로베니아가 국제적 승인을 얻은 선례는 독립에 소극적이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나 마케도니아 공화국 등에서도 분리 독립의 목소리가 커지는 데 영향을 주었다.
6. 3.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ABC-CLIO
[2]
서적
Europe from the Balkans to the Urals: The Disintegration of Yugoslavia and the Soviet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The Death of Yugoslavia, Part 3, Wars of Independence
https://www.youtube.[...]
2015-05
[4]
웹사이트
War for Slovenia 1991
http://www.slovenija[...]
Slovenska vojska
2001-05
[5]
웹사이트
THE ROLE OF MONTENEGRO IN THE WARS OF THE 1990s: "FROM A CONSISTENT WARRIOR TO AN (UN)WILLING ALLY", Montenegro and the war in Slovenia (1991)
https://www.hraction[...]
2021-05-14
[6]
웹사이트
Slovenci, ki so dali svoja življenja za samostojno Slovenijo
https://siol.net/nov[...]
[7]
서적
Housing Privatization in Eastern Europe
Greenwood Publishing Group
[8]
서적
France's Security Independence: Originality and Constraints in Europe, 1981–1995
https://books.google[...]
Peter Lang
[9]
서적
Bosnia and Beyond: The "quiet" Revolution that Wouldn't Go Quietly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10]
서적
Legal Aspects for Referendum in Montenegro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Law and Practice
http://crnvo.me/docs[...]
Foundation Open Society Institute, Representative Office Montenegro
2005-11
[11]
서적
Statistični letopis 2011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12]
서적
Slovenia and the Slovenes
C. Hurst, London
[13]
문서
Balkan Battleground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4]
서적
Conflict in the Former Yugoslavia
ABC-CLIO, Denver
[15]
서적
The Road to War
Frank Cass, London
[16]
문서
Balkan Battlegrounds
[17]
뉴스
It happened... on June 27
https://www.rtvslo.s[...]
2005-06-27
[18]
문서
Balkan Battlegrounds
[19]
서적
The Death of Yugoslavia
Penguin, London
[20]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Indiana University Press
[21]
서적
Conflict in the Balkans, 1991–2000
Osprey Publishing
[22]
서적
The lessons of Yugoslavia
Emerald Group Publishing
[23]
서적
Skrito povelje
Sanje
[24]
웹사이트
RID Rivista Italiana Difesa Dicembre 2011 Vent'anni fa divampava la guerra in Jugoslavia – I combattimenti al confine italo-sloveno di Rozna Dolina (Casa Rossa) e Nova Vas.
https://10febbraiode[...]
2012-01-07
[25]
뉴스
Gorizia e Nova Gorica: different twins
https://www.redcarpe[...]
2018-04-30
[26]
웹사이트
Yugoslav Planes Bomb Key Airports in Slovenia - Los Angeles Times
https://www.latimes.[...]
Articles.latimes.com
1991-06-30
[27]
웹사이트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the Ljubljana Airport has served as Slovenia's window to the world
https://www.rtvslo.s[...]
2015-07-29
[28]
서적
Balkan Battlegrounds: A Military History of the Yugoslav Conflict, 1990–1995
https://books.googl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Office of Russian and European Analysis
2002
[29]
서적
Balkan Battlegrounds: A Military History of the Yugoslav Conflict, 1990–1995
https://books.googl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Office of Russian and European Analysis
2002
[30]
문서
Balkan Battlegrounds
[31]
간행물
Insignia magazine
1996-03
[32]
웹사이트
The Role of Montenegro in the Wars of the 1990s: "From a Consistent Warrior to an (Un)Willing Ally", Montenegro and the war in Slovenia (1991)
https://www.hraction[...]
2021-05-14
[33]
웹사이트
Slovenci, ki so dali svoja življenja za samostojno Slovenijo
https://siol.net/nov[...]
[34]
논문
Slovenia and Croatia, 1991–92
http://www.jstor.org[...]
[35]
뉴스
Serb Official Accuses Slovenia Troops of War Crimes
Associated Press Report
2006-04-08
[36]
웹사이트
The Centre for SouthEast European Studies
http://www.csees.net[...]
2007-03-12
[37]
뉴스
"Janša Protests to Koštunica over Statements on Holmec"
http://www.seeurope.[...]
BETA News Agency Report
2006-04-06
[38]
뉴스
"Belgrade Says Holmec Footage Victims Alive"
http://www.sta.si/ve[...]
Slovenian News Agency STA Report
2006-04-26
[39]
웹사이트
"Croat victim in Slovenian war crime"
https://web.archive.[...]
2006-04-10
[40]
서적
Yugoslavia – A History of its Demise
Routledge
[41]
서적
The Yugoslav Army and the Post-Yugoslav Armies
Longman
[42]
웹사이트
death of yugoslavia part 3 - Bing video
https://www.bing.com[...]
2022-09-06
[43]
뉴스
Sueño esloveno, húmedo y sangriento
https://www.abc.es/o[...]
ABC
2018-12-11
[44]
뉴스
Умро Конрад Колшек, генерал за кога Словенци тврде да је „започео рат“
https://www.politika[...]
2024-07-08
[45]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46]
서적
Europe from the Balkans to the Urals: The Disintegration of Yugoslavia and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7]
서적
State Collapse in South-Eastern Europe: New Perspectives on Yugoslavia's Disintegration
Purdue University Press
[48]
웹인용
War for Slovenia 1991
http://www.slovenija[...]
Slovenska vojska (magazine)
2001-05
[49]
서적
Housing Privatization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0]
서적
France's Security Independence: Originality and Constraints in Europe, 1981-1995
http://books.google.[...]
Peter Lang
[51]
서적
Housing Privatization in Eastern Europe
http://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2]
뉴스
Kosovo
http://topics.nytime[...]
뉴욕 타임스
2019-02-07
[53]
웹인용
Serbia's Vojvodina Regains Autonomy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9-02-08
[54]
웹인용
A Country Study: Yugoslavia (Former): Political Innovation and the 1974 Constitution (chapter 4)
http://lcweb2.loc.go[...]
The Library of Congress
2019-02-08
[55]
서적
The Hour of Europe: Western Powers and the Breakup of Yugoslavia
Yale University Press
2011
[56]
서적
Bosnia and Beyond: The "quiet" Revolution that Wouldn't Go Quietly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57]
웹인용
The first multiparty elections of 1990
https://archive.toda[...]
Government Communication Office, Republic of Slovenia
2011-12-28
[58]
서적
Legal Aspects for Referendum in Montenegro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Law and Practice
https://web.archive.[...]
Foundation Open Society Institute, Representative Office Montenegro
2015-12-24
[59]
서적
Statistični letopis 2011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12-01-04
[60]
서적
The Hour of Europe: Western Powers and the Breakup of Yugoslavia
Yale University Press
2011
[61]
서적
Poslednji dani SFRJ
Politika
[62]
웹인용
History—Territorial Defence
https://web.archive.[...]
Slovenian Armed Forces
2019-05-07
[63]
서적
Slovenia and the Slovenes
C. Hurst
[64]
웹인용
Vežba Avala—Jugoslovenska odbrana od Varšavskog pakta 1968. godine
http://scindeks.nb.r[...]
Belgrade: Institut za savremenu istoriju
[65]
뉴스
유고슬라비아 2개 공화국 독립선언
https://news.kbs.co.[...]
KBS
2022-12-26
[66]
문서
Balkan Battlegrounds
[67]
서적
Conflict in the Former Yugoslavia
ABC-CLIO
[68]
서적
"The Road to War"
Frank Cass
[69]
뉴스
유고 짙어가는 內戰 먹구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21-08-06
[70]
문서
"Balkan Battlegrounds" 인용.
[71]
뉴스
Zgodilo se je ... 27. junija
http://www.rtvslo.si[...]
MMC RTV Slovenia
2005-06-27
[72]
뉴스
유고슬로비아 내전 점점 격화되고 있어[고대석]
https://imnews.imbc.[...]
MBC
2021-08-06
[73]
간행물
Balkan Battlegrounds
[74]
뉴스
유고 유혈 총격전…내전 위기
https://newslibrary.[...]
한겨례신문
2021-08-06
[75]
서적
The Death of Yugoslavia
Penguin, London
1995
[76]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Woodrow Wilson Center Press Serie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5
[77]
서적
Conflict in the Balkans, 1991-2000
Osprey Publishing
2001
[78]
서적
The lessons of Yugoslavia
Emerald Group Publishing
2000
[79]
서적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https://kr1lib.org/b[...]
Osprey Publishing
2021-08-06
[80]
뉴스
유고슬라비아 내전 발발 외 1건
https://news.kbs.co.[...]
KBS
2021-08-06
[81]
문서
[82]
뉴스
休戰선언불구 산발交戰 계속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1-08-06
[83]
웹인용
RID Rivista Italiana Difesa Dicembre 2011 Vent’anni fa divampava la guerra in Jugoslavia – I combattimenti al confine italo-sloveno di Rozna Dolina (Casa Rossa) e Nova Vas.
https://10febbraiode[...]
2012-01-07
[84]
웹인용
Gorizia e Nova Gorica: different twins
https://www.redcarpe[...]
2018-04-30
[85]
서적
Isonzo: the forgotten sacrifice of the Great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86]
서적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https://kr1lib.org/b[...]
Osprey Publishing
2021-08-06
[87]
뉴스
유고內戰격화 百여명死傷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21-08-06
[88]
뉴스
유고슬라비아 2개 공화국 독립연기
https://news.kbs.co.[...]
KBS
2021-08-06
[89]
서적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https://kr1lib.org/b[...]
Osprey Publishing
2021-08-06
[90]
뉴스
유고슬라비아 내전
https://news.kbs.co.[...]
KBS
2021-08-06
[91]
서적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https://kr1lib.org/b[...]
Osprey Publishing
2021-08-06
[92]
뉴스
유고슬라비아 산발전투 재개
https://news.kbs.co.[...]
KBS
2021-08-06
[93]
뉴스
國境숲속마다 共和國軍포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21-08-06
[94]
간행물
Balkan Battlegrounds
[95]
뉴스
유고內戰 다시 격화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1-08-06
[96]
뉴스
유고 내전 다시 격화, 수십명 사망자 발생
https://www.hankyung[...]
한경닷컴
2021-08-06
[97]
뉴스
유고슬라비아 사태, 전투 확산
https://news.kbs.co.[...]
KBS
2021-08-06
[98]
서적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https://kr1lib.org/b[...]
Osprey Publishing
2021-08-06
[99]
뉴스
유고 다시 交戰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21-08-06
[100]
뉴스
유고연방군 탱크, 크로아티아공 수도로 발진
https://www.hankyung[...]
한경닷컴
2021-08-06
[101]
간행물
Insignia magazine
1996-03
[102]
서적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https://kr1lib.org/b[...]
Osprey Publishing
2021-08-06
[103]
뉴스
유고슬라비아 사태 진정국면 외 1건
https://news.kbs.co.[...]
KBS
2021-08-06
[104]
서적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https://kr1lib.org/b[...]
Osprey Publishing
2021-08-06
[105]
뉴스
Conflict in Yugoslavia; 2 Yugoslav States Agree to Suspend Secession Process
https://www.nytimes.[...]
1991-06-29
[106]
문서
Woodward
[107]
문서
Woodward
[108]
서적
The Yugoslav Wars (1): Slovenia & Croatia 1991–95
https://kr1lib.org/b[...]
Osprey Publishing
2021-08-06
[109]
웹인용
Serb Official Accuses Slovenia Troops Of War Crimes, 2006-04-08 Associated Press Report
http://www.serbianna[...]
2012-03-23
[110]
웹사이트
Slovenia denies Serbian claims of independence war crimes
https://web.archive.[...]
2006-04-06
[111]
웹사이트
Janša Protests to Koštunica over Statements on Holmec
http://www.seeurope.[...]
2006-04-06
[112]
웹사이트
Belgrade Says Holmec Footage Victims Alive
http://www.sta.si/ve[...]
2006-04-26
[113]
웹사이트
Croat victim in Slovenian war crime
http://www.nacional.[...]
2006-04-10
[114]
뉴스
Jelko Kacin - interview
http://www.twenty.si[...]
Bold and United
2021-09-13
[115]
서적
Yugoslavia — A History of its Demise
Routledge, London
[116]
간행물
The Yugoslav Army and the Post-Yugoslav Armies
Longman, London
[117]
웹인용
Izjava Na Osnovu Pravila 89 (F)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3-11-16
[118]
뉴스
3 Ex-Yugoslav Republics Are Accepted into U.N.
https://www.nytimes.[...]
1992-05-23
[119]
웹인용
The military structure, strategy and tactics of the warring factions
http://www.ess.uwe.a[...]
University of the West of England
1994-12-28
[120]
서적
Yugoslavia's Bloody Collapse: Causes, Course and Consequences
C. Hurst & Co. Publishers
[121]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ABC-CL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