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高)는 한국의 성씨로, 고구려, 탐라, 중국 계통으로 나뉜다.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435,839명이 고씨 성을 사용했으며, 주요 본관으로는 제주 고씨, 장흥 고씨, 개성 고씨 등이 있다. 고구려 왕족의 후손인 횡성 고씨는 고주몽을 시조로 하며, 제주 고씨는 탐라 개국 설화의 고을나를 시조로 한다. 중국 고씨는 강씨(姜氏) 계통으로 중국에서 15번째로 많은 성씨이며, 한국의 고씨와는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씨 - 고열 (고려)
고열은 고려 시대 변방 성곽 축조에 기여한 공로로 포상을 받고 수사공, 상서좌복야를 역임했으며 사망 후 충정이라는 시호를 받은 인물로, 문종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특별한 예우를 베풀었다. - 고씨 - 고재희
고재희는 조남철 문하에서 바둑을 배워 1959년 프로 초단으로 입단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로, 한국기원 선수권전에서 세 차례 우승했으며 2018년에 9단으로 승단했다. - 한국의 성씨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한국의 성씨 - 진 (성씨)
진(陳)씨는 중국에서 기원한 성씨로, 한국에는 베풀 진(陳), 나라 진(秦), 나아갈 진(晉), 참 진(眞) 등의 한자를 사용하는 성씨들이 있으며, 각 진씨는 다양한 역사 속 인물과 현대 인물들을 배출하며 활동하고 있다. - 중국의 성씨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중국의 성씨 - 백가성
백가성은 중국 성씨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남송 시대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송나라 초기에 항저우 지역에서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504개의 성씨로 구성되어 '조전손이'로 시작하며 한국에도 영향을 주었고 현대 중국에는 희귀한 성씨들도 존재한다.
고 (성씨) | |
---|---|
성씨 정보 | |
이름 | 고 |
한글 | 고 |
로마자 표기 | Go |
다른 로마자 표기 | Ko, Koh, Goh, Kho, Gho, Kor |
어원 | 높을 고(高) |
관련 성씨 | 가오, 까오 |
기원 | |
유래 | 고을나(高乙那) |
본관 | 제주 고씨(제주 고씨) |
설명 | 탐라(耽羅)의 삼성(三姓) 중 하나 |
통계 정보 | |
2015년 인구 | 472,153명 |
비율 | 제주도내 인구의 17% |
2. 한국의 고씨
한국의 고씨는 크게 고구려계, 탐라계, 중국계로 나뉜다. 광녕 고씨를 제외하면 대부분 제주 고씨의 분관이다.[16]
- '''고구려계''': 고구려의 국성(國姓)으로, 횡성 고씨 등은 동명성왕을 시조로 하는 고구려 왕족의 후손이다.[10]
- '''탐라계''': 제주 고씨를 대종으로 하며, 장흥 고씨, 청주 고씨, 안동 고씨 등이 모두 제주 고씨에서 분파되었다.[16] 탐라 개국 설화에 나오는 고을나가 시조이다.
- '''중국계''': 광녕 고씨 등이 있으며,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귀화한 고유보를 시조로 한다.
백제에도 고씨 호족이 있었는데, 이들은 314년경 고구려가 낙랑군·대방군을 멸망시킨 후 백제로 귀환한 중국계 호족인 낙랑 고씨의 유민일 가능성이 높다.[23][24][25]
고씨는 조선 시대에 총 77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는데, 이 중 장흥 고씨가 29명, 제주 고씨가 28명, 개성 고씨가 8명이었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내 고씨는 총 474,693명으로, 주요 본관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15]
씨족(지역) | 창시자 | 인원수 (2015년) |
---|---|---|
제주 고씨 | 고을나 | 310,542 |
장흥 고씨 | 75,517 | |
장택 고씨 | 38,539 | |
개성 고씨 | 18,247 | |
횡성 고씨 | 9,996 | |
청주 고씨 | 6,300 | |
안동 고씨 | 2,279 | |
용담 고씨 | 446 | |
진주 고씨 | 442 | |
경주 고씨 | 369 | |
해주 고씨 | 324 | |
창녕 고씨 | 252 | |
탐라 고씨 | 237 | |
한양 고씨 | 155 | |
장담 고씨 | 135 | |
광주 고씨 | 109 | |
전주 고씨 | 104 | |
장성 고씨 | 104 | |
광영 고씨 | 105 | |
고흥 고씨 | 99 | |
광녕 고씨 | 95 | |
김해 고씨 | 92 | |
평택 고씨 | 90 | |
장봉 고씨 | 90 | |
창평 고씨 | 903 |
(기타 90여 본 생략)
2. 1. 고구려계 고씨
고구려계 고씨는 고구려의 국성(國姓)이다. 횡성 고씨는 동명성왕을 시조로 하는 고구려 왕족의 후손이다.[10] 횡성 고씨 외에도 요양을 본관으로 하는 고씨는 북연의 군주 고운, 당나라 장군 고선지 등 고구려 출신 인물들을 포함한다.[10]《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 왕가는 중국 신화의 고양의 후손이라고 주장했으며, 고양은 황제의 손자였기에 "고(高)" 씨 성을 사용했다.[3][4][5][6][7][8] 그러나 이 전설은 《삼국사기》를 편찬한 김부식의 논찬에서 신빙성을 잃었으며, 김부식은 백제와 고구려 모두 부여에서 기원했다고 결론 내렸다.[9]
백제에도 고씨 성을 가진 호족이 있었다. 이들은 314년경 고구려가 낙랑군·대방군을 멸망시킨 후 백제로 귀환한 중국계 호족인 낙랑 고씨의 유민일 가능성이 높다.[23][24][25] 게이타이 천황 10년(516년) 왜국에 파견된 백제의 오경 박사 한고안무의 '한'은 고안무가 한인(漢人)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고수, 고흥, 고분옥 등도 마찬가지로 여겨진다.[24] 북한에 있는 낙랑 고분군의 오야리 제21호분에서 출토된 칠기 명문에는 "고효통"이라고 적혀 있으며, 평양 정백동 고분군 2호분에서는 "고상현인"이라고 새겨진 은인이 출토되어 고씨의 연원이 낙랑군·대방군에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24]
고구려계 고씨 분파는 다음과 같다.
씨족(지역) | 창시자 | 인원수 (2015년) [15] |
---|---|---|
횡성 고씨 | 고주몽 | 9,996 |
2. 1. 1. 횡성 고씨
횡성 고씨의 시조는 고구려를 건국한 고주몽이다. 중시조는 고구려 보장왕의 둘째 아들 고인승이다. 그의 동생인 안승은 《고구려 본기》에는 보장왕의 서자, 외손으로 되어 있고, 《신라 본기》에는 연정토의 아들로 되어 있다. 후손은 고려 말기 밀직사를 지낸 고민후이다. 횡성 고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남한에 약 1만 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26][27]횡성 고씨는 고구려 왕족의 후손이며, 족보에는 고구려 동명왕을 직계 조상으로 명시하고 있다.[10]
2. 2. 탐라계 고씨
제주 고씨는 탐라(耽羅) 개국 설화에 나오는 고을나를 시조로 한다. 고을나는 한라산 북쪽 기슭 삼성혈(三姓穴)에서 양을나, 부을나와 함께 나타났으며, 이후 제주도로 표류해 온 상자에서 나온 세 명의 여자, 오곡 종자, 가축과 함께 섬에 정착하였다고 한다.[28] 고을나의 후손들은 신라와 고려에 내조(來朝)하였고, 조선 초기까지 탐라국을 세습 통치하였다.[29]제주 고씨에서 분관된 성씨로는 개성 고씨, 장흥 고씨 등이 있다.
- '''개성 고씨'''(開城 高氏) 시조 '''고영신'''(高令臣)은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고려 숙종과 고려 예종대에 걸쳐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 '''장흥 고씨'''(長興 高氏) 시조 '''고중연'''(高仲{木+筵})은 제주 고씨 시조 고말로의 10세손으로 고려 공민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으로 책봉되면서 장흥백(長興伯)에 봉해졌다.
제주 고씨는 탐라 계통으로, 탐라 개국 설화에 등장하는 고을나(髙乙那)를 시조로 한다. 제주 고씨와 분파 성본들은 계통을 달리하는 고구려계 등 다른 고(高)씨 성본과 구별하기 위해 한자를 표기할 때 '高'와 '髙'를 혼용한다.
2. 2. 1. 제주 고씨
'''제주 고씨'''(濟州 髙氏)는 탐라(耽羅) 개국 설화에 나오는 '''고을나'''(髙乙那)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을나는 한라산 북쪽 기슭 삼성혈(三姓穴)에서 양을나(良乙那), 부을나(夫乙那)와 함께 나타났으며, 이후 제주도로 표류해 온 상자에서 나온 세 명의 여자, 오곡 종자(五穀種子), 가축과 함께 섬에 정착하였다고 전해진다.고을나의 15세손 고후(髙厚)·고청(高淸)·고계(髙季) 세 형제는 배를 만들어 타고 바다를 건너 탐진(耽津, 현재의 전라남도 강진군)에 이르렀고, 신라에 내조(來朝)하여 고후는 성주(星主), 고청은 왕자(王子), 고계는 도내(徒內)라는 칭호를 받았다. 이들은 탐진에 정박하였기 때문에 탐라(耽羅)라는 국호(國號)를 받았다.[28]
고을나의 45세손 탐라국주 고자견(髙自堅)의 태자 '''고말로'''(髙末老)는 938년(태조 21년) 고려에 내조(來朝)하여 성주·왕자 작(爵)을 받았고, 자치를 허락받았다. 이후 조선 초기까지 후손들이 성주의 칭호를 계승하며 탐라국을 세습 통치하였다.[29]
고말로는 제주 고씨의 중시조(中始祖)이다. 고말로의 직손이 제주 고씨이고, 고말로의 증손 고공익(髙恭益)은 상당 고씨(上黨髙氏), 또 다른 증손 고영신(高令臣)은 개성 고씨, 고말로의 10세손 고중연은 장흥 고씨(長興高氏), 후손 고종필(高宗弼)은 연안 고씨(延安高氏), 고말로의 23세손 고응섭(高應涉)은 안동 고씨(安東髙氏)로 각각 분적하였다.
제주 고씨는 탐라 계통으로, 탐라 개국 설화에 등장하는 고을나(髙乙那)를 시조로 한다. 제주 고씨와 분파 성본들은 계통을 달리하는 고구려계 등 다른 고(高)씨 성본과 구별하기 위해 한자를 표기할 때 '高'와 '髙'를 혼용한다. 2015년 인구 조사에서 제주 고씨는 310,542명으로 집계되었다.
2. 2. 2. 개성 고씨
'''개성 고씨'''(開城 高氏)의 시조 '''고영신'''(高令臣)은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고려 숙종과 고려 예종 대에 걸쳐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1097년(숙종 2) 우찬선대부, 1099년 이부낭중추밀원우승선, 1101년 어사중승으로 동북면병마사가 되었다. 이후 형부시랑우간의대부를 거쳐 1105년(예종 즉위년) 비서감직문하성이 되었다. 1108년(예종 3) 상서로서 서북면병마사가 되었고, 이듬해 동지추밀원사를 거쳐 이부상서지추밀원사에 올랐으며, 1113년 검교사공참지정사가 되었다.개성 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8,247명이다.[15]
2. 2. 3. 장흥 고씨
'''장흥 고씨'''(長興 高氏)는 제주 고씨 1세조 고말로(高末老)의 10세손인 '''고중연'''(高仲{木+筵})을 시조로 한다. 고중연은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의 제2차 침입을 막아낸 공으로 장흥백(長興伯)에 봉해졌다. 장흥 고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28명을 배출했으며, 대표적인 인물로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이 있다. 2015년 인구 조사에서 장흥 고씨는 75,517명, 장택 고씨는 38,539명으로 집계되었다.[15]2. 3. 중국계 고씨
한국의 고씨는 크게 고구려계, 탐라계, 중국계로 나뉜다. 광녕 고씨를 제외한 대부분의 고씨는 제주 고씨에서 분관되었다.광녕 고씨는 시조 '''고유보'''(高有寶)가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귀화하면서 시작되었다. 고유보는 명나라 한림원 태학사 고한봉(高翰鳳)의 5대손으로, 명청 교체기에 청나라의 지배를 거부하고 조선에 정착하였다. 그는 송나라 진종 때 인물인 '''고경'''(高瓊)의 후손이며, 6대조는 명나라 예부시랑을 지냈다. 광녕 고씨의 본관은 중국 함평로 광녕이다.
2000년 인구조사에서 광녕 고씨는 8가구, 27명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에는 광녕 고씨(95명), 광령 고씨(16명), 광영 고씨(105명) 등으로 나타났다.
2. 3. 1. 광녕 고씨
명나라 한림원의 태학사였던 고한봉(高翰鳳)의 5대손 '''고유보'''(高有寶)는 광녕 고씨의 시조이다. 그는 명나라, 청나라 교체기에 청나라 지배를 받기를 거부하고 심양에 인질로 잡혀간 조선의 척화파를 따라 조선에 들어와 평안북도 상원에 정착하였다. 고유보는 송(宋)나라 진종(968~1022) 때 인물 '''고경'''(高瓊)의 후손으로, 6대조는 명나라 예부시랑을 지냈다. 본관은 중국 함평로 광녕이다. 2000년 인구는 8가구, 27명에 불과하다.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는 광녕 고씨(95명), 광령 고씨(16명), 광영 고씨(105명) 등으로 나타났다.
3. 중국의 고씨
중국의 고씨는 강씨의 강성(姜姓) 계통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중국 고씨 중 90% 이상) 제나라 왕 강태공의 9세손 제 문공의 증손자 '''강혜(姜傒)가 고혜(高傒)로 고씨 성으로 변경하였고, 이후 제나라의 노현(盧縣)에 봉읍을 받으면서, 후손들이 봉읍의 이름에서 따서 노씨(盧氏)를 성으로 삼았다.''' 하여, 강혜는 중국 고씨의 시조이자 중국, 한국 노씨의 시조이기도 하다. '''중국 동이족(東夷族) 강성계 고씨는 한국의 고씨와는 연관이 전혀 없다고 할수 없으며, 고구려 고씨계와도 동일 혈족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고씨는 중국에서는 성씨 인구 1,600만 명으로 중국 성씨 인구 순위 15위에 랭크되어 있을 정도로 큰 대성(大姓)이다. 중국 고씨는 중국은 물론 타이완,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 푸젠성 안계현은 고성촌으로서 동남아 고씨들의 주요 원적지이다. 그 외에 '''강씨의 제나라가 멸망 후 강씨와 고씨 등 강성(姜姓)계 성씨들이 한반도와 일본으로 대거 이동하였는데,''' '''현재 일본의 성씨 중 다카하시(高橋), 다카(高)씨 등 '高'가 들어가는 일본 성씨는 동이족 강성(姜姓)계 고씨의 후손이라는 구전이 전한다.'''[1]
중국의 제나라 황제 강태공의 9세손 고혜(高傒)를 고씨의 득성 시조로 하여 강성 중국 고씨는 현재 70여 대까지 이어지게 되는데, 그중 강태공의 51세손이자 북제의 태조 황제인 북제 문선제 '고양'(高洋)이 있다. 문선황제 고양의 부친인 고환은 위진남북조 시기 북제의 추존황제이며, 북제 1대 황제 고양으로 시작하여 2대 황제 고은, 3대 황제 고연, 4대 황제 고담, 5대 황제 고위, 6대 황제 고항까지 황위를 이어오다가 형제끼리 피를 부르는 황위 다툼과 주색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못하는 등 국력이 쇠퇴하여 결국 북주에 의해 멸망당했다. 북제 문선제 '고양'은 어릴 적부터 비범함을 갖추고 태어난 인물로서 '쾌도난마'라는 고사성어는 이때 나온 것이다.[1]
4. 저명한 인물
- 고아성 (199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아라 (199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모델
- 고보결 (1988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봉재 (1993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야구 투수
- 고대우 (1987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두심 (195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희동 (1886–1965), 대한민국 화가
- 고현정 (197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재현 (1999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진원 (1956년 출생), 대한민국 레슬러
- 고주원 (198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건 (1938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전 대한민국 국무총리 및 전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 고경표 (199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민시 (1995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슬기 (1986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수 (1978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태섭 (예명 홀랜드, 1996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 고우리 (1988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가수, 걸그룹 레인보우의 전 멤버
- 고요한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윤환 (예명 려운, 1998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윤하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 및 음반 프로듀서
- 고윤정 (1996년 출생), 대한민국 모델 및 배우
- 고영준 (2001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창석 (197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춘선 (1954년 출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육상 장거리 선수
- 고동진 (1961년 출생), 대한민국 기업인, 전 삼성 CEO
- 고구영 (1957년 출생), 대한민국 생물학자
- 고혜인 (1994년 출생),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선수
- 고형렬 (1954년 출생), 대한민국 시인
- 고형진 (1982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심판
- 고임표 (1962년 출생), 대한민국 영화 편집자
- 고재효 (1980년 출생), 대한민국 전 축구 선수
- 고재성 (1985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재욱 (1951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감독 및 전 선수
- 고정운 (1966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감독 및 전 선수
- 고지용 (1980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이자 사업가, 전 아이돌 그룹 젝스키스 멤버
- 고종수 (197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코치 및 전 선수
- 고주연 (199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고광민 (필드하키) (1981년 출생), 대한민국 필드하키 선수
- 고광민 (축구 선수)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규필 (198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리디아 고 (1997년 출생), 대한민국 출생 뉴질랜드 골프 선수
- 고무열 (1990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명석 (1995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축구 선수
- 고명진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산 (1976년 출생), 대한민국 기업가
- 고성일 (1974년 출생), 대한민국 성우
- 고승범 (1994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승완 (1981년 출생), 대한민국 컬링 선수
- 고소영 (197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모델
- 고석창 (1963년 출생), 대한민국 핸드볼 선수
- 고성희 (1990년 출생), 한국계 미국 배우
- 고성현 (1987년 출생), 대한민국 배드민턴 선수
- 고성국 (1955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학자
- 고태원 (1993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고은 (1933년 출생), 대한민국 시인
- 고용희 (1952–200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용가이자 김정은의 어머니
- 고수 - 고이왕 시대의 문신.
- 고흥 - 백제의 박사.
- 고달 - 개로왕부터 동성왕 시대에 걸친 관료.
- 한고안무 - 백제의 오경박사.
- 고분야 - 성명왕 시대의 문신.
- 고영희 - 조선 말기부터 대한제국기의 정치가.
- 고영근 - 조선 말기의 무인.
- E. J. Koh (1988년 출생), 미국 작가, 번역가
- 해럴드 홍주 코 (1954년 출생), 미국 외교관, 변호사, 법학자
- 하워드 코 (1952년 출생), 전 미국 보건복지부 보건 차관보
- 아이린 코 (1990년 출생), 대한민국 출생 미국 만화가
- 제니퍼 코 (1976년 출생),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 루시 코 (1968년 출생), 미국 판사
참조
[1]
웹사이트
고씨(高氏)의 유래와 본관
https://lib.aks.ac.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0-10-31
[2]
뉴스
(71)제주고씨
https://news.joins.c[...]
2020-10-31
[3]
서적
三國史記 卷第二十八 百濟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Database
[4]
서적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Database
[5]
서적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의자왕 義慈王
http://terms.naver.c[...]
한국인문고전연구소
[6]
서적
한국인문고전연구소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광개토왕 廣開土王
http://terms.naver.c[...]
한국인문고전연구소
[7]
서적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Journal of Cultural Interaction in East Asia Vol.5 Society for Cultural Interaction in East Asia
2014
[8]
Samguk Sagi
Samguk Sagi volume 28
[9]
서적
Establishing a Pluralist Society in Medieval Korea, 918-1170: History, Ideology and Identity in the Koryŏ Dynasty
https://books.google[...]
BRILL
2019-02-15
[10]
뉴스
고구려 고씨
http://www.kwnews.co[...]
2004-01-29
[11]
웹사이트
행정구역(구시군)/성씨·본관별 가구 및 인구
http://kosis.kr/stat[...]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10-31
[12]
서적
http://korean.go.kr/[...]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20-10-31
[13]
웹사이트
문서뷰어
http://kostat.go.kr/[...]
2022-07-07
[14]
웹사이트
도내 인구 17%는 ‘김씨’ 성 가졌다
http://www.jejunews.[...]
2022-11-12
[15]
웹사이트
KOSIS - 성씨ㆍ본관별 인구 - 시군구 2015
https://kosis.kr/sta[...]
2022-11-13
[16]
웹사이트
(71)제주고씨
https://www.joongang[...]
2022-11-27
[17]
웹사이트
언중언 고구려 고씨
https://m.kwnews.co.[...]
2023-07-30
[18]
서적
「高句麗地名」中の倭語と韓語
専修大学学会
2019-11-30
[19]
서적
カラー新版 人名の世界地図
文藝春秋
2021-11-18
[20]
서적
韓国人の姓氏と多文化社会
東北文化学園大学総合政策学部
2020-03-20
[21]
서적
韓国人の姓氏と多文化社会
東北文化学園大学総合政策学部
2020-03-20
[22]
서적
韓国人の姓氏と多文化社会
東北文化学園大学総合政策学部
2020-03-20
[23]
서적
중국계 백제관료에 대한 고찰
高麗大学校|高麗大学歴史研究所
2012-09
[24]
뉴스
한국 고대사회 外來人의 존재양태와 사회적 역할
https://cms.dankook.[...]
檀国大学校|檀國大學東洋學硏究院
2017-07
[25]
서적
4~5세기 百濟의 中國系 流移民의 수용과 太守號
延世大学校|延世大學國學硏究院
2015-12
[26]
뉴스
"[학술] \"이것이 광개토대왕 얼굴\""
http://news.naver.co[...]
[27]
뉴스
장수왕 61대손 고붕씨 국내 대학서 석사과정
http://news.naver.co[...]
[28]
웹사이트
『고려사』 권57, 지제11, 지리(地理)2
https://terms.naver.[...]
[29]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제주 고씨
https://encykorea.a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