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드 지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드 지파는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하나로, 요르단 강 동쪽에 위치한 땅을 분배받았다. 가나안 정복 이후 이스라엘 왕국이 형성되기 전까지 다른 지파들과 느슨한 연맹을 이루었으며, 사울 왕 시대에 통일 이스라엘 왕국에 합류했다. 이후 북이스라엘 왕국에 속했으나 기원전 723년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하면서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가 되었다. 성경에 따르면 야곱의 아들 가드의 후손이며, 요르단 강 동쪽의 목축에 적합한 땅을 요구하여 받았다.
기원전 1200년경 이스라엘 민족이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가나안을 정복한 후,[22][2] 여호수아는 각 지파에게 땅을 분배했다. 이때 대부분의 지파는 요르단강 서쪽 땅을 받았지만, 가드 지파는 르우벤 지파, 므나쎄 지파 절반과 함께 모세로부터 요르단강 동쪽 땅을 받았다(여호수아기 13:24-28). 이는 가드 지파가 많은 가축을 소유하고 있어 목축에 적합한 요르단 동편 땅을 원했기 때문이다.[16]
모세오경에 따르면 가드 지파는 야곱의 일곱째 아들인 가드의 후손이다. 그러나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를 지파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진 이야기로 보기도 한다.[24] 가드는 야곱의 시종인 질바의 아들이었는데, 이 때문에 가드 지파가 처음부터 이스라엘 민족 공동체의 완전한 일원으로 여겨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5]
2. 영역
가드 지파가 받은 땅은 요르단강 동쪽 중앙부, 길르앗 지역을 중심으로 하며, 남쪽으로는 르우벤 지파, 북쪽으로는 므나쎄 지파와 경계를 이루었다.[23] 북쪽 경계는 갈릴리 호수(긴네렛 호수) 남단, 남쪽 경계는 헤스본 지역까지 이르렀다. 여호수아기 13장에 따르면 길르앗 지역과 요르단 계곡의 여러 성읍들이 가드 지파의 영토로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민수기와 여호수아기 사이에 일부 성읍의 소속 지파에 대한 기록 차이가 있어[3] 정확한 경계는 다소 불분명하다. 가드 지파의 영토였던 디본에서는 모압 비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가드 지파의 영토는 요르단강 건너편 외곽에 위치했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외부의 침략에 취약했다. 남쪽으로는 모압, 북쪽과 동쪽으로는 아람 다마스쿠스와 이후 고대 아시리아의 공격을 자주 받았다.
가나안 정복 전쟁 당시 가드 지파는 르우벤 지파, 므나쎄 지파와 함께 요르단강 서편 전투에서 선봉에 서는 책임을 맡았으며, 전쟁을 마치고 돌아갈 때 여호수아로부터 축복을 받았다.[17] 이후 가드, 르우벤, 므나쎄 지파는 요르단강 동쪽 자신들의 영토로 돌아가 강가에 큰 제단을 쌓았는데, 이것이 율법 위반으로 오해받아 다른 지파들과 갈등을 빚기도 했으나, 조사 후 오해가 풀려 화해했다.[18]
2. 1. 주요 성읍
기원전 1200년경 여호수아가 이끄는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후,[22] 각 지파에게 땅이 분배되었다. 대부분의 지파는 요르단강 서쪽 땅을 받았지만, 가드 지파는 르우벤 지파, 므나쎄 지파와 함께 모세로부터 직접 요르단강 동쪽 땅을 받았다(여호수아기 13:24-28). 가드 지파의 영토는 르우벤 지파와 므나쎄 지파 사이에 있었으며, 에브라임 지파의 동쪽에 해당했다.[23]
여호수아기 13장 24절부터 28절에 따르면, 가드 지파는 모세로부터 야셀, 길르앗의 모든 성읍, 랍바 앞 아로엘까지 이어지는 암몬 자손 땅의 절반, 헤스본에서 라맛 미스베와 브도님까지, 마하나임에서 로드발(드빌) 경계까지, 그리고 요르단 계곡의 벳 하람, 벳 니므라, 수꼿, 사본 등 헤스본 왕 시혼의 남은 영토를 분배받았다. 이 영토의 경계는 요르단강 동쪽이며, 긴네렛 호수(갈릴래아 호수) 남쪽 끝까지 이르렀다.
민수기 32장 34절에도 가드 지파의 성읍이 언급되는데, 이 중 일부는 여호수아기에서 르우벤 지파의 영토로 기록된 곳도 있다.
가드 지파의 땅은 요르단강 동쪽에 위치하여 이스라엘 지파들의 영토 중 외곽에 속했기 때문에, 모압이나 아람 다마스쿠스와 같은 주변 세력의 침략을 자주 받았다.
3. 성경
성경 기록에 따르면, 가드 지파는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 이후 요르단 강 동쪽 땅에 정착했다. 사사 시대에는 다른 이스라엘 지파들과 느슨한 연맹 관계를 유지했으며, 이후 통일 왕국과 북이스라엘 왕국의 일원이 되었다. 기원전 8세기 신아시리아 제국의 침공으로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면서, 가드 지파 사람들도 아시리아로 끌려가 흩어지게 되었다.[26] 이로 인해 가드 지파는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로 간주된다.
가드 지파의 족보는 역대기 상 5장 11절부터 17절에 기록되어 있다.
3. 1. 기원
모세오경과 토라에 따르면, 가드 지파는 야곱의 일곱째 아들인 가드의 후손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지파의 이름이 정해졌다.[4] 가드는 야곱의 시종이었던 질바의 첫째 아들이다.
그러나 일부 성서 학자들은 이러한 설명을 지파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진 사후적 기록이나 어원적 은유로 본다.[24][4] 가드의 어머니가 야곱의 정식 아내가 아닌 시종 질바였다는 점을 들어, 학자들은 초기 이스라엘 공동체에서 가드 지파와 질바의 둘째 아들인 아셀의 후손인 아셀 지파가 완전한 이스라엘 구성원으로 간주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제기한다.[25][5] 또한, '가드'라는 이름이 셈족이 믿었던 행운의 신 가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25][5]
성경에서 가드 지파의 영토나 성읍에 대한 묘사가 일관되지 않다는 점도 이러한 학설을 뒷받침한다.[5] 예를 들어, 길르앗은 판관기 5장에서는 가드 지파의 영토로 언급되지만[8], 사무엘하나 여호수아기 등 다른 곳에서는 다른 지파의 영토로 나타나기도 한다.[25][6][9] 가드 지파의 경계 역시 명확하지 않게 묘사된다.[5][7]
모압에서 발견된 메사 석비의 기록은 이러한 비평적 관점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 이 비문에는 이스라엘 왕국과 가드 지파가 별개의 공동체로 구분되어 서술되어 있다. "가드 사람들은 옛날부터 아타로스 땅에 살았는데, 이스라엘 왕이 아타로스를 요새화하였다"는 내용은 가드 지파가 이스라엘 왕국이 형성되기 이전부터 요르단강 동쪽 지역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5][5] 이러한 점들을 종합하여, 일부 학자들은 가드 지파가 원래 가나안 정착 시기에 북쪽으로 이동하던 유목민 집단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5]
성서에서는 가드 지파가 요르단강 동쪽에 정착하게 된 이유를 여호수아와 함께 가나안 정복 전쟁을 시작하기 전, 그 땅의 비옥함을 보고 먼저 정착을 원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고전 랍비 문학에서는 가드 지파의 이러한 선택을 비판적으로 보기도 하지만(전도서 인용[5][10], 레위기 라바 3:1), 가나안 정복 전쟁에 참여하여 다른 지파들을 도운 공로를 인정하기도 한다(민수기 라바 13. 19). 모세가 가드 지파의 영토에 묻혔다는 전승(소타 13b; 얄쿠트 시모니, 베조트 하브라차, 단락 961)이나, 선지자 엘리야가 가드 지파 출신이라는 전승(창세기 라바 71)도 존재한다. 가드 지파는 르우벤 지파와 함께 가장 먼저 유배를 당한 지파로 언급되기도 한다(애가 라바 1:5).[5]
한편, 일유동조론과 같이 가드 지파를 일본 민족 또는 황실의 기원과 연결시키려는 주장도 제기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오타니베 젠이치로는 일본 천황을 뜻하는 '미카도'가 원래 '미가도'로 발음되었으며 이는 '미 가도', 즉 가드 지파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19] 또한 유대교의 랍비인 사무엘 그린버그는 '미카도'가 히브리어로 '가드 지파 출신'을 의미한다며 황실의 뿌리가 가드 지파임을 주장하기도 했다. 임나는 '미‧마나세', 즉 므낫세 지파 출신으로 해석하고, '일본'이나 '재팬'이라는 명칭도 가드 지파의 '제폰 비토'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이러한 주장들은 일유동조론자들이 황실의 뿌리가 가드 지파에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되었으나, 학술적인 근거가 부족하여 최근 주류 학설에서는 부정되고 있다.[20] 아스카 아키오는 가드 지파 중 일부가 솔로몬의 보물(아크)를 계승하여 일본으로 가져왔고, 그것이 이세 신궁의 외궁에 보관되어 있다는 설을 주장하기도 했다.[21]
3. 2. 가나안 정복과 정착
기원전 1200년경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을 정복한 이후,[22][2] 여호수아는 땅을 열두 지파에게 분배했다. 대부분의 지파는 요르단강 서쪽 땅을 받았으나, 가드 지파는 르우벤 지파, 므나쎄 지파 절반과 함께 모세로부터 요르단 강과 사해 동쪽 땅을 분배받았다(여호수아기 13:24-28).[2][3] 가드 지파는 르우벤 지파와 므나쎄 지파 사이, 에브라임 지파의 동쪽에 자리 잡았다.[23][3]
여호수아기 13장 24-28절에 따르면, 가드 지파의 영토는 야셀, 길르앗의 모든 성읍, 랍바 앞의 아로엘에 이르는 암몬 땅 절반, 헤스본에서 라맛미스베와 브도님까지, 마하나임에서 로드발 경계까지, 그리고 요르단 계곡의 벳하람, 벳니므라, 수꼿, 사본 등 헤스본 왕 시혼의 나머지 영토를 포함했다. 그 경계는 요르단 강 동쪽으로 긴네렛 호수(갈릴리 호수) 끝에 이르렀다.
민수기 32장 34절[15]에서도 가드 지파의 성읍을 언급하는데, 디본 등 일부는 여호수아기 13장 15-16절[15]에서 르우벤 지파의 영토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가드 지파는 많은 가축을 소유했기 때문에 목축에 적합한 요르단 강 동쪽 땅을 요구하여 얻었다.[16] 이들은 가나안 정복 전쟁 당시 르우벤 지파, 므나쎄 지파와 함께 요르단강 서편 정복 작전에서 선봉에 서서 싸울 책임을 맡았으며, 전투를 마친 후 여호수아로부터 축복을 받고 돌아왔다.[17]
정복 후, 가드, 르우벤, 므나쎄 지파는 요르단강 서쪽 지파들과의 유대감을 나타내기 위해 강가에 큰 제단을 쌓았다. 이는 율법 위반으로 오해받아 다른 지파들의 반발을 샀으나, 조사단 파견 후 오해가 풀리고 화해하였다.[18]
가드 지파의 땅은 요르단 강 동쪽에 위치하여 모압, 아람 다마스쿠스 등 외세의 침략에 자주 노출되었다. 여호수아 시대 이후 기원전 1050년경 통일 왕국이 형성되기 전까지, 가드 지파는 다른 지파들과 느슨한 연맹 관계를 유지했으며, 위기 시에는 판관(사사)들의 지도를 받았다. 사무엘상에는 암몬의 나하스 왕이 야베스 길르앗을 공격하고 잔혹한 항복 조건을 내걸었으나, 사울이 군대를 이끌고 격퇴한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1] 사해 문서의 발견으로 나하스의 잔혹성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밝혀지기도 했다.[1]
이후 가드 지파는 사울을 왕으로 섬기며 통일 왕국에 참여했고, 사울 사후에는 다윗을 왕으로 추대했다. 기원전 930년경 르호보암 즉위 후 왕국이 분열되자, 가드 지파는 북이스라엘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기원전 723년경 북이스라엘 왕국이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하면서 주민들이 추방되었고, 이후 가드 지파는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로 간주된다.
가드 지파의 성읍이었던 디본에서는 모압 비석(메사 석비)가 발견되기도 했다. 가드 지파의 족보는 역대기 상 5장 11-17절에 기록되어 있다.
3. 3. 분열 위기와 화해
가나안 정복 전쟁이 끝난 후, 갓 지파는 르우벤 지파, 므낫세 지파 절반과 함께 요르단 강 동쪽에 정착하였다. 이들은 요르단 강 서쪽에 있는 다른 이스라엘 지파들과 자신들이 같은 민족임을 나타내고자 강 근처에 큰 제단을 쌓았다.
그러나 이 제단 건설 행위는 다른 지파들에게 큰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요르단 강 서쪽의 지파들은 동쪽 지파들이 율법을 어기고 별도의 제사를 드리려는 것으로 의심하였고, 이는 지파 간의 심각한 갈등과 분열 위기로 이어졌다.
이에 서쪽 지파들은 사태의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조사 결과, 동쪽 지파들이 세운 제단은 제사를 드리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요르단 강 양쪽에 거주하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임을 상징하는 기념물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오해가 풀리면서 지파 간의 갈등은 해소되었고, 이스라엘 공동체는 다시 화합을 이룰 수 있었다.[18] 이 사건은 대화와 소통을 통해 민족 내부의 오해와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한 사례로 평가된다.
3. 4. 이후 역사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 이후 기원전 1050년경 이스라엘 왕국이 형성되기까지, 가드 지파는 다른 이스라엘 지파들과 느슨한 연맹체의 일원이었다. 중앙 정부 없이 위기 시에는 사사라 불리는 임시 지도자들이 백성을 이끌었다(사사기 참조). 사무엘기에는 암몬의 왕 나하스가 야베스 길르앗을 공격하는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나하스는 항복 조건으로 주민들의 오른쪽 눈을 뽑으려 했으나, 주민들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도움을 요청할 7일의 유예 기간을 얻었다. 당시 목동이었던 사울이 군대를 모아 베섹에서 나하스를 격파하고 주민들을 구원했다.
나하스의 잔혹한 항복 조건은 요세푸스에 의해 그의 관행으로 설명되었으나, 사해 문서 중 쿰란 동굴 4번 동굴에서 발견된 사무엘기 사본을 통해 더 자세한 배경이 밝혀졌다. 이 사본에는 70인역이나 마소라 본문에는 없는 서문이 포함되어 있는데, 나하스가 이미 요르단 강 동편의 가드와 르우벤 자손들의 오른쪽 눈을 뽑으며 압제하고 있었고, 야베스 길르앗으로 피신한 7천 명을 마저 정복하려 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1]
블레셋의 위협이 커지자 이스라엘 지파들은 강력한 중앙 집권적 왕정을 수립하기로 결정했고, 가드 지파는 초대 왕 사울이 다스리는 새로운 왕국에 합류했다. 사울 사후에는 그의 아들 이스보셋을 지지하며 유다 지파를 제외한 다른 지파들과 함께 사울 가문에 충성을 유지했다. 그러나 이스보셋이 죽자, 가드 지파는 다른 북부 지파들과 함께 유다 왕 다윗을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왕으로 받아들였다.
기원전 930년경 다윗의 손자 르호보암이 왕위에 오르자, 북부 지파들은 다윗 왕조와 베냐민 지파로부터 분리되어 북이스라엘 왕국을 재건했다. 가드 지파는 이 북이스라엘 왕국의 일원으로 남았으나, 기원전 723년경 신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왕국이 멸망하면서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성경 기록에 따르면, 유다 왕국의 우찌야와 요담 시대에 가드 지파가 유다 왕국에 협력했다는 언급도 있지만[26], 결국 기원전 733년에서 731년경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가 북이스라엘 왕국을 침공했을 때 아시리아에 의해 정복당하고 지파 사람들은 추방되었다. 탈무드는 르우벤 지파와 함께 가드 지파가 가장 먼저 아시리아로 끌려갔다고 전한다.[11] 이 추방으로 인해 가드 지파는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로 간주된다. 예레미야서는 가드 지파가 살던 땅이 이후 암몬인들의 차지가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1][26]
역대기 상 5장 11절부터 17절에는 '가드의 자녀들'의 족보가 기록되어 있다.
한편, 에티오피아의 베타 이스라엘(에티오피아 유대인)은 자신들이 단 지파의 후손이며, 솔로몬 성전 파괴 시기에 단 지파 사람들이 가드, 아셀, 납달리 지파의 일부 구성원들과 함께 쿠시 왕국(현재의 에티오피아와 수단)으로 이주했다고 주장한다.[12] 또한 나이지리아의 이보인들은 자신들이 가드의 아들이자 그들의 첫 번째 왕의 이름이기도 한 '에리'(Eri)를 통해 가드 지파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13]
4. 유대교에서의 전승
성경에서는 가드 지파가 요르단강 동쪽에 자리 잡게 된 이유를 그들이 강을 건너기 전에 모세에게 해당 땅을 요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고대 랍비 문헌에서는 이를 다르게 해석하기도 한다. 전도서 5장 12절의 "부자는 그 부요함 때문에 자지 못하느니라"는 구절을 인용하며, 가드 지파가 땅의 비옥함에 눈이 멀어 더 큰 대의를 저버렸다고 비판하는 시각이 있다.[25] 또한, 모세가 가드 지파의 영토에 묻혔다는 전승[27]과 예언자 엘리야 및 그의 후손이 가드 지파 출신이라는 이야기도 전해진다.[28] 일부에서는 르우벤 지파와 가드 지파가 바빌론 유수 당시 가장 먼저 포로로 잡혀갔다고 보기도 한다.[25]
한편, 일본과 관련된 독특한 주장들도 존재한다. 오타니베 젠이치로는 그의 저서 『일본 및 일본 국민의 기원』에서 천황을 뜻하는 "미카도(ミカド)"라는 칭호가 원래 "미가도(ミガド)"로 발음되었으며, 이는 "미 가도(ミ·ガド)", 즉 가드 지파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19] 유대교의 랍비 사무엘 그린버그 역시 "미카도"가 히브리어로 "가드 지파 출신"을 의미한다며, 일본 황실의 뿌리가 가드 지파에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고대 한반도 남부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임나(任那)는 "미 마나세(ミ·マナセ)", 즉 므낫세 지파 출신을 의미한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일본"이나 "재팬"이라는 명칭 또한 가드 지파의 이름 중 하나인 "제폰(Zephon)"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이는 영어 성경 번역에 따른 표기이며, 실제 유대인들은 '제' 발음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제폰'이 '자폰', '닛폰' 등으로 변형되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이러한 근거들을 바탕으로 일유동조론자들은 일본 황실의 기원이 가드 지파에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여 현대 주류 학계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20]
작가 아스카 아키오는 가드 지파의 일부가 솔로몬의 보물(아크)를 계승했으며, 이 보물이 일본으로 전해져 이세 신궁의 외궁에 보관되어 있다는 설을 제기하기도 했다.[21]
5. 고고학적 증거
메사 석비(기원전 840년경)는 가드 지파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를 제공한다. 이 석비에는 모압 왕 므사가 아토롯(오늘날의 히르바트 아타루즈로 추정됨)을 정복한 사실을 기록하며 가드 지파를 언급하고 있다. 석비에 따르면 "가드 백성은 옛날부터 아토롯 땅에 살았고, 이스라엘 왕이 아토롯을 요새화했다."
또한, 므사는 자신의 아버지를 "모압 왕, 디본 사람 케모쉬-가드"라고 칭하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가 통치하던 30년 전에도 디본이 이미 주요 모압 정착지였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기록은 기원전 9세기 중반에 모압인들이 가드 지파를 여전히 별개의 집단이자 이스라엘 왕국의 일부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모압인들이 가드 지파를 오랫동안 북쪽으로 압박해왔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디본은 아마도 기원전 10세기에 점령된 것으로 보인다).
6. 일유동조론
오타니베 젠이치로는 그의 저서 『일본 및 일본 국민의 기원』에서 천황을 뜻하는 "미카도"가 원래 "미가도"로 발음되었으며, 이는 "미 가도" 즉, 가드 지파에 뿌리를 둔 것이라고 주장했다.[19] 유대교의 랍비인 사무엘 그린버그 역시 "미카도"가 히브리어로 "가드 지파 출신"을 의미한다며, 일본 황실의 뿌리가 가드 지파라고 주장한다.
또한, 일유동조론에서는 임나라는 명칭이 "미‧마나세", 즉 므낫세 지파에서 유래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일본"이나 "재팬"이라는 국호 역시 가드 지파의 인물 이름인 "제폰 비토"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제폰'은 영어 성경 번역 과정에서 나온 표기이며, 유대인들은 '제' 발음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제폰, 자폰, 닛폰 등으로 변형되었다고 추정한다.
이러한 근거들을 바탕으로 일유동조론자들은 일본 황실의 기원이 가드 지파에 있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최근 주류 학설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20]
한편, 작가 아스카 아키오는 가드 지파의 일부가 언약궤(솔로몬의 보물)를 계승하여 일본으로 가져왔고, 이것이 이세 신궁의 외궁에 보관되어 있다는 설을 제기하기도 했다.[21]
참조
[1]
서적
Qumran Cave 4 – XII, 1-2 Samuel (Discoveries in the Judaean Desert Series, XVII)
Oxford: Clarendon Press
2005
[2]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3]
웹사이트
Gad
http://www.jewishenc[...]
[4]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5]
문서
Jewish Encyclopedia
[6]
성경
Joshua 13:15
[7]
성경
Joshua 13:24-27 to Joshua 13:15
[8]
성경
Judges 5:17
[9]
성경
2 Samuel 24:5 and Joshua 13:24-27
[10]
성경
Ecclesiastes 5:12b
[11]
성경
Jeremiah 49:1
[12]
서적
From tragedy to triumph: the politics behind the rescue of Ethiopian Jew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3]
웹사이트
Representatives of emergent African communities 'below the Jewish radar' to gather
https://www.jns.org/[...]
2022-12-05
[14]
성경
創世記30章11節
[15]
성경
民数記26章18節
[16]
성경
民数記32章、ヨシュア記18章7節
[17]
성경
ヨシュア記22章1節-9節
[18]
성경
申命記12章1節-4節、ヨシュア記22章10節-34節
[19]
서적
失われたイエス・キリスト「天照大神」の謎
学研研究社
1998
[20]
서적
日本の中のユダヤ文化
学研
2003
[21]
문서
失われたイエス・キリスト「天照大神」の謎
[22]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23]
웹사이트
Gad
http://www.jewishenc[...]
[24]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25]
문서
Jewish Encyclopedia
[26]
성경
렘 49장 1절
[27]
문서
Sotah 13b; Yalkut Shimoni, Vezot Habrachah, sec. 961
[28]
문서
Gen. R. 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