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KY는 대한민국에서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를 지칭하는 약어이다. 이들 대학교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지며, 사회 각 분야에서 SKY 출신들이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경향이 있다. SKY는 대학 서열화를 조장한다는 비판과 함께, 입시 경쟁 심화 및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한다는 논란이 있다. SKY 외에도 서카포연고, 서성한 등 유사한 용어들이 존재하며, 이들 역시 학벌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대학교 - 중앙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는 1908년 기호학교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을 실천하고 3.1 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문화재 건축물과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다. - 고려대학교 - 중앙중학교 (서울)
중앙중학교는 1908년 기호흥학회에 의해 설립되어 융희학교와 합병되었고, 조선교육령 개정에 따라 개칭되었으며, 6년제와 3년제 중학교를 거쳐 1964년 학교법인으로 변경된 서울특별시의 중학교이다. -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 제중원으로 시작하여 대한의원, 조선총독부의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 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본원 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을 운영하며 국내외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병원이다. - 서울대학교 - 경성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대한제국 최초의 제국대학으로, 법문학부와 의학부를 시작으로 이공학부를 설치했으며, 광복 후 서울대학교에 흡수 통합되었다. - 연세대학교 - 방우영
방우영은 조선일보의 회장으로서 조선일보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밤의 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컸고, 언론 사업 확장과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한 언론인이다. - 연세대학교 - 정갑영
정갑영은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자 제17대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로, 산업조직론과 국제경제학을 전공했으며 자유기업원 이사장과 동아일보 객원 논설위원을 맡고 경제학 관련 저술 및 방송 활동을 통해 대중에게 경제학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SKY (대학교) |
---|
2. 구성 대학
SKY를 구성하는 대학은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이다.
대학 | 유형 | 위치 | 설립 | 전임교원 | 학부생 | 대학원생 | QS 세계 (2025)[6] | ARWU 세계 (2023)[7] | THE 세계 (2023)[8] | THE 아시아 (2023)[9] | QS 아시아 (2023)[10] |
---|---|---|---|---|---|---|---|---|---|---|---|
서울대학교 | 국립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 1946년 | 2,278명(2022)[11] | 15,870명(2022)[11] | 12,394명(2022)[11] | 31위 | 94위 | 56위 | 11위 | 17위 |
고려대학교 | 사립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 1905년 | 1,511명(2022)[12] | 19,598명(2022)[12] | 9,847명(2022)[12] | 67위 | 201–300위 | 201–250위 | 27위 | 15위 |
연세대학교 | 사립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 1885년 | 1,712명(2022)[13] | 18,200명(2022)[13] | 11,632명(2022)[13] | 56위 | 201–300위 | 78위 | 13위 | 12위 |
2. 1.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위치한 국립 대학법인이다. 1946년에 설립되었으며, 2022년 기준 전임교원은 2,278명, 학부생은 15,870명, 대학원생은 12,394명이다.[11] 표어는 Veritas lux mea|진리는 나의 빛la이다.[28]2025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31위,[6] 2023년 ARWU 세계 대학 순위에서 94위,[7] 2023년 THE 세계 대학 순위에서 56위,[8] 2023년 THE 아시아 대학 순위에서 11위,[9] 2023년 QS 아시아 대학 순위에서 17위를 기록했다.[10]
2. 2.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에 위치한 사립 대학이다.[28] 1905년에 설립되었으며, 2022년 기준 학부생은 19,598명, 대학원생은 9,847명, 전임교원은 1,511명이다.[12] 표어는 ''Libertas, Justitia, Veritas'' (자유, 정의, 진리)이다.[28]
평가 종류 | 2025년 QS 세계 대학 랭킹[6] | 2023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7] | 2023년 타임스 고등 교육 세계 대학 랭킹[8] | 2023년 THE 아시아[9] | 2023년 QS 아시아[10] |
---|---|---|---|---|---|
순위 | 67 | 201-300 | 201-250 | 27 | 15 |
2. 3.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이다. 1885년에 설립되었으며, 2022년 기준 전임교원은 1,712명, 학부생은 18,200명, 대학원생은 11,632명이다.[13] 표어는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요 8:32)이다.[28]2025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56위,[6] 2023년 ARWU 세계에서 201–300위,[7] 2023년 THE 세계에서 78위,[8] 2023년 THE 아시아에서 13위,[9] 2023년 QS 아시아에서 12위를 기록했다.[10]
3. 역사
SKY는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세 학교를 묶어 부르는 약칭이다. 각 학교 영문 이름 첫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 서울대학교는 1895년 설립된 법률강습소와 1924년 일본이 설립한 경성제국대학을 전신으로 한다. 1946년 여러 학교를 통합하여 현재의 서울대학교가 되었다.[1]
- 고려대학교는 1905년 보성전문학교로 설립되어 1946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2]
- 연세대학교는 1885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병원인 세브란스 의과대학 및 병원과 1915년 설립된 연희전문학교가 1957년 통합되어 만들어졌다.
3. 1. 서울대학교
1895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전신인 법률강습소가 설립되었다. 1924년 일본은 경성제국대학의 본부와 예과를 설립했는데, 이 대학은 서울대학교의 주요 전신이다.[1] 1926년 일본은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 의학부, 이학부를 개설했다.[1] 이곳은 일제강점기 한국 최초의 공식 고등 교육 기관이었다. 당시 일본의 억압으로 인해 한국에서 유일한 종합대학교였으며, 일본 정부는 경성제국대학 외 다른 대학 설립을 승인하지 않았다.[1] 1946년 8월, 서울대학교는 경성제국대학을 포함한 서울 일대의 여러 일본식 고등 교육 기관을 통합하여 설립되었다.[1]3. 2. 고려대학교
3. 3. 연세대학교
- 1885년: 세브란스 의과대학 및 병원 설립. 한국 최초의 근대적 병원 및 교육 기관이다.
- 1915년: 연희전문학교 설립
- 1946년 8월: 연희전문학교가 연희대학교로 변경
- 1957년 1월: 세브란스 의과대학 및 병원과 연희대학교가 연세대학교로 통합
4. 사회적 인식과 영향
대한민국 대학 입시 제도에서 "SKY"는 자주 언급되는 용어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SKY대 합격선"이라는 기준점을 만들어 대학 입학 시험의 난이도를 측정하기도 한다.[17] 많은 고등 교육 평가 기관에서 이들 3개 대학의 입학률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18]
4. 1. 긍정적 측면
2010년, 고위 정부 관리의 46.3%와 주요 금융 산업 CEO의 50%가 SKY 대학교 졸업생이라는 보고가 있었다.[14] 같은 해 변호사 시험 합격자의 60% 이상도 SKY 대학교 졸업생이었다.[15] 이들 대학교에 입학하려면 일반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상위 1% 안에 들어야 한다.4. 2. 부정적 측면
SKY나 서연고, 서고연 등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는 대표적인 용어로 지목되기도 한다.[29] 대한민국의 과열된 학력 엘리트주의에 반대하여 SKY 대학을 자퇴한 학생들도 있었다.[16]SKY 출신자들이 한국 정부와 일반 기업 등 조직에서 요직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2010년 행정 기관에서 국장급 이상 고위 공무원의 46.3%가 SKY 출신이었으며,[19] 금융 기관 CEO의 50%를 SKY 출신이 차지하고 있다.[20] 사법 시험이나 행정 고시 등 각종 시험 합격자도 대부분 SKY 출신이다. 2010년 사법 시험 합격자의 60.8%가 SKY 출신이었으며,[21]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국가 고위 공무원 채용자의 70.4%가 SKY 출신이었다.[22]
한편, 한국의 중소기업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71.2%가 SKY 출신 지원자의 이직을 우려하여 채용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적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23] 2018년에는 SKY 출신 취업 지원자들을 대형 금융 기관에 더 많이 합격시키기 위해 인사 점수를 인위적으로 올리는 등의 조작을 하는 부정 채용 의혹도 발생했다.[24]
4. 3. 사회 각 분야의 SKY 출신
2010년, 고위 정부 관리의 46.3%와 주요 금융 산업 CEO의 50%가 SKY 대학교 졸업생이었다.[14] 같은 해 변호사 시험 합격자의 60% 이상도 SKY 대학교 졸업생이었다.[15]2010년 행정 기관 국장급 이상 고위 공무원의 46.3%[19], 금융 기관 CEO의 50%[20]가 SKY 출신이었다. 사법 시험이나 행정 고시 등 각종 시험 합격자도 대부분 SKY 출신이었다. 2010년 사법 시험 합격자의 60.8%가 SKY 출신이었으며[21],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국가 고위 공무원 채용자의 70.4%가 SKY 출신이었다.[22]
한편, 한국 중소기업 인사 담당자 조사에서는 71.2%가 SKY 출신 지원자의 이직을 우려하여 채용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적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23] 2018년에는 SKY 출신 취업 지원자들을 대형 금융 기관에 더 많이 합격시키기 위해 인사 점수를 인위적으로 올리는 등 부정 채용 의혹[24]이 발생하기도 했다.
대한민국 국군에 징집되어 주한 미군 제8군에 배속되는 '''카투사](KATUSA)''' 합격자와 육군·해군·공군 중앙사령부 징집 배속자 대부분이 SKY 출신이다.[25]
5. 비판 및 논란
SKY는 학력 엘리트주의에 대한 반발로 일부 학생들이 자퇴하기도 하는 등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16]
5. 1. 학벌주의 및 대학 서열화 조장
SKY(서연고, 서고연)는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는 대표적인 용어로 지목되기도 한다.[29] 대한민국의 과열된 학력 엘리트주의에 반대하여 학교를 자퇴한 다수의 SKY 대학 학생들이 있었다.[16]대한민국의 대학 입시 제도에서 "SKY"는 자주 언급되는 용어이다. 특히 입시 전문가들은 "SKY대 합격선"이라고 불리는 기준점을 만들어 대학 입학 시험의 난이도를 측정하고 있다.[17] 많은 고등 교육 평가 기관에서 이들 3개 대학의 입학률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18]
5. 2. SKY 출신 채용 특혜 의혹
2010년 행정 기관의 국장급 이상 고위 공무원 중 46.3%가 SKY 출신이며[19], 금융 기관 CEO의 50%를 SKY 출신이 차지하고 있다[20]. 또한, 사법 시험이나 행정 고시 등 각종 시험 합격자 대부분이 SKY 출신이다. 2010년 사법 시험 합격자의 60.8%가 SKY 출신이었으며[21],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국가 고위 공무원 채용자의 70.4%가 SKY 출신이었다[22].한편, 한국 중소기업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71.2%가 SKY 출신 지원자의 이직을 우려하여 채용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적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23]. 2018년에는 SKY 출신 취업 지원자들을 대형 금융 기관에 더 많이 합격시키기 위해 인사 점수를 인위적으로 올리는 등 부정 채용 의혹[24]이 발생했다.
6. 유사 용어
대한민국 내에서는 SKY 외에도 각 대학 교명의 글자를 따서 만든 줄임말이 통용된다. 국립 대학의 경우 총장협의회를 기준으로 줄임말을 만들기도 한다. 국중협 같은 표현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줄임말은 대학 서열화와 학벌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는다.[30]
줄임말 | 대학 |
---|---|
서카포연고(서카浦延高)[31] |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
서성한(西成漢)[32] |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 |
지디유(GDU)[33] |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
중경외시이(中慶外市梨)[34] | 중앙대학교,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35], 서울시립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
건동홍숙(建東弘淑)[36] | 건국대학교, 동국대학교, 홍익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
국숭세단(國崇世檀)[37] | 국민대학교, 숭실대학교, 세종대학교, 단국대학교 |
광명상가(光明祥가)[38] | 광운대학교, 명지대학교, 상명대학교, 가톨릭대학교 |
인가경(仁嘉京)[39] | 인천대학교, 가천대학교, 경기대학교 |
삼여대(三女大)[40] | 동덕여자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
한서삼(漢西三)[41] | 한성대학교, 서경대학교, 삼육대학교 |
협수용강(協水龍江)[42] | 협성대학교, 수원대학교, 용인대학교, 강남대학교 |
을평성대(乙平聖大)[43] | 을지대학교, 평택대학교, 성결대학교, 대진대학교 |
메이저 미대(서홍국)[44]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국민대학교 조형대학/예술대학 |
메이저 약대(설중성경이)[45]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메이저 의대(서연카울성)[46]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부경전(釜慶全)[47] | 부산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남대학교 |
삼국대(三國大)[48] | 건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단국대학교 |
삼룡의(三龍醫)[49]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
서고연성한이(서高延成漢梨)[50] |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설한홍(설漢弘)[51]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
육해공사(陸海空士)[52] | 육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
인동명(仁東明)[53] | 인하공업전문대학, 동양미래대학교, 명지전문대학 |
BMW[54] | 배재대학교, 목원대학교, 우송대학교 |
5대 과기특성화대학[55] |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
국중협(國重協)[56] |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부경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창원대학교, 공주대학교, 순천대학교, 목포대학교, 안동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
지거국(地據國)[57] | 거점국립대학교 ― 부산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전북대학교, 강원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제주대학교 |
지방 4대 사학[58] | 영남대학교, 동아대학교, 조선대학교, 원광대학교 |
7. 대중문화 속 SKY
2018년~2019년 JTBC 금토 드라마 ''SKY 캐슬''은 아이들이 세 개의 대학교 중 한 곳에 입학하기를 바라는 부모들이 코디네이터를 고용하는 것을 다루며, 이는 때때로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Asia Times Online :: Korea News and Korean Business and Economy, Pyongyang News
http://atimes.com/at[...]
2005-12-04
[2]
웹사이트
"[특목고 진학 열풍]명문대·국가고시 '보증'…'신 귀족층' 통로로 전락 - 드림위즈 뉴스"
http://news.d.paran.[...]
2007-10-18
[3]
웹사이트
QS Top Universities: Korean international postgraduate study - a dramatic transformation
http://www.topuniver[...]
2008-04-09
[4]
뉴스
A Taste of Failure Fuels an Appetite for Success at South Korea’s Cram School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20-11-15
[5]
뉴스
Life and death exams in South Korea
https://web.archive.[...]
Asia Times Online
2005-11-30
[6]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qschina.[...]
2024-06-09
[7]
웹사이트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2023
https://www.shanghai[...]
2023-08-16
[8]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
https://www.timeshig[...]
2022-10-12
[9]
웹사이트
Asia University Rankings 2023
https://www.timeshig[...]
2023-06-27
[10]
웹사이트
QS Asia University Rankings 2023
https://www.topunive[...]
2022-11-09
[11]
웹사이트
Facts
http://en.snu.ac.kr/[...]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3-06-28
[12]
웹사이트
About KU
http://www.korea.ac.[...]
Korea University
2023-06-28
[13]
웹사이트
Yonsei at a Glance
https://www.yonsei.a[...]
Yonsei University
2023-06-28
[14]
웹사이트
금융권 CEO 출신대학..서울대>고려대>연세대 順
http://news.naver.co[...]
2013-08-11
[15]
웹사이트
사법시험 로스쿨 행외시 수험의 동반자
http://news.lec.co.k[...]
2013-08-11
[16]
뉴스
명문대 줄잇는 ‘공개 자퇴’ 왜?
http://www.fnnews.co[...]
2011-11-20
[17]
뉴스
'만점자 1% 수능'…사교육비 더 늘까?
http://www.mt.co.kr/[...]
[18]
뉴스
아깝다! 학원비개별지도는 허상
http://news.khan.co.[...]
[19]
뉴스
고위공무원 특정학교 편중 심각 ..'SKY'가 절반
http://www.asiae.co.[...]
[20]
뉴스
금융권 CEO 출신대학…서울대>고려대>연세대 順
http://news.naver.co[...]
[21]
뉴스
올 사시 최종합격자 10명중 6명은 'SKY'
http://news.lec.co.k[...]
[22]
뉴스
행시 임용자 70%가 'SKY大' 출신… 최근 3년간, 서울대가 38.9%
http://news.kukinews[...]
[23]
뉴스
中企 71% SKY대 출신 일부러 안 뽑은 적 있어
http://news.kukinews[...]
[24]
뉴스
하나은행, SKY 붙이려고 동국·한양대 출신 떨어뜨렸다
https://web.archive.[...]
[25]
뉴스
"카투사 합격자 5명 중 1명꼴 'SKY' 출신…토익 평균 860점대"
https://www.yna.co.k[...]
[26]
웹사이트
http://www.dailymedi[...]
[27]
뉴스
“서연고 안 가요” 수시 합격한 2000여명 미등록...추가합격 인원은 줄어
https://www.newsques[...]
2022-12-20
[28]
문서
2022년 기준 자료임.
[29]
뉴스
대한민국은 거대한 SKY 캐슬...사라진 ‘대학 서열화 완화’ 공약
https://www.unipress[...]
2020-05-17
[30]
뉴스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는 옛말?!
https://news.unn.net[...]
2012-09-19
[31]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32]
웹사이트
https://ko.dict.nave[...]
[33]
웹사이트
http://m.veritas-a.c[...]
[34]
웹사이트
http://www.newstomat[...]
[35]
문서
단 한국외국어대학교의 통폐합 등의 영향으로 인해 빼는 경우가 많다.
[36]
웹사이트
http://www.naeil.com[...]
[37]
웹사이트
http://www.naeil.com[...]
[38]
뉴스
https://m.news.naver[...]
[39]
뉴스
https://m.news.naver[...]
[40]
웹사이트
https://www.nextplay[...]
[41]
웹사이트
http://www.ggilbo.co[...]
[42]
뉴스
https://n.news.naver[...]
[43]
뉴스
https://n.news.naver[...]
[44]
웹사이트
http://www.daejonilb[...]
[45]
웹사이트
http://www.bosa.co.k[...]
[46]
웹사이트
http://www.veritas-a[...]
[47]
뉴스
https://n.news.naver[...]
[48]
뉴스
https://n.news.naver[...]
[49]
뉴스
https://m.news.naver[...]
[50]
웹사이트
http://m.lec.co.kr/n[...]
[51]
블로그
https://m.blog.naver[...]
[52]
뉴스
https://n.news.naver[...]
[53]
웹사이트
https://www.jinhak.c[...]
[54]
웹사이트
https://www.cctoday.[...]
[55]
뉴스
https://m.news.naver[...]
[56]
웹사이트
http://www.veritas-a[...]
[57]
웹사이트
https://www.hangyo.c[...]
[58]
웹사이트
http://www.verita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