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IV/AIDS의 증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IV/AIDS의 증상은 HIV 감염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HIV 감염은 급성 감염, 무증상 잠복기, AIDS 발병의 세 단계를 거치며, 급성 감염 시에는 발열, 림프절병증,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무증상 잠복기에는 증상이 없지만, AIDS로 진행되면 기회 감염과 카포시 육종, 림프종, 자궁경부암 등의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폐렴, 결핵, 식도염, 설사, 신경정신과적 후유증 등 다양한 질환이 나타날 수 있으며, HIV 감염자는 여러 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2. HIV 감염의 단계

HIV 감염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 급성 감염: HIV 감염 초기 단계로, 감염 후 몇 주 이내에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바이러스 수치가 높아 전염성이 강하다. 자세한 내용은 #급성 감염 문단을 참조.
  • 무증상 잠복기: 급성 감염 증상이 사라진 후, 수년에서 10년 이상 증상이 없는 시기가 지속된다. 이 시기에도 바이러스는 체내에서 활동하며, 면역 세포를 파괴하고 전염성을 유지한다. 자세한 내용은 #무증상 잠복기 (Latency) 문단을 참조.
  • AIDS 발병: 면역 체계가 심각하게 손상되어 기회 감염 및 다양한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자세한 내용은 #AIDS 발병 문단을 참조.

2. 1. 급성 감염

급성 HIV 감염은 HIV 감염의 첫 번째 단계이다.[1] 이 시기(보통 노출 후 며칠에서 몇 주) 동안 감염된 사람의 50~90%가 인플루엔자 또는 단핵구증과 유사한 질병을 앓는다.[2][3]

가장 흔한 증상은 다음과 같다.[4]

덜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4]

감염된 사람은 이러한 증상을 모두, 일부 또는 전혀 경험하지 않을 수 있다.[4] 증상은 평균 28일 동안 지속되며, 보통 최소 일주일 이상 지속된다.[5]

이러한 증상의 비특이적인 특성 때문에 HIV 감염의 징후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환자가 의사나 병원에 가더라도 동일한 증상을 보이는 더 흔한 전염병 중 하나로 오진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주요 증상은 HIV 감염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환자가 훨씬 더 전염성이 높기 때문에 증후군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6]

급성 HIV 감염의 주요 증상


다음은 초기 HIV 감염의 증상 및 징후와 관련된 민감도 및 특이도 표이다.[6]

초기 HIV 감염의 증상 및 징후
증상 및 징후민감도특이도
발열88%50%
불쾌감73%42%
근육통60%74%
발진58%79%
두통55%56%
야간 발한50%68%
인후통43%51%
림프절병증38%71%
관절통28%87%
코 막힘18%62%


2. 2. 무증상 잠복기 (Latency)

강력한 면역 방어는 혈류의 바이러스 입자 수를 줄여 2차 또는 만성 HIV 감염의 시작을 알린다. HIV 감염의 2차 단계는 2주에서 10년까지 다양하다. 감염의 2차 단계 동안 HIV는 림프계 내에서 활동하며, 일반적으로 여포 수지상 세포(FDC) 네트워크에 갇혀있는 다량의 바이러스에 반응하여 지속적으로 부어 오른다.[43] CD4+ T 세포가 풍부한 주변 조직도 감염될 수 있으며 바이러스 입자는 감염된 세포와 유리 바이러스 모두에 축적된다. 이 단계에 있는 감염자는 여전히 전염성이 있다. 이 기간 동안 CD4+ CD45RO+ T 세포가 대부분의 프로바이러스 부하를 전달한다.[44] HIV-1에 감염된 사람의 일부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 없이 높은 수준의 CD4+ T 세포를 유지한다. 그러나 대부분은 검출 가능한 바이러스 부하를 가지고 있으며 결국 치료 없이 AIDS로 진행된다. 이러한 감염자는 HIV 통제자 또는 장기 비진행자(LTNP)로 분류된다. CD4+ T 세포 수를 유지하고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없이도 바이러스 부하가 낮거나 임상적으로 감지 할 수 없는 사람들을 엘리트 조절제 또는 엘리트 억제제(ES)라고 한다.[45]

2. 3. AIDS 발병

AIDS의 증상은 주로 건강한 면역 체계를 가진 사람에게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HIV 감염으로 면역 체계가 손상된 사람에게는 흔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은 HIV가 손상시키는 면역 체계 요소에 의해 통제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에 의한 기회 감염이 원인이다.[46] 이러한 감염은 거의 모든 기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CD4+/CD8+ 비율의 감소는 HIV가 AIDS로 진행될 것을 예측한다.[47]

AIDS 환자는 카포시 육종, 자궁경부암, 림프종과 같은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발열, 땀, 부은 림프선, 오한, 쇠약, 체중 감소와 같은 전신 감염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48] AIDS 환자에게 나타나는 특정 기회 감염은 환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AIDS의 주요 증상


폐포자충 폐렴(PCP) 엑스레이 사진. 양쪽 폐 하단에 백색(불투명도)이 증가되어 있는데, 이는 PCP의 특징이다.


폐포자충 폐렴(PCP)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드물지만, HIV 감염자에게는 흔하며, ''폐포자충 지로베치''에 의해 발생한다.[15] 개발도상국에서는 AIDS의 첫 징후 중 하나일 수 있으며, 혈액 1μL당 CD4 세포 수가 200개 미만일 때 발생한다.[16]

결핵(TB)은 HIV와 관련된 감염 중 독특한데, 호흡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고 치료가 어렵기 때문이다.[17] 다제내성(Multidrug resistance) 결핵은 심각한 문제이다. 세계 보건 기구에 따르면 HIV/결핵 동시 감염은 주요 세계 보건 문제이며, 2007년 결핵 사망자의 3분의 1이 HIV 양성이었다.[18]

식도염식도 하단부 내벽의 염증으로, HIV 감염자는 곰팡이(칸디다증)나 바이러스(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1,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한다. 드물게 미코박테리아가 원인일 수 있다.[20]

HIV 감염 시 만성 설사는 세균, 기생충 감염, 크립토스포리디움증, 미포자충증,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바이러스[21]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설사는 HIV 치료 약물이나 항균제의 부작용일 수도 있다. HIV 감염 후기에는 인간 위장관의 영양 흡수 변화를 반영하여 HIV 관련 소모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2]

3. AIDS 관련 질환

AIDS 환자는 면역력이 약해져 여러 질환에 취약해진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잘 나타나지 않는 기회 감염이 AIDS 환자에게는 흔하게 발생하며, 이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에 의해 발생한다.[11] CD4+/CD8+ 비율 감소는 HIV가 AIDS로 진행됨을 예측하는 지표이다.[12]

AIDS 환자는 카포시 육종, 자궁경부암, 림프종과 같은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발열, 땀(특히 밤), 림프선 부종, 오한, 쇠약, 체중 감소와 같은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3][14]

어떤 기회 감염이 발생하는지는 환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3. 1. 기회 감염

AIDS 환자는 종종 미열과 체중 감소와 같은 비특이적 증상을 동반하는 기회 감염이 발생한다. 여기에는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인트라셀룰라레와 거대세포바이러스(CMV)에 의한 감염이 포함된다. CMV 망막염은 실명을 유발할 수 있다.

탈라로마이코시스는 ''Talaromyces marneffei''에 의해 발생하며, 동남아시아의 HIV 감염자에게서 세 번째로 많이 나타나는 기회 감염이다.[36]

파보바이러스 B19 감염은 AIDS 환자에게서 종종 인지되지 않지만, 주요 결과로 빈혈을 일으킨다. 이는 AIDS 자체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의 영향과 구별하기 어렵다.[37]

3. 1. 1. 폐렴

폐포자충 폐렴(PCP) (원래는 ''폐포자충 카리니'' 폐렴으로 알려짐)은 건강하고 면역능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비교적 드물지만, HIV 감염자에게는 흔하다.[15] 이는 ''폐포자충 지로베치''에 의해 발생한다.

서구 국가에서 효과적인 진단, 치료 및 일상적인 예방 조치가 나오기 전에는 흔한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아직 검사받지 않은 개인에게 AIDS의 첫 번째 징후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혈액 1μL당 CD4 세포 수가 200개 미만일 때 발생하지 않는다.[16]

결핵(TB)은 호흡기를 통해 면역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으며, 일단 확인되면 쉽게 치료할 수 없다는 점에서 HIV 관련 감염 중 독특하다.[17] 다제내성은 심각한 문제이다. 세계 보건 기구에 따르면 HIV 동시 감염(TB/HIV) 결핵은 주요 세계 보건 문제이며, 2007년 발생한 결핵 사례 중 456,000명이 HIV 양성이었으며, 이는 전체 결핵 사망자의 3분의 1, 그리고 그 해 추정된 200만 HIV 사망자의 거의 4분의 1에 해당한다.[18] 서구 국가에서는 직접 관찰 치료 및 기타 개선된 관행으로 인해 발병률이 감소했지만, HIV가 가장 유행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그렇지 않다. 초기 HIV 감염(CD4 수 > 300cells/μL)에서는 결핵이 전형적으로 폐 질환으로 나타난다. 진행된 HIV 감염에서는 결핵이 비전형적으로 나타나며 폐외(전신) 질환이 흔하게 나타난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전신적이며 특정 부위에 국한되지 않고, 종종 골수, , 비뇨기 및 위장관, , 국소 림프절,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19]

3. 1. 2. 위장관 질환

식도염은 하부 식도(인두에서 위까지 이르는 길이 약 25cm 정도 되는 소화기관[49])에 일어나는 염증이다. HIV 감염자의 경우, 주로 균류(칸디다증) 또는 바이러스(헤르페스 심플렉스-1 바이러스 또는 거대세포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드물게는 마이코박테리아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50]

HIV 감염자는 만성 설사 증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세균(살모넬라, 시젤라, 리스테리아, 캄필로박터)과 기생충 감염이 원인일 수 있다. 또한, 크립토스포리디움증, 미포자충증, 미코박테륨아비움복합체(MAC),[51] 아스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거대세포바이러스와 같은 기회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는 설사가 HIV 치료제의 부작용으로 나타나거나, HIV 감염 자체에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설사를 유발하는 세균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균제의 부작용일 수도 있다(흔히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에 흔함). HIV 감염 후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설사는 인간 위장관이 영양소를 흡수하는 방식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HIV 관련 소모증의 중요한 구성 요소일 수 있다.[22]

3. 1. 3. 신경 및 정신 질환

HIV 감염은 신경계 감염이나 질병 자체의 직접적인 결과로 다양한 신경 정신과적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52]

톡소플라스마증은 단세포 기생충인 톡소플라스마 곤디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뇌를 감염시켜 톡소플라스마 뇌염을 일으키거나, 눈과 폐를 감염시켜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53] 크립토코쿠스 수막염은 곰팡이인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에 의한 뇌척수막(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막) 감염이다. 발열, 두통, 피로, 메스꺼움, 구토를 유발하며, 발작과 정신 착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진행성 다초점 백질뇌병증(PML)은 신경세포 축삭을 둘러싼 수초가 점진적으로 파괴되어 신경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기는 탈수초성 질환이다. JC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데, 이 바이러스는 인구의 70%에서 비활성형으로 존재하지만, 에이즈 환자와 같이 면역 체계가 심각하게 약화된 사람에게 질병을 유발한다. 이 질병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진단 후 수개월 이내에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한다.[54]

HIV 연관 치매(HAD)는 HIV 감염과 그에 따른 면역반응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성 뇌염이다. 뇌에 존재하는 대식세포와 신경아교세포가 HIV에 감염될 경우, 이 세포들은 숙주 유래와 바이러스 유래의 신경 독소를 방출한다.[55] 신경 손상이 있을 경우, HIV에 감염되고 몇 년이 지난 후 인지, 행동, 움직임 이상이 나타나며, 신경 손상은 낮은 CD4+ T 세포수와 높은 혈장 바이러스양과 연관되어 있다. 서양 국가의 경우 이 질병의 유병률은 10-20% 이지만,[56] 인도에서는 HIV 감염 중 1-2%이다.[57][58] 이러한 차이는 인도에서의 HIV 아형(subtype)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병률이란 어느 한 시점에 특정 인구집단 또는 지역에서, 질병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수를 대응되는 전체 인구의 수로 나눈 것을 말한다.[59] 에이즈 관련 조증은 종종 HIV 질병이 진행된 환자에게서 발견된다. 에이즈 관련 조증은 양극성 장애에서 나타나는 조증과 비교할 때, 더 많이 화를 내고 더 심한 인지 손상을 보이지만, 행복감은 덜하다. 이 질환은 만성적인 특징을 보인다. 여러 가지 약을 함께 사용하는 다제약물 치료가 행해진 이후로 이 질환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였다.

3. 1. 4. 기타 감염

거대세포바이러스(CMV)는 대장염을 일으키거나 CMV 망막염을 유발하여 실명이나 장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69]

탈라로마이코시스는 *Talaromyces marneffei*에 의해 발생하며, 동남아시아 지역의 HIV 감염자에게서 세 번째로 많이 나타나는 기회감염이다.[69]

3. 2. 암

HIV 감염자는 여러 암에 걸릴 확률이 상당히 높다. 주된 원인은 암을 일으키는 DNA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카포시 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KSHV 또는 HHV-8),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60][61]

카포시 육종

  • 카포시 육종(KS): HIV 감염자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암이다. 1981년 젊은 동성애 남성들에게서 이 암이 나타난 것은 에이즈 유행병을 알리는 신호 중 하나였다. 카포시 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KSHV)에 의해 발생하며, 피부에 자줏빛 결절이 나타나고, 입, 위장관, 폐 등 다른 기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림프종: HIV 감염자에게는 B 세포 림프종(버킷 림프종, 미만성 큰 B세포 림프종(DLBL),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PCNSL))이 자주 발생하며, 예후(어떤 병의 앞으로의 경과 및 결과[62])가 나쁜 경우가 많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또는 KSHV가 이러한 림프종을 유발할 수 있으며, 림프절 외 부위(위장관 등)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63]
  • 자궁경부암: HIV 감염 여성에게 침윤성 자궁경부암이 나타나는 경우 에이즈로 진단하며, 이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에 의해 발생한다.[64]


HIV 감염자는 위에 언급된 암 외에도 호지킨 림프종, 항문암, 직장암, 간세포암, 두경부암, 폐암 등에 걸릴 위험이 높다. 이 중 일부는 바이러스(호지킨 림프종은 EBV, 항문암, 직장암, 두경부암은 HPV, 간세포암은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발암물질(폐암의 경우 흡연) 노출이나 면역 손상 상태에서의 생활 등도 암 발생의 원인이 된다.[65]

유방암이나 결장암의 발생률은 HIV 감염자에게서 증가하지 않는다. HAART 치료법을 시행하는 지역에서는 에이즈 연관 암의 발생률이 감소했지만, 동시에 악성암은 HIV 감염자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었다.[66] 최근에는 에이즈 진단에 사용되는 암 이외의 다른 암으로 사망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67]

암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 요법은 HIV에 감염되지 않은 T 세포 수를 증가시키고 바이러스 양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68]

참조

[1]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Saunders Elsevier
[2] 논문 How to Recognize and Treat Acute HIV Syndrome http://www.aafp.org/[...] 2016-08-30
[3] 논문 Identifying People with Acute HIV Infection: Demographic Features, Risk Factors, and Use of Health Care among Individuals with AHI in North Carolina
[4] 웹사이트 Early signs of HIV in men & women https://easystd.com/[...]
[5] 논문 Acut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fection
[6] 논문 Diagnosis of primary HIV-1 infection. Los Angeles County Primary HIV Infection Recruitment Network
[7] 논문 Follicular dendritic cell contributions to HIV pathogenesis
[8] 논문 HIV-1 receptors and cell tropism
[9] 논문 Prevalence and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nonprogressors and HIV controller patients in the French Hospital Database on HIV https://zenodo.org/r[...]
[10] 논문 Control of HIV-1 replication in elite suppressors
[11] 논문 Review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related opportunistic infections in sub-Saharan Africa
[12] 논문 The Revival of an "Old" Marker: CD4/CD8 Ratio https://www.research[...]
[13] 논문 The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n overview for the emergency physician, Part 1
[14] 논문 The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n overview for the emergency physician, Part 2
[15] 논문 HIV-associated Pneumocystis pneumonia 2011-06
[16] 논문 Pneumonia associated with HIV infection
[17] 논문 Dose adjustment of the 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during concurrent rifampicin-containing tuberculosis therapy: one size does not fit all 2010-01
[18] 웹사이트 Global Tuberculosis Control 2009 https://www.who.int/[...] 2011-11-01
[19] 논문 Tuberculosis and HIV infection. How to safely treat both disorders concurrently http://www.postgradm[...] 2012-06-07
[20]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esophagitis associated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21] 논문 Viruses causing diarrhea in AIDS
[22] 논문 Diarrhea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magnitude, special settings, and etiologies
[23] 논문 Analysis of neuropsychiatric adverse events during clinical trials of efavirenz in antiretroviral-naiv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24] 논문 Central Nervous System Toxoplasmosis in HIV Pathogenesis, Diagnosis, and Therapy 2000-08
[25] 논문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in HIV 1997-06
[26] 논문 Neuropathology and neurodegeneration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Pathogenesis of HIV-induced lesions of the brain, correlations with HIV-associated disorders and modifications according to treatments
[27] 서적 The Neurology of A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6-07
[28] 논문 Profile of neurologic disorders associated with HIV/AIDS from Bangalore, south India (1989–96) 2000-01
[29] 논문 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HIV disease 2001-03
[30] 논문 AIDS-related malignancies
[31] 논문 Therapy insight: AIDS-related malignancies – the influence of antiviral therapy on pathogenesis and management https://zenodo.org/r[...]
[32] 논문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in HIV/AIDS http://www.consultan[...] 2008-06-01
[33] 논문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in HIV-infected persons
[34] 논문 Malignancy-related causes of death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infected patients in the era of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35] 문서 Optimal control and infectiology: Application to an HIV/AIDS model. 2006
[36] 논문 Penicillium marneffei: a pathogen on our doorstep? 2004-08
[37] 논문 Unsuspected Parvovirus B19 Infection in a Person With AIDS http://www.consultan[...] 2009-06-04
[38]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 clinical dermatology. https://www.worldcat[...] Saunders Elsevier 2006
[39] 저널 Identifying People with Acute HIV Infection: Demographic Features, Risk Factors, and Use of Health Care among Individuals with AHI in North Carolina http://dx.doi.org/10[...] 2009-01-06
[40] 저널 Jordan, Barbara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2-09
[41] 저널 Providing Women, Kept Men: Doing Masculinity in the Wake of the African HIV/AIDS Pandemic http://dx.doi.org/10[...] 2014-01
[42] 저널 Acut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fection http://dx.doi.org/10[...] 1998-07-02
[43] 저널 Follicular Dendritic Cell-Mediated Up-Regulation of CXCR4 Expression on CD4 T Cells and HIV Pathogenesis http://dx.doi.org/10[...] 2002-09-01
[44] 저널 HIV-1 receptors and cell tropism http://dx.doi.org/10[...] 2001-09-01
[45] 저널 Prevalence and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nonprogressors and HIV controller patients in the French Hospital Database on HIV http://dx.doi.org/10[...] 2009-06-01
[46] 저널 Routine, voluntary HIV testing in Durban, South Africa: correlates of HIV infection* http://dx.doi.org/10[...] 2008-08
[47] 저널 CD4 and CD4/CD8 ratio progression in HIV-HCV infected patients after achievement of SVR http://dx.doi.org/10[...] 2016-08
[48] 저널 The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n overview for the emergency physician, Part 2 http://dx.doi.org/10[...] 1994-07
[49] 웹인용 식도(Esophagus) http://m.amc.seoul.k[...] 2021-07-01
[50] 저널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esophagitis associated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51] 저널 Viruses causing diarrhoea in AIDS
[52] 저널 Analysis of neuropsychiatric adverse events during clinical trials of efavirenz in antiretroviral-naiv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53] 저널 Central Nervous System Toxoplasmosis in HIV Pathogenesis, Diagnosis, and Therapy 2000-08
[54] 저널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in HIV 1997-06
[55] 저널 Neuropathology and neurodegeneration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Pathogenesis of HIV-induced lesions of the brain, correlations with HIV-associated disorders and modifications according to treatments
[56] 서적 The Neurology of A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7-01
[57] 저널 Profile of neurologic disorders associated with HIV/AIDS from Bangalore, south India (1989–96) 2000-01
[58] 저널 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HIV disease 2001-03
[59] 웹인용 유병률(prevalence rate) http://www.amc.seoul[...] 2021-07-02
[60] 저널 AIDS-related malignancies
[61] 저널 Therapy insight: AIDS-related malignancies – the influence of antiviral therapy on pathogenesis and management https://zenodo.org/r[...]
[62] 웹인용 예후 http://www.kmle.co.k[...] 2021-07-05
[63] 저널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in HIV/AIDS http://www.consultan[...] 2008-06-01
[64] 저널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in HIV-infected persons
[65] 저널 Non-AIDS-defining malignancies in HIV-infected persons: etiologic puzzles, epidemiologic perils, prevention opportunities https://pubmed.ncbi.[...] 2009-05-15
[66] 저널 Malignancy-related causes of death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infected patients in the era of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67] 저널 Trends of Cause of Death among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Patients and the Impact of Low CD4 Counts on Diagnosis to Death: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https://doi.org/10.3[...] 2020-10-15
[68] 문서
[69] 저널 Penicillium marneffei: a pathogen on our doorstep? 2004-08
[70] 저널 Unsuspected Parvovirus B19 Infection in a Person With AIDS http://www.consultan[...] 2009-06-04
[71] 웹인용 Unsuspected Parvovirus B19 Infection in a Person With AIDS https://www.patientc[...] 2021-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